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9766B1 -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9766B1
KR100399766B1 KR10-2001-0020940A KR20010020940A KR100399766B1 KR 100399766 B1 KR100399766 B1 KR 100399766B1 KR 20010020940 A KR20010020940 A KR 20010020940A KR 100399766 B1 KR100399766 B1 KR 100399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ressure
container
explosion
compression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0999A (ko
Inventor
박진하
Original Assignee
박진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진하 filed Critical 박진하
Priority to KR10-2001-0020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9766B1/ko
Priority to US10/471,173 priority patent/US7207346B2/en
Priority to PCT/KR2002/000698 priority patent/WO2002084179A1/en
Priority to CNB028085140A priority patent/CN1224799C/zh
Priority to JP2002581888A priority patent/JP3739359B2/ja
Priority to EP02718681A priority patent/EP1379815A4/en
Publication of KR2002008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0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9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9766B1/ko
Priority to HK04109666A priority patent/HK1066853A1/xx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9/00Safet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가스 용기내의 가스압력이 상승하면 노즐까지 가스 유입을 차단하는 장치는 개발되어 의무적으로 장착하고 있으나 계속되는 복사열에 의하여 용기가 폭발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용기폭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위험압력에서 가스가 공급되는 유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유로차단식 휴대용 가스렌지에 있어서, 폭발 전에 용기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게 함으로서 압력을 낮추고 이때 발생되는 기화열은 용기를 냉각하여 가스의 폭발을 막도록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The hydrostat for a portable gas range}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렌지의 폭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휴대용 가스렌지에 설치되는 가스용기 내에서 이상압력이 발생하여 일차적으로 유로 차단식 안전장치에 의하여 가스흐름이 차단되어 소화된 후에도 계속되는 복사열등에 의한 내압의 상승으로 용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렌지는 야외나 실내에서 간단하게 고기를 굽거나 취사기구를 가열할 때 사용되는 휴대용 조리기구로서, 그 휴대성과 간편성으로 그 사용자 및 용도범위가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이에 따른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이기 위하여 각종 안전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가스렌지의 경우, 사용 중에는 가스용기로부터 가스가 가스렌지로 공급되면서, 그 가스가 기화되면서 주위의 열을 빼앗는 증발잠열에 의하여 가스용기의 온도를 낮추는 역할을 하므로, 온도상승에 의한 폭발우려는 낮다.
그러나, 휴대용 가스렌지의 상부에 놓여진 냄비나 조리기구가 가열되어 그 하부로부터 발생되는 복사열이 가스용기에 전달되는데, 가스의 기화열로 인하여 빼앗기는 증발잠열보다 복사열이 클 경우에는 그 복사열과 증발잠열의 차이만큼 가스용기에 부가 누적되어 온도상승에 따른 가스팽창으로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가스안전공사의 법규에 의하면 가스용기의 내압이 5~7㎏/㎠ 범위 내에서 가스흐름이 자동 차단되어 소화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일본의 경우에는 가스용기의 내압이 4~6㎏/㎠ 범위 내에서 가스흐름이 자동 차단되어 소화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를 위해 장착되는 안전장치에는 가스용기의 내압이 5~7㎏/㎠ 범위 내에서 가스용기가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버너 주입구로부터 이탈되어 가스흐름을 차단토록 한 착탈식 안전장치와 가스용기의 내압이 4~6㎏/㎠ 범위 내에서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버너 내의 유로가 차단되어 가스흐름을 차단토록 한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대표적이며 착탈식은 국내에서 유로차단식은 일본 등에서 적용하고 있다.
상기 두 가지의 안전장치는 가스의 기화열로 인하여 빼앗기는 증발잠열보다 복사열이 클 경우에 그 복사열과 증발잠열의 차이만큼 가스용기에 부가 누적되어 온도상승에 따른 가스팽창으로 내압이 상승하여 가스용기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이다.
더 상세하게는 가스용기의 정상압력은 2~3㎏/㎠ 범위이며, 가스용기의 1차변형압력은 13㎏/㎠이고 2차 파열압력은 15㎏/㎠으로써, 즉 가스용기는 내압이 13㎏/㎠가 될 때까지는 어떠한 변형도 일어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또한 내압이 15㎏/㎠가 될 때까지는 파열 또는 폭발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어, 복사열등으로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승할 경우에 5~7㎏/㎠ 범위 내에서 조기에 가스흐름을 차단하여 소화될 수 있도록 하여 내압이 폭발 임계범위까지 상승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지만 가스용기를 가스렌지에서 분리시키는 착탈식의 경우에는 외부에 기계적 장치가 장착되어 완성된 제품의 불량률이 높으며 또한 장기간 사용하게되면 동작부가 부식되거나 이물질에 의하여 오염될 가능성이 많게되어 용기의 압력이 위험 치까지 상승하여도 작동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외부장치를 작동시켜 가스용기를 분리하는 방식은 그 기계적인 구성이 가스용기를 강제로 이탈시키는 것이기에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장치가 커지게 된다.
도 7과 도 8은 종래 유로차단식 안전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와 정단면도로서, 몸체(1)에는 가스용기(2)가 착탈되는 주입구(11)와 버너에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챔버(12) 및 버너쪽으로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레버(4)가 마련되며, 이러한 주입구(11)와 챔버(12) 및 조절레버(4)를 연결하는 소정의 유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주입구(11)와 챔버(12) 사이의 유로상에는 가스의 압력이 기준치 이상일 경우 유로를 차단하는 가스차단수단(5)이 마련되며, 상기 챔버(12)에는 버너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해 주는 압력조절수단(3)이 마련된다.
상기 가스차단수단(5)은 유로상에 후방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홀(51)과 상기 테이퍼홀(51)과 직선으로 연통되는 실린더홀(52) 및 상기 테이퍼홀(51)과 실린더홀(52)에 설치되어 가스의 압력에 의한 후퇴되는 차단밸브(53)와, 상기 차단밸브(53) 후방을 탄지하는 판스프링(5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스프링(54)은 일단이 외부로 노출된 리턴밸브(55)에 연접되며, 상기 리턴밸브(55)의 외측단 상부에는 상하로 슬라이드되면서 리턴밸브(55)를 전방으로 밀어주는 리턴레버(5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차단밸브(53)는 테이퍼홀(51) 전방에 위치되는 차단부(57)와 실린더홀(52)에 위치되는 작동부(58)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부(57)외주면에는 후퇴시 테이퍼홀(51)을 밀폐시켜주는 오링이 끼워지며, 상기 작동부(58)의 외주면에는 가스압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링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작동부(58) 전방의 실린더홀(52) 일측면에는 챔버(12)로 통하는 노즐공(59)이 마련된다.
상기 압력조절수단(3)은 챔버(12) 상부에 밀폐되도록 설치된 러버판(31)과, 상기 러버판(31)을 아래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32)과, 상기 러버판(31)과 연결된 니들홀더(33)와, 중앙부가 몸체에 힌지결합되어 일단은 니들홀더(33)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노즐공(59)을 개폐하는 스톱퍼(34)가 마련된 니들밸브(3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스렌지를 켜게되면, 챔버(12)에 채워진 가스가 버너쪽으로 공급되어 챔버(12)의 가스압이 떨어지게되므로, 상부의 러버판(31)이스프링(32)에 의해 눌려지면서 몸체(1)에 힌지결합된 니들밸브(35)를 노즐공(59)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용기의 가스가 챔버(12)로 유입되게 된다.
이와 같이 챔버(12)로 유입되는 가스압이 일정치 이상이 되면, 상기 러버판(31)이 스프링(32)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부로 들려지면서 니들밸브(35)를 회동시켜 노즐공(59)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용기가 과열되어 가스압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유로에 설치된 차단밸브(53)가 가스압에 의해 판스프링(54)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퇴되면서 테이퍼홀(51)을 막게 되므로 가스공급이 차단되어 버너의 불꽃이 소화된다.
이러한 상기 유로차단식 안전장치의 경우 기계적 고장이 적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 역시 일차 가스 공급이 차단된 후에 가스용기는 가스렌지 내부에 그대로 남아있어 용기내의 액화가스가 기화하며 발생되는 기화열이 사라진 다음 복사열에 의한 급속한 압력 상승에 대한 마땅한 해결책은 없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위험수준에 도달한 압력 상태에서 가스공급을 차단하여 용기의 폭발을 막았던 경우도 많으나 안전장치가 작동한 후 잠시 후 가스용기가 폭발했다는 사고 사례는 끊이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이에 대한 방안으로 출원된 특허출원 2000-0065187호에 따르면 이에 대한 해결책의 일실시 예를 제시하였다.
도 9는 상기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장착된 가스렌지에 있어서, 가스배출수단(6)은 유로와 연통되는 통공(61a)과 유입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61b)이 마련된 하우징(61)과, 상기 통공(61a)에 밀착되도록 스프링(62)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안전봉(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61) 그 내부에 실린더홀(64)이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홀(64) 일측에는 유로와 연결되는 통공(61a)이 마련되며 반대방향에는 원판형 캡(65)이 나선결합되고 통공(61a)쪽 원주벽면에는 배출공(61b)이 마련되어 외부로 연장된 노즐(66)이 연결된다.
상기 안전봉(63)은 하우징의 실린더홀(64)에 끼워져 가스압에 의해 후퇴되는 피스톤부(63a)와 상기 통공(61a)에 밀착되는 밀폐부(63b)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안전봉(63) 후방에는 캡(65) 내벽면에 지지되는 스프링(62)이 마련된다.
따라서, 가스가 챔버(12)에 소정치 이상의 압력으로 채워지면, 전술한 바와 같이 압력조절수단(3)의 니들밸브(35)가 노즐공(59)을 차단하여 챔버(12)로 공급되는 가스를 일차적으로 차단하게 되고, 계속해서 용기가 과열되어 공급되는 가스압이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면 판스프링(54)의 작용에 의해 이차적으로 차단되어 버너의 불꽃이 소화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가스렌지 주변에 화재가 발생되거나 가스렌지 및 가스용기에 축적된 잠열에 의해 용기 내의 가스압이 일정치 이상, 예를 들면 13~15kg/㎠ 이상으로 증가되면, 상기 가스배출수단(6)의 안전봉(63)이 스프링(62)의 탄성력을 이기고 후퇴되면서 통공(61a)을 개방하여 용기내의 가스가 노즐(66)을 통해 외부로배출되므로 가스용기의 압력이 낮추어져 지속적으로 과열되더라도 폭발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할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하우징(61)은 테이퍼홀(51)에서 연장되어 통공(61a)을 구성하도록 하여 그 구성이 복잡하게 되며 몸체(1)의 측면으로 돌출된 구성이기에 몸체(1)의 부피가 커지고 이에따른 일반적인 휴대용 가스렌지의 내부구조의 변화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61)의 통공(61a)은 단순하게 가스의 통로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판스프링(54)에 의하여 작동되는 일차 안전장치와 기계적으로 연결된 구성을 가지고 있어 하우징(61)을 제작하는 경우 스프링(58a)에 의하여 작동되는 차단부(57)의 작동을 위해 몸체와 별도로 제작하여야하며 또 조립공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또 상기 배출공(61b)은 가스렌지의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여 바람직한 방향으로의 가스배출을 위하여 연결관을 사용하여 저면이나 외부로 배출하여야하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노즐(66)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가스흐름이 차단된 상태에서 가스용기의 압력이 계속 상승할 경우에 가스용기의 내압을 낮추어 폭발을 방지할 수 있는 폭발방지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공정을 간단히 하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1차 안전장치의 작동으로 가스공급이 차단된 가스용기가 복사열에 의하여 계속 압력이 상승할 경우에도 용기의 폭발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차적으로 위험압력(5~7㎏/㎠, 또는 4~6㎏/㎠)에서 가스흐름이 차단되어 소화될 수 있는 기존의 안전장치 중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버너 내부에서 가스의 유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유로차단식 휴대용 가스렌지에 있어서, 기존의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가스흐름이 차단되어 소화된 상태에서 냄비나 불판으로부터 계속되는 복사열등에 의하여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승하여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일정압력범위에서 2차적으로 용기 내부의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여 용기내압을 낮추고 또한 용기내압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지면 가스방출을 차단함으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을 근본적으로 막아주는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종래 유로차단식 휴대용 가스렌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종래 유로차단식 휴대용 가스렌지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9은 종래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11 : 주입구 12 : 챔버
2 : 가스용기
3 : 압력조절수단
31 : 러버판 32, 58a, 62 : 스프링
33 : 니들홀더 34 : 스톱퍼
35 : 니들밸브
4 : 조절레버
5 : 가스차폐수단
51 : 테이퍼홀 52 : 실린더홀
53 : 차단밸브 54 : 판스프링
55 : 리턴밸브 56 : 레버
57 : 차단부 58 : 작동부
59 : 노즐공
6 : 가스배출수단
61 : 하우징 61a : 통공
61b : 배출공 63 : 안전봉
63a : 피스톤부 63b : 밀폐부
64 : 실린더홀 65 : 캡
66 : 노즐
7 : 다리
71 : 가스 배출홈 72 : 밀봉실
73, 73a, 73c : 밀봉축 74, 74a : 걸림턱
74b : 고정쇠 74c : 돌출부
75 : 고무실링 76 : 압축스프링
77 : 배기공 78 : 고무링
79 : 판스프링
8 : 하부캡
81 : 가이드홀 82 : 돌출부
83 : 배기홈 84 : 배기홀
85 : 고정턱 86 : 고정홈
10 : 가스유입로
11 : 주입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 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정단면도로서 가스 주입구와 연결된 가스통로 일측에는 가스배출홀(71)이 형성되어 밀봉실(72)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실(72)은 밑면이 개방되어 중앙에 가이드홀(81)이 형성된 하부캡(8)과 결합하며, 상기 밀봉실(72)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홀(81)에 상응하는 밀봉축(73)이 장착되고, 상기 밀봉축(73)의 상단에는 걸림턱(74)이 형성되어 상면에는 고무실링(75)이 장착되어 상기 가스배출로(71)에 상응하며, 상기 걸림턱(74)의 하부와 하부캡(8)의 상면 사이에는 압축스프링(76)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1)에는 일반적으로 수 개의 다리(7)가 형성되어 가스렌지의 케이스에 고정되도록 하는데 본 발명의 밀봉실(72)은 상기 다리(7)의 내부에 형성하도록 하여 제작이 간단하도록 하였으며 또한 상기 다리(7)의 저면에 돌출부(82)를 형성하며 케이스에 상기 돌출부(82)에 상응하는 홀을 형성하여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관통홀(81)의 측면으로 수 개의 배기홈(83)이 형성되어 밀봉실(72)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도록 하여 가스가 상기 배기홈(83)으로 배출되도록 하였으며 이때 상기 다리(7)와 결합하는 케이스에도 홀을 형성하여 공기보다 무거운 가스가 케이스 밑으로 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예일 것이다.
또 상기 도면에서는 정상 작동일 경우 즉 안전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압축스프링(76)의 힘이 가스용기내의 가스압력보다 커서 가스배출로(71)는 고무실링(75)에 의하여 막혀있게 된다.
이 때 결합된 상기 하부캡(8)을 나사 결합하도록 하여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서 압축스프링(76)에 작용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실시 예일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가스유입로(10)의 유로가 1차 유로차단식 안전장치를 통하여 압력을 일정하게 감압조절하여 주는 몸체(1)의 챔버(12)를 거쳐 가스량 조절장치를 통하여 버너헤드까지 연결되어 있어, 일차적으로 가스용기의 내압이 위험압력(5~7㎏/㎠, 또는 4~6㎏/㎠)에 도달하면 1차 안전장치인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가스유입로(10)에서챔버(12)로 통하는 유로가 차단되고 가스흐름이 차단되어 소화된다.
이 때, 가스유입로(10)는 기존의 1차 안전장치인 유로식 안전장치 작동에 의하여 막혀 있다.
즉, 기존의 1차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가스흐름이 차단되어 소화된 상태에서 냄비나 불판으로부터 계속되는 복사열등에 의하여 가스용기(1)의 내압이 상승하여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일정압력범위까지 상승하게 되면 가스배출로(71)내에 있는 가스압력은 압축스프링(76)의 힘보다 커지게 되어 가스배출로(71)를 개방하게 되며 따라서 가스는 밀봉실(72)을 지나 배기홈(83)을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때 순간적으로 많은 양의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밀봉실(72)의 측면에는 수 개의 배기공(77)을 형성하여 가스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현재 우리 나라에서의 사용되는 통상의 부탄가스 용기는 평상시 압력이 약 2~3㎏/㎠이며 1차 안전장치의 작동은 보통 5~7㎏/㎠에서 이루어진다.
또한 고압가스안전법규상의 가스용기의 규격은 15㎏/㎠까지는 파열되지 않아야 하며 13㎏/㎠까지는 변형되지 않도록 규정되어 있어 본 발명의 작동은 10㎏/㎠을 전후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가스용기의 내압이 위험압력(5~7㎏/㎠, 또는 4~6㎏/㎠)에 도달하면 1차 안전장치인 유로차단식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가스흐름이 차단되어 소화된 상태에서, 냄비나 불판으로부터 계속되는 복사열등에 의하여 가스용기의 내압이 상승하여 폭발임계압력 이전의 일정압력범위에서 이차적으로 가스를 외부로 방출하여 용기내압을 낮추고 또한 용기내압이 일정압력 이하로 낮아지면 가스방출을 차단함으로써 가스용기의 폭발을 근본적으로 막아주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로서, 다리(7)에서 분리된 고무실링(75)과 밀봉축(73)과 압축스프링(76)과 하부캡(8)으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하부캡(8)에 형성된 가이드홀(81)에는 배기홈(83)이 수 개 형성되어 가스가 배출되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상기 하부캡(8)의 중앙에는 배기홀(84)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면 중앙에는 고정턱(85)이 형성되어 압축스프링(76)이 안착되고, 상기 압축스프링(76)의 상단에 밀착되는 걸림턱(74a)이 형성되어 있으며 아래 방향으로 압축스프링(76)의 내경에 상응하는 고정쇠(74b)와 상 방향으로 링형상의 고무링(78)이 장착되는 돌출부(74c)가 일체로 형성된 밀봉축(73a)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배기홀(84)의 형성이 용이하고 밀봉축(73a)이 압축스프링(76)에 장착된 형식이므로 동작부의 부식이나 마모에 의한 오작동 우려가 적고 압축스프링(76)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힘의 대부분이기에 적정압력에서의 감지율이 좋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로서, 다리(7)에서 분리된 고무링(78)과 밀봉축(73a)과 압축스프링(76)과 하부캡(8)으로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하부캡(8)에 형성된 배기홀(84)로 가스가 배출되도록 구성됨을 나타내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하부캡(8)의 상면에는 고정홈(8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홈(86)에 상응하는 상방향으로 볼록한 판스프링(79)이 장착되며, 상기 판스프링(79)의 상면 중앙부에는 밀봉축(73c)이 장착되어 상기 밀봉축(73c)의 상단에 걸림턱(74)과 고무실링(75)이 장착되어 가스배출로(71)에 상응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가스의 압력이 상승하면 상기 판스프링(79)은 개방상태(79b)로 되어 가스는 밀봉실(72)의 내부를 지나 배기공(77)으로 배출되고 이 후 다시 폐쇄상태(79a)로 되어 가스 배출을 차단하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차 안전정치가 작동된 상태에서 가스용기가 복사열에 의해 폭발위험 압력까지 상승하였을 때 가스를 자동으로 배출하게 하여 압력을 낮추고 다시 복귀하도록 하여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정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위험압력에 도달하면 유로를 차단하도록 구성된 유로차단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가스렌지에 있어서,
    가스주입구와 연결된 가스통로 일측에 형성된 가스배출로;
    상기 가스배출로와 연결되고 다리내부에 형성되며 그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밀봉실;
    중앙에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홀의 측면으로 밀봉실의 내부와 외부가 연결 될 수 있도록 수개의 배기홈이 형성되어 상기 밀봉실의 하부와 결합되는 하부캡;
    상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 상면에 가스배출로를 개폐하는 고무실링이 장착되어 상기 밀봉실 내부에 위치하는 밀봉축; 및
    상기 걸림턱의 하부와 상기 하부캡의 상면 사이에 장착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은 중앙에 배기홀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압축스프링 안착용 고정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축은 상기 압축스프링의 상단과 밀착되는 걸림턱의 상단에 링형상의 고무링이 장착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아래쪽으로 압축스프링의 내경에 안착되는 고정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은 판스프링이며, 상기 판스프링 상면부에 밀봉축의 하단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폭발방지장치.
KR10-2001-0020940A 2001-04-18 2001-04-18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KR100399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940A KR100399766B1 (ko) 2001-04-18 2001-04-18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US10/471,173 US7207346B2 (en) 2001-04-18 2002-04-17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PCT/KR2002/000698 WO2002084179A1 (en) 2001-04-18 2002-04-17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CNB028085140A CN1224799C (zh) 2001-04-18 2002-04-17 便携式气体炉的防爆装置
JP2002581888A JP3739359B2 (ja) 2001-04-18 2002-04-17 携帯用ガスコンロの爆発防止装置
EP02718681A EP1379815A4 (en) 2001-04-18 2002-04-17 HYDROSTAT FOR PORTABLE GAS
HK04109666A HK1066853A1 (en) 2001-04-18 2004-12-07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20940A KR100399766B1 (ko) 2001-04-18 2001-04-18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999A KR20020080999A (ko) 2002-10-26
KR100399766B1 true KR100399766B1 (ko) 2003-09-26

Family

ID=2770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0940A KR100399766B1 (ko) 2001-04-18 2001-04-18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97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90B1 (ko) * 2001-11-24 2004-05-17 박진하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100714075B1 (ko) * 2005-02-28 2007-05-04 주식회사 승일 가스렌지의 용기 과압 안전장치
CN101692373B (zh) * 2009-09-17 2011-04-06 徐放鸣 一种隔爆型阀用电磁铁
KR102028395B1 (ko) * 2018-11-22 2019-10-04 주식회사 지라프 과압 방지 장치를 구비한 이동식 가스기기용 거버너 및 이를 구비한 이동식 가스기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5677U (ko) * 1975-12-10 1977-07-18
JPS5345982U (ko) * 1976-09-22 1978-04-19
KR20000021335U (ko) * 1999-05-26 2000-12-26 홍승덕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조정기 안전밸브
KR20010008025A (ko) * 2000-11-03 2001-02-05 문성남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95677U (ko) * 1975-12-10 1977-07-18
JPS5345982U (ko) * 1976-09-22 1978-04-19
KR20000021335U (ko) * 1999-05-26 2000-12-26 홍승덕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조정기 안전밸브
KR20010008025A (ko) * 2000-11-03 2001-02-05 문성남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0999A (ko) 200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1368A (ko) 가스연료용기의 안전밸브장치
KR101523974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JP3787704B2 (ja) 携帯用ガスコンロの安全装置及びその安全装置の作動方法
KR101381368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 방지장치
KR100399766B1 (ko)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KR100392794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US7207346B2 (en)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KR100431590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101912704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유로차단식 안전밸브
KR20160090157A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KR20170060847A (ko) 가스통의 가스 배출 방지용 안전장치
KR101189551B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조정기 안전밸브
KR101650717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KR100636840B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가스통 폭발 방지 장치
KR200373491Y1 (ko) 휴대용 안전 가스렌지
TW593928B (en)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KR20030088150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20030088149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200336213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200352166Y1 (ko) 압력변화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20160090158A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KR20030088151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과압안전장치
KR20030091112A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유로차단식 과압안전장치
KR0132710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KR200344343Y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가스통 폭발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624

Effective date: 2006012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300011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40624

Effective date: 2006012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