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4488B1 -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 Google Patents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4488B1
KR101414488B1 KR1020120053541A KR20120053541A KR101414488B1 KR 101414488 B1 KR101414488 B1 KR 101414488B1 KR 1020120053541 A KR1020120053541 A KR 1020120053541A KR 20120053541 A KR20120053541 A KR 20120053541A KR 101414488 B1 KR101414488 B1 KR 101414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id
handle
steam outlet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9561A (ko
Inventor
노준희
변진숙
Original Assignee
(주)네오플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플램 filed Critical (주)네오플램
Priority to KR1020120053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4488B1/ko
Publication of KR20130129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9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는 용기 뚜껑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가운데에는 상기 용기 뚜껑과 결합을 위한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 옆에는 상기 용기 뚜껑의 뚜껑홀에 연결되는 증기배출구가 포함된 손잡이 본체; 상기 증기배출구를 개폐하되, 상부 가운데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하면은 좌 우의 경사도가 다른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도 증기가 효율적으로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본 발명은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조리용기( 냄비, 솥등) 뚜껑손잡이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증기배출구를 제공하여 조리물이 용기 외부로 넘치지 않도록 한 증기의 배출이 용이한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뚜껑에는 용기내부의 조리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하는 다량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목적으로 증기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조리용기뚜껑에 형성되는 증기배출공의 경우 뚜껑에 단순히 구멍을 천공한 구성으로 조리물을 투입하여 조리를 시작하는 시점(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으나, 조리물이 끓기 시작하는 시점(조리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경우)에서는 조리용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조리물이 조리용기 외부로 넘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중 하나가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 20-0280600호라 할 수 있다. 상기 실용신안의 구성은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아래와 같다.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단에 나사부(4)가 형성되고 키이(3a)가 돌출되며 중앙으로는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공(5)이 천공된 고정구(3)를 뚜껑(2)과 면접부에 내열성 패킹(6)이 위치되도록 키홈(2b)이 형성되게 뚜껑(2)에 천공된 결합구멍(2a)의 하측에서 결합하고, 상기 고정구(3)의 나사부(4)에는 측방으로 약 170° 각도로 증기배출공(8)이 형성된 증기배출부재(7)를 나사 결합하되, 상기 나사부(4) 외주에는 증기배출부재(7)에 의해 뚜껑(2)에 밀착되는 커버(9)가 결합되며, 상기 증기배출부재(7)에는 증기배출공(8)과 연통되는 증기조절공(11)이 형성되고 증기조절공(11)과 반대방향으로 손잡이(12)가 형성된 캡(10)을 회동 가능하게 씌우고, 상기 캡(10)의 중앙에는 결합공(10a)을 천공하여 증기배출부재(7)에 고정볼트(13)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그 구성이 너무 복잡하여, 제조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증기배출이 가능한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는, 용기 뚜껑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가운데에는 상기 용기 뚜껑과 결합을 위한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 옆에는 상기 용기 뚜껑의 뚜껑홀에 연결되는 증기배출구가 포함된 손잡이 본체; 상기 증기배출구를 개폐하되, 상부 가운데에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하면은 좌 우의 경사도가 다른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의 좌측 하면은 좌상향의 경사를 갖고, 상기 버튼의 우측 하면은 우상향의 경사를 갖고, 상기 손잡이 본체의 상면은 우상향의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의 우측 하면에는 상기 손잡이 본체의 증기배출구를 막는 돌출부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도 증기가 효율적으로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즉, 음식 맛을 위하여 증기 배출을 억제해야 할 경우는 증기 배출구를 닫고, 배출을 원활히 해야 할 경우에는 증기 배출구를 열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의 종단면도(증기배출구가 열려 있는 상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의 종단면(증기배출구가 닫혀 있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의 배면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가 체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210) 및 버튼(2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손잡이 본체(210)는 증기배출구(211), 고정수단(213)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증기배출구(211)는 용기의 뚜껑(100)의 상부의 뚜껑홀(110)에 맞닿게 된다. 상기 증기배출구를 통하여 용기 안의 증기는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고정수단(213)은 용기의 뚜껑의 한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고정수단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가 상기 뚜껑에 결합 되므로, 뚜껑의 중앙에 설치되는 것이 무게의 중심이 되어서 뚜껑을 잡고 이동시키기에 좋다. 고정수단의 종류는 다양할 것이나, 나사를 이용하는 것이 간편하다. 도 3에 확인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 본체 중앙에 홈을 파서 나사산을 형성하고, 뚜껑과 함께 나사로 결합하는 것이 간편하다.
한편, 손잡이 본체의 상면은 우상향으로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하는 버튼의 하면과 틈새를 만들어 지렛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버튼(220)은 버튼회전축(221), 버튼좌측하면(222), 버튼우측하면(223), 돌출부(225)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증기배출구를 열고 닫는 스위치의 역할을 하지만, 버튼 자체가 상기 증기배출구 자체를 덮는 덮개의 역할을 함께 담당한다. 버튼의 형상은 사시도인 도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대체로 원판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버튼회전축(221)은 종단면도인 도 3, 또는 도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버튼(220) 몸체의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버튼 회전축을 중심으로 버튼이 소정 각도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도 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의 왼편을 누르게 되면, 버튼은 반시계 방향으로 소폭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증기배출구(211)는 열리게 된다. 반대로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버튼의 오른편을 누르게 되면, 버튼은 시계방향으로 소폭 회전하게 되고, 그 결과 증기배출구(211)는 닫히게 된다.
버튼의 하면은 버튼좌측하면(222), 버튼우측하면(223)으로 구성되어 있고, 버튼우측하면에는 상기 증기배출구(211)를 개폐하는 돌출부(2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버튼좌측하면(222)과 버튼우측하면(223)은 하면 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경사를 갖아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버튼좌측하면은 좌상향의 경사를 갖고, 버튼우측하면은 우상향의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짐으로써 상기 버튼회전축(221)에 의하여 버튼(220)이 소폭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돌출부(225)는 상기 버튼우측하면(223)에 위치하며, 하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으로써 상기 증기배출구(211)를 개폐하게 된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뚜껑 200: 손잡이
110: 뚜껑홀 210: 손잡이본체
211: 증기배출구 220: 버튼
221: 버튼 회전축 222: 버튼좌측하면
223: 버튼우측하면 225: 돌출부

Claims (3)

  1. 삭제
  2. 용기 뚜껑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가운데에는 상기 용기 뚜껑과 결합을 위한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 옆에는 상기 용기 뚜껑의 뚜껑홀에 연결되는 증기배출구(211)가 포함된 손잡이 본체(210);
    상기 증기배출구(211)를 개폐하되, 상부 가운데에는 버튼 회전축(221)이 형성되고 하면은 좌 우의 경사도가 다른 버튼(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버튼(220)의 좌측 하면은 좌상향의 경사를 갖고, 상기 버튼(220)의 우측 하면은 우상향의 경사를 갖고,
    상기 손잡이 본체(210)의 상면은 우상향의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3. 용기 뚜껑의 상부에 설치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가운데에는 상기 용기 뚜껑과 결합을 위한 고정수단이 포함되고, 상기 고정수단 옆에는 상기 용기 뚜껑의 뚜껑홀에 연결되는 증기배출구(211)가 포함된 손잡이 본체(210);
    상기 증기배출구(211)를 개폐하되, 상부 가운데에는 버튼 회전축(221)이 형성되고 하면은 좌 우의 경사도가 다른 버튼(2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버튼(220)의 우측 하면에는 상기 손잡이 본체(210)의 증기배출구(211)를 막는 돌출부(225)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KR1020120053541A 2012-05-21 2012-05-21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KR10141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41A KR101414488B1 (ko) 2012-05-21 2012-05-21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541A KR101414488B1 (ko) 2012-05-21 2012-05-21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61A KR20130129561A (ko) 2013-11-29
KR101414488B1 true KR101414488B1 (ko) 2014-07-04

Family

ID=4985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541A KR101414488B1 (ko) 2012-05-21 2012-05-21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4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355B1 (ko) * 2018-03-12 2019-06-1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 용기의 증기 배출 허여를 위한 보조 뚜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635A (ja) * 2004-01-30 2005-08-11 Minoru Okada 煮こぼれ防止装置付き炊事用鍋
KR200427341Y1 (ko) * 2006-05-20 2006-09-26 박향수 넘침 방지 기능이 있는 조리용기
KR20090113976A (ko) *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남선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KR20110013638A (ko) * 2009-08-03 2011-02-10 (주)드림셰프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1635A (ja) * 2004-01-30 2005-08-11 Minoru Okada 煮こぼれ防止装置付き炊事用鍋
KR200427341Y1 (ko) * 2006-05-20 2006-09-26 박향수 넘침 방지 기능이 있는 조리용기
KR20090113976A (ko) * 2008-04-29 2009-11-03 주식회사 남선 조리용기용 증기배출장치
KR20110013638A (ko) * 2009-08-03 2011-02-10 (주)드림셰프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355B1 (ko) * 2018-03-12 2019-06-11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조리 용기의 증기 배출 허여를 위한 보조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9561A (ko) 2013-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KR101244567B1 (ko) 휴대용 3중 용기
TWM488276U (zh) 多功能鍋具
TW201417755A (zh) 微波用鎖濕蓋
JP2009143626A5 (ko)
JP7104459B2 (ja) 連結可能なボウルと蓋ハンドルを備えたバイオネット圧力調理器
JP2007522399A (ja) 圧力容器の密閉器具
KR101246679B1 (ko) 압력조리기구
KR200280600Y1 (ko)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
KR101414488B1 (ko)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KR101131001B1 (ko) 스팀배출기능과 뚜껑지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노브
CN220988449U (zh) 能够进行压力烹饪和空气煎炸的盖以及具有该盖的设备
KR200409245Y1 (ko)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KR20170039330A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39944Y1 (ko) 냄비 손잡이
KR200150940Y1 (ko) 음식물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KR20140112852A (ko) 스팀 용기 덮개
KR200482280Y1 (ko) 텀블러 캡
KR200494675Y1 (ko) 압력솥용 손잡이의 안전장치
JP6175877B2 (ja) 蓋付容器
JPH08243014A (ja) 断熱調理容器
CN109452878B (zh) 蒸汽阀及具有其的烹饪器具
US20230142074A1 (en) Rice Input Structure of Automatic Electric Pressure Cooker
JP2005007138A (ja) 電気保温圧力飯釜蓋の開閉構造
KR200401713Y1 (ko) 어린이 급식용 도시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