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683A - 지하 저수조 - Google Patents

지하 저수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683A
KR20060135683A KR1020067013229A KR20067013229A KR20060135683A KR 20060135683 A KR20060135683 A KR 20060135683A KR 1020067013229 A KR1020067013229 A KR 1020067013229A KR 20067013229 A KR20067013229 A KR 20067013229A KR 20060135683 A KR20060135683 A KR 2006013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ervoir
pipe
internal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8328B1 (ko
Inventor
세이치로 다까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토오테츠
Publication of KR2006013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7Arrangement of backflow preven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402Distribution systems involving geographic fea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187Plural tanks or compartments connected for serial flow
    • Y10T137/86228With communicating opening in common walls of tanks o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복수의 체수재(12)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체수재의 집합체를 제1 차수 시트(14)에 의하여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내부 저수조(11)와, 상기 내부 저수조(11)의 외측에 설치된 토압 흡수용 판재(26)와, 상기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피복하는 제2 차수 시트(27)를 구비한다. 체수재가 수지로 제조된 강성 파이프(12)이며, 복수개의 강성 파이프(12)를 각각 수직으로 세워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열한 상태에서, 파이프 연결 수단(13)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강성 파이프(12)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것에 의해 체수재의 집합체가 형성된다. 봉상 강재(23)가 땅 중에 수직으로 박아 넣어지고, 상기 봉상 강재(23)에 강성 파이프(12)가 끼워져 고착되어 체수재의 집합체가 상기 봉상 강재(23)에 고정된다. 내부 저수조(11)가 수조간 완충재(24)를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저수조(11)를 일련의 제2 차수 시트(27)로 피복한다.
저수조, 차수 시트, 완충재, 역지 밸브, 체수재

Description

지하 저수조{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되어 물을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 지하 저수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빗물을 유효하게 이용하기 위한 설비로서 빗물을 저장 가능한 저수조를 지하에 매설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지하 저수조에서는, 가옥의 지붕 혹은 옥상 또는 지표에 낙하한 빗물을 통 또는 도랑으로 모으고, 이 모은 물을 유도하고, 그 내부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설비에는 지상에서 내부로 저장된 물을 뽑아내기 가능한 펌프 등의 배수 수단이 설치되고, 이 배수 수단에 의하여 내부에 저장된 물을 뽑아내고, 그 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설비에 사용되는 저수조로서 지하에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서 모래, 자갈, 깬돌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滯水材)를 쌓아올린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저수조에서는, 지하 저수조를 형성해야 할 장소를 굴착하고, 그 굴착한 중앙 최하 부분에 시트를 배치하고, 그 중앙부분에 모래, 자갈, 깬돌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를 쌓아올리고, 그 후 시트 가장자리를 세워서 체수재의 주위를 그 시트에 의하여 포위하고, 체수재의 상면에 시트의 단부를 올려놓는 것으로 형성된다. 이 지하 저수조에서는, 모래, 자갈, 깬돌 등으로부 터 이루어지는 체수재의 틈새에 물이 저장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지하 저수조에서는, 시트에 의하여 싸인 공간에 있어서, 모래, 자갈, 깬돌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가 차지하는 비율이 비교적 많아, 빗물 등의 저장량이 비교적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 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체수재를 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플라스틱의 성형체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이 플라스틱의 성형체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는, 이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시트에 의하여 싸인 체적 중에 있어서, 그 체수재가 차지하는 비율을 저하시켜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특허 문헌 1: 특공평 435580호 공보(특허 청구의 범위)
그러나, 상기 종래의 지하 저수조에서는, 지하에 매설되는 관계로 체수재의 집합체를 피복하는 시트에 주위로부터의 토압이 직접 가해져, 주위의 땅 중에 존재하는 예리한 돌 등이 접촉하여 그 시트가 파손되고, 누수를 일으키게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의 성형체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에서는, 체수재가 쌓아올린 높이에 한계가 생겨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빗물의 저수량을 기대하는 만큼 증가시킬 수가 없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지하에 매설되는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는, 그 내부의 세정 및 유지, 보수가 곤란하므로, 그 내부에는 비교적 깨끗한 물을 저장하여 그 내부가 더러워지는 일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누수가 발생하기 어려운 지하 저수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2의 목적은, 저수량을 큰 폭으로 증대할 수 있는 지하 저수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3의 목적은, 비교적 깨끗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지하 저수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어 물을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 지하 저수조(10)이다.
그 특징 있는 구성은, 복수의 체수재(12)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체수재의 집합체를 제1 차수(遮水) 시트(14)에 의하여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내부 저수조(11)와, 내부 저수조(11)의 외측에 설치된 토압 흡수용 판재(26)와,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피복하는 제2 차수 시트(27)를 구비한 것에 있다.
이 청구항 1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내부 저수조(11)의 외측에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설치하고, 그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제2 차수 시트(27)에 의하여 피복하므로, 주위로부터의 토압은 제2 차수 시트(27)에 가해지고, 토압 흡수용 판재(26)가 그 토압을 흡수하여, 제1 차수 시트(14)에 토압이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 차수 시트(27)가 토압에 의하여 파손됐다고 해도 제1 차수 시트(14)가 파손되는 것을 피하여, 내부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외부에의 누설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수재가 수지로 제조된 강성 파이프(12)이며, 복수개의 강성 파이프(12)를 각각 수직으로 세워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열한 상태에서 파이프 연결 수단(13)에 의하여 복수개의 강성 파이프(12)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것에 의해 체수재의 집합체가 형성된 지하 저수조이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체수재로서 강성 파이프(12)를 이용하므로, 내부 저수조(11)의 내부의 공간에 있어서 체수재(12)가 차지하는 비율을, 종래의 모래, 자갈, 깬돌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와 비교하여 줄일 수가 있어서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강성 파이프(12)는 압출 성형으로 대량으로 만들어지는 비교적 염가의 것을 가공하여 만들면, 지하 저수조(10)의 단가가 올라가는 것을 피할 수도 있다. 또한, 강성 파이프(12)를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 수단(13)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므로, 사용하는 강성 파이프(12)의 양을 감소시킬 수가 있고, 그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인하여, 그 단가가 올라가는 것을 피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상(棒狀) 강재(23)가 땅 중에 수직으로 박아 넣어지고, 봉상 강재(23)에 강성 파이프(12)가 끼워져 고착되어 체수재의 집합체가 봉상 강재(23)에 고정된 지하 저수조이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땅 중에 박아 넣어진 봉상 강재에 체수재의 집합체를 고정하므로 그 집합체가 무너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체수재인 강성 파이프(12)를 비교적 많이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지하 저수조(11)에 있어서의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으로서, 내부 저수조(11)가 수조간(水槽間) 완충재(24)를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복수의 내부 저수조(11)를 일련의 제2 차수 시트(27)로 피복한 지하 저수조이다.
이 청구항 4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내부 저수조(11)를 복수 설치하므로 지하 저수조(11)에 있어서의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11)와 내부 저수조(11)의 사이에 수조간 완충재(24)를 개재시키므로, 내부 저수조(11)를 구성하는 제1 차수 시트(14)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어, 예를 들어 하나의 내부 저수조(11)에 있어서의 제1 차수 시트(14)가 파손됐다고 해도, 다른 내부 저수조(11)에 저장된 물의 누설을 방지하여, 저장하는 물의 전체가 누출되어 버리는 일을 피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으로서, 제1 차수 시트(14)와 제2 차수 시트(27)의 사이에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포함하는 외부 저수부(29)가 형성되고, 내부 저수조(11)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외부 저수부(29)에 개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 취수관(28)이 제1 차수 시트(14)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외부 저수부(29)의 수압이 내부 저수조(11) 내부의 수압 이상인 때에 외부 저수부(29)에서 내부 저수조(11) 내부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외부 저수부(29)의 수압이 내부 저수조(11) 내부의 수압 미만인 때에 내부 저수조(11) 내부에서 외부 저수부(29)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역지 밸브(31)가 제1 취수관(28)에 설치된 지하 저수조이다.
이 청구항 5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외부 저수부(29)에 물을 유도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내부 저장조(11)의 각각에 제1 역지 밸브(31) 및 제1 취수관(28)을 통하여, 그 물을 유도하여 저장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6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5에 관한 발명으로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직관(鉛直管)(71)과 복수의 수직관(71)을 연결하는 연결관(72)이 토압 흡수용 판재(26)에 매설되고, 수직관(71)의 내부에 타단이 개방하도록 제1 취수관(28)이 제1 차수 시트(14)에 설치되고, 제1 역지 밸브(31)가 수직관(71)의 내부에 있어서 제1 취수관(28)의 타단에 설치된 지하 저수조이다.
이 청구항 6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수직관(71)과 연결관(72)의 내부에 물을 유도하는 것에 의해, 외부 저수부(29)에 확실히 물을 저장시킬 수가 있다.
청구항 7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5 또는 6에 관한 발명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수 시트(27)를 관통하여 외부 저수부(29)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제2 차수 시트(27) 외부 주위의 땅 중에 개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취수관(51)과, 제2 취수관(51)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설치되고 제2 취수관(51)의 타단에 있어서의 수압이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이상인 때에 제2 취수관(5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제2 취수관(51)의 타단측의 수압이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미만인 때에 제2 취수관(5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역지 밸브(52)와, 주위에 복수의 투수(透水) 구멍(53a)이 형성되어 일단이 제2 취수관(51)의 타단 또는 제2 역지 밸브(52)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2 역지 밸브(52)보다 상위가 되도록 매설된 유공(有孔)관(53)을 구비한 지하 저수조이다.
이 청구항 7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비교적 넓은 범위에 내려, 침투 여과된 깨끗한 빗물을 유공관(53)이 모아 제2 취수관(51)에 안내하고, 제2 취수관(51)에서 지하 저수조(10)에 취입될 수가 있어 지하 저수조(10)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비가 내린 빗물을 유효하게 모을 수가 있다.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에 매설되어 물을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 지하 저수조(110)의 개량이다.
그 특징 있는 구성은, 제1 체수재(112)를 제1 차수 시트(114)에 의하여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내부 저수조(111)와, 내부 저수조(111)의 주위에 설치된 제2 체수재(117)를 제2 차수 시트(118)에 의하여 피복하여 내부 저수조(111)의 주위의 제1 차수 시트(114)와 제2 차수 시트(118)의 사이에 형성된 외부 저수부(119)와, 제1 차수 시트(114)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내부 저수조(111)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외부 저수부(119)에 개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취수관(121)과, 취수관(121)에 설치되고 외부 저수부(119)의 수위가 내부 저수조(111) 내부의 수위 이상인 때에 외부 저수부(119)에서 내부 저수조(111) 내부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외부 저수부(119)의 수위가 내부 저수조(111) 내부의 수위 미만인 때에 내부 저수조(111) 내부에서 외부 저수부(119)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역지 밸브(122)와, 역지 밸브(122) 및 취수관(121)을 지나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되는 물을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하는 물공급관(127)을 구비한 것에 있다.
이 청구항 8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제1 체수재(112)를 제1 차수 시트(114)에 의하여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내부 저수조(111)를 제2 차수 시트(118)에 의하여 다시 피복하므로 주위로부터의 토압은 제2 차수 시트(118)에 가해지고, 제1 차수 시트(114)에 토압이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제2 차수 시트(118)가 토압에 의하여 파손됐다고 해도 제1 차수 시트(114)가 파손되는 것을 피하여,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된 물의 외부에의 누설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되는 물은 물공급관(127)을 통하여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되고, 여기에서 역지 밸브(122) 및 취수관(121)을 지나 내부 저수조(111)에 유입하므로 제2 차수 시트(118)가 파손되어 외부 저수부(119)의 물이 누출되었다고 해도, 제1 차수 시트(114)에 의하여 피복된 내부 저수조(111)의 내부의 물이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8에 관한 발명으로서, 내부 저수조(111)가 제2 체수재(117)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어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를 일련의 제2 차수 시트(118)로 피복한 지하 저수조이다.
이 청구항 9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내부 저수조(111)를 복수 설치하므로 내부 저수조(111)의 하나를 거대화 시키지 않고 건조(建造)하기 쉬운 규모의 것으로 하여, 지하 저수조(110)에 있어서의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를 각각 독립시키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그 안의 하나의 내부 저수조(111)에 있어서의 제1 차수 시트(114)가 파손됐다고 해도, 다른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된 물의 누설을 방지하여, 저장하는 물의 전체가 누출되어 버리는 일을 피할 수가 있다.
청구항 10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8 또는 9에 관한 발명으로서, 제2 체수재(117)가, 표면에 물 유통 도랑(117a)이 복수 형성된 수지 발포 판재로부터 이루어지는 지하 저수조이다
이 청구항 10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주위로부터 제2 차수 시트(118)에 가해지는 토압은 수지 발포 판재로부터 이루어지는 제2 체수재(117)가 유효하게 흡수하여, 그 토압이 제1 차수 시트(114)에 가해져서 내부 저수조(111)가 파괴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체수재(117)의 표면에 물을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도랑(117a)을 형성하므로 이 제2 체수재(117)를 피복하는 것에 의해 제1 차수 시트(114)와 제2 차수 시트(118)의 사이에 형성된 외부 저수부(119)에 차지되는 체수율(滯水率)은, 그 제2 체수재(117)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랑(117a)이 차지하는 비율이 된다. 이 때문에, 그 도랑(117a)의 개수 또는 그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그 체수율 자체를 감소시킬 수가 있고, 그 체수율을 감소시키면 외부 저수부(119)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했을 경우에 그 수위를 재빨리 상승시킬 수가 있고, 그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된 물을 신속하게 내부 저수조(111)에 보낼 수가 있다.
또한, 제2 차수 시트(118)에 작은 구멍이 생긴다고 해도, 외부 저수부(119)에 있어서의 체수율이 작으면, 그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새는 물의 양은 약간에 불과하다. 그 한편으로 그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새는 물의 양과 비교하여 물공급관(127)에서 외부 저수부(119)에 단위시간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큰 경우,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되는 물의 대부분이 역지 밸브(122) 및 취수관(121)을 지나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되어 지하 저수조(110)의 기능이 크게 손실되는 일은 없다.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8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관한 발명으로서, 물공급관(127)이 외부 저수부(119)의 하부에 타단보다 일단이 낮은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고, 물공급관(127)의 일단이 제2 차수 시트(118)의 외부에 설치된 관리 측량기(128)에 접속되어 관리 측량기(128)에 공급된 물이 그 관리 측량기(128)로부터 물공급관(127)을 통하여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지하 저수조이다.
이 청구항 11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외부로부터 관리 측량기(128)에 공급된 물이 그 관리 측량기(128)로부터 물공급관(127)을 통하여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되므로 토사 등이 물에 포함되어 있어도, 그 토사 등은 관리 측량기(128) 또는 물공급관(127)의 내부에서 침강하여, 그 토사 등이 외부 저수부(119)에 침수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물공급관(127)은 타단보다 낮은 위치의 일단을 관리 측량기(128)에 접속하므로 물공급관(127)의 내부에서 침강한 토사 등은, 외부로부터 관리 측량기(128)에의 물의 공급이 정지된 후, 물공급관(127)의 경사에 따라 하강하여 관리 측량기(128)에 이르러 관리 측량기(128)의 저부에 축적된다.
청구항 12에 관한 발명은, 청구항 11에 관한 발명으로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직관(171)과 복수의 수직관(171)을 연결하는 연결관(172)이 제2 체수재(117)에 매설되고, 물공급관(127) 타단이 수직관(171)에 접속되고, 수직관(171)의 내부에 타단이 개방하도록 취수관(121)이 제1 차수 시트(114)에 설치되고, 역지 밸브(122)가 수직관(171)의 내부에 있어 취수관(121) 타단에 설치된 지하 저수조이다.
이 청구항 12에 기재된 지하 저수조에서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관리 측량기(128)로부터 물공급관(127)을 통하여 외부 저수부(119)를 구성하는 수직관(171)에 공급되고, 그 수직관(171)으로부터 역지 밸브(122) 및 취수관(121)을 지나 내부 저수조(111)에 유입하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토사 등이 침강한 물을 내부 저수조(111)의 내부에 유효하게 저장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지하 저수조에서는, 내부 저수조의 외측에 토압 흡수용 판재를 설치하고, 그 토압 흡수용 판재를 제2 차수 시트에 의하여 피복하므로 주위로부터의 토압을 토압 흡수용 판재가 흡수하고, 제1 차수 시트에 토압이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외부에의 누설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체수재가 수지로 제조된 강성 파이프이면, 내부 저수조의 내부의 공간에 있어서 체수재가 차지하는 비율을 줄일 수가 있고,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어 지하 저수조의 단가가 올라가는 것을 피할 수가 있다. 또한, 땅 중에 박아 넣어진 봉상 강재에 강성 파이프를 끼워 고착하여 체수재의 집합체를 고정하면, 체수재인 강성 파이프를 비교적 많이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또한, 내부 저수조를 수평 방향으로 복수 설치하면,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고, 내부 저수조와 내부 저수조의 사이에 수조간 완충재를 개재시키는 것으로, 내부 저수조를 구성하는 제1 차수 시트의 파손을 방지하여, 저장하는 물의 전체가 누출되어 버리는 일을 피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제1 차수 시트와 제2 차수 시트의 사이에 토압 흡수용 판재를 포함하는 외부 저수부를 형성하고, 제1 차수 시트를 관통하여 제1 취수관을 설치하고, 제1 역지 밸브를 제1 취수관에 설치하면, 외부 저수부에 물을 유도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내부 저장조의 각각에 제1 역지 밸브 및 제1 취수관을 통하여, 그 물을 유도하여 저장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제2 차수 시트를 관통하여 외부 저수부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제2 차수 시트 외부 주위의 땅 중에 개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취수관과, 제2 취수관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설치된 제2 역지 밸브와, 주위에 복수의 투수 구멍이 형성되고 일단이 제2 취수관의 타단 또는 제2 역지 밸브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2 역지 밸브보다 상위가 되도록 매설된 유공관을 구비한 지하 저수조이면, 비교적 넓은 범위에 내려, 침투 여과된 깨끗한 빗물을 유공관이 모아 제2 취수관에 안내하여, 제2 취수관에서 지하 저수조에 취입될 수가 있어 지하 저수조는 비교적 광범위하게 비가 내린 빗물을 유효하게 모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지하 저수조에서는, 제1 체수재를 제1 차수 시트에 의하여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내부 저수조를 제2 차수 시트에 의하여 다시 피복하므로 주위로부터의 토압은 제2 차수 시트에 가해져서, 제1 차수 시트에 토압이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어서, 제2 차수 시트가 토압에 의하여 파손됐다고 해도 제1 차수 시트가 파손되는 것을 피하고, 내부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외부에의 누설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은 물공급관을 통하여 외부 저수부에 공급되고, 여기에서 역지 밸브 및 취수관을 지나 내부 저수조에 유입하도록 구성했으므로, 제2 차수 시트가 파손되어 외부 저수부의 물이 누출되었다고 해도, 제1 차수 시트에 의하여 피복된 내부 저수조의 내부의 물이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내부 저수조를 제2 체수재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면, 내부 저수조의 하나를 거대화 시키지 않고 건조하기 쉬운 규모의 것으로 하여, 지하 저수조에 있어서의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내부 저수조를 각각 독립시키면, 예를 들어 하나의 내부 저수조에 있어서의 제1 차수 시트가 파손됐다고 해도, 다른 내부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누설을 방지하여, 저장하는 물의 전체가 누출되어 버리는 일을 피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2 체수재가, 표면에 물 유통 도랑이 복수 형성된 수지 발포 판재이면, 주위로부터 제2 차수 시트에 가해지는 토압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가 있다. 또한, 제2 체수재가 수지 발포 판재이면, 제2 체수재가 모래, 자갈, 깬돌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제2 체수재를 제2 차수 시트에 의하여 피복하여 외부 저수부를 얻는 작업이 비교적 용이하게 된다. 또한, 외부 저수부에 차지되는 체수율은 그 복수의 도랑이 제2 체수재에 차지하는 비율이 되기 때문에, 그 도랑의 개수 또는 그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그 체수율 자체를 감소시킬 수가 있고, 그 체수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외부 저수부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했을 경우에 그 수위를 재빨리 상승시킬 수가 있고, 그 외부 저수부에 공급된 물을 신속하게 내부 저수조에 보낼 수가 있다.
또한, 물공급관이 외부 저수부의 하부에 타단보다 일단이 낮은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고, 물공급관의 일단이 제2 차수 시트의 외부에 설치된 관리 측량기에 접속되어 내부 저수조에 저장되고, 관리 측량기에 공급된 물이 그 관리 측량기로부터 물공급관을 통하여 외부 저수부에 공급되도록 구성하면, 그 물에 토사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그 토사 등은 관리 측량기 또는 물공급관의 내부에서 침강하여 외부 저수부에 이르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저수조에 깨끗한 물을 저장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이 지상 표류수이며, 지상 표류수가 침사(沈沙)조를 통하여 관리 측량기에 유입하도록 구성하면, 그 지상 표류수에 포함되는 모래나 작은 돌을 침사조에 침강시킬 수가 있고, 더욱 깨끗한 빗물만을 내부 저수조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형태의 지하 저수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그 체수재의 집합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그 체수재인 강성 파이프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그 강성 파이프를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표면도이다.
도 5는 그 제1 역지 밸브가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그 제1 역지 밸브가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차수 시트에 관통한 강성 파이프가 그 차수 시트에 스커트 부재를 개재하여 접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9는 그 지하 저수조가 설치된 지하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 다.
도 10은 주위에 유공관이 설치된 지하 저수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그 지하 저수조가 설치된 지하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그 제2 역지 밸브가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그 제2 역지 밸브가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물에 가라앉는 플로트를 구비한 제2 역지 밸브가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그 제2 역지 밸브가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수직관과 연결관이 토압 흡수용 판재에 매설된 지하 저수조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그 수직관과 연결관을 매설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지하 저수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는 그 지하 저수조가 설치된 지하의 전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B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그 역지 밸브가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그 역지 밸브가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물에 가라앉는 플로트를 구비한 역지 밸브가 물의 흐름을 허용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그 역지 밸브가 물의 흐름을 방지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수직관과 연결관이 제2 체수재에 매설된 지하 저수조를 나타내는 도 18에 대응하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지하 저수조
11 내부 저수조
12 강성 파이프(체수재)
13 파이프 연결 수단
14 제1 차수 시트
23 H강(봉상 강재)
24 수조간 완충재
26 토압 흡수용 판재
27 제2 차수 시트
28 제1 취수관
29 외부 저수부
31 제1 역지 밸브
51 제2 취수관
52 제2 역지 밸브
53 유공관
53a 투수 구멍
71 수직관
72 연결관
110 지하 저수조
111 내부 저수조
112 제1 체수재
114 제1 차수 시트
117 제2 체수재
118 제2 차수 시트
119 외부 저수부
121 취수관
122 역지 밸브
127 물공급관
128 관리 측량기
171 수직관
172 연결관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 저수조(10)는 지하에 매설되는 것으로, 내부 저수조(11)를 구비한다. 내부 저수조(11)는, 복수의 체수재(12)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체수재(12)의 집합체를 제1 차수 시트(14)에 의하여 피복하여 이루어지며,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체수재(12)로서는 수지로 제조된 강성 파이프(12)가 이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강성 파이프(12)는 복수개 준비되어 체수재(12)의 집합체는 파이프 연결 수단(13)에 의하여 복수개의 강성 파이프(12)를 서로 연결하는 것에 의해 만들어진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복수개의 강성 파이프(12)는 각각이 수직 방향을 향한 상태로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설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체수재인 강성 파이프(12)는 압출 성형된 직경이 200 ~ 800mm 의 염화 비닐제의 파이프이며, 그 길이가 50 ~ 400cm 의 것이 사용된다. 강성 파이프(12)의 직경이 200mm 미만 혹은 그 길이가 50cm 미만이면, 저수조(10) 형성시에 있어서의 강성 파이프(12)의 배치 작업에 있어서의 공정수가 증가하고, 강성 파이프(12)의 직경이 800mm 이상 혹은 그 길이가 400cm 이상이면, 강성 파이프(12)의 운반이 곤란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연결 수단(13)은, 강성 파이프(12)의 파이프 중심축에 직교하고, 일단 또는 양단이 그 강성 파이프(1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강성 파이프(12)에 고정된 고정판(16)과, 하나의 강성 파이프(12)에 고정된 한편의 고정판(16)과 하나의 강성 파이프(12)에 인접하는 다른 강 성 파이프(12)에 고정된 다른 편의 고정판(16)을 서로 체결하는 체결 수단(17)을 구비한다. 고정판(16)은 강성 파이프(12)에 형성된 실장 구멍(12a)에 삽통되어 고정된다. 복수의 강성 파이프(12)는 수평면에 있어서의 종횡에 사각형으로 배설되고,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50 ~ 200cm의 피치 P(도 3)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연결 수단(13)에 의하여 서로 평행하게 연결된다. 이 때문에, 각부(角部)에 있어서의 강성 파이프(12)의 각 단(段)에 직교하여 고정되는 고정판(16, 16)은, 쌍방이 그 일단을 그 강성 파이프(1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강성 파이프(12) 고정된다. 또한, 각 외주변에 위치하는 강성 파이프(12)의 각 단에 직교하여 고정되는 고정판(16, 16)은, 그 한편이 그 일단을 강성 파이프(1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그 다른 편이 그 양단을 강성 파이프(1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 그리고 내부에 위치하는 강성 파이프(12)의 각 단에 직교하여 고정되는 고정판(16, 16)은, 그 쌍방이 그 양단을 강성 파이프(1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시킨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수단(17)은, 하나의 강성 파이프(12)에 고정된 한편의 고정판(16)과 그 하나의 강성 파이프(12)에 인접하는 다른 강성 파이프(12)에 고정된 다른 편의 고정판(16)의 쌍방에 중합 가능하게 구성된 연결판(21)과, 그것들 한편의 고정판(16)과 다른 편의 고정판(16)의 쌍방에 그 연결판(21)을 고정하는 나사 수단(22)을 구비한다. 한편의 고정판(16)과 다른 편의 고정판(16)의 쌍방에는 각각 복수의 삽통(揷通) 구멍(16b)이 동일한 피치로 형성되고, 연결판(21)에는 그 삽통 구멍(16b)에 대응하도록 복수의 연통 구멍(21a)이 형 성된다. 한편의 고정판(16)과 다른 편의 고정판(16)의 단 가장자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그것들을 한 쌍의 연결판(21, 21)으로 양측 사이에 끼워서 연통 구멍(21a)과 삽통 구멍(16b)을 각각 대응시킨다. 나사 수단(22)은 볼트(22a)와 너트(22b)로부터 이루어지고, 볼트(22a)를 연통 구멍(21a)과 삽통 구멍(16b)에 삽통시킨 후 너트(22b)를 나사 결합시키는 것으로, 한편의 고정판(16)과 다른 편의 고정판(16)과 한 쌍의 연결판(21)을 그 나사 수단(22)으로 고정하여, 이것에 의하여 하나의 강성 파이프(12)에 고정된 한편의 고정판(16)과 인접하는 다른 강성 파이프(12)에 고정된 다른 편의 고정판(16)을 서로 체결한다.
도 1로 돌아와, 이 지하 저수조(10)가 설치되는 땅 중에는 봉상 강재(23)가 수직으로 박아 넣어지고, 봉상 강재(23)에 강성 파이프(12)가 끼워져 고착되어 체수재(12)의 집합체가 봉상 강재(23)에 고정된다. 이 실시의 형태의 봉상 강재(23)로서는 단면이 H형상인 이른바 H강(23)이 사용되고, 이 H강(23)에 강성 파이프(12)가 끼워져 고착된 체수재(12)의 집합체는 제1 차수 시트(14)에 의하여 피복되어 내부 저수조(11)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1 차수 시트(14)로서는 합성고무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부터 이루어지는 방수성의 시트를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내부 저수조(11)는, 수조간 완충재(24)를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수조간 완충재(24)로서는 발포스티롤이나 발포 염화 비닐 등의 발포체 또는 중공(中空)의 압출 성형품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판재를 들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11)의 외측에는 토압 흡수용 판재(26)가 설치되고, 이 토압 흡수용 판재(26)는 제2 차수 시트(27)로 피복된다. 이 토압 흡수용 판재(26)로서는 수조간 완충 재(24)와 동일하게, 발포스티롤이나 발포 염화 비닐 등의 발포체 또는 중공의 압출 성형품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판재를 예로 들 수 있고, 제2 차수 시트(27)로서는 합성고무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수지로부터 이루어지는 방수성의 시트를 들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상 강재(23)는 제2 차수 시트(27)에 형성된 구멍(27a) 및 제1 차수 시트(14)에 형성된 구멍(14a)을 각각 관통하여, 봉상 강재(23)의 상부에 끼워진 강성 파이프(12)의 하부가 각각의 구멍(27a 및 14a)을 더욱 관통한다. 그리고, 제2 차수 시트(27)와 강성 파이프(12) 및 제1 차수 시트(14)와 강성 파이프(12)와는 스커트 형태 시트(15)에 의하여 밀착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스커트 형태 시트(15)는, 강성 파이프(1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작은 직경부(15a)와, 그 작은 직경부(15a)에서 끝자락이 넓게 형성된 큰 직경부(15b)를 가진다. 큰 직경부(15b)는 제2 차수 시트(27) 또는 제1 차수 시트(14)에 용착(溶着)되고, 그 상태로 작은 직경부(15a)가 강성 파이프(12)에 끼워져 그 주위를 밴드(15c)에 의하여 단단히 조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차수 시트(27)와 강성 파이프(12) 및 제1 차수 시트(14)와 강성 파이프(12)는 각각 스커트 형태 시트(15)에 의하여 밀착되어 내부 저수조(11)에 저장된 물이 이 부분에서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 H강(23)에 끼워진 강성 파이프(12)에 순차적으로 다른 강성 파이프(12)를 연결 수단(13)에 의하여 연결시키는 것으로, 체수재(12)의 집합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도 1로 돌아와, 토압 흡수용 판재(26)의 제1 차수 시트(14) 측에는 오목 홈(26a)이 형성되고, 이 오목홈(26a)의 존재에 의하여 제1 차수 시트(14)와 제2 차수 시트(27)의 사이에는 물이 저장 가능하게 구성되어, 그 제1 차수 시트(14)와 제2 차수 시트(27)의 사이에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포함하는 외부 저수부(29)가 형성된다. 제1 차수 시트(14)에는, 내부 저수조(11)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외부 저수부(29)에 개방된 제1 취수관(28)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취수관(28)은, 4개의 내부 저수조(11)의 주위에 각각 설치된다(도 1에서는 앞우측의 내부 저수조(11)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제1 취수관(28)은 일단이 내부 저수조(11)의 방수 시트(14)를 관통하여 접착 고정되고, 그 단 가장자리가 내부 저수조(11)의 내부에 임하도록 설치된다. 제1 취수관(28)은 내부 저수조(11)의 측부를 형성하는 제1 차수 시트(14)의 하단 근방에 배치되고, 제1 취수관(28)의 타단에는 제1 역지 밸브(31)가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역지 밸브(31)는 대략 중앙에 설치된 칸막이 벽(32a)에 의하여 내부가 제1실(32b) 및, 제2실(32c)로 구분지어진 관(筒) 모양의 케이스(32)와, 제1실(32b)에 수용된 플로트(35)를 가진다. 제1 취수관(28)의 타단은 제1실(32b)에 연통하도록 케이스(32)의 측부에 설치되고, 이 제1 취수관(28)의 타단의 케이스(32)에의 접속 부분에는 빗물이 유통 가능한 복수의 구멍(36a)이 형성된 벽부(36)가 설치된다. 칸막이 벽(32a)의 중앙 부분에는 원형구멍(32d)이 형성되고, 이 원형구멍(32d)에 대향하는 플로트(35)에는 이 원형구멍(32d)에 삽입되어 폐색(閉塞) 가능하게 구성된 원추 사다리꼴 형상의 돌출부(35a)가 형성된다. 이 플로트(35)는 물에 뜨도록 구성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35)가 수용된 제1실(32b)이 빗물에 의하여 채워지지 않을 때, 혹은 제1 취수관(28)의 타단측의 수압이 제1 취수관(28)의 일단측의 수압 이상인 때에 플로트(35)가 제1실(32b)의 내부에서 침강되고, 그 돌출부(35a)는 원형구멍(32d)으로부터 이탈하여 제1 취수관(28)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35)가 수용된 제1실(32b)이 물에 의하여 채워지는 것과 함께, 제1 취수관(28)의 타단측의 수압이 저하하여, 제1 취수관(28)의 타단측의 수압이 제1 취수관(28)의 일단측의 수압 미만이 되었을 때에 플로트(35)가 제1실(32b)의 내부에서 떠올라, 그 돌출부(35a)가 원형구멍(32d)을 막아서 제1 취수관(28)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여 내부 저수조(11)의 물이 외부에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하 저수조(10)의 제조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지하 저수조(10)를 형성해야 할 장소를 필요한 깊이 및 형상에 따라 굴착한다. 그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된 부분에 복수개의 H강(23)을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박아 넣어, 그 H강(23)을 관통하게 하여 제2 차수 시트(27)를 배치한다. 이 때, 수직으로 박아 넣어진 복수개의 H강(23)에는 그것들을 연결하도록 보강용의 강재(23a)를 수평 방향으로 늘려 가설하고, 이 보강용 강재(23a)의 상방에 H강(23)을 관통하게 하여 제2 차수 시트(27)를 배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차수 시트(27)를 관통하는 H강(23)에는 강성 파이프(12)를 끼워서, 제2 차수 시트(27)의 H강(23)이 관통한 주위를 강성 파이프(12)의 주위에 스커트 형태 시트(15)(도 8)를 이용하여 밀착시킨다.
도 9로 돌아와, 제2 차수 시트(27)의 중앙 부분에서 지하 저수조(10)를 형성하는 넓이로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깔아 채운다. 그 후 이 토압 흡수용 판재(26) 상에 내부 저수조(11)를 형성하는 넓이에 따라 제1 차수 시트(14)를 배치한다. 그 배치 장소에 H강(23)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 H강(23)에 끼워진 강성 파이프(12)를 관통하게 하여 제1 차수 시트(14)를 배치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차수 시트(14)를 관통하는 강성 파이프(12)에는 제1 차수 시트(14)의 관통한 주위를 스커트 형태 시트(15)(도 8)를 이용하여 밀착시킨다. 이 제1 차수 시트(14) 위에 체수재(12)의 집합체가 형성된다. 체수재(12)인 강성 파이프(12)는 H강(23)에 끼워진 것도 포함되고, H강(23)에 끼워진 강성 파이프(12)에 순차적으로 다른 강성 파이프(12)를 연결 수단(13)에 의하여 연결시키는 것으로, 체수재(12)의 집합체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H강(23)에 끼워진 강성 파이프(12)에는, 그 H강(23)에 대해서 끼워진 강성 파이프(12)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점토 또는 콘크리트가 충전된다(도 7).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수재(12)의 집합체를 제1 차수 시트(14)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토압 흡수용 판재(26) 상에 복수의 내부 저수조(11)를 형성하여, 그 하나의 내부 저수조(11)와 인접하는 다른 내부 저수조(11)의 사이에 수조간 완충재(24)를 설치한다. 그리고 제1 차수 시트(14)의 외부 저수부(29)에 임하는 부분에 그 제1 차수 시트(14)를 관통하여 제1 취수관(28)을 설치하고, 이 제1 취수관(28)의 타단에 제1 역지 밸브(31)를 설치한다. 그 후, 내부 저수조(11)의 모든 주위와 상면에 토압 흡수용 판재(26)로 피복하여, 이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복수 의 내부 저수조(11)와 함께 일련의 제2 차수 시트(27)에 의하여 감싼다. 구체적으로는, 제2 차수 시트(27) 가장자리를 세워서 그 복수의 내부 저수조(11) 전체를 그 토압 흡수용 발포 쌍(對)과 함께 그 제2 차수 시트(27)에 의하여 포위한 후, 상측에 설치된 토압 흡수용 판재(26)의 상면에 그 단부를 올려놓는 것으로 복수의 내부 저수조(11) 전체를 제2 차수 시트(27)에 의하여 감싼다. 이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지하 저수조(10)를 얻을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만들어진 지하 저수조(10)에는 취수관(10d), 통기관(10b), 오버플로우관(10c) 및 배수 파이프(18a)가 접속되고, 취수관(10d), 통기관(10b) 및 배수 파이프(18a)의 상단이 지표에 표출하도록 하여 저수조(10)는 묻힌다. 취수관(10d)의 상단은 그 후 지표의 빗물 수집 도랑(10e) 등에 접속되고, 그 도랑(10e) 등에 모아진 빗물을 저수조(10)의 외부 저수부(26b)에 유입하도록 구성된다. 통기관(10b)은 취수관(10d)으로부터의 물 유입시 또는 후술하는 배수 수단(18)에 의한 물의 배수시에, 내부 에어를 지상 외부에 방출하거나 또는 지상 외부의 에어를 저수조(10)의 내부에 유입시키도록 구성된다. 오버플로우관(10c)은 저수조(10)의 내부 용적을 넘는 물의 유입시에, 그 나머지 넘치는 물을 저수조(10)로부터 지상 외부 또는 도시하지 않는 다른 저수조에 유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묻힌 저수조(10)의 상방에 배수 파이프(18a)의 상단에 위치하는 지표에는 저수조(10)에 저장된 물을 취수 가능한 배수 수단(18)이 설치된다. 배수 수단(18)은 하단이 각각의 내부 저수조(11)에 있어서의 제1 차수 시트(14)를 관통하 여, 그 하부에 이르는 복수개의 배수 파이프(18a)(도 9에서는 1개만 나타낸다.)와 지상에 설치되며 이들 배수 파이프(18a)의 상단으로부터 저수조(10) 내부의 물을 흡인할 수 있는 배수 펌프(18b)에 의하여 구성된다. 이 배수 수단(18)은 배수 펌프(18b)에 의하여 배수 파이프(18a)를 통하여 저수조(10) 내부의 물을 흡인하여 토출 파이프(18c)로부터 그 물을 배출하는 것에 의해 저수조(10)의 물을 외부로부터 뽑아내기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지하 저수조(10)에서는, 내부 저수조(11)의 외측에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설치하고, 그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제2 차수 시트(27)에 의하여 피복하므로 주위로부터의 토압은 제2 차수 시트(27)에 가해지고, 토압 흡수용 판재(26)가 그 토압을 흡수하여, 제1 차수 시트(14)에 토압이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2 차수 시트(27)가 토압에 의하여 파손됐다고 해도 제1 차수 시트(14)가 파손되는 것을 피하여, 내부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외부에의 누설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체수재로서 강성 파이프(12)를 이용하므로 내부 저수조(11)의 내부의 공간에 있어서 체수재(12)가 차지하는 비율을, 모래, 자갈, 깬돌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와 비교하여 줄일 수가 있어서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강성 파이프(12)는 압출 성형으로 대량으로 만들어지는 비교적 염가의 것으로, 이 강성 파이프(12)를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연결 수단(13)에 의하여 서로 연결하므로, 사용하는 강성 파이프(12)의 양을 감소시킬 수가 있고, 그 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인하여, 그 단가가 올라가는 것을 피할 수가 있다.
또한, 땅 중에 박아 넣어진 봉상 강재에 체수재의 집합체를 고정하므로 그 집합체가 무너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문에 체수재인 강성 파이프(12)를 비교적 많이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지하 저수조(11)에 있어서의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11)를 복수 설치하므로 예를 들어 하나의 내부 저수조(11)에 있어서의 제1 차수 시트(14)가 파손됐다고 해도, 다른 내부 저수조(11)에 저장된 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가 있어 저장하는 물의 전체가 누출되어 버리는 일을 피할 수가 있다. 또한, 내부 저수조(11)는 수조간 완충재(24)를 개재하여 복수 설치하는 것에 의해, 복수 설치하는 것에 기인하는 제1 차수 시트(14)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1 차수 시트(14)와 제2 차수 시트(27)의 사이에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포함하는 외부 저수부(29)를 형성하여, 내부 저수조(11)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외부 저수부(29)에 개방된 제1 취수관(28)을 제1 차수 시트(14)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그 타단에 제1 역지 밸브(31)를 설치하므로, 외부 저수부(29)에 물을 유도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내부 저장조(11)의 각각에 제1 역지 밸브(31) 및 제1 취수관(28)을 통하여, 그 물을 유도하여 저장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각각의 내부 저수조(11)를 각각 독립시키고, 이들 제1 차수 시트(14)를 관통하여 각각의 내부 저수조(11)에 배수 파이프(18a)가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냈지만, 하나의 내부 저수조(11)의 하부와 인접하는 다른 내부 저수조(11)의 하부를 연통관을 통하여 서로 연결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내부 저수조(11)를 연결하면 단일의 내부 저수조(11)에 배수 파이 프(18a)를 설치하는 것만으로 모든 내부 저수조(11)에 저장된 물을 그 단일의 배수 파이프(18a)로부터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0 및 도 11에, 주위에 유공관(53)이 매설된 지하 저수조를 나타낸다. 이 지하 저수조(10)에서는, 제2 차수 시트(27)를 관통하여 외부 저수부(29)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제2 차수 시트(27) 외부 주위의 땅 중에 개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취수관(51)과, 그 제2 취수관(51)의 타단에 설치되고 제2 취수관(51)의 타단에 있어서의 수압이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이상인 때에 제2 취수관(5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제2 취수관(51)의 타단측의 수압이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미만인 때에 제2 취수관(5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역지 밸브(52)와, 주위에 복수의 투수 구멍(53a)이 형성되고 일단이 제2 역지 밸브(52)에 접속되고 타단이 제2 역지 밸브(52)보다 상위가 되도록 매설된 유공관(53)을 구비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지하 저수조(10)는 모래형 흙과 같은 비교적 빗물을 침투하기 쉬운 토양에 매설된다. 제2 취수관(51)은 일단이 지하 저수조(10)의 제2 차수 시트(27)를 관통하여 외부 저수부(29)에 그 일단이 연통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지하 저수조(10) 주위의 땅 중에 개방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취수관(51)은, 지하 저수조(10)의 주위에 각각 설치된다(도면에서는 좌우의 양측면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역지 밸브(52)는 제1 역지 밸브(31)와 대략 동일 구조이며, 대략 중앙에 설치된 칸막이 벽(32a)에 의하여 내부가 제1실(32b) 및 제2실(32c)로 구분지어진 관 모양의 케이 스(32)와, 제1실(32b)에 수용된 플로트(35)를 가진다. 제2 취수관(51)은 제1실(32b)에 연통하도록 케이스(32)의 측부에 설치된다. 단, 제2실(32c)에 연통하는 상류측 관부(52b)가 하류측 관부(21a)와 대칭 위치의 케이스(32)의 상측 측부에 설치된다.
플로트(35)는 물에 뜨도록 구성되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관(51)의 타단에 있어서의 수압이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이상인 때에 침강하여 제2 취수관(5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취수관(51)의 타단측의 수압이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미만인 때에 부상하여 원형구멍(32d)을 막아서, 제2 취수관(5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하 저수조(10)의 측부에 설치된 제2 취수관(51)의 타단에는 유공관(53)의 일단이 장착된다. 유공관(53)에는 복수의 투수 구멍(53a)이 형성되어 유공관(53) 타단은 제2 취수관(51)의 타단보다 상위가 되도록 지하에 매설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유공관(53) 타단은 지하 저수조(10)보다 상위의 지표 근처에 매설된다. 유공관(53)은 직선 모양으로 설치되고, 또한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방사상으로 복수개 매설된다. 또한, 유공관(53)의 매설시에는, 투수 구멍(53a)의 막힘을 방지함과 함께, 보다 많은 빗물을 집수하기 위해서, 유공관(53)의 주위에 자갈층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역 집수형 지하 저수조(10)에서는, 지표에 낙하한 빗물은 지하에 침투한다. 지하에 침투한 빗물은 토양의 자연 여과 작용에 의하여 정화 된다. 유공관(53) 근방의 지하에 침투 여과된 물은 투수 구멍(53a)으로부터 유공관(53)의 내부에 유도되어, 유공관(53)은 그 내부에 유도된 빗물을 제2 취수관(51)의 타단까지 안내한다. 지하 저수조(10)에 빗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취수관(51)의 타단측의 수압은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이상이므로 제2 역지 밸브(52)는 제2 취수관(5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여, 유효간(53)에 의하여 모아진 깨끗한 빗물은 외부 저수부(29)에 안내되고, 이 외부 저수부(29)로부터 복수의 내부 저장조(11)의 각각에 제1 역지 밸브(31) 및 제1 취수관(28)을 통하여 유도되어 저장된다.
지하 저수조(10)에 모인 빗물이 소정의 수위에 이르면, 제2 취수관(51)의 타단측의 수압이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미만이 되어, 제2 역지 밸브(52)는 제2 취수관(5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이 때문에, 지하 저수조(10) 내부에 유도되어 저장된 물이 제2 취수관(51)에서 외부로 새는 일이 없고, 물은 유효하게 지하 저수조(10)에 저장된다. 따라서, 지하 저수조(10) 주위의 토양 내부에 존재하는 빗물이 더욱 지하에 침투해도, 또는 그 후의 가뭄에 의하여 증발해도 지하 저수조(10) 내부의 물이 침투 또는 증발하는 일은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역지 밸브(31)가 제1 취수관(28)의 타단에 설치되고, 제2 역지 밸브(52)가 제2 취수관(51)의 타단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제1 역지 밸브(31)를 제1 취수관(28)의 일단에 설치해도 좋고, 제2 역지 밸브(52)를 제2 취수관(51)의 일단에 설치해도 좋다. 단, 제2 역지 밸브(52)를 제2 취수관(51)의 일단에 설치했을 경우에는, 제2 취수관(51)의 타단에 유공관(53)의 일단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땅 중에 박아 넣어진 봉상 강재(23)에 강성 파이프(12)가 끼워져 고착되어 체수재(12)의 집합체가 봉상 강재(23)에 고정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체수재(12)의 집합체가 안정된다면, 반드시 봉상 강재(23)를 박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역지 밸브(31, 52)로서 물에 뜨는 플로트(35)를 구비한 것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이 제1 및 제2 역지 밸브(31, 52)로서 물에 가라앉는 플로트를 구비한 역지 밸브를 이용해도 좋다. 특히, 제1 취수관(28)의 일단에 제1 역지 밸브(31)를 설치하는 경우나, 제2 취수관(51)의 일단에 제2 역지 밸브(52)를 설치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가라앉는 플로트(65)를 구비한 제2 역지 밸브(61)가 제2 취수관(51)의 일단에 설치되는 경우를 대표하여 설명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가라앉는 플로트(65)를 사용하면, 플로트(65)가 수용된 제1실(62b)이 물에 의하여 채워지지 않을 때, 혹은 물에 의하여 채워지고 있을 때에도 제2 취수관(51)의 타단측의 수압이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이상인 때에는 플로트(65)가 제1실(62b)의 내부에서 그 수압의 차이에 의하여 밀어올려져서, 그 돌출부(65a)는 원형구멍(62d)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취수관(5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65)가 수용된 제1실(62b)이 물에 의하여 채워지는 것과 함께, 제2 취수관(51)의 타단측의 수압이 저하하여 제2 취수관(21)의 일단측의 수압 미만이 되었을 때에 플로트(65)가 제1실(62b)의 내부에서 침강되고, 그 돌출부(65a)가 원형구멍(62d)을 막아서 제2 취수관(21)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토압 흡수용 판재(26)에 물이 저장 가능한 오목홈(26a)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1 차수 시트(14)와 제2 차수 시트(27)의 사이에 이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포함하는 외부 저수부(29)가 형성된 예를 나타냈지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수직관(71)과 이것들 복수의 수직관(71)을 연결하는 연결관(72)을 토압 흡수용 판재(26)에 매설하여, 이 수직관(71)과 연결관(72)에 물을 저장 가능한 외부 저수부(29)를 얻어도 좋다. 이 경우, 제1 차수 시트(14)에 설치된 제1 취수관(28)의 타단을 수직관(71)의 내부에 개방시켜, 그 제1 취수관(28)의 타단에 제1 역지 밸브(31)를 설치하고, 그 제1 역지 밸브(31)를 수직관(71)의 내부에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에 있어서의 지하 저수조에서는, 내부 저수조(11)를 형성한 후, 그 내부 저수조(11)의 주위에 수직관(71)과 연결관(72)을 종횡으로 조립한다. 그 후, 제1 차수 시트(14)에 설치된 제1 취수관(28)의 타단을 수직관(71)의 내부에 개방시켜, 그 제1 취수관(28)의 타단에 제1 역지 밸브(31)를 설치한다. 그리고, 그 제1 역지 밸브(31)를 수직관(71)의 내부에 존재시킨 상태로 토압 흡수용 판재(26)에 수직관(71)과 연결관(72)을 묻는다. 토압 흡수용 판재(26)가 발포스티롤이나 발포 염화 비닐 등의 발포체 또는 중공의 압출 성형품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경우에 있어서의 수직관(71)과 연결관(72)의 묻힌 상태를 도 17에 나타낸다. 이 도 17에서는, 복수의 형상으로부터 이루어지는 토압 흡수용 판재(26)에 의하여 수직관(71)과 연결 관(72)을 묻도록 조합하는 것으로, 내부 저수조(11)의 외측에 그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설치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16으로 돌아와, 그 후, 취수관(10d)이 수직관(71) 또는 연결관(72)에 접속되고, 이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복수의 내부 저수조(11)와 함께 일련의 제2 차수 시트(27)에 의하여 감싸는 것으로 지하 저수조(10)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지하 저수조(10)이면, 수직관(71)과 연결관(72)의 내부에 물을 유도하는 것에 의해, 외부 저수부(29)에 확실히 물을 저장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 저수조(110)는 지하에 매설되는 것으로, 내부 저수조(111)를 구비한다. 내부 저수조(111)는, 복수의 제1 체수재(112)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집합체를 제1 차수 시트(114)에 의하여 피복하여 이루어진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체수재(112)로서는 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플라스틱의 성형체가 이용된다. 이 플라스틱의 성형체로부터 이루어지는 제1 체수재(112)는, 각뿔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종횡에 배설된 후 그 위에도 중첩하여 제1 체수재(112)의 집합체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 체수재(112)를 피복하는 제1 차수 시트(114)는, 합성고무계, 합성 수지계 등의 차수성(遮水性) 시트이며, 그 양면에는 통상 보호용의 부직포가 중첩된다.
이 내부 저수조(111)는 제2 체수재(117)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 도 18에서는 종횡에 2개씩 합계 4개의 내부 저수조(111)가 배치된다. 각각의 내부 저수조(111)는, 굴착된 부분에 제1 차수 시트(114)를 배치하고, 그 중앙부분에 제1 체수재(112)를 종횡 및 상하에 배설하여 집합체를 얻은 후, 제1 차수 시트(114) 가 장자리를 세워서 제1 체수재(112)의 집합체의 주위를 그 제1 차수 시트(114)에 의하여 포위하고, 또한 제1 체수재(112)의 상면에 제1 차수 시트(114)의 단부를 올려놓는 것으로 제1 체수재(112)의 집합체를 그 제1 차수 시트(114)에 의하여 감싸는 것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단일의 차수 시트가 제1 체수재(112)의 집합체를 감싸는 크기를 가지지 않는 경우에는, 그 차수 시트를 복수매 준비하고, 그 단 가장자리에서 열용착(熱溶着)하여 일체화하고, 제1 체수재(112)의 집합체를 감싸기에 충분한 크기를 얻는 것과 함께 그 용착 부분의 누수를 방지한 제1 차수 시트(114)를 얻는다. 그리고 이 내부 저수조(111)에서는, 제1 체수재(112)의 틈새에 물이 저장되도록 구성되고, 이것들 4개의 내부 저수조(111)는 물 이용의 계획에 대응하여 서로 연통관(111a)(도 19)에 의하여 연통한다.
4개의 내부 저수조(111)의 주위에는 제2 체수재(117)가 각각 설치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제2 체수재(117)는, 발포 배율이 10 ~ 50배의 수지 발포 판재이며 그 표면에 물을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도랑(117a)이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4개의 내부 저수조(111)의 상하에는 토압 흡수용 판재(115)가 각각 설치되고, 이 토압 흡수용 판재(115) 및 이들 내부 저수조(111)의 주위에 설치된 제2 체수재(117)는 내부 저수조(111)와 함께 단일의 제2 차수 시트(118)에 의하여 피복되고, 내부 저수조(111)의 주위의 제1 차수 시트(114)와 제2 차수 시트(118)의 사이에는 외부 저수부(119)가 형성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토압 흡수용 판재(115)는, 비중이 1 ~ 2 정도의 내수성, 내압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판이나 콘크리트판이나 슬레이트판이다. 또한, 제2 차수 시트(118)는, 제1 차수 시트(114) 와 동일한 차수성 시트가 사용되고, 그 양면에는 보호용의 부직포가 중첩될 수 있다.
제1 차수 시트(114)에는, 내부 저수조(111)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외부 저수부(119)에 개방된 취수관(121)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취수관(121)은, 4개의 내부 저수조(111)의 주위에 각각 하나 혹은 둘 이상 설치된다(도 18에서는 앞우측의 내부 저수조(111)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취수관(121)은 일단이 내부 저수조(111)의 차수 시트(114)를 관통하여, 그 시트(114)에 접착 또는 접착후 금속 밴드를 병용하여 고정되고, 그 단 가장자리가 내부 저수조(111)의 내부에 임하도록 설치된다. 취수관(121)은 내부 저수조(111)의 측부를 형성하는 제1 차수 시트(114)의 하단 근방에 배치되어 취수관(121) 타단에는 역지 밸브(122)가 설치된다.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지 밸브(122)는 대략 중앙에 설치된 칸막이 벽(123a)에 의하여 내부가 제1실(123b) 및 제2실(123c)로 구분지어진 관 모양의 케이스(123)와 제1실(123b)에 수용된 플로트(124)를 가진다. 취수관(121) 타단은 제1실(123b)에 연통하도록 케이스(123)의 측부에 설치되고, 이 취수관(121) 타단의 케이스(123)에의 접속 부분에는 빗물이 유통 가능한 복수의 구멍(126a)이 형성된 벽부(26)가 설치된다. 칸막이 벽(123a)의 중앙 부분에는 원형구멍(123d)이 형성되고, 이 원형구멍(123d)에 대향하는 플로트(124)에는 이 원형구멍(123d)에 삽입되어 폐색 가능하게 구성된 원추 사다리꼴 형상의 돌출부(124a)가 형성된다. 이 플로트(124)는 물에 뜨도록 구성되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124)가 수 용된 제1실(123b)이 빗물에 의하여 채워지지 않을 때, 혹은 취수관(121) 타단측의 수위가 취수관(121)의 일단측의 수위 이상인 때에 플로트(124)가 제1실(123b)의 내부에서 침강되고, 그 돌출부(124a)는 원형구멍(123d)으로부터 이탈하여 취수관(121) 타단으로부터 일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124)가 수용된 제1실(123b)이 물에 의하여 채워지는 것과 함께, 취수관(121) 타단측의 수위가 저하하여, 취수관(121) 타단측의 수위가 취수관(121)의 일단측의 수위 미만이 되었을 때에 플로트(124)가 제1실(123b)의 내부에서 떠올라, 그 돌출부(124a)가 원형구멍(123d)을 막아서 취수관(121)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여 내부 저수조(111)의 물이 외부 저수부(119)에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8 및 도 19로 돌아와, 이 지하 저수조(110)에는, 제2 차수 시트(118)의 외부로부터 유입하는 물을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하는 물공급관(127)이 설치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물공급관(127)은, 외부 저수부(119)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부에 복수의 작은 구멍(127a)이 형성된 유공관이다. 이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의 유공관(127)은 저수조(110)의 규모에 대응하여 통상 50 ~ 200mm 의 내경을 가지는 수지로부터 이루어지는 관이며, 그 상부에 직경이 10 ~ 30mm 의 작은 구멍(127a)이 복수 형성되고, 그 작은 구멍(127a)의 형성되는 밀도는 1m 의 유공관(127)에 대해서 5 ~ 10개 전후의 작은 구멍(127a)이 형성된 것이 사용된다.
이 유공관(127)은, 그 타단보다 일단이 낮은 위치가 되도록 경사지게 하고, 그 일단이 관리 측량기(128)에 접속된다. 유공관(127)의 경사 각도는 수평 방향 a가 1m 에 대한 타단측이 수직 방향 b에 5cm 이상 상승하도록 설정된다. 한편, 관리 측량기(128)는 제2 차수 시트(118)의 외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유입하여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되는 물은 그 관리 측량기(128)로부터 유공관(127)에 이르러, 유공관의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작은 구멍(127a)을 통하여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도 18 및 도 19로 돌아와,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되는 물이 지상 표류수이며, 지상 표류수가 침사조(129)를 통하여 관리 측량기(128)에 유입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하 저수조(110)의 건조(建造) 순서를 설명하면, 먼저 지하 저수조(110)를 형성해야 할 장소를 필요한 깊이 및 형상에 따라 굴착한다. 그 후, 굴착된 부분에 제2 차수 시트(118)를 배치한다. 이 때 한 장의 차수 시트가 필요한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복수매의 차수 시트를 준비하고, 그 단 가장자리에서 열용착하여 일체화하여, 필요한 면적을 가짐과 함께 용착 등에 의하여 누수가 없는 제2 차수 시트(118)를 얻은 후, 굴착된 부분에 그 제2 차수 시트(118)를 배치한다. 그 후, 제2 차수 시트(118)의 중앙 부분에서 지하 저수조(110)를 형성하는 넓이로 토압 흡수용 판재(115)를 깔아 채운다. 그리고 이 토압 흡수용 판재(115) 상에 내부 저수조(111)를 형성하는 넓이에 따라 제1 차수 시트(114)를 배치한다. 이 제1 차수 시트(114)에도, 한 장의 차수 시트가 필요한 면적보다 작은 경우에는 복수매의 차수 시트를 준비하고, 그 단 가장자리에서 열용착하여 일체화하여, 필요한 면적을 가짐과 함께 용착 등에 의하여 누수가 없는 제1 차수 시트(114)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제1 차수 시트(114) 위에 제1 체수재(112)의 집합체가 형성되고, 이 제1 체수재(112)의 집합체를 제1 차수 시트(114)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토압 흡수용 판재(115) 상에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를 형성한다. 그리고, 그 하나의 내부 저수조(111)와 인접하는 다른 내부 저수조(111)를 연통관(111a)에 의하여 연통시키는 것과 함께, 그 하나의 내부 저수조(111)와 인접하는 다른 내부 저수조(111)의 사이에 제2 체수재(117)를 설치한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111)의 외주에 있어서의 제1 차수 시트(114)에 그 제1 차수 시트(114)를 관통하여 취수관(121)을 설치하고, 이 취수관(121) 타단에 역지 밸브(122)를 설치한다.
그 후, 물공급관(127)인 유공관을 내부 저수조(111)의 외주 하부에 그 주위면에 따르도록 배치한다. 이 물공급관(127)은 일반적으로 작은 구멍(127a)이 상부가 되도록 배치되어 대부분이 내부 저수조(111)에 따르지만, 그 일단이 내부 저수조(111)의 단부로부터 삐져나오도록 배치되고, 내부 저수조(111)의 단부로부터 삐져나온 물공급관(127)의 일단은 그 타단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111)의 상면에 토압 흡수용 판재(115)를 설치하는 것과 함께, 내부 저수조(111)의 모든 주위에 제2 체수재(117)를 설치한다. 그 후, 토압 흡수용 판재(115) 및 제2 체수재(117)를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와 함께 일련의 제2 차수 시트(118)에 의하여 감싼다. 구체적으로는, 제2 차수 시트(118) 가장자리를 세워서 그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 전체를 토압 흡수용 판재(115) 및 제2 체수재(117)와 함께 포위한 후, 상측에 설치된 토압 흡수용 판재(115)의 상면에 그 단부를 올려놓는 것으로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 전체를 제2 차수 시트(118)에 의하여 감싼다. 이 때, 물공급관(127)의 일단에 대응하는 제2 차수 시트(118)에는 이 일단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 전체를 감싼 제2 차수 시트(118)의 외부에는, 관리 측량기(128)가 설치되고, 이 관리 측량기(128)에 물공급관(127)의 일단이 접속된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111)에는 배수 파이프(131a)가 상측으로부터 삽입되고, 그 하단이 그 내부 저수조(111) 중저부에 이르도록 설치된다. 그 후, 관리 측량기(128) 및 배수 파이프(131a)의 각각의 상단이 지표에 표출하도록 묻힌다. 관리 측량기(128)의 상단 근방에는 침사조(129)가 매설되고, 이 침사조(129)는 지표의 빗물 수집 도랑(110e) 등에 접속된다. 침사조(129)와 관리 측량기(128)와는 접속되어 빗물집수 도랑(110e) 등에 모아진 빗물은, 이 침사조(129)를 통하여 관리 측량기(128)에 유입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묻힌 후의 배수 파이프(131a)의 상단에 위치하는 지표에는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된 물을 취수 가능한 배수 수단(131)이 설치된다. 배수 수단(131)은 하단이 각각의 제2 차수 시트(118)를 관통하여, 또한 내부 저수조(111)에 있어서의 제1 차수 시트(114)를 관통하여, 그 하부에 이르는 배수 파이프(131a)와, 지상에 설치되고 이들 배수 파이프(131a)의 상단으로부터 저수조(110) 내부의 물을 흡인할 수 있는 배수 펌프(131b)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한, 배수 펌프(131b)에 의하여 배수 파이프(131a)를 통하여 흡인한 물은 토출 파이프(131c)로부터 배출하는 것에 의해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된 물을 외부에 내보내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지하 저수조(110)에서는, 제1 체수재(112)를 제1 차수 시트(114)에 의하여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내부 저수조(111)를 제2 차수 시트(118)에 의하여 다시 피복하므로 주위로부터의 토압은 제2 차수 시트(118)에 가해지고, 제1 차수 시트(114)에 토압이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된 물의 외부에의 누설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제2 체수재(117)는, 표면에 물 유통 도랑(117a)이 복수 형성된 수지 발포 판재이므로 주위로부터 제2 차수 시트(118)에 가해지는 토압은 수지 발포 판재로부터 이루어지는 제2 체수재(117)가 유효하게 흡수하여, 그 토압이 제1 차수 시트(114)에 가해져서 내부 저수조(111)가 파괴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수지 발포 판재로부터 이루어지는 제2 체수재(117)의 표면에는 물을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도랑(117a)을 형성했으므로, 외부 저수부(119)에 차지되는 체수율은, 그 제2 체수재(117)에 있어서의 복수의 도랑(117a)이 차지하는 비율이 된다. 이 때문에, 그 도랑(117a)의 개수 또는 그 단면적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그 체수율 자체를 감소시킬 수가 있고, 그 체수율을 감소시키면 외부 저수부(119)에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했을 경우에 그 수위를 재빨리 상승시킬 수가 있고, 그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된 물을 신속하게 내부 저수조(111)에 보낼 수가 있다. 그리고, 외부 저수부(119)에 있어서의 체수율이 작으면, 제2 차수 시트(118)에 작은 구멍이 생긴다고 해도, 그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새는 물의 양은 약간에 불과하다. 그 한편으로 그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새는 물의 양과 비교하여 물공급관(127)에서 외부 저수부(119)에 단위시간에 공급되는 물의 양이 큰 경우,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되 는 물의 대부분이 역지 밸브(122) 및 취수관(121)을 지나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되어 지하 저수조(110)의 기능이 크게 손실되는 것을 피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제1 체수재(112)로서 수지 성형품을 이용하므로 내부 저수조(111)의 내부의 공간에 있어서 제1 체수재(112)가 차지하는 비율을, 모래, 자갈, 깬돌 등으로부터 이루어지는 체수재와 비교하여 줄일 수가 있어서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111)를 복수 설치하므로 내부 저수조(111)의 하나를 거대화 시키지 않고 건조하기 쉬운 규모의 것으로 하여, 지하 저수조(110)에 있어서의 빗물의 저수량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를 각각 독립시키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그 안의 하나의 내부 저수조(111)에 있어서의 제1 차수 시트(114)가 파손됐다고 해도, 다른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된 물의 누설을 방지하여, 저장하는 물의 전체가 누출되어 버리는 일을 피할 수가 있다.
또한, 내부 저수조(111)는 제2 체수재(117)를 통하여 복수 설치하는 것으로, 복수 설치하는 것에 기인하는 제1 차수 시트(114)의 파손을 방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1 차수 시트(114)와 제2 차수 시트(118)의 사이에 외부 저수부(119)를 형성하여, 내부 저수조(111)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외부 저수부(119)에 개방된 취수관(121)을 제1 차수 시트(114)를 관통하여 설치하고, 그 타단에 역지 밸브(122)를 설치했으므로, 외부 저수부(119)에 물을 유도하는 것에 의해,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의 각각에 역지 밸브(122) 및 취수관(121)을 통하여, 그 물을 유도하여 저장시킬 수가 있다. 또한, 취수관(121)을 시작으로 하는 파이프를 차수 시트(114, 118)에 관통하게 하는 경우, 그 파이프를 차수 시트(114, 118)에 관통하게 하여 접착하여, 또한 그 위에서 금속 밴드등으로 단단히 조이는 것으로, 그 접합 부분로부터의 누수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외부로부터 유입하는 물은 관리 측량기(128)로부터 유공관(127)을 통하여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되므로 그 물에 토사 등이 함유되어 있어도, 그 토사 등은 관리 측량기(128) 또는 유공관(127)의 내부에서 침강한다. 이 때문에, 그 토사 등이 외부 저수부(119)에 퇴적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되는 물이 지상 표류수이므로 비교적 넓은 범위에 내린 빗물을 침사조(129)에 받아들이는 것으로, 비교적 많은 물을 내부 저수조(111)에 모을 수가 있다. 또한, 지상 표류수는 침사조(129)를 통하여 관리 측량기(128)에 유입하도록 구성했으므로 그 지상 표류수에 포함되는 모래나 작은 돌을 침사조(129)에 침강시킬 수가 있어 비교적 깨끗한 빗물만을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유공관(127)은 타단보다 낮은 위치의 일단을 관리 측량기(128)에 접속하므로 유공관(127)의 내부에서 침강한 토사 등은, 외부로부터의 물의 유입이 정지한 후, 유공관(127)의 경사에 따라 흘러 관리 측량기(128)에 이르러 그 관리 측량기(128)의 저부에 축적된다. 이 때문에, 관리 측량기(128)의 저부를 흡인하는 것 같은 수단에 의하여 청소하는 것에 의해, 침강한 토사 등을 제거할 수가 있어 지하 저수조(110)의 관리를 적절히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하나의 내부 저수조(111)의 하부와 인접하는 다른 내부 저수조(111)의 하부를 연통관(111a)을 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각각의 내부 저수조(111)를 독립시켜, 이들 제1 차수 시트(114)를 관통하여 각각의 내부 저수조(111)에 배수 파이프(131a)를 설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를 각각 독립시키면, 예를 들어 그 안의 하나의 내부 저수조(111)에 있어서의 제1 차수 시트(114)가 파손됐다고 해도, 다른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된 물의 누설을 방지하여, 저장하는 물의 전체가 누출되어 버리는 일을 피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역지 밸브(122)가 취수관(121) 타단에 설치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역지 밸브(122)를 취수관(121)의 일단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역지 밸브(122)로서 물에 뜨는 플로트(124)를 구비한 것을 이용하여 설명했지만, 이 역지 밸브(122)로서 물에 가라앉는 플로트를 구비한 역지 밸브를 이용해도 좋다. 특히, 취수관(121)의 일단에 역지 밸브(122)를 설치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가라앉는 플로트(165)를 구비한 경우를 대표하여 설명하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에 가라앉는 플로트(165)를 사용하면, 플로트(165)가 수용된 제1실(162b)이 물에 의하여 채워지지 않을 때, 혹은 물에 의하여 채워지고 있어도 제2 취수관(151) 타단측의 수위가 제2 취수관(151)의 일단측의 수위 이상인 때에는 플로트(165)가 제1실(162b)의 내부에서 그 수위의 차이에 의하여 밀어올려질 수 있고, 그 돌출부(165a)는 원형구멍(162d)으로부터 이탈하여 제2 취수관(151) 타단으로부터 일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한편,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165)가 수용된 제1실(162b)이 물에 의하여 채워지는 것과 함께, 제2 취수 관(151) 타단측의 수위가 저하하여 제2 취수관(121)의 일단측의 수위 미만이 되었을 때에 플로트(165)가 제1실(162b)의 내부에서 침강되고, 그 돌출부(165a)가 원형구멍(162d)을 막아서 제2 취수관(121)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지 발포재이며 그 표면에 물을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도랑(117a)이 형성된 제2 체수재(117)를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제2 체수재(117)는, 물공급관(127)으로부터 유입하는 물을 체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모래, 자갈, 깬돌 등이어도 좋고, 모퉁이를 없게 한 유리구슬이나, 수지 펠렛(Pellet), 또한 수지로 제조된 봉재나 파이프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서는, 표면에 물을 유통시키기 위한 복수의 도랑(117a)이 형성된 제2 체수재(117)를 이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도랑(117a)을 형성하지 않고, 복수개의 수직관(171)과 이것들 복수의 수직관(171)을 연결하는 연결관(172)을 제2 체수재(117)에 매설하여, 이 복수의 수직관(171)과 연결관(172)에 물을 저장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일단이 관리 측량기(128)에 접속된 물공급관(127)의 타단을 수직관(171)에 접속하여, 제1 차수 시트(114)에 설치된 취수관(121)의 타단을 수직관(171)의 내부에 개방시켜, 그 취수관(121) 타단에 역지 밸브(122)를 설치하고, 그 역지 밸브(122)를 수직관(171)의 내부에 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도 25에 있어서의 지하 저수조에서는, 물공급관(127) 타단을 수직관(171)에 접속하므로 물공급관(127)으로서 상술한 유공관을 이용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은 관리 측량기(128)로부터 물공급관(127)을 통하여 외부 저수부(119)를 구성하는 수직관(171)에 공급되고, 그 수직관(171)으로부터 역지 밸브(122) 및 취수관(121)을 지나 내부 저수조(111)에 유입하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어 토사 등이 침강한 물을 내부 저수조(111)의 내부에 유효하게 저장할 수가 있다.
누수를 일으키기 어렵고, 저수량을 큰 폭으로 증대함과 함께, 비교적 깨끗한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지하 저수조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12)

  1. 지하에 매설되어 물을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 지하 저수조(10)로서,
    복수의 체수재(12)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체수재의 집합체를 제1 차수 시트(14)에 의하여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내부 저수조(11)와,
    상기 내부 저수조(11)의 외측에 설치된 토압 흡수용 판재(26)와,
    상기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피복하는 제2 차수 시트(2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체수재가 수지로 제조된 강성 파이프(12)이며, 복수개의 강성 파이프(12)를 각각 수직으로 세워 수평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열한 상태에서, 파이프 연결 수단(13)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강성 파이프(12)를 서로 평행하게 연결하는 것에 의해 체수재의 집합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봉상 강재(23)가 땅 중에 수직으로 박아 넣어지고, 상기 봉상 강재(23)에 강성 파이프(12)가 끼워져 고착되어 체수재의 집합체가 상기 봉상 강재(2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저수조(11)가 수조간 완충재(24)를 개재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저수조(11)를 일련의 제2 차수 시트(27)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5.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차수 시트(14)와 제2 차수 시트(27)의 사이에 토압 흡수용 판재(26)를 포함하는 외부 저수부(29)가 형성되고, 내부 저수조(11)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외부 저수부(29)에 개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 취수관(28)이 상기 제1 차수 시트(14)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외부 저수부(29)의 수압이 상기 내부 저수조(11) 내부의 수압 이상인 때에 상기 외부 저수부(29)로부터 상기 내부 저수조(11) 내부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외부 저수부(29)의 수압이 상기 내부 저수조(11) 내부의 수압 미만인 때에 상기 내부 저수조(11) 내부로부터 상기 외부 저수부(29)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제1 역지 밸브(31)가 상기 제1 취수관(28)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개의 수직관(71)과 상기 복수의 수직관(71)을 연결하는 연결관(72)이 토압 흡수용 판재(26)에 매설되고, 상기 수직관(71)의 내부에 타단이 개방하도록 제1 취수관(28)이 제1 차수 시트(14)에 설치되고, 제1 역지 밸브(31)가 상기 수직 관(71)의 내부에 있어 상기 제1 취수관(28)의 타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 차수 시트(27)를 관통하여 외부 저수부(29)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제2 차수 시트(27) 외부 주위의 땅 중에 개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2 취수관(51)과, 상기 제2 취수관(51)의 일단 또는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취수관(51)의 타단에 있어서의 수압이 상기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이상인 때에 상기 제2 취수관(51)의 타단으로부터 일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제2 취수관(51)의 타단측의 수압이 상기 제2 취수관(51)의 일단측의 수압 미만인 때에 상기 제2 취수관(5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제2 역지 밸브(52)와, 주위에 복수의 투수 구멍(53a)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제2 취수관(51)의 타단 또는 상기 제2 역지 밸브(52)에 접속되고 타단이 상기 제2 역지 밸브(52)보다 상위가 되도록 매설된 유공관(53)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8. 지하에 매설되어 물을 저장 가능하게 구성된 지하 저수조(110)에 있어서,
    제1 체수재(112)를 제1 차수 시트(114)에 의하여 피복하여 이루어지는 내부 저수조(111)와,
    상기 내부 저수조(111)의 주위에 설치된 제2 체수재(117)를 제2 차수 시 트(118)에 의하여 피복하여 상기 내부 저수조(111)의 주위의 상기 제1 차수 시트(114)와 상기 제2 차수 시트(118)의 사이에 형성된 외부 저수부(119)와,
    상기 제1 차수 시트(114)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내부 저수조(111)에 일단이 연통하고 타단이 상기 외부 저수부(119)에 개방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취수관(121)과,
    상기 취수관(121)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 저수부(119)의 수위가 상기 내부 저수조(111) 내부의 수위 이상인 때에 상기 외부 저수부(119)로부터 상기 내부 저수조(111) 내부에 물이 흐르는 것을 허용하고 상기 외부 저수부(119)의 수위가 상기 내부 저수조(111) 내부의 수위 미만인 때에 상기 내부 저수조(111) 내부로부터 상기 외부 저수부(119)에 물이 흐르는 것을 저지하도록 구성된 역지 밸브(122)와,
    상기 역지 밸브(122) 및 상기 취수관(121)을 지나 상기 내부 저수조(111)에 저장되는 물을 상기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하는 물공급관(127)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내부 저수조(111)가 제2 체수재(117)를 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복수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내부 저수조(111)를 일련의 제2 차수 시트(118)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10.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제2 체수재(117)가, 표면에 물 유통 도랑(117a)이 복수 형성된 수지 발포 판재로부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11.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물공급관(127)이 외부 저수부(119)의 하부에 타단보다 일단이 낮은 위치가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물공급관(127)의 일단이 제2 차수 시트(118)의 외부에 설치된 관리 측량기(128)에 접속되고, 상기 관리 측량기(128)에 공급된 물이 상기 관리 측량기(128)로부터 상기 물공급관(127)을 통하여 상기 외부 저수부(119)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복수개의 수직관(171)과 상기 복수의 수직관(171)을 연결하는 연결관(172)이 제2 체수재(117)에 매설되고, 물공급관(127) 타단이 상기 수직관(171)에 접속되고, 상기 수직관(171)의 내부에 타단이 개방하도록 취수관(121)이 제1 차수 시트(114)에 설치되고, 역지 밸브(122)가 상기 수직관(171)의 내부에 있어 상기 취수관(121) 타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저수조.
KR1020067013229A 2004-06-25 2005-05-19 지하 저수조 KR1007683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7740 2004-06-25
JP2004187740 2004-06-25
JP2004363336 2004-12-15
JPJP-P-2004-00363336 2004-1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683A true KR20060135683A (ko) 2006-12-29
KR100768328B1 KR100768328B1 (ko) 2007-10-17

Family

ID=35781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229A KR100768328B1 (ko) 2004-06-25 2005-05-19 지하 저수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28713B2 (ko)
JP (1) JP3890354B2 (ko)
KR (1) KR100768328B1 (ko)
CA (1) CA2550467C (ko)
WO (1) WO20060011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00546A1 (en) * 2006-12-05 2012-01-05 David Lewis Systems and Methods for the Collection, Retention, and Redistribution of Rainwater and Methods of Construction of the Same
FR2912161B1 (fr) * 2007-02-06 2009-04-10 Jean-Claude Fonvieille Station hydraulique de recuperation, de gestion et de distribution des eaux pluviales
US9546044B2 (en) 2008-02-06 2017-01-17 Oldcastle Preca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US8985897B2 (en) 2008-02-06 2015-03-24 Oldcastle Precast,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storing, and distributing storm water
US8221029B2 (en) * 2009-05-22 2012-07-17 Tanya R. Sanchez Water drainage and harvesting system for an artificial turf environment
KR101238199B1 (ko) * 2011-08-12 2013-02-28 (주) 엘아이디 솔루션 은나노 처리된 하이브리드 보강구조의 빗물침투·저류조
JP2015089996A (ja) * 2013-11-05 2015-05-11 株式会社 林物産発明研究所 貯留材の集合体を複数配置し、シートで包んだ貯留施設。
US10584471B2 (en) 2017-06-15 2020-03-10 James Bradford Boulton Integrated retaining wall and fluid collection system
CN109457792B (zh) * 2018-11-08 2024-02-27 安阳师范学院 一种庭院雨水收集净化结构
CN109440898A (zh) * 2018-12-27 2019-03-08 广州怡境景观设计有限公司 一种渗透型雨水花园
US11041297B2 (en) * 2019-11-15 2021-06-22 Pre-Con Products Wat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CN111058527A (zh) * 2019-12-04 2020-04-24 北京林业大学 一种城市用方形的蓄水,灌溉及减振周期结构的应用
US11980835B2 (en) * 2020-07-27 2024-05-14 Foley Products Company, Llc Double-filter basket for stormwater retention system drain
GB202100686D0 (en) * 2021-01-19 2021-03-03 Clostio James Rainwater collec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2340A (en) * 1980-09-29 1983-02-08 Chicago Bridge & Iron Company Liquid storage tank
FR2682410B1 (fr) * 1991-10-11 1994-07-22 Hamon Ind Thermique Structure de reservoir de retenue d'eau.
JP3104969B2 (ja) * 1998-10-26 2000-10-30 株式会社トーテツ 広域集水型地下貯水槽
JP3796379B2 (ja) * 1999-01-26 2006-07-12 株式会社トーテツ 地下貯水槽及びその形成方法
JP4327310B2 (ja) 1999-09-30 2009-09-09 株式会社明治ゴム化成 地下水槽の充填構造
JP2001107403A (ja) * 1999-10-13 2001-04-17 Shinichiro Hayashi 地下貯水槽
FR2807458B1 (fr) * 2000-04-11 2002-07-05 Ct D Etudes Et De Rech S De L Structure-reservoir
JP4437181B2 (ja) * 2000-10-05 2010-03-24 慎一郎 林 貯水装置
JP2002294769A (ja) * 2001-04-03 2002-10-09 Kariya Kensetsu Kk 木製枠組工法による地下貯水槽
JP2003113625A (ja) * 2001-10-04 2003-04-18 Kubota Kensetsu Kk 雨水貯水用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90354B2 (ja) 2007-03-07
US8028713B2 (en) 2011-10-04
JPWO2006001139A1 (ja) 2008-07-31
CA2550467A1 (en) 2006-01-05
WO2006001139A1 (ja) 2006-01-05
KR100768328B1 (ko) 2007-10-17
US20070267418A1 (en) 2007-11-22
CA2550467C (en)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328B1 (ko) 지하 저수조
US6382237B1 (en) Wide area water collection type underground water tank
AU2008252265B2 (en) Dust-removal managing pit
KR101822899B1 (ko) 지하수 확보 기능이 향상된 측구 겸용 친환경 집수정 및 그것을 이용한 배수 시스템을 구비하는 친환경 도로 구조물
JP2003201722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KR101835881B1 (ko) 투수성 보도블록
JP4997009B2 (ja) 雨水浸透ます
CN100485142C (zh) 地下贮水槽
JP3660917B2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US20090285632A1 (en) Water conservation and distribution system
JP2008267023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JPH10102573A (ja)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JP3796379B2 (ja) 地下貯水槽及びその形成方法
EP1064432B1 (en) Consolidation method for soil layers with low permeability
JP2005023589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
JP2006152741A (ja) 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と該雨水等貯留用ユニットを用いた緑化設備並びに地下貯水設備
JP7429922B2 (ja) 貯留システム
JP2005179919A (ja) 雨水等の貯留浸透施設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JP2008150809A (ja) 雨水浸透施設
JP2008308974A (ja) 貯水槽用除塵管理枡
AU2005257124B2 (en)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
JP2008190196A (ja) 雨水貯留システム
JP4138994B2 (ja) 雨水浸透桝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4800119B2 (ja) 地中埋設物の浮上防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