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122B1 - 범용 압력 조리 장치 - Google Patents

범용 압력 조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122B1
KR102199122B1 KR1020170146088A KR20170146088A KR102199122B1 KR 102199122 B1 KR102199122 B1 KR 102199122B1 KR 1020170146088 A KR1020170146088 A KR 1020170146088A KR 20170146088 A KR20170146088 A KR 20170146088A KR 102199122 B1 KR102199122 B1 KR 102199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eater
lid
vertical support
cook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0558A (ko
Inventor
신이슬
Original Assignee
신이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이슬 filed Critical 신이슬
Priority to KR10201701460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2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47J27/62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by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heat supply by switching off heaters or for automatically lifting the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범용 압력 조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범용 압력 조리 장치 {UNIVERSAL PRESSURE COOKER}
범용 압력 조리 장치가 개시된다.
압력 밥솥 등과 같이 고온의 기체를 이용한 조리 장치는 일반 가정에서 다양한 음식 재료를 빠르게 조리하여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원재료 고유의 풍미와 식감 및 유효 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압력 밥솥의 경우, 조리 용기 내부에 압력을 유지하기 위해 뚜껑과 조리 용기 사이에 기밀을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뚜껑과 조리용기 각각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뚜껑과 조리 용기 사이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뚜껑과 조리 용기를 체결하여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 이상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조리 용기와 뚜껑의 원주를 따라 나사산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금형비와 같은 제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기존 압력조리장치는 뚜껑과 조리용기 사이에 기밀을 유지하기 위해, 조리용기에 형성된 나사산과 암수 결합이 가능한 뚜껑이 필요하다. 즉 기존 압력조리장치의 뚜껑과 조리용기는 1:1로 대응하기 때문에, 하나의 뚜껑을 여러 조리용기에 사용할 수 없다. 소비자는 나사산이 형성된 조리용기마다 전용 뚜껑을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그 과정에서 추가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한편, 종래의 압력 조리 장치의 뚜껑에는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일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별도의 압력 배출 장치를 통해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그러나 조리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증기는 조리실 내부의 습도를 높이고, 증기에 포함된 음식 냄새는 대기를 오염시키고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조리 용기를 기존의 압력 조리 장치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범용 압력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와 증기에 포함된 냄새 분자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비정상적인 원인으로 인해 조리 용기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압력 조리 장치가 폭발하는 등의 위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압력 조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몸체; 및 상기 나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 몸체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하중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조리 용기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증기 배출 홀이 형성되는 뚜껑;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 및 상기 뚜껑의 증기 배출 홀에서 배출되는 증기와 냄새를 포집하는 포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몸체; 및 상기 나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 몸체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포집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나사 몸체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 통로; 및 상기 증기 배출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나사 머리에 형성되어 증기와 냄새를 포집하기 위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소는 상기 수평 지지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소와 연통되는 급수 라인을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급수원; 및 상기 유체 저장소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 저장소에서 저장되는 일부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수 장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장치는 상기 유체 저장소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흐르는 배수 라인; 및 상기 배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배출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된 유체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거나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급수 라인에 설치되는 급수 밸브 또는 상기 배수 라인에 설치되는 배수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되는 유체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작동하는 압력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몸체가 상기 증기 배출 통로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브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의 하면에는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고압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제2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기체를 생성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가열기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유입되도록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는 물을 저장하는 가열기 몸체; 및 상기 가열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의 하면에는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고압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몸체; 및 상기 나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 몸체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하중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바닥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기체를 생성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가열기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유입되도록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조리 용기;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 상기 가열기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가열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는 물을 저장하는 가열기 몸체; 및 상기 가열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차단 장치는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위치 차단 스프링; 상기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동작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플랜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기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플랜지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스위치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설정 압력보다 큰 제2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몸체; 및 상기 나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 몸체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하중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바닥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기체를 생성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가열기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도록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증기 배출 홀이 형성되는 뚜껑;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 및 상기 뚜껑의 증기 배출 홀에서 배출되는 증기와 냄새를 포집하는 포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몸체; 및 상기 나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사 몸체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하중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포집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나사 몸체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 통로; 상기 증기 배출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나사 머리에 형성되어 증기에 포함된 냄새를 포집하기 위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소는 상기 수평 지지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소와 연통되는 급수 라인을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급수원; 및 상기 유체 저장소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 저장소에서 저장되는 일부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수 장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 장치는 상기 유체 저장소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흐르는 배수 라인; 및 상기 배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배출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된 유체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거나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급수 라인에 설치되는 급수 밸브 또는 상기 배수 라인에 설치되는 배수 밸브를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되는 유체량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작동하는 압력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 몸체가 상기 증기 배출 통로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브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의 하면에는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고압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기는 물을 저장하는 가열기 몸체; 및 상기 가열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기 내부의 압력이 제2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가열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차단 장치는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위치 차단 스프링; 상기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동작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플랜지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기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2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플랜지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스위치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2 설정 압력보다 큰 제3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바닥판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에 의하면, 조리용기와 뚜껑 각각의 원주를 따라 나사산을 생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일반 조리 용기에 하중을 인가하여 일반 조리 용기를 압력 조리 용기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용기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높은 압력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상황, 혹은 안전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조리용기가 폭발하는 위험한 상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 용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와 냄새 분자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의 수직 지지대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의 수평 지지대가 수직 방향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의 수직 지지대와 수평 지지대가 탄성 변형에 의해 뚜껑이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체결 나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원 차단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 조리 장치는 바닥판(10), 상기 바닥판(1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20), 및 상기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30)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0)에는 조리 용기(5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11)가 안착된다. 상기 가열 장치(11)는 부탄 가스를 이용한 휴대용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 레인지(예를 들어, 핫 플레이트, 하이라이트, 또는 인덕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장치(11)의 상부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 용기(50)가 안착된다.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에는 조리 용기(50)를 덮는 뚜껑(60)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 용기(50)와 뚜껑(60)은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는 냄비와 냄비 뚜껑(60)과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조리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과 회전축(12)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10)은 고정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로 연장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에 대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유니버셜 조인트(22) 등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2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체결되어 상기 뚜껑(60)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 나사(40)는 나사 몸체(41)와 상기 나사 몸체(41)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43)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 몸체(4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뚜껑(60)의 상부에 하중을 인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 레인지와 같은 가열 장치(11)를 안착하고, 상기 가열 장치(11)의 상부에 조리 용기(50)를 안착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바닥판(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수직 지지대(2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평 지지대(30)가 가열 장치(11) 및 조리 용기(50)와 간섭되지 않게 되어 가열 장치(11) 및 조리 용기(50)를 쉽게 안착시킬 수 있다.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지지대(30)를 수직 지지대(20)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수평 지지대(30)가 가열 장치(11) 및 조리 용기(50)와 간섭되지 않게 되어 가열 장치(11) 및 조리 용기(50)를 쉽게 안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바닥판(10)에 가열 장치(11)와 조리 용기(50)를 안착시킨 후,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에 뚜껑(60)을 덮는다. 그리고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해 상기 체결 나사(40)를 체결하여 상기 뚜껑(60)에 일정 하중을 인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조리 용기(50)와 상기 뚜껑(60) 사이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조리 용기(50) 내부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 나사(40)의 회전량(조이는 양)을 조절하여 상기 뚜껑(60)에 인가되는 하중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 지지대(30)에는 복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바닥판(10)에 복수의 가열 장치(11)와 조리 용기(50)가 설치되는 경우에도 상기 하나의 수직 지지대(20)와 수평 지지대(30)를 통해 복수의 가열 장치(11)와 조리 용기(50)에 하중을 인가하여 압력 조리 장치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체결 나사(40)를 통해 조리 용기(50)와 뚜껑(60)을 고정 및 밀폐한 후, 가열 장치(11)를 통해 조리 용기(50)를 가열하게 되면, 조리 용기(50) 내부에 수용된 물과 식재료가 가열되어 조리된다. 이때, 물과 식재료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어 조리 용기(50) 내부에 압력이 발생되는데,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상기 수평 지지대(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60)이 개방되어 조리 용기(50)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수직 지지대(20)와 수평 지지대(30)를 탄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조리 용기(50) 내부에 과다한 압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뚜껑(60)이 개방되어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조절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가열 장치(11)와 조리 용기(50)가 안착되는 바닥판(10),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뚜껑(60), 상기 바닥판(1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20), 상기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측면으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30), 상기 뚜껑(60)에 하중을 인가하는 체결 나사(40), 및 상기 조리 용기(50)에서 배출되는 증기와 냄새를 포집하는 포집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바닥판(10)에는 조리 용기(50)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장치(11)가 안착된다. 상기 가열 장치(11)는 휴대용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 레인지(예를 들어, 핫 플레이트, 하이라이트, 또는 인덕션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장치(11)의 상부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 용기(50)가 안착된다.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는 개방되어 음식물을 수용한다. 상기 조리 용기(50)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냄비와 같이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조리 용기(50)일 수 있다.
상기 뚜껑(60)은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뚜껑(60)의 중앙에는 증기 배출 홀(61)이 형성된다. 상기 뚜껑(60)의 하면에는 상기 조리 용기(50) 내부의 고압의 기체(예를 들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63)은 상기 뚜껑(60)의 하부 전면에 실리콘 코팅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뚜껑(60)의 하부 전면에 패킹(63)이 형성되기 때문에, 가정 또는 식당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크기의 냄비와 같은 조리 용기(50)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과 회전축(12)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10)은 고정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로 연장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에 대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유니버셜 조인트(22) 등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2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체결되어 상기 뚜껑(60)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40)는 나사 몸체(41)와 상기 나사 몸체(41)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43)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 몸체(4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뚜껑(60)의 상부에 하중을 인가한다.
상기 포집 장치는 상기 뚜껑(60)에 형성된 증기 배출 홀(61)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와 냄새 분자를 포집한다. 이를 위해, 상기 포집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홀(61)과 연통되도록 상기 나사 몸체(41)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 통로(42), 및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와 연통되고 상기 나사 머리(43)에 형성되어 증기와 냄새 분자를 포집하기 위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소(44)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저장소(44)는 상기 수평 지지대(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상기 포집 장치의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되는 유체를 교환하기 위한 급배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배수 장치는 상기 유체 저장소(44)와 연통되는 급수 라인(73)을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44)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급수원(71), 및 상기 유체 저장소(44)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 저장소(44)에서 저장되는 일부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 장치는 상기 유체 저장소(44)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흐르는 배수 라인(75) 및 상기 배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배출 탱크(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소(44)에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또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또는 수위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거나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급수 라인(73)에 설치되는 급수 밸브 또는 상기 배수 라인(75)에 설치되는 배수 밸브를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되는 유체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작동하는 압력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를 선택적을 차단하는 밸브 몸체(4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상기 밸브 몸체(47)가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브 스프링(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상기 밸브 몸체(47)가 대략적인 원통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밸브 몸체(47)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를 차단하기 위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가스 레인지 또는 전기 레인지와 같은 가열 장치(11)를 안착하고, 상기 가열 장치(11)의 상부에 조리 용기(50)를 안착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에서 바닥판(10), 수직 지지대(20), 및 수평 지지대(30)의 결합 관계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에 가열 장치(11)와 조리 용기(50)를 안착한 후, 체결 나사(40)를 통해 뚜껑(60)에 하중을 인가하는 과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 나사(40)를 통해 조리 용기(50)와 뚜껑(60)을 고정 및 밀폐한 후, 가열 장치(11)를 통해 조리 용기(50)를 가열하게 되면, 조리 용기(50) 내부에 수용된 물과 식재료가 가열되어 조리된다. 이때, 물과 식재료에 포함된 수분이 증발되어 조리 용기(50) 내부에 압력이 발생된다.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예를 들어, 제1 설정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뚜껑(60)의 증기 배출 홀(61)과 연통하는 상기 나사 몸체(41)의 증기 배출 통로(42)에 구비된 밸브 몸체(47)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져 증기 배출 통로(42)가 개방되고, 조리 용기(50) 내부의 물과 식재료에서 발생된 증기와 냄새 분자가 조리 용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밸브 몸체(47)는 일정한 하중을 갖고 있으므로,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보다 낮을 때는 자중에 의해 상기 밸브 몸체(47)가 증기 배출 통로(42)를 차단하여 조리 용기(50) 내부의 기체와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보다 높으면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에 의해 밸브 몸체(47)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증기 배출 통로(42)가 개방되어 조리 용기(50) 내부의 기체와 냄새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밸브 몸체(47)는 상기 밸브 스프링(48)에 의해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기 때문에,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보다 낮을 때, 증기 배출 통로(42)를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를 통해 배출된 조리 용기(50) 내부의 고온의 기체와 냄새 분자는 유체(예를 들어, 물 등)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소(44)로 유입된다. 고온의 기체와 냄새 분자가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에 유입되면, 고온의 기체와 냄새 분자는 유체에 용해되기 때문에, 조리 용기(50) 내부의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체와 냄새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리 용기(50)를 장시간 가열하게 되는 경우, 조리 용기(50) 내부에서 배출되는 증기와 냄새 분자가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에 용해되어 유체 저장소(44)의 유체 수위와 유체 온도가 과다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급배수 장치를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되는 유체를 교환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급수 밸브가 개방되고 새로운 유체가 상기 급수원(71)으로부터 상기 급수 라인(73)을 통해 유체 저장소(44)로 공급되고, 상기 배수 밸브가 개방되어 상시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뜨거워진 유체는 상기 배수 라인(75)을 통해 상기 유체 배출 탱크(77)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되는 유체의 온도와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압력조절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원인으로 인해,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2 설정 압력(여기서, 제2 설정 압력은 제1 설정 압력보다 크게 설정됨)을 초과하면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상기 수평 지지대(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60)이 개방되어 조리 용기(50)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수직 지지대(20)와 수평 지지대(30)를 탄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조리 용기(50) 내부에 과다한 압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뚜껑(60)이 개방되어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1차적인 구성이고,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수평 지지대(30)를 탄성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뚜껑(60)이 개방되는 구성은 압력조절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한 2차적인 구성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기체를 생성하는 가열기(100), 상기 가열기(100)가 안착되는 바닥판(10), 상기 바닥판(10)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20), 상기 가열기(100)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유입되도록 기체 유입구(52)가 형성되는 조리 용기(50), 상기 조리 용기(5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60), 상기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50)의 뚜껑(60)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30), 및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50)의 뚜껑(60)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40)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기(100)는 물을 저장하는 가열기 몸체(110), 및 상기 가열기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12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기 몸체(11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가열기(100)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상기 조리 용기(50)가 안착된다. 상기 조리 용기(50)의 하면에는 상기 가열 장치(11)에서 생성된 기체가 유입되도록 복수의 기체 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60)은 상기 조리 용기(5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뚜껑(60)의 하면에는 상기 조리 용기(50) 내부의 고압의 기체(예를 들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63)은 상기 뚜껑(60)의 하부 전면에 실리콘 코팅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과 회전축(12)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10)은 고정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기(100)가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바닥판(10)과 상기 가열기(1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가열기 몸체(110)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로 연장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에 대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유니버셜 조인트(22) 등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2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체결되어 상기 뚜껑(60)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40)는 나사 몸체(41)와 상기 나사 몸체(41)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43)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 몸체(4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뚜껑(60)의 상부에 하중을 인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상기 가열기(100)를 안착하고, 상기 가열 장치(11)의 상부에 조리 용기(50)를 안착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에서 바닥판(10), 수직 지지대(20), 및 수평 지지대(30)의 결합 관계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에 가열 장치(11)와 조리 용기(50)를 안착한 후, 체결 나사(40)를 통해 뚜껑(60)에 하중을 인가하는 과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 나사(40)를 통해 조리 용기(50)와 뚜껑(60)을 고정한 후, 상기 가열기(100)의 히터(1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20)에 의해 상기 가열기(1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고 증기가 발생된다. 상기 가열기(100)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는 상기 조리 용기(50)의 기체 유입구를 통해 조리 용기(50) 내부로 공급되고, 증기에 의해 조리 용기(50) 내부의 물과 식재료가 조리된다.
상기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상기 수평 지지대(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60)이 개방되어 조리 용기(50)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수직 지지대(20)와 수평 지지대(30)를 탄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조리 용기(50) 내부에 과다한 압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뚜껑(60)이 개방되어 조리 용기 내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기체를 생성하는 가열기(100), 상기 가열기(100)가 안착되는 바닥판(10), 상기 바닥판(1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20), 상기 가열기(100)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유입되도록 기체 유입구(52)가 형성되는 조리 용기(50), 상기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50)의 뚜껑(60)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30),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50)의 뚜껑(60)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40), 및 상기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가열 장치(11)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기(100)는 물을 저장하는 가열기 몸체(110), 및 상기 가열기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12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기 몸체(11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가열기(100)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상기 조리 용기(50)가 안착된다. 상기 조리 용기(50)의 하면에는 상기 가열 장치(11)에서 생성된 기체가 유입되도록 복수의 기체 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60)은 상기 조리 용기(5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뚜껑(60)의 하면에는 상기 조리 용기(50) 내부의 고압의 기체(예를 들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63)은 상기 뚜껑(60)의 하부 전면에 실리콘 코팅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과 회전축(12)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10)은 고정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기(100)가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바닥판(10)과 상기 가열기(1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가열기 몸체(110)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로 연장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에 대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유니버셜 조인트(22) 등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2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체결되어 상기 뚜껑(60)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40)는 나사 몸체(41)와 상기 나사 몸체(41)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43)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 몸체(4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뚜껑(60)의 상부에 하중을 인가한다.
상기 전원 차단 장치는 상기 가열기(100) 내부의 압력이 미리 설정된 제1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가열기(1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에 설치되는 스위치(81), 상기 스위치(81)가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위치 차단 스프링(83), 상기 스위치(81)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동작되는 플랜지(85), 및 상기 플랜지(85)가 상기 스위치(81)를 온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플랜지 스프링(87)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기(10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플랜지 스프링(87)에 의해 상기 플랜지(85)가 상기 스위치(81)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원 라인의 스위치(81)가 개방되어, 상기 히터(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상기 가열기(100)를 안착하고, 상기 가열 장치(11)의 상부에 조리 용기(50)를 안착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에서 바닥판(10), 수직 지지대(20), 및 수평 지지대(30)의 결합 관계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에 가열 장치(11)와 조리 용기(50)를 안착한 후, 체결 나사(40)를 통해 뚜껑(60)에 하중을 인가하는 과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 나사(40)를 통해 조리 용기(50)와 뚜껑(60)을 고정한 후, 상기 가열기(100)의 히터(1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20)에 의해 상기 가열기(1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고 증기가 발생된다. 상기 가열기(100)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는 상기 조리 용기(50)의 기체 유입구를 통해 조리 용기(50) 내부로 공급되고, 증기에 의해 조리 용기(50) 내부의 물과 식재료가 조리된다.
상기 가열기(10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제1 설정 압력보다 작으면, 상기 플랜지 스프링(87)에 의해 상기 플랜지(85)가 상기 스위치(81)의 위쪽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상기 스위치(81)는 상기 스위치 차단 스프링(83)에 의해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받기 때문에, 상기 스위치(81)는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히터(120)로 전원이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 가열기(10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가열기(100) 내부 압력에 의해 상기 플랜지(85)가 플랜지 스프링(87)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상기 스위치(81)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플랜지(85)가 상기 스위치(81)를 차단하여 상기 스위치(81)는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열기(100) 내부의 압력이 비정상적인 원인으로 인해 급하게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전원 차단 장치를 통해 히터(12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조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차단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원인으로 인해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2 설정 압력(여기서, 제2 설정 압력은 제1 설정 압력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을 초과하면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상기 수평 지지대(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60)이 개방되어 조리 용기(50) 내부의 증기가 외부로 배출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수직 지지대(20)와 수평 지지대(30)를 탄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조리 용기(50) 내부에 과다한 압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뚜껑(60)이 개방되어 조리 용기 내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1차적인 구성이고,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수평 지지대(30)를 탄성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뚜껑(60)이 개방되는 구성은 전원차단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한 2차적인 구성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기체를 생성하는 가열기(100), 상기 가열기(100)가 안착되는 바닥판(10), 상기 바닥판(10)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20), 상기 가열기(100)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도록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조리 용기(50),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증기 배출 홀(61)이 형성되는 뚜껑(60), 상기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상기 뚜껑(60)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30),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50)의 뚜껑(60)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40), 및 상기 뚜껑(60)의 증기 배출 홀(61)에서 배출되는 증기와 냄새를 포집하는 포집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가열기(100)는 물을 저장하는 가열기 몸체(110), 및 상기 가열기 몸체(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120)를 포함한다. 상기 히터(12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가열기 몸체(110)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킨다.
상기 가열기(100)의 상부에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상기 조리 용기(50)가 안착된다. 상기 조리 용기(50)의 하면에는 상기 가열기(100)에서 생성된 기체가 유입되도록 복수의 기체 유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60)은 상기 조리 용기(5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뚜껑(60)의 하면에는 상기 조리 용기(50) 내부의 고압의 기체(예를 들어,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6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패킹(63)은 상기 뚜껑(60)의 하부 전면에 실리콘 코팅 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바닥판(10)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과 회전축(12)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바닥판(10)은 고정되고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바닥판(10)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기(100)가 상기 바닥판(10)의 상부에 안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바닥판(10)과 상기 가열기(1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20)는 상기 가열기 몸체(110)에서 상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50)의 상부로 연장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에 대해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유니버셜 조인트(22) 등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수직 지지대(20)를 기준으로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지지대(30)는 일정한 하중이 인가되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체결되어 상기 뚜껑(60)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40)는 나사 몸체(41)와 상기 나사 몸체(41)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43)를 포함한다. 상기 나사 몸체(41)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30)에 형성된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됨으로써, 상기 뚜껑(60)의 상부에 하중을 인가한다.
상기 포집 장치는 상기 뚜껑(60)에 형성된 증기 배출 홀(61)을 통해 배출되는 기체와 냄새 분자를 포집한다. 이를 위해, 상기 포집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홀(61)과 연통되도록 상기 나사 몸체(41)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 통로(42), 및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와 연통되고 상기 나사 몸체(41)에 형성되어 증기와 냄새를 포집하기 위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소(44)를 포함한다. 상기 유체 저장소(44)는 상기 수평 지지대(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상기 포집 장치의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되는 유체는 교환하기 위한 급배수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배수 장치는 상기 유체 저장소(44)와 연통되는 급수 라인(73)을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44)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급수원(71), 및 상기 유체 저장소(44)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 저장소(44)에서 저장되는 일부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 장치는 상기 유체 저장소(44)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흐르는 배수 라인(75) 및 상기 배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배출 탱크(7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저장소(44)에는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또는 유체의 수위를 측정하는 위치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거나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급수 라인(73)에 설치되는 급수 밸브 또는 상기 배수 라인(75)에 설치되는 배수 밸브를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되는 유체량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작동하는 압력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를 선택적을 차단하는 밸브 몸체(47)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상기 밸브 몸체(47)가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브 스프링(4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상기 밸브 몸체(47)가 대략적인 원통 형상인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밸브 몸체(47)는 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를 차단하기 위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에서 바닥판(10), 수직 지지대(20), 및 수평 지지대(30)의 결합 관계는 제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에 가열 장치(11)와 조리 용기(50)를 안착한 후, 체결 나사(40)를 통해 뚜껑(60)에 하중을 인가하는 과정은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체결 나사(40)를 통해 조리 용기(50)와 뚜껑(60)을 고정 및 밀폐한 후, 상기 가열기(100)의 히터(120)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히터(120)에 의해 상기 가열기(100)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고 증기가 발생된다. 상기 가열기(100) 내부에서 발생된 증기는 상기 조리 용기(50)의 기체 유입구를 통해 조리 용기(50) 내부로 공급되고, 증기에 의해 조리 용기(50) 내부의 음식물이 조리된다.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예를 들어, 제1 설정 압력)을 초과하면, 상기 뚜껑(60)의 증기 배출 홀(61)과 연통하는 상기 나사 몸체(41)의 증기 배출 통로(42)에 구비된 밸브 몸체(47)가 위쪽으로 밀어올려져 증기 배출 통로(42)가 개방되고, 조리 용기(50) 내부의 음식물에서 발생된 증기와 냄새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밸브 몸체(47)는 일정한 하중을 갖고 있으므로,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보다 낮을 때는 자중에 의해 상기 밸브 몸체(47)가 증기 배출 통로(42)를 차단하여 조리 용기(50) 내부의 기체와 냄새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그러나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보다 높으면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에 의해 밸브 몸체(47)가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기 때문에 증기 배출 통로(42)가 개방되어 조리 용기(50) 내부의 기체와 냄새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밸브 몸체(47)는 상기 밸브 스프링(48)에 의해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기 때문에,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보다 낮을 때, 증기 배출 통로(42)를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증기 배출 통로(42)를 통해 배출된 조리 용기(50) 내부의 고온의 기체와 냄새는 유체(예를 들어, 물 등)가 저장되는 유체 저장소(44)로 유입된다. 고온의 기체와 냄새 분자가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에 유입되면, 고온의 기체와 냄새 분자는 유체에 용해되기 때문에, 조리 용기(50) 내부의 음식물에서 발생된 기체와 냄새가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조리 용기(50)를 장시간 가열하게 되는 경우, 조리 용기(50) 내부에서 배출되는 기체가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에 용해되어 유체 저장소(44)의 유체 수위와 유체 온도가 과다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급배수 장치를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되는 유체를 교환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거나, 또는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급수 밸브가 개방되고 새로운 유체가 상기 급수원(71)으로부터 상기 급수 라인(73)을 통해 유체 저장소(44)로 공급되고, 상기 배수 밸브가 개방되어 상시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된 뜨거워진 유체는 상기 배수 라인(75)을 통해 상기 유체 배출 탱크(77)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44)에 저장되는 유체의 온도와 수위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압력 조리 장치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전원 차단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차단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 상기 전원 차단 장치의 플랜지가 동작하기 위한 제2 설정 압력은 상기 제1 설정 압력보다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차적으로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뚜껑(60)의 증기 배출 홀(61)과 연통하는 상기 나사 몸체(41)의 증기 배출 통로(42)에 구비된 밸브 몸체(47)를 밀어 올려 증기 배출 통로(42)가 개방되고, 조리 용기(50) 내부의 음식물에서 발생된 증기와 냄새가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압력조절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원인으로 인해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2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플랜지(85)가 작동하여 상기 스위치(81)를 오프시켜 상기 히터(12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다.
한편, 압력조절장치와 상기 전원차단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원인으로 인해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제3 설정 압력(여기서, 제3 설정 압력은 제2 설정 압력보다 크게 설정됨)을 초과하면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상기 수평 지지대(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60)이 개방되어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이 외부로 배출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수직 지지대(20)와 수평 지지대(30)를 탄성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조리 용기(50) 내부에 과다한 압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뚜껑(60)이 개방되어 조리용기 내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서,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조리 용기(50) 내부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1차적인 구성이고, 상기 전원 차단 장치는 압력 조절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한 2차적인 구성이며, 상기 수직 지지대(20)와 수평 지지대(30)를 탄성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뚜껑(60)이 개방되는 구성은 압력 조절장치 및 전원 차단 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를 대비한 3차적인 구성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바닥판 11: 가열 장치
12: 회전축 20: 수직 지지대
22: 유니버셜 조인트 30: 수평 지지대
40: 체결 나사 41: 나사 몸체
42: 증기 배출 통로 43: 나사 머리
44: 유체 저장소 47: 밸브 몸체
48: 밸브 스프링 50: 조리 용기
60: 뚜껑 61: 증기 배출 홀
63: 패킹 71: 급수원
73: 급수 라인 75: 배수 라인
77: 유체 배출 탱크 81: 스위치
83: 스위치 차단 스프링 85: 플랜지
87: 플랜지 스프링 100: 가열기
110: 가열기 몸체 120: 히터

Claims (60)

  1.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몸체; 및
    상기 나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몸체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하중을 인가하는 압력 조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압력 조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압력 조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압력 조리 장치.
  7. 상부가 개방되어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조리 용기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증기 배출 홀이 형성되는 뚜껑;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 및
    상기 뚜껑의 증기 배출 홀에서 배출되는 증기와 냄새를 포집하는 포집 장치;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몸체; 및
    상기 나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몸체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압력을 인가하는 압력 조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나사 몸체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 통로; 및
    상기 증기 배출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나사 머리에 형성되어 증기와 냄새를 포집하기 위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소;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는 상기 수평 지지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압력 조리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와 연통되는 급수 라인을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급수원; 및
    상기 유체 저장소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 저장소에서 저장되는 일부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수 장치;
    을 더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장치는
    상기 유체 저장소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흐르는 배수 라인; 및
    상기 배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배출 탱크;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된 유체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거나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급수 라인에 설치되는 급수 밸브 또는 상기 배수 라인에 설치되는 배수 밸브의 개폐를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되는 유체량이 조절되는 압력 조리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작동하는 압력 조절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 몸체;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가 상기 증기 배출 통로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브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1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면에는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고압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되는 압력 조리 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제2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압력 조리 장치.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압력 조리 장치.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압력 조리 장치.
  22.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기체를 생성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가열기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유입되도록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및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압력 조리 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물을 저장하는 가열기 몸체; 및
    상기 가열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면에는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고압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되는 압력 조리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압력 조리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압력 조리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몸체; 및
    상기 나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몸체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하중을 인가하는 압력 조리 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바닥판은 일체로 형성되는 압력 조리 장치.
  31.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기체를 생성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가열기에 의해 생성된 기체가 유입되도록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조리 용기;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
    상기 가열기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가열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장치;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물을 저장하는 가열기 몸체; 및
    상기 가열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 장치는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위치 차단 스프링;
    상기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동작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플랜지 스프링;
    을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플랜지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스위치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압력 조리 장치.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1 설정 압력보다 큰 제2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압력 조리 장치.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압력 조리 장치.
  37.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압력 조리 장치.
  38.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몸체; 및
    상기 나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몸체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하중을 인가하는 압력 조리 장치.
  40.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바닥판은 일체로 형성되는 압력 조리 장치.
  41. 전원을 공급받아 고온의 기체를 생성하는 가열기;
    상기 가열기가 안착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가열기에 의해 생성된 증기가 유입되도록 기체 유입구가 형성되는 조리 용기;
    상기 조리 용기의 상부를 밀폐시키고 증기 배출 홀이 형성되는 뚜껑;
    상기 수직 지지대로부터 상기 뚜껑의 상부로 연장되는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에 체결되어 상기 조리 용기의 뚜껑에 일정 하중을 인가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나사; 및
    상기 뚜껑의 증기 배출 홀에서 배출되는 증기와 냄새를 포집하는 포집 장치;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나사는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 몸체; 및
    상기 나사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나사 머리;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몸체는 상기 수평 지지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 구멍을 통해 나사 체결되어 상기 뚜껑에 하중을 인가하는 압력 조리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나사 몸체에 형성되는 증기 배출 통로;
    상기 증기 배출 통로와 연통되고 상기 나사 머리에 형성되어 증기에 포함된 냄새를 포집하기 위한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저장소;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는 상기 수평 지지대의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압력 조리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와 연통되는 급수 라인을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급수원; 및
    상기 유체 저장소와 연통되어 상기 유체 저장소에서 저장되는 일부 유체를 배출시키는 배수 장치;
    을 더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장치는
    상기 유체 저장소에서 배출되는 유체가 흐르는 배수 라인; 및
    상기 배수 라인을 통해 배출되는 유체를 저장하는 유체 배출 탱크;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된 유체가 설정된 높이를 초과하거나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된 유체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초과하면,
    상기 급수 라인에 설치되는 급수 밸브 또는 상기 배수 라인에 설치되는 배수 밸브를 통해 상기 유체 저장소에 저장되는 유체량이 조절되는 압력 조리 장치.
  49. 44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제1 설정 압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작동하는 압력 조절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조절 장치는
    상기 증기 배출 통로에 구비되어 상기 증기 배출 통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밸브 몸체;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가 상기 증기 배출 통로를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밸브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5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하면에는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고압의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패킹이 구비되는 압력 조리 장치.
  5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는
    물을 저장하는 가열기 몸체; 및
    상기 가열기 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가열하는 히터;
    를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내부의 압력이 제2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가열기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 장치;
    를 더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 장치는
    상기 히터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라인에 설치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위치 차단 스프링;
    상기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도록 동작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스위치를 온 상태가 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플랜지 스프링;
    을 포함하는 압력 조리 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2 설정 압력보다 크면 상기 플랜지 스프링에 의해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스위치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되는 압력 조리 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기 제2 설정 압력보다 큰 제3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뚜껑이 개방되도록 상기 수직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압력 조리 장치.
  58.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는 상기 수직 지지대에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압력 조리 장치.
  59.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는 상기 바닥판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압력 조리 장치.
  60.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기와 상기 바닥판은 일체로 형성되는 압력 조리 장치.
KR1020170146088A 2017-11-03 2017-11-03 범용 압력 조리 장치 KR102199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88A KR102199122B1 (ko) 2017-11-03 2017-11-03 범용 압력 조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088A KR102199122B1 (ko) 2017-11-03 2017-11-03 범용 압력 조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58A KR20190050558A (ko) 2019-05-13
KR102199122B1 true KR102199122B1 (ko) 2021-01-06

Family

ID=66581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088A KR102199122B1 (ko) 2017-11-03 2017-11-03 범용 압력 조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9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562B1 (ko) * 2019-07-24 2020-07-29 벽강 주식회사 내압형 국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7698A1 (en) 2002-12-17 2004-09-30 Parenteau Christopher Eugene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and supporting a utensil cov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5882A (ko) * 1990-09-01 1992-04-27 김정순 즉석 카레라이스
ES2078847B1 (es) * 1993-07-13 1996-08-01 Fagor S Coop Ltda Olla a presion con base calefactora y sistema de regulacion.
KR20050031047A (ko) * 2003-09-27 2005-04-01 김태식 가압식 전기약탕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7698A1 (en) 2002-12-17 2004-09-30 Parenteau Christopher Eugene Apparatus and method for lifting and supporting a utensil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558A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373729A1 (en) Electric rice cooker
US11627825B2 (en) Modular steamer accessory for steam-heating and/or steam-cooking food contained in a container
CN101902939B (zh) 通过压力调节温度的快速烹饪容器
JP2015136435A (ja) 湯沸器
KR102199122B1 (ko) 범용 압력 조리 장치
KR101000803B1 (ko) 과열증기를 이용한 조리기구
US1109828A (en) Cooking apparatus.
KR101599621B1 (ko) 조리용 스팀찜기
KR101618846B1 (ko) 전기밥솥
KR101409033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20180002029A (ko) 압력 조절장치를 구비한 주전자
NZ545177A (e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for steam cooking
KR102130609B1 (ko) 에너지 절약형 스팀찜기
KR20150098144A (ko) 찜기용 스팀 공급장치
CN104083076A (zh) 蒸汽式馒头机和馒头制作方法
KR101526207B1 (ko) 조리용 용기 뚜껑
CN107752718A (zh) 电烹饪装置
KR101738479B1 (ko) 서모스탯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KR20140112852A (ko) 스팀 용기 덮개
KR20170061476A (ko) 증기 응축용 압력솥
KR200368226Y1 (ko) 넘침 방지용 용기뚜껑
KR102357794B1 (ko) 전기압력조리기 제어방법
JP2019150412A (ja) 炊飯器
KR101518417B1 (ko) 스팀 공급장치
US1423961A (en) Cooking utens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