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1973B1 -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1973B1
KR102011973B1 KR1020170180128A KR20170180128A KR102011973B1 KR 102011973 B1 KR102011973 B1 KR 102011973B1 KR 1020170180128 A KR1020170180128 A KR 1020170180128A KR 20170180128 A KR20170180128 A KR 20170180128A KR 102011973 B1 KR102011973 B1 KR 102011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ass
housing
valve assembly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289A (ko
Inventor
이병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엘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엘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엘텍
Priority to KR1020170180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973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05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permanent gaseou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9/00Arrangements or devices for preventing refilling of containers
    • B65D49/02One-way valves
    • B65D49/04Weighted valves
    • B65D49/06Weighted valves with additional loading 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밸브 조립체는 액체를 수용하고 액체가 기화되며 발생하는 기체를 배출하는 용기의 개구에 배치되는 밸브 조립체로서, 용기의 내측 구멍과 용기의 외측 구멍을 연결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한 연결부와,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내측 구멍을 폐쇄하는 폐쇄부와,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외측 구멍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며 하우징에 접촉하여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질량체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VALVE ASSEMBLY FOR FRAGRANCE CONTAINER}
실시예들은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액 방지 기능을 갖는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향 용기가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중력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경우 내부에 있는 방향 액체가 유출될 수 있다.
방향 용기는 방향 액체가 기화되어 발생하는 기체를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통로를 구비하는데, 용기가 중력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면 용기 내부의 방향 액체가 기체를 배출시키는 통로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유출된 방향 액체는 플라스틱 손상, 가죽 제품 오염 및 금속 도금 손상 등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넓은 공간으로 멀리 향이 퍼지도록 하며, 방향 용기의 내부의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유추될 수 있다.
일측면에 따른 밸브 조립체는 액체를 수용하고 상기 액체가 기화되며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의 개구에 배치되는 밸브 조립체로서, 상기 개구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내측 구멍과 상기 용기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외측 구멍을 연결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내측 구멍 측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용기의 외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내측 구멍을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외측 구멍 측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측 구멍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질량체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일단부터 상기 연결부의 상기 타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통로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용기가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질 때 상기 질량체가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상기 폐쇄부를 당겨서 상기 용기의 상기 액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질량체의 질량은 상기 폐쇄부의 질량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는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기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질량체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통로에 접촉하며 상기 통로를 상기 용기의 외부와 연결하는 공기 통로가 상기 질량체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질량체와 접하는 상기 외측 구멍의 둘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는 상기 질량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구멍의 둘레에 상기 질량체와 접촉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질량체에 상기 하우징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체에 와류를 형성하는 공기 흐름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흐름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 방사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연장되어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공기 흐름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 구멍과 상기 질량체를 모두 덮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용기를 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상기 기체에 와류를 형성하는 공기 흐름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관한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는 간단한 구조를 추가함으로써 넓은 공간으로 멀리 향이 퍼지도록 하여 발향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용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는 구조를 밸브 조립체에 추가하여 발향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는 방향 용기의 내부의 액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가 장착된 방향 용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밸브 조립체의 하우징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밸브 조립체의 체크 밸브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밸브 조립체가 장착된 방향 용기가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졌을 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의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가 장착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의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은 실시예들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방향 용기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100)는 내부에 액체(116)를 수용할 수 있다. 이 액체(116)는 상온에서 기화될 수 있다. 또는 용기(110)의 내부의 액체(116)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기에 의해 가열되어 액체가 기화될 수 있다.
밸브 조립체(100)는 용기(110)의 개구(113)에 배치되어 용기(110)의 내부(115)에서 기화되며 발생하는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밸브 조립체(100)는 밸브 조립체(100)의 나사면(112)이 용기(110)의 나사(114)에 나사 결합되어 용기(110)의 개구(113)에 결합될 수 있다.
밸브 조립체(100)는 하우징(200)과 체크 밸브(210)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210)는 하우징(200)과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체크 밸브(210)는 하우징(200)과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체크 밸브(210)는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에 대해 기울어졌을 때, 용기(110)의 내부(115)의 액체(116)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체크 밸브(210)는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하우징(20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용기(110)의 내부(115)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밸브 조립체의 하우징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밸브 조립체(100)의 하우징(200)은 용기(110)의 개구(113)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내측 구멍(300), 통로(310) 및 외측 구멍(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내측 구멍(300)은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외측 구멍(320)은 용기(110)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다.
또한 통로(310)는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내측 구멍(300)과 용기(110)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외측 구멍(320)을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용기(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액체가 기화되어 발생한 기체(118)는 내측 구멍(300)을 통해 통로(310)로 유입된 후, 통로(310)를 따라 흘러 외측 구멍(320)을 통해 용기(1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밸브 조립체의 체크 밸브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밸브 조립체(100)의 체크 밸브(210)는 연결부(330), 폐쇄부(340) 및 질량체(35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330)는 통로(310)의 내부에 통로(310)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폐쇄부(340)는 내측 구멍(300)측에 위치한 연결부(330)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질량체(350)는 외측 구멍(320)측에 위치한 연결부(330)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밸브 조립체(100)의 질량체(350)는 하우징(200)의 외측 구멍(320)을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중력에 의해 연결부(330) 및 폐쇄부(340)가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져 용기(110)의 내부를 향해 이동할 때 질량체(350)가 하우징(200)에 접촉함으로써 연결부(3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질량체(350)가 하우징(200)에 걸리므로, 질량체(350)와 연결된 연결부(330)가 용기(110)의 내부로 일정 거리 이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된다.
도 4에서와 같이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에 대해 기울어질 때, 연결부(330)가 중력에 의해 용기(11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져 용기(110)의 외부를 향해 이동하여 폐쇄부(340)가 용기(110)의 내측 구멍(300)을 폐쇄할 수 있다. 폐쇄부(340)가 내측 구멍(300)을 폐쇄함으로써 용기(110)의 내부의 액체(116)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3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의 길이는 하우징(200)의 통로(310)의 길이보다 길다. 연결부(330)의 길이가 통로(310)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연결부(330)가 용기(110)의 내부를 향해 이동하면 폐쇄부(340)가 하우징(200)의 내측 구멍(300)에서 이격되어 내측 구멍(30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용기(110)의 내부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330)는 통로(310)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통로(310)의 내부에서 연결부(330)의 이동이 자유로울 수 있다.
나아가 연결부(330)는 실, 끈 및 고무 등의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연결부(330)가 플라스틱 및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 소재 등의 변형이 불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연결부(330)의 폭이 통로(310)의 폭보다 좁아 통로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 질량체(350)의 움직임에 따라 폐쇄부(340)를 당길 수 있는 있다.
연결부(330)가 변형이 가능하며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용기(110)가 기울어지면서, 질량체(350)가 자중에 의해 하우징(200)의 상부에서 하우징(200)의 외측 구멍(3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부(330)와 폐쇄부(340)를 당길 수 있다.
또한 질량체(350)의 질량은 폐쇄부(340)의 질량보다 크다. 또는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에 대해 기울어졌을 때, 질량체(350)가 연결부(330) 및 폐쇄부(340)를 잡아당길 수 있을 정도라면 질량체(350)의 질량이 폐쇄부(340)의 질량과 거의 동일할 수 있다.
용기(110)가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질 때, 질량체(350)가 자중에 의해 하우징(200)의 상부에서 하우징(200)의 외측 구멍(3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나아가 질량체(350)의 질량은 폐쇄부(340)의 질량보다 크다. 혹은 질량체(350)의 질량이 폐쇄부(340)의 질량과 거의 동일하다 하더라도 질량체(350)가 하우징(200)의 상부에서 하우징(200)의 외측 구멍(3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폐쇄부(340)를 잡아당길 수 있을 정도의 질량을 갖는다.
질량체(350)가 하우징(200)의 상부에서 하우징(200)의 외측 구멍(3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연결부(330)와 폐쇄부(340)를 용기(110)의 외부를 향해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쇄부(340)가 하우징(200)의 내측 구멍(300)을 폐쇄함으로써 용기(110)의 액체(116)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밸브 조립체가 장착된 방향 용기가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졌을 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거나 넘어질 때, 질량체(350)는 중력에 의해 아래로 끌어당겨질 수 있다. 질량체(350)는 하우징(200)의 상부에서 하우징(200)의 외측 구멍(32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질량체(350)는 폐쇄부(340)보다 무겁거나, 폐쇄부(340)를 당길 수 있을 정도로 폐쇄부(340)와 거의 같은 질량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110)가 넘어지면 질량체(350)는 연결부(330)와 폐쇄부(340)를 용기(110)의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당긴다. 그리고 연결부(330)가 통로를 따라 이동하며 폐쇄부(340)가 내측 구멍에 접한다. 결과적으로 폐쇄부(340)가 하우징(200)의 내측 구멍(300)을 폐쇄함으로써 용기(110)의 내부의 액체(116)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중력에 의해 폐쇄부(340)와 연결부(330)가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겨질 수 있다.
체크 밸브(210)의 폐쇄부(340)와 연결부(330)가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체크 밸브(210)의 질량체(350)는 하우징(200)에 접촉한다. 혹은 체크 밸브(210)의 질량체(350)는 하우징(200)의 통로(310)에 접촉한다.
질량체(350)와 하우징(200)의 사이에 형성된 공기 통로는 통로(310)를 용기(110)의 외부와 연결하여 용기(110)의 내부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측 구멍(320)의 둘레에 하나 이상의 홈(202)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110)의 내부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통로는 질량체(350)와 접하는 외측 구멍(320)의 둘레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202)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중력에 의해 체크 밸브(210)의 폐쇄부(340)와 연결부(330)가 용기(110)의 내부로 당겨짐에 따라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체크 밸브(210)의 질량체(350)는 하우징(200)에 접하거나, 외측 구멍(320)에 접할 수 있다.
이 때, 외측 구멍(32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202)은 질량체(350)와 하우징(200)의 사이에, 통로(310)를 용기(110)의 외부와 연결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용기(110)의 내부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질량체(350)는 하우징(200)과 접촉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352)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10)의 내부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통로는 하우징(200)에 접촉하는 질량체(35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352)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체크 밸브(210)의 폐쇄부(340)와 연결부(330)가 용기(110)의 내부로 당겨짐에 따라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체크 밸브(210)의 질량체(350)는 하우징(200)에 접하거나 외측 구멍(320)에 접할 수 있다.
이 때, 질량체(350)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352)은 질량체(350)와 하우징(200)의 사이에, 통로(310)를 용기(110)의 외부와 연결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용기(110)의 내부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외측 구멍(320)의 둘레에 질량체(350)와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37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70a)는 용기(110)의 내부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하는 외측 구멍(320)의 둘레에 돌출되는 돌출부(370a)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204)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체크 밸브(210)의 폐쇄부(340)와 연결부(330)가 중력에 의해 용기(110)의 내부로 당겨짐에 따라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체크 밸브(210)의 질량체(350)는 외측 구멍(320)의 둘레에 돌출되는 돌출부(370a)에 접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370a)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204)은 질량체(350)와 하우징(200)의 사이에, 통로(310)를 용기(110)의 외부와 연결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용기(110)의 내부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질량체(350)는 하우징(200)과 접촉되도록 돌출되는 돌출부(37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70b)는 용기(110)의 내부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하는 질량체(350)에 돌출되는 돌출부(370b)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354)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110)의 길이 방향이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체크 밸브(210)의 폐쇄부(340)와 연결부(330)가 중력에 의해 용기(110)의 내부로 당겨짐에 따라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함으로써, 하우징(200)은 질량체(350)에 돌출되는 돌출부(370b)에 접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370b)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354)은 질량체(350)와 하우징(200)의 사이에, 통로(310)를 용기(110)의 외부와 연결하는 공기 통로를 형성하여 용기(110)의 내부의 기체(118)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9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의 하우징의 저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하우징(200)은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에 공기 흐름 안내부(36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흐름 안내부(360a)는 하우징(200)의 하측면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 방사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공기 흐름 안내부(360a)는 하우징(200)의 하측면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의 길이 중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연장되어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기 흐름 안내부(360a)는 하우징(20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흐름 안내부(360a)는 용기(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118)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흐름 안내부(360a)의 하나의 크기는 배출되는 기체(118)에 형성하고자 하는 와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나아가 와류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기체(118)는 와류가 없는 기체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공간으로 더 멀리 퍼질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가 장착된 용기의 사시도이다.
밸브 조립체(100)는 커버(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220)는 하우징(200)의 외측 구멍(320)과 질량체(350)를 모두 덮을 수 있다. 또는 외측 구멍(320)만을 덮고 질량체(350)는 커버(22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커버(220)는 하우징(200)의 용기(110)의 외부를 향하는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220)는 외관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 조립체(100)는 체크 밸브(210)에 의해 용기(110)의 액체(116)의 누액을 방지한다. 나아가 커버(220)를 밸브 조립체(100)에 추가함으로써 용기(110)의 액체(116)의 누액을 이중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밸브 조립체의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커버(220)는 공기 흐름 안내부(360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20)는 용기(110)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에 공기 흐름 안내부(360b)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220)의 공기 흐름 안내부(360b)는 용기(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118)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공기 흐름 안내부(360b)는 커버(220)의 내측면의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구(222)에서부터 외측 가장자리(224)까지 방사 방향을 따라 연장하여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공기 흐름 안내부(360b)는 커버(220)의 내측면의 배출구(222)에서부터 외측 가장자리(224)까지의 길이 중 일부 영역에 대해서만 연장되어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기 흐름 안내부(360b)는 커버(22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흐름 안내부(360b)는 용기(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118)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공기 흐름 안내부(116b)의 하나의 크기는 배출되는 기체(118)에 형성하고자 하는 와류의 크기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와류가 형성되어 배출되는 기체(118)는 와류가 없는 기체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은 공간으로 더 멀리 퍼질 수 있다.
실시예에 관한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100)는, 넓은 공간으로 멀리 향이 퍼지도록 하여 발향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용기(110)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와류를 형성할 수 있는 공기 흐름 안내부(360a, 360b)의 구조를 밸브 조립체(100)에 추가하여 발향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관한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는, 질량체(350) 및 폐쇄부(340)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210)에 의해 방향 용기(110)의 내부의 액체(116)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액체를 수용하고, 상기 액체가 기화되며 발생하는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용기의 개구에 배치되는 밸브 조립체로서,
    상기 개구에 배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개방된 내측 구멍과 상기 용기의 외부를 향하여 개방된 외측 구멍을 연결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통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연결부와, 상기 내측 구멍 측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가 상기 용기의 외부를 향해 이동하면 상기 내측 구멍을 폐쇄하는 폐쇄부와, 상기 외측 구멍 측에 위치한 상기 연결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외측 구멍을 개방 상태로 유지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여 상기 연결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질량체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가 중력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질 때 상기 질량체가 자중에 의해 상기 연결부와 상기 폐쇄부를 당겨서 상기 용기의 상기 액체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질량체의 질량은 상기 폐쇄부의 질량보다 큰 밸브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일단부터 상기 연결부의 상기 타단까지의 길이는 상기 통로의 길이보다 긴 밸브 조립체.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변형이 가능한 밸브 조립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때, 상기 연결부가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여 이동하여 상기 질량체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통로에 접촉하며 상기 통로를 상기 용기의 외부와 연결하는 공기 통로가 상기 질량체와 상기 하우징의 사이에 형성되는 밸브 조립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질량체와 접하는 상기 외측 구멍의 둘레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하우징에 접촉하는 상기 질량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구멍의 둘레에 상기 질량체와 접촉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질량체에 상기 하우징과 접촉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통로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홈을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기체에 와류를 형성하는 공기 흐름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흐름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용기의 내부를 향하는 내측면의 중심으로부터 가장자리까지 방사 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 영역에 대해 연장되어 곡면을 형성하는 밸브 조립체.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흐름 안내부는 상기 하우징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배치되는 밸브 조립체.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구멍과 상기 질량체를 모두 덮도록, 상기 하우징의 상기 용기를 향하는 면의 반대측 면에 배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기체에 와류를 형성하는 공기 흐름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밸브 조립체.
KR1020170180128A 2017-12-26 2017-12-26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 KR102011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28A KR102011973B1 (ko) 2017-12-26 2017-12-26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28A KR102011973B1 (ko) 2017-12-26 2017-12-26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89A KR20190078289A (ko) 2019-07-04
KR102011973B1 true KR102011973B1 (ko) 2019-08-19

Family

ID=67259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128A KR102011973B1 (ko) 2017-12-26 2017-12-26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97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702Y2 (ja) * 1990-11-30 1997-03-19 ジョンソン株式会社 芳香剤容器
WO2004016974A1 (ja) * 2002-08-14 2004-02-26 Kunitaka Mizobe 圧力安全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08Y2 (ja) * 1990-10-12 1995-03-22 俊夫 高屋舗 バルブ付キャップ
JP2584152Y2 (ja) * 1993-03-16 1998-10-30 凸版印刷株式会社 ガス排気用口栓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9702Y2 (ja) * 1990-11-30 1997-03-19 ジョンソン株式会社 芳香剤容器
WO2004016974A1 (ja) * 2002-08-14 2004-02-26 Kunitaka Mizobe 圧力安全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289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1690B2 (ja) スチーム式美容器
US20070221686A1 (en) Liquid pump dispenser
US11333377B2 (en) Humidifier with waterproof arrangement
RU2015134408A (ru) Защитный кран для тары, содержащей жидкость
BR0200277A (pt) Fechamento de dispensa de fluido com fechamento automático
US10125886B2 (en) Mounting assembly for mounting an adapter to a valve stem
MX2020002724A (es) Cierre para un recipiente.
US20200130002A1 (en) Liquid dispenser with ventilated bottle and discharge head for this purpose
KR102011973B1 (ko) 방향 용기용 밸브 조립체
JP6968362B2 (ja) キャップ
US20200009014A1 (en) Medicant dispenser for the prevention infiltration from bacteria
US20170360176A1 (en) Sealing structure of cream-type cosmetics container
FI3774591T3 (fi) Kiinteällä venttiilivarren kotelolla varustettu annostelija purkkia varten
KR101918213B1 (ko) 노즐개폐부를 포함하는 가스계 소화설비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소방설비
KR101618122B1 (ko)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KR20180002029A (ko) 압력 조절장치를 구비한 주전자
KR101112018B1 (ko) 안전성 및 기능 개선을 향상시킨 엘피지 용기용 밸브 조립체
JP7109591B2 (ja) 吐水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加湿器
CN111788126B (zh) 可解除过压的喷射容器及其阀门组件
US10253896B2 (en) Packing cylinder for expansion joint
KR102554027B1 (ko) 진공 포장 장치
JP2009220843A (ja) 液体用容器
JP6775986B2 (ja) 中栓および中栓を備える容器
US174840A (en) Improvement in oil-cans
KR102037003B1 (ko) 과압해소가 가능한 분사용기 및 그의 밸브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