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638A -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 - Google Patents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638A
KR20110013638A KR1020090071183A KR20090071183A KR20110013638A KR 20110013638 A KR20110013638 A KR 20110013638A KR 1020090071183 A KR1020090071183 A KR 1020090071183A KR 20090071183 A KR20090071183 A KR 20090071183A KR 20110013638 A KR20110013638 A KR 20110013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lid
hole
center
lifting plate
over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9309B1 (ko
Inventor
김양영
Original Assignee
(주)드림셰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셰프 filed Critical (주)드림셰프
Priority to KR102009007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930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3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9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9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56Preventing boiling over, e.g. of mil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결합구(20)에 의한 넓은 직경의 경사홀(24)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시의 편리함(세척솔을 자유롭게 끼우면서 브러싱하여 세척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가능케 하면서도 그 청결함까지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승강판(50)의 얹힘턱(52)이 원통형 결합구(20)의 경사홀(24)에 서로 면 접촉에 의한 합치로서 안착되어 음식물의 초기 조리시에는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반면 음식물이 끓기 시작하면 승강판(50)의 자유로운 승강으로 증기가 원활히 빠져나가도록 하여, 넘침현상의 최소화와 더불어 조리효율의 극대화, 나아가 승강판(50)의 와류홈(53)에 의한 회전으로 부딪히는 소리로서 조리상태까지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는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에 관한 것이다.
덮개, 원통형 결합구, 경사홀, 캡, 핸들, 승강판, 중저외고형 바디, 얹힘턱, 와류홈, 무게추

Description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POT LID FOR PREVENTING OVERFLOW BROTH AND THEREOF UP AND DOWN PLATE}
본 발명은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강판의 무게중심을 보장하여 넘침방지 냄비뚜껑에 조립되어 사용될 때 증기의 신속한 배출과 더불어 증기압의 확실한 유지를 가능케 함과 동시에 최소화된 구성으로 세척이 특히 용이하고 넘침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넘침방지 냄비뚜껑은 냄비에 담겨진 음식물을 끓일 때 증기를 유효 적절하게 배출시켜 국물이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뚜껑을 일컫는다.
도 1은 선 출원(10-2004-0036153; 넘침방지 냄비뚜껑 손잡이)의 냄비뚜껑 전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선 출원의 냄비뚜껑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선 출원의 냄비뚜껑 손잡이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선 출원의 냄비뚜껑 전체 분리 단면도이다.
선 출원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뚜껑(30)의 중앙부에 뚜껑 손잡이(10)가 결합되고 가장자리 외주연에는 링 형상의 실리콘 밴드(31)가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냄비뚜껑(30)의 중앙부 저면에는 수증기 유통공(23) 및 플랜지 지지대(22)를 가진 플랜지부(20)가 위치되고, 냄비뚜껑(30)의 중앙부 상면에는 수증기 유통공(23)을 밀폐시키는 플랜지 뚜껑(24)이 위치되며, 측면 하단부에 다수개의 수증기 배출구(26)가 형성된 수증기 배출부(25) 및 냄비뚜껑 손잡이(10)가 차례로 적층되어 볼트(11)로 고정 완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선 출원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은 냄비뚜껑(30)을 사이에 두고 볼트(11), 플랜지부(20), 플랜지 뚜껑(24), 수증기 배출부(25) 및 냄비뚜껑 손잡이(10)라는 다수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복잡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도 떨어지고, 특히 플랜지부(20)의 안쪽에 볼트(11)를 잡아주기 위하여 지지대(22)가 필수적으로 있어야만 하여 수증기 유통공(23)이 여러 개로 분할되어 조리시 음식물이 지지대(22) 사이에 끼일 수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좁은 수증기 유통공(23) 사이에서의 세척이 극히 불편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판의 무게중심을 보장하여 증기의 신속한 배출과 더불 어 증기압의 신속한 유지를 가능케 하여 조리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 최소화된 구성으로 세척이 특히 용이하고 확실한 넘침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판을 중저외고형 바디로 구성하여 무게중심이 항상 중심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증기가 불규칙하게 솟아오르더라도 승강판의 무게중심을 재빨리 잡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사홀과 얹힘턱 상호간의 신속한 안착 및 합치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저외고형 바디로 하여금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하여 와선형으로 굴곡진 와류홈을 구비토록 하여 증기가 솟아오를 때 승강판이 함께 회전되면서 소음을 낼 수 있도록 하여 주부들에게 조리중임을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주방에서의 가스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가 불규칙하게 솟아오를 때 승강판의 무게중심을 무게추로서 더욱 빨리 잡을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세척하고자 할 때 넘침방지 냄비뚜껑을 물 속에 넣은 상태에서 무게추를 파지하면서 재빠르게 흔들어 원통형 결합구 속에 찌든 때나 이물질 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 사용시 원통형 결합구와 핸들의 간단 분해로서 승강판을 쉽게 빼내어 세척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일반 주부들의 편리함까지 보장할 수 있도록 한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국물의 넘침을 방지하는 넘침방지 냄비 뚜껑용 승강판에 있어서,
중심은 낮고 외곽을 향하여 점점 높아지는 중저외고(中低外高)형 바디와,
상기 중저외고형 바디의 외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 얹힘턱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공이 뚫려진 덮개와,
상기 덮개의 아래에 걸쳐지는 걸림턱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덮개 위로 측면구멍을 지니면서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주연에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경사홀을 구비한 원통형 결합구와,
상기 원통형 결합구를 받아들이는 관통공을 가지면서 상기 측면구멍을 감쌈과 동시에 외곽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덮개 위에 씌워지는 캡과,
상기 통공 및 관통공을 경유한 상기 원통형 결합구의 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홈을 지니면서 상기 덮개를 향하여 상기 캡을 가압하는 핸들과,
중심은 낮고 외곽을 향하여 점점 높아지는 중저외고형 바디의 외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홀에 얹혀지는 얹힘턱을 구비한 승강판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승강판의 무게중심을 확실하게 보장하여 넘침방지 냄비뚜껑에 조립되어 사용될 때 증기의 신속한 배출과 더불어 증기압의 신속한 유지를 가능케 하여 조리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 최소화된 구성으로 세척이 특히 용이하고 보다 향상된 넘침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승강판이 중저외고형 바디로 구성되어 그 무게중심이 항상 중심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증기가 불규칙하게 솟아오르더라도 승강판의 무게중심을 재빠르게 잡을 수 있게 되어 경사홀과 얹힘턱 상호간의 신속한 안착 및 합치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저외고형 바디로 하여금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하여 와선형으로 굴곡진 와류홈을 구비토록 하여 증기가 솟아오를 때 승강판이 함께 회전되면서 마찰 소음을 내어 주부들에게 조리중임을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주방에서의 가스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증기가 불규칙하게 솟아오를 때 승강판의 무게중심을 무게추로서 더욱 빨리 잡을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세척하고자 할 때 넘침방지 냄비뚜껑을 물 속에 넣은 상태에서 무게추를 파지하고서 빠르게 흔들어 원통형 결합구 속에 찌든 때나 이물질 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통형 결합구에 의한 넓은 직경의 경사홀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여 세척시의 편리함(세척솔을 자유롭게 끼우면서 브러싱하여 세척할 수 있는 편리 함)을 가능케 하면서도 그 청결함까지 실현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승강판의 얹힘턱이 원통형 결합구의 경사홀에 서로 면 접촉에 의한 합치로서 안착되어 음식물의 초기 조리시에는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반면 음식물이 끓기 시작하면 승강판의 자유로운 승강으로 증기가 원활히 빠져나가도록 하여, 조리효율의 극대화를 실현토록 할 수 있고, 나아가 넘침현상의 최소화와 더불어 승강판의 와류홈에 의한 회전으로 부딪히는 소리로서 조리상태까지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비 사용시 원통형 결합구와 핸들의 간단 분해로서 승강판을 쉽게 빼내어 세척 건조시킬 수 있어 일반 주부들의 편리함까지 함께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고, 이들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용 승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을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승강판(50)의 무게중심을 확실하게 보장하여 넘침방지 냄비뚜껑에 조립되어 사용될 때 증기의 신속한 배출과 더불어 초기 증기압의 신속한 유지를 가 능케 하여 조리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 최소화된 구성으로 세척이 특히 용이하고 확실한 넘침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넘침방지 냄비뚜껑 및 그 승강판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용 승강판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에 씌워지는 덮개(10)에 조립되어 국물의 넘침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심은 낮고 외곽을 향하여 점점 높아지는 중저외고(中低外高)형 바디(51)와, 이 중저외고형 바디(51)의 외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 얹힘턱(52)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승강판(50)이 중저외고형 바디(51)로 구성되어 그 무게중심이 항상 중심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가 불규칙하게 솟아오르더라도 승강판(50)의 무게중심을 재빨리 잡을 수 있게 되어 후술하는 경사홀(24)과 얹힘턱(52) 상호간의 신속한 안착 및 합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중저외고형 바디(51)는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하여 와선형으로 굴곡진 와류홈(53)을 구비하여 증기가 솟아오를 때 승강판(50)이 함께 회전되면서 마찰 소음을 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부들에게 조리중임을 실시간으로 알려주어 주방에서의 사고(가스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용 승강판(5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저외고형 바디(51)의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무게추(54)를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54)는 증기가 불규칙하게 솟아오를 때 승강판(50)의 무게중심을 더욱 빠르게 잡을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세척하고자 할 때 넘침방지 냄비뚜껑을 물 속에 넣은 상태에서 무게추(54)를 파지하고서 재빠르게 흔들어 원통형 결합구(20) 속에 찌든 때나 이물질 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용 승강판(50)은 얹힘턱(52)이 중저외고형 바디(51)의 외곽으로부터 외향으로 일체 연장될 수도 있으며,
나아가, 위와 같은 승강판(50)의 구성을 적용한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11)이 뚫려진 덮개(10)와, 이 덮개(10)의 아래에 걸쳐지는 걸림턱(21)을 가짐과 동시에 덮개(10) 위로 측면구멍(22)을 지니면서 외주연에 나사산(23)이 형성되며 내주연에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경사홀(24)을 구비한 원통형 결합구(20)와, 원통형 결합구(20)를 받아들이는 관통공(31)을 가지면서 측면구멍(22)을 감쌈과 동시에 외곽구멍(32)을 구비하여 덮개(10) 위에 씌워지는 캡(30)과, 통공(11) 및 관통공(31)을 경유한 원통형 결합구(20)의 나사산(23)에 결합되는 나사홈(41)을 지니면서 덮개(10)를 향하여 캡(30)을 가압하는 핸들(40)과, 중심은 낮고 외곽을 향하여 점점 높아지는 중저외고형 바디(51)의 외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어 경사홀(24)에 얹혀지는 얹힘턱(52)을 구비한 승강판(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은 최소화된 구성이면서도 세척이 특히 용이하고 확실한 넘침방지 기능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선 출원과 같이 볼트(11)를 활용하지 않으므로 불청결 및 세척 어려움 등의 원인으로 지목되어 왔던 지지대(22)를 가진 플랜지부(20)를 없앨 수 있게 되어 즉, 원통형 결합구(20)에 의한 넓은 직경의 경사홀(24)을 보장할 수 있게 되어 세척시의 편리함(세척솔을 자유롭게 끼우면서 브러싱하여 세척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가능케 하면서도 그 청결함까지 실현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승강판(50)의 얹힘턱(52)이 원통형 결합구(20)의 경사홀(24)에 서로 면 접촉에 의한 합치로서 안착되어 음식물의 초기 조리시에는 열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반면 음식물이 끓기 시작하면 승강판(50)의 자유로운 승강으로 증기가 원활히 빠져나가도록 하여 조리효율을 극대화시키면서, 넘침현상의 최소화와 더불어 승강판(50)의 와류홈(53)에 의한 회전으로 부딪히는 소리로서 조리상태까지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비 사용시에는 원통형 결합구(20)와 핸들(40)의 간단 분해로서 승강판(50)을 쉽게 빼내어 세척 건조시킬 수 있어 일반 주부들의 편리함을 보장할 수 있게 되고, 특히 증기가 불규칙하게 솟아오를 때 승강판(50)의 무게중심을 무게추(54)로 더욱 빠르게 잡을 수 있도록 하며, 세척하고자 할 때 넘침방지 냄비뚜껑을 물 속에 넣은 상태에서 무게추(54)를 파지하면서 재빠르게 흔들어 원통형 결합구(20) 속에 찌든 때나 이물질 등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방에서 쓰여지는 주방용기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선 출원의 냄비뚜껑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선 출원의 냄비뚜껑 전체 사시도.
도 3은 선 출원의 냄비뚜껑 손잡이 분리 사시도.
도 4는 선 출원의 냄비뚜껑 전체 직결하여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용 승강판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넘침방지 냄비뚜껑을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덮개 11 : 통공
20 : 원통형 결합구 21 : 걸림턱
22 : 측면구멍 23 : 나사산
24 : 경사홀 30 : 캡
31 : 관통공 32 : 외곽구멍
40 : 핸들 41 : 나사홈
50 : 승강판 51 : 중저외고형 바디
52 : 얹힘턱 53 : 와류홈
54 : 무게추

Claims (6)

  1. 국물의 넘침을 방지하는 넘침방지 냄비 뚜껑용 승강판(50)에 있어서,
    중심은 낮고 외곽을 향하여 점점 높아지는 중저외고(中低外高)형 바디(51)와,
    상기 중저외고형 바디(51)의 외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 얹힘턱(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냄비뚜껑용 승강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저외고형 바디(51)는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하여 와선형으로 굴곡진 와류홈(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냄비뚜껑용 승강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저외고형 바디(51)의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무게추(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냄비뚜껑용 승강판.
  4. 통공(11)이 뚫려진 덮개(10)와,
    상기 덮개(10)의 아래에 걸쳐지는 걸림턱(21)을 가짐과 동시에 상기 덮개(10) 위로 측면구멍(22)을 지니면서 외주연에 나사산(23)이 형성되며 내주연에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경사홀(24)을 구비한 원통형 결합구(20)와,
    상기 원통형 결합구(20)를 받아들이는 관통공(31)을 가지면서 상기 측면구멍(22)을 감쌈과 동시에 외곽구멍(32)을 구비하여 상기 덮개(10) 위에 씌워지는 캡(30)과,
    상기 통공(11) 및 관통공(31)을 경유한 상기 원통형 결합구(20)의 나사산(23)에 결합되는 나사홈(41)을 지니면서 상기 덮개(10)를 향하여 상기 캡(30)을 가압하는 핸들(40)과,
    중심은 낮고 외곽을 향하여 점점 높아지는 중저외고형 바디(51)의 외곽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경사홀(24)에 얹혀지는 얹힘턱(52)을 구비한 승강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냄비뚜껑.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저외고형 바디(51)는 중심으로부터 외곽을 향하여 와선형으로 굴곡진 와류홈(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냄비뚜껑.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저외고형 바디(51)의 중심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연장된 무게추(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넘침방지 냄비뚜껑.
KR1020090071183A 2009-08-03 2009-08-03 넘침방지 냄비뚜껑 KR101139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83A KR101139309B1 (ko) 2009-08-03 2009-08-03 넘침방지 냄비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1183A KR101139309B1 (ko) 2009-08-03 2009-08-03 넘침방지 냄비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638A true KR20110013638A (ko) 2011-02-10
KR101139309B1 KR101139309B1 (ko) 2012-04-26

Family

ID=4377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1183A KR101139309B1 (ko) 2009-08-03 2009-08-03 넘침방지 냄비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93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88B1 (ko) * 2012-05-21 2014-07-04 (주)네오플램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ITMO20130118A1 (it) * 2013-05-07 2014-11-08 Giorgio Rubbiani Coperchio per recipienti di cottura per cucine
CN111050611A (zh) * 2017-08-18 2020-04-21 Ctmc株式会社 具备防倒流功能的真空搅拌机用存储容器
CN111387833A (zh) * 2020-04-01 2020-07-10 宁波飞仕达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防沸腾式锅盖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596B1 (ko) 2013-07-31 2014-05-23 (주)홍산경금속 음식물 넘침 방지용 조리 용기
KR101431991B1 (ko) * 2013-11-05 2014-08-20 서월식 음식물 넘침 방지용 조리 용기의 배출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5733U (ko) * 1988-05-31 1989-12-14
JP2005211635A (ja) * 2004-01-30 2005-08-11 Minoru Okada 煮こぼれ防止装置付き炊事用鍋
KR100567596B1 (ko) * 2004-05-20 2006-04-07 여운관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KR20090068085A (ko) * 2007-12-21 2009-06-25 서정덕 남비 뚜껑 손잡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488B1 (ko) * 2012-05-21 2014-07-04 (주)네오플램 증기배출 가능한 용기 뚜껑 손잡이
ITMO20130118A1 (it) * 2013-05-07 2014-11-08 Giorgio Rubbiani Coperchio per recipienti di cottura per cucine
CN111050611A (zh) * 2017-08-18 2020-04-21 Ctmc株式会社 具备防倒流功能的真空搅拌机用存储容器
US11311148B2 (en) 2017-08-18 2022-04-26 Ctmc Co., Ltd. Storage container for vacuum blender with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CN111050611B (zh) * 2017-08-18 2022-06-17 Ctmc株式会社 具备防倒流功能的真空搅拌机用存储容器
CN111387833A (zh) * 2020-04-01 2020-07-10 宁波飞仕达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防沸腾式锅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9309B1 (ko)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9309B1 (ko) 넘침방지 냄비뚜껑
US3170875A (en) Colander
KR20090068085A (ko) 남비 뚜껑 손잡이
US20150259892A1 (en) Sink Supported Cutlery Cup
FR2908622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hauffant, comportant un recipient de cuisson intermediaire
WO2021056863A1 (zh) 顶出装置和烹饪器具
WO2014173180A1 (zh) 杂质阻留器和有阻留杂质的功能的洗涤筐
KR101136091B1 (ko) 넘침방지 조리기구용 뚜껑
KR101020601B1 (ko) 넘침방지 냄비용 뚜껑
US20210171265A1 (en) Stretchable Protective Liners
KR200460003Y1 (ko) 회전탈수장치 뚜껑
US2244301A (en) Device for washing dishes and the like
CN208039387U (zh) 一种集成灶具用玻璃洗碗池
JP7150242B1 (ja) 調理用具用蓋
KR101447599B1 (ko) 쌀 세척 장치
KR20050094730A (ko) 넘침 방지 냄비뚜껑 손잡이
CN209695007U (zh) 一种新型沥水篮
CN202365659U (zh) 蔬菜水果食品清洗器用清洗篮
EP1316284A2 (en) Appliance for washing vegetables and molluscs
CN109620081A (zh) 一种用于洗碗机的搁架及洗碗机
CN215738475U (zh) 一种多功能不粘锅
CN217885758U (zh) 一种防烫伤钢化玻璃锅盖
CN210300502U (zh) 一种便于清洗的水杯
CN215016029U (zh) 一种锅具
CN209611061U (zh) 洗碗机把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