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026A -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026A
KR20160073026A KR1020140181293A KR20140181293A KR20160073026A KR 20160073026 A KR20160073026 A KR 20160073026A KR 1020140181293 A KR1020140181293 A KR 1020140181293A KR 20140181293 A KR20140181293 A KR 20140181293A KR 20160073026 A KR20160073026 A KR 20160073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inner tube
tube
anchor plat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철
Original Assignee
이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철 filed Critical 이보철
Priority to KR1020140181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026A/ko
Publication of KR20160073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5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for undergroun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6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local requirements at flanges, junctions, valv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40/60Superconducting electric elements or equipment; Power systems integrating superconducting elements or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길이를 지닌 금속재질의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직교된 상태로 끼움결합되면서 일체로 용접부착되는 금속재질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베이스판으로부터의 열손실을 차단하는 실리콘막과, 상기 실리콘막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실리콘막을 보호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외부보호막으로 이루어진 앵커판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전후방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가 끼움결합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외경에 부합되는 내경을 지닌 합성수지재질의 관으로 내관의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내관의 전후방 외주에 각각 끼움결합되면서 앵커판의 외부보호막 전면과 후면에 끝단이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플라스틱 용접부착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폼형태의 보온재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앵커판의 외곽부분이 외관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이중보온관을 고정지지하면서 온수 등의 열매체를 이송시 열에 의한 수축, 팽창에 따른 이중보온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The double insulated pipe which is possessed of an anchor plate and the mak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상태로 지역난방을 이용하는 공동주택에 열병합발전소 등으로부터의 온수를 공급 및 회수시 온수의 보온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중보온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길이를 지닌 금속재질의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직교된 상태로 끼움결합되면서 일체로 용접부착되는 금속재질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베이스판으로부터의 열손실을 차단하는 실리콘막과, 상기 실리콘막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실리콘막을 보호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외부보호막으로 이루어진 앵커판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전후방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가 끼움결합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외경에 부합되는 내경을 지닌 합성수지재질의 관으로 내관의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내관의 전후방 외주에 각각 끼움결합되면서 앵커판의 외부보호막 전면과 후면에 끝단이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플라스틱 용접부착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폼형태의 보온재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앵커판의 외곽부분이 외관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이중보온관을 고정지지하면서 온수 등의 열매체를 이송시 열에 의한 수축, 팽창에 따른 이중보온관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너지효율이 높고 친환경적인 중앙집중열원방식을 사용하는 지역난방은 열병합발전소 등과 같은 대규모 열생산시설에서 경제적으로 생산된 열을 아파트나 상업용 건물 등의 공동주택에 일괄적으로 공급하는 난방시스템으로, 이러한 지역난방 난방시스템은 열병합발전소 등으로부터 공동주택으로 공급되는 온수나 공동주택에서 이용된 후 열병합발전소로 회수되는 온수를 지중에 매설된 통상의 이중보온관을 이용하여 이송시켜 온수의 보온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아파트나 빌딩의 개별적인 중앙난방에 비해 에너지가 절감되고 첨단 오염방지 시설을 적용할 수 있어 대기오염 물질과 온실가스도 줄일 수 있으며 열사용자는 난방을 위한 보일러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건물의 공간이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지역난방에 사용되고 있는 이중보온관은 온수가 이송되는 철(steel) 또는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주를 둘러싸는 폴리우레탄 폼 등으로 이루어진 보온재와, 상기 보온재의 외주를 둘러싸 보온재를 보호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재질로 된 외관으로 구성되어 내관의 내부를 따라 흐르는 온수의 보온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되어있다.
상기와 같은 이중보온관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 10-0636707호에서는 몸체 내부가 중공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외관과; 상기 외관 내부에 구비되되 몸체 양단이 상기 외관으로부터 소정 길이 돌출되도록 구성된 미보온부를 구비하고 유체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몸체 내부가 중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강관으로 구성된 내관과,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소정 거리 이격되어 결합되는 다수개의 스페이서와,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빈 공간을 충진하는 보온재와, 상기 내관을 구성하는 한 쌍의 강관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비틀림을 방지하는 내부 고정강판으로 구성되는 고정관, 곡관, 분기관, 특수 이형관 또는 리듀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의 형태인 점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회수 일체형 이중보온관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기술의 이중보온관은 지중에 단순히 매설된 상태로만 시공되도록 되어 있어 온수 등의 열매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열에 의한 수축, 팽창이 장기간 반복적으로 발생되면 이중보온관이 지중에서 유동되거나 틀어지면서 이중보온관의 연결부분이나 용접부분이 손상되어 온수 등의 열매체가 손상된 부분으로 누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재질의 내관 외주면에 베이스판을 직교되게 끼움결합하여 용접부착하고 베이스판의 전후면과 외주면에 실리콘막과 합성수지재질의 외부보호막을 차례로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하여 앵커판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내관의 외주면 전후방에 각각 합성수지재질의 외관을 끼움결합하면서 외관의 끝단이 앵커판의 전후면에 맞닿은 상태로 플라스틱 용접부착하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부에는 폼형태의 보온재를 충진시켜 이중보온관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앵커판의 외곽부분이 외관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이중보온관을 고정지지하면서 내관을 통해 온수 등의 열매체를 이송시 열에 의한 수축, 팽창에 따른 이중보온관의 유동이나 변형을 방지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정길이를 지닌 금속재질의 내관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에 직교된 상태로 끼움결합되면서 일체로 용접부착되는 금속재질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베이스판으로부터의 열손실을 차단하는 실리콘막과, 상기 실리콘막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실리콘막을 보호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외부보호막으로 이루어진 앵커판과; 상기 내관의 외주면 전후방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가 끼움결합되는 스페이서와; 상기 스페이서의 외경에 부합되는 내경을 지닌 합성수지재질의 관으로 내관의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내관의 전후방 외주에 각각 끼움결합되면서 앵커판의 외부보호막 전면과 후면에 끝단이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플라스틱 용접부착되는 외관과; 상기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폼형태의 보온재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앵커판의 외곽부분이 외관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이중보온관을 유동방지되게 고정지지하는 것에 본 발명의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재질의 내관 외주면에 베이스판이 직교되게 끼움결합되어 용접부착되고 베이스판의 전후면과 외주면에 실리콘막과 합성수지재질의 외부보호막이 차례로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앵커판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관의 외주면 전후방에 각각 합성수지재질의 외관이 끼움결합되면서 외관의 끝단이 앵커판의 전후면에 맞닿은 상태로 플라스틱 용접부착되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부에는 폼형태의 보온재가 충진되어 이중보온관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앵커판의 외곽부분이 외관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이중보온관을 고정지지하면서 내관을 통해 온수 등의 열매체를 이송시 열에 의한 수축, 팽창에 따른 이중보온관의 유동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앵커판의 베이스판을 실리콘막과 합성수지재질의 외부보호막이 전체적으로 둘러싼 상태로 보호하고 있어 베이스판을 통한 열손실과 수분침투로 인한 부식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의 사시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의 단계별 제조공정 중 베이스판결합단계와 실리콘막부착단계를 차례로 도시한 단면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의 단계별 제조공정 중 앵커판형성단계와 외관결합단계와 보온재충진단계를 차례로 도시한 단면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이 다른 이중보온관과 연결시공된 상태의 단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에 복수개의 앵커판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구성을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1)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설된 상태로 지역난방을 이용하는 공동주택에 열병합발전소 등으로부터의 온수를 공급 및 회수시 온수의 보온 및 단열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이중보온관으로서, 일정길이를 지닌 금속재질의 내관(2)과;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직교된 상태로 끼움결합되면서 일체로 용접부착되는 금속재질의 베이스판(4)과, 상기 베이스판(4)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베이스판(4)으로부터의 열손실을 차단하는 실리콘막(5)과, 상기 실리콘막(5)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실리콘막(5)을 보호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외부보호막(6)으로 이루어진 앵커판(3)과; 상기 내관(2)의 외주면 전후방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가 끼움결합되는 스페이서(7)와; 상기 스페이서(7)의 외경에 부합되는 내경을 지닌 합성수지재질의 관으로 내관(2)의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내관(2)의 전후방 외주에 각각 끼움결합되면서 앵커판(3)의 외부보호막(6) 전면과 후면에 끝단이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플라스틱 용접부착되는 외관(8)과; 상기 외관(8)과 내관(2)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폼형태의 보온재(9)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앵커판(3)의 외곽부분이 외관(8)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이중보온관(1)을 고정지지하면서 온수 등의 열매체를 이송시 열에 의한 수축, 팽창에 따른 이중보온관(1)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내관(2)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steel) 또는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재질로 일정길이를 지닌 직선형 관이나 또는 일정각도로 구부러진 곡관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열병합발전소 등으로부터의 온수가 공동주택으로 이송되거나 회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앵커판(3)은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에 의한 수축, 팽창에 따른 이중보온관(1)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직교된 상태로 끼움결합되면서 일체로 용접부착되는 베이스판(4)과, 상기 베이스판(4)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베이스판(4)으로부터의 열손실을 차단하는 실리콘막(5)과, 상기 실리콘막(5)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실리콘막(5)을 보호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외부보호막(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판(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과 동일한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수직으로 세워진 일정두께의 금속판으로 가운데부분에는 내관(2)의 외경에 부합되는 직경을 지닌 구멍이 천공되어 있어 내관(2)의 가운데부분 외주면에 직교되게 끼움결합된 상태로 일체로 용접부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4)은 대략 4 ~ 20mm 정도의 두께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막(5)은 내관(2)을 따라 흐르는 온수 등의 열매체가 내관(2)의 외주면에 용접부착된 베이스판(4)을 통해 열전도되면서 외관(8)의 외측으로 돌출된 외곽부분을 통해 열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두께를 지닌 실리콘재질의 판을 내관(2)의 외주면에 용접부착된 베이스판(4)의 전면과 후면 및 외주면에 부합되는 형태로 재단하여 통상의 실리콘접착제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부착되면서 베이스판(4)을 전체적으로 둘러싸 베이스판(4)으로부터의 열손실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실리콘막(5)은 2 ~ 5mm정도의 두께를 지닌 실리콘재질의 판을 재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보호막(6)은 외관(8)과 동일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된 일정두께를 지닌 판을 실리콘막(5)의 전면과 후면 및 외주면에 부합되는 형태로 재단하여 통상의 PE접착제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부착되면서 실리콘막(5)을 전체적으로 둘러싸 외부보호막(6)에 의해 실리콘막(5)의 손상이 방지되고 지중의 습기가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이 차단되어 베이스판(4)이 부식방지되면서 동일한 고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된 외관(8)이 외부보호막(6)의 전후면에 플라스틱 용접을 통해 일체로 부착되도록 하며, 상기 외부보호막(6)은 4 ~ 8mm정도의 두께를 지닌 합성수지재질의 판을 재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앵커판(3)은 외곽부분이 외관(8)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200 ~ 400mm 정도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앵커판(3)은 내관(2)의 길이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의 가운데부분 외주면에 하나가 설치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의 외주면에 전후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7)는 도 3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2)과 외관(8) 사이를 일정하게 이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내관(2)의 외경에 부합되는 내경을 지닌 링형상으로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돌출형성되어 있어 상기 내관(2)의 외주면 전후방에 각각 하나 또는 복수개가 일정간격으로 끼움결합되면서 스페이서(7)에 돌출형성된 돌기의 외경이 외관(8)의 내경에 부합되게 끼움결합되어 내관(2)과 외관(8)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외관(8)은 도 1,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의 보온재(9)를 보호하면서 외부로부터의 수분이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분으로, 상기 스페이서(7)의 외경에 부합되는 내경을 지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된 관으로 상기 내관(2)의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내관(2)의 전후방 외주에 각각 끼움결합되면서 앵커판(3)의 전후면에 각 끝단이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플라스틱 용접부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내관(2)의 전방 외주에 끼움결합되는 외관(8)은 앵커판(3)의 외부보호막(6) 전면에 후방끝단이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플라스틱 용접부착되고 내관(2)의 후방 외주에 끼움결합되는 외관(8)은 앵커판(3)의 외부보호막(6) 후면에 전방끝단이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플라스틱 용접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된 외관(8)의 전방끝단과 후방에 위치된 외관(8)의 후방끝단에는 각각 다른 이중보온관(1)의 외관(8) 끝단이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플라스틱 용접부착되며, 상기 내관(2)의 양측끝단에도 다른 이중보온관(1)의 내관(2) 끝단이 각각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용접부착된다.
상기 보온재(9)는 도 1, 3,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레탄폼 등과 같은 폼형태의 합성수지재질로 상기 내관(2)과 외관(8)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어 경화되면서 내관(2)의 외주를 일정두께로 감싸 상기 내관(2)을 따라 흐르는 온수를 보온 및 단열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중보온관(1)은 내관(2)과 외관(8) 사이의 공간부에는 통상의 저항측정방식으로 단선된 부분을 체크하여 파손된 부분을 파악하는 나동선과 니켈-크롬선 등으로 형성되어 내부로 누수되는 수분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센서선(도시하지 않음) 등이 내장설치된 상태로 보온재(9)가 충진되어 보온재(9)의 내부에 나동선과 감지센서선 등이 함께 매립된 상태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의 제조과정을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베이스판결합단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steel)이나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재질로 된 내관(2)의 외주면에 내관(2)의 외경에 부합되는 직경을 지닌 구멍이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철(steel)이나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재질로 된 두께 4 ~ 20mm의 베이스판(4)을 내관(2)의 가운데부분 외주면에 직교되게 끼움결합하여 일체로 용접부착한다.
2. 실리콘막부착단계
2 ~ 5mm의 두께를 지닌 실리콘재질의 판을 내관(2)의 외주면에 용접부착된 베이스판(4)의 전면과 후면 및 외주면에 부합되는 형태로 재단하여 통상의 실리콘접착제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부착하면서 베이스판(4)의 외부를 전체적으로 실리콘막(5)으로 둘러싸 베이스판(4)으로부터의 열손실을 차단하게 된다.
3. 앵커판형성단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된 4 ~ 8mm의 두께를 지닌 판을 실리콘막(5)의 전면과 후면 및 외주면에 부합되는 형태로 재단하고 통상의 PE접착제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부착하여 실리콘막(5)의 외부를 외부보호막(6)으로 둘러싸 앵커판(3)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외부보호막(6)에 의해 실리콘막(5)의 손상이 방지되면서 지중의 습기가 내측으로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여 베이스판(4)이 부식방지된다.
4. 외관결합단계
앵커판(3)이 형성된 내관(2)의 전후방 외주면에 각각 간격유지를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페이서(7)를 끼움결합하고 상기 스페이서(7)의 외경에 부합되는 내경을 지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합성수지재질로 된 외관(8)을 내관(2)의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끼움결합하되, 상기 내관(2)의 전방 및 후방 외주에 각각 끼움결합하면서 내관(2)의 전방 외주에 끼움결합되는 외관(8)은 앵커판(3)의 외부보호막(6) 전면에 후방끝단이 맞닿게 한 상태로 PE용접 등의 플라스틱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부착하고 내관(2)의 후방 외주에 끼움결합되는 외관(8)은 앵커판(3)의 외부보호막(6) 후면에 전방끝단이 맞닿게 한 상태로 PE용접 등의 플라스틱 용접을 통해 일체로 고정부착하게 된다.
5. 보온재충진단계
상기 내관(2)와 외관(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우레탄폼 등과 같은 폼형태의 합성수지재질로 된 보온재(9)를 충진시키고 경화시켜 이중보온관(1)을 완성하게 되며, 완성된 이중보온관(1)의 내관(2) 외주를 보온재(9)가 감싸 내관(2)을 따라 흐르는 온수 등의 열매체의 보온 및 단열효과를 높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완성된 이중보온관(1)은 앵커판(3)의 외곽부분이 전후방에 일체로 고정부착되는 외관(8)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어 이중보온관(1)을 고정지지하면서 내관(2)을 통해 온수 등의 열매체를 이송시 열에 의한 수축, 팽창에 따른 이중보온관(1)의 유동이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1. 이중보온관
2. 내관
3. 앵커판
4. 베이스판
5. 실리콘막
6. 외부보호막
7. 스페이서
8. 외관
9. 보온재

Claims (5)

  1. 일정길이를 지닌 금속재질의 내관(2)과; 상기 내관(2)의 외주면에 직교된 상태로 끼움결합되면서 일체로 용접부착되는 금속재질의 베이스판(4)과, 상기 베이스판(4)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베이스판(4)으로부터의 열손실을 차단하는 실리콘막(5)과, 상기 실리콘막(5)의 전후면과 외주면을 둘러싼 상태로 고정부착되면서 실리콘막(5)을 보호하는 합성수지재질의 외부보호막(6)으로 이루어진 앵커판(3)과; 상기 내관(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지닌 합성수지재질의 관으로 내관(2)의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끼움결합되도록 되어 있되, 상기 내관(2)의 전후방 외주에 각각 끼움결합되면서 앵커판(3)의 외부보호막(6) 전면과 후면에 끝단이 맞닿은 상태로 일체로 플라스틱 용접부착되는 외관(8)과; 상기 외관(8)과 내관(2)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폼형태의 보온재(9)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앵커판(3)의 외곽부분이 외관(8)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로 지중에 매설되면서 이중보온관(1)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관(2)은 외주면 전후방에 각각 간격유지를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페이서(7)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외관(8)은 내경이 스페이서(7)의 외경에 부합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판(3)은 베이스판(4)의 두께가 4 ~ 20mm인 금속판으로 형성되고 실리콘막(5)은 2 ~ 5mm의 두께를 지닌 실리콘재질의 판으로 형성되며 외부보호막(6)은 4 ~ 8mm의 두께를 지닌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된 합성수지재질의 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앵커판(3)은 외곽부분이 외관(8)의 외주면으로부터 200 ~ 400mm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4. 일정길이의 금속재질로 된 내관(2)의 외주면에 내관(2)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의 구멍이 가운데부분에 천공된 금속재질의 베이스판(4)을 직교되게 끼움결합하여 일체로 용접부착하는 베이스판결합단계와, 실리콘재질의 판을 베이스판(4)의 전후면과 외주면에 부합되는 형태로 재단하여 접착제로 고정부착하면서 베이스판(4)의 외부를 실리콘막(5)으로 둘러싸 베이스판(4)으로부터의 열손실을 차단하는 실리콘막부착단계와, 합성수지재질의 판을 실리콘막(5)의 전후면과 외주면에 부합되는 형태로 재단하여 접착제로 고정부착하면서 실리콘막(5)의 외부를 외부보호막(6)으로 둘러싸 앵커판(3)을 형성하는 앵커판형성단계와, 상기 내관(2)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지닌 합성수지재질의 외관(8)을 내관(2)의 외주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끼움결합하되 상기 내관(2)의 전방 및 후방 외주에 각각 외관(8)을 끼움결합하고 각 외관(8)의 끝단과 맞닿는 앵커판(3)의 외부보호막(6) 전면 및 후면을 플라스틱 용접부착하는 외관결합단계와, 상기 내관(2)와 외관(8)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폼형태의 합성수지재질로 된 보온재(9)를 충진시키고 경화시키는 보온재충진단계를 통해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의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결합단계는 앵커판(3)이 형성된 내관(2)의 전후방 외주면에 각각 간격유지를 위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스페이서(7)를 끼움결합하고 상기 외관(8)은 스페이서(7)의 외경에 부합되는 내경을 지닌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된 관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의 제조방법.
KR1020140181293A 2014-12-16 2014-12-16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73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293A KR20160073026A (ko) 2014-12-16 2014-12-16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293A KR20160073026A (ko) 2014-12-16 2014-12-16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26A true KR20160073026A (ko) 2016-06-24

Family

ID=56343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293A KR20160073026A (ko) 2014-12-16 2014-12-16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0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0630A (zh) * 2023-03-31 2023-06-23 广东筑能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自锁式仿木纹铝单板安装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90630A (zh) * 2023-03-31 2023-06-23 广东筑能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自锁式仿木纹铝单板安装结构
CN116290630B (zh) * 2023-03-31 2023-10-13 广东筑能实业发展有限公司 一种自锁式仿木纹铝单板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14218A (zh) 能源桩及其系统
KR20160073026A (ko) 앵커판이 구비된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878233B1 (ko) 열선이 내장된 열수축케이싱, 열수축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15630B1 (ko) 배관용 단열커버 및 그 시공방법
RU114502U1 (ru) Концевой элемент теплогидроизолирован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US4221239A (en) Insulated conduit
KR101457110B1 (ko) 롤러 회전판을 갖는 확관기, 그 확관기를 이용한 확관방법 및 그 확관방법에 의해 확관된 연결구를 이용한 이중보온관의 연결방법
CN207454952U (zh) 一种保温聚乙烯外护管
KR101156662B1 (ko) 곡관형 이중보온관 및 그 제조방법
KR101726489B1 (ko)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KR20220047235A (ko) 이중보온관용 엔드 플러그
KR101404011B1 (ko) 보온관과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및 단열 시공방법, 이중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06459759U (zh) 核电站硼伴热系统硼酸管道热电偶导热固定装置
KR20090093356A (ko) 이중 관 구조의 온수배관
JP2004169741A (ja) 断熱二重管における内管保持装置
CN205350718U (zh) 复合保温结构及其热力用埋地管道
CN210567002U (zh) 一种管道保温系统的自保温管
KR102264113B1 (ko)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제조방법
US4075861A (en) Method of laying pipes or conduits in the ground and pipe arrangement produced thereby
KR20170031876A (ko) 외부자켓을 이용한 이중 보온관 이음부 보수 시공방법
CN105782592A (zh) 输送原油用双层隔热管及泄漏监测方法
KR101370621B1 (ko) 이중보온관 보수 시공방법
RU114503U1 (ru) Неподвижная опора с изоляцией из пенополиуретана
JP5530552B2 (ja) 給水・給湯管
KR102202155B1 (ko) 내진형 합성수지관 연결방법과 그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