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1784A -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 - Google Patents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1784A
KR20070001784A KR1020057025099A KR20057025099A KR20070001784A KR 20070001784 A KR20070001784 A KR 20070001784A KR 1020057025099 A KR1020057025099 A KR 1020057025099A KR 20057025099 A KR20057025099 A KR 20057025099A KR 20070001784 A KR20070001784 A KR 20070001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cord
earring
housing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7504B1 (ko
Inventor
도모히로 이토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 권취(卷取)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에 관한 것으로서,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뜻하지 않게 권취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기-음향(音響) 변환 소자(3)를 내장한 하우징(1, 2)과, 일단이 상기 전기-음향 변환 소자(3)에 접속된 입력 코드(9)와, 상기 하우징(1, 2)에 내장되어 상기 입력 코드(9)를 상기 하우징(1, 2) 내부에 권취하도록 가압하는 권취 수단(14, 15)과, 상기 권취 수단(14, 15)과 연동하여 상기 권취 수단(14, 15)의 상기 입력 코드(9)의 권취를 저지하고, 상기 입력 코드(9)의 상기 하우징(1, 2)으로부터의 인출을 허용하는 래칫 수단(20, 20a, 22, 22a)과, 상기 래칫 수단(20, 20a, 22, 22a)의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22b, 25)과, 상기 하우징(1, 2)이 귀에 걸리게 하는 귀걸이 암(7)이 상기 하우징(1, 2) 측으로 가압되는 귀걸이 수단을 가지고, 상기 귀걸이 암(7)이 상기 하우징(1, 2)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상기 래칫 수단(20, 20a, 22, 22a)의 상기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헤드폰, 코드 권취 수단, 래칫 수단, 해제 수단, 귀걸이 수단

Description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 {HEADPHONE WITH CORD TAKE-UP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용 음향(音響) 기기에 사용하는 귀걸이 타입의 헤드폰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코드 권취(卷取)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음향 기기 등의 발달에 따라 헤드폰이 옥외에서도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헤드폰을 휴대하는 경우, 입력 코드의 얽힘 등이 문제로 된다.
그래서, 종래 상기 헤드폰의 입력 코드를 헤드폰의 하우징 내에 권취하는 기구를 가지는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의 입력 코드의 권취 기구는, 헤드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입력 코드가 상기 하우징 내에 권취되도록 태엽 스프링에 의해 가압하는 권취 수단과, 상기 권취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권취 수단의 상기 입력 코드의 권취를 저지하거나 상기 입력 코드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인출을 허용하는 래칫(ratchet) 수단과, 상기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래칫 수단에 의해, 상기 입력 코드를 꺼냈을 때 상기 입력 코드를 꺼낸 곳 까지의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되는 동시에, 해제 수단을 조작하여 상기 래칫 수 단의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를 해제했을 때는 조작 종료 또는 입력 코드의 끝까지 권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을 귀에 건 채로, 하우징 내에 권취하기 위해, 상기 해제 수단을 조작하여 권취 저지를 해제했을 때, 권취 수단의 권취력이 강하면, 코드가 채찍과 같이 뺨을 치거나 말단의 입력 플러그가 끌어 들여질 때 힘이 지나쳐서 입력 플러그가 얼굴이나 눈 등에 닿아서 상처를 입힐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종래 일본국 특개 2002-10385호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입력 코드의 입력 플러그를 하우징 내의 권취 수단과 관련하여 형성한 삽입구에 삽입했을 때, 권취 저지를 해제하도록 하고, 뜻하지 않게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일본국 특개 2002-10385호 공보의 것에서는, 입력 코드를 권취할 때마다 일부러 음향 기기 등에서 입력 플러그를 빼내어, 이것을 헤드폰 하우징의 삽입구에 삽입할 필요가 있고, 실 사용상, 상기 입력 코드의 권취는 사용후에 행할 뿐아니라, 너무 꺼냈을 때나, 통근, 통학시의 전철 등의 승하차시 약간 접촉되는 것만으로도 인출되어 버리므로, 그 때마다 상기 입력 플러그를 음향 기기 등에서 빼내어, 상기 하우징의 삽입구에 삽입하는 것은 조작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는 한쪽 손으로 헤드폰을, 다른 쪽 손도 헤드폰 바로 옆에서 플러그를 잡고 있어야만 했으므로, 손을 떼기가 불가능하게 되어, U자를 그려 강하게 권취되는 코드에 대하여 억제할 방법이 없어, 사용자에 불안감을 주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번잡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고 뜻하지 않게 권취가 행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은, 전기-음향 변환 소자를 내장한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전기-음향 변환 소자에 접속된 입력 코드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입력 코드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권취되도록 가압하는 권취 수단과, 상기 권취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권취 수단의 상기 입력 코드의 권취를 저지하거나, 상기 입력 코드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인출을 허용하는 래칫 수단과, 상기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과, 상기 하우징이 귀에 걸리도록 하는 귀걸이 암이 상기 하우징 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귀걸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귀걸이 암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상기 래칫 수단의 상기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귀걸이 암이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했으므로, 예를 들면 상기 이어폰을 귀에 걸고 있을 때는 뜻하지 않게 권취가 행해지지 일은 없으므로, 얼굴이나 눈 등에 상처를 입히는 경우는 없다.
이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어폰을 귀에 거는 것만으로 되고, 또 권취 저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귀로부터 벗겨내는 것만으로 되어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다. 또 권취시에, 길게 인출된 플러그나 코드에 손을 대면서 권취할 수 있으므로, 권취의 속도를 이용자가 기호에 따라 조정하여, 안심하고 권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설명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설명을 위한 구성도이다.
도 4는 헤드폰의 예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도 5는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헤드폰의 예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귀걸이 타입의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상기 귀걸이 타입의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의 후방(後方) 하우징(2) 측으로부터 본 외관도이며, (7)은 축지지된 회동 원반(回動圓盤)(5)에 일단이 고정된 귀걸이 암을 나타내고, 귀걸이 암(7)은 전방 하우징(1) 측으로 가압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있고, 귀에 걸지 않는 비사용시는 상기 전방 하우징(1)과 귀걸이 암(7)의 열림 각도가 최소 상태에 있다.
상기 귀걸이 암(7)을 귀에 걸었을 때는 회동 원반(5)의 회동에 따라 귀걸이 암(7)이 전방 하우징(1)에 대하여 귀의 두께만큼 열려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귀걸이 타입의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하우징(1)과 후방 하우징(2)으로 하우징을 구성하고, 전방 하우징(1)에는 전기-음향 변환 소자인 스피커 유닛(3)이 장착되어 전방 하우징(1)의 스피커 유닛(3)의 앞면에는 스피커 유닛(3)으로부터 발생하는 음압(音壓)을 방사(放射)하는 음공(音孔)(1a)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1)의 앞면은 귀에 맞닿으므로, 예를 들면 기포가 연속되도록 형성한 발포 폴리우레탄이나 천 등의 음을 투과시키면서 피부에 좋은 재료로 완성된 이어 패드(4)를 설치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9)는 일단에 음향 기기에 접속되는 입력 플러그(9a)가 접속된 입력 코드를 나타내고, 상기 입력 코드(9)의 타단을 스피커 유닛(3)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 전방 하우징(1)에 기판(12)이 고정되고, 상기 기판(12)의 중심에 회전축(13)의 일단이 코킹(caulking)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13)에는 릴(1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릴(14) 및 회전축(13)에 일단 및 타단이 고정된 태엽 스프링(15)이 릴(14)의 요부(凹部)(14a)에 수납된다.
상기 태엽 스프링(15)은 가압판(16)에 의해 튀어나오지 않도록 억제되어, 회전축(12)의 타단에서 가압판(16)의 위로부터 E링(13a)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도록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입력 코드(9)의 권취 수단이 구성되며, 입력 코드(9)를 태엽 스프링(15)의 가압에 의해 릴(14)에 권취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릴(14)의 양쪽 플랜지의 한쪽을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클릭 휠(20)로 하고(도 1 참조), 상기 클릭 휠(20)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릭 휠(20)의 전 주위를 정수(整數) 등분 예를 들면 4등분하여, 예를 들면 4개의 커팅부로 이루어지는 록(lock)용 클릭부(20a)를 형성한다.
또한, 도 1,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21)에 회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얇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회동암(22)의 일단에 클릭 휠(20)의 록용 클릭부(20a)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용 클릭(22a)을 형성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걸어맞춤용 클릭(22a)은 회동암(22)의 일단을 L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한다. 이 경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클릭 휠(20)과 회동암(22)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회동암(7)의 일단의 걸어맞춤용 클릭(22a)은 클릭 휠(20)의 록용 클릭부(20a)에 가압되어 걸어맞추어지도록 일단을 상기 회동암(22)에 타단을 하우징에 걸친 가압 스프링(23)에 의해 회동암(22)의 일단의 걸어맞춤용 클릭(22a)이 화살표 R2 방향 즉 클릭 휠(20)방향으로 가압된다.
상기 클릭 휠(20)의 록용 클릭부(20a)와 회동암(22)의 일단의 걸어맞춤용 클릭(22a)의 관계는 입력 코드(9)를 꺼내는 방향 즉 클릭 휠(20)이 화살표 R3 방향으 로 회전했을 때에 있어서는, 걸어맞춤용 클릭(22a)은 록용 클릭부(20a)와는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완만한 경사면 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록용 클릭부(20a)와는 걸어맞추지 않고, 상기 입력 코드(9)를 태엽 스프링(15)의 가압력보다 큰 힘을 거는 것에 의해 하우징(1, 2)으로부터 꺼낼 수가 있다(인출을 허용한다).
또, 입력 코드(9)를 권취하는 방향 즉 클릭 휠(20)가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는 걸어맞춤용 클릭(22a)은 클릭 휠(20)의 록용 클릭부(20a)와 걸어맞추어져 록되어, 상기 입력 코드(9)의 권취를 저지한다.
상기 클릭 휠(20)의 록용 클릭부(20a)와 회동암(22)의 일단의 걸어맞춤용 클릭(22a)에 의해 이른바 래칫 수단(기구)을 구성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회동암(22)의 타단에 상기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를 해제하는 해제편(22b)을 설치하고, 상기 해제편(22b)이 가압 스프링(2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눌러졌을 때는, 클릭 휠(20)의 록용 클릭부(20a)와 회동암(22)의 일단의 걸어맞춤용 클릭(22a)과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태엽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입력 코드(9)가 헤드폰의 하우징(1, 2) 내에 권취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해제편(22b) 상에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을 설치한다.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은, 귀걸이 레버(7)의 열림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 원반(5)과 상기 해제편(22b)을 협지한 반대측을 고정하고, 상기 회동 원반(5) 측을 자유단으로 하고, 상기 회동 원반(5)과 맞닿도록 한다.
또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귀걸이 레버(7)의 열림 각도가 최소 위치의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의 자유단과 회동 원반(5)이 맞닿는, 상기 회동 원반(5)의 위치에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의 소정 길이의 홈(5a)을 형성한다.
또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 상에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에 대하여 가압하여 가동할 수 있도록 해제 버튼(25)을 설치한다.
이 경우, 귀걸이 레버(7)의 열림 각도가 최소 즉 비사용시에 해제 버튼(25)을 눌렀을 때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의 자유단이 회동 원반(5)의 홈(5a)에 걸어맞추어져 삽입되어, 상기 해제 버튼(25)을 삽입할 수 있고, 상기 해제 버튼(25)을 누를 수 있었을 때는, 해제편(22b)도 가압되어,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를 해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귀걸이 레버(7)의 열림 각도를 최소보다 크게 하여 귀에 걸어 사용했을 때, 해제 버튼(25)을 눌렀을 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의 자유단이 회동 원반(5)의 외주에 맞닿아,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에 의해 해제 버튼(25)을 누를 수 없으므로,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를 해제할 수 없다.
본 예에 의한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되어 있으므로, 헤드폰의 비사용시에 귀걸이 레버(7)의 열림 각도가 최소일 때, 해제 버튼(25)을 눌렀을 때는 해제편(22b)이 가압되고, 클릭 휠(20)의 록용 클릭부(20a)와 회동암(22)의 일단의 걸어맞춤용 클릭(22a)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어, 태엽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입력 코드(9)를 헤드폰의 하우징(1, 2) 내에 권취할 수 있다.
또, 입력 코드(9)를 헤드폰의 하우징(1, 2)으로부터 꺼낼 때는, 상기 입력 코드(9)를 태엽 스프링(15)의 가압력보다 큰 힘을 걸어 꺼낸다. 이 때는 클릭 휠(20)이 화살표 R3 방향으로 회전하고, 록용 클릭부(20a)는 걸어맞춤용 클릭(22a)와는 걸어맞추어지지 않은 완만한 경사면 측이 맞닿게 되어, 록용 클릭부(20a)는 걸어맞춤용 클릭(22a)와는 걸어맞추어 지지 않으므로, 상기 입력 코드(9)를 꺼낼 수가 있다.
상기 입력 코드(9)를 꺼내는 힘을 원하는 위치에서 걸지 않았을 때는, 상기 클릭 휠(20)은, 태엽 스프링(15)의 가압력에 의해 화살표 R1 방향으로 회전되고, 걸어맞춤용 클릭(22a)은 클릭 휠(20)의 록용 클릭부(20a)와 걸어맞추어져 록되어 입력 코드(9)의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록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 의하면, 귀걸이 암(7)이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했으므로, 예를 들면 상기 이어폰을 귀에 걸고 있을 때는 뜻하지 않게 권취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얼굴이나 눈 등에 상처를 입히는 일은 없다.
또한, 본 예에 의하면, 상기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이어폰을 귀에 거는 것만으로 되고, 또 권취 저지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귀로부터 벗겨내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 편리성이 양호하다.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귀걸이 타입의 헤드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6, 도 7 및 도 8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 1 ~도 5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의 예의 헤드폰은 후방 하우징(2)의 위쪽에 베어링부(30)를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부(30)에 귀걸이 암(7)의 일단에 설치한 회동축(31)을 관통하도록 장착한다.
상기 귀걸이 암(7)은 전방 하우징측 즉 이어 패드(4) 측으로 가압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어 있고, 귀에 걸지 않는 비사용시는, 도 6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어폰의 이어 패드(4)와 귀걸이 암(7)의 열림 각도가 최소 상태로 된다.
상기 귀걸이 암(7)을 귀에 걸었을 때는, 도 6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귀걸이 암(7)은 상기 일단의 회동축(31)을 축으로 하여 회동하고, 상기 귀걸이 암(7)을 이어 패드(4)에 대하여 귀의 두께만큼 열어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7의 예에 있어서는, 도 1, 도 2, 도 3과 마찬가지로 회동암(22)의 타단의 해제편(22b) 상에 비교적 가늘고 긴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을 설치한다.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은, 귀걸이 레버(7)의 열림에 따라 회동하는 회동축(31)의 단면과 상기 해제편(22b)을 협지한 반대측을 고정하고, 상기 회동축(31)의 단면 측을 자유단으로 한다.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회동축(31)의 단면에 저지 돌기(31a)를 형성하고, 상기 귀걸이 레버(7)의 열림 각도가 최소의 위치에서는,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의 자유단이 상기 저지 돌기(31a)에 맞닿지 않도록 하고, 상기 귀걸이 레버가 회동하고, 상기 저지 돌기(31a)가 회동했을 때는,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의 자유단이 상기 저지 돌기(31a)에 맞닿도록 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 상에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에 대하여 가압 가동할 수 있도록 해제 버튼(25)을 설치한다.
이 경우, 귀걸이 레버(7)의 열림 각도가 최소 즉 비사용시에 해제 버튼(25)을 눌렀을 때는 도 7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의 자유단이 상기 회동축 단면의 저지 돌기(31a)에 맞닿지 않으므로, 상기 해제 버튼(25)을 누를 수가 있고, 상기 해제 버튼(25)을 누를 수가 있었을 때는, 해제편(22b)도 가압되어,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를 해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귀걸이 레버(7)의 열림 각도를 최소보다 크게 하여 귀에 걸어 사용했을 때 회동축(31)이 회동하여 저지 돌기(31a)도 회동하고, 해제 버튼(25)을 눌렀을 때는, 도 7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의 자유단이 회동축(31)의 단면의 저지 돌기(31a)에 맞닿게 되어, 상기 해제 규제 스프링판(24)에 의해 해제 버튼(25)을 누를 수 없어,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를 해제할 수 없다. 그 외에는 도 1의 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도 7의 예에 있어서도 도 1, 도 2, 도 3의 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 도 8의 예는 도 7의 예의 푸시 버튼으로 이루어지는 해제 버튼(25)을 슬라이드 버튼에 의해 구성한 예를 나타낸다.
도 8의 예는 도 7에 있어서, 해제 규제 스프링판(24), 해제 버튼(25)을 배치하지 않고, 일단에 슬라이드 버튼(32)을 형성한 슬라이드 이동 로드(33)를 설치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 로드(33)는, 귀걸이 레버(7)의 열림에 따라 회동하는 회 동축(31)의 단면과 상기 해제편(22b)을 협지한 반대측에 슬라이드 버튼(32)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32)이, 상기 해제편(22b)에 올라앉았을 때 해제편(22b)이 가압되어,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를 해제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 이동 로드(33)는 압축 코일 스프링(34)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슬라이드 이동 로드(33)의 슬라이드 버튼(32) 측과는 반대측의 선단부(33a)의 단면이, 회동축(31)의 단면보다 슬라이드 버튼 측에 위치하도록 한다.
또, 상기 슬라이드 이동 로드(33)의 선단부(33a)의 단면을 귀걸이 레버(7)의 열림 각도가 최소일 때는, 상기 회동축(31)의 단면의 저지 돌기(31a)에 맞닿지 않도록 하고, 상기 귀걸이 레버(7)의 열림이 최소보다 커졌을 때는, 상기 선단부(33a)의 단면이 회동축(31)의 저지 돌기(31a)에 맞닿도록 한다. 그 외에는 도 7의 예와 마찬가지로 구성한다.
이 경우, 귀걸이 레버(7)의 열림 각도가 최소 즉 비사용시에 슬라이드 버튼(32)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했을 때는 도 8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이동 로드(33)의 슬라이드 버튼(32)의 반대측의 선단부(33a)가 회동축(31)의 저지 돌기(31a)에 맞닿지 않으므로, 상기 슬라이드 버튼(32)을 소정 위치까지 슬라이드할 수 있어, 상기 슬라이드 버튼(32)이 해제편(22b) 상에 올라앉을 수가 있고, 상기 슬라이드 버튼(32)이 해제편(22b)에 올라앉았을 때는, 해제편(22b)을 가압한 것으로 되어,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를 해제할 수 있다.
또, 상기 귀걸이 레버(7)의 열림 각도를 최소보다 크게 하여 귀에 걸어 사용했을 때 회동축(31)이 회동하여 저지 돌기(31a)도 회동하고, 슬라이드 버튼(32)을 화살표 a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려고 했을 때는, 도 8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이동 로드(33)의 선단부(33a)의 단면은 회동축(31)의 단면의 저지 돌기(31a)에 맞닿게 되어, 슬라이드 버튼(32)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 로드(33)를 슬라이드할 수 없으므로,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9)의 권취 저지를 해제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도 8의 예에 있어서도, 도 1, 도 2, 도 3의 예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예에서는 클릭 휠(20)의 록용 클릭부(20a)의 수를 4개로 하였으나, 이것은 그 외의 복수개로 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 전술한 예에서는, 헤드폰에 본 발명을 적용한 예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헤드폰에 마이크로폰을 설치한 이른바 헤드 세트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그 외에 각종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귀걸이 암이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했으므로, 예를 들면 상기 이어폰을 귀에 걸고 있을 때는 뜻하지 않게 권취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얼굴이나 눈 등에 상처를 입히는 일은 없다.

Claims (4)

  1. 전기-음향(音響) 변환 소자를 내장한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전기-음향 변환 소자에 접속된 입력 코드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입력 코드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권취(卷取)되도록 가압하는 권취 수단과,
    상기 권취 수단과 연동하여 상기 권취 수단의 상기 입력 코드의 권취를 저지하거나, 상기 입력 코드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인출을 허용하는 래칫(ratchet) 수단과,
    상기 래칫 수단의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를 해제하는 해제 수단과,
    상기 하우징이 귀에 걸리도록 하는 귀걸이 암이 상기 하우징 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귀걸이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귀걸이 암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상기 래칫 수단의 상기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암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상기 래칫 수단의 상기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귀걸이 암이 열리는 동시에 회동(回動)하는 회동 원반(圓盤)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 원반에 해제 규제 스 프링판의 자유단이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암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상기 래칫 수단의 상기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귀걸이 암이 열리는 동시에 회동하는 회동축에 저지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저지 돌기에 해제 규제 스프링판의 자유단이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귀걸이 암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졌을 때 상기 래칫 수단의 상기 입력 코드의 권취 저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귀걸이 암이 열리는 동시에 회동하는 회동축에 저지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저지 돌기에 상기 해제 수단을 구성하는 슬라이드 버튼의 선단부가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
KR1020057025099A 2004-04-27 2005-04-21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 KR101117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31891 2004-04-27
JP2004131891A JP3933142B2 (ja) 2004-04-27 2004-04-27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PCT/JP2005/008102 WO2005104606A1 (ja) 2004-04-27 2005-04-21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784A true KR20070001784A (ko) 2007-01-04
KR101117504B1 KR101117504B1 (ko) 2012-03-07

Family

ID=35197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099A KR101117504B1 (ko) 2004-04-27 2005-04-21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92917B2 (ko)
JP (1) JP3933142B2 (ko)
KR (1) KR101117504B1 (ko)
CN (1) CN1788523B (ko)
BR (1) BRPI0504917A (ko)
TW (1) TWI262032B (ko)
WO (1) WO20051046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0168B2 (ja) 2004-04-22 2007-04-04 ソニー株式会社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US8798305B2 (en) 2004-07-06 2014-08-05 Kaddan Entertain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securing headphone transducers
WO2007061213A1 (en) * 2005-11-28 2007-05-31 Wise&Blue Co., Ltd. Wireless heads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899810B2 (ja) 2006-11-10 2012-03-21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及びイヤーパッド
JP4821570B2 (ja) * 2006-11-10 2011-11-24 ソニー株式会社 耳掛け装着方式のヘッドホン
JP4482833B2 (ja) 2007-08-23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装置
JP2009055251A (ja) * 2007-08-24 2009-03-12 Sony Corp ヘッドホン装置
JP2010226645A (ja) * 2009-03-25 2010-10-07 Audio Technica Corp ヘッドホン
US8787610B2 (en) 2010-06-23 2014-07-22 Dean Stevinson Ergonomic system for compact winding and storage of earphone set/headphones used with digital media devices
US8842872B2 (en) 2010-06-23 2014-09-23 Dean Stevinson Keyed earphone caddy and carrying case
US8365887B2 (en) 2010-12-17 2013-02-05 Fischer Consumer Electronics Retraction apparatus
US20120314896A1 (en) * 2011-06-07 2012-12-13 Kevin Bryant Retractable Audio Cord Device
USD667815S1 (en) * 2011-11-11 2012-09-25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Headphone for mobile phone
CN102957984A (zh) * 2012-11-19 2013-03-06 黄庆苗 一种耳机绕线器
USD726701S1 (en) 2013-02-11 2015-04-14 Dean Stevinson Exoskeleton combo case
USD723532S1 (en) 2013-02-11 2015-03-03 Dean Stevinson Combo earphone case
USD730315S1 (en) 2013-02-11 2015-05-26 Dean Stevinson Earphone caddy
USD735706S1 (en) 2013-02-11 2015-08-04 Dean Stevinson Separable exoskeleton earphone case
KR101289244B1 (ko) 2013-04-04 2013-07-26 주식회사 블루콤 자동 감김 장치를 적용한 이어셋
USD744470S1 (en) 2013-04-26 2015-12-01 Dean Stevinson Combo case having domed portion
US9241209B2 (en) 2013-06-25 2016-01-19 Google Inc. Headphones with adaptable fit
USD735991S1 (en) 2014-01-06 2015-08-11 Nytro Labs, LLC Retractable ear bud case
EP2919482B1 (en) 2014-03-13 2019-11-06 LG Electronics Inc. Wireless ear piece
US9820028B2 (en) 2014-03-21 2017-11-14 Robert J. Long Cord management device
US9648407B2 (en) 2014-06-12 2017-05-09 Kaddan Entertainment, Inc.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headphone wires
US9458664B2 (en) * 2014-07-31 2016-10-04 Nien Made Enterprise Co., Ltd. Adjustable cord locker and window blind having such adjustable cord locker
CN105263080A (zh) * 2015-11-06 2016-01-20 广西职业技术学院 一种隐藏式防缠绕耳机
US9807493B1 (en) 2016-04-21 2017-10-31 Human, Incorporated Attachment apparatus
CN106773924A (zh) * 2016-11-30 2017-05-3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收线装置
USD890696S1 (en) 2017-07-21 2020-07-21 Google Llc Earbud charging case
USD867326S1 (en) 2017-07-21 2019-11-19 Google Llc Wireless earbuds
USD844586S1 (en) 2017-08-04 2019-04-0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D896781S1 (en) 2017-08-04 2020-09-22 Google Llc Audio assembly
US20210037301A1 (en) * 2017-09-09 2021-02-04 Human, Incorporated Ear-worn device
USD863260S1 (en) * 2017-12-08 2019-10-15 Shenzhen Sabbat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Pair of wireless earphones
WO2019126402A1 (en) * 2017-12-19 2019-06-27 Human, Incorporated Ear-worn device
USD868750S1 (en) * 2018-05-07 2019-12-03 Bin Zheng Wireless earphone
USD879075S1 (en) 2018-07-11 2020-03-24 Google Llc Earbud stand assembly
USD909335S1 (en) * 2019-05-31 2021-02-02 Kreg Jones Headphone
USD911317S1 (en) * 2019-08-14 2021-02-23 Skullcandy, Inc. Base module for earphones
USD940689S1 (en) * 2020-03-04 2022-01-11 Luxshare Precision Industry Co., Ltd. Wireless headset
USD962201S1 (en) * 2020-05-15 2022-08-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phone
CN112788464B (zh) * 2021-01-22 2022-12-06 深圳市奥凯睿科技有限公司 一种带耳机线自动收纳装置的耳机
USD975685S1 (en) * 2021-08-05 2023-01-17 Dreamus Company Earphone
JP1717526S (ja) * 2021-12-14 2022-06-16 イヤホン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96842Y (zh) * 1994-03-04 1995-05-10 宗思荐 收线耳机
US6082656A (en) * 1999-01-29 2000-07-04 Ericsson, Inc. Electronic device with retractable cord
JP3777855B2 (ja) * 1999-03-04 2006-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ード巻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JP2001346287A (ja) 2000-06-02 2001-12-14 Car Mate Mfg Co Ltd プラグコード巻き取り式イヤホン
JP4310893B2 (ja) * 2000-06-26 2009-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CN2489532Y (zh) * 2001-06-07 2002-05-01 刘志 组合型微型电器外接耳机导线收纳装置
JP3838229B2 (ja) * 2003-08-13 2006-10-25 ソニー株式会社 ヘッドホン
JP4259389B2 (ja) * 2003-09-12 2009-04-3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コード巻き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8523B (zh) 2011-04-06
TWI262032B (en) 2006-09-11
US20060239491A1 (en) 2006-10-26
BRPI0504917A (pt) 2006-10-24
WO2005104606A1 (ja) 2005-11-03
US7492917B2 (en) 2009-02-17
JP3933142B2 (ja) 2007-06-20
CN1788523A (zh) 2006-06-14
KR101117504B1 (ko) 2012-03-07
TW200607371A (en) 2006-02-16
JP2005318112A (ja) 2005-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504B1 (ko) 코드 권취 장치를 가지는 헤드폰
US6480611B2 (en) Headphone having a cord reel
JP4103267B2 (ja) ヘッドホン
US11303985B2 (en) Electronic device
KR101117503B1 (ko) 코드 권취 장치가 부착된 헤드폰
JP2001048428A (ja) コード収納器
KR20160002061A (ko) 무선음향기기
JP3777855B2 (ja) コード巻取り装置付きヘッドホン
US7848087B2 (en) Electronic device
JPH08237349A (ja) 携帯電話用イヤホンコード巻取装置
KR20160048452A (ko) 음향기기
KR102152342B1 (ko) 헤드셋
US20180014110A1 (en) Wearable modular telecommunication device
JP4306382B2 (ja) 脈波測定装置
JP2006345310A (ja) 収納ケース付ヘッドホン装置及びヘッドホン装置
KR101637369B1 (ko) 무선음향기기
KR101615240B1 (ko) 무선음향기기
WO2019019369A1 (zh) 头戴显示设备
JP4153297B2 (ja) 展開可能イヤバドを有する携帯通信装置
JP2002281136A (ja) マイク付きイヤホンを備えた携帯電話機
JP3828325B2 (ja) イヤホン及びイヤホンマイク
US20140185820A1 (en) Ear Bud Retraction Mechanism Having a Break Away Dust Door
CN113923552B (zh) 一种线控无线音效耳麦及其控制方法
CN114145530B (zh) 调节装置及具有其的头戴设备
US20230396910A1 (en) Wearable ear speaker with fivefold adjust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