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717B1 -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 Google Patents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717B1
KR101650717B1 KR1020150010096A KR20150010096A KR101650717B1 KR 101650717 B1 KR101650717 B1 KR 101650717B1 KR 1020150010096 A KR1020150010096 A KR 1020150010096A KR 20150010096 A KR20150010096 A KR 20150010096A KR 101650717 B1 KR101650717 B1 KR 101650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em
valve
gas
safet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0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156A (ko
Inventor
김종주
Original Assignee
임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우 filed Critical 임상우
Priority to KR1020150010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7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90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1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with fracturing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fety Valv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 용기의 2단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 가스 용기의 내부 및 외부가 연통 가능하도록 용기 내부로부터 상기 밀폐판의 관통공에 삽입 장착되는 중공의 밸브스템부와, 밸브스템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안전밸브챔버에 수용되어 설정된 압력이상에서 변위되도록 탄성력으로 지지되는 안전밸브와, 안전밸브의 하부를 지지 밀폐하고, 상기 밸브스템부의 하단부에 삽입 O-링 결합되는 중공의 스템하단부와, 스템하단부의 외경부에 삽입되어 밸브스템부를 탄성지지하는 스템스프링과, 스템스프링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용기 돌출부 내에 수용되어 밀폐판의 하부 외연부와 밀착 접촉하여 상기 밸브스템부, 스템하단부 및 스템스프링을 밀폐수용하여 용기 내의 압축가스를 유도하는 스템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는, 가스 용기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면, 1단계로 안전밸브의 개폐부재가 상향 이동하여 스템개구부를 차단하여 가스레인지를 소화시키고, 용기 내의 압력이 더욱 상승하게 되면 2단계로 개폐부재가 확장공간으로 이동되어 용기 내의 과압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화재사고가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용기 내의 과압이 외부로 방출되어 가스용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TWO-STAGE SAFETY VALVE FOR PORTABLE GAS CONTAINER}
본 발명은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2단 안전밸브가 작동하여 우선 가스레인지를 소화시킨 다음, 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외부로 방출시켜 가스용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안전장치 강화 조치는 꾸준히 계속되어 오고 있으나 폭발사고는 줄어들지 않고 있다.
휴대용 가스레인지는 연간 약 320만여대가 생산되고 있으며, 현재 1,600만 여대가 사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휴대용 가스레인지 폭발사고 건수는 최근 5년간 124건으로 전체 가스폭발사고의 19%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인명피해는 5년간 사망 2명, 부상 186명에 달한다.
이와 같은 사고는 휴대용 가스레인지에 폭발방지장치를 장착하는 것으로 발생하지 않았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휴대용 가스레인지 안전장치는 지난 30여년간 용기이탈식 안전장치를 장착해왔다.
하지만 이 장치는 과압차단은 가능하지만 폭발의 근원인 부탄가스 용기 내부의 압력상승은 막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안전장치가 2009년 가스안전연구원에서 발표한 방출밸브를 사용한 2차(2중) 안전장치이다.
2차 안전장치는 부탄캔 폭발 직전에 가스방출로 캔 압력 저하를 일으키며, 기존의 용기 이탈식 1차안전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실제 실험에 따르면 연탄불위에서 휴대용가스렌지를 사용하여도 폭발하지 않을 정도로 안전에 최적화된 장치라 할 수 있다.
종래의 대표적인 2중 안전장치 기술로는 스프링 방식(한국 등록특허 10-1346545호)과 CRV(Countersink Release Valve) 방식(한국 등록특허 10-1292010)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한국 등록특허 10-1346545호의 스프링 방식의 대표도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엘보우 형태로 형성되고 공간부(11a)가 내부에 형성된 수직부(11)와, 수직부(11)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12)로 구성된 메인 하우징(10)과, 메인하우징(10)과 연결리브(70)에 의해 수직부(11)에 평행하게 서브하우징(50)이 설치되어 그 내부에는 과압가스가 배출되는 과압가스유로(50a)가 형성되며, 그 하단은 메인하우징(10)의 수평부(12)와 과압가스 유입홀(12a)에 의해 연통되도록 형성된 폭발방지밸브에 있어서,
메인하우징(10)의 수직부(11)에 밸브스템 어셈블리를 삽입하는 단계와; 서브하우징(50)에 안전밸브(60)를 삽입하는 단계와; 메인하우징(10)의 고정홈(3a) 중앙과 마운팅캡(3)에 형성된 노치 중앙과의 연결선 상에 위치하도록 위치설정하는 단계와; 메인하우징(10)의 수직부를 마운팅캡(3)의 고정홈(3a)내에 압입하는 단계; 및 고정홈의 외주연을 공압으로 작동되는 다수개의 암으로 구성된 크림핑(Crimping) 수단으로 압착하여 마운팅캡을 수직부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서브하우징(50)에 안전밸브(60)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안전밸브(60)는 서브하우징(50)내에 과압가스 유입홀(12a)을 개폐하는 개폐부재(61)와, 개폐부재(61) 위에 안치되는 압축스프링(62)을 삽입하는 단계와, 압축스프링(62) 위에 중심부에 홀(63a)이 형성된 압축스프링 고정판(63)을 삽입하되, 고정판(63) 외주면이 서브하우징(50)의 내주면보다 공차범위 내에서 크게 형성되어 압축스프링(62)의 탄성력이 일정 기준치가 될 때까지 상기 스프링 고정판(63)을 압입하면 그 위치에서 서브하우징(50) 내면에 고정되는 단계 및 서브 하우징(50)의 상부에 기밀유지 가스켓(64)을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의 조립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도 2는 한국 등록특허 10-1292010호의 CRV 방식의 대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의 상단(上端)에 결합된 마운팅컵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밸브스템을 통해 가스를 분출시키고, 용기내의 압력이 규정된 압력보다 높아진 경우 밸브스템과 별도로 형성된 안전밸브를 통해 용기 내의 과압가스를 외부로 분출시키는 휴대용 가스용기에 장착되는 안전밸브에 있어서,
안전밸브는, 하단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개구(開口)된 상단(上端)을 고압가스 배출홀이 형성된 부분의 마운팅컵 하면에 용접하여 고정 설치되는 안전밸브하우징; 외주면이 상기 안전밸브하우징의 내주면과 나사결합하여 설치되며, 중앙부분에 상하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 상단부가 상기 스토퍼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스토퍼의 관통공에 삽입되고, 하단이 안전밸브하우징에 형성된 통공에 관통 삽입되어 위치하는 샤프트; 샤프트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스프링; 상단이 스프링의 하단에 위치하면서 샤프트의 하부에 형성된 외향돌턱의 상단에 걸쳐져서 위치하는 받침부재; 샤프트의 하단부에 끼워지고, 상단은 상기 외향돌턱의 하단에 접하며, 하부는 안전밸브하우징의 통공이 형성된 부분과 샤프트 사이를 밀폐하도록 위치하는 가스켓;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폭발방지 개스밸브나 안전밸브는 가스레인지에 장착되어 사용중인 경우, 가스레인지의 불꽃이 소화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작스럽게 대량의 가스가 분출되어 가스용기의 압력이 낮아져 폭발은 방지되지만, 가스용기의 외부로 분출된 대량의 가스가 가스레인지의 불꽃에 닿아 인화됨으로써 화재가 발생하거나 사용자에게 화상을 입히는 등의 2차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는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1. 한국 등록특허 10-1346545호(2013,12.23) 2. 한국 등록특허 10-1292010호(2013.08,01)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용기 내에 과압이 발생하여 폭발방지를 위한 가스가 대량으로 방출되기 전에 1차적으로 가스레인지에 공급되는 가스를 차단하여 가스레인지의 불을 소화시킴으로써 방출된 가스로 인한 2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부탄가스가 충전된 휴대용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경우, 과압가스를 용기 외부로 방출시켜 가스용기가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에 있어서, 바닥이 밀폐된 금속재 원통형 용기 상부와 밀폐되게 고정되고 중앙상부가 돌출된 마운팅 캡과; 상기 마운팅 캡 중앙 하부면에 구비되는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 하부에 구비되고, 공간부가 구비되며, 하부에 가스 유입로가 구비되는 스템 하우징과; 상기 스템 하우징의 공간부에 구비되는 지지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승.하강 되어 외부와 용기 내부를 개폐하는 중공의 밸브스템부와; 상기 밸브스템부 내부에 구비되어 용기의 압력에 의해 가스배출을 제어하는 밸브제어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부는, 긴 중공의 봉 형상을 이루고, 중앙 일측에 스템개구부가 구비되고, 상부 끝단에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지지링이 다단을 이루게 구비되어 상부에 배출구가 통공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부의 상부에 보조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조개폐부재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밸브제어부는 상기 밸브스템부 중공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 상부에 밀폐되게 안착되는 제어판과; 상기 제어판을 승.하강 제어하는 안전스프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은 상기 용기 내의 압력이 12kg~13kg/㎠ 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부로 상승하고, 15kg/ 이상의 과압일 경우 상승된 과압에 의해 파손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는, 가스 용기의 외부 온도상승으로 인해 가스용기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높아지면, 1단계로 안전밸브의 밸브제어부에 의해 스템개구부를 차단하여 가스레인지를 소화시켜 화재 원인 또는 화상의 위험을 1차적으로 차단하고, 압력해소시 용기를 제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내의 압력이 더욱 상승하게 되면 2단계로 안전밸브의 밸브제어부에 의해 용기 내의 과압이 외부로 방출됨으로 휴대용 가스용기의 폭발에 의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용 가스용기의 밸브스템부만 교체하여 사용가능함으로 기존의 휴대용 가스용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를 도시한 대표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 안전밸브가 휴대용 부탄가스 용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안전밸브가 가스레인지에 장착되어 부탄가스가 정상적으로 분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용기 내에 과압이 발생한 경우 1차적으로 용기 내의 가스분출이 차단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용기 내에 과압이 더욱 상승한 경우 2차적으로 용기 내의 가스가 용기 외부로 방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밸브(100)는, 마운팅캡(MC), 밀폐판(102), 스템하우징(104), 밸브스템부(120), 밸브제어부(140)으로 구비된다.
상기 마운팅캡(MC)은, 바닥이 밀폐된 금속재 원통형 용기(C) 상부와 밀폐되게 고정되고, 중앙부는 함몰되고 함몰부의 중심이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부 중심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폐판(102)은, 상기 마운팅캡(MC) 중앙 돌출부의 용기 내부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된 도넛 형상을 이루게 구비되며, 용기(C)의 가스 성분에 물성이 변하지 않는 탄성재의 합성고무 재질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템하우징(104)은, 상기 밀폐판(102) 하부에 밀폐되게 구비되고, 공간부(106)가 구비되며, 하부에 가스유입로(108)가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가스유일(108)로 둘레로 적어도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보조유입로(109)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스템부(120)는, 상기 스템하우징(104)의 공간부(106)에 구비되는 지지스프링(110)에 의해 승.하강 되어 외부와 용기(C) 내부를 개폐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스템부(120)는, 긴 중공의 봉 형상을 이루고, 중앙 일측에 스템개구부(122)가 구비되어 상기 밀폐판(102)의 중앙에 밀폐되게 끼워져 상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이룬다.
아울러, 하부는 지지스프링(110)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상기 스템하우징(104)의 공간부(106)에 일정높이를 이루게 부양된 상태를 이룬다.
또한, 상기 밸브스템부(120)는, 상부 끝단에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지지링(124)이 다단을 이루게 구비되어 상부에 배출구(129)가 통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스템부(120)의 상부에 보조배출구(126)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배출구(126)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조개폐부재(128)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배출구(126)는 상기 지지링(124)을 관통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개폐부재(128)는 상기 보조배출구(126)의 개폐를 위하여 소정의 탄성을 지닌 링 또는 상기 보조배출구(126)에 억지 끼움되는 볼과 상기 볼을 일정압력 이상으로 고정하는 커버 또는 탄성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밸브제어부(140)는, 상기 밸브스템부(120) 내부에 구비되어 용기(C)의 압력에 의해 가스배출을 제어하게 구비된다.
상기 밸브제어부(140)는 상기 밸브스템부(120)) 중공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링(142)과, 상기 고정링(142) 상부에 밀폐되게 안착되는 제어판(144)과, 상기 제어판(144)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안전스프링(146)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전스프링(146)은 상기 밸브스템부(120) 상부에 구비되는 지지링(124)에 상부가 지지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스프링(146) 하부에 제어판(144)이 삽입되게 설치된 후 상기 고정링(142)이 상기 밸브스템부(120) 중공 내측 하부에 억지끼움과 같은 공지의 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어판(144)은 상기 고정링(142) 상부에 안착되어 안전스프링(146)의 압력에 의해 고정링(142) 상부에 밀폐된 상태를 이루게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판(144)은 상기 용기 내의 압력이 12kg~13kg/㎠ 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부로 상승하고, 15kg/㎠ 이상의 과압일 경우 상승된 과압에 의해 파손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판(144)은 밀폐가 용이하고 일정압력 이상에서는 파손되는 합성수지재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의 결합관계와 동작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우선, 마운팅캡(MC)의 내측 하부에 밀폐판(102)이 밀폐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판(102)의 중앙에 밸브스템부(120)의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판(102) 하부에 스템하우징(104)의 상부가 밀폐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스템하우징(104)의 공간부(106)에 지지스프링(110)이 구비되어 상기 밸브스템부(120)가 소정의 높이를 이루어 부양된 상태를 이루며, 밸브스템부(120)의 스템개구부(122)가 밀폐판(102)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호 밀폐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캡(MC)은 용기의 상부에 밀폐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호 밀폐되게 결합된 안전밸브(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에는 밀폐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가스렌지에 의한 사용시 밸브스템부(120)가 눌림되어 스템개구부(122)가 개방된다.
그러므로, 스템하우징(104)의 유입로(108)에 의해 유입되는 가스가 외부로 배출구(129)로 배출되어 용이하게 휴대용 가스용기를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밸브제어부(140)는 안전스프링(146)에 의해 지지되어 제어판(144)에 의해 밀폐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C) 내의 온도 및 압력이 12kg~13kg/㎠로 증가하게 되면, 용기(C)내의 압력에 의해 밸브제어부(140)의 제어판(144)이 밀려 상부로 상승하게 되어 제어판(144)이 상기 밸브스템부(120)의 스템개구부(122)를 내부에서 밀폐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스템개구부(122)의 밀폐에 의해 용기내의 가스배출이 차단됨으로 휴대용 가스렌지는 소화되게 된다.
그러므로, 계속되는 가스의 배출에 의해 화재 및 화상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갑작스런 가스렌지의 소화에 의해 용기의 이상유무를 전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사전경고를 할 수 있다.
더욱이, 가스렌지의 소화 및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용기내의 압력이 해소되며, 안정스프링에 의해 제어판이 다시 하강함으로 휴대용 가스용기를 재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내의 온도 및 압력이 15kg/㎠ 이상의 과압일 경우 제어판(144)이 파손되어 용기 내의 가스가 배출구(129)를 통해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이는, 밸브스템부(120)의 스템개구부(122)의 개폐여부와 상관없이 중공된 밸브스템부(120)의 중공부분이 제어판(144)의 파손에 의해 완전개방됨으로 가스용기의 가스가 강제로 배출된다.
아울러, 가스의 신속한 배출을 위해 밸브스템부(120)의 보조배출구(126) 또한 배출압력에 의해 보조개폐부재(128)가 외측으로 밀려 개방됨으로 더욱 신속하게 용기내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는 용기(C) 내에 과압이 발생하게 되면 1차적으로 안전밸브의 밸브제어부가 스템개구부를 폐쇄하여 가스공급을 차단하여 가스레인지를 소화시키고, 가스 용기(C) 내의 압력이 더욱 상승하게 되면 밸브제어부의 제어판이 파손되어 2차적으로 과압을 외부에 방출시키게 되어 폭발에 이르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구조는 잔량이 남아있는 상태에서 용기(C)가 화염속이나 소각장에 투척되어도 서서히 분출되는 가스에 인화되어 폭발없이 안전하게 연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 용기 MC: 마운팅 캡
100: 안전밸브 102: 밀폐판
104: 스템하우징 106: 공간부
108: 유입로 109: 보조유입로
110: 지지스프링 120: 밸브스템부
122: 스템개구부 124: 지지링
126: 보조개구부 128: 보조개폐부재
129: 배출구 140: 밸브제어부
142: 고정링 144: 제어판
146: 안전스프링

Claims (5)

  1. 바닥이 밀폐된 금속재 원통형 용기 상부와 밀폐되게 고정되고 중앙상부가 돌출된 마운팅 캡과;
    상기 마운팅 캡 중앙 하부면에 구비되는 밀폐판과;
    상기 밀폐판 하부에 구비되고, 공간부가 구비되며, 하부에 가스 유입로가 구비되는 스템 하우징과;
    상기 스템 하우징의 공간부에 구비되는 지지스프링에 의해 승.하강 되어 외부와 용기 내부를 개폐하는 중공의 밸브스템부와;
    상기 밸브스템부 내부에 구비되어 용기의 압력에 의해 승.하강되어 가스배출을 제어하는 밸브제어부;로 구비되되,
    상기 밸브제어부는 상기 밸브스템부 중공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 상부에 밀폐되게 안착되는 제어판과;
    상기 제어판을 승.하강을 제어하는 안전스프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어판은 상기 용기 내의 압력이 12kg~13kg/㎠ 까지 상승하는 경우, 상부로 상승하고, 15kg/㎠ 이상의 과압일 경우 상승된 과압에 의해 파손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부는, 긴 중공의 봉 형상을 이루고, 중앙 일측에 스템개구부가 구비되고, 상부 끝단에 적어도 하나 또는 둘의 지지링이 다단을 이루게 구비되어 상부에 배출구가 통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스템부의 상부에 보조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보조배출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보조개폐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4. 삭제
  5. 삭제
KR1020150010096A 2015-01-21 2015-01-21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KR101650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096A KR101650717B1 (ko) 2015-01-21 2015-01-21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0096A KR101650717B1 (ko) 2015-01-21 2015-01-21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156A KR20160090156A (ko) 2016-07-29
KR101650717B1 true KR101650717B1 (ko) 2016-08-24

Family

ID=56617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0096A KR101650717B1 (ko) 2015-01-21 2015-01-21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8100B1 (ko) * 2019-12-06 2020-05-07 김석 고압 가스 개폐 밸브
CN115031160B (zh) * 2022-07-07 2023-11-17 义乌市奥飞创意设计有限公司 一种液化气防泄漏自稳压力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370Y1 (ko) 1999-09-17 2000-03-15 한용부 재충전 및 열원에 의한 폭발 방지 안전 장치를 부설한휴대용 고압 가스 용기.
KR200391317Y1 (ko) 2005-02-18 2005-08-02 이동하 안전판을 장치한 가스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5090A (ko) * 1998-11-02 2000-06-26 이토 기요타카 소형 압력용기에 있어서의 안전밸브장치
KR20030002000A (ko) * 2001-06-28 2003-01-08 박진하 에어로졸 용기의 과압 안전장치
KR101292010B1 (ko) 2011-06-15 2013-08-01 주식회사 대륙제관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101346545B1 (ko) 2011-09-23 2013-12-31 주식회사 화산 가스용기용 폭발방지밸브 및 그 조립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3370Y1 (ko) 1999-09-17 2000-03-15 한용부 재충전 및 열원에 의한 폭발 방지 안전 장치를 부설한휴대용 고압 가스 용기.
KR200391317Y1 (ko) 2005-02-18 2005-08-02 이동하 안전판을 장치한 가스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156A (ko) 2016-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974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CN108884971B (zh) 液化气罐安全阀
JP5937132B2 (ja) 携帯用ガス容器の爆発を防止するための超過圧排出用安全バルブ
KR101650717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KR20160041368A (ko) 가스연료용기의 안전밸브장치
US10683947B2 (en) Safety valve and gas cylinder having same
KR20160090157A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KR101281536B1 (ko) 과압방지 기능이 있는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US7207346B2 (en) Hydrostat for portable gas range
KR101775892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유로차단식 안전장치
KR101796963B1 (ko) 가스통의 가스 배출 방지용 안전장치
KR20160090158A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2단 안전밸브
KR101912704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유로차단식 안전밸브
KR100431590B1 (ko) 휴대용 가스레인지의 폭발방지장치
KR101495253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안전밸브
KR200391317Y1 (ko) 안전판을 장치한 가스 용기
KR100636840B1 (ko) 휴대용 가스버너의 가스통 폭발 방지 장치
KR101243778B1 (ko) 이물질에 의한 가스누출을 방지하는 휴대용 가스렌지의 조정기
KR100399766B1 (ko) 휴대용 가스렌지 폭발방지장치
CN110914596A (zh) 用于便携式燃气灶的可移动安全阀
KR101756437B1 (ko) 안전장치가 구비된 가스통
KR200485396Y1 (ko) 가스용기 안전장치
KR200352167Y1 (ko) 가스렌지의 저압 및 고압 일체형 안전장치
KR102320996B1 (ko) 휴대용 가스용기의 압력감지식 안전밸브
KR100585213B1 (ko) 압력변화에 따른 휴대용 가스렌지의 안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