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2029A - 압력 조절장치를 구비한 주전자 - Google Patents

압력 조절장치를 구비한 주전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2029A
KR20180002029A KR1020170078295A KR20170078295A KR20180002029A KR 20180002029 A KR20180002029 A KR 20180002029A KR 1020170078295 A KR1020170078295 A KR 1020170078295A KR 20170078295 A KR20170078295 A KR 20170078295A KR 20180002029 A KR20180002029 A KR 20180002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ttle
valve
steam
chamb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티에 프라데
Original Assignee
세브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브 에스.아. filed Critical 세브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180002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0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47J27/21158Devices to detect overheating or boiling with a single control element or uni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008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electrically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을 끓이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전기 발열 바닥부의 상부에 배치된 본체(3) 및 뚜껑(10)을 포함하는 주전자(1)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주전자(1)는 비등시에 방출되는 수증기를 증기 검출 센서를 향하여 이송하기 위한 증기 도관(20)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 도관(20)은 상기 주전자(1)가 전복되는 경우 증기 검출기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 장치(30)는 증기 도관(20)이 증기 방출을 허용하는 개방위치와 증기 도관(20)이 폐색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기관(32)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20, 21)는 챔버 내부의 압력 조절장치(40)를 포함하는 탄성 중합체 재질의 본체(34)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장치는 챔버 내부에서 발생 가능한 소정의 압력 초과시에 누출을 생성하기 위하여 변형된다.

Description

압력 조절장치를 구비한 주전자{KETTLE EQUIPPED WITH A PRESSUR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액체를 가열하는 기기, 특히 전기 발열 바닥부, 및 물을 끓이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본체 및 뚜껑을 포함하는 전기 주전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특별하게는 우발적 전복시에 챔버 외부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주전자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JP2008212315에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전기 발열 바닥부 상부에 배치된 본체 및 뚜껑을 포함하는 주전자가 공지되어 있다. 그 주전자는 비등시에 방출되는 증기를 증기 검출 센서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증기 도관을 포함한다. 그 증기 도관은 주전자가 전복되는 경우 증기 검출기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그 누수방지 장치는 증기 도관이 증기 방출을 허용하는 개방위치와 증기 도관이 폐색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구(ball)를 구비한 밸브를 포함한다. 주전자는 또한 챔버 외부로 물을 따라내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동조작하는 개방/폐쇄 밸브를 포함하는 물붓기용 도관도 포함한다.
그러한 주전자에서, 주전자가 우발적으로 전복되는 경우, 증기 도관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밸브의 구에 의해 폐색된다. 따라서, 물은 챔버 내에 유지되고 증기 검출 센서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의 아무 누출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온수가 담긴 주전자를 다룰 때, 밸브의 구가 우발적으로 폐쇄 위치로 이동하여 챔버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에 의해 가열 주기가 개시되면, 그 주기 말기에 발생된 수증기가 챔버 내의 압력을 증가시켜 주전자를 위험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단점을 해결하고 안전한 사용을 제공하는 주전자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성을 가지며 실시하기에 경제적인 주전자를 제안하는 것이다.
그 목적들은 물을 끓이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전기 발열 바닥부 상부에 배치된 본체 및 뚜껑을 포함하는 주전자로 달성되며, 그 주전자는 비등시에 발생된 증기를 증기 검출 센서를 향하여 이송하기 위한 증기 도관을 포함하고, 그 증기 도관은 상기 주전자의 전복시에 증기 검출 센서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그 누수방지 장치는 그 증기 도관이 증기 방출을 허용하는 개방위치와 그 증기 도관이 폐색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기관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포함하며, 그 밸브는 챔버 내부의 압력 조절장치를 갖는 탄성 중합체 재질의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압력 조절장치는 챔버 내에서 발생 가능한 소정의 압력 초과시에 누출을 생성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그 주전자는 챔버 내에서 경우에 따른 과잉압력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압력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나아가, 그 압력 조절장치는 밸브의 탄성 중합체 재질의 본체에 통합되고 본체 재질의 탄성 복원성을 이용한다. 그러한 구조는 증기 검출기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의 누수방지 장치 및 압력 조절장치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조해야 하는 부품의 개수를 감소시키며, 그 결과 특히 경제적이다.
유리하게는, 압력 조절장치는 슬릿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박막을 포함하고, 그 박막은, 슬릿과 근접하고 압력이 소정의 압력 미만일 때의 폐쇄용 접합위치와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할 때의 누출용 간극위치 사이에서 챔버 내의 우세 압력의 영향으로 움직이는 적어도 2개의 립(lip)을 포함한다.
그 구성으로써 압력 조절장치를 단순하고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변형 가능한 박막은 십자형 슬릿을 포함한다.
그 구성은 4개의 립을 포함하는 박막을 수득할 수 있게 한다. 그러한 구조는 매우 반응성 있는 압력 조절장치를 수득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박막은 평평하고 원형이다.
그 구성은, 특히 박막이 그 중심부에 십자형의 슬릿을 포함할 때, 평형을 이루는 압력 조절장치를 수득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밸브의 본체를 형성하는 탄성 중합체는 실리콘이다.
실리콘은 밀폐형 어셈블리를 구현하는데 특히 유리한 물질이다. 나아가, 그러한 물질은 주전자의 증기 사이클에서 직면하는 온도에 대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밸브는 뚜껑 내에 배치된다.
그러한 구조는 증기 검출기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의 누수방지 장치 및 압력 조절장치를 뚜껑 내에 배치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그 주전자의 본체 구조는 단순화가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뚜껑은 챔버 내로 개방되고 원통형 드럼으로 형성된 증기 도관의 단부를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재질의 밸브 본체는 그 원통형 드럼 상에 밀폐식으로 조립된다.
그 구성은 밸브 본체의 밀폐형 어셈블리를 뚜껑 상에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그 밸브는 폐쇄위치에서 이동식 기관과 연동하는 장착부(seat)를 포함하고, 그 탄성 중합체 재질의 밸브 본체는 그 장착부 상에 밀폐식으로 조립된다.
그 구성은 밸브의 밀폐식 어셈블리를 경제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이동식 기관은 하나의 구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주전자는 압력 조절장치를 각각 구비한 2개의 밸브를 갖는다.
주전자는 본체 상에 수직으로, 스파우트(spout)와 지름 방향으로 맞은 편에 배치된 손잡이를 포함한다. 밸브들은 손잡이와 스파우트가 통과하는 수직 평면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전복시에, 주전자는 본체와 손잡이의 제1 측에 지탱할 수 있고 따라서 하나의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거나 본체와 손잡이의 제2 측에 지탱할 수 있고 따라서 나머지 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절대로 비한정적으로 예시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숙지함으로써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 따른 주전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전자의 뚜껑의 하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뚜껑의 III-III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압력 조절장치를 구비한 밸브의 사시도이며, 압력 조절장치의 이동식 기관은 폐쇄 위치에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압력 조절장치를 구비한 밸브의 V 방향을 따른 상부도이다.
본 문헌에서, 주전자를 상술하기 위하여 채택한 용어들, 즉, "수평", 수직", "하부", "상부", "높은", "낮은"은, 주전자가 수평 작업면 상에 놓여있을 때, 주전자가 사용되는 상황에서의 그 주전자를 기준으로 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주전자(1)는 전선(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급전되는 받침대(2) 및 물을 위한 수조를 형성하는 본체(3)를 포함한다. 본체(3)는 뚜껑(10)에 의해 폐쇄되는 충진용 상부 개구부(4)를 포함한다. 주전자(1)는 상부 개구부(4) 위치에 자리한 스파우트(5) 및 상부 개구부(4)에 대하여 스파우트(5)의 맞은 편에 자리한 손잡이(6)를 포함한다. 본체(3)는 수직축(7)을 포함하는 거의 원통인 형태를 갖는다. 뚜껑(10)은 본체(3)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고 그 뚜껑은 본체(3)의 수직축(7)과 거의 평행한 병진이동을 따라 본체(3) 상에 밀폐식으로 조립하게 되어있다.
받침대(2)는 그 하부에 알루미늄 재질의 확산기 및 발열 요소(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배치되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컵 형태로 형성된 발열 바닥부를 포함한다. 발열 바닥부의 상부에 배치된 본체(3) 및 뚜껑(10)은 물을 끓이기 위한 챔버를 형성한다. 주전자(1)는 본체(3) 상부에서 비등시에 방출된 증기를 받침대(2) 내에 배치된 증기 검출 센서(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향하여 이송하기 위한 증기 도관(20)을 포함한다. 증기 검출 센서 상으로의 증기 유입으로써 발열 바닥부의 급전 중단이 개시 된다.
주전자(1)는 또한 뚜껑(10) 내에 배치되고 스파우트(5)와 연통하는 물붓기용 도관(50)도 포함한다. 물붓기용 도관(50)은 물붓기용 도관(50)이 챔버 외부로 물을 부어낼 수 있도록 허용하는 개방위치와 물붓기용 도관(50)이 폐쇄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밸브(51)를 포함한다. 뚜껑(10)은 밸브(51)의 조작 버튼(52)을 포함한다.
증기 도관(20)은 일부는 뚜껑(10) 내로 연장되고 일부는 본체(3)를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도 2 및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뚜껑(10) 내로 연장되는 증기 도관(20)의 일부는 2개의 입구 오리피스(21, 22) 및 본체를 따라 수직으로 일부가 연장되는 증기 도관(20)의 하나의 입구 오리피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와 마주하여 배치된 1개의 출구 오리피스(23)를 포함한다. 입구 오리피스(21)는 밸브(30)에 연결되고 입구 오리피스(22)는 그 밸브(3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하나의 밸브에 연결된다. 그 밸브(30)에 대하여만 상술할 것이다. 그 밸브(30)는 증기 도관(20)이 증기의 방출을 허용하는 개방위치와 증기 도관(20)이 폐색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구(32)를 구비한다. 밸브(30)는 뚜껑(10)의 내실(11)과 연통하는 출구 오리피스(33)를 포함한다. 내실(11)은 증기 도관(20)의 일부이며 출구 오리피스(23)를 포함한다.
뚜껑(10)은 입구 오리피스(21) 상부에 챔버 내로 개방되는 증기 도관(20)의 단부를 형성하는 원통형 드럼(12)을 포함한다. 밸브(30)는 탄성 중합체 재질, 특히 실리콘 재질의 본체(34)를 포함하고, 그 본체(34)는 드럼(12) 상에 밀폐식으로 조립되는 원통형 부분(35)을 갖는다. 밸브(30)의 본체(34)는 원통형 부분(35)까지 측면으로 연장되는 튜브형 부분(36)을 포함한다. 드럼(12)과 원통형 부분(35)은 각각 하나의 횡단 개구부(13)와 하나의 횡단 개구부(37)를 포함하고 그 2개의 개구부는 서로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밸브(30)는 단면 한정부(section restriction)(26)를 포함하는 튜브형 장착부(25)를 포함한다. 그 장착부(25)는 튜브형 벽(36)과 밀폐식으로 조립되는 단면 한정부(26)에 상류부(27)를 포함한다. 장착부(25)는 단면 한정부(26)에 하류부(28)를 포함하고 출구 오리피스(33)를 포함한다. 구(32)는 밸브(30)의 폐쇄위치에서 단면 한정부(26)와 연동한다(도 5).
밸브(30)의 탄성 중합체 재질의 본체(34)는 챔버 내부의 우세 압력 조절장치(40)를 포함한다. 그 압력 조절장치는 원통형 부분(35)을 덮는 원형의 평평한 박막(40)으로 형성된다. 드럼(12)은 박막(40)과 마주하여 배치된 횡단 개구부(14)를 포함하는 상단부를 포함한다.
박막은 4개의 립(42-45)을 한정하는 십자형 슬릿(41)을 구비한다(도 5). 그 립들(42-45)은 압력이 소정의 압력 미만일 때 폐쇄용 접합위치와 압력이 소정의 압력 초과일 때 누출용 간극위치 사이에서 챔버 내의 우세 압력의 영향으로 움직인다.
작동시에, 사용자가 온수가 담긴 주전자(1)를 다룰 때, 각 밸브(30)의 각각의 구(32)는 우발적으로 폐쇄위치로 갈 수 있고 챔버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가열 주기가 개시되면, 그 주기의 말기에 발생된 수증기는 오리피스(21, 22)를 통하여 유입된 후, 횡단 개구부(13, 37)를 통과하고 단면 한정부(26)와 맞닿은 구(32)에 의해 저지된다. 챔버 내의 우세 압력이 소정의 압력을 초과할 때, 수증기는 드럼(12)의 상단부의 횡단 개구부(14) 내로 통과하고 박막(40)의 립들(42-45)이 그것의 폐쇄용 접합위치에서 누출용 간극위치로 전환되도록 그 립들(42-45)을 변형한다. 따라서, 과잉 압력이 챔버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예시로서만 기술되고 도시된 실시예들에 절대로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다양한 요소들의 구성의 관점에서 또는 동등한 기술로 대체함으로써,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개시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압력 조절장치의 박막(40)은 볼록 원반형을 취한다.

Claims (10)

  1. 물을 가열하기 위한 챔버를 형성하는 전기 발열 바닥부 상부에 배치된 본체(3) 및 뚜껑(10)을 포함하는 주전자(1)로서, 상기 주전자(1)는 비등 시에 방출된 수증기를 증기 검출 센서를 향하여 이송하기 위한 증기 도관(20)을 포함하고, 상기 증기 도관(20)은 상기 주전자(1)가 전복되는 경우 상기 증기 검출기 방향 및 외부 방향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누수방지 장치는 상기 증기 도관(20)이 증기 방출을 허용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증기 도관(20)이 폐색되는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기관(32)을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밸브(30)를 포함하는, 주전자에 있어서,
    상기 밸브(30)는 상기 챔버 내부의 압력 조절장치(40)를 포함하는 탄성 중합체 재질의 본체(34)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 조절장치는 상기 챔버 내에서 발생 가능한 소정의 압력 초과시에 누출을 생성하기 위하여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2. 제1항에서, 상기 압력 조절장치는 슬릿(41)을 구비한 변형 가능한 박막(40)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40)은 상기 슬릿(41)과 인접한 적어도 2개의 립(42-45)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립(42-45)은 상기 압력이 소정의 압력 미만일 때 폐쇄용 접합위치와 압력이 소정의 압력 초과일 때 누출용 간극위치 사이에서 상기 챔버 내의 우세 압력의 영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3. 제2항에서, 상기 변형 가능한 박막(40)은 십자형 슬릿(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4. 제2항 또는 제3항에서, 상기 박막(40)은 평평하고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밸브(30)의 본체를 형성하는 탄성 중합체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밸브(30)는 상기 뚜껑(1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7. 제6항에서, 상기 뚜껑(10)은 상기 챔버 내로 개방되고 원통형 드럼(12)으로 형성된 상기 증기 도관(20)의 단부를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재질의 상기 밸브(30)의 본체(34)는 상기 원통형 드럼(12) 상에 밀폐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밸브(30)는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이동식 기관(32)과 연동하는 장착부(25)를 포함하고, 탄성 중합체 재질의 상기 밸브(30)의 본체(34)는 상기 장착부(25) 상에 밀폐식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9. 제8항에서, 상기 이동식 기관은 구(32)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주전자(1)는 압력 조절장치(40)를 각각 구비한 2개의 밸브(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전자(1).
KR1020170078295A 2016-06-28 2017-06-21 압력 조절장치를 구비한 주전자 KR2018000202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6044 2016-06-28
FR1656044A FR3052965B1 (fr) 2016-06-28 2016-06-28 Bouilloire munie d'un dispositif de regulation de pres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029A true KR20180002029A (ko) 2018-01-05

Family

ID=57137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295A KR20180002029A (ko) 2016-06-28 2017-06-21 압력 조절장치를 구비한 주전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62993B1 (ko)
JP (1) JP2018008048A (ko)
KR (1) KR20180002029A (ko)
CN (1) CN107542952B (ko)
FR (1) FR30529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0711A (zh) * 2019-03-08 2019-05-21 广东新宝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电热水壶的加热控制方法及电热水壶
CN110558841B (zh) * 2019-10-10 2024-04-26 武汉美片茶文化发展有限公司 一种黑茶复煮机及黑茶后发酵工艺
CN218738429U (zh) * 2022-11-15 2023-03-28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盖体组件和液体加热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1213B2 (ja) * 1997-04-10 2003-06-30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電気湯沸かし器
JP3603881B2 (ja) * 2002-05-29 2004-12-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湯沸かし器
JP3829816B2 (ja) * 2003-03-24 2006-10-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湯沸かし器
JP5130744B2 (ja) * 2007-03-02 2013-01-30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水加熱容器
GB2477944B (en) * 2010-02-18 2015-04-01 Otter Controls Ltd Cordless electrical appliances
CN203424786U (zh) * 2012-08-16 2014-02-12 翱泰温控器(深圳)有限公司 器具和用于该器具的部件
CN204467787U (zh) * 2015-01-01 2015-07-15 广州市恒福茶业有限公司 一种自带抽水功能的烧水壶
JP6070760B2 (ja) * 2015-05-07 2017-02-01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湯沸し器
CN105380517B (zh) * 2015-11-30 2018-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真空电水壶
CN205197772U (zh) * 2015-12-01 2016-05-04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电热水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52965B1 (fr) 2018-06-29
CN107542952A (zh) 2018-01-05
EP3262993A1 (fr) 2018-01-03
FR3052965A1 (fr) 2017-12-29
EP3262993B1 (fr) 2018-12-12
JP2018008048A (ja) 2018-01-18
CN107542952B (zh) 2019-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02029A (ko) 압력 조절장치를 구비한 주전자
US10827871B2 (en) Safety lid for a pressure cooker
JP5950829B2 (ja) 液体加熱用のベッセルおよび電気製品
JP2020501744A (ja) 容器内に入れられた食物を蒸気加熱および/または蒸気調理するためのモジュラースチーマ付属品
BR112020006417B1 (pt) Aparelho de cozimento de alimentos à pressão e tampa para alimentos à pressão
CA2936923C (en)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with liquid containment
KR101618846B1 (ko) 전기밥솥
KR101618122B1 (ko)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JP2013248156A (ja) 液体加熱容器
JP6103101B2 (ja) 液体加熱容器
JP5635537B2 (ja) 操作弁および圧力調理器
KR102199122B1 (ko) 범용 압력 조리 장치
CH631250A5 (it) Valvola per l'erogazione separata di due componenti e per la loro miscelazione all'esterno della stessa.
US20170259895A1 (en) Connection system comprising a closing device for diving regulator
KR200240713Y1 (ko) 휴대용 가스렌지의 가스조정기 안전밸브
KR101847284B1 (ko) 과열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H084905Y2 (ja) 貯液容器の転倒時止水弁装置
US616575A (en) jamee
KR101738479B1 (ko) 서모스탯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뚜껑
US1633568A (en) Means for generating and impregnating steam with a chemical constituent
JPH0423466Y2 (ko)
ES2445271A2 (es) Dispositivo de planchado a vapor
KR101875398B1 (ko) 이중 실링 구조를 갖는 액체 화장품 용기
KR102011973B1 (ko)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
US916425A (en) Bottle-fill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