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1981A -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1981A
KR20070011981A KR1020050066754A KR20050066754A KR20070011981A KR 20070011981 A KR20070011981 A KR 20070011981A KR 1020050066754 A KR1020050066754 A KR 1020050066754A KR 20050066754 A KR20050066754 A KR 20050066754A KR 20070011981 A KR20070011981 A KR 20070011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plasma
adhesive
support
drug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6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4139B1 (ko
Inventor
이한구
이태완
서중기
정관일
정문상
Original Assignee
디에스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에스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에스앤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6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413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1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1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41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41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물층을 밀착포의 중앙 부위에 정확히 고정시키는 데에 불편함을 없애기 위한 것으로, 약물층을 이형필름과 부직포 사이에 적층시키고, 일정한 중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모양의 조각롤에 통과시켜, 약물층이 묻어 있는 지지체를 하프절단롤을 사용하여, 조각롤과 동일한 모양으로 절단한 후,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밀착포에 합지시키며, 일정한 포장 크기로 절단하여, 전체면이 점착력을 지니게 하여서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밀착포의 중앙에 약물층이 있고, 밀착포 상하좌우의 사면이 최적의 점착력을 가지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으로, 이형필름 위에 약물층이 있고 약물층 위에 약물층과 동일한 크기의 지지체가 있으며, 이 지지체는 밀착포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합지되는 것이다.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습포제, 조각롤, 하프절단롤, 약물층

Description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Process and its main machines manufacturing the cataplasma}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평면도,
도 1b는 도 1a의 a-a'선 단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각롤에 의해 일정한 모양의 약물층을 제조하는 단계도,
도 2b는 도 2a의 b-b'선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하프절단롤로 부직포를 절단하는 단계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라 절단된 부직포를 제거한 후의 평면도,
도 3c는 도 3b의 c-c'선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점착제가 도포 된 밀착포
2: 약물층 3: 지지체
4: 이형필름 5: 오픈테이프
6: 조각롤 7: 하프절단롤
본 발명은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물층이 도포 된 지지체를 밀착포의 중앙에 합지되게 하여, 제품의 사용시 습포제를 밀착포에 직접 붙여 사용하여야 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약물층 자체가 밀착포의 중앙 부위에 합지 되게 하여 남녀노소 모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인체의 피부 부위에 장시간 부착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밀착포의 상,하,좌,우의 사면이 점착면으로 구성되게 하여 약물의 국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포제인 카타플라스마는 약물층을 부직포와 같은 지지체에 도포하고, 약물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필름과 이형지에 점착제를 도포 하여 건조시킨 후, 지지체에 전사시킨 밀착포로 이루어지는데, 약물층 자체에도 점착성이 있으나, 점착력이 상대적으로 약하여, 장시간 피부에 첩포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약물층 보다 점착성이 높은 점착제가 도포 된 밀착포를 함께 포장하여 신체의 근육 또는 관절 부분 등과 같이 운동성이 큰 부위에도 장시간 붙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습포제의 첩포시에는 약물층의 이형필름을 떼어내고, 약물층이 처리된 지지체를 밀착포의 상,하,좌,우 일정한 간격으로 중앙에 맞추어 부착한 후, 통증 부위의 피부에 첩포 하여야 하는데, 사용자 본인이 직접 부착하기 보다는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약물층의 지지체를 밀착포의 중앙 위치에 맞도록 단순 동작으 로 부착하기가 매우 까다로우며, 잘못된 부착으로 피부에 첩포 되지 않아 카타플라스마를 버리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카타플라스마의 사용상 불편함을 없애기 위해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왔으며, 대한민국 특허 제0463958호 에는 습포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기재의 양단부의 5 내지 20 mm를 제외한 부분을 800 ㎛의 두께로 니상의 제1점착제를 도포하고, 양단부는 제1점착제 보다 점착력이 큰 핫멜트형 점착제를 제2점착제로 도포한 후, 보호필름을 피복하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를 소개하고 있으나, 제1점착제인 수분을 함유하는 니상의 점착제와 제2점착제로 사용하는 핫멜트는 기본적인 물리 화학적 성질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동일 기재에 도포할 경우 수분이 기재로 베어 나와 점착력이 약해지는 현상을 수반하게 되며, 상단과 하단에는 제2점착제를 처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점착력이 낮은 약물층이 피부로부터 쉽게 박리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므로, 피부에 균일하게 약물층을 첩포시키기 위한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기본품질 특성을 유지하는 데에는 여러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264428호 에는 양 측면에 점착면을 가지고 있는 습포제로써, 점착면을 구성하는 방법은 양면 점착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을 고안하였으나, 점착테이프를 부착시키지 않은 양쪽 면, 즉, 약물층의 점착력에 의존하는 피부 부위는 쉽게 박리되어 약물층으로부터 효율적인 약리적인 효능을 나타내기 어렵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0060794호에서는 습포제를 밀착포의 중앙 부위에 정확하게 한번에 부착해야 하는 중압감을 없애는 목적으로 약물층이 도포되는 지지체 자체를 신축성 있는 재료를 선택하여 밀착포 없는 습포제의 사용 편 리성을 설명하고 있는데, 초기의 약물층 자체의 점착력은 문제가 없는 것처럼 보이나, 체온에 의한 약물층의 건조로 단시간에 점착력이 약해지고, 옷가지에 쓸려 습포제가 첩포 부위로부터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누구나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약물층이 도포 된 지지체를 밀착포의 중앙에 합지되게 하여, 제품의 사용시 습포제를 밀착포에 직접 붙여 사용하여야 하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약물층 자체가 밀착포의 중앙 부위에 합지 되게 하여 남녀노소 모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인체의 피부 부위에 장시간 부착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밀착포의 상,하,좌,우의 사면이 점착면으로 구성되게 하여 약물의 국소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약물층이 밀착포의 중앙 위치에 합지되어 있으며, 밀착포의 사면이 점착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에 있어서, 평량이 20 g/m2 내지 50 g/m2인 부직포로 되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폴리이소부틸렌, 탄화수소, 산화방지제 및 방부제로 되는 핫멜트, 천연고무 또는 폴리아크릴계의 인체에 안전한 고분자인 점착제가 10㎛ 내지 60㎛ 두께로 도포 되는 밀착포와; 한쪽 면을 실리콘으로 처리한 종이 또는 필름으로, 색상이 청색, 녹색, 노랑색, 분홍색, 살색, 흰색, 검정색, 회색, 투명색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선정하여 사용되며, 폭이 5 mm 내지 20 mm 인 오픈테이프와; 평량이 30 g/m2 내 지 90 g/m2인 부직포로 되는 지지체와; 온감제, 냉감제, 소염진통제, 국소마취제, 생약, 혈관확장제, 근육이완제, 혈액순환제, 항균제, 주름억제제, 미백제, 피부노화방지제 등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되고, 기제로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소디움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카보머, 폴리비닐피롤리돈, 소디움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 카라기난, 잔탄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전분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와 알루미늄히드록사이드, 알루미늄설페이트,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등의 가교제와 카오린, 탈크 등의 무기충진제와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의 착색제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폴리에칠렌글리콜의 용매와 소디움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인산염 등의 킬레이팅제와 염산, 인산, 살리실산, 주석산, 젖산 등의 pH 조정제 및 정제수로 되는 겔상 또는 액상으로 되며, 액성은 pH 4.0 내지 pH 7.0의 약산성인 약물층과; 두께가 30㎛ 내지 100㎛인 실리콘 처리된 PET 필름으로 되는 이형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를 제공하는 한편, 약물층이 밀착포의 중앙 위치에 합지되어 있으며, 밀착포의 사면이 점착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제조장치에 있어서, 원통체의 표면에 임의형상의 조각이 조각되고, 상기 지지체와 이형필름에 도포된 약물층을 일정한 모양으로 유지되게 하는 조각롤과; 원통체의 표면에 칼날이 배열되고, 상기 지지체 중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하프절단롤로 구성되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며, 약물층이 밀착포의 중앙 위치에 합지되어 있으며, 밀착포의 사면이 점착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제조방법에 있어서, 배합기에서 약물층을 혼합하는 단계; 제조한 약물층을 지지체와 이형필름에 도포하는 단계; 도포된 약물층을 조각롤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유지시키는 단계; 조각롤과 동일한 모양의 하프절단롤로 지지체층을 자르고, 불필요한 지지체 층을 제거하는 단계; 지지체 층 사이에 오픈테이프를 적층한 후, 지지체 위에 점착제가 처리된 밀착포를 합지시키는 단계; 및 약물층이 적층된 밀착포와 이형필름을 포장지 크기에 알맞는 크기로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가 연속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음 본 발명을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카타플라스마는 도1a 및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래층으로부터 점착제가 도포된 밀착포(1), 오픈테이프(5), 지지체(3), 약물층(2) 및 이형필름(4)으로 구성된다.
상기 접착제가 도포 된 밀착포(1)는 평량이 20 g/m2 내지 50 g/m2 인 부직포로 구성되고, 이 밀착포(1)에 도포된 점착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폴리이소부틸렌, 탄화수소, 산화방지제 및 방부제로 이루어지는 핫멜트, 천연고무 또는 폴리아크릴계 고분자 등의 인체에 안전한 의료용 고분자는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점착제의 도포 두께는 10㎛ 내지 60㎛인 것을 사용하며, 20㎛ 내지 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약물층(2)은 일반적으로 카타플라스마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조성으로 구성되는데, 그 사용 목적에 따라 온감제, 냉감제, 소염진통제, 국소마취제, 생약, 혈관확장제, 근육이완제, 혈액순환제, 항균제, 주름억제제, 미백제, 피부노화방지제 등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기제로서는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소디움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카보머, 폴리비닐피롤리돈, 소디움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 카라기난, 잔탄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전분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와 알루미늄히드록사이드, 알루미늄설페이트,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등의 가교제와 카오린, 탈크 등의 무기충진제와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 등의 착색제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폴리에칠렌글리콜 등의 용매와 소디움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인산염 등의 킬레이팅제와 염산, 인산, 살리실산, 주석산, 젖산 등의 pH 조정제 및 정제수로 구성되는 겔상 또는 액상으로서, 그의 액성은 pH 4.0 내지 pH 7.0의 약산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체(3)는 약물층(2)이 잘 도포 될 수 있도록 지지력이 있으며, 후면으로 약물이 베어 나오지 않는 특성을 가진 부직포로서, 평량이 30 g/m2 내지 90 g/m2인 것이 좋으며, 40 g/m2 내지 70 g/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형필름(4)은 약물층과 쉽게 이형될 수 있도록 실리콘 처리된 PET 필름으로서, 그의 두께는 30㎛ 내지 100㎛인 것을 사용하며, 40㎛ 내지 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픈테이프(5)는 이형필름(4)을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이형필름(4)을 제거한 후, 피부 부위에 제품을 첩포 할 때 손에 점착제가 달라붙지 않도록 한쪽 면을 실리콘으로 처리한 종이 또는 필름으로서, 제품의 외관 이미지를 고급화하기 위해 색상 처리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색상은 청색, 녹색, 노랑색, 분홍색, 살색, 흰색, 검정색, 회색, 투명색 등의 모든 색상 계열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선정하여 사용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제조장치는 도 2a 도시와 같이 일정한 모양을 가지는 조각롤(6)의 1회전에 1열 내지 5열이 제조되는데, 조각롤(6)의 1열은 1쌍 내지 5쌍의 모양이 조각되어 있다.
조각롤(6)의 조각 모양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사다리꼴, 원기둥, 부채꼴, 별, 하트, 여러 가지 달모양 및 다각형 중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조각롤(6)에 의해 제조되는 단면은 도2b 도시와 같이 이형필름(4), 약물층(2) 및 지지체(3)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하프절단롤(7)은 도 3a 도시와 같이 상기 조각롤(6)과 동일한 모양과 동일한 위치로 배열되는데, 1회전에 1열 내지 5열이 하프 절단되고, 1열은 1쌍 내지 5 쌍의 칼날이 조각되어 있다.
상기 하프절단롤(7)의 칼날 모양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사다리꼴, 원기둥, 부채꼴, 별, 하트, 여러 가지 달모양 및 다각형 중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프절단롤(7)을 통과한 후에는 도 3b 도시와 같이 불필요한 지지체층이 제거되는데, 도 3c 도시와 같이 이형필름(4), 약물층(2) 및 지지체(3)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제조방법은 연속공정에 의한 제조과 정으로 배합기에서 약물층을 혼합하는 제1단계, 제조한 약물층을 지지체와 이형필름에 도포하는 제2단계, 도포된 약물층을 조각롤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유지시키는 제3단계, 조각롤과 동일한 모양을 가진 하프절단롤로 지지체층을 자르고, 불필요한 지지체 층을 제거하는 제4단계, 지지체 층 사이에 오픈테이프를 적층한 후, 지지체 위에 점착제가 처리된 밀착포를 합지시키는 제5단계 및 약물층이 적층된 밀착포와 이형필름을 포장지 크기에 알맞는 크기로 절단하여 포장하는 제6단계로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는 전반적인 공정을 단계별로 주요 부분을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모든 부분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냉감기능의 일체형 카타플라스마를 제조하기 위해 1.2 중량부의 황백연조엑스, 0.4 중량부의 치자연조엑스, 1.3 중량부의 엘멘톨, 0.7 중량부의 디엘 캄파, 1.5 중량부의 살리실산글리콜, 0.5 중량부의 초산토코페롤, 0.05 중량부의 메틸파라벤을 10.0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과 0.3 중량부의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5.0 중량부의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용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5.0 중량부의 소디움폴리아크릴레이트, 2.0 중량부의 소디움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 2.0 중량부의 카오린 및 0.2 중량부의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를 균일하 게 분산시킨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정제수에 2.0 중량부의 폴리비닐알코올, 2.0 중량부의 폴리비닐피롤리돈을 용해하고, pH조정제로서 0.2 중량부의 타르타릭산과 색소로써 0.5 중량부의 산화티탄을 첨가하여 수상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수상용액을 앞에서 제조한 분산액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약물층을 제조하였다. 기재층인 부직포와 이형필름에 도포한 후, 조각롤과 하프절단롤을 거쳐 약물층을 9 x 13 cm2 당 11.7 g의 크기로 절단하고, 밀착포의 중앙 부분에 약물층이 위치하도록 절단하였다. 이때 밀착포 상하좌우의 점착면이 15 mm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약물층을 제조하여, 기재층인 부직포와 이형필름에 도포한 후, 약물층을 9 x 13 cm2 당 11.7 g의 크기로 절단하고, 밀착포의 좌우측 점착면이 15 mm가 되는 위치에 약물층이 고정되도록 절단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으로 약물층을 제조하여, 기재층인 부직포와 이형필름에 도포한 후, 약물층을 9 x 13 cm2 당 11.7 g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점착력 및 냉감의 지속성 품질평가
상기의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서 제조한 견본의 점착력 및 냉감 품질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25명을 대상으로 운동성이 많은 팔꿈치 관절에 8시간 동안 첩포한 후, 표1의 평가 척도에 따라 점착력 및 냉감의 지속성을 관능으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2에 나타내었다.
[표 1]점착력 및 냉감 평가척도(5점)
평가척도 점착력 냉감효과
매우 우수하다 5.0 5.0
우수하다 4.0 4.0
보통이다 3.0 3.0
나쁘다. 2.0 2.0
매우 나쁘다 1.0 1.0
[표 2]경시에 따른 점착력 및 냉감효과
Figure 112005039996353-PAT00001
이상의 품질 평가 결과, 점착력 품질은 실시예 1의 경우 품질 평가자 모두 제품견본을 인위적으로 떼어낼 때(8시간 후) 까지 초기상태 그대로 팔꿈치에 첩포되어 있었으며, 경시에 따라 냉감에 대한 피부 적응 및 체온에 의해 수분이 증발하면서 냉감효과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나,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 비해 상대적인 냉감효과는 매우 큰 차이를 나타냈다. 비교예 1에서는 초기점착력은 우수하나, 관절부위의 움직임과 약물층의 건조에 따라, 약물층이 있는 상하면이 피부로부터 떨어져 밀착포의 좌우면의 점착력에 의존하게 됨으로써, 점착력 품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예 2에서는 약물층의 점착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경시에 따라, 점착력이 급속히 낮아지고, 2시간 후에는 품질 평가자의 12%만 제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었다. 특히, 냉감 효과는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2에서와 같이 대체적으로 점착력 품질에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어, 카타플라스마 점착력 품질의 중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습포제를 밀착포에 직접 붙여 사용하여야 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약물층 자체가 밀착포의 중앙 부위에 합지 되어 있어 남녀노소 모두 매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인체의 피부 부위에 장시간 부착할 수 있어 약물의 국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약물층이 밀착포의 중앙 위치에 합지되어 있으며, 밀착포의 사면이 점착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에 있어서,
    평량이 20 g/m2 내지 50 g/m2인 부직포로 되고,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폴리이소부틸렌, 탄화수소, 산화방지제 및 방부제로 되는 핫멜트, 천연고무 또는 폴리아크릴계의 인체에 안전한 고분자인 점착제가 10㎛ 내지 60㎛ 두께로 도포 되는 밀착포와; 한쪽 면을 실리콘으로 처리한 종이 또는 필름으로, 색상이 청색, 녹색, 노랑색, 분홍색, 살색, 흰색, 검정색, 회색, 투명색 중의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선정하여 사용되며, 폭이 5 mm 내지 20 mm 인 오픈테이프와; 평량이 30 g/m2 내지 90 g/m2인 부직포로 되는 지지체와; 온감제, 냉감제, 소염진통제, 국소마취제, 생약, 혈관확장제, 근육이완제, 혈액순환제, 항균제, 주름억제제, 미백제, 피부노화방지제 등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되고, 기제로 젤라틴, 폴리비닐알코올, 소디움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산, 카보머, 폴리비닐피롤리돈, 소디움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즈, 카라기난, 잔탄검, 폴리비닐아세테이트, 전분 등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고분자와 알루미늄히드록사이드, 알루미늄설페이트, 알루미늄클로라이드, 알루미늄글리시네이트 등의 가교제와 카오린, 탈크 등의 무기충진제와 산화티탄, 산화아연, 산화철의 착색제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솔비톨, 폴리에칠렌글리콜의 용매와 소디움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인산염 등의 킬레이팅제와 염산, 인산, 살리실산, 주석 산, 젖산 등의 pH 조정제 및 정제수로 되는 겔상 또는 액상으로되며, 액성은 pH 4.0 내지 pH 7.0의 약산성인 약물층과; 두께가 30㎛ 내지 100㎛인 실리콘 처리된 PET 필름으로 되는 이형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의 도포 두께는 20㎛ 내지 50㎛ 이고, 상기 지지체는 평량이 40 g/m2 내지 70 g/m2 이며, 상기 이형필름은 그 두께가 40㎛ 내지 80㎛ 인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3. 약물층이 밀착포의 중앙 위치에 합지되어 있으며, 밀착포의 사면이 점착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제조장치에 있어서,
    원통체의 표면에 임의형상의 조각이 조각되고, 상기 지지체와 이형필름에 도포된
    약물층을 일정한 모양으로 유지되게 하는 조각롤과; 원통체의 표면에 칼날이 배열되고, 상기 지지체 중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하프절단롤로 구성되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각롤은 조각이 1열은 1쌍 내지 5쌍이 되고, 모양이 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사다리꼴, 원기둥, 부채꼴, 별, 하트, 여러가지 달모양 및 다각형 중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되며, 1회전에 약물층이 1열 내지 5열이 제조되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제조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프절단롤의 1열은 1쌍 내지 5상의 칼날이 조각되고, 칼날 모양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마름모, 사다리꼴, 원기둥, 부채꼴, 별, 하트, 여러가지 달모양 및 다각형 중의 하나 또는 2개 이상으로 되며, 1회전에 지지체의 불필요한 부분이 1열 내지 5열이 하프 절단되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제조장치.
  6. 약물층이 밀착포의 중앙 위치에 합지되어 있으며, 밀착포의 사면이 점착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제조방법에 있어서,
    배합기에서 약물층을 혼합하는 단계; 제조한 약물층을 지지체와 이형필름에 도포하는 단계; 도포된 약물층을 조각롤을 사용하여 일정한 모양으로 유지시키는 단계; 조각롤과 동일한 모양의 하프절단롤로 지지체층을 자르고, 불필요한 지지체 층을 제거하는 단계; 지지체 층 사이에 오픈테이프를 적층한 후, 지지체 위에 점착제가 처리된 밀착포를 합지시키는 단계; 및 약물층이 적층된 밀착포와 이형필름을 포장지 크기에 알맞는 크기로 절단하여 포장하는 단계가 연속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카타플라스마의 제조방법.
KR1020050066754A 2005-07-22 2005-07-22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 KR1007341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754A KR100734139B1 (ko) 2005-07-22 2005-07-22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6754A KR100734139B1 (ko) 2005-07-22 2005-07-22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1981A true KR20070011981A (ko) 2007-01-25
KR100734139B1 KR100734139B1 (ko) 2007-06-29

Family

ID=3801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6754A KR100734139B1 (ko) 2005-07-22 2005-07-22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41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76B1 (ko) * 2006-08-25 2008-01-21 김승자 토르말린 함유 패치의 제조장치
WO2017138710A1 (ko) * 2016-02-11 2017-08-17 아이큐어 주식회사 경피투여용 자외선 경화형 하이드로젤 수지,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카타플라스마제
KR102642707B1 (ko) * 2023-06-07 2024-03-04 대화제약 주식회사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플라스타제 형태 카타플라스마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958B1 (ko) 2001-11-15 2004-12-30 권수안 습포제의 제조방법 및 그 습포제
KR200264428Y1 (ko) 2001-11-19 2002-02-19 제일약품주식회사 점착면을 가지고 있는 습포제
KR200371990Y1 (ko) 2004-08-04 2005-01-10 대신제약주식회사 일체형 습포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76B1 (ko) * 2006-08-25 2008-01-21 김승자 토르말린 함유 패치의 제조장치
WO2017138710A1 (ko) * 2016-02-11 2017-08-17 아이큐어 주식회사 경피투여용 자외선 경화형 하이드로젤 수지, 하이드로젤 및 이를 포함하는 카타플라스마제
US11382868B2 (en) 2016-02-11 2022-07-12 Icure Pharmaceutical Inc. Transdermal UV-curable hydrogel resin, hydrogel curing the same and cataplasm containing the same
KR102642707B1 (ko) * 2023-06-07 2024-03-04 대화제약 주식회사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의 플라스타제 형태 카타플라스마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4139B1 (ko) 2007-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8365B1 (en) Warm poultice
KR101154327B1 (ko) 수용성 나노 고분자를 이용한 상처치료용 하이드로겔 패치의 제조방법
US7064242B2 (en) Patch
US20040156886A1 (en) Sheet-like patch agent
EP2937066B1 (en) Facial patch
ES2739469T3 (es) Preparación de cinta adhesiva
EP2206759B1 (en) Adhesive preparation and patch preparation
CA2319903C (en) Medicated device for warts, corns, calluses and nails
KR101811937B1 (ko) 피부 마스킹재
KR102504510B1 (ko) 첩부제, 및 그 첩부기구
KR100734139B1 (ko)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
JPWO2013108918A1 (ja) パック化粧料収容物及びパック化粧料並びにパック化粧料の製造方法
JP2007119405A (ja) 皮膚貼付剤
BRPI0610052A2 (pt) emplastro discreto para lesões virais
JP3460969B2 (ja) 生体用粘着ゲルシート
JP2000212074A (ja) 多層ゲル構造生体用粘着シ―ト、これを用いた化粧品および医薬部外品
US6911571B2 (en) Bandage pad for chemical peels
JP3913926B2 (ja) 生体用粘着ゲルシートと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化粧品および医薬部外品
JP3910346B2 (ja) シート状化粧料
JP4704829B2 (ja) 貼付剤、及び貼付剤包装体
KR101004140B1 (ko)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피부외용제의 제조방법
JP2005160890A (ja) 生体用粘着ゲルシート
JP7342428B2 (ja) 生体組織貼付用フィルム、および、転写シート
JP2002003360A (ja) 指先用シート状化粧料
US20040096488A1 (en) Wart treatment adhesive bandage and method of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