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489B1 -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 Google Patents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489B1
KR101726489B1 KR1020150033885A KR20150033885A KR101726489B1 KR 101726489 B1 KR101726489 B1 KR 101726489B1 KR 1020150033885 A KR1020150033885 A KR 1020150033885A KR 20150033885 A KR20150033885 A KR 20150033885A KR 101726489 B1 KR101726489 B1 KR 101726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ipe
foam
bending part
foam pad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09464A (ko
Inventor
최석수
Original Assignee
최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수 filed Critical 최석수
Priority to KR1020150033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489B1/ko
Publication of KR2016010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4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5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a single unit having both a severing tool and a weld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4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shells, to form hollow articles, e.g. for making balls, containe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e.g. half-cylinders, to form tubular 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2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cracking or buck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7/00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 F16L57/06Protection of pipes or objects of similar shape against external or internal damage or wear against w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3EVA, i.e. ethylene vinyl acetate copolymer

Abstract

본 발명은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난방수를 공급하기 위한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이 매설되어 있는 지중(地中)에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지반으로부터 빗물이 침투되어 점질 토양이 흘러내리면서 불거진 자갈이나 돌에,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의 내관을 흐르는 난방수의 열팽창 현상에 의해 열배관의 곡관부가 좌우로 심한 떨림 현상이 발생할 때 서로 부딪혀서 열배관 곡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배관 곡관부에 설치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1)은, PE(폴리에틸렌)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장방형 판상체의 폼시트(foam-sheet, 100)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되 선단부의 접착부(210)와 중앙부의 연결부(220) 및 후단부의 융착부(230)로 구분되며 상기 접착부(210)에는 이형지(240)가 구비되어 점착면이 보호되는 결합외피(200)와, 상기 폼시트(100)를 권취하며 열융착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기 위한 소정 규격별 치공구(O)를 준비하는 전처리단계(S1)와; 소요되는 열배관 규격에 맞취 상기 전처리단계(S1)에서 준비된 소정 규격의 치공구(O) 외주면에 폼시트(100)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치공구(O)를 소정 횟수 회전시켜 폼시트(100)를 권취하며 열융착 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는 관상체 형성단계(S2)와; 상기 관상체 형성단계(S2)에서 형성된 관상체(P)의 종단면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 절개하여 C형의 4등분체인 C형폼(C-Type foam, C)을 형성하는 C형폼 형성단계(S3)와; 상기 C형폼 형성단계(S3)에서 형성된 C형폼(C)의 외면 원주면에 상기 전처리단계(S1)에서 준비된 결합외피(200)를 열융착 접합하는 결합외피 융착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가 제공된다.
본발명에 의하면, 지중(地中)에 열배관이 매설된 이후 오랜 기간이 지나면서 지반으로부터 침투된 빗물로 인해 흙속의 점질 토양이 흘러내려 돌출되는 자갈이나 돌에, 난방수의 열팽창 현상에 의해 열배관의 곡관부에 심한 좌우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열배관 곡관부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를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설치공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재료의 낭비가 없어 폼패드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Pre-Insulated Pipe foam manufacturing method and Pre-Insulated Pipe foam manufactured by thereof}
본 발명은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역난방수를 공급하기 위한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이 매설되어 있는 지중(地中)에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지반으로부터 빗물이 침투되어 점질 토양이 흘러내려가 불거진 자갈이나 돌에,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의 내관을 흐르는 난방수의 열팽창 현상에 의해 열배관의 곡관부가 심하게 좌우로 흔들리게 될 때 서로 부딪치게 되어 열배관 곡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배관 곡관부에 설치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에 관한 것이다.
지역난방이란 열생산 시설에서 100℃이상으로 가열된 난방수(중온수)를 아파트나 빌딩 등의 기계실로 공급하고 상기 기계실로부터 일괄적으로 온수와 급탕을 공급받아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난방방식이다.
상기의 난방수는 도로 하천 등의 지중(地中)에 매설된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을 통해 아파트나 빌딩 등의 기계실로 공급된다.
상기의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은 난방수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난방수가 흐르는 강관인 내측의 내관(carrier pipe)과, 고밀도폴리에틸렌 수지(high density polyethylene)로 된 외측의 외관 그리고 내관과 외관 사이에 충진되는 우레탄폼(urethane foam)의 단열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의 내관에는 110℃ 내외의 뜨거운 물이 16kgf/㎠ 이하의 압력으로 흐르기 때문에 온도에 의한 관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고 난방수에 의한 열팽창 현상으로 인해 열배관 곡관부에는 상하 방향으로는 크게 유동이 없지만 좌우방향으로는 심한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은 성질상 주로 지하에 매설되는데 이는 지중마찰력에 의해 열배관 곡관부의 좌우 떨림 현상을 억제해 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오랜 세월에 걸쳐 지반으로부터 침투된 빗물로 인해 지중(地中)의 점질 토양이 흘러내려가면서 지중(地中)에는 자갈이나 돌이 불거지게 된다.
따라서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의 내관을 흐르는 난방수의 열팽창 현상에 의해 열배관 곡관부의 좌우 떨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지중(地中)에 불거진 자갈이나 돌과 서로 부딪히게 되어 열배관 곡관부가 파손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 중의 하나로 열배관 곡관부의 떨림폭에 상응하는 지중(地中)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열배관 곡관부에 폼패드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열배관의 직관부 또는 곡관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사상과 근사한 발명사상에 의해 제공되는 열배관용 폼패드로써는, 2009.4.1일자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제10-0892243호 "배관용 폼패드" 에, "배관용 폼패드로서, 폼패드 외피와, 상기 폼패드 외피의 전체적인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적층되어 제공되는 2개의 폼패드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폼패드 내피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취된 복수 개의 절취부를 포함하며, 상기 폼패드 내피는 상기 배관용 폼패드가 설치되는 배관의 직경에 상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불연속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폼패드는 둥글게 말린 형태가 아닌 펼쳐진 형태로 시공 현장에 제공되는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폼패드."가 제공되어 있고,
1998.4.30일자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010089호 "관 단열 보호재"에는, "판상체로서 길이 방향으로 다소 길며 일정한 두께로 구성되는 시트 보온재와 시트 보온재 저면으로 불투수성 재질의 얇은 방수막이 일체로 부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으로, 시트 보온재 상부면으로는 사각 또는 톱니 형상등 필요로 하는 형태 구조로 요철부가 길이 방향으로 직선열 또는 나선열을 갖도록 구성되고, 시트 보온재 가로 방향 양측 단면은 관 보호재 설치시 양측 단면의 밀착 결합이 용이하도록 상부쪽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방수막은 시트 보온재 가로방향 일측 단부로 시트 보온재보다 다소 길게 구성되어 지는 것으로, 요철부의 일측면을 설치할 관 외주면에 밀착시키고 보온재를 관 외주면을 따라 감아 돌린 후 양측 경사면을 맞대어 밀착시키고, 다소 길게 구성된 방수막을 밀착면 결합부위를 감싸도록하여 열풍 또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 구성시키는 관 단열 보호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배관용폼패드' 및 '관 단열 보호재'는 열손실을 차단하는 데에는 업계에 일조를 하였으나, 열배관의 곡관부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두꺼운 폼패드를 곡관부의 형태에 따라 감아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설치공사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아니라, 외피 상부의 내피에 V-컷팅한 절취부를 형성해야 하는 관계로 공정이 번거롭고 이에 따른 재료의 낭비가 심하여 곡관부 폼패드의 생산원가 상승요인으로 작용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이 매설되어 있는 지중(地中)에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지반으로부터 빗물이 침투되어 지중(地中)의 점질 토양이 흘러내리면서 불거진 자갈이나 돌에,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의 내관을 흐르는 난방수의 열팽창 현상에 의해 열배관의 곡관부에 심한 좌우 떨림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서로 부딪혀서 열배관 곡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를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설치공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재료의 낭비가 없어 폼패드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1)은, PE(폴리에틸렌)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장방형 판상체의 폼시트(foam-sheet, 100)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되 선단부의 접착부(210)와 중앙부의 연결부(220) 및 후단부의 융착부(230)로 구분되며 상기 접착부(210)에는 이형지(240)가 구비되어 점착면이 보호되는 결합외피(200)와, 상기 폼시트(100)를 권취하며 열융착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기 위한 소정 규격별 치공구(O)를 준비하는 전처리단계(S1)와; 소요되는 열배관 규격에 맞취 상기 전처리단계(S1)에서 준비된 소정 규격의 치공구(O) 외주면에 폼시트(100)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치공구(O)를 소정 횟수 회전시켜 상기 폼시트(100)를 권취하며 열융착 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는 관상체 형성단계(S2)와; 상기 관상체 형성단계(S2)에서 형성된 관상체(P)의 종단면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 절개하여 C형의 4등분체인 C형폼(C-Type foam, C)을 형성하는 C형폼 형성단계(S3)와; 상기 C형폼 형성단계(S3)에서 형성된 C형폼(C)의 외면 원주면에 상기 전처리단계(S1)에서 준비된 결합외피(200)의 융착부(230)를 열융착 접합하여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를 형성하는 결합외피 융착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에 의하면, 지중(地中)에 열배관이 매설된 이후 오랜 기간이 지나면서 지반으로부터 침투된 빗물로 인해 흙속의 점질 토양이 흘러내려 돌출되는 자갈이나 돌에, 난방수의 열팽창 현상에 의해 열배관의 곡관부에 심한 좌우 떨림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열배관 곡관부가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를 설치함에 있어서, 설치작업이 용이하여 설치공사의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아니라, 재료의 낭비가 없어 폼패드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가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1) 흐름도이다.
도2는 관상체 형성단계(S2)의 개념도이다.
도3은 결합외피(200)의 개념도이다.
도4의 a 및 b는 C형폼 제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5는 관상체 폼패드의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의 사시도이다.
도7은 열배관 곡관부의 외곡부와 내곡부에 접합되는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8은 단일 결합외피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9는 도7의 단일 결합외피를 상부 영역에 열융착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가 열배관 곡관부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11은 직관부 응용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1)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원발명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 동일한 명칭으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1은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1) 흐름도이고, 도2는 관상체 형성단계(S2)의 개념도이고, 도3은 결합외피(200)의 개념도이고, 도4의 a 및 b는 C형폼 제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5는 관상체의 폼패드 개념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의 사시도이고, 도7은 열배관 곡관부의 외곡부와 내곡부에 접합되는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8은 단일 결합외피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9는 도7의 단일 결합외피를 상부 영역에 열융착한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가 열배관 곡관부에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11은 직관부 응용사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첨부된 도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1)은, PE(폴리에틸렌)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장방형 판상체의 폼시트(foam-sheet, 100)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되 선단부의 접착부(210)와 중앙부의 연결부(220) 및 후단부의 융착부(230)로 구분되며 상기 접착부(210)에는 이형지(240)가 구비되어 점착면이 보호되는 결합외피(200)와, 상기 폼시트(100)를 권취하며 열융착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기 위한 소정 규격별 치공구(O)를 준비하는 전처리단계(S1)와; 소요되는 열배관 규격에 맞취 상기 전처리단계(S1)에서 준비된 소정 규격의 치공구(O) 외주면에 폼시트(100)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치공구(O)를 소정 횟수 회전시켜 폼시트(100)를 권취하며 열융착 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는 관상체 형성단계(S2)와; 상기 관상체 형성단계(S2)에서 형성된 관상체(P)의 종단면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 절개하여 C형의 4등분체인 C형폼(C-foam, C)을 형성하는 C형폼 형성단계(S3)와; 상기 C형폼 형성단계(S3)에서 형성된 C형폼(C)의 외면 원주면에 상기 전처리단계(S1)에서 준비된 결합외피(200)를 열융착 접합하여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1)를 형성하는 결합외피 융착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단계별로 좀더 자세히 설명한다.
1.전처리단계(S1)
본 전처리단계(S1)는, PE(폴리에틸렌)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장방형 판상체의 폼시트(foam-sheet, 100)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되 선단부의 접착부(210)와 중앙부의 연결부(220) 및 후단부의 융착부(230)로 구분되며 상기 접착부(210)에는 이형지(240)가 구비되어 점착면이 보호되는 결합외피(200)와; 상기 폼시트(100)를 권취하면서 열융착 하기 위한 소정 규격별 치공구(O);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폼시트(100)는 소정 폭을 갖는 두께 10mm 의 장방형으로 준비된다.
상기 폼시트(100)의 일면은 점착제, 섬유재 또는 경질의 보강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접합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폼시트(100)는 소정 두께로 형성되므로 권취를 위해 치공구(O) 외주면에 선단부를 위치시키면 단부에 단차부가 생기므로 수회에 걸쳐 치공구(O)를 권취하며 폼시트(100)를 열융착 하기 위해서는 공정마다 폼시트(100)의 선단을 바소꼴로 형성하고 치공구(O) 외주면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폼시트(100)의 선단을 바소꼴로 형성하는 장치나 방법은 공지의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하면 충분할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상기 폼시트(100) 선단에 바소꼴을 형성하는 장치나 방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결합외피(200)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하나의 재질이 선택된다. 유리섬유는 알칼리 성분이 적은 유리를 길고 가늘게 만든 인조섬유로써 내열성ㆍ내식성ㆍ내습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고, 탄소섬유는 유기섬유를 소성(燒成)하여 거의 탄소만 남긴 섬유를 통틀어 이르는 것으로 내열성과 탄성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 열배관 폼패드 설치공사시 섬유재질의 유연성으로 설치가 용이하되 견고하고 질기므로 열배관 폼패드 소재로써 매우 적절하다.
상기 결합외피(200)의 길이는 관상체 외경길이(R)에 하기하는 C형폼(C) 외면 원주면의 길이(s)를 합한 길이로 형성되어 일정폭 겹쳐 접착되는 것이 접합의 긴밀도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외피(200) 선단부의 소정 영역은 점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210)의 점착면에는 이형지(240)가 구비된다.
상기 접착부(210)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C형폼(C) 외면 원주면길이(s)의 1/2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외피(200) 후단부의 소정 영역은 융착부(230)가 된다.
상기 융착부(230)는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이 C형폼(C) 외면 원주면길이(s)의 1/2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외피(200)의 접착부(210)와 융착부(230)의 사이 영역은 연결부(220)가 된다.
상기와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결합외피(200)로 인해, 열배관을 중심으로 서로 방사상에 대칭되게 접합되는 양 C형폼(C)의 외면 원주면에 열융착 되어 있는 결합외피(200) 후단부의 융착부(230) 위에 소정폭이 겹쳐져 접착되므로 C형폼간의 결합의 긴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결합외피(200)는, 도8 및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배의 관상체 외경길이(R)에 하기하는 C형폼(C) 외면 원주면의 두배의 길이(s)를 합한 길이로 형성하여 선단부의 소정 영역은 점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210)의 점착면에는 이형지(240)를 구비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결합외피(200)는, 두배의 관상체 외경길이(R)에 하기하는 C형폼(C) 외면 원주면의 두배의 길이(s)를 합한 길이로 형성하여 선단부의 접착부(210) 형성없이 결합외피(200) 전면(全面)을 열융착 소재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전처리단계(S1)에서는 상기 폼시트(100)를 권취하며 열융착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기 위한 치공구(O)가 소정 규격별로 준비된다.
2.관상체 형성단계(S2)
본 관상체 형성단계(S2)는, 소요되는 열배관 규격에 맞춰 상기 전처리단계(S1)에서 준비된 소정 규격의 치공구(O) 외주면에 폼시트(100)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도2에 나타나 있듯이 상기 치공구(O)를 소정 횟수 회전시켜 상기 폼시트(100)를 권취하며 열융착 하여 도4의 a와 같은 관상체(P)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관상체(P)에는, 상기 폼시트(100)의 일면에 점착제, 섬유재 또는 경질의 보강재 중 어느 하나가 접합 또는 코팅된 경우에는 열융착 권취과정에서 두께 0.5 내지 2mm의 융착층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폼시트(100)의 두께는 10mm이므로 소요되는 열배관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는 관상체(P)를 형성하기 위한 폼시트(100) 열융착 권취횟수는 적고 소요되는 열배관의 직경이 커질수록 관상체(P)를 형성하기 위한 폼시트(100) 열융착 권취 회수는 많아지게 된다.
예를 들어, 40mm 두께의 폼패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일면에 점착제, 섬유재 또는 경질의 보강재 중 어느 하나가 접합 또는 코팅된 폼시트(100)를 4회 열융착 권취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고, 60mm 두께의 폼패드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6회 열융착 권취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폼시트(100)의 일면에 일면에 점착제, 섬유재 또는 경질의 보강재 중 어느 하나가 접합 또는 코팅된 경우에는 열융착 권취과정에서 두께 0.5 내지 2mm의 융착층이 형성되게 되어 40mm 또는 60mm 두께의 단일층 시트로 형성된 폼패드의 경우보다 전체적인 압축응력 및 복원력이 월등히 우월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형성된 관상체(P)는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절개선(p1)을 형성하여 직관부 또는 곡관부 폼패드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직관부 또는 곡관부에 필요한 적정길이를 절단하여 절개선을 벌려 열배관에 결합한 후 밴딩작업에 의해 마무리 된다.
한편, 하나의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다음 공정을 위해 상기 폼시트(100)의 선단부를 바소꼴로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폼시트(100)는 10mm의 소정 두께로 형성되므로 열융착 권취를 위해 치공구(O) 외주면에 선단부를 위치시키면 단부에 단차부가 생겨 들뜰 수 있기 때문이다.
3. C형폼 형성단계(S3)
본 C형폼 형성단계(S3)는, 상기 관상체 형성단계(S2)에서 형성된 관상체(P)의 종단면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 절개하여 도4의 b에 나타낸 것과 같이 C형의 4등분체인 C형폼(C-foam, C)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C형폼(C)은, 관상체(P)의 종단면을 세로방향으로 4등분하여 형성되는 것이므로 공정이 단조로워 제작이 매우 용이할 뿐만아니라 재료의 손실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생산원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C형폼(C)의 내면에는 점착제를 도포하여 점착면을 형성하는 것도 열배관 곡관부와의 접합 밀착도를 높여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4. 결합외피 융착단계(S4)
본 결합외피 융착단계(S4)는, 상기 C형폼 형성단계(S3)에서 형성된 C형폼(C)의 외면 원주면에 상기 전처리 단계(S1)에서 준비된 결합외피(200)를 열융착 접합하여 도5에 나타낸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는, 상기 C형폼(C) 외면 원주면의 세로 1/2선상에 도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결합외피(200) 하단부의 융착부(230) 끝선을 일치시키고 상기 C형폼(C)의 외면 1/2원주면 영역에 상기 결합외피(200) 융착부(230)를 열융착 접합하여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일체로서의 본 발명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의 형성을 완성하는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열배관 규격에 따른 소정 규격의 치공구(O) 외주면에 폼시트(100)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치공구(O)를 소요되는 열배관 규격에 따라 필요한 소정 횟수 만큼 회전시켜 형성된 관상체(P)의 종단면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 절개하여 형성된 C형폼(C) 외면 원주면의 세로 1/2선상에 결합외피(200) 하단부의 융착부(230) 끝선을 일치시키고 상기 C형폼(C)의 외면 1/2원주면 영역에 결합외피(200) 융착부(230)를 열융착 접합하여 일체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가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외피(200) 접착부(210)의 점착면에는 이형지(240)가 구비되어 보호된다.
그러나 결합외피(200)는, 두배의 관상체 외경길이(R)에 C형폼(C) 외면 원주면 길이의 두배의 길이(s)를 합한 길이로 형성하여 선단부의 접착부(210) 형성없이 결합외피(200) 전면(全面)을 열융착 소재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일측 C형폼(C) 외면 원주면의 세로 1/2선상에 결합외피(200) 하단부의 융착부(230) 끝선을 일치시키고 상기 C형폼(C)의 외면 1/2원주면 영역에 상기 결합외피(200)의 일측 융착부(230)를 열융착 접합하고 타측의 C형폼 외면 원주면에 열융착하여 감싸돌아 일측 C형폼(C)의 나머지 1/2원주면 영역에 열융착됨으로써 도8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일체로서의 본 발명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결합외피(200)는,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두배의 관상체 외경길이(R)에 하기하는 C형폼(C) 외면 원주면의 두배의 길이(s)를 합한 길이로 형성하여 선단부의 소정 영역은 점착제를 도포하여 접착부(210)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210)의 점착면에는 이형지(240)를 구비하여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열배관의 외부 상단부에 상기 결합외피(200)의 하단부의 융착부(230)를 접합하고 일측의 C형폼 외면 원주면에 열융착하여 감싸돌아 타측 C형폼(C)의 외면 원주면에 열융착하여 감싸돌아 열배관의 외부 상단부에 접합되어 있는 상기 결합외피(200)의 하단부의 융착부(230) 일부 영역과 겹쳐지며 선단부의 접착부(210)가 접착되어 일체로서의 본 발명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상기 결합외피(200)는 도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열배관 외부 상단부에서 겹쳐지며 열융착되는 것이 접착의 긴밀도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결합외피(200)는 일정폭 겹쳐지며 열융착되므로 양 C형폼 접합의 긴밀도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를 설치현장에 이송하여 열배관 곡관부에 설치한다.
즉,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를 열배관 곡관부의 외곡부와 내곡부의 곡률에 따라 적정 길이로 절단하여 도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 열배관의 외곡부와 내곡부에 방사상으로 대응되게 접합하고, 외곡부 C형폼 결합외피(200) 접착부(210)의 이형지(240)를 제거하고 상기 접착부(210)를 내곡부 C형폼 외면 원주면의 융착부(230) 하단부까지 당겨 융착부(230) 윗부분에 겹쳐 접착하고, 이어서 내곡부 C형폼 결합외피(200) 접착부(210)의 이형지(240)를 제거하고 상기 접착부(210)를 외곡부 C형폼 외면 원주면의 융착부(230) 하단부까지 당겨 융착부(230) 윗부분에 겹쳐 접착하여 도7 및 도10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의 각각의 접착부(210)는 열배관을 사이에 두고 서로 다른 쪽 C형폼 외면 원주면의 융착부(230) 윗부분에 서로 일정 폭 겹쳐져 접착됨으로써 열배관 곡관부의 외곡부와 내곡부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대응되게 접합된 폼패드 간의 결합의 긴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곡관부의 외곡부와 내곡부에 각각 접합된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는 점착면(210)을 세로로 다수회 절개하여 절개된 각 점착면을 하나씩 당기며 중첩하여 접착하는 것도 곡관부의 외곡부와 내곡부에 각각 접합된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 간의 결합의 긴밀도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는 도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열배관의 직관부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열배관에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를 설치하였을 때, 열배관과 결합외피(200) 연결부(200)가 상,하부에서 소정폭 이격되어 괴리되는 이격 공간은, 곡관부의 좌우 떨림현상을 잡아주기 위한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가 지향하는 기본목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이격공간은 열배관의 지중 매설을 위한 토사 투입후 씽크홀 발생 의 우려 또는 결합외피(200)를 설치할 때 급격히 꺽이는 경우 결합외피가 절단될 우려를 차단하기 위해서 상하부의 이격공간에 경질의 재질로 형성된 마감패킹재(예 : 삼각바)로 채워주고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완료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의 설치작업은 뒤따르는 밴드작업에 의해 마무리된다.
이상, 본 발명인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1)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2)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도면을 첨부하여 자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특허청구범위와 상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되어 실시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2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100 폼시트(foam-sheet) 110 융착선
200 결합외피 210 접착부 220연결부 230 융착부 240 이형지
C C형폼(C-Type foam)
HP 열배관
P 관상체 p1 절개선
O 치공구
t 두께
r 열배관 직경 길이
R 관상체 외경
s C형폼 외주면 길이
S1 전처리단계
S2 관상체 형성단계
S3 C형폼 형성단계
S4 결합외피 융착단계

Claims (13)

  1. 본 발명의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1)은, PE(폴리에틸렌) 또는 EVA(Ethylene Vinyl Acetate)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어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장방형 판상체의 폼시트(foam-sheet, 100)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되 선단부의 접착부(210)와 중앙부의 연결부(220) 및 후단부의 융착부(230)로 구분되며 상기 접착부(210)에는 이형지(240)가 구비되어 점착면이 보호되는 결합외피(200)와, 상기 폼시트(100)를 권취하며 열융착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기 위한 소정 규격별 치공구(O)를 준비하는 전처리단계(S1)와; 소요되는 열배관 규격에 맞취 상기 전처리단계(S1)에서 준비된 소정 규격의 치공구(O) 외주면에 폼시트(100)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치공구(O)를 소정 횟수 회전시켜 상기 폼시트(100)를 권취하며 열융착 하여 관상체(P)를 형성하는 관상체 형성단계(S2)와; 상기 관상체 형성단계(S2)에서 형성된 관상체(P)의 종단면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 절개하여 C형의 4등분체인 C형폼(C-Type foam, C)을 형성하는 C형폼 형성단계(S3)와; 상기 C형폼 형성단계(S3)에서 형성된 C형폼(C)의 외면 원주면에 상기 전처리단계(S1)에서 준비된 결합외피(200)를 열융착 접합하는 결합외피 융착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전처리단계(S1)에 있어서 상기 폼시트(100)의 두께는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3. 제1항의 전처리단계(S1)에 있어서 상기 폼시트(100)의 일면에는 점착제, 섬유재 또는 경질의 보강재 중 어느 하나가 접합 또는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4. 제1항의 전처리단계(S1)에 있어서 상기 결합외피(200)의 길이는 관상체 외경길이(R)에 C형폼(C) 외면 원주면의 길이(s)를 합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5. 제1항의 관상체 형성단계(S2)에 있어서 상기 관상체(P)에는 두께 0.5 내지 2mm의 융착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6. 제1항의 관상체 형성단계(S2)에 있어서 상기 관상체(P)는, 일측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절개선(p1)을 형성하여 곡관부 폼패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7. 제1항의 C형폼 형성단계(S3)에 있어서 상기 C형폼(C)의 내면에는 점착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8. 제1항의 결합외피 융착단계(S4)에 있어서 상기 결합외피(200)는, 상기 C형폼(C) 외면 원주면의 세로1/2선상에 하단부 융착부(230)의 끝선을 일치시켜 상기 융착부(230)가 상기 C형폼(C)의 외면 1/2원주면 영역에 열융착 접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9. 상기 제1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10. 삭제
  11. 열배관 규격에 따른 소정 규격의 치공구(O) 외주면에 폼시트(100)의 선단부를 위치시키고 상기 치공구(O)를 소요되는 열배관 규격에 따라 필요한 소정 횟수 만큼 회전시켜 형성된 관상체(P)의 종단면을 길이방향으로 4등분 절개하여 형성된 C형폼(C-foam, C) 외면 원주면의 세로 1/2선상에 결합외피(200) 하단부의 융착부(230) 끝선을 일치시키고 상기 C형폼(C)의 외면 1/2원주면 영역에 결합외피(200) 융착부(230)를 열융착 접합하여 일체로써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33885A 2015-03-11 2015-03-11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KR1017264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85A KR101726489B1 (ko) 2015-03-11 2015-03-11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85A KR101726489B1 (ko) 2015-03-11 2015-03-11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64A KR20160109464A (ko) 2016-09-21
KR101726489B1 true KR101726489B1 (ko) 2017-04-12

Family

ID=5708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885A KR101726489B1 (ko) 2015-03-11 2015-03-11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4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784B1 (ko) 2020-07-14 2020-12-07 주식회사 폼프로 배관용 폼패드 제조방법
KR102264113B1 (ko) 2020-09-14 2021-06-14 (주)대승아이앤피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0481A (ja) 1999-08-09 2001-02-23 Honjo Kumagai Hoon Kogyo:Kk 配管断熱カバー
JP2005133837A (ja) 2003-10-30 2005-05-26 Meisei Ind Co Ltd 断熱用カバー部材
KR100892243B1 (ko) 2005-07-08 2009-04-09 주식회사 토이론 배관용 폼패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954A (ko) * 2001-02-19 2002-08-24 이종근 스티로폼을 이용한 배관용 보온 단열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0481A (ja) 1999-08-09 2001-02-23 Honjo Kumagai Hoon Kogyo:Kk 配管断熱カバー
JP2005133837A (ja) 2003-10-30 2005-05-26 Meisei Ind Co Ltd 断熱用カバー部材
KR100892243B1 (ko) 2005-07-08 2009-04-09 주식회사 토이론 배관용 폼패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784B1 (ko) 2020-07-14 2020-12-07 주식회사 폼프로 배관용 폼패드 제조방법
KR102264113B1 (ko) 2020-09-14 2021-06-14 (주)대승아이앤피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464A (ko)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2155B2 (ja) 断熱ダクト製品
ES2834459T3 (es) Cubierta termorretráctil para tubos
KR101726489B1 (ko)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JPS61223398A (ja) 被覆回復性物品
RU2341717C1 (ru) Термоусаживающаяся муфта
KR101878233B1 (ko) 열선이 내장된 열수축케이싱, 열수축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2006194368A (ja) 現地溶接部の防食被覆構造
JPS59175694A (ja) パイプ接続部の断熱方法
KR101574956B1 (ko) 관이음용 열수축 이음관
KR102404567B1 (ko)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제조 방법 및 이중 보온관용 열수축 케이싱 시공 방법
US20080057315A1 (en) Method of application of heat-shrinkable articles
EP2253876B1 (en) heatshrinkable sleeve manufacturing method
KR102264113B1 (ko)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제조방법
CN216813447U (zh) 一种热力管网保温结构
KR102186784B1 (ko) 배관용 폼패드 제조방법
KR200465133Y1 (ko)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CN201982883U (zh) 一种钢外护聚氨酯保温接头
KR101306630B1 (ko) 케이블용 다중 관
KR102321231B1 (ko)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417002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JP2680292B2 (ja) 斜材ケーブルのオーバラップ工法と保護管
RU62198U1 (ru) Труба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 балластным покрытием в оболочке
JP5566951B2 (ja) 樹脂配管の分岐構造およびこの形成方法
KR20160073026A (ko)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JP2007247699A (ja) 配管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供給管路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