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9706B1 - 점착패드 - Google Patents

점착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9706B1
KR100929706B1 KR1020070103120A KR20070103120A KR100929706B1 KR 100929706 B1 KR100929706 B1 KR 100929706B1 KR 1020070103120 A KR1020070103120 A KR 1020070103120A KR 20070103120 A KR20070103120 A KR 20070103120A KR 100929706 B1 KR100929706 B1 KR 100929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adhesive layer
fabric
adhesive pad
rele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668A (ko
Inventor
윤정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수산업
Priority to KR102007010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7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37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이형지; 상기 이형지의 상부에 적층되어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1접착층; 상기 제1접착층의 상부에 접착되는 직물 또는 편물로 제직된 그물 형태의 보조 천; 및 상기 보조천 상부에 접착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인장강도가 크고 인장신도는 낮아 내구성이 길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노이즈 방지가 우수하다는 효과가 있다.
점착패드, 폴리우레탄 폼, 폴리우레탄 필름, 직물, 편물, 폴리에스테르 원사, 리오셀 원사

Description

점착패드{Adhesive pad}
본 발명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내구성이 길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노이즈 방지가 우수한 점착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내부에는 안락하고 쾌적하며 실용성 있는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각종 편의시설 및 안전 구조물이 장착되고 있다.
특히, 운전석의 전방에는 각종 지시계기 및 에어컨, 오디오 등을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들이 장착되는데, 이 같은 장치들이 미려한 외관을 가지고 설치되도록 함과 아울러 사고 등에 의한 승객의 충돌시에는 승객을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점착패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점착패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형지(1)의 상부에 접착제(2)가 도포되고, 접착제(2)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폼(3)이 접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점착패드의 이형지(1)를 분리하여 접착제(2)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부분에 접착하여 사용한다.
종래의 점착패드는 연신율이 커서 잘 늘어나고, 내구성이 작아 쉽게 뜯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형지; 상기 이형지의 상부에 적층되어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1접착층; 상기 제1접착층의 상부에 접착되는 직물 또는 편물로 제직된 그물 형태의 보조 천; 및 상기 보조천 상부에 접착되는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점착패드를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상부에 적층되어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2접착층;과, 상기 제2접착층의 상부에 접착되는 폴리우레탄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천은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리오셀 원사로 제직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원사의 굵기는 15데니어 내지 150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천의 밀도는 가로 1 내지 35올/inch이고, 세로 1 내지 30올/inch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패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인장강도가 크고 인장신도는 낮아 내구성이 길며, 내열성이 우수하고, 노이즈 방지가 우수하다.
또한, 불량 점착패드의 탈거가 쉬워 리워크(rework)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점착패드는 이형지(10)와 제1접착층(20)과 보조 천(30)과 폴리우레탄 폼(40)과 제2접착층(50)과 폴리우레탄 필름(60)을 포함한다.
제1접착층(20)은 이형지(10)의 상부에 적층되어 접착력을 제공하며, 본드(Bond) 등이 될 수 있다.
보조 천(30)은 직물 또는 편물로 제직된 그물 형태이고, 제1접착층(20)의 상 부에 적층된다. 제1접착층(20)의 접착력에 의해 보조 천(30)은 이형지(10)에 접착되며, 그물 형태의 보조 천(30) 틈새 사이로 제1접착층(20)이 새어나오므로 하기의 폴리우레탄 폼(40)을 용이하게 접착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천(30)의 밀도는 가로 1 내지 35올/inch이고, 세로 1 내지 30올/inc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 천(30)은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리오셀 원사로 제직된 것이 바람직하며, 원사의 굵기는 15데니어 내지 150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우레탄 폼(40)은 보조 천(30) 상부에 접착된다.
제2접착층(50)은 폴리우레탄 폼(40)의 상부에 적층되어 접착력을 제공하며, 본드나 양면테이프 등이 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필름(60)은 제2접착층(50)의 상부에 접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점착패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 시험을 FITI 시험연구원에 의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표 1 및 표 2에서는 이형지에 본드를 도포하고, 본드의 상부에 보조 천과 폴리우레탄 폼을 차례로 접착하고, 폴리우레탄 폼의 상부에 본드를 도포한 후 폴리우레탄 필름을 접착한 점착패드를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여기서, 보조 천은 50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하였으며, 밀도는 가로 21올/inch, 세로 24올/inch로 하였다.
표 1.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 시험
시험항목 결과
인장강도 : N/5㎝(kgf/5㎝) (KS K 0521:2006. C.R.E. 스트립법) 가로 144.2(14.7)
세로 286.4(29.2)
인장신도 : % (KS K 0521:2006. C.R.E. 스트립법) 가로 93.5
세로 31.0
표 2. 중금소함량 시험
시험항목 결과
중금속 함량 : mg/kg (MS 201-02) 카드뮴(Cd) 검출안됨
납(Pb) 검출안됨
수은(Hg) 검출안됨
크롬 Ⅵ(Cr Ⅵ) 검출안됨
다음으로, 표 3에서는 표 1의 점착패드와 동일한 점착패드를 사용하되, 보조 천은 150데니어 굵기의 폴리에스테르 원사를 사용하였으며, 밀도는 가로 31올/inch, 세로 25올/inch로 하였다.
표 3. 인장강도 및 인장신도 시험
시험항목 결과
인장강도 : N/5㎝(kgf/5㎝) (KS K 0521:2006. C.R.E. 스트립법) 가로 157.5(16.1)
세로 205.2(20.9)
인장신도 : % (KS K 0521:2006. C.R.E. 스트립법) 가로 140.1
세로 70.9
상기의 시험결과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점착패드는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인장신도가 낮으므로 내구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카드뮴, 납, 수은, 크롬 등의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점착패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종래 점착패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형지 20 : 제1접착층
30 : 보조 천 40 : 폴리우레탄 폼
50 : 제2접착층 60 : 폴리우레탄 필름

Claims (5)

  1. 이형지;
    상기 이형지의 상부에 적층되어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1접착층;
    상기 제1접착층의 상부에 접착되는 직물 또는 편물로 제직된 그물 형태의 보조천;
    상기 보조 천 상부에 접착되는 폴리우레탄 폼;
    상기 폴리우레탄 폼의 상부에 적층되어 접착력을 제공하는 제2접착층; 및
    상기 제2접착층의 상부에 접착되는 폴리우레탄 필름;
    을 포함하는 점착패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천은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리오셀 원사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패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원사 또는 리오셀 원사의 굵기는 15데니어 내지 150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천의 밀도는 가로 1 내지 35올/inch이고, 세로 1 내지 30올/in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패드.
KR1020070103120A 2007-10-12 2007-10-12 점착패드 KR100929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120A KR100929706B1 (ko) 2007-10-12 2007-10-12 점착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3120A KR100929706B1 (ko) 2007-10-12 2007-10-12 점착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668A KR20090037668A (ko) 2009-04-16
KR100929706B1 true KR100929706B1 (ko) 2009-12-03

Family

ID=40762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120A KR100929706B1 (ko) 2007-10-12 2007-10-12 점착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7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33Y1 (ko) 2010-06-10 2013-02-05 주식회사 피앤아이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986B1 (ko) * 2012-01-16 2014-05-14 강호림 디스플레이 패널 보호용 적층 필름
KR20170064453A (ko) * 2015-11-30 2017-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137B1 (ko) * 1996-05-14 2000-09-01 조민호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KR20020009048A (ko) * 2000-07-22 2002-02-01 김충엽 점착식 방수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
KR20040067253A (ko) * 2003-01-22 2004-07-30 배효청 와이어하네스용 직물패드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4137B1 (ko) * 1996-05-14 2000-09-01 조민호 보강용 강화섬유 시이트
KR20020009048A (ko) * 2000-07-22 2002-02-01 김충엽 점착식 방수테이프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
KR20040067253A (ko) * 2003-01-22 2004-07-30 배효청 와이어하네스용 직물패드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133Y1 (ko) 2010-06-10 2013-02-05 주식회사 피앤아이 이물질 유입차단용 폼 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668A (ko)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8437B1 (en) Composite fabric for vehicles
US8651514B2 (en) Airbag tear seam tape
JP3311672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結束用布粘着テープ
EP1723210B1 (de) Hoch abriebfestes band für die bandagierung von kabelbäumen in automobilen
KR100929706B1 (ko) 점착패드
US10421249B2 (en) Sound proof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ound proof cover
WO2009008922A3 (en) Ballistic-resistant panel including high modulus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tape
EP1062091B1 (en) Headliner material with polyester and non-polyester layers
EP2484826A1 (en) Sound insulation material for vehicl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US4957797A (en) Roof lining structure for motor vehicle
WO2012004542A3 (fr) Dispositif de support et de fixation de panneaux ou analogues et systeme de toitur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JP4968168B2 (ja) 内装表皮材
US20040097159A1 (en) Laminated composition for a headliner and other applications
KR20090012460A (ko) 자동차 하부외장 보호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3522668A5 (ko)
US20120111661A1 (en) Panel mounting structure with sound reduction member
EP1115606A1 (en) Floor panel for a vehicle floor
CN205871929U (zh) 汽车内饰用多层复合蜂窝板
JP3473681B2 (ja) 自動車用天井材
JP4308121B2 (ja) 車両内装用成形品およびそれに用いる表皮材
DE102005009699A1 (de)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exiblen Flächengebildes
DE202005021453U1 (de) Hoch abriebfestes Band für die Bandagierung von Kabelbäumen in Automobilen
KR100943316B1 (ko) 점착패드 제조방법
WO2005052529A1 (ja) 吸音材
JP4046442B2 (ja) 建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