KR20160125206A - 조리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뚜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25206A KR20160125206A KR1020150056095A KR20150056095A KR20160125206A KR 20160125206 A KR20160125206 A KR 20160125206A KR 1020150056095 A KR1020150056095 A KR 1020150056095A KR 20150056095 A KR20150056095 A KR 20150056095A KR 20160125206 A KR20160125206 A KR 201601252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ndle
- lid
- lid body
- hinge
- discharge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2—Devices for holding lids in open position on the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용기 내부를 밀폐 및 개방하는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음식의 조리 및 수납효율이 향상되도록, 본 발명은 외측 테두리부가 용기본체의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되, 일방향으로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의 일측 양단에 상측으로 돌설된 한 쌍의 힌지걸이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및 일단부가 상기 힌지걸이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외면부가 상기 뚜껑본체 외면과 인접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뚜껑본체 및 상기 베이스부의 무게중심이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타단부측과 반대방향측에 형성되도록 설정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 내부를 밀폐 및 개방하는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음식의 조리 및 수납효율이 향상된 조리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 상부를 커버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뚜껑은 조리시간의 단축 및 용기본체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가열하는 경우, 대부분 상기 뚜껑을 닫아놓은 채로 사용하고, 재료를 첨가하는 등 필요에 따라 상기 뚜껑을 여는 동작을 반복한다.
여기서, 조리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리용기 내부가 실질적으로 밀폐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조리용기용 뚜껑은 단지 상기 용기본체를 커버하는 역할만을 하므로 실질적으로 조리시간을 단축하는데는 그 효과가 미미하다.
또한, 상기 용기본체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조리 중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상기 뚜껑 일측에 협소한 관통공이 형성되었으나 그 크기가 작아 상기 뚜껑이 안착된 용기본체의 상단부 사이 틈으로 상기 수증기가 배출되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 위험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상기 수증기와 함께 고온으로 가열된 음식물이 넘쳐 주변이 오염되는 문제점 역시 발생하였다. 이에, 압력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뚜껑과 상기 용기본체 사이가 밀폐되는 조리용기가 일부 출시되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에 따라 제조단가가 상승되어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뚜껑 내면에 응결된 물에 의해 외부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뚜껑의 상면 중앙부에 구비된 손잡이부가 상기 조리대 상면에 안착되도록 내려놓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다시 잡기 위해 상기 뚜껑의 깊숙이 손을 넣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등이 닿아 화상을 당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에 평탄면이 없을 경우, 상기 조리대에 놓은 뚜껑이 실질적으로 고정되지 못하고 유동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뚜껑에 구비된 손잡이부 부피에 의해 상기 조리용기를 보관시에도 많은 자리를 차지하여 보관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리용기 내부를 밀폐 및 개방하는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음식의 조리 및 수납효율이 향상된 조리용기용 뚜껑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측 테두리부가 용기본체의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되, 일방향으로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의 일측 양단에 상측으로 돌설된 한 쌍의 힌지걸이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및 일단부가 상기 힌지걸이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외면부가 상기 뚜껑본체 외면과 인접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뚜껑본체 및 상기 베이스부의 무게중심이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타단부측과 반대방향측에 형성되도록 설정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조리용기용 뚜껑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뚜껑본체를 관통하되 테두리부가 상기 베이스부로 감싸진 증기배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증기배출공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는 탄성재질의 밀폐마개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폐마개는 상기 증기배출공의 내주면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는 밀폐돌설부와, 상기 밀폐돌설부의 상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면이 상기 증기배출공의 테두리에 걸림 구속되는 단턱면이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부에는 상기 밀폐마개가 관통되어 상기 증기배출공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증기배출공과 연통되는 개방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가 힌지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각도를 구속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호 회전대향면에는 제1구속부와, 상기 제1구속부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구속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뚜껑본체의 중심과 상기 손잡이부를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뚜껑본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점인 지지돌출부 단부측이 상호 대향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를 쥐고 들어올려도 상기 뚜껑본체 자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뚜껑본체가 흔들리지 않고 실질적으로 수평을 유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손잡이부를 열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의 외면부가 상기 지지돌출부에 구속되어 상기 뚜껑본체 외면 사이와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이 가열된 본체뚜껑에 닿는 것을 방지하며, 손잡이부의 타단부와 상기 본체뚜껑의 외측 테두리 일단을 조리대 등의 대상면에 안착시켜 상기 뚜껑본체를 세워서 거치하기 용이하다.
셋째, 상기 손잡이부가 상기 뚜껑본체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외면부가 볼록하고 내면부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손잡이부가 닫힘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뚜껑본체와 일체화된 프로파일을 이루어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수납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손잡이부에 상기 증기배출공과 연통되도록 개방홀이 형성되므로,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된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부가 상기 뚜껑본체의 외면에 인접한 닫힘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상기 밀폐마개를 상기 증기배출공에 체결하여 용기본체를 신속하게 밀폐 내지 개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시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시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F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시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시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F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시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100)은 뚜껑본체(10), 베이스부(20) 그리고 손잡이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부(30)가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된다 함은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0d)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과 인접하도록 힌지 회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0)가 닫힘방향으로 힌지 회전된다 함은 상기 손잡이부(30)의 내면부(30c)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과 인접하도록 힌지 회전됨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조리용기(1)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도구로서,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본체(2)와 상기 용기본체(2)의 개구된 상면을 커버하는 뚜껑본체(1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뚜껑본체(10)는 외측 테두리부가 상기 용기본체(2)의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용기본체(2)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일측에 증기배출공(1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증기배출공(11)은 선택적으로 개방됨에 따라 음식물을 가열시 발생하는 증기를 배출하여 용기본체(2) 내부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뚜껑본체(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증기배출공(11)이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증기가 상기 뚜껑본체(10)와 상기 용기본체(2)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뚜껑본체(10)의 외측 테두리부를 따라 실링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링부(12)는 실리콘 내지 합성고무 등과 같은 신축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용기본체(2)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2a)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끼워져 상기 용기본체(2) 내부를 견고하게 밀폐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에 상기 베이스부(2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20)는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 반경방향으로 기설정된 면적을 커버하도록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부(30)가 닫힘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3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결합홈부(2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닫힘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30)의 측면부가 상기 결합홈부(21)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부(21)의 일측 양단에 한 쌍의 힌지걸이부(22)가 상측으로 돌설된다. 이때, 상기 힌지걸이부(22)는 상기 베이스부(20)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설될 수도 있으나, 기설정된 단면적과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상기 베이스부(20)에서 일방향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상기 결합홈부(21)의 양단부에 상대적으로 돌설된 부분이 상기 힌지걸이부(22)로 활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0)가 기설정된 단면적과 두께를 가지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30)를 닫힘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30)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움켜쥘 수 있는 그립수단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베이스부(20)의 중앙부에는 상기 증기배출공(11)과 연통되는 연통관부(2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증기배출공(11)을 밀폐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 내주면을 감싼 상기 연통관부(23)를 밀폐함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통관부(23)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홈부(21)를 관통하며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 내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뚜껑본체(10)의 내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형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중공형 원통형상의 상기 연통관부(23)의 외주면이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 내주면을 감싸도록 밀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20)가 상기 증기배출공(11)을 감싸면서 상기 뚜껑본체(10)에 고정되도록, 상기 뚜껑본체(10)의 내면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연통관부(23)의 하측에 결합되는 하부결합부재(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하부결합부재(24)는 상기 연통관부(23)와 체결되도록 중앙부가 관통된 연장부와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 하면을 커버하도록 상기 연장부의 하측 테두리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부(20)가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 상면에 안착되되, 그의 중앙부에 형성된 상기 연통관부(23)가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 내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결합부재(24)는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 하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연통관부(23)와 상기 연장부가 상호 체결됨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를 클램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통관부(23)와 상기 하부결합부재(24)의 상호 대향면에는 후크홈과 그와 대응되는 후크돌기가 형성되어 후크결합됨에 의해 끼움 체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연통관부(23)와 상기 하부결합부재(24)의 상호 대향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나사 체결될 수도 있다. 즉, 상기와 같은 결합방법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20)를 상기 뚜껑본체(10)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용이하므로 상기 손잡이부(30)를 교체하거나, 상기 베이스부(20)를 분리하여 상기 증기배출공(11) 주변을 세척할 수 있어 유지보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연통관부(23)와 상기 하부결합부재(24)는 금속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열전도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20)와 상기 하부결합부재(24)가 신축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 주변에 탄성적으로 밀착되어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증기배출공(11) 테두리를 실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힌지걸이부(22)에 힌지 회전되도록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부(30a)에는 힌지 회전홈(34)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힌지걸이부(22) 사이에는 상기 힌지 회전홈(34)에 삽입되는 힌지축(22a)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22a)은 상기 힌지 회전홈(34)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힌지걸이부(22)의 대향면에 기설정된 폭으로 돌설된 돌기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힌지걸이부(22)의 대향면에 힌지 회전홈이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부(30a) 양측에 상기 힌지 회전홈에 구속되는 힌지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를 통해, 상기 조리용기용 뚜껑(100)은 상기 베이스부(20)에 결합된 상기 손잡이부(30)를 힌지 회전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뚜껑본체(10)를 이동 및 보관이 편리한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용기용 뚜껑(100)은 압력냄비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냄비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활용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이 베이스부(20)와 상기 하부결합부재(24)를 체결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뚜껑본체(10)에 고정되므로 제조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30)는 힌지결합 지점(a)을 중심으로 외면부(30d)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과 인접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뚜껑본체(10) 및 상기 베이스부(20)의 무게중심이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부(30a)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타단부(30b)측과 반대방향측에 형성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결합 지점(a)이라 함은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부(30a)와 상기 힌지걸이부(22)에 각각 형성된 힌지축(22a)과 힌지 회전홈(34)이 결합된 부분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손잡이부(30)를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하면,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0d)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에 인접하도록 위치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0)의 회전방향(c)과 상기 뚜껑본체(10)의 하중방향(d)은 상기 힌지결합 지점(a)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본체(10)의 무게중심(b)이 상기 힌지결합 지점(a)을 중심으로 하여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된 상기 손잡이부(30)의 타단부(30b)측과 반대방향측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뚜껑본체(10)의 하중에 대응하여 상기 손잡이부(30)의 회전방향(c)으로의 가압력이 증가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20)의 일측에는 지지돌출부(2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손잡이부(30)가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지지돌출부(26)의 외곽단부가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0d)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손잡이부(30)의 회전반경을 제한한다.
더욱이, 상기 지지돌출부(26)의 단부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에 지지되면 상기 뚜껑본체(10)의 하중방향(d)과 상기 손잡이부(30)의 열림방향으로의 회전방향(c)의 중심인 상기 힌지결합 지점(a)에 작용하던 힘이 상기 지지돌출부의 단부측(e)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뚜껑본체(10)의 하중에 대응하는 상기 손잡이부(30)의 회전방향(c)으로의 가압력이 더욱 증가하므로 상기 뚜껑본체(10)의 요동이 최소화되어 더욱 안정적으로 들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선택적으로 힌지 회전되는 상기 손잡이부(30)를 잡고 상기 뚜껑본체(10)를 들어올리더라도 상기 뚜껑본체(10)와 상기 베이스부(20)의 하중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30)가 상기 베이스부(20)로부터 요동이 최소화되므로 상기 뚜껑본체(10)를 들어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돌출부(26)가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0d)에 지지되어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0d)와 상기 뚜껑본체(10) 외면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를 잡더라도 가열된 뚜껑본체(10) 외면에 손이 직접 닿는 것이 방지되므로 화상 등의 위험이 최소화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돌출부는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0d)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지지돌출부는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1d)를 지지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증기배출공(11)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어 상기 용기본체(2)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마개(4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밀폐마개(40)는 상기 용기본체(2) 및 상기 뚜껑본체(10)를 통해 전도되는 열 및 내부 발생 증기열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되면서도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밀폐마개는 상기 증기배출공(11) 내주를 감싼 상기 연통관부(23)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는 밀폐돌설부(41)와, 상기 밀폐돌설부(41)의 상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부(4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밀폐돌설부(41)의 직경은 상기 연통관부(23)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통관부(23)의 직경보다 다소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밀폐마개(40)가 상기 연통관부(23)의 직경에 대응하여 탄성변형되어 삽입된 후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통관부(23)의 내주면에 압착됨에 따라 밀폐력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42)는 상기 밀폐돌설부(4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42)와 상기 밀폐돌설부(41)의 단차진 하면에는 상기 증기배출공(11)의 테두리에 걸림 구속되는 단턱면(4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밀폐마개(40)가 상기 증기배출공(11)을 통해 상기 용기본체(2) 내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안착부(42)의 상측방향으로 그립부(43)가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그립부(43)는 사용자가 손 내지 집게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쥘 수 형상이라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그립부(43)는 상기 안착부(42)의 상측에 원통 내지 원추형상의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측에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밀폐마개(40)가 상기 증기배출공(11)으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용기본체(2) 내부에 생성된 증기가 상기 증기배출공(11)을 통하여 배출되어 음식물의 끓어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마개(40)가 상기 증기배출공(11)으로부터 분리된다 함은 실질적으로 상기 연통관부(23)로부터 분리됨과 동일한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밀폐마개(40)가 상기 증기배출공(11)에 끼움결합되면 상기 용기본체(2) 내부가 밀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음식물 조리시 조리시간이 현저히 단축되고 조리된 음식물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조리 및 보온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밀폐돌설부(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밀폐돌설부(41)의 측면을 따라 기설정된 길이의 슬롯홈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밀폐돌설부(41)가 상기 증기배출공(11)에 삽입된 폭에 따라 상기 슬롯홈이 외부와 연통되는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슬롯홈을 통하여 배출되는 증기의 양이 탄력적으로 조절될 수 있으므로 조리효율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30)가 상기 베이스부(20)에 힌지 결합되어 닫힘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30)의 내면부(30c)가 실질적으로 상기 증기배출공(11) 상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0)에는 상기 증기배출공(11)과 연통되는 개방홀(35)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30)의 회전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손잡이부(30)의 내면부(30c)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에 인접한 닫힘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상기 개방홀(35)을 통하여 상기 밀폐마개(40)를 상기 증기배출공(11)에 끼움결합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마개(40)는 경우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30)와 체인 내지 와이어 등의 연결수단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뚜껑본체(10) 내지 용기본체(2)와 별도로 구비되는 상기 밀폐마개(40)의 분실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밀폐마개(40)는 상기 개방홀(35)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로 돌설될 수도 있으며, 밀폐마개(40)가 상기 개방홀(35)을 관통하여 상기 증기배출공(11)에 끼움결합되는 형태라면 그 형상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밀폐돌설부(41)의 측면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가압요철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상기 증기배출공(11)과 상기 밀폐돌설부(41) 사이의 끼움 결합시 압착력이 보다 개선되어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밀폐마개(40)가 상기 증기배출공(1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밀폐마개(40)는 경우에 따라 상기 개방홀(35)에 구속되어 상기 손잡이부(30)의 힌지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증기배출공(11)와 결합 및 분리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밀폐마개(40)와 상기 개방홀(35) 내주면의 대향면에는 상호 끼워짐 내지 걸려 구속될 수 있는 구속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수단에 의해 상기 밀폐마개(40)가 상기 개방홀(35)에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30)가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되면 상기 밀폐마개(40)가 자동으로 상기 증기배출공(11)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0)가 닫힘방향으로 힌지 회전되면 상기 밀폐마개(40)의 밀폐돌설부(41)가 자동으로 상기 증기배출공(1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30)를 힌지 회전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밀폐마개(40)가 손쉽게 착탈되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도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개방홀(35)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면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커버면은 상기 손잡이부(3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손잡이부(30)와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증기배출공(11)에 끼움결합된 상기 밀폐마개(40)의 상측을 가압하여 밀폐력을 보다 보강할 수도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시 조리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는 도 4의 F부분의 변형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30)가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뚜껑본체(10)를 세워 보관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뚜껑본체(10)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힌지결합 지점(a)이 상기 손잡이부(30)의 타단부(30b)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측 테두리부(10a)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부(30)의 연장된 길이(L1)는 상기 손잡이부(30)의 타단부(30b)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측 테두리부 사이 거리(L2)간의 각이 예각(K)을 이루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지지돌출부(26)는 상기 손잡이부(30)가 열림방향으로 회전되는 최대각도를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제한할 수 있는 높이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조건이라 함은 상기 힌지결합 지점(a)이 상기 손잡이부(30)의 타단부(30b)와 상기 뚜껑본체(10)의 테두리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부(30)의 열림방향 힌지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조건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손잡이부(30)가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되면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0d)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에 인접하되,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0d)측으로 볼록하고 상기 내면부(30c)가 오목한 형상에 의해 상기 뚜껑본체(10) 외면과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0d)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뚜껑본체(10)의 외측 테두리의 어느 일단과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된 상기 손잡이부(30)의 타단부(30b)가 조리대 등의 대상면(P)에 닿도록 놓으면 상기 뚜껑본체(10)를 세워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면(P)에 닿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측 테두리의 어느 일단과 상기 손잡이부(30)의 타단부(30b)가 상기 힌지결합 지점(a)을 중심으로 기설정된 각도를 이룸으로써 안정적인 형태로 세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뜨거워진 상기 뚜껑본체(10)의 내면이 상기 대상면(P)과 대응되도록 놓아 상기 대상면(P) 표면에 응결수가 형성되거나, 상기 뚜껑본체(10)에 부착된 음식물 잔존물이 상기 대상면(P) 표면에 묻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뚜껑본체(10)를 세워놓음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를 잡기 용이하므로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30)와 상기 베이스부(20)의 상호 회전대향면에는 제1구속부(33,233)와, 상기 제1구속부(33,233)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구속부(25,22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대향면이라 함은 힌지 체결됨에 따라 회전시 상호 인접하는 면으로서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부(30a) 외주면과 그에 대응되는 상기 베이스부(20)의 결합홈부(21) 일단이 이에 포함된다. 또는, 상기 힌지축(22a)과 상기 힌지축(22a)이 삽입되는 상기 힌지 회전홈(34)도 상기 회전대상면에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부(30a)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30)가 힌지 회전시 회전 각도를 구속하도록,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부(30a)에는 제1구속부(33)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20)에는 상기 제1구속부(33)가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제2구속부(2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속부(33)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부(30a)의 힌지 회전방향에 대응하여 기설정된 간격으로 돌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구속부(25)는 상기 제1구속부(33)가 걸림 구속되도록 돌설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구속부(33)와 상기 제2구속부(25)는 탄성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힌지 회전시 각 구속부(25,33)의 걸림 구속되기 위한 회전시 탄발 변형된 후 복원되므로 상기 손잡이부(30)와 상기 뚜껑본체(10) 간의 요동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구속부(33)가 상기 손잡이부(30)의 라운드진 일단부(30a) 외주면을 따라 다단 돌설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30)의 힌지 회전되는 각도를 탄력적으로 변경하여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구속부(33)와 상기 제2구속부(25)가 걸림 구속되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과 상기 손잡이부(3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여 상기 뚜껑본체(10)를 세우는 각도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부(30)의 타단부(30b)는 상기 손잡이부(30)의 일단부(30a) 폭보다 넓게 확장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대상면(P)을 지지하는 간격이 넓어지므로 상기 뚜껑본체(10)를 더욱 안정적으로 세워놓을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힌지걸이부(222) 사이에는 상기 손잡이부(230)의 일단부(230a)를 관통하는 힌지축(222a)이 구비되되, 상기 힌지축(222a)은 길이방향의 양단부가 기설정된 폭으로 돌설된 제2구속부(2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30)의 힌지 회전시 상기 제2구속부(225)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도록 상기 손잡이부(230)의 일단부(230a)에는 내주면 일측에 제1구속부(233)가 형성된 힌지 회전홈(23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부(230)를 힌지 회전시, 상기 제2구속부(225)가 상기 제1구속부(235)에 끼워져 걸림 구속되면 상기 손잡이부(230)는 열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 혹은 닫힘방향으로 회전된 상태가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구속부(225)가 상기 제1구속부(233)를 제외한 상기 힌지 회전홈(234)의 내주면에 탄성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부(230)의 회전각도를 탄력적으로 가변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리용기용 뚜껑(100,200)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구속부(33,233)와 상기 제2구속부(25,225)의 걸림 구속으로 힌지 회전 각도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뿐만 아니라 힌지 회전된 상기 손잡이부(30,230)를 용이하게 구속 고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1구속부(33,233) 및 상기 제2구속부(25,225)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실리콘 내지 스프링과 같이 신축성 및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걸림 구속된 후 탄발복원력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손잡이부(30)가 힌지 회전되어 기설정된 각도로 구속되며 외부 충격에 의해 요동되어 회전 각도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30)가 닫힘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30)는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 프로파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뚜껑본체(10)는 일반적으로 상기 용기본체(2) 상측에 놓여졌을 때, 실질적으로 외측 테두리로부터 중앙부를 향하여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0)는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상기 뚜껑본체(10) 외면과 대응되게 상기 외면부(30d)가 볼록하고 상기 내면부가(30c)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부(30)를 닫힘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30)의 라운드진 형상과 상기 뚜껑본체(10) 외면의 라운드진 형상이 상호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뚜껑본체(10)를 보관시 상기 손잡이부(30)를 닫힘방향으로 힌지 회전하기만 하면 뚜껑의 부피가 작아지고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최소화되므로 수납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를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30)의 라운드진 형상과 상기 뚜껑본체(10)의 라운드진 외면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되므로 이격된 공간이 더욱 넓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30)를 잡을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어 안전성이 개선될 뿐만 아니라, 상기 뚜껑본체(10)를 세워 보관하기 더욱 용이하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뚜껑(100)은 상기 힌지결합 지점(a)을 중심으로 상기 뚜껑본체의 중심(b)과 상기 손잡이부(30)를 열림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뚜껑본체(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점인 지지돌출부(26) 단부측(e)이 상호 대향방향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30)를 쥐고 들어올려도 상기 뚜껑본체(10) 자체의 하중에 의해 상기 뚜껑본체(10)가 흔들리지 않고 실질적으로 수평을 유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안전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0)를 열림방향으로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30)의 외면부(30d)가 상기 지지돌출부(26)에 구속되어 상기 뚜껑본체(10) 외면 사이와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므로 사용자의 손이 가열된 본체뚜껑(10)에 닿는 것을 방지하며, 손잡이부(30)의 타단부(30b)와 상기 본체뚜껑(10)의 외측 테두리 일단을 조리대 등의 대상면(P)에 안착되어 상기 뚜껑본체(10)를 세워서 거치하기 용이하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부(30)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외면부(30d)가 볼록하고 내면부(30c)가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닫힘방향으로 힌지 회전시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 프로파일과 일체화된 프로파일을 이루어 부피가 최소화되므로 수납효율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손잡이부(30)에 상기 증기배출공(1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개방홀(35)이 형성되므로, 상기 손잡이부(30)가 회전된 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손잡이부(30)의 내면부(30c)가 상기 뚜껑본체(10)의 외면에 인접한 닫힘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상기 밀폐마개(40)를 상기 증기배출공(11)에 체결하여 용기본체(2)를 신속하게 밀폐 내지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조리용기
2 : 용기본체
10 : 뚜껑본체 11 : 증기배출공
20 : 베이스부 21 : 결합홈부
22 : 힌지걸이부 23 : 연통관부
25 : 제1구속부 30 : 손잡이부
33 : 제2구속부 34 : 개방홀
40 : 밀폐마개 100 : 조리용기용 뚜껑
10 : 뚜껑본체 11 : 증기배출공
20 : 베이스부 21 : 결합홈부
22 : 힌지걸이부 23 : 연통관부
25 : 제1구속부 30 : 손잡이부
33 : 제2구속부 34 : 개방홀
40 : 밀폐마개 100 : 조리용기용 뚜껑
Claims (5)
- 외측 테두리부가 용기본체의 상단에 접촉되어 상기 용기본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되, 일방향으로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부의 일측 양단에 상측으로 돌설된 한 쌍의 힌지걸이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부; 및
일단부가 상기 힌지걸이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결합되되, 힌지결합 지점을 중심으로 외면부가 상기 뚜껑본체 외면과 인접하는 방향으로의 회전시 상기 뚜껑본체 및 상기 베이스부의 무게중심이 기설정된 길이로 연장된 타단부측과 반대방향측에 형성되도록 설정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를 관통하되 테두리부가 상기 베이스부로 감싸진 증기배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증기배출공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는 탄성재질의 밀폐마개를 더 포함함으로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마개는 상기 증기배출공의 내주면에 억지끼움으로 십입되는 밀폐돌설부와,
상기 밀폐돌설부의 상측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면이 상기 증기배출공의 테두리에 걸림 구속되는 단턱면이 형성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상측방향으로 돌출된 그립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면부에는 상기 밀폐마개가 관통되어 상기 증기배출공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증기배출공과 연통되는 개방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부가 힌지 회전시 상기 손잡이부의 회전각도를 구속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호 회전대향면에는 제1구속부와, 상기 제1구속부가 선택적으로 걸림 구속되는 제2구속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뚜껑.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095A KR20160125206A (ko) | 2015-04-21 | 2015-04-21 | 조리용기용 뚜껑 |
PCT/KR2015/013493 WO2016099074A1 (ko) | 2014-12-17 | 2015-12-10 | 조리용기용 뚜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6095A KR20160125206A (ko) | 2015-04-21 | 2015-04-21 | 조리용기용 뚜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5206A true KR20160125206A (ko) | 2016-10-31 |
Family
ID=57446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6095A KR20160125206A (ko) | 2014-12-17 | 2015-04-21 | 조리용기용 뚜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2520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7427B1 (ko) * | 2021-04-28 | 2022-09-23 | 민요한 | 교반도구 높이 조절 조리뚜껑 |
WO2024075858A1 (ko) * | 2022-10-04 | 2024-04-11 | 민요한 | 교반도구 높이 조절 조리뚜껑 |
-
2015
- 2015-04-21 KR KR1020150056095A patent/KR20160125206A/ko unkno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47427B1 (ko) * | 2021-04-28 | 2022-09-23 | 민요한 | 교반도구 높이 조절 조리뚜껑 |
WO2024075858A1 (ko) * | 2022-10-04 | 2024-04-11 | 민요한 | 교반도구 높이 조절 조리뚜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45608C2 (ru) | Узел вакуумной колбы | |
KR20120115346A (ko) | 간편한 취급성을 갖는 기구 | |
KR100845585B1 (ko) | 조리용기 뚜껑 | |
KR20160125206A (ko) | 조리용기용 뚜껑 | |
KR101244277B1 (ko) | 중탕기 | |
KR20170039330A (ko) | 조리용기용 뚜껑 | |
KR101526944B1 (ko) | 조리용기용 뚜껑 | |
KR200391165Y1 (ko) | 가열용기의 음식물 넘침 방지용 자동 압력조절 구조 | |
KR20110028706A (ko) | 스팀배출기능과 뚜껑지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노브 | |
KR101374133B1 (ko) | 휴대용 조리용기 | |
KR200439944Y1 (ko) | 냄비 손잡이 | |
TWI544886B (zh) | 具有能以營火或爐具加熱之內容器之隔熱食物容器 | |
KR200434708Y1 (ko) | 압력 조리용기 | |
KR102057938B1 (ko) |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 |
KR200472073Y1 (ko) |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 |
JP2833518B2 (ja) | 保温器具 | |
KR102427182B1 (ko) | 전기조리기 | |
KR200491879Y1 (ko) | 조리용기 뚜껑 | |
KR102165582B1 (ko) |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 |
KR20210082968A (ko) | 조리 장치 | |
KR200357102Y1 (ko) | 압력밥솥 | |
KR200480691Y1 (ko) | 빨대 지지부가 구비된 텀블러 | |
KR200478961Y1 (ko) | 다중구조냄비 | |
KR200316908Y1 (ko) | 냄비용 뚜껑받침대 | |
KR102057940B1 (ko) |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