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510B1 - 첩부제, 및 그 첩부기구 - Google Patents

첩부제, 및 그 첩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510B1
KR102504510B1 KR1020177017049A KR20177017049A KR102504510B1 KR 102504510 B1 KR102504510 B1 KR 102504510B1 KR 1020177017049 A KR1020177017049 A KR 1020177017049A KR 20177017049 A KR20177017049 A KR 20177017049A KR 102504510 B1 KR102504510 B1 KR 10250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ch
skin
extension
suppor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835A (ko
Inventor
이치로 오노
도시유키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보 쥬?自?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보 쥬?自?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보 쥬?自?
Publication of KR20170098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Cosme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주름, 처짐이 생긴 피부를 교정하는 효과가 크고, 피부에 부자연스러운 자국이 생기기 어려운 첩부제를 제공한다. 또한, 상술의 첩부제를 피부에 적절히 첩부할 수 있는 첩부기구를 제공한다. 탄성을 가지는 필름 형상의 지지체(8a), 및 지지체의 일면에 마련된 점착제층(9a)을 구비한 첩부제(1)로서, 첩부제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지는 기초부(2)와,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3)와, 제1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6)를 적어도 구비하여 구성되고, 첩부제가 첩부되었을 때에 기초부가, 처진 피부 부분(41)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일단부로부터 제1 연장부를 향하여 견인되고 있고, 또한,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있는 제2 연장부를 향하여 견인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이다. 처진 피부 부분이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고, 광범위의 처짐이 교정되고, 주름이 평탄화된다. 1개소에 견인력이 집중되어 미치지 않기 때문에, 피부의 자국을 면한다.

Description

첩부제, 및 그 첩부기구{PATCH MATERIAL AND PATCH APPLICATOR THEREFOR}
본 발명은, 첩부제, 및 그 첩부기구에 관한 것이다.
피부가 노화되면, 피부에 주름, 처짐이 생긴다. 여성에게 있어, 피부에 주름, 처짐이 생기면, QOL(Quality of life)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언제까지나 젊고 탄력이 있는 피부를 유지하고 싶다는 소망에 대응하여, QOL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 효율적으로 피부의 처짐이나 주름을 교정하는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귀밑의 턱의 피부 부분에 지지체의 일단부를 첩부하고, 지지체의 타단부를 귀의 뒤 측의 피부 부분에 첩부하는 첩부제가 개시되어 있다. 이 첩부제를 첩부하면, 안면 하부의 피부가 상방으로 견인되어서, 안면 하부에서 처진 피부가 교정되어서, 주름을 평탄화시킬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41222호
그러나 종래의 첩부제에서는, 처진 피부를 교정하는 효과가 작고, 깊은 팔자주름이나 마리오네트 라인을 충분히 평탄화시키는 것은 어렵다. 또한, 종래의 첩부제가 첩부된 피부에는, 부자연스러운 자국(陷凹)이 생겨 버리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과제는, 주름, 처짐이 생긴 피부를 교정하는 효과가 크고, 피부에 부자연스러운 자국이 생기기 어려운 첩부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술의 첩부제를 피부에 적절히 첩부할 수 있는 첩부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첩부제를 첩부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검토했다. 처진 피부는, 표피가 편평화(扁平化)되고, 진피층이 탄력성을 잃어 얇게 되고, 결과적으로 전체 방향으로 면적이 확대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첩부제를 첩부하여 처진 피부를 단일 방향으로 견인한 것으로는, 처진 피부를 광범위에 걸쳐서 교정할 수 없다고 생각된다. 또한, 종래의 첩부제에서는, 첩부할 때, 한 번에 적절한 단일 방향으로 적절한 강도로 첩부제를 견인하면서 첩부하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된다. 첩부제의 취급에 숙련되지 않는 사람이 첩부하면, 피부의 일부가 국소적으로 강하게 견인되어서 부자연스럽게 눌린다고 생각할 수 있다.
상기의 생각에 기초하여, 본 발명자는, 처진 피부 부분을 일 방향으로 견인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첩부제의 일부분을 첩부하고, 다음에, 처진 피부 부분을 다른 방향으로도 견인하고 있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첩부제의 타부분을 첩부 가능한 첩부제를 개발했다. 그 결과, 종래의 첩부제와 비교해서, 주름, 처짐이 생긴 피부를 교정하는 효과가 현격히 우수하고, 피부에 부자연스러운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첩부하기 쉬운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상술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관한 첩부제는, 탄성을 가지는 필름 형상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첩부제로서, 상기 첩부제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지는 기초부와,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를 적어도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첩부제가 첩부되었을 때에 상기 기초부가, 처진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를 향하여 견인되고 있고, 또한, 상기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있는 상기 제2 연장부를 향하여 견인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혹은, 본 첩부제는, 탄성을 가지는 필름 형상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첩부제로서, 상기 첩부제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지는 기초부와,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를 적어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첩부제는, 첩부되었을 때, 상기 일단부,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개 이상의 부분이, 근 조직, 건 조직, 및 연골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조직을 개재하여 골 조직에 고정된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첩부제는, 첩부되었을 때, 상기 기초부가, 상기 처진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상기 처진 피부 부분이, 팔자주름과 귀 앞의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이며, 상기 고정된 피부 부분이, 귀 앞의 피부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첩부제는, 첩부되었을 때, 상기 기초부가, 상기 처진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상기 처진 피부 부분이, 마리오네트 라인과 귓불 앞부분의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이며, 상기 고정된 피부 부분이, 귓불 앞부분의 피부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첩부제는, 첩부되었을 때, 상기 기초부가, 상기 처진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상기 처진 피부 부분이, 하안검부의 눈두덩이와 관자놀이의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 및 콧등과 관자놀이의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피부 부분이며, 상기 고정된 피부 부분이, 관자놀이의 피부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첩부제는, 첩부되었을 때, 상기 기초부가, 상기 처진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상기 처진 피부 부분이, 미간의 피부 부분이며, 상기 고정된 피부 부분이, 콧등의 피부 부분, 및 전두부의 두발의 언저리의 피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피부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첩부제는,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6 ~ 50μm이며, 상기 지지체의 20% 인장 강도가 0.1 ~ 3 N/cm이며,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 ~ 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첩부제는, 상기 지지체의 두께를 w로 할 때, 상기 지지체의 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6μm≤Rz≤40μm이며, 또한, Rz≤w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첩부기구는, 상기 첩부제를 둘러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서 상기 일단부를 유지하는 일단부 유지 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1 연장부를 유지하는 제1 연장부 유지 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2 연장부를 유지하는 제2 연장부 유지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의 구성을 포함한 본 발명에 관한 첩부제는, 기초부의 일단부로부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형상을 적어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형상에 의해, 적절히 첩부하면, 본 첩부제가 첩부되었을 때에 그 기초부는, 처진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일단부로부터 제1 연장부를 향하여 견인되고 있고, 또한, 일단부로부터 제1 연장부를 향하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있는 제2 연장부를 향하여 견인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처진 피부 부분은, 그 적어도 일부에 기초부를 첩부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부와 마찬가지로, 제1 연장부를 향하는 방향과, 이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있는 제2 연장부를 향하는 방향의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처진 피부 부분으로부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의 사이에 있는 방향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연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견인력과, 상술한 제2 연장부를 향하는 방향으로의 견인력이 합성되기 때문에, 이때의 처진 피부 부분은,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의 사이로 향하는 방향으로도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처진 피부가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면, 종래의 첩부제가 첩부되어서 처진 피부 부분이 단일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광범위에 걸쳐서 확대된 잉여 피부를 적절히 견인하는 것, 즉, 광범위에 걸쳐서 피부의 처짐을 해소할 수 있다.
피부의 처짐이 광범위에 걸쳐서 해소되면, 처진 피부 부분의 근처에 생기고 있던 주름이 효율적으로 평탄화된다. 예를 들면, 본 첩부제의 기초부를 처진 볼의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하여, 그 피부 부분의 처짐을 교정하면, 그 피부 부분의 근처에 있는 깊은 팔자주름이나 마리오네트 라인이 효율적으로 평탄화되어서 얕아진다.
또한, 종래의 첩부제가 첩부되어서 피부가 단일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상기와 같이 본 첩부제가 첩부되었을 때에는, 광범위에 걸쳐서 확대된 잉여 피부가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기 때문에, 처진 피부 부분에서 부자연스러운 자국은 생기기 어렵다. 또한, 본 첩부제는,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적어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첩부되었을 때에 하나의 연장부에만 견인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되어 미치는 것은 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첩부제가 첩부되어서 피부가 단일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경우와 비교해서, 본 첩부제를 첩부했을 때에는, 제1 연장부를 첩부한 피부 부분이나, 제2 연장부를 첩부한 피부 부분에서, 부자연스러운 자국은 생기기 어렵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첩부제를 나타내고, (a)는 첩부제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b)는 점착제층이 박리지에 피복된 첩부제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첩부제를 나타내고, (a)는 좌우 한 쌍의 U자 형상 첩부제 세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는 첩부제의 첩부에 적합한 안면의 부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첩부제의 첩부 방법을 나타내고, (a)는 기초부 및 제1 연장부가 견인되면서 일단부가 첩부된 첩부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b)는 견인되면서 제1 연장부가 첩부된 첩부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c)는 견인되면서 제2 연장부가 첩부된 첩부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a), (b), (c) 그리고 반점이 그려진 범위의 부분은, 첩부제가 피부에 첩부된 부분을 나타낸다.
도 4는 절취선이 마련된 박리지를 구비하는 첩부제의 첩부 방법을 나타내고, (a)는 박리지의 기초부 피복 부분을 박리한 첩부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b)는 첩부제를 견인하면서 기초부를 첩부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c)는 박리지의 제1 연장부 피복 부분 및 제2 연장부 피복 부분을 박리하여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각각 일단부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첩부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a)에서 반점이 그려져 있는 범위의 부분은, 박리지의 기초부 피복 부분을 박리하여 첩부제의 피부 접촉면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b), (c) 그리고 반점이 그려진 범위의 부분은, 첩부제가 피부에 첩부된 부분을 나타낸다.
도 5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첩부제를 나타내고, (a)는 좌우 한 쌍의 E자 형상 첩부제 세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는 첩부제의 첩부에 적절한 안면의 부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3에 관한 첩부제를 나타내고, (a)는 Ψ자 형상 첩부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는 첩부제의 첩부에 적절한 안면의 부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4에 관한 첩부제를 나타내고, (a)는 V자 형상 첩부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b)는 가로로 짧은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 첩부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c)는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 첩부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d)는 첩부제의 첩부에 적절한 안면의 부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4에 관한 첩부제를 나타내고, (a)는 지지체가 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첩부제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b)는 지지체가 폴리우레탄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의 첩부제의 적층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첩부제를 유지하고 있는 첩부기구를 나타내고, (a)는 박리지를 구비하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첩부제를 유지하고 있는 첩부기구의 정면도이며, (b)는 박리지와 캐리어를 구비하는 첩부제를 유지하고 있는 첩부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첩부기구를 이용하여 첩부제를 적절히 첩부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a)는 박리지의 기초부 피복 부분을 박리한 첩부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b)는 기초부를 일단부 유지 수단으로부터 각각 제1 연장부 유지 수단으로 향하는 방향과 제2 연장부 유지 수단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첩부하고 나서 일단부 유지 수단 및 캐리어를 박리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c)는 제1 선단부 피복 부분 및 제2 선단부 피복 부분을 박리하여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를 각각 다른 방향으로 견인한 상태로 첩부하는 것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a)에서 반점이 그려진 범위의 부분은, 기초부 피복 부분을 박리하여 피부 접촉면이 노출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낸다. 또한, (b), (c) 그리고 반점이 그려진 범위의 부분은, 첩부제가 피부에 첩부된 부분을 나타낸다.
도 11은 각각, (a)는 실시형태 2에 관한 E자 형상 첩부제, (b)는 실시형태 3에 관한 Ψ자 형상 첩부제, (c)는 실시형태 4에 관한 V자 형상 첩부제, (d)는 실시형태 4에 관한 가로로 짧은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 첩부제, (e)는 실시형태 4에 관한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 첩부제를 유지하고 있는 첩부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실시형태 1]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첩부제(1aL, 1aR)는, 지지체(8a)와 점착제층(9a)을 구비한다. 또한,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1aL, 1aR)는, 그 형상에 의해, 기초부(2aL, 2aR)와, 제1 연장부(3aL, 3aR)와, 제2 연장부(6aL, 6aR)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면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첩부할 수 있도록, 첩부되는 사람에게 있어 안면의 우측용의 첩부제(1aR)와, 안면의 좌측용의 첩부제(1aL)는, 좌우 한 쌍의 세트로 되어 있다. 첩부제(1aL)와 첩부제(1aR)는, 그 형상이 거울상 대칭인 것을 제외하면, 동일한 구성이다. 이하, 첩부제(1aL)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그 설명 내용은 첩부제(1aR)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1aL)는, 필름 형상의 지지체(8a)에 일면(11a)과 타면(10a)을 가지고, 이 일면(11a)에 점착제층(9a)이 마련된 적층 구조이다. 점착제층(9a)에는, 지지체(8a)의 일면(11a)에 대향하고 있는 피부 접촉면(13a)이 마련되어 있다. 피부 접촉면(13a)이 피부에 접한 부분에서는, 첩부제(1aL)가 피부에 첩부된다.
지지체(8a)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이소부틸렌, 및 폴리 초산 비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탄성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수지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지지체(8a)는, 적절한 탄성을 가지기 때문에, 첩부제(1aL)가 견인되었을 때에 찢어지기 어렵다. 또한, 지지체(8a)는, 얇고 유연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체(8a)가 얇으면 첩부제(1aL)가 피부에 첩부되었을 때에, 첩부된 사람은 피부에 위화감을 느끼기 어렵다. 지지체(8a)가 유연하면, 첩부된 첩부제(1aL)가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되어 신축되기 쉽기 때문에 피부로부터 탈락되기 어렵다.
점착제층(9a)은, 의료용 첩부제로 이용되어서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예를 들면,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및 고무계 점착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점착제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피부에의 자극을 억제하기 위해서, 점착제층(9a)을 구성하는 점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점착제이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탄소수 8 ~ 10의 아크릴산 에스테르, 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 및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주 모노머로 하고, 초산 비닐, 및 알콕시알킬에스테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코모노머로서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점착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착제 조성물에, 융점이 10℃ 이상이며 비점이 120℃ 이상인 액체를 5 ~ 50% 포함시켜서 가교시킨 겔 상태의 공중합 아크릴계 점착제가, 점착제층(9a)을 구성하는 점착제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1aL)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이다. 기초부(2aL)는, 대략 4각 형상의 외형이며, 일단부(4a)와 타단부(12a)를 가진다. 제1 연장부(3aL)는, 혀(舌) 형상의 외형이며, 타단부(12a)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제1 연장부(3aL)의 혀 형상의 선단 부분을 제1 선단부(5a)로 한다. 제2 연장부(6aL)는, 혀 형상의 외형이며, 타단부(12a)로부터, 제1 연장부(3aL)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2 연장부(6aL)의 혀 형상의 선단 부분을 제2 선단부(22a)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 있는 연장부 중에서, 먼저 첩부되는 연장부를 제1 연장부로 하고, 제1 연장부가 첩부된 후에 다음에 첩부되는 연장부를 제2 연장부로 한다. 또한, 첩부제(1aL)에서는, 신체에 첩부되었을 때에 하측에 첩부되는 연장부를 제1 연장부(3aL)로 하고, 상측에 첩부되는 연장부를 제2 연장부(6aL)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처진 피부 부분을,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인상되도록 견인하면서 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략 4각 형상은, 사각형과 같은 외형이며, 그 사각형의 변에 해당하는 외형의 일부에 곡선 형상의 부분이 포함되고, 그 사각형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R(곡률)이 마련되어 있고, 또한, 그 외형의 일부가 연장부와 연결되어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일부의 모서리나 변이 명확하지 않은 형상이다. 예를 들면, 첩부제(1aL)에서는, 기초부(2aL)는, 사각형과 같은 외형이며, 이 사각형 중 1의 변(19a)을 협지하는 2개의 모서리 부분(18a)을 가진다. 1의 변(19a)는 곡선 형상이며, 2개의 모서리 부분(18a)에는 R(곡률)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첩부제(1aL)의 제1 연장부(3aL)와 제2 연장부(6aL)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 형상의 오목 정점(20a)은, 사각형에서 1의 변(19a)의 대변(對邊) 상에 있는 점이다. 그러나, 오목 정점(20a)의 주변 부분은 제1 연장부(3aL) 및 제2 연장부(6aL)의 각각의 근원부(23a)에 연결되어서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부(2aL)는, 1의 변(19a)의 대변의 전체나, 이 대변을 협지하는 2개의 모서리 부분(21)에 대해서, 사각형의 모서리나 그 주변으로서의 명확한 윤곽을 가지고 있지 않다. 대변의 전체로서, 오목 정점(20a)를 통과하고, 또한, 제1 연장부(3aL)나 제2 연장부(6aL)의 각각의 근원부(23a)에 연결되어서 일체화되어 있는 부분을 횡단하는 선을 가상하면, 대변을 협지하는 2개의 모서리 부분(21)을 가상할 수 있고, 기초부(2aL)가 사각형과 같은 외형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방향은, 첩부제가 2개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이, 10 ~ 90°의 범위 내에서 다른 각도를 향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혹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다른 방향은, 첩부제가 3개 이상의 연장부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이, 서로 5 ~ 180°의 범위 내에서 다른 각도를 향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각각 연장부의 연장 방향이 다르면, 본 첩부제를 적절히 첩부하면, 기초부나 기초부를 첩부한 피부 부분이, 각각의 연장부의 사이에 있는 방향으로도 견인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피부의 처짐을 해소할 수 있다. 첩부제(1aL)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1 연장부(3aL)와 제2 연장부(6aL)의 각각의 외형에 대해서, 그 혀 형상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연신되어 있는 2변에 대해서 가능한 한 등거리가 되는 점을 복수 연결하여 형성되는 직선을 가상하고, 이것들 가상의 2개의 직선을 연장하여 생기는 교차점에서, 교차각이 20 ~ 40°이 된다. 즉, 첩부제(1aL)에서는, 제1 연장부(3aL)의 연장 방향과 제2 연장부(6aL)의 연장 방향은, 20 ~ 40° 벌어져 있다.
1의 변(19a)으로부터 오목 정점(20a)에 달하는 최단 거리를 기초부(2aL)의 가로 방향의 길이로 하고, 이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초부(2aL)의 폭을 측정했을 때에 나타나는 최단의 폭을 기초부(2aL)의 세로 방향의 길이로 한다. 기초부(2aL)의 치수는, 예를 들면 세로 30 mm×가로 20 mm이다. 또한, 기초부(2aL)의 가로 방향의 길이의 이등분점을 통과하여 이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선을 가상하고, 기초부(2aL) 중에서 이 가상의 선보다 1의 변(19a)측에 있는 부분을 일단부(4a)로 하고, 기초부(2aL) 중에서 이 가상의 선보다 오목 정점(20a)측에 있는 부분을 타단부(12a)로 한다. 일단부(4a)는, 대략 4각 형상인 기초부(2aL) 중에서, 1의 변(19a), 2개의 모서리 부분(18a), 및 그 주변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12a)는, 오목 정점(20a), 상술한 1의 변(19a)의 대변을 협지하는 2개의 모서리 부분(21), 및 그 주변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첩부제(1aL)의 첩부 방법의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예를 들면, 첩부제(1aL)의 일단부(4a)와 제1 선단부(5a)를 각각 다른 손가락끝으로 동시에 집은 상태에서, 제1 선단부(5a)를 당긴다. 이 때문에,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1aL)는, 그 일단부(4a)로부터 제1 선단부(5a)로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 그대로, 일단부(4a)만을 처진 피부 부분(41)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한다. 다음에,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2aL) 및 제1 연장부(3aL)를, 일단부(4a)로부터 제1 선단부(5a)로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타단부(12a), 근원부(23a), 제1 연장부(3aL)의 제1 선단부(5a)의 순서로 첩부한다. 마지막으로,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aL)가 견인되면서 첩부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2 연장부(6aL)의 제2 선단부(22a)를 견인하면서, 타단부(12a), 근원부(23a), 제2 연장부(6aL)의 제2 선단부(22a)의 순서로 첩부한다.
상기의 순서에 의해, 첩부되었을 때의 첩부제(1aL)는, 그 기초부(2aL)가 처진 피부 부분(41)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다. 또한, 그 기초부(2aL)와 제1 연장부(3aL)는, 일단부(4a)로부터 제1 연장부(3aL)의 제1 선단부(5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첩부되어 있다. 또한, 그 기초부(2aL)와 제2 연장부(6aL)는, 일단부(4a)로부터, 제1 연장부(3aL)가 견인되면서 첩부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있는 제2 연장부(6aL)의 제2 선단부(22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첩부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신체에는, 근 조직, 건 조직, 및 연골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조직을 개재하여 골 조직에 고정된 피부 부분(42)(이하 「고정된 피부 부분」이라 한다)이 다수 있다. 상술한 순서에서, 도 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2aL) 및 제1 연장부(3aL)가 일단부(4a)로부터 제1 선단부(5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첩부되면, 상기 견인 방향과는 역방향의 연장선상에 있는 고정된 피부 부분(43)으로부터, 상기 견인 방향에 있는 고정된 피부 부분(45)을 향하여, 처진 피부 부분(41)의 적어도 일부가 견인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장부(3aL)가 견인되면서 첩부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2 연장부(6aL)를 견인하면서 첩부하면, 이 견인 방향의 역방향의 연장선상에 있고 고정된 피부 부분(43)의 근처에 있는 다른 고정된 피부 부분(44)으로부터, 이 견인 방향에 있고 고정된 피부 부분(45)으로부터 조금 떨어져 있는 다른 고정된 피부 부분(46)를 향하여, 처진 피부(41)의 적어도 일부가 견인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처진 피부 부분(41)은, 제1 연장부(3aL)의 제1 선단부(5a)에의 견인 방향과, 제2 연장부(6aL)의 제2 선단부(22a)에의 견인 방향이 합성되어서, 고정된 피부 부분(45)과 다른 고정된 피부 부분(46)의 사이에 있는 또다른 고정된 피부 부분(47)에의 광범위한 방향으로도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첩부제를, 상기와 같이 처진 피부 부분을 복수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첩부하면, 종래의 첩부제를 단일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첩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기초부를 첩부된 피부 부분에만 한정하지 않고, 그 피부 부분의 주위의 광범위에 걸쳐서 확대된 잉여 피부도 견인하여 적절히 교정할 수 있다. 또한, 피부의 처짐이 광범위에 걸쳐서 해소되면, 처진 피부 부분의 근처에 생기고 있던 주름이 효율적으로 평탄화된다.
또한, 본 첩부제는, 제1 연장부를 견인하면서 첩부하는 단계와, 제2 연장부를 견인하면서 첩부하는 단계를 거쳐서 첩부된다. 다단계를 거쳐서 첩부되기 때문에, 처진 피부 부분을 견인하는 방향을 순차 조절하여,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의 각각 미치는 견인력의 강도를 순차 분산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첩부제의 취급에 숙련되지 않는 사람이라도, 본 첩부제라면, 첩부할 때에 하나의 연장부에만 견인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되어 미치는 것을 용이하게 피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연장부가 첩부된 피부 부분에 부자연스러운 자국이 생기지 않도록 첩부하기 쉽다. 또한, 본 첩부제는, 견인력의 강도를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에 순차 분산시키면서, 도 3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의 사이에 있는 광범위한 방향을 향하여 처진 피부를 더 강력하게 견인할 수 있기 때문에, 처짐이 교정된 피부가 자연스러운 외관이 되도록 첩부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름, 처짐이 생긴 피부를 교정하는 효과가 크고, 피부에 부자연스러운 자국이 생기기 어려운 첩부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관한 첩부제는, 바람직하게는, 피부 교정용의 첩부제로서 이용된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노인성 용모를 젊고 자연스러운 용모로 교정하기 위한, 노인성 용모의 교정용의 첩부제로서 이용된다. 이 본 발명의 효과는, 기초부 및 제1 연장부를 일단부로부터 제1 연장부의 제1 선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기초부를 처진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하고 나서 제1 연장부의 제1 선단부를 첩부하고, 다음에, 제1 연장부를 견인하면서 첩부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2 연장부의 제2 선단부를 견인하면서 첩부하는 첩부 방법을 취하는 것으로, 더 발휘된다.
첩부제(1aL)는, 바람직하게는, 도 1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부 접촉면(13a)을 피복하는 박리지(14a)를 구비한다. 이 박리지(14a)가 박리될 때까지, 피부 접촉면(13a)이 보호된다. 이 박리지(14a)는, 더 바람직하게는, 피부 접촉면(13a)으로부터 적은 힘으로 간단하게 박리할 수 있는 소재의 것이다. 이러한 박리지(14a)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종이의 한쪽 면에 실리콘 처리를 한 것, 종이와 폴리올레핀 박막을 붙여서 맞춘 것의 한쪽 면에 실리콘 처리를 한 것, 혹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실리콘 처리를 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박리지(14a)는, 피부 접촉면(13a)을 피복하는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손잡이부(16)가 마련되어 있으면, 박리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첩부제(1aL)가 박리지(14a)를 구비하는 경우, 도 1의 (b) 및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박리지(14a)는, 절취선(하프 컷)(17a)이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취선(17a)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제1 연장부(3aL)와 제2 연장부(6aL)의 각각의 근원부(23a)를 횡단하도록 박리지(14a)에 마련된다. 또한, 절취선(17a)은, 각각 근원부(23a) 마다 방향을 변경하여 마련된다. 혹은, 절취선(17a) 대신에, 제조 공정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모든 근원부(23a)를 동일한 방향으로 횡단하는 절취선(24a)이 마련되어도 좋다. 도 1의 (b) 및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취선(17a) 또는 절취선(24a)이 마련된 박리지(14a)는, 기초부(2aL)의 피부 접촉면(13a)을 피복하는 기초부 피복 부분(25a)과, 제1 선단부(5a)의 피부 접촉면(13a)을 피복하는 제1 선단부 피복 부분(26a)과, 제2 선단부(22a)(도 1의 (b)에서 미도시)의 피부 접촉면(13a)을 피복하는 제2 선단부 피복 부분(27a)(도 1의 (b)에서 미도시)으로 분단되어 있다.
박리지(14a)에 절취선(17a) 또는 절취선(24a)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의 첩부제(1aL)에 대해서, 그 첩부 방법의 순서를 설명한다.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리지(14a)의 기초부 피복 부분(25a)을 박리한다. 제1 선단부 피복 부분(26a) 및 제2 선단부 피복 부분(27a)은, 절취선(17a) 또는 절취선(24a)에 의해 기초부 피복 부분(25a)으로부터 분단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접촉면(13a) 상에 남는다. 이 때문에, 첩부제(1aL)를 첩부할 때, 제1 선단부(5a)나 제2 선단부(22a)를 손가락끝으로 집어서 견인하기 쉽다.
다음에, 예를 들면, 일단부(4a)와 제1 선단부(5a)를 각각 다른 손가락끝으로 집어서, 일단부(4a)로부터 제1 선단부(5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한다. 이와 같이 견인하면서,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부(4a)만을 처진 피부 부분(41)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한다. 계속하여, 기초부(2aL) 및 제1 연장부(3aL)를, 일단부(4a)로부터 제1 연장부(3aL)의 제1 선단부(5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타단부(12a), 근원부(23a)의 순서로 첩부한다. 이 때에, 제1 선단부(5a)를 손가락끝 등으로 집어서 견인하면, 기초부(2aL) 및 제1 연장부(3aL)가 일단부(4a)로부터 제1 연장부(3aL)의 제1 선단부(5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다음에,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선단부 피복 부분(26a)을 박리하여, 기초부(2aL) 및 제1 연장부(3aL)를 일단부(4a)로부터 제1 선단부(5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제1 연장부(3aL)의 제1 선단부(5a)를 첩부한다. 마지막으로, 제2 선단부 피복 부분(27a)을 박리하여, 일단부(4a)로부터, 제1 연장부(3aL)가 견인되면서 첩부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2 선단부(22a)를 견인하면서, 타단부(12a), 근원부(23a), 제2 연장부(6aL)의 제2 선단부(22a)의 순서로 첩부한다.
상기와 같이, 첩부제(1aL)가 절취선(17a) 또는 절취선(24)이 마련된 박리지(14a)를 구비하는 경우,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초부 피복부(25a)를 박리해도, 아직 제1 선단부 피복부(26a) 및 제2 선단부 피복부(27a)가 남아 있다. 이 때문에,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부(4a)를 처진 피부 부분(41)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할 때, 잘못하여 제1 선단부(5a)나 제2 선단부(22a)가 피부에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3aL)를 견인하는 경우에, 제2 선단부 피복 부분(27a)이 남아 있기 때문에, 잘못하여 제2 선단부(22a)가 피부에 부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첩부제(1aL)가 절취선(17a) 또는 절취선(24a)이 마련된 박리지(14a)를 구비하는 경우, 첩부하는 사람은, 도 4의 (a), (b), (c)에 나타내는 각각의 순서를, 침착하게 하나씩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처짐이 교정된 피부가 자연스러운 외관이 되도록 첩부하는 것이, 더 용이해진다.
본 발명자는, 처진 피부 부분(41)을 보다 더 효율적으로 교정하기 위해서, 피부에 주름, 처짐이 생기는 원인을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검토했다. 상술한 고정된 피부 부분(42)은, 피부가 노화되어도 신체에서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고정된 피부 부분(42)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4의 (c)에 나타내는 사람의 두부(51)에 있어서, 전두부의 두발의 언저리 부분(52), 미간(53), 내안각(內眼角)(54), 외안각(外眼角)(55), 전비극(前鼻棘)(56), 턱(57), 또는 외이도(58) 등을 피복하고 있는 피부 부분을 들 수 있고, 이들의 피부 부분은 근 조직, 건 조직, 연골 조직 등을 개재하여 골 조직에 강고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고정된 피부 부분(42)으로서는, 팔자주름(59)이 생기는 피부 및 그 주변의 피부 부분(60)을 들 수 있고, 이들의 피부 부분은 표정근군(表情筋群)을 개재하여 구강 내의 상악골과 잇몸부에 완서(緩徐)로 지지 고정되어 있다.
한편, 처진 피부 부분(41)은, 신체에서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고, 노화에 의해 피부의 면적이 증가된 상태에 있다. 면적이 증가되어 잉여가 된 피부가, 고정된 피부 부분(42)을 지지 부위로 하여 중력에 의해 처지는 것으로, 피부에 주름, 처짐이 생긴다. 그 결과로서, 안면의 피부가 노화된 사람은, 용모가 변형되어 노인성 용모가 된다고 생각된다.
종래의 첩부제는, 그 일부가 고정된 피부 부분(42)이나 그 주변 부분에 첩부하기 쉬운 형상이나 크기는 아닌 것에 더하여, 설계 단계에서 해부학적인 관점에 기초하여 고정된 피부 부분(42)의 위치가 고려되어 있지 않다고 생각된다. 또한,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은 피부 부분은, 일상생활에서, 근 조직의 수축에 수반하여 빈번히 움직인다. 예를 들면, 안면 중에서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은 피부 부분은, 표정의 변화에 의해 빈번히 크게 움직이고 있다. 종래의 첩부제는, 처진 피부 부분(41)이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은 피부 부분을 향하여 견인되고 있도록 첩부되는 경우가 많이 있고, 처진 피부 부분(41)이 견인되는 방향이 안정되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첩부제를 첩부해도, 피부에 생긴 주름, 처짐을 효율적으로 자연스러운 용모가 되도록 교정하는 것은 어려웠다고 생각된다.
이것에 비하여,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절히 첩부되었을 때에, 첩부제(1aL)는, 기초부(2aL)가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고, 제1 연장부(3aL)의 제1 선단부(5a), 및 제2 연장부(6aL)의 제2 선단부(22a)가 귀 앞의 피부 부분(62)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는 형상이다.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은, 팔자주름(59)과 귀 앞의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63)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안면에 깊은 팔자주름(59)이 나타난 사람에게서,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은 처짐을 일으키고 있고, 처진 피부 부분(41)에 해당한다. 또한, 귀 앞의 피부 부분(62)는, 외이도(58) 및 내이도를 피복하는 관 형상의 연골 조직 등에 의해 측두골(側頭骨)에 강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고정된 피부 부분(42)에 해당한다.
기초부(2aL) 및 제1 연장부(3aL)를 일단부(4a)로부터 제1 선단부(5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기초부(2aL)를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하고 나서, 제1 선단부(5a)를 귀 앞의 피부 부분(62)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하고, 다음에, 제2 선단부(22a)를, 제1 연장부(3aL)를 견인하면서 첩부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귀 앞의 피부 부분(62)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하면,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에 있는 잉여 피부가 귀 앞의 피부 부분(62)을 향하여 견인된다. 이 견인되고 있는 상태는, 첩부제(1aL)를 첩부하고 있는 한, 일상생활에서 근육이 수축되어서 표정이 변해도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첩부제(1aL)를 적절히 첩부하면, 종래의 첩부제를 첩부하는 것보다도, 처진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에 있는 잉여 피부를 효율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에 있는 잉여 피부가 교정되면, 팔자주름(59)이 평탄화되어 얕아진다. 이 때문에, 첩부제(1aL)는, 깊은 팔자주름(59)이 생긴 사람에 대해서, 피부 교정용 첩부제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안면의 근 조직은, 안면의 정중부(正中部)에 있는 골 조직과, 안면의 좌측 또는 우측(정중에 대해서 외측)에 있는 골 조직을,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하고 있다. 또한, 표정근은, 피부의 진피에 직접 삽입(implant)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면의 근 조직의 양단 부분(안면의 정중부와 안면의 외측)에 있는 건 조직을 피복하는 피부는, 고정된 피부 부분(42)에 해당한다. 또한, 처진 피부 부분(41)이 중력에 의해 처지면, 피부에 주름이 생겨서 노인성 용모가 된다. 이 때문에, 처진 피부 부분(41)에 대해서 안면의 외측 상방에 있는 고정된 피부 부분(42)을 향해서 견인하도록 첩부제를 처진 피부 부분(41)에 첩부하면, 이 처진 피부 부분(41)에 대해서 내측 하방의 방향에 있는 주름을 효율적으로 평탄화시켜서 노인성 용모를 교정할 수 있다.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1aL)의 제1 연장부(3aL) 및 제2 연장부(6aL)는, 바람직하게는, 팔자주름(59)이나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에 대해서, 안면의 정중으로부터 외측 상방의 방향에 있는 귀 앞의 피부 부분(62)에 첩부된다. 이와 같이 첩부제(1aL)를 첩부하면, 팔자주름(59)으로부터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을 개재하여 귀 앞의 피부 부분(62)을 향하는 방향의 견인력이,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에 있는 잉여 피부의 광범위에 미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 작용에 의해, 첩부제(1aL)를 적절히 첩부하면, 안면에서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의 내측 하방에 있는 팔자주름(59)을 효율적으로 평탄화시킬 수 있다.
또한, 첩부제(1aL)를 첩부할 때는, 가능한 한 기초부(2aL) 및 제1 연장부(3aL)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제1 연장부(3aL)를 견인하면서 첩부하고 나서, 제2 연장부(6aL)를 안면의 외측 상방에 있는 고정된 피부 부분(42)을 향하여 견인하면서 첩부하는 것이 좋다. 제1 연장부(3aL)를 첩부했을 때, 처진 피부 부분(41)은, 기초부(2aL) 및 제1 연장부(3aL)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견인된 상태가 되고, 또한 제2 연장부(6aL)를 첩부했을 때에, 처진 피부 부분(41)은, 또한 안면의 외측 상방을 향하여 견인되는 상태가 된다. 먼저, 처진 피부 부분(41)이 기초부(2aL) 및 제1 연장부(5aL)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견인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이후에 외측 상방에 향하여 견인하면서 첩부할 때, 견인 방향이나 견인력의 강도를 조절하면서 첩부하기 쉬워진다. 처진 피부 부분(41)을 자연스러운 형태로 교정할 수 있도록, 첩부제(1aL)를 첩부하기 쉬워진다.
첩부제(1aL)의 기초부(2aL)는, 그 대략 4각 형상의 외형에 있어서의 변이 곡선 형상이며, 2개의 모서리 부분(18a)에 R(곡률)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기초부(2aL)의 윤곽 부분에 견인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되어 미치고 처진 피부 부분(41)에 부자연스러운 자국이 생기는 것은, 피할 수 있다. 또한, 기초부(2aL)는, 일정한 면적을 가지는 대략 4각 형상이기 때문에, 처진 피부 부분(41)의 광범위에 첩부할 수 있고, 처진 피부 부분(41)을 광범위에 걸쳐서 견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기초부가 폭이 좁은 첩부제를 첩부하는 경우나, 기초부의 면적이 작은 첩부제를 첩부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첩부제(1aL)를 첩부하는 경우는, 피부의 처짐을 효율적으로 부자연스럽게 안보이게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연장부(3aL)나 제2 연장부(6aL)는, 혀 형상이기 때문에, 그 외형에 예각을 가지지 않고, 이들 연장부를 첩부된 피부 부분에 견인력이 국소적으로 집중되어 미치고 부자연스러운 자국이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5의 (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2에 관한 첩부제(1fL, 1fR)는, 상술한 첩부제(1aL)와 마찬가지의 구성과 작용 효과를 가지고, 그 적절한 첩부 방법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형상의 일부나, 첩부에 적절한 신체의 부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이 다른 점을 설명한다. 또한, 첩부제(1fL)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그 설명 내용은, 첩부제(1fL)의 형상에 대해서 거울상 대칭의 형상인 첩부제(1fR)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첩부제(1fL)는, 지지체(8f) 및 점착제층(9f)을 구비하고, 또한 기초부(2f), 제1 연장부(3f), 제2 연장부(6f), 및 제3 연장부(7f)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3 연장부는, 복수 있는 연장부 중에서,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가 첩부된 후에 다음에 첩부되는 연장부이다.
첩부제(1fL)는 전체적으로 E자 형상이며, 그 기초부(2f)는 일단부(4f)와 타단부(12f)를 가지고 대략 4각 형상이다. 기초부(2f)의 치수는, 1의 변(19f)에서 2개 있는 오목 정점(20f)의 어느 하나의 가까운 쪽에 달하는 최단 거리를 가로 방향의 길이로 하고, 이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기초부(2f)의 최단의 폭을 세로 방향의 길이로 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세로 35 mm×가로 35 mm이다.
제3 연장부(7f)는, 혀 형상의 외형이며, 타단부(12f)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제1 연장부(3f)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이나 제2 연장부(6f)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3 연장부(7f)의 혀 형상의 선단 부분을 제3 선단부(38f)로 한다. 3개 있는 연장부 중에서, 첩부제(1fL)를 신체에 첩부할 때에 가장 하측에 첩부되는 연장부를 제1 연장부(3f)로 하고, 중간에 첩부되는 연장 부분을 제2 연장부(6f)로 하고, 가장 상측에 첩부되는 연장부를 제3 연장부(7f)로 하는 것이, 피부의 처짐을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견인하여 교정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연장부(3f)의 연장 방향과 제2 연장부(6f)의 연장 방향은 5 ~ 10° 벌어져 있고 제2 연장부(6f)의 연장 방향과 제3 연장부(7f)의 연장 방향은 25 ~ 40° 벌어져 있고 제1 연장부(3f)의 연장 방향과 제3 연장부(7f)의 연장 방향은 30 ~ 50° 벌어져 있다.
도 5의 (b)에 의해, 첩부제(1fL)의 적절한 첩부 방법의 순서를 설명한다. 기초부(2f) 및 제1 연장부(3f)를 일단부(4f)로부터 제1 연장부(3f)의 제1 선단부(5f)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기초부(2f)를 처진 피부 부분(41)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한다. 이 견인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안면에서 처진 피부 부분(41)의 외측 상방에 있는 피부 부분에, 제1 연장부(3f)의 제1 선단부(5f)를 첩부한다. 다음에, 제2 연장부(6f)의 제2 선단부(22f)를, 제1 연장부(3f)를 견인하면서 첩부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안면에서 처진 피부 부분(41)의 외측 상방에 있는 피부 부분에 첩부한다. 마지막으로, 제3 연장부(7f)의 제3 선단부(38f)를, 제1 연장부(3f)를 견인하면서 첩부한 방향이나, 제2 연장부(6f)를 견인하면서 첩부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안면에서 처진 피부 부분(41)의 외측 상방에 있는 피부 부분에 첩부한다.
상기와 같이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적절히 첩부되었을 때의 첩부제(1fL)는, 그 기초부(2f)가, 볼 상부의 피부 부분(64)의 적어도 일부와, 하안검의 피부 부분(68)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는 형상이다. 또한, 제1 선단부(5f)가 귀 앞의 피부 부분(62)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고, 제2 선단부(22f)가 귀 앞의 피부 부분(62)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고, 제3 연장부(7f)의 제3 선단부(38f)가 관자놀이의 피부 부분(69)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는 형상이다.
하안검의 피부 부분(68)은, 하안검과 관자놀이의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70)이라고 할 수 있다. 눈꼬리(외안각부)에 이른바 눈가 주름(까마귀의 발자국)(71)이 나타난 사람은, 하안검의 융기(이른바 눈두덩이)에 더하여, 하안검의 피부 부분(68)에 처짐을 일으키고 있고, 이 하안검의 피부 부분(68)은 처진 피부 부분(41)에 해당한다. 또한, 관자놀이의 피부 부분(69)은, 전두부의 두발의 언저리 부분(52)의 일부이며, 모상건막(帽狀腱膜), 전두근막, 측두근막 등을 개재하여 두개골 골막에 강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고정된 피부 부분(42)에 해당한다. 이 때문에, 첩부제(1fL)를 적절히 첩부하면, 하안검의 피부 부분(68)의 처짐이 교정되어서, 눈가 주름(71)이 평탄화되어 얕아진다.
또한, 적절히 첩부제(1fL)를 첩부하면, 또한, 상술한 첩부제(1aL)를 적절히 첩부했을 경우에 발휘되는 작용 효과도 동시에 발휘된다. 이 때문에, 첩부제(1fL)는, 깊은 팔자주름(59)을 일으키고, 동시에 눈가 주름(71)이 나타난 사람에 대해서, 피부 교정용 첩부제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피부에 처짐이 생긴 사람이, 처짐을 교정하기 위해서 미용 외과 수술 또는 미용 외과적 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다. 미용 외과 수술 또는 미용 외과적 치료 후에, 처진 피부 부분(41)이 바람직한 형상으로 유지되도록, 처진 피부 부분(41)에 첩부제를 첩부한다. 그러나, 종래의 첩부제는 처진 피부 부분(41)의 유지에 적절한 형상은 아니기 때문에, 환자가 자작(自作)한 첩부제를 자신에게 첩부하고 있었다. 첩부제의 형상이나 첩부 방법이 적절하지 않은 경우, 처진 피부 부분(41)이 바람직한 형상이 되기까지 6개월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환자는, 처진 피부 부분(41)이 바람직한 형상이 될 때까지, 의사에 의한 경과 관찰을 받기 위해서 병원에 다닐 필요가 있다. 6개월에 걸쳐서 몇 번이고 통원하는 부담을 강요당했다.
또한, 안면 신경 마비에 걸린 환자는, 한쪽 측의 안면 신경에 장해가 생기면, 안면의 한쪽 측에서만 피부가 처지기 때문에, 그 QOL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안면 신경 마비에 대해서 각종 치료법이 있지만, 즉각적인 효과가 있는 치료법은 적다. 환자는, 증상이 개선될 때까지, 의사에 의한 경과 관찰을 계속 받지만, 그 사이에 환자의 QOL의 저하를 막기 위해서, 처진 피부 부분(41)을 적절한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대처법이 요구되고 있었다. 안면 신경 마비가 걸려서 수술 또는 치료를 받은 환자가, 처진 피부 부분(41)이 바람직한 형상을 유지하도록 첩부제를 첩부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도, 환자가 자작한 첩부제를 자신에게 첩부하고 있었지만, 처진 피부 부분(41)을 효율적으로 부자연스러운 외관이 되지 않게 유지하는 것은 어려웠다.
이것에 비해서, 볼 상부의 피부 부분(64) 및 하안검의 피부 부분(68)에 대해서 미용 외과 수술 또는 미용 외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나, 안면 신경 마비가 걸려서 수술 또는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 있어서, 첩부제(1fL)는, 볼 상부의 피부 부분(64) 및 하안검의 피부 부분(68)을 동시에 교정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 교정용 첩부제로서 우수하다. 예를 들면, 첩부제(1fL)를 이용했을 경우, 볼 상부의 피부 부분(64)이 바람직한 형상이 될 때까지의 기간이, 2개월로 단축, 즉, 3분의 1로 단축되었다.
또한,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1fL)는, 절취선(17f) 또는 절취선(24f)이 마련된 박리지(14f)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박리지(14f)는, 기초부 피복 부분(25f), 제1 선단부 피복 부분(26f), 제2 선단부 피복 부분(27f), 및 제3 선단부 피복 부분(39f)으로 분단되어 있다.
[실시형태 3]
도 6의 (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3에 관한 첩부제(1i)는, 상술한 첩부제(1aL)와 마찬가지의 구성과 작용 효과를 가지고, 그 적절한 첩부 방법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형상의 일부나, 첩부에 적합한 신체의 부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이 다른 점을 설명한다. 첩부제(1i)는, 지지체(8i) 및 점착제층(9i)을 구비하고, 또한 기초부(2i), 제1 연장부(3i), 제2 연장부(6i), 및 제3 연장부(7i)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첩부제(1i)는 전체적으로 Ψ자 형상인 선대칭의 형상이며, 그 기초부(2i)는 일단부(4i)와 타단부(12i)를 가지고 대략 4각 형상이다. 기초부(2i)의 치수는, 1개의 변(19i)에서 2개의 오목 정점(20i)의 어느 하나의 가까운 쪽에 달하는 최단 거리를 가로 방향의 길이로 하고,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기초부(2i)의 최단의 폭을 세로 방향의 길이로 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세로 25 mm×가로 35 mm이다. 첩부제(1i)의 3개 있는 연장부 중에서, 첩부제(1i)의 대칭축 상에 있는 연장부를 제1 연장부(3i)로 한다. 또한, 첩부되는 사람에게 있어서 제1 연장부(3i)의 우측에 첩부되는 연장부와 좌측에 첩부되는 연장부 중에서, 어느 한쪽을 제2 연장부(6i)로 하고, 다른쪽을 제3 연장부(7i)로 한다. 우측과 좌측의 어느 쪽의 연장부를 제2 연장부(6i)로 할지는 임의이다.
제1 연장부(3i), 제2 연장부(6i), 및 제3 연장부(7i)는, 타단부(12i)로부터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연장부(3i)의 연장 방향과 제2 연장부(6i)의 연장 방향은 45 ~ 60°벌어져 있고 제1 연장부(3i)와 제3 연장부(7i)의 연장 방향은 45 ~ 60°벌어져 있고 제2 연장부(6i)의 연장 방향과 제3 연장부(7i)의 연장 방향은 90 ~ 120° 벌어져 있다.
도 6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적절히 첩부되었을 때의 첩부제(1i)는, 그 기초부(2i)가 미간의 피부 부분(74)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고, 그 제1 연장부(3i), 제2 연장부(6i) 및 제3 연장부(7i)가 이마의 피부 부분(75)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는 형상이다. 또한, 그 기초부(2i)의 일단부(4i)가, 콧등의 피부 부분(76)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된다. 미간에 주름이 나타난 사람은, 미간의 피부 부분(74)에 처짐을 일으키고 있고, 상기 미간의 피부 부분(74)은 처진 피부 부분(41)에 해당한다. 또한, 콧등의 피부 부분(76)은, 비근근(鼻根筋) 등의 근 조직을 개재하여 비골(鼻骨) 하부나 외측 비연골(鼻軟骨) 상부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된 피부 부분(42)에 해당한다.
첩부제(1i)의 첩부 방법은, 실시형태 2에 관한 첩부제(1fL)에 대해서 상술한 첩부 방법과 마찬가지이다. 단, 첩부제(1fL)의 첩부 방법과 비교하여, 첩부제(1i)의 첩부 방법은, 제1 연장부(3i)를 첩부하고 나서, 다음에, 제1 연장부(3i)의 우측 또는 좌측에 있는 제2 연장부(6i)를 첩부하고, 마지막으로, 아직 첩부되지 않은 제3 연장부(7i)를 첩부하는 것이 다르다.
첩부제(1i)가 첩부되었을 때에, 미간의 피부 부분(74)은, 콧등의 피부 부분(76)으로부터 미간의 피부 부분(74)를 개재하여 이마의 피부 부분(75)을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미간의 피부 부분(74)의 처짐이 교정되면, 미간의 주름이 평탄화되어 얕아진다. 이 때문에, 첩부제(1i)는, 미간에 주름이 생긴 사람에 대해서, 피부 교정용 첩부제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첩부제(1i)는, 상술한 첩부제(1fL)와 마찬가지로, 미간의 피부 부분(74)에 대해서 미용 외과 수술 또는 미용 외과적 치료를 받은 환자나, 안면 신경 마비에 걸려서 수술 또는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 있어서, 피부 교정용 첩부제로서 우수하다.
또한, 도 6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1i)는, 절취선(17i) 또는 절취선(24i)이 마련된 박리지(14i)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박리지(14i)는, 기초부 피복 부분(25i), 제1 선단부 피복 부분(26i), 제2 선단부 피복 부분(27i), 및 제3 선단부 피복 부분(39i)으로 분단되어 있다.
[실시형태 4]
도 7의 (a), (b), (c)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4에 관한 첩부제(1d, 1e, 1t)는, 상술한 첩부제(1aL)와 마찬가지의 구성과 작용 효과를 가지고, 그 적절한 첩부 방법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형상의 일부나, 첩부에 적절한 신체의 부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이 다른 점을 설명한다. 첩부제(1d, 1e, 1t)는, 지지체(8d, 8e, 8t) 및 점착제층(9d, 9e, 9t)을 구비하고, 또한 기초부(2d, 2e, 2t), 제1 연장부(3d, 3e, 3t), 및 제2 연장부(6d, 6e, 6t)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첩부제(1d, 1e, 1t)는, 선대칭의 형상이기 때문에, 안면의 좌우의 어느 쪽 측에도 적절히 첩부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내는 첩부제(1d)는 전체적으로 V자 형상이며, 그 기초부(2d)는 일단부(4d)와 타단부(12d)를 가지고 대략 4각 형상이다. 기초부(2d)의 치수는, 1의 변(19d)으로부터 오목 정점(20d)에 달하는 최단 거리를 가로 방향의 길이로 하고, 이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기초부(2d)의 최단의 폭을 세로 방향의 길이로 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세로 15 mm×가로 35 mm이다. 제1 연장부(3d)의 연장 방향과 제2 연장부(6d)의 연장 방향은, 40 ~ 60° 벌어져 있다.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적절히 첩부되었을 때의 첩부제(1d)는, 그 기초부(2d)가 하안검의 피부 부분(68)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된다. 또한, 제1 연장부(3d)의 제1 선단부(5d)가, 관자놀이의 피부 부분(69)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된다. 또한, 제2 연장부(6d)의 제2 선단부(22d)가, 관자놀이의 피부 부분(69)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안검의 피부 부분(68)은, 하안검과 관자놀이의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70)이며, 처진 피부 부분(41)에 해당한다. 또한, 관자놀이의 피부 부분(69)은, 고정된 피부 부분(42)에 해당한다. 하안검의 피부 부분(68)의 처짐이 교정되면, 눈가 주름(71)이 평탄화되어 얕아진다. 이 때문에, 첩부제(1d)는, 눈꼬리에 눈가 주름(71)이 나타난 사람에 대해서, 피부 교정용 첩부제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나타내는 첩부제(1e)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이며, 그 기초부(2e)는 일단부(4e)와 타단부(12e)를 가지고 가로 방향으로 짧은 대략 4각 형상이다. 기초부(2e)의 치수는, 1의 변(19e)으로부터 오목 정점(20e)에 달하는 최단 거리를 가로 방향의 길이로 하고, 이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기초부(2e)의 최단의 폭을 세로 방향의 길이로 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세로 40 mm×가로 30 mm이다. 제1 연장부(3e)의 연장 방향과 제2 연장부(6e)의 연장 방향은, 30 ~ 50° 벌어져 있다. 또한,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적절히 첩부되었을 때의 첩부제(1e)는, 도 2의 (b)에서 상술한 첩부제(1aL)와 마찬가지의 신체의 부위에 첩부된다. 이 때문에, 첩부제(1e)는, 깊은 팔자주름(59)이 생긴 사람에 대해서, 피부 교정용 첩부제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첩부제(1e)를 2매 이용하면, 첩부제(1aL)와 첩부제(1aR)를 1매씩 이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도 7의 (c)에 나타내는 첩부제(1t)는 전체적으로 U자 형상이며, 그 기초부(2t)는 일단부(4t)와 타단부(12t)를 가지고 가로로 긴 대략 4각 형상이다. 기초부(2t)의 치수는, 1의 변(19t)으로부터 오목 정점(20t)에 달하는 최단 거리를 가로 방향의 길이로 하고, 이 가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의 기초부(2t)의 최단의 폭을 세로 방향의 길이로 하는 경우에, 예를 들면 세로 40 mm×가로 53 mm이다. 제1 연장부(3t)의 연장 방향과 제2 연장부(6t)의 연장 방향은, 30 ~ 50° 벌어져 있다.
도 7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적절히 첩부에 첩부되었을 때의 첩부제(1t)는, 그 기초부(2t)가 볼 하부의 피부 부분(64)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다. 또한, 제1 연장부(3t)의 제1 선단부(5t), 및 제2 연장부(6t)의 제2 선단부(22t)가, 귓불 앞부분의 피부 부분(65)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다. 또한, 일단부(4t) 및 볼 하부의 피부 부분(64)이, 제1 선단부(5t)를 향하는 방향과, 이것과는 다른 방향에 있는 제2 선단부(22t)를 향하는 방향의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다.
볼 하부의 피부 부분(64)은, 마리오네트 라인(66)과 귓불 앞부분의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67)이라고 할 수 있다. 안면에 마리오네트 라인(66)이 나타난 사람에서는, 볼 하부의 피부 부분(64)에 처짐이 생기고 있고, 상기 볼 하부의 피부 부분(64)은 처진 피부 부분(41)에 해당한다. 또한, 귓불 앞부분의 피부 부분(65)는, 외이도(58) 및 내이도를 피복하는 연골 조직 등에 의해 측두골에 강고하게 결합되어 있고, 고정된 피부 부분(42)에 해당한다. 볼 하부의 피부 부분(64)의 처짐이 교정되면, 마리오네트 라인(66)이 평탄화되어 얕아진다. 이 때문에, 첩부제(1t)는, 마리오네트 라인(66)이 생긴 사람에 대해서, 피부 교정용 첩부제로서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첩부제(1t)의 기초부(2t)는, 첩부제(1e)의 기초부(2e)보다 가로로 길기 때문에, 처진 피부 부분(41)의 광범위에 걸쳐서 첩부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첩부되었을 때에, 첩부제(1t)는, 첩부제(1e)보다 처진 피부를 교정하는 효과가 크다. 또한, 처진 피부 부분(41)은 전체 방향으로 피부의 면적이 확대된 상태에 있지만, 그 확대의 정도는, 사람에 의해서, 혹은 연령 등에 의해서, 크게 차이가 난다. 이들의 경우로부터, 첩부제(1e)는,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면적이 조금 확대된 사람, 예를 들면 40대 또는 50대의 사람에게 있어 노인성 용모의 교정용의 첩부제로서 이용된다. 또한, 첩부제(1t)는, 바람직하게는, 피부의 면적이 크게 확대된 사람, 예를 들면, 60대 이상의 사람에게 있어서 노인성 용모의 교정용의 첩부제로서 이용된다.
첩부제(1e, 1t)의 첩부에 적절한 신체의 부위나, 한 번에 첩부하는 첩부제의 수는, 도 7의 (d)로 나타낸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면서 첩부되었을 때의 첩부제(1e)는, 그 기초부(2e)가 볼 하부의 피부 부분(64)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고, 그 제1 연장부(3e)의 제1 선단부(5e), 및 제2 연장부(6e)의 제2 선단부(22e)가 귓불 앞부분의 피부 부분(65)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서, 마리오네트 라인(66)이 생긴 사람에 대해서 피부 교정용 첩부제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다른 1매의 첩부제(1e)가, 도 2의 (b)에서 상술한 첩부제(1aL)와 마찬가지의 신체의 부위에서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면서 첩부되어서, 깊은 팔자주름(59)과 마리오네트 라인(66)의 양쪽 모두에 대해서 동시에 피부의 처짐을 교정하는 효과를 발휘시켜도 좋다. 혹은, 복수 방향으로 견인되면서 첩부되었을 때의 첩부제(1t)는, 도 2의 (b)에서 상술한 첩부제(1aL)와 마찬가지의 신체의 부위에 첩부되어서, 깊은 팔자주름(59)이 생긴 사람에 대해서, 피부 교정용 첩부제로서 적합하게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도 7의 (a), (b),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1d, 1e, 1t)의 각각은, 절취선(17d, 17e, 17t) 또는 절취선(24d, 24e, 24t)이 마련된 박리지(14d, 14e, 14t)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박리지(14d, 14e, 14t)의 각각은, 기초부 피복 부분(25d, 25e, 25t), 제1 선단부 피복 부분(26d, 26e, 26t), 제2 선단부 피복 부분(27d, 27e, 27t)으로 분단되어 있다. 또한, 첩부제(1d, 1e, 1t)에서는, 신체에 첩부될 때에 하측에 첩부되는 연장부를 제1 연장부(3d, 3e, 3t)로 하고, 상측에 첩부되는 연장부를 제2 연장부(6d, 6e, 6t)로 하는 것이, 처진 피부 부분(41)을 인상하도록 교정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5]
실시형태 5에 관한 첩부제(미도시)는, 상술한 첩부제(1aL, 1aR, 1d, 1e, 1fL, 1fR, 1i, 1t)의 어느 하나와 마찬가지의 형상과 작용 효과를 가지고, 그 적절한 첩부 방법이나 첩부에 적절한 신체의 부위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절취선(미도시)이 마련된 박리지(미도시)를 구비하면 바람직한 점도 공통된다. 그러나, 지지체나 점착제층의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 다른 점을 설명한다. 본 형태에 관한 첩부제는, 지지체 및 점착제층을 구비하고, 또한 일단부와 타단부를 가지는 기초부,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적어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연장부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좋다.
본 형태에 관한 첩부제의 지지체의 두께는, 6 ~ 5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7 ~ 30μm이다. 지지체의 두께가 6 ~ 50μm이면, 첩부제를 피부에 첩부했을 때에, 사용자가 위화감을 느끼는 일 없이, 첩부제가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기 쉽다. 또한, 지지체의 두께가 7 ~ 30μm인 경우는, 사용자가 첩부제를 취급하기 쉬운 두께이며, 첩부제가 피부의 교정에 적절한 인장 응력을 나타낸다. 또한, 지지체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첩부제가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첩부되어 있는 동안, 지지체의 인장 응력이 약해져 버린다. 지지체의 인장 응력이 너무 약해지면, 처진 피부 부분에 미치는 견인력이 약해지고, 피부를 교정하는 효과가 작아져 버린다. 또한, 지지체가 너무 두꺼우면, 첩부제를 피부에 첩부했을 때에, 첩부된 사람이 피부에 위화감을 느껴 버린다.
본 형태에 관한 첩부제의 지지체는, 그 20% 인장 강도가 0.1 ~ 3 N/cm인 필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지지체의 20% 인장 강도가 0.1 ~ 3 N/cm이면, 지지체가 적절한 신축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첩부제를 피부에 첩부했을 때, 첩부제가 피부의 곡면에 추종되어 신축되면서, 타단부로부터 각각 연장부를 향하여 견인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또한, 지지체의 20% 인장 강도가 너무 작으면, 지지체가 부드럽기 때문에, 처진 피부 부분에 미치는 견인력이 약해지고, 피부를 교정하는 효과가 작아져 버린다. 또한, 첩부제를 피부로부터 박리할 경우에, 지지체가 필요 이상으로 신축되기 때문에, 박리하기 어렵다. 지지체의 20% 인장 강도가 너무 크면, 피부의 신축에 대한 지지체의 저항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피부에 위화감을 느끼고, 장시간 첩부하고 있으면 피부 자극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지지체가 피부 곡면에 추종되어 신축되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첩부된 첩부제가 단시간에 탈락될 우려가 있다.
또한, 20% 인장 강도의 측정 방법으로서는, 지지체를 1 cm폭으로 절단한 시험편을 준비하여, 척 간 거리를 5 cm로 설정하여, 시험편을 30 cm/min의 속도로 당겨서 변형시켜서, 시험편이 20% 연신되었을 때의 응력을 측정한다. 이 때의 측정치를, 지지체의 20% 인장 강도로 한다. 시험편의 재질에 따라서는 온도에 의해 측정치가 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측정 방법은, 통상, 25℃의 항온 실내에서 행해진다.
본 형태에 관한 첩부제의 점착제층은, 그 두께가 5 ~ 100μm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40μm이다. 점착제층의 두께가 5 ~ 100μm이면, 첩부제가 피부로부터 탈락되기 어렵고, 첩부제를 박리할 때에 피부의 손상을 피하기 어렵고 피부가 짓무른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가 너무 얇으면, 점착력이 부족하고, 피부의 요철에 친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의도치 않게 첩부제가 피부로부터 탈락될 우려가 있다. 점착제층이 너무 두꺼우면, 점착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피부로부터 첩부제를 박리할 때 피부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첩부제와 피부와의 단차가 크기 때문에, 첩부제가 눈에 띄고, 또한, 첩부제가 의복에 걸려서 탈락되기 쉽다. 또한, 점착제층이 너무 두꺼우면, 점착제의 재질에 따라서는, 점착제층의 투습성이 낮아지고, 피부가 짓무른다.
[실시형태 6]
도 8의 (a), (b)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6에 관한 첩부제(1q, 1r)는, 상술한 첩부제(1aL, 1aR, 1d, 1e, 1fL, 1fR, 1i, 1t), 및 실시형태 5에 관한 첩부제(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첩부제와 마찬가지의 형상과 작용 효과를 가지고, 그 적절한 첩부 방법이나 첩부에 적합한 신체의 부위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절취선(17q, 17r) 또는 절취선(24q, 24r)이 마련된 박리지(14q, 14r)를 구비하면 바람직한 것도, 동일하다. 그러나, 지지체 등의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 다른 점을 설명한다. 첩부제(1q, 1r)는, 지지체(8q, 8r) 및 점착제층(9q, 9r)을 구비하고, 또한 일단부(4q, 4r)와 타단부(12q, 12r)를 가지는 기초부(2q, 2r), 제1 연장부(3q, 3r), 및 제2 연장부(미도시)를 적어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3 연장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해도 좋다.
첩부제(1q, 1r)는, 그 지지체(8q, 8r)의 두께를 w로 할 때, 지지체(8q, 8r) 타면(10q, 10r)의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6μm≤Rz≤40μm이며, 또한, Rz≤w이다. 또한, 첩부제(1q, 1r)는, 그 지지체(8q, 8r)의 두께를 w로 할 때 타면(10q, 10r)의 Rz가, 바람직하게는 10μm≤Rz≤40μm 또한 Rz≤w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7μm≤Rz≤35μm 또한 Rz≤w이다. 또한, 타면(他面)(10q, 10r)의 Rz는, JIS B0601: 2001에 준거하여, 기준 길이 500μm, 컷오프값 200μm의 조건에서, 표면 거칠기 측정기에 의해 타면(10)의 표면 형상을 측정하여 얻어진 값이다.
지지체(8q, 8r)는, 표면 성상(性狀)이 6μm≤Rz≤40μm가 되도록, 타면(10q, 10r)에 요철이 마련되어 있다. 6μm≤Rz≤40μm가 되는 요철의 깊이는, 피부 표면의 요철의 깊이에 가깝기 때문에, 타면(10q, 10r)의 외관은 피부를 닮아 있다. 또한, 요철 형상에 의해 타면(10q, 10r)에서 지지체(8q, 8r) 내로의 입사광이 산란되기 때문에, 타면(10q, 10r)은, 그 반사가 억제되어서 눈에 띄지 않는다.
6μm≤Rz≤40μm가 되는 요철의 깊이는, 타면(10q, 10r)에 컨실러의 분말이 도포된 후에 또한 파운데이션의 분말이 도포되었을 때에, 이것들 복수 종류의 화장품의 분말을 타면(10q, 10r) 상에 유지하는데 적합하다. 파운데이션이나 컨실러의 평균 입자 지름은 일반적으로 0.1 ~ 60μm로 폭넓은 것에 비해, 타면(10q, 10r)이 6μm≤Rz≤40μm가 되는 요철의 깊이이면, 요철이 입자 지름의 다른 복수 종류의 화장품의 분말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화장이 들뜨지 않는다.
타면(10q, 10r)의 Rz가 6μm 미만이면, 파운데이션의 분말이나 컨실러의 분말의 평균 입자 지름에 비해서 요철의 깊이가 너무 작기 때문에, 이들 화장품의 분말이 타면(10q, 10r)에서 거의 유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들 화장품의 분말을 손가락끝으로 터치하여 도포하려고 해도, 화장품의 분말이 타면(10q, 10r)에서 미끄러져서 떨어져 버린다. 타면(10q, 10r)의 Rz가 40μm를 초과하면, 이들 화장품의 분말의 평균 입자 지름에 대해서 요철의 깊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화장품을 타면(10q, 10r)에 너무 두껍게 발랐을 때에 닦아내기 어렵다. 또한, 타면(10q, 10r)이 17μm≤Rz≤35μm가 되는 요철의 깊이이면, 피부와 동일한 정도의 요철의 깊이이기 때문에, 피부로부터 화장품을 닦아낼 때에 가까운 감각으로, 타면(10q, 10r)에서 화장품을 닦아낼 수 있다.
Rz≤w는, 타면(10q, 10r)에 형성된 요철의 깊이가, 지지체(8q, 8r)의 두께(w) 이하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Rz=w인 경우에는, 타면(10q, 10r)에서 일면(11q, 11r)에 도달하는 관통 구멍이 지지체(8q, 8r)에 다수 마련되어서, 관통 구멍의 바닥에 점착제층(9q, 9r)이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도, 타면(10q, 10r)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파운데이션의 분말이나 컨실러의 분말이 유지된다. 또한, 도포되는 화장품은, 페이스트 상태의 화장품, 또는 입자를 함유하는 액상의 화장품이면, 타면(10q, 10r) 상에서 유지되기 쉽고, 첩부되고 화장품이 도포된 첩부제(1q, 1r)의 외관이 그 주위의 피부에 친화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8의 (a)에 나타내는 첩부제(1q)는, 그 지지체(8q)가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계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첩부제(1q)는, 딱딱한 필름(28)과, 이 필름(28)의 한쪽 면을 덮는 점착제층(29)이 마련된 캐리어(15q)를 구비한다. 캐리어(15q)의 점착제층(29)의 점착제는, 응집력이 높기 때문에 유출되지 않는다. 또한, 캐리어(15q)의 점착제층(29)은, 타면(10q)를 피복한다. 캐리어(15q)의 점착제층(29)의 두께는 3 ~ 20μm로 얇기 때문에, 사용자는, 타면(10q)으로부터 캐리어(15q)를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타면(10q)에 형성된 요철은, 첩부제(1q)가 첩부되기 직전까지, 캐리어(15q)에 의해 보호된다. 첩부제(1q)를 제조할 때에는, 지지체(8q)가 캐리어(15q)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첩부제(1q)를 제조하기 쉽다.
도 8의 (b)에 나타내는 첩부제(1r)는, 그 지지체(8r)가 폴리우레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첩부제(1r)는, 필름(2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캐리어(15r)를 구비한다. 지지체(8r)를 구성하는 폴리우레탄은 약한 점착력을 가지기 때문에, 캐리어(15r)에는 점착제층이 마련되지 않아도 좋다. 첩부제(1r)에 대해서, 다른 구성, 작용 효과는 상술한 첩부제(1q)와 마찬가지이다.
종래, 처진 피부 부분을 교정하려고 안면 등에 첩부제를 첩부하면, 첩부제가 눈에 띄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첩부제가 눈에 띄지 않도록 첩부할 수 있는 피부 부분은, 귀의 뒤쪽 등의 두발에 의해 숨겨지는 부분이나 의복으로 숨겨지는 부분으로 한정되어 있었다(특허문헌 1을 참조). 미용 외과의 수술이나 미용 외과적 치료, 혹은, 안면 신경 마비에 대한 수술이나 치료를 받은 환자는, 처진 피부 부분을 바람직한 형상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 안면에 사이즈가 큰 첩부제를 첩부하고, 눈에 띄는 첩부제에 의해 QOL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특히, 낮 중에 외출하는 여성의 환자는, QOL을 큰 폭으로 저하시키고 있었다.
이것에 비해서, 첩부제(1q, 1r)는, 안면 등의 피부에 첩부해도, 그 타면(10q, 10r)이 피부를 닮아 있어서 눈에 띄기 어렵다. 또한, 첩부제(1q, 1r)는, 피부에 첩부된 후에 타면(10q, 10r) 상에 화장을 하면, 외관상, 피부와의 분별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첩부제(1q, 1r)는, 안면의 피부에 첩부해도 사용자의 QOL을 거의 저하시키지 않는다. 낮에 외출하는 사람, 특히 여성이나 환자의 QOL을 유지하기 위해서, 공헌할 수 있다.
[실시형태 7]
도 9의 (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7에 관한 첩부기구(30aL, 30aR)는, 상술한 첩부제(1aL, 1aR)를 유지하고 있고, 이 첩부제(1aL, 1aR)를 안면에 적절히 첩부하기 쉽게하기 위한 용구이다. 안면의 좌측에 첩부제(1aL)를 첩부하기 위한 첩부기구(30aL)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그 설명 내용은, 첩부기구(30aL)의 형상에 대해서 거울상 대칭의 형상인 첩부기구(30aR)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첩부기구(30aL)는, 프레임(35a)과, 일단부 유지 수단(31a)과, 제1 연장부 유지 수단(32a)과, 제2 연장부 유지 수단(33a)을 구비한다.
프레임(35a)은, 첩부제(1aL)를 둘러싸는 환(環) 형상이다. 이 프레임(35a) 상의 다른 개소에, 2개의 일단부 유지 수단(31a), 1개의 제1 연장부 유지 수단(32a), 및 1개의 제2 연장부 유지 수단(33a)이 장착되어 있다. 2개의 일단부 유지 수단(31a)의 각각은, 일단부(4a)의 2개의 모서리 부분(18a)을 유지한다. 제1 연장부 유지 수단(32a)은, 제1 연장부(3aL)의 제1 선단부(5a)를 유지한다. 제2 연장부 유지 수단(33a)은, 제2 연장부(6aL)의 제2 선단부(22a)를 유지한다. 일단부 유지 수단(31a), 제1 연장부 유지 수단(32a), 및 제2 연장부 유지 수단(33a)에 의해, 프레임(35a)의 환 내에 첩부제(1aL)가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첩부기구(30aL)의 사용자는 첩부제(1aL)를 첩부하기 쉽다.
프레임(35a)의 소재로서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세라믹, 탄성을 가지는 강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의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또는 경질(硬質) 비닐 등이 예시된다. 일단부 유지 수단(31a), 제1 연장부 유지 수단(32a), 및 제2 연장부 유지 수단(33a)의 각각의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점착 테이프, 클립, 합성 수지제의 지지판, 및 금속제의 지지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유지 수단을 들 수 있다.
첩부기구(30aL)는, 사용자가 잡기 쉽고 첩부제(1aL)를 첩부하기 쉽게, 파지부(36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36a)는, 프레임(35a) 상에, 2개의 일단부 유지 수단(31a)이 장착된 각각의 개소의 사이에서, 일단부(4a)가 유지되어 있는 근처의 부분에 장착된다. 또한, 프레임(35a) 및 파지부(36a)는, 주조하거나 또는 3차원 프린터를 이용하거나 하는 것으로, 일체의 부재가 되도록 제조되어도 좋고, 부재마다 별개로 제조되어도 좋다. 또한, 첩부기구(30aL)에 유지되어 있는 첩부제(1aL)는, 절취선(17a)이 마련된 박리지(14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부의 처짐을 교정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게 첩부제(1aL)를 첩부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첩부기구(30aL)에서는, 기초부(2aL) 및 제1 연장부(3aL)가 일단부(4a)로부터 제1 선단부(5a)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되고 있고, 제1 연장부(3aL)가 견인되고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2 연장부(6aL)가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와 같이 견인된 상태의 첩부제(1aL)의 2개의 모서리 부분(18a), 제1 선단부(5a), 및 제2 선단부(22a)의 각각에 접하도록 첩부제(1aL)를 둘러싸는 프레임(35a)의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프레임(35a) 상에서, 2개의 모서리 부분(18a)에 접하는 개소에는 2개의 일단부 유지 수단(31a)의 각각이 장착되고, 제1 선단부(5a)에 접하는 개소에는 제1 연장부 유지 수단(32a)이 장착되고, 제2 선단부(22a)에 접하는 개소에는 제2 연장부 유지 수단(33a)이 장착된다.
도 9의 (b)에 나타내는 첩부기구(30sL)에 유지되어 있는 첩부제(1sL)는, 지지체(8s) 및 점착제층(9s)을 구비하고, 또한 일단부(4s)와 타단부(12s)를 가지는 기초부(2s), 제1 연장부(3s), 및 제2 연장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첩부제(1sL)는, 상술한 첩부제(1aL)와 마찬가지의 형상이며, 도 8의 (b)에 나타내는 첩부제(1r)와 마찬가지로, 피부 접촉면(13s)을 피복하는 박리지(14s)와 타면(10s)을 피복하는 캐리어(15s)를 구비한다. 이 박리지(14s)에는, 절취선(17s)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첩부기구(30sL)의 일단부 유지 수단(31s) 및 제1 연장부 유지 수단(32s)의 각각은, 점착 테이프이다. 일단부 유지 수단(31s)은, 그 일부가 프레임(35s)에 점착되어서 장착되어 있고, 그 외의 부분이 캐리어(15s) 중에서 일단부(4s)를 피복하는 부분(37)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부(4s)를 유지하고 있다. 제1 연장부 유지 수단(32s)은, 그 일부가 프레임(35s)에 점착되어서 장착되어 있고, 그 외의 부분이 제1 선단부 피복 부분(26)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선단부(5s)를 유지하고 있다. 제2 연장부 유지 수단(미도시)은, 그 일부가 프레임(35s)에 점착되어서 장착되어 있고, 그 외의 부분이 제2 선단부 피복 부분(미도시)에 점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선단부(미도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첩부기구(30sL)에서는, 기초부(2s) 및 제1 연장부(3s)가 일단부(4s)로부터 제1 선단부(5s)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되고, 제1 연장부(3s)가 견인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2 선단부(미도시)가 견인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첩부기구(30sL)를 이용하는 첩부제(1sL)의 첩부 방법을 설명한다. 첩부제(1sL)의 박리지(14s)는, 절취선(17s)에 의해, 기초부 피복 부분(25s)과 제1 선단부 피복 부분(26s)과 제2 선단부 피복 부분(미도시)으로 분단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기구(30sL)를 이용하여 첩부제(1sL)를 첩부하기 직전에, 기초부 피복 부분(25s)을 박리해도, 제1 선단부 피복 부분(26s), 및 제2 선단부 피복 부분(26s)은 피부 접촉면(13s) 상에 남는다.
다음에, 첩부제(1sL)를 첩부하는 사람은, 첩부기구(30sL)의 파지부(36s)를 집고, 도 10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첩부제(1sL)의 일단부(4s)를, 처진 피부 부분(41)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한다. 즉, 이 경우는, 일단부(4s)를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한다. 일단부(4s)를 첩부하면, 첩부제(1sL)로부터 캐리어(15s)를 박리하고, 동시에, 프레임(35s)으로부터 일단부 유지 수단(31s)을 박리한다. 캐리어(15s)와 일단부 유지 수단(31s)이 제거된다.
또한, 첩부제(1sL)를 첩부하는 사람은, 파지부(36s)를 집은 상태에서, 첩부제(1sL)의 타단부(12s) 및 근원부(23s)를, 볼 상부의 피부 부분(61)으로부터 귀 앞의 피부 부분(62)을 향하여 누른다. 이 때, 첩부기구(1sL)에 의해 제1 선단부(5s)가 제1 연장부 유지 수단(32s)에 의해 유지되고, 제2 선단부(22s)가 제2 연장부 유지 수단(33s)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누르는 동작을 하는 것만으로, 기초부(2s) 및 제1 연장부(3s)가 일단부(4s)로부터 제1 선단부(5s)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된 상태로, 기초부(2s)가 처진 피부 부분(41)에 첩부된다. 동시에, 기초부(2s), 타단부(12s) 및 근원부(23s)가, 처진 피부 부분(41)에 대해서 안면의 정중(正中)으로부터 외측 상방에 있는 고정된 피부 부분(42)으로 견인된 상태로 첩부된다.
타단부(12s) 및 근원부(23s)를 첩부하면,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선단부 피복 부분(26s)을 박리하여, 제1 선단부(5s)를 손가락끝으로 집고, 귀 앞의 피부 부분(62)을 향하여 견인하면서 이 피부 부분(62)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한다. 제1 연장부(3s)를 첩부하면, 제2 선단부 피복 부분(27s)을 박리한다. 부분(27s)을 박리하면, 프레임(35s)을 안면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기초부(2s) 및 제1 연장부(3s)가 견인되면서 첩부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2 선단부(22s)를 견인하면서 귀 앞의 피부 부분(62)의 상부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한다.
첩부기구(30sL)를 이용하여, 도 10의 (a), (b), (c)에 나타내는 일련의 순서에 의해 첩부제(1sL)를 첩부하는 동안, 기초부(2s) 및 제1 연장부(3s)가 일단부(4s)로부터 제1 선단부(5s)로 견인된 상태로 유지되고, 기초부(2s) 및 제1 연장부(3s)가 견인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2 선단부(22s)가 견인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일련의 순서에 있어서, 첩부기구(30sL)마다 첩부제(1sL)를 처진 피부 부분(41)에서 고정된 피부 부분(42)으로 누른다고 하는 간단한 동작에 의해, 첩부제(1sL)를 적절히 첩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첩부기구(30sL)를 이용하여 첩부제(1sL)를 첩부하면, 기초부(2s)의 면적이 넓은 첩부제(1sL)를, 용이하게 첩부할 수 있다.
도 9의 (a), (b)에 나타내는 첩부기구(30aL, 30aR, 30sL)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관한 첩부기구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형태 2 ~ 7에 관한 첩부제(1d, 1e, 1fL, 1fR, 1i, 1t, 미도시)를 유지하여 첩부하기 위한 첩부기구(30d, 30e, 30fL, 30fR, 30i, 30t, 미도시)라도 좋다. 이들의 첩부기구도, 그 프레임(35d, 35e, 35fL, 35fR, 35i, 35t, 미도시)은 첩부제를 둘러싸는 환 형상이며, 상기 프레임에는 2개의 일단부 유지 수단(31d, 31e, 31fL, 31fR, 31i, 31t, 미도시)과 제1 연장부 유지 수단(32d, 32e, 32fL, 32fR, 32i, 32t, 미도시)과 제2 연장부 유지 수단(33d, 33e, 33fL, 33fR, 33i, 33t, 미도시)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첩부기구(30fL, 30fR, 30i)에는, 제3 연장부 유지 수단(34fL, 34fR, 34i)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첩부기구에 유지되어 있는 첩부제는, 절취선(17d, 17e, 17fL, 17fR, 17i, 17t, 미도시)이 마련된 박리지(14d, 14e, 14fL, 14fR, 14i, 14t, 미도시)와 캐리어(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박리지의 각각은, 기초부 피복 부분, 제1 선단부 피복 부분, 제2 선단부 피복 부분으로 분단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첩부제(1fL, 1fR, 1i)의 박리지에서는, 제3 선단부 피복 부분이 분단되어 있다. 또한, 본 첩부기구에 구비할 수 있는 기초부 유지 수단은, 1개라도 좋고, 3개 이상이라도 좋다.
[그 외의 실시형태]
본 발명에 관한 첩부제는, 상술한 실시형태 1 ~ 7에 관한 첩부제(1aL, 1aR, 1d, 1e, 1fL, 1fR, 1i, 1t, 1sL, 미도시)와 마찬가지의 구성과 작용 효과를 가지는 것에 더하여,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이나 작용 효과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본 첩부제의 투습도는, 500 ~ 10,000 g/(m2·day)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상적으로 피부면으로부터 300 g/(m2·day) 정도의 수증기가 생기기 때문에, 400 g/(m2·day) 미만이면, 피부가 불어서 피부 상주균이 증식되고, 피부에 염증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10,000 g/(m2·day)를 초과하면, 물, 땀 또는 알코올이 첩부제에 흡수되었을 때에, 첩부제가 팽윤되고, 연신되어 탈락되기 쉬워지고, 눈에 띄기 쉬워진다. 또한, 10,000 g/(m2·day)를 초과하면, 창상면(創傷面)에 첩부제(1aL)를 첩부하는 경우에, 상처가 건조되어 버리기 때문에, 첩부제에 의해 습윤 요법을 행할 수 없다.
첩부제의 투습도는, 바람직하게는 800 ~ 4,000 g/(m2·day)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1,000 ~ 3,500 g/(m2·day)이다. 800 ~ 4,000 g/(m2·day)이면, 피부가 불기 어렵고, 첩부제가 팽윤되기 어렵고, 첩부제(1aL)를 창(創)에 첩부했을 경우에 습윤 환경을 형성시켜서 상처를 빨리 치료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4 ~ 7에 관한 첩부제는, 제1 연장부의 연장 방향과 제2 연장부의 연장 방향이, 10 ~ 90°벌어져 있어도 좋고, 20 ~ 60° 벌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 3에 관한 첩부제는, 3개 있는 연장부 중에서 가장 떨어진 2개의 연장부의 연장 방향이, 서로 10 ~ 180° 벌어져 있어도 좋고, 서로 30 ~ 120°벌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첩부제는, 타단부로부터 각각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연장부를 4개 이상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4개 이상 있는 연장부 중에서 가장 떨어진 2개의 연장부의 연장 방향이, 서로 20 ~ 180°의 범위 내에서 열려 있어도 좋다. 또한, 이들의 각도가 너무 작으면, 처진 피부 부분이 견인되는 각각 연장부의 사이에 있는 범위가 좁아지기 때문에, 피부의 처짐을 교정하는 효과가 약해져 버린다. 혹은, 이들의 각도가 너무 크면, 각각 연장부의 사이에 있는 방향에 미치는 견인력이 약하기 때문에, 피부의 처짐을 교정하는 효과가 약해져 버린다.
실시형태 1, 4 ~ 7에 관한 첩부제에서, 제1 연장부로 되어 있는 연장부를 제2 연장부로 하고, 제1 연장부로 되어 있는 연장부를 제2 연장부로 하여 취급해도 좋다. 실시형태 2에 관한 첩부제에서는, 제1 연장부로 되어 있는 연장부를 제3 연장부로 하고, 제3 연장부로 되어 있는 연장부를 제1 연장부로 하여 취급해도 좋다.
본 첩부제는, 실시형태 3에 관한 첩부제(1i)의 제1 연장부(3i), 제2 연장부(6i), 및 제3 연장부(7i)가, 도 6의 (a), (b)에 도시되어 있는 것보다도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상이라도 좋다. 이 경우의 첩부제가, 도 6의 (b)에서 나타내는 첩부제(1i)와 마찬가지의 신체의 부위에 적절히 첩부되었을 때에는, 그 기초부가 콧등의 피부 부분(76)의 적어도 일부와 미간의 피부 부분(74)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3개 있는 연장부의 각각이 미간의 피부 부분(74)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해서 이마의 피부 부분(75)을 종단하고, 제1 선단부, 제2 선단부, 및 제3 선단부의 각각이 전두부의 두발의 언저리의 피부 부분(52)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다. 이 경우의 기초부와 미간의 피부 부분(74)은, 콧등의 피부 부분(76)으로부터 미간의 피부 부분(74)에 도달하고 나서, 3 방향으로 분기되어 각각의 방향으로 이마의 피부 부분(75)을 종단하여 전두부의 두발의 언저리의 피부 부분(52) 중 각각 다른 개소로 향하도록 견인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 경우, 첩부제의 일단부는 콧등의 피부 부분(76)(고정된 피부 부분(42))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고, 제1 선단부, 제2 선단부, 및 제3 선단부가 전두부의 두발의 언저리의 피부 부분(52)(고정된 피부 부분(42))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기 때문에, 2개의 고정된 피부 부분(42)의 사이에 있는 미간의 피부 부분(74)이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견인되고 있는 상태가 더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사람에서 안면 이외의 부위에 있는 처진 피부 부분으로서는, 경부(頸部)의 하악 가장자리 하부의 피부 부분, 손목의 피부 부분, 흉부(유방)의 피부 부분, 둔부의 피부 부분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처진 피부 부분의 근처에 있는 고정된 피부 부분으로서는, 각각 순서대로, 경부 후면의 목덜미의 유모부(有毛部)의 피부 부분, 전완 원위(前腕 遠位)의 손관절부의 피부 부분, 흉골 상측 가장자리부나 쇄골부의 피부 부분, 엉치뼈(腸骨) 가장자리부의 피부 부분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경부의 하악 가장자리 하부의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부를 첩부하고, 일단부로부터 복수의 연장부를 향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견인하고 있는 상태로, 각각 연장부의 선단부를 경부 후측 상방의 목덜미부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하면, 하악 가장자리의 잉여 피부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 때문에, 하악 가장자리를 샤프하게 보이게 하고, 경부 전면의 잉여 피부가 적어지도록 교정하여, 페이스 라인을 개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 ~ 7에 관한 첩부제 외에도, 사람의 안면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의 처진 피부 부분과 고정된 피부 부분의 위치 관계에 대응하여 첩부제의 형상을 조제하면, 사람의 안면 이외의 부위에 있어서도 첩부제로 피부의 주름, 처짐을 교정할 수 있다. 사람 이외에서는, 포유류에 대해서, 형상을 적절히 조제한 첩부제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 처짐을 교정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첩부제에 있어서의 지지체는,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텐 및 폴리 초산 비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필름 중에, 미립자나 안료가 분산되어 있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의 미립자나 안료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탈크, 벤가라(弁柄), 마이카, 카올린, 운모분, 펄계 안료, 및 바륨염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안료가 분산되어 있는 지지체는, 얇게 착색되어 있다. 또한, 미립자가 분산되어 있는 지지체는, 광 분산 기능을 가진다. 이 경우의 본 첩부제는, 그 지지체의 외관이 피부와 유사하기 때문에, 더 눈에 띄지 않는 외관이 된다.
본 첩부제에 있어서의 점착제층이 아크릴계 점착제, 및 우레탄계 점착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의료용의 첩부제로 이용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겔형 점착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이 의료용의 첩부제로 이용될 수 있는 고무계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하이드로 콜로이드 입자를 15 ~ 55 중량% 함유하는 하이드로 콜로이드 점착제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경우의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점착제층은, 침출액을 흡수할 수 있다. 미용 외과 수술 후의 환자가 처진 피부 부분을 교정하려고 할 때, 이 경우의 점착제층을 가지는 본 첩부제를 첩부하면, 처진 피부 부분을 바람직한 형상으로 유지할 뿐만 아니라, 침출액을 흡수하면서 봉합의 흔적를 치유시킬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이 상술한 하이드로 콜로이드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 침출액을 흡수시키기 위해서 점착제층의 두께가 40μm보다 커도 좋다.
점착제층은, 피부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 유효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비타민 A, 비타민 E, 알부틴 등의 멜라닌 생성 억제제, 하이드로퀴논, 히알론산, 콘드로이틴 황산, 및 세라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혹은, 점착제층은, 피부에 작용하는 약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약제로서는,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은, 은 포섭물, 클로로헥시딘, 염산 벤잘코늄, 글리시리진 및 그 염, 펠비낙, 인도메타신, 디클로페낙, 플루르비프로펜(Flurbiprofen), 살리실산 메틸, 이부프로펜피코놀,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성형 외과적 치료, 재생 의료, 미용 외과 수술 및 미용 외과적 치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수술 또는 치료를 받은 환자가, 이 수술 또는 치료를 받은 처진 피부 부분을 바람직한 형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본 첩부제를 이용하면, 종래의 첩부제를 첩부하여 유지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교정에 필요로 하는 기간을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처치 후에 본 첩부제를 첩부하면 유효한 성형 외과적 치료로서는, 신경 이식, 줄기 이식, 피부 이식술, 지방 이식 등을 들 수 있다. 재생 의료로서는, 간세포 이식, 세포 치료 등을 들 수 있다. 미용 외과 수술 또는 미용 외과적 치료로서는, 보틀리누스독 등의 신경마비제, 히알론산 등의 충전제, 레이저 치료, 증식 인자 등을 이용한 미용 외과 수술 또는 미용 외과적 치료를 들 수 있다. 또한, 간세포 이식 또는 세포 치료에서 이식되는 세포로서는, 예를 들면, 인체로부터 채취된 세포, 인체로부터 채취된 간세포, 유전자 도입에 의해 제작된 간세포(iPS 세포 등), 배양된 세포, 배양된 간세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세포를 들 수 있다.
[첩부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관한 첩부제의 제조 방법은, 지지체를 얻는 공정과, 점착제층을 얻는 공정과, 지지체와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공정과, 적층물을 잘라내는 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시형태 1 ~ 5, 7에 관한 첩부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지지체를 얻는 공정에서는, 캐스트용 박리성 기판의 표면에 수지 용액을 유연(流涎)하여 건조하고, 건조시킨 것을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얻은 필름을 지지체 C로 했다.
점착제층을 얻는 공정에서는, 점착제층의 소재에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는, 점착제의 원료가 되는 모노머 등을 초산 에틸에 혼합 용해하여, 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 공중합시켜서, 가교제를 첨가하여 캐스트용 용액을 조제한다. 또한, 점착제층의 소재에 실리콘계 점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소정의 2종류의 용액을 혼합하는 방식 등인 시판의 실리콘계 점착제를 이용하여, 캐스트용 용액을 조제한다. 점착제층의 소재에 고무계 점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점착제의 원료인 폴리머를 톨루엔에 혼합 용해하여, 연화제, 점착 부여제, 산화 방지제를 첨가하여, 캐스트용 용액을 조제한다. 점착제층의 소재에 우레탄계 점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캐스트 직전에 소정의 2종류의 용액을 혼합하여 캐스트용 용액을 조제한다. 또한, 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또는 우레탄계의 어느 하나의 점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도, 상술한 캐스트용 용액을 박리지 상에 유연하여, 유연한 것을 건조 또는 가열하여, 점착제층 D를 얻었다.
적층하는 공정에서는, 지지체 C의 일면을, 점착제층 D의 박리지에 피복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 상에 탑재하여 붙여서 맞추고, 지지체 C와 점착제층 D와 박리지의 적층물을 얻었다. 잘라내는 공정에서는, 이 적층물을, 지지체 C의 타면측으로부터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낸다. 잘라낼 때의 형상에 의해, 실시형태 1 ~ 5, 7의 어느 하나에 관한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6에 관한 첩부제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지지체를 얻는 공정에서는, 표면에 반전 무늬를 가지는 캐스트용 박리성 기판의 상기 표면에 수지 용액을 유연하여 건조하고, 건조시킨 것을 기판으로부터 박리하여 얻은 필름을 지지체 E로 했다. 지지체 E의 타면(전사면)에는, 캐스트용 박리성 기판의 표면의 반전 무늬가 전사되어서, 요철이 형성된다. 지지체 E의 타면(전사면)에 캐리어를 적층하여, 지지체 E와 캐리어와의 적층물을 얻는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 1 ~ 5, 7에 관한 첩부제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점착제층 D와 박리지의 적층물을 얻는다. 지지체 E의 일면(전사면이 아닌 면)을, 점착제층 D의 박리지에 피복되어 있지 않은 측의 면 상에 탑재하여 붙여서 맞추고, 박리지, 점착제층 D, 지지체 E, 캐리어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물을 얻었다. 이 적층물에 대해서, 캐리어측으로부터 소정의 형상으로 잘라내면, 실시형태 6에 관한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하이드로 콜로이드 점착제를 소재로 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경우의 본 첩부제의 제조 방법은, 하이드로 콜로이드 입자 15 ~ 55 중량%과 블록 폴리머와, 연화제 20 ~ 50 중량%와, 점착 부여제를 혼합하고, 또한 130 ~ 150℃로 가열하면서 혼합한다. 그 후, 또한 흡수성 성분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박리지 상에 도포하고 박리지 상에서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실시형태 1 ~ 5, 7의 어느 한쪽에 관한 첩부제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로 하여, 하이드로 콜로이드 점착제를 소재로 하는 점착제층을 구비하는 첩부제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블록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이 블록 폴리머 대신에, 폴리이소부틸렌, 또는 폴리부텐을 이용해도 좋다. 연화제로서는, 예를 들면, 광유(유동 파라핀), 및 폴리부텐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점착 부여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스테르검, 로진산 에스테르, 수소 첨가 로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흡수성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실메틸셀룰로오스, 펙틴, 젤라틴, 및 합성계 폴리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여기서의 합성계 폴리머로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과 아크릴산 에스테르의 공중합체 및 그 염, 초산 비닐 중합체의 부분 비누화물, 초산 비닐과 비닐피롤리돈의 공중합체,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7의 (a)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4에 관한 V자 형상의 첩부제를, 2매 준비했다. 이들의 첩부제는, 기초부가 세로 15 mm×가로 35 mm의 대략 4각 형상이며, 제1 연장부의 연장 방향과 제2 연장부의 연장 방향이 50°벌어져 있었다. 38세 여성의 안면의 우측과 좌측에서, 기초부와 제1 연장부를 일단부로부터 제1 선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기초부를 하안검의 피부 부분에 첩부하고, 제1 선단부를 관자놀이의 피부 부분의 하부에 첩부했다. 다음에, 기초부 및 제2 연장부를 하안검의 피부 부분에 대해서 안면의 외측 상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제2 선단부를 관자놀이의 피부 부분의 상부에 첩부했다. 첩부 후, 외안각이 들어 올려졌다. 동시에, 페이스 라인(하악 가장자리의 형상)도 경도(輕度)이지만 들어 올려졌다.
[실시예 2]
도 7의 (c)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4에 관한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의 첩부제를, 2매 준비했다. 이들의 첩부제는, 기초부가 세로 40 mm×가로 53 mm의 대략 4각 형상이며, 제1 연장부의 연장 방향과 제2 연장부의 연장 방향이 40° 벌어져 있었다. 66세 여성의 안면의 우측과 좌측에서, 기초부와 제1 연장부를 일단부로부터 제1 선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기초부를 볼 상부의 피부 부분에 첩부하고, 제1 선단부를 귀 앞의 피부 부분의 하부에 첩부했다. 다음에, 기초부 및 제2 연장부를 볼 상부의 피부 부분에 대해서 안면의 외측 상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제2 선단부를 귀 앞의 피부 부분의 상부에 첩부했다. 첩부 후, 볼이 들어 올려져서, 팔자주름이 얕아졌다.
[실시예 3]
실시형태 2에서 이용한 첩부제와 동일한 치수와 형상의 첩부제를, 2매 준비했다. 67세 여성의 안면의 우측과 좌측에서, 기초부와 제1 연장부를 일단부로부터 제1 선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기초부를 볼 하부의 피부 부분에 첩부하고, 제1 선단부를 귓불 앞부분의 피부 부분의 하부에 첩부했다. 다음에, 기초부 및 제2 연장부를 볼 하부의 피부 부분에 대해서 안면의 외측 상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제2 선단부를 귓불 앞부분의 피부 부분의 상부에 첩부했다. 첩부 후, 볼 하부의 피부 부분이 큰 폭으로 들어 올려져서, 페이스 라인이 명백하게 개선됨과 함께, 마리오네트 라인이 얕아졌다.
[실시예 4]
도 11의 (c)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4에 관한 V자 형상의 첩부제를 유지하고 있는 첩부기구를 2개 준비하고, 도 11의 (e)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4에 관한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의 첩부제를 유지하고 있는 첩부기구를 4개 준비했다. 이들의 V자 형상의 첩부제는 실시예 1에서 이용한 첩부제와 동일한 치수와 형상이며, 이들의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의 첩부제는 실시예 2, 3에서 이용한 첩부제와 동일한 치수와 형상이었다. 67세 여성의 안면의 우측과 좌측의 각각,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4에 관한 V자 형상의 첩부제를 1매씩 첩부하고,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4에 관한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의 첩부제를 1매씩 첩부하고,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4에 관한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의 첩부제를 1매씩 첩부하는 것으로, 합계 6매의 첩부제를 첩부했다. 첩부 후, 하안검부의 융기(눈두덩이)가 작아짐과 함께 외안각이 들어 올려지고, 볼이 들어 올려져서 팔자주름이 얕아지고, 페이스 라인이 큰 폭으로 개선됨과 함께, 마리오네트 라인이 거의 소실되었다.
[비교예 1]
도 7의 (c)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4에 관한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의 첩부제로부터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절제하여, 기초부만을 구비한 비교예 1에 관한 첩부제를 2매 준비했다. 비교예 1에 관한 첩부제의 기초부는, 세로 40 mm×가로 53 mm의 사각형과 같은 형상이며, 곡선 형상의 변과 R(곡률)이 마련된 모서리 부분을 가지고 있었다. 55세 여성의 안면의 우측과 좌측에서, 비교예 1에 관한 첩부제를 그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는 단일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일단부를 볼 하부의 피부 부분에 첩부하고, 이 견인하고 있는 상태 그대로 일단부를 첩부한 피부 부분의 외측 상방에 있는 볼 하부의 피부 부분에 타단부를 첩부했다. 첩부 후, 페이스 라인의 들어 올려짐, 개선은 거의 인정되지 않고, 마리오네트 라인은 얕아지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1에 관한 첩부제는, 복수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첩부할 수 없기 때문에, 첩부 후의 첩부제에 미세한 주름이 생겨서 눈에 띄게 되었다.
[실시예 5 및 비교예 2]
실시예 5로서 43세 여성의 안면의 좌측에,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4에 관한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의 첩부제 1매를 첩부했다. 첩부 후, 안면의 좌측에서는, 페이스 라인이 들어 올려지고, 마리오네트 라인이 얕아졌다. 동시에, 비교예 2로서, 안면의 우측에서, 비교예 1에 관한 첩부제를 그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는 단일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일단부를 볼 하부의 피부 부분에 첩부하고, 이 견인하고 있는 상태 그대로 일단부를 첩부한 피부 부분의 외측 상방에 있는 볼 하부의 피부 부분에 타단부를 첩부했다. 첩부 후, 안면의 우측에서는, 페이스 라인이 약간 들어 올려졌지만, 마리오네트 라인은 얕아지지 않았다. 또한, 첩부 후의 비교예 2에 관한 첩부제는, 미세한 주름이 생겨서 눈에 띄게 되었다.
[실시예 6 및 비교예 3]
실시예 6으로서, 64세 여성의 안면의 좌측에,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실시형태 4에 관한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의 첩부제 1매를 첩부했다. 첩부 후, 안면의 좌측에서는, 페이스 라인이 들어 올려지고, 마리오네트 라인이 얕아졌다. 동시에, 비교예 3으로서, 안면의 우측에서, 비교예 1에 관한 첩부제를 그 일단부로부터 타단부를 향하는 단일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일단부를 볼 하부의 피부 부분에 첩부하고, 이 견인하고 있는 상태 그대로 일단부를 첩부한 피부 부분의 외측 상방에 있는 볼 하부의 피부 부분에 타단부를 첩부했다. 첩부 후, 안면의 우측에서는, 페이스 라인의 들어 올려짐은 인정되지 않고, 마리오네트 라인은 거의 얕아지지 않았다. 또한, 첩부 후의 비교예 3에 관한 첩부제는, 미세한 주름이 생겨서 눈에 띄게 되었다.
[실시예 7]
지지체로서, 두께 10μm이며 타면의 Rz가 6μm인 폴리에테르계 우레탄 필름을 준비했다. 또한, 캐리어로서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을 준비하고, 지지체의 타면을 캐리어로 피복했다. 또한, 아크릴계 점착제인 평균 분자량 500,000의 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산 공중합체 용액(고형분 40%) 100중량부, 올레인산 솔비톨 20중량부, 미량의 비타민 C와 콜라겐, 및 가교제 1.0중량부를 혼합한 액을, 박리지 상에 두께 15μ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켰다. 점착제의 가교 반응이 충분히 진행된 후, 박리지와 점착제층과의 적층물에, 박리지만을 절단하는 하프 컷을 행했다. 다음에, 점착제층의 상면에 지지체의 일면을 붙여서 맞추어서, 박리지, 점착제층, 지지체, 캐리어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물을 얻었다. 이 적층물을, 도 7의 (c)에 나타내는 실시형태 4에 관한 가로로 긴 기초부를 구비하는 U자 형상의 첩부제의 형상으로 잘라내서, 실시예 7에 관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7에 관한 첩부제는, 기초부가 세로 40 mm×가로 53 mm의 대략 4각 형상이며, 제1 연장부의 연장 방향과 제2 연장부의 연장 방향이 40° 벌어져 있었다.
[실시예 8]
실시예 7에 관한 첩부제와 마찬가지의 구성이지만, 지지체를 구성하는 폴리에테르계 우레탄 필름의 두께가 15μm이며, 타면의 Rz가 6μm인 점이 다른, 실시예 8에 관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9]
고형분 30%의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수지 용액 100중량부, 실리카, 탈크, 벤가라를 혼합한 미립자 7중량부, TWEEN60(유화제) 0.2중량부, 실리콘 오일 0.05중량부%의 혼합액을, 요철을 가지는 공정 지면 상에 유연했다. 유연물을 건조시켜서 공정 지면 상으로부터 박리하여, 두께 10μm이며, 타면의 Rz가 15μm인, 폴리에테르 우레탄계 필름을 얻었다. 이 폴리에테르 우레탄계 필름을 지지체로서 이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7에 관한 첩부제와 동일한 구성인, 실시예 9에 관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10]
지지체로서는, 실시예 9에서 얻어진 지지체를 준비했다. 평균 분자량 500,000의 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산 공중합체 용액(고형분 40%) 100중량부, 가교제 1.5중량부, 올레인산 솔비톨 20중량부, 및 미량의 비타민 C와 콜라겐의 혼합액을, 박리지 상에 두께 15μ가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 후에 40℃에서 72시간의 조건으로 가교 반응을 진행시켰다. 그 외의 조건에 대해서는, 실시예 7에 관한 첩부제와 마찬가지의 구성인, 실시예 10에 관한 첩부제를 얻었다.
[실시예 11]
두께가 25μm이며, Rz가 18μm인 것 외에는, 실시예 9에서 얻은 지지체와 동일한 구성의 지지체를 얻었다. 평균 분자량 500,000의 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초산 비닐 공중합체 용액(고형분 40%) 10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1.0중량부, 올레인산 솔비톨 10중량부, 히알론산 0.1중량부, 및 글리시리진산 칼륨 0.1중량부의 혼합액을, 박리지 상에 두께 15μ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40℃에서 72시간의 조건으로 가교 반응을 진행시켰다. 그 외의 조건에 대해서는, 실시예 7에 관한 첩부제와 마찬가지의 구성인 실시예 11에 관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4]
지지체로서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수지 용액을 연신 폴리프로필렌의 엠보싱면 상에 유연하여, 두께가 55μm이며, 타면의 Rz가 0.2μm인 우레탄 필름을 얻었다. 또한, 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한 혼합액을 캐리어 상에 두께 15μ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켰다. 건조 후에 형성된 점착제층의 상면에 지지체의 일면을 붙여서 맞추고, 캐리어, 점착제층, 지지체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를 얻었다. 이 적층물을 사각형과 같은 형상으로 잘라내서, 비교예 4에 관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4에 관한 첩부제는, 기초부를 구비하지만, 연장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비교예 4에 관한 첩부제의 기초부는, 그 치수가 세로 15 mm×가로 35 mm이며, 곡선 형상의 변과 R(곡률)이 마련된 모서리 부분을 가진다.
[비교예 5]
지지체로서는, 폴리에테르 우레탄 수지 용액을, 표면의 Rz가 0.2μm인 공정 지면 상에 유연하여, 두께가 3μm이며, 타면의 Rz가 0.2μm인 우레탄 필름을 얻었다. 또한, 아크릴산 2-에틸헥실·아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한 혼합액을 캐리어 상에 두께 5μ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켰다.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비교예 4에 관한 첩부제와 동일한 구성인 비교예 5에 관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6]
실시예 10에 관한 첩부제와 비교해서, 형상만이 다른 비교예 6에 관한 첩부제를 얻었다. 비교예 6에 관한 첩부제는, 기초부를 구비하지만, 연장부를 구비하지 않는 형상이다. 비교예 6에 관한 첩부제의 기초부는, 세로 15 mm×가로 35 mm의 사각형과 같은 형상이며, 곡선 형상의 변과 R(곡률)이 마련된 모서리 부분을 가진다.
[실시예 7 ~ 11, 비교예 4, 5를 이용한 비교 시험의 방법]
38 ~ 67세의 여성 7명이, 도 7의 (d)에 나타내는 첩부제(1e)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손으로 자신의 안면에, 실시예 7 ~ 11에 관한 첩부제를 각각 1회씩 첩부했다. 첩부할 때, 일단부로부터 제1 선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견인하면서, 기초부를 처진 볼 상부의 피부 부분에 첩부하고, 제1 선단부를 귀 앞의 피부 부분의 하부에 첩부했다. 또한, 제1 연장부가 견인되면서 첩부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2 연장부를 견인하면서, 제2 선단부를 귀 앞의 피부 부분의 상부에 첩부했다. 첩부 후, 미용 성형 외과의가 여성 7명의 용모를 관찰하여, 실시예 7 ~ 11에 관한 첩부제에 의한 피부의 교정 효과를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7명 전원이, 볼이 들어 올려져서, 팔자주름이 얕아졌다.
○: 7명 중 4명 이상에서, 볼이 들어 올려져서, 팔자주름이 얕아졌다.
△: 7명 중 4명 이상에서, 볼이 약간 들어 올려졌지만, 팔자주름은 얕아지지 않았다.
×: 볼이 약간 들어 올려지고, 팔자주름이 얕아진 사람이, 7명 중 3명 이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여성 7명이, 비교예 4 ~ 6에 관한 첩부제의 일단부를 볼 상부의 피부 부분에 첩부하고,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향하여 단일 방향으로 견인한 상태로, 일단부를 첩부한 피부 부분의 외측 상방에 있는 귀 앞의 피부 부분에 첩부했다. 이 경우도, 실시예 7 ~ 11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피부의 교정 효과를 평가했다.
또한, 실시예 7 ~ 11, 비교예 4 ~ 6에 관한 첩부제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한 여성 7명이, 첩부 후에 피부에 위화감을 느꼈는지, 앙케이트를 했다. 앙케이트의 결과로부터, 첩부제에 의해 위화감을 느꼈는지를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7명 전원이, 아무것도 첩부하지 않을 때와 동일하게 느꼈다.
○: 7명 중 4명 이상이, 아무것도 첩부하지 않을 때와 동일하게 느꼈다.
△: 7명 중 4명 이상이, 무엇인가가 볼 상부에 첩부되어 있다고 느꼈다.
×: 7명 중 4명 이상이, 볼 상부에 첩부되어 있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느꼈다.
실시예 7 ~ 11, 비교예 4 ~ 6에 관한 첩부제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한 여성 7명이, 거울로 자신의 안면을 보고, 첩부제가 눈에 띄는지 관찰했다. 관찰 결과를 앙케이트로 하고, 앙케이트의 결과로부터, 첩부제의 눈에 띄기 어려움을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7명 전원이, 주의하여 보지 않으면, 첩부제가 첩부되어 있는지 알 수 없었다.
○: 7명 중 4명 이상이, 주의하여 보지 않으면, 첩부제를 알 수 없었다.
△: 7명 중 4명 이상이, 일순간 본 것 만으로는, 첩부제를 알 수 없었다.
×: 7명 중 4명 이상이, 일순간 본 것만으로, 첩부제가 첩부되어 있다고 알 수 있었다.
시판의 파운데이션을 준비하여, JIS Z8825-1: 2001에 준거한 입자 지름 해석·레이저 해석법에 의해 상기 파운데이션의 분말의 메디안 지름을 측정했는데, 6μm였다. 또한, 실시예 7 ~ 11, 비교예 4 ~ 6에 관한 첩부제에 관한 첩부제를 볼 상부에 첩부한 여성 7명이, 상술의 파운데이션을, 첩부제의 지지체의 타면 상을 포함한 안면에 도포하여 화장을 했다. 화장 후에, 첩부제의 화장의 들뜸에 대하여 앙케이트를 하고, 화장의 들뜸에 대해서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7명 전원이, 맨 피부와 화장의 들뜸이 변하지 않았다고 느꼈다.
○: 7명 중 4명 이상이, 맨 피부와 화장의 들뜸이 변하지 않았다고 느꼈다.
△: 7명 중 4명 이상이, 맨 피부와 비교해서, 화장의 들뜸에 위화감을 느꼈다.
×: 7명 중 4명 이상이, 맨 피부와 비교해서, 화장의 들뜸이 명백하게 나쁘다고 느꼈다.
실시예 7 ~ 11, 비교예 4 ~ 6에 관한 첩부제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한 여성 7명이, 평상시와 같이 1일 생활하여, 첩부제를 첩부하고 나서 24시간 후의 시점에서 첩부제가 첩부된 채의 상태인지, 첩부제의 장기 첩부성을 평가했다. 여성 7명은, 24시간의 사이에 1회 입욕하고 있었다. 첩부제의 장기 첩부성에 대해서, 다음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 7명 전원이, 첩부제가 박리되는 일 없이 첩부된 채로 있었다.
○: 7명 중 4명 이상이, 첩부제가 박리되는 일 없이 첩부된 채로 있었다.
△: 7명 중 4명 이상에서, 첩부제가 박리된 상태로 첩부되어 있었다.
×: 7명 중 4명 이상에서, 첩부제가 박리 탈락되고 있었다.
[실시예 7 ~ 11, 비교예 4, 5를 이용한 비교 시험의 결과, 고찰]
실시예 7 ~ 11, 비교예 4, 5에 관한 첩부제에 관해서, 피부의 교정 효과, 위화감을 느끼기 어려움, 눈에 띄기 어려움, 화장의 들뜸, 장기 첩부성에 대한 시험 결과 등을,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112017059437279-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7 ~ 11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7명 전원이, 처진 볼 상부의 피부 부분을 들어 올려서, 팔자주름을 얕게 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 11에 관한 첩부제는, 제1 연장부 및 제2 연장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처진 볼 상부의 피부 부분에 충분한 힘의 견인력을 적절한 방향으로 분산시켜서 미치게 할 수 있고, 자연스러운 형태로 피부의 주름, 처짐을 교정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한편, 비교예 4 ~ 6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볼이 약간 들어 올려지고, 팔자주름이 얕아진 사람은, 7명 중의 1 ~ 2명에 지나지 않고, 볼 상부에 부자연스러운 자국을 일으킨 사람이 3 ~ 5명 있었다. 비교예 4 ~ 6에 관한 첩부제는, 복수의 연장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고, 처진 볼 상부의 피부 부분을 단일 방향으로만은 견인할 수 없기 때문에, 첩부제의 취급에 숙련되지 않은 사람에게 있어서 피부를 적절히 교정하는 것이 어렵다고 생각된다. 또한, 비교예 5에 관한 첩부제는, 그 지지체의 두께가 3μm이며 너무 얇기 때문에, 견인하면서 피부에 첩부하고 있는 동안에 지지체의 인장 강도가 약해지고, 처진 피부 부분에 미치는 견인력이 약해지고, 피부를 교정하는 효과가 작아져 버렸다고 생각된다.
또한, 실시예 7 ~ 11, 비교예 5, 6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7명 중의 4 ~ 7명이, 아무것도 첩부하지 않을 때와 동일하게 느꼈다. 실시예 7 ~ 11, 비교예 5, 6에 관한 첩부제는, 그 지지체의 두께가 3 ~ 20μm이거나, 또는, 지지체의 타면의 Rz가 6μm 이상이기 때문에, 그 20% 인장 강도가 0.1 ~ 3 N/cm이다. 이 때문에, 실시예 7 ~ 11, 비교예 5, 6에 관한 첩부제는, 볼 상부의 피부 부분을 견인하면서도, 피부의 곡면에 추종되어 신축되는 유연함을 발휘하여, 사용자가 피부에 위화감을 느끼기 어려운 것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한편, 비교예 4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7명 중 5명이, 볼 상부에 첩부제를 첩부한 것에 의해 스트레스를 느꼈다. 비교예 4에 관한 첩부제는, 지지체가 55μm로 두껍기 때문에, 그 인장 응력이 너무 강해져서, 첩부 후의 피부에 위화감을 일으키게 했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9 ~ 11 및 비교예 6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7명 전원이, 주의하여 보지 않으면, 볼 상부에 첩부제가 붙여져 있는 것을 알 수 없었다. 실시예 9 ~ 11 및 비교예 6에 관한 첩부제는, 그 외면의 Rz가 15 ~ 18μm이며, 그 지지체에 미립자가 포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타면에 형성된 요철이나, 지지체에 포함되는 미립자에 의해, 첩부제에의 입사광이 산란되어 타면의 번뜩거림이 억제되어서, 눈에 띄기 어려워졌다고 생각된다. 또한, 지지체가 반투명이며, 타면에 형성된 요철에 의해 외관이 피부 표면과 유사하고, 미립자가 피부의 색에 가깝기 때문에, 눈에 띄기 어려워졌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7, 8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7명 중 4 ~ 6명이, 주의하여 보지 않으면, 볼 상부에 첩부제가 붙여져 있는 것을 알 수 없었다. 실시예 7, 8에 관한 첩부제는, 타면의 Rz가 6μm로 작기 때문에, 지지체에의 입사광을 산란시키는 작용이 약하고, 약간의 번뜩거림이 생겨 버린다. 비교예 5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7명 중 3명이 일순간 본 것만으로 첩부제가 첩부되어 있다고 알 수 있었고, 비교예 4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7명 전원이, 일순간 본 것만으로 첩부제가 첩부되어 있다고 알 수 있었다. 비교예 4, 5에 관한 첩부제는, 그 외면의 Rz가 0.2μm이며 요철이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타면에 생긴 번뜩거림이 눈에 띄게 되었다. 특히, 비교예 4에 관한 첩부제는, 그 지지체의 두께가 55μm로 두껍기 때문에, 지지체와 피부와의 단차가 눈에 띄게 되었다.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6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는, 7명 중 4명 이상이, 첩부제의 타면에 화장을 해도, 맨 피부와 화장의 들뜸이 변하지 않았다고 느꼈다. 메디안 지름이 6μm인 파운데이션의 분말에 대해서, 실시예 10, 11 및 비교예 6에 관한 첩부제는, 그 지지체의 타면의 Rz가 15 ~ 18μm이기 때문에, 타면에 형성된 요철에 분말이 효율적으로 유지되고, 화장이 들뜨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7 및 8에 관한 첩부제는, 그 외면의 Rz가 6μm이기 때문에, 타면의 Rz의 크기가 파운데이션의 분말의 메디안 지름과 동일하다. 또한, 7명 중의 5명이, 맨 피부와 비교해서, 화장의 들뜸이 조금 나쁘다고 위화감을 느꼈다. 실시예 7, 8에 관한 첩부제에서는, 직경이 메디안 지름 미만인 분말은 타면 상에 유지되었지만, 직경이 타면의 Rz보다 큰 분말의 상당수는 타면 상으로부터 미끄러져서 떨어져 버렸다고 생각된다.
비교예 4, 5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파운데이션의 분말이 타면 상으로부터 미끄러져서 떨어졌기 때문에, 7명 전원이, 맨 피부와 비교해서 화장의 들뜸이 명백하게 나쁘다고 느꼈다. 비교예 4, 5에 관한 첩부제의 타면의 Rz는 0.2μm이며, 파운데이션의 분말의 메디안 지름에 비해서 타면에 형성된 요철의 깊이가 너무 얕기 때문에, 파운데이션의 분말이 타면 상에서 유지되지 않았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7, 11 및 비교예 5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첩부하고 나서 24시간 경과시에, 7명 전원이, 첩부제가 박리되지 않고 첩부된 채로 있었다. 실시예 7 및 비교예 5에 관한 첩부제는, 그 지지체의 두께가 3 ~ 10μm이며 얇기 때문에, 피부의 곡면이나 움직임에 추종되기 쉽고, 피부 표면이 불기 어렵기 때문에, 장기 첩부성이 좋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11에 관한 첩부제는, 지지체의 두께가 25μm이며 약간 두껍지만, 그 외면의 Rz가 18μm로 크고, 그 지지체의 투습도가 2,400 g/(m2·day)로 높고, 또한 점착제층에 보습제로서 히알론산이 포함되고, 소염제로서 글리시리진산 칼륨이 첨가되어 있기 때문에, 피부 표면이 불기 어렵고 장기 첩부성이 좋다고 생각된다.
실시예 8 ~ 10및 비교예 6에 관한 첩부제를 첩부했을 경우에는, 7명 중의 4 ~ 6명에서, 첩부제가 박리되는 일 없이 첩부된 채로 있었다. 실시예 8 ~ 10및 비교예 6에 관한 첩부제는, 지지체의 두께가 20 ~ 25μm이며 약간 두껍지만, 그 외면의 Rz가 6 ~ 18μm 이기 때문에, 깊은 요철에 의해 지지체의 투습도가 유지되어서, 피부 표면이 불기 어렵고 장기 첩부성이 좋다고 생각된다. 한편, 비교예 4에 관한 첩부제는, 7명 중 4명에서, 첩부제가 박리 탈락되고 있었다. 그 지지체가 55μm로 두껍고, 그 외면의 Rz가 0.2μm로 작기 때문에, 지지체의 투습도가 낮고 피부 표면이 불어서 장기 첩부성이 나쁘다고 생각된다. 또한, 그 지지체가 55μm로 두껍기 때문에, 지지체의 인장 강도가 강하고, 지지체가 피부의 움직임에 추종될 수 없게 되고, 장기 첩부성이 나쁘다고 생각된다.
또한, 실시예 10에 관한 점착제는, 그 점착제층에 콜라겐이나 비타민 C가 포함되어 있지만, 그 장기 첩부성은 좋았다. 이 때문에, 실시예 10에 관한 첩부제를 이용하면, 비타민 C나 콜라겐에 의해,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는 효과나 미백의 효과 등을 발휘할 수 있다고 기대된다. 또한, 실시예 11에 관한 첩부제는, 그 점착제층에 항염증약 글리시리진산 칼륨이나 히알론산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 장기 첩부성은 좋고, 소염 효과와 피부의 수분 유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에 관한 첩부제는, 처진 피부 부분에 첩부하는 것으로, 주름, 처짐이 생긴 피부를 효율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본 첩부제를 고령자의 안면에 첩부하면, 처진 피부가 들어 올려져서, 고령자를 젊고 자연스러운 용모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첩부제의 첩부방법은, 본 첩부제를 적절히 피부에 첩부하는 방법이며, 상기 방법에 의해 첩부된 첩부제는, 피부를 교정하는 효과를 우수하게 발휘한다. 또한, 본 첩부제의 첩부기구는, 본 첩부제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피부에 본 첩부제를 적절히 첩부 가능하게 한다.
1: 첩부제
2: 기초부
3: 제1 연장부
4: 기초부의 일단부
6: 제2 연장부
8: 지지체
9: 점착제층
11: 지지체의 일면
12: 기초부의 타단부
41: 처진 피부 부분

Claims (10)

  1. 탄성을 가지는 필름 형상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첩부제로서,
    상기 첩부제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지는 기초부와,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1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이, 10 ~ 90°벌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2. 탄성을 가지는 필름 형상의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의 일면에 마련된 점착제층을 구비한 첩부제로서,
    상기 첩부제는,
    일단부 및 타단부를 가지는 기초부와,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와,
    상기 타단부로부터 제1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 및 상기 타단부로부터 상기 제2 연장부가 연장되어 있는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제3 연장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 중에서 가장 떨어진 2개의 연장부의 각각이 상기 타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방향이 30 ~ 120°벌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3. 삭제
  4. 제 1 항에 기재된 첩부제가 첩부되었을 때,
    상기 기초부가 팔자주름과 귀 앞의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가 귀 앞의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5. 제 1 항에 기재된 첩부제가 첩부되었을 때,
    상기 기초부가 마리오네트 라인과 귓불 앞 부분의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가 귓불 앞 부분의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6. 제 1 항에 기재된 첩부제가 첩부되었을 때에,
    상기 기초부가, 하안검부(下眼瞼)의 눈두덩이와 관자놀이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 및 콧등과 관자놀이 사이에 있는 피부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가 관자놀이의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7. 제 2 항에 기재된 첩부제가 첩부되었을 때에,
    상기 기초부가, 미간의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고,
    상기 제1 연장부, 상기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연장부가 전두부의 두발의 언저리의 피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첩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가 6 ~ 50μm이며,
    상기 지지체의 20% 인장 강도가 0.1 ~ 3 N/cm이며,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5 ~ 100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의 두께를 w로 할 때, 상기 지지체의 타면의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6μm≤Rz≤40μm이며, 또한, Rz≤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첩부제.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첩부제를 둘러싸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서 상기 일단부를 유지하는 일단부 유지 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1 연장부를 유지하는 제1 연장부 유지 수단과,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서 상기 제2 연장부를 유지하는 제2 연장부 유지 수단을 구비하는 첩부기구.
KR1020177017049A 2014-12-26 2015-12-25 첩부제, 및 그 첩부기구 KR102504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66604 2014-12-26
JPJP-P-2014-266604 2014-12-26
PCT/JP2015/086437 WO2016104801A1 (ja) 2014-12-26 2015-12-25 貼付材、及びその貼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835A KR20170098835A (ko) 2017-08-30
KR102504510B1 true KR102504510B1 (ko) 2023-02-27

Family

ID=56150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049A KR102504510B1 (ko) 2014-12-26 2015-12-25 첩부제, 및 그 첩부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06498B2 (ko)
KR (1) KR102504510B1 (ko)
CN (1) CN107105870B (ko)
WO (1) WO2016104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44722B2 (ja) 2017-02-01 2022-03-30 株式会社 資生堂 非粘着性体表面用貼付材
CN107280836A (zh) * 2017-07-21 2017-10-24 姜瓣 一种法令纹消除鼻挂及法令纹消除器
JP6305617B1 (ja) * 2017-10-03 2018-04-04 株式会社レーベン販売 フェイスマスク
WO2020026529A1 (ja) * 2018-07-31 2020-02-06 株式会社資生堂 疑似皮膚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使用方法、並びに該疑似皮膚フィルムを有する化粧キット
TWI685311B (zh) * 2019-04-11 2020-02-21 台灣基督長老教會馬偕醫療財團法人馬偕紀念醫院 用以撫平皺紋的貼片套組、立體貼片結構及其用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870A (ja) * 2001-05-29 2002-12-03 Masaki Nishioka 鼻筋矯正具
KR200445866Y1 (ko) 2009-04-21 2009-09-08 김복동 주름살 완화기
KR100940939B1 (ko) 2009-06-08 2010-02-08 주식회사 에코산업 안면 주름개선용 기능성 미용패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3115U (ja) * 1983-02-28 1984-09-06 門井 由美 顔面用皺のばしテ−プ
CN1187963A (zh) * 1996-10-18 1998-07-22 花王株式会社 鼻用垫
KR200199749Y1 (ko) * 1998-06-02 2000-11-01 서경배 눈가의잔주름예방용패치의구조
JP2002241222A (ja) 2001-02-16 2002-08-28 Sunao Fujimoto 小顔テープ
JP3562766B1 (ja) * 2003-01-14 2004-09-08 株式会社フリージア ストレッチ・テープ
CN101133980A (zh) * 2007-10-08 2008-03-05 广州壹鹏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气压脸罩
JP4450335B1 (ja) * 2009-06-11 2010-04-14 進一 塚本 リフティング機能の状況や用法を目視できるアイパック用シート
JP2010017545A (ja) * 2009-07-06 2010-01-28 Shinichi Koyano 皺とりマスク
EP2462978A4 (en) * 2009-08-07 2013-01-02 Medrx Co Ltd APPLICATOR DEVICE WITH A STICK HOLDER MICRONADEL
CN201854841U (zh) * 2010-08-12 2011-06-08 王亮 去皱纹贴
JP2014061215A (ja) * 2012-09-24 2014-04-10 Sanpack:Kk 皺取り具
KR20140044587A (ko) * 2012-10-05 2014-04-15 하재흡 주름개선밴드
CN203169849U (zh) * 2013-03-20 2013-09-04 东莞市朵露曼美光电子科技有限公司 Led面膜
CN203369535U (zh) * 2013-06-15 2014-01-01 梁俊霞 抗引力面罩
CN104223736A (zh) * 2013-11-19 2014-12-24 单兴丽 面部提拉器及提拉方法
TWM475954U (en) * 2013-12-27 2014-04-11 ya-yi Zhang Skin patch structure
CN104127324B (zh) * 2014-08-06 2016-08-17 陈蕾 一种自发热保温立体面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5870A (ja) * 2001-05-29 2002-12-03 Masaki Nishioka 鼻筋矯正具
KR200445866Y1 (ko) 2009-04-21 2009-09-08 김복동 주름살 완화기
KR100940939B1 (ko) 2009-06-08 2010-02-08 주식회사 에코산업 안면 주름개선용 기능성 미용패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835A (ko) 2017-08-30
WO2016104801A1 (ja) 2016-06-30
JP2016123866A (ja) 2016-07-11
JP6706498B2 (ja) 2020-06-10
CN107105870B (zh) 2021-02-02
CN107105870A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4510B1 (ko) 첩부제, 및 그 첩부기구
US20200345366A1 (en) Microstructure-based wound closure devices
JP4672799B2 (ja) 化粧補助貼付材及び該貼付材を用いた化粧方法
JP6121674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迅速溶解法
ES2286837T3 (es) Adhesivo para una union topica segura a la piel y una retirada comoda.
JP2002522121A (ja) 皮膚取着用の改良型接着剤を有する使い捨て吸収剤物品
JP2011172831A (ja) 美容用貼付材及びその貼付方法
KR20140036150A (ko) 상처 또는 피부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1811937B1 (ko) 피부 마스킹재
ES2906065T3 (es) Parche adhesivo que contiene un sistema de revestimiento de liberación mejorada
US20190298038A1 (en) Skin patch
KR20010101770A (ko) 수 접착 안정성을 갖는 일회용 흡수성 물품
US6193741B1 (en) Non-surgical upper eyelid lift system
EP3049037B1 (en) Eye patch and related method
JP2002536072A (ja) 油性状態での接着を容易にするために、皮膚に取付けるための接着性が改善された、使い捨て吸収剤物品
CN111479545B (zh) 粘合弹性美容带
US20220226203A1 (en) Skin-attachable thin film patch based on a water-soluble non-woven fabric
US10603221B1 (en) Noninvasive device and method for neck lift
JP2008036440A (ja) 使い捨てアイパッチ、及び患者の眼を保護する方法
CN202960932U (zh) 一种全封闭结构的水凝胶眼部保护敷料
KR20070011981A (ko) 일체형 카타플라스마 및 그 제조장치 그리고 제조방법
WO2022130918A1 (ja) 美容用積層シート
CN218220442U (zh) 一种眼部美容整形后伤口敷贴
US20220233582A1 (en) Silicone Face Mask For Skin Treatment
CN208598595U (zh) 一种用于睡眠时睑闭合不全的一次性保护眼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