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284A - 배관용 폼패드 - Google Patents

배관용 폼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284A
KR20070006284A KR1020050061465A KR20050061465A KR20070006284A KR 20070006284 A KR20070006284 A KR 20070006284A KR 1020050061465 A KR1020050061465 A KR 1020050061465A KR 20050061465 A KR20050061465 A KR 20050061465A KR 20070006284 A KR20070006284 A KR 20070006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pad
pipe
shell
foam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2243B1 (ko
Inventor
정향자
Original Assignee
정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향자 filed Critical 정향자
Priority to KR102005006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2243B1/ko
Publication of KR20070006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2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2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6Mattresses, mats, blank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9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신규의 개량 구조를 갖는 배관용 폼패드가 제공된다. 상기 폼패드는 폼패드 외피와, 상기 폼패드 외피의 전체적인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적층되어 제공되는 폼패드 내피를 포함하며, 상기 폼패드 내피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취된 복수 개의 절취부를 포함하고, 상기 폼패드 내피는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불연속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용 폼패드{FOAM PAD FOR PIPE}
도 1은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폼패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1의 (a)는 상기 폼패드가 이중 보온관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 1의 (b)는 상기 폼패드가 이중 보온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의 (c)는 도 1의 (b)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폼패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2의 (a)는 상기 폼패드가 이중 보온관에 장착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며, 도 2의 (b)는 상기 폼패드가 이중 보온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의 (c)는 도 2의 (b)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폼패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설치되는 배관의 직경에 상응하게 둥근 형태로 감긴 폼패드를 보여주며, 도 3의 (b)는 상기 폼패드가 배관 둘레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준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200 : 폼패드
120. 220 : 폼패드 외피
140, 240 : 폼패드 내피
160, 260 : 절취부
본 발명은 보일러나, 산업 기계, 지역 난방용 등의 배관 파이프의 둘레에 감아 온도의 손실을 방지하는 단열재 및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는 충격 완충재, 특히 폼패드(foam pad)에 관한 것이다.
산업 설비 또는 지역 난방용으로 통상적으로 파이프를 설치하여 온수 등을 공급한다. 일반 배관의 둘레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열의 누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기도 한다. 특히, 지역 난방 배관의 경우, 이중 보온관을 통해 난방용 온수가 공급되는데, 온수가 전달되는 과정에서 온수의 빠른 유속으로 인해 이중 보온관의 곡관부에 충격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이중 보온관이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은 매립된 이중 보온관을 파손시키기도 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폼패드를 설치한다. 이러한 이중 보온관 및 폼패드의 한 가지 설치 구조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라 이중 보온관의 둘레에 제공되는 배관용 폼패드(300)는 통상적으로, 상기 이중 보온관의 둘레에 제공되어 그 보온관을 에워싸는 폼패드 내피(320)와 상기 내피 둘레에 접합되어 그 내피를 보호하는 폼패드 외피(34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폼패드(300)는 가교 발포 폴리 에틸렌 등으로 제조되고, 이중 보온관의 시공시 그 둘레에 설치되어, 파이프를 유속에 의한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폼패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폼패드는 그 두께(내피+외피)가 통상 50 mm ~ 100 mm에 이르고, 몇몇 이중 보온관에 따라서는 그보다 더 큰 두께를 갖고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 등으로 제조한 폼패드는 직경이 얇은 경우에는 어느 정도 배관의 형상에 맞게 둥글게 감을 수도 있지만, 지역 난방 배관과 같이 직경이 큰 보온관을 완충 및 단열시키기 위해 제공되는 폼패드는 그 직경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현장에서 둥글게 감을 수는 없고(예컨대, 통상의 지우개처럼) 공장에서 그러한 직경에 맞게 둥글게 감은 형태로 제조하여 시공 현장으로 제공되고 있다(도 3의 (a) 참조). 또한, 원통형의 폼패드를 이중 보완관에 취부시 직경이 큰 이중 보온관, 예컨대 이중 보온관 850A(외경 1100 mm)에 폼패드를 취부하기 위해서는 원통형의 폼패드를 최소 1100 mm 이상 벌려야만 하므로, 원형의 폼패드 형태가 변형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한편, 배관이 직관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경우에는, 공장에서 제조한 채, 즉 둥글게 말린 채 제공되는 폼패드를 적절히 절단하고 벌려 배관 둘레에 장착할 수 있지만, 배관은 직관뿐만 아니라, 만곡된 배관, 즉 곡관, 예컨대 배관의 경로가 바뀌는 부분의 곡관도 포함하고 있어, 설치시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폼패드는 그 두께가 현장에서 바로 둥글게 감아 배관에 설치할 정도로 얇지 않기 때문에, 제조 공장에서 배관의 형태에 맞게 그 형태를 둥글게 고정하여 제조한 채 현장으로 제공된다. 이때, 직관과는 달리 곡관의 경우, 그 곡률로 인해 둥글게 말린 폼패드를 바로 곡관에 설치할 수 없고, 곡관의 길이 내지는 곡률에 상 응하게 폼패드의 일부를 작업자가 대충 눈대중으로 절단하여 장착하고 있는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또한, 폼패드는 단순히 단열재로서뿐만 아니라, 외부 충격으로부터도 배관을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배관의 경로가 직각으로 바뀌는 직관의 경우 배관 내부에서 빠르게 유동하는 온수에 의해 실질상 그 유동 경로 방향(좌우 방향)으로만 배관에 상당한 충격력이 가해진다. 즉, 경로가 바뀌는 상하 방향으로는 실질상 빠른 유속의 온수에 의해 배관이 충격이 받는 일은 거의 없지만, 상기한 구조의 폼패드는 곡관의 모든 부분을 에워쌀 수 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 기술의 폼패드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장에서 배관의 형태에 맞게 두꺼운 폼패드를 둥근 형태로 감은 채 시공 현장에 제공하지 않아도, 현장에서 쉽게 두꺼운 폼패드를 감을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폼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관 뿐만 아니라, 배관의 경로가 직각으로 바뀌는 부분에 제공되는 곡관에도 용이하게 현장에서 바로 장착할 수 있도록 곡관의 곡률 및 곡절에 따른 폼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관과는 달리 곡관의 경우 배관 내부에서 빠른 속도로 흐르는 물에 의해 실질상 그 흐름 방향으로만 큰 충격력을 받고 그 흐름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는 거의 충격력을 받지 않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수직 방향으 로는 폼패드를 두껍게 구성하지 않음으로써 폼패드의 전체 중량을 감소시키고 그에 따라 폼패드의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구조의 폼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라 개량 구조의 배관용 폼패드가 제공되는데, 상기 폼패드는 폼패드 외피와, 상기 폼패드 외피의 전체적인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적층되어 제공되는 폼패드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폼패드 내피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취된 복수 개의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개량 구조의 배관용 폼패드가 제공되는데, 이 폼패드는 폼패드 외피와, 상기 폼패드 외피의 전체적인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적층되어 제공되는 폼패드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폼패드 내피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취된 복수 개의 절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폼패드 내피는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불연속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는 2개의 폼패드 내피가 제공되고, 이들 폼패드 내피는 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폼패드 내피는 설치되는 배관의 곡절 각도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취부는 V자 형태로 절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취부의 절취각은 약 10°내지 약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폼패드 외피는 융접, 접착 및 가압 융착 중 적어도 한 가지 방법에 따라 상기 폼패드 외피에 적층되어 접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폼패드는 둥글게 말린 형태가 아닌 펼쳐진 형태로 시공 현장에 제공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이 이중 보온관에 적용되는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일반적인 배관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한 이하의 설명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폼패드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의 (a)는 실제 시공 현장에 제공되는 형태의 배관용 폼패드(100)와 이중 보온관을 보여주며, 도 1의 (b)는 상기 폼패드가 실제 이중 보온관의 둘레에 장착되었을 때의 사시도이고, 도 1의 (c)는 도 1의 (b)의 정면도이다.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용 폼패드(100)는 평면 형태의 폼패드 외피(120)와, 상기 폼패드 외피의 전체적인 형태와 상응하는 평면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폼패드 외피(120)의 일면에 적층되어 제공되는 폼패드 내피(14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폼패드 내피(140)는 그 두께 방향의 적어도 일부 에 걸쳐 절취된 복수 개의 절취부(160)를 포함하고 있다.
도면을 통해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폼패드(100)는 종래 기술과 달리, 그 내피(140)에 복수 개의 절취부(160)가 제공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폼패드(300)의 경우 그 두께가 너무 두껍고 재료의 특성상, 현장에서 배관 둘레에 감싸기에는 잘 휘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조 공장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배관의 직경에 맞춰 제조되어 시공 현장에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폼패드 내피(140)에 절취부(160)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폼패드와 그 두께가 동일하다 하더라도, 보다 잘 휘어져 둥근 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폼패드를 제조할 때, 제조 공장에서는 굳이 시공 현장의 배관의 직경을 고려하여 폼패드를 둥글게 감을 필요 없이, 단순히 폼패드 외피(120)의 일면에 상기 구조의 폼패드 내피(140)를 적층하여, 평면 형태로 시공 현장에 제공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설치하고자 하는 배관의 직경에 맞게 폼패드를 둥글게 감을 필요가 없이, 단순히 평면 형태의 폼패드를 제조하기만 하면 되므로, 폼패드의 제조 및 시공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폼패드 내피(140)는 접착, 융착 및 가압 융착 중 적어도 한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폼패드 외피(120)의 일면에 접합된다.
상기 절취부(140)는 V자 형태로 절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절취하였을 때 보다 쉽게 폼패드가 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절취부의 절취 각도는 폼 패드의 두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시공하고자 하는 배관의 직경에 따라 폼패드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그 절취각을 작게 하여도 본 발명이 제공하고자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취부의 절취각, 즉 V자 절취부에 있어서, 그 대칭축을 중심으로 대칭축으로부터 절취면에 이르는 각(β)은 약 10°내지 30°이다.
또한, 배관 파이프의 규격에 따라, 배관의 직경이 증가할수록 폼패드의 두께, 즉 폼패드 외피 및 내피의 두께의 합은 증가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폼패드를 이용하면, 두께가 약 50 mm 내지 약 100 mm에 이르는 종래의 폼패드와 달리 약 30 mm 내지 60 mm 정도로만 제조하여도 폼패드가 갖추어야 할 기능들이 발휘된다.
상기한 구조의 폼패드(100)가 시공 현장에 제공되면, 폼패드는 그 내피의 절취부(160)로 인해 잘 휘어지게 되므로, 작업자는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폼패드를 배관 둘레에 감싸서 장착하면 된다. 폼패드(100)가 이중 보온관의 둘레에 장착된 형태가 도 1의 (b)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1의 (c)는 그 정면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폼패드(100)는 시공 현장의 배관의 직경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또 배관 둘레에 바로 현장에서 감아 장착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배관의 직경을 감안하여 폼패드를 감아 제공할 필요도 없게 되고, 그 설치 작업 역시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폼패드를 벌려 배관 둘레에 장착하는 기존의 폼패드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폼패드는 평면 형태로 시공 현장에 제공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설치에 따른 폼패드 변형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
한편, 도 2에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폼패드(200)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실시예의 경우, 통상의 직관 또는 배관의 경로가 직각으로 바뀌는 배관의 둘레에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다. 그러나, 배관이 직각으로 바뀌는 경우도 있지만, 배관 환경에 따라서는 배관이 소정의 각도를 두고 그 경로가 바뀌는 경우도 있다. 도 2는 이러한 경우에 폼패드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폼패드의 한 가지 실시예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2의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폼패드(200)는 도 1의 폼패드(100)와 마찬가지로, 폼패드 외피(220)와 폼패드 내피(240)를 포함하며, 폼패드 내피(240)에는 복수 개의 절취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을 통해 명확하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폼패드(200)는 연속된 형태의 폼패드 내피(140)를 포함하는 폼패드(100)와는 달리, 불연속 형태, 즉 복수 개의 분할된 폼패드 내피(240)를 포함하고 있다.
즉, 폼패드가 설치되는 배관에 따라서는, 그 배관 둘레 전체를 폼패드로 에워쌀 필요가 없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배관의 경로가 직각으로 바뀌어지는 곡관의 경우에는 그 원래의 배관 경로를 따라 공급되는 빠른 유속의 온수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방향으로만 배관을 감싸고 그 수직 방향으로는 굳이 배관을 감싸지 않아도, 곡관 부분의 단열이나 충격 완화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현장에서 폼패드를 배관 둘레에 바로 감을 수 없다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폼패드 내피를 외피 전체에 걸쳐 접합한 구조의 폼패드를 제공할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불필요하게 과잉 재료를 사용하여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폼패드 내피(140, 240)에 제공되는 절취부(160, 260)로 인하여, 평면 형태로 폼패드를 제공하여도 시공 현장에서 배관 둘레에 폼패드를 감을 수가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과 같이 폼패드 내피를 폼패드 외피 전체에 걸쳐 접합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폼패드 내피 제조에 사용되는 재료, 예컨대 발포 폴리에틸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즉, 도 2의 (a)에 명확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폼패드 내피(240)는 연속적이 아니라, 불연속적으로 즉 2개의 폼패드 내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폼패드 내피는 폼패드가 설치되는 직관을 고려하여, 그 사이에 간격(L3)을 두고 폼패드 외피(220)에 접합된다(즉, L1 영역). 이러한 구조의 폼패드(200)가 이중 보온관에 설치된 모습이 도 2의 (b)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의 (c)는 그 단면도이다.
도 2의 (b) 및 (c)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폼패드(200)는 그 내피(240)가 이중 보온관의 좌우 양측부에만 제공되며, 상하 부분에는 제공되지 않으므로 그에 상응하게 폼패드 내피 재료의 양을 줄일 수가 있고, 이는 결국 폼패드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도 2의 실시예는 각 배관의 형태에 맞게 현장에서 쉽게 폼패드를 배관 둘레에 설치할 수가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배관은 그 구조상 직관으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설치 환경을 고려하여 그 경로가 직각, 사선 구조(예컨대, 사각형의 모퉁이를 자른 형태) 등 여러 가지 형태로 바뀔 수가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배관 형태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폼패드를 작업자의 경험 내지 눈대중에 기초하여, 상기 배관에 형태에 맞게 절취하여 설치하였다. 그러 나, 본 발명에 따르면,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의 (a)에 도시한 폼패드에 있어서, 그 내피(240)를 배관의 경로가 바뀌는 각도 내지는 곡절각에 맞추어, 예컨대 사선 형태로 외피에 부착하거나 절취하여 제공하면 간편하게 곡관 둘레에 설치할 수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폼패드는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배관의 형태에 맞게 둥근 형태로 감을 수가 있다. 따라서, 폼패드를 배관의 직경에 맞게 미리 둥근 원형 형태로 대량 생산하여 제작한 후 시공 현장에 제공할 필요가 없고, 시공 현장의 다양한 직경의 배관 모양에 맞게 폼패드를 감아 배관에 설치할 수가 있고, 그에 따라 설치시 일어날 수 있는 폼패드 변형 문제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관 전체를 폼패드 내피로 감을 필요가 없는 곡관 등의 경우 곡관 일부에는 폼패드의 내피가 제공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관의 특성에 맞게 폼패드를 구성할 수 있고 또 폼패드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

Claims (9)

  1. 폼패드 외피와,
    상기 폼패드 외피의 전체적인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적층되어 제공되는 폼패드 내피
    를 포함하고,
    상기 폼패드 내피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취된 복수 개의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폼패드.
  2. 폼패드 외피와,
    상기 폼패드 외피의 전체적인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적층되어 제공되는 폼패드 내피
    를 포함하고,
    상기 폼패드 내피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취된 복수 개의 절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폼패드 내피는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불연속 형태로 제공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폼패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폼패드 내피는 실질상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 전체에 걸쳐 연속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폼패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는 2개의 폼패드 내피가 제공되고, 이들 폼패드 내피는 그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폼패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폼패드 내피는 설치되는 배관의 곡절 각도에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폼패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V자 형태로 절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폼패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의 절취각은 약 10°내지 약 30°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배관용 폼패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패드 외피는 융접, 접착 및 가압 융착 중 적어도 한 가지 방법에 따라 상기 폼패드 외피에 적층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폼패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패드는 둥글게 말 린 형태가 아닌 펼쳐진 형태로 시공 현장에 제공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폼패드.
KR1020050061465A 2005-07-08 2005-07-08 배관용 폼패드 KR100892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465A KR100892243B1 (ko) 2005-07-08 2005-07-08 배관용 폼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1465A KR100892243B1 (ko) 2005-07-08 2005-07-08 배관용 폼패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9891U Division KR200401240Y1 (ko) 2005-07-08 2005-07-08 배관용 폼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284A true KR20070006284A (ko) 2007-01-11
KR100892243B1 KR100892243B1 (ko) 2009-04-09

Family

ID=3787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1465A KR100892243B1 (ko) 2005-07-08 2005-07-08 배관용 폼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22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308B1 (ko) * 2008-08-12 2009-08-04 안상복 일체형 배관과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WO2009134992A3 (en) * 2008-05-01 2010-01-14 Cabot Corporation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insulated pipes or element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6489B1 (ko) * 2015-03-11 2017-04-12 최석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KR102264113B1 (ko) 2020-09-14 2021-06-14 (주)대승아이앤피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제조방법
KR20240031773A (ko) 2022-09-01 2024-03-08 이경란 열배관용 내열성 폼패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798A (ja) * 1992-09-17 1994-04-12 Nitto Denko Corp 長尺被覆材
KR100207443B1 (ko) * 1992-09-26 1999-07-15 윤종용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H08296787A (ja) * 1995-04-26 1996-1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防音カバー
KR980010089A (ko) * 1996-07-01 1998-04-30 김종목 관 단열 보호재
JPH11182784A (ja) * 1997-12-22 1999-07-06 Nichias Corp 断熱材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34992A3 (en) * 2008-05-01 2010-01-14 Cabot Corporation Manufacturing and installation of insulated pipes or elements thereof
KR100910308B1 (ko) * 2008-08-12 2009-08-04 안상복 일체형 배관과 이를 제조하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2243B1 (ko)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2243B1 (ko) 배관용 폼패드
ES2288256T3 (es) Procedimiento para producir camisas de tuberias a partir de lana mineral.
JP2017009072A (ja) 複合管
JP5279747B2 (ja) 中空の金属部材の補強構造、中空の金属部材の補強方法
KR200401240Y1 (ko) 배관용 폼패드
KR100915630B1 (ko) 배관용 단열커버 및 그 시공방법
CN204704478U (zh) 基于t型截面变形元件的深水管中管止屈器
CN102954309A (zh) 一种蒸汽直埋管
KR20200112239A (ko) 이중보온관
KR101726489B1 (ko)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CN208845884U (zh) 一种抗弯抗压的保温ppr管
CN207961777U (zh) 具有支撑加强筋结构的螺旋波纹管
CN203560653U (zh) 出地面弯管
US3139253A (en) Insulated hose clamps
KR101949228B1 (ko) 덕트용 보온 단열재
JPH01214626A (ja) 真空二重管
JP2534155B2 (ja) 流体管の二重配管における消音構造の組付方法
CN202955402U (zh) 一种蒸汽直埋管
JP6314630B2 (ja) 断熱耐火被覆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102581440B1 (ko)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KR102582081B1 (ko) 단열재 설치를 위한 파이프용 스페이서
JP7426024B2 (ja) 配管の断熱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264113B1 (ko)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제조방법
RU2109201C1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труб для защиты при разрывах
CN105443865B (zh) 一种基于t型截面变形元件的深水管中管止屈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