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1231B1 -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1231B1
KR102321231B1 KR1020210014132A KR20210014132A KR102321231B1 KR 102321231 B1 KR102321231 B1 KR 102321231B1 KR 1020210014132 A KR1020210014132 A KR 1020210014132A KR 20210014132 A KR20210014132 A KR 20210014132A KR 102321231 B1 KR102321231 B1 KR 102321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pad block
pad
foam
outer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정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폼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폼프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폼프로
Priority to KR1020210014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1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1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1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4Arrangements using dry fillers, e.g. using slag wool which is added to the object to be insulated by pouring, spreading, spray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1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comprising a single piece or sleeve, e.g. split sleeve, two hal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외경 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배관의 외경을 감싸면서 양단이 접착 또는 접합되는 폼시트와; 폼시트의 일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 구성된 상태에서 폼시트를 통해 배관의 외경 양측부 및 배관의 외경 양측부와 배관의 외경 상측부 사이의 모서리공간에 밀착되는 한 쌍의 폼패드블록을 포함하는 배관용 폼패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Form pad for pipe and manufacturing method fherfof}
본 발명은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관의 외경에 감겨지는 폼패드에 있어서 폼시트의 일면에 한 쌍의 폼패드블록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구성되고 이때 폼패드블록이 사다리꼴 형상의 제1패드블록과 제1패드블록의 양측에 구성되는 삼각형 형상의 제2패드블록 및 제3패드블록으로 구성되어 배관 중 곡관 부위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하여 배관을 보호할 수 있는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난방이란 열생산 시설에서 100℃이상으로 가열된 난방수(중온수)를 아파트나 빌딩 등의 기계실로 공급하고 상기 기계실로부터 일괄적으로 온수와 급탕을 공급받아 난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난방방식이다.
상기의 난방수는 도로 하천 등의 지중(地中)에 매설된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을 통해 아파트나 빌딩 등의 기계실로 공급된다.
상기의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은 난방수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난방수가 흐르는 강관인 내측의 내관(carrier pipe)과, 고밀도폴리에틸렌 수지(high density polyethylene)로 된 외측의 외관 그리고 내관과 외관 사이에 충진되는 우레탄폼(urethane foam)의 단열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의 내관에는 110℃ 내외의 뜨거운 물이 16kgf/㎠ 이하의 압력으로 흐르기 때문에 온도에 의한 관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고 난방수에 의한 열팽창 현상으로 인해 열배관 곡관부에는 상하 방향으로는 크게 유동이 없지만 좌우방향으로는 심한 떨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의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은 성질상 주로 지하에 매설되는데 이는 지중마찰력에 의해 열배관 곡관부의 좌우 떨림 현상을 억제해 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오랜 세월에 걸쳐 지반으로부터 침투된 빗물로 인해 지중(地中)의 점질 토양이 흘러내려가면서 지중(地中)에는 자갈이나 돌이 불거지게 된다.
따라서 열배관인 이중보온관의 내관을 흐르는 난방수의 열팽창 현상에 의해 열배관 곡관부의 좌우 떨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지중(地中)에 불거진 자갈이나 돌과 서로 부딪히게 되어 열배관 곡관부가 파손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 중의 하나로 열배관 곡관부의 떨림폭에 상응하는 지중(地中)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열배관 곡관부에 폼패드를 설치하고 있다.
종래 열배관의 직관부 또는 곡관부에 설치되는 본 발명사상과 근사한 발명사상에 의해 제공되는 열배관용 폼패드로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국등록특허 제10-0892243호 등에, 폼패드 외피(220)와, 상기 폼패드 외피의 전체적인 형태와 상응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적층되어 제공되는 2개의 폼패드 내피(240)를 포함하고, 상기 폼패드 내피는 그 두께 방향으로 절취된 복수개의 절취부(260)를 포함하며, 상기 폼패드 내피는 상기 배관용 폼패드가 설치되는 배관의 직경에 상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폼패드 외피의 일면에 불연속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폼패드는 둥글게 말린 형태가 아닌 펼쳐진 형태로 시공현장에 제공되는 구조를 갖는 배관용 폼패드(200)가 제공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폼패드는, 내피가 외피의 일면에 2개가 구성된다고 하더라도, 내피에 다수개의 절취부가 일일이 V-커팅되어야 함에 따라 공정이 번거롭고 재료의 낭비가 심하고 내피의 제조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폼패드는, 단순히 내피가 배관의 곡관 부분의 양측부만에 밀착된 상태로 감기기 때문에, 곡관의 상측부와 양측부 사이의 4곳의 모서리공간(S)에는 내피가 충전 또는 공급되지 않게 되어, 모서리공간(S)에 토압이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경우 모서리공간(S) 부분이 처지거나 찌그러지면서 외피의 감긴 상태가 풀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폼시트의 일면에 한 쌍의 폼패드블록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구성되고 이때 폼패드블록이 사다리꼴 형상의 제1패드블록과 제1패드블록의 양측에 구성되는 삼각형 형상의 제2패드블록 및 제3패드블록으로 구성되어 배관 중 곡관 부위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폼패드블록이 배관 중 곡관의 모서리공간에도 충전되도록 하여 배관의 보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관의 외경 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배관의 외경을 감싸면서 양단이 접착 또는 접합되는 폼시트와; 폼시트의 일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 구성된 상태에서 폼시트를 통해 배관의 외경 양측부 및 배관의 외경 양측부와 배관의 외경 상측부 사이의 모서리공간에 밀착되는 한 쌍의 폼패드블록을 포함하는 배관용 폼패드가 제공된다.
여기서, 폼시트는, 폭 방향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펼친 상태로 볼 때, 좌측 일단부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우측에 위치되는 하단우측부; 하단우측부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우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하단우측모서리부; 하단우측모서리부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우측부에 위치되는 배관우측부; 배관우측부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상측부 우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상단우측모서리부; 상단우측모서리부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상측부에 위치되는 배관상측부; 배관상측부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상측부 좌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상단좌측모서리부; 상단좌측모서리부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좌측부에 위치되는 배관좌측부; 배관좌측부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좌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하단좌측모서리부; 하단좌측모서리부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좌측에 위치되는 하단좌측부; 및 하단좌측부의 우측에 해당되고 하단우측부의 하면을 상면이 커버하는 길이를 가지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폼패드블록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배관우측부나 배관좌측부에 접합 구성되어 배관의 우측부나 좌측부에 밀착되는 제1패드블록; 제1패드블록의 좌측에 구성되고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하단우측모서리부나 상단좌측모서리부에 밀착되는 제2패드블록; 및 제1패드블록의 우측에 구성되고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단우측모서리부나 하단좌측모서리부에 밀착되는 제3패드블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패드블록은, 배관의 양측부에 밀착되는 밀착면과, 측변이 상협하광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제2패드블록과 제3패드블록은, 제1패드블록의 밀착면 두께 보다 같거나 얇은 두께를 가지는 꼭지점과, 꼭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양변이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펼쳐진 상태의 폼패드가 상하측에 위치된 히터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단계와;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태의 폼패드가 배관의 직경에 대응된 크기를 가지는 원통지그와 배관의 좌측부와 우측부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된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금형지그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 및 냉각되어 배관의 좌측부와 우측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폼시트와 폼패드블록이 라운드 형상으로 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폼패드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폼시트의 일면에 한 쌍의 폼패드블록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구성되고 이때 폼패드블록이 사다리꼴 형상의 제1패드블록과 제1패드블록의 양측에 구성되는 삼각형 형상의 제2패드블록 및 제3패드블록으로 구성되어 배관 중 곡관 부위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관 중 곡관의 모서리공간에도 충전되도록 하여 배관의 보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배관용 폼패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폼패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배관용 폼패드가 배관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배관용 폼패드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폼패드(100)는, 배관의 외경 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배관의 외경을 감싸면서 양단이 접착 또는 접합되는 폼시트(110)와, 폼시트(110)의 일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 구성된 상태에서 폼시트(110)를 통해 배관의 외경 양측부 및 배관의 외경 양측부와 배관의 외경 상측부 사이의 모서리공간에 밀착되어 배관을 보호하는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을 포함한다.
폼시트(110)는,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이 배관의 외경에 밀착된 상태로 감겨지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PE 발포폼 등의 합성수지 재질을 가지고 소정의 두께와 폭 및 길이를 가지는 방방형 판상체의 시트부재이다.
폼시트(110)는, 폭 방향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펼친 상태로 볼 때, 좌측 일단부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우측에 위치되는 하단우측부(111), 하단우측부(111)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우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하단우측모서리부(112), 하단우측모서리부(112)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우측부에 위치되는 배관우측부(113), 배관우측부(113)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상측부 우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상단우측모서리부(114), 상단우측모서리부(114)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상측부에 위치되는 배관상측부(115), 배관상측부(115)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상측부 좌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상단좌측모서리부(116), 상단좌측모서리부(116)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좌측부에 위치되는 배관좌측부(117), 배관좌측부(117)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좌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하단좌측모서리부(118), 하단좌측모서리부(118)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좌측에 위치되는 하단좌측부(119) 및 하단좌측부(119)의 우측에 해당되고 하단우측부(111)의 하면을 상면이 커버하는 길이를 가지는 커버부(C)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폼시트(110)는, 제조 공정 중 히터(H)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원통지그(CZ)와 한 쌍의 금형지그(RZ)에 의해 가압 냉각시 배관우측부(113), 배관좌측부(117) 및 배관우측부(113)와 배관좌측부(117)의 양측에 인접한 구성부 일부가 배관의 좌측부와 우측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가지면서 가공된다.
따라서 폼시트(110)에 의하면, 후술된 폼패드블록(120)의 구성부들이 해당 부분에 부착된 상태를 가지도록 하고, 이때, 해당 부분의 경계가 마킹되는 경우 자동화 공정 제조시 간단하고 단순한 구조와 설계를 가능하게 하여 연속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폼패드블록(120)은, 폼시트(110)의 일면에 한 쌍이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 구성된 상태에서 폼시트(110)를 통해 배관의 외경 양측부 및 배관의 외경 양측부와 배관의 외경 상측부 사이의 모서리공간에 밀착되어 배관을 보호하는 수단으로서, EVA 보드 등과 같은 합성수지 재질을 가진다.
또한, 폼패드블록(120)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배관우측부(113)나 배관좌측부(117)에 접합 구성되어 배관의 우측부나 좌측부에 밀착되는 제1패드블록(120-1), 제1패드블록(120-1)의 좌측에 구성되고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하단우측모서리부(112)나 상단좌측모서리부(116)에 밀착되는 제2패드블록(120-2) 및 제1패드블록(120-1)의 우측에 구성되고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단우측모서리부(114)나 하단좌측모서리부(118)에 밀착되는 제3패드블록(120-3)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패드블록(120-1)은, 제조 공정 중 히터(H)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원통지그(CZ)와 한 쌍의 금형지그(RZ)에 의해 가압 냉각시 배관의 좌측부나 우측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가지면서 가공되고 배관의 양측부에 밀착되는 밀착면(121)과, 측변이 상협하광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사면(122)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패드블록(120-1)에 의하면, 밀착면(121)이 제조 공정 중 라운드 형상을 가짐에 따라 배관의 외경 양측부에 배관의 곡률을 따라서 밀착되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제2패드블록(120-2)과 제3패드블록(120-3)은, 제1패드블록(120-1)의 밀착면(121)의 두께 보다 같거나 얇은 두께를 가지는 꼭지점(123)과, 꼭지점(123)으로부터 연장되는 양변이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사면(12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2패드블록(120-2)과 제3패드블록(120-3)에 의하면, 제1패드블록(120-1)의 경사면(122)과의 사이에 70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가지는 'V'자 형상의 곡률공간(125)이 제공되도록 하여 제2패드블록(120-2)과 3패드블록(120-3)이 각각의 모서리공간에 위치시 경사면(124)이 제1패드블록(120-1)의 경사면(122)에 접촉되도록 하여 제2패드블록(120-2)과 제3패드블록(120-3)이 제1패드블록(120-1)의 밀착면(121)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패드블록(120-2)과 제3패드블록(120-3)은, 결과적으로 제1패드블록(120-1)이 밀착면(121)의 곡률을 유지하면서 제1패드블록(120-1)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삼각형 형상을 통해 제공되는 곡률공간(125)을 통하여 제1패드블록(120-1)과 제2패드블록(120-2) 또는 제1패드블록(120-1)과 제3패드블록(120-3)의 경계부분이 절곡되어 배관의 직경 곡률을 따라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쉽게 감겨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패드블록(120-1)의 경사면(122)과 제2패드블록(120-2) 또는 제3패드블록(120-3)의 경사면(124) 사이의 곡률공간(125)이 70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은, 70도에 미만하는 각도를 가지는 경우 배관의 곡률을 따라 감겨지는 작업시 제1패드블록(120-1)과 제2패드블록(120-2) 또는 제3패드블록(120-3)의 접촉부분에 많은 변형력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80도를 초과하는 각도를 가지는 경우 배관의 곡률을 따라 감겨지는 작업시 제1패드블록(120-1)과 제2패드블록(120-2) 또는 제3패드블록(120-3)의 접촉부분에 빈 공간이 구성되어 폼시트(110)가 팽팽하게 감겨지지 못하고 풀어지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각도 한정을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제1패드블록(120-1)의 밀착면(121) 두께가 제2패드블록(120-2)과 제3패드블록(120-3)의 꼭지점(123)에 해당되는 부분 보다 두꺼운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은, 꼭지점(123)의 두께가 제1패드블록(120-1)의 밀착면(121) 보다 두꺼운 경우 배관의 곡률을 따라 감겨지는 작업시 꼭지점(123)에 높이에 의해 제1패드블록(120-1)과 제2패드블록(120-2) 또는 제3패드블록(120-3)의 접촉부분에 많은 변형력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고 또한, 폼시트(110)가 펼쳐지도록 하는 저항력 또는 응력이 커지게 되면서 폼시트(110)가 풀어지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높이 한정을 가지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폼패드블록(120)은, 제1패드블록(120-1), 제2패드블록(120-2) 및 제3패드블록(120-3)이 하면이 연결되어 단일체 구조를 가지거나, 각각이 독립된 단위블록으로 제조된 후 폼시트(110)의 해당 부분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폼패드블록(120)에 의하면, 폼시트(110)를 통하여 배관의 외경에 감겨지는 작업시 배관의 외경 양측부 및 배관의 외경 양측부와 배관의 외경 상측부 사이의 모서리공간에 밀착되어 배관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때, 배관의 상측부와 하측부에는 구성되지 않음에 따라 폼시트(110)가 평면 구조를 가지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배관의 곡관 일부에 시행되는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폼시트(110)의 상면 즉, 배관의 외경에 대면되는 폼시트(110)의 내면에는, 기능제공조성물에 의하여 기능제공층이 형성되어 배관의 수축팽창을 억제하고 폼시트(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능제공조성물은,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알루미늄분말 30 내지 40 중량부, 팽창 퍼라이트, 인슐래드, 규조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다공성 무기 미립자 20 내지 30 중량부, 피버글라스 10 내지 20 및 난연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무기바인더는, 기능제공층의 혼합물이 폼시트(110)의 상면이나 내면에 도포 및 코팅되도록 하는 접착 기능을 제공하며, 공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알루미늄분말은, 폼시트(110)에 도포 및 코팅시 배관의 방열을 일부 차열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4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능제공층 조성물들의 차열성이 커지게 되어 배관의 열이 방열되지 못하여 배관이 신장되면서 파손의 가능성이 커지게 되고, 30 중량부에 미만하는 경우에는 외부의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저하되고 차열성이 저하되어 열손실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다공성 무기 미립자는, 공기층을 제공하여 방열성 향상 부재로서, 다수의 기공을 통하여 높은 방열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내지 3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열성이 커지게 되어 배관의 열이 너무 많이 방열되어 배관을 따라 공급되는 온수가 빠르게 냉각되어 열손실이 커지게 되고, 2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방열성이 저하되어 배관의 열이 방열되지 못하고 신장되면서 파손의 가능성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피버글라스는, 알루미늄분말과 다공성 무기 미립자의 단열층 제공시 배관의 온도에 의해 무기바인더가 발화되는 것을 억제하는 내화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2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2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탄력이 저하되어 폼시트(110)의 형상 가변성이 억제되어 시공성이 크게 저하되고, 10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내화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난연제는, 배관의 온도에 의해 무기바인더가 열화되어 폼시트(110)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메틸아이오다이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부가 첨가되는데,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능제공조성물들간의 들뜸 현상이 발생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고, 5 중량부를 미만하는 경우에는 높은 열보온성 대비 난연 기능이 저하되어 무기바인더가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중량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기능제공층에 의하면, 폼시트(110)의 가변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배관의 수축팽창을 억제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알루미늄분말 33 중량부, 팽창 퍼라이트, 인슐래드, 규조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다공성 무기 미립자 26 중량부, 피버글라스 11 및 난연제 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폼패드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폼시트(110)의 상면에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 부착되어 펼쳐진 상태의 폼패드(100-1)가 제조된다.
이후, 상기와 같은 펼쳐진 상태의 폼패드(100-1)가 상하측에 위치된 히터(H)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
이후, 히터(H)에 의해 가열된 상태의 폼패드(100-1)가 배관의 직경에 대응된 크기를 가지는 원통지그(CZ)와 배관의 좌측부와 우측부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된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금형지그(RZ)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 및 냉각된 후 라운드 가공된 폼패드(100-2)가 제조된다.
이에, 폼시트(110)는 배관우측부(113), 배관좌측부(117) 및 배관우측부(113)와 배관좌측부(117)의 양측에 인접한 구성부 일부가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가지면서 가공되고, 폼패드블록(120)의 제1패드블록(120-1)은 밀착면(121)이 배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라운드 형상을 가지면서 가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용 폼패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와 같이 펼쳐진 상태의 폼패드(100-1)가 가공되어 라운드 형태의 폼패드(100-2)로 제조된 후, 현장에서 폼시트(110)가 배관의 외경에 감겨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폼시트(110)의 하단우측부(111) 일단이 배관의 하측부 우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단우측모서리부(112)가 배관의 하측부 우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될 때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 중 어느 하나의 제2패드블록(120-2) 꼭지점(123)과 경사면(124) 부분이 배관의 하측부 우측 모서리공간에 밀착 및 충전되고, 이어서, 배관우측부(113)가 배관의 우측부에 위치될 때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 중 어느 하나의 제1패드블록(120-1) 밀착면(121) 부분이 배관의 우측부에 밀착 및 충전되며, 이어서, 상단우측모서리부(114)가 배관의 상측부 우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될 때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 중 어느 하나의 제3패드블록(120-3) 꼭지점(123)과 경사면(124) 부분이 배관의 상측부 우측 모서리공간에 밀착 및 충전된다.
또한, 이어서, 배관상측부(115)가 배관의 상측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단좌측모서리부(116)가 배관의 상측부 좌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될 때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 중 다른 하나의 제2패드블록(120-2) 꼭지점(123)과 경사면(124) 부분이 배관의 상측부 좌측 모서리공간에 밀착 및 충전되고, 이어서, 배관좌측부(117)가 배관의 좌측부에 위치될 때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 중 다른 하나의 제1패드블록(120-1) 밀착면(121) 부분이 배관의 좌측부에 밀착 및 충전되며, 이어서, 하단좌측모서리부(118)가 배관의 하측부 좌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될 때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 중 다른 하나의 제3패드블록(120-3) 꼭지점(123)과 경사면(124) 부분이 배관의 하측부 좌측 모서리공간에 밀착 및 충전된다.
또한, 이어서, 하단좌측부(119)가 배관의 하측부 좌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커버부(C)가 하단우측부(111)의 하면을 커버하면서 접착 또는 고정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의하면, 폼시트(110)의 일면에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 구성되고 이때 폼패드블록(120)이 사다리꼴 형상의 제1패드블록(120-1)과 제1패드블록(120-1)의 양측에 구성되는 삼각형 형상의 제2패드블록(120-2) 및 제3패드블록(120-3)으로 구성되어 배관 중 곡관 부위에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배관 중 곡관의 모서리공간에도 충전되도록 하여 배관의 보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배관의 외경 보다 긴 길이를 가지고 배관의 외경을 감싸면서 양단이 접착 또는 접합되는 폼시트(110)와; 폼시트(110)의 일면에 소정 간격을 가지면서 이격 구성된 상태에서 폼시트(110)를 통해 배관의 외경 양측부 및 배관의 외경 양측부와 배관의 외경 상측부 사이의 모서리공간에 밀착되는 한 쌍의 폼패드블록(120)을 포함하고,
    폼시트(110)는,
    폭 방향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펼친 상태로 볼 때, 좌측 일단부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우측에 위치되는 하단우측부(111); 하단우측부(111)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우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하단우측모서리부(112); 하단우측모서리부(112)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우측부에 위치되는 배관우측부(113); 배관우측부(113)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상측부 우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상단우측모서리부(114); 상단우측모서리부(114)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상측부에 위치되는 배관상측부(115); 배관상측부(115)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상측부 좌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상단좌측모서리부(116); 상단좌측모서리부(116)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좌측부에 위치되는 배관좌측부(117); 배관좌측부(117)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좌측 모서리공간에 위치되는 하단좌측모서리부(118); 하단좌측모서리부(118)의 우측에 해당되고 배관의 하측부 좌측에 위치되는 하단좌측부(119); 및 하단좌측부(119)의 우측에 해당되고 하단우측부(111)의 하면을 상면이 커버하는 길이를 가지는 커버부(C)를 포함하며,
    폼패드블록(120)은,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배관우측부(113)나 배관좌측부(117)에 접합 구성되어 배관의 우측부나 좌측부에 밀착되는 제1패드블록(120-1); 제1패드블록(120-1)의 좌측에 구성되고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하단우측모서리부(112)나 상단좌측모서리부(116)에 밀착되는 제2패드블록(120-2); 및 제1패드블록(120-1)의 우측에 구성되고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단우측모서리부(114)나 하단좌측모서리부(118)에 밀착되는 제3패드블록(120-3)을 포함하고,
    제1패드블록(120-1)은,
    배관의 양측부에 밀착되는 밀착면(121)과 측변이 상협하광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사면(122)으로 구성되고,
    제2패드블록(120-2)과 제3패드블록(120-3)은,
    제1패드블록(120-1)의 밀착면(121) 두께 보다 같거나 얇은 두께를 가지는 꼭지점(123)과 꼭지점(123)으로부터 연장되는 양변이 정삼각형 또는 이등변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경사면(124)으로 구성되며,
    제1패드블록(120-1)과 제2패드블록(120-2) 및 제1패드블록(120-1)과 제3패드블록(120-3)에 사이에는 70도 내지 80도의 각도를 가지는 'V'자 형상의 곡률공간(125)이 제공되고,
    제1패드블록(120-1)의 밀착면(121)의 두께가 제2패드블록(120-2)과 제3패드블록(120-3)의 꼭지점(123)에 해당되는 부분의 두께 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폼시트(110)의 상면에는,
    기능제공조성물에 의하여 기능제공층이 형성되고,
    기능제공조성물은,
    무기바인더 100 중량부에,
    알루미늄분말 30 내지 40 중량부, 팽창 퍼라이트, 인슐래드, 규조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다공성 무기 미립자 20 내지 30 중량부, 피버글라스 10 내지 20 및 난연제 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패드.
  8. 제1항 또는 제7항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폼패드가 상하측에 위치된 히터(H)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단계와;
    히터(H)에 의해 가열된 상태의 폼패드가 배관의 직경에 대응된 크기를 가지는 원통지그(CZ)와 배관의 좌측부와 우측부의 라운드 형상에 대응된 구조를 가지는 한 쌍의 금형지그(RZ)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가압 및 냉각되어 배관의 좌측부와 우측부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폼시트(110)와 폼패드블록(120)이 라운드 형상으로 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패드 제조방법.
KR1020210014132A 2021-02-01 2021-02-01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2321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132A KR102321231B1 (ko) 2021-02-01 2021-02-01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132A KR102321231B1 (ko) 2021-02-01 2021-02-01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231B1 true KR102321231B1 (ko) 2021-11-03

Family

ID=78505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132A KR102321231B1 (ko) 2021-02-01 2021-02-01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12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067A (ko) * 2013-11-18 2015-05-28 이영재 배관 보온재 제조방법
JP2020073819A (ja) * 2018-06-05 2020-05-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被覆材、配管、及び耐火構造
KR102186784B1 (ko) * 2020-07-14 2020-12-07 주식회사 폼프로 배관용 폼패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7067A (ko) * 2013-11-18 2015-05-28 이영재 배관 보온재 제조방법
JP2020073819A (ja) * 2018-06-05 2020-05-1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被覆材、配管、及び耐火構造
KR102186784B1 (ko) * 2020-07-14 2020-12-07 주식회사 폼프로 배관용 폼패드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8699B2 (en) Fire stop article
AU2001236788B2 (en) Flexible reflective insulating structures
US20130305642A1 (en) Roof panel and method of forming a roof
US6074714A (en) Fire and heat protection wrap for structural steel columns, beams and open web joists
JPH0258652A (ja) 防火壁
KR102321231B1 (ko) 배관용 폼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0020A (ko) 내화 충전재 결합구조
JP2003214592A (ja) 防火区画貫通部用継手
Salih Insulation materials
KR20050022974A (ko) 방음 방수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726489B1 (ko)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KR102186784B1 (ko) 배관용 폼패드 제조방법
KR101400059B1 (ko) 외단열 외방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1785499B1 (ko) 단열재 이음부 메움수단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이음부 메움방법
CN205382585U (zh) 一种防火保温板
KR20090081082A (ko) 조립식 외단열 방수 구조
JPH03217534A (ja) 断熱防水兼用防振マットおよびその敷込み方法
RU164571U1 (ru) Унифицированный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одуль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его покрыт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EP0832333B1 (en) High temperature resistant insulating element
JP2008214902A (ja) 蒸発冷却機能を有する構造物外装用建材
KR102210507B1 (ko)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
EP1364170B1 (en) Ventilation duct construction and method of providing a fire protected penetration of a ventilation duct in a wall
JP2006304501A (ja) トンネル内ケーブル管路の耐火被覆構造
KR200357996Y1 (ko) 압축 스티로폼 차음재
CN115556447B (zh) 一种耐低温抗老化弹性体改性沥青防水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