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9688A - 끓음방지 및 내용물 확인 편리한 냄비 덮개 - Google Patents

끓음방지 및 내용물 확인 편리한 냄비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9688A
KR20090069688A KR1020070137433A KR20070137433A KR20090069688A KR 20090069688 A KR20090069688 A KR 20090069688A KR 1020070137433 A KR1020070137433 A KR 1020070137433A KR 20070137433 A KR20070137433 A KR 20070137433A KR 20090069688 A KR20090069688 A KR 200900696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handle
cover
rota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혁
Original Assignee
강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혁 filed Critical 강태혁
Priority to KR1020070137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9688A/ko
Publication of KR20090069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6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비 속 내용물이 끓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며 내용물 상태를 확인하기 편리하게 하는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뚜껑본체(10); 상기 뚜껑본체(1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손잡이(30); 상기 뚜껑본체(10)의 테두리인 테두리부(130)를 구비하는 냄비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10) 상의 일측에 상기 제1손잡이(30)에서 테두리부 (130)까지 걸쳐 부채꼴형으로 이루어진 개폐구(110); 상기 개폐구(110)위에 위치되며, 상기 제1손잡이(30)의 몸체를 회전축(310)으로 하여 회전하여, 상기 개폐구(110)를 개폐하는 회전덮개(20); 상기 개패구(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덮개(20)가 상기 개패구(110)를 여닫을 때 과회전 하지 않게 하는 과회전 방지턱(120);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덮개, 냄비, 공기순환, 뚜껑

Description

끓음방지 및 내용물 확인 편리한 냄비 덮개{boil prevention and check contents at convenience pot lid}
본 발명은 냄비 속 내용물이 끓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며 내용물 상태를 확인하기 <1> 편리하게 하는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등을 냄비에 넣고 가열을 하게 되면 끓어 오르는 경우가 발생하여 끓어 오른 음식물 때문에 주변이 더렵혀져 닦아 내야했다. 또한 냄비 안의 내용물 끓어 오를 때 번번히 뚜껑을 모두 열어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음식물이 끓어 오를 때 냄비 뚜껑을 모두 열게 되면 열효율 면에서도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이 되며 조리 시간도 좀 더 많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냄비의 내용물이 끓어 넘치려 할 때 냄비 뚜껑을 모두 열지 않고도 이를 방지 하며 좀 더 쉽게 내용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냄비 뚜껑이 요망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냄비 뚜껑에 별도의 개폐구를 두어 냄비의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쉽게 내용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 열효율적으로 에너지의 손실을 막아주고, 조리시간을 단축시켜 줄 수 있는 냄비뚜껑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냄비의 내용물이 끓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며, 냄비 안의 내용물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냄비 내의 열에너지의 손실을 보다 최소화하여 조리시간을 보다 단축시키는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구위에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덮개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냄비뚜껑은, 뚜껑본체(10); 상기 뚜껑본체(1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손잡이(30); 상기 뚜껑본체(10)의 테두리인 테두리부(130)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뚜껑본체(10) 상의 일측에 상기 제1손잡이(30)에서 테두리부(130)까지 걸쳐 부채꼴형으로 이루어진 개폐구(110);상기 개폐구(110)위에 위치되며, 상기 제1손잡이(30)의 몸체를 회전축(310)으로 하여 회전하여, 상기개폐구(110)를 개폐하는 회전덮개(20); 상기 개패구(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덮개(20)가 상기 개패구(110)를 여닫을 때 과회전 하지 않게 하는 과회전 방지턱(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회전 방지턱(120)은 상기 개패구(110)의 끝에서 회전덮개의 폭 만큼 떨어져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덮개(20)는 부채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덮개(20)는 회전덮개(20)를 회전시키는 제2손잡이(2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덮개(20)는 그 위에 수증기가 빠져 나오는 수증기공(2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덮개(20)는 회전덮개(20)의 테두리에서 뚜껑본체(10)의 테두리부(130)와 맞닿는 부분을 제외한 회전덮개(20)의 테두리에 고무패킹(230)이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축(310)은 회전덮개(20)의 일측을 관통하고, 뚜껑본체(10)의 중심과 <14>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덮개(20)는 그 위에 내열강화 유리로 된 투명창(2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덮개(20)는 내열강화 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냄비뚜껑은 상술한 바와 같은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여, 냄비의 내용물이 끓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며, 냄비 안의 내용물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냄비 내의 열에너지의 손실을 보다 최소화하여 조리시간을 보다 단축시킬 수 있으며, 사용하기에 간편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냄비뚜껑은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며, 상기 개폐구위에 개폐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덮개를 구비하여 요리에 따라 냄비의 개폐정도를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냄비뚜껑의 개폐구가 열린 상태일 때의 설명도이고, 도 3은 도 1의 냄비뚜껑의 일 단면도(A-A')이다. 도 1은 개폐구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며, 도 2는 개폐구가 열린상태를 나타낸다. 냄비뚜껑은 뚜껑본체(10), 회전덮개(20), 제1손잡이(30)를 구비한다. 뚜껑본체(10)는 냄비 뚜껑의 본체로서 개폐구(110), 과회전 방지턱(120), 테두리부(130)를 구비한다. 뚜껑본체(10)는 제1손잡이(30)를 중심으로 원을 이루며, 뚜껑본체(10)에서 제1손잡이(30)가 위치된 부분이 제일 높으며 테두리부(130)의 인접부가 제일 낮도록 경사를 이룬다. 개폐구(110)는 뚜껑본체(10) 상의 개구부(구멍)로, 개폐구(110)는 회전덮개(20)를 회전시킴에 의해 여닫이가 행하여진다. 개폐구(110)는 뚜껑본체(10) 상에서 좌우로는 제1손잡이(30) 다음에서 테두리부(130)까지, 상하로는 양쪽 과회전 방지턱(120)사이에 위치되며, 그 모양은 부채꼴형이다. 개폐구(110)는 회전덮개(20)에 의해 덮여지고 열려지므로, 회전덮개(20) 보다는 작은 크기로서, 회전덮개(20)에 의해 완전히 덮여질 수 있으며, 또한 회전덮개(20)가 다 열리면 개폐구부(110)를 전부 들어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회전덮개(20)를 조절하여 개폐구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개패구(110)를 통해 냄비 내의 내용물이 끓어 넘치려 하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내용물이 끓어 넘치려고 하면 회전덮개(20)를 원하는 만큼 열어 개패구(110)의 크기를 조절하여 이를 방지할 수 있으며, 뚜껑본체(10)를 열지 않고 회전덮개(20)를 열어 개패구(110)를 통해 냄비 안의 내용물의 상태를 살펴 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개폐구(110)는 부채꼴형이 아니라, 사각형, 원형, 사다리꼴형 등 여러가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과회전 방지턱(120)은 회전덮개(20)로 개패구(110)를 여닫을 때 회전덮개(20)가 과회전 하여 필요 이상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턱이다. 과회전 방지턱(120)은 뚜껑본체(10) 상에 개패구(110)의 위 아래에 위치된다. 과회전 방지턱(120)은, 개패구(110)의 위 아래에서, 회전덮개(20)가 개폐구(110)와 완전히 분리되어 개폐구(110)가 완전히 열리고, 회전덮개(20)가 개폐구(110)를 완전히 닫을 수 있을 수 있는 위치에 있다.과회전 방지턱(120)은 뚜껑본체(10)상의 양측면에 위치하여 회전덮개(20)을 좌우로 움직일 때 과회전을 방지한다. 예를들어, 과회전 방지턱(120)은, 뚜껑본체(10)에서 테두리부(130)의 인접부에서, 개폐구(110)의 위측에서 회전덮개의 폭만큼 위로 간 거리에 상측 과회전 방지턱(120)이 위치하며, 개폐구(110)의 아래측에서 회전덮개의 폭
만큼 아래로 간 거리에 하측 과회전 방지턱(1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테두리부(130)는 뚜껑본체(10)의 테두리로서, 뚜껑본체(10)가 냄비에 닿는 부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테두리부(130)는 뚜껑본체(10)의 경사, 즉 뚜껑본체(10)의 제1손잡이(30)가 위치된 부분에서 테두리부(130)의 인접부사이의 경사와 반대 방향의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말해, 테두리부(130)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경우에 따라서 구비할 수 있다. 회전덮개(20)는 개폐구(110)를 개폐하는 덮개로서, 제1손잡이(30)의 몸체를 회전축(310)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회전덮개(20)는 좌우로 제1손잡이(30)보다 더 왼쪽에서 부터 테두리부(130)의 인접부까지에 걸쳐서 위치되며, 상하로는 개폐구(110)보다 약간 큰 폭을 구비한다. 즉, 회전덮개(20)는 개폐구(110) 보다는 약간 더 큰 부채꼴형으로서, 개폐구(110)를 충분히 덮을 정도로 큰 크기이다. 회전덮개(20)는 회전축(31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양쪽 과회전 방지턱(120) 사이에서 원하는 만큼 회전이 가능하다. 회전덮개(20)는 제2손잡이(210), 수증기공(220), 고무패킹(230)을 포함한다. 제2손잡이(210)은 회전덮개(20)를 회전시켜 개폐구(110)를 여닫을 때 사용되는 손잡이로서, 회전덮개(20)에서 테두리부(130)의 인접부에 위치된다. 뜨거운 열이 잘 전달되지 않도록 제2손잡이(210)의 상측은 내열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1손잡이(30) 보다는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증기공(220)은 회전덮개(20)가 개폐구(110)를 모두 덮고 있을 때 냄비내의 수증기가 빠져 나오는 구멍으로서, 회전덮개(20)가 회전하여 개폐구(110)가 모두 열리면 수증기공(220)이 따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회전덮개(20) 상에 위치한다. 또한 수증기공(220)에서 뜨거운 김이 나올 수 있어 제2손잡이(210)와는 거리를 두고 위치되어 있다. 고무패킹(230)은 회전덮개(20)의 테두리에서 뚜껑본체(10)의 테두리부(130)와 맞닿는 부분을 제외한 회전덮개(20)의 테두리에 씌워져 있으며, 이는 뚜껑본체(10)의 개폐구(110)를 회전덮개(20)가 완전히 덮고 있을 때 뚜껑본체(10)와 회전덮개(20) 사이로 열이 빠져 나가는 것을 막아주며, 회전덮개(20)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의해 손 등을 다치는 것을 방지해준다. 고무패킹(230)은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 내열성 고무를 사용한다. 제1손잡이(30)는 뚜껑본체(10)의 중앙에 위치하여 뚜껑본체(10)를 열고 닫을 때 사용하는 것이다. 제1손잡이(30)는 그 상측을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 내열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손잡이(30)는 회전축(310), 손잡이 수나사부(320), 손잡이 암나사부(330)를 포함한다. 회전축(310)은 제1손잡이(30)이 몸체로, 회전덮개(20)의 일측을 관통하고, 뚜껑본체(10)의 중심과 결합되어 있으며, 회전덮개(20)가 회전하는 중심축이다. 회전축(310)은 제1손잡이(30)에서 손으로 잡는 부분인 상측보다 가 늘게 이루어진다. 제1손잡이(30)는 손잡이 수나사부(320)와 손잡이 암나사부(330)를 체결시켜 뚜껑본체(10)에 고정된다. 손잡이 수나사부(320)는 제1손잡이(30)에서 회전축(310)의 하단에 위치하여 손잡이 암나사부(330)와 결합하여 제1손잡이(30)를 뚜껑본체(10)에 고정시켜준다. 또한 제1손잡이(30)를 돌려서, 손잡이 수나사부(320)를 손잡이 암나사부(330)와 분리가능하여, 회전덮개(20)를 뚜껑본체(10)와 완전히 분리가 가능하다. 이에 설거지 등을 할 때 좀 더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손잡이 암나사부(330)는 손잡이 수나사부(320)와 결합하여 제1손잡이(30)를 뚜껑본체(10)에 고정시킴은 물론이고 필요시 손잡이 수나사부(320)과 분리되어 회전덮개(20)을 분리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4의 냄비뚜껑은 도 1의 냄비뚜껑에서 회전덮개(20)에 투명창(240)을 더 구비한다. 투명창(240)은 회전덮개(20) 상에 위치하는 투명한 창으로, 냄비 속 내용물의 상태를 뚜껑을 열지 않고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투명창(240)은 내열강화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회전덮개(20) 자체의 전체를 투명창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냄비뚜껑의 개폐구가 열린 상태일 때의 설명도이고, 도 7은 도 5의 냄비뚜껑의 일 단면도(A-A')이다. 도 5의 냄비뚜껑은 뚜껑본체(40), 개폐구 덮개(50), 제1 손잡이(60)를 구비한다. 뚜껑본체(40)는 냄비 뚜껑의 본체로서 개폐구(410), 테두리부(420), 고무패킹(430)을 구비한다. 뚜껑본체(10)는 제1손잡이(60)를 중심으로 원을 이루며, 뚜껑본체(40)에서 제1손잡 이(60)가 위치된 부분이 제일 높으며 테두리부(430)의 인접부가 제일 낮도록 경사를 이룬다. 개폐구(410)는 뚜껑본체(40) 상의 개구부(구멍)로, 개폐구 덮개(50)가 덮히는 부분이다. 개폐구(410)는 뚜껑본체(40) 상에서 제1손잡이(60)와 테두리부(420)사이에 위치되며, 원형을 이룬다. 냄비안의 내용물이 끓을 때 개폐구(410)를 열어두어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용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개폐구(410) 및 개폐구 덮개(50)는 원형이 아니라, 타원형, 사각형, 사다리꼴형 등 여러가지 모양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부(420)는 뚜껑본체(40)의 테두리로서, 뚜껑본체(40)가 냄비에 닿는 <43> 부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테두리부 (420)는 뚜껑본체(40)의 경사, 즉 뚜껑본체(40)의 제1손잡이(60)가 위치된 부분에서 테두리부(420)의 인접부 사이의 경사와 반대 방향의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말해, 테두리부(420)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경우에 따라서 구비할 수 있다. 고무패킹(430)은 개폐구(410)의 테두리를 감싸는 것으로, 이는 열에 강한 내열고무를 사용하며, 개폐구 덮개(50)과 맞닿아, 개폐구 덮개(50)가 뚜껑본체(40)에 잘 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열이 빠져 나가는 것을 막는다. 개폐구 덮개(50)는 개폐구(410)에 장착되는 뚜껑으로서 원형을 이루고, 제2 손잡이(510), 수증기공(520), 뚜껑 접촉부(530)을 포함한다. 개폐구 덮개(50)는 그 하면에 단차를 이루어 뚜껑접촉부(530)가 뚜껑본체(40)의 개폐구(410)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폐구 덮개(50)는 경우에 따라서 투명창을 구비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 개폐구 덮개(50) 자체의 전체를 투명창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2손잡이(510)은 개폐구 덮개(50)을 열고 닫을 때 사용되는 손잡이로서, 내열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증기공(520)은 개폐구 덮개(50)가 개폐구(410)를 덮고 있을 때 수증기 등이 빠져나올 수 있게 한 구멍으로, 이를 통해 냄비 속의 압력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한다. 개폐구 덮개(50)를 열어서 개폐구(410)가 열리면, 수증기공(520)이 따로 필요하지 않으므로, 수증기공(520)은 개폐구 덮개(50) 상에 위치한다. 뚜껑접촉부(530)는 고무패킹(430)과 접촉하여 개폐구 덮개(50)가 고정되도록 해준다. 개폐구 덮개(50)는 단차를 가져, 개폐구 덮개(50)에서 개폐구 덮개(50)를 닫았을때 외부로 노출되는 쪽이 큰 면적을 가지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쪽, 즉 뚜껑접촉부(530)는 작은 면적을 갖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뚜껑접촉부(530)가 고무패킹(430)과 접촉할 때 딱 맞물리게 된다. 그러므로 불필요한 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냄비뚜껑의 개폐구가 열린 상태일 때의 설명도이고, 도 10은 도 8의 뚜껑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1은 도 8의 냄비뚜껑의 일 단면도(A-A')이다. 도 8의 냄비뚜껑은 뚜껑본체(70), 개폐구 회전덮개(80), 제1손잡이(90)를 구비한다. 뚜껑본체(70)는 냄비 뚜껑의 본체로서, 수증기공(710), 개폐구(720), 손잡이 받침부(730), 회전축 수용공(740), 테두리부(750)를 포함한다. 뚜껑본체(70)는 제1손잡이(90)를 중심으로 원을 이루며, 뚜껑본체(70)에서 제1손잡이(90)가 위치된 부분이 제일 높으며 테두리부(750)의 인접부가 제일 낮도록 경사를 이룬다. 수증기공(710)은 개폐구 회전덮개(80)가 개폐구(720)를 모두 덮고 있을 때 수증기 등이 빠져나올 수 있게 하기위한 것이다. 개폐구 회전덮개(80)가 개폐구(720)를 모두 열었을 때 수증기공(710)은 개폐구 회전덮개(80)에 의해 가리워져 불필요하게 수증기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개폐구(720)는 뚜껑본체(70) 상에 있는 구멍으로서 개폐구 회전덮개(80)에 의해 열리고 닫히게 된다. 뚜껑본체(70) 상에는 2개의 개폐구를 구비하며, 이 2개의 개폐구(720)는 각각 부채꼴형을 이루며, 제2손잡이(81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이다. 개폐구(720)는 개폐구 회전덮개(80)보다는 작다. 이는 개폐구 회전덮개(80)에 의해 개폐구(720)가 완전히 닫혀 질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개폐구(720)는 개폐구 회전덮개(80)의 날개부(820)에 의해 완전히 포개지므로 날개부(820)와 같은 나비모양을 이룬다. 즉 개폐구(720)는 부채꼴형으로 나비날개 모양과 같이 양쪽 대칭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간에 회전축 수용공(740)이 존재한다. 개폐구는 개폐구 회전덮개(80)의 날개부(820)의 회전 정도에 따라 개폐구의 크기가 조절되어 이를 통해 냄비 속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막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내용물의 상태를 살펴볼 수 있어 뚜껑을 모두 열어서 생길 수 있는 불필요한 열손실을 막을 수 있어 효율적이며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손잡이 받침부(730)는 개폐구(720)와 개폐구(720)사이 부분으로, 이 안에 회전축 수용공(740)이 있다. 즉 손잡이 받침부(730)는 뚜껑본체(70)에서 제2손잡이(810)가 그 위에 위치되는 부분을 말한다. 손잡이 받침부(730)는 개폐구 회전덮개(80)의 제2손잡이(810) 하단에서 제2손잡이(810)를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손잡이 받침부(730)는 제2손잡이(810)의 크기보다는 크다. 이는 보다 안정적으로 제2손잡이(810)을 받쳐주기 위해서이다. 회전축 수용공(740) 은 뚜껑본체(70)에서 제2손잡이(810)의 몸체로 이루어진 회전축(850)이 제2손잡이(810)밑에 개폐구 회전덮개(80)를 장착한 후 통과되는 구멍이다. 즉, 회전축(850)은 개폐구 회전덮개(80)의 회전축 고정공(840)과 결합된 후, 뚜껑본체(70)의 회전축 수용공(740)을 통과하고, 그리고 고정부(860)와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뚜껑본체(70)의 위에 회전덮개(80)가 장착된다. 다시말해 개폐구 회전덮개(80)가 회전할 때 회전축(85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회전축(850)이 제2손잡이(810)와 고정부(860)를 이어주는 회전축(850)이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이 필요한데 이것이 회전축 수용공(740)이다. 테두리부(750)는 뚜껑본체(70)의 테두리로서, 뚜껑본체(70)가 냄비에 닿는 부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테두리부(750)는 뚜껑본체(70)의 경사, 즉 뚜껑본체(70)의 제1손잡이(90)가 위치된 부분에서 테두리부(750)의 인접부사이의 경사와 반대 방향의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말해, 테두리부(750)는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경우에 따라서 구비할 수 있다. 개폐구 회전덮개(80)는 뚜껑본체(70) 상의 개폐구(720)위에 위치하여, 회전에 의해 개폐구(720)를 열고 닫는 덮개로서, 부채꼴형의 날개부(820)를 두개 가지고 있다. 개폐구 회전덮개(80)는 제2손잡이(810) 밑에 고정 장착되어, 제2손잡이(810)를 움직임에 따라 개폐구 회전덮개(80)도 회전된다. 개폐구 회전덮개(80)의 각 날개부(820)는 개폐구(720)위에 위치된다. 개폐구 회전덮개(80)는 제2손잡이(810), 날개부(820), 고무패킹(830), 회전축 고정공(840), 회전축(850), 고정부(860)를 구비한다. 개폐구 회전덮개(80)를 투명한 내열 유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개폐구 회전덮개(80)을 열지 않아도 냄비의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 다. 제2손잡이(810)는 개폐구 회전덮개(80)에 고정 장착되어, 제2손잡이(810)를 회전시킴에 의해 개폐구 회전덮개(80)를 회전시켜, 개폐구(720)를 여닫을 수 있게 한다. 제2손잡이(810)의 상측은 내열 플라스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날개부(820)는 개폐구 회전덮개(80)에서 각 개폐구(720)를 덮는 것으로 부채꼴형으로 이루어진다. 날개부(820)는 개폐구(720)를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개폐구(720) 보다는 크다. 개폐구 회전덮개(80)가 개폐구(720)를 모두 열었을 때, 날개부(820)가 뚜껑본체(70)의 수증기공(710)을 가리게 되어 불필요하게 수증기가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날개부(820)는 투명한 내열 유리를 사용할 수 있다. 고무패킹(830)은 날개부(820)의 테두리에 위치하며 날개부(820)가 개폐구(720)를 모두 닫고 있을 때 불필요한 열손실을 막고, 날개부(820)의 날카로운 측면 때문에 손이 다치는 것을 방지한다. 회전축 고정공(840)은 개폐구 회전덮개(80)상에 있는 구멍으로 이 부분에 회전축(850) 상부가 통과되어 장착된다. 회전축 고정공(840)은 개폐구 회전덮개(80)와 회전축(85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축 고정공(840) 내측에 암나사를 구비하며, 회전축(850) 상부에 수나사를 구비하게 할 수 있다. 회전축 고정공(840)의 상부에 홈(852)을 구비한다. 회전축(850)은 개폐구 회전덮개(80)의 회전축 고정공(840)과 결합된 후, 뚜껑본체(70)의 회전축 수용공(740)을 통과하고, 그리고 고정부(860)와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뚜껑본체(70)의 위에 회전덮개(80)가 장착된다. 회전축(850)의 내측에는 수나사를 구비하여, 회전축(850) 상부는 회전축 수용공(740)의 암나사와 결합하고, 회전축(850) 하부는 고정부(860)의 암나사와 결합한다. 고정부(860)는 그 내측에 암나사를 구비하 며, 회전축(850) 하단과 결합된다. 고정부(860)의 외측은 회전할 수 있게 원통형을 이룬다. 즉, 회전축(850)이 개폐구 회전덮개(80)의 회전축 고정공(840)과 결합된 후, 뚜껑본체(70)의 회전축 수용공(740)을 통과하고, 그리고 고정부(860)와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회전축(850)과 개폐구 회전덮개(80)이 결합된 것이 뚜껑본체(7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되어진다. 도 1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설명도이다. 도 12의 냄비두껑의 뚜껑본체(70), 개폐구 회전덮개(80)는 도 8의 냄비뚜껑의 뚜껑본체(70), 개폐구 회전덮개(80)와 같다. 도 12의 냄비뚜겅은 고정부(865)가 뚜껑본체(70)의 회전축 수용공(740)을 지나 개폐구 회전덮개(80)의 회전축 고정공(840)과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다시 고정부(865)는 제2손잡이(90)의 회전축(850)과 결합되어진다. 개폐구 회전덮개(80)의 회전축 고정공(840)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구비되어 있으며, 회전축(850)의 외측에는 수나사가 구비되어 있으며, 고정부(860)의 외측에는 수나사가 구비되어 있고, 고정부(860)의 내측에는 암나사가 구비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뚜껑본체(70)위에 개폐구 회전덮개(80)가 장착되어 있으나, 이는 경우에 따라서 뚜껑본체(70)아래에 개폐구 회전덮개(80)가 장착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개폐구가 열린 상태일 때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냄비뚜껑의 일 단면도(A-A')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냄비뚜껑의 개폐구가 열린 상태일 때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5의 냄비뚜껑의 일 단면도(A-A')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별도의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냄비뚜껑의 개폐구가 열린 상태일 때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뚜껑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냄비뚜껑의 일 단면도(A-A')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40, 70: 뚜껑본체 20: 회전덮개
30, 60, 90: 제1 손잡이 50: 개폐구 덮개
80: 개폐구 회전덮개 110, 410, 720: 개폐구
120: 과회전 방지턱 130, 420, 750: 테두리부
210, 510, 810: 제 2손잡이 220, 520, 710: 수증기공
230,430,830: 고무패킹 240: 투명창
310, 850: 회전축 320:손잡이 수나사부
330: 손잡이 암나사부 530: 뚜껑접촉부
730: 손잡이 받침부 740: 회전축 수용공
820: 날개부 840: 회전축 고정공
852: 회전축고정공 상부의 홈 860: 고정부

Claims (9)

  1. 뚜껑본체(10); 상기 뚜껑본체(10)의 중앙에 위치하는 제1손잡이(30); 상기 뚜껑본체(10)의 테두리인 테두리부(130)를 구비하는 냄비뚜껑에 있어서, 상기 뚜껑본체(10) 상의 일측에 상기 제1손잡이(30)에서 테두리부(130)까지 걸쳐 부채꼴형으로 이루어진 개폐구(110);상기 개폐구(110)위에 위치되며, 상기 제1손잡이(30)의 몸체를 회전축(310)으로 하여 회전하여, 상기 개폐구(110)를 개폐하는 회전덮개(20);상기 개패구(110)를 중심으로 양쪽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덮개(20)가 상기 개패구(110)를 여닫을 때 과회전 하지 않게 하는 과회전 방지턱(1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회전 방지턱(120)은 상기 개패구(110)의 끝에서 회전덮개의 폭 만큼 떨어져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20)는 부채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20)는 회전덮개(20)를 회전시키는 제2손잡이(2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20)는 그 위에 수증기가 빠져 나오는 수증기공(2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20)는 회전덮개(20)의 테두리에서 뚜껑본체(10)의 테두리부(130)와 맞닿는 부분을 제외한 회전덮개(20)의 테두리에 고무패킹(230)이 씌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10)은 회전덮개(20)의 일측을 관통하고, 뚜껑본체(10)의 중심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20)는 그 위에 내열강화 유리로 된 투명창(2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덮개(20)는 내열강화 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뚜껑.
KR1020070137433A 2007-12-26 2007-12-26 끓음방지 및 내용물 확인 편리한 냄비 덮개 KR200900696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433A KR20090069688A (ko) 2007-12-26 2007-12-26 끓음방지 및 내용물 확인 편리한 냄비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433A KR20090069688A (ko) 2007-12-26 2007-12-26 끓음방지 및 내용물 확인 편리한 냄비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688A true KR20090069688A (ko) 2009-07-01

Family

ID=41321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433A KR20090069688A (ko) 2007-12-26 2007-12-26 끓음방지 및 내용물 확인 편리한 냄비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968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429A1 (ko) * 2018-01-05 2019-07-11 정찬원 넘침방지용 조리기구 뚜껑장치
CN110430794A (zh) * 2017-04-17 2019-11-08 Flama-厨具用品有限公司 具有增强的盖手柄的食品加工机及其操作方法
CN110464222A (zh) * 2019-08-29 2019-11-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饭煲控制方法、装置及电饭煲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0794A (zh) * 2017-04-17 2019-11-08 Flama-厨具用品有限公司 具有增强的盖手柄的食品加工机及其操作方法
WO2019135429A1 (ko) * 2018-01-05 2019-07-11 정찬원 넘침방지용 조리기구 뚜껑장치
CN110464222A (zh) * 2019-08-29 2019-11-1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饭煲控制方法、装置及电饭煲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1712B1 (ko) 조리용기
KR940002653B1 (ko) 벤트 뚜껑을 가진 식기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BR102013017876B1 (pt) utensílio de cozimento para cozinhar alimentos sob pressão
KR950004431B1 (ko) 조리 용기
BR102016012413A2 (pt) panela de pressão de encaixe do tipo baioneta dotada de um manípulo de recipiente
US8584894B1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KR20090069688A (ko) 끓음방지 및 내용물 확인 편리한 냄비 덮개
PT1942778E (pt) Panela para cozinhar ou aquecer dotada de um mecanismo ajustável de ventilação dos vapores internos
KR20070114087A (ko)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20090056973A (ko) 조리 기구
KR20090076179A (ko) 다용도 팬 덮개
KR20070114088A (ko)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200429604Y1 (ko) 개폐구 회전덮개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200429602Y1 (ko) 회전덮개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KR20070113936A (ko) 개폐구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TW202010459A (zh) 複合式多功能鍋
KR200429603Y1 (ko) 개폐구 및 개폐구 덮개를 구비하는 냄비 뚜껑
JP3163168U (ja) 調理器具
KR200150940Y1 (ko) 음식물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0406382Y1 (ko) 전기밥솥의 증기배출구조
KR20110089233A (ko) 부분개폐 냄비뚜껑
KR101343151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KR200235170Y1 (ko) 전기압력밥솥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