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145A -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 - Google Patents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145A
KR20060025145A KR1020057021799A KR20057021799A KR20060025145A KR 20060025145 A KR20060025145 A KR 20060025145A KR 1020057021799 A KR1020057021799 A KR 1020057021799A KR 20057021799 A KR20057021799 A KR 20057021799A KR 20060025145 A KR20060025145 A KR 20060025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ing device
guide member
windshield wiping
fixing part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1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스테판 메이어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2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1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3Attachment of the wiper assembly to the vehicle
    • B60S1/0433Attachement of a wiper modular assembly 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차체에 앞유리 와이핑 장치(10)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26)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정부(26)는 차체의 가이드 멤버(32)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30), 특히 레일을 포함한다.
차량, 차체, 앞유리 와이핑 장치, 고정부, 가이드 멤버, 수단, 레일

Description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WINDSHIELD WIPING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청구범위 독립항의 상위 개념에 따른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행자가 차량의 와이퍼 축에 충돌할 때 후퇴되어 차체의 내부에 가려지도록형성된 복수의 앞유리 와이핑 장치가 예를 들면 DE-A-199 03 140호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차체로부터 돌출된 와이퍼 축에 의한 보행자의 부상 위험이 감소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앞유리 와이핑 장치의 고정부에 파손 지점이 구비되어, 보행자의 충돌 시 전체 앞유리 와이핑 장치가 그 고정부로부터 파손되어 차체의 내부로 가려지는 것이 제안된다.
또한, 충돌 시 차량의 보닛(bonnet)을 상승시켜 충돌된 보행자가 와이퍼 축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소형 차량에는 실행될 수 없다.
청구범위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앞유리 와이핑 장치는 고정부가 차체의 가이드 멤버에서 이동 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앞유리 와이핑 장치는 보행자의 충돌 시, 즉 와이퍼 축에 축방향 힘이 작용할 때 원하는 궤도 상에서 차체의 내부로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앞유리 와이핑 장치의 설치 공간의 기하학적 특수성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축의 이동 속도 및 이에 따른 충돌 몸체상에 작용하는 힘의 특성이 영향을 받는다.
종속항에 언급된 조치에 의해, 독립항에 언급된 특징의 유리한 실시예 및 개선예가 개시된다.
가이드 멤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이 활주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로서 형성되면, 고정부는 간단한 방식으로 아연 또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 합성 수지 사출 성형 방법으로 또는 간단한 천공 벤딩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멤버도 간단한 천공 벤딩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양호하게는 비용면에서 유리한 본 발명에 따른 앞유리 와이핑 장치의 형성이 이루어진다.
가이드 멤버 및/또는 고정부가 고정을 위한 잠금 부재를 포함하면, 앞유리 와이핑 장치는 차량으로 조립될 때 간단하고 신속하게 장착될 수 있다.
잠금 부재가 충격 부하가 가해질 때 고정이 해제되도록 형성되어, 거의 축방향 힘이 차체의 내부로 작용될 때 와이퍼 축이 가려지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상 작동 시 앞유리 와이핑 장치의 견고한 고정이 보장된다면, 이는 특히 유리하다.
충돌 시 앞유리 와이핑 장치의 후퇴를 위해 제공되는 공간을 이용하도록, 가이드 멤버 및/또는 상기 수단이 고정부 및 가이드 멤버의 분리를 위한 분리 수단을 포함하면, 이는 특히 유리하다.
가이드 멤버로부터 분리될 때 고정부를 해제하도록, 특히 기울어지게 하도록 해제 요소가 구비되면, 이는 특히 유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가이드 멤버 또는 상기 수단이 가이드 멤버 및 상기 수단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 수단을 포함함으로써, 간단하고 신속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의 조립이 구현된다.
앞유리 와이핑 장치의 본질적인 부품을 지지하는 브래킷이 구비되고, 고정부가 완충부재에 의해 브래킷에 고정되면, 앞유리 와이핑 장치용 표준 부품이 사용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가이드 멤버 영역의 앞유리 와이핑 장치와 차체 사이의 완충부재가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브래킷이 감소된 굽힘강도를 갖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면, 이는 특히 유리한데, 왜냐하면 이를 통해 브래킷은 몸체가 베어링 축에 충돌될 때 보다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힘이 와이퍼 축 상으로 정확히 축방향으로 작용하지 않고 모든 와이퍼 축에 대해 균일하게 작용하지 않는다면, 특히 유리하며, 이는 일반적으로 보행자가 충돌할 때의 경우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며 이하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앞유리 와이핑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와이퍼 축으로 축방향 힘을 가하기 전 및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앞유리 와이핑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가이드 멤버를 통한 일반 운전 시 앞유리 와이핑 장치의 고정부에 대한 상세도.
도 4는 충돌 후 가이드 멤버를 구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의 고정부에 대한 상세도.
도 5는 도 4에 따른 가이드 멤버를 구비한 고정부에 대한 배면도.
도 6은 리밋 스톱을 구비한 도 4의 고정부 및 가이드 멤버를 하단에서 본 도면.
도 7은 가이드 멤버에서 분리 상태의 고정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앞유리 와이핑 장치(10)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주로 이 앞유리 와이핑 장치는 하나의 금속튜브로 이루어지는 하나의 브래킷(bracket)(12)을 포함하는데, 이 금속튜브는 양측 단부에서 각각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wiper bearing)(14, 16)을 지지한다. 와이퍼 베어링(14, 16)에는 각각 하나의 와이퍼 축(18, 20)이 지지되는데, 이 와이퍼 축은 장착된 상태에서 차량의 차체로부터 돌출되며 이 와이퍼 축에서 와이퍼 아암(wiper arm)이 와이퍼 블레이드(wiper blade)와 함께 고정된다. 또한 크랭크 기어(crank gear)를 통해 와이퍼 축(18, 20)을 동작시키는 구동장치(22)가 브래킷(12)에 고정된다. 브래킷(12)은 튜브(tube)의 굽힘강도(flexural strength)가 약화되는 벤딩부(bending part)(24)를 갖는다. 또한 튜브(12)의 일측 단부에서는 고정부(26)가 와이퍼 축(14)에 배치되는데, 이 고정부는 완충부재(28)로서 기능하는 고무 슬리브(rubber sleeve)와 볼트로 고정된다. 대안적 방법으로서 고정부(26)는 또한 와이퍼 베어링(14)에 리벳팅, 접착되거나 또는 와이퍼 베어링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6)는 차량의 차체에 서 가동적 고정을 위한 수단(30)으로서 2개의 레일을 갖는다. 이 레일(30)은 차량의 차체에 배치된 가이드 멤버(guide member)(32)에서 활주된다. 대안적 방법으로서 물론 이 가이드 멤버(32)는 차체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와이퍼 축(18)으로 축방향 힘을 가하기 전 및 후의 본 발명에 따른 앞유리 와이핑 장치가 도시된다. 와이퍼 축(18)으로 가해진 축방향 힘(F)으로 인해 고정부(26)가 가이드 멤버(32)에서 하단으로 밀리고 부분적으로 가이드 멤버(32)에서 분리된다. 이때 브래킷(12)의 벤딩부(24)에 부하가 가해진다.
도 3에는 와이퍼 베어링(14) 및 와이퍼 축(18)이 포함된 고정부(26)의 상세도가 도시된다. 와이퍼 베어링(14)에서 고정부(26)는 볼트를 통해 완충부재(28)에 고정된다. 주로 고정부(26)는, 와이퍼 베어링(14)에서 와이퍼 축(18)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완충부재(28)와 볼트 체결된 거의 U자형인 평평한 판으로 구성된다. 판의 가장자리에서 판에 대해 수직으로 안정화 측벽(34)이 칼라(collar) 형태로 진행한다. U자형 판의 베이스에 대해 대응하는 면에서 안정화 측벽(34)으로부터 레일(30)이 진행되는데, 이 레일은 그 종방향에서 판에 대해 수직으로 진행되므로 따라서 와이퍼 축(18)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뻗어 있다. 레일(30)은, 차량 차체의 고정 측벽에 대해 평행하게 진행하는 각각 2개의 엽상(lobe form) 돌출부로 형성된다. 종방향 진행부의 중앙 구역에서 레일(30)에 홈이 형성된다.
가이드 멤버(32)는 구간별로 횡단면이 거의 Z자형인 긴 판재로서 형성된다. Z자형 판재의 일측 단면이 차체 판넬의 종방향 확장부를 따라 고정되므로, 레일의 두께에 따라서 Z자형 판재의 제2 단면이 약 1 내지 3mm 정도 차체 판넬로부터 이격 되는데,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30)이 그 안에서 활주될 수 있도록 이격된다. 고정을 위해 레일(30)은 잠금 부재(36)로서 볼트를 갖는데, 이 볼트는 가이드 멤버에 의해 형성된 안내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확장되며 가이드 멤버(32)의 단부측에서 개구(38)를 관통한다.
도 4는 분리된 상태에서 가이드 멤버(32) 내에 있는 고정부(26)를 나타낸다. 레일(30)에 대응하게 가이드 멤버(32)가 2개의 홈(40)을 가지므로, 사전에 설정된 위치에서 고정부(26)가 가이드 멤버(32) 내에서 스스로 분리될 수 있다. 충돌 시 이 분리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기 위해, 고정부(26)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톱퍼(stopper)(42)이 가이드 멤버(32)에 제공된다. 판재로부터 이격된 가이드 멤버(32)의 단부측이 차체의 방향에서 벤딩됨으로써 스톱퍼가 구현된다. 또한 대안적 방법으로서 여기에 용접점 또는 기타 차단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차체 측에서 관찰한 고정부(26)를 나타낸다. 고정부(26)의 안정화 측벽은 차체 판넬의 방향에서 캠(44)을 갖는데, 이 캠은 벤딩으로 인해 차체 판넬에서 사면을 형성하므로, 스톱퍼(42)에서 분리 위치에 도달되면 고정부(26)는 외측으로 가압되며 이에 따라 차체 측벽으로부터 기울어지게 된다. 비딩(beading), 벽의 강화, 펀칭을 통한 약화와 같은 차체 판넬의 의도된 강성 조치를 통해, 충돌 시 힘과 시간 사이의 관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확실한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설형(舌形) 스프링 및/또는 래칭이 차체 판넬에 또는 고정부(26)에 구비될 수 있어, 고정부(26)의 의도되지 않은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 6에는 고정부(26)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거의 U자형인 판은 완충부 재(28) 및 나사에 의해 와이퍼 베어링(16)과 연결된다. 판의 가장자리에서 와이퍼 축(18)의 종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안정화 측벽(34)이 칼라 형태로 아래쪽으로 진행한다. 베이스에 대해 대응하는 면에서 안정화 측벽(34)은 외측으로 진행되어, 각각 그 종방향의 중앙이 공간으로 되는 2개의 레일(30)이 형성된다. 이들은 거의 횡단면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Z자형인 장방형 가이드 멤버에서 활주하며, 상기 가이드 멤버는 단부에서 차체 판넬 방향으로 벤딩되어, 스톱퍼(42)가 형성된다. 가이드 멤버(32)는 그 종방향을 따른 홈(40)을 포함하며, 상기 홈(40)은 레일(30)의 홈에 상응한다. 가이드 멤버(32)는 차체의 일부에 일체형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차량에서 차체에 용접되는 판재로 된 천공 벤딩 부품으로서 천공 가공된다.
도 7에는 고정부(26)가 분리 후 차체 판재로부터 기울어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레일(30)은 가이드 멤버(32)에 대응되게 배치되므로, 홈(40)은 고정부(26)를 하부 정지 위치에서 해제한다. 가이드 멤버(32)는 와이퍼 아암에 대면하는 상부 영역에서 대략 확장되어 있으므로, 레일(30)은 이 확장부내로 삽입 수단(46)으로서 용이하게 도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앞유리 와이핑 장치(10)가 차량에 용이하게 장착된다. 개구(38)내로 결합되는 볼트(36)를 통해 고정부는 고정된다. 와이퍼 축(18)에 충돌된 보행자에 의해 부하, 특히 충격 부하가 가해질 때, 볼트(36)는 절단되며, 이를 통해 고정부(26)는 스톱퍼(42)를 통해 형성되는 하부 정지 위치까지 활주될 수 있다. 캠(44)을 통해 고정부는 이 위치에서 차체로부터 기울어진다.
2개의 와이퍼 축(16, 18)을 포함하는 앞유리 와이핑 장치(10)에서, 여기에 도시된 고정부(26)는 일 측면, 예를 들면 차량의 운전자 측면에 구비되거나, 또는 앞유리 와이핑 장치(10)의 양 측면, 즉 튜브(12)의 양 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구동장치(22)의 영역 또는 브래킷(12)의 다른 지점에 하나 또는 다른 고정 지점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유리하게는, 충돌 시 와이퍼 축(16, 18)이 가려지도록 고정부가 와이퍼 축(16, 18)의 종방향 평면에서의 회전 운동을 가능케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앞유리 와이핑 장치에 이용가능하다.

Claims (9)

  1. 차량의 차체에 앞유리 와이핑 장치(10)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26)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6)는 차체의 가이드 멤버(32)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유리 와이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멤버(3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30)이 활주될 수 있는 레일 가이드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유리 와이핑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멤버(32) 및/또는 상기 고정부(26)는 상기 앞유리 와이핑 장치(10)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재(3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유리 와이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잠금 부재(36)는 충격 부하가 가해질 때 고정이 해제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유리 와이핑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멤버(3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30)은 상기 고정부(26) 및 상기 가이드 멤버(32)의 분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수단(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유리 와 이핑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멤버(32)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고정부(26)를 해제하는, 특히 기울어지게 하는 해제 요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유리 와이핑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멤버(32) 및/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단(30)은 상기 가이드 멤버(32) 및 상기 수단(30)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삽입 수단(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유리 와이핑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유리 와이핑 장치(10)의 본질적인 부품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1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26)는 완충부재(28)에 의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1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유리 와이핑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앞유리 와이핑 장치(10)의 본질적인 부품을 지지하고 감소된 굽힘강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벤딩 영역(2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래킷(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유리 와이핑 장치.
KR1020057021799A 2003-06-30 2003-12-03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 KR200600251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9570A DE10329570A1 (de) 2003-06-30 2003-06-30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329570.4 2003-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145A true KR20060025145A (ko) 2006-03-20

Family

ID=3352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1799A KR20060025145A (ko) 2003-06-30 2003-12-03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641659B1 (ko)
JP (1) JP4437118B2 (ko)
KR (1) KR20060025145A (ko)
CN (1) CN100408393C (ko)
BR (1) BR0311264A (ko)
DE (1) DE10329570A1 (ko)
WO (1) WO20050006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09303A1 (de) * 2004-02-26 2005-09-15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39763A1 (de) 2005-08-23 2007-03-01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KR100980968B1 (ko) * 2008-08-22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와이퍼 장치
FR2952881A1 (fr) * 2009-11-20 2011-05-2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ecanisme d'essuie-glace pour vehicule
CN101830210A (zh) * 2010-05-25 2010-09-15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雨刮轴固定支架
DE102011121898A1 (de) * 2011-12-22 2013-06-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rlagerbarer Achskörper für eine Wischerlagervorrichtung eines Kraftfahrzeugs
DE102016224152A1 (de) * 2016-12-05 2018-06-07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3338B2 (ja) * 1999-04-06 2004-05-31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装置
JP3531529B2 (ja) * 1999-05-17 2004-05-3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ワイパ取付構造
JP2000326829A (ja) * 1999-05-17 2000-11-28 Mitsubishi Motors Corp ワイパ取付構造
DE10039293A1 (de) * 2000-08-11 2002-06-20 Valeo Auto Electric Gmbh Wisch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sowie Verfahren zum Befestigen einer Scheibenwischanlage
FR2833370B1 (fr) * 2001-12-07 2004-01-30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pour la fixation d'un dispositif d'essuyage permettant l'effacement de l'arbre d'entrainement en cas de cho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00641A1 (de) 2005-01-06
EP1641659A1 (de) 2006-04-05
EP1641659B1 (de) 2011-10-19
DE10329570A1 (de) 2005-01-20
JP2007506588A (ja) 2007-03-22
JP4437118B2 (ja) 2010-03-24
BR0311264A (pt) 2005-03-29
CN1708426A (zh) 2005-12-14
CN100408393C (zh) 200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222B1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핑 장치
US6478106B2 (en) Device for forced guiding of a motor and/or powertrain with a crash case
US6224147B1 (en) Sliding roof
JP2006525910A (ja) ワイパ装置
RU2471658C2 (ru) Ударный элемент для моторной группы автомобиля
CN107531202B (zh) 机动车保险杠与侧板或翼子板的可松脱的固定装置
US6918319B2 (en) Device for fixing a pedal lever of a motor vehicle
KR20060025145A (ko)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
KR100747029B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부 구조
US6676709B1 (en) System for absorbing impacts in motor vehicles
US9027484B2 (en) Front-arrangement for a vehicle, in particular for a rail vehicle, comprising a screen cleaning device
KR20060026861A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JPH07257195A (ja) 自動車のためのユニット支承装置
US20070289081A1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0824550B1 (ko) 와이퍼 암
CN110525325B (zh) 固定元件以及固定元件在机动车的车前部中的布置
JP7131400B2 (ja) 車両前部構造
JP4193570B2 (ja) ワイパモジュール取付部の衝撃吸収構造
JP2005014677A (ja) 車体構造
US20070290520A1 (en) Windscreen Wiper System
CN108909676A (zh) 用于机动车辆的雨刷器子组件
KR100369028B1 (ko)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KR100315291B1 (ko) 자동차의 범퍼 고정구조
KR100188595B1 (ko) 차량용 차체 전방 상부부재의 보강구조
KR100552193B1 (ko) 차체의 프론트 엔드 모듈 파손방지를 위한 백빔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