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3006A -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006A
KR20070013006A KR1020050067309A KR20050067309A KR20070013006A KR 20070013006 A KR20070013006 A KR 20070013006A KR 1020050067309 A KR1020050067309 A KR 1020050067309A KR 20050067309 A KR20050067309 A KR 20050067309A KR 20070013006 A KR20070013006 A KR 20070013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board material
hole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윤조
나완용
Original Assignee
오윤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윤조 filed Critical 오윤조
Priority to KR1020050067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13006A/ko
Publication of KR2007001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17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5K3/0026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by laser ab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36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 B65H75/4442Arrangements for yieldably braking the reel or the material for moderating speed of winding or unwinding acting on the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81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driving the reel or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을 가공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 공급시간과 가공시간을 최소화시키게 하고, 연속적인 자동화가 가능하게 하여 원자재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키게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홀 가공되기 전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가 전부 공급된 후에 다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가 공급될 시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게 선 자재와 후 자재 사이를 무리없이 연결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에 대한 홀 가공의 작업이 방해되지 않도록 홀 가공이 완료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정확한 홀 가공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에 대한 홀 가공의 작업의 효율성을 전체적으로 향상시켜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작업자나 관리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키게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해 가공되기 전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원할히 공급하는 언와이딩 릴수단과, 상기 언와이링 릴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미리 입력된 설정 위 치에 레이저 드릴링 머신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홀을 가공하기 위한 홀 가공수단과, 상기 홀 가공수단에 의해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원할히 되감아 주도록 하는 리와이딩 릴수단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언와이딩, 리와이딩, 롤러, 드릴링 머신, 홀 가공,릴, 역방향 방지, 콘트롤러

Description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REEL HANDLING SYSTEM FOR THROUGH HOLE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정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시스템의 일측에서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시스템의 타측에서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릴 핸들링 시스템 100 : 언와이딩 릴수단
101,301 :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
102 : 공급롤러 103 : 제1 가이드롤러
104 : 제2 가이드롤러 105 : 제3 가이드롤러
106,107 : 클램프 110,310 : 텐션유지부
111,311 : 가이드봉 112,312 : 텐션롤러
120,320 : 콘트롤러 200 : 홀 가공수단
300 : 리와이딩 릴수단 302 : 제4 가이드롤러
303 : 제5 가이드롤러 304 : 제6 가이드롤러
306,307 : 역방지클램프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홀 가공(Through Hole)을 위한 릴 핸들링(Reel Handling)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원할히 공급하는 언와이딩 릴수단과,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미리 입력된 설정 위치에 레이저 드릴링 머신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홀을 가공하기 위한 홀 가공수단과,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원할히 되감아 주도록 하는 리와이딩 릴수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홀을 가공하기 위한 자재 공급시간과 가공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연속적인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하고, 이에 따른 원자재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실시하고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에 대한 홀 가공은 시트 형태에서 일괄 가공하여 처리한 후 감광성의 폴리마이드 필름을 라미네이팅 처리하고, 노광 기준 홀에 따라 시트 형태에서 노광작업이 이루어진 다음 현상액에 의한 현상처리 및 에칭액에 의한 에칭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따른, 자재에 대한 홀 가공작업은 자재를 시트형태로 절단한 다음 뉴머 리컬 제어 드릴링 머신을 이용하여 홀을 가공하였으나, 이는 시트형태로 자재를 공급하여 홀을 가공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지 못할뿐만 아니라 자재에 대한 손실이 막대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워 가공시간 및 작업시간이 증대되는 동시에 작업성의 저하로 인한 정확한 홀 가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로 인해 시트형태로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에 대한 홀 가공은 어느 정도 그 효율성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볼 때 작업자 및 관리자로 하여금 작업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갖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발명은 홀을 가공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 공급시간과 가공시간을 최소화시키게 하고, 연속적인 자동화가 가능하게 하여 원자재의 손실을 최소화시켜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키게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홀 가공되기 전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가 전부 공급된 후에 다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가 공급될 시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게 선 자재와 후 자재 사이를 무리없이 연결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에 대한 홀 가공의 작업이 방해되지 않도록 홀 가공이 완료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가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동시에 정확한 홀 가공의 작업을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에 대한 홀 가공의 작업의 효율성을 전체적으로 향상시켜 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작업자나 관리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를 극대화시키게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해 가공되기 전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원할히 공급하는 언와이딩 릴수단과, 상기 언와이링 릴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미리 입력된 설정 위치에 레이저 드릴링 머신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홀을 가공하기 위한 홀 가공수단과, 상기 홀 가공수단에 의해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원할히 되감아 주도록 하는 리와이딩 릴수단으로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을 이루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작업자 및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정면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시스템의 일측에서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 시스템의 타측에서 보여주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본 발명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10)은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해 가공되기 전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를 원할히 공급하기 위한 언와이딩 릴수단(100)과, 상기 언와이딩 릴수단(100)을 통해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를 미리 입력된 설정 위치에 레이저 드릴링 머신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홀을 가공하기 위한 홀 가공수단(200)과, 상기 홀 가공수단(200)에 의해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301)를 원할히 되감아 주도록 하는 리와이딩 릴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언와이딩 릴수단(100)에는 제2 가이드롤러(104)와 제3 가이드롤러(105) 사이에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의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유지부(110)가 위치되되, 상기 텐션유지부(11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가 이드봉(111)이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111)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무게추 역할을 하는 텐션롤러(11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언와이딩 릴수단(100)에는 공급롤러(102)에서 공급 완료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의 일측 끝단부와 공급롤러(102)에서 새로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의 일측 끝단부를 테이프로 부착하여 연결하도록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106)(107)가 구비되되, 상기 클램프(106)(107)는 제1 가이드롤러(103)와 제2 가이드롤러(104) 사이에 위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리와이딩 릴수단(300)에는 제4 가이드롤러(302)와 제5 가이드롤러(303) 사이에 감기게 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301)의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유지부(310)가 위치되되, 상기 텐션유지부(31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봉(311)이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311)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무게추 역할을 하는 텐션롤러(312)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는, 상기 리와이딩 릴수단(300)에는 홀 가공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가 홀 가공시 이미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301)가 역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역방지클램프(306)(307)가 각각 구비되되, 상시 역방지클램프(306)는 제4 가이드롤러(302)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역방지클램프(307)는 제6 가이드롤러(304)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미 설명부호 120는 언와이딩 릴수단(100)의 구성부들에 대해 작업자 및 관리자가 용이하게 수동 및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를 나타낸 것이고, 320는 리와이딩 릴수단(300)의 구성부들에 대해 작업자 및 관리자가 용이하게 수동 및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홀 가공수단(200)에서 홀 가공하기 위한 레이저 드릴링 머신과 같은 기기(미도시됨)는 통상적인 기술적 구성이어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각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하고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 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딩 시스템(100)의 구성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인 플렉시블 인쇄회로 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딩 시스템(10)은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기판 자재(101)인 원자재가 롤형태에서 공급되어 홀 가공을 한 후에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301)를 롤 형태로 감도록 함으로써, 홀 가공을 하는 작업과정에서의 공급시간과 가공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연속적인 자동화가 가능한 동시에 원자재의 손실을 최소화시키고, 생산성 및 경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업자 및 관리자가 홀 가공을 하기 위해 홀 가공수단(200)에 위치된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에 대한 홀 가공 위치를 미리 설정하여 입력시킨 후에 플렉시블 인쇄회로 기판 자재(101)를 언와이딩 릴수단(100)을 통해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언와이딩 릴수단(100)을 통해서 홀 가공을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를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롤러(102)에 위치시키게 된다.
상기 공급롤러(102)에 위치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는 제1 가이드롤러(103)와 제2 가이드롤러(104)를 지나서 텐션유지부(110)의 텐션롤러(112)에 위치되어 경유한 다음 제3 가이드롤러(105)를 지나 홀 가공수단(200)에 공급되게 된다.
상기 텐션유지부(110)는 텐션을 유지시켜 주어 언라이딩 릴수단(100)을 통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가 원할하게 공급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는 무게추 역할을 하는 텐션롤러(112)가 가이드봉(111)을 따라 용이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어 텐션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언와디딩 릴수단(100)에 구비된 클램프(106)와 클램프(107)는 제1 가이드롤로(103)와 제2 가이드롤로(104) 사이에 위치되어 플렉시블 인쇄회로 기판 자재(101)를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공급롤러(102)에서 공급이 완료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와 다른 새로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를 공급롤러(102)에서 공급시킬 경우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서 상기 클램프(107)는 공급롤러(102)에서 공급이 완료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의 일측 끝단부를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클램프(106)는 공급롤러(102)에서 새로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의 일측 끝단부를 고정시킨 다음 상기 고정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의 양측 끝단부를 테이프로 부착하여 상호 연결시켜 작업의 연속성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다.
상기 언와이딩 릴수단(100)의 콘트롤러(120)는 작업자 및 관리자가 상기 가 구성부들에 대해서 수동 및 자동으로 용이하게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언와이딩 릴수단(100)의 제3 가이드롤러(105)를 통해 홀 가공수단(200)으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가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홀 가공수단(200)은 작업자 및 관리자가 미리 입력시킨 설정된 위체에 의해 연속적으로 홀 가공을 이루게 된다.
상기의 홀 가공은 레이저 드릴링머신과 같은 기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레이저에 의한 홀 드릴링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홀 가공수단(200)은 별도의 진공부(미도시)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정확한 홀 가공이 가능하도록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101)를 흡착에 의한 진공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홀 가공수단(200)에 의해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301)는 리와이딩 릴수단(300)으로 공급되어 감기롤러(305)에서 되감기게 된다.
즉,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301)는 제4 가이드롤러(302)를 지나서 텐션유지부(310)의 텐션롤러(312)에 위치되어 경유한 다음 제5 가이드롤러(303)와 제6 가이드롤러(304)를 지나서 감기롤러(305)에 되감기게 되는 것이다.
상기 텐션유지부(310)는 텐션을 유지시켜 주어 리와이딩 릴수단(300)을 통해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301)가 원활하게 되감기기 위한 것으로, 이는 무게추 역할을 하는 텐션롤러(312)가 가이드봉(311)을 따라 용이하게 상하 이동 이 가능하여 텐션이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와이딩 릴수단(300)에 구비된 역방지클램프(306)와 역방지 클램프(307)는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기판 자재(301)가 역방향인 홀 가공수단(200)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4 가이드롤러(302)의 상단부에 구비된 역방지클램프(306)와 상기 제6 가이드롤러(304)의 상단부에 구비된 역방지클램프(307)는 홀 가공수단(200)에 의해 홀 가공되는 공정이 이루어질 때 이미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301)가 홀 가공수단(200)으로 이동하게 되면 미리 설정된 위치에 정확히 홀 가공을 이룰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홀 가공수단(200)에 의해 홀 가공 작업이 이루어지면, 상기 역방지클램프(306)(307) 각각은 이미 홀 가공되어 감기고 있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301)를 역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킨 다음 홀 가공이 이루어지면 다시 되감기가 실행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리와이딩 릴수단(300)의 콘트롤러(320)는 작업자 및 관리자가 상기 구성부들에 대해서 수동 및 자동으로 용이하게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홀을 가공하기 위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의 공급시간과 가공시간이 최소화되는 효과와, 연속적인 자동화가 가능한 효과와, 원자재의 손실이 최소화되어 생산성 및 경제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고,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게 선 자재와 후 자재 사이를 무리없이 연결시켜 작 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홀 가공이 완료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가 역방향으로 이동되지 않아 다른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에 대한 정확한 홀 가공의 작업이 가능한 효과로 인해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에 대한 홀 가공의 작업의 효율성이 전체적으로 향상되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작업자나 관리자로 하여금 사용상의 만족도 및 신뢰도가 극대화되는 등의 여러 효과를 동시에 거둘 수 있다.

Claims (5)

  1.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의 홀 가공을 위해 가공되기 전의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원할히 공급하기 위한 언와이딩 릴수단;
    상기 언와이딩 릴수단을 통해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미리 입력된 설정 위치에 레이저 드릴링 머신과 같은 기기를 이용하여 홀을 가공하기 위한 홀 가공수단; 및
    상기 홀 가공수단에 의해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를 원할히 되감아 주도록 하는 리와이딩 릴수단;
    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언와이딩 릴수단에는,
    제2 가이드롤러와 제3 가이드롤러 사이에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의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유지부가 위치되되,
    상기 텐션유지부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봉이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무게추 역할을 하는 텐션롤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언와이딩 릴수단에는,
    공급롤러에서 공급 완료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의 일측 끝단부와 공급롤러에서 새로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의 일측 끝단부를 테이프로 부착하여 연결하도록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클램프(106)(107)가 구비되되, 상기 클램프(106)(107)는 제1 가이드롤러와 제2 가이드롤러 사이에 위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와이딩 릴수단에는,
    제4 가이드롤러와 제5 가이드롤러 사이에 감기게 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의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유지부가 위치되되,
    상기 텐션유지부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가이드봉이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봉을 따라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무게추 역할을 하는 텐션롤러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와이딩 릴수단에는,
    홀 가공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가 홀 가공시 이미 홀 가공된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 자재가 역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방지하기 위한 역방지클램프(306)(307)가 각각 구비되되, 상시 역방지클램프(306)는 제4 가이드롤러의 상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역방지클램프(307)는 제6 가이드롤러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KR1020050067309A 2005-07-25 2005-07-25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KR200700130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309A KR20070013006A (ko) 2005-07-25 2005-07-25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7309A KR20070013006A (ko) 2005-07-25 2005-07-25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1582U Division KR200397939Y1 (ko) 2005-07-25 2005-07-25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006A true KR20070013006A (ko) 2007-01-30

Family

ID=3801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309A KR20070013006A (ko) 2005-07-25 2005-07-25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130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77B1 (ko) * 2012-10-25 2014-09-25 하나 마이크론(주) 유연 집적회로 소자 패키지 제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77B1 (ko) * 2012-10-25 2014-09-25 하나 마이크론(주) 유연 집적회로 소자 패키지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945B1 (ko) 노광 장치
JP4542495B2 (ja) 投影露光装置及びその投影露光方法
JP6350453B2 (ja) ウエブ搬送装置
US20060272763A1 (en) Splicing assembly and method
ATE80962T1 (de) Kassettenladegeraet und arbeitsverfahren.
JP4814577B2 (ja) 結束装置
JP2007039161A (ja) 搬送装置、記録システムおよび搬送方法
KR20070013006A (ko)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KR200397939Y1 (ko) 플렉시블 인쇄회로기판의 홀 가공을 위한 릴 핸들링 시스템
JP2000214595A (ja) 帯状ワ―クの露光装置
ATE265385T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ontinuierlichen aufwickeln von bahnmaterial
JP3672028B2 (ja) 帯状ワークの露光装置
ITCZ20090030A1 (it) Apparecchiatura atta ad effettuare il controllo di qualità di materiale stampato in banda cartacea o plastica
JPS60167740A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位置決め装置
JP4283810B2 (ja) 穿孔装置
JPH0634007Y2 (ja) コイル巻取装置
JP2002087665A (ja) ウェブつなぎ装置
KR101782553B1 (ko) 연성회로기판용 테이프 부착장치
KR20030067798A (ko) 양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 제조용 레이저 드릴링 머신
JP4144585B2 (ja) 電子部品の押圧装置および押圧方法
JPH01309399A (ja) 部品供給テープのスプライシング装置
JP2004352435A (ja) 帯状ワークの搬送装置
JP2842708B2 (ja) テーピング機付き巻線装置
JP2002362803A (ja) 帯状ワークの加工装置
CN214733173U (zh) 用于卷材接合设备的导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