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799A -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799A
KR20060135799A KR1020067017941A KR20067017941A KR20060135799A KR 20060135799 A KR20060135799 A KR 20060135799A KR 1020067017941 A KR1020067017941 A KR 1020067017941A KR 20067017941 A KR20067017941 A KR 20067017941A KR 20060135799 A KR20060135799 A KR 20060135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shield wiper
wiper device
breaking element
sec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7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1953B1 (ko
Inventor
아힘 크라우스
위르겐 랍프
프랑스와 샤바넬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135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1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3Attachement of a wiper modular assembly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41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 B60S1/0444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means comprising vibration or noise 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28) 및 고정 섹션(22)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정 섹션(2)과 차량 사이에 설정 파괴점(26)이 제공되고, 상기 설정 파괴점은 고정 수단(28)의 영역에 배치된다.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고정 수단, 고정 섹션, 설정 파괴점

Description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Windshield wiper device, particulary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특히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정 섹션 및 고정 수단을 구비한 다수의,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수단은 차량에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를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DE A 100 55 426에 고정 섹션을 가진 와이퍼 베어링을 구비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 섹션은 실질적으로 플레이트 형으로 형성되고 중앙 홀을 가지므로, 상기 고정 섹션은 고정 수단인 나사에 의해 차체에 나사 조임될 수 있다. 고정 섹션은 와이퍼 샤프트에 가깝게 배치되고, 상기 와이퍼 샤프트는 와이퍼 베어링에 지지되고 와이퍼 암이 와이퍼 블레이드와 함께 구동되도록 하기 위해, 차량에 조립 후 차체로부터 돌출한다.
사고시 차체에 보행자가 부딪히면, 보행자는 차체로부터 돌출한 와이퍼 샤프트에 의해 심각한 부상을 입는다.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체 바로 아래에 배치되기 때문에 차체는 상기 영역에서 약간만 뒤로 물러날 수 있으므로 보 행자에 대한 추가의 잠재적 위험을 제공한다.
보행자가 충돌하는 경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및 와이퍼 샤프트는 상기와 같은 충돌시 보행자에 대한 부상 위험이 감소되도록 뒤로 물러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고정 섹션에 설정 파괴점이 제공되는 것이 공지되어 있고, 따라서 상기 설정 파괴점은 와이퍼 샤프트에 규정된 축방향 힘이 작용할 때 파괴되고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차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 차체 내에, 특히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영역에 충분한 공간이 있다는 것이 전제된다. 이 경우, 또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삽입이 임의의 방향으로 비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문제이다.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고정 섹선과 차량 사이의 설정 파괴점에 의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예정된 경로로 차체 내로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규정된 충돌력이 반드시 와이퍼 샤프트에 대해 축방향으로 작용하지 않아도 될 뿐 아니라 다른 방향의 힘 작용시에도 와이퍼 샤프트 또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전체가 확실하게 뒤로 물러나는 것이 보장된다.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 조치에 의해 독립 청구항에 제시된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와 개선이 이루어진다.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샤프트가 지지된 와이퍼 베어링이 제공되고, 와이퍼 암이 상기 와이퍼 베어링에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섹션이 상기 와이퍼 베어링에 배치되면 바람직하다. 보행자가 충돌할 경우 전형적으로 가장 큰 힘이 차체로부터 돌출한 와이퍼 샤프트 또는 상기 와이퍼 샤프트와 연결된 와이퍼 암에 작용한다. 고정 섹션이 와이퍼 베어링에 배치되면, 충돌력은 바람직하게 의도대로 고정 섹션 및 설정 파괴 소자에 안내되므로, 상기 설정 파괴 소자는 보행자의 보호를 위해 휘어질 수 있고 및/또는 파괴될 수 있다.
특히 간단하고 저렴하게 설정 파괴 소자는 고정 섹션과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효과적인 설정 파괴 소자는 제 1 디스크와 제 2 디스크를 포함하고, 이들은 동축으로 나란히 배치되고 다수의 지지 브레이스에 의해 연결된다. 보행자가 충돌하는 경우 지지 브레이스는 에너지를 흡수하여 휘어질 수 있고 및/또는 파괴될 수 있으므로, 충돌 에너지의 최대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 1 디스크가 고정 섹션을 향하고 설정 파괴 소자의 휨 및 파괴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제 2 디스크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면 특히 바람직하다.
설정 파괴 소자는 특히 플라스틱 다이 캐스팅 방법으로 일체로 특히 저렴하게 형성된다.
알루미늄 또는 아연 다이 캐스팅으로 설정 파괴 소자를 형성하는 것이 저렴하고 효과적이다.
고정 수단이 나사 또는 리벳으로 형성되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간단하게 차량에 고정된다.
고정 수단이 설정 파괴 소자를 관통하는 슬리브 내에 배치되는 것이 특히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고정 섹션 및 설정 파괴 소자 사이에 댐핑 소자가 제공되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진동 특성이 바람직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고 하기 설명부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차체에 대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고정부에 대한 상세도.
도 3은 충돌 전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고정부의 개략도.
도 4는 충돌 후 도 3에 따른 고정부의 개략도.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된다.
상기 장치는 실질적으로 지지관(1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관에 와이퍼 모터(12)가 고정된다. 지지관(11)은 2개의 단부를 갖고, 상기 단부들에 각각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14)이 배치된다.
와이퍼 베어링(14)은 실질적으로 관형 섹션(15)으로 이루어지고, 와이퍼 샤프트(16)는 상기 관형 섹션을 관통한다. 와이퍼 샤프트(16)의 단부는 구동 크랭크(18)와 연결되고, 상기 구동 크랭크는 명확함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커넥팅 로드에 의해 와이퍼 모터(12)로 구동되는 피동 크랭크(20)와 연결된다.
작동시 피동 크랭크(20)는 회전 또는 왕복 운동을 하고, 이로써 커넥팅 로 드, 구동 크랭크(18) 및 와이퍼 샤프트(16)는 진자 운동을 한다.
명확함을 위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 측에만 도면 부호가 제공되고, 반대측 또는 반대편에 놓인 와이퍼 베어링(14)에 대해서도 물론 동일하게 적용된다.
관형 섹션(15)으로부터 지지관(11) 반대측에 고정 섹션(22)이 연장되고, 상기 고정 섹션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차체(24)에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를 고정하기 위한 홀을 포함한다. 고정 섹션(22)과 차체(24) 사이에 설정 파괴 소자(26)가 배치되고, 상기 소자는 관(crown)형으로 형성된다. 고정 섹션(22), 고정 수단(28)인 나사가 설정 파괴 소자(26) 및 차체 플레이트(24)를 관통하고, 상기 나사는 차체 플레이트(24)에 용접된 나사 너트 내로 돌려 넣어진다.
변형예에서 고정 수단으로서 물론 리벳이 제공될 수 있거나 또는 고정 섹션(22)은 설정 파괴 소자(2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서 고정 섹션(22)은 설정 파괴 소자(26)와 함께 접착될 수 있고, 이와 무관하게 설정 파괴 소자(26)는 차체 플레이트(24) 상에 접착될 수 있다. 물론, 차체 플레이트(24)에 나사선이 제공되고, 상기 나사선에 나사(28)가 나사 조임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베어링(14)은 실린더형 고정 소켓(25)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소켓은 관형 섹션(15)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연장되어 지지관(11)의 내부로 삽입되고 거기에서 지지관(11)과 크림핑 된다.
도 2에 고정 섹션(22)을 포함하는 와이퍼 베어링(14)이 상세히 도시된다.
관형 섹션(15)으로부터 플레이트형 고정 섹션(22)이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 섹션은 길게 형성되고 한 단부에 관형 섹션(15)을 지지한다. 고정 섹션 의 다른 단부는 개구를 갖고, 상기 개구 내로 고무류의 댐핑 소자(30)가 삽입된다. 설정 파괴 소자(26)는 댐핑 소자(30)와 차체 플레이트(24) 사이에 배치된다. 고정 수단(28)인 나사가 댐핑 소자 및 고정 섹션(22), 설정 파괴 소자(26), 그리고 차체 플레이트(24)를 관통하므로, 와이퍼 베어링(14)은 차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3에 와이퍼 베어링(14)의 고정이 상세하게 도시된다. 고정 섹션(22)에 댐핑 소자(30)가 배치되고, 상기 댐핑 소자는 링형으로 형성되고, 와이퍼 베어링(14)의 고정 섹션(22)이 삽입된 단면(32)을 갖는다. 설정 파괴 소자(26)는 금속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댐핑 소자(30)에 바로 연결된다. 상세히는, 설정 파괴 소자(26)는 상부 원형 디스크(34)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는 댐핑 소자(30)와 접촉한다. 디스크(34)에 지지 브레이스(36)가 연결되고, 상기 지지 브레이스는 하부 원형 디스크(38)에 지지된다. 디스크(34, 38) 및 지지 브레이스(36)는 일체로 형성된다. 하부 디스크(38)는 차체 플레이트(24) 바로 위에 배치된다.
변형예에서, 물론 보상 또는 댐핑 소자가 장착될 수도 있다.
슬리브가 댐핑 소자(30) 및 고정 섹션(22), 그리고 설정 파괴 소자(26)를 관통하고, 상기 슬리브는 실질적으로 중공형 구조를 갖는다.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를 고정하기 위해, 실린더형 슬리브(40)의 길이는 댐핑 소자(30) 및 설정 파괴 소자(26)의 전체 길이보다 약간 작다.
나사(28)가 슬리브(40)와, 댐핑 소자(30)를 가진 고정 섹션(22), 설정 파괴 소자(26) 및 차체 플레이트(24)를 관통하고, 상기 나사는 차체 플레이트(24)의 측면에서 나사 너트(42)로 고정된다.
하기에서 설정 파괴 소자(26)의 기능이 설명된다. 와이퍼 샤프트(16) 또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에 힘 F이 작용하면, 고정 섹션(22)과 연결된 관형 섹션(15)은 하부 또는 차량 내로 가압된다. 도 4에서 이것은 힘 화살표 F로 도시된다. 설정된 규정된 힘을 넘어서면, 설정 파괴 소자(26)의 지지 브레이스(36)는 휘어지거나 또는 파괴되므로, 고정 섹션(22)과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 전체는 아래로, 차체 플레이트(24)를 향해 미끄러질 수 있다. 따라서, 보행자의 충돌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는 뒤로 물러나서 부상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설정 파괴 소자(26)는 반드시 파괴될 필요는 없다. 고정 섹션(22) 및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가 뒤로 물러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정 파괴 소자(26)가 적절하게 휘어지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Claims (10)

  1.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로서, 상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28) 및 고정 섹션(22)을 포함하는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섹션(22)과 상기 차량 사이에 설정 파괴 소자(26)가 제공되고, 상기 설정 파괴 소자는 상기 고정 수단(28)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14)이 제공되고, 상기 와이퍼 베어링 내에, 와이퍼 암이 고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샤프트(16)가 지지되고, 상기 고정 섹션(22)은 상기 와이퍼 베어링(14)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파괴 소자(26)는 상기 고정 섹션(22)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파괴 소자(26)는 제 1, 특히 원형의 디스크(34)와 제 2, 특히 원형의 디스크(38)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들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축으로 배치되고 다수의 지지 브레이스(36)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크(34)는 상기 고정 섹션(22)을 향하고 상기 제 2 디스크(38)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파괴 소자(26)는 플라스틱 다이 캐스팅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파괴 소자(26)는 알루미늄 또는 아연 다이 캐스팅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8)은 나사 또는 리벳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28)은 슬리브(40)에 배치되고, 상기 슬리브는 상기 설정 파괴 소자(26)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섹션(22)과 상기 설정 파괴 소자(26) 사이에 댐핑 소자(3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020067017941A 2004-03-04 2005-02-02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01141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10513A DE102004010513A1 (de) 2004-03-04 2004-03-04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4010513.8 2004-03-04
PCT/EP2005/050445 WO2005085023A1 (de) 2004-03-04 2005-02-02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799A true KR20060135799A (ko) 2006-12-29
KR101141953B1 KR101141953B1 (ko) 2012-05-04

Family

ID=3487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7941A KR101141953B1 (ko) 2004-03-04 2005-02-02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723014B1 (ko)
JP (1) JP2007500099A (ko)
KR (1) KR101141953B1 (ko)
DE (2) DE102004010513A1 (ko)
ES (1) ES2326177T3 (ko)
WO (1) WO2005085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34028A1 (de) * 2007-07-20 2009-01-22 Robert Bosch Gmbh Befestigungsanordnung
DE102010039575A1 (de) * 2010-08-20 2012-02-23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erantrieb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828368T2 (de) * 1997-10-22 2005-12-08 Nissan Motor Co., Ltd., Yokohama Wisch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FR2775456B1 (fr) * 1998-02-27 2000-05-12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platine de fixation susceptible de s'effacer en cas de choc, et platine appartenant a un tel dispositif
EP1033295A3 (en) * 1999-03-03 2002-05-15 Trico Products (Dunstable) Limited Windscreen wiper assembly
FR2833370B1 (fr) * 2001-12-07 2004-01-30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pour la fixation d'un dispositif d'essuyage permettant l'effacement de l'arbre d'entrainement en cas de choc
DE10161976A1 (de) * 2001-12-17 2003-06-26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 einer Wischeranlage
JP4087632B2 (ja) * 2002-03-28 2008-05-2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フードストッ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23014A1 (de) 2006-11-22
KR101141953B1 (ko) 2012-05-04
WO2005085023A1 (de) 2005-09-15
EP1723014B1 (de) 2009-06-24
JP2007500099A (ja) 2007-01-11
DE102004010513A1 (de) 2005-09-22
ES2326177T3 (es) 2009-10-02
DE502005007566D1 (de)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7862B1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01148009B1 (ko)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ES2451626T3 (es) Dispositivo de limpiaparabrisas
JP4024316B2 (ja) ワイパ装置
KR20060025178A (ko) 차량용 와이퍼 장치
US20200207402A1 (en) Adjustable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comprising an energy absorption device
KR20060123565A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JP2002500591A (ja) 自動車のワイパー装置
KR20060135799A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US6941611B2 (en) Energy absorbing wiper system for vehicle
JP3901355B2 (ja) 車両用ワイパ装置
CN113454350A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US20080209661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KR100812240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KR100824550B1 (ko) 와이퍼 암
KR20060025145A (ko)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
JP4532284B2 (ja) 特に自動車に用いられるウィンドウガラスワイパ装置
KR100462364B1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장치
US7281293B2 (en) Windshield wiper device,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JP2002356142A (ja) ワイパ装置の取付け構造
WO2004113134A1 (de)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CN103991431B (zh) 雨刮器系统及其衬套座
KR100820138B1 (ko) 차량용 사이드 언더 미러 마운팅구조
CN108146387B (zh) 刮水装置
EP3441268A1 (en) Protective cap for vehicle wiper device and vehicle wip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