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562B1 - 내압형 국솥 장치 - Google Patents

내압형 국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562B1
KR102139562B1 KR1020190089901A KR20190089901A KR102139562B1 KR 102139562 B1 KR102139562 B1 KR 102139562B1 KR 1020190089901 A KR1020190089901 A KR 1020190089901A KR 20190089901 A KR20190089901 A KR 20190089901A KR 102139562 B1 KR102139562 B1 KR 102139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oup
hinge
container
li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재원
김웅찬
Original Assignee
벽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압형 국솥 장치에 구비되는 큰 하중의 뚜껑 부재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콘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서, 큰 하중의 뚜껑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그 뚜껑 부재를 국솥 용기의 상부로부터 이탈시키거나 국솥 용기의 상부에 장착하는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함과 아울러 국솥 용기와 큰 하중의 뚜껑 부재 간에 기밀을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동작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뚜껑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조정하는 스토핑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수평지지 부재를 반지름으로 하는 토크를 낮추어 수평지지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내압형 국솥 장치 {cooker having durability for pressure}
본 발명은 내부 증기에 의한 내압 발생구조를 갖는 내압형 국솥 장치에 대해 큰 하중의 뚜껑 부재를 사용자가 간편하게 콘트롤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큰 하중의 뚜껑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그 뚜껑 부재를 국솥 용기의 상부로부터 이탈시키거나 국솥 용기의 상부에 장착하는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함과 아울러 국솥 용기와 큰 하중의 뚜껑 부재 간에 기밀을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동작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식품 조리 공정이 이루어지는 영업점 등에서 사용하는 국솥 용기는 조리하고자 하는 내용물이 대용량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리의 효율을 위해서는 보통 큰 하중을 갖는 뚜껑을 활용한다.
이처럼, 국솥 용기가 대용량으로 제조되면 그에 따라 그 국솥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도 큰 규격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그런데, 국솥 용기가 내압형이 아닌 일반적인 국솥 용기라면 그 뚜껑을 얇은 경량으로 구성한 후 그 국솥 용기를 거치하는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레버(lever)에 연결함으로써 사용자는 그 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국솥 용기로부터 그 뚜껑을 열거나 덮는 동작을 큰 무리없이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국솥 용기가 내압형인 경우에는 그 뚜껑도 국솥 용기 내의 큰 압력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두껍고 무겁게 구성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그 무거운 하중의 뚜껑을 국솥 용기로부터 들어올리거나 내리는 동작을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설령, 종래와 같이 그 뚜껑에 별도의 레버를 연결한 상태로 국솥 용기로부터 그 뚜껑을 개폐하는 동작을 수행한다고 해도 쉽지 않은 일이다.
그에 따라, 작업자가 큰 하중을 갖는 뚜껑을 국솥 용기로부터 쉽게 들어올려 그 국솥 용기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고 그 이탈된 뚜껑을 국솥 용기의 상부에 거치하는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 구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큰 하중의 뚜껑 부재를 국솥 용기의 상부에서 개폐하는 동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내압형 국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뚜껑 부재의 하중을 지탱하는 뚜껑 지지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압형 국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압형 국솥 장치는 내측에 가열대상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막힌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의 국솥 용기(100); 국솥 용기의 상부 테두리 부분과 자신의 하면 테두리 부분이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국솥 용기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뚜껑 부재(200); 뚜껑 부재에 장착되며 뚜껑 부재에 장착된 상태로 국솥 용기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할 때 국솥 용기 내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안전변(300); 바닥면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뚜껑 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국솥 용기의 상부를 오픈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기둥 부재(410)와, 기둥 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뚜껑 부재의 연직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엘보우 부재(420)와, 엘보우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뚜껑 부재의 연직 상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 부재(430)와, 수평지지 부재에 장착되어 수평지지 부재를 구획하며 자신으로부터 엘보우 부재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수평지지 부재의 후단지지 부재(431)를 기준으로 후단지지 부재에 대향하는 수평지지 부재의 선단지지 부재(432)를 회동시킴에 따라 수평지지 부재를 반지름으로 하는 토크가 조정되도록 하는 힌지 부재(440)를 구비하는 뚜껑 지지대(400); 자신의 하단부가 뚜껑 부재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자신의 몸통부가 뚜껑 부재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선단지지 부재의 선단부와 나사결합되며 그 나사결합 동작으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뚜껑 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개폐 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선단지지 부재(432)는, 힌지 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원통형의 힌지회동 부재(4321); 자신의 선단부가 뚜껑개폐 부재에 나사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는 힌지회동 부재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힌지회동 부재를 기준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로드 부재(4322); 힌지회동 부재의 외부로부터 힌지회동 부재의 내측을 향해 힌지회동 부재를 관통하여 끼워지며 힌지회동 부재의 내측에 삽입된 자신의 선단부가 회동로드 부재의 외벽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을 출입함에 따라 힌지회동 부재에 대해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로드 부재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스토핑 부재(4323);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국솥 용기(100)는, 자신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외향하여 돌출 형성된 하부 플랜지 부재(110);를 구비하고, 뚜껑 부재(200)는, 자신의 테두리 부분이 하부 플랜지 부재와 맞닿도록 외향하여 돌출 형성된 상부 플랜지 부재(210);를 구비하고, 본 발명은 상부 플랜지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상부 플랜지 부재의 상면과 측벽에 맞닿는 복수 개의 상부 조임블록(610)과, 상부 조임블록의 연직하부에 대응하는 하부 플랜지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하부 플랜지 부재의 하면과 측벽에 맞닿는 복수 개의 하부 조임블록(620)과, 각각의 상부 조임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자신의 하단부가 각각의 하부 조임블록에 나사결합되며 그 나사결합 동작으로 상부 조임블록과 하부 조임블록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국솥 용기와 뚜껑 부재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복수 개의 조임핀(630)을 구비하는 조임 클램프(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국솥 용기의 바닥면에 인접하는 국솥 용기의 측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국솥 용기의 내측에 담긴 가열대상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부재(710); 국솥 용기의 양측벽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타단부에 외부에 거치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국솥 용기의 틸팅 각도를 조정하는 회전 샤프트(720); 회전 샤프트의 회전 동작을 사용자 조작으로 제어하는 회전조작 부재(7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둥 부재가 제자리 회전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큰 하중의 뚜껑 부재를 쉽게 컨트롤 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지지 부재를 폴딩할 수 있는 힌지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큰 하중의 뚜껑 부재를 지탱하고 있는 기둥 부재와 수평지지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조정하는 스토핑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수평지지 부재를 반지름으로 하는 토크를 낮추어 수평지지 부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개폐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국솥 용기로부터 뚜껑 부재의 착탈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뚜껑개폐 부재를 구비함에 따라 국솥 용기에 대한 뚜껑 부재의 가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임 클램프를 구비함에 따라 뚜껑개폐 부재와 함께 국솥 용기에 대한 뚜껑 부재의 가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압형 국솥 장치를 옆에서 바라 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압형 국솥 장치를 위에서 바라 본 예시도,
[도 3]은 [도 1]에서 뚜껑 부재와 그 인접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힌지 부재와 그 인접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서 뚜껑개폐 부재와 그 인접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서 스토핑 부재와 그 인접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3]에서 조임 클램프와 그 인접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에서 기둥 부재가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뚜껑 부재가 국솥 용기의 상부를 오픈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9]는 [도 8]에서 힌지 부재의 제자리 회전을 통해 수평지지 부재의 후단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선단지지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수평지지 부재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10]은 [도 9]에서 스토핑 부재의 조작에 따라 뚜껑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압형 국솥 장치를 옆에서 바라 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압형 국솥 장치를 위에서 바라 본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뚜껑 부재와 그 인접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국솥 용기(100), 뚜껑 부재(200), 안전변(300), 뚜껑 지지대(400), 뚜껑개폐 부재(500), 조임 클램프(600), 드레인 부재(710), 회전 샤프트(720), 회전조작 부재(730), 히터 부재(7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국솥 용기(10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내측에 가열대상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막힌 구조의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대용량(예: 360L)으로 구성되는데, 작업자가 국솥 용기(100)의 내용물을 수작업으로 퍼내는 일이 비효율적이므로 국솥 용기(100)로부터 내측의 가열대상 물질을 효과적으로 퍼낼 수 있도록 국솥 용기(100) 자체를 기울여 내용물을 쏟아내는 방식이 채용되는데 이 경우 그 국솥 용기(100)를 기울였다가 다시 세울 수 있도록 국솥 용기(100)는 지지프레임(10)에 거치된다.
이때, 국솥 용기(100)의 양측벽에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지지프레임(10)에 거치된 국솥 용기(100)가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 샤프트(720)가 연결된다. 이 회전 샤프트(720)를 회전축으로 하여 국솥 용기(100)는 측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똑바로 세워질 수 있다.
그리고, 회전 샤프트(720)를 기준으로 국솥 용기(10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회전 샤프트(720)에 대해 회전력을 인가할 필요가 있는데, 이 회전 샤프트(720)에 대한 회전력은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회전 샤프트(720)에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작업자의 수작업 외력을 전달하는 회전조작 부재(7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작업자가 그 회전조작 부재(730)를 돌리는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 샤프트(720)가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에 연동하여 국솥 용기(1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거나 똑바로 세워질 수 있다.
여기서, 국솥 용기(10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도 2]의 드레인 부재(710)를 통해 국솥 용기(100)의 내의 가열대상 물질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뚜껑 부재(200)는 국솥 용기(100)의 상부 테두리 부분과 자신의 하면 테두리 부분이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국솥 용기(100)의 내부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국솥 용기(100)는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자신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외향하여 돌출 형성된 하부 플랜지 부재(110)를 구비하고, 뚜껑 부재(200)는 자신의 테두리 부분이 하부 플랜지 부재(110)와 맞닿도록 외향하여 돌출 형성된 상부 플랜지 부재(2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 결과, 국솥 용기(100)의 상부에 뚜껑 부재(200)가 장착되면 뚜껑 부재(200)의 상부 플랜지 부재(210)와 국솥 용기(100)의 하부 플랜지 부재(110)가 상호 맞닿아 밀착됨으로써 국솥 용기(100)의 내외부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게 된다.
안전변(30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뚜껑 부재(200)의 상하부 관통이 가능하도록 뚜껑 부재(200)에 장착되며 뚜껑 부재(200)에 장착된 상태로 국솥 용기(100)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할 때 사용자의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도 국솥 용기(100) 내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뚜껑 지지대(400)는 뚜껑 부재(200)가 공중에 뜬 상태에서 그 뚜껑 부재(2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기둥 부재(410), 엘보우 부재(420), 수평지지 부재(430), 힌지 부재(440)를 구비할 수 있다.
기둥 부재(41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 결과, 기둥 부재(410)의 제자리 회전에 따라 뚜껑 부재(2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국솥 용기(100)의 상부를 오픈시키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여기서, 기둥 부재(410)의 제자리 회전에 따라 뚜껑 부재(200)가 국솥 용기(100)의 상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위해서는 먼저 뚜껑 부재(200)가 국솥 용기(100)의 상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뚜껑개폐 부재(500)가 뚜껑 부재(200)를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 국솥 용기(100)의 상단부로부터 뚜껑 부재(200)는 상방향으로 들뜬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그 상태에서 뚜껑 부재(200)는 수평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엘보우 부재(42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기둥 부재(410)의 상단부와 수평지지 부재(430)의 후단지지 부재(431)를 연결하는 형태로 뚜껑 부재(200)의 연직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수평지지 부재(43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엘보우 부재(420)에 연결된 상태로 뚜껑 부재(200)의 연직 상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힌지 부재(44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수평지지 부재(430)에 장착되어 수평지지 부재(430)를 구획하며 자신으로부터 엘보우 부재(420)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수평지지 부재(430)의 후단지지 부재(431)를 기준으로 후단지지 부재(431)에 대향하는 수평지지 부재(430)의 선단지지 부재(432)를 회동시킴에 따라 수평지지 부재(430)를 반지름으로 하는 토크가 조정되도록 한다.
즉, 수평지지 부재(430)는 힌지 부재(440)를 기준으로 후단지지 부재(431)와 선단지지 부재(432)가 상호 꺾인 구조로 폴딩되거나 바 형태로 일직선으로 확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기둥 부재(410), 엘보우 부재(420), 후단지지 부재(431)를 별도의 구성으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기둥 부재(410), 엘보우 부재(420), 후단지지 부재(431)의 구성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하나의 일체화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뚜껑개폐 부재(50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자신의 하단부가 뚜껑 부재(200)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자신의 몸통부가 뚜껑 부재(200)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선단지지 부재(432)의 선단부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뚜껑개폐 부재(500)는 [도 1]에서와 같이 선단지지 부재(432)와의 나사결합 동작으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뚜껑 부재(20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조임 클램프(600)는 [도 1]과 [도 3]에서와 같이 뚜껑 부재(200)의 상부 플랜지 부재(210)와 국솥 용기(100)의 하부 플랜지 부재(110)가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상부 플랜지 부재(210)와 하부 플랜지 부재(110)의 둘레를 따르는 복수의 위치에서 상부 플랜지 부재(210)와 하부 플랜지 부재(110)를 상호 클램핑함에 따라 상부 플랜지 부재(210)와 하부 플랜지 부재(110) 상호 간의 밀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조임 클램프(600)는 상부 플랜지(210)와 하부 플랜지(110) 중 어느하나의 위치에 고정된 고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플랜지(210)와 하부 플랜지(110)로부터 이탈된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드레인 부재(710)는 [도 2]에서와 같이 국솥 용기(100)의 바닥면에 인접하는 국솥 용기(100)의 측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국솥 용기(100)의 내측에 담긴 가열대상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회전 샤프트(72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국솥 용기(100)의 양측벽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타단부에 외부에 거치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국솥 용기(100)의 틸팅 각도를 조정한다.
회전조작 부재(73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회전 샤프트(720)의 회전 동작을 사용자 조작으로 제어한다.
한편, 히터 부재(74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 구비되고 국솥 용기(100)의 측벽을 감싸는 유체하우징의 측벽을 관통하여 그 유체하우징의 내측에 채워진 열전도유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히터 부재(740)는 열전도유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자신이 가열되면서 열전도유체를 가열시켜 결국 국솥 용기(100)를 간접으로 가열시킨다.
이때, 복수 개의 히터 부재(74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유체하우징에 대해 개별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히터 부재(740)를 포함한 국솥 장치의 유지관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복수 개의 히터 부재(740)는 각각 독립적으로 동작이 온오프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전도유체에 대한 가열 희망온도 조절이 간편해질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힌지 부재와 그 인접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힌지 부재(440)는 끼움 부재(442), 돌출 부재(441), 회동핀(443)를 구비할 수 있다.
끼움 부재(442)는 [도 4]에서와 같이 후단지지 부재(431)의 선단부에 상하방향 2단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 부재(441)는 [도 4]에서와 같이 힌지회동 부재(4321)의 후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끼움 부재(442)와 상호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회동핀(443)은 [도 4]에서와 같이 끼움 부재(442)와 돌출 부재(441)가 상호 교차하여 끼워진 상태에서 그 끼움 부재(442)와 돌출 부재(441)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그 결과, 후단지지 부재(431)를 기준으로 선단지지 부재(432)를 꺾으면 힌지 부재(440)가 회동함에 따라 후단지지 부재(431)와 선단지지 부재(432)가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호 꺾인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뚜껑개폐 부재와 그 인접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뚜껑개폐 부재(500)는 선단지지 부재(432)의 선단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뚜껑개폐 부재(500)는 [도 5]에서와 같이 나사봉(510), 걸림핀(520), 핸들링 부재(530)를 구비할 수 있다.
나사봉(510)이 선단지지 부재(432)의 선단부에 직접 관통하여 나사결합되며 그 나사봉(510)의 하단부는 [도 5]에서와 같이 뚜껑 부재(200)의 내측에 배치된 상태의 걸림핀(52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나사봉(510)이 선단지지 부재(432)와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사봉(510)이 하방향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간접으로 나사봉(510)과 연결된 뚜껑 부재(200)도 하방향으로 내려가는 힘을 받게 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나사봉(510)이 상방향으로 올라가기 때문에 간접으로 나사봉(510)과 연결된 뚜껑 부재(200)도 상방향으로 올라가는 힘을 받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나사봉(51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나사봉(510)의 상단부에는 그립이 용이한 형태의 핸들링 부재(530)를 [도 5]에서와 같이 구비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3]에서 스토핑 부재와 그 인접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선단지지 부재(432)는 힌지회동 부재(4321), 회동로드 부재(4322), 스토핑 부재(43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힌지회동 부재(4321)는 [도 2]와 [도 6]에서와 같이 선단지지 부재(432)의 일부분으로서 힌지 부재(440)에 힌지 결합되며 속이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로드 부재(4322)는 [도 2]와 [도 6]에서와 같이 자신의 선단부가 뚜껑개폐 부재(500)에 나사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는 힌지회동 부재(4321)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힌지회동 부재(4321)를 기준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하게, 회동로드 부재(4322)가 힌지회동 부재(4321)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제자리 회전하게 되면 회동로드 부재(4322)의 선단부에 연결된 상태의 뚜껑 부재(200)도 회전하여 상하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스토핑 부재(4323)는 [도 2]와 [도 6]에서와 같이 힌지회동 부재(4321)의 외부로부터 힌지회동 부재(4321)의 내측을 향해 힌지회동 부재(4321)를 관통하여 끼워지며 힌지회동 부재(4321)의 내측에 삽입된 자신의 선단부가 회동로드 부재(4322)의 외벽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4322a)에 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처럼, 스토핑 부재(4323)가 복수의 걸림홈(4322a)에 출입함에 따라 힌지회동 부재(4321)에 대해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동로드 부재(4322)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킬 수 있다.
즉, 스토핑 부재(4323)는 회동로드 부재(4322)가 힌지회동 부재(4321)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제자리 회전할 때 그 회전 동작을 스토핑하거나 그 회전 동작을 자유롭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스토핑 부재(4323)는 바람직하게는 [도 6]에서와 같이 고정 부싱(4323a), 가동 로드(4323b), 텐션 부재(4323c), 손잡이(4323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싱(4323a)은 힌지회동 부재(4321)의 외표면에 고정되고, 가동 로드(4323b)는 고정 부싱(4323a)와 힌지회동 부재(4321)를 관통하는 상태로 걸림홈(4322a)을 향해 스트로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 로드(4323b)는 텐션 부재(4323c)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4322a) 방향으로 외력을 받는다. 이 경우 가동 로드(4323b)는 걸림홈(4322a)에 끼워져 힌지회동 부재(4321)를 기준으로 한 회동로드 부재(4322)의 제자리 회전 동작을 스토핑한다.
한편,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동 로드(4323b)가 탄성력에 의한 외력을 극복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 가동 로드(4323b)의 선단부는 걸림홈(4322a)으로부터 이탈된다.
이 경우 가동 로드(4323b)는 걸림홈(4322a)으로부터 이탈되어 힌지회동 부재(4321)를 기준으로 한 회동로드 부재(4322)의 제자리 회전 동작이 자유롭게 된다.
[도 7]은 [도 3]에서 조임 클램프와 그 인접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임 클램프(600)는 상부 조임블록(610), 하부 조임블록(620), 조임핀(6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조임블록(610)은 [도 1]과 [도 7]에서와 같이 상부 플랜지 부재(210)의 상면과 측벽에 맞닿도록 상부 플랜지 부재(2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조임블록(620)은 [도 1]과 [도 7]에서와 같이 상부 조임블록(610)의 연직하부에 대응하는 하부 플랜지 부재(110)의 하면과 측벽에 맞닿도록 하부 플랜지 부재(1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조임핀(630)은 [도 1]과 [도 7]에서와 같이 각각의 상부 조임블록(6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자신의 하단부가 각각의 하부 조임블록(620)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부 조임블록(610)과 하부 조임블록(620)에 대한 조임핀(630)의 나사결합 동작으로 상부 조임블록(610)과 하부 조임블록(62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결국 국솥 용기(100)와 뚜껑 부재(200) 상호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상부 조임블록(610)과 하부 조임블록(620)에 대한 조임핀(630)의 나사결합 동작으로 상부 조임블록(610)과 하부 조임블록(620) 간의 이격 거리가 조정되면 결국 국솥 용기(100)와 뚜껑 부재(200) 간의 밀폐 정도가 조정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서 기둥 부재가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뚜껑 부재가 국솥 용기의 상부를 오픈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힌지 부재의 제자리 회전을 통해 수평지지 부재의 후단지지 부재를 기준으로 선단지지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수평지지 부재가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도 9]에서 스토핑 부재의 조작에 따라 뚜껑 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뚜겅 부재(200)가 국솥 용기(100)로부터 이탈되어 거치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국솥 용기(100)의 상부에 뚜껑 부재(200)가 거치된 상태로 뚜껑 부재(200)가 국솥 용기(100)의 상단부를 내외부 차단시킬 수 있다.
[도 1]과 [도 2]의 상태에서 큰 하중을 갖는 뚜껑 부재(200)를 국솥 용기(100)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사용자가 뚜껑개폐 부재(500)를 조작함에 따라 뚜껑 부재(200)가 국솥 용기(100)의 상단부와 들뜬 상태가 되도록 뚜껑 부재(200)를 상방향으로 들어 올려야 한다.
즉, 뚜껑 부재(200)가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그 뚜껑 부재(200)의 하면이 국솥 용기(100)의 상단부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그 뚜껑 부재(200)를 들어 올려야 한다.
이처럼, 뚜껑 부재(200)의 하면이 국솥 용기(100)의 상단부에 걸리지 않을 정도로 그 뚜껑 부재(200)가 국솥 용기(100)의 상부로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 8]에서와 같이 기둥 부재(410)를 회전축으로 해서 수평지지 부재(430)를 수평방향으로 밀 수 있다.
[도 8]의 상태에서는 뚜껑 부재(200)의 하중으로 인해 수평지지 부재(430)에 가해지는 외력이 매우 크다는 문제가 있으며, 뚜껑 부재(200)와 수평지지 부재(430)의 하중으로 인해 기둥 부재(410)에 가해지는 외력이 매우 커서 기둥 부재(410)의 내구성도 떨어질 수 있다.
즉, 수평지지 부재(430)를 반지름으로 하는 토크가 크면 클수록 수평지지 부재(430)와 기둥 부재(410)가 감당해야 하는 외력이 증가하기 때문에 그 토크를 낮추는 방향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 9]에서와 같이 힌지 부재(440)를 기준으로 수평지지 부재(430)를 폴딩함에 따라 수평지지 부재(430)를 반지름으로 하는 토크를 낮출 수 있고 결국 수평지지 부재(430)와 기둥 부재(410)에 가해지는 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수평지지 부재(430)와 기둥 부재(410)에 가해지는 외력을 좀더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도 10]에서와 같이 뚜껑 부재(200)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스토핑 부재(4323)의 사용자 조작과 함께 힌지회동 부재(4321)를 기준으로 회동로드 부재(4322)를 제자리 회전시킬 수도 있다.
이처럼, 뚜껑 부재(200)를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구성하는 경우, 부수적인 장점으로는 내압형 국솥 장치의 설치공간 확보와 뚜껑 부재(200)의 조작에 따른 거치 공간의 확보가 유리하고 작업자의 통로 확보에 있어서도 유리하다.
10 : 지지프레임
100 : 국솥 용기
110 : 하부 플랜지 부재
200 : 뚜껑 부재
210 : 상부 플랜지 부재
300 : 안전변
400 : 뚜껑 지지대
410 : 기둥 부재
411 : 회전지지 부재
420 : 엘보우 부재
430 : 수평지지 부재
431 : 후단지지 부재
432 : 선단지지 부재
4321 : 힌지회동 부재
4322 : 회동로드 부재
4322a : 걸림홈
4323 : 스토핑 부재
4323a : 고정 부싱
4323b : 가동 로드
4323c : 텐션 부재
4323d : 손잡이
440 : 힌지 부재
441 : 돌출 부재
442 : 끼움 부재
443 : 회동핀
500 : 뚜껑개폐 부재
510 : 나사봉
520 : 걸림핀
530 : 핸들링 부재
600 : 조임 클램프
610 : 상부 조임블록
620 : 하부 조임블록
630 : 조임핀
710 : 드레인 부재
720 : 회전 샤프트
730 : 회전조작 부재
740 : 히터 부재

Claims (4)

  1. 내측에 가열대상 물질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는 개구되고 하부는 막힌 구조를 이루는 원통형의 국솥 용기(100);
    상기 국솥 용기의 상부 테두리 부분과 자신의 하면 테두리 부분이 상호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국솥 용기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뚜껑 부재(200);
    상기 뚜껑 부재에 장착되며 상기 뚜껑 부재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국솥 용기 내의 압력이 소정 압력을 초과할 때 상기 국솥 용기 내의 증기를 배출시키는 안전변(300);
    바닥면에 하단부가 연결되고 상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이 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상기 뚜껑 부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국솥 용기의 상부를 오픈시키거나 폐쇄시키는 기둥 부재(410)와, 상기 기둥 부재의 상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뚜껑 부재의 연직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엘보우 부재(420)와, 상기 엘보우 부재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뚜껑 부재의 연직 상부까지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지지 부재(430)와, 상기 수평지지 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수평지지 부재를 구획하며 자신으로부터 상기 엘보우 부재에 이르기까지의 구간에 대응하는 상기 수평지지 부재의 후단지지 부재(431)를 기준으로 상기 후단지지 부재에 대향하는 상기 수평지지 부재의 선단지지 부재(432)를 회동시킴에 따라 상기 수평지지 부재를 반지름으로 하는 토크가 조정되도록 하는 힌지 부재(440)를 구비하는 뚜껑 지지대(400);
    자신의 하단부가 상기 뚜껑 부재의 중앙부와 연결되고 자신의 몸통부가 상기 뚜껑 부재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상기 선단지지 부재의 선단부와 나사결합되며 그 나사결합 동작으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뚜껑 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뚜껑개폐 부재(5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압형 국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선단지지 부재(432)는,
    상기 힌지 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원통형의 힌지회동 부재(4321);
    자신의 선단부가 상기 뚜껑개폐 부재에 나사결합되고 자신의 후단부는 상기 힌지회동 부재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힌지회동 부재를 기준으로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로드 부재(4322);
    상기 힌지회동 부재의 외부로부터 상기 힌지회동 부재의 내측을 향해 상기 힌지회동 부재를 관통하여 끼워지며 상기 힌지회동 부재의 내측에 삽입된 자신의 선단부가 상기 회동로드 부재의 외벽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홈을 출입함에 따라 상기 힌지회동 부재에 대해 제자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기 회동로드 부재의 움직임을 고정시키거나 해제시키는 스토핑 부재(4323);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형 국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국솥 용기(100)는,
    자신의 상부 테두리 부분이 외향하여 돌출 형성된 하부 플랜지 부재(110);
    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 부재(200)는,
    자신의 테두리 부분이 상기 하부 플랜지 부재와 맞닿도록 외향하여 돌출 형성된 상부 플랜지 부재(210);
    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플랜지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상부 플랜지 부재의 상면과 측벽에 맞닿는 복수 개의 상부 조임블록(610)과, 상기 상부 조임블록의 연직하부에 대응하는 상기 하부 플랜지 부재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하부 플랜지 부재의 하면과 측벽에 맞닿는 복수 개의 하부 조임블록(620)과, 각각의 상기 상부 조임블록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자신의 하단부가 각각의 상기 하부 조임블록에 나사결합되며 그 나사결합 동작으로 상기 상부 조임블록과 상기 하부 조임블록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에 따라 상기 국솥 용기와 상기 뚜껑 부재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정하는 복수 개의 조임핀(630)을 구비하는 조임 클램프(6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형 국솥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국솥 용기의 바닥면에 인접하는 상기 국솥 용기의 측벽을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국솥 용기의 내측에 담긴 가열대상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 부재(710);
    상기 국솥 용기의 양측벽에 각각 일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타단부에 외부에 거치된 상태로 제자리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국솥 용기의 틸팅 각도를 조정하는 회전 샤프트(720);
    상기 회전 샤프트의 회전 동작을 사용자 조작으로 제어하는 회전조작 부재(7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압형 국솥 장치.
KR1020190089901A 2019-07-24 2019-07-24 내압형 국솥 장치 KR102139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901A KR102139562B1 (ko) 2019-07-24 2019-07-24 내압형 국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901A KR102139562B1 (ko) 2019-07-24 2019-07-24 내압형 국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9562B1 true KR102139562B1 (ko) 2020-07-29

Family

ID=7189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901A KR102139562B1 (ko) 2019-07-24 2019-07-24 내압형 국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5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9756A (ko) * 1982-04-07 1983-12-23 오세택 압력솥의 자동증기 배출장치
KR20040029851A (ko) * 2002-10-02 2004-04-08 이응창 가압추출기의 덮개 개폐장치
KR20170120964A (ko) * 2016-04-22 2017-11-0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대형 솥용 조리도구 탄력 지지장치
KR20190050558A (ko) * 2017-11-03 2019-05-13 신이슬 범용 압력 조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30009756A (ko) * 1982-04-07 1983-12-23 오세택 압력솥의 자동증기 배출장치
KR20040029851A (ko) * 2002-10-02 2004-04-08 이응창 가압추출기의 덮개 개폐장치
KR20170120964A (ko) * 2016-04-22 2017-11-01 주식회사 에이치케이 대형 솥용 조리도구 탄력 지지장치
KR20190050558A (ko) * 2017-11-03 2019-05-13 신이슬 범용 압력 조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855B1 (ko) 전기조리기
US5465557A (en) Hinge assembly for vacuum packaging machine
US9708823B2 (en) Lift assembly and spa including the same
KR102139562B1 (ko) 내압형 국솥 장치
KR102055259B1 (ko) 솥 및 이를 포함하는 볶음장치
NO317878B1 (no) Innretning for tomming av transport- og lagerbeholdere for vaesker
KR100796816B1 (ko) 함침탱크의 덮개 개폐장치
US20080223222A1 (en) Baking or Heating Pot Provided With Adjustable Device For Inner Vapours Breathing
CN102406432A (zh) 一种多功能电饭锅
US8443721B2 (en) Food product steamer
KR101881003B1 (ko) 충진 노즐
CN110430794A (zh) 具有增强的盖手柄的食品加工机及其操作方法
KR102590029B1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용기용 뚜껑
JP2009195594A (ja) 炊飯器
KR101130797B1 (ko) 고압증기멸균기용 도어장치
KR102299434B1 (ko) 조리 장치
KR20170127936A (ko) 압력뚜껑 자동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는 압력조리기
EP3656260A1 (en) Equipment for the thermal preparation of food
KR100806319B1 (ko) 컨벡션오븐의 증기압 배출장치
KR200166309Y1 (ko) 배수출구자동개폐장치를갖는주전자
WO2020219194A1 (en) Popcorn machines having removable kettle assemblies
KR20090131465A (ko) 뚜껑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용기
JP3603812B2 (ja) 電気ポットの蓋部断熱構造
JP7361335B2 (ja) 炊飯器
KR101526207B1 (ko) 조리용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