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507B1 -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 - Google Patents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507B1
KR102210507B1 KR1020200039945A KR20200039945A KR102210507B1 KR 102210507 B1 KR102210507 B1 KR 102210507B1 KR 1020200039945 A KR1020200039945 A KR 1020200039945A KR 20200039945 A KR20200039945 A KR 20200039945A KR 102210507 B1 KR102210507 B1 KR 102210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waterproof layer
fixing
sepa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혁수
최성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비티엔씨
Priority to KR1020200039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5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4Damp-proof cour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차방수층의 2차고정지지부가 1차방수층의 1차고정지지부 사이 중심부에 엇갈리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1차방수층의 1차고정지지부(조인트부) 응력이 2차방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1,2차방수층의 변형응력이 상호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1차방수층과 2차방수층 사이에 부직포, 직포, 필름 등의 분리지지부재를 삽입하도록 하여 2차방수층이 1차방수층에 접착되지 않고 절연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A Separate Multilayer Waterproof Structure and Complex Waterproof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차방수층의 2차고정지지부가 1차방수층의 1차고정지지부 사이 중심부에 엇갈리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1차방수층의 1차고정지지부(조인트부) 응력이 2차방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1,2차방수층의 변형응력이 상호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며, 1차방수층과 2차방수층 사이에 부직포, 직포, 필름 등의 분리지지부재를 삽입하도록 하여 2차방수층이 1차방수층에 접착되지 않고 절연되도록 함으로써,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방수층 형성 이후 발생되는 누수는 방수층의 파단 및 방수층과 콘크리트 바탕면과의 들뜸에 의해서 발생된다.
방수층 파단 및 들뜸은 온도 변화에 의해 콘크리트 및 방수층의 부피 변화에 의해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독립된 물체는 저온에서 수축하며, 고온에서 팽창되는 특성을 지닌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방수층의 파단 및 들뜸 메커니즘을 보면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는 타설 이후 수분 증발 등 여러원인에 의해 균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균열은 콘크리트의 수축 시 균열 폭이 증가 되며, 팽창 시 균열폭이 감소되는데, 이를 균열 거동이라 표현한다.
이러한 균열부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기 위해 방수층이 형성된다. 방수층은 균열부에서 발생되는 거동에 대응하기 위해 신장 즉 고무줄처럼 늘어나는 성질을 지닌 방수층이 시공된다.
바탕콘크리트 균열부의 거동이 확장될 경우 이에 대응하여 방수층도 동시에 늘어남으로써 파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방수층의 신장성 즉 늘어남의 크기는 방수층의 길이에 비례한다. 즉, 상대적으로 길이가 큰 방수층은 늘어남의 크기가 크고, 반대로 길이가 적은 방수층은 늘어남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된다. 그러나 방수층을 극단적으로 적게 할 경우 방수층은 더 이상 늘어나지 않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제로스판텐션이라 한다.
방수층은 구속된 상태가 없을 때 길이만큼 신장이 발생된다. 방수층은 콘크리트 바탕면에 부착시키는 것이 일반적 방법이다. 바탕면과 부착된 방수층은 부착이란 환경적 구속에 의해 신장 길이가 극단적으로 제한된다. 이러한 이유로
콘크리트 균열 상부에 놓인 방수층은 아주 극미한 길이만이 늘어나게 되어 급격한 피로가 형성되거나 상기와 같은 제로스판텐션에 의해 늘어남이 전혀 없는 상태에 놓이게 되어 균열 거동에 대응치 못해 손상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건축물의 방수에는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시트 방수, 도막 방수 등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각각의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아래 특허문헌과 같이 복합소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의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복합 소재를 사용하거나 시트 및 도막 형태의 방수재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복합방수공법의 경우 시트를 바닥에 깔고 그 위에 도막을 밀착시켜 덮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대부분 조인트부가 시트층과 도막층이 일체화되어 바탕면에 부착되는 방식이므로 바닥의 진동, 균열 그리고 시트의 팽창, 미세거동이 도막에 그대로 전달되어 방수층이 파단되거나 균열됨에 따라 방수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901668호(2018.03.18. 등록)"복합 방수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구조물의 방수공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2차방수층의 2차고정지지부가 1차방수층의 1차고정지지부 사이 중심부에 엇갈리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1차방수층의 1차고정지지부(조인트부) 응력이 2차방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1,2차방수층의 변형응력이 상호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절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1차방수층 하분 전면에 유동성을 지닌 점착 물질로 전면 점착 고정층을 형성하여 1차방수층 보호재로 사용되는 보호층의 수축팽창응력이 보호층의 연결부위로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는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1차방수층과 2차방수층 사이에 부직포, 직포, 필름 등의 분리지지부재를 삽입하도록 하여 2차방수층이 1차방수층에 접착되지 않고 절연되도록 하는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점착고정층 상에 발포형 시트 형태의 보호층이 일체로 형성되어 1차방수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점착고정층에 대한 열의 전달을 차단하여 부풀음을 방지하고 점착고정층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시공의 편리성까지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일체로 형성되는 점착고정층 및 보호층을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하면서 그 사이 공간은 점착실재가 주입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점착실재 상부는 추가적인 추가분리부재에 의해 2차방수층과의 부착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점착실재에 의한 효과적인 밀폐와 2차방수층의 분리 거동이 동시에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체는 방수 대상 구조물에 전면 또는 부분 부착되어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1차방수층과, 상기 1차방수층의 상부 전면에 형성되어 1차방수층과 부분 접착되는 2차방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체는 상기 제1방수층을 방수 대상 구조물에 부분 부착시키는 1차고정지지부와, 상기 2차방수층을 1차방수층에 부분 부착시키는 2차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고정지지부는 1차고정지지부 사이 중심부에 1차고정지지부와 엇갈리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2차방수층은 상기 2차고정지지부 상부에 삽입되어 1차방수층과 2차방수층의 부착을 차단함으로써 1차방수층 및 2차방수층을 절연시키는 분리형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성층은 부직포, 직포, 필름 등으로 형성되는 분리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1차방수층은 방수재로 형성되어 방수 대상 구조물에 점착되는 점착고정층과, 상기 점착고정층 상부에 형성되어 점착고정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발포형 시트로 형성되어 상기 점착고정층이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1차방수층은 일체로 형성되는 보호층 및 점착고정층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1차방수층은 복수개 연결되는 보호층 및 점착고정층 사이에 삽입되어 공간을 밀폐시키는 점착실재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실재의 상부에는 2차방수층과의 거동을 분리시키는 추가분리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복층방수공법은 방수 대상 구조물에 전면 또는 부분 부착되어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1차방수층을 방수 대상 구조물 상부에 시공하는 1차방수층시공단계와, 1차방수층의 상부 전면에 형성되는 2차방수층을 시공하는 2차방수층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2차방수층시공단계는 2차방수층을 1차방수층에 부분 접착되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2차방수층의 2차고정지지부가 1차방수층의 1차고정지지부 사이 중심부에 엇갈리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1차방수층의 1차고정지지부(조인트부) 응력이 2차방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1,2차방수층의 변형응력이 상호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절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1차방수층 하부 전면에 유동성을 지닌 점착 물질로 전면 점착 고정층을 형성하여 1차방수층 보호재로 사용되는 보호층의 수축팽창응력이 보호층의 연결부위로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1차방수층과 2차방수층 사이에 부직포, 직포, 필름 등의 분리지지부재를 삽입하도록 하여 2차방수층이 1차방수층에 접착되지 않고 절연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점착고정층 상에 발포형 시트 형태의 보호층이 일체로 형성되어 1차방수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점착고정층에 대한 열의 전달을 차단하여 부풀음을 방지하고 점착고정층을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며 시공의 편리성까지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일체로 형성되는 점착고정층 및 보호층을 수평으로 연결하도록 하면서 그 사이 공간은 점착실재가 주입되어 밀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점착실재 상부는 추가적인 추가분리부재에 의해 2차방수층과의 부착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점착실재에 의한 효과적인 밀폐와 2차방수층의 분리 거동이 동시에 보장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의 구성도
도 3은 방수구조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2에 추가분리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의 코너부 설치형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를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방수구조체는 방수 대상 구조물(C)에 부분 또는 전면 부착되어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1차방수층(1)과, 상기 1차방수층(1)을 방수 대상 구조물(C)에 부착시키는 1차고정지지부(2)와, 상기 1차방수층(1)의 상부 전면에 형성되어 1차방수층(1)과 부분 접착되는 2차방수층(3)과, 상기 2차방수층(3)을 1차방수층(1)에 부분 부착시키는 2차고정지지부(4)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체는 1차방수층(1)을 통해 방수 대상 구조물(C)의 1차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1차방수층(1)은 2차방수층(3)에 의해 보호되도록 하고, 2차방수층(3)이 1차방수층(1)과 분리거동되도록 하여 1차방수층(1) 및 2차방수층(3)의 변형응력이 상호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기존에도 시트재 상부에 도막 방수층을 형성하는 절연공법이 사용되었으나 시트재 사이에 투입되는 방수층(조인트부)에서 방수 대상 구조물의 균열이나 시트재의 응력을 이기지 못하고 파단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1차방수층(1)을 방수 대상 구조물(C)에 부분 고정시키는 1차고정지지부(2)와 2차방수층(3)을 방수 대상 구조물(C)에 부분 고정시키는 2차고정지지부(4)가 서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1차방수층(1)의 수축, 팽창 응력에 의해 발생되는 1차고정지지부(2)에서의 응력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2차방수층(3)을 통해 1차방수층(1)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2차방수층(3)은 1차방수층(1)과 부분적으로만 접착되어 상호간의 응력전달을 최소화하면서 1차고정지지부(2) 및 2차고정지지부(4)가 서로 엇갈려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1차고정지지부(2)에서의 응력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를 통해 2차방수층(3)의 파단을 막고 안정적인 보호역할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1차방수층(1)은 콘크리트 등의 방수 대상 구조물(C)에 접착되어 방수 대상 구조물(C)에 대한 1차적인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2차방수층(3)이 전면에 형성되어 1차방수층(1)을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1차방수층(1)은 시트재를 기본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포형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방수층(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고정지지부(2)에 의해 부분적으로 방수 대상 구조물(C)에 접착 또는 점착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상부에는 2차방수층(3)이 부분 접착으로 고정되어 1차방수층(1)과 2차방수층(3)의 거동이 분리된 상태로 절연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2차방수층(3)을 1차방수층(1)에 부분 접착시키는 2차고정지지부(4)는 1차고정지지부(2)와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1차고정지지부(2)에 발생하는 응력도 2차방수층(3)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를 통해 2차방수층(3)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1차방수층(1)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고정지지부(2) 대신 점착고정층(11)이 하부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수 대상 구조물(C)에 점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1차방수층(1)은 시트재의 응력이 1차고정지지부(2)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점착고정층(11) 전체에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1차방수층(1)은 방수 대상 구조물(C)에 전면 점착되는 점착고정층(11)과 점착고정층(11) 상부에 보호층(1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보호층(13) 사이는 점착실재(15)에 의해 고정·밀폐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에도 점착실재(15)는 2차고정지지부(4) 사이에 엇갈리도록 형성되어 점착실재(15)에 집중되는 응력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점착고정층(11)은 점착 형태로 방수 대상 구조물(C)에 밀착·결합할 수 있는 방수재로 형성되며, 점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다수의 방수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고정층(11)은 보호층()의 하부 전면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부분적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점착고정층(11)은 바람직하게는 1~1.5mm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층(13)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점착실재(15)에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점착고정층(11)은 보호층(13)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방수 대상 구조물(C)에 접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 및 신속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은 점착고정층(11)의 상측에서 점착고정층(11)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발포형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2~2.5mm의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13)은 하부면을 따라 점착고정층(11)이 일체로 형성되며, 점착고정층(11)으로 전달되는 상부의 열을 차단하고,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층(13)은 점착고정층(11)의 부풀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며, 보호층(13)의 인장력에 의해 점착고정층(11)의 유동을 차단하고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보호층(13)은 PE, PVC, 신슐레이트(Thinsulate) 등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점착고정층(11)과의 정합성, 주름, 무게, 가격 등을 고려하여 소재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고, 열반사시트, 부직포, PE직포 등이 인장력이나 단열성 등의 기능 보강을 위해 합지되어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호층(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방수층(3)이 방수재가 아닌 아스팔트, 콘크리트 등의 비노출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외부 환경에 의한 영향이 더 적으므로 발포형 시트가 아닌 직포나 부직포가 결합된 시트로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실재(15)는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점착고정층(11)이 형성된 보호층(13) 사이를 밀폐시키는 구성으로, 액상 형태의 점착재가 적용될 수 있으며, 점착고정층(11)이 형성된 보호층(13)을 방수 대상 구조물(C) 상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다음 그 사이에 점착실재(15)를 투입하여 보호층(13) 사이의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점착실재(15)는 점착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므로, 보호층(13)의 상부로 일부 누출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2차방수층(3)과의 점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점착실재(15) 상에 추가분리부재(43)를 부착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1차고정지지부(2)는 상기 1차방수층(1)을 방수 대상 구조물(C)에 접착 또는 점착시키는 구성으로, 1차방수층(1)의 하부면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1차고정지지부(2)는 방수 대상 구조물(C)에 대한 접착 또는 점착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면서 그 사이의 중심부에 2차고정지지부(4)가 엇갈리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하여 1차고정지지부(2)에 집중되는 응력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2차방수층(3)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방수구조체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고정지지부(2) 대신 1차방수층(1)의 하부 전면에 점착고정층(11)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2차방수층(3)은 상기 1차방수층(1)의 상부 전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1차방수층(1)을 보호하는 구성으로, 1차방수층(1)과 부분적으로만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호간의 거동이 서로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차방수층(3)은 1차방수층(1)과의 거동이 분리되도록 그 하부면에 분리형성층(31)을 형성하여 1차방수층(1)과 접착되지 않는 분리층(5)을 형성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2차방수층(3) 및 1차방수층(1) 사이의 거동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2차방수층(3)은 1차방수층(1)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고정지지부(2)를 갖거나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고정지지부(4)를 갖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동일한 구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2차방수층(3)은 일정 간격으로 2차고정지지부(4)를 통해 1차방수층(1)과의 부분접착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특히 2차고정지지부(4)가 1차고정지지부(2) 사이 중심부에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하여 1차고정지지부(2)에 집중되는 응력이 2차고정지지부(4)를 통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2차방수층(3)은 분리형성층(31)을 통해 1차방수층(1)과의 거동이 분리되면서 2차방수층(3)을 1차방수층(1)에 고정시키는 2차고정지지부(4)도 1차고정지지부(2)와 엇갈려 형성되므로 1차방수층(1)의 미세거동 및 집중응력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2차방수층(3)의 안정성을 확보하여 파단을 방지하고 1차방수층(1)에 대한 보호효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1차방수층(1)에 1차고정지지부(2)가 형성되지 않고 점착고정층(11)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2차고정지지부(4)는 점착실재(15)와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하여 응력의 전달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2차방수층(3)은 1차방수층(1)과의 사이에 분리층(5)을 형성하는 분리형성층(31), 노출방수재로 형성되는 커버방수층(3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재가 아닌 비노출형으로 형성되는 비노출커버층(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성층(31)은 2차방수층(3) 하부면에 형성되어 2차방수층(3)을 1차방수층(1)으로부터 분리 거동시키는 구성으로, 1차방수층(1) 및 2차방수층(3)을 절연시켜 1차방수층(1)의 수축, 팽창에 의한 응력이 2차방수층(3)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분리형성층(31)은 1차방수층(1)과 2차방수층(3)이 접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의미에서의 분리층(5)을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형성층(31)은 일부 지점에서만 2차고정지지부(4)에 의해 분리형성층(31)이 2차방수층(3)에 고정되도록 하여 분리 거동을 확보하면서, 2차고정지지부(4)가 1차고정지지부(2) 또는 점착실재(15)와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하여 1차방수층(1) 연결부위(조인트부)의 집중응력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형성층(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방수층(1)과 분리형성층(31)은 밀착되어는 있으나 접착되지 않은, 즉 거동이 제한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형성층(31)은 상기 1차방수층(1)과의 거동을 분리시키기 위해 분리지지부재(311)를 1차방수층(1) 사이에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리지지부재(311)는 상기 1차방수층(1) 및 2차방수층(3) 사이에 삽입되어 거동을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직포, 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정확하게 상기 분리지지부재(311)는 1차방수층(1) 상에 안착되어 맞닿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분리지지부재(311)는 시트 형태의 1차방수층(1)과 접착되지 않으므로 2차방수층(3)을 1차방수층(1)으로부터 거동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지지부재(311)는 일정 크기로 형성되어 서로 겹쳐지는 형태로 1차방수층(1) 상에 안착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상부 2차방수층(3)이 도포될 때 분리지지부재(311) 사이로 2차방수층(3)이 유입되어 자연스럽게 부착·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분리지지부재(311)는 1차방수층(1)과 전혀 접착되지 않으므로 1차방수층(1)의 거동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분리지지부재(311)가 2차고정지지부(4)에 의해 1차방수층(1)에 부분 접착하도록 하는 경우 분리지지부재(311)의 연결부분을 2차고정지지부(4)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차고정지지부(4)를 1차고정지지부(2) 또는 점착실재(15)와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하여 1차고정지지부(2) 또는 점착실재(15)에 집중되는 응력 또한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커버방수층(33)은 방수재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중도층(331)과 우레탄상도층(333)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우레탄중도와 상도에 맞는 방수재가 적용되어 분리지지부재(311) 상에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중도층(331)과 우레탄상도층(333)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1~1.5mm, 0.5mm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노출커버층(35)은 방수재가 아닌 소재로 형성되어 분리지지부재(311) 상을 덮는 구성으로, 일 예로 타르우레탄 또는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재가 1~1.5mm의 두께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2차방수층(3)은 거동이 분리되어 안정성이 유지되므로 방수재에 의한 커버방수층(33)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커버방수층(33)은 대체로 고가이므로 설치 환경에 따라서는 비노출커버층(35)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차방수층(3)이 비노출커버층(35)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커버방수층(33)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같이 1차방수층(1)의 거동 전달이 차단되므로 비노출커버층(35)의 안정성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1차방수층(1)에 대한 효과적인 보호 효과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방수구조체는 코너부에 있어서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방수층(1)과 2차방수층(3)이 분리지지부재(311)에 의해 거동 분리되므로 2차방수층(3)의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2차고정지지부(4)는 상기 2차방수층(3)을 1차방수층(1)에 부분 접착시키는 구성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분리지지부재(311)를 1차방수층(1) 상부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2차고정지지부(4)는 1차고정지지부(2) 또는 점착실재(15) 사이 중심부에 엇갈리도록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1차고정지지부(2) 또는 점착실재(15)에 발생하는 응력이 2차고정지지부(4)를 통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2차고정지지부(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방수층(1)에 점착고정층(11)을 형성하고 점착실재(15)가 형성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점착실재(15)가 분리지지부재(311)에 점착되는 것을 차단하여 응력의 전달을 차단하고 분리거동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2차고정지지부(4)는 부분고정재(41) 및 추가분리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분고정재(41)는 1차방수층(1) 상의 일부 지점,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지지부재(311)가 서로 겹쳐지는 최소한의 지점에만 형성되어 양측의 분리지지부재(311)를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일 예로 경질우레탄으로 형성되는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부분고정재(41)는 상기 분리지지부재(311)에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리지지부재(311)의 시공시 분리지지부재(311)가 움직이지 않고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위에 커버방수층(33) 또는 비노출커버층(35)을 덮어 시공을 완료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부분고정재(41)는 1차고정지지부(2) 또는 점착실재(15)와 엇갈리게 형성되어 응력의 전달을 차단한다.
상기 추가분리부재(4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점착실재(15) 상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부직포로 형성되어 점착실재(15)와 분리지지부재(311)의 접착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점착실재(15)는 액상으로 형성되어 보호층(13) 상부로 누출될 수 있으며, 상부까지 누출되어야만 보호층(13) 사이의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밀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분리부재(43)는 점착실재(15) 상부에 부착되어 분리지지부재(311)와의 부착을 차단함으로써 보호층(13) 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하면서 거동 분리의 효과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리층(5)은 분리형성층(31)에 의해 형성되는 구성으로, 1차방수층(1)과 분리지지부재(311) 사이의 공간을 의미한다. 다만, 상기 분리층(5)은 1차방수층(1)과 분리지지부재(311)가 부착되지 않고 분리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층으로, 도면 상에도 분리층(5)이 일정 공간 이격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이는 1차방수층(1)과 분리지지부재(311)가 분리되어 있음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1차방수층(1)과 분리지지부재(311)는 서로 접촉된 상태로 시공된다. 다만, 부직포로 형성되는 분리지지부재(311)가 1차방수층(1)과 접착되지 않고 분리층(5)을 형성함에 따라 1차방수층(1)의 거동이 분리지지부재(311) 및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지 않고 2차방수층(3)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복층방수공법은 방수 대상 구조물(C)에 전면 또는 부분 부착되어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1차방수층(1)을 방수 대상 구조물(C) 상부에 시공하는 1차방수층시공단계(S1)와, 1차방수층(1)의 상부 전면에 형성되는 2차방수층(3)을 시공하는 2차방수층시공단계(S2)를 포함한다.
상기 복층방수공법은 방수구조체를 이용하여 방수시공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1차방수층(1)과 2차방수층(3)을 부분적으로만 접착되도록 하여 1차방수층(1)의 거동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분리형성층(31)을 시공하여 1차방수층(1)과 2차방수층(3) 사이에 분리층(5)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분리층(5)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차방수층(1)과 분리형성층(31)이 접촉되어는 있으나 접착되어있지 않고 분리되어 있는 층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복층방수공법은 2차방수층(3)을 1차방수층(1)에 고정시킬 때 2차방수층(3)을 고정시키는 2차고정지지부(4)가 1차고정지지부(2) 또는 점착실재(15)와 엇갈리게 형성되도록 하여 1차고정지지부(2) 또는 점착실재(15)에 발생되는 응력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1차방수층시공단계(S1)는 상기 1차방수층(1)을 방수 대상 구조물(C)에 설치하는 단계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방수층(1) 하부에 1차고정지지부(2)를 일정 간격으로 형성하여 방수 대상 구조물(C)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고정층(11)이 일체로 형성된 보호층(13)을 방수 대상 구조물(C)에 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방수층시공단계(S1)는 점착고정층(11)이 형성된 보호층(13)을 시공하는 경우 보호층(13) 사이에 점착실재(15)를 투입하여 보호층(13) 사이가 완전히 밀폐되도록 할 수 있고, 이때 보호층(13)의 상단까지 점착실재(15)가 투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점착실재(15)가 상부로 일부 누출되는 경우 추가분리부재(43)를 삽입하여 2차방수층(3)의 분리지지부재(311)와의 접착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2차방수층시공단계(S2)는 1차방수층(1) 상부에 2차방수층(3)을 덮는 과정으로, 분리형성층(31)을 먼저 시공하여 1차방수층(1) 및 2차방수층(3) 사이에 분리층(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분리형성층(31) 상에 커버방수층(33) 또는 비노출커버층(35)을 형성하여 1차방수층(1)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2차방수층시공단계(S2)는 분리층형성단계(S21)와 2차방수단계(S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층형성단계(S21)는 상기 분리형성층(31)을 시공하여 1차방수층(1)과의 사이에 분리층(5)을 형성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지지부재(311)만을 1차방수층(1) 상에 포설하여 그 상부로 바로 2차방수층(3)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분리층형성단계(S21)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지지부재(311)의 포설시 2차고정지지부(4)에 의한 분리지지부재(311)의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층형성단계(S21)는 1차방수층(1)이 점착고정층(11)이 일체로 형성된 보호층(13)으로 형성되는 경우 분리지지부재(311)의 포설에 앞서 보호층(13) 사이의 점착실재(15) 상에 추가분리부재(43)를 삽입하여 분리지지부재(311)가 점착실재(15)에 부착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분리층형성단계(S21)는 추가분리부재삽입단계(S211), 고정재형성단계(S212), 분리지지부재안착단계(S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분리부재삽입단계(S211)는 점착실재(15) 상에 추가분리부재(43)를 부착시키는 단계로, 부직포로 형성되는 추가분리부재(43)가 점착실재(15) 상에 부착되도록 하여 점착실재(15)와 분리지지부재(311)의 접착을 차단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점착실재(15)의 보호층(13) 상부까지의 주입을 통해 보호층(13) 사이의 공간이 효과적으로 밀폐되도록 하면서, 이와 동시에 분리지지부재(311)와의 접착을 차단시켜 2차방수층(3)의 거동 분리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재형성단계(S212)는 상기 부분고정재(41)를 1차방수층(1) 상에 설치하는 과정으로, 상기 분리지지부재(311)는 부분고정재(41)의 설치없이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시공상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부분고정재(41)를 설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고정재형성단계(S212)는 부분고정재(41)를 1차고정지지부(2) 또는 점착실재(15) 사이의 중심부에 엇갈리도록 형성하여 1차고정지지부(2) 또는 점착실재(15)에 집중되는 응력이 2차방수층(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분리지지부재안착단계(S213)는 1차방수층(1) 상부에 분리지지부재(311)를 포설하는 과정으로, 1차방수층(1) 상부에 일정 크기의 부직포 등으로 형성된 분리지지부재(311)를 서로 겹치도록 포설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차방수단계(S22)에서 도포되는 커버방수층(33) 또는 비노출커버층(35)의 소재가 겹쳐진 분리지지부재(311) 사이로 유입되어 분리지지부재(311)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지지부재안착단계(S213)는 고정재형성단계(S212)에서 형성되는 부분고정재(41)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분리지지부재(311)를 부분고정재(41)에 끼워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 2차방수단계(S22)는 분리형성층(31) 위에 커버방수층(33) 또는 비노출커버층(35)을 형성하는 과정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우레탄중도층(331)과 우레탄상도층(333)으로 형성되는 커버방수층(33)을 도포하도록 하거나, 방수재가 아닌 타르우레탄,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재 등으로 형성되는 비노출커버층(35)을 도포하여 비노출형태로 방수구조체의 마감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1차방수층
11: 점착고정층 13: 보호층 15: 점착실재
2: 1차고정지지부
3: 2차방수층
31: 분리형성층 311: 분리지지부재
33: 커버방수층 331: 우레탄중도층 333: 우레탄상도층
35: 비노출커버층
4: 2차고정지지부
41: 부분고정재 43: 추가분리부재
5: 분리층
S1: 1차방수층시공단계 S2: 2차방수층시공단계 S21: 분리층형성단계
S211: 추가분리부재삽입단계 S212: 고정재형성단계
S213: 분리지지부재안착단계 S22: 2차방수층형성단계
C: 방수 대상 구조물

Claims (7)

  1. 방수 대상 구조물에 전면 또는 부분 부착되어 수분의 침투를 차단하는 1차방수층과, 상기 1차방수층의 상부 전면에 형성되어 1차방수층과 부분 접착되는 2차방수층과, 상기 1차방수층을 방수 대상 구조물에 부분 부착시키는 1차고정지지부와, 상기 2차방수층을 1차방수층에 부분 부착시키는 2차고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2차고정지지부는 1차고정지지부 사이 중심부에 1차고정지지부와 엇갈리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2차방수층은 상기 2차고정지지부 상부에 삽입되어 1차방수층과 2차방수층의 부착을 차단함으로써 1차방수층 및 2차방수층을 절연시키는 분리형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성층은
    부직포, 직포, 필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분리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방수층은
    방수재로 형성되어 방수 대상 구조물에 점착되는 점착고정층과, 상기 점착고정층 상부에 형성되어 점착고정층을 보호하는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은 발포형 시트로 형성되어 상기 점착고정층이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1차방수층은
    일체로 형성되는 보호층 및 점착고정층이 수평 방향으로 복수개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1차방수층은 복수개 연결되는 보호층 및 점착고정층 사이에 삽입되어 공간을 밀폐시키는 점착실재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실재의 상부에는 2차방수층과의 거동을 분리시키는 추가분리부재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체.
  7. 삭제
KR1020200039945A 2020-04-01 2020-04-01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 KR102210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945A KR102210507B1 (ko) 2020-04-01 2020-04-01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945A KR102210507B1 (ko) 2020-04-01 2020-04-01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507B1 true KR102210507B1 (ko) 2021-02-01

Family

ID=7457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945A KR102210507B1 (ko) 2020-04-01 2020-04-01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5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3267B1 (ko) * 2013-08-26 2014-01-23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 이를 이용한 부분 구획형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KR20140028357A (ko) * 2012-08-28 2014-03-10 이대우 도막형 시트 테이프 및 그것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방수시공 방법
KR101926735B1 (ko) * 2016-12-13 2018-12-07 이대우 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시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357A (ko) * 2012-08-28 2014-03-10 이대우 도막형 시트 테이프 및 그것의 제조 방법 그리고 방수시공 방법
KR101353267B1 (ko) * 2013-08-26 2014-01-23 케이엘건설 주식회사 부분 구획형 하니컴 pvc 시트, 이를 이용한 부분 구획형 복합 방수 구조 및 공법
KR101926735B1 (ko) * 2016-12-13 2018-12-07 이대우 복합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시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00901A1 (en) Passive fire resistant system for filling a space or gap confined by construction elements and a prefabricated multilayered structure of such a system
KR100920286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ES2345582T3 (es) Ensamblaje de lamina de sellado para superficies de construccion y procedimientos de fabricacion y aplicacion del mismo.
RU2441119C2 (ru) Композиционный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
CN108118839A (zh) 一种被动式屋面防水保温找坡系统及其施工方法
KR100702921B1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1459289B1 (ko) 공기층 단열을 이용한 복합·복층·단열방수공법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102210507B1 (ko)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
KR102315961B1 (ko) 분리된 복층구조의 방수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복층방수공법
KR101530600B1 (ko) 시공성과 내구성 및 내크랙성이 뛰어난 방수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20409B1 (ko) 겹이음부분 누수차단형 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26754B1 (ko) 요철 방수-배수 시트,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WO2015160028A1 (ko)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시트를 구비하는 데크패널
KR101785499B1 (ko) 단열재 이음부 메움수단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이음부 메움방법
KR20050120222A (ko) 발포층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방수시트 및 방수시트연결부의 절연식 접합구조
KR100496627B1 (ko) 방수층 접착방식이 개선된 복합방수층 시공 방법
JP5215531B2 (ja) 耐火フラット屋根
KR101142856B1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362798Y1 (ko) 방수시트 연결부의 절연식 접합구조
JP5096741B2 (ja) 屋根防水構造
KR20070084809A (ko) 코너부의 방수 보호대 및 방수용 시트와 이들을 사용한옥상 방수공법
KR101488843B1 (ko) 시트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602803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sheilding fan duct inner wall
EP1227188B1 (en) Waterproof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