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028B1 -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028B1
KR100369028B1 KR10-2000-0052059A KR20000052059A KR100369028B1 KR 100369028 B1 KR100369028 B1 KR 100369028B1 KR 20000052059 A KR20000052059 A KR 20000052059A KR 100369028 B1 KR100369028 B1 KR 100369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sliding guide
guide plate
collision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790A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028B1/ko
Publication of KR2002001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0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에 관한 것으로, 충돌사고 발생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정부위가 서로 충돌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된 부품(8,9)들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9)에 접합되어 피충돌되는 부품(8)과의 충돌을 회피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50)이, 상기 피충돌되는 부품(8)과의 마찰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폐단면구조를 이루는 테두리부재(51)와 상판부재(52)와 하판부재(53)와 중간판부재(54) 및 밀폐부재(55)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부품들간에 원활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도록 윤활재(60)가 충진되어져, 충돌사고 발생시 부품들(8,9)간의 충돌이 회피되면서 변형공간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충격력도 최대한으로 감소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효과적으로 보호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SLIDING GUIDE PLATE OF PART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돌사고 발생시 한정된 공간내에 설치된 부품들간의 충돌을 최대한으로 회피시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충돌사고시에는 그 충격력에 따라 차체가 찌그러들면서 각종 부품들이 손상되게 되는 바, 일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룸(1)내에 장착된 부품(2)들끼리나 또는 브레이크페달 및 스티어링컬럼과 그 주변부품들간의 충돌이 필연적으로 발생되게 된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부품들은 대부분 협소한 공간내에 설치되게 되며, 이 협소한 공간내에 설치되는 부품들의 일반적인 충돌현상은 구조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凹 :3a)와 철부(凸 :4a)등의 복잡한 구조에 의해 충돌후 걸려서 미끄러지지 못하게 된다.
즉, 다수개의 부품중 어느 한 부품(3)에 요부(3a)가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부품과 밀접되게 설치되어 피충돌되는 다른 부품(4)에는 철부(4a)가 형성되어 있는 바,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부품들(3,4)의 요부(3a)와 철부(4a)가 서로 끼워지면서 충격력을 그대로 전달받게 되고, 이 충격력은 감소됨이 없이 탑승자에게로 전달되어 탑승자의 부상정도가 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 부품들(5,6)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6)에 미끄럼안내판(7)을 접합하여 충돌사고 발생시 부품들(5,6)끼리 서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서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된 구조가 안출되었다.
즉, 충돌사고 발생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부위가 서로 충돌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된 부품들(5,6)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6)의 밑면에 소정크기의 미끄럼안내판(7)이 접합되되, 상기 미끄럼안내판(7)이 전장에 걸쳐 곡률지게 형성되면서 끝단이 피충돌되는 부품(5)쪽으로 돌출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안내판(7)은 한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철판(steel)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상기 부품들(5,6)은 충격력에 의해 서로 충돌을 일으키는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 바, 이때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6)은 미끄럼안내판(7)에 의해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피충돌되는 상기 부품(5)을 타고 넘어가게 되므로 부품들(5,6)의 직접적인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6)이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피충돌되는 부품(5)을 타고 넘어가면서 직접적인 충돌을 회피하게 되면, 충돌사고시 발생되었던 충격력은 어느정도 감소된 상태로 탑승자에게로 전달되게 되므로,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미끄럼안내판(7)이 한 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철판(steel)으로 되어 있음으로 인해, 충돌사고 발생시 서로 접촉을 이루는 미끄럼안내판(7)과 상기 피충돌되는 부품(5)간에는 마찰력이 존재하게 되고, 이 마찰력에 의해 부품들(5,6)의 슬라이딩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탑승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게 되었다.
또한, 마찰력이 커질수록 미끄럼안내판(7)의 변형도 커지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들(5,6)의 슬라이딩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충돌사고 발생시 충격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폐단면구조의 다중겹부재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유활재가 충진된 미끄럼안내판을 접합하여, 부품들의 슬라이딩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부품의 변형공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함은 물론, 이로인해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충돌사고 발생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정부위가 서로 충돌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된 부품들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에 접합되어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피충돌되는 부품과의 충돌을 회피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안내판이 피충돌되는 부품과의 마찰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폐단면구조의 다중겹부재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윤활재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엔진룸의 부품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종래구조에 따라 부품들간의 충돌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안내판이 부품에 접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안내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는 도 5의 I-I선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안내판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미끄럼안내판이 장착된 부품들의 충돌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8,9 - 부품 50 - 미끄럼방지판
51 - 테두리부재 52 - 상판부재
53 - 하판부재 54 - 중간판부재
55 - 밀폐부재 60 - 윤활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안내판이 부품에 접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안내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종래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위를 붙이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부품들은 대부분 협소한 공간내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돌사고 발생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소정부위가 서로 충돌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된 부품들(8,9)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9)의 밑면에는 소정크기의 미끄럼안내판(50)이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안내판(50)은 전장에 걸쳐 곡률지게 형성되면서 끝단이 상기 부품(9)에 의해 피충돌되는 부품(8: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쪽으로 돌출되도록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안내판(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충돌되는 부품(8)과의 마찰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폐단면구조의 다중겹부재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부품들(8,9)간에 원활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도록 윤활재(60)가 충진되어 있다.
한편, 상기 미끄럼안내판(5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창틀의 모양으로 형성된 테두리부재(51)와, 이 테두리부재(51)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내측윗면과 몰딩접합되도록 된 상판부재(52)와, 상기 테두리부재(51)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내측아랫면과 몰딩접합되도록 된 하판부재(53)와, 상기 상하판부재(52,53)사이에서 자유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된 중간판부재(54) 및, 상기 테두리부재(51)의 개구부쪽에 밀착되어 상하판부재(52,53)의 일단 및 테두리부재(51)의 양단과 동시에 압접되면서 상하판부재(52,53)와 몰딩접합되도록 된 밀폐부재(55)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안내판(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충돌되는 부품(8)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하판부재(52,53)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밀폐부재(55)쪽의 테두리부재(51) 및 상판부재(52)의 윗면 소정부위가 부품(9)에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재(51)와 밀폐부재(55)는 피충돌되는 부품(8)과의 마찰력에 의해 형상이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알루미늄과 같은 연질로서 형성되게 되며, 상기 상하판부재(52,53) 및 중간판부재(54)는 충격력에 의해 밀폐부재(55)를 테두리부재(51)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안내판(50)의 작동과정에 대해 도 4 내지 도 8을 참조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부품들은 대부분 협소한 공간내에 설치되어 있는 바, 주행중 충돌사고가 발생되면 그 충격력에 따라 차체가 찌그러들면서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 위치에서 탈거되어 위치이동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서로 근접된 거리에 설치되어 충격력에 의해 위치이동되면서 소정부위가 서로 충돌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된 부품들(8,9)중 피충돌되는 부품(8)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9)에는 본 발명의 미끄럼안내판(50)이 접합되어 있으며, 이 미끄럼안내판(50)에 의해 부품들(8,9)은 서로 충돌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즉, 충돌사고로 인해 상기 두 부품(9)이 서로 충돌되는 방향으로 근접되면, 상기 높은 위치의 부품(9)이 미끄럼안내판(50)에 의해 낮은 위치에 있는 피충돌 부품(8)위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미끄럼안내판(50)의 하판부재(53)는 피충돌되는 부품(8)의 상부 모서리면과 마찰접촉을 이루면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게 되는 바, 상기 하판부재(53)와 모서리면과 마찰력이 점점 상승되어 밀폐부재(55)의 결합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하판부재(53)가 피충돌되는 상기 부품(8)과 마찰력에 의해 접합되면서 상기 밀폐부재(55)의 결합을 해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부재(55)가 테두리부재(51)로부터 탈거되게 되면, 상기 상하판부재(52,53)사이에 충진되어 있던 윤활재(60)가 미끄럼안내판(50)의 밖으로 흩어지면서 상하판부재(52,53)의 슬라이딩이동을 더욱 촉진시키게 되므로, 상기 부품들(8,9)간에 충돌이 일어나는 것을 회피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충돌사고 발생시 부품들(8,9)간의 충돌이 회피되면, 부품들(8,9)의 변형공간이 효과적으로 확보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충격력도 최대한 감소되게 되므로, 탑승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충돌되는 낮은 위치의 부품과의 마찰력에 의해 분리되는 다중겹부재의 미끄럼안내판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에 접합되어져, 충돌사고 발생시 부품들간의 충돌이 회피되면서 변형공간이 확보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충격력도 최대한으로 감소되게 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효과적으로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충돌사고 발생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소정부위가 서로 충돌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된 부품들중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설치된 부품에 접합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되어 피충돌되는 부품과의 충돌을 회피시킬 수 있도록 된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에 있어서,
    상기 피충돌되는 부품과의 마찰력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폐단면구조의 다중겹부재로 이루어지면서 내부에는 부품들간에 원활한 슬라이딩이동이 가능하도록 윤활재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안내판이, 일측이 개구된 창틀모양의 테두리부재와, 이 테두리부재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내측윗면과 몰딩접합되도록 된 상판부재와, 상기 테두리부재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내측아랫면과 몰딩접합되도록 된 하판부재와, 상기 상하판부재사이에서 자유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상하판부재의 강성을 증진시키도록 된 중간판부재 및, 상기 테두리부재의 개구부쪽에 밀착되어 상하판부재의 일단 및 테두리부재의 양단과 동시에 압접되면서 상하판부재와 몰딩접합되도록 된 밀폐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안내판이, 상기 피충돌되는 부품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하판부재가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밀폐부재쪽의 테두리부재 및 상판부재의 윗면 소정부위가 부품에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KR10-2000-0052059A 2000-09-04 2000-09-04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KR100369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059A KR100369028B1 (ko) 2000-09-04 2000-09-04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2059A KR100369028B1 (ko) 2000-09-04 2000-09-04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790A KR20020018790A (ko) 2002-03-09
KR100369028B1 true KR100369028B1 (ko) 2003-01-24

Family

ID=1968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2059A KR100369028B1 (ko) 2000-09-04 2000-09-04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0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856B1 (ko) * 2004-02-06 2007-05-28 김상관 발광 다이오드 교통신호등의 이상 유무 검출용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790A (ko) 2002-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325152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の保持装置
KR100369028B1 (ko) 자동차용 부품의 미끄럼안내판
EP1371510A1 (en) Vehicle windshield mounting structure
KR20050083355A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탈락방지장치
JP3431843B2 (ja) 自動車のドア構造
KR20060025145A (ko)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
KR100428081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JP2000127880A (ja) 自動車のドア構造
JPH09254728A (ja) 自動車用車体構造
JP4296777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JPH0593999U (ja) 自動車用グローブボックス
KR0153188B1 (ko) 자동차용 충격흡수 프레임
KR100550042B1 (ko) 자동차용 니볼스터 브라켓트
KR200160226Y1 (ko) 자동차의 센터 필러 구조
KR100281625B1 (ko) 자동차 임팩트 바의 장착구조
KR200158291Y1 (ko) 자동차의 정면 충돌 흡수구조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100280157B1 (ko) 자동차의필라
KR0149336B1 (ko) 자동차용 충격 흡수장치
KR20040042710A (ko) 자동차용 니 볼스터
KR19980025665U (ko) 자동차용 범퍼 어셈블리
KR19980042048U (ko) 승용차량용 도어 하부 강성구조
KR19980041965U (ko) 자동차용 도어
KR19980049800U (ko) 자동차의 스톱퍼 멤버 보강장치
KR20000016925U (ko) 충격 흡수 구조가 형성된 대쉬 플로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