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6513A -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6513A
KR20070016513A KR1020050071260A KR20050071260A KR20070016513A KR 20070016513 A KR20070016513 A KR 20070016513A KR 1020050071260 A KR1020050071260 A KR 1020050071260A KR 20050071260 A KR20050071260 A KR 20050071260A KR 20070016513 A KR20070016513 A KR 20070016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heat
space
heat source
od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1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0401B1 (ko
Inventor
황주환
Original Assignee
박정규
황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규, 황주환 filed Critical 박정규
Priority to KR1020050071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0401B1/ko
Priority to PCT/KR2005/002560 priority patent/WO2006025659A1/en
Publication of KR2007001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0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0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94Broiling ra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 조리시에 발생되는 음식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조리할 수 있도록 한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기구의 조리부를 가열하거나 조리기구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열원에 의하여 조리부를 가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기구의 상부에 위치하는 뚜껑을 포함한 상부구조체를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구조체 중 내측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1가열수단이 마련되어 고온상태를 유지하되 본체의 조리공간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탈취공간과, 내측부재에 형성한 유입부를 거쳐 내,외측부재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고 제2가열수단이 마련되어 고온상태를 유지하는 중간통로탈취공간과, 그리고 상기 외측부재에 형성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음식물의 가열 조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고, 조리기구의 내부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각종 조리냄새가 상기 하부탈취공간과 중간통로탈취공간을 경유하면서 유동성 대류열 및 복사열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거된 후에 배출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외부 조리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조리, 가열, 냄새제거

Description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Cooker having a Deodoriz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서 채택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열원, 2: 상부구조체,
3: 열전달부, 4: 하부탈취공간,
5: 복사부, 6: 중간통로탈취공간,
7: 조리부, 8: 음식재료,
9: 손잡이, 10: 안전보호대,
20: 내측부재, 22: 제1가열수단,
24: 제2가열수단, 30: 통로부,
32: 열방사그릴, 34: 가이더판,
40: 냉각캡, 50: 외부표면부재,
52: 유입부, 54: 배출부,
56: 이격판, 60: 균형링부재,
70: 개공, 72: 외측부재,
74: 조리용기, 76: 석쇠판,
78: 조리공간, 100:조리기본체
본 발명은 상부로부터 하향으로 음식물의 가열 및 조리가 이루어지고 가열 조리시에 발생되는 음식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리기구는 열원은 하부에 위치하고 열원의 상부에 조리부가 위치하는 형태가 주종을 이루어, 가열원으로서는 전기식 히터 또는 가스나 석유 등의 연료를 연소시키는 각종 히터를 사용하고 조리부로서는 솥, 냄비, 팬, 석쇠 등을 사용하게 되며 열원과 조리부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그 이외에도 전기밥솥, 전기쿠커, 전기팬 등 열원이 조리부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서 일체로 이루어지는 형태가 활용되고 있다.
그 중 석쇠와 같이 직접 구이형태로 조리가 이루어지는 방식은 열원의 화염 이나 열기가 예를 들면 육류나 생선 등의 음식재료와 직접 맞닿게 되어 음식재료에 함유되어 있던 영양소가 쉽게 파괴되고 음식재료의 내부 깊숙히까지 익지 않은 상태에서도 표면부위는 쉽게 타거나 늘어 붙게 되어 조리가 불량으로 되거나 조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조리과정에서 연기나 비린내와 같은 악취가 발생하게 되어 가정에서는 사용하기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간접적으로 가열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서 프라이팬, 불판 등의 조리기구의 상부에 음식재료를 놓고 가열하는 경우에도 이들 가열기구가 과열되게 되면 과열부와 접하게 되는 음식재료 부분은 내부 깊숙히 익지 아니한 상태에서 겉부분이 타거나 늘어 붙게 되어 조리가 불량으로 되는 단점이 있으며, 이 또한 조리과정에서 연기나 비린내와 같은 악취가 발생하게 되어 가정에서는 사용하기를 꺼려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종래에 있어서도 조리시에 발생되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서 조리기구에서 조리시에 발생되는 냄새, 연기 등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통로나 아니면 강제순환기구에 의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통로에 탈취기를 설치하여 냄새를 제거하는 다양한 기술들이 알려져 있는데, 여기에서 사용되는 탈취기는 산성가스계용 활성탄, 알칼리 가스계용 활성탄, 중성가스계용 활성탄 등의 순으로 탈취소재를 적층 내장한 형태로 구성하거나 탈취를 위한 촉매체를 표면에 코팅한 매체를 통과하도록 하여 탈취효과를 상승시키는 등의 방식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탈취방식은 탈취능력에 한계가 있어 그 효과의 신뢰도가 낮아지고, 탈취기 자체의 사용수명이 그다지 길지 않아 이를 자주 세척하거나 아니면 교환하여야 하는 사용상 제한성이 있어 번거로우며, 냄새를 제거함에 있어서는 근원적으로 해결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내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이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복사부로 전달되고 복사부를 경유하여 발생되는 복사열원과 유동성 대류열에 의하여 장치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조리부에 고르게 전달되고 조리부 상부에 위치한 조리용 음식재료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깊숙히까지 가열 및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식재료가 과열되어 타는 현상, 연기 또는 악취가 발생하는 형상, 음식재료가 조리부에 늘어붙는 현상 등을 방지하면서,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음식재료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음식재료가 가지고 있던 고유의 맛을 유지하고 영양분의 파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의 가열 조리시에 하부탈취공간과 중간통로탈취공간을 경유하면서 복사열과 유동성 대류열에 의하여 조리기구의 내부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각종 조리냄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한 후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쾌적한 외부 조리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의 절감과 함께 보다 경제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그 이상으로 냄새제거효과도 보다 향상시키면서 조리시에 조리공간의 내부 온도가 과열되어 음식물이 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부의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기구의 조리부를 가열하거나 조리기구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열원에 의하여 조리부를 가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기본체의 상부에 위치하는 뚜껑을 포함한 상부구조체를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구조체 중 내측부재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1가열수단이 마련되어 고온상태를 유지하되 본체의 조리공간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탈취공간과, 내측부재에 형성한 유입부를 거쳐 내,외측부재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고 제2가열수단이 마련되어 고온상태를 유지하는 중간통로탈취공간과, 그리고 상기 외측부재에 형성한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음식물의 가열 조리시에 조리기구의 내부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식조리냄새가 상기 하부탈취공간과 중간통로탈취공간을 경유하면서 제거된 후에 배출부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대한 개념을 포함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각각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인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에 있어서 이들 여러 실시예의 경우, 공통적으로 외부의 열원(1)을 이용하여 조리부를 가열하거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열원(1)에 의하여 조리부를 가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기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뚜껑을 포함한 상부구조체(2)를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구조체(2) 중 내측부재(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1가열수단(22)이 마련되어 고온상태를 유지하되 조리기본체(100)의 조리공간(78)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탈취공간(4)과, 내측부재(20)에 형성한 유입부(52)를 거쳐 내,외측부재(50,20)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고 제2가열수단(24)이 마련되어 고온상태를 유지하는 중간통로탈취공간(6)과, 그리고 상기 외측표면부재(50)에 형성한 배출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음식물의 가열 조리시에 조리기구의 내부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식조리냄새가 상기 하부탈취공간(4)과 중간통로탈취공간(6)을 경유하면서 제거된 후에 배출부(54)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외측부재(50)에 형성된 배출부(54)의 상부엔 내부 열기의 배출시 손잡이(9)에 직접 도달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판(56)이 설치되고, 조리기본체(100)의 외주연엔 안전보호대(10)를 설치하여 화상이나 기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1)으로부터 열기가 복사부(5)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지는 열전달부(3)와, 상기 열전달부(3)로부터 얻어지는 열기가 경유하면서 복사열원을 발생시키고 장치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복사부(5)와, 그리고 상기 복사부(5)로부터 발생되는 복사열원이 하향으로 전달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열전달부(3)는 상기 복사부(5)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리부(7)의 내측으로서 상협 하광의 통로부(30)와 상기 통로부(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기배출부가 상기 조리부(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통로부(30)의 상부에 마련되는 열기배출부로서 열방사그릴(32)과 그리고 상기 열방사그릴(32)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더판(34)이 결합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열전달부(3)는 도3 및 도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복사부(5)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복사부(5)에 히터를 포함하는 열원(1)이 설치되고, 상기 복사부(5)는 표면부위에 원적외선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코팅이 이루어지며, 후부엔 외측표면부재(50)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복사부(5)를 이루는 내측부재(20)와 상기 외측표면부재(5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의 유입부(52)와 배출부(54)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부(7)는 사방으로 상,하부에 다수의 개공(70,70)이 각각 형성된 외측부재(72)의 내측에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서 외주연은 상기 외측부재(72)에 얹어 놓은 상태로 구성되는 조리용기(74)를 설치하고 상기 조리용기(74)의 내측 단턱부위에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석쇠판(76)을 설치하여 그 위에 음식재료(8)를 올려놓고 조리할 수 있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부(7)는 도 5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부(7)의 내측에는 냉각수가 채워지고 상기 조리부(7)의 내향경사부(7a)에는 상기 내향경사부(7a)와 일정 간극이 이격되게 구성한 냉각캡(40)을 별도로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조리시에 조리부(7)의 내부가 과열되어 냉각수가 비등하고 끓어오르게 되면 주위의 열기를 흡수하게 되어 조리효과가 급강하하게 되므로, 이를 사전에 방 지하기 위하여 상기 냉각캡(40)을 결합하여 놓게 되면, 냉각수가 냉각캡(40)과 상기 내향경사부(7a)의 사이 간극을 통하여 상승하면서 넘쳐 냉각캡(40)의 외측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자연스럽게 순환 유동하여 냉각되고 냉각수가 끓거나 조리중에 음식재료(8)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타게 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리부(7)는 도 6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리부(7)의 내측으로서 단턱(7b)에 상,하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의 균형링부재(80)를 거치시키고, 상기 단턱(7b)의 상부로서 상기 균형링부재(80)의 상부 내측에 석쇠판(76)을 설치하여 그 구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열전달부(3)와 복사부(5)를 거쳐 열기가 조리부(7)에 계속적으로 전달되면서 조리부(7)가 과열되어 그 내측으로 전달되거나 석쇠판(76)으로 열전달되어 석쇠판(76)이 과열되어 음식재료(8)가 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인 조리장치는 도 7 및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그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도 7에 예시한 실시예의 경우엔, 외부의 열원을 활용하지 아니하고 내부에 직접 열원(1)을 설치하되, 제1가열수단(22)으로서 예를 들면 전기히터를 내장 설치하여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예를 보여주고, 도 8에 예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외부열원을 활용하되, 후부로부터 열전달부(3)를 거쳐 전면 방향으로 전체 부위를 거친 다음에 유입부(52)를 경유 제2가열수단(24)의 역할을 수행한 다음에 비로소 배출부(54)를 거쳐 외부로 열기가 배출되는 형태 로 구성한 것으로서 음식점이나 기타 대형의 용량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활용할 수 있는 예를 보여준다.
미설명부호로서 90은 석쇠판(76)이나 음식재료(8) 등을 조리기본체(100)의 내부로 집어 넣거나 외부로 꺼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투입배출부를 나타낸다.
다음은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작동관계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1, 도2 및 도6에 예시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가스레인지나 기타의 조리용 히터를 별도의 열원(1)으로 하고 그 상부에 본 발명인 조리장치를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화염이 발생되는 부위가 열전달부(3)의 직하부에 위치하도록 위치시켜 열원(1)으로부터 열기가 상기 열전달부(3)를 경유하도록 준비한다.
다음, 손잡이(9)를 잡고 복사부(5)와 함께 표면부재(50)를 포함한 상부구조체(2)를 뚜껑처럼 들어 올린 다음 조리용기(74)에 착탈이 가능하게 올려놓은 석쇠(76)에 조리하고자 하는 육류, 생선, 조개, 새우, 감자 등등, 음식재료(8)를 골고루 올려놓고 먼저 열었던 복사부(5)를 포함한 표면부재(50)를 다시 원위치시켜 외측부재(72)를 포함하는 조리부(7)의 상부를 덮어 놓는다.
이와 같이, 조리준비가 완료된 다음에 열원(1)으로서 가스레인지 등 조리용 히터를 점화시키게 되면, 열원(1)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는 다른 곳으로 나가지 못하고 열전달부(3)의 통로부(30)를 거쳐 모아지는 상태로 상승하고 일부는 열방사그릴(32)로 직접 움직이고 나머지는 가이더판(34)에 일단 부딪쳤다가 다시 열방사그 릴(32)로 움직여 사방으로 골고루 확산되게 되고, 일부는 이들 열방사그릴(32)을 포함하여 체류 내지 축열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방사그릴(32)을 경유 사방으로 확산되는 열기는 상향되어 복사부(5)의 저부 표면에 부딪쳐 열복사가 이루어지게 되고 복사열선과 함께 원적외선 형태로 변화된 열선이 방향이 하향으로 방향 전환되면서 열유동에 의한 열대류도 함께 발생되어 하부에 위치한 상기 조리부(7)로서 석쇠(76)의 상부에 배치된 음식재료(8)에 다다르게 되고 음식재료(8)의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나머지 일부는 석쇠(76)의 사이를 경유 하향으로 이동하였다가 조리용기(74)의 내측면에 부딪친 다음 다시 상향으로 이동하여 음식재료(8)의 저부 부분을 익히는데 대부분이 소모되게 되며, 조리공간(78)에서 음식재료(8)의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어 음식재료(8)의 표면으로부터 쉽게 수분이 증발되거나 배출되지 않아 충분하게 수분이 함유된 상태에서 영양분이 손실되지 않고 맛있게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이와 같이 소모되고 남게 되는 복사열선과 일부 열기는 음식재료(8)의 조리 중에 아주 미세한 입자 형태로 발생되는 음식조리냄새, 악취, 연기 등과 함께 제1가열수단(2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탈취공간(4)에서 대부분 연소가 되어 소멸이 되게 되고 제1가열수단(22)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복사부(5)의 유입부(52)와 제2가열수단(24)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상기 복사부(5)의 배면과 상기 표면부재(50)의 사이 공간인 중간통로탈취공간(6)을 경유하면서 상기 제2가열수단(24)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에 의하여 나머지를 포함하여 재차로 가열 연소되어 소멸되게 되고 이와 같이 조리냄새나 다른 악취나 연기가 제거되어 나름대로 통과되 는 경로를 충분하게 확보한 상태에서 통과되면서 악취가 제거되어 정화된 상태에서 표면부재(50)의 배출부(54)를 거쳐 이격판(56)의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열원(1)으로부터 발생된 열기는 열전달부(3)를 거쳐 복사부(5)에 이른 다음 복사열선과 원적외선 형태로 변화되고, 이와 같이 변화된 복사열선과 원적외선, 그리고 유동성 대류열은 전술한 여러 경로를 거치면서 음식재료(8)에 대한 가열조리 및 악취의 제거가 이루어지되, 특히 복사열선 및 원적외선의 경우에 일반 열선에 비하여 파장이 길어 원거리에 까지 도달하고 음식재료(8)의 내부 깊숙히 침투하여 보다 신속하고도 효과적인 조리가 가능하게 되고, 게다가 하부탈취공간(4) 및 중간통로탈취공간(6)을 거치면서 미세한 입자표면에 골고루 도달하여 유동성 대류열에 의하여 접촉되어지는 면적이 충분하게 확보되면서 장시간에 걸쳐 유동되게 되므로, 보다 확실한 연소처리에 의한 악취의 제거기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도3, 도4 및 도7에 도시한 실시예의 경우에는 열원(1)이 위와 같이 별도로 있는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장치의 내부에 전기히터 등과 같은 열원(1)이 미리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이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정도일뿐, 음식조리를 위한 준비 작업으로서 뚜껑 형태로 이루어진 복사부(5)와 외측 표면부재(50)를 포함한 상부구조체(2)를 열어 놓기 위하여 손잡이(9)를 이용하여 열어 놓고, 조리부(7)의 조리용기(74) 상부에 위치한 석쇠(74)위에 조리를 위한 음식재료(8)를 골고루 올려 놓은 다음에 다시 손잡이(9)를 이용하여 복사부(5)와 평면부재(50)를 포함한 상부구조체(2)를 뚜껑으로서 다시 원위치시켜 덮어놓아 음식물조리를 위한 준비작업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완료한다.
다음, 열원(1)을 가동시키게 되면, 열원(1)은 제1가열수단(22)으로서 복사부(5)와 함께 존재하게 되는 열기는 복사부(5)의 하향 방향으로 복사열선 및 유동성 대류열 형태로 변화되게 되고 하부에 위치한 상기 조리부(7)로서 석쇠(76)의 상부에 배치된 음식재료(8)에 다다르게 되고 음식재료(8)의 조리가 이루어지게 되며, 나머지 일부는 석쇠(76)의 사이를 경유 하향으로 이동하였다가 조리용기(74)의 내측면에 부디친 다음 다시 상향으로 이동하여 음식재료(8)의 저부 부분을 익히는데 대부분이 소모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이와 같이 소모되고 남게 되는 복사열선과 일부 유동성 대류열기는 음식재료(8)의 조리 중에 아주 미세한 입자 형태로 발생되는 음식조리냄새, 악취, 연기 등과 함께 제1가열수단(22)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탈취공간(4)에서 골고루 냄새입자의 표면 전체에 걸쳐 도달하게 되고 대부분 연소되어 소멸이 되게 되며, 제1가열수단(22)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복사부(5)의 유입부(52)와 외측표면부재(5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가열수단(24)과 내측부재(20)의 사이 공간인 중간통로탈취공간(6)을 경유하면서 상기 제2가열수단(24)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와 유동성 대류열기에 의하여 나머지 냄새입자를 포함하여 일부 남아 있던 연기도 재차로 가열 연소되어 소멸되게 되고 이와 같이 조리냄새나 다른 악취나 연기가 제거되어 정화된 상태에서 표면부재(50)의 배출부(54)를 거쳐 이격판(56)의 하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열원(1)으로서 제1가열수단(22)으로부터 발생된 열기는 복사부(5)와 함께 연동하여 복사열선과 원적외선 형태를 포함하여 유동성 대류열 형태로 변화되고, 여러 경로를 거치면서 음식재료(8)에 대한 가열 및 조리가 이루어지되, 특히 복사열선 및 원적외선의 경우에 일반 열선에 비하여 파장이 길어 원거리에 까지 도달하고 음식재료(8)의 내부 깊숙히 침투하여 보다 신속하고도 효과적인 조리와 함께 조리중의 음식냄새, 다른 악취나 연기 등이 확실하게 제거되어 정화된 상태에서 조리장치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 의한 조리장치는 거치용 또는 휴대용으로도 제작이 가능하여 야외는 물론, 가정과 같이 좁은 실내에서도 조리가 가능하고 여러 종류의 음식재료를 동시에 조리하는 경우에도 조리냄새가 발생하지 않아 주위에 피해를 주지 않고도 마음놓고 조리가 가능하여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으로부터 발생되는 열기가 복사부로 전달되고 복사부를 경유하여 발생되는 복사열원과 유동성 대류열에 의하여 장치의 내부에서 하향으로 조리부에 고르게 전달되고 조리부 상부에 위치한 조리용 음식재료는 상부 표면으로부터 내부 깊숙히까지 가열 및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음식재료가 과열되어 타는 현상, 연기 또는 악취가 발생하는 현상, 음식재료가 조리부에 늘어붙는 현상 등을 방지하면서,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음식재료의 내부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과도하게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음식재료가 가지고 있던 고유의 맛을 유지하고 영양분의 파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의 가열 조리시에 하부탈취공간과 중간통로탈취공간 을 경유하면서 열복사 및 유동성 대류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조리기구의 내부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식조리냄새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한 후에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보다 쾌적한 외부 조리환경을 유지하면서,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 제조가 용이하고 원가의 절감과 함께 보다 경제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그 이상으로 냄새제거효과도 보다 향상시키면서 내부의 온도를 과열되지 않게 조절하여 음식물이 타지않도록 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6)

  1. 외부의 열원(1)을 이용하여 조리부를 가열하거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열원(1)에 의하여 조리부를 가열하여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기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하는 뚜껑을 포함한 상부구조체(2)를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구조체(2) 중 내측부재(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제1가열수단(22)이 마련되어 고온상태를 유지하되 조리기본체(100)의 조리공간(78)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하부탈취공간(4)과,
    내측부재(20)에 형성한 유입부(52)를 거쳐 내,외측부재(50,20)의 사이 공간에 형성되고 제2가열수단(24)이 마련되어 고온상태를 유지하는 중간통로탈취공간(6)과, 그리고
    상기 외측표면부재(50)에 형성한 배출부(54)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음식물의 가열 조리시에 조리기구의 내부 음식물에서 발생되는 각종 음식조리냄새가 상기 하부탈취공간(4)과 중간통로탈취공간(6)을 경유하면서 제거된 후에 배출부(54)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재(50)에 형성된 배출부(54)의 상부엔 내부 열기의 배출시 손잡 이(9)에 직접 도달하여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격판(56)이 설치되고, 조리기본체(100)의 외주연엔 안전보호대(10)를 설치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1)으로부터 열기가 복사부(5)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지는 열전달부(3)와,
    상기 열전달부(3)로부터 얻어지는 열기가 경유하면서 복사열원을 발생시키고 장치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복사부(5)와, 그리고
    상기 복사부(5)로부터 발생되는 복사열원이 하향으로 전달되어 조리가 이루어지는 조리부(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열전달부(3)는 상기 복사부(5)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리부(7)의 내측으로서 상협 하광의 통로부(30)와 상기 통로부(30)의 상부에 설치되는 열기배출부가 상기조리부(7)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부(3)는 상기 복사부(5)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복사부(5)에 히터를 포함하는 열원(1)이 설치되고,
    상기 복사부(5)는 표면부위에 원적외선의 발산이 이루어지도록 코팅이 이루 어지며 후부엔 외측표면부재(50)가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복사부(5)를 이루는 내측부재(20)와 상기 외측표면부재(50)에는 서로 다른 위치에 복수개의 유입부(52)와 배출부(54)를 각각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부(7)는 사방으로 상,하부에 다수의 개공(70,70)이 각각 형성된 외측부재(72)의 내측에 일정 간격이 이격된 상태로서 외주연은 상기 외측부재(72)에 얹어 놓은 상태로 구성되는 조리용기(74)를 설치하고 상기 조리용기(74)의 내측 단턱부위에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석쇠판(76)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7)의 내측에는 냉각수가 채워지고 상기 조리부(7)의 내향경사부(7a)에는 상기 내향경사부(7a)와 일정 간극이 이격되게 구성한 냉각캡(40)을 별도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부(7)의 내측으로서 단턱(7b)에 상,하부가 개방되고 원통형의 균형링부재(80)를 거치시키고, 상기 단턱(7b)의 상부로서 상기 균형링부재(80)의 상부 내측에 석쇠판(76)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1020050071260A 2004-08-06 2005-08-04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100690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260A KR100690401B1 (ko) 2005-08-04 2005-08-04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PCT/KR2005/002560 WO2006025659A1 (en) 2004-08-06 2005-08-05 Cooker having deodoriz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1260A KR100690401B1 (ko) 2005-08-04 2005-08-04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513A true KR20070016513A (ko) 2007-02-08
KR100690401B1 KR100690401B1 (ko) 2007-03-09

Family

ID=4162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1260A KR100690401B1 (ko) 2004-08-06 2005-08-04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04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707B1 (ko) * 2011-04-08 2013-07-12 주식회사 홈스타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028B1 (ko) * 2011-03-30 2012-06-07 서선자 직화 조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707B1 (ko) * 2011-04-08 2013-07-12 주식회사 홈스타 냄새 제거용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0401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185B1 (ko) 간편 조리기
KR200436173Y1 (ko) 오븐형 간편 조리기
KR101965359B1 (ko) 화기조절판을 구비한 조리용기
KR20120121497A (ko) 찜 구이용 조리기
KR101646243B1 (ko) 구이용 불판
KR101776838B1 (ko) 직화 구이팬
KR200371963Y1 (ko) 조리기구판
KR100690401B1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JP4179252B2 (ja) 組込式誘導加熱調理器
KR200487893Y1 (ko) 구이용 로스팅장치
KR102334355B1 (ko) 불판 조립체
KR20060079443A (ko) 냄새제거기를 갖춘 조리장치
KR101154028B1 (ko) 직화 조리기
KR101292351B1 (ko) 간접 가열식 구이기
KR100993106B1 (ko) 튀김기
KR200425481Y1 (ko) 전기 구이기
KR100368455B1 (ko)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KR100433315B1 (ko) 조리기
KR20110029540A (ko) 탄소섬유발열체를 이용한 다목적 가열기
WO2006025659A1 (en) Cooker having deodorization device
KR20110053591A (ko) 직화 오븐기
KR100639942B1 (ko) 복사열을 이용한 조리장치
KR100330623B1 (ko) 가열식 남비뚜껑
KR200366295Y1 (ko) 복사열을 이용한 조리장치
EP1444934B1 (en) Grill unit and cooking apparatus with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8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101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1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