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6861A -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6861A
KR20060026861A KR1020057023277A KR20057023277A KR20060026861A KR 20060026861 A KR20060026861 A KR 20060026861A KR 1020057023277 A KR1020057023277 A KR 1020057023277A KR 20057023277 A KR20057023277 A KR 20057023277A KR 20060026861 A KR20060026861 A KR 20060026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wiper
wiper device
windshield wip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하엘 바일러
요하임 찜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2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68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488Wiper arrangement for crash protection or impact absor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베어링 섹션(28)에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샤프트(16)가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14) 및 특히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소자(30)를 구비한다. 와이퍼 베어링(14)의 베어링 섹션(28)과 고정 소자(30) 사이의 가동적 결합을 위해 제 1 수단이 제공된다.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베어링 섹션, 와이퍼 베어링, 고정 소자, 와이퍼 샤프트

Description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Windshield wiper devic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전제부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EP A 0739792호에 다수의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는 와이퍼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은 베어링 섹션에 와이퍼 샤프트를 지지하고 차량에 고정을 위해 고정 소자를 구비한다. 이 경우 고정 소자에는 감소된 저항 횡단면을 포함하는 설정 파괴점이 제공된다. 차체로부터 돌출한 와이퍼 샤프트 상으로 격렬하게 충돌하는 경우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설정 파괴점에서 차체로부터 분리된다. 이로써 와이퍼 샤프트는, 보행자와의 충돌시 부상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차량의 내부로 가압될 수 있다. 이 경우 설정 파괴점에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파괴되고 따라서 사고 후 새로운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와이퍼 샤프트가 와이퍼 베어링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스프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이로써 와이퍼 샤프트가 충돌시 후퇴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스프링 부하를 받는 베어링은 관리에 있어서 비용이 많이 들고 수명이 제한된다.
또한, 스프링 장치를 갖는 대신 설정 파괴 소자 또는 발포된 재료를 이용하여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와이퍼 샤프트를 고정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자동 파괴 장치이고, 상기 장치의 경우 충돌 후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대체되어야 한다.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 베어링의 베어링 섹션과 고정 소자 사이의 가동 결합을 위한 제 1 수단이 제공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간단하고 경제적인 관리가 가능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와이퍼 장치는 보행자와의 충돌시 파괴되지 않고 또한, 개선된 에너지 흡수력을 갖는다. 이로써 충돌 후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가 대체될 필요 없이, 사고시 차체에 충돌하는 보행자의 효과적인 보호가 이루어진다.
종속 청구항에 구현된 조치에 의해 독립 청구범위에 제시된 특징의 바람직한 개선과 실시가 이루어진다.
고정 소자를 베어링 섹션에 고정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단이 제공되는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이러한 방식으로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최적의 축방향 강성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와이퍼 샤프트로 축방향 힘이 작용시 와이퍼 베어링의 베어링 섹션이 실질적으로 힘의 작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히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한 실시예에서 베어링 섹션과 고정 소자의 가동적 연결을 위한 제 1 수단이 힌지로 형성된다. 이것은 특히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일체형 힌지로 형성될 수 있지만, 물론 다른 장치, 예컨대 도어 래취(door latches) 또는 클린치(clinch)도 가능하다.
다른 수단은 바람직하게 비용이 저렴하고 확실한 클립 소자로 형성된다.
변형예에서 다른 수단은 설정 파괴 소자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소자는 충돌 후 쉽게 대체되므로, 특히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는 차량으로부터 분리될 필요가 없다.
다른 수단이 특히 바퀴살 형태의 다중 톱니를 갖는 록킹 수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균일한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지고, 이것은 머리와 충돌시 부상을 감소시킨다.
적어도 두 개의 바퀴살 형태의 다중 톱니가 제공되는 경우, 와이퍼 베어링의 베어링 섹션은 추가로 지지된다.
또한, 다중 톱니의 상이한 두 개의 바퀴살에 의해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시 더 간단한 모울드 분리가 달성된다.
고정 소자가 서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고정측 제 1 부분과 베어링측 제 2 부분을 갖는 경우, 한편으로는 차량과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사이의 분리가 개선되고, 이것은 소음 특성을 상당히 개선시키며, 다른 한편으로는 회전 자유도가 얻어지므로, 베어링 섹션이 고정 소자의 고정측 제 1 부분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다.
베어링 섹션의 방사방향 지지는 고정 소자와 와이퍼 베어링의 베어링 섹션 사이로 안내함으로써 달성된다.
비용이 저렴하고 간단한 실시예에서 와이퍼 베어링은 플리스틱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며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베어링의 제 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충돌 후 도 2의 와이퍼 베어링.
도 4는 록킹 소자의 변형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와이퍼 베어링.
도 4a는 도 4의 록킹 소자의 상세도.
도 5는 충돌 후 도 4의 와이퍼 베어링.
도 6은 탄성적으로 이동하는 고정 소자를 포함하는 변형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다른 와이퍼 베어링.
도 6a는 충돌 후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베어링.
도 7은 도 6 및 6a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베어링의 사시도.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가 사시도로 도시된다. 상기 와이퍼 장치는 블랭크(12)를 포함하고, 상기 블랭크는 두 개의 단부를 갖는다. 상기 단부에 각각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14)이 고정된다. 와이퍼 베어링(14)에서 각각 하나의 와이퍼 샤프트(16)가 지지되고, 상기 와이퍼 샤프트에 도시되지 않은, 와이퍼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이퍼 암이 고정된다. 와이퍼 샤프트(16)의 단부는 조립된 상태에서 차체로부터 돌출한다. 와이퍼 샤프트(16)는 크랭크(18)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크랭크는 커넥팅 로드(20) 및 모터 크랭크(22)에 의해 구동 모터(24), 즉 모터 기어장치(26)와 연결된다. 와이퍼 베어링(14)은 와이퍼 샤프트(16)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섹션(28) 및 고정 소자(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소자는 와이퍼 베어링을 차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베어링(14)이 상세히 도시된다. 와이퍼 베어링(14)은 와이퍼 샤프트(16)가 지지되는 베어링 섹션(28)과 고정 소자(3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소자는 실질적으로 베어링 축에 대해 수직으로 배치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는 와이퍼 베어링(14)을 차체에 고정하는데 이용하는 홀(32)을 갖는다. 또한, 와이퍼 베어링(14)에 블랭크(12)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관(34)이 제공되고, 상기 고정관은 베어링 섹션(28)의 베어링 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고 블랭크(12) 내로 삽입되어 예컨대 크림프 또는 주조된다.
베어링 섹션(28) 및 고정 소자(30)는 제 1 수단(36)으로서 일체형 힌지와 결 합된다. 고정을 위해 고정 소자(30)는 브래킷 형태의 돌출부(38)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 단부에 클립 소자(40)가 배치된다. 클립 소자(40)는 연결 소자(42)와 맞물리고, 상기 연결 소자는 클립 소자(40)에 대한 대응 부품으로 베어링 섹션(28)에 고정되거나 또는 상기 베어링 섹션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개선된 방사방향 지지를 위해 고정 소자(30)는 여기서 플레이트로 형성된 가이드(44)를 갖고, 상기 가이드는 클립고정된 상태에서 두 개의 가이드 핀으로 형성된, 베어링 섹션(28)에 배치된 수용부(46) 사이에 맞물린다. 물론, 가이드 핀(46)은 베어링 섹션(28)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44)는 수용부(46)와 상호 작용하는 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사고시 보행자의 머리와 충돌하는 경우에 가능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와이퍼 샤프트(16) 및 와이퍼 베어링(14)의 베어링 섹션(28)으로 축방향 힘 F이 작용하면, 최대 힘의 초과시 클립 소자(40)는 결합 소자(42)로부터 분리되고 일체형 힌지(36)는 베어링 섹션(28)을 힘 F 작용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은 도 3에 도시된다.
도 3에 사고 후 도 2의 와이퍼 베어링이 도시된다.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와이퍼 샤프트(16)는 도시되지 않는다. 고정 소자(30)는 일체형 힌지(36)에 의해 베어링 섹션(28)과 연결된다. 고정 소자(30)로부터 돌출부(38)가 연장되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 단부에 클립 소자(40)가 지지한다. 클립 소자(40)는 대칭형의 2형 핀 클립 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소자는 연결 소자(42)의 홈(48) 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맞물릴 수 있다.
도 4는 변형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베어링(14)을 도시한다. 와이퍼 베어링(14)의 고정 소자(30)는 재차 일체형 힌지(36)를 통해 와이퍼 베어링(14)의 베어링 섹션(28)과 연결된다. 고정을 위해 고정 소자(30)는 돌출부(38)를 갖고, 상기 돌출부의 자유 단부에 바퀴살 형태의, 직사각 횡단면을 갖는 연장부(50)가 형성된다. 연장부(52)는 가이드 레일(52)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그러나 바람직하게 다수의 록킹 캠(54)을 구비한다(도 4a). 연장부(50)와 가이드 레일(52)의 반경 중심은 일체형 힌지(36)의 회전점에 놓인다. 여기서 방사방향 지지를 위해 가이드 플레이트(44) 및 가이드 핀(46)이 제공된다.
도 4a에 가이드 레일(52) 내의 연장부(50)가 상세히 도시된다. 바퀴살 형태의 연장부(50)는 외측에 다수의 록킹 캠(54)을 갖고, 상기 록킹 캠은 가이드 레일(52) 내에서 연장부(50)의 고정을 위해 후방 단면으로서 다른 록킹 캠(56)과 상호 작용한다. 물론, 록킹 캠(54) 및 다른 록킹 캠(56)이 연장부(50) 반경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 4의 와이퍼 베어링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돌출부(38)의 자유 단부는 두 개의 연장부(50)를 갖고, 상기 연장부들은 상이한 반경을 갖지만 형태와 기능에 있어서는 동일하다. 이것은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되는 경우 와이퍼 베어링(14)의 모울드 분리를 간단하게 한다. 이것은 물론,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가이드 레일(52)에도 적용된다.
충돌 후 와이퍼 샤프트(16) 또는 베어링 섹션(28)의 베어링 축과 고정 소자 (30)의 평면 사이의 각도가 틸팅된다. 약간의 틸팅이 보장됨으로써 베어링 섹션(28)이 뒤로 물러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홀(32)에 고무 브래킷 또는 다른 탄성 소자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 소자의 중심에 바람직하게 베어링 슬리브가 지지하고, 상기 슬리브는 고정 나사 또는 다른 고정 소자에 의해 관통된다. 또한, 특히 홀은 다양한 경사면(51)을 가지므로, 차체에 대한 고정 소자(30)의 틸팅이 가능해진다.
도 6에 본 발명에 따른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의 와이퍼 베어링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이 경우 고정 소자(30)는 2 체형으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고정측 제 1 부분(58)은 차체에 고정을 위한 홀(32)을 갖는다. 이것은 탄성의 분리 고무(60)에 의해 고정 소자(30)의 베어링측 제 2 부분(62)과 연결된다. 특징적으로 분리 고무(60) 2형 부품 사출 성형 방법으로 고정 소자(30) 내로 사출된다.
도 6a에 사고 후 도 6의 와이퍼 베어링이 도시된다. 클립 소자(40)는 연결 소자(42)로부터 분리되고 고정 소자(30)의 제 1 부분(58)과 제 2 부분(62) 사이의 분리 고무(60)에 의해 꺾인 일체형 힌지는 사고 전과 동일한 위치에 있는 고정 소자(30)의 고정측 제 1 부분(58)이고 따라서 차체에 고정될 수 있다. 분리 고무(60)의 탄성적으로 베어링 섹션(28)은 고정 소자(30)의 고정측 제 1 부분의 평면에 대해 수직인 축에서 이동된다.
도 7에 도 6, 6a의 와이퍼 베어링이 사시도로 도시된다. 탄성 분리 소자로서 분리 고무(60)는 2형 부품 사출 성형 방법으로 직접 고정 소자(30)로 함께 사출된다. 이러한 경우에 홀(32) 영역에서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분리가 이 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분리 고무(60) 대신에 스프링 강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스트립으로서 제 1 부분(58)과 제 2 부분(6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특징적으로 제 1 부분(58)과 제 2 부분(62)은 스트립의 단부에 용접된다.
와이퍼 베어링(14)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특히 아연 또는 알루미늄 압출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부품의 사출 성형 방법에서도, 두 성분의 조합이 가능하다. 예컨대 베어링 섹션(28)은 고정 소자(30)와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섹션(28)은 알루미늄 또는 아연 압출로 이루어지고 고정 소자(30)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변형예에서 이것은 표준화된 조립 블록 소자의 모듈방식 구조로서도 가능하다.

Claims (12)

  1. 베어링 섹션(18)에서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샤프트(16)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퍼 베어링(14)과 특히 차량에 고정을 위한 고정 소자(30)를 포함하는 특히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고정 소자(30)와 상기 와이퍼 베어링(14)의 베어링 섹션(28)의 가동적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단(36)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섹션(28)에 상기 고정 소자(30)의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수단(4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수단(36)은 상기 와이퍼 샤프트(16) 상에 축방향 힘 F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와이퍼 베어링(14)의 베어링 섹션(28)이 실질적으로 상기 힘 F의 작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36)은 힌지, 특히 일체형 힌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수단(40)은 클립 소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수단(40)은 설정 파괴 소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수단(40)은 특히 바퀴살 형태의 다중 톱니(54)를 가진 록킹 소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바퀴살 형태의 다중 톱니(54)는 상이한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소자(30)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측 제 1 부분(58)과 베어링측 제 2 부분(62)을 갖고, 상기 제 1 부분(58)은 상기 제 2 부분(62)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소자(30)와 상기 와이퍼 베어링(14)의 베어링 섹션(28) 사이에 방사방향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4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소자(30)와 상기 와이퍼 베어링(14)의 상기 베어링 섹션(28) 사이에 방사방향 지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44)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퍼 베어링(14)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1020057023277A 2003-06-06 2004-04-03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200600268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25736.5 2003-06-06
DE10325736A DE10325736A1 (de) 2003-06-06 2003-06-06 Scheibenwisch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6861A true KR20060026861A (ko) 2006-03-24

Family

ID=33482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277A KR20060026861A (ko) 2003-06-06 2004-04-03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636075B1 (ko)
JP (1) JP4295317B2 (ko)
KR (1) KR20060026861A (ko)
CN (1) CN100506616C (ko)
BR (1) BRPI0411067A (ko)
DE (2) DE10325736A1 (ko)
WO (1) WO20041084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7299B1 (fr) * 2004-11-04 2008-05-30 Renault Sas Dispositif d'essuie-glace pour vehicule
DE102004060429A1 (de) * 2004-12-14 2006-07-06 Magna Closures (Germany) Gmbh Wischeranordnung
DE102004063179A1 (de) * 2004-12-29 2006-07-13 Robert Bosch Gmbh Scheibenwischvorrichtung
DE102007041894A1 (de) 2007-09-04 2009-03-05 Daimler Ag Verstellbares Lager für Scheibenwischeranlagen mit integrierter Wischwelle
FR2982219B1 (fr) * 2011-11-07 2016-07-29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Mecanisme d’essuie-vitre permettant une reduction de volume de conditionnement et/ou un montage facilite
CN103963743B (zh) * 2013-01-29 2018-10-16 博世汽车部件(长沙)有限公司 用于雨刮器的枢转组合件以及雨刮器
DE102013212045A1 (de) * 2013-06-25 2015-01-08 Robert Bosch Gmbh Antriebseinrichtung für eine Scheibenwischvorrichtung
FR3016584B1 (fr) * 2014-01-21 2017-08-1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fixation d'essuie-glace
DE102015218552A1 (de) 2015-09-28 2017-03-30 Robert Bosch Gmbh Dämpfungselement einer Scheibenwischanlage sowie eine Scheibenwischanlage und ein Verfahren mit solch einem Dämpfungselement
DE102016224152A1 (de) * 2016-12-05 2018-06-07 Robert Bosch Gmbh Wischvorrichtung
EP3395628A1 (en) * 2017-04-27 2018-10-31 Valeo Autosystemy SP. Z.O.O. Vehicle wip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3474B1 (fr) 1995-04-28 1997-06-06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ssuyag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platine de fixation a amorce de rupture, et platine appartenant a un tel dispostif
JP2000326829A (ja) * 1999-05-17 2000-11-28 Mitsubishi Motors Corp ワイパ取付構造
JP4081216B2 (ja) * 2000-02-04 2008-04-23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ピボット
GB0025520D0 (en) * 2000-10-18 2000-11-29 Trico Products Dunstable Ltd Safety windscreen
FR2833369B1 (fr) * 2001-12-07 2007-08-17 Valeo Systemes Dessuyage Agencement pour la fixation d'un dispositif d'essuyage permettant l'effacement de l'arbre d'entrain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411067A (pt) 2006-08-01
CN100506616C (zh) 2009-07-01
DE502004006321D1 (de) 2008-04-10
EP1636075A1 (de) 2006-03-22
EP1636075B1 (de) 2008-02-27
JP4295317B2 (ja) 2009-07-15
JP2006525164A (ja) 2006-11-09
CN1798674A (zh) 2006-07-05
DE10325736A1 (de) 2004-12-23
WO2004108489A1 (de)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009B1 (ko)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JP3127667B2 (ja) ドアトリムの衝撃吸収構造
KR20060026861A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JP4628370B2 (ja) 自動車用シートアジャスターの駆動装置
JP3900375B2 (ja) 自動車のワイパー装置
KR101045773B1 (ko) 차량용 윈도우 와이퍼 장치
KR101081763B1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KR20170023852A (ko) 구동 유닛
CN107438550B (zh) 具有能够灵活装配的轴承座的转向柱
US6918319B2 (en) Device for fixing a pedal lever of a motor vehicle
US6290287B1 (en) Structural element with at least a headlamp,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n assembly in a motor vehicle body
US5595256A (en) Assembly bearing favorable in crash situations
WO1999015364A2 (en) Multistage bumper for cars
KR20060025145A (ko) 특히 차량을 위한 앞유리 와이핑 장치
US20070151792A1 (en) Device for mounting a pedal lever
KR100824550B1 (ko) 와이퍼 암
KR20060109992A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를 자동차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CN108909676B (zh) 用于机动车辆的雨刷器子组件
CA2555917A1 (en) A windscreen wiper arm
KR20050083984A (ko) 특히 차량용 유리 와이퍼 장치
KR100611027B1 (ko) 역방향 회전식 와이퍼 시스템
KR101054753B1 (ko) 와이퍼 모터 장착용 패스너
KR19980043327A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흡수장치
CN108146387B (zh) 刮水装置
KR19980022438U (ko) 자동차의 사각지대확인용 후사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