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804A -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804A
KR20060134804A KR1020060053302A KR20060053302A KR20060134804A KR 20060134804 A KR20060134804 A KR 20060134804A KR 1020060053302 A KR1020060053302 A KR 1020060053302A KR 20060053302 A KR20060053302 A KR 20060053302A KR 20060134804 A KR20060134804 A KR 20060134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organic
glass substrate
substrate
sealing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4970B1 (ko
Inventor
히데요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4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90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51Division of substrat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복수의 유기 EL 표시부를 갖는 유기 EL 기판을 밀봉·분단하여 복수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때에, 접착폭을 제어하여 유리 절단위치를 확대하지 않고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밀봉 유리기판을 이용하여, 염가이며 수명이 긴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유기 EL 기판과, 평판형상의 유리로 형성되어 있으며, 유기 EL 기판의 유기 EL 적층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의 오목부와, 오목부 주위의 접착영역과, 접착영역 주위의 접착제 도피홈(escape groove)을 가지며, 오목부와 상기 접착제 도피홈이 동일한 깊이를 갖는 밀봉 유리기판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시키고;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벽 측면보다 외측이면서, [(밀봉 유리기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 - (접착제 도피홈의 깊이에 상당하는 길이)]까지의 거리의 위치에서 밀봉 유리기판을 분단하고;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벽보다 외측의 위치에서 유기 EL 기판을 분단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Description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ORGANIC EL DISPLAY}
도 1은 종래기술의 방법으로 제작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그 단면도이며, (b)는 유기 EL 기판측의 상면도이고, (c)는 밀봉기판측의 상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방법으로 이용되는 유기 EL 다수 취득 기판 및 밀봉 유리기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방법에 따른 밀봉 및 분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그 단면도이며, (b)는 유기 EL 기판측의 상면도이고, (c)는 밀봉기판측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이용되는 밀봉 유리기판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단면도이며, (b)는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밀봉 및 분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그 단면도이며, (b)는 유기 EL 기판측의 상면도이고, (c)는 밀봉기판측의 상면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 및 본 발명의 방법에서의 접착제의 확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종래기술의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b)는 본 발명의 방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작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그 단면도이며, (b)는 유기 EL 기판측의 상면도이고, (c)는 밀봉기판측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이용되는 밀봉 유리기판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접착영역의 양측에 접착제 도피홈을 형성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b)는 접착제 도피홈이 부분적으로 인접하는 접착제 도피홈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고, (c)는 접착제 도피홈의 외주 정점이 직각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며, (d)는 접착제 도피홈이 전부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25 : 유기 EL 기판 12, 26 : 유기 EL 적층부
13 : 접착제 14 : 밀봉 유리기판
15 : 흡습제 17(a, b), 27 : 단자인출부
21 : 밀봉기판 22 : 오목부
31, 32 : 분단선 41 : 밀봉 유리기판
42 : 오목부 43 : 접착영역
44 : 접착제 도피홈 45 : 접착제 도피홈 외주 정점
46 : 접착제 도피홈 내주 정점 51, 52 : 분단선
53 : 유기 EL 기판 61 : 투명기판
62 : 유기 EL 적층부 63 : 접착제
64 : 밀봉 유리기판 65 : 흡습제
67(a, b) : 단자인출부
본 발명은, 주로 밀봉 유리기판을 이용한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착부에 인접하여 접착제의 도피홈이 형성되어 있는 밀봉 유리기판을 이용한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종래의 밀봉구조는, 특히 하부발광(bottom emission)구조라 불리우는 방식에서는, 도 1과 같이 되어 있다. 도 1의 (a)의 단면도에 있어서, 유리기판(11) 상에 투명전극, 유기 EL 층, 반사전극 등의 적층체(12) 및 상기 적층체(12)의 반사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인출부(17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적층체(12)의 주위에 접착제(13)가 도포되어 밀봉용 유리기판(14)을 접착하고 있다. 유기 EL 층은, 산소나 수분에 매우 약하기 때문에, 대기중에 노출되면 즉시 발광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산소나 수분을 극한까지 억제한 챔버내에서, 적층체(12)에 대향하는 부분에 흡습제(15)를 배치한 밀봉용 유리기판(14)을 이용하여 밀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 유기 EL 등의 적층막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과 흡습제가 들어가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유기 EL 등의 적층막과 대향하는 위치에 스폿 페이싱 가공 등을 실시하여, 밀봉기판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접착제(13)로서는, 예컨대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 등이 사용된다. 도 1의 (b)는 이 러한 구조를 유리기판(11)측에서 바라본 상면도로서, 적층체(12)에 상당하는 위치에 유기 EL 층에서의 발광이 출사되는 유기 EL 표시부가 형성되고, 접착제(13)에 상당하는 위치에 밀봉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c)는 이러한 구조를 밀봉용 유리기판(14)측에서 바라본 상면도로서, 단자인출부(17a, 17b)가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17a는 반사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17b는 투명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양산(量産)에서는, 1개의 유리기판에 복수개의 유기 EL 표시부를 형성하고, 밀봉용 유리기판에 의해 밀봉한 후에 이들을 분단하여, 다수개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이러한 목적에 이용되는 밀봉기판(21) 및 유기 EL 다수 취득 기판(25)을 나타낸 것이다. 유기 EL 다수 취득 기판(25)은, 투명전극, 유기 EL 층 등의 적층체(26; 반사전극과 일체가 되어 유기 EL 표시부를 형성함), 및 상기 적층체(26)에 접하는 반사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인출부(27)의 복수의 세트를 갖는다. 밀봉기판(21)은 적층체(26)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22)를 갖는다. 상기 오목부(22)의 주위에 디스펜서나 스크린 인쇄 등으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합시킨다. 도 3의 (a)는 단면도이며, 도 3의 (b)는 유기 EL 다수 취득 기판(25)측의 상면도이고, 도 3의 (c)는 밀봉기판(21)측의 상면도이다. 접합시킬 때에는, 접합후에 외부로부터 가압하거나, 혹은 감압상태에서 기판을 접합시킨 후에 대기압으로 되돌림으로써, 접착제(자외선 경화수지)를 눌러 붙인다. 자외선을 쬐어 접착제를 경화시킨 후에 밀봉기판(21)을 선(32)을 따라 절단하고, 유기 EL 다수 취 득 기판(25)을 선(31)을 따라 절단함으로써, 도 1의 형상이 잘라 내어진다. 분단할 때에는 다이아몬드 커터 등에 의해 유리 표면에 미세한 칼자국을 내어, 더욱 그 반대측에서 두드리거나, 응력을 가하여 크랙을 진전시킴으로써 유리를 깨는 스크라이브법이 채용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밀봉기판으로서 유리 이외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도 제안된 바 있다(특허문헌 1 및 2 참조).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스테인리스강을 드로잉 가공한 밀봉판의 접착제 도포영역을 끼워 넣도록 2개의 홈을 형성하여 접착제가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밀봉판의 형상은 평판형상이 아니며, 유리를 이용하여 작성하기가 곤란한 형상이고, 접착제가 이들 홈을 넘어 횡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허용하고 있어, 밀봉후의 절단을 고려한 구성은 아니다. 또한, 특허문헌 2에서는, 금속 등의 밀봉체의 접착제 도포영역에 홈을 형성하여, 접착제의 발광부 수용공간으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밀봉판의 형상도 평판형상이 아니며, 유리를 이용하여 작성하기가 곤란한 형상이다. 또한, 그 구성은 접착제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발광부 수용공간으로 침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어, 밀봉후의 절단을 고려한 것은 아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189191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0-100562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접합으로부터 도 1에 도시된 형상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방식에서는, 2장의 기판(21 및 25)을 접합시킬 때, 접착제가 소정의 위치로부터 비어져 나와 옆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만약 비어져 나온 접 착제가 절단위치로까지 확대되면, 칼자국을 내어도 원하는 위치에서 유리를 분단할 수 없다(도 6의 (a) 참조). 왜냐하면, 접착제가 존재하는 부위에 칼자국을 내어도, 크랙으로 진전하지 않거나, 혹은 접착제가 없는 방향으로 크랙이 진전하여, 크랙, 버(burr), 파편 등의 고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절단위치를 접착제가 확대되는 위치보다 충분히 여유를 가지고 외측으로 해 두는 방책이 채용된다. 혹은 또, 절단위치에 제약이 있는 경우에는, 접착폭을 좁게 하거나 혹은 접착제를 너무 눌러 붙이지 않도록 하여, 접착제가 도포위치로부터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방책이 채용되어 있다.
그러나, 접착제의 확대폭의 제어는, 이것을 눌러 붙이는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어려워지기 때문에, 충분한 여유를 취할 필요가 있으며, 「액자」라 불리우는 EL 표시부 주변 영역의 확대에 의해 디스플레이 외형이 커져, 1개의 기판으로부터 취해지는 디스플레이의 수가 줄어 비용상승의 요인이 된다. 한편, 접착폭을 좁히거나 눌러 붙이는 양을 적게 하면, 밀봉성능이 저하되어, 산소 또는 수분에 의한 유기 EL 층의 열화(劣化)가 용이하게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애초에 유리를 스폿 페이싱 가공하여 오목부를 형성한 시점에서, 그 주변은 높이로 하여 수십 ㎛ 왜곡되어 있기 때문에, 스폿 페이싱 가공된 오목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기는 곤란하다.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다면, 균일하게 눌러 붙여도 확대되는 쪽(접착폭)은 장소에 따라 다르다. 왜곡된 면에 억지로 긴밀한 도포를 실시할 경우에는, 도포면의 높이를 측정하여, 이에 따라 도포하는 고가 시스템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특히 복수의 유기 EL 표시부를 갖는 유기 EL 기판을 밀봉·분단하여, 복수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때에, 밀봉기판의 접합시, 접착폭을 충분히 넓게 취한 다음에 두께를 수 ㎛라는 극한 레벨까지 눌러 붙이더라도, 접착폭을 제어하여 유리 절단위치를 확대하지 않고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구조를 실현하며, 나아가서는 염가에 수명이 긴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유기 EL 표시부에 대향하는 위치의 오목부 주변에 접착제의 도피홈을 병설한 밀봉 유리기판을 이용한다. 그리고, 접착제 도포량을 원하는 폭과 두께를 형성하는 양보다 약간 많으면서, 도피홈을 완전히 충전하는 양보다 적게 하여 접합시킨다. 그 후 유리를 분단할 때에는, 밀봉 유리기판측은 접착제의 도피홈 내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에 칼자국을 내어 분단하고, 유기 EL 기판측은 도피홈 내주보다 외측의 위치를 분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유기 EL 기판과 밀봉용 기판을 접착시킬 때에, 접착제 도포량에 편차가 있거나, 눌러 붙이는 쪽이 균일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남은 접착제가 접착제 도피홈에서 종방향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접착제 도피홈을 넘어 가로로 확대되는 일은 없으며, 접착제의 경화에 의해 형성되는 밀봉영역폭이 어떠한 부분에서도 거의 균일하게 된다. 그 후 유리를 절단할 때, 밀봉용 기판측은 도피홈의 내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의 위치에서 분단되기 때문에, 강도적으로 약한 돌기(버)가 존재하지 않는 절단면이 얻어진다. 유기 EL 기판측은, 접착제가 도피홈 내주 부근에서 그치기 때문에, 이 보다 조금 외측에 칼자국을 냄으로써, 접착제가 없는(접착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서 깨끗이 분단할 수 있다.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에 이용되는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41)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a)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의 (b)는 접착제 도피홈측의 상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밀봉 유리기판(41)은 복수의 유기 EL 적층막을 갖는 유기 EL 기판(53)과 접합시키고, 그 후에 분단하여 복수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제조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밀봉 유리기판(41)은 통상적인 경우에는 평판형상의 유리로 형성되며, 유기 EL 등의 적층막에 대향하는 위치의 오목부(42)와, 오목부(42) 주위의 접착영역(43)과, 더욱 접착영역(43) 주위(외측)의 접착제 도피홈(44)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각의 접착제 도피홈(44)은 유기 EL 적층막에 1 대 1로 대응하여 설치되며, 다른 유기 EL 적층막에 대응하는 접착제 도피홈과는 연결되어 있지 않다(즉,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오목부(42)는 통상의 경우, 유기 EL 적층막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이다. 오목부(42)의 폭 및 길이의 각각은, 유기 EL 적층막보다 통상 한쪽이 500㎛ 정도의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의 깊이는 [흡습제의 두께] + [유기 EL 적층막의 두께] - [접착두께] 보다 큰 것이 필요하며, 밀봉 유리기판의 왜곡 및 가공 정밀도의 공차를 고려한 여유를 갖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의 깊이는 통상적으로 200 ~ 500㎛ 범위내이다. 접착영역(43)은 유기 EL 적층막의 크기에도 의존하는데, 통상적으로 1mm ~ 5mm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도피홈(44)은 접합시에 접착제가 접착제 도피홈(44)보다 외측으로 확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폭 및 깊이를 가져야 한다. 접착제 도피홈(44)의 폭은, 통상적으로 0.5 ~ 2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 ~ 1.5mm이다. 또한, 접착제 도피홈(44)의 깊이는, 통상적으로 200 ~ 500㎛이다. 여기서, 접착제 도피홈(44)과 오목부(42)는 동일한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도피홈(44)의 4부분의 외주 정점(45)은 라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 정점(45)을 라운드로 함으로써, 오목부(42) 및 접착제 도피홈(44)을 제작할 때 밀봉 유리기판(41)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접착제 도피홈(44)의 4부분의 내주 정점(46)은, 라운드로 하지 않고 직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도피홈(44)의 내주는, 스크라이브법에 의해 밀봉 유리기판을 분단할 때에 직교하는 분단선을 형성하는 부위에 가장 가까우며, 만약 내주 정점을 라운드로 하면, 분단하였을 때에 강도적으로 약한 차양형상의 돌기(버)가 남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밀봉 유리기판(41)은, 에칭 혹은 샌드블러스트에 의해 파들어가기 가공(digging processing)하여, 오목부(42) 및 접착제 도피홈(44)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 가공방법의 경우에는, 파들어가는 깊이를 오목부(42) 및 접착제 도피홈(44)에서 동일하게 할 경우, 이들을 동시에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오목부만을 갖는 종래의 밀봉 유리기판(도 2)에 비해 가공 비용이 증가하는 일은 없다.
도 5는 밀봉 유리기판(41)과 유기 EL 기판(53)과의 접합 및 분단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의 (b)는 유기 EL 기판(53) 측의 상면도이며, 도 5의 (c)는 밀봉 유리기판(41)측의 상면도이다. 밀봉 유리기판(41)의 오목부(42)에 흡습제(65)를 배치하여도 된다. 흡습제(65)는, 가령 산화칼슘이 들어 있는 시일이 부착된 패키지 등 해당 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스크린 인쇄 또는 범용 디스펜서를 이용하여 접착영역(43) 상에 접착제(63)를 도포한다. 접착제(63)로서는 해당 기술에서 알려져 있는 임의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균일한 입경을 갖는 유리 비즈 등의 스페이서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이용해도 된다. 스페이서를 함유하는 접착제는, 최소의 접착두께를 확보하여 접착제가 지나치게 찌부러지지 않도록 하는 데 유효하다.
접합은, 유기 EL 기판(53)과 밀봉 유리기판(41)을 맞추어 가압하는 방법이나, 감압하에서 이들 2장의 기판을 맞춘 후에 대기압으로 되돌리는 방법, 나아가서는 이들을 조합시키는 방법 등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접합시켜 접착제를 눌러 붙여 가면, 도 6의 (b)와 같이 접착제(63)는 가로로 넓어지고, 여분의 접착제(63)가 접착영역(43)을 초과한 곳에서, 접착제 도피홈(44)에 걸려, 여기서 종방향으로도 확대되기 때문에, 접착제 도피홈(44)을 초과한 횡방향으로의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제(63)는 내부를 향하여 횡방향으로도 넓어지는데, 이 경우에도 오목부(42)에서 종방향으로도 확대되기 때문에 횡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접착제(63)가 횡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단위 길이당의 접착제 도포량을 [접착영역의 폭 × 접착두께] 보다 많고, [접착영역의 폭 × 접착두께 + 접착제 도피홈이 폭 × 접착제 도피홈의 깊이] 보다 충분히 적게 해 두면, 거의 접착영역의 폭 = 접착폭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접착두께란 접착영역(43)에서의 접착제의 최종적인 두께를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접착제 도포량으로 함으로써, 접착제가 접착제 도피홈(44) 및 오목부(42)의 양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고려하면, 접착제 도피홈(44) 및 오목부(42)의 양쪽에서, 각각 단위 길이당 접착제 도피홈의 용적(폭 × 깊이)의 절반 이하의 접착제가 비어져 나오고, 비어져 나온 접착제가 접착제 도피홈(44)의 바닥면으로 확대되는 것을 대체로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접착제 도피홈(44)의 외주측 벽에 접착제가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접착제 도피홈(44)의 폭을 접착영역(43) 폭의 한쪽 플러스 공차보다 크게 하고, 단위 길이당의 접착제 도포 체적을, [접착영역의 폭 × 접착두께] 보다 많고 [접착영역의 폭 × 접착두께 + (접착영역의 폭의 한쪽 플러스 공차 × 2 × 접착제 도피홈의 깊이) × 0.5]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최종적인 접착제(63)의 두께를 10㎛ 이하로 하더라도 접착제가 확대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는데, 물론 10 ~ 50㎛라는 종래의 접착두께에서도 보다 간단하게 접착제가 확대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합에 있어서, 유기 EL 기판(53) 및 밀봉 유리기판(41)에 왜곡이 없으며, 이용되는 장치가 오차가 없는 완전한 것이였다고 하더라도, 설계상의 접착폭 목표값이 2mm, 접착두께 목표값이 6㎛이며, 접착폭의 오차를 ±0.2mm 이내로 할 경우, 접착제 도피홈이 없는 종래기술의 밀봉 유리기판을 이용할 때에는, 단위 길 이(1mm)당의 접착제의 양을 0.012±0.0012mm3로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본원의 밀봉 유리기판(41)에서 깊이가 0.5mm인 접착제 도피홈(44)을 형성한 경우에는, 단순히 말하면 단위 길이(1mm)당 0.1mm3 의 비어져 나옴량이 허용되기 때문에, 단위 길이(1mm) 당의 접착제의 양을 0.012 + 0.1/-0.0012mm3로 관리하면 된다. 즉, +측의 여유가 목표량보다 훨씬 크고, 유기 EL 기판(53) 및 밀봉 유리기판(41)에 왜곡이 있다고 하더라도, 접착제량을 약간 넉넉하게 제어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접착폭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접합을 실시한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63)를 경화시킨다.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 강도 및 조사시간은, 사용하는 접착제(63)의 종류 및 접착제(63)의 두께에 의존하여, 적절히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적인 경우에는, 파장 365nm에 피크를 갖는 자외선 램프를 이용하여, 100mW/cm2의 조도로 60초간에 걸쳐 실치함에 따라, 충분한 경화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밀봉 유리기판(41) 및 유기 EL 기판(53)의 각각에 대해 스크라이브법에 의해 분단을 실시하여, 복수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EL 기판(53) 및 밀봉 유리기판(41)에 왜곡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나, 혹은 이용하는 접합장치의 정밀도를 고려하여, 접착제량을 소정의 접착폭 및 두께를 얻기 위한 목표량보다 많게 해 두지 않으면, 일부의 영역에서 소정의 접착폭 및 두께를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기판으로부터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제조할 때에는, 최악의 경우에는 일부의 디스플레이에서 밀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접착제량을 목표량보다 많게 한 경우에는, 일부의 영역에서 접착제가 접착제 도피홈(44)의 바닥면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접착제 도피홈(44)의 바닥면에 도달한 접착제를 피하여 밀봉 유리기판(41)의 분단선(52)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분단선(52)을 접착제 도피홈(44)의 내주측 벽면보다 외측이면서, 접착제 도피홈(44)의 내주측 벽멱으로부터 [(밀봉 유리기판(41)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 - (접착제 도피홈(44)의 깊이에 상당하는 길이)] 의 거리 위치까지의 사이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는 발명자들이 경험을 통해 결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는, 분단선(52)을 접착제 도피홈(44)의 내주측 벽면보다 외측이면서, 접착제 도피홈(44)의 내주측 벽면으로부터 0.3mm 이내의 위치까지의 사이에 설정함으로써, 외관상 및 기능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분단선(52)을 설정함으로써, 밀봉 유리기판(41)을 용이하게 분단할 수 있고, 밀봉 유리기판(41)의 주위에 형성되는 차양형상 돌기의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면서, 이 돌기에 의해 초래될 가능성이 있는 외관상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유기 EL 기판(53)의 분단에 대해서는, 접착제(63)의 폭(즉, 접착폭)은 접착영역(43)의 폭에 의해 거의 제어되어 있기는 하지만, 약간의 비어내어짐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피하여 분단선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유기 EL 기판(53)의 분단선(51)은, 접착제 도피홈(44)의 내주측벽(존재하는 변에서는, 상기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단자인출부) 보다 외측의 위치이며, 바람직하게는 인접하는 유 기 EL 단자인출부에 걸리지 않는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도피홈(44)의 내주측벽(존재하는 변에서는, 상기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단자인출부) 보다 0.3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5mm 이상 외측이면서, 접착제 도피홈의 외주측벽보다 내측의 위치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부분에는 접착제 도피홈(44)의 효과에 의해 접착제(63)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분단을 실시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구조와 방법을 채용함으로써, 접착폭(접착영역폭) 2mm 이상, 접착제 두께 약 6㎛ 정도라는 이상적인 밀봉구조를, 범용 디스펜서와 간단한 접합장치에 의해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었다. 종래의 접착제 도피홈(44)을 갖지 않는 밀봉기판(21)을 이용한 경우에는, 도 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가 횡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제어하기가 곤란하며, 2mm나 되는 접착폭을 수 ㎛ 두께로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접착제가 가로로 확대되는 양이 지나치게 많아져 접착제 외주부 형상이 물결치는 형태가 된다. 이를 굳이 억제하기 위해서는, 도포면에 따른 초고정밀한 도포장치와 매우 면압(面壓)관리가 좋은 대형 접합 시스템이 필요하게 되어, 모든 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된다.
또, 본 발명의 밀봉 유리기판(41)에서, 접착영역의 양측에 접착제 도피홈을 형성하고, 접착제 도피홈과는 독립적으로 유기 EL 적층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접착영역의 외측에 존재하는 제 2 접착제 도피홈은, 도 4에 나타낸 접착제 도피홈(44)에 상당하는 것이며, 동일한 폭 및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착영역의 내측에 존재하는 제 1 접착제 도 피홈은, 유기 EL 적층부 방향으로 접착제가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이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제 도피홈(44)과 동일한 폭 및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형태에서 도 8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은 「(a) 유기 EL 적층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오목부가 없으며, 접착영역의 양측에 홈이 있는 형상」으로 변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채용한 경우에도, 접착영역의 내측에 존재하는 제 1 접착제 도피홈은, 유기 EL 적층부에 대향하는 영역으로 접착제가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는 데 유효하다.
상기 제 1 접착제 도피홈 및 제 2 접착제 도피홈을 갖는 구성에서 접착제(63)가 횡방향으로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단위 길이당의 접착제 도포량을 [접착영역의 폭 × 접착두께] 보다 많으면서, [접착영역의 폭 × 접착두께 +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폭 ×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깊이] 보다 충분히 적게 해 두면, 거의 접착영역의 폭 = 접착폭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접착영역의 외측에 존재하는,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부의 바닥면 및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외주측벽에 접착제가 도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폭을 접착영역(43) 폭의 한쪽 플러스 공차보다 크게 하고, 단위 길이당의 접착제 도포 체적을, [접착영역의 폭 × 접착두께] 보다 많고 [접착영역의 폭 × 접착두께 + (접착영역 폭의 한쪽 플러스 공차 × 2 ×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깊이) × 0.5] 미만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에서도, 비록 깊이가 0.5mm인 제 1 및 제 2 접착제 도피홈을 형성하는 밀봉 유리기판을 이용하여, 설계상의 접착폭 목표값이 2mm, 접착두께 목표 값이 6㎛이며, 접착폭의 오차를 ±0.2mm 이내로 할 경우, 단위 길이(1mm)당 접착영역의 양측에서 0.1mm3의 비어져 나옴량이 허용되기 때문에, 단위 길이(1mm)당의 접착제의 양을 0.012 + 0.1/-0.0012mm3으로 관리하면 되게 된다. 즉, +측의 여유가 목표량보다 휠씬 크고, 유기 EL 기판 및 밀봉 유리기판에 왜곡이 있다고 하더라도, 접착제량을 약간 넉넉하게 제어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접착폭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유기 EL 기판 및 밀봉 유리기판에 왜곡이 발생되어 있는 경우나, 혹은 이용하는 접합장치의 정밀도를 고려해야만 하며, 접착제량을 소정의 접착폭 및 두께를 얻기 위한 목표량보다 많게 할 경우에는, 분단선을,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측 벽면의 위치로부터,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측 벽면보다 외측이면서, [(밀봉 유리기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 -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깊이에 상당하는 길이)]의 거리 위치까지에서의 사이에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람직한 범위는 발명자들이 경험을 통해 결정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단선(52)을,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측 벽면보다 외측이면서,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측 벽면으로부터 0.3mm 이내의 위치까지에서의 사이에 설정함에 따라, 외관상 및 기능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위치에 분단선을 설정함으로써, 밀봉 유리기판을 용이하게 분단할 수 있으며, 밀봉 유리기판의 주위에 형성되는 차양형상 돌기의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며, 이 돌기에 의해서 초래될 가능성이 있는 외관상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혹은 또, 이웃하는 접착제 도피홈(44)이 매우 가깝게 설계될 경우에는, 「 (b) 접착제 도피홈이 부분적으로 인접하는 접착제 도피홈과 연결되어 있는 형상」이나, 「(d) 접착제 도피홈이 전부 연결되어 있는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밀봉 유리기판(41)의 강도는 낮아지지만 가공하기는 쉬어진다. 여기서, 인접하는 접착제 도피홈과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접착제 도피홈((b)의 경우) 및 전체에 연결되어 있는 접착제 도피홈((d)의 경우)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그 깊이는 전술한 범위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그 깊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범위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b)의 경우에서 접착제 도피홈이 인접하는 접착제 도피홈과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형상은 전술한 도 8의 (a)의 변형에서의 제 2 접착제 도피홈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밀봉 유기기판(41)의 강도저하가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c) 접착제 도피홈의 외측 모서리부가 직각인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의 복합형태 등도 본 발명의 범위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접착제 도피홈의 폭 및 깊이는 전술한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형상 또한, 전술한 도 8의 (a)의 변형에서의 제 1 및 제 2 접착제 도피홈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유기 EL 적층부를 갖는 유기 EL 기판을 이용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제조하는 방식에 대해 나타내었는데, 1개의 유기 EL 적층부를 갖는 유기 EL 기판을 이용하여 1장의 디스플레이를 잘라내는 경우에 대해서도, 접착폭을 제어하여 「액자」의 폭을 작게 하는 것이 유효하기 때문에, 당연히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범위이다.
이상과 같은 접합 및 분단을 실시함으로써,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제작할 수 있다.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명기판(61; 유기 EL 기판(53)의 일부) 위에, 투명전극, 유기 EL 층 및 반사전극을 적어도 포함하는 유기 EL 적층부(62), 및 유기 EL 적층부(62)의 반사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인출부(67a)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조가 흡습제(65)가 오목부에 부착된 밀봉 유리기판(64; 밀봉 유리기판(41)의 일부) 및 접착제(63)에 의해 밀봉되어 있다. 도 7의 (b)는 상기 구조를 투명기판(61)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며, 도 7의 (c)는 밀봉 유리기판(64)측에서 바라본 상면도이다. 여기서, 단자인출부(67a)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반사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67b는 투명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투명전극은 SnO2, In2O3, ITO, IZO, ZnO : Al 등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반사전극은 고반사율의 금속, 비결정질 합금, 미세결정성(微結晶性)합금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반사율의 금속은, Al, Ag, Mo, W, Ni, Cr 등을 포함한다. 고반사율의 비결정질 합금은 NiP, NiB, CrP 및 CrB 등을 포함한다. 고반사율의 미결정성 합금은 NiAl 등을 포함한다.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을 행할 경우, 투명전극 및 반사전극의 각각은 복수의 스트라이프 형상의 부분전극으로 형성되며, 투명전극의 스트라이프가 연장되는 방향과 반사전극의 스트라이프가 연장되는 방향은 교차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도록 설정된다. 단자인출부(67a 및 67b)는, 각각 반사전극 및 투명전극을 기판 주변부까지 연장함으로써 형성해도 되며, 반사전극 및 투명전극에 접속되는 도전율이 높은 금속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유기 EL 층은, 적어도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 정공주입층, 정공수송층, 전자수송층 및/또는 전자주입층을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각 층의 재료로서는 공지된 것이 사용된다. 청색에서 청녹색의 발광을 얻기 위해서는, 유기발광층중에 예컨대, 벤조티아졸계, 벤조이미다졸계, 벤조옥사졸계 등의 형광증백제, 금속 킬레이트화 옥소늄 화합물, 스틸벤젠계 화합물, 방향족 디메틸리딘계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정공주입층으로서는 구리프탈로시아닌 등의 프탈로시아닌계 화합물 또는 m-MTDATA와 같은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정공수송층으로서는 TPD, α-NPD와 같은 비페닐아민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전자수송층으로서는, PBD와 같은 옥사디아졸 유도체, 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전자주입층으로서는 알루미늄의 퀴놀리놀 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류 금속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알칼리 금속 플루오르화수소 화합물 등을 전자주입층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유기 EL 적층부(62)는, 필요에 따라 색변환층 및/또는 컬러필터층을 더욱 포함해도 된다. 색변환층은 유기 EL 층이 발광하는 광의 파장분포를 변환시키기 위한 층이며, 예컨대 청색 내지 청녹색의 광을, 녹색광 또는 적색광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컬러필터층은 유기 EL 층 또는 색변환층으로부터의 광의 색순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파장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투과시키는 층이다. 색변환층 및 컬러필터층은, 관용의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색변환층 및 컬러필터층은, 투명전극과 투명기판(61)과의 사이에 설치된다. 양쪽 층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투명기판(61)/컬러필터층/색변환층/투명전극의 순서로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색변환층 및/또는 컬러 필터층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층과 투명전극과의 사이에, 무기산화물 또는 무기질화물 등(예컨대, SiO2, Si3N4, SiNxOy 등)으로 형성되는 패시베이션층을 더욱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색변환층 및/또는 컬러필터층을 복수종 설치함으로써, 다색표시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색변환층 및/또는 컬러필터층을 적절한 비율로 설치함으로써, 풀컬러 표시가 가능한 유기 EL 디스플레이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1)
230mm × 200mm의 치수 및 1.1mm의 두께를 갖는 무알칼리 유리기판에 레지스트 필름을 접착시키고, 샌드블러스트 가공을 실시하여 유기 EL 적층부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부(9 부분), 및 상기 오목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접착제 도피홈을 형성하여 밀봉 유리기판을 제조하였다. 오목부는 56mm × 46mm의 치수 및 0.5mm의 깊이를 갖는다. 접착제 도피홈은 1mm의 폭 및 0.5mm의 깊이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로부터 2mm 외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었다. 즉, 오목부의 주위에 폭이 2mm인 접착영역을 설치하였다. 각 접착제 도피홈은 연결하지 않고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하였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제조된 밀봉 유리기판을 세정 및 건조시킨 후에, 수분농도 및 산소농도를 모두 5ppm 이하의 챔버내에 배치하였다. 밀봉 유리기판의 각 오목부의 중앙에, 두께가 0.3mm인 흡습제를 접착시켰다. 디스펜서 로봇을 이용하여 밀봉 유리기판의 접착영역에, 6㎛의 유리비즈를 배합시킨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접착제의 도포량을, 길이 1mm당 약 0.03mm3로 설정하였다.
챔버내의 압력을 -20kPa(게이지압)로 감압시키고, 접착제를 도포한 밀봉 유리기판에 대해 두께가 0.7mm인 무알칼리 유리기판을 이용하여 제조한 9개의 유기 EL 적층부를 갖는 유기 EL 기판을 위치를 맞추어 적층시키고, 상기 적층물에 대해 5kPa의 압력을 기계적으로 인가하여 접합시켰다. 챔버내를 대기압으로 되돌린 후에, 365nm 부근의 자외선(100W/cm2)을 60초간 동안 조사하고, 그 후 1시간 동안 80℃로 가열함으로써, 에폭시 접착제를 경화시켰다. 접착두께는 6 ~ 10㎛이며, 접착제 도피홈에서의 접착제가 비어져 나오는 폭은 한쪽이 약 0.2mm였다.
유기 EL 기판과 밀봉 유리기판의 접합물을 스크라이브법에 의해 분단하였다. 밀봉 유리기판의 접착 도피홈 내주측벽으로부터 0.3mm 거리의 선을 따라 칼자국을 내고, 유기 EL 기판은, 소정의 위치(유기 EL 단자인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서는 단자인출부보다 0.5mm 외측, 단자인출부가 없는 위치에서는 접착제 도피홈 내주측벽으로부터 0.5mm 외측)에 칼자국을 내어, 자동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분단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불완전한 분단이나 금이 가는 등의 고장이 발생하지 않고, 각각의 유기 EL 디스플레이로 분단할 수 있었다. 또한, 밀봉 유리기판에 형성된 차양형상 부분은 두께가 0.6mm, 폭이 0.3mm이고,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지며, 외관상으로 문제가 없는 것이었다.
본 발명의 밀봉방법에 따라, 접착폭을 더욱 넓게 하고, 접착두께를 더욱 얇게 하여도, 밀봉영역의 폭을 간단히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외주부를 크게 하지 않고 밀봉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혹은, 종래와 동일한 밀봉폭이라면 디스플레이 외형을 작게 하여, 1장의 기판으로부터 취해지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이것을 염가인 도포장치나 접합장치로 실현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밀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수명이 길고 염가인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실현으로 이어진다.

Claims (14)

1개 또는 복수의 유기 EL 적층부를 갖는 유기 EL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평판형상의 유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유기 EL 적층부의 각각에 대응하는 위치의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 주위의 접착영역과, 상기 접착영역 주위의 접착제 도피홈(escape groove)을 갖는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의 접착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유기 EL 기판과 상기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을 접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을, 상기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벽 측면보다 외측이면서, 상기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의 두께) - (상기 접착제 도피홈의 깊이)]까지의 위치에서 분단하는 공정과,
상기 유기 EL 기판을, 상기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벽보다도 외측의 위치에서 분단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접착제 도피홈이 동일한 깊이를 갖는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 정점이 직각이며, 외주 정점이 라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영역의 폭이 1 ~ 5mm이며, 상기 접착제 도피홈의 깊이가 100 ~ 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피홈의 폭이 0.5 ~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단위도포 길이당의 도포량을, [접착영역폭 × 접착두께] 이상 [접착영역폭 × 접착두께 + (접착제 도피홈 폭 × 접착제 도피홈 깊이)]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접착두께가 1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1개 또는 복수의 유기 EL 적층부를 갖는 유기 EL 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평판형상의 유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유기 EL 적층부 주위에 대응하는 위치의 접착영역과, 상기 접착영역 내측의 제 1 접착제 도피홈과, 상기 접착영역 외측의 제 2 접착제 도피홈을 갖는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의 접착영역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유기 EL 기판과 상기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을 접합시키는 공정과,
상기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을, 상기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벽 측면보다 외측이면서, 상기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의 두께에 상당하는 길이) - (상기 접착제 도피홈의 깊이에 상당하는 길이)]까지의 위치에서 분단하는 공정과,
상기 유기 EL 기판을, 상기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벽보다도 외측의 위치에서 분단하는 공정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내주 정점이 직각이며, 외주 정점이 라운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영역의 폭이 1 ~ 5mm이며,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깊 이가 100 ~ 6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접착제 도피홈의 폭이 0.5 ~ 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EL용 밀봉 유리기판이,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유기 EL 적층부의 각각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 1 접착제 도피홈과는 별개인 오목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단위도포 길이당의 도포량을, [접착영역폭 × 접착두께] 이상 [접착영역폭 × 접착두께 + (제 2 접착제 도피홈 폭 × 제 2 접착제 도피홈 깊이)]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접착두께가 1 ~ 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20060053302A 2005-06-22 2006-06-14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10149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81736 2005-06-22
JP2005181736A JP2007005060A (ja) 2005-06-22 2005-06-22 有機el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804A true KR20060134804A (ko) 2006-12-28
KR101014970B1 KR101014970B1 (ko) 2011-02-16

Family

ID=37568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3302A KR101014970B1 (ko) 2005-06-22 2006-06-14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76138B2 (ko)
JP (1) JP2007005060A (ko)
KR (1) KR101014970B1 (ko)
CN (1) CN100546010C (ko)
TW (1) TWI398975B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47B1 (ko) * 2008-02-22 2009-05-2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8154198B2 (en) 2008-10-29 2012-04-1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368090B2 (en) 2009-11-30 2013-02-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40082248A (ko) * 2012-12-24 2014-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28B1 (ko) 2007-01-30 2008-0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4368908B2 (ja) 2007-01-03 2009-11-18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の製造方法
TW201002126A (en) * 2007-12-21 2010-01-01 Du Pont Encapsulation assembly for electronic devices
JP5099452B2 (ja) * 2008-12-15 2012-12-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発光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1042944A1 (ja) * 2009-10-05 2011-04-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8551814B2 (en) * 2010-03-11 2013-10-0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that limits damage to elements of the semiconductor device that are exposed during processing
CN101923414B (zh) * 2010-08-13 2012-07-2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的制造方法
JP5412634B2 (ja) * 2010-09-14 2014-02-12 後藤電子 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および有機el照明装置
JP2012186080A (ja) * 2011-03-07 2012-09-27 Panasonic Corp 面状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930503B (zh) * 2011-11-14 2017-12-12 Lg化学株式会社 粘合膜
JP5708624B2 (ja) * 2012-12-03 2015-04-3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2013168381A (ja) * 2013-04-26 2013-08-29 Pioneer Electronic Corp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CN105742333B (zh) * 2016-04-20 2021-04-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母板、显示面板的制造方及显示装置
KR20180057787A (ko) * 2016-11-22 2018-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6284670B1 (ja) * 2017-04-25 2018-02-28 住友化学株式会社 有機デバイスの製造方法
CN108227318B (zh) * 2018-01-15 2020-11-24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防止柔性电路板引脚短路的方法
CN111081625B (zh) * 2019-12-30 2023-11-14 江苏集萃有机光电技术研究所有限公司 硅基微型显示芯片盖板和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5494A (en) * 1978-06-30 1981-06-30 Hitachi,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elements
JP2000100562A (ja) 1998-09-22 2000-04-07 Hokuriku Electric Ind Co Ltd 有機el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2001189191A (ja) 2000-01-05 2001-07-10 Tokki Corp 有機el表示素子の封止板および封止方法
JP3620706B2 (ja) * 2000-04-13 2005-02-16 日本精機株式会社 有機el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2329576A (ja) * 2001-04-27 2002-11-1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03297558A (ja) * 2002-04-03 2003-10-17 Seiko Epson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とその製造方法、電子機器
KR100666550B1 (ko) * 2004-04-07 2007-0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6202722A (ja) * 2004-12-21 2006-08-03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有機el表示装置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447B1 (ko) * 2008-02-22 2009-05-2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US8154198B2 (en) 2008-10-29 2012-04-10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368090B2 (en) 2009-11-30 2013-02-0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KR20140082248A (ko) * 2012-12-24 2014-07-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4970B1 (ko) 2011-02-16
CN100546010C (zh) 2009-09-30
JP2007005060A (ja) 2007-01-11
US7476138B2 (en) 2009-01-13
US20060292724A1 (en) 2006-12-28
TW200705725A (en) 2007-02-01
TWI398975B (zh) 2013-06-11
CN1885515A (zh) 2006-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970B1 (ko) 유기 el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1015005B1 (ko) 유기 el용 밀봉 유리 기판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의제조방법
JP4659724B2 (ja) 封止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0671643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TWI338530B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WO2011016433A1 (ja) Led発光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0671642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2053386A1 (ja) 発光装置の製造方法及び発光装置
JP2007200856A (ja) 有機電界発光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088964A (ko) 파장 변환 부재의 제조 방법, 파장 변환 부재 및 발광 디바이스
JP5989342B2 (ja) 有機el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886253B2 (ja) 発光装置
JP2013030572A (ja) 発光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20100064870A (ko)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7294336A (ja) 発光装置、発光装置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JP5350970B2 (ja) 発光装置の製造方法
KR20070083009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5297072B2 (ja) 有機発光装置及び有機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3165007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29081A (ja) 有機el装置
WO2018142910A1 (ja) パッケージ及び波長変換部材の製造方法、パッケージ、波長変換部材、発光デバイス、パッケージの母材、並びに容器の母材
JP2003257628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181684A1 (ja) 電子素子実装用基板、電子部品、電子機器
JP3115069U (ja) 放電管
CN113707834A (zh) 一种改善Frit烧结效果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