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881A - 중추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치환된 모르폴린 화합물 - Google Patents

중추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치환된 모르폴린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881A
KR20070006881A KR1020067022767A KR20067022767A KR20070006881A KR 20070006881 A KR20070006881 A KR 20070006881A KR 1020067022767 A KR1020067022767 A KR 1020067022767A KR 20067022767 A KR20067022767 A KR 20067022767A KR 20070006881 A KR20070006881 A KR 20070006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pholine
methyl
phenyl
phenoxy
pyrid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3555B1 (ko
Inventor
난시 슈 바타
쉘리 안 글라스
데이빗 로렌스 퍼만 그래이
그레고리 아담 리차드
로이드 제롬 사이몬스
웬지안 추
Original Assignee
워너-램버트 캄파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9657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0688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워너-램버트 캄파니 엘엘씨 filed Critical 워너-램버트 캄파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7000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3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3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nd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65/28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 C07D265/301,4-Oxazines; Hydrogenated 1,4-oxazine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4Prodigestives, e.g. acids, enzymes, appetite stimulants, antidyspeptics, tonics, antiflatul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16Central respiratory anale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0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urine or of the urinary tract, e.g. urine acid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8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gonadal disorders or for enhancing fertility, e.g. inducers of ovulation or of spermatogen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climacter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0Hypnotics; Sed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6Psychostimulants, e.g. nicotine, coca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2Alcohol-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4Tobacco-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3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use or dependence
    • A61P25/36Opioid-ab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61P27/06Antiglaucoma agents or mio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2Antido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0Antioedematous agents; Diur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12Antidiuretics, e.g. drugs for diabetes insipid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Addiction (AREA)
  • Diabet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Endocrin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Obesit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이들의 중추신경계 장애 치료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06079316466-PCT00247
화학식 II
Figure 112006079316466-PCT00248
화학식 III
Figure 112006079316466-PCT00249
상기 식에서,
R1 내지 R8, A, X 및 Z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Description

중추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치환된 모르폴린 화합물{SUBSTITUTED MORPHOLIN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본 발명은 중추신경계 장애 또는 증상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물질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화합물을 투여함으로써 주의력부족 행동과다 장애(ADHD)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문헌에서 선택적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NRI)로도 지칭된다.
주의력부족 행동과다 장애(ADHD)는 학령 어린이의 3 내지 5% 발병율을 갖는 것으로 추측되며, 과다활동, 충동성 및/또는 무관심의 핵심 징후를 특징으로 한다. ADHD의 주요 징후는 메틸페니데이트(리탈린(Ritalin))와 같은 정신운동 자극제를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α2-아드레날린 수용체인 클로니딘은 공격적이고 반항적인 징후를 치료한다. 메틸페니데이트와 클로니딘 둘다를 사용하는 경우 심각한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고, 그 결과 부작용 및 남용 책임이 적으면서 이와 유사하거나 보다 우수한 효능을 갖는 다른 약물을 밝혀내는 것이 중요하다.
ADHD는 가장 흔한 아동기 정신질환중 하나이며, 성인에서도 종종 인지되는 흔한 정신질환으로 나타난다(문헌[T. Spencer 등, J Clin Psychiatry, 1998, 59(Suppl. 7), 759-768] 참조). 상기 질환은 유년기에 시작되어 징후의 평생 발현(예: 무관심 및/또는 충동성)이 뒤따를 수 있다(문헌[JB. Schweizer 등, Med Clin North Am, May 2001, 85:3, 757-777] 참조). ADHD는 미취학으로부터 성년생활로 발전해감에 따라 증상을 달리할 수 있다(문헌[DP. Cantwell,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Aug. 1996, 35(8), 978-987; J. Elia 등, N Eng J Med, Mar. 1999, 340(10), 780-788; EE. Nolan 등,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Feb. 2001, 40(2), 241-249] 참조).
ADHD의 진단은 임상 측정을 근거로 한다(문헌[M. Dulcan 등, M.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Oct. 1997, 36(10 suppl), 85S-121S;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1998] 참조). ADHD의 본질적인 특징은 상응하는 발달 수준에 있는 개체에서 통상적으로 발견되는 것보다 빈도가 크고 더 심한 무관심 및/또는 과다활동-충동성이 지속적 패턴으로 나타나는 것이다(문헌[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IV),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C., 1994] 참조). ADHD로 진단받기 위해서는 환자는 7살 이전에 장애를 일으키는 ADHD 징후를 증명해야 하며, 또한 상기 징후는 적어도 두 장소(예컨대, 학교(또는 근무장소) 및 가정)에서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한다(DSM-IV) 참조).
여러 NRI 화합물이 공지되어 있다. NRI의 하나인 아토목세틴이 현재 시판되고 있고(스트라테라(Strattera: 등록상표), Eli Lilly), 어린이 및 성인 둘다의 ADHD의 임상 치료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아토목세틴은 ADHD에 대한 비자극성 치료제를 의미한다. 아토목세틴의 도입 및 강화된 교육 계몽의 결과, 치료된 ADHD 환자의 수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 구입가능한 치료제보다 우수한 효능을 갖는 ADHD 치료제가 여전히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79316466-PCT00001
상기 식에서,
A는 O 또는 S이고;
X는 아릴, 헤테로사이클, 벤조융합된 바이사이클릭, -C1-C10 알킬, -C2-C8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H2)nC3-C9 사이클로알킬, 융합된 사이클로알킬, H, -SCF3, 하이드록시-C1-C6 알킬, -Cl-C6 알콕시, -C1-C6 알콕시C1-C6 알콕시, -(CH2)nS-Cl-C6 알 킬 또는 -(CH2)nSO2-C1-C6 알킬이고, 이때 각 기는 선택적으로 -C1-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콕시, 아릴, 헤테로사이클,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O(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1-C6 알킬, -C1-C4 알콕시, -SCF3, S02, -C1-C4 알킬-S-C1-C4 알킬, -C1-C6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되, 단 X가 페닐, 치환된 페닐, 비치환된 -C1-C4 알킬, 할로-치환된 -C1-C4 알킬, 비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할로-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일 때, * 및 @는 (R,S) 또는 (S,R)이고;
R1 내지 R5는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아릴, -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H2)n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콕시, -O-아릴, 헤테로사이클, S02,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O(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l-C6 알킬, -Cl-C4 알콕시Cl-C6 알킬, -SCF3, -Cl-C6 알킬-SO2, -C1-C4 알킬-S-C1-C4 알킬, -C1-C4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R1 내지 R5중 2개의 기는 고리에 부착되어 5원 또는 6원 카보사이클릭 고리에 융합 된 페닐기 또는 하나 이상의 N, O 또는 S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기에 융합된 페닐기를 포함하는 벤조융합된 바이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 -C1-C6 알킬, 아릴, -C3-C8 사이클로알킬, -C2-C8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1-C6 알콕시, 헤테로사이클기는 선택적으로 아릴, 헤테로사이클,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O(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l-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알킬, -SCF3, -Cl-C6 알킬SO2, -C1-C4 알킬-S-C1-C4 알킬, -C1-C4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고;
R' 및 R"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H이고;
n은 1 내지 5이고;
*는 제 1 키랄 중심이고;
@는 제 2 키랄 중심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R1이 -C1-C6 알킬, 할로겐, OH, -CN, -SC1-C6 알킬, CH20C1-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콕시, 페닐, 치환된 페닐 또는 피리딜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R1이 -C1-C6 알콕시, F, -C1-C6 알킬 또는 -CN인 화 합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는 R3, R4, 및 R5가 모두 동시에 치환되지는 않은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R3, R4, 및 R5중 2개 이상이 수소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R3, R4, 및 R5가 독립적으로 H, F, Cl 및 -OC1-C6 알킬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X가 헤테로사이클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헤테로사이클이 피리딜, 티아졸릴, 피라졸, 옥사졸, 벤조퓨레인 또는 다이하이드로벤조퓨레인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피리딜이 2-피리딜 기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R2가 수소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 및 *가 모두 S,S의 배열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79316466-PCT00002
상기 식에서,
R1 및 R6,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아릴, -C3-C8 사이클로알킬, -C2-C6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H2)nC3-C9 사이클로알킬, -C1-C6 알콕시, -O-아릴, 헤테로사이클, -S02,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0(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1-C6 알킬, -C1-C4 알콕시C1-C6 알킬, -SCF3, -C1-C6 알킬-S02, -Cl-C4 알킬-S-Cl-C4 알킬, -Cl-C4 알킬-S-, -Cl-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 -C1-C6 알킬, 아릴, -C3-C8 사이클로알킬, -C2-C6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1-C6 알콕시, 아릴, 헤테로사이클기는 선택적으로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사이클,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0(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1-C6 알킬, -C1-C4 알콕시C1-C6 알킬, -C1-C6 알콕시, -SCF3, -C1-C6 알킬-S02, -Cl-C4 알킬-S-Cl-C4 알킬, -C1-C4 알킬-S-, -Cl-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고;
R' 및 R"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H이고;
n은 1 내지 5이고;
R3은 H 또는 F이고;
R4는 H 또는 F이되, 단 R3이 F일 때, R4는 F가 아니고;
R5는 H, 할로겐, -C1-C6 알킬, -C1-C6 알콕시, -S-C1-C6 알킬, -(CH2)n-O-(CH2)n-, -OCF3 또는 -SCF3이고;
*는 제 1의 키랄 중심이고;
@는 제 2의 키랄 중심이되, 단 R1이 메틸, -O-메틸, -O-에틸 또는 Cl이고, R3 내지 R8이 H일 때, * 및 @는 (S,R) 또는 (R,S)이고, 또한 R1이 -O-메틸이고, R6 내지 R8이 H, -O-메틸, C1 또는 메틸일 때, * 및 @는 (S,R) 또는 (R,S)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R1이 -C1-C6 알킬, 할로겐, OH, -CN, -SC1-C6 알킬, -CH20C1-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콕시, 피리딜,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R1이 -C1-C6 알콕시, F, -C1-C6 알킬 또는 -CN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는 R3, R4, 및 R5가 모두 동시에 치환되지는 않은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R3, R4, 및 R5중 2개 이상이 수소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 및 *가 모두 S,S의 배열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 및/또는 수의학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6079316466-PCT00003
상기 식에서,
Z는 피리딘, 퓨레인, 티오펜, 나프탈렌, 나프티리딘, 피라졸, 피라진, 피리미딘, 티아졸, 옥사졸, 이속사졸, 트라이아졸 및 테트라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페닐; 또는 N, 0 또는 S를 함유하는 헤테로사이클에 융합된 페닐 고리이고, 각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헤테로사이클, -C3-C8 사이클로알킬, 페닐, -C2-C8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H2)nC3-C9 사이클로알킬, -C5-C9 융합된 사이클로알킬, 아릴, H, -SCF3, 하이드록시-C1-C6 알킬, -C1-C6 알콕시, -O-아릴, -(CH2)nS-Cl-C6알킬, -Cl-C6알킬-SO2, -(CH2)nSO2-Cl-C6 알킬, -Cl-C6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이때 이들 기중 임의의 기는 선택적으로 -Cl-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l-C6 알콕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아릴, 헤테로사이클,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O(CH2)nCF3, -CN, -CONH2, -CON(H)Cl-C6 알킬, -CON(Cl-C6 알킬)2, 하이드록시-Cl-C6 알킬, -SCF3, -Cl-C6 알킬SO2, -C1-C4 알킬-S-C1-C4 알킬, -C1-C4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고;
X는 헤테로사이클, 아릴, -C1-C8 알킬, -C2-C8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벤조융합된 바이사이클릭, -C3-C8 사이클로알킬, -(CH2)nC3-C8 사이클로알킬, -C5-C9 융합된 사이클로알킬, H, -SCF3, 하이드록시-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알킬, -(CH2)nS-C1-C6 알킬 또는 -(CH2)nSO2-C1-C6 알킬이고, 이때 각 기는 선택적으로 -C1-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콕시, 아릴, 헤테로사이클,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O(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1-C6 알킬, -SCF3, -C1-C6 알킬SO2, -C1-C4 알킬-S-C1-C4 알킬, -C1-C4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고;
R' 및 R"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H이고;
n은 1 내지 5이고;
*는 제 1 키랄 중심이고;
@는 제 2 키랄 중심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Z가 피리딜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 및 *가 모두 S,S의 배열인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2-[페닐-(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에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뷰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바이닐-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메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벤질-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피리딘-4-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나프탈렌-1-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피리딘-3-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펜옥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산 에틸 에스터;
2-[(4'-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
2-[(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톡시)-벤조니트릴;
2-[(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피리딘-3-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1-옥시-피리딘-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4-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2-[1-(2-에톡시-펜옥시)-3-메틸-부틸]-모르폴린;
2-[(2-알릴-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p-톨릴-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벤조퓨레인-6-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벤조퓨레인-5-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o-톨릴옥시-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놀;
2-[사이클로헥실-(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페닐-(2-피페라진-1-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메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메테인설폰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펜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헥실-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다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2-플루오로-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4-플루오로-2-아이소뷰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6-다이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다이메틸-[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아민;
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펜옥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메톡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5-플루오로-4'-메틸-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5,4'-다이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3-(4-플루오로-펜옥시)-피라진-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3,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4'-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4'-메틸-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벤질옥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메탄올;
2-[(2'-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메틸-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니트릴;
2-[(2-클로로-5-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5-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프로필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에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사이클로프로필(2,4-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1-옥사이도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1-(2,6-다이플루오로펜옥시)-2-페닐에틸]모르폴린;
2-[[2-(벤질옥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펜옥시)뷰틸]모르폴린;
2-[1-(2-에톡시펜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
2-[(2,3-다이플루오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6-메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6-메톡시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3-다이하이드로-1H-인덴-4-일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N,N,N-트라이메틸-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젠암모늄;
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사이클로프로필(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4,6-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2-에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
2-[(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벤질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필-5-메틸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메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펜틸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페닐[(2-프로필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
2-[[(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3-메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3-메틸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4-에틸피리딘-2-일)(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4-에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1-벤조퓨레인-2-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에틸}모르폴린;
2-[[2-(3-플루오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사이클로펜트-1-엔-1-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6-다이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1-[2-(4-플루오로펜옥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2-[(2-클로로-5-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바이페닐-2-일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6-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3-플루오로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에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2,3-다이하이드로-1-벤조퓨레인-7-일)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5-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메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5-플루오로-2-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3-플루오로-2-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5-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3-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4-메틸-1,3-옥사졸-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1,3-티아졸-2-일)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펜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4-메틸-l,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필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1,3-티아졸-2-일)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뷰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아이소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6-플루오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6-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2-메틸프로필}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뷰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2-페닐에틸}모르폴린;
2-[[4-플루오로-2-(메틸티오)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피라진-2,3-다이일비스(옥시메틸렌)]다이모르폴린;
2-[2-에톡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및
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포함한다:
(S)-2-[(S)-페닐-(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에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아이소뷰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2-바이닐-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메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벤질-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2-피리딘-4-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나프탈렌-1-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2-피리딘-3-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2-펜옥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3S)-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산 에틸 에스터;
(S)-2-[((S)-4'-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R)-2-[(S)-(2-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R)-(2-클로로-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S)-2-[(R)-2-[(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S)-2-[(S)-2-[(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3S)-2-(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
(2S,3R)-2-(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
(S)-2-[(S)-(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S,3R)-2-(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톡시)-벤조니트릴;
(2R,3R)-2-[(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S,3R)-2-[(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R)-2-[(S)-피리딘-3-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R)-2-[(S)-(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R)-2-[(R)-(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S)-2-[((S)-1-옥시-피리딘-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R,3R)-(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R)-2-[(S)-(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S)-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S)-[2-(4-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2S,3R)-2-[-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S)-2-[(S)-1-(2-에톡시-펜옥시)-3-메틸-부틸]-모르폴린;
(S)-2-[(S)-(2-알릴-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S)-(2-브로모-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2-p-톨릴-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S)-(2-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아이소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R)-2-[(S)-(벤조퓨레인-6-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브로모-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S)-2-[(S)-(벤조퓨레인-5-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o-톨릴옥시-메틸)-모르폴린;
(2S,3S)-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놀;
(S)-2-[(S)-사이클로헥실-(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페닐-(2-피페라진-1-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메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메테인설폰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사이클로펜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사이클로헥실-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다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2-플루오로-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4-플루오로-2-아이소뷰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클로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사이클로프로필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6-다이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에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3S)-다이메틸-[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아민;
(S)-2-{(S)-[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에톡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2-펜옥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R)-2-(5-플루오로-4'-메틸-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5-플루오로-4'-메틸-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R)-2-(5,4'-다이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5,4'-다이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R)-2-(2-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3-(4-플루오로-펜옥시)-피라진-2-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2-(3,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S)-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4'-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4'-메틸-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벤질옥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3S)-[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메탄올;
(S)-2-[(S)-(2'-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R,3R)-2-[(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R)-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R)-2-[(R)-(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R)-2-[(S)-(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R)-(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니트릴;
(2S)-2-[(2-클로로-5-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5-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페닐(2-프로필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에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사이클로프로필(2,4-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펜옥시)(1-옥사이도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1-(2,6-다이플루오로펜옥시)-2-페닐에틸]모르폴린;
(2S)-2-[(S)-[2-(벤질옥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아이소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1-(2-에톡시펜옥시)뷰틸]모르폴린;
(2S)-2-[(S)-1-(2-에톡시펜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
(2S)-2-[(S)-(2,3-다이플루오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S)-2-[(R)-(2,3-다이플루오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펜옥시)(6-메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6-메톡시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3-다이하이드로-1H-인덴-4-일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R)-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R)-2-[(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클로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R)-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N,N,N-트라이메틸-2-[(S)-(2S)-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젠암모늄;
(2S)-2-[(S)-{[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브로모-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사이클로프로필(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R)-[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4,6-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S)-[(2-에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
(2S)-2-[(S)-(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벤질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아이소프로필-5-메틸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메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펜틸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S)-페닐[(2-프로필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S)-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
(2S)-2-[(S)-[(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펜옥시)(3-메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3-메틸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4-에틸피리딘-2-일)(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펜옥시)(4-에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1-벤조퓨레인-2-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에틸}모르폴린;
(2S)-2-[(S)-[[2-(3-플루오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사이클로펜트-1-엔-1-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R)-[사이클로펜트-1-엔-1-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2,6-다이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1-[2-(4-플루오로펜옥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2S)-2-[(S)-(2-클로로-5-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바이페닐-2-일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브로모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2-(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6-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3-플루오로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에틸}모르폴린;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2,3-다이하이드로-1-벤조퓨레인-7-일)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5-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메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5-플루오로-2-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3-플루오로-2-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5-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3-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4-메틸-1,3-옥사졸-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1,3-티아졸-2-일)메틸]모르폴린;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펜틸}모르폴린;
(2S)-2-[(2-브로모펜옥시)(4-메틸-l,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아이소프로필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펜옥시)(1,3-티아졸-2-일)메틸]모르폴린;
(2S)-2-[(R)-(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아이소뷰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아이소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브로모-6-플루오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브로모-6-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브로모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2-메틸프로필}모르폴린;
(2S)-2-[(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뷰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2-에톡시펜옥시)(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2-페닐에틸}모르폴린;
(2S)-2-[(S)-[4-플루오로-2-(메틸티오)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R,2'R)-2,2'-[피라진-2,3-다이일비스(옥시메틸렌)]다이모르폴린;
(S)-2-[2-에톡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및
(2R)-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본 발명은 또한 치료 효과량의 화학식 I, II 및 III의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의력 행동과다 장애, 비뇨기 장애, 통증, 불안증, 우울증, 조루증 또는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노르에피네프린 및 이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재흡수를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약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상의 세로토닌(Ki)/노르에피네프린(Ki) 약리학적 선택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개체에게 치료 효과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다는 양태는 이점을 제공하는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증상을 갖는 인간을 치료하거나 이러한 증상을 예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은 약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상의 세로토닌(Ki)/노르에피네프린(Ki) 약리학적 선택성을 갖는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개체에게 치료 효과량으로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노르에피네프린 기능장애, 발작적 단발성 또는 재발성의 주요우울장애, 기분저하 장애, 우울신경증 및 신경우울증, 및 식욕부진, 체중감소, 불면증, 새벽 각성 또는 정신운동지연을 포함하는 멜랑코리성 우울증; 식욕증진, 과다수면, 정신운동초조 또는 과민성을 포함하는 비전형 우울증(또는 반응성 우울증), 계절 정동 장애 및 소아 우울증; 양극성 장애 또는 조울증, 예컨대 양극성 I 장애, 양극성 II 장애 및 순환성 장애; 행동 장애; 파탄행동 장애; 정신지체 관련 행동교란, 자폐 장애 및 행동 장애; 광장공포증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공황 장애, 공황 장애 병력을 갖지 않는 광장 공포증, 특정 공포증, 예컨대 특정 동물에 대한 공포증, 사회 불안증, 사회 공포증(사회 불안 장애 포함), 강박 반응성 장애 및 관련 범위 장애와 같은 불안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및 만성 스트레스 장애를 비롯한 스트레스 장애, 및 범불안 장애; 경계 인격 장애; 정신분열증 및 기타 정신증 장애, 예컨대 정신분열형 장애, 정신분열정동 장애, 편집증, 단기 정신병적 장애, 공유 정신병적 장애, 편집증 또는 환각을 수반하는 정신병적 장애, 정신병적 불안 발작, 정신병과 관련된 불안증, 중증 주요우울장애와 같은 정신병적 기분장애; 급성 조증과 같은 정신병적 장애 관련 기분 장애 및 양극성 장애 관련 우울증; 정신분열증 관련 기분 장애; 섬망, 치매, 및 기억 상실 및 기타 인지 또는 신경변성 장애, 예컨대 파키슨병(PD), 헌팅톤병(HD), 알츠하이머병,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 유형의 치매, 기억 장애, 실행성 기능 상실, 혈관 치매, 및 기타 치매, 예컨대 HIV 병, 두부 외상, 파키슨병, 헌팅톤병, 피크 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에 기인하거나 다수 병인에 기인한 기타 치매; 운동 장애, 예컨대 운동 불능증, 가족 발작 운동이상증을 포함한 운동 이상증, 경직, 뚜렛 증후군, 스코트 증후군, 마비 및 무운동성 경직 증후군; 약물 유발 운동 장애와 같은 추체 외로 운동 장애, 예컨대 신경이완제-유발 파킨슨병, 항정신병약물 악성 증후군, 신경 이완제-유발 급성 근육긴장이상, 신경이완제-유발 급성 좌불안석증, 신경이완제-유발 지연발생 운동이상증 및 약물-유발된 체위성 진전; 중독 장애 및 금단 증후군, 화학약물 의존증 및 중독(예: 알코올, 헤로인, 코카인, 벤조다이아제핀, 정신작용 물질, 니코틴 또는 페노바비탈에 대한 의존증 또는 중독) 및 도박 중독과 같은 행동 중독; 안구 장애, 예컨대 녹내장 및 허혈성 망막병증 중독 장애(예: 알코올, 니코틴 및 기타 정신작용 물질에 의한 것 포함) 및 금단 증후군, 적응 장애(우울한 기분, 불안증, 혼재성 불안 및 우울한 기분, 행동 교란, 및 혼재성 행동 및 기분 교란을 포함); 연령에 관련된 학습 및 정신 장애(알츠하이머병 포함); 신경성 식욕부진; 무관심; 주의력 부족 장애(ADD) 및 주의력 부족 행동과다 장애(ADHD) 및 그의 공지된 아형을 비롯한 일반적 의학 증상에 기인한 주의력 부족(또는 기타 인지) 장애; 신경성 거식증; 만성 피로증후군; 통증; 만성 동통; 순환성 장애; 우울증(청년기 우울증 및 경우울증 포함); 섬유근육통 및 기타 신체형 장애(신체화 장애; 전환 장애; 동통 장애; 건강 염려증; 신체 추형 장애; 미분화형 신체형 장애; 및 신체형 장애 NOS 포함); 실금(즉, 복압 뇨실금, 진성 복압 뇨실금 및 혼재성 뇨실금); 비뇨기 장애; 조루증; 흡입 장애; 중독 장애(알코올 중독); 조증; 편두통; 비만증(즉, 비만 또는 과체중 환자의 체중 감소); 적대적 반항 장애; 말초 신경병증; 당뇨병 신경병증; 포진후 신경통; 월경전 불쾌 장애(즉, 월경전 증후군 및 말기 황체기 불쾌장애); 수면 장애(예컨대 발작 수면, 불면증 및 야뇨증); 특정 발달 장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SSRI) "중단(poop out)" 증후군(즉, SSRI 치료에 대해 만족할만한 반응을 보인 초기 단계후에 만족할만한 반응을 유지하지 못하는 환자); 및 틱 장애(예컨대, 뚜렛병)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장애 또는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게 치료 효과량의 화학식 I, II 또는 III,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상기 포유동물의 상기 장애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약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상의 세로토닌(Ki)/노르에피네프린(Ki) 약리학적 선택성을 갖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전술한 중추신경계 장애의 하나 이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노르에피네프린 기능장애, 발작적 단발성 또는 재발성의 주요우울장애, 기분저하 장애, 우울신경증 및 신경우울증, 및 식욕부진, 체중감소, 불면증, 새벽 각성 또는 정신운동지연을 포함하는 멜랑코리성 우울증; 식욕증진, 과다수면, 정신운동초조 또는 과민성을 포함하는 비전형 우울증(또는 반응성 우울증), 계절 정동 장애 및 소아 우울증; 양극성 장애 또는 조울증, 예컨대 양극성 I 장애, 양극성 II 장애 및 순환성 장애; 행동 장애; 파탄행동 장애; 정신지체 관련 행동교란, 자폐 장애 및 행동 장애; 광장공포증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공황 장애, 공황 장애 병력을 갖지 않는 광장 공포증, 특정 공포증, 예컨대 특정 동물에 대한 공포증, 사회 불안증, 사회 공포증(사회 불안 장애 포함), 강박 반응성 장애 및 관련 범위 장애와 같은 불안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및 만성 스트레스 장애를 비롯한 스트레스 장애, 및 범불안 장애; 경계 인격 장애; 정신분열증 및 기타 정신증 장애, 예컨대 정신분열형 장애, 정신분열정동 장애, 편집증, 단기 정신병적 장애, 공유 정신병적 장애, 편집증 또는 환각을 수반하는 정신병적 장애, 정신병적 불안 발작, 정신병과 관련된 불안증, 중증 주요우울장애와 같은 정신병적 기분장애; 급성 조증과 같은 정신병적 장애 관련 기분 장애 및 양극성 장애 관련 우울증; 정신분열증 관련 기분 장애; 섬망, 치매, 및 기억 상실 및 기타 인지 또는 신경변성 장애, 예컨대 파키슨병(PD), 헌팅톤병(HD), 알츠하이머병,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 유형의 치매, 기억 장애, 실행성 기능 상실, 혈관 치매, 및 기타 치매, 예컨대 HIV 병, 두부 외상, 파키슨병, 헌팅톤병, 피크 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에 기인하거나 다수 병인에 기인한 기타 치매; 운동 장애, 예컨대 운동 불능증, 가족 발작 운동이상증을 포함한 운동 이상증, 경직, 뚜렛 증후군, 스코트 증후군, 마비 및 무운동성 경직 증후군; 약물 유발 운동 장애와 같은 추체 외로 운동 장애, 예컨대 신경이완제-유발 파킨슨병, 항정신병약물 악성 증후군, 신경이완제-유발 급성 근육긴장이상, 신경이완제-유발 급성 좌불안석증, 신경이완제-유발 지연발생 운동이상증 및 약물-유발된 체위성 진전; 중독 장애 및 금단 증후군, 화학약물 의존증 및 중독(예: 알코올, 헤로인, 코카인, 벤조다이아제핀, 정신작용 물질, 니코틴 또는 페노바비탈에 대한 의존증 또는 중독) 및 도박 중독과 같은 행동 중독; 안구 장애, 예컨대 녹내장 및 허혈성 망막병증 중독 장애(예: 알코올, 니코틴 및 기타 정신작용 물질에 의한 것 포함) 및 금단 증후군, 적응 장애(우울한 기분, 불안증, 혼재성 불안 및 우울한 기분, 행동 교란, 및 혼재성 행동 및 기분 교란을 포함); 연령에 관련된 학습 및 정신 장애(알츠하이머병 포함); 신경성 식욕부진; 무관심; 주의력 부족 장애(ADD) 및 주의력 부족 행동과다 장애(ADHD) 및 그의 공지된 아형을 비롯한 일반적 의학 증상에 기인한 주의력 부족(또는 기타 인지) 장애; 신경성 거식증; 만성 피로증후군; 통증; 만성 동통; 순환성 장애; 우울증(청년기 우울증 및 경우울증 포함); 섬유근육통 및 기타 신체형 장애(신체화 장애; 전환 장애; 동통 장애; 건강 염려증; 신체 추형 장애; 미분화형 신체형 장애; 및 신체형 장애 NOS 포함); 실금(즉, 복압 뇨실금, 진성 복압 뇨실금 및 혼재성 뇨실금); 비뇨기 장애; 조루증; 흡입 장애; 중독 장애(알코올 중독); 조증; 편두통; 비만증(즉, 비만 또는 과체중 환자의 체중 감소); 적대적 반항 장애; 말초 신경병증; 당뇨병 신경병증; 포진후 신경통; 월경전 불쾌 장애(즉, 월경전 증후군 및 말기 황체기 불쾌장애); 수면 장애(예컨대 발작 수면, 불면증 및 야뇨증); 특정 발달 장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SSRI) “중단” 증후군(즉, SSRI 치료에 대해 만족할만한 반응을 보인 초기 단계후에 만족할만한 반응을 유지하지 못하는 환자); 및 틱 장애(예컨대, 뚜렛병)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장애 또는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있어 상기 장애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유효한 양의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상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장애 또는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임의의 방법에서 언급되었던 장애 및 증상으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둘 이상의 동반 장애 또는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이 인간에게 투여되는 상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ADHD, 우울증, 불안증, 정신분열증 또는 본 발명의 방법 및 약학 조성물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전술되었던 임의의 장애 및 증상의 치료를 위해,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은 항우울제, 항정신병제 또는 항불안제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활성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항우울제의 종류의 예는 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NRI),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RI), NK-1 수용체 길항제,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 모노아민 산화효소의 가역 억제제(RIMAs),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의 이중 재흡수 억제제,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방출인자(CRF) 길항제, α-아드레날린 수용체 길항제, α-2-δ 리간드(A2D) 및 비전형적 항우울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유형의 약물은 니코틴 수용체 작용제 또는 길항제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약학 조성물에 유용한 SRI는 세르트랄린(졸로프트(Zoloft: 등록상표)), 세르트랄린 대사물질 디메틸세르트랄린, 플루옥세틴(프로자크(Prozac: 등록상표)), 노르플루옥세틴(플루옥세틴 데스메틸 대사물질), 플루복사민(루복스(Luvox: 등록상표)), 파록세틴(세록사트(Seroxat: 등록상표), 팍실(Paxil: 등록상표)) 및 그의 대체물, 팍실-씨알(Paxil-CR: 등록상표), 시탈로프람(셀렉사(Celexa): 등록상표), 시탈로프람 대사물질 데스메틸시탈로프람, 에스시탈로프람(렉사프로(Lexapro): 등록상표), d,l-펜플루르아민(폰디민(Pondimin: 등록상표)), 페목세틴, 이폭세틴, 시아노도티에핀, 리톡세틴, 세리클라민, 다폭세틴, 네파자오돈(세르크손(Serxone: 등록상표)) 및 트라조돈(데시렐(Desyrel: 등록상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전구약물, 또는 SRI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전구약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약학 조성물에 유용한 NRI는 레복세틴(에드로낙스(Edronax: 등록상표)) 및 레복세틴의 모든 이성질체, 즉, (R/R, S/S, R/S, S/R), 데시프라민(노르프라민(Norpramin: 등록상표)), 마프로틸린(루디오밀(Ludiomil: 등록상표)), 이오페프라민(가마닐(Gamanil: 등록상표)), 미르타제핀(레메론(Remeron: 등록상표)), 옥사프로틸린, 페졸아민, 아토목세틴(스트라테라(등록상표)) 및 부프로프리온(웰부트린(Wellbutrin: 등록상표), 부프로프리온 대사물질 하이드록시부프로프리온, 노미펜신(메리탈(Merital: 등록상표)), 빌록사진(비발란(Vivalan: 등록상표)), 또는 미안세린(볼비돈(Bolvidon: 등록상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전구약물, 또는 NRI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전구약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세로토닌 및 노르에피네프린 둘다의 재흡수를 억제하는 약제는 벤라팍신(에펙소르(Effexor: 등록상표)), 벤라팍신 대사물질 O-데스메틸벤라팍신, 클로미프라민(아나프라닐(Anafranil: 등록상표)), 클로미프라민 대사물질 데스메틸클로미프라민, 둘록세틴(심발타(Cymbalta: 등록상표)), 밀나시프란 및 이미프라민(토프라닐(Tofranil: 등록상표) 또는 자니민(Janimine: 등록상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과 함께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A2D 리간드의 예는 미국특허 제4,024,175호, 특히 가바펜틴, 유럽특허 제641,330호, 특히 프레가발린, 미국특허 제5,563,175호, WO 제0733858호, WO 제9733859호, WO 제9931057호, WO 제9931074호, WO 제9729101호, WO 제02085839호, 특히 [(1R,5R,6S)-6-(아미노메틸)바이사이클로[3.2.0]헵트-6-일]아세트산, WO 제9931075호, 특히 3-(1-아미노메틸-사이클로헥실메틸)-4H-[1,2,4]옥사다이아졸-5-온 및 C-[1-(1H-테트라졸-5-일메틸)-사이클로헵틸]-메틸아민, WO 제9921824호, 특히 (3S,4S)-(1-아미노메틸-3,4-다이메틸-사이클로펜틸)-아세트산, WO 제0190052호, WO 제0128978호, 특히 (1α,3α,5α)(3-아미노-메틸-바이사이클로[3.2.0]헵트-3-일)-아세트산, EP 제0641330호, WO 제9817627호, WO 제0076958호, 특히 (3S,5R)-3-아미노메틸-5-메틸-옥타노산, USSN10/401,060호, 특히 (3S,5R)-3-아미노-5-메틸-헵타노산, USSN 10/401,060호, (3S,5R)-3-아미노-5-메틸-노나노산, 및 (3S,5R)-3-아미노-5-메틸-옥타노산, EP 제1178034호, EP 제1201240호, WO 제9931074호, WO 제03000642호, WO 제0222568호, WO 제0230871호, WO 제0230881호, WO 제02100392호, WO 제02100347호, WO 제0242414호, WO 제0232736호 및 WO 제0228881호에 일반적으로 또는 구체적으로 개시된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그의 용매화합물이다.
적합한 CRF 길항제는 국제특허출원번호 WO 제94/13643호, WO 제94/13644호, WO 제94/13661호, WO 제94/13676호 및 WO 제94/13677호에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적합한 비전형 항우울제는 부프로피온, 리튬, 네파조돈, 트라조돈 및 빌록사진을 포함한다.
적합한 NK-1 수용체 길항제는 국제특허 공개공보 WO 제01/77100호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적합한 항불안제 종류는 벤조다이아제핀 및 세로토닌 IA(5-HTIA) 작용제 또는 길항제, 특히 5-HTIA 부분 작용제 및 부신피질자극호르몬 방출인자(CRF) 길항제를 포함한다. 적합한 벤조다이아제핀은 알프라졸람, 클로르다이아제폭사이드, 클로나제팜, 클로라제페이트, 다이아제팜, 할라제팜, 로라제팜, 옥사제팜 및 프라제팜을 포함한다. 적합한 5-HTIA 수용체 작용제 또는 길항제는 부스피론, 플레신옥산, 게피론 및 이프사피론을 포함한다.
적합한 항정신병제는 통상의 항정신병제 및 비전형 항정신병제 둘다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항정신병제는 도파민(D2) 수용체의 길항제이다. 비전형 항정신병제는 또한 D2 길항 특성을 갖지만, 이들 수용체에 대한 상이한 결합약물동태학 및 다른 수용체, 특히 5-HT2A, 5-HT2C 및 5-HT2D에서 활성을 갖는다(문헌[Schmidt B 등, Soc. Neurosci. Abstr. 24:2177, 1998] 참조).
도파민(D4) 수용체 리간드의 예는 미국특허 제6,548,502호, 미국특허 제5,852,031호, 미국특허 제5,883,094호, 미국특허 제5,889,010호 및 WO 제98/08835호에 개시되어 있다.
니코틴 수용체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예는 바레니클린, 미국특허 제5,977,131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아자인돌-에틸아민 유도체, 니코틴 수용체 작용제 또는 길항제의 유사체, 유도체, 전구약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그 전구약물을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니코틴 수용체 작용제는 바레니클린, 7,8,9,10-테트라하이드로-6,10-메타노-6H-피라지노 [2,3-h] [3] 벤자핀(2R,3R)-2,3-다이하이드록시부탄다이오에이트 또는 그의 임의의 다형체 또는 임의의 전구약물을 비롯한 그의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전구약물의 임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바람직한 바레니클린 염은 바레니클린 타르트레이트이다. 바레니클린은 일부 니코틴 수용체 아형에 친화성을 갖지만 다른 아형에는 친화성을 갖지 않는 부분 니코틴 작용제이다. 바레니클린 타르트레이트의 합성 방법은 WO 제99/35131호, 미국특허 제6,410,550호, 특허출원 제1997070245호, 제2002072524호, 제2002072525호, 제2002111350호 및 제2002132824호에 개시되어 있다.
비전형 항정신병제의 종류는 클로자핀(클로자릴(Clozaril: 등록상표)), 8-클로로-11-(4-메틸-1-피페라진일)-5H-다이벤조[b,e][1,4]다이아제핀(미국특허 제3,539,573호); 리스페리돈(리스페르달(Risperdal: 등록상표), 3-[2-[4-(6-플류오로-1,2-벤즈이속사졸-3-일)-피페리딘오]에틸]-2-메틸-6,7,8,9-테트라하이드로-4H-피리도-[1,2-a]피리미딘-4-온(미국 특허 제4,804,663호); 올란자핀(자이프렉사(Zyprexa: 등록상표)), 2-메틸-4-(4-메틸-1-피페라지닐)-10H-티엔오[2,3-b][1,5]벤조다이아제핀(미국 특허 제5,229,382호); 쿠에티아핀(세로쿠엘(Seroquel: 등록상표)), 5-[2-(4-다이벤조[b,f][1,4]티아제핀-11-일-1-피페라지닐)에톡시]에탄올(미국특허 제4,879,288호); 아리피프라졸(아빌리파이(Abilify: 등록상표)), 7-{4-[4- (2,3-다이클로로페닐)-1-피페라진일]-부톡시}-3,4-다이하이드로 카보스티릴 및 7-{4-[4-(2,3-다이클로로페닐)-1-피페라진일]-부톡시}-3,4-다이하이드로-2(1H)-퀴놀리논(미국특허 제4,734,416호 및 제5,006,528호), 세르트인돌, 1-[2-[4-[5-클로로-1-(4-플류오로페닐)-1H-인돌-3-일]-1-피페리딘일]에틸]이미다졸리딘-2-온(미국특허 제4,710,500호), 아미술프라이드(미국특허 제4,410,822호); 지프라시돈(게오돈(Geodon: 등록상표)), 5-[2-[4-(1,2-벤즈이소티아졸-3-일)피페라진-3-일]에틸]-6-클로로인돌린-2-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수화물(미국특허 제4,831,031호); 아세나핀 트랜스-5-클로로-2-메틸-2,3,3a,12b-테트라하이드로-1H-다이벤즈[2,3:6,7]옥세피노[4,5-c]피롤(미국특허 제4,145,434호 및 제5,763,476호)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중독 장애(예: 알코올, 니코틴 및 기타 정신작용 물질에 기인한 것 포함) 및 금단 증후군, 적응 장애(우울한 기분, 불안증, 혼재성 불안 및 우울한 기분, 행동 교란, 및 혼재성 행동 및 기분 교란을 포함); 연령에 관련된 학습 및 정신 장애(알츠하이머병 포함); 신경성 식욕부진; 무관심; 주의력 부족 장애(ADD) 및 주의력 부족 행동과다 장애(ADHD) 및 그의 공지된 아형을 비롯하여 일반적 의학 증상에 기인한 주의력 부족(또는 기타 인지) 장애; 신경성 거식증; 만성 피로증후군; 통증; 만성 동통; 순환성 장애; 우울증(청년기 우울증 및 경우울증 포함); 섬유근육통 및 기타 신체형 장애(신체화 장애; 전환 장애; 동통 장애; 건강 염려증; 신체 추형 장애; 미분화형 신체형 장애; 및 신체형 장애 NOS 포함); 실금(즉, 복압 뇨실금, 진성 복압 뇨실금 및 혼재성 뇨실금); 비뇨기 장애; 조루증; 흡입 장애; 중독 장애(알코올 중독); 조증; 편두통; 비만증(즉, 비만 또는 과체중 환 자의 체중 감소); 적대적 반항 장애; 말초 신경병증; 당뇨병 신경병증; 포진후 신경통; 월경전 불쾌 장애(즉, 월경전 증후군 및 말기 황체기 불쾌장애); 수면 장애(예컨대 발작 수면, 불면증 및 야뇨증); 특정 발달 장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SSRI) “중단" 증후군(즉, SSRI 치료에 대한 만족할만한 반응을 보인 초기 단계후에 만족할만한 반응을 유지하지 못하는 환자); 및 틱 장애(예컨대, 뚜렛병)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장애 또는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게 (a)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b) 항우울제, 항정신병제 또는 항불안제인 또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 때 활성 화합물 "a" 및 "b"는 상기 장애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조합이 되는 양으로 존재하는, 상기 포유동물의 상기 장애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보다 구체적인 양태는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및 부가적인 약제가 항우울제, 항불안제 또는 항정신병제를 포함하고, 전술한 임의의 방법에서 언급되었던 장애 및 증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둘 이상의 동반 장애 또는 증상의 치료를 위해 인간에게 투여되는 상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중독 장애(예: 알코올, 니코틴 및 기타 정신작용 물질에 대한 것 포함) 및 금단 증후군, 적응 장애(우울한 기분, 불안증, 혼재성 불안 및 우울한 기분, 행동 교란, 및 혼재성 행동 및 기분 교란을 포함); 연령에 관련된 학습 및 정신 장애(알츠하이머병 포함); 신경성 식욕부진; 무관심; 주의력 부족 장애(ADD) 및 주의력 부족 행동과다 장애(ADHD) 및 그의 공지된 아형을 비롯하여 일 반적 의학 증상으로 인한 주의력 부족(또는 기타 인지) 장애; 신경성 거식증; 만성 피로증후군; 통증; 만성 동통; 순환성 장애; 우울증(청년기 우울증 및 경우울증 포함); 섬유근육통 및 기타 신체형 장애(신체화 장애; 전환 장애; 동통 장애; 건강 염려증; 신체 추형 장애; 미분화형 신체형 장애; 및 신체형 장애 NOS 포함); 실금(즉, 복압 뇨실금, 진성 복압 뇨실금 및 혼재성 뇨실금); 비뇨기 장애; 조루증; 흡입 장애; 중독 장애(알코올 중독); 조증; 편두통; 비만증(즉, 비만 또는 과체중 환자의 체중 감소); 적대적 반항 장애; 말초 신경병증; 당뇨병 신경병증; 포진후 신경통; 월경전 불쾌 장애(즉, 월경전 증후군 및 말기 황체기 불쾌장애); 수면 장애(예컨대 발작 수면, 불면증 및 야뇨증); 특정 발달 장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SSRI) "중단" 증후군(즉, SSRI 치료에 대한 만족할만한 반응을 보인 초기 단계후에 만족할만한 반응을 유지하지 못하는 환자); 및 틱 장애(예컨대, 뚜렛병)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장애 또는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을 치료하기 위해 (a)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b) 항우울제 또는 항불안제를 포함하는 또 다른 약학적 활성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c)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고, 이 때 활성 화합물 "a" 및 "b"는 상기 장애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조성물이 되도록 하는 양으로 존재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전술한 중추 신경계 장애의 하나 이상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 제조에 있어서 약 2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0 이상의 세로토닌(Ki)/노르에피네프린(Ki) 약리학적 선택성을 갖는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료적 효과량의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은 키랄(chiral) 중심을 가질 수 있고, 따라서 상이한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세미 혼합물 및 개별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둘다로서 존재하는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의 모든 광학이성질체 및 모든 입체이성질체에 관한 것이고, 이를 함유하거나 이용하는 전술된 약학 조성물 및 치료 방법 각각에 관한 것이다. 개별 이성질체는 최종 생성물 또는 그의 중간체 제조에서 전형적인 분할, 입체 선택적 반응 또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와 같은 공지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의 개별 거울상 이성질체는 상기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과 비교할 때 다양한 장애 또는 증상 치료에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키랄 중심이 하나의 분자에 존재하는 경우, 4개의 가능한 입체이성질체, 즉 (R,R), (S,S), (R,S) 및 (S,R)이 있다. 이중에서 (R,R) 및 (S,S)는 한 쌍의 거울상 이성질체(서로의 거울 이미지)의 예이고, 이는 통상적으로 다른 대응하는 거울상 이성질체와 유사한 화학적 특성 및 융점을 공유한다. 그러나, (R,R) 및 (S,S)의 거울 이미지는 (R,S) 및 (S,R)에 겹칠 수 없다. 이러한 관계를 부분입체이성질체라 하며, (S,S) 분자는 (R,S) 분자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인 반면, (R,R) 분 자는 (S,R) 분자의 부분입체이성질체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이 염기성 화합물인 경우, 다양한 무기산 및 유기산과 광범위한 상이한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염은 동물에게 투여되도록 약학적으로 허용되어야 하는 것이지만, 반응 혼합물로부터 염기 화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염으로서 초기에 단리시키고, 이어서 알킬리 시약으로 처리하여 유리 염기 화합물로 단순히 전환시킨 후에 유리 염기를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으로 전환시키는 것이 실제로는 종종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기 화합물의 산 부가염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과 같은 적합한 유기 용매 또는 수성 용매중 선택된 광산 또는 유기산의 실질적 등가량으로 염기 화합물을 처리하여 쉽게 제조된다. 용매를 조심스럽게 증발시킬 때, 목적 고형물 염이 쉽게 수득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염기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산 부가염을 제조하는데 이용되는 산은 비독성 산 부가염, 즉,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음이온을 함유하는 것, 예컨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하이드로브로마이드, 하이드로요오다이드, 니트레이트, 설페이트, 바이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또는 산 포스페이트, 아세테이트, 락테이트, 시트레이트, 산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또는 바이-타르트레이트, 숙신에이트, 말레에이트, 퓨마레이트, 글루콘에이트, 사카레이트, 벤조에이트, 메테인설폰에이트, 에테인설폰에이트, 벤젠설폰에이트, p-톨루엔설폰에이트 및 파모에이트(즉, 1,1'-메틸렌-비스-(2-하이드록시-3-나프토에이트) 염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 II 또는 III에 기재된 것과 동일하지만 자연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원자질량 또는 질량수와는 다른 원자질량 또는 질량수를 갖는 원자에 의해 하나 이상의 원자가 대체된 것인 동위원소 표지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혼입될 수 있는 동위원소의 예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황, 불소 및 염소의 동위원소, 예컨대, 2H, 3H, 13C, 11C, 14C, 15N, 18O, 17O, 31P, 32P, 35S, 18F, 36Cl 각각의 동위원소를 포함한다. 전술한 동위원소 및/또는 다른 원자의 다른 동위원소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그 전구약물, 및 상기 화합물이나 상기 프러드러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 본 발명의 일부 동위원소 표지 화합물, 예컨대 3H, 18F, 11C 및 14C와 같은 방사선 동위원소가 혼입된 화합물이 약물 및/또는 기질 조직 분포 어세이에서 유용하며, 11C 및 18F와 같은 다른 화합물은 이미지 연구, 즉 PET, MRI 등에 유용하다. 또한, 중수소, 즉 2H와 같은 무거운 동위원소로의 치환은 보다 큰 대사 안정성으로부터 발생된 특정한 치료 이점, 예컨대 생체내 반감기의 증가 및 복용필요량의 감소를 제공할 수 있고, 따라서 일부 환경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동위원소 표지 화합물 및 그의 전구약물은 비-동위원소 표지 시약을 쉽게 구입가능한 동위원소 표지 시약으로 대체함으로써 하기 반응식 및/또는 실시예에 개시된 절차를 실시하여 일반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알킬"이란 용어는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직쇄, 분지쇄 또는 환형 잔기 또는 그 조합을 갖는 포화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포함한다. "알 킬" 기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 sec-, tert-부틸, 펜틸, 헥실, 헵틸, 3-에틸부틸,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사이클로헵틸, 노르보르닐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릴"이란 용어는 0 내지 4개의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5- 및 6원 단환 방향족 기를 비롯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기, 예컨대 벤젠, 페닐, 피롤, 퓨레인, 티오펜, 티아졸, 이소티아졸, 이미다졸, 트리아졸, 테트라졸, 피라졸, 옥사졸, 이소옥사졸, 피리딘, 피라진, 피리다진, 피리미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아릴”이란 용어는 삼환, 이환과 같은 다환 아릴 기, 예컨대, 나프탈렌, 벤즈옥사졸, 벤조다이옥사졸, 벤조티아졸, 벤조이미다졸, 벤조티오펜, 메틸렌다이옥시페닐, 퀴놀린, 이소퀴놀린, 나프트리딘, 인돌, 벤조퓨레인, 퓨린, 벤조퓨레인, 디아자퓨린 또는 인돌리진을 포함한다. 아릴 기는 예컨대 알킬 기, 알킨일 기,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카보닐옥시, 아릴카보닐옥시, 알콕시카보닐, 아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레이트, 알킬카보닐, 아릴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알킬아미노카보닐, 다이알킬아미노카보닐, 알킬티오카보닐, 알콕시,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토, 포스피네이토, 시아노, 아미노(알킬 아미노, 다이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다이아릴아미노 및 알킬아릴아미노를 포함), 아실아미노(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카바모일 및 우레이도 포함), 아미딘오, 이미노, 설프하이드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티오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알킬설핀일, 설폰에이토, 설프모일, 설폰아마이드, 니트로, 트리플류오로메틸, 시아노, 아지도, 헤테로시클릴, 알킬아릴 또 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잔기로 치환될 수 있다.
고리 구조에 헤테로원자를 갖는 아릴 기는 "아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방향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방향족 고리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치환기, 예컨대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 알콕시, 알킬카보닐옥시, 아릴카보닐옥시, 알콕시카보닐옥시, 아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레이트, 알킬카보닐, 알킬아미노카보닐, 아릴알킬 아미노카보닐, 알켄일아미노카보닐, 알킬카보닐, 아릴카보닐, 아릴알킬카보닐, 알켄일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알킬티오카보닐, 포스페이트, 포스포네이토, 포스피네토, 시아노, 아미노(알킬아미노, 다이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다이아릴아미노 및 알킬아릴아미노 포함), 아실아미노(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카바모일 및 우레이도 포함), 아미딘오, 이미노, 설프하이드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티오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알킬설핀일, 설폰에이토, 설파모일, 설폰아미도, 니트로, 트리플류오로메틸, 시아노, 아지도, 헤테로시클릴, 알킬아릴,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잔기로 하나 이상의 고리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또한, 아릴 기는 다환(예: 테트랄린)을 형성하도록 방향족이 아닌 지환족 또는 헤테로사이클 고리와 융합되거나 연결(bridge)될 수도 있다. 한 양태에서, 헤테로방향족 기는 2- 또는 3-티에닐, 2- 또는 3-퓨라닐, 2- 또는 3-피롤릴, 2-, 3- 또는 4-피리딘일, 2-피라진일, 2-, 4- 또는 5-피리미딘일, 3- 또는 4-피리다진일, 또는 2-, 3-, 4-, 5-, 6- 또는 7-인돌릴이다.
“페닐”이란 용어는 6개 탄소원자로 이루어진 방향족 고리를 포함한다. 페닐은 치환되지 않거나(또는 수소로 치환되거나), 알킬,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콕 시, 알킬카보닐옥시, 아릴카보닐옥시, 알콕시카보닐옥시, 아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레이트, 알킬카보닐, 알킬아미노카보닐, 아릴알킬 아미노카보닐, 알켄일아미노카보닐, 알킬카보닐, 아릴카보닐, 알릴알킬카보닐, 알켄일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알킬티오카보닐, 포스페이트, 포스폰에이토, 포스핀에이토, 시아노, 아미노(알킬 아미노, 다이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다이아릴아미노 및 알킬아릴아미노를 포함), 아실아미노(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카바모일 및 우레이도 포함), 아미딘오, 이미노, 설프하이드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티오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알킬설핀일, 설폰에이토, 설파모일, 설폰아미도, 니트로, 트리플류오로메틸, 시아노, 아지도, 헤테로시클릴, 알킬아릴,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잔기와 같은(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환기로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치환될 수 있다. "아릴"이란 용어는 치환된 페닐기와 비치환된 페닐기 둘다를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아릴옥시" 또는 "-O-아릴"이란 용어는 산소에 공유 연결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아릴 기를 포함한다. 아릴옥시 기의 예는 펜옥시 및 벤즈옥시를 포함한다.
"알콕시"란 용어는 산소 원자에 공유 연결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알킬, 알켄일 및 알킨일 기를 포함한다. 알콕시 기의 예는 메톡시, 에톡시, 이소프로폭시, 프로폭시, 부톡시 및 펜톡시 기를 포함한다. 치환된 알콕시 기의 예에는 할로겐화 알콕시 기를 포함한다. 알콕시 기는 알켄일, 알킨일,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카보닐옥시, 아릴카보닐옥시, 알콕시카보닐옥시, 아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레이트, 알킬카보닐, 아릴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알킬아미노카보닐, 다이알 킬아미노카보닐, 알킬티오카보닐, 알콕시, 포스페이트, 포스폰에이토, 포스핀에이토, 시아노, 아미노(알킬 아미노, 다이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다이아릴아미노 및 알킬아릴아미노 포함), 아실아미노(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카바모일 및 우레이도 포함), 아미딘오, 이미노, 설프하이드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티오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알킬설핀일, 설폰에이토, 설파모일, 설폰아미도, 니트로, 트리플류오로메틸, 시아노, 아지도, 헤테로시클릴, 알킬아릴,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 잔기와 같은 기로 치환될 수 있다. 할로겐 치환된 알콕시 기의 예는 플류오로메톡시, 다이플류오로메톡시, 트리플류오로메톡시, 클로로메톡시, 다이클로로메톡시, 트리클로로메톡시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아릴"이란 용어는 달리 기재되어 있지 않는 한, 5 내지 7 고리 원을 함유하고 이중 1 내지 4개가 N, S 및 O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헤테로원자일 수 있는 일환 방향족 헤테로사이클, 및 6 내지 10 고리 원을 함유하고 이중 1 내지 4개가 N, S 및 O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헤테로원자일 수 있는 이환 방향족 헤테로사이클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헤테로사이클"이란 용어는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방향족 및 비방향족 고리 시스템 둘다를 포함하고 5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비방향족 카보사이클 또는 비방향족 헤테로사이클에 대한 융합을 포함하며 하나 이상의 N, O 또는 S를 함유하는 치환되거나 비치환된 4, 5 또는 6원 고리를 포함한다. 헤테로사이클의 예는 퓨레인, 테트라하이드로퓨레인, 티오펜, 피롤, 피롤리딘, 옥사졸, 티아졸, 이미다졸, 피라졸, 이속사졸, 이소티아졸, 트리아졸, 테트라 졸, 피란, 피리딘, 피페리딘, 모르폴린, 피리다진, 피리미딘, 피라진, 피페라진, 및 융합된 이환 헤테로사이클: 인돌리진, 인돌, 이소인돌, 인돌린, 벤조퓨레인, 벤조티오펜, 인다졸, 벤즈이미다졸, 벤즈티아졸, 퀴놀린, 이소퀴놀린, 퀴나졸린, 아제티딘, 옥세테인 및 에틸렌다이옥시 벤젠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알켄일"이란 용어는 전술한 알킬과 길이 및 치환가능한 면에서 유사하지만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불포화 지방족 기를 포함한다. 예컨대, "알켄일"이란 용어는 직쇄 알켄일 기(예: 에틸렌일, 프로펜일, 부텐일, 펜텐일, 헥센일, 헵텐일, 옥텐일, 노넨일, 데센일 등), 분지쇄 알켄일 기, 사이클로알켄일(지환족) 기(사이클로프로펜일, 사이클로펜텐일, 사이클로헥센일, 사이클로헵텐일, 사이클로옥텐일), 알킬 또는 알켄일 치환된 사이클로알켄일 기, 및 사이클로알킬 또는 사이클로알켄일 치환된 알켄일 기를 포함한다. 또한, 알켄일이란 용어는 산소, 질소, 황 또는 인 원자가 탄화수소 골격의 하나 이상의 탄소를 대신하는 알켄일 기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켄일 기는 골격에 6 또는 그 이하의 탄소원자를 갖는다(즉, 직쇄의 경우에는 C2-C6, 분지쇄의 경우에는 C3-C6). 이와 유사하게, 사이클로알켄일 기는 고리 구조에 3 내지 8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고리 구조에 5 또는 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다. C2-C6 용어는 탄소원자 2 내지 6개를 함유하는 알켄일 기를 포함한다.
또한, 알켄일 용어는 "비치환된 알켄일" 및 "치환된 알켄일" 둘다를 포함하 며, 후자는 탄화수소 골격의 하나 이상의 탄소상의 수소를 치환기가 대신하는 알켄일 잔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치환기는 예컨대 알킬 기, 알킨일 기, 할로겐, 하이드록시, 알킬카보닐옥시, 아릴카보닐옥시, 알콕시카보닐옥시, 아릴옥시카보닐옥시, 카복실레이트, 알킬카보닐, 아릴카보닐, 알콕시카보닐, 아미노카보닐, 알킬아미노카보닐, 다이알킬아미노카보닐, 알킬티오카보닐, 알콕시, 포스페이트, 포스폰에이토, 포스핀에이토, 시아노, 아미노(알킬 아미노, 다이알킬아미노, 아릴아미노, 다이아릴아미노 및 알킬아릴아미노를 포함), 아실아미노(알킬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카바모일 및 우레이도), 아미딘오, 이미노, 설프하이드릴, 알킬티오, 아릴티오, 티오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알킬설핀일, 설폰에이토, 설프모일, 설폰아마이드, 니트로, 트리플류오로메틸, 시아노, 아지도, 헤테로시클릴, 알킬아릴, 또는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잔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란 용어는 이용가능한 결합 부위의 수를 기준으로 할 때 1개 내지 가능한 치환기 최대 수와 동일한 치환기 수를 지칭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할로" 및 "할로겐"이란 용어는 달리 기재되어 있지 않은 한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부 구조는 비대칭 탄소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유의한다. 따라서, 이러한 비대칭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성질체(예컨대, 모든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는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이성질체는 전통적인 분리 기술 및 입체화학적으 로 조절되는 합성법에 의해 실질적으로 순수한 형태로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논의되는 구조 및 다른 화합물 및 잔기는 그의 토토머(tautomer)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치료하다"란 용어는 상기 용어가 적용되는 장애 또는 증상의 진행을 반전시키거나 경감하거나 억제하는 것, 또는 상기 장애 또는 증상을 예방하는 것, 또는 상기 증상 또는 장애의 하나 이상의 징후를 예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치료"란 용어는 바로 위에서 "치료하다"가 정의된 바와 같이 치료하는 행위를 지칭한다. 또한, "치료"란 용어는 치료될 장애와 관련되거나 그에 의해 유발되는 하나 이상의 징후를 감소 또는 경감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치료는 장애의 여러 징후를 감소시키거나 장애를 완전히 근절시킬 수 있다.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본원에서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 및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로서 총칭하여 지칭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이점 및 특징은 실시예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와 함께 하기 상세한 설명을 살펴봄으로써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의 양태에서 받아들여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바람직한 양태가 이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으나 예시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본원에 기재된 특정 태양에 한정시키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하도록 유념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하기 반응식 및 상세한 설명에서의 R1 내지 R8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TMS는 클로로트리메틸실레인이고, Red-Al은 소듐 비스(2-메톡시)알루미늄이며, IBX는 1,2-벤지오독솔-3(1H)-온, 1-하이드록시, 1-옥사이드이고, DIAD는 다이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이며, BOC는 부틸옥시 카보닐이고, TFA는 트리플류오로아세트산이며, DPPP는 1,3-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 프로페인이다.
벤질 글리시돌로부터 모르폴린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과정(일반적인 과정 A)
Figure 112006079316466-PCT00004
모르폴린 유도체를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과정(반응식 1)
다이올(3)의 제조방법
1M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적절한 페놀(1.05 당량)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2R,3R)-3-페닐글리시돌(2)(1.0 당량)을 한번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2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 시키고, 생성물을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1 M 수산화나트륨 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에서 정제하여서 순수 다이올을 수득하였다.
메실레이트(6)의 제조방법
에틸 아세테이트중 다이올(3)의 용액에 트리에틸아민(과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이어서 에틸 아세테이트중 클로로트리메틸실레인(1.0당량)을 30분동안 적가하였다. 1시간후에 TLC 분석이 소량의 출발물질 다이올이 남아있음을 나타낼 경우, 추가적인 양의 클로로트리메틸실레인(0,26 ㎖, 1.83 m 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45분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이 다이올(3)이 TMS 유도체(4)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낼 때, 트리에틸아민(1.0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어서 메테인설폰일 클로라이드(1.1 당량을 적가함)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 방치하고,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이 TMS 유도체(4)가 화합물(5)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낼 때 1M 염산 용액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로 희석하고, 유기층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중탄산나트륨 수용액,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서 무색 액체의 메실레이트(6)를 수득하였다.
에폭사이드(7)의 제조방법
톨루엔중 메실레이트(6)의 용액에 1M 수산화나트륨 용액(염기 3 당량) 및 메틸트리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물중 75 중량%)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 에서 48시간동안 교반하고 50℃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층을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에서 정제하여서 에폭사이드(7)를 수득하였다.
아미노알코올(8)의 제조방법
진한 수산화암모늄 용액에 동량의 메탄올을 첨가하였다. 메탄올중 에폭사이드(7) 용액을 3시간동안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다이클로로메테인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실리카 겔 컬럼에서 정제하여 화합물(8)을 수득하였다.
클로로아세트아마이드(9)의 제조방법
THF중 아미노알코올(8)과 트리에틸아민(1.5 당량)의 혼합물에 THF중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1당량)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1.5시간동안 교반한 후에 용매 및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여서 클로로아세트아마이드(9)를 수득하였다.
모르폴린온(10)의 제조방법
클로로아세트아마이드(9)를 이소프로필 알코올 및 톨루엔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이소프로필 알코올중 포타슘 tert-부톡사이드(4 당량)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2 M HCl 용 액을 첨가하여서 혼합물의 pH를 6.5로 조정하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톨루엔과 물 사이에서 분배시켰다. 수성층을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중탄산나트륨 용액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생성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및 헥세인의 혼합물과 함께 분쇄하여서 전형적으로 백색 고형물인 모르폴린온(10)을 수득하였다.
화합물(11)의 제조방법
톨루엔중 모르폴린온(10) 용액에 Red-Al(톨루엔중 75% 용액)을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동안 빙온에서 교반하였다. 2M NaOH 용액을 적가하여서 과량의 Red-Al을 파괴하였다. 상기 층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물로 희석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생성물을 실리카 겔 컬럼(에틸 아세테이트 : 메탄올)에서 정제하여서 전형적으로 무색 액체인 모르폴린 화합물(11)을 수득하였다.
브로모 유도체의 팔라듐 커플링 반응(일반적인 과정 B)
Figure 112006079316466-PCT00005
모르폴린온(13)의 제조방법
벤젠중 아릴브로마이드(12)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0) 및 탄산칼륨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THF중 적절한 붕소산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온도(80℃)까지 18시간동안 가열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톨루엔으로 희석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EtOAc/헥세인)에서 정제하여서 모르폴린온 화합물(13)을 수득하였다.
모르폴린 화합물(11)의 제조방법
모르폴린온의 모르폴린으로의 환원을 일반적인 과정 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하였다.
모르폴린 알코올(1 또는 2)로부터 모르폴린 화합물(7)을 제조하기 위한 일반적인 과정(일반적인 과정 C)
"S" 모르폴린 화합물(화학식 I, II)의 합성방법
Figure 112006079316466-PCT00006
"R" 모르폴린 화합물(화학식 I, II)의 합성방법
Figure 112006079316466-PCT00007
모르폴린 화합물(화학식 I, II, III) 제조를 위한 또 다른 일반적인 경로
Figure 112006079316466-PCT00008
"2-S, 3-R" 모르폴린 화합물(화학식 I, II)의 합성방법
Figure 112006079316466-PCT00009
"2-R, 3-S" 모르폴린 화합물(화학식 I, II)의 합성방법
Figure 112006079316466-PCT00010
(2-S,3-R)-, (2-R,3-R)-모르폴린 화합물(화학식 I, II 또는 III) 및 (2-S,3-R)-, (2-R,3-S)-모르폴린 화합물(I, II 또는 III)의 합성을 위한 일반적인 과정
N-BOC-모르폴린 알코올의 산화
환류 응축기 및 마그네틱 교반기를 갖춘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있는 적절한 양의 EtOAc(0.2 M)에 적절한 S 또는 R 키랄 모르폴린 알코올(1 또는 2)을 용해시키고, 상기 용액을 교반하에 3시간동안 IBX(2.0 당량)와 함께 서서히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헥세인(40부피%)으로 희석하고, 중간 크기 구멍의 프릿(frit) 여과기에 여과시켰다. 수거한 고형물을 EtOAc와 헥세인의 1:1 혼합물로 2회 세척하고, 여액을 합하여 농축시켜서 무색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후속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문헌[Org Lett, 2002, 3002]을 참조한다. 비정제물의 NMR은 CHO 피크와 잔량의 요오도벤조산(3% 미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수득된 알데하이드는 이어지는 알킬화 반응에서 좋은 결과를 제공한다. 알데하이드 생성물(3)은 다소 불안정하며, 제조 후에 바로 사용되어야 한다.
N-BOC-모르폴린 알데하이드의 알킬화
이전 단계로부터 수득된 비정제 알데하이드(3)를 비활성 분위기하에 건조 플라스크중 무수 THF(0.6 M)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40℃로 냉각하였다. THF 또는 다이에틸에테르중 적절한 알킬리튬 또는 그리냐드 시약(1.5 내지 3.0 당량) 용액을 15분동안 주사기를 통해 적가하고, 그 동안 반응 혼합물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적가가 완료되었을 때 냉각기를 제거하고, 반응물이 실온이 되도록 하였다. 이 온도에서 4시간동안 교반한 후에 반응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고(TLC 분석에 의함, 용리액으로 헥세인중 EtOAc 사용), 포화 수성 NH4Cl 및 얼음을 함유하는 비이커에 부었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로 추출하고, 유기 추출물을 합하여 포화 수성 NaCl로 세척하고 농축하여서 무수 상태가 되도록 하였다. 생성된 비정제 오일을 실리카 겔에 흡착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서(실리카, 바이오타제 프리팩(Biotage prepack), 헥세인중 EtOAc) 무색 오일의 생성물(4 및 5)을 수득하였다(출발물질인 N-BOC-모르폴린 알코올(1 또는 2)로부터 2단계동안 60 내지 75% 총수율). HNMR 및 MS 분석은 생성물에 대해 일관되게 나타났다.
2차 알코올의 전환
본 절차는 화합물(7, 8 또는 10)과 같은 (2-S,3-S)- 및 (2-R,3-R)-모르폴린 유도체를 합성하는 동안에 비목적 알코올(예: 4)의 입체화학을 목적 알코올(예: 5)로 전환시키기 위해 적용하였다. 본 절차는 또한 화합물(12, 12a, 13 또는 14)과 같은 (2-S, 3-R)- 및 (2-R, 3-S)-모르폴린 유도체를 합성하는 동안에 비목적 알코올(예: 5)의 입체화학을 목적 알코올(예: 4)로 전환시키기 위해 적용하였다. 따라서, 알코올(4 및 5)은 상호 전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합성 경로는 4개의 가능한 입체화학중 어떠한 것에도 적용될 수 있다.
벤조에이트 형성
마그네틱 교반기와 셉타(septa) 마개를 갖춘 둥근바닥 플라스크중 톨루엔(0.4M)에 출발물질인 알코올(5), 트리페닐포스핀(3.0 당량) 및 출발물질인 페놀(5.0 당량)을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이 온도에서 10분동안 교반하였다. DIAD(2.9 당량)을 10분동안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시키고 24 내지 4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과정을 TLC(용리액으로서 헥세인중 40% EtOAc) 및 MS로 모니터하였다. 반응이 완료되었을 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다이클로로메테인(0.1M)에 용해된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 용액을 분별 깔때기로 옮기고 1M KOH 수용액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무수 상태로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상에 흡착시킨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실리카, 바이어타제 프리팩, 헥세인중 EtOAc) 통상적으로 포움이 있는 반고형물의 벤조에이트 생성물을 95 내지 99% 수율로 수득하였다. HNMR 및 MS 분석은 생성물에 대해 일관되게 나타났다.
벤조에이트 분열
출발물질인 벤조에이트를 MeOH(0.1M)에 용해시키고 NaOH(10 당량, 5%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로 가온하고 상기 온도에서 0.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MeOH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수층을 CH2Cl2로 추출하였다(4회). 유기층을 합하여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하여서 오일을 수득하고, 이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서(실리카, 바이어타제 프리팩, EtOAc/헥세인) 목적하는 알코 올(5)을 양호한 수율 내지는 우수한 수율로 수득하였다. HNMR 및 MS 분석은 생성물에 대해 일관되게 나타났다.
미츠노부(Mitsunobu) 반응을 통한 에테르 형성
마그네틱 교반기와 셉타 마개를 갖춘 둥근바닥 플라스크중 톨루엔(0.4 M)에 출발물질인 알코올(5), 트리페닐포스핀(2.0 당량) 및 출발물질인 페놀(5.0 당량)을 용해시키고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이 온도에서 10분동안 교반하였다. 일부 경우에서는 페놀 또는 알코올의 일부가 용해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으며, 소량의 THF(총 용매 부피중 5 내지 10%)를 용해를 돕기 위해 첨가하였다. DIAD(1.9 당량)을 10분동안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주위 온도로 가온시키고 24 내지 4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과정을 TLC(용리액으로서 헥세인중 EtOAc) 및 MS로 모니터하였다. 반응이 완료되었을 때,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여 다이클로로메테인(0.1 M)에 용해된 오일을 수득하였다. 이 용액을 분별 깔때기로 옮기고 1 M KOH 수용액으로 2회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무수 상태로 농축시키고, 실리카 겔에 흡착시킨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실리카, 바이어타제 프리팩, 헥세인중 10 내지 25% EtOAc) 고형물 또는 발포체 형태의 생성물(6)을 적당한 수율로 수득하였다.
BOC 기의 제거
마그네틱 교반기를 갖춘 둥근바닥 플라스크중 다이옥세인 가장 최소량에 출발물질(6)을 용해시키고, 이를 0℃로 냉각하였다. HCl 용액(4.0 당량, 다이옥세인 중 4.0 M)을 시린지를 통해 적가하고, 반응물을 0.5시간동안 교반하고, 그 동안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필요시에는 추가로 0.5시간동안 교반을 지속하였다. 모든 출발물질이 소진될 때(헥세인중 EtOAc를 사용하여 TLC로 판단) 반응물을 진공에서 무수 상태로 농축하고 MeOH중 5%(v/v) HOAc 용액 최소량에 넣었다. 이 용액을 이온교환컬럼(바리안(Varian) SCX)에 로딩하고 MeOH를 사용하고 MeOH중 1M NH3로 용출시키며 정제하여서 무색 고형물 또는 오일인 아민 생성물(7 또는 8)(유리 아민으로)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NMR 및 HPLC에 의할 때 순수하였다.
퓨마르산 염의 형성
마그네틱 교반기를 갖춘 적절한 크기의 둥근바닥 플라스크중 최소량의 이소프로판올에 유리 아민을 용해시켰다. 퓨마르산 용액(0.96 당량, 이소프로판올중 0.205 M)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격렬하게 15분동안 교반하였다. 용매의 일부(30 내지 40%)를 질소 스트림하에 증발시켜서, 고형물 또는 고무질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용매 나머지를 진공에서 제거하고, MeCN(0.1 M)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격렬하게 여러 시간동안 교반하였고, 그 동안 백색 고형물이 형성되었다. 고형물 전부가 용해될 때까지 반응 혼합물을 가열하고, 오일 욕에서 주위 온도까지 (천천히) 1시간이상 냉각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지에 여과시키고, 생성물 결정(또는 무정형 고형물)을 수거하고 진공에서 건조하였다.
메실레이트 대체(displacement)를 통한 에테르 형성(미츠노부 반응에 대한 다른 절차)
출발물질인 알코올(5)을 CH2Cl2(0.4 M)에 용해시키고, Et3N(1.3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메테인설폰일 클로라이드(1.2 당량)를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포화 수성 NH4Cl을 첨가하여 급냉시키고, 추가량의 CH2Cl2을 사용하여 희석하고 분별깔때기에 부었다. 1.5 M 수성 HCl을 사용하여 유기 층을 2회 세척하였다. 유기상을 Na2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하여서 메실레이트 생성물을 수득하고, 이를 후속 단계에서 후속 단계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이 물질을 아세토니트릴 또는 톨루엔과 같은 적합한 용매중에 용해시키고, K2CO3(3.0 당량)을 적절한 페놀(1.3 당량)과 함께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반응기 또는 오일욕에서 용매의 환류 온도 근처까지 가열하였다. 12 내지 60시간동안 가열한 후에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농축하여서 고무질 잔류물을 수득하고, 이를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서 적당한 수율의 목적 에테르 생성물(6 또는 9)을 수득하였다.
바이아릴 및 피리딜-치환된 모르폴린 유도체(화학식 III) 합성을 위한 다른 절차(일반적인 과정 D)
Figure 112006079316466-PCT00011
미츠노부 반응에 의한 에테르화
DME중 (R) 또는 (S)-2-하이드록시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1), 적절한 페놀(예: 2-브로모페놀, 2-브로모-3-피리딘올 또는 치환된 유사체) 및 트리페닐포스핀의 실온에서 교반중인 혼합물에 다이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를 적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교반하고 24시간동안 40℃에서 가열하고, 농축(DME 대부분을 제거)한 다음, 다이에틸 에테르에 현탁시켰다. 형성된 고형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크로마토그래피하여서(MPLC, 실리카 겔, 다이클로로메테인중 EtOAc) 전형적으로 황색 또는 무색 오일인 생성물(2)을 수득하였다.
바이아릴 에테르 형성
DME중 아릴 브로마이드(2) 및 적절한 페놀의 교반중인 용액에 포타슘 tert-부톡사이드 및 구리(I) 트리플레이트 벤젠 착물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하고 100℃까지 24시간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반응물을 농축(DME 대부분을 제거)하 고 다이에틸 에테르 및 물에 현탁시켰다. 이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시키고 상기 패드를 추가의 다이에틸 에테르로 세척하였다. 상기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2N NaOH(2 x), 포화 KH2PO4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Na2SO4으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한 후 크로마토그래피(MPLC, 실리카 겔, 헥세인중 EtOAc)하여서 전형적으로 묽은 오일인 생성물(3)을 수득하였다.
퓨마레이트 염의 형성
CH2Cl2중 BOC-보호된 모르폴린 유도체(3)의 용액을 트리플류오로아세트산 2 ㎖로 처리하였다. 상기 용액을 3시간동안 N2하에서 실온에서 교반하고, 농축한 다음 CH2Cl2과 10% NH4OH 수용액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상기 층을 분리하고 유기 추출물을 건조(Na2SO4)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샘플을 2-프로판올중에서 퓨마르산 염으로 전환시키고, 그로부터 결정화하여서 퓨마레이트 염(백색 고형물)인 생성물(4)을 수득하였다.
추가적인 디벤질화 및 피리딘 고리가 없는 다이페닐 에테르 형성을 또 다른 에테르화(W=C)
Figure 112006079316466-PCT00012
추가적인 디벤질화 반응:
에탄올중 (S)-2-(2-벤질옥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상기에서 수득됨. 일반적인 과정 D) 용액을 10% Pd/C로 처리하였다. 실온 샘플을 2시간동안 풍선압에서 수소화하고, 여과한 후 농축하였다. 샘플을 EtOAc에 용해시키고, 포화 KH2PO4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고 여과시킨 후 농축하여서 연한 황색 오일인 (S)-2-(2-하이드록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수득하였다.
또 다른 다이페닐 에테르 형성:
문헌 [David Evans 등, Tetrahedron Letters 1998, 39, 2937-2940]에 기재된 절차를 수행한다. CH2Cl2중 화합물(2), 아릴붕소산, 구리(II) 아세테이트, 피리딘 및 4Å 활성화 분말 분자체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주위 분위기하에 5일동안 교반하였다. 샘플을 EtOAc로 희석하고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한 후 셀라이트 패드에 여과시켰다. 여액을 1N NaOH(2 x), 포화 KH2PO4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고 건조(MgSO4)하고 여과시킨 후 농축하였다. 비정제 샘플을 크로마토그래피(MPLC, 실리카 겔, 헥세인중 EtOAc)하여서 다이페닐 에테르(3)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일반적인 과정 D의 바이페닐의 경우
탈기 에탄올중 아릴 브로마이드(2)의 혼합물에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 팔라듐(0), 탄산칼륨 및 적절한 붕소산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8시간동안 환류하에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내용물을 여과시키고 여액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생성물을 헥세인중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에서 정제하여서 화합물(5)을 수득하고, 이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탈보호된다.
키랄 모르폴린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한 일반적인 과정(일반적인 과정 E)
Figure 112006079316466-PCT00013
N-Boc-모르폴린 알코올의 산화
적절한 S 키랄 모르폴린 알코올(1)(15 g)을 적절한 양의 다이클로로메테인에 용해시키고, TEMPO(160 mg), KBr(650 mg) 및 TBACI(1 g)을 DCM(950 ㎖) 및 1 M NaHCO3 40 ㎖의 혼합물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하고, NaOCl(13%, 300 ㎖), 포화 NaCl 300 ㎖, NaHCO3 180 ㎖의 용액을 45분동안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시간동안 추가로 교반한 후에 CH2Cl2(4 x 500㎖)으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조심스럽게 1 M HCl을 사용하여 pH 2로 산성화시키고 CH2Cl2로 추출하였다. 유기물을 합하여 건조시키고 농축하여서 백색 고형물을 수득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산은 이어지는 커플링 반응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다.
웨인렙(Weinreb) 아마이드의 제조방법
산(15)(32 g)을 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1 g), 트리에틸아민(35 g)과 함께 다이클로로메테인 400 ㎖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0 내지 5℃로 냉각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인산 환형 무수물(97 g)을 90분동안 0 내지 5℃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총 1.5시간동안 교반하고, 20% K2CO3 용액 250 ㎖을 사용하여 15℃ 미만으로 급냉시켰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10% K2CO3(2 x 400 ㎖)으로 세척하여서 용매 제거후에 무색 오일인 목적 아마이드(16) 35.7g(94%)를 수득하였다.
케톤의 제조방법: 대표예로서 2-(피리딘-2-카보닐)-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피리딜 요오다이드(5.5 g)를 THF에 용해시키고, 20℃로 냉각하였다. EtMgBr(3.3 g)을 THF중 용액으로서 10분동안 적가하고, -20℃에서 30분동안 교반을 지속하였다. 용액이 진한 황색으로 되었다. 아마이드(16)(4 g)를 THF중 용액(8 ㎖)으로서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0℃로 유지시키고 30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차게 유지되는 동안 물을 반응 혼합물에 붓고(100 ㎖) NH4Cl(50 ㎖)으로 급냉하였다. EtOAc(3 x 75 ㎖)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여서 고형물을 수득하고, 40 g 바이오타제 프리팩 컬럼(헥세인중 15% EtOAc)상에서 정제하여서 약간 황색의 말랑말랑한(waxy) 고형물인 목적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환원:
대표예로서 2-(하이드록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밀봉된 튜브의 밀폐투명용기(glove box)에서 반응물(케톤 1.15 g, K2CO3 0.1 g)을 Ru(S) 촉매 0.001g(0.02몰% 당량)(스트렘(Strem) 촉매 제44-0211호 롯트 제B7081103호)과 함께 THF 및 이소프로판올에 용해시켰다. 이것을 H2 50psi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시켰다. 반응물을 밀폐투명용기에서 꺼내고, 실리카 3 g을 함유하는 주사기 필터에 여과(고형물 K2CO3)시키고, 감압하에 무수 상태로 농축시켜서 황색 오일을 수득하였고, 이는 NMR에 의할 때 순수하였다. 방치시에 오일은 솜털같은(fluffy) 고형물로 고화되고, 이를 후속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비정제 환원 혼합물에 존재하는 부분입체이성질체의 비를 측정하기 위해 NMR 분석을 이용할 수 있다.
메실레이트의 형성 및 대체 또는 미츠노부 반응:
일반적인 과정 C에 개략된 실험방법에 따라 2-[(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Boc 기의 제거 및 염 형성:
일반적인 과정 C에 개략된 실험방법에 따라 2-[(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퓨마레이트를 제조하였다.
숙신에이트 염의 형성:
유리 모르폴린(7)을 최소량의 Et2O에 용해시켰다. 때때로, 모르폴린을 완전히 용해시키기 위해 소량의 이소프로판올을 첨가하였다. 이소프로판올(산 1.0 당량)중 숙신산 0.25 M 용액을 교반하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수분후에 결정질 고형물이 반응 혼합물로부터 침전되기 시작하였다. 2시간동안 방치한 후에 침전물을 걸러내고 건조하여서 숙시산과 모르폴린 유도체의 1:1 부가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일반적인 과정 F)
Figure 112006079316466-PCT00014
일반적인 과정 F:
2-[(5-옥소-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산 에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6-[(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3-온(0.82 g)을 에탄올(40 ㎖)에 넣었다. 팔라듐 아세테이트(0.051 g)를 첨가하고, 이어서 DPPP(0.112 g) 및 TEA(0.63 ㎖)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CO 분위기하에 놓고 100℃에서 가열하였다. 두 번째 투입량의 촉매를 60시간째에 첨가하고, 다시 74시간째에 첨가하였다. 88시간후에 혼합물을 냉각하고 여과시키고 농축하여서 암적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오일을 DCM에 넣고, 실리카상에서 농축하고, 실리카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95:5 내지 40:60의 헥세인/EtOAc)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물을 합하고 농축하여서 오렌지색 오일인 2-[(5-옥소-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산 에틸 에스테르 0.66g를 수득하였다(83%수율, M+1=356.1).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메탄올의 제조방법
2-[(5-옥소-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산 에틸 에스테르(0.66 g)를 톨루엔 10 ㎖에 넣고, Red-Al(2.8 ㎖, 5 당량) 첨가를 위해 0℃로 냉각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였다. 12시간후에 2 N NaOH 2 ㎖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2 x 50 ㎖). 유기물을 합하고, MgSO4상에서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DCM에 넣고, 실리카상에 펌핑하고 DCM/MeOH 및 0.1 NH4OH중에서 MPLC로 정제하였다. 목적 화합물을 함유하는 분획물을 합하고 농축하였다. 옅은 황색 오일의 [2-(모르폴린-2-일-페닐-메 톡시)-페닐]-메탄올 0.287 g을 수득하였다(51% 수율, M+1=300.1).
2-[(2-하이드록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메탄올(0.287 g) 알코올을 THF에 넣고, NaOH(1.2 ㎖, 1 M, 1.1 당량)을 첨가하고, 이어서 다이-t-부틸 다이카보네이트(0.23 g, 1.1 당량)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이어서, THF를 회전 증발에 의해 제거하고, 잔류 오일을 물과 에테르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상기 층들을 분리하고, 수성 층을 에테르로 추출하였다(2 x 15 ㎖). 유기물을 합하고, MgSO4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여서 2-[(2-하이드록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44 g을 수득하였다(114% 비정제 수율).
2-[(2-메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의 제조방법
2-[(2-하이드록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0.44 g을 THF(10 ㎖)에 넣고 NaH(0.05 g) 첨가를 위해 실온 욕에 두었다. 혼합물을 10분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Mel(0.17 g)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다시 NaH 및 Mel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4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출발 물질이 여전히 존재하므로 혼합물을 NaH으로 처리하였다. Mel을 염기성 알루미나 충전물에 통과시킨 후 첨가하였다. 3시간후에 반응물을 조심스럽게 물을 첨가하여 급냉시켰다. 혼합물을 에테르(3 x 30 ㎖)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합하고 염수(1 x 20 ㎖)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무색 오일을 DCM에 넣고 실리카상에 펌핑하고 MPLC(95:5 내지 40:60의 헥세인:EtOAc)으로 정제하였다. 목적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물을 합하고 농축하여서 2-[(2-메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0.317 g를 수득하였다(70% 수율).
4-[(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피페리딘의 제조방법
2-[(2-메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0.761 g)를 다이옥세인(7.4㎖)중 1M HCl에 넣고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다이옥세인을 제거하고, 잔류한 점착성 고형물을 DCM에 넣고 1M NaOH으로 세척하고 MgSO4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실리카상에서 농축하였다. 상기 물질을 MPLC(95:5 내지 75:25의 DCM/MeOH + 1% NH4OH)를 통해 정제하였다. 수거된 생성물은 깨끗하지 않으므로 예비 HPLC로 정제하여서 4-[(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피페리딘 0.777g를 수득하였다(21% 수율, M+1=312.2).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경구, 비경구(예컨대, 피하, 정맥내, 근육내, 흉골내 및 주입 기법), 직장내, 볼 또는 비강내 경로를 통해 포유동물에게 투여될 수 있다. 치료 대상인 환자의 종, 체중 및 증상, 환자 개체의 상기 약물에 대한 반응뿐만 아니라 선택된 약학 제형의 유형 및 상기 투여가 실시되는 기간 및 간격에 따라 차이가 있게 마련이지만, 일반적으로 상기 화합물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1일에 약 0.1 내지 약 1000 mg 복용량을 일회 복용 또는 반복분할 복용(즉, 1일에 1회 내지 4회 복용)으로 투여한다. 그러나, 1일 약 25 내지 약 100 mg 범위의 복용량 수준이 가장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일부 경우에 전술한 범위중 하한치 미만의 복용량 수준이 적절한 것 이상일 수 있으나, 다른 경우에 있어서는 보다 많은 복용량 수준이 1일 전체의 투여를 위해 여러 개의 적은 복용량으로 먼저 나누어진다면 많은 복용량이 유해한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또는 희석제와 함께 전술한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으며, 이러한 투여는 일회 복용 또는 수회 복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신규한 치료제는 광범위한 상이한 복용 형태로 투여될 수 있어서, 다양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함께 정제, 캡슐제, 로젠지제, 구내정제, 경피 캔디(hard candies), 좌약제, 젤리, 겔, 페이스트, 연고, 수성 현탁액, 주사 용액, 엘릭시르, 시럽 등의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고형물 희석제 또는 충전재, 무균 수성 매질 및 다양한 무독성 유기 용매 등을 포함한다. 또한, 경구 약학 조성물은 적합하게 감미 또는 풍미를 첨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 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중량비는 약 1:6 내지 약 2:1, 바람직하게는 약 1:4 내지 약 1:1이다.
경구 투여를 위해, 각종 부형제, 예컨대 미정질 셀룰로오즈, 소듐 시트레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다이칼슘 포스페이트 및 글리신을 함유하는 정제가 각종 붕 해제, 예컨대 전분(바람직하게는 옥수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및 특정한 복잡한 실리케이트와 함께, 또한 폴리비닐피롤리돈, 수크로즈, 젤라틴 및 아라비아 고무와 같은 과립 결합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및 활석과 같은 윤활제도 종종 정제화 목적에 매우 유용하다. 유사한 유형의 고형물 조성이 또한 젤라틴 캡슐에서 충전재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한 물질은 또한 락토오즈 또는 유당 뿐만 아니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한다. 경구 투여를 위해 수성 현탁액 및/또는 엘릭시르를 원할 때 활성 성분은 다양한 감미제 또는 향미료, 착색 물질 또는 색소와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유화제 및/또는 현탁제가 물, 에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및 각종 유사한 그 조합물과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해서는 참깨오일이나 낙화생유 또는 수성 프로필렌글리콜중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액이 이용될 수 있다. 수용액은 필요시에는 적합하게 완충되어야 하며(바람직하게는 8보다 큰 pH), 액상 희석제가 먼저 등장성으로 되어야 한다. 이러한 수용액은 정맥내 주사 목적에 적합하다. 유액(oily solution)은 관절내, 근육내 및 피하내 주사 목적에 적합하다. 무균 조건하에서 이들 용액 모두의 제조방법은 당업자에게 충분히 공지된 표준 약학 기법에 의해 쉽게 수행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 및 상기 언급된 하나 이상의 기타 활성제(예: NK1 수용체 길항제, 항불안제, 항정신병제, 삼환계 항우울제, 5HT1B 수용체 길항제 또는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가 동일한 약학 조성물의 일부로서 함께 투여되는 ADHD, 불안증, 우울증, 정신분열증 및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서 언급된 기타 장애와 같은 중추신경계 장애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또한 조합 치료의 이점을 얻기 위해 고안된 적절한 복용 요법의 일부로 상기 활성제가 별도로 투여되는 상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적절한 복용 요법, 투여되는 활성제의 각 복용량 및 각 활성제의 구체적인 복용 간격은 치료 대상, 투여되는 구체적인 활성제 및 치료할 구체적인 장애 또는 증상의 특성 및 중증도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은 단독의 활성제로서 또는 다른 활성제와 함께 사용될 때 일회 복용 또는 분할반복 복용으로 1일에 약 3 내지 약 300 mg, 바람직하게는 1일에 약 25 내지 약 100 mg의 양으로 성인 인간에게 투여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1일에 6회 이하, 바람직하게는 1일에 1 내지 4회, 특히 1일에 2회, 가장 특히는 1일에 1회 요법으로 투여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료 대상인 동물의 종 및 상기 약물에 대한 개체 반응뿐만 아니라 선택된 치료 제형의 유형, 투여가 실시되는 기간 및 간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는 전술한 범위중 하한치 미만의 복용량 수준이 적절한 것 이상일 수 있으나, 다른 경우에는 보다 많은 복용량이 하루 전체의 투여를 위해 여러 개의 적은 복용량으로 먼저 나누어진다면 보다 많은 복용량이 임의의 유해한 부작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한 증상의 치료를 위해 평균적인 성인 인간에게 경구, 비경구 또는 볼 투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합 방법 및 조성물중 비전형 항정신병제, 바람직하게는 피프라시돈의 제시되는 1일 복용량은 단위 복용당 비전형적인 항정신병제 약 0.1 내지 약 2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약 200 mg이며, 이는 예컨대 1일에 1 내 지 4회로 투여될 수 있다. 전술한 증상의 치료를 위해 평균적인 성인 인간에게 경구, 비경구, 직장 또는 볼 투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조합 방법 및 조성물중 5HT1B 수용체 길항제의 제시되는 1일 복용량은 단위 복용당 5HT1B 수용체 길항제 약 0.01 내지 약 2000 mg,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약 200 mg이며, 이는 예컨대 1일에 1 내지 4회로 투여될 수 있다.
비강내 투여 또는 흡입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신규한 화합물은 환자에 의해 압착되거나 펌핑되는 펌프 스프레이 용기로부터 용액 또는 현탁액 형태로 편리하게 전달되거나, 또는 적합한 분사제, 예컨대 다이클로로플류오로메테인, 트리클로로플류오로메테인, 다이클로로테트라플류오로에테인, 이산화탄소 또는 기타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용기 또는 네불라이저로부터 에어로졸 스프레이 제공으로서 편리하게 전달된다. 가압 에어로졸의 경우, 복용 단위는 계량된 양을 전달하는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가압 용기 또는 네불라이저는 활성 화합물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함유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캡슐제 및 카트리지(예컨대, 젤라틴으로부터 제조됨)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적합한 분말 기재, 예컨대 락토로즈 또는 전분의 분말 믹스를 함유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평균 성인 인간에 있어 전술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활성 화합물의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의 각 계량된 복용량 또는 1회 취입량(puff)이 활성 화합물(2)0 내지 1000 ㎍을 함유하도록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로졸을 사용하는 총 1일 복용량은 100 ㎍ 내지 10 mg 범위이어야 한다. 투여는 1일에 수회, 예컨대 2, 3, 4 또는 8회일 수 있으며, 예컨대 각 회에 1, 2 또는 3 복용량을 공급할 수 있다.
hNET 및 세로토닌 SERT 수용체에 본 발명의 화합물이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은 통상적인 방사선리간드 및 수용체 결합 어세이를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수용체는 세포주 및 하기 절차를 사용하여 세포주로부터 막 제조에 실시되는 실험에서 이종조직으로 발현될 수 있다. IC50 농도는 특이 결합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비선형 회귀곡선으로 결정될 수 있다. 쳉-프루소프(Cheng-Prussoff) 방정식이 IC50을 Ki 농도로 전환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hNET 수용체 결합:
인간의 노르에피네프린 전달체로 감염된 HEK-293 세포의 세포 페이스트를 화이자 안 아보 프로틴 익스프레션 앤드 프로덕션 그룹(Pfizer Ann Arbor Protein Expression and Production group)으로부터 공급받았다. 펠릿을 폴리트론(Polytron)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세팅 7에서 30초동안 크렙스-헤페스(Krebs-HEPES) 어세이 완충액(25 mM HEPES, 122 mM NaCl, 3 mM KCl, 1.2 mM MgSO4, 1.3 mM CaCl2 및 11 mM 글루코오즈, pH 7.4) 400 내지 700 ㎖에 재현탁시켰다. 막 부분(5 mg/㎖ 단백질)을 사용시까지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결합 어세이는 약물(10-5 M 내지 10-12M), 세포 막, 및 50pM [125I]-RTI-55(퍼킨 엘머(Perkin-Elmer), NEX-272, 비활성도 2200 Ci/mmol)을 함유하는 총 부피 250㎕ I으로 벡크맨(Beckman) 딥-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에서 실시하였다. 반응물 을 실온에서 90분동안 서서히 교반하여 배양하고, 브란델(Brandel) 96-웰 플레이트 하베스터를 사용하며 와트만(Whatman) GF/C 필터 플레이터에 여과시켜 종결하였다. 섬광 액체(100 ㎕ I)를 각 웰에 첨가하고, 결합된 [125I]-RTI-55는 왈락 트릴룩스 베타 플레이트 카운터(Wallac Trilux Beta Plate Counter)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이중으로 시험실시하고, 특이 결합은 10㎕M 데시프라민의 존재하에서의 결합 및 그 부재하에서의 결합간 차에 의해 정해진다.
엑셀(Excel) 및 그라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데이터 계산 및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쳉-프루소프 방정식을 사용하여 IC50을 Ki 값으로 전환시켰다.
hSERT 수용체 결합:
인간 세로토닌 전달체로 감염된 HEK-293 세포의 세포 페이스트를 화이자 안 아보 프로틴 익스프레션 앤드 프로덕션 그룹으로부터 공급받았다. 펠릿을 폴리트론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세팅 7에서 30초동안 크렙스-헤페스 어세이 완충액(25 mM HEPES, 122 mM NaCl, 3 mM KCl, 1.2 mM MgSO4, 1.3 mM CaCl2 및 11 mM 글루코오즈, pH 7.4) 400 내지 700 ㎖에 재현탁시켰다. 막 부분(5 mg/㎖ 단백질)을 사용시까지 액체 질소에 보관하였다.
결합 어세이는 약물(10-5 M 내지 10-12 M), 세포 막, 및 50 pM [125I]-RTI-55(퍼킨 엘머, NEX-272, 비활성도 2200 Ci/mmol)을 함유하는 총 부피 250 ㎕ I으로 벡크맨 딥-웰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에서 실시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에서 90분동안 서서히 교반하여 배양하고, 브란델 96-웰 플레이트 하베스터를 사용하며 와트만 GF/C 필터 플레이터에 여과시켜 종결하였다. 섬광 액체(100 ㎕ I)를 각 웰에 첨가하고, 결합된 [125I]-RTI-55는 왈락 트릴룩스 베타 플레이트 카운터를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이중으로 시험 실시하고, 특이 결합은 10 ㎕M 시탈로프람의 존재하에서의 결합 및 그 부재하에서의 결합간 차에 의해 정해진다.
엑셀 및 그라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를 데이터 계산 및 분석을 위해 사용하였다. 쳉-프루소프 방정식을 사용하여 IC50을 Ki 값으로 전환시켰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hNET 및 SERT 활성을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06079316466-PCT00015
Figure 112006079316466-PCT00016
Figure 112006079316466-PCT00017
Figure 112006079316466-PCT00018
Figure 112006079316466-PCT00019
Figure 112006079316466-PCT00020
실시예 1
Figure 112006079316466-PCT00021
(S)-2-[(S)-페닐-(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벤질 글리시돌 및 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반응식 A)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1H NMR(CDCl3) δ: 7.22(m, 5H), 7.07(d, 1H), 6.91(dt, 1H), 6.72(m, 2H), 5.04(d, 1H), 3.82(m, 2H), 3.51(m, 1H), 2.65(m, 2H), 2.53(m, 1H), 2.46(t, 1H), 1.61(s, 1H). MS(EI): 계산치: [C18H18O3F3N] 353, 실측치: [M+H]: 354. 원소 분석: 계산치: C 61.19%, H 5.10%, N 3.97%. 실측치: C 60.33%, H 5.04%, N 3.82%.
실시예 2
Figure 112006079316466-PCT00022
(S)-2-[(S)-(2-에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에틸설판일-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0[M+H]+.
실시예 3
Figure 112006079316466-PCT00023
(S)-2-[(S)-(2-아이소뷰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아이소뷰틸-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26[M+H]+.
실시예 4
Figure 112006079316466-PCT00024
(S)-2-[(S)-(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하기 최종 환원 반응의 변형 방법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2-브로모페놀로부터 합성하였다.
Figure 112006079316466-PCT00025
모르폴린 화합물(2)의 제조:
20 ㎖의 THF중 브로모모르폴린온(1)(1.0 g, 2.76 mmol)의 용액에 1.0 M 보레인 10 ㎖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방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3 ㎖의 3.0 M 염산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급냉시키고, 80℃에서 10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식히고 2.0 M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염화시켰다. 산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산물을 실리카 겔 컬럼(EtOAc:MeOH=9:1)상에서 정제하여 2-[(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2)을 걸쭉한 오일(0.650 g, 67.6%)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δ: 7.50(d, 1H), 7.40-7.20(m, 5H), 7.06(m, 1H), 6.76(m, 2H), 5.20(d, 1H), 3.94(m, 1H), 3.70(m, 1H), 2.90-2.50(m, 4H). MS(ES) m/z 347.96 [C17H18BrNO2+H]+. 분석 : C17H18BrNO2에 대한 계산치: C, 58.63; H, 5.21; N, 4.02. 실측치: C, 58.20; H, 5.12; N, 4.37.
실시예 5
Figure 112006079316466-PCT00026
(S)-2-[(S)-페닐-(2-비닐-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6-[(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3-온으로부터 하기 개시된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였다.
Figure 112006079316466-PCT00027
화합물(2)의 합성
탈기된 에탄올(25 ㎖)중의 화합물(1)(1.0 g, 2.76 mmol)의 혼합물에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0.319 g, 0.276 mmol), 탄산칼륨(1.14 g, 8.28 g mmol), 바이닐붕산 다이뷰틸 에스터(1.22 ㎖, 5.52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하에서 18시간동안 가열하고, 실온에서 식히고, 함유물을 여과한 다음, 여과물을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에 용해시키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고 산물을 헥세인중 7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의 컬럼상에서 정제하여 화합물(2)을 무색 오일(0.351g, 47%)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 7.46(dd, 1H), 7.40-7.28(m, 5H), 7.16(dd, 1H), 7.03(m, 1H), 6.89(t, 1H), 6.67(d, 1H), 6.45(br s, 1H), 5.78(dd, 1H), 5.31(dd, 1H), 5.25(d, 1H), 4.30(ABq, 2H), 4.18(m, 1H), 3.34(t, 1H), 3.05(td, 1H); MS(ES) 310.2 [C19H19NO3+H]+.
화합물(3)의 제조:(2-[페닐-(2-비닐-펜옥시)-메틸]-모르폴린)
톨루엔(10 ㎖)중 모르폴린온(2)(0.255 g, 0.825 mmol)의 용액에 톨루엔 중 Red-AI(65%) 용액(0.8 ㎖, 2.55 mmol)을 0℃에서 2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5℃에서 2.5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과량의 Red-AI를 2M NaOH 용액(2.7 ㎖)을 적가함으로써 분해하였다. 층을 분리한 후 수성층을 물(20 ㎖)로 희석하고 톨루엔(2 x 15 ㎖)으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04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산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중 10% 메틸 알콜을 사용하여 실리카 겔 컬럼상에서 정제하여 모르폴린 화합물(3)(2-[페닐-(2-비닐-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점성질 무색 오일(0.154 g, 63%)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δ: 7.46-7.18(m, 7H), 7.01(m, 1H), 6.84(t, 1H), 6.68(d, 1H), 5.78(dd, 1H), 5.29(dd, 1H), 5.12(d, 1H), 3.98-3.86(m, 2H), 3.64(dt, 1H), 2.86-2.72(m, 2H), 2.66-2.54(m, 2H); MS(ES) 296.1 [C19H21NO2+H]+; HPLC 순도(94.3%) ; 분석: 계산치: C19H21NO2.0.5 H20: C, 74.91, H, 7.23; N, 4.60. 실측치: C, 75.41, H, 7.09; N, 4.95.
실시예 6
Figure 112006079316466-PCT00028
(S)-2-[(S)-(2-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클로로-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무색 액체(수율: 0.325 mg, 51%)로서 단리하였다. 1H NMR(CDCl3) δ: 7.40-7.35(m, 6H), 7.00(m, 1H), 6.80(m, 2H), 5.20(d, 1H), 3.90(m, 2H), 3.65(m, 1H), 2.90-2.80(m, 2H), 2.70-2.60(m, 2H), 1.65(s, 1H).
MS(ES) m/z 304.06 [C17H18CINO2+H]+. 분석: C17H18CINO2 에 대한 계산치: C, 67.21; H, 5.91; N, 4.61. 실측치: C, 66.51; H, 6.19; N, 5.51.
실시예 7
Figure 112006079316466-PCT00029
(S)-2-[(S)-(2-메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6-[(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3-온을 통해 진행하는 2-브로모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 및 F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4 [M+H]+.
실시예 8
Figure 112006079316466-PCT00030
(S)-2-[(S)-페닐-(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무색 액체로서 단리하였 다(수율: 0.36 mg,65%). 1H NMR(CDCl3)δ: 7.55(m, 1H), 7.40-7.25(m, 6H), 6.90(m, 1H), 6.78(d, 1H), 5.25(d, 1H), 3.90(m, 2H), 3.62(m, 1H), 2.80-2.73(m, 3H), 2.55-2.50(m, 1H), 1.60(br s, 1H). MS(ES) m/z 338.07 [C17H18ClNO2+H]+. 분석: C18H18F3NO2에 대한 계산치: C, 64.09; H, 5.38; N, 4.54. 실측치: C, 63.52; H, 5.44; N, 4.66.
실시예 9
Figure 112006079316466-PCT00031
(S)-2-[(S)-(2-벤질-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벤질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걸쭉한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7.16(m, 11H), 7.00(m, 1H), 6.80(m, 1H), 6.64(m, 1H), 5.10(d, 1H), 4.10(m, 2H), 3.92(d, 1H), 3.78(m, 1H), 3.62(m, 1H), 2.78(m, 2H), 2.44(m, 2H), 1.76(br s, 1H).(ES) m/z 360.18 [C24H25NO2+H+].
실시예 10
Figure 112006079316466-PCT00032
(S)-2-[(S)-페닐-(2-피리딘-4-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6-[(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3-온 및 4-피리딘붕산으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걸쭉한 점성질 고무로서 단리하였다 . 1H NMR(CDCl3) δ: 8.65(d, 2H), 7.60(d, 2H), 7.32-7.18(m, 7H), 6.96(m, 1H), 6.90(d, 1H), 5.10(d, 1H), 3.93(d, 1H), 3.80(m, 1H), 3.60(m, 1H), 2.75(m, 2H), 2.48(m, 2H), 1.80(br s, 1H). MS(ES) m/z 347.08 [C22H22N2O2+H]+. 분석: C22H22N2O2에 대한 계산치:0.5H20: C, 74.34; H, 6.52; N, 7.88. 실측치: C, 74.15; H, 6.84; N, 7.37.
실시예 11
Figure 112006079316466-PCT00033
(S)-2-[(S)-(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6-[(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3-온 및 사이클로프로필 붕산으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점성질 무색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1H NMR(CDCl3) :δ 7.40-7.24(m, 5H), 6.91(m, 1H), 6.80(m, 2H), 6.66(d, 1H), 5.15(d, 1H), 3.94(m, 2H), 3.65(dt, 1H), 2.85-2.59(m, 4H), 2.32(m, 1H), 0.99-0.89(m, 2H), 0.74-0.59(m, 2H) ; MS(ES) 310.1 [C20H23N02+H]+; HPLC 순도(98.6%) ; 분석: C20H23N02에 대한 계산치: C 77.64, H 7.49, N 4.53. 실측치: C 76.61, H 7.58, N 4.37.
실시예 12
Figure 112006079316466-PCT00034
(S)-2-[(S)-(나프탈렌-1-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나트톨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20 [M+H]+.
실시예 13
Figure 112006079316466-PCT00035
(S)-2-[(S)-페닐-(2-피리딘-3-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6-[(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3-온 및 4-피리딘붕산으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47[M+H]+.
실시예 14
Figure 112006079316466-PCT00036
(S)-2-[(S)-(2-펜옥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펜옥시 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62[M+H]+.
실시예 15
Figure 112006079316466-PCT00037
(2S,3S)-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산 에틸 에스터를 6-[(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3-온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 및 F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2[M+H]+.
실시예 16
Figure 112006079316466-PCT00038
(S)-2-[((S)-4'-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브로모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81[M+H]+.
실시예 17
Figure 112006079316466-PCT00039
(S)-2-(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S)-2-하이드록시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뷰틸 에스터 및 2-에톡시페놀로부터 하기 과정에 따라 합성하였다:
단계 1:
DME중 (S)-2-하이드록시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뷰틸 에스터, 2-에톡시페놀 및 트라이페닐포스핀의 실온에서의 교반 혼합물에 다이아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를 적가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고, 농축하여(DME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이어서, 헥세인에 현탁시켰다. 형성된 고형물을 여과시켰다. 여액을 농축시키고 다이에틸 에터에 재용해시킨 다음, 1N NaOH(2 x), 포화 KH2P04 및 염수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건조(MgS04)시키고, 여과시키고, 농축 및 크로마토그래피(MPLC, 실리카 겔, 헥산 중 20% EtOAc)하여 (S)-2-(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뷰틸 에스터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 2: (S)-2-(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퓨마레이트
CH2Cl2중 (S)-2-(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뷰틸 에스터 용액을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처리하였다. 용액을 N2하에서 실온에서 2시 간동안 교반하고, 농축한 다음 CHCl3 및 10% 수성 NH40H 용액으로 분리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MgS04)하고, 여과 및 농축하였다. 시료를 2-프로판올중 퓨마르산 염으로 전환시키고 아세토니트릴로부터 침전시켜 (S)-2-(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퓨마레이트를 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융점 126-127℃. 분석: C13H19NO3 x C4H404(353.375)에 대한 계산치: C, 57.78; H, 6.56; N, 3.96. 실측치: C, 57.61; H, 6.50; N, 3.93.
실시예 18
Figure 112006079316466-PCT00040
(R)-2-[(S)-(2-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플루오로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8[M+H]+.
실시예 19
Figure 112006079316466-PCT00041
(S)-2-[(R)-(2-클로로-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을 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탄올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발포체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4[M+H]+.
실시예 20
Figure 112006079316466-PCT00042
(S)-2-[(R)-(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2-브로모피리딘 및 2-에톡시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5[M+H]+.
실시예 21
Figure 112006079316466-PCT00043
(S)-2-[(S)-(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2-브로모피리딘 및 2-에톡시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숙시네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5[M+H]+.
실시예 22
Figure 112006079316466-PCT00044
(2S,3R) 및 (2S,3S)-2-(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을 2-브로모피리딘 및 2-시아노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독립적으로 합성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이 되는 HNMR에 의해 나타낸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이러한 이성질체의 단리로 고무질 발포체를 수득하였다. MS(APCI) : 296[M+H]+.
실시예 23
Figure 112006079316466-PCT00045
(S)-2-[(S)-(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을 3-브로모피리딘 및 2-플루오로페놀로부터 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탄올을 거쳐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9[M+H]+.
실시예 24
Figure 112006079316466-PCT00046
(2S,3R)-2-(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톡시)-벤조니트릴을 3-브로모피리딘 및 2-시아노페놀로부터 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탄올을 거처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6[M+H]+.
실시예 25
Figure 112006079316466-PCT00047
(2R,3R) 및 (2S,3R)-2-[(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을 3-브로모피리딘 및 2-에톡시페놀로부터 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탄올을 거쳐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독립적으로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5[M+H]+.
실시예 26
Figure 112006079316466-PCT00048
(R)-2-[(S)-피리딘-3-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3-브로모피리딘 및 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페놀로부터 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탄올을 거쳐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55[M+H]+.
실시예 27
Figure 112006079316466-PCT00049
(R)-2-[(S)-(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을 2-브로모피리딘 및 2,4-다이플루오로페놀로부터 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탄올을 거쳐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7[M+H]+.
실시예 28
Figure 112006079316466-PCT00050
(R)-2-[(S)-(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을 2-브로모피리딘 및 2,4-다이플루오로페놀로부터 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탄올을 거쳐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7[M+H]+.
실시예 29
Figure 112006079316466-PCT00051
(S)-2-[((S)-1-옥시-피리딘-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엷은 황색의 걸쭉한 오일(0.095 g, 35%)로서 단리하였다. 1H NMR(CD30D)δ: 7.55(dd, 1H), 7.45-7.31(m, 6H), 6.54(dd, 1H), 6.07(dt, 1H), 5.48(d, 1H), 4.08(m, 1H), 3.90(td, 1H), 3.62(m, 1H), 2.76(m, 2H), 2.56(dd, 1H), 2.41(dd, 1H); MS(ES) 287.0 (C16H18N2O3+H)+; HPLC 순도(98%); C16H18N2O3에 대한 CHN 계산 분석치: C 66.65, H 6.99, N 9.72, 실측치: C 66.67, H 6.70, N 9.32.
실시예 30
Figure 112006079316466-PCT00052
(S)-2-[(S)-(2'-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클로로붕산을 사용하여 2-브로모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걸쭉한 점성질 고무로서 단리하였다. 1H NMR(CDCl3)δ: 7.48(m, 1H), 7.40-7.10(m, 10H), 6.96(m, 1H), 6.80(d, 1H), 5.04(d, 1H), 3.84(m, 1H), 3.64(m, 1H), 3.50(m, 1H), 2.68(m, 2H), 2.42(m, 1H), 2.30(m, 1H). MS(ES) m/z 380.03 [C23H22CIN02+H]+. C23H22CIN02에 대한 분석 계산치: C, 72.72, H, 5.84; N, 3.69. 실측치: C, 72.41, H, 5.90; N, 3.80.
실시예 31
Figure 112006079316466-PCT00053
(2R,3R) 및 (R)-2-[(S)-(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을 3-브로모피리딘 및 2-플루오로-6-메톡시 페놀부터 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탄올을 거쳐 일반적인 과정 B와 변형된 C에 따라 독립적으로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9[M+H]+.
실시예 32
Figure 112006079316466-PCT00054
(S)-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D를 거쳐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5[M+H]+.
실시예 33
Figure 112006079316466-PCT00055
(S)-2-{(S)-[2-(4-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하기 반응식 및 과정(일반적인 과정 A 및 B가 변화됨)에 따라 합성하였다:
피리딜 모르폴린 화합물의 합성
Figure 112006079316466-PCT00056
화합물(3)의 제조
1 N 수성 수산화나트륨(44 ㎖, 44 mmol)중 2-브로모피리딘올(1)(7.6 g, 44 mmol) 용액을 실온에서 30분동안 교반하였다. 페닐글리시돌(2)(5.0 g, 33 mmol)을 일부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5℃에서 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였다. 반응 산물을 실리카 겔(용리액 1:1 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상에서 정제하여 다이올(3)(7.5 g, 69%)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7.90(m, 1H), 7.36(m, 5H), 7.00(m, 1H), 6.92(m, 1H), 5.32(d, 1H), 4.00(m, 2H), 3.84(m, 1H), 2.94(m, 1H), 2.60(m, 1H).
화합물(4)의 제조
질소하 0℃에서 에틸 아세테이트(120 ㎖)중 다이올(3)(5.0 g, 15.4 mmol) 용액에 트라이에틸아민(3.2 ㎖, 23.0 mmol)을 첨가하였다. 클로로트라이메틸실레인(2.5 ㎖, 19.7 mmol)을 주사기를 통해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1시간에 걸쳐 가온시켰다. TLC 분석 결과 다이올이 잔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량의 트라이에틸아민(3.2 ㎖, 23.0 mmol)을 첨가하고 메테인설폰일 클로라이드(1.6 ㎖, 20.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킨 다음, 1 N HCl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수성상을 분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3.5 g의 메실레이트(4)(56%)를 수득하였으며, 이는 후속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7.96(m, 1H), 7.40(m, 5H), 7.04(m, 1H), 6.94(m, 1H), 5.58(d, 1H), 5.00(m, 1H), 4.24(m, 1H), 4.04(m, 1H), 2.76(s, 3H).
화합물(5)의 제조
톨루엔(25 ㎖)중 화합물(4)(5.5 g, 13.7 mmol)의 용액에 1 N 수산화나트륨(41 ㎖, 41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트라이뷰틸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물중 75 wt%, 0.5 ㎖)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75 ℃에서 4시간동안 가열하였다. TLC 분석 결과 다이올이 잔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산물을 실리카 겔 컬럼(용리액으로서 7:3 헥세인/에틸 아세테이트) 크로마토그래피하여 4.0 g의 에폭사이드(5)(96%)를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7.96(m, 1H), 7.40(m, 5H), 7.06(m, 2H), 4.92(d, 1H), 3.50(m, 1H), 2.88(m, 1H), 2.82(m, 1H).
화합물(6)의 제조
메탄올(60 ㎖)중 농축된 암모니아(60 ㎖) 용액에 메탄올(50 ㎖)중 화합물 (5)(4.0 g, 13.1 mmol) 용액을 1시간에 걸쳐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 결과 출발 물질이 잔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분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4.0g(95%)의 아미노알콜(6)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는 후속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7.92(m, 1H), 7.36(m, 5H), 6.96(m, 2H), 5.16(d, 1H), 4.00(m, 1H), 2.72(m, 2H), 2.20(br s, 3H).
화합물 (7)의 제조
질소하에 테트라하이드로퓨레인(80 ㎖)중 화합물(6)(4.0 g, 12.4 mmol)의 교반 화합물에 트라이에틸아민(2.3 ㎖, 16.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켰다.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1.2 ㎖, 15.1 mmol)를 적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2시간에 걸쳐 가온시켰다. TLC 분석 결과 출발 물질이 잔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과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클로로아세트아마이드(7)(4.4 g, 89%)을 회백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으며, 이는 후속 단계에서 추가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7.96(m, 1H), 7.40(m, 5H), 7.24(m, 1H), 6.90(m, 1H), 5.04(d, 1H), 4.20(m, 1H), 4.04(s, 2H), 3.44(m, 2H).
화합물 (8)의 제조
질소하에 아이소프로필알콜/톨루엔(90 ㎖/30 ㎖)중 화합물(7)(4.4 g, 11.0 mmol)의 교반 용액에 아이소프로필 알콜(50 ㎖)중 칼륨 tert-부톡사이드(3.9 g, 33.0 mmol) 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TLC 분석 결과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나타나는 시점까지 실온에서 18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pH를 2N 염산을 첨가하여 약 6.5로 조절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 을 에틸 아세테이트와 물로 분리하였다. 유기상을 분리하고 2N NaOH를 첨가하여 염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산물을 실리카 겔 컬럼(용리액으로서 3:1 에틸 아세테이트/헥세인)으로 정제하여 모르폴린온(8)(2.4 g, 60%)을 엷은 황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7.95(m, 1H), 7.37(m, 5H), 7.03(m, 1H), 6.97(m, 1H), 6.00(br s, 1H), 5.30(d, 1H), 4.32(m, 2H), 4.26(m, 1H), 3.37(m, 1H), 3.13(m, 1H).
화합물(9)의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퓨레인(10 ㎖)중 화합물(8)(0.526 g, 1.45 mmol)의 용액에 수성 탄산나트륨(2M, 7 ㎖, 14 mmol), 4-플루오로페닐붕산(0.683 g, 4.88 mmol), 및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 팔라듐(0)(0.093 g, 0.080 mmol)을 첨가하였다. 어두운 반응 혼합물을 75 내지 80 ℃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였다. NMR 분석 결과 출발 물질이 잔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감압하에서 농축하고, 잔류물을 물과 에틸 아세테이트로 분리하였다. 수성상을 분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가로 추출하고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산물을 초기 크로마토그래피하여 0.4 g의 목적 산물을 발포성 황색 고형물로서 수득하였다. 산물을 실리카 겔(용리액으로서 1:1 다이클로로메테인/아세토니트릴)상에서 추가로 크로마토그래 피하여 0.37 g의 화합물(9)를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CD'CI3) δ 8.26(m, 1H), 7.96(m, 2H), 7.32(m, 5H), 7.12(m, 3H), 7.04(m, 1H), 5.96(br s, 1H), 5.20(d, 1H), 4.28(m, 2H), 4.12(m, 1H), 3.28(m, 1H), 2.86(m, 1H).
19F NMR(376 MHz, CDCl3) δ-113.770(s, 1 F)
화합물(10)의 제조
무수 톨루엔(25 ㎖)중 화합물(9)(0.95 g, 2.90 mmol)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 하에서 방치하고 0℃로 냉각시켰다. 톨루엔(65 wt%, 3.0 ㎖, 10.0 mmol)중 Red-AI의 상업적 용액을 주사기를 통해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TLC 분석 결과 출발 물질의 존재가 나타나는 시점까지 실온으로 1.5시간에 걸쳐 가온시켰다. 추가량의 Red-AI(0.3 ㎖, 1.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TLC 분석 결과 반응이 완료될 때까지 1.5시간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다시 냉각시키고 2N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급냉시켰다. 혼합물을 물로 희석시키고 수성상을 분리하고 톨루엔으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0.21 g의 탁한 오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오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용리액으로서 4:1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하여 2-{[2-(4-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10)(0.16 g, 66%)을 걸쭉한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8.24(m, 1H), 8.06(m, 2H), 7.28(m, 5H), 7.14(m, 3H), 7.02(m, 1H), 5.10(d, 1H), 3.96(m, 1H), 3.86(m, 1H), 3.64(m, 1H), 2.80(m, 2H), 2.50(m, 2H). 19F NMR(376 MHz, CDCl3) δ-114.394(m, 1 F);(MS) m/z 364.97 [C22H21FN2O2+H+] ; CHN-C22H21FN2O2 계산치: C 72.51%, H 5.81%, N 7.69% 실측치: C 72.39%, H 6.07%, N 8.04%.
실시예 34
Figure 112006079316466-PCT00057
(R)-2-[(S)-(2-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을 (3-플루오로페닐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및 2-플루오로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6[M+H]+
실시예 35
Figure 112006079316466-PCT00058
(R)-2-[(S)-(2-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을 4-플루오로페닐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및 2-에톡시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2[M+H]+.
실시예 36
Figure 112006079316466-PCT00059
(S)-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6다이플루오로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6[M+H]+.
실시예 37
Figure 112006079316466-PCT00060
(S)-2-[(S)-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및 (2S,3R)-2-[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을 메틸렌사이클로헥실 마그네슘 브로마이드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4[M+H]+.
실시예 38
Figure 112006079316466-PCT00061
(S)-2-[(S)-1-(2-에톡시-펜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을 아이소뷰틸 마그 네슘 브로마이드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4[M+H]+.
실시예 39
Figure 112006079316466-PCT00062
(S)-2-[(S)-(2-알릴-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알릴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점성질 무색 오일(0.415 g, 79%)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 :δ 7.38-7.24(m, 5H), 7.10(dd, 1H), 6.98(dt, 1H), 6.81(dt, 1H), 6.65(d, 1H), 6.04(m, 1H), 5.18-5.04(m, 3H), 3.98-3.86(m, 2H), 3.65(dt, 1H), 3.50(m, 2H), 2.86-2.74(m, 2H), 2.70-2.54(m, 2H) ; MS(ES) 310.0 [C20H23NO2+H]+; HPLC 순도(98.2%); 분석: 계산치: C20H23NO2: C 77.64, H 7.49, N 4.53. 실측치: C 76.94, H 7.48, N 5.43.
실시예 40
Figure 112006079316466-PCT00063
(S)-2-[(S)-페닐-(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상응하는 아마이드(6-[페닐-(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3-온)(반응식 G, 화합물(8) 참조)로부터 하기 과정에 따라 합성하였다: 무수 톨루엔(3.0 ㎖)중 화합물(1)(0.30 g, 0.85 mmol)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방치하고 0℃로 냉각시키고, Red-AI의 상업적 용액(톨루엔 중 65 wt%, 1.0 ㎖, 3.3 mmol)을 주사기를 통해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4시간에 걸쳐 가온시켰다. TLC 분석 결과 출발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0℃로 다시 냉각시키고 2N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함으로써 급냉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톨루엔으로 희석시키고 수성상을 분리하고 톨루엔으로 추가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여 0.30 g의 밝은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반응 산물을 실리카 겔(두번째 용리액으로서 3:1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상에서 2회 크로마토그래피하여 0.080 g(35%)의 목적 산물을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8.32(m, 1H), 8.12(m, 1H), 7.24(m, 5H), 7.10(m, 2H), 5.10(d, 1H), 3.96(m, 2H), 3.68(m, 1H), 2.84(m, 2H), 2.66(m, 2H), 1.84(br s, 1H).(MS) m/z 271.05 [C16H18N2O2+H+] ; CHN-C16H18N2O2 계산치: C 71.09%, H 6.71% N 10.36%, 실측치: C 70.49%, H 6.70%, N 9.83%.
실시예 41
Figure 112006079316466-PCT00064
b
(S)-2-[(S)-(2-브로모-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상응하는 아 마이드(6-[페닐-(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3-온)로부터 하기 과정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무수 트라하이드로퓨레인(10 ㎖)중 화합물(1)(0.4 g, 1.1 mmol)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보레인-테트라하이드로퓨레인 복합체(의 상업적 용액테트라하이드로퓨레인중 1.0M, 3.4 ㎖, 3.4 mmol)을 주사기를 통해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동안 교반하였다. TLC 분석 결과 반응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량의 보레인-테트라하이드로퓨레인 복합체(3.0 ㎖, 3.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환류에서 2.5시간동안 가열하였다. TLC 분석 결과 출발 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식히고 1 N HCl로 처리하고 30분동안 교반하고 2N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염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황산나트륨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용매를 제거하였다. 반응 산물을 실리카 겔(첫번째 용리액으로서 3:1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 및 두번째 용리액으로서 10:1 다이클로로메테인/메탄올)상에서 2회 크로마토그래피하여 0.063 g(16%)의 목적 산물을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7.90(m, 1H), 7.36(m, 5H), 7.00(m, 2H), 5.16(d, 1H), 3.96(m, 2H), 3.68(m, 1H), 2.82(m, 2H), 2.64(m, 2H), 1.80(br s, 1H).(MS) m/z 350.92 [C16H17BrN2O2+H+] HPLC-91.49% CHN-C22H21FN2O2 계산치: C 55.03%, H 4.91%, N 8.02% 실측치: C 55.01%, H 4.97%, N 8.60%.
실시예 42
Figure 112006079316466-PCT00065
(S)-2-[(S)-페닐-(2-p-톨릴-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상응하는 아마이드(6-[페닐-(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3-온)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B(커플링 단계에서 4-메틸페닐붕산을 사용함)를 사용하여 합성하여 0.20 g의 밝은 갈색 오일을 수득하였다. 반응 산물을 실리카 겔(용리액으로서 3:1 에틸 아세테이트/메탄올)상에서 2회 크로마토그래피하여 0.080 g(35%)의 목적 산물을 수득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8.24(m, 1H), 7.96(d, 2H), 7.27(m, 7H), 7.07(m, 1H), 6.98(m, 1H), 5.13(d, 1H), 3.96(m, 1H), 3.87(m, 1H), 3.64(m, 1H), 2.80(m, 2H), 2.53(m, 2H), 2.44(s, 3H). (MS) m/z 361.07 [C23H24N2O2+H+].
실시예 43
Figure 112006079316466-PCT00066
(S)-2-[(S)-(2-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클로로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5[M+H]+.
실시예 44
Figure 112006079316466-PCT00067
(S)-2-[(S)-(2-아이소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아이소프로필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1H NMR(CDCl3)δ: 7.40-7.30(m, 5H), 7.19(d, 1H), 6.90(m, 1H), 6.82(m, 1H), 6.70(d, 1H), 5.13(d, 1H), 3.90(m, 2H), 3.70(m, 1H), 3.50(m, 1H), 2.80(m, 2H), 2.75(m, 1H), 2.60(m, 1H), 1.70(b s, 1H), 1.32(d, 3H), 1.30(d, 3H). MS(ES) m/z 312.06 [C20H25NO2+H]+. 분석: C20H25NO2에 대한 계산치: C, 77.14; H, 8.09; N, 4.50. 실측치: C, 75.62; H, 8.47; N, 5.09.
실시예 45
Figure 112006079316466-PCT00068
(R)-2-[(S)-(벤조퓨레인-6-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하이드록시-페닐-메틸)-모르폴린-4-카복실산 tert-뷰틸 에스터 및 6-하이드록시벤조퓨레인로부터 택일적인 에터화 순서(메실레이트를 거침)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0[M+H]+.
실시예 46
Figure 112006079316466-PCT00069
(S)-2-[(S)-(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아이소프로폭시 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8[M+H]+.
실시예 47
Figure 112006079316466-PCT00070
(R)-2-[(S)-(2-브로모-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을 4-플루오로페놀 마그네슘 브로마이드 및 브로모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67[M+H]+.
실시예 48
Figure 112006079316466-PCT00071
(S)-2-[(S)-(벤조퓨레인-5-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택일적인 에터화 순서(메실레이트를 거침)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0[M+H]+.
실시예 49
Figure 112006079316466-PCT00072
(S)-2-((S)-페닐-o-톨릴옥시-메틸)-모르폴린을 2-메틸 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284[M+H]+.
실시예 50
Figure 112006079316466-PCT00073
(2S,3S)-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놀을 2-벤질옥시 페놀로부터 하기 변형을 갖는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였다:
Figure 112006079316466-PCT00074
실험:
단계 1: 화합물(2)의 제조
메탄올: 테트라하이드로퓨레인(50 ㎖ : 20 ㎖)중 화합물(1)(0.61 g, 1.568 mmol) 및 10% Pd-C(0.22 g)의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40 psi)에서 18시간동안 흔들어주었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컬럼을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페놀(2) 을 걸쭉한 점성질 고무(수율: 0.224 g, 47.8%)로서 수득하였다. 1H NMR(CDCl3)δ 7.58(b s, 1H), 7.41-7.35(m, 5H), 7.08(b s, 1H), 6.90(m, 2H), 6.59(m, 1H), 6.50(m, 1H), 4.65(d, 1H), 4.45(d, 1H), 4.30(d, 1H), 4.18(m, 1H), 3.20(m, 1H), 2.75(d, 1H). MS(ES) m/z 300.09 [C17H17NO4+H]+.
단계 2: 화합물(3)의 제조
톨루엔(10 ㎖)중 모르폴린온 2(0.214 g, 0.750 mmol) 용액에 Red-AI(톨루엔중 65% 용액, 1.5 ㎖)을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온에서 4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과량의 Red-AI을 2M NaOH 용액(5 ㎖)을 첨가함으로써 분해시키고 6N HCl를 사용하여 pH 2로 산성화시켰다. 용액을 포화 NaHC03으로 중화시키고 톨루엔(2 x 10 ㎖)으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 추출물을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Na2S04상에서 건조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산물을 실리카 겔 컬럼(에틸 아세테이트: 메탄올, 80: 20)상에서 정제하여 모르폴린 화합물(3)을 무색 고형물(수율: 0.062 g, 31%)로서 수득하였다. mp 156-158 ℃. 1H NMR(CDCl3) δ: 7.45-7.38(m, 5H), 6.97(m, 2H), 6.58(m, 1H), 6.50(d, 1H), 4.53(d, 1H), 4.10(m, 1H), 3.95(m, 1H), 3.90(m, 1H), 2.90(m, 2H), 2.50(m, 1H), 2.42(m, 1H). MS(ES) m/z 285.98 [C17H19NO3+H]+. 분석:C17H19NO3(0.5 H20)에 대한 계산치 C, 69.37; H, 6.85; N, 4.76. 실측치: C, 69.68; H, 5.45; N, 4.44.
실시예 51
Figure 112006079316466-PCT00075
(S)-2-[(S)-사이클로헥실-(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사이클로헥실마그네슘 브로마이드 및 2-에톡시 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0[M+H]+.
실시예 52
Figure 112006079316466-PCT00076
(S)-2-[(S)-페닐-(2-피페라진-1-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54[M+H]+.
실시예 53
Figure 112006079316466-PCT00077
(S)-2-[(S)-(2-메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메테인설판일 페놀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14[M+H]+.
실시예 54
Figure 112006079316466-PCT00078
(S)-2-[(S)-(2-메테인설폰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2-메테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으로부터 하기 과정에 따라 합성하였다:
단계 1:
출발 아민(250 mg, 0.85 mmol)을 THF(5 ㎖)중에 NaOH(1 M 수성, 1.0 ㎖)와 용해시켰다. 이러한 교반 용액에 BOC2O(220 mg, 0.98 mmol)를 첨가하고 및 반응 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반응물을 물(30 ㎖)로 급냉시키고 1:1 헥세인: EtOAc(2 X 20 ㎖)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층을 염수(40 ㎖)로 세척하고, Na2SO4상에서 건조하고 및 농축 건조시켰다. 물질은 여전히 존재하는 일부 BOC20를 제외하고 투명하였다.
단계 2:
출발 알콜(270 mg, 0.65 mmol)을 클로로포름(3.2 ㎖)에 용해시키고mcpba(290 mg, 1.6 mmol)를 클로로포름(4.0 ㎖)중 용액으로서 0℃에서 첨가하였다. 4시간동 안 교반시킨 후, 반응물을 파이펫의 면을 통해 여과시키고 5% 수성 NaHC03(2 X 10 ㎖)로 추출하였다. 농축 후, 조질물을 NMR 분석한 결과 단일 산물로 완전한 전환을 보였다. 이를 실리카(25-70% EtOAc/헥세인)상에서 정제하여 무색 발포체로서 산물을 수득하였다.
단계 3:
출발 물질을 4 M HCl(다이옥세인중 용액)중에 0℃에서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동안 교반시켰다. 출발 물질이 소진될 때(TLC에 의함, 1시간), 반응물을 농축 건조하고 MeOH(5% HOAc를 함유함)에 재용해시켰다. 이온 교환 정제(SCX, 1 g, 5% HOAc./MeOH 부하, MeOH으로 세척, MeOH중 1M NH3 으로 용출)하여 무색의 끈적거리는 오일을 수득하였으며, 이는 NMR에 의해 단일 이성질체를 함유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시료의 광학 회전(MeOH중 41 mg/ ㎖, 100mm 궤도 길이, -3.713 원호 길이)은 -90 정도였으며 시료의 HPLC 분석 결과 98% 미만의 순도를 나타내었다. MS(APCI) : 330[M+H]+.
실시예 55
Figure 112006079316466-PCT00079
(S)-2-[(S)-(2-사이클로펜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8[M+H]+.
실시예 56
Figure 112006079316466-PCT00080
(S)-2-[(S)-(2-사이클로헥실-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52 [M+H]+.
실시예 57
Figure 112006079316466-PCT00081
(S)-2-[(S)-(2-다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6[M+H]+.
실시예 58
Figure 112006079316466-PCT00082
(S)-2-{(S)-[2-(2-플루오로-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2 [M+H]+.
실시예 59
Figure 112006079316466-PCT00083
(S)-2-[(S)-(4-플루오로-2-아이소뷰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4[M+H]+.
실시예 60
Figure 112006079316466-PCT00084
(S)-2-[(S)-(2-클로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2[M+H]+.
실시예 61
Figure 112006079316466-PCT00085
(S)-2-[(S)-(2-사이클로프로필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4[M+H]+.
실시예 62
Figure 112006079316466-PCT00086
(S)-2-[(S)-(2,6-다이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39[M+H]+.
실시예 63
Figure 112006079316466-PCT00087
(S)-2-[(S)-(2-에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메탄올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 및 F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8[M+H]+.
실시예 64
Figure 112006079316466-PCT00088
(2S,3S)-다이메틸-[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아민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3 [M+H]+.
실시예 65
Figure 112006079316466-PCT00089
(S)-2-((S)-[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S)-2-[(S)-(2-브로모-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A 및 일반적인 과정 D의 바이아릴 커플링 반응에 따라 합성하고 고무질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81[M+H]+.
실시예 66
Figure 112006079316466-PCT00090
(R)-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이의 퓨마레이트 염(백색 고형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4[M+H]+.
실시예 67
Figure 112006079316466-PCT00091
(R)-2-[(S)-(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이의 퓨마레이트 염(백색 고형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8[M+H]+.
실시예 68
Figure 112006079316466-PCT00092
(S)-2-[(S)-(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이의 퓨마레이트 염(백색 고형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06[M+H]+.
실시예 69
Figure 112006079316466-PCT00093
(S)-2-[(S)-(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이의 퓨마레이트 염(백색 고형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8 [M+H]+.
실시예 70
Figure 112006079316466-PCT00094
(R)-2-[(S)-(2-에톡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이의 퓨마레이트 염(백색 고형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2[M+H]+.
실시예 71
Figure 112006079316466-PCT00095
(R)-2-[(S)-(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이의 퓨마레이트 염(백색 고형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0[M+H]+.
실시예 72
Figure 112006079316466-PCT00096
(S)-2-(2-펜옥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D에 따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0[M+H]+.
실시예 73
Figure 112006079316466-PCT00097
2-(2'-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D에 따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4[M+H]+.
실시예 74
Figure 112006079316466-PCT00098
2-(2'-메톡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D에 따라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0[M+H]+.
실시예 75
Figure 112006079316466-PCT00099
(R)- 및 (S)-2-(5-플루오로-4'-메틸-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R) 및 (S) 모르폴린 알콜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D의 바이페닐화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2[M+H]+.
실시예 76
Figure 112006079316466-PCT00100
(R)- 및 (S)-2-(5,4'-다이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R) 및 (S) 모르폴린 알콜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D의 바이페닐화에 따라 독립적으로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6[M+H]+.
실시예 77
Figure 112006079316466-PCT00101
(R)-2-(2-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D의 바이아릴 에터화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7[M+H]+.
실시예 78
Figure 112006079316466-PCT00102
(S)-2-[3-(4-플루오로-펜옥시)-피라진-2-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2,3-다이클로로피라진으로부터 출발하여 일반적인 과정 D에 따라 제조하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7 [M+H]+.
실시예 79
Figure 112006079316466-PCT00103
(S)-2-[2-(3,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D의 바이아릴 에터화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3[M+H]+.
실시예 80
Figure 112006079316466-PCT00104
(S)-2-((S)-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70[M+H]+.
실시예 81
Figure 112006079316466-PCT00105
(S)-2-[(S)-(4'-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64[M+H]+.
실시예 82
Figure 112006079316466-PCT00106
(S)-2-[(S)-(4'-메틸-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60[M+H]+.
실시예 83
Figure 112006079316466-PCT00107
(S)-2-[(S)-(2-벤질옥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76[M+H]+.
실시예 84
Figure 112006079316466-PCT00108
(S)-2-[(S)-(2-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8[M+H]+.
실시예 85
Figure 112006079316466-PCT00109
(2S,3S)-[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메탄올을 일반적인 과정 A 및 F에 따라 합성하고 엷은 황색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00[M+H]+.
실시예 86
Figure 112006079316466-PCT00110
(S)-2-[(S)-(2'-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64[M+H]+.
실시예 87
Figure 112006079316466-PCT00111
(2R,3R)-2-[(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7[M+H]+.
실시예 88
Figure 112006079316466-PCT00112
2-(2'-메틸-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라세믹)을 일반적인 과정 D(바이페닐화)에 따라 제조하고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4[M+H]+.
실시예 89
Figure 112006079316466-PCT00113
(2R)-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D에 따라 합성하고 이의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05[M+H]+.
실시예 90
Figure 112006079316466-PCT00114
(2R)-2-[(R)-(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발포체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5[M+H]+.
실시예 91
Figure 112006079316466-PCT00115
(R)-2-[(S)-(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고 발포체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4[M+H]+.
실시예 92
Figure 112006079316466-PCT00116
(S)-2-[(R)-(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고 발포체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4[M+H]+.
실시예 93
Figure 112006079316466-PCT00117
2-[(S)-(2S)-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니트릴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4[M+H]+.
실시예 94
Figure 112006079316466-PCT00118
(2S)-2-[(2-클로로-5-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1[M+H]+.
실시예 95
Figure 112006079316466-PCT00119
(2S)-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7[M+H]+.
실시예 96
Figure 112006079316466-PCT00120
(2S)-2-[(S)-(2,5-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5[M+H]+.
실시예 97
Figure 112006079316466-PCT00121
(2S)-2-[(S)-페닐(2-프로필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1[M+H]+.
실시예 98
Figure 112006079316466-PCT00122
(2S)-2-[(S)-(2-에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7[M+H]+.
실시예 99
Figure 112006079316466-PCT00123
(2S)-2-[사이클로프로필(2,4-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고 고무(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269[M+H]+.
실시예 100
Figure 112006079316466-PCT00124
(2S)-2-[(S)-(2-에톡시펜옥시)(1-옥사이도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하기의 추가적인 단계를 갖는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였다: 출발 아민을 MTO와 함께 DCM에 용해시키고 수성 H2O2를 가하였다. 이를 실온에서 79시간동안 교반하고 Mn02를 조심스럽게 첨가(매우 적은 양의 Mn02를 사용하여 외부적으로 격렬한 기체 방출)함으로써 급냉시키고 이러한 버블링 혼합물을 기체 방출이 멈출때까지 격렬하게 3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상을 분리하고 수성상을 CH2CI2(2X)로 추출하였다. 수집된 유기상을 농축하여 투명한 산물을 수득하였다. MS(APCI) : 331[M+H]+.
실시예 101
Figure 112006079316466-PCT00125
(2S)-2-[1-(2,6-다이플루오로펜옥시)-2-페닐에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제조하고 고무(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319 [M+H]+.
실시예 102
Figure 112006079316466-PCT00126
(2S)-2-[(S)-[2-(벤질옥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76[M+H]+.
실시예 103
Figure 112006079316466-PCT00127
(2S)-2-[(S)-(2-아이소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2[M+H]+.
실시예 104
Figure 112006079316466-PCT00128
(2S)-2-[(1S)-1-(2-에톡시펜옥시)뷰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79[M+H]+.
실시예 105
Figure 112006079316466-PCT00129
(2S)-2-[(1S)-1-(2-에톡시펜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3[M+H]+.
실시예 106
Figure 112006079316466-PCT00130
(2S)-2-[(S)-(2,3-다이플루오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및(2S)-2-[(R)-(2,3-다이플루오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66[M+H]+.
실시예 107
Figure 112006079316466-PCT00131
(2S)-2-[(S)-(2-에톡시펜옥시)(6-메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8 [M+H]+.
실시예 108
Figure 112006079316466-PCT00132
(2S)-2-[(S)-(2-에톡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4[M+H]+.
실시예 109
Figure 112006079316466-PCT00133
(2S)-2-{(S)-(6-메톡시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84 [M+H]+.
실시예 110
Figure 112006079316466-PCT00134
(2S)-2-[(S)-(2,3-다이하이드로-1H-인덴-4-일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제조하고 숙시네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311 [M+H]+.
실시예 111
Figure 112006079316466-PCT00135
(2R)-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3[M+H]+.
실시예 112
Figure 112006079316466-PCT00136
(2R)-2-[(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9[M+H]+.
실시예 113
Figure 112006079316466-PCT00137
(2S)-2-[(S)-(2-클로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2 [M+H]+.
실시예 114
Figure 112006079316466-PCT00138
(2R)-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0[M+H]+.
실시예 115
Figure 112006079316466-PCT00139
N,N,N-트라이메틸-2-[(S)-(2S)-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젠암모늄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8[M+H]+.
실시예 116
Figure 112006079316466-PCT00140
(2S)-2-[(S)-{[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81 [M+H]+.
실시예 117
Figure 112006079316466-PCT00141
(2S)-2-[(S)-(2-브로모-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67 [M+H]+.
실시예 118
Figure 112006079316466-PCT00142
(2S)-2-[사이클로프로필(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78[M+H]+.
실시예 119
Figure 112006079316466-PCT00143
(2S)-2-[(S)-(2-사이클로프로필-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28[M+H]+.
실시예 120
Figure 112006079316466-PCT00144
(2S)-2-[(S)-(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9[M+H]+.
실시예 121
Figure 112006079316466-PCT00145
(2S)-2-[(R)-(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9[M+H]+.
실시예 122
Figure 112006079316466-PCT00146
(2S)-2-[(S)-(2-사이클로프로필-4,6-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6[M+H]+.
실시예 123
Figure 112006079316466-PCT00147
(2S)-2-[(2-에톡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합성하고 따라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9[M+H]+.
실시예 124
Figure 112006079316466-PCT00148
(2S)-2-[(S)-[(2-에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299[M+H]+.
실시예 125
Figure 112006079316466-PCT00149
2-[(S)-(2S)-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6[M+H]+.
실시예 126
Figure 112006079316466-PCT00150
(2S)-2-[(S)-(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9[M+H]+.
실시예 127
Figure 112006079316466-PCT00151
(2S)-2-[(S)-(2-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3[M+H]+.
실시예 128
Figure 112006079316466-PCT00152
(2S)-2-[(S)-(2-벤질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61[M+H]+.
실시예 129
Figure 112006079316466-PCT00153
(2S)-2-{(S)-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55 [M+N]+.
실시예 130
Figure 112006079316466-PCT00154
(2S)-2-[(S)-(2-아이소프로필-5-메틸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7[M+H]+.
실시예 131
Figure 112006079316466-PCT00155
(2S)-2-[(S)-[(2-메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285[M+H]+.
실시예 132
Figure 112006079316466-PCT00156
(2S)-2-[(S)-(2-사이클로펜틸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9[M+H]+.
실시예 133
Figure 112006079316466-PCT00157
(2S)-2-((S)-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9[M+H]+.
실시예 134
Figure 112006079316466-PCT00158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퓨마레이트 염(부분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1[M+H]+.
실시예 135
Figure 112006079316466-PCT00159
(2S)-2-{(S)-페닐[(2-프로필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3[M+H]+.
실시예 136
Figure 112006079316466-PCT00160
(2S)-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함유하는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67[M+H]+.
실시예 137
Figure 112006079316466-PCT00161
(2S)-2-[(S)-[(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5[M+H]+.
실시예 138
Figure 112006079316466-PCT00162
(2S)-2-[(S)-(2-에톡시펜옥시)(3-메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합성하고 따라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9[M+H]+.
실시예 139
Figure 112006079316466-PCT00163
(2S)-2-{(S)-(3-메틸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69[M+H]+.
실시예 140
Figure 112006079316466-PCT00164
(2S)-2-[(S)-(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59[M+H]+.
실시예 141
Figure 112006079316466-PCT00165
(2S)-2-[(S)-(4-에틸피리딘-2-일)(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7[M+H]+.
실시예 142
Figure 112006079316466-PCT00166
(2S)-2-[(S)-(2-에톡시펜옥시)(4-에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3[M+H]+.
실시예 143
Figure 112006079316466-PCT00167
(2S)-2-[1-벤조퓨레인-2-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6[M+H]+.
실시예 144
Figure 112006079316466-PCT00168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에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53[M+H]+.
실시예 145
Figure 112006079316466-PCT00169
(2S)-2-[(S)-[2-(3-플루오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0[M+H]+.
실시예 146
Figure 112006079316466-PCT00170
(2S)-2-[(S)-사이클로펜트-1-엔-1-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6[M+H]+.
실시예 147
Figure 112006079316466-PCT00171
(2S)-2-[(R)-사이클로펜트-1-엔-1-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6[M+H]+.
실시예 148
Figure 112006079316466-PCT00172
(2S)-2-[(2,6-다이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0[M+H]+.
실시예 149
Figure 112006079316466-PCT00173
(2S)-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5[M+H]+.
실시예 150
Figure 112006079316466-PCT00174
(2S)-2-[(S)-[(2-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11[M+H]+.
실시예 151
Figure 112006079316466-PCT00175
(2S)-2-{1-[2-(4-플루오로펜옥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8[M+H]+.
실시예 152
Figure 112006079316466-PCT00176
(2S)-2-[(S)-(2-클로로-5-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합성하고 따라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24[M+H]+:
실시예 153
Figure 112006079316466-PCT00177
(2S)-2-[(S)-(바이페닐-2-일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7[M+H]+.
실시예 154
Figure 112006079316466-PCT00178
(2S)-2-[(S)-(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1[M+H]+.
실시예 155
Figure 112006079316466-PCT00179
(2S)-2-[(S)-(2-브로모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50[M+H]+.
실시예 156
Figure 112006079316466-PCT00180
(2S)-2-[[2-(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02[M+H]+.
실시예 157
Figure 112006079316466-PCT00181
(2S)-2-[(2-에톡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2[M+H]+.
실시예 158
Figure 112006079316466-PCT00182
(2S)-2-[(S)-(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9 [M+H]+.
실시예 159
Figure 112006079316466-PCT00183
(2S)-2-[(S)-(2-에톡시-6-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3 [M+H]+.
실시예 160
Figure 112006079316466-PCT00184
(2S)-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7[M+H]+.
실시예 161
Figure 112006079316466-PCT00185
(2S)-2-[(S)-[2-(3-플루오로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6[M+H]+.
실시예 162
Figure 112006079316466-PCT00186
(2S)-2-{(1S)-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에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5[M+H]+.
실시예 163
Figure 112006079316466-PCT00187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2,3-다이하이드로-1-벤조퓨레인-7-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8[M+H]+.
실시예 164
Figure 112006079316466-PCT00188
(2S)-2-[(S)-(2-사이클로프로필-5-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 및 B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9[M+H]+.
실시예 165
Figure 112006079316466-PCT00189
(2S)-2-[(S)-(2-플루오로-6-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6[M+H]+.
실시예 166
Figure 112006079316466-PCT00190
(2S)-2-[(S)-[(2-메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1[M+H]+.
실시예 167
Figure 112006079316466-PCT00191
(2S)-2-[(5-플루오로-2-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8[M+H]+.
실시예 168
Figure 112006079316466-PCT00192
(2S)-2-[(3-플루오로-2-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8[M+H]+.
실시예 169
Figure 112006079316466-PCT00193
(2S)-2-[(2-에톡시-5-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2[M+H]+.
실시예 170
Figure 112006079316466-PCT00194
(2S)-2-[(2-에톡시-3-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2[M+H]+.
실시예 171
Figure 112006079316466-PCT00195
(2S)-2-[(S)-(2-플루오로-6-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6[M+H]+.
실시예 172
Figure 112006079316466-PCT00196
(2S)-2-[(2-에톡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9[M+H]+.
실시예 173
Figure 112006079316466-PCT00197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11[M+H]+.
실시예 174
Figure 112006079316466-PCT00198
(2S)-2-{(4-메틸-1,3-옥사졸-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59[M+H]+.
실시예 175
Figure 112006079316466-PCT00199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1,3-티아졸-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13[M+H]+.
실시예 176
Figure 112006079316466-PCT00200
(25)-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펜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5[M+H]+.
실시예 177
Figure 112006079316466-PCT00201
(2S)-2-[(2-브로모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54 [M+H]+.
실시예 178
Figure 112006079316466-PCT00202
(2S)-2-[(S)-(2-플루오로-6-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2 [M+H]+.
실시예 179
Figure 112006079316466-PCT00203
(2S)-2-[(S)-[(2-아이소프로필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3[M+H]+.
실시예 180
Figure 112006079316466-PCT00204
(2S)-2-[(2-에톡시펜옥시)(1,3-티아졸-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1[M+H]+.
실시예 181
Figure 112006079316466-PCT00205
(2R)-2-[(R)-(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R 모르폴린 알콜로부터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15[M+H]+.
실시예 182
Figure 112006079316466-PCT00206
(2S)-2-[(S)-[(2-아이소뷰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7[M+H]+.
실시예 183
Figure 112006079316466-PCT00207
(2S)-2-[(S)-(2-플루오로-6-아이소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30[M+H]+.
실시예 184
Figure 112006079316466-PCT00208
(2S)-2-[(S)-(2-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8[M+H]+.
실시예 185
Figure 112006079316466-PCT00209
(2S)-2-[(S)-(2-브로모-6-플루오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98[M+H]+.
실시예 186
Figure 112006079316466-PCT00210
(2S)-2-[(S)-(2-브로모-6-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68[M+H]+.
실시예 187
Figure 112006079316466-PCT00211
(2S)-2-[(S)-(2-브로모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 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80[M+H]+.
실시예 188
Figure 112006079316466-PCT00212
(2S)-2-[(S)-(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9[M+H]+.
실시예 189
Figure 112006079316466-PCT00213
(2S)-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2-메틸프로필}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1[M+H]+.
실시예 190
Figure 112006079316466-PCT00214
(2S)-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15[M+H]+.
실시예 191
Figure 112006079316466-PCT00215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뷰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81[M+H]+.
실시예 192
Figure 112006079316466-PCT00216
(2S)-2-[(S)-{[2-(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41 [M+H]+.
실시예 193
Figure 112006079316466-PCT00217
(2S)-2-[(S)-[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56[M+H]+.
실시예 194
Figure 112006079316466-PCT00218
(2S)-2-[(S)-[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A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72[M+H]+.
실시예 195
Figure 112006079316466-PCT00219
(S)-2-[(2-에톡시펜옥시)(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05 [M+H]+.
실시예 196
Figure 112006079316466-PCT00220
(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함유하는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97[M+H]+.
실시예 197
Figure 112006079316466-PCT00221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2-페닐에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합성하고 백색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329[M+H]+.
실시예 198
Figure 112006079316466-PCT00222
(2S)-2-[(S)-[4-플루오로-2-(메틸티오)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35[M+H]+.
실시예 199
Figure 112006079316466-PCT00223
(2S)-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E에 따라 제조하고 퓨마레이트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37[M+H]+.
실시예 200
Figure 112006079316466-PCT00224
(2R,2'R)-2,2'-[피라진-2,3-다이일비스(옥시메틸렌)]다이모르폴린을 2,3-다이클로로피라진으로부터 출발하여 일반적인 과정 D에 따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311[M+H]+.
실시예 201
Figure 112006079316466-PCT00225
(S)-2-[2-에톡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을 일반적인 과정 D를 거쳐 합성하고 고무질 오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 : 238 [M+H]+.
실시예 202
Figure 112006079316466-PCT00226
(2R)-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3-브로모피리딘 및 2-플루오로-6-메톡시페놀로부터 출발하여 일반적인 과정 C에 따라 제조하고 부분입체이성질체를 함유하는 고무질 고형물로서 단리하였다. MS(APCI):319 [M+H]+.
약학적 조성물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활성 화합물" 또는 "활성 성분"이라는 용어는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또다른 활성 제약, 예를 들어 A2D 리간드 SRI, 부정형 항정신병제, 등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용매화물과 적합하게 혼합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i) 정제 조성물
하기 조성물 A 및 B는 하기 성분 (a) 내지 (c) 및 (a) 내지 (d)와 포비돈 용액을 습윤 과립화시킨 다음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고 압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 A
Figure 112006079316466-PCT00227
조성물 B
Figure 112006079316466-PCT00228
조성물 C
Figure 112006079316466-PCT00229
하기 조성물 D 및 E는 혼합된 성분들의 직접 압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형 E에 사용되는 락토즈는 직접 압축 유형이다
조성물 D
Figure 112006079316466-PCT00230
조성물 E
Figure 112006079316466-PCT00231
조성물 F(조절 방출성 조성물)
Figure 112006079316466-PCT00232
조성물은 하기 성분 (a) 내지 (c)와 포비돈 용액을 습윤 과립화시킨 다음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첨가하고 압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 G(장코팅 정제)
조성물 C의 장코팅 정제는 25 mg/정제의 장성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바이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프탈레이트 또는 메타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터의 음이온 중합체(오드라짓(Eudragit) L)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오드라짓 L을 제외하고는 이들 중합체는 적용 또는 저장 동안 막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10%(사용되는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합한 가소제는 다이에틸 프탈레이트, 트라이뷰틸 시트레이트 및 트라이아세틴을 포함한다.
조성물 H(장코팅 조절 방출성 정제)
조성물 F의 장코팅 정제는 50 mg/정제의 장성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바이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프탈레이트 또는 메타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터의 음이온 중합체(오드라짓 L)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오드라짓 L을 제외하고는 이들 중합체는 적용 또는 저장 동안 막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10%(사용되는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합한 가소제는 다이에틸 프탈레이트, 트라이뷰틸 시트레이트 및 트라이아세틴을 포함한다.
(ii) 캡슐 조성물
조성물 A
캡슐은 상기 조성물 D의 성분을 혼합하고 2부의 경질 젤라틴 캡슐을 생성 혼합물로 충진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 B(하기)를 유사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조성물 B
Figure 112006079316466-PCT00233
조성물 C
Figure 112006079316466-PCT00234
캡슐은 마크로골 4000 BP를 용융시키고 용융물에 활성 성분을 분산시키고 이를 사용하여 2부 경질 젤라틴 캡슐을 충진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 D
Figure 112006079316466-PCT00235
캡슐은 레시틴 및 아라치스 오일에 활성 성분을 분산시키고 연길 알라스틱 젤라틴 캡슐을 분산액으로 충진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 E(조절 방출 캡슐)
Figure 112006079316466-PCT00236
조절 방출 캡슐 제형은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된 성분 (a) 내지 (c)를 압출시킨 다음 압출물을 구형화하고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펠렛을 방출 조절 막(d)으로 코팅하고 2부 경질 캡슐에 충진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 F(장 캡슐)
Figure 112006079316466-PCT00237
장 캡슐 조성물은 압출기를 사용하여 혼합된 성분 (a) 내지 (c)를 압출시킨 다음 압출물을 구형화하고 건조시킨 다음, 건조된 펠렛을 가소제(e)를 함유하는 장 막(d)으로 코팅하고 2부 경질 캡슐에 충진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조성물 G( 장코팅 조절 방출성 정제)
조성물 F의 장코팅 정제는 50 mg/정제의 장성 중합체, 예컨대 셀룰로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폴리바이닐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프탈레이트 또는 메타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메틸 에스터의 음이온 중합체(오드라짓 L)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오드라짓 L을 제외하고는 이들 중합체는 적용 또는 저장 동안 막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10%(사용되는 중합체의 중량에 대해)의 가소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적합한 가소제는 다이에틸 프탈레이트, 트라이뷰틸 시트레이트 및 트라이아세틴을 포함한다.
(iii) 정맥내 주사 조성물
Figure 112006079316466-PCT00238
활성 성분을 35 내지 40℃에서 최대량의 포스페이트 완충액에 용해시킨 다음, 부피를 보충하고 멸균 마이크로포어 여과기를 통해 멸균 10 ㎖ 유리용기로 여과시키고, 멸균 폐쇄 마개로 밀봉하였다.
(iv) 근육내 주사 조성물
Figure 112006079316466-PCT00239
활성 성분을 글리코푸롤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벤질 알콜을 첨가하고 용해시키고, 물을 3 ㎖가 되도록 가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멸균 마이크로포어 여과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멸균 3 ㎖ 유리 용기에 밀봉시켰다(유형 1).
(v) 시럽 조성물
Figure 112006079316466-PCT00240
나트륨 벤조에이트를 일부분의 정제수에 용해시키고 솔비톨 용액을 가하였다. 활성 성분을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글리세롤과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사용하여 요구되는 부피가 되도록 보충하였다.
(vi) 좌약 조성물
Figure 112006079316466-PCT00241
5분의 1의 위텝솔 H15를 스팀 자켓 팬에서 최대 45℃에서 용융시켰다. 활성 성분을 200 ㎛ 체로 거르고 부드러운 분산액을 얻을 때까지 회전절단기가 장착된 실버손(Silverson)을 사용하여 혼합시키면서 용융 기저에 가하였다. 혼합물을 45℃로 유지시키면서 남은 위텝솔 H15를 현탁액에 가하고 균질 혼합물이 수득되도록 교반하였다. 이어서 완전한 현탁액을 250 ㎛ 체 강철 스크린을 통과시키고 계속 교반시키면서 40℃로 식혔다. 38 내지 40℃에서 2.02 g의 혼합물 액적을 적합한 플라스틱 주형에 충진시키고 좌약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vii) 질 좌약 조성물
Figure 112006079316466-PCT00242
상기 성분을 직접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압축시킴으로써 질 좌약을 제조하였다.
(viii) 경피 조성물
Figure 112006079316466-PCT00243
활성 성분 및 알콜 USP를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즈로 젤화시키고 10 ㎠의 표면적을 갖는 경피 장치로 포장하였다.
본원에 인용된 모든 문헌은 그 전체로서 모든 목적으로 본원에서 참조로서 인용된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유도체: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는 O 또는 S이고;
    X는 아릴, 헤테로사이클, 벤조융합된 바이사이클릭, -C1-C10 알킬, -C2-C8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H2)nC3-C9 사이클로알킬, 융합된 사이클로알킬, H, SCF3, 하이드록시-C1-C6 알킬, -Cl-C6 알콕시, -C1-C6 알콕시C1-C6 알콕시, -(CH2)nS-Cl-C6 알킬 또는 -(CH2)nSO2-C1-C6 알킬이고, 이때 각 기는 선택적으로 -C1-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콕시, 아릴, 헤테로사이클,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O(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1-C6 알킬, -C1-C4 알콕시, -SCF3, S02, -C1-C4 알킬-S-C1-C4 알킬, -C1-C6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되, 단 X가 페닐, 치환된 페닐, 비치환된 -C1-C4 알킬, 할로-치환된 -C1-C4 알킬, 비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할로-치환된 -C3-C8 사이클로알킬일 때, * 및 @는 (R,S) 또는 (S,R)이고;
    R1 내지 R5는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아릴, -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H2)n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콕시, -O-아릴, 헤테로사이클, S02, OH, 할로, -CF3, -CHF2, -CH2F, -OCF3,-OCHF2, -OCH2F, -O(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l-C6 알킬, -Cl-C4 알콕시Cl-C6 알킬, -SCF3, -Cl-C6 알킬-SO2, -C1-C4 알킬-S-C1-C4 알킬, -C1-C4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때 R1 내지 R5중 2개의 기는 고리에 부착되어 5원 또는 6원 카보사이클릭 고리에 융합된 페닐기 또는 하나 이상의 N, O 또는 S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원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릭기에 융합된 페닐기를 포함하는 벤조융합된 바이사이클릭 고리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 -C1-C6 알킬, 아릴, -C3-C8 사이클로알킬, -C2-C8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1-C6 알콕시, 헤테로사이클기는 선택적으로 아릴, 헤테로사이클,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O(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l-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알킬, -SCF3, -Cl-C6 알킬SO2, -C1-C4 알킬-S-C1-C4 알킬, -C1-C4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고;
    R' 및 R"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H이고;
    n은 1 내지 5이고;
    *는 제 1 키랄 중심이고;
    @는 제 2 키랄 중심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C1-C6 알킬, 할로겐, OH, -CN, -SC1-C6 알킬, CH20C1-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C1-C6 알콕시인 화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CN 또는 -SC1-C6 알킬인 화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R3, R4, 및 R5가 모두 동시에 치환되지는 않은 화합물.
  5.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유도체:
    화학식 II
    Figure 112006079316466-PCT00245
    상기 식에서,
    R1 및 R6,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아릴, -C3-C8 사이클로알킬, -C2-C6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H2)nC3-C9 사이클로알킬, -C1-C6 알콕시, -O-아릴, 헤테로사이클, -S02,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0(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1-C6 알킬, -C1-C4 알콕시C1-C6 알킬, -SCF3, -C1-C6 알킬-S02, -Cl-C4 알킬-S-Cl-C4 알킬, -Cl-C4 알킬-S-, -Cl-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 -C1-C6 알킬, 아릴, -C3-C8 사이클로알킬, -C2-C6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1-C6 알콕시, 아릴, 헤테로사이클기는 선택적으로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사이클,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0(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1-C6 알킬, -C1-C4 알콕 시C1-C6 알킬, -C1-C6 알콕시, -SCF3, -C1-C6 알킬-S02, -Cl-C4 알킬-S-Cl-C4 알킬, -C1-C4 알킬-S-, -Cl-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고;
    R' 및 R"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H이고;
    n은 1 내지 5이고;
    R3은 H 또는 F이고;
    R4는 H 또는 F이되, 단 R3이 F일 때, R4는 F가 아니고;
    R5는 H, 할로겐, -C1-C6 알킬, -C1-C6 알콕시, -S-C1-C6 알킬, -(CH2)n-O-(CH2)n-, -OCF3 또는 -SCF3이고;
    *는 제 1의 키랄 중심이고;
    @는 제 2의 키랄 중심이되, 단 R1이 메틸, -O-메틸, -O-에틸 또는 Cl이고, R3 내지 R8이 H일 때, * 및 @는 (S,R) 또는 (R,S)이고, 또한 R1이 -O-메틸이고, R6 내지 R8이 H, -O-메틸, Cl 또는 메틸일 때, * 및 @는 (S,R) 또는 (R,S)이다.
  6. 제 5 항에 있어서,
    R1이 -C1-C6 알킬, 할로겐, OH, -CN, -SC1-C6 알킬, -CH20C1-C6 알킬, -C3-C8 사이클로 알킬, -C1-C6 알콕시, 피리딜,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인 화합물.
  7. 제 5 항에 있어서,
    R1이 F, -C1-C6 알킬 또는 -CN인 화합물.
  8. 제 5 항에 있어서,
    R3, R4, 및 R5가 모두 동시에 치환되지는 않은 화합물.
  9.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및/또는 수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유도체:
    화학식 III
    Figure 112006079316466-PCT00246
    상기 식에서,
    Z는 피리딘, 퓨레인, 티오펜, 나프탈렌, 나프티리딘, 피라졸, 피라진, 피리미딘, 티아졸, 옥사졸, 이속사졸, 트라이아졸 및 테트라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비-페닐; 또는 N, 0 또는 S를 함유하는 헤테로사이클에 융합된 페닐 고리이고, 각 헤테로아릴은 선택적으로 헤테로사이클, -C3-C8 사이클로알킬, 페닐, -C2-C8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CH2)nC3-C9 사이클로알킬, -C5-C9 융합된 사이클로알킬, 아릴, H, -SCF3, 하이드록시-C1-C6 알킬, -C1-C6 알콕시, -O-아릴, -(CH2)nS-Cl-C6알킬, -Cl-C6알킬-SO2, -(CH2)nSO2-Cl-C6 알킬, -Cl-C6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이때 이들 기중 임의의 기는 선택적으로 -Cl-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l-C6 알콕시, 치환되거나 또는 비치환된 아릴, 헤테로사이클,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O(CH2)nCF3, -CN, -CONH2, -CON(H)Cl-C6 알킬, -CON(Cl-C6 알킬)2, 하이드록시-Cl-C6 알킬, -SCF3, -Cl-C6 알킬SO2, -C1-C4 알킬-S-C1-C4 알킬, -C1-C4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고;
    X는 헤테로사이클, 아릴, -C1-C8 알킬, -C2-C8 알켄일, -C5-C8 사이클로알켄일, 벤조융합된 바이사이클릭, -C3-C8 사이클로알킬, -(CH2)nC3-C8 사이클로알킬, -C5-C9 융합된 사이클로알킬, H, -SCF3, 하이드록시-C1-C6 알킬, -C1-C6 알콕시, -C1-C6 알킬, -(CH2)nS-C1-C6 알킬 또는 -(CH2)nSO2-C1-C6 알킬이고, 이때 각 기는 선택적으로 -C1-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콕시, 아릴, 헤테로사이클, OH, 할로, -CF3, -CHF2, -CH2F, -OCF3, -OCHF2, -OCH2F, -O(CH2)nCF3, -CN, -CONH2, -CON(H)C1-C6 알킬, -CON(-C1-C6 알킬)2, 하이드록시-C1-C6 알킬, -SCF3, -C1-C6 알킬SO2, -C1-C4 알킬-S-C1-C4 알킬, -C1-C4 알킬-S-, -C1-C4 알킬NR'R" 및 NR'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치환체로 치환되고;
    R' 및 R"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또는 H이고;
    n은 1 내지 5이고;
    *는 제 1 키랄 중심이고;
    @는 제 2 키랄 중심이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Z가 피리딜인 화합물.
  11. 제 1 항, 제 5 항 및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2. 노르에피네프린 기능장애, 발작적 단발성 또는 재발성의 주요우울장애, 기분저하 장애, 우울신경증 및 신경우울증, 및 식욕부진, 체중감소, 불면증, 새벽 각성 또는 정신운동지연을 포함하는 멜랑코리성 우울증; 식욕증진, 과다수면, 정신운동초조 또는 과민성을 포함하는 비전형 우울증(또는 반응성 우울증), 계절 정동 장애 및 소아 우울증; 양극성 장애 또는 조울증, 예컨대 양극성 I 장애, 양극성 II 장애 및 순환성 장애; 행동 장애; 파탄행동 장애; 정신지체 관련 행동교란, 자폐 장애 및 행동 장애; 광장공포증을 수반하거나 수반하지 않는 공황 장애, 공황 장애 병력을 갖지 않는 광장 공포증, 특정 공포증, 예컨대 특정 동물에 대한 공포증, 사회 불안증, 사회 공포증(사회 불안 장애 포함), 강박 반응성 장애 및 관련 범위 장애와 같은 불안 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및 만성 스트레스 장애를 비롯한 스트레스 장애, 및 범불안 장애; 경계 인격 장애; 정신분열증 및 기타 정신증 장애, 예컨대 정신분열형 장애, 정신분열정동 장애, 편집증, 단기 정신병적 장애, 공유 정신병적 장애, 편집증 또는 환각을 수반하는 정신병적 장애, 정신병적 불안 발작, 정신병과 관련된 불안증, 중증 주요우울장애와 같은 정신병적 기분장애; 급성 조증과 같은 정신병적 장애 관련 기분 장애 및 양극성 장애 관련 우울증; 정신분열증 관련 기분 장애; 섬망, 치매, 및 기억 상실 및 기타 인지 또는 신경변성 장애, 예컨대 파키슨병(PD), 헌팅톤병(HD), 알츠하이머병, 노인성 치매, 알츠하이머 유형의 치매, 기억 장애, 실행성 기능 상실, 혈관 치매, 및 기타 치매, 예컨대 HIV 병, 두부 외상, 파키슨병, 헌팅톤병, 피크 병, 크로이츠펠트-야콥병에 기인하거나 다수 병인에 기인한 기타 치매; 운동 장애, 예컨대 운동 불능증, 가족 발작 운동이상증을 포함한 운동 이상증, 경직, 뚜렛 증후군, 스코트 증후군, 마비 및 무운동성 경직 증후군; 약물 유발 운동 장애와 같은 추체 외로 운동 장애, 예컨대 신경이완제-유발 파킨슨병, 항정신병약물 악성 증후군, 신경이완제-유발 급성 근육긴장이상, 신경이완제-유발 급성 좌불안석증, 신경이완제-유발 지연발생 운동이상증 및 약물-유발된 체위성 진전; 중독 장애 및 금단 증후군, 화학약물 의존증 및 중 독(예: 알코올, 헤로인, 코카인, 벤조다이아제핀, 정신작용 물질, 니코틴 또는 페노바비탈에 대한 의존증 또는 중독) 및 도박 중독과 같은 행동 중독; 안구 장애, 예컨대 녹내장 및 허혈성 망막병증 중독 장애(예: 알코올, 니코틴 및 기타 정신작용 물질에 의한 것 포함) 및 금단 증후군, 적응 장애(우울한 기분, 불안증, 혼재성 불안 및 우울한 기분, 행동 교란, 및 혼재성 행동 및 기분 교란을 포함); 연령에 관련된 학습 및 정신 장애(알츠하이머병 포함); 신경성 식욕부진; 무관심; 주의력 부족 장애(ADD) 및 주의력 부족 행동과다 장애(ADHD) 및 그의 공지된 아형을 비롯한 일반적 의학 증상에 기인한 주의력 부족(또는 기타 인지) 장애; 신경성 거식증; 만성 피로증후군; 통증; 만성 동통; 순환성 장애; 우울증(청년기 우울증 및 경우울증 포함); 섬유근육통 및 기타 신체형 장애(신체화 장애; 전환 장애; 동통 장애; 건강 염려증; 신체 추형 장애; 미분화형 신체형 장애; 및 신체형 장애 NOS 포함); 실금(즉, 복압 뇨실금, 진성 복압 뇨실금 및 혼재성 뇨실금); 비뇨기 장애; 조루증; 흡입 장애; 중독 장애(알코올 중독); 조증; 편두통; 비만증(즉, 비만 또는 과체중 환자의 체중 감소); 적대적 반항 장애; 말초 신경병증; 당뇨병 신경병증; 포진후 신경통; 월경전 불쾌 장애(즉, 월경전 증후군 및 말기 황체기 불쾌장애); 수면 장애(예컨대 발작 수면, 불면증 및 야뇨증); 특정 발달 장애;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SSRI) “중단” 증후군; 및 틱 장애(예컨대, 뚜렛병)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장애 또는 증상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게 치료 효과량의 화학식 I, II 또는 III의 화합물 또는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9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상기 장애 또는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13. 주의력 행동과다 장애, 비뇨기 장애, 통증, 불안증, 우울증, 조루증 또는 섬유근육통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포유동물에게 치료 효과량의 제 1 항, 제 5 항 또는 제 9 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주의력 행동과다 장애, 비뇨기 장애, 통증, 불안증, 우울증, 조루증 또는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방법.
  14. 하기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2-[페닐-(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에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뷰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바이닐-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메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벤질-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피리딘-4-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나프탈렌-1-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피리딘-3-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펜옥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산 에틸 에스터;
    2-[(4'-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
    2-[(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톡시)-벤조니트릴;
    2-[(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피리딘-3-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1-옥시-피리딘-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4-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2-[1-(2-에톡시-펜옥시)-3-메틸-부틸]-모르폴린;
    2-[(2-알릴-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p-톨릴-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벤조퓨레인-6-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벤조퓨레인-5-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o-톨릴옥시-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놀;
    2-[사이클로헥실-(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페닐-(2-피페라진-1-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메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메테인설폰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펜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헥실-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다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2-플루오로-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4-플루오로-2-아이소뷰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6-다이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다이메틸-[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아민;
    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펜옥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메톡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5-플루오로-4'-메틸-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5,4'-다이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3-(4-플루오로-펜옥시)-피라진-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3,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4'-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4'-메틸-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벤질옥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메탄올;
    2-[(2'-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메틸-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니트릴;
    2-[(2-클로로-5-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5-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페닐(2-프로필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에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사이클로프로필(2,4-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1-옥사이도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1-(2,6-다이플루오로펜옥시)-2-페닐에틸]모르폴린;
    2-[[2-(벤질옥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펜옥시)뷰틸]모르폴린;
    2-[1-(2-에톡시펜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
    2-[(2,3-다이플루오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6-메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6-메톡시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3-다이하이드로-1H-인덴-4-일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클로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N,N,N-트라이메틸-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젠암모늄;
    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사이클로프로필(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4,6-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2-에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
    2-[(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벤질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필-5-메틸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메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펜틸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페닐[(2-프로필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
    2-[[(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3-메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3-메틸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4-에틸피리딘-2-일)(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4-에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1-벤조퓨레인-2-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에틸}모르폴린;
    2-[[2-(3-플루오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사이클로펜트-1-엔-1-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6-다이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1-[2-(4-플루오로펜옥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2-[(2-클로로-5-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바이페닐-2-일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6-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3-플루오로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에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2,3-다이하이드로-1-벤조퓨레인-7-일)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5-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메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5-플루오로-2-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3-플루오로-2-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5-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3-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4-메틸-1,3-옥사졸-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1,3-티아졸-2-일)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펜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4-메틸-l,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프로필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1,3-티아졸-2-일)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아이소뷰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아이소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6-플루오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6-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브로모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2-메틸프로필}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뷰틸}모르폴린;
    2-[{[2-(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에톡시펜옥시)(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2-페닐에틸}모르폴린;
    2-[[4-플루오로-2-(메틸티오)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2'-[피라진-2,3-다이일비스(옥시메틸렌)]다이모르폴린;
    2-[2-에톡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및
    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15. 하기 화합물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S)-2-[(S)-페닐-(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에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아이소뷰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2-바이닐-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메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벤질-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2-피리딘-4-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나프탈렌-1-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2-피리딘-3-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2-펜옥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3S)-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산 에틸 에스터;
    (S)-2-[((S)-4'-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R)-2-[(S)-(2-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R)-(2-클로로-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S)-2-[(R)-2-[(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S)-2-[(S)-2-[(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3S)-2-(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
    (2S,3R)-2-(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
    (S)-2-[(S)-(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S,3R)-2-(모르폴린-2-일-피리딘-3-일-메톡시)-벤조니트릴;
    (2R,3R)-2-[(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2S,3R)-2-[(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R)-2-[(S)-피리딘-3-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R)-2-[(S)-(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R)-2-[(R)-(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S)-2-[((S)-1-옥시-피리딘-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클로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R,3R)-(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R)-2-[(S)-(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S)-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S)-[2-(4-플루오로-페닐)-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2S,3R)-2-[-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S)-2-[(S)-1-(2-에톡시-펜옥시)-3-메틸-부틸]-모르폴린;
    (S)-2-[(S)-(2-알릴-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S)-(2-브로모-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2-p-톨릴-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S)-(2-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아이소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R)-2-[(S)-(벤조퓨레인-6-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브로모-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S)-2-[(S)-(벤조퓨레인-5-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페닐-o-톨릴옥시-메틸)-모르폴린;
    (2S,3S)-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놀;
    (S)-2-[(S)-사이클로헥실-(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페닐-(2-피페라진-1-일-펜옥시)-메틸]-모르폴린;
    (S)-2-[(S)-(2-메틸설판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메테인설폰일-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사이클로펜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사이클로헥실-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다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2-플루오로-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4-플루오로-2-아이소뷰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클로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사이클로프로필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6-다이클로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에톡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3S)-다이메틸-[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아민;
    (S)-2-{(S)-[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에톡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R)-2-[(S)-(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2-펜옥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R)-2-(5-플루오로-4'-메틸-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5-플루오로-4'-메틸-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R)-2-(5,4'-다이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5,4'-다이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메틸)-모르폴린;
    (R)-2-(2-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3-(4-플루오로-펜옥시)-피라진-2-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2-(3,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S)-2-((S)-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4'-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4'-메틸-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벤질옥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S)-(2-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3S)-[2-(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페닐]-메탄올;
    (S)-2-[(S)-(2'-플루오로-바이페닐-2-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R,3R)-2-[(2,4-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R)-2-[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R)-2-[(R)-(2-에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R)-2-[(S)-(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R)-(2-에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조니트릴;
    (2S)-2-[(2-클로로-5-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5-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페닐(2-프로필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에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사이클로프로필(2,4-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펜옥시)(1-옥사이도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1-(2,6-다이플루오로펜옥시)-2-페닐에틸]모르폴린;
    (2S)-2-[(S)-[2-(벤질옥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아이소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1-(2-에톡시펜옥시)뷰틸]모르폴린;
    (2S)-2-[(S)-1-(2-에톡시펜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
    (2S)-2-[(S)-(2,3-다이플루오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S)-2-[(R)-(2,3-다이플루오로펜옥시)(3-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펜옥시)(6-메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6-메톡시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3-다이하이드로-1H-인덴-4-일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R)-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플루오로페닐)메틸]모르폴린;
    (2R)-2-[(2-브로모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클로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R)-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N,N,N-트라이메틸-2-[(S)-(2S)-모르폴린-2-일(페닐)메톡시]벤젠암모늄;
    (2S)-2-[(S)-{[2-(4-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브로모-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사이클로프로필(2-에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4-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R)-[2-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4,6-다이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S)-[(2-에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모르폴린-2-일(피리딘-2-일)메톡시]벤조니트릴;
    (2S)-2-[(S)-(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벤질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아이소프로필-5-메틸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메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펜틸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S)-페닐[(2-프로필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2S)-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프로필}모르폴린;
    (2S)-2-[(S)-[(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펜옥시)(3-메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3-메틸피리딘-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4-에틸피리딘-2-일)(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펜옥시)(4-에틸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1-벤조퓨레인-2-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에틸}모르폴린;
    (2S)-2-[(S)-[[2-(3-플루오로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사이클로펜트-1-엔-1-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R)-[사이클로펜트-1-엔-1-일(2,6-다이플루오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2,6-다이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3-메틸뷰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1-[2-(4-플루오로펜옥시)펜옥시]에틸}모르폴린;
    (2S)-2-[(S)-(2-클로로-5-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바이페닐-2-일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브로모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2-(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에톡시-6-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3-플루오로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헥실-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에틸}모르폴린;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2,3-다이하이드로-1-벤조퓨레인-7-일)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5-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아이소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메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5-플루오로-2-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3-플루오로-2-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5-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3-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프로폭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4-메틸-1,3-옥사졸-2-일)[2-(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메틸}모르폴린;
    (2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1,3-티아졸-2-일)메틸]모르폴린;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펜틸}모르폴린;
    (2S)-2-[(2-브로모펜옥시)(4-메틸-l,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아이소프로필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2-에톡시펜옥시)(1,3-티아졸-2-일)메틸]모르폴린;
    (2S)-2-[(R)-(2-에톡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아이소뷰틸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아이소프로필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6-플루오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브로모-6-플루오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브로모-6-플루오로펜옥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브로모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S)-2-[{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2-메틸프로필}모르폴린;
    (2S)-2-[(2-[(2-사이클로프로필펜옥시)(4-메틸-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뷰틸}모르폴린;
    (2S)-2-[(S)-{[2-(사이클로프로필메톡시)피리딘-3-일]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틸)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플루오로-6-(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S)-2-[(2-에톡시펜옥시)(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S)-2-[(2,6-다이플루오로펜옥시)(1,3-옥사졸-2-일)메틸]모르폴린;
    (2S)-2-{(1S)-1-[(2-에톡시피리딘-3-일)옥시]-2-페닐에틸}모르폴린;
    (2S)-2-[(S)-[4-플루오로-2-(메틸티오)펜옥시](페닐)메틸]모르폴린;
    (2S)-2-[(S)-(2,6-다이플루오로펜옥시)(6-메톡시피리딘-2-일)메틸]모르폴린;
    (2R,2'R)-2,2'-[피라진-2,3-다이일비스(옥시메틸렌)]다이모르폴린;
    (S)-2-[2-에톡시-피리딘-3-일옥시메틸]-모르폴린; 및
    (2R)-2-[(2-플루오로-6-메톡시펜옥시)(피리딘-3-일)메틸]모르폴린.
KR1020067022767A 2004-04-30 2005-04-19 중추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치환된 모르폴린 화합물 KR100943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6724404P 2004-04-30 2004-04-30
US60/567,244 2004-04-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881A true KR20070006881A (ko) 2007-01-11
KR100943555B1 KR100943555B1 (ko) 2010-02-22

Family

ID=3496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767A KR100943555B1 (ko) 2004-04-30 2005-04-19 중추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치환된 모르폴린 화합물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7659394B2 (ko)
EP (1) EP1745029A1 (ko)
JP (2) JP4185154B2 (ko)
KR (1) KR100943555B1 (ko)
CN (1) CN1950348A (ko)
AP (1) AP2006003771A0 (ko)
AR (1) AR049335A1 (ko)
AU (1) AU2005238296A1 (ko)
BR (1) BRPI0510453A (ko)
CA (1) CA2564994A1 (ko)
CR (1) CR8718A (ko)
EA (1) EA200601798A1 (ko)
EC (1) ECSP066962A (ko)
GE (1) GEP20084550B (ko)
GT (1) GT200500097A (ko)
IL (1) IL178648A0 (ko)
MA (1) MA28555B1 (ko)
MX (1) MXPA06012505A (ko)
NL (1) NL1028924C2 (ko)
NO (1) NO20065456L (ko)
PA (1) PA8631301A1 (ko)
PE (1) PE20060680A1 (ko)
SV (1) SV2006002098A (ko)
TN (1) TNSN06348A1 (ko)
TW (1) TW200600506A (ko)
UY (1) UY28876A1 (ko)
WO (1) WO2005105763A1 (ko)
ZA (1) ZA2006086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1876A (en) 1996-07-24 1999-12-14 Warner-Lambert Company Isobutylgaba and its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pain
US7704527B2 (en) * 2002-10-25 2010-04-27 Collegium Pharmaceutical, Inc. Modified release compositions of milnacipran
AU2005238296A1 (en) * 2004-04-30 2005-11-10 Warner-Lambert Company Llc Substituted morpholin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GB0409744D0 (en) * 2004-04-30 2004-06-09 Pfizer Ltd Novel compounds
AU2007209903B2 (en) * 2006-02-01 2012-09-13 Merck Sharp & Dohme Corp. Potassium channel inhibitors
EP1854785A1 (en) * 2006-05-12 2007-11-14 Faes Farma, S.A. 4-[(3-fluorophenoxy)phenylmethyl]piperidine methanesulfonate: uses, process of synthesi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US7531519B2 (en) * 2006-09-21 2009-05-12 Medical And Pharmaceutical Industry Technology And Development Center Polygalatenosides and use thereof as an antidepressant agent
TW200846002A (en) * 2007-03-15 2008-12-01 Astellas Pharma Inc Novel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gent for diabetic neuropathy
TW200846003A (en) * 2007-03-15 2008-12-01 Astellas Pharma Inc Novel prophylactic and/or therapeutic agent for diabetic neuropathy
EP2161998B1 (en) * 2007-06-04 2015-09-02 Intra-Cellular Therapies, Inc. Pyridine derivatives as NET/SERT modulators
US7888386B2 (en) * 2008-07-24 2011-02-15 Theravance, Inc. 3-(phenoxyphenylmethyl)pyrrolidine compounds
PL2358675T3 (pl) 2008-11-14 2013-03-29 Theravance Inc Związki 4-[2-(2-Fluorofenoksymetylo)fenylo]piperydyny
HUE025013T2 (hu) 2009-01-12 2016-04-28 Pfizer Ltd Szulfonamid-származékok
AR075988A1 (es) * 2009-04-09 2011-05-11 Lilly Co Eli Compuesto de piridiloxi - pirrolidina inhibidor de recaptacion de serotonina y norepinefrin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 comprende y su uso para la manufactura de un medicamento util para el tratamiento de dolor cronico
US8474529B2 (en) * 2009-04-09 2013-07-02 Regency Technologies Llc Control of concentric tubing direction
WO2010120910A1 (en) * 2009-04-15 2010-10-21 Theravance, Inc. 3-(phenoxypyrrolidin-3-yl-methyl)heteroaryl, 3-(phenylpyrrolidin-3-ylmethoxy)heteroaryl, and 3-(heteroarylpyrrolidin-3-ylmethoxy)heteroaryl compounds
CA2767372A1 (en) 2009-07-13 2011-01-20 Theravance, Inc. 3-phenoxymethylpyrrolidine compounds
ES2495366T3 (es) 2009-07-21 2014-09-17 Theravance, Inc. Compuestos de 3-fenoximetilpirrolidina
AR077969A1 (es) 2009-08-31 2011-10-05 Abbott Healthcare Products Bv Derivados de (tio)morfolina comomoduladores de s1p
EP2523945A1 (en) 2010-01-11 2012-11-21 Theravance, Inc. 1 - (2 - phenoxymethylphenyl) piperazine compounds as serotonin and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WO2011119461A1 (en) * 2010-03-22 2011-09-29 Theravance, Inc. 1-(2-phenoxymethylheteroaryl)piperidine and piperazine compounds
WO2011147780A1 (en) 2010-05-24 2011-12-01 Faes Farma, S.A. Flufenox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miloyd pathologies
EP2390248A1 (en) 2010-05-24 2011-11-30 Faes Farma, S.A. Flufenox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amiloyd pathologies
TWI522361B (zh) 2010-07-09 2016-02-21 艾伯維公司 作為s1p調節劑的稠合雜環衍生物
TW201206893A (en) 2010-07-09 2012-02-16 Abbott Healthcare Products Bv Bisaryl (thio) morpholine derivatives as S1P modulators
TW201643169A (zh) 2010-07-09 2016-12-16 艾伯維股份有限公司 作為s1p調節劑的螺-哌啶衍生物
WO2012051103A1 (en) 2010-10-11 2012-04-19 Theravance, Inc.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US8501964B2 (en) 2010-12-03 2013-08-06 Theravance, Inc.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JP2012207995A (ja) * 2011-03-29 2012-10-25 Univ Of Fukui 脳内ノルエピネフリン・トランスポータを標的とする放射性臭素標識pet分子イメージングプローブ
EP2745876A1 (en) * 2012-12-21 2014-06-25 Prous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S.A. Hydroxy aliphatic substituted phenyl aminoalkyl ether derivatives
MY195528A (en) 2016-03-17 2023-01-30 Hoffmann La Roche 5-Ethyl-4-Methyl-Pyrazole-3-Carboxamide Derivative Having Activity as Agonist of Taar
WO2021087299A1 (en) 2019-10-31 2021-05-06 E-Scape Bio, Inc. Solid forms of an s1p-receptor modulator

Family Cites Families (7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38405A (en) * 1966-12-28 1969-01-01 Ici Ltd Morpholine derivatives
GB1260886A (en) * 1969-06-20 1972-01-19 Ici Ltd Process for aryloxymethylmorpholine derivatives
BE759013R (fr) * 1969-11-17 1971-05-17 Ici Ltd Derives de la
BE758766A (fr) * 1969-11-17 1971-05-10 Ici Ltd Nouveaux derives de la morpholine et de la
US4116665A (en) * 1976-04-02 1978-09-26 Eli Lilly And Company Method of regulating the growth of aquatic weeds with pyridine derivatives
DE2715138B2 (de) 1977-04-05 1980-02-07 Forbach Gmbh & Co Kg, 8740 Bad Neustadt Wasserbehälter aus Kunststoff fur einen Heißwasserbereiter
IL56369A (en) * 1978-01-20 1984-05-31 Erba Farmitalia Alpha-phenoxybenzyl propanolamine derivatives,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IT1093255B (it) 1978-01-20 1985-07-19 Erba Carlo Spa Derivati fenossialcanolaminici
CA1215067A (en) 1982-10-18 1986-12-09 Sudarshan K. Malhotra 2-(6-phenoxy-3-nitro-2-pyridinoxy)-propionate compounds
GB8419683D0 (en) * 1984-08-02 1984-09-05 Erba Farmitalia 3-substituted derivatives of 1-amino-2-hydroxy-propane
GB2167407B (en) * 1984-11-22 1988-05-11 Erba Farmitalia Enantiomers of phenoxy derivatives of benzyl morpholine and salts thereof
US4855143A (en) * 1986-04-04 1989-08-08 Hans Lowey Method of preparing controlled long-acting pharmaceutical formulations in unit dosage form having uniform and comparable bioavailability characteristics
US4851423A (en) * 1986-12-10 1989-07-25 Schering Corporation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US5750532A (en) * 1986-12-10 1998-05-12 Schering Corporation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US5272167A (en) * 1986-12-10 1993-12-21 Schering Corporation Pharmaceutically active compounds
FR2612926B1 (fr) * 1987-03-24 1989-06-09 Adir Nouveaux derives de la morphol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renfermant
FR2653999A1 (fr) 1989-11-06 1991-05-10 Adir Nouveaux derives de la morpholine,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renfermant.
US5376645A (en) 1990-01-23 1994-12-27 University Of Kansas Derivatives of cyclodextrins exhibiting enhanced aqueous solubility and the use thereof
KR0166088B1 (ko) 1990-01-23 1999-01-15 . 수용해도가 증가된 시클로덱스트린 유도체 및 이의 용도
JPH04185154A (ja) * 1990-11-20 1992-07-02 Nec Corp 中継台接続制御方式
AU642582B2 (en) * 1991-02-25 1993-10-21 Eli Lilly And Company Treatment of lower urinary tract disorders
US5783593A (en) 1993-11-04 1998-07-21 Abbott Laboratories Inhibitors of squalene synthetase and protein farnesyltransferase
TW344661B (en) * 1993-11-24 1998-11-11 Lilly Co Eli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continence
US5559135A (en) 1994-09-14 1996-09-24 Merck & Co., Inc. Endothelin antagonists bearing pyridyl amides
TW375612B (en) 1995-04-06 1999-12-01 Janssen Pharmaceutica Nv 1,3-dihydro-2H-imidazol-2-o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states related to an abnormal enzymatic or catalytic activity of phosphodiesterase type IV,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U717012B2 (en) 1995-11-17 2000-03-16 Merck & Co., Inc. Novel substituted aryl compounds useful as modulators of acetylcholine receptors
US6423708B1 (en) * 1996-09-30 2002-07-23 Pfizer Inc Aralkyl and aralkylidene heterocyclic lactams and imides
UA56185C2 (uk) 1996-09-30 2003-05-15 Пфайзер Інк. Аралкіл- та аралкіліденгетероциклічні лактами та іміди,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та спосіб лікування
GB9700504D0 (en) 1997-01-11 1997-02-26 Pfizer Ltd Pharmaceutical compounds
GB9711643D0 (en) 1997-06-05 1997-07-30 Janssen Pharmaceutica Nv Glass thermoplastic systems
US5945117A (en) * 1998-01-30 1999-08-31 Pentech Pharmaceuticals, Inc. Treatment of female sexual dysfunction
AU762726B2 (en) 1998-03-31 2003-07-03 Acadia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with activity on muscarinic receptors
US6528529B1 (en) * 1998-03-31 2003-03-04 Acadia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with activity on muscarinic receptors
UA66842C2 (uk) 1998-04-01 2004-06-15 Янссен Фармацевтика Н.В. Похідні піридину як інгібітори pde iv
EP1104411A4 (en) * 1998-08-12 2002-10-24 Smithkline Beecham Corp CALCILYTIC COMPOUNDS
TR200101885T2 (tr) 1998-12-29 2002-01-21 Pharmacia & Upjohn Company Aril eterler hazırlamak için yöntem.
KR100660594B1 (ko) 1999-03-31 2006-12-22 얀센 파마슈티카 엔.브이. 방출 조절형 제제중의 프리젤라틴화 전분
PT1196172E (pt) * 1999-07-01 2006-05-31 Pharmacia & Upjohn Co Llc (s,s)-reboxetina para tratar a dor cronica
CN1374953A (zh) * 1999-09-16 2002-10-16 田边制药株式会社 含氮的6-员芳香环化合物
AU2439701A (en) 1999-12-17 2001-06-25 Ariad Pharmaceuticals, Inc. Novel heterocycles
EP1263732A1 (en) 2000-01-18 2002-12-11 Pfizer Products Inc.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antagonists
US7273868B2 (en) * 2000-04-28 2007-09-25 Tanabe Seiyaku Co., Ltd. Pyrazine derivatives
NZ522217A (en) 2000-04-28 2004-04-30 Tanabe Seiyaku Co Cyclic compounds
AU2002213830A1 (en) 2000-10-31 2002-05-15 Head Explorer A/S The use of selective noradrenaline reuptak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tension-type headache
US20020161002A1 (en) * 2001-01-02 2002-10-31 Mel Epstein Use of catecholamine reuptake inhibitors to enhance memory
US6884619B2 (en) 2001-07-17 2005-04-26 Yale University Inhibition of BEHAB cleavage and primary central nervous system (CNS) tumors
US20030191110A1 (en) 2001-11-01 2003-10-09 Martyn Botfield Modulators of the cholesterol biosynthetic pathway
US6635675B2 (en) * 2001-11-05 2003-10-21 Cypress Bioscience, Inc. Method of treating chronic fatigue syndrome
US6602911B2 (en) * 2001-11-05 2003-08-05 Cypress Bioscience, Inc. Methods of treating fibromyalgia
US20040034101A1 (en) * 2001-11-05 2004-02-19 Cypress Bioscience, Inc.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pression secondary to pain (DSP)
PL369311A1 (en) * 2001-12-11 2005-04-18 Eli Lilly And Company Use of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ognitive failure
US20030187026A1 (en) * 2001-12-13 2003-10-02 Qun Li Kinase inhibitors
AU2003201273A1 (en) 2002-01-04 2003-07-30 Poseidon Pharmaceuticals A/S Potassium channel modulators
US20050009927A1 (en) * 2002-01-23 2005-01-13 Pfizer Inc Combination of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and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US6962932B2 (en) * 2002-02-15 2005-11-08 Schering Aktiengesellschaft 1-phenyl-2-heteroaryl-substituted benzimdazole derivatives, their use for the production of pharmaceutical agents as well as pharmaceutical preparations that contain these derivatives
EP1485078B1 (en) * 2002-03-15 2012-09-26 Cypress Bioscience, Inc. Milnacipran for the treatment of irritable bowel syndrome
GB0215392D0 (en) 2002-07-03 2002-08-14 Glaxo Group Ltd Chemical compounds
US20040034019A1 (en) * 2002-08-08 2004-02-19 Ronald Tomlinson Piperazine and piperidine derivatives
WO2004018840A1 (en) 2002-08-15 2004-03-04 Schlumberger Canada Limited Use of distributed temperature sensors during wellbore treatments
ATE413882T1 (de) * 2002-08-23 2008-11-15 Lilly Co Eli 2-(phenylthiomethyl)- morpholin-derivate zur verwendung als selektive norepinephrin- wiederaufnahme-inhibitoren
DE60305717T2 (de) * 2002-08-23 2007-05-03 Eli Lilly And Co., Indianapolis Benzylmorpholinderivate
GB0219687D0 (en) 2002-08-23 2002-10-02 Lilly Co Eli Benzyl morpholine derivatives
WO2004048860A1 (fr) 2002-11-27 2004-06-10 Chabanov Alim I Procede pour construire des installations energetiques solaires haute puissance
JP2004189738A (ja) 2002-11-29 2004-07-08 Nippon Nohyaku Co Ltd 置換アニリド誘導体、その中間体及び農園芸用薬剤並びにその使用方法
AU2003290363A1 (en) 2002-12-24 2004-07-22 Amedis Pharmaceuticals Ltd. Therapeutic use of selective noradrenaline reuptake inhibitors
TW200505902A (en) * 2003-03-20 2005-02-16 Schering Corp Cannabinoid receptor ligands
WO2005000309A2 (en) 2003-06-27 2005-01-06 Ionix Pharmaceuticals Limited Chemical compounds
GB0319793D0 (en) * 2003-08-22 2003-09-24 Lilly Co Eli Pyridinylmorpholine derivatives
CA2532349A1 (en) 2003-08-27 2005-03-10 Eli Lilly And Company Treatment of stuttering and other communication disorders with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US20060241188A1 (en) 2003-08-27 2006-10-26 Elililly And Company Treatment of pervasive developemental disorders with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WO2005020975A2 (en) 2003-08-27 2005-03-10 Eli Lilly And Company Treatment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motor skills disorder with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WO2005025563A1 (en) * 2003-09-12 2005-03-24 Warner-Lambert Company Llc Combination comprising an alpha-2-delta ligand and an ssri and/or snri for treatment of depression and anxiety disorders
ATE423772T1 (de) 2003-12-23 2009-03-15 Lilly Co Eli Morpholinderivate als inhibitoren der wiederaufnahme von norepinephrin
DE102004005545B4 (de) 2004-02-04 2018-10-31 Siemens Healthcare Gmbh Verbindungsanordnung und Flachbaugruppe
GB0409744D0 (en) * 2004-04-30 2004-06-09 Pfizer Ltd Novel compounds
AU2005238296A1 (en) * 2004-04-30 2005-11-10 Warner-Lambert Company Llc Substituted morpholine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Y28876A1 (es) 2005-11-30
GEP20084550B (en) 2008-11-25
EA200601798A1 (ru) 2007-04-27
US7659394B2 (en) 2010-02-09
MA28555B1 (fr) 2007-04-03
JP4185154B2 (ja) 2008-11-26
NL1028924C2 (nl) 2006-04-27
SV2006002098A (es) 2006-02-15
GT200500097A (es) 2005-12-12
TW200600506A (en) 2006-01-01
AU2005238296A1 (en) 2005-11-10
AP2006003771A0 (en) 2006-10-31
NL1028924A1 (nl) 2005-11-01
US20050245519A1 (en) 2005-11-03
PE20060680A1 (es) 2006-08-11
AR049335A1 (es) 2006-07-19
CN1950348A (zh) 2007-04-18
MXPA06012505A (es) 2006-12-15
ECSP066962A (es) 2006-12-20
TNSN06348A1 (fr) 2008-02-22
NO20065456L (no) 2007-01-04
JP2008019267A (ja) 2008-01-31
EP1745029A1 (en) 2007-01-24
ZA200608628B (en) 2009-01-28
KR100943555B1 (ko) 2010-02-22
IL178648A0 (en) 2007-02-11
WO2005105763A1 (en) 2005-11-10
BRPI0510453A (pt) 2007-10-30
CA2564994A1 (en) 2005-11-10
JP2007535530A (ja) 2007-12-06
CR8718A (es) 2007-07-24
PA8631301A1 (es)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555B1 (ko) 중추신경계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치환된 모르폴린 화합물
JP4056081B1 (ja) ピリジン誘導体
TWI421250B (zh) 衍生物及其用於治療神經性疾病之用途
JP6517340B2 (ja) 6,7−ジヒドロピラゾロ[1,5−a]ピラジン−4(5H)−オン化合物およびMGLUR2受容体の負のアロステリック調節因子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TW200911254A (en) Oxadi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metabotropic glutamate receptor potentiators-842
TW201313706A (zh) 新穎□衍生物及其治療疾病之用途
TW200804353A (en) Pyrazine derivatives
JP6975515B2 (ja) Trpa1モデュレーターとしてのスルホニルシクロアルキルカルボキサミド化合物
JP2008501775A (ja) オキシトシン拮抗剤としての置換トリアゾール誘導体
US9662337B2 (en) Bisaryl (thio)morpholine derivatives as S1P modulators
JP2013513615A (ja) 脂肪酸アミドヒドロラーゼのアゾ環状阻害薬
JP2010515769A (ja) 疼痛を治療するためのモルホリンドーパミン作動薬
TW201242956A (en) Heterocyclic compounds
JP2008542198A (ja) β‐アミノ酸誘導体
US20060030566A1 (en) Novel quinoxalinone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ZA200603680B (en) Morpholine derivatives as 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s
JP2020502063A (ja) mGluR7調節疾患、障害、または病状を処置するためのmGluR7アゴニスト化合物
TW201206918A (en) Chemical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