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6207B1 - 조리용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조리용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6207B1
KR101526207B1 KR1020140074546A KR20140074546A KR101526207B1 KR 101526207 B1 KR101526207 B1 KR 101526207B1 KR 1020140074546 A KR1020140074546 A KR 1020140074546A KR 20140074546 A KR20140074546 A KR 20140074546A KR 101526207 B1 KR101526207 B1 KR 101526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body
steam
lid
leaf spring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기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원팰러스
Priority to KR102014007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62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6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6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손잡이(10); 상면에 상기 손잡이(10)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0)로부터 이격되어 증기홀(22)이 형성되는 덮개(20); 및 상기 증기홀(22)에 설치되는 증기배출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증기배출부재(30)는, 상기 증기홀(22)의 상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힌지브래킷(32)이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34); 상기 힌지브래킷(32)에 힌지결합되는 증기마개(36); 및 상기 힌지브래킷(32)에 설치되는 판스프링(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상 입을 확률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안전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다.

Description

조리용 용기 뚜껑 {POT-LID FOR COOKING}
본 발명은 조리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한 증기배출기능이 구비되고, 간단한 구조의 조리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이나 물을 끓이기 위해선 냄비에 국이나 물을 넣고 뚜껑을 닫은 후 가스레인지나 전기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수단으로 가열한다. 이때 냄비의 내부가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용기 내에 내용물이 증발하면서 수증기가 발생하는데, 만약 이 상황이 지속되면 내용물이 용기 밖으로 범람하여 가열수단을 훼손하거나 오염시키게 되고, 안전사고를 유발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냄비의 뚜껑이 무거워서 증기가 방출되지 못한다면 사용자가 냄비 뚜껑을 열었을 때 화상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수증기가 많이 발생되는 내용물을 조리할 때 사용자는 뚜껑을 닫지 않은 채로 가열을 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내부의 증기가 지속적으로 유출되어 내용물의 가열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조리용기 증기배출장치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리용기 증기배출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 뚜껑결합구(1); 상기 뚜껑결합구(1) 측면에 일체로 설치되는 손잡이(2); 상기 뚜껑결합구(1)를 덮는 덮개(3); 및 상기 덮개(3)를 개폐시키는 레버(6)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용기 증기배출장치는 손잡이(2)와 증기가 배출되는 뚜껑결합구(1)가 일체로 형성되므로, 덮개(3)와 뚜껑결합구(1) 사이에 손잡이(2)측으로 유격이 생길 경우 상기 유격을 통해 증기가 유출되어 손잡이(2) 및 레버(6)의 온도를 높이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스프링(5)으로 인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즉, 종래의 조리용기 증기배출장치는 스프링(5)이 유연하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해 스프링안착홈(4)을 스프링(5)의 크기보다 여유롭게 형성하기 때문에 스프링(5)이 스프링안착홈(4) 내에서 이동될 수 있고, 만약 도 1을 기준으로 스프링(5)이 왼쪽으로 이동될 경우 덮개(3)가 뚜껑결합구(1)를 누르고 있는 힘이 약해지기 때문에 증기가 새어 나올 가능성이 높다.
또한, 종래의 조리용기 증기배출장치는 레버(6)를 누르면 덮개(3)가 열리는 방식, 즉, 이중 지렛대 방식이므로 구조가 복잡하여 필요한 구성요소가 많아진다. 따라서 수리 및 보수가 용이하지 않고, 제조공정 역시 복잡한 문제가 있다.
KR 10-1131001 B1 2012. 4. 12.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증기배출구가 뚜껑의 손잡이로부터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구성요소가 최소화된 조리용 용기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 뚜껑은 손잡이; 상면에 상기 손잡이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로부터 이격되어 증기홀이 형성되는 덮개; 상기 증기홀에 설치되는 증기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증기배출부재는, 상기 증기홀의 상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힌지브래킷이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 상기 힌지브래킷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중공형 몸체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증기마개; 및 상기 힌지브래킷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마개의 개폐 상태를 유지시키는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 뚜껑은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확률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안전하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 및 보수가 간편하다.
도 1은 종래의 조리용기 증기배출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증기배출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 뚜껑을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 뚜껑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6은 판스프링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판스프링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판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판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 뚜껑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리용 용기 뚜껑에 관한 것으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 뚜껑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증기배출부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 뚜껑을 도시한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 뚜껑은 손잡이(10); 상면에 손잡이(10)가 설치되고, 손잡이(10)로부터 이격되어 증기홀(22)이 형성되는 덮개(20); 및 증기홀(22)에 설치되는 증기배출부재(30)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손잡이(10)는 후술할 덮개(20) 상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덮개(20)를 손쉽게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덮개(20)는 용기의 개방부를 덮어 용기 내의 내용물이 가열될 때 발생하는 증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여 열에너지의 손실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덮개(20)에는 증기홀(22)이 형성된다. 이때, 증기홀(22)은 손잡이(10)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증기홀(22)을 통해 빠져나온 증기가 손잡이(10)를 가열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덮개(20)상의 증기홀(22) 옆에는 지지홈(24)이 형성되는데, 이와 관련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 뚜껑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증기배출부재(30)는 증기홀(22)에 설치되어 증기홀(22)을 통해 빠져나오는 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증기배출부재(3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홀(22)의 상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힌지브래킷(32)이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34); 힌지브래킷(32)에 힌지결합되어 중공형 몸체(34)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증기마개(36); 및 힌지브래킷(32)에 설치되어 증기마개(36)의 개폐 상태를 유지시키는 판스프링(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중공형 몸체(3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중공이 증기홀(22)과 연통되도록 덮개(20)의 증기홀(22) 상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중공형 몸체(34) 내주연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후술할 중공형 결합구(40)가 중공형 몸체(34)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중공형 몸체(34)의 일측에는 힌지브래킷(32)이 형성되는데, 힌지브래킷(32)은 중공형 몸체(34) 일측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부(32a); 및 한 쌍의 홀더부(32a)를 관통하는 힌지핀부(32b)로 구성된다.
홀더부(32a)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가 옆으로 돌출되는 형태로서, 중공형 몸체(34)의 일측에 한 쌍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이때, 홀더부(32a)는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는데, 이는 후술할 판스프링(38)이 홀더부(32a)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힌지핀부(32b)는 원기둥의 핀 형상으로, 한 쌍의 홀더부(32a)를 가로로 관통한다.
그리고 홀더부(32a) 사이에는 수직플레이트(32c)가 구비되어 중공형 몸체(34)와 맞닿는데, 이와 관련한 사항은 후술한다.
한편, 중공형 몸체(34)의 저면에는 회전방지돌기(32d)가 형성되어 덮개(20)의 지지홈(24)에 삽입되는데, 이는 중공형 몸체(34)가 덮개(20)상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중공형 몸체(34)가 덮개(20)에 용접과 같은 접착방식으로 고정되면 문제가 없으나, 나사결합과 같은 조립식으로 결합될 경우, 조립 후에도 회전될 가능성이 있다. 회전방지돌기(32d)는 이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20)의 지지홈(24)에 삽입됨으로써 중공형 몸체(34)가 덮개(20)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참고로, 회전방지돌기(32d)는 수직플레이트(32c)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지지홈(24)이 증기홀(22)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어 중공형 몸체(34)의 방향을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조정할 수도 있다.
증기마개(36)는 힌지브래킷(32)에 힌지결합되어 중공형 몸체(34)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중공형 몸체(34)의 상부에 위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마개본체부(36a); 및 마개본체부(36a)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에 수용홈(35)이 구비되며, 내측으로 홀더부(32a)가 수용되어 힌지핀부(32b)와 결합되는 누름레버부(36b)로 구성된다.
마개본체부(36a)는 원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공형 몸체(34)의 중공을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킨다. 마개본체부(36a) 저면으로 후술할 패킹(39)의 형상에 맞게 홈이 형성되어 중공형 몸체(34)와의 긴밀함을 높일 수 있다.
누름레버부(36b)는 상부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마개본체부(36a) 일측에 형성되어 홀더부(32a)에 끼워지고, 힌지핀부(32b)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누름레버부(36b)를 누르면 마개본체부(36a)가 개방된다. 그리고 누름레버부(36b)의 하부에는 수용홈(35)이 형성된다.
도 6은 판스프링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판스프링의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판스프링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및 도 9는 판스프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판스프링(38)은 일단이 수용홈(35)에 삽입되고, 타단이 홀더부(32a) 사이의 힌지핀부(32b)에 끼워진다.
판스프링(38)의 상단은 ∩ 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수용홈(35)에 삽입되는데, 이는 수용홈(35)에 용이하게 삽입되면서 증기마개(36)가 힌지브래킷(32)에 용이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증기마개(36)의 수용홈(35)이나 판스프링(38)에 제작상의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판스프링(38)이 휘어질 수 있는 여지를 만들어 증기마개(36)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판스프링(38)의 하단을 A부분과 B부분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38)은 하단 중간에 A부분과 같이 절곡되는데, 이에 따라 판스프링(38)이 힌지핀부(32b)에 걸쳐짐으로써 증기마개(36)의 개폐동작 시 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판스프링(38)은 B부분과 같이 절곡되어 각이 형성되는데, 이는 증기마개(36)가 개방 및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누름레버부(36b)가 눌려 판스프링(38)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수직플레이트(32c)와 맞닿고 있는 판스프링(38)이 α면에서{도 8(a)참조} β면으로{도 8(b)참조} 넘어가는데, β면과 수직플레이트(32c)가 맞닿고 있으면 증기마개(36)가 개방된 상태이고, 추가적인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판스프링(38)은 그 위치{β면이 수직플레이트(32C)와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수직플레이트(32c)는 표면이 평면을 이루고 있으므로, 판스프링(38)이 면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판스프링(38)의 하단 중간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되더라도 무방하다. 이렇게 될 경우, 판스프링(38)이 수직플레이트(32c)와 면대면으로 맞닿기 위해 힌지핀부(32b)를 감싸면서 도 7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절곡된다.
한편, 판스프링(38)의 상기 타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절곡되어 끝단이 다각면을 이룸으로써 증기마개(36)가 개방되는 정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공형 몸체(34) 상부에는 패킹(39)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패킹(39)은 고무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형 몸체(34) 상부에 설치되어 증기마개(36)와의 긴밀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증기배출부재(30)는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평소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마개(36)가 중공형 몸체(34)를 폐쇄시키고 있다가, 사용자가 증기마개(36)의 누름레버부(36b)를 누르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몸체(34)의 중공이 개방되고, 판스프링(38)이 상기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중공형 결합구(40)는 부가적인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이고, 저면에는 플랜지(42)가 형성되며, 중공형 몸체(34)의 하부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중공형 몸체(34)와 중공형 결합구(40) 사이에는 덮개(20)가 위치하여 플랜지(42)가 덮개(20)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중공형 몸체(34)가 조립식으로 덮개(20)에 고정될 수 있어 중공형 몸체(34)가 파손될 경우 교체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10: 손잡이 20: 덮개
22: 증기홀 24: 지지홈
30: 증기배출부재 32: 힌지브래킷
32a: 홀더부 32b: 힌지핀부
32c: 수직플레이트 32d: 회전방지돌기
34: 중공형 몸체 35: 수용홈
36: 증기마개 36a: 마개본체부
36b: 누름레버부 38: 판스프링
39: 패킹 40: 중공형 결합구
42: 플랜지

Claims (7)

  1. 손잡이(10);
    상면에 상기 손잡이(10)가 설치되고, 상기 손잡이(10)로부터 이격되어 증기홀(22)이 형성되는 덮개(20) 및
    상기 증기홀(22)에 설치되는 증기배출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증기배출부재(30)는,
    상기 증기홀(22)의 상면에 설치되고, 일측에 힌지브래킷(32)이 형성되는 중공형 몸체(34);
    상기 힌지브래킷(32)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중공형 몸체(34)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증기마개(36) 및
    상기 힌지브래킷(32)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마개(36)의 개폐 상태를 유지시키는 판스프링(38)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힌지브래킷(32)은, 상기 중공형 몸체(34) 일측에 나란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홀더부(32a); 및 상기 한 쌍의 홀더부(32a)를 관통하는 힌지핀부(32b)로 구성되고,
    상기 증기마개(36)는, 상기 중공형 몸체(34)의 상부에 위치되는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마개본체부(36a); 및 상기 마개본체부(36a) 일측에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하부에 수용홈(35)이 구비되며, 내측으로 상기 홀더부(32a)가 수용되어 상기 힌지핀부(32b)와 결합되는 누름레버부(36b)로 구성되며,
    상기 판스프링(38)은 일단이 상기 수용홈(35)에 삽입되고, 타단이 절곡되어 상기 한 쌍의 홀더부(32a)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뚜껑.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35)에 삽입되는 상기 판스프링(38)의 일단은 ∩ 형태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뚜껑.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32a)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판스프링(38)의 타단은 다단 절곡되어 다각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뚜껑.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저면에 플랜지(42)가 형성되고, 상기 증기홀(22)의 저면에서 상기 중공형 몸체(34)의 하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중공형 몸체(34)를 상기 덮개(20)에 고정시키는 중공형 결합구(4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뚜껑.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몸체(34)의 저면에 회전방지돌기(32d)가 더 형성되고,
    상기 덮개(20)상에 상기 회전방지돌기(32d)에 대응되는 지지홈(24)이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방지돌기(32d)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 용기 뚜껑.
KR1020140074546A 2014-06-18 2014-06-18 조리용 용기 뚜껑 KR101526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546A KR101526207B1 (ko) 2014-06-18 2014-06-18 조리용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546A KR101526207B1 (ko) 2014-06-18 2014-06-18 조리용 용기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6207B1 true KR101526207B1 (ko) 2015-06-10

Family

ID=5350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546A KR101526207B1 (ko) 2014-06-18 2014-06-18 조리용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62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4663A (zh) * 2019-04-19 2019-08-02 宁波弗兰克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搅拌功能的电热水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8720U (ko) * 1988-02-07 1989-08-10
KR20110028706A (ko) * 2009-09-14 2011-03-22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스팀배출기능과 뚜껑지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노브
KR20130003072U (ko) * 2011-11-15 2013-05-24 이석찬 넘침 방지 증기배출 뚜껑 손잡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8720U (ko) * 1988-02-07 1989-08-10
KR20110028706A (ko) * 2009-09-14 2011-03-22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스팀배출기능과 뚜껑지지기능을 갖는 조리용기 뚜껑 노브
KR20130003072U (ko) * 2011-11-15 2013-05-24 이석찬 넘침 방지 증기배출 뚜껑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4663A (zh) * 2019-04-19 2019-08-02 宁波弗兰克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搅拌功能的电热水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35914B2 (ja) 湯沸器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CN101902939B (zh) 通过压力调节温度的快速烹饪容器
US20210345743A1 (en) Portable lunchbox
KR101526207B1 (ko) 조리용 용기 뚜껑
FR3072553A1 (fr) Autocuiseur a fenetre d'extrusion
CN101420892B (zh) 具有可控减压功能的可调压力烹饪器具
KR102199122B1 (ko) 범용 압력 조리 장치
FR3082717A1 (fr) Autocuiseur muni d'une butee pour couvercle
KR20170039330A (ko) 조리용기용 뚜껑
JP2009195594A (ja) 炊飯器
KR20140112852A (ko) 스팀 용기 덮개
JP6372584B2 (ja) 液体加熱容器
KR102291876B1 (ko) 가스 조리와 인덕션을 겸비한 이중조리용기
KR20170010971A (ko) 압력밥솥 덮개
KR101738479B1 (ko) 서모스탯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KR101343151B1 (ko) 넘침방지 기능을 갖춘 조리 용기 뚜껑
KR100399766B1 (ko)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KR20170127936A (ko) 압력뚜껑 자동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압력조리기
KR20120086423A (ko) 이중용기.
ITMI20140299U1 (it) Coperchio multifunzione con calotta apribile
KR101664270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가스용기와 연동되는 폭발방지용 휴대용 가스버너
KR20090041841A (ko) 냉온수기의 취수 안전레버
KR101519883B1 (ko) 프라이팬
KR20100055189A (ko) 증기배출조절용 음식 조리용기 덮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