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3668A -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 - Google Patents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3668A
KR20070003668A KR1020060060519A KR20060060519A KR20070003668A KR 20070003668 A KR20070003668 A KR 20070003668A KR 1020060060519 A KR1020060060519 A KR 1020060060519A KR 20060060519 A KR20060060519 A KR 20060060519A KR 20070003668 A KR20070003668 A KR 20070003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damping
emulsion
damping material
resin emulsion
typ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927B1 (ko
Inventor
마사유키 누마자와
겐 쓰즈키
유타카 오하시
Original Assignee
아이신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카코 가부시키가이샤,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3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09D109/06Copolymers with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2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 C09D5/024Emulsion paints including aerosol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에 있어서, 도장 로봇 등을 이용하여 자동시공이 가능하고, 프로필렌글리콜을 비롯한 글리콜(2가 알코올)의 함유량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서, 온수가 침지하더라도 전착도막에 블리스터(blister)가 발생하는 일이 없는 것을 과제로 한다.
수지에멀젼으로서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젼을 이용하고, 무기질 충전제로서 탄산칼슘을 이용하고, 글리콜의 배합량을 모두 2중량% 이하로 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에 있어서는, 168시간(7일간)의 50℃의 온수에 침지한 후에도, 336시간(14일간)의 온수에 침지한 후에도, 그리고 1000시간의 온수에 침지한 후에도, 블리스터의 발생은 인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뛰어난 제진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착도료에 대해서 높은 방수 성능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WATER-BASED COATED-TYPE VIBRATION DAMPING MATERIAL}
도 1은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은, 수지에멀젼과 무기질 충전제를 함유하고, 차량의 플로어 등에 이용되는 강성과 제진성(制振性)이 뛰어나고, 내블리스터성에도 뛰어난 수계의 도포형 제진재료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용차 등의 차량의 플로어 등에는 진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아스팔트를 주성분으로 한 시트형상의 제진재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형상의 제진재는 차량 등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각 차종마다 설치하는 부분의 형상에 맞추어 절단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시트형상 제진재의 설치는 작업자가 실시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자동화의 장해가 되어 공정시간의 단축을 저해하고 있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로봇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한 도장식의 제진조성물(수계 제진재용 에멀젼)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제진재로서 도포된 두꺼운 도포막을 건조시키는 경우에, 표면으로부터 건조하여 경화하는 것에 의해서, 도포막 내부의 수분이 증발할 때에 도포막에 부풀림이 일어나거나 크랙이 발생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진재로서 형성된 도포막의 건조성을 향상시키도록, 응고율을 일정 범위내로 제어한 수계 제진재용 에멀젼의 발명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 발명에 관한 수계 제진재용 에멀젼은, 도장 로봇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고 공정시간을 단축 가능할 뿐만 아니라, 수계 도료이기 때문에, 시공시에 종래의 시트형상 제진재에 있어서의 아스팔트 냄새나 유기용제계 도료에 있어서의 유기용제 냄새를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는 장점도 겸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4-115665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관한 수계 제진재용 에멀젼에 대해서는, 첨가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이 4.5% 배합되어 있고, 이러한 도포형 제진재를 차체 패널 등의 전착도료의 도포막 위로부터 도포하여 소성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프로필렌글리콜이 전착도막을 팽윤·연화시키고, 그 후 온수에 침지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연화한 전착도막중에 온수가 침입하여 전착도막과 강판의 계면에 침투, 블리스터(전착도막에 미세한 도톨도톨함(부풀음)이 발생하는 것)가 발생된다.
이러한 온수의 침지는, 특히 동계의 홋카이도나 토호쿠·호쿠리쿠 지방의 폭설지대나 북미 지방 등에서, 구두에 부착한 눈이 차량 플로어에서 녹아 따뜻해진 경우에 일어나기 쉽고, 수계 제진도료에는 첨가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기 메커니즘에 의해서, 차량 하지도포막(전착도막)에 블리스터를 발생시켜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량의 플로어부, 트렁크룸, 대시부 등에 도장 로봇 등을 이용하여 자동시공이 가능하고, 프로필렌글리콜을 비롯한 글리콜(2가 알코올)의 함유량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서, 온수가 침지해도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일이 없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수지에멀젼과 무기질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이며, 2가 알코올(글리콜)을 포함하지 않거나, 2가 알코올(글리콜)의 함유량이 2.0중량% 이하인 것이다.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청구항 1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지에멀젼이 제 1 수지에멀젼과 제 2 수지에멀젼을 혼합한 것이고, 상기 제 1 수지에멀젼의 손실정접(tanδ)의 피크온도(Tg)가 0℃∼20℃의 범위내이며, 상기 제 2 수지에멀젼의 손실정접(tanδ)의 피크온도(Tg)가 25℃∼50℃의 범위내인 것이다.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수지에멀젼이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 및/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 에멀젼 및/또는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젼인 것이다.
여기서,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 및/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 에멀젼 및/또는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젼'이란, 수지에멀젼 또는 제 1 수지에멀젼 또는 제 2 수지에멀젼이,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아크릴산에스테르 에멀젼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젼만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 및 아크릴산에스테르 에멀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아크릴산에스테르 에멀젼 및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 및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 및 아크릴산에스테르에멀젼 및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의 전부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의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충전제가 탄산칼슘, 탈크, 규조토, 황산바륨,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마이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인 것이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우선,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도 1의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우선 스텝 S1에서 용기(수지 컵 또는 법랑 비이커)에 액체상의 수지에멀젼을 넣고, 이것에 첨가제를 첨가하고(스텝 S2), 또한 무기질 충전제를 혼입하여(스텝 S3), 디스퍼로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한다(스텝 S4). 그리고, 탈포용의 용기로 옮기고(스텝 S5), 탈포장치에 넣고 진공펌프로 흡인하면서 약 15분∼약 30분 교반하는 것에 의해 탈포한다(스텝 S6). 이상의 공정으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의 제조가 완료된다(스텝 S7).
다음에,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의 배합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지에멀젼으로서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을 이용하고, 무기질 충전제로서 탄산칼슘을 이용하고, 그리고 첨가제(분산제·흐름방지제)를 배합하고, 또한 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을 2중량% 이하 배합하여, 총계 100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이들의 배합비를 바꾼 것을 실시예 1∼7 까지 제조하고, 또한 비교를 위해서 비교예 1∼3도 제조하여, 특성시험(내블리스터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의 각 배합을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6047140994-PAT00001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7 및 비교예 1∼3의 각 배합을 통하여, 수지에멀젼(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젼)의 배합량은 모두 35중량%으로 통일하고, 첨가제(분산제·흐름방지제)의 배합량은 모두 4중량%으로 통일하였다. 그리고, 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의 배합량의 변화에 맞추어 무기질 충전제(탄산칼슘)의 배합량을 증감하여, 총합계 100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는, 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을 전혀 배합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무기질 충전제(탄산칼슘)를 61중량% 배합하는 것에 의해서, 합계 100중량%으로 하고 있다.
실시예 2, 3 및 4에 있어서는, 글리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각각 0.5중량%, 1중량%, 2중량% 배합하고 있고, 이것에 따라서 무기질 충전제(탄산칼슘)의 배합량을 60.5중량%. 60중량%. 59중량%으로 서서히 줄이고 있다.
또한, 실시예 5, 6 및 7에 있어서는, 글리콜로서 에틸렌글리콜을 각각 0.5중 량%, 1중량%, 2중량% 배합하고 있고, 이것에 따라서 무기질 충전제(탄산칼슘)의 배합량을 60.5중량%, 60중량%, 59중량%로 서서히 줄이고 있다.
이에 대해서, 비교예 1에 있어서는, 글리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3중량% 배합하고 있고, 비교예 2에 있어서는, 글리콜로서 에틸렌글리콜을 3중량% 배합하고 있고, 또한 비교예 3에 있어서는, 글리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1.5중량%, 에틸렌글리콜을 1.5중량%로 하여 합계 3중량% 배합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무기질 충전제(탄산칼슘)의 배합량을 58중량%로 하고 있다.
요컨대,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에 있어서는, 글리콜의 배합량이 모두 2중량% 이하이고,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에 있어서는, 글리콜의 배합량이 모두 3중량%, 즉 2중량%를 넘고 있는 것이다.
다음에, 특성시험(내블리스터성 시험)의 시험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70mm×150mm×두께0.8mm의 ED강판에 차량 하지도포막(전착도막)을 형성한 것에,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를 50mm×150mm의 크기로 면밀도 4kg/m2가 되도록 도포하고, 130℃에서 30분간 2회 소성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이 시험편에 대해서, 50℃의 온수에 침지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에 끌어올려, 눈으로 보아 관찰하는 것에 의해서 블리스터의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고, 블리스터의 발생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는 ○, 블리스터의 발생이 인정된 경우는 ×라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의 하단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표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7의 배합의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에 대해서는, 168시간(7일간)의 온수에 침지한 후에도, 336시간(14일간)의 온수에 침지한 후에도, 그리고 1000시간의 온수에 침지한 후에도, 블리스터의 발생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뛰어난 제진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착도료에 대해서 높은 방수성능을 가지게 된다.
이에 대해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배합의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에 대해서는, 168시간(7일간)의 온수에 침지한 후에 이미 블리스터의 발생이 관찰되었다. 이것에 의해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에 있어서의 글리콜의 배합량이 2중량%을 넘는 경우에는, 글리콜이 전착도막을 팽윤·연화시켜, 그 후 온수에 침지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 연화한 전착도막중에 온수가 침입하여 전착도막과 강판의 계면에 혼입,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실시예 1∼7)는, 차량의 플로어부, 트렁크룸, 대시부 등에 도장 로봇 등을 이용하여 자동시공이 가능하고, 프로필렌글리콜을 비롯한 글리콜(2가 알코올)의 함유량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서, 온수가 침지해도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수지에멀젼으로서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젼을 이용하고, 무기질 충전제로서 탄산칼슘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보다 제진특성이 뛰어난 제진도포막을 얻을 수 있어 저비용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의 배합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수지에멀젼으로서 Tg가 0℃∼20℃의 범위내(Tg=5℃)인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을 이용하고, 제 2 수지에멀젼으로서 Tg가 25℃∼50℃의 범위내(Tg=25℃)인 아크릴 에멀젼을 이용하고, 무기질 충전제로서 탄산칼슘을 이용하고, 그리고 첨가제(분산제·흐름방지제)를 배합하고, 또한 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을 2중량% 이하 배합하여, 총합계 100중량%이 되도록 하였다.
이들의 배합비를 바꾼 것을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4까지 제조하여, 실시형태 1과 같이 특성시험(내블리스터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한편,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의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나는 실시형태 1의 경우와 같다.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4의 각 배합을 표 2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06047140994-PAT00002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8∼14의 각 배합을 통하여, 제 1 수지에멀젼(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젼, Tg=5℃) 및 제 2 수지에멀젼(아크릴 에멀젼, Tg=25℃)의 합계의 배합량은 모두 35중량%으로 통일하고, 첨가제(분산제·흐름 방지제)의 배합량은 모두 4중량%으로 통일하였다. 그리고, 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의 배합량의 변화에 맞추어 무기질 충전제(탄산칼슘)의 배합량을 증감하여, 총합계 100중량%가 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8에 있어서는, 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을 전혀 배합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무기질 충전제(탄산칼슘)를 61중량% 배합하는 것에 의해서, 합계 100중량%으로 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8에 있어서는, 수지에멀젼으로서 제 2 수지에멀젼(아크릴 에멀젼, Tg=25℃)만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표 2에 나타나는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4의 각 배합 중, 실시예 8만은 1종류의 수지에멀젼을 이용한 실시예이다.
실시예 9, 10 및 11에 있어서는, 글리콜로서 프로필렌글리콜을 각각 0.5중량%, 1중량%, 2중량% 배합하고 있고, 이것에 따라 무기질 충전제(탄산칼슘)의 배합량을 60.5중량%, 60중량%, 59중량%로 서서히 줄이고 있다. 또한, 제 1 수지에멀젼(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젼)의 배합량을 10중량%, 20중량%, 30중량%로 서서히 늘리고 있어, 이것에 따라 제 2 수지에멀젼(아크릴에멀젼)의 배합량을 25중량%, 15중량%, 5중량%로 서서히 줄이고 있다.
또한, 실시예 12, 13 및 14에 있어서는, 글리콜로서 에틸렌글리콜을 각각 0.5중량%, 1중량%, 2중량% 배합하고 있고, 이것에 따라 무기질 충전제(탄산칼슘)의 배합량을 60.5중량%, 60중량%, 59중량%로 서서히 줄이고 있다. 또한, 제 1 수지에멀젼(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젼)의 배합량을 10중량%, 20중량%, 30중량%로 서서히 늘리고 있고, 이것에 따라 제 2 수지에멀젼(아크릴에멀젼)의 배합량을 25중 량%, 15중량%, 5중량%로 서서히 줄이고 있다.
이러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에 대해서, 실시형태 1과 같이 하여, 내블리스터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70mm×150mm×두께 0.8mm의 ED강판에 차량 하지도포막(전착도막)을 형성한 것에,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를 50mm×150mm의 크기로 면밀도 4kg/m2가 되도록 도포하고, 130℃에서 30분간 2회 소성하여 시험편을 제작하고, 이 시험편에 대해서, 50℃의 온수에 침지하여 소정시간 경과후에 끌어올려, 눈으로 관찰하는 것에 의해서 블리스터의 발생의 유무를 판정하여, 블리스터의 발생이 인정되지 않은 경우는 ○, 블리스터의 발생이 인정된 경우는 ×라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의 하단에 정리하여 나타낸다.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 8 내지 실시예 14의 배합의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에 있어서는, 168시간(7일간)의 온수에 침지한 후에도, 336시간(14일간)의 온수에 침지한 후에도, 그리고 1000시간의 온수에 침지한 후에도, 블리스터의 발생은 인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뛰어난 제진성을 가짐과 동시에, 전착도료에 대해서 높은 방수 성능을 가지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 2 중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4에 있어서는, 수지에멀젼을 제 1 수지에멀젼과 제 2 수지에멀젼을 혼합한 것으로서, 제 1 수지에멀젼의 Tg가 0℃∼20℃의 범위내이고, 제 2 수지에멀젼의 Tg가 25℃∼50℃의 범위내인 것으로 한 것에 의해서, 소성 건조초기에 있어서의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어, 소성 건조시에 있어서의 도포막 부풀음이 보다 개선되어, 막두께 8mm라고 하는 매우 두꺼 운 도포막에서의 소성 건조로도, 갈라짐 및 부풀음을 일으키는 일 없이, 제진성이 뛰어난 경화 도포막을 얻을 수 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지에멀젼으로서 스틸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멀젼 및 아크릴 에멀젼을 이용한 예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이외에도 아크릴-스틸렌 에멀젼, 스틸렌-부타디엔-라텍스(SBR) 에멀젼, 초산비닐 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젼, 에틸렌-아크릴 에멀젼, 에폭시수지 에멀젼, 우레탄수지 에멀젼, 페놀수지 에멀젼, 폴리에스테르수지 에멀젼,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라텍스(NBR) 에멀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무기질 충전제로서 탄산칼슘을 이용하고 있지만, 그 이외에도, 탈크(활석), 규조토, 황산바륨,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 마이카(운모), 그라파이트, 규산칼슘, 클래이, 글래스 플레이크, 질석, 카올리나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의 그 외의 조성, 성분, 배합량, 재질, 크기, 제조방법 등에 대해서도, 상기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의 발명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수지에멀젼과 무기질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이며, 2가 알코올(글리콜)을 포함하지 않거나, 2가 알코올(글리콜)의 함유량이 2.0중량% 이하이다.
여기서, 수지에멀젼으로서는, 아크릴에멀젼, 아크릴-스틸렌 에멀젼,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 스틸렌-부타디엔-라텍스(SBR) 에멀젼, 초산비닐에멀젼, 에틸렌- 초산비닐 에멀젼, 에틸렌-아크릴 에멀젼, 에폭시수지 에멀젼, 우레탄수지 에멀젼, 페놀수지 에멀젼, 폴리에스테르수지 에멀젼,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라텍스(NBR) 에멀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무기질 충전제로서는, 탄산칼슘, 탈크(활석), 규조토, 황산바륨,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마이카(운모), 그라파이트, 규산칼슘, 클래이(clay), 글래스 플레이크, 질석, 카올리나이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2가 알코올(글리콜)의 대표예로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이 있다.
본 발명자들이 열심히 실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지에멀젼과 무기질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로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중에 포함되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을 비롯한 2가 알코올(글리콜)의 함유량이 합계로 2.0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온수에 침지시켜도 차량 하지도포막(전착도막)에 블리스터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여, 이 지견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의 플로어부, 트렁크룸, 대시부 등에 도장 로봇 등을 이용하여 자동시공이 가능하고, 프로필렌글리콜을 비롯한 글리콜(2가 알코올)의 함유량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서, 온수가 침지해도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일이 없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가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수지에멀젼이 제 1 수지에멀젼과 제 2 수지에멀젼을 혼합한 것으로, 제 1 수지에멀젼의 손실정접(tanδ)의 피크온도(Tg)가 0℃∼20℃의 범위내이며, 제 2 수지에멀젼의 손실정접(tanδ)의 피 크온도(Tg)가 25℃∼50℃의 범위내이다.
본 발명자들이 열심히 실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손실정접(tanδ)의 피크온도(Tg)가 0℃∼20℃의 범위내의 제 1 수지에멀젼에, 손실정접(tanδ)의 피크온도(Tg)가 25℃∼50℃의 범위내의 제 2 수지에멀젼을 혼합하는 것에 의해서, 소성 건조초기에서의 수분의 증발을 촉진시킬 수 있고, 소성 건조시에서의 도포막 부풀음이 보다 개선되어, 막두께 8mm라고 하는 매우 두꺼운 도포막에서의 소성 건조에서도, 갈라지거나, 부풀음을 일으키는 일 없이, 제진성이 뛰어난 경화 도포막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이 지견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의 플로어부, 트렁크룸, 대시부 등에 도장 로봇 등을 이용하여 자동시공이 가능하고, 프로필렌글리콜을 비롯한 글리콜(2가 알코올)의 함유량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서, 온수가 침지해도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보다 두꺼운 제진도포막을 얻을 수 있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가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수지에멀젼이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 및/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 에멀젼 및/또는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젼이다.
본 발명자들이 한층 열심히 실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수지에멀젼으로서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 아크릴산에스테르 에멀젼,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젼 중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했을 경우에, 제진성 및 강성에 대해서 보다 뛰어난 제진도포막을 얻을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이 지견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또한, 이들 3종의 에멀젼은 입수가 용이하고, 저비용이라 고 하는 이점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의 플로어부, 트렁크룸, 대시부등에 도장 로봇 등을 이용하여 자동시공이 가능하고, 프로필렌글리콜을 비롯한 글리콜(2가 알코올)의 함유량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서, 온수가 침지해도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제진특성이 뛰어난 제진도포막을 얻을 수 있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가 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관한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는, 무기질 충전제가 탄산칼슘, 탈크, 규조토, 황산바륨,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마이카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이다. 이들 무기질 충전제는, 모두 입수가 용이하고 염가이고, 수지에멀젼과의 상용성도 좋기 때문에, 양호한 제진특성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의 플로어부, 트렁크룸, 대시부 등에 도장 로봇 등을 이용하여 자동시공이 가능하고, 프로필렌글리콜을 비롯한 글리콜(2가 알코올)의 함유량을 제한하는 것에 의해서, 온수가 침지해도 블리스터가 발생하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보다 제진특성이 뛰어난 제진도포막을 얻을 수 있어, 저비용화할 수 있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가 된다.

Claims (5)

  1. 수지에멀젼과 무기질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로서, 2가 알코올(글리콜)을 포함하지 않거나, 2가 알코올(글리콜)의 함유량이 2.0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에멀젼은 제 1 수지에멀젼과 제 2 수지에멀젼을 혼합한 것이고, 상기 제 1 수지에멀젼의 손실정접(tanδ)의 피크온도(Tg)가 0℃∼20℃의 범위내이고, 상기 제 2 수지에멀젼의 손실정접(tanδ)의 피크온도(Tg)가 25℃∼50℃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에멀젼은 스틸렌-부타디엔 에멀젼 및/또는 아크릴산에스테르 에멀젼 및/또는 에틸렌-초산비닐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규조토, 황산바륨,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질 충전제는 탄산칼슘, 탈크, 규조토, 황산바 륨, 제올라이트, 탄산마그네슘 및 마이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
KR1020060060519A 2005-07-01 2006-06-30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 KR100804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93569 2005-07-01
JP2005193569 2005-07-01
JPJP-P-2006-00162031 2006-06-12
JP2006162031A JP4357502B2 (ja) 2005-07-01 2006-06-12 水系塗布型制振材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668A true KR20070003668A (ko) 2007-01-05
KR100804927B1 KR100804927B1 (ko) 2008-02-20

Family

ID=3710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519A KR100804927B1 (ko) 2005-07-01 2006-06-30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12107B2 (ko)
EP (1) EP1741759B8 (ko)
JP (1) JP4357502B2 (ko)
KR (1) KR100804927B1 (ko)
CA (2) CA2551444C (ko)
DE (1) DE60200602125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5869B2 (ja) * 2006-12-20 2015-08-19 ローム アンド ハース カンパニーRohm And Haas Company 液状適用音響減衰材
JP2008248186A (ja) * 2007-03-30 2008-10-16 Cci Corp 減衰性塗料
JP4260200B2 (ja) * 2007-05-23 2009-04-30 アイシン化工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系塗布型制振塗料
JP5046823B2 (ja) * 2007-09-20 2012-10-10 アイシン化工株式会社 水系塗布型制振材料
US7893151B2 (en) 2007-11-08 2011-02-22 Rohm And Haas Company Liquid-applied sound damping
JP2010111746A (ja) * 2008-11-05 2010-05-20 Toyota Motor Corp 水系塗布型制振材
JP5815233B2 (ja) * 2010-12-14 2015-11-17 株式会社日本触媒 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樹脂組成物及び制振材
KR101247332B1 (ko) 2010-12-30 2013-03-26 한국세라믹기술원 중방식 도료용 실리카계 무기필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방식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2873956A (zh) * 2012-09-28 2013-01-16 常熟华冶薄板有限公司 具有减振降噪功能的彩色涂覆层钢板及其制备方法
CN104098963A (zh) * 2014-07-31 2014-10-15 湖州百胜涂料有限公司 一种水性高分子阻尼涂料
CN104987799A (zh) * 2015-04-24 2015-10-21 郭小曼 一种丙烯酸酯类阻尼涂料及其制备方法
KR101670395B1 (ko) 2015-04-28 2016-10-28 (주)세원물산 제진용 복합소재 도포장치
CN105153835A (zh) * 2015-08-27 2015-12-16 天长市银狐漆业有限公司 一种耐候耐水性涂料
DK3670622T3 (da) 2016-09-20 2022-07-04 Avery Dennison Corp Multilagsbånd
CN107501666B (zh) * 2017-08-15 2020-06-30 东方雨虹民用建材有限责任公司 复合阻尼材料、阻尼防水填充材料及其制备方法
US11059264B2 (en) 2018-03-19 2021-07-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Multilayer constrained-layer damping
CN108410220A (zh) * 2018-04-20 2018-08-17 吉林省绿森林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水性硅藻涂料及其制备方法
JP7344224B2 (ja) 2018-05-17 2023-09-13 エイブリィ・デニソン・コーポレイション 部分カバレッジ多層減衰積層体
CN116640487A (zh) * 2023-06-21 2023-08-25 沈阳帕卡濑精有限总公司 一种高温烘烤型水性防护涂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6707A (en) * 1957-10-28 1962-10-02 Pittsburgh Plate Glass Co Sound deadener and absorber
JPS5628252A (en) 1979-08-16 1981-03-19 Kuraray Co Ltd Water-dispersed vibration damping paint
US4251416A (en) 1979-11-21 1981-02-17 United States Gypsum Company Carpet backing adhesive
US4282131A (en) 1980-02-08 1981-08-04 Chapman Enterprises Corp. Car undercoating composition
JPH07292318A (ja) 1994-04-25 1995-11-07 Nippon Carbide Ind Co Inc 水性被覆用樹脂組成物
JPH08209044A (ja) * 1995-02-02 1996-08-13 Asahi Corp 常乾型水性エマルジョン系塗料
JP3209499B2 (ja) 1995-09-28 2001-09-17 株式会社コスモ総合研究所 水系制振塗料
JP3827031B2 (ja) 1997-01-24 2006-09-27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制振性水性塗料組成物
JP3951356B2 (ja) 1997-05-26 2007-08-01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制振性水性塗料組成物
JPH11334653A (ja) 1998-05-28 1999-12-07 Mitsubishi Motors Corp 自動車ボデー用制振材料及び自動車ボデー構造
JP3483200B2 (ja) 1999-08-26 2004-01-06 アイシン化工株式会社 水系防音塗料
JP4447708B2 (ja) 1999-11-26 2010-04-07 セメダイン株式会社 水系制振材組成物
US6686033B1 (en) * 2000-12-27 2004-02-03 H.B. Fuller Licensing & Financing Inc. Waterborne composition exhibiting sound damping property at low and high frequencies
KR20020053409A (ko) * 2000-12-27 2002-07-05 구본무 제진성과 성형성이 우수한 제진도료
JP4245829B2 (ja) 2001-08-01 2009-04-02 株式会社日本触媒 制振材用共重合エマルション
KR100583907B1 (ko) * 2002-02-04 2006-05-29 아이신카코 가부시키가이샤 소부건조형 수성 제진 도료 조성물
DE10218607B4 (de) 2002-04-25 2008-06-05 Torben Bauer Schwingungsdämpfendes Material
KR20040009613A (ko) * 2002-07-24 2004-01-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진재용 아크릴 공중합 수지 조성물
DE60309641T2 (de) * 2002-09-26 2007-09-13 Nippon Shokubai Co. Ltd. Verdickungsmittel für schwingungsdämpfer auf wasserbasis
JP2004115665A (ja) * 2002-09-26 2004-04-15 Nippon Shokubai Co Ltd 水系制振材用エマルション
JP2005187605A (ja) 2003-12-25 2005-07-14 Dainippon Ink & Chem Inc 制振塗料用合成樹脂エマルジョ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51673A1 (en) 2007-01-01
CA2551444A1 (en) 2007-01-01
DE602006021259D1 (de) 2011-05-26
US20070032586A1 (en) 2007-02-08
EP1741759A3 (en) 2007-05-02
EP1741759B1 (en) 2011-04-13
JP4357502B2 (ja) 2009-11-04
JP2007039656A (ja) 2007-02-15
CA2551444C (en) 2010-05-11
US7812107B2 (en) 2010-10-12
KR100804927B1 (ko) 2008-02-20
EP1741759A2 (en) 2007-01-10
EP1741759B8 (en)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927B1 (ko) 수계 도포형 제진재료
JP4260200B2 (ja) エマルジョン系塗布型制振塗料
EP1940947B1 (de) Spritzbare akustikmassen
JP4290163B2 (ja) 自動車用塗布型制振材料
CN1217009A (zh) 具有有机聚合物壳的预交联硅氧烷弹性体颗粒作为水性涂料配制料的配方成分
JP3951356B2 (ja) 制振性水性塗料組成物
JPH10502100A (ja) 音響的活性プラスチゾル
CN102408792A (zh) 车辆用水性阻尼涂料
JP4447708B2 (ja) 水系制振材組成物
JPH09151335A (ja) 水系制振塗料
KR101752385B1 (ko) 습윤면용 경화성 도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구조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
KR101186980B1 (ko) 자동차 차체용 분무형 제진재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차체에 제진재를 형성하는 방법
JP4632467B2 (ja) ビチューメン含有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ビチューメン含有組成物
JP2000160059A (ja) 焼付硬化型エマルジョン塗料組成物
CN101184820B (zh) 用于改善声学性能的方法
WO2017141550A1 (ja) 耐有機酸性水系樹脂組成物とその製造方法、及び表面処理方法
JP2829902B2 (ja) 水系制振塗料組成物
CN112004894B (zh) 用于提供涂覆有固化阻尼涂层的基材的方法以及所提供的涂覆基材
RU2241897C2 (ru) Изоляционная битумно-полимерная масти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26140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친환경, 다기능성 에폭시 수지계 방수방식재 조성물
JP7161425B2 (ja) 被膜形成方法
JPS6119670A (ja) 防音防振塗料
CN109153877A (zh) 改进的应用丙烯酸液体的声音阻尼器
JP2010065098A (ja) 水性被覆材
CN117004313A (zh) 水性木门漆组合物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