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133Y1 -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133Y1
KR200465133Y1 KR2020100006082U KR20100006082U KR200465133Y1 KR 200465133 Y1 KR200465133 Y1 KR 200465133Y1 KR 2020100006082 U KR2020100006082 U KR 2020100006082U KR 20100006082 U KR20100006082 U KR 20100006082U KR 200465133 Y1 KR200465133 Y1 KR 200465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tape
pipe
foam
tap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1621U (ko
Inventor
박기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앤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앤아이
Priority to KR2020100006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133Y1/ko
Publication of KR201100116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6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1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4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essentia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1/00Presence of unspecified rubber
    • C09J2421/006Presence of unspecified rubb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4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2423/046Presence of homo or copolymers of ethe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1/00Presence of polyvinyl acetate
    • C09J2431/006Presence of polyvinyl acetate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라서 배관용 폼패드 사이의 연결부에 시공되어, 상기 배관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폼패드와 배관부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폼 테이프가 제공되는데, 상기 폼 테이프는 상호 열융창되어 상기 배관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신축성을 제공하는 필름층 및 폼테이프 기재층과, 상기 폼 테이프를 배관에 접착할 수 있도록 해주고, 지중 침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접착제층과,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층에는 상기 기재층과의 열융착시 엠보가 형성된 롤러로 압착하여 형성된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FOAM TAPE FOR PREVENTING FOREIGN MATERIALS FROM BEING INTRODUCED INTO PIPE}
본 고안은 폼 테이프(foam tap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일러나, 산업 기계, 지역 난방용 등의 배관 파이프의 둘레에 감아 온도의 손실을 방지하는 단열재 또는 파이프의 파손을 방지하는 신축 흡수재, 특히 폼패드(foam pad)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폼 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산업 설비 또는 지역 난방용으로 통상적으로 파이프를 설치하여 온수 등을 공급한다. 일반 배관의 둘레에 단열재를 설치하여 열의 누수를 방지할 뿐만 아니라 외부 환경으로부터 배관을 보호하기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공급 온도 변화에 따른 배관의 팽창과 수축으로 인한 배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폼패드(foam pad)를 설치하는데, 종래의 한 가지 폼패드를 설치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폼패드가 설치된 배관을 보면, 하나의 신축흡수재(폼패드)를 배관 전체에 걸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배관의 팽창과 수축이 크게 발생하는 곡관부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일정 구간에 설치하는데, 특히 배관이 구부러지는 곡관부에 대해서는 필수적으로 그 곡관의 형태에 상응하는 형태로 폼패드를 절취하여 설치한다. 이때, 폼패드와 폼패드의 연결부에는 별도의 마감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즉 폼패드를 배관에 설치할 때, 폼패드가 배관에 밀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종래에는 상기 연결부나 혹은 끝단부에 별도의 마감처리와 같은 부가적인 공정을 수행하지 않았다.
그런데, 지역난방용 중온수를 이송하는 열배관은 유체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는데, 특히 열배관의 곡관부에서 팽창과 수축이 크게 발생한다. 즉 연결부의 단면 형태를 보여주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폼패드 설치 초기에는 배관과 신축흡수재가 긴밀하게 접촉하고 있지만, 열배관이 팽창 또는 수축을 함에 따라, 배관과 신축흡수재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열배관을 지중 매설하게 되면, 상기 틈으로 토사 등이 유입되어 토사가 축적되어, 신축흡수재의 기능이 상실되고, 결국 열배관의 파손을 초래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한 가지 목적은 배관 상에 설치되는 폼패드와 폼패드 사이의 연결부와 폼패드 설치 끝단부로 이물질이 유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폼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축성 재질로 폼 테이프를 구성하여, 곡관부에 적용하여도 곡관부와의 사이에 틈이 없이 밀착하여 접착될 수 있는 구성을 갖는 폼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폼 테이프를 폼패드 연결부에 시공할 때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구조가 구비된 폼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폼 테이프 시공 후 열배관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여도 박리되지 않고 지중의 침출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구비하는 재료를 포함하는 폼 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라서 배관용 폼패드 사이의 연결부에 시공되어, 상기 배관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폼패드와 배관부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폼 테이프가 제공되는데, 상기 폼 테이프는 상호 열융창되어 상기 배관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신축성을 제공하는 필름층 및 폼테이프 기재층과, 상기 폼 테이프를 배관에 접착할 수 있도록 해주고, 지중 침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접착제층과,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층에는 상기 기재층과의 열융착시 엠보가 형성된 롤러로 압착하여 형성된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폼 테이프를 잡아당기면 편평해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폼 테이프를 잡아당겨 시공할 때 시공자가 어느 정도로 상기 테이프를 잡아당겨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시공 지표부의 역할을 할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LLPD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폼 테이프 기재층은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PE 또는 발포 고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부틸러버계 접착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부틸러버계 접착제는 부틸고무, 조강제, 충진제, 접착수지 및 접착부여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라 제공되는 폼 테이프에 따르면, 폼 테이프가 배관의 팽창 또는 수축하여도 신축성 있게 같이 거동함으로써, 테이프와 배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틈새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폼 테이프에는 시공 지표부도 제공되어, 시공자는 상기 시공 지표부를 확인하면서 본 고안의 폼 테이프를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폼패드가 배관에 설치된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폼패드의 설치 초기 모습과, 열배관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함에 따라 폼패드와 열배관 사이에 틈이 생기는 양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폼 테이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폼 테이프가 신축성이 부족한 경우, 폼 테이프와 배관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폼 테이프를 시공하는 과정을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폼패드 등과 같이 이미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기술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설명을 생략하더라도, 당업자라면 이하의 설명을 통해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따른 폼 테이프의 단면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폼 테이프는 필름층(10)과, 상기 필름층과 열융착되어 있는 폼테이프 기재층(12)과, 접착제층(13)과,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필름층에는 엠보싱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필름층(10)은 LLPD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지는데, 폼테이프 기재층(12)과 열융착되어 형성되며, 폼테이프의 외곽층을 구성한다. 필름층(10)은 방수기능과 열배관의 팽창 및 수축에 따른 신축성을 제공하기 위해 제공된다. 한편, 필름층(10)에는 엠보싱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즉 LLPDE 필름층(10)을 폼테이프 기재층(12)과 열융착하는 과정에서, 엠보가 형성된 롤러로 압착하여, 상기 필름층에 엠보싱부(11)를 형성한다. 이러한 엠보싱부(110)는 폼 테이프의 신축성을 향상시키고 시공자에게 시공 지표를 제공해 준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폼 테이프를 배관에 시공할 때, 폼 테이프를 잡아 당기면서, 테이프를 배관에 접착시기게 되는데, 이때 테이프를 잡아당기면, 표면의 엠보싱부가 편평해지게 되어, 시공자는 그 시점에서 테이프를 당기는 중단하면 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를 당겨서 시공하는 이유는 접착제층(13)의 배관과의 접착력을 강화시키기 위함인데, 너무 당기게 되면 테이프가 끊어지게 되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엠보싱부(11)가 편평해지면 시공자는 테이프를 당기는 작업을 중단할 수 있어(즉, 시공 지표의 역할을 한다), 지나친 당김에 따른 테이프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폼 테이프 기재층(12)은 EVA(Ethylene Vinyl Acetate)로 구성한다. EVA는 발포합성수지의 일종으로 신축성이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아울러, EVA 외에 발포 PE, 발포 고무 등 다른 신축성 재질로 상기 기재층을 구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상기 기재층을 신축성 재질로 구성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폼 테이프가 신축성이 없는 경우, 폼 테이프를 배관에 부착하여도, 열배관의 곡관부와 같은 부위에서는 테이프와 배관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여, 테이프를 아무리 강제로 부착하고자 하여도, 테이프는 배관과 기밀하게 접촉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폼테이프 기재층을 상기와 같은 신축성 재질로 구성한다.
접착제층(13)은 본 고안의 폼 테이프를 배관에 접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배관이 팽창 혹은 수축하여도 배관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또 지중 침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기능이 있는 부틸러버계 접착제가 이용된다. 본 고안에 따라 독특하게 구성되는 부틸러버계 접착제의 조성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성분 부틸 고무 조강제 충진제 접착수지 접착부여제
비율 8~15% 3~8% 60~70% 5~10% 10~20%
한편, 이형지(14)는 접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폼 테이프를 배관에 시공할 때 제거하여 사용한다.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폼 테이프를 배관에 시공하는 과정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폼 테이프를 배관의 곡관부의 원주길이 만큼 재단한다. 이어서, 폼 테이프의 최초 폭의 90%가 되도록 테이프를 당기면서 시공하게 되는데, 90%가 되도록 당기면, 본 고안의 폼 테이프의 필름층에 형성된 엠보싱부(11)가 편평하게 되어, 시공자는 어느 정도로 폼 테이프를 당기면 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이어서, 폼 테이프의 오버래핑 끝단이 배관 중심 아래로 향하게 한 후, 접착제층을 붙임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후술하는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기 실시예를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10: 필름층
11: 엠보싱부
12: 폼테이프 기재층
13: 접착제층
14: 이형지

Claims (6)

  1. 배관용 폼패드 사이의 연결부에 시공되어, 상기 배관의 팽창 또는 수축으로 인해 상기 연결부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폼패드와 배관부 사이의 틈새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폼 테이프로서,
    상호 열융창되어 상기 배관의 팽창 또는 수축에 따른 신축성을 제공하는 필름층(10) 및 폼테이프 기재층(12)과,
    상기 필름층과 반대측인 상기 폼테이프 기재층의 표면에 제공되어, 상기 폼 테이프를 배관에 접착할 수 있도록 해주고, 지중 침출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방수 기능을 제공하는 접착제층(13)과,
    상기 접착제층 상에 제공되어, 상기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이형지(14)를 포함하고,
    상기 필름층에는 상기 기재층과의 열융착시 엠보가 형성된 롤러로 압착하여 형성된 엠보싱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엠보싱부(11)는 상기 폼 테이프를 잡아당기면 편평해지도록 구성되는 것인 폼 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폼 테이프를 잡아당겨 시공할 때, 상기 폼 테이프 폭이 원래 폭의 90%가 되면, 상기 엠보싱부는 돌출부 없이 편평해지는 것인 폼 테이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LLPDE(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테이프.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폼 테이프 기재층은 EVA(Ethylene Vinyl Acetate), 발포 PE 또는 발포 고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테이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부틸러버계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폼 테이프.
  6. 삭제
KR2020100006082U 2010-06-10 2010-06-10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KR200465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082U KR200465133Y1 (ko) 2010-06-10 2010-06-10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082U KR200465133Y1 (ko) 2010-06-10 2010-06-10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621U KR20110011621U (ko) 2011-12-16
KR200465133Y1 true KR200465133Y1 (ko) 2013-02-05

Family

ID=45568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082U KR200465133Y1 (ko) 2010-06-10 2010-06-10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13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433Y1 (ko) * 2022-04-25 2023-11-07 대명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515B2 (ja) 1993-01-18 2001-10-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発泡体基材の粘着シートもしくはテープ
KR100633468B1 (ko) 2006-02-08 2006-10-16 현흥창 롤테이프 타입의 방수층 보호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
KR200445217Y1 (ko) 2007-10-01 2009-07-10 이영철 재활용이 가능한 보호시트를 구비한 죠인트필라 테이프
KR100929706B1 (ko) 2007-10-12 2009-12-03 주식회사 근수산업 점착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9515B2 (ja) 1993-01-18 2001-10-15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発泡体基材の粘着シートもしくはテープ
KR100633468B1 (ko) 2006-02-08 2006-10-16 현흥창 롤테이프 타입의 방수층 보호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
KR200445217Y1 (ko) 2007-10-01 2009-07-10 이영철 재활용이 가능한 보호시트를 구비한 죠인트필라 테이프
KR100929706B1 (ko) 2007-10-12 2009-12-03 주식회사 근수산업 점착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621U (ko) 201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33072A1 (en) Short liner for sewer rehabilitation
KR200465133Y1 (ko)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KR20190110012A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726489B1 (ko)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열배관 곡관부 폼패드
JP2019516889A (ja) 建築部材間の隙間をシールするためのシールテープおよびこのシールテープ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2186784B1 (ko) 배관용 폼패드 제조방법
KR100938869B1 (ko) 고밀도폴리에틸렌 쉬트를 이용한 방수 쉬트 보호재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14536A (ja) 管継手
JP4787391B2 (ja) 下水道本管更生工法における取付管口止水方法
KR101126754B1 (ko) 요철 방수-배수 시트, 이를 이용한 터널 방수 공법 및 그 구조
JP4709262B2 (ja) 管継手用管体の製造方法、管継手の製造方法、管継ぎ手
JP2009162241A (ja) 管継手、その製造方法、これを用いたマンホール構造物並びに管の接続方法
KR20090107178A (ko) 터널용 방수 구조물
JP4082557B2 (ja) 管路部材
EP2899331B1 (en) Perimeter Sealing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KR101488843B1 (ko) 시트 방수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68041B1 (ko) 맨홀 보수방법
JP2007253339A (ja) 取付管用更生材料
CN207110350U (zh) 一种室内地暖施工用高发泡聚乙烯泡沫塑料伸缩缝
CN214606297U (zh) 一种高尺寸稳定性的高分子预铺防水卷材
CN219530219U (zh) 一种适用于管夹抱箍外层的保温复合结构
KR100639777B1 (ko) 상하수도관 전면 보수용 라이너의 제조방법
JP5654661B1 (ja) 防水シートの敷設方法及び防水シート
CN214838950U (zh) 一种适用于hdpe管穿墙板防水套管
KR101158513B1 (ko) 콘크리트 구조체의 연결관 연결용 플랜지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