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466A - 전자 기기, 랙 마운트 장치 및 전자 기기의 랙 마운트장치에의 탑재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 랙 마운트 장치 및 전자 기기의 랙 마운트장치에의 탑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466A
KR20060135466A KR1020050089180A KR20050089180A KR20060135466A KR 20060135466 A KR20060135466 A KR 20060135466A KR 1020050089180 A KR1020050089180 A KR 1020050089180A KR 20050089180 A KR20050089180 A KR 20050089180A KR 20060135466 A KR20060135466 A KR 20060135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ack mount
moving means
disk array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764B1 (ko
Inventor
히로시 히다카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5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05K7/1489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characterized by the mounting of blades therein, e.g. brackets, rails,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에 대하여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소형의 착탈 기구와, 이 착탈 기구를 포함하는 유닛과, 이 유닛이 착탈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케이스와 이 제1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는 랙 마운트 장치에 인출 가능하게 탑재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기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상기 제1 케이스에 탑재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와 결합 가능한 예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 기기, 랙 마운트 장치 및 전자 기기의 랙 마운트 장치에의 탑재 방법{ELECTRONIC APPARATUS, RACK MOUNT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 THE ELECTRONIC APPARATUS IN THE RACK MOUN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의 랙 마운트 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의 (a) 및 (b)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예비 고정하지 않고 랙 마운트 장치에 고정(본 고정)하는 모양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의 (a)는 도 3에 도시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가이드 프레임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4의 (b)는 그 개략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랙 마운트 장치에 탑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외관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와 랙 마운트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랙 마운트 장치에 완전히 수납한 모양을 도시한 부분 투과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부분적으로 인출한 모양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9의 (a)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본 고정 종료 후에 가이드 프레임을 변위시킨 모양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9의 (b)는 그 확대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랙 마운트 장치에의 탑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랙 마운트 장치로부터 제거하기 위해 가이드 프레임을 변위시킨 모양을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서서히 랙 마운트 장치에 삽입하는 동시에 본 고정을 해제하는 모양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상태 후에 최후의 본 고정용 나사를 제거하는 모양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14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랙 마운트 장치로부터 제거하는 모양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랙 마운트 장치로부터의 제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6의 (a) 및 도 16의 (b)는 도 1에 도시하는 랙 마운트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스크 어레이 장치
101 : 케이스
150 : 판 스프링
160 : 가이드 플레이트
170 : 손잡이 나사
200 : 랙 마운트 장치
210 : 케이스
240 : 슬라이드 레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는, 복수의 전자 기기를 인출 가능하게 수납하는 랙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자 기기를 랙 마운트 장치에 탑재하기 위한 탑재 기구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이하, 「HDD」라고 함) 유닛을 복수 탑재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랙 마운트 장치에 탑재할 때의 탑재 기구에 적합하다.
최근, 대용량의 외부 기억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복수의 HDD 유닛을 착탈 가능하게 내부 설치한 디스크 어레이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을 참조할 것).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서는 장치 전체로서는 가동 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유지 보수가 필요한 HDD 유닛만을 교환할 수 있는 동시에 진동 등으로 인해 장착된 HDD 유닛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로부터 쉽게 빠져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한 고정 기구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랙 마운트식으로 탑재한 랙 마운트 장치도 알려져 있다(예컨대, 비 특허 문헌 1을 참조할 것). 이러한 랙 마운트 장치에서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탑재시 및 제거시에 있어서의 작업성의 향상을 추구할 수 있다.
그 밖의 종래 기술로서는 특허 문헌 2가 있다.
종래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는 랙 마운트 장치에 나사 고정되고, 각 HDD 유닛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전면으로부터 꺼낼 수 있게 디스크 어레이 장치 내에 삽입되어 있었다. 그러나, 최근의 대기억 용량의 수요에 따라 HDD 유닛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랙 마운트 장치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하고,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상면을 개구로 하여, 행렬형으로 HDD 유닛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높이 방향을 따라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 착탈하는 것이 검토되어 있다. 그 경우, 랙 마운트 장치에는 돌출 및 후퇴가 가능한 기구가 부착되는 동시에 이러한 기구에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고정(예컨대, 나사 고정)하면 디스크 어레이 장치는 랙 마운트 장치로부터 인출 가능해진다. 이러한 기구로서는, 예컨대 비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슬라이드 레일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4-5496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1-330743호 공보
[비 특허 문헌 1] 후지쯔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라인업, ETERNUS, [평성 17년 6월 21일 검색], 인터넷<URL: http://storage-system.fujitsu.com/jp/products/>
[비 특허 문헌 2] 다카치오고우에키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 서비스, 산업기기 제품, 슬라이드 레일 5800 시리즈, 평성 17년 6월 21일 검색], 인터넷<URL: http://www.takachiho-kk.co.jp/products/mechanical/slide/5800.html>
비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슬라이드 레일에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서는(즉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랙 마운트 장치에 탑재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양측면상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도록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슬라이드 레일에 대하여 유지하고, 그 후, 슬라이드 레일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에 나사 고정해야 한다. 그러나, 디스크 어레이 장치를 슬라이드 레일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 유지하면서 나사 고정을 행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곤란성은 HDD 유닛의 고밀도화에 의해 디스크 어레이 장치의 중량이 60 kg 이상으로 커짐에 따라 점점 커진다.
그래서, 본 발명은 전자 기기를 랙 마운트 장치에 작업성 좋게 탑재 가능한 전자 기기, 랙 마운트 장치 및 탑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예시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으로서의 전자 기기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는 랙 마운트 장치에 인출 가능하게 탑재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기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상기 제1 케이스에 탑재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와 결합 가능한 예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예컨대 디스크 어레이 장치)는 예비 고정부가 제2 케이스를 제1 케이스에 유지하기 때문에 제2 케 이스와 기구(예컨대 슬라이드 레일)와의 본 고정시에 제2 케이스를 지지하지 않아도 되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예비 고정부는, 예컨대, 상기 제2 케이스의 전면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2 케이스 내에 후퇴 및 상기 제2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판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켜, 상기 예비 고정부를 상기 기구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여도 좋다.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제2 케이스를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면 자동적으로 예비 고정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이동 수단은 예컨대,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며, 상기 기구 위를 미끄럼 이동 가능한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전면에 수직한 한 쌍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에 평행한 수평부와 상기 측면에 수직한 한 쌍의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단면 U자 형상을 가져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가이드 프레임은 제2 케이스의 양측면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좌우 측면에 대하여 다른 구조의 가이드 프레임을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상기 한 쌍의 수직부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전면에 가까운 한 쌍의 단부와 먼 한 쌍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먼 단부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折曲) 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가이드 프레임과 기구의 간섭을 저감하기 때문에 전자 기기를 랙 마운트 장치로부터 제거할 때의 작업성도 향상된다.
상기 이동 수단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 으며,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하고,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케이스를 제1 케이스에 탑재할 때는 이동 수단을 제1 위치로 설정하여 이동 수단을 사용하고, 탑재 후에는 제2 위치로 설정하여 기구에 의해 제2 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탑재 후에는 이동 수단과 기구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동 수단은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2 케이스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2 케이스상의 2개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2 케이스와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부에 손잡이 나사를 구비하여도 좋다. 손잡이 나사는 나사돌리개 등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2 케이스의 인출 방향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L/4에서 3L/4의 범위를 덮는 적어도 L/2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프레임이 너무 길면 탑재 후에 가이드 프레임을 기구로부터 후퇴시키는 작업이 곤란해지며, 가이드 프레임이 너무 짧으면 탑재 작업이 곤란해지기 때문에, 이러한 범위는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기기는 복수의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전자 기기의 상면을 개구로 하여(예컨대, HDD 유닛 등의) 유닛 을 높이 방향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면, 고밀도로 유닛에 전자 기기를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의 랙 마운트 장치는 복수의 전자 기기를 인출 가능하게 탑재하는 랙 마운트 장치로서, 이 랙 마운트 장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기구에 고정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와 결합 가능한 예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랙 마운트 장치는 전술한 전자 기기의 작용을 발휘한다.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이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수납할 때에, 상기 기구의 제1 단부에 접촉 가능한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단부의 적어도 한쪽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가이드 프레임과 기구의 간섭을 저감하기 때문에, 전자 기기를 랙 마운트 장치로부터 제거할 때의 작업성도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의 탑재 방법은, 제1 케이스와 이 제1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는 랙 마운트 장치에 전자 기기를 인출 가능하게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기구와 예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케이스와 상기 기구를 본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은, 예비 고정 단계가 제2 케이스를 제1 케이스에 유지하기 때문에 제2 케이스와 기구(예컨대, 슬라이드 레일)의 본 고정 시에 제2 케이스를 지지하지 않아도 되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예비 고정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 고정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상기 기구와 함께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도 좋다. 수납 동작(이동 동작)에 의해 예비 고정을 행하면 작업성은 향상되고, 제2 케이스를 제1 케이스로부터 인출하면서 본 고정을 행하면 예비 고정부에 과도한 부하를 걸거나, 제2 케이스가 제1 케이스로부터 탈락되거나 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납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제1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본 고정 단계 후에, 상기 이동 수단을 제1 상태와는 다른 제2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하고,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하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2 케이스를 제1 케이스에 탑재할 때는 이동 수단을 제1 상태로 설정하여 이동 수단을 사용하고, 탑재 후는 제2 상태로 설정하여 기구에 의해 제2 케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탑재 후에는 이동 수단과 기구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 또는 그 밖의 특징은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의 랙 마운트 장치(200)와 그것에 탑재되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랙 마운트 장치(200)의 외관 사시도이다. 랙 마운트 장치(200)는 복수단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인출 가능하게 탑재하며, 대용량의 기억 장치로서 기능한다. 또한, 도 1에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의 가이드 프레임(160)은 생략되어 있다.
랙 마운트 장치(200)는 케이스(210)와, 그 내부에 4개의 지주(支柱)(랙기둥)(220)와, 한 쌍의 브래킷(230)과, 슬라이드 레일(240)을 갖는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10)를 비 특허 문헌 2에 나타내는 시판되고 있는 슬라이드 레일(240)에 후술하는 본 실시예와 같이 예비 고정 없이 고정(본 고정)하고자 하는 경우, 도 2의 (a)의 화살표 방향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의 양측면에 슬라이드 레일(240)이 배치되도록 디스크 어레이 장치(10)를 슬라이드 레일(240)에 대하여 정렬하면서 유지해야 한다. 계속해서, 도 2의 (b)의 화살표 방향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60 kg 이상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10)를 리프터 혹은 2∼3 명이 아래에서부터 지탱하면서, 양측으로부터 슬라이드 레일(24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에 나사(190)에 의해 고정해야 한다. 여기서, 도 2의 (a)와 (b)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와 슬라이드 레일(240)을 예비 고정 없이 본 고정하는 고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러나,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의 지지가 인력인 경우는 안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나사(190)의 정렬이 어렵다. 또한, 고객의 설치 장소에서 는 리프터와 같은 설비가 없는 것이 많아 위험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를 이하와 같이 해결하고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의 (a) 및 (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는 판 스프링(150) 및 가이드 프레임(160)을 갖고 있는 점에서 디스크 어레이 장치(10)와 다르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는 케이스(101)와, 한 쌍의 판 스프링(150)과, 한 쌍의 가이드 프레임(160)과, 각종 고정 수단(170, 172 등)을 갖는다.
케이스(101)는 내부가 비어있는 직방체 형상을 가지며, 상부판(110)과, 한 쌍의 측판(120)과, 바닥판(130)과, 프런트 패널(140)을 갖는다.
프런트 패널(140)을 제외하는 케이스(101)는 판금(板金)을 절곡 가공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지만, 상부판(110)을 갖지 않는 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부판(110)을 생략하는 경우에는 상부판(110)의 기능(내부의 전자 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판을 랙 마운트 장치(200)의 브래킷(230)에 고정하여도 좋다.
측판(120)은 판 스프링(150)과 가이드 프레임(160)을 지지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레일(240)에 접속되는 기능을 가지며, 관통 구멍(121 내지 128)을 갖는다. 관통 구멍(121)은 좌우 측판(120)의 프런트 패널(140) 부근에 형성되며, 판 스프링(150)이 부분적으로 돌출한다. 관통 구멍(122)은 판 스프링(150)의 관통 구멍(152)을 연통하여 판 스프링(150)을 고정하는 도시하지 않는 나사가 삽입되는 부위이다. 관통 구멍(124)은 나사(172)가 끼워 맞춰지는 나사 구멍이다. 관통 구멍(126a 및 126b)은 손잡이 나사(170)가 끼워 맞춰지는 나사 구멍이다. 관통 구멍(124)과 관통 구멍(126a)을 연결하는 선은 바닥판(130)과 평행하며, 슬라이드 레일(24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일치하고 있다. 관통 구멍(126b)은 관통 구멍(124)과 관통 구멍(126a)의 거리를 R이라고 하면, 관통 구멍(124)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의 원주상에 있다. 즉, 관통 구멍(124)으로부터 보아 관통 구멍(126a 및 126b)은 동일 원주상에 있다. 4개의 관통 구멍(128)은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들을 연결하는 직선은 바닥판(130)과 평행하며, 슬라이드 레일(24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일치하고 있다.
바닥판(130)은 도 16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HDD 유닛(50) 등의 전자 부품 그 외의 부품을 지지한다.
프런트 패널(140)은 한 쌍의 핸들(142)을 갖는 판형 부재이며, 케이스(101)의 전면에 부착된다. 핸들(142)은 사용자가 잡고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에 대하여 이동하는 힘을 가하는 부위이다. 프런트 패널(140)과, 케이스(101) 그 외의 부분과의 접속은 절곡 가공 및 용접 등 당업계에서 주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프런트 패널(140)은 케이스(101)에 있어서 제거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판 스프링(150)은 케이스(101)에 부착되고, 슬라이드 레일(240)과 결합 가능한 예비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와 슬라이드 레일(2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8개의 나사(19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고, 이것을 「본 고정」이라고 본 명세서에서는 부른다. 「예비 고정」이란 본 고정에 앞서서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와 슬라이드 레일(240)을 대략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예비 고정부[판 스프링(150)]가 케이스(101)를 케이스(210)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유지 및 위치 결정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케이스(210)와 슬라이드 레일(240)을 본 고정할 때에 케이스(101)의 위치 결정 및 지지가 불필요해지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판 스프링(150)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152)과, 평판부(154)와, 결합부(156)를 갖는다. 관통 구멍(152)은 관통 구멍(122)과 연통하여 도시하지 않는 나사가 삽입된다. 이러한 도시하지 않는 나사에 의해 판 스프링(150)은 측판(120)에 고정된다. 평판부(15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로 앞 측판(120)의 이면에 접촉한다. 결합부(156)는 관통 구멍(121)으로부터 돌출하며, 후술하는 내측 레일(270)의 직사각형 구멍(272)에 결합되는 부위이다. 평판부(154)는 결합부(156)가 후퇴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면 굴곡 변형을 한다.
판 스프링(150)은 케이스(101)의 전면 근방에 설치되고, 케이스(101)내로 후퇴 및 케이스(101)로부터 돌출 가능하다. 슬라이드 레일(240)의 판 스프링(150)과의 결합부를 슬라이드 레일(240)의 선단에 배치하고, 판 스프링(150)을 케이스(101)의 전면 근방에 설치함으로써, 슬라이드 레일(240)의 선단을 케이스(101)의 전면 근방에 배치할 수 있다. 슬라이드 레일(240)이 케이스(101)의 길이 방향(L)에 따른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슬라이드 레일(240)과 케이스(101)의 접속을 안정시킬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60)은 케이스(101)를 케이스(210)에 대하여 이동시키고, 예비 고정을 실현하는 이동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케이스(101) 를 케이스(210)에 대하여 이동시키면 자동적으로 예비 고정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가이드 프레임(160)은 케이스(101)의 각 측판(120)에 부착되며, 슬라이드 레일(240) 위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 프레임(16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측판(120)에 평행한 수평부(162)와, 측판(120)에 수직한 한 쌍의 수직부(164)로 이루어지며, 중심선(C)에 대해서 대칭인 단면 U자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대칭 형상의 가이드 프레임(160)은 케이스(101)의 양측판(120)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좌우의 측판(120)에 대하여 다른 구조의 가이드 프레임을 작성하는 것보다도 경제성, 제조 효율에 있어서 우수하다. 즉 도 3에 도시하는 가이드 프레임(160) 하측의 수직부(164)는 안쪽 측의 측판(120)에 부착될 때는 상측의 수직부(164)가 된다.
수평부(162)는 가늘고 긴 트랙 형상을 가지며, 케이스(101)의 전면으로부터 가까운 관통 구멍(163a)과 먼 관통 구멍(163b)를 갖는다. 관통 구멍(163a)은 관통 구멍(124)에 연통하고, 관통자(163b)는 관통 구멍(126a 또는 126b)과 연통한다.
한 쌍의 수직부(164)의 한 쪽은 탑재시의 예비 고정 동작에 있어서 슬라이드 레일(240) 위를 미끄럼 이동한다. 또한, 한 쌍의 수직부(164)는 케이스(101)의 전면으로부터 가까운 한 쌍의 단부(161a) 및 먼 한 쌍의 단부(161b)를 가지며, 한 쌍이 먼 단부(161b)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 되어되어 있는 경사부(165)를 갖는다. 경사부(165)는 슬라이드 레일(240)에 쉽게 실릴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프레임(160)과 슬라이드 레일(240)의 간섭을 저감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로부터 제거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한다.
가이드 프레임(160)[의 특히 수직부(164)]은 케이스(101)의 방향 L의 길이를 L1이라고 하면 약 L1/2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60)[의 특히 수직부(164)]은 케이스(101)의 전면으로부터 L1/4으로부터 3L1/4의 범위를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프레임(160)이 너무 길면 손잡이 나사(170)가 노출되지 않으며, 도 9의 (b)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160)을 변위시켜 슬라이드 레일(240)로부터 후퇴시키는 작업이 어려워진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160)이 너무 짧으면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탑재 작업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전술한 범위는 바람직하다.
손잡이 나사(170)는 가이드 프레임(160)의 수평부(162)의 관통 구멍(163b)을 관통한 상태로 가이드 프레임(160)에 부착되어 있다. 손잡이 나사(170)는 측판(120)의 관통 구멍(126a 또는 126b)에 부착된다. 손잡이 나사(170)는 나사돌리개 등의 공구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나사(172)는 스페이서(174)를 통해 관통 구멍(163a)을 관통한 후에 관통 구멍(124)에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손잡이 나사(170)와 케이스(101)의 결합을 해제하면, 가이드 프레임(160)은 관통 구멍(163a 및 124)의 주위로 회전 가능해진다. 나사(172)는 손잡이 나사(170)로 치환되어도 좋다.
랙 마운트 장치(200)를 도 1 및 도 2의 (a) 및 (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랙 마운트 장치(200)는 케이스(210)와, 그 내부에 4개의 지주(랙 기둥)(220)와, 한 쌍의 브래킷(230)과, 슬라이드 레일(240)을 갖는다.
케이스(2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을 갖고, 복수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높이 방향으로 겹쳐 수납할 수 있다.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4개의 지주(220)가 설치되고, 4개의 지주(220)에는 한 쌍의 브래킷(230)이 방향 L을 따라 나사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230)에는 슬라이드 레일(240)이 고정되며, 슬라이드 레일(240) 및 그것에 고정된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브래킷(230)은 5개의 관통 구멍(232)을 갖는다. 5개의 관통 구멍(232)을 연결하는 직선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의 길이 방향 L에 평행하다.
슬라이드 레일(240)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케이스(210)로부터 L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슬라이드 레일(240)은 본 실시예에서는 비 특허 문헌 2에 기재한 시판되고 있는 상품을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드 레일(240)은 외측 레일(250)과, 중간 레일(260)과, 인터 레일(270)을 갖는다. 외측 레일(250)과, 중간 레일(260)과, 인터 레일(270) 각각의 방향 L의 길이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의 방향 L의 길이 L1과 대략 같다. 슬라이드 레일(240)은 케이스(101)의 양측판(120)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핸들(142)을 잡고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케이스(210)로부터 인출하거나, 케이스(210)에 수납하거나 할 수 있다.
외측 레일(250)은 단면 U자 형상을 갖는 판금으로 구성되고, 브래킷(230)의 길이 방향 L을 따라 브래킷(230)의 대략 전체 길이로 연장되어 있다. 외측 레일(250)은 수평부(252)와, 그것에 수직한 한 쌍의 수직부(256)을 갖는다. 수평부(252)는 브래킷(230)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수직부(256)는 수평부(252)의 양끝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수평부(252)는 5개의 관통 구멍(232)에 연통하는 5개의 관통 구멍(253)을 가지며, 이러한 관통 구멍(232 및 253)을 통해 브래킷(230)에 나사(254)에 의해 고정된다.
중간 레일(260)은 외측 레일(250)과 같은 단면 U자 형상을 갖는 판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중간 레일(260)의 방향 H의 길이는 외측 레일(250)의 방향 H의 길이보다도 짧다. 중간 레일(260)과 외측 레일(250)의 H 방향 사이에는 볼 베어링이 배치되고, 중간 레일(260)은 외측 레일(250) 내에 L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레일(260)과 외측 레일(250)의 U자 형상의 개구는 동일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중간 레일(260)은 4개의 관통 구멍(262)을 갖지만, 이들은 중간 레일(260)의 고정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중간 레일(260)과 브래킷(230)과는 고정되어 있지 않지만, 중간 레일(260)이 케이스(210)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 길이는 그 전체 길이의 반(즉, 약 L1/2)이다.
내측 레일(270)은 외측 레일(250)과 같은 단면 U자 형상을 갖는 판금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내측 레일(270) 방향 H의 길이는 중간 레일(260) 방향 H의 길이보다도 짧다. 내측 레일(270)과 중간 레일(260)과의 H 방향 사이에는 볼 베어링이 배치되고, 내측 레일(270)은 중간 레일(260) 내에 방향 L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 되어 있다. 후술하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측 레일(270)과 중간 레일(260)의 U자 형상의 개구는 대향하고 있다. 내측 레일(270)은 브래킷(230)이나 중간 레일(260)에는 고정되어 있지 않지만, 내측 레일(270)이 케이스(210)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 길이는 그 전체 길이(즉, 약 L1)이다.
각 내측 레일(270)은 하나의 직사각형 구멍(272)과, 4개의 관통 구멍(274)을 갖는다. 직사각형 구멍(272)은 판 스프링(150)의 결합부(156)가 결합하는 부위이다. 4개의 관통 구멍(274)은 케이스(101) 측판(120)의 4개의 관통 구멍(128)으로 연통된다. 내측 레일(270)은 케이스(101)의 측판(120)에 관통 구멍(128과 274)과 나사(190)를 매개로 하여 고정된다.
이하, 도 5 내지 10을 참조하여,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의 랙 마운트 장치(300)에의 탑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5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의 예비 고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상태에 있어서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평행한 면에 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예비 고정 종료 후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의 부분 투과 사시도이다. 도 8은 예비 고정 완료 후에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로부터 서서히 인출하여 슬라이드 레일을 케이스에 고정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본 고정 완료 후에 가이드 프레임의 각도를 변경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 9의 (b)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0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의 랙 마운트 장치(300)에의 탑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가이드 프레임(160)을 바닥판(130)에 평행하게 부착한다(단계 1002).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 나사(170)를 관통 구멍(126a)에 부착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예비 고정시 케이스(101)를 케이스(210)에 탑재할 때에 가이드 프레임(160) 하측의 수직부(164)를 이동 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자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의 소정 개구에 가이드 프레임(160)이 슬라이드 레일(240)에 실리도록 삽입한다(단계 1004). 가이드 프레임(160)을 슬라이드 레일(240)의 위에 실어 압입만 하기 때문에 작업은 용이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프레임(160) 하측의 수직부(164)가 슬라이드 레일(240)의 외측 레일(250) 상측의 수직부(256) 위에 실려 있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에 삽입한다. 이러한 상태를 도 5 및 도 6에 도시한다.
계속해서, 도 5에 도시하는 화살표와 같이,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삽입하고,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에 일단 수납한다(단계 1006). 이러한 상태를 도 7에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단계 1006에 있어서는 판 스프링(150)의 결합부(156)가 내측 레일(270)의 직사각형 구멍(272)에 결합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결합부(156)는 내측 프레임(270)과 접촉한 후에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가 랙 마운트 장치(200) 내로 더욱 진행됨으로써 평판부(154)의 변형에 의해 케이스(101) 내로 후퇴하고, 결합부(156)가 내측 프레임(270)의 직사각형 구멍(272)에 대향함으로써 직사각형 구멍(272) 내로 돌출한다.
이러한 상태가 예비 고정 상태이며, 케이스(101)는 판 스프링(150)과 내측 프레임(270)과의 결합을 매개로 하여, 슬라이드 레일(240)에 결합된다. 또한, 예비 고정에 의해 내측 프레임(270)의 관통 구멍(274)은 측판(120)의 관통 구멍(128)과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단, 이 상태에서는 케이스(101)와 슬라이드 레일(240)과는 견고하게 접속되지 않기 때문에, 예컨대,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01)가 인출되면, 케이스(101)의 무게가 판 스프링(150)으로 집중되어 낙하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240)을 케이스(101)에 나사(190)로 견고하게 접속해야 한다.
그리고, 다음에,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로부터 서서히 인출하면서 슬라이드 레일(240)을 케이스(101)에 나사 고정한다(단계 1008). 사용자는 핸들(142)을 잡고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로부터 서서히 인출하지만, 판 스프링(150)이 내측 레일(270)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내측 레일(270)도 서서히 돌출된다. 그래서, 관통 구멍(274, 128)이 노출될 때마다 나사(190)를 부착한다. 이러한 모양을 도 8에 도시한다.
케이스(101)와 슬라이드 레일(240)과의 본 고정 시에 예비 고정부[판 스프링(150)과 직사각형 구멍(272)]가 케이스(101)를 케이스(210)에 대하여 위치 결정 및 유지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리프터 등으로 케이스(101)를 위치 결정 및 유지하지 않아도 되며,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한, 케이스(101)를 케이스(210)로부터 인출하면서 본 고정을 행하면 예비 고정부에 과도한 부하를 걸거나, 케이스(101)가 케이스(210)로부터 탈락되거나 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슬라이드 레일(240)이 완전히 돌출된 시점에서 내측 레일(270)은 케이스 (101)에 나사(190)를 매개로 하여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레일(240)은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다음에, 슬라이드 레일(240)이 완전히 돌출되고, 본 고정이 종료된 후에, 가이드 레일(160)의 각도를 변경한다(단계 1010). 이러한 모양을 도 9의 (a) 및 (b)에 도시한다. 이때, 도 9의 (b)의 화살표 방향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 나사(170)를 관통 구멍(126a)으로부터 관통 구멍(126b)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은 가이드 레일(160)의 손잡이 나사(170)의 위치가 관통 구멍(126a) 그대이면, 다시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에 압입할 때에, 가이드 레일(160)의 하측 수직부(164)와 슬라이드 레일(240)의 외측 레일(250) 상측의 수직부(256)가 충돌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가이드 레일(160)을 변위시킴으로써 가이드 프레임(160)은 슬라이드 레일(240)로부터 이격된다. 이 때문에, 본 고정 완료 후에 케이스(101)를 이동시킬 때에, 가이드 프레임(160)과 슬라이드 레일(240)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동작에 있어서,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에 수납된 상태[도 16의 (a)]로부터 인출하여 HDD 유닛(50)을 그 높이 방향 H에 삽입한다[도 16의 (b)]. HDD 유닛(50)은 예컨대, 일본 특허 출원 2004-241231 및 일본 특허 출원 2005-18299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2.5 인치 HDD 유닛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01)의 상부판(110)을 제거하여 상면 전체에서 HDD 유닛(50)을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에 탑재 가능하게 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C)의 길이 방향 L에 복수열의 HDD 유닛(50)을 탑재할 수 있게 된 다. 이 때문에, 프런트 패널(140)만으로 HDD 유닛의 착탈을 허용하고 있었던 구성보다도 고밀도 실장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결과, 랙 마운트 장치(200)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당의 용량도 전체의 용량도 증대할 수 있으며, 최근의 고기억 용량의 요청을 만족할 수 있다.
이하, 도 11 내지 15를 참조하여,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300)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1은 가이드 프레임의 각도를 변경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 측면도이다. 도 12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의 본 고정을 해제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3은 예비 고정 종료 후의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4는 예비 고정 해제 후에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로부터 제거하는 모양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5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300)로부터 제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로부터 인출하여 가이드 프레임(160)의 각도를 바닥판에 평행하게 변경시킨다(단계 1102). 이러한 모양을 도 11에 도시한다. 이 때, 도 11의 화살표 방향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손잡이 나사(170)를 관통 구멍(126b)으로부터 관통 구멍(126a)으로 변위시킨다. 이 때, 가이드 프레임(160) 하측의 수직부(164)는 외측 레일(250) 상측의 수직부(256)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있으며, 가이드 프레임(160)은 중간 레일(260)이나 내측 레일(270)과는 접촉하지 않는다.
다음에,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에 서서히 삽입하면 서 슬라이드 레일(240)과 케이스(101)의 나사 고정을 내측으로부터 해제한다(단계 1104). 이러한 모양을 도 12에 도시한다.
사용자가 핸들(142)을 통해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에 삽입함에 따라서 하측의 경사부(165)가 외측 레일(250) 상측의 수직부(256)에 접촉한다. 또한,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내에 압입하면 경사부(165)가 외측 레일(250) 위에 실린다. 수직부(164)가 단부(161b)에 경사부(165)를 갖기 때문에 외측 레일(250) 위에 실리는 동작도 원활해진다. 또한, 경사부는 수직부(164)에 설치되는 대신 외측 레일(250)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결과, 가이드 레일(160)이 슬라이드 레일(240) 위에 실린다.
이러한 작업을 계속하면서, 가장 전면에 가까운 나사(190)를 제거한 후에, 판 스프링(150)의 결합부(156)를 압입하면서 케이스(101)를 랙 마운트 장치(200)로부터 케이스(101)와 슬라이드 레일(240)의 예비 고정을 해제한다(단계 1106). 그 후, 사용자는 디스크 어레이 장치(100)를 랙 마운트 장치(200)로부터 인출한다(단계 1108). 또한, 케이스(21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내측 레일(270)은 단계 1106 또는 1108에 있어서 케이스(210) 내로 압입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본 실시예는 유닛을 2.5 인치 HDD 유닛으로 하였지만 3.5 인치 HDD 등이라도 좋다.
본 발명은 또한 이하의 사항을 개시한다.
(부기 1)
제1 케이스와 제1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는 랙 마운트 장치의 상기 기구에 고정되는 제2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상기 제1 케이스에 탑재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와 결합 가능한 예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1)
(부기 2)
상기 예비 고정부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전면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케이스 내로 후퇴 및 상기 제2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전자 기기.
(부기 3)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고, 상기 예비 고정부를 상기 기구에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전자 기기.(2)
(부기 4)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 위를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한 전자 기기.(3)
(부기 5)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전면에 수직한 한 쌍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에 평행한 수평부와 상기 측면에 수직한 한 쌍의 수직부로 이루 어지는 단면 U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에 기재한 전자 기기.(4)
(부기 6)
상기 한 쌍의 수직부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전면에 가까운 한 쌍의 단부와 먼 한 쌍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먼 단부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5에 기재한 전자 기기.(5)
(부기 7)
상기 이동 수단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하고,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한 전자 기기.(6)
(부기 8)
상기 이동 수단은 제1 및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2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제2 단부에서 상기 제2 케이스 위의 2개의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2 케이스와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단부에 손잡이 나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에 기재한 전자 기기.
(부기 9)
상기 제2 케이스의 인출 방향의 길이를 L이라고 하면,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전면으로부터 L/4에서 3 L/4의 범위를 덮는 적어도 L/2의 길이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부기 10)
상기 전자 기기는 복수의 유닛이 상기 전자 기기의 높이 방향을 따라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에 기재한 전자 기기.
(부기 11)
복수의 전자 기기를 인출 가능하게 탑재하는 랙 마운트 장치로서, 이 랙 마운트 장치는 제1 케이스와 이 제1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기구에 고정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와 결합 가능한 예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마운트 장치.(7)
(부기 12)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 위를 미끄럼 이동하고,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며, 이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수납할 때에, 상기 기구의 제1 단부에 접촉 가능한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및 제2 단부 중 적어도 한 쪽이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1에 기재한 랙 마운트 장치.
(부기 13)
제1 케이스와 이 제1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는 랙 마운트 장치에 전자 기기를 인출 가능하게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기구와 예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케이스와 상기 기구를 본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8)
(부기 14)
상기 예비 고정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 고정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상기 기구와 함께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3에 기재한 방법.(9)
(부기 15)
상기 수납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제1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본 고정 단계 후에, 상기 이동 수단을 제1 상태와는 다른 제2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1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하고,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4에 기재한 방법.(10)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 기기를 랙 마운트 장치에 작업성 좋게 탑재 가능한 전자 기기, 랙 마운트 장치 및 탑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는 랙 마운트 장치에 인출 가능하게 탑재되는 전자 기기로서,
    상기 기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인출 가능하게 상기 제1 케이스에 탑재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와 결합 가능한 예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 위를 미끄럼 이동 가능한 가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제2 케이스의 전면에 수직한 한 쌍의 측면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에 평행한 수평부와 상기 측면에 수직한 한 쌍의 수직부로 이루어지는 단면 U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는 상기 제2 케이스의 상기 전면에 가까운 한 쌍의 단부와 먼 한 쌍의 단부를 가지며, 상기 한 쌍의 먼 단부는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하고,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7. 복수의 전자 기기를 인출 가능하게 탑재하는 랙 마운트 장치로서,
    이 랙 마운트 장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기기는,
    상기 기구에 고정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 부착되어 상기 기구와 결합 가능한 예비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랙 마운트 장치.
  8. 제1 케이스와 이 제1 케이스로부터 돌출 가능한 기구를 포함하는 랙 마운트 장치에 전자 기기를 인출 가능하게 탑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기구와 예비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2 케이스와 상기 기구를 본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고정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수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본 고정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로부터 상기 기구와 함께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단계는 상기 제2 케이스를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제1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본 고정 단계 후에, 상기 이동 수단을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1 상태로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는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한 상태로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하고,
    상기 이동 수단이 상기 제2 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제2 케이스가 상기 제1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할 때에 상기 이동 수단은 상기 랙 마운트 장치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0089180A 2005-06-24 2005-09-26 전자 기기, 랙 마운트 장치 및 전자 기기의 랙 마운트장치에의 탑재 방법 KR100699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4760A JP4346582B2 (ja) 2005-06-24 2005-06-24 電子機器、ラックマウント装置、及び、電子機器のラックマウント装置への搭載方法
JPJP-P-2005-00184760 2005-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466A true KR20060135466A (ko) 2006-12-29
KR100699764B1 KR100699764B1 (ko) 2007-03-28

Family

ID=37566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180A KR100699764B1 (ko) 2005-06-24 2005-09-26 전자 기기, 랙 마운트 장치 및 전자 기기의 랙 마운트장치에의 탑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00509B2 (ko)
JP (1) JP4346582B2 (ko)
KR (1) KR100699764B1 (ko)
CN (1) CN10051261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7790B2 (ja) * 2005-11-28 2009-09-09 富士通株式会社 制振ユニット
US20070247044A1 (en) * 2006-04-25 2007-10-2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f-Locating Rear Mount System and Method for Rack Mountable Equipment
JP2008260433A (ja) * 2007-04-12 2008-10-30 Fujitsu Ltd 車輌搭載用の多段式収納架
US9426903B1 (en) 2008-06-27 2016-08-23 Amazon Technologies, Inc. Cooling air stack for computer equipment
US9894808B2 (en) 2010-03-31 2018-02-13 Amazon Technologies, Inc. Compressed air cooling system for data center
US8755192B1 (en) 2010-03-31 2014-06-17 Amazon Technologies, Inc. Rack-mounted computer system with shock-absorbing chassis
US9622387B1 (en) 2010-03-31 2017-04-11 Amazon Technologies, Inc. Rack-mounted air directing device with scoop
US10492331B1 (en) 2010-09-29 2019-11-26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oling power distribution units
CN102455751A (zh) * 2010-10-18 2012-05-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服务器装置
WO2012063280A1 (en) * 2010-11-09 2012-05-18 Hitachi, Ltd. Structual fabric of a storage apparatus for mounting storage devices
CN102759961B (zh) * 2011-04-28 2015-09-0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硬盘固定架
US9095070B2 (en) * 2011-12-05 2015-07-28 Amazon Technologies, Inc. Partial-width rack-mounted computing devices
US8867214B2 (en) 2011-12-15 2014-10-21 Amazon Technologies, Inc. Modular server design for use in reconfigurable server shelf
US8773861B2 (en) 2011-12-15 2014-07-08 Amazon Technologies, Inc. Reconfigurable shelf for computing modules
US8720043B2 (en) 2011-12-15 2014-05-13 Amazon Technologies, Inc. Method of allocating resources in a rack system
US10082857B1 (en) 2012-08-07 2018-09-25 Amazon Technologies, Inc. Cooling electrical systems based on power measurements
TWI475394B (zh) * 2012-10-15 2015-03-01 Aopen Inc 用來擴充主機模組之傳輸功能之傳輸埠模組及其電腦系統
US9894809B1 (en) 2013-02-28 2018-02-13 Amazon Technologies, Inc. System for supplying cooling air from sub-floor space
US9313914B2 (en) * 2013-03-13 2016-04-12 Jonathan Manufacturing Corporation Slide assembly
JP6107371B2 (ja) 2013-04-22 2017-04-05 富士通株式会社 ラックマウント装置
TWI513434B (zh) * 2014-01-28 2015-12-21 King Slide Works Co Ltd 滑軌總成及用於滑軌總成的連接裝置
TWI513433B (zh) * 2014-01-28 2015-12-21 King Slide Works Co Ltd 滑軌總成及用於滑軌總成的連接裝置
US8854769B1 (en) * 2014-04-07 2014-10-07 King Slide Works Co., Ltd. Slide rail system and connecting device used for slide rail assembly
CN104460884A (zh) * 2014-11-26 2015-03-25 英业达科技有限公司 服务器
JP6424677B2 (ja) * 2015-03-02 2018-11-21 富士通株式会社 ラック装置
TWI581736B (zh) * 2015-03-12 2017-05-11 King Slide Works Co 滑軌總成
CN108353515B (zh) * 2015-10-30 2020-06-05 东芝三菱电机产业系统株式会社 电源装置
US10133302B2 (en) * 2017-03-08 2018-11-20 Celestica Technology Consultancy (Shanghai) Co. Ltd. Cable management device and rack-mounted equipment system applying cable management device
CN110392504B (zh) * 2018-04-16 2020-10-09 纬联电子科技(中山)有限公司 托盘机构及其机壳模块
CN116113200B (zh) * 2023-04-14 2023-07-25 成都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刀片式服务器数据存储机组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0743A (ja) 1998-05-07 1999-11-30 Nec Eng Ltd 電子機器組立体
JP2000323873A (ja) 1999-05-13 2000-11-24 Kawamura Electric Inc サーバー収納用ラック
US6424534B1 (en) * 2000-10-26 2002-07-23 Hewlett-Packard Company Computer enclosure rack mounting system
US6464085B1 (en) * 2001-11-20 2002-10-15 Enlight Corporation CD-ROM rack
JP3670630B2 (ja) 2002-07-16 2005-07-13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ユニット着脱機構及びディスクアレイ装置
US6788542B2 (en) * 2002-08-12 2004-09-07 Sun Microsystems, Inc. Hinged cover for rack-mountable module
TW577567U (en) * 2003-01-28 2004-02-21 Shuttle Inc Mask lid structure of computer host panel
US7168576B2 (en) * 2003-03-21 2007-01-30 Dell Products L.P. Tool-less cable management attachment bracket and method of use
JP4311569B2 (ja) * 2004-08-04 2009-08-12 富士通株式会社 着脱機構、ユニット及びそれを有する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2611C (zh) 2009-07-08
US20060290245A1 (en) 2006-12-28
JP4346582B2 (ja) 2009-10-21
KR100699764B1 (ko) 2007-03-28
JP2007004538A (ja) 2007-01-11
CN1886037A (zh) 2006-12-27
US7400509B2 (en) 200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764B1 (ko) 전자 기기, 랙 마운트 장치 및 전자 기기의 랙 마운트장치에의 탑재 방법
JP4175325B2 (ja) ラック
JP6745931B2 (ja) ケーブル管理アセンブリ
US7477525B2 (en) System for maintaining an assembly of three parts in position that exerts a predetermined compressive force on the intermediate part
EP3352547B1 (en) Slide rail assembly
DE202006012202U1 (de) Cajon und Ständer zu dessen Aufnahme
US6813156B2 (en) Computer system and a combining structure for a power supplying unit for a computer system
US20110058339A1 (en) Equipment racks utilizing rail engaging retaining brackets that limit chassis movement
US20080272071A1 (en) Fastening system for fastening a plate within an enclosure
JP2009289173A (ja) ラックのサーバマウント構造
US11067290B2 (en) Cabinet and slide rail kit thereof
CN209845561U (zh) 一种可调节式机柜
CN113796653A (zh) 一种基于互联网的多功能信息技术咨询服务装置
JP4182519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の収納装置
CN217177274U (zh) 一种导轨反弹器
CN216355499U (zh) 一种可调节安装板的电源柜内部安装架
CN219215874U (zh) 一种内部空间可自由组合的塑料盒
JPH09238764A (ja) 引出し部材の支持装置
CN215649934U (zh) 用于调整隔层间距的调节结构及应用该结构的文件柜
CN217624849U (zh) 一种地质勘探用便携式工具收纳箱
CN213433397U (zh) 组装设备
CN214525258U (zh) 一种用于汽车配件装车的物流装置
JPH11127989A (ja) 収納庫
CN219331086U (zh) 一种组合式置物柜
CN217707074U (zh) 玻璃插架辅助装置及玻璃插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