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7433Y1 -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 Google Patents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7433Y1
KR200497433Y1 KR2020220001001U KR20220001001U KR200497433Y1 KR 200497433 Y1 KR200497433 Y1 KR 200497433Y1 KR 2020220001001 U KR2020220001001 U KR 2020220001001U KR 20220001001 U KR20220001001 U KR 20220001001U KR 200497433 Y1 KR200497433 Y1 KR 200497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tape
parts
weight
self
prot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10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02087U (ko
Inventor
강태희
Original Assignee
대명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명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명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200010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7433Y1/ko
Publication of KR202300020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20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7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74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7/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7/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7/04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9J1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관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층과 엠보를 이루게 구성하되, 베이스를 이루는 기재층의 두께가 축소되고, 도트 엠보를 통해 쿠션감이 부여되게 구성함으로써, 재료 절감에 따른 원가 절감과 안정적인 충격 흡수와, 유연성 향상 및 공기층에 의한 빨판 작용에 의한 점착력 증대는 물론, 부착 면적 감소에 따른 열에 의한 눌어붙음 방지 및 탈거가 용이하게 하는 등 작업성이 한층 향상되게 하기 위한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Self-adhesive tape for pipe protection}
본 고안은 배관의 외관을 보호하기 위한 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성분을 이용한 완전 접착이 아닌 자체적으로 편리한 부착 및 탈거가 가능한 점착성을 가지게 구성하여 사용상의 편리함과 두께의 축소에 따른 원가를 절감하면서도 쿠션에 의한 보호 성능이 향상되게 하는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재질이 동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재인 선박용 파이프가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이러한 선박용 파이프는 운항중 부식 환경에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도장(피복) 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선박이 건조되는 현장에서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여 적재된다.
한편, 선박을 건조하는 건조장이 바다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건조작업중에 소금기로 의해 육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식이 빨리 진행되는 것인바, 이러한, 선박을 건조하는 과정에서 용접된 부분 또는 선박의 표면을 도장하기 위해 선박의 표면을 바탕처리를 한다.
이때, 선박의 바탕처리 과정은 공해문제로 인해 블라스팅의 종류를 모래에서 쇳가루로 변경하는 추세인데, 이와 같이 바탕처리를 하기 위해 쇳가루를 이용한 블라스팅의 경우 쇳가루의 힘이 강하여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다른 선박용 파이프의 도장면을 뚫어 흠집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박의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똥으로 인해 도장면을 뚫고 들어가 파이프의 표면이 훼손되어 쉽게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이 흠집이나 훼손된 선박용 파이프는 쉽게 부식이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로 방청처리 작업을 통해 부식을 방지하여야 하는 것인바, 불필요한 작업과 방청작업으로 인한 경제적인 손실이 상당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파이프의 도장면에 별도의 점착식 테이프를 감아 운반시나 선박 건조 과정에서 표면을 보호하고, 파이프를 사용시 그 테이프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테이프는 햇빛 등을 받을시 금속재로 된 파이프 표면이 열을 받게 되는 것인바, 그 점착력이 증대되어 파이프 사용을 위해 테이프를 제거시 파이프 표면에 잠착제 잔사가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별도의 잔사 제거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근자에 들어 난연성을 가지며 표면에 인쇄층과 탈부착이 용이한 점착제가 도포되어 된 파이프 보호용 테이프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이프 보호용 테이프는 시트의 제조와 인쇄와 점착제 도포 등 상당한 공정을 통해 제조되게 되는 것인바, 그 제조가 매우 불편하였으며, 이에 따른 단가의 상승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파이프 보호용 테이프도 제거시 점착제의 잔사가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이에, 본 고안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저렴한 폴리염화비닐(PVC)를 주원료로 친환경 가소제와 가소제 첨가제와 난연제와 안정제의 적절한 혼합 성형을 통해 별도의 점착층 도포 작업 등이 필요 없이 물성(경도)와 표면 조도의 조절을 통해 점착성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단가의 절감은 물론 제조 공정상의 간소화에 따른 제작상의 편리함과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상기와 같은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는 배관의 찍힘 등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부득이 최소한의 보호 두께를 가져야 하는 것인바, 유연성의 저하로 점착성능이 떨어지고, 원감 절감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점착테이프 전체 면적에 대하여 배관 둘레에 점착 수행되는 것인바, 여름철과 같이 열에 의해 배관 표면 온도가 상승시 눌어붙어 그 탈거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10-2011-0035470호.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222428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기재층과 엠보를 이루게 구성하되, 베이스를 이루는 기재층의 두께가 축소되고, 도트 엠보를 통해 쿠션감이 부여되게 구성함으로써, 재료 절감에 따른 원가 절감과 안정적인 충격 흡수와, 유연성 향상 및 공기층에 의한 빨판 작용에 의한 점착력 증대는 물론, 부착 면적 감소에 따른 열에 의한 눌어붙음 방지 및 탈거가 용이하게 하는 등 작업성이 한층 향상되게 하기 위한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수지제로 구성되어 배관을 테이핑하여 보호하는 점착식 테이프에 있어서,
유연성을 가지는 시트지 형태의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엠보를 이루게 구성하되,
주원료를 폴리염화비닐(PVC:Poly Vinyl Chloride)로 조성하되,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환경 가소제 30~40중량부와, 가소제 첨가제 3~7중량부와, 난연제 10~20중량부와, 안정제 2~3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조성하여 경도 55~65를 이루고, 상기 엠보의 표면 조도는(Ra) 0.5~1㎛를 이루게 구성하며,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0.1~0.3mm의 두께를 이루고, 상기 엠보의 두께는 0.05~0.1mm의 두께를 이루게 구성하며,
또한, 상기 엠보에는,
표면에 흡착홈이 더 형성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는 기재층의 두께를 감소시켜 제작시 원가가 현격히 절감되며, 유연성이 향상되고 토트 엠보에 의한 공기층 확보로 쿠션력 향상 및 이에 따른 충격흡수 성능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빨판 작용으로 점착력이 향상되면서도 부착 면적이 감소되어 열에 의해 선박용 배관 표면에 눌어붙는 것이 방지되며, 추후 탈거가 매우 용이하게 되는 등 작업성이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의 다른 실시예도.
도 4는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수지제로 구성되어 테이프의 표면에 별도의 접착층이 없이도 자체적으로 점착력을 가져 점착 및 탈착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유연성을 가지는 시트지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기초를 이루는 시트지 형태의 기재층(100)을 이루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재층(100)의 표면 즉, 선박용 배관에 접하는 표면에는 실질적으로 선박용 배관의 표면과 접촉되어 점착력을 부여하는 도트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엠보(200)가 돌출 형성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때 각각의 엠보(200)는 평면상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를 이루며, 그 표면은 평면 구성된다.
이에,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선박용 배관 둘레를 감쌀 시 상기 엠보(200)가 선박용 배관 표면에 접하게 되며, 이때 그 엠보(200) 사이에 공기층으로 된 쿠션공간을 이루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경도 55~65을 이루고, 상기 엠보(200)의 표면 조도는(Ra) 0.5~1㎛을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먼저, 상기와 같이 경도가 55~65를 이루게 구성함은, 만약 경도가 55 이하일 경우에는 지나친 유연성으로 점착력이 증대되어 점착 후 탈착이 어렵고 내구성이 저하되게 되며, 65 이상일 경우에는 유연성이 떨어져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의 경도를 55~65를 이루게 구성하여 최적의 유연성을 부여함이 가장 이상적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표면 조도(Ra)가 0.5~1㎛를 이루게 구성함은, 만약 표면 조도(Ra)가 0.5㎛ 이하로 지나치게 우수할 경우에는 그 표면이 지나치게 매끄러워 점착력이 우수할 수 있으나 그 탈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며, 그 표면 조도(Ra)가 1㎛ 이상으로 불량할 경우에는 그 표면이 거칠어 점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의 표면 조도(Ra)를 0.5~1㎛을 이루게 구성하여 점착성이 향상되게 구성함이 가장 이상적이다.
또한,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그 두께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기재층(100)의 두께를 0.1~0.3mm 두께를 이루게 구성하고, 상기 엠보(200)의 두께는 0.05~0.1mm를 두께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 상기와 같은 두께를 이루게 구성함에 있어, 먼저, 기초를 이루는 기재층(100)의 두께를 0.1~0.3mm 두께를 이루게 구성함은, 만약 두께를 0.1mm 이하로 구성시에는 우수한 유연성을 가질 수는 있으나 쉽게 찢어지고 자칫 햇빛에 노출시 녹아들어 선박용 배관에 눌어붙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0.3mm 이상으로 구성시에는 유연성이 다소 저하되어 점착력이 저하되며, 불필요하게 재료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엠보(200)의 두께를 0.05~0.1mm로 구성함은, 만약 두께를 0.05mm 이하로 구성시에는 상기 기재층(100)과의 단차가 낮아 점착시 공기층의 형성 없이 기재층(100)과 함께 선박용 배관 표면에 점착될 수 있으며, 0.1.mm 이상으로 구성시에는 기재층(100)과의 단차가 증대되어 선박용 배관 표면과 점착 분리는 가능하나 그 엠보(200) 사이로 수분이 침투되어 점착력 저하 및 부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의 두께를 기재층(100)의 두께 0.1~0.3mm와, 엠보(200)의 두께 0.05~0.1mm를 이루게 구성하여 엠보(200) 사이로 공기층이 형성되게 구성함이 가장 이상적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이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의 55~65 경도와, 0.5~1㎛ 표면 조도(Ra)와, 기재층(100)의 두께 0.1~0.3mm 및 엠보(200)의 두께 0.05~0.1mm를 부여하기 위해 주원료로 폴리염화비닐(PVC:Poly Vinyl Chloride)과 보조 성분으로 친환경 가소제와, 가소제 첨가제와, 난연제와, 안정제가 포함되어 가능하게 된다.
먼저, 주원료 폴리염화비닐(PVC:Poly Vinyl Chloride)은 알려진바와 같이 저렴하면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중 하나로 플라스틱으로 필름, 시트, 성형품, 캡 등 광범위한 제품으로 가공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적용시 내구성의 향상과 점착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폴리염화비닐은 그 분자량을 60,000~150,000g/mol 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점착테이프(1)의 우수한 가공성 및 서로간에 결집력을 증대에 따른 내구성 향상과 표면 조도(Ra)를 유지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그 분자량을 60,000~150,000g/mol로 구성함은, 만약 60,000g/mol 이하일 경우에는 서로간의 결집력 저하에 따른 내구성과 표면 조도의 구현이 어려워 점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150,000g/mol 이상일 경우에는 서로 간에 결집력은 증대시킬 수 있으나 그 가공성이 떨어지고 지나친 점착성으로 인해 탈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폴리염화비닐의 분자량을 60,000~150,000g/mol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에는 폴리염화비닐의 가공성 및 유연성, 탄력성, 물성(경도)를 부여하기 위해 친환경 가소제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이때 친환경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30~40중량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고안에서 적용되는 친환경 가소제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시중에 생산 판매되고 있는 기성화된 다양한 친환경 가소제 중 선택 적용하되, 본 고안에서는 LG화학에서 제조 판매되고 있는 LGflex GL300 친환경 가소제가 적용되는 것으로, LGflex GL300은 투명의 액체로 내열성, 점도 안정성이 우수하며, 특히 무환경 호르몬 성분으로 인조가죽, 시트, 벽지, 장갑, 호스 등 인체에 접촉되는 수지 제품군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고안에 적용시 작업자가 테이핑 과정에서 인체 접속되는 것인바, 유해 물질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친환경 가소제를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30~40중량부 적용함은, 30중량부 이하로 적용시에는 물성 저하 즉, 경도가 지나치게 낮아 유연성이 증대되고 점착력이 지나치게 증대되어 탈착이 어렵고 자칫 여름철 햇볕에 노출시 금속재의 선박용 배관 표면에 눌어붙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반대로, 40중량부 이상으로 적용시에는 물성 등대 즉,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 유연성이 저하되고 점착력이 저하되어 원활한 테이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겨울철 그 점착력이 더욱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 물성을 부여하기 위한 친환경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30~40중량부로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55~65의 경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에는 폴리염화비닐의 가공성 및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친환경 가소제와 더불어 가소제 첨가제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이때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3~7중량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적용되는 가소제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프탈산계(phthalates, DEHP, DINP, DBP 등) 가소제나 아디핀산계(adipates,DHEA 등) 등 다양한 가소제의 적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가소제 첨가제를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3~7중량부 적용함은, 실질적으로 가소제는 독성을 지니고 있는 것인바, 본 고안에서는 독성을 최소화하면서 친환경 가소제와 더불어 가공성 및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최소한 적용하게 되는 것으로, 만약 3중량부 이하로 적용시 그 가공성이나 유연성이 미비하게 되며, 7중량부 이상 적용시 과도한 독성 성분이 첨가되고 친환경 가소제와 혼합시 지나친 유연성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3~7중량부 적용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에는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난연제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이때 난연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적용되는 난연제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무할로겐 난연제를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넓은 범위의 무할로겐 난연제가 사용될 수 으며, 유기인 화합물이 특히 적합하다.
이때, 적합한 유기인 화합물의 예에는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방향족 축합된 포스페이트 에스테르, 폴리포스페이트 에스테르, 및 포스핀산이 포함된다. 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에는 트라이페닐 포스페이트, 트라이크레실 포스페이트, 크레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2-에틸헥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트라이-n-부틸 포스페이트, 트라이자일레닐 포스페이트, 레소르시놀(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 및 비스페놀 A 비스(다이페닐 포스페이트)가 포함된다. 폴리포스페이트 에스테르의 구체적인 예에는 암모늄 폴리 포스페이트, 암모늄 멜라민-개질된 폴리포스페이트 및 코팅된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중 어느 한 종 이상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난연제를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 적용함은, 만약 10중량부 이하로 적용하게 되면 그 난연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20중량부 이상으로 적용하게 되면, 대부분의 무할로겐 난연제는 가소화 효과를 갖는 것인바, 지나친 유연성으로 인해 내구성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에서 난연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에는 테이프의 변형 즉, 열에 의한 착색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안정제가 더 포함되는 것으로, 이때 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2~3중량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적용되는 안정제는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PVC 안정제를 적용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마그네슘 알루미늄 하이드록시 카보네이트(MagnesiumAluminum hydroxy carbonate), 아연 스테아레이트(Zn-St ; Zinc Stearate), 칼슘 스테아레이트(Ca-St ;Calcium Stearate) 중 한 종 이상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안정제를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2~3중량부 적용함은, 만약 2중량부 이하로 적용하게 되면 열안정성 효과가 매우 미미하게 되며, 3중량부 이상으로 적용하더라도 안정성이 크게 상승하지 않으며 오히려 경제적인 부담만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에서 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2~3중량부만 적용하여도 무방하게 된다.
즉,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상기와 같이 폴리염화비닐(PVC:Poly Vinyl Chloride)로 된 주원료에 친환경 가소제와 가소제 첨가제와 나연제와 안정제의 적절한 혼합을 통해 경도 55~65와, 0.5~1㎛ 표면 조도(Ra)와, 기재층(100)의 두께 0.1~0.3mm 및 엠보(200)의 두께 0.05~0.1mm를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를 구성함에 있어, 다양한 색상을 이루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테이프에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안료 10~2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조성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적용되는 안료의 색상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색상을 이루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즉, 상기와 같이 안료를 더 포함하게 되면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에 색상을 적용함으로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상기와 같이 적용되는 안료를 밝은 곳에서 빛을 저장하고, 어두운 곳에서 빛의 발광이 가능한 축광 안료로 조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축광 안료를 적용하게 되면, 주간에 빛을 저장하고 있다가 야간에 발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선박용 배관을 어두운 곳에 적재 보관시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엠보(200)에는 그 표면에 함몰 형성되는 흡착홈(210)이 더 형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엠보(200)에 흡착홈(210)을 더 형성하게 되면, 그 엠보(200)가 선박용 배관의 표면에 흡착되는 과정에서 흡착홈(210)에 진공 작용하여 빨판 작용에 의한 흡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기재층(100)의 두께 감소에 따른 원가 절감과 그 기재층(100)의 두께 감소에도 충분한 충격 흡수가 가능하며, 유연성 향상 및 공기층에 의한 빨판 작용으로 점착력의 증대되고, 선박용 배관과의 접촉 면적의 감소에 따른 열에 의한 눌어붙음 방지 및 배관으로부터 제거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즉,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기재층(100)의 표면에 엠보(200)가 돌출 구성된 것인바, 그 엠보(200)에 의해 전체적인 두께감의 부여는 가능하면서도 기재층(100)의 두께 축소에 따른 원료의 절감으로 제작 원가가 현저히 절감되게 된다.
한편,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도 4를 참조하여 통상의 선박용 배관(10)의 도장면을 보고하기 위해 그 둘레에 권취 사용되게 된다.
이때,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선박용 배관(10)은 기재층(100)의 표면에 다수의 엠보(200)가 돌출 형성된 것인바, 선박용 배관(10)을 감싸는 과정에서 엠보(200)가 선박용 배관(10)의 표면에 닿아 점착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기재층(100)이 얇게 구성되더라도 엠보(200)에 의한 두께와 엠보(200) 들의 사이에 공기층으로 된 쿠션공간(S)이 확보되어 외부 충격시 충분한 보호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도 3을 참조하여 도 5의 도시와 같이 엠보(200)의 표면에 흡착홈(210)을 형성하게 되면, 선박용 배관(10)과의 접촉 과정에서 그 흡착홈(210)에 진공력이 부여되는 것인바, 빨판 작용으로 배관 표면에 보다 긴밀한 점착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빨판 작용은 겨울철과 같이 선박용 배관(10)이 차가울 시 보다 안정적인 점착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도니다.
또한,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상기와 같이 선박용 배관(10)을 감싸 보호하는 과정에서 여름철과 같이 고온 작용시 선박용 배관(10)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더라도 전체면적이 완전히 밀착되는 것이 아니라, 엠보(200)에 의한 접촉 면적이 축소되어 점착테이프가 녹아 선박용 배관(10) 표면에 눌어붙는 현상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엠보(200) 들의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 것인바, 낮과 밤의 온도 변화에 따른 선박용 배관(10)의 표면에 결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선박용 배관(10)을 사용하기 위해 그 점착테이프를 제거함에 있어, 엠보(200)에 의한 점착 면적의 감소로 그 탈거가 매우 편리하게 되는 등 탈거시 작업서잉 매우 향상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 본 고안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1)는 별도의 접착제 성분을 이용한 접착이 아닌 자가 점착 방식을 통해 선박용 배관을 감싸 보호함에 있어, 원가의 절감 및 최적의 점착력 발휘와 탈거가 매우 편리하게 되는 등 실용성이 한층 향상되게 된다.
100 : 기재층 200 : 엠보
210 : 흡착홈

Claims (4)

  1. 수지제로 구성되어 배관을 테이핑하여 보호하는 점착식 테이프에 있어서,
    유연성을 가지는 시트지 형태의 기재층(100)과, 상기 기재층(100)의 표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엠보(200)를 이루게 구성하되,
    주원료를 폴리염화비닐(PVC:Poly Vinyl Chloride)로 조성하되,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친환경 가소제 30~40중량부와, 가소제 첨가제 3~7중량부와, 난연제 10~20중량부와, 안정제 2~3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조성하여 경도 55~65를 이루고, 상기 엠보(200)의 표면 조도는(Ra) 0.5~1㎛를 이루게 구성하며,
    전체 두께에 대하여 상기 기재층(100)의 두께는 0.1~0.3mm의 두께를 이루고, 상기 엠보(200)의 두께는 0.05~0.1mm의 두께를 이루게 구성하며,
    상기 엠보(200)에는,
    표면에 흡착홈(210)이 더 형성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폴리염화비닐 100중량부에 대하여 안료 10~20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조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3. 제 2항에 있어서,
    안료는,
    밝은 곳에서 빛을 저장하고, 어두운 곳에서 빛의 발광이 가능한 축광 안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4. 삭제
KR2020220001001U 2022-04-25 2022-04-25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KR200497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01U KR200497433Y1 (ko) 2022-04-25 2022-04-25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1001U KR200497433Y1 (ko) 2022-04-25 2022-04-25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087U KR20230002087U (ko) 2023-11-01
KR200497433Y1 true KR200497433Y1 (ko) 2023-11-07

Family

ID=8874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1001U KR200497433Y1 (ko) 2022-04-25 2022-04-25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7433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470A (ko) 2009-09-30 2011-04-06 이홍열 선박용 파이프 보호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0465133Y1 (ko) * 2010-06-10 2013-02-05 주식회사 피앤아이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KR102224282B1 (ko) 2019-06-28 2021-03-09 대명테크 주식회사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02250U (ko) * 2020-04-01 2021-10-12 전성훈 피아노 일체형 모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2087U (ko)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50596T3 (es) Artículo retrorreflectante que comprende elementos de prisma retrorreflectantes y un revestimiento metálico retrorreflectante grabado
ES2897464T3 (es) Composición de revestimiento de supresión de la suciedad autoadhesiva
JP3431945B2 (ja) 再剥離型粘着保護テープ
EP2894206B1 (en) Anti-fouling adhesive sheet, and anti-fouling treatment method for a structure using said anti-fouling adhesive sheet
WO2016123023A1 (en) Protective and decorative deck covering
KR200497433Y1 (ko) 선박용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KR102224282B1 (ko) 배관 보호용 자가 점착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ATE486667T1 (de) Verfahren zum temporären schützen blanker oberflächen gegen korrosion und bauteil mit temporärem korrosionsschutz
CN212427949U (zh) 高亮耐刮大理石纹改性印刷装饰膜
KR101508685B1 (ko) 폴리에틸렌 기재의 난연성 표면 보호용 점착테이프
JP2019034484A (ja) 金属調積層体
US20100083547A1 (en) Method for Beautifying and Extending the Life of Sign Posts
US9305469B2 (en) Method of mounting subsea antifouling signs
CN207172897U (zh) 一种耐火抗静电灯箱布
KR102516398B1 (ko) 인쇄용 필름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CN213680502U (zh) 一种汽车内饰装饰膜
JP7439453B2 (ja) 粘着シート
CN219028796U (zh) 一种铝箔复合膜
US20110217493A1 (en) Method and Product for Protecting and Extending the Life of Hydrant Markers
ES2779051T3 (es) Cuerpo de material compuesto de múltiples capas
JP5691249B2 (ja) 円筒状の部材に巻回された転写フィルム
JP7154062B2 (ja) 壁紙
JP2018066198A (ja) 錆抑制粘着シート貼付プール
ES2364938B1 (es) Composición polimérica termoplástica autoadhesiva, procedimiento de preparación y usos de la misma.
KR20210136319A (ko) 통기 및 방청 구조를 갖는 선박 배관용 플랜지 보호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