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12852A - 스팀 용기 덮개 - Google Patents

스팀 용기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2852A
KR20140112852A KR1020130027462A KR20130027462A KR20140112852A KR 20140112852 A KR20140112852 A KR 20140112852A KR 1020130027462 A KR1020130027462 A KR 1020130027462A KR 20130027462 A KR20130027462 A KR 20130027462A KR 20140112852 A KR20140112852 A KR 20140112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lid
hollow body
sli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7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Priority to KR1020130027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2852A/ko
Publication of KR20140112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 용기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덮개(10); 중공형 몸체(20); 내부플레이트(30); 회전레버(40); 및 하부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미생물이나 오염물질 등의 청소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증기의 배출 및 차단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팀 용기 덮개 {STEAM POT-LID}
본 발명은 스팀 용기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이 용이하고, 증기 배출을 조절할 수 있는 스팀 용기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이나 물을 끓이기 위해선 냄비에 국이나 물을 넣고 뚜껑을 닫은 후 가스레인지나 전기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수단으로 가열한다. 이때 냄비의 내부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용기 내에 내용물이 증발하면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만약 이 상황이 지속되면 내용물이 용기 밖으로 범람하여 가열수단을 훼손하거나 오염시키게 되고, 가열수단의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냄비의 뚜껑이 무거워서 증기가 방출되지 못한다면 사용자가 냄비 뚜껑을 열었을 때 화상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수증기가 많이 발생되는 내용물을 조리할 때 사용자는 뚜껑을 닫지 않은 채로 가열을 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내부의 증기가 지속적으로 유출되어 내용물의 가열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가‘특허문헌 1’에 게재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로, 종래의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는 증기배출홀이 형성되는 캡(1); 상기 캡(1)에 연결되는 손잡이(2); 상기 캡(1)에 수용되고, 상기 증기배출홀과 연통되는 홀이 구비되는 증기배출부재(3); 상기 증기배출부재(3)의 저면에 형성되는 커버(4) 및 상기 캡(1) 및 상기 증기배출부재(3)를 연결하는 볼트(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2)의 회전을 통해 증기배출홀을 개폐하는 방식으로 증기를 배출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는 볼트(5)를 이용해 캡(1)과 증기배출부재(3)를 연결하여 만약 볼트(5)를 세게 조이면 캡(1)의 회전이 용이하지 않고, 느슨하게 조이면 캡(1)과 증기배출부재(3) 사이에 긴밀성이 떨어져 증기가 새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이 복잡해 청소가 용이하지 않아 미생물이 증식하여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KR 20-0280600 Y1 2002. 6. 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이 용이하고, 긴밀성이 일정한 스팀 용기 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용기 덮개는 증기홀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증기홀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주연에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며, 측면에 증기배출구가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 상기 중공형 몸체의 내부에 결합되고, 테두리부의 일부영역에 절개슬릿이 형성되는 내부플레이트; 상기 중공형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관통되는 가이드홈 및 상기 가이드홈과 연결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슬릿이 구비되며, 저면에 상기 절개슬릿을 관통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이 형성되는 회전레버; 및 상기 중공형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절개슬릿과 대응되는 위치 중 일부영역에 형성되는 제한절개슬릿이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용기 덮개는 미생물이나 오염물질 등의 청소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증기의 배출 및 차단을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리용기 뚜껑의 증기배출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용기 덮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용기 덮개를 도시한 저면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용기 덮개를 도시한 작동 단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뚜껑 덮개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팀 뚜껑 덮개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용기 덮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용기 덮개를 도시한 저면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팀 뚜껑 덮개는 증기홀(12)이 형성되는 덮개(10); 증기홀(12)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주연에 가이드돌기(22)가 형성되며, 측면에 증기배출구(24)가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20); 중공형 몸체(20)의 내부에 결합되고, 테두리부의 일부영역에 절개슬릿(32)이 형성되는 내부플레이트(30); 중공형 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주연에 가이드돌기(22)가 관통되는 가이드홈(42) 및 가이드홈(42)과 연결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슬릿(44)이 구비되며, 저면에 절개슬릿(32)을 관통하여 회전함에 따라 증기배출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46)이 형성되는 회전레버(40); 및 중공형 몸체(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절개슬릿(32)과 대응되는 위치 중 일부영역에 형성되는 제한절개슬릿(52)이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덮개(10)는 용기(미도시)를 덮는 뚜껑으로서, 용기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용기에서 생성되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덮개(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홀(12)이 형성되어 용기에서 생성되는 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증기홀(12)은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중공형 몸체(20)가 설치되는 위치가 지정되기 때문에 덮개(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증기배출 방향 등을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덮개(10)의 저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4)가 형성되어 용기에서 증발된 수증기가 덮개(10)에 맺혔을 때 수증기가 돌기(14)의 하단에 모이게 됨으로써 덮개(10)에 맺혔던 수증기가 중력에 의해 다시 용기로 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돌기(14)는 덮개(10)의 테두리 저면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이 수증기를 떨어뜨리는데 가장 효율적이다.
중공형 몸체(20)는 증기홀(12)이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덮개(10)의 상면에 설치되고,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증기홀(12)과 연통된다. 중공형 몸체(20)의 내주연에는 가이드돌기(22)가 형성되는데, 후술할 내부플레이트(30)를 기준으로 그 상부에 형성된다. 가이드돌기(22)는 후술할 회전레버(40)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중공형 몸체(20)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가이드돌기(22)가 회전레버(40)를 더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점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형 몸체(20)의 일부 측면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배출구(24)가 형성되어 증기홀(12)을 통해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내부플레이트(30)는 중공형 몸체(20) 내부에 설치되어 중공형 몸체(20)의 중공부를 상·하부로 구획한다. 내부플레이트(30)는 후술할 회전레버(40)의 저면을 지지하고, 테두리부의 일부영역에 절개슬릿(32)이 형성되어 회전레버(40)의 개폐판(46)이 관통된다. 따라서 절개슬릿(32)이 형성되는 길이에 따라 개폐판(46)이 이동될 수 있는 거리도 제한이 되고 이에 따라 회전레버(40)의 회전각도 달라지게 된다.
한편, 내부플레이트(30) 저면에는 억지끼움돌기(34)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관련한 사항은 후술한다.
회전레버(40)는 중공형 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증기배출구(24)를 통해 배출되는 증기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레버(40)의 외주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홈(42) 및 가이드홈(42)과 연결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슬릿(44)이 형성되는데, 가이드홈(42)은 회전레버(40) 외주연의 하단에 형성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40)가 중공형 몸체(20)에 수용될 때 가이드돌기(22)가 가이드홈(42)을 관통하도록 한다. 그 다음 가이드돌기(22)는 가이드홈(42)과 연결되는 가이드슬릿(44)에 위치하게 되는데, 회전레버(40)가 중공형 몸체(20) 내에서 회전하게 되면 가이드슬릿(44) 역시 이와 연동되어 가이드돌기(22)가 가이드슬릿(44)을 거쳐 지나가게 된다. 따라서 회전레버(40)가 중공형 몸체(20)에 수용되고 약간의 회전을 하게 되면 가이드슬릿(44)의 가이드홈(42)과 연결되는 부분을 지난 가이드돌기(22)로 인하여 회전레버(40)는 중공형 몸체(20)에 지지됨으로써 이탈이 방지된다. 이로써 회전레버(40)와 중공형 몸체(20) 사이에 긴밀성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정적인 증기 배출 및 차단이 구현된다.
개폐판(46)은 회전레버(40)의 저면에 형성되어 중공형 몸체(20)의 증기배출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구성요소이다. 개폐판(46)은 회전레버(40)가 중공형 몸체(20)에 수용될 때 절개슬릿(32)을 관통하게 되어 회전레버(40)가 절개슬릿(32)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하고, 회전레버(40)의 회전에 따라 개폐판(46)도 연동되어 개폐판(46)이 증기배출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이때, 개폐판(46)이 증기배출구(24)를 완전히 폐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증기배출구(24)의 크기보다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하부플레이트(50)는 중공형 몸체(20)의 하부에 결합되어 회전레버(40)의 이탈을 더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플레이트(50)에는 내부플레이트(30)의 절개슬릿(3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한절개슬릿(52)이 형성되는데, 제한절개슬릿(5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슬릿(32)보다 약간 짧게 형성된다. 즉, 회전레버(40)가 중공형 몸체(20)에 수용된 다음 약간의 회전을 통해 가이드돌기(22)로 인해 이탈이 불가능할 때 하부플레이트(50)가 중공형 몸체(20)의 하부에 결합되면 제한절개슬릿(52)에 개폐판(46)이 수용되는데, 이때 절개슬릿(32)보다 짧게 형성된 제한절개슬릿(52)으로 인하여 회전레버(40)가 초기 중공형 몸체(20)에 수용되는 위치로 돌아가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회전레버(4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하부플레이트(50) 상면에는 억지끼움홀(54)이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을 참조하면 억지끼움홀(54)은 내부플레이트(30)의 억지끼움돌기(34)와 결합되어 하부플레이트(50)가 회전되지 않고 내부플레이트(30)와 대응되는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제한돌기(56)는 제한절개슬릿(52)의 일단에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한절개슬릿(52)이 절개슬릿(32)보다 짧게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개폐판(46)이 제한절개슬릿(52)을 이탈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받침부재(60)는 증기홀(12)이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덮개(10)의 저면에 설치되어 볼트결합 등을 통해 중공형 몸체(20)가 덮개(10)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로서, 증기홀(12)과 연통되는 제2 증기홀(62)이 구비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용기 덮개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용기 덮개를 도시한 작동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회전레버(40)의 개폐판(46)은 중공형 몸체(20)의 증기배출구(24)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때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회전레버(40)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레버(40)의 회전에 연동하여 개폐판(46)이 이동됨으로써 증기배출구(24)가 개방이 된다. 결국 덮개(10)의 증기홀(12)을 통과한 증기가 증기배출구(24)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10: 덮개 12: 증기홀
14: 돌기 20: 중공형 몸체
22: 가이드돌기 24: 증기배출구
30: 내부플레이트 32: 절개슬릿
34: 억지끼움돌기 40: 회전레버
42: 가이드홈 44: 가이드슬릿
46: 개폐판 50: 하부플레이트
52: 제한절개슬릿 54: 억지끼움홀
56: 제한돌기 60: 받침부재
62: 제2 증기홀

Claims (5)

  1. 증기홀(12)이 형성되는 덮개(10);
    상기 증기홀(12)의 상면에 설치되고, 내주연에 가이드돌기(22)가 형성되며, 측면에 증기배출구(24)가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20);
    상기 중공형 몸체(20)의 내부에 결합되고, 테두리부의 일부영역에 절개슬릿(32)이 형성되는 내부플레이트(30);
    상기 중공형 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주연에 상기 가이드돌기(22)가 관통되는 가이드홈(42) 및 상기 가이드홈(42)과 연결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슬릿(44)이 구비되며, 저면에 상기 절개슬릿(32)을 관통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증기배출구(24)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개폐판(46)이 형성되는 회전레버(40) 및
    상기 중공형 몸체(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절개슬릿(32)과 대응되는 위치 중 일부영역에 형성되는 제한절개슬릿(52)이 구비되는 하부플레이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용기 덮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플레이트(30) 저면에 억지끼움돌기(34)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50) 상면에 억지끼움홀(54)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용기 덮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기홀(12)의 저면에 상기 증기홀(12)과 연통되는 제2 증기홀(62)이 구비되는 받침부재(6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용기 덮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한절개슬릿(52)의 일단에 제한돌기(56)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용기 덮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10)의 저면에 돌기(14)가 더 형성되어 덮개(10)에 맺히는 수증기를 떨어뜨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용기 덮개.
KR1020130027462A 2013-03-14 2013-03-14 스팀 용기 덮개 KR20140112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462A KR20140112852A (ko) 2013-03-14 2013-03-14 스팀 용기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7462A KR20140112852A (ko) 2013-03-14 2013-03-14 스팀 용기 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852A true KR20140112852A (ko) 2014-09-24

Family

ID=5175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7462A KR20140112852A (ko) 2013-03-14 2013-03-14 스팀 용기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128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1349A (zh) * 2017-02-17 2018-08-2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家用烹饪电器的锅盖总成及家用烹饪电器
CN109907650A (zh) * 2017-12-12 2019-06-2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阀、盖板组件和包括该蒸汽阀或盖板组件的烹饪电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1349A (zh) * 2017-02-17 2018-08-2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家用烹饪电器的锅盖总成及家用烹饪电器
CN109907650A (zh) * 2017-12-12 2019-06-21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阀、盖板组件和包括该蒸汽阀或盖板组件的烹饪电器
CN109907650B (zh) * 2017-12-12 2020-06-1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蒸汽阀、盖板组件和包括该蒸汽阀或盖板组件的烹饪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136435A (ja) 湯沸器
CA2588532A1 (en) Pressure cooker lid
JP5775855B2 (ja) 保護蓋を備えたフードプロセッサ
EP2956035A1 (en) Pressure cooker
KR101499112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뚜껑 손잡이
KR20160025837A (ko) 배출 증기를 이용한 음식물 교반장치
KR20140112852A (ko) 스팀 용기 덮개
CN103251306A (zh) 罐形烹煮容器和至少一个套装件
KR102034623B1 (ko) 압력솥의 뚜껑개폐장치
KR101870120B1 (ko) 넘침방지용 조리기구 뚜껑장치
KR20170039330A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0409245Y1 (ko)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
KR102199122B1 (ko) 범용 압력 조리 장치
JP2015214361A (ja) 栓体及び栓体を備える容器
JP2009195594A (ja) 炊飯器
JP6067546B2 (ja) 調理器
JP4882452B2 (ja) 高周波加熱装置
KR20140108893A (ko) 조리 용기용 기체 배출 장치
EP3446043B1 (en) Boiler
JP3162213U (ja) 容器の蓋構造
KR101414488B1 (ko)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KR200150940Y1 (ko) 음식물 넘침방지 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JP2016005609A (ja) 電気ケトル
KR200383385Y1 (ko) 압력밥솥의 잠금장치
JP2016202513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