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515A -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515A
KR20060132515A KR1020060054994A KR20060054994A KR20060132515A KR 20060132515 A KR20060132515 A KR 20060132515A KR 1020060054994 A KR1020060054994 A KR 1020060054994A KR 20060054994 A KR20060054994 A KR 20060054994A KR 20060132515 A KR20060132515 A KR 20060132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operable
change
intermediate apparatus
dest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930B1 (ko
Inventor
마이클 존 하트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2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multi hop networks, e.g. wireless relay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25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 H04W28/0942Management thereof using policies based on measured or predicted load of entities- or lin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9Management thereof
    • H04W28/0958Management thereof based on metrics or performance parameters
    • H04W28/0967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 H04W28/0983Quality of Service [QoS] parameters for optimizing bandwidth or through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36Signal-to-interference ratio [SIR] or carrier-to-interference ratio [C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에서 수신처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멀티 홉 통신 시스템, 중개 장치, 발신처 장치, 수신처 장치, 송신기, 수신기

Description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SYSTEM}
도 1a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일 셀/중계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2개의 셀/중계 모델을 도시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경로 손실 방정식 (A)에 기초하여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이론적 이득의 그래픽 표현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구현하는 제1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구현하는 제2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구현하는 제1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구현하는 제2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구현하는 제1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구현하는 제2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의 부분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구현하는 기지국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양태를 구현하는 제1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양태를 구현하는 제2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양태를 구현하는 기지국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제5 양태를 구현하는 제1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의 제5 양태를 구현하는 제2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a, 도 17b 및 도 17c는 본 발명의 제5 양태를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부들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a, 도 18b 및 도 18c는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19a, 도 19b, 도 19c 및 도 19d는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2a 및 도 22b는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3a 및 도 23b는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4a 및 도 24b는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5a 및 도 25b는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비 재생성 중계 노드를 구비하고 FDD 듀플렉싱 기술을 이용하는 멀티 홉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 발신처 송신 전력과 중개 송신 전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는 비 재생성 중계 노드를 구비하고 TDD 듀플렉싱 기술을 이용하는 멀티 홉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 발신처 송신 전력과 중개 송신 전력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a, 도 28b 및 도 28c는 RN 송신 전력의 함수인 최적 NB 송신 전력을 도시하는 도면.
도 29a 및 도 29b는 멀티 홉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관측되는 처리량의 평균 이득 변동과 단일 홉 시스템에서 관측되는 처리량의 평균 이득 변동의 비교를 그래픽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0은 발신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통신 링크가 보다 짧은 멀티 홉 링크에 비해 3dB 이들을 갖는다고 가정한 경우에 RN 송신 전력의 함수로서 최적 NB 송신 전력을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혹 네트워크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지표 도출 수단
2: 지표 편차 검출 수단
3: 결정 수단
4: 제1 계산 수단
5: 제2 계산 수단
6: 요청 수신 수단
7: 제어/명령 수단
8a: 요청 중계기
8b: 요청 수정 수단
9: 지표 수신 수단
10: 불균형 검출 수단
11: 기지국
12: 중개 장치
13: 발신처 장치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에서 수신처 장치로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멀티-홉 통신 시스템(multi-hop communication system)에서의 데이터의 처리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공간을 통해 이동할 때 무선 통신의 산란 또는 흡수로 인한 전파 손실 또는 "경로 손실"의 발생은 신호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경로 손실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송신기 안테나 높이, 수신기 안테나 높이, 반송 주파수, 클러터 유형(도시, 교외, 지방), 높이, 밀도, 거리, 지형(구릉, 평지)과 같은 지형학 상세를 포함한다.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경로 손실 L(dB)은 다음과 같이 모델링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01
(A)
여기서, d(미터)는 송신기-수신기 분리 거리이고, b(db) 및 n은 경로 손실 파라미터이며, 절대 경로 손실은 l=10(L/10)으로 주어진다.
도 1a는 기지국(3G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노드-B"(NB)로서 알려짐), 중계 노드(RN) 및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단일 셀 2홉 무선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신호가 중계 노드(RN)를 통해 기지국에서 수신처 사용자 장비(UE)로 다운 링크(DL)로 송신되는 경우, 기지국은 발신처 장치(S)를 포함하고, 사용자 장비는 수신처 장치(D)를 포함한다. 통신 신호가 중계 노드를 통해 사용자 장비(UE)에서 기지국으로 업링크(UL)로 송신되는 경우, 사용자 장비는 발신처 장치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수신처 장치를 포함한다. 중계 노드는 중개 장치(I)의 일례이며, 발신처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기, 및 이 신호 또는 그의 도함수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를 포함한다.
표 1은 이하에 멀티-홉 송신 시스템에서 발신처-수신처(SD), 발신처-중개처(SI) 및 중개처-수신처(ID) 등의 다른 링크들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의 계산된 경로 손실의 몇가지 예를 제공하고 있는데, 여기서 b 및 n은 링크들 각각에 대해 동일한 것으로 가정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02
상기 계산된 예들은 간접 링크 SI+ID를 통해 겪는 절대 경로 손실들의 합이 직접 링크 SD를 통해 겪는 경로 손실보다 작을 수 있음을 입증한다. 다시 말해, 다음이 가능하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03
(B)
따라서, 신호 송신 링크를 2개의 보다 짧은 송신 세그먼트로 분할하는 것은 경로 손실 대 거리 사이의 비선형 관계를 이용한다. 수학식 A를 이용한 경로 손실의 간단한 이론적 분석으로부터 전체 경로 손실의 감소(따라서, 신호 세기의 향상 또는 이득, 따라서 데이터 처리량)는 발신처 장치에서 수신처 장치로 직접 신호가 송신되는 것이 아니라 중개 장치(예를 들어 중계 노드)를 통해 발신처 장치에서 수신처 장치로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에 달성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멀티 홉 통신 시스템이 구현되는 경우, 무선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송신기들의 송신 전력의 감소를 잠재적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전자기 방사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간섭 레벨의 감소를 유도한다.
명백히, 경로 손실과 거리 간의 비선형 관계로 인하여, 발신처 및 수신처에 대한 중개 장치의 위치는 멀티 홉 송신이 발신처와 수신처 사이의 직접 또는 단일 홉 송신에 비해 가질 수 있는 잠재적 이득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것은, 멀티 홉 송신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이론적 이득의 그래픽 표현을 도시하고, 발신처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중개 장치의 상대적인 정규 위치에 대한 총 전력 손실(dB)을 구상하는, 도 2a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중계 노드가 발신처와 수신처 사이의 직접 링크의 라인 상에 위치하는 경우(이 경우, 경로 연장 요소(s)=1)를 고려하면, 중계 노드가 발신처 또는 수신처 장치를 향해 중간 위치로부터 멀어질 때 잠재적 이득이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개 장치의 위치가 직접 링크의 라인으로부터 멀어질 때, 이에 의해 2개의 송신 세그먼트의 합의 총 송신 길이를 연장할 때(그리고, 경로 연장 요소를 s=1.1, s=1.2 등으로 증가시킬 때), 이론적 이득의 그래픽 영역이 다시 감소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멀티 홉 통신 시스템의 이용 가능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수행된 시뮬레이션은 데이터의 처리량에 있어서 예기치 못한 낮은 이득을 나타내었다. 사실상, 겪은 이득은 경로 손실 수학식 A에 기초한 간단한 분석에 의해 제시된 잠재 이득보다 매우 낮다. 결과적으로, 멀티 홉 시스템이 신호 범위 확장, 발신처와 수신처 사이에 신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전체 송신 전력의 가능한 감소, 그렇지 않으면 액세스 불가 노드들의 접속성에 의해서 입증할 수 있다는 잠재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무선 시스템 오퍼레이터들은 멀티 홉 네트워크의 구현을 단념하였다.
예상 이득과 시뮬레이션 이득 간에 이러한 불일치가 존재하는 이유들 중 하나는 이전의 예측들은 경로 손실 파라미터 b 및 n이 모든 링크 상에서 동일하다는 가정에 기초하였다는 것이다. 실제로, 이들 값은 중계 노드의 높이에 비한 발신처 장치 및 수신처 장치의 안테나 높이의 결과로서 변한다. 따라서, 보다 현실적인 값들의 표가 이하에 표 2로 주어진다. 3GPP로 표시된 값들은 일반적으로 중개 장치의 안테나 높이가 통상적으로 발신처 및 수신처 장치의 안테나 높이 사이에 있다는 사실을 통합하기 위하여 3GPP에 의해 이용된 모델을 적응시킴으로써 획득된다. UoB로 표시된 값들은 브리스톨시의 일반적인 배치에 기초하여 브리스톨 대학에 의해 수행된 모델링으로부터 도출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04
표 2에 나타낸 경로 손실 파라미터를 이용한 총 경로 손실 대 정규 중계 노드 위치의 그래픽 도시가 도 2b에 도시된다. 도 2a의 완벽한 "종형"은, 이론적 중계 노드의 위치가 조정됨에 따라, 보다 현실적인 경로 손실 파라미터 세트가 총 경로 손실의 변동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이용될 때, 달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사실상, 이득의 영역은 감소되며, 통신 링크 상의 절대 경로 손실의 변화를 유도하는 중계 노드 또는 사용자 장비의 비교적 작은 위치 변화가 수신 장치에서의 통신 신호의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분명하다. 따라서, 발신처와 수신처 사이의 직접 송신에 비해, 멀티 홉 송신의 발생에 의해 이득이 달성되는 경우에 중개 장치 또는 중계 노드의 배치가 중요하다.
그러나, 예측이 실세계에서 만나기 쉬운 경로 손실 파라미터의 보다 정확한 반영에 기초하는 경우에도, 멀티 홉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은 예상 이득과 시뮬레이션 이득 간에 예기치 못한 열악한 대응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발신처 장치(source apparatus), 수신처 장치(destination apparatus)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intermediate apparatus)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발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는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처 장치를 향하는 통신 방향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수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는 상기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ⅰ) 상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ⅱ)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에 균형을 실질적으로 이루거나 유지하는 경향을 갖는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물론, 수신처 장치에 의해 실제로 수신되는 통신 신호는 발신처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통신 신호이거나 그로부터 도출되는 통신 신호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또한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에서 수신처 장치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는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처 장치를 향하는 통신 방향으로 송신할 수 있는 송신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수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는 상기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ⅰ) 상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ⅱ)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에 균형을 실질적으로 이루거나 유지하는 경향을 갖는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링크들 각각을 통한 데이터 처리량이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멀티 홉 시스템에서 수신기들 각각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달성하고자 한다. 바람직하게는, 결정 수단은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실질적인 불균형을 줄이거나 방지하기 위하여(즉, 실질적인 "균형"을 달성 또는 유지하기 위하여), 본 발 명을 구현하는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들에 할당되는 자원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수신처 장치 및/또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는, 수신처 장치 또는 경우에 따라서 중개 장치에서 각각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각각 포함하며, 시스템은 ⅰ) 상기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 및/또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ⅱ) 상기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을 갖는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결정 수단은, 상기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상기 하나의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ⅰ) 상기 수신처 장치가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상기 중개 장치의 송신기들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거나, ⅱ)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을 갖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 및 상기 발신처 장치의 송신기들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불균형의 존재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중개 장치들 또는 중개 장치들 중 하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의 직접 비교로부터 명백해 질 수 있 다. 대안으로, 불균형은 맵핑 기능을 통해 비교가 행해질 때 명백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값의 측정치들이 균형 시스템에 등식화되지 않고, 또 마찬가지로, 다른 값의 측정치들이 균형 시스템에 등식화될 수 있는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 홉 시스템의 배치에 앞서, 시스템을 최적화하고, 및/또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를 실질적으로 균형화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링크를 통해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의 "균형"을 달성하고 유지하기 위하여 기존 멀티 홉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처 장치에서의 RSS(수신 신호 세기), QoS(서비스 품질) 또는 SINR(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의 지표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의 RSS, QoS 또는 SINR의 지표 사이의 실질적인 "균형"을 확립하기 위하여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송신 전력은 멀티 홉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들 중 하나에 대한 목표 수신 신호 품질과 관련하여 초기에 최적화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것이 통상 수신처 장치가 될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최적화될 때, 목표 수신 신호 품질로부터 수신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편차 측정 지표(="목표로부터의 편차" 지표)가 최소화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이후, 양이거나 음일 수 있는, 목표 지표로부터의 편차의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 예를 들어, 통신 신호의 품질이 열화되거나 향상되는 경우, 또는 장치에 대한 목표 설정이 변경되는 경우, 목표 지표로부터의 편차는 증가한 다. 이 경우, 목표 지표로부터의 변화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가 검출되도록 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목표 지표로부터의 편차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고자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멀티 홉 통신 시스템의 시뮬레이션은 수신처 장치로 신호가 직접 송신되는 시스템에 비해 상당한 이득을 입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실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수행된 시스템 레벨 시뮬레이션의 결과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균형화된" 통신 시스템이 멀티 홉 송신과 연관된 이점들을 충족하고 데이터 처리량의 개선을 제공하는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입증되는 개선된 처리량에 대한 한가지 설명은 이들이 멀티 홉 시스템에서 요청되는 절대 송신 전력의 감소를 허용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위에서 이미 입증된 원리로부터 시작하여, 단일 직접 송신 링크를 2개의 보다 짧은 통신 송신 링크로 분할함으로써 신호가 겪는 총 경로 손실의 감소가 달성된다.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에서 수신처 장치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총 송신 전력은 발신처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에서 직접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작다. 따라서, 수신처 장치가(그리고 가능하게는 중개 장치도) 최소 또는 "목표" 신호 품질을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보다 적은 송신 전력이 요청된다. 송신 전력에 대해 어떠한 조정도 행해지지 않으면, 상당한 초과 송신 전력(즉, 수신처 장치 및/또는 중개 장치에서 양호한 또는 목표 신호 품질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것을 초과하는 송신 전력)이 결과로서 생길 것이다. 발신처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직접 통신에 비해 멀티 홉 통신에 의해 달성되는 이득을 더 증가시키는 기능을 하기 보다는, 오히려 이러한 초과 송신 전력은 단지 통신 링크의 품질의 열화를 유발하는 간섭 레벨을 증가시킬 것이다. 이러한 열화는 이전에 고려된 멀티 홉 통신 시스템의 열악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는 멀티 홉 시스템의 잠재 이득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예컨대) 2홉 네트워크를 통한 전체 처리량은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수 및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수 중 낮은 것에 의해 제한된다. 수신기에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수는 그 수신기에서 종료하는 통신 링크의 품질에 의존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특정 통신 링크의 수신기에서의 서비스 품질(QoS)(예컨대, 처리량)의 측정치, 수신 신호 세기(RSS)의 측정치 또는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SINR)의 측정치에 의해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멀티 홉 시스템에서 최저 품질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는 데이터 패킷 송신의 "병목(bottle neck)"을 형성하여, 멀티 홉 시스템 내의 다른 링크 상의 데이터 송신 능력을 낭비한다. 최저 품질 통신 신호를 개선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는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증가는 추가적인 자원 할당을 초래한다. 결과적으로, 시스템의 성능이 더 저하된다. 이것은 발신처 장치(NB)의 송신 전력에 대해, 단일 홉 시스템에서 관측되는 것에 비해 2홉 시스템의 사용자에 의해 관측되는 평균 패킷 처리량의 이득 편차를 도시한 도 21a 및 21b에 나타나 있다. 각각의 그래프는 4개의 다른 플롯을 포함하는데, 그 각각은 중개 장치의 다른 송신 전력을 나타낸 다. 기지국의 송신 전력이 최적점을 지나 증가함에 따라 보다 많은 신호 에너지의 방사에도 불구하고 심각한 이득 저하를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만들어진 개량은,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이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임의의 불균형이 실질적으로 감소하거나 방지되는 것을 보장하고자 하는 방법에 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패킷의 처리량을 개선할 수 없고 간섭 레벨만을 올리는 역할만 하는 초과 자원 할당이 최소화된다.
다른 최적화된 멀티 홉 시스템에서, 발생시, "불균형"(즉,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차이)을 잠재적으로 유발할 수 있는 많은 상이한 사례가 존재한다:
ⅰ) 링크들 중 하나에 대해 발생하는 경로 손실이 변한다. 이것은 그 링크에 대한 송신기 및 수신기 중 하나 또는 양자의 위치에 기인하거나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에서 발생하는 환경 조건 또는 간섭 레벨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다.
ⅱ)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가 목표 RSS, 목표 QoS 또는 목표 SINR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것은 통상 네트워크 제공자에 의해 설정되며, 통신 시스템 또는 수신 장치의 특성에 따라, 또는 송신되는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동 전화 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의 목표 RSS/SINR/QoS는 변할 수 있고, 임의의 목표 변화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목표 수 신 신호 품질로부터의 편차(즉, "목표로부터의 편차")의 측정치를 최소화하는 경향이 있게 하는 방식으로 송신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수용될 수 있다. 멀티 홉 시스템의 경우, 수신 장치들 중 한 장치의 목표의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단순히 한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은 시스템 내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ⅰ)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의 변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지표의 편차에 응답하거나, ⅱ) 장치에 의해 설정된 목표 품질의 변화를 따라 결과될 수 있는 잠재적 불균형에 응답함으로써,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품질 지표가 원하는 값(예를 들어, 수신 장치에 의해 설정된 목표일 수 있음)이 되게 하고자 하는 것들과 관련 있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멀티홉 통신 시스템에서의 균형을 달성하거나 유지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는 많은 다른 유형들의 자원이 존재한다. 이 유형들은 시스템의 송신기에 할당된 송신 전력, 송신 대역폭, 안테나 수, 부호율, 또는 변조 구성을 포함한다. 대역폭은 스케줄 시간 간격 내의 링크에 할당된 물리 송신 비트의 수로서 정의된다. 대역폭의 양을 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경우, 통신 시스템 내의 "균형"을 달성하거나 유지하기 위해서, 할당되는 실제 자원은 통신 시스템이 이용하는 채널 액세스 방법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시스템에서, 송신기가 수신기와 통신하기 위하여 송신이 허용되는 시간 슬롯의 수 또는 시간 길이를 변경시킴으로써 조정된다. 시간이 길면 길수록 또는 사용 슬롯 수가 많 으면 많을수록, 그 특정 통신 링크에 할당되는 대역폭은 더 커진다. 유사하게,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FDMA) 시스템의 경우, 대역폭 할당은 주파수 대역폭 반송자 또는 반송자 수의 할당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각각의 반송자와 연관된 주파수의 양은 변경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DMA 시스템의 경우, 이것은 이용가능 코드들의 수, 또는 발신처와 수신처 사이의 통신에 사용될 수 있는 임의의 특정 코드에 사용되는 확산 요소를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임의의 자원 할당 방법은 송신 전력의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발신처에서 수신처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는 비율을 효과적으로 제어한다.
이제,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장치들에 의해 도출되는 품질 지표들 간의 실질적인 균형을 달성하기 위해 송신 전력의 할당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이 기술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신기들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목표 품질이 실질적으로 달성되고, 각 링크에 대한 데이터 처리량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멀티-홉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결정 수단은 제어 수단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제어 수단은 결과적으로 장치에 특정 자원의 할당을 명령하는 명령을 그 장치로 발행하는 것을 담당하는 시스템의 일부이다. 그러나, 제어 수단은 예를 들어, 특정 장치의 최대 자원 할당에 관한 조건이 만족되지 않는 경우 요청되지 않을 수 있다. 대안으로, 결정 수단은 제어 수단과 동일한 장치 내의, 또는 다른 장치 내의 개별 엔티티로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3G 통신 시스템과 관련하여 "노드-B"로서 알려짐) 내 에 제어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은 중계국에서 최소 처리를 요청하면서 유지될 송신 전력의 설정의 중앙식 제어를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것은 네트워크를 관리하는 중앙 엔티티 내에 위치된 제어를 훨씬 더 간단하게 유지하므로, 무선 시스템의 오퍼레이터에게 유리하다. 또한, 중계가 오동작하기 시작하면, 제어가 기지국(또는 노드-B)에 위치한다는 사실로 인해, 오퍼레이터에 의해 교정 측정치들이 가능하다. 더욱이, 중개 장치가 이동 또는 원격 장치인 경우, 중개 장치에서의 처리가 최소로 유지된다는 사실은 전력 소모를 줄이는 면에서 유리하므로, 배터리 수명을 최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기지국(발신처)에서 수신처 사용자 장비로 다운링크(DL)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품질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유발하는 전술한 사례들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는 불균형 또는 잠재적 불균형에 응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표준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는 NB와 UE 사이의 링크이다. 멀티 홉의 경우, DL은 통신이 UE로 향하는 링크(예를 들어, RN에서 UE로, UE의 방향으로 RN에서 RN으로, 및 NB에서 RN으로)를 언급한다.
따라서, 제1 양태의 실시예는 다운링크 송신의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데, 여기서 발신처 장치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기지국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수신처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기지국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수신처 장치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ⅰ)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 또는 지표들 중 하나의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ⅱ) 기지국에 제공되고,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 또는 a)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b) 불균형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 또는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들은, ⅰ)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함으로써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간의 경로 손실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불균형에 응답하거나, ⅱ) 중개 장치와 발신처 장치 양자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함으로써 수신처 장치의 목표의 변화를 따라 결과될 수 있는 잠재적 불균형에 응답함으로써,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임의의 편차를 원하는 값으로 복원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들이 줄이거나 방지하고자 하는 불균형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의 측정치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신호 대 간 섭 플러스 잡음비의 측정치 사이의 차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수신처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기지국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기지국은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 각각은 수신처 장치 또는 중개 장치에서 각각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고, 중개 장치 및 수신처 장치는 지표들을 제어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제어 수단은:
ⅰ)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상기 지표와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상기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및
ⅱ)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계산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하게도, 본 실시예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과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 간의 균형을 달성하거나 유지하기 위하여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중개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불균형에 응답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에서 기지국으로 업링크(UL)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 들 가능한 사례들 각각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불균형 또는 잠재적 불균형에 응답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표준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는 UE와 NB 사이의 링크이다. 멀티 홉의 경우, UL은 통신이 NB로 향하는 링크(예를 들어, UE에서 RN으로, NB의 방향으로 RN에서 RN으로, 및 RN에서 NB로)를 언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 홉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수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목표 품질이 실질적으로 달성되고, 각 링크를 통한 데이터의 처리량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기지국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며, 통신 시스템은:
ⅰ)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 또는 지표들 중 하나의 지표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ⅱ) 기지국에 제공되고,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 또는 a) 중개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b) 불균형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 및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은, ⅰ)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함으로써 중개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경로 손실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는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에 응답하거나, ⅱ) 중개 장치 및/또는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함으로써 기지국 장치의 목표의 변화에 따라 결과되 수 있는 잠재적 불균형에 응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이 줄이거나 방지하고자 하는 불균형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의 측정치와 중개 장치들 또는 중개 장치들 중 하나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의 측정치 사이의 차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기지국은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기지국 및 중개 장치 각각은: 기지국 또는 중개 장치에서 각각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 및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하나의 지표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제어 수단은:
ⅰ)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와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및
ⅱ)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계산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과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 사이의 균형을 달성하거나 유지하기 위하여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은, 발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불균형에 응답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제1 및 제2 양태의 경우, 원하는 값은 수신처 장치에 대해 도출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의 값일 수 있으며, 이 값은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을 때(즉,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균형을 이룰 때), 수신처 장치에 대해 설정되는 목표 값 또는 그 목표 값에 가까운 값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양태의 제1 실시예들은, 수신처 장치에서 종료하는 통신 링크 전체의 QoS 또는 수신처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수신처 장치에 대해 설정된 목표 값 또는 그 목표 값에 가깝게 유지하는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이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수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 사이에 균형이 달성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은 이미 균형화되거나 최적화된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수신처 장치에서의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의 변화를 유발하는 경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가 검출될 것이고, 이전의 중개 장치에 할당된 자원의 요청된 변화가 결정된다. 자원 할당의 요청된 변화는 제1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다. 지표의 변화가 목표의 변화에 기인하는 경우, 제1 계산 수단은 또한 수신처 장치에서의 새로운 송신 전력이 만족됨으로 인해 불균형의 발생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목표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그러나 통신 신호의 품질이 변경되도록 경로 손실이 변경된 경우, 계산 수단은 균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것만이 필요하다. 중개 장치에서의 RSS/SINR 또는 중개 장치에서 종료하는 통신 링크 전체의 QoS의 변화를 초래하는 발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의 변화는,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구현하거나, 지표 도출 검출 수단 및 불균형 검출 수단 양자를 이용하는 시스템/방법에 의해 다루어져야 한다.
대안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 홉 통신 시스템을 최적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제1 양태의 실시예들은, 수신처 장치에 의해 설정된 목표가 달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유리하다. 이후,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이 멀티 홉 시스템을 최적화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양태의 불균형 검출 수단은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로부터의 지표들의 수신에 이어서, 또는 제어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지표들 중 하나 또는 양자의 변경에 이어서, 발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사이에서, 그리고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에서 송신되는 통신 신호가 겪는 경로 손실의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경로 손실 갱신 수단을 포함한다. 발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사이에 송신되는 통신 신호가 겪는 경로 손실의 측정치는 바람직하게는 통신 신호 가 송신될 때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측정치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에 송신되는 통신 신호가 겪는 경로 손실의 측정치는 바람직하게는 그 통신 신호가 송신될 때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측정치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중개 장치는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을 결정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중개 장치의 현재 송신 전력의 측정치를 나타내는 송신 전력 지표를 경로 손실 갱신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대안으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측정치는 ⅰ) 초기 시간에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측정치, 및 ⅱ) 초기 시간 이후 발생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지식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계산 수단에 의한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의 계산에 이어서, 중개 장치의 새로운 송신 전력이 중개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큰지가 결정된다. 이것은 명령의 수신 이후 장치에 의해, 또는 명령의 발행 전에 제어 수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새로운 송신 전력이 주어진 장치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보다 큰 것으로 제어 수단에 의해 결정된 경우, 계산 수단은 최대 송신 전력을 초과하지 않는 새로운 제2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또한, 제어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요청이 수신처 장치에 대하여 설정된 목표 품질 지표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된 목표 지표로부터의 편차의 변화에 기인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제어 수단에게 허용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요청이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된 목표 지표로부터의 편차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1 계산 수단은 또한 중개 장치에 대해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함으로써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의 계산에 이어서, 제어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이 발신처 장치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보다 큰지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새로운 송신 전력이 발신처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보다 큰 것으로 제어 수단에 의해 결정된 경우, 제1 계산 수단은 최대치를 초과하지 않는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제2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제1 계산 수단은, 유리하게도,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제2 송신 전력의 계산에 이어서, 수신처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중개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제2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은 이 지표와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동일 유형의 지표 간에 균형을 맞추거나 불균형을 방지하고자 하거나 아니면 균형을 맞추지 않거나 불균형을 방지하지 않고자 할 수 있다. 또한, 수신처 장치에 의해 설정된 목표로부터의 변동 지표의 편차가 목표 변동의 결과로서 검출되는 경우(반면, 예컨대, 수신처에서의 SINR은 일정하게 유지됨),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 사이에는 어떠한 불균형도 존재하지 않으며(시스템은 수신처 장치에서의 목표의 변화 전에 균형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 가정함), 제어 수단은 SINR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 및 발신처 장치 양자의 송신 전력에 필요한 조정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은 상이한 환경에서 발생하거나 경우에 따라서 발생할 수 있는 불균형을 줄이거나 방지할 수 있다. 구조화된 멀티 홉 시스템(즉,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가 고정되어 있는 시스템)에서 가장 발생할 가능성이 큰 사례는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경로손실이 변경되거나(이것은 수신처 장치의 위치 변화 또는 환경 조건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음), 수신처 장치의 목표가 변경되는 것이다. 이들 사례 양자는,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의해 트리거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실시예는 수신처 장치의 지표들 또는 지표들 중 하나를 항상 모니터하는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임의의 변화 또는 편차가 빠르게 검출될 수 있다. 멀티 홉 시스템을 최적화하는 프로세스에 이어서, 특히 시스템이 구조화된 멀티 홉 시스템인 경우에, 이들 실시예는 멀티 홉 시스템 전체의 균형을 달성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발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이 변경되는 경우(이것은 임시 네트워크에서 중개 장치의 위치의 변화에 기인하거나, 당해 링크를 통해 발생하는 환경 조건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음), 이것은 멀티 홉 네트워크에서 수신 장치들의 품질 지표들 간의 불균형을 검출하는 실시예들 중 하나에 의해 처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들을 처리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 표 편차 검출 수단 및 결정 수단 외에, 중개 장치는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며, 중개 장치 및 수신처 장치는 각각, 도출된 하나의 지표를 제어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어 수단은:
ⅰ)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와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및
ⅱ)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계산 수단을 더 포함한다.
수신처 장치의 목표의 변화가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의 실질적 동시 변화에 의해 수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처 장치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제어 수단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수신처 장치에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이 제공되는 경우에,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어떠한 요청도 수신처 장치에 의해 생성되지 않는다. 이것은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을 요청하는 시스템의 불균형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는 수신처 장치의 새로운 목표가 만족되지만(우연히),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에 대한 대응하는 변경이 만들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비교적 드문 상황은 지표 편차 검출 수단 및 불균형 검출 수단(주기적으로 동작함) 양자를 제공하는 통신 시스템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이어서, 제2 계산 수단은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 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를 균형화하기 위하여 요청되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수신처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이 방법은:
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수신처 장치에서 도출하는 단계;
ⅱ)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된 지표들 또는 그 중의 하나의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는 단계;
ⅲ)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 또는 a)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b) 불균형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 및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치의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수신처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고, 기지국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이 방법은:
ⅰ)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 각각에서, 수신처 장치에서, 또는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를 각각 도출하는 단계;
ⅱ)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와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는 단계; 및
ⅲ)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이 제공되는데, 기지국은:
ⅰ) 수신처 장치로부터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및 하나의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 지표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냄 -; 또는
ⅱ) 수신처 장치로부터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의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및
ⅲ) 수신처 장치로부터 수신된 하나의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또는 경우에 따라서 수신처 장치로부터의 요청의 수신에 이어서,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 또는 a)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b) 불균형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와 기지국 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계산 수단을 구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의 수신 수단은 수신처 장치로부터 지표를 수신하도록 더 동작가능한데, 이 지표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며, 기지국은:
ⅰ) 수신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하나의 지표와 중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하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기지국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계산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이 제공되는데, 기지국은:
ⅰ)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 각각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지표 또는 각각의 지표는 수신처 장치 또는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각각 나타냄-;
ⅱ) 수신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하나의 상기 지표와 중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하나의 상기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및
ⅲ)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기지 국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통신 시스템은 발신처 장치,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며,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이 방법은:
ⅰ)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는 단계;
ⅱ) 지표들 또는 지표들 중 하나의 지표의 편차를 검출하는 단계;
ⅲ)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 또는 a)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b) 불균형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 및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통신 시스템은 발신처 장치,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고,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이 방법은:
ⅰ) 기지국 및 중개 장치 각각에서, 기지국 또는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는 단계;
ⅱ)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와 중개 장치에서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는 단계: 및
ⅲ)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통신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통해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이 제공되는데, 이 기지국은:
ⅰ)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 또는
ⅱ) 지표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및
ⅲ)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 또는 a)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b) 불균형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와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은 요청이 수신처 장치에 대해 설정된 목표 수신 신호 품질의 변화로 인하는 발생하는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목표 지표로부터의 편차에 기인하는지를 제어 수단이 결정하도록 할 수 있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또한, 제어 수단은 제1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되는 새로운 송신 전력에 따라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 및/또는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중개 장치 및/또는 발신처 장치로 발행할 수 있는 명령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은 중개 장치로부터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며, 지표는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고, 기지국은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와 중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하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며, 제어 수단은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계산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불균형 검출 수단은 발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사이에서, 그리고 중개 장치와 기지국 사이에서 송신되는 통신 신호가 겪는 경로 손실의 측정치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경로 손실 갱신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통신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통해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이 제공되는데, 이 기지국은:
ⅰ)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
ⅱ) 중개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 지표 또는 각각의 지표는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냄 -;
ⅲ)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상기 지표와 중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하나의 상기 지표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및
ⅳ)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은 재생성 또는 비 재생성 중계기가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은 중앙식 제어의 이익을 향수한다.
전술한 제1 및 제2 양태는 지표가 원하는 값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또는 수신기 각각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을 실질적으로 균형화하기 위하여 요청되는 송신 전력의 명확한 계산 성능을 요청한다. 이제, 편차의 정도 또는 불균형의 정도에 상대적인 관련 장치의 송신 전력의 조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명확한 계산의 필요성을 회피하는 양태들이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기지국(발신처)에서 수신처 사용자 장비로 다운링크(DL)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불균형 또는 잠재적 불균형에 응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표준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링크는 NB와 UE 사이의 링크이다. 멀티 홉의 경우, DL은 통신이 UE를 향하는 링크(예를 들어, RN에서 UE로, UE의 방향으로 RN에서 RN으로, 및 NB에서 RN으로)를 언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 홉 시스템을 최적화하 여 수신기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목표 품질이 실질적으로 달성되고, 각각의 링크를 통한 데이터 처리량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어레이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수신처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기지국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수신처 장치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고, 통신 시스템은:
ⅰ) 기지국에 제공되는 제어 수단;
ⅱ)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상기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변경 편차 수단;
ⅲ)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 - 상기 결정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제어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요청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함 -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제1 실시예들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에 필요한 변화를 결정함으로써, ⅰ)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의 변화, 또는 ⅱ) 수신처 장치의 목표 변화에 기인할 수 있는,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에 응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유리하게도, 요청되는 송신 전력의 변화는 지표 편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편차의 정도에 상대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의 수신에 이어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중개 장치로 발행할 수 있다. 중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의 제어 수단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명령 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중개 장치는 명령의 수신에 이어서 명령에 따라 그의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입력 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제어 수단은, 불균형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입력 신호의 수신에 이어서, 중개 장치의 요청된 송신 전력의 변화가 그러한 임의의 불균형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무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기지국은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 각각은 수신처 장치 또는 중개 장치에서 각각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고, 중개 장치 및 수신처 장치는 지표를 기지국의 지표 수신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통신 시스템은:
ⅰ)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와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및
ⅱ) 기지국에 제공되고,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에서 기지국으로 업링크(UL)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가능한 사례들 각각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불균형 또는 잠재적 불균형에 응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표준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는 UE와 NB 사이의 링크이다. 멀티 홉의 경우, UL은 통신 NB로 향하는 링크(예를 들어, UE에서 RN으로, NB의 방향으로 RN에서 RN으로, 및 RN에서 NB로)를 언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 홉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수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목표 품질이 실질적으로 달성되고 각각의 링크를 통한 데이터의 처리량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 중개 장치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기지국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고, 통신 시스템은:
ⅰ) 기지국에 제공되는 제어 수단;
ⅱ)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ⅲ)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 - 상기 결정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제어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요청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함 -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제1 실시예들은, 중개 장치와 발신처 장치에 대해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함으로써, ⅰ) 중개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경로 손실의 변화, 또는 ⅱ) 기지국의 목표 변화에 기인할 수 있는,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에 응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유리하게도, 요청되는 송신 전력의 변화는 지표 편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편차의 정도에 상대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제4 양태의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의 수신에 이어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중개 장치로 발행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유리하게도, 제어 수단이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입력 신호 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중개 장치의 요청된 송신 전력의 변화가 송신 전력의 증가를 포함하는 경우,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된다는 제어 수단의 결정에 이어서, 제어 수단은 요청을 무시할 수 있다. 그러나, 중개 장치의 요청된 송신 전력의 변화가 송신 전력의 증가를 포함하는 경우,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지 않는다는 제어 수단의 결정에 이어서,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손실 전력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중개 장치로 발행할 수 있다. 중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의 제어 수단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명령 수신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개 장치는 중개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중개 장치가 명령에 따라 송신 전력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어서, 중개 장치가 명령에 따라 송신 전력의 변경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면, 중개 장치는 중개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수정된 변경을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중개 장치는 요청에 따라 또는 경우에 따라서 수정된 요청에 따라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이 변경되게 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 중개 장치 및 기지국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기지국 및 중개 장치 각각은 기지국 또는 중개 장치 각각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고, 통신 시스템은:
ⅰ)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와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ⅱ)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 및
ⅲ) 기지국에 제공되고, 변화의 결정에 이어서,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발신처 장치로 발행할 수 있는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제2 실시예는,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균형을 실질적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불균형은 발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의 변화에 기인할 수 있다. 대안으로, 불균형은 기지국의 목표 품질 지표의 변화에 응답하기 위하여 상기 제4 양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의한 동작에 이어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목표 지표로부터의 편차를 최초 측정치로 복원함에 있어서(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중개 장치 및 기지국 장치의 품질 지표들이 더 이상 균형을 이루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발신처 장치는 명령의 수신에 이어서, 그리고 명령이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에, 발신처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발신처 장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송신 전력의 수정된 변경을 결정하고 수정된 변경을 수행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또한, 제어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발신처 장치로의 명령의 발행에 이어서, 그리고 명령이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에,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이 명령에 따라 변경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를 모니터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이 요청에 따라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임의의 후속 증가를 금지하도록 동작가능하 다.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는 경우, 그리고 후속 불균형이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후속 증가를 허용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는 경우, 그리고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해 후속 불균형이 검출되어 기지국의 제어 수단이 발신처 장치로 명령을 발행하고, 이 명령이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후속 증가를 허용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또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는 경우, 그리고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해 불균형이 검출되어 기지국의 제어 수단이 발신처 장치로 명령을 발행하고, 이 명령이 발신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후속 증가를 허용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유리하게도,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양태의 실시예들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균형을 실질적으로 복원하거나 달성하기 위해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송신 전력의 설정의 집중화된 제어로부터 이익에 유리하다.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을 포함하는 제3 및 제4 양태의 실시예들은 단독으로,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의 변경에 따라 멀티 홉 시스템의 균형을 복원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이 변경되는 경우(이것은 임시 네트워크 내의 중개 장치의 위 치 변경 또는 그 링크를 통해 발생하는 환경 조건의 변경에 기인할 수 있음), 이것은 불균형 검출 수단을 제공하고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는 제3 및 제4 양태의 실시예들에 의해 처리되어야 한다. 더욱이, 수신처 장치에 의해 설정된 목표 품질의 변경에 따라 멀티 홉 통신 시스템의 균형을 복원하기 위하여, 중개 장치 및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이 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신처 장치의 목표 품질 지표의 변경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지표 편차 검출 수단 및 불균형 검출 수단 양자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불균형의 검출은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따라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및 결정 수단을 구비한 통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제3 및 제4 양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중개 장치가 중개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며, 중개 장치 및 수신처 장치는 지표를 제어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통신 시스템은: 수신처 장치의 지표와 중개 장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또한,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의 실질적인 동시 변경에 의해 수신처 장치의 목표 변경이 수용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비교적 드문 상황은 지표 편차 검출 수단 및 불균형 검출 수단 양자를 포함하는 실시예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 수신처 장치 및 적어도 하 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기지국은 통신 신호를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기지국은 제어 수단을 포함하며, 이 방법은:
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는 단계;
ⅱ)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 또는 지표들 중 하나의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는 단계;
ⅲ)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및
ⅳ)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에 대한 요청을 제어 수단으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ⅰ)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에서, 수신처 장치 또는 중개 장치 각각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는 단계;
ⅱ) 지표를 기지국의 지표 수신 수단으로 송신하는 단계;
ⅲ)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의 지표들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는 단계; 및
ⅳ)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이 제공되는데, 이 기지국은:
ⅰ) 수신처 장치로부터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및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 지표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냄 -; 또는
ⅱ)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수신처 장치로부터의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 이 요청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변화를 나타냄 -; 및
ⅲ) 수신처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하나의 지표의 변경의 검출에 이어서, 또는 경우에 따라서 수신처 장치로부터의 요청의 수신에 이어서,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기지국은 ⅰ) 제어 수단; ⅱ) 결정 수단 및 제어 수단; 또는 ⅲ) 지표 편차 검출 수단, 결정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구현하는 기지국은
ⅰ)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 각각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 이상의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수신 수단 - 지표들은 수신처 장치 또는 중개 장치 각각 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냄 -;
ⅱ) 수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의 지표들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및
ⅲ) 기지국에 제공되고,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이 제공되는데, 이 기지국은:
ⅰ) 수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각각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 이상의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수신 수단 - 지표들은 수신처 장치 또는 중개 장치 각각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냄 -;
ⅱ) 수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의 지표들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및
ⅲ)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기지국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포함한다.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처 장치도 제공될 수 있는데, 이 수신처 장치는:
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 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 및
ⅱ)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을 포함한다.
중개 장치도 제공될 수 있는데:
ⅰ)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ⅱ)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되는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 수단;
ⅲ) 수신처 장치로부터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요청 수신 수단; 및
ⅳ) 요청 또는 그로부터 도출되는 요청을 기지국의 제어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중개 장치는 재생성 중계 노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통신 시스템은 발신처 장치,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고,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이 방법은:
ⅰ) 기지국에서,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는 단계;
ⅱ)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 또는 지표들 중 하나의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는 단계; 및
ⅲ)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멀티 홉 통신 시스템은 발신처 장치, 기지국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고,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이 방법은:
ⅰ) 기지국 및 중개 장치 각각에서, 기지국 또는 중개 장치에서 각각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들)을 도출하는 단계;
ⅱ)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와 중개 장치에서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는 단계;
ⅲ)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및
ⅳ)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발신처 장치로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이 제공되는데, 이 기지국은:
ⅰ)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
ⅱ) 지표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 또는 지표들 중 하나의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ⅲ) 지표 편차 검출 수단에 의한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지표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제어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결정 수단을 향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
ⅳ) 결정 수단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기지국의 제어 수단은, 유리하게도, 제어 수단이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입력 신호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은:
ⅰ)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ⅱ)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와 중개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고,
결정 수단은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제어 수단은 또한, 요청된 변화의 결정에 이어서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발신처 장치로 발행할 수 있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이 제공되는데, 이 기지국은:
ⅰ)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
ⅱ) 중개 장치로부터 하나 이상의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수신 수단 - 지표 또는 각각의 지표는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냄 -;
ⅲ) 기지국에서 도출되는 지표와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지표 간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ⅳ)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 및
ⅴ) 변화의 결정에 이어서,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발신처 장치로 발행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및 제4 양태의 실시예들은 중개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들로부터 중개 장치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를 분리하기 위하여 TDD 또는 FDD 듀플렉싱 기능을 가진 재생성 중계기를 이용하는 구조화된 멀티 홉 시스템에 특히 적합하다.
이제, 제어 수단이 중개 장치에 제공되는 양태들이 설명된다. 이 구성의 구체적인 이점은 중개 장치 내의 제어 수단의 위치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고 임의의 2개의 장치 사이의 접속이 신호를 중계(수신 및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를 통해 형성될 수 있는 소위 "애드혹(ad-hoc)" 네트워크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임시 네트워크 내의 중계 노드의 위치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의 기능은 이동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UL 또는 DL 데이터 송신과 관련하여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기지국(발신처)에서 수신처 사용자 장비로 다운 링크(DL)로, 또는 수신처 장치에서 기지국으로 업링크(UL)로 송신되는 데이터의 처리량을 개선하기 위하여 불균형 또는 잠재적 불균형에 응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표준 통신 시스템에서, 다운 링크는 NB와 UE 사이의 링크이다. 멀티 홉의 경우, DL은 통신이 UE를 향하는 링크(예를 들어, RN에서 UE로, UE의 방향으로 RN에서 RN으로, 및 NB에서 RN으로)를 언급한다. 표준 통신 시스템에서, 업링크는 UE와 NB 사이의 링크이다. 멀티 홉의 경우, UL은 통신이 NB를 향하는 링크(예를 들어, UE에서 RN으로, NB의 방향으로 RN에서 RN으로, 및 RN에서 NB로)를 언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멀티 홉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수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목표 품질이 실질적으로 달성되고, 각 링크의 통한 데이터 처리량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 수신처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 작가능하고, 수신처 장치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하며, 통신 시스템은
ⅰ) 중개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수단;
ⅱ)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ⅲ)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 - 상기 결정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제어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 수단을 더 포함함 -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실시예들은, 중개 장치 및/또는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에 필요한 변화를 결정함으로써 ⅰ)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의 경로 손실의 변화, 또는 ⅱ) 수신처 장치의 목표 변화에 기인할 수 있는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에 응답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유리하게도, 요청되는 송신 전력의 변화는 지표 편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되는 편차의 정도에 상대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의 수신에 이어서, 중개 장치에 대한 최대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중개 장치가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수정된 요청이 도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제어 수단이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결정 수단으 로부터 수신되는 요청이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 중개 장치에 대한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된다는 제어 수단에 의한 결정에 이어서, 제어 수단은 결정 수단으로부터의 요청을 무시하도록 동작가능하여,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에 대한 어떠한 변화도 이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발신처 장치를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 각각은 수신처 장치 또는 중개 장치 각각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고, 통신 시스템은:
ⅰ) 중개 장치에 제공되는 제어 수단;
ⅱ)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와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및
ⅲ)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 - 상기 제어 수단은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발신처 장치로 발행하도록 동작가능함 - 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제2 실시예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균형을 실질적으로 복원하거나 달성하기 위하여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유리하다. 불균형은 발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사이의 경로 손 실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불균형은 수신처 장치의 목표 품질 지표의 변화에 응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의한 동작에 이어서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목표 지표로부터의 편차를 그의 최초 측정치로 복원함에 있어서(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을 변경함으로써), 중개 장치 및 수신처 장치의 품질 지표들이 더 이상 균형을 이루지 않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발신처 장치는, 명령의 수신에 이어서, 명령이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에, 발신처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에 기초하여 요청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발신처 장치는, 명령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송신 전력의 수정된 변화를 결정하고, 수정된 변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제5 양태의 제어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발신처 장치로의 명령의 발행에 이어서, 명령이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에, 명령에 따라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이 변경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를 모니터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이 명령에 따라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임의의 후속적인 증가를 금지할 수 있다. 이것은 유리하게도, 발신처 장치가 그의 송신 전력을 더 증가시킬 수 없다는 사실로 인해 발생하는 불균형을 해소하므로, 발신처 장치의 최대 송신 전력이 도달된 때,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이 더 증가하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금지의 해제를 유도하는 다수의 사례가 있다.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는 경우, 그리고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해 어떠한 후속 불균형도 검출되지 않는 경우,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후속 증가를 허용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는 경우, 그리고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해 후속 불균형이 검출되어 중개 장치가 발신처 장치로 명령을 발행하고, 요청이 송신 전력의 감소를 위한 것인 경우,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후속 증가를 허용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는 경우, 그리고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해 후속 불균형이 검출되어, 중개 장치가 명령을 발신처 장치로 발행하고, 명령이 발신처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후속 증가를 허용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통신 시스템은 발신처 장치, 수신처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고,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중개 장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이 방법은:
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는 단계;
ⅱ)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 또는 지표들 중 하나의 지표의 원 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는 단계;
ⅲ)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에 대한 요청을 제어 수단으로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장치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통신 시스템은 발신처 장치, 수신처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고, 이 방법은:
ⅰ)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에서, 수신처 장치 또는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신호 지표를 각각 도출하는 단계;
ⅱ)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와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는 단계;
ⅲ)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및
ⅳ)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발신처 장치로 발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로부터 또는 선행 중개 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및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된 신호를 수신처 장치 또는 후속 중개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중개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중개 장치는:
ⅰ) 제어 수단;
ⅱ) 수신처 장치로부터, 또는 경우에 따라서 중개 장치 후에, 그리고 수신처 장치 전에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후속 중개 장치로부터 지표를 수신하고,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수신 수단 - 지표는 수신처 장치 또는 후속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냄 -; 또는
ⅲ)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위해, 수신처 장치로부터, 또는 경우에 따라서 중개 장치 이후에 그리고 수신처 장치 이전에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후속 중개 장치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및
ⅳ) 수신처 장치로부터의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수신처 장치로부터의 요청의 수신에 이어서,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 - 상기 결정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제어 수단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함 -;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5 양태의 제어 수단은 수신처 장치 또는 경우에 따라서 후속 중개 장치로부터의 요청의 수신에 이어서, 중개 장치가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검사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은 제어 수단이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되는지를 결정하도록 허용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처 장치로부터 수신된 요청이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에, 중개 장치에 대한 송신 전력의 증가가 금지된다는 제어 수단에 의한 결정에 이어서, 제어 수단은 요청을 무시하도록 동작가능하여,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에 대 한 어떠한 변경도 이루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5 양태의 중개 장치는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할 수 있다. 이어서, 중개 장치는:
ⅰ) 수신처 장치 또는 경우에 따라서 후속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와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하나의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ⅱ)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 - 상기 제어 수단은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발신처 장치로 발행하도록 동작가능한 발신처 명령 수단을 포함함 -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로부터 또는 선행 중개 장치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 수단, 및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된 신호를 수신처 장치 또는 후속 중개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 수단을 포함하는 중개 장치가 제공되는데, 이 중개 장치는:
ⅰ) 중개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
ⅱ) 수신처 장치로부터, 또는 경우에 따라서 중개 장치 후에, 그리고 수신처 장치 전에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후속 중개 장치로부터, 수신처 장치에 의해 또는 후속 중개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 한 수신 수단;
ⅲ)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와 수신처 장치 또는 경우에 따라서 후속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
ⅳ)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불균형을 줄이는 경향이 있는 발신처 장치 또는 경우에 따라서 중개 장치 전에 그리고 발신처 장치 후에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선행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 및
ⅴ)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발신처 장치 또는 경우에 따라서 선행 중개 장치로 발신처 장치 또는 선행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발행할 수 있는 명령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5 양태를 각각 구현하는 복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수단은 a) 수신처 장치로부터 또는 경우에 따라서 중개 장치 이후에 그리고 수신처 장치 이전에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후속 중개 장치로부터 지표를 수신하고, 수신처 장치 또는 후속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거나, b) 수신처 장치로부터 또는 경우에 따라서 중개 장치와 수신처 장치 사이에 위치하는 후속 중개 장치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상기 결정 수단은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또는 수신처 장치로부터의 요청의 수신에 이어서,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발신처 장치, 수신처 장치 및 복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는데, 발신처 장치는 중개 장치들 각각을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고, 제5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각각의 중개 장치는:
ⅰ) 수신 수단은 수신처 장치로부터 또는 경우에 따라서 중개 장치 이후에 그리고 수신처 장치 이전에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후속 중개 장치로부터 지표를 수신하고, 수신처 장치 또는 후속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을 나타내는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거나, b) 수신처 장치로부터 또는 중개 장치 이후에 그리고 수신처 장치 이전에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후속 중개 장치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며,
ⅱ) 결정 수단은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또는 경우에 따라서 수신처 장치로부터의 요청의 수신에 이어서,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제5 양태를 각각 구현하는 복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기지국 및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을 각각 상대적으로 조정함으로써, 기지국 및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을 명확히 계산하지 않고도, 중개 장치 및 수신처 장치에서의 품질 지표들을 조정하는 본 발명의 제3, 제4 및 제5 양태의 실시예들은, 바람 직하게는, 수신 신호가 비트 레벨로 디코딩되어 경결정을 행하는, 재생성 중계 노드를 이용한다. 재생성 중계 노드는 발신처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멀티 홉 시스템 내의 다음 통신국(이는 수신처 UE 또는 다른 중개 장치일 수 있다)으로 새로운 신호를 송신하기 전에 신호를 비트 레벨로 디코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 홉 시스템 내의 각 링크의 처리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각 송신 장치에서 자원의 할당을 설정하는 것이다. 처리량은 특정 통신 링크의 수신기에 대해 도출되는 품질 지표의 함수이므로, 멀티 홉 링크들에서의 처리량을 균형화하기 위해서는 각 노드에서의 수신된 품질 지표는 균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재생성 중계기의 경우, 예를 들어, 주어진 장치에서 SINR은 임의의 다른 노드에서의 SINR의 함수가 아니다. 이것은 물론 모든 노드에서의 SINR 성능이 동일하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고, 수신처에서의 목표 SINR이 만족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요청되는 SINR이 실제 SINR과 요청되는 SINR 사이의 차이에 대해 송신 전력을 간단히 조정함으로써 달성됨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목표 SINR이 하나의 장치에서 변하는 경우, 요청된 변화에 상대적인 방식으로 모든 노드에서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실제 송신 전력을 계산할 필요가 없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구현은 유리하게도 계산적으로 간단하다. 중개 장치 또는 중계 노드의 기능은 이동 전화 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제3, 제4 및 제5 양태의 경우에, "원하는 값"은 시스템이 실질적으로 균형화된 때(즉,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된 통신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균형을 이룰 때), 수신처 장치에 의해 설정된 목표 값에 있거나 이에 가까운,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된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의 값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들은 유리하게도, 수신처 장치에 의해 설정된 목표 값에서 또는 그 근처에서 수신처 장치에 의해 수신된 통신 신호의 품질을 유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들이 시스템을 최적화하여, 수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 사이에 균형을 달성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은 이미 균형화 또는 최적화된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수신처 장치에서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의 변화를 유발하는 경우에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가 검출되고, 이전의 중개 장치에 할당된 자원의 요청 변경이 결정된다.
이제, 링크들 각각에 대한 서비스 품질(QoS)의 지표들 간의 실질적인 균형을 유지하거나 얻기 위하여 링크들 각각에 대한 대역폭 할당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양태들이 기술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양태들에 따라, 발신처 장치, 수신처 장치,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이 제공되며, 발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들은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된 신호를 상기 수신처 장치를 향하는 통신 방향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기를 각각 포함하고, 수신처 장치와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들은 통신 신호나 그로부터 도출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ⅰ) 하나 또는 다수의 상기 수신기들에서 겪게 되는 서비스 품질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QoS 도출 수단; 및
ⅱ) 수신처 장치에서 겪게 되는 QoS 측정과 하나 또는 다수의 중개 장치들에서 겪게 되는 QoS 측정 간의 균형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에 할당된 대역폭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르면, 결정 수단은 기지국과 연관된 부분에 제공된다. 다운링크 송신의 경우, 기지국은 발신처 장치를 포함할 것이다. 업링크 송신의 경우, 기지국은 수신처 장치를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제6 양태의 실시예들은 멀티-홉 통신 시스템의 링크들 각각에 걸쳐 할당된 대역폭의 집중식 제어로부터 이익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르면, 결정 수단은 그 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와 연관된 부분에 제공된다. 따라서, 제7 양태의 실시예들은 멀티-홉 시스템의 링크들 각각에 할당된 대역폭의 집중되지 않은 또는 "분산된" 제어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따라서, 제7 양태의 실시예들은, 기지국이 존재하지 않고 임의의 두 장치 간의 연결이 신호의 중계(수신과 송신)가 가능한 다른 장치를 통해 형성되는 애드혹 네트워크에 쉽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애드혹 네트워크 내에서 중계 노드의 위치는 고정되지 않을 수 있고 중계 노드의 기능은, 예를 들어, 이동 사용자 장비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제7 양태의 실시예들은 통신 신호들의 UL 송신 또는 DL 송신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제6 및 제7 실시예들에서 통신 신호의 품질(QoS)의 지표는 주어진 통신 링크에 대해 QoS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데, 그 도출 수단은 ⅰ) 통신 링크 대한 QoS 지표가 도출될 통신 링크의 수신기; ⅱ) 통신 링크에 대한 QoS 지표가 도출될 통신 링크의 송신기; 또는 ⅲ) 통신 링크에 대한 QoS 지표가 도출될 송신기나 수신기 외의 장치와 연관될 수 있다. ⅰ)이나 ⅱ)의 경우, QoS 도출 수단은 링크에 걸친 서비스 품질의 직접적인 지표를, 수신기나 송신기 각각에서 로컬하게 취해지는 측정들에 의해 결정한다. ⅲ)의 경우, QoS 도출 수단은 링크에 걸친 서비스 품질의 간접적인 지표를, 수신기/송신기에서 행해지고 QoS 도출 수단들로 보고되는 측정들에 의해 결정한다. QoS 지표가 로컬의 측정과 보고된 측정의 조합으로부터 도출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중계 노드(중개 장치로서 동작하는)와 수신처 사용자 장비 간에 송신되는 다운링크 통신 신호의 경우에 있어서, QoS 지표는 UE/RN에서 행해지는 직접적인 측정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서 또는 송신하는 중계 노드에서 원격으로 도출될 수 있다. 대신에, QoS 지표들은 이전의 중계 노드(통신 시스템이 둘 이상의 링크들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의 경우)와 연관된 QoS 도출 수단에 의해서 또는 수신기/송신기에서 행해지고 상기 QoS 도충 수단으로 보고되는 측정 수단에 의해 도출될 수도 있다.
QoS 지표가 직접적으로(관련된 수신기나 관련된 송신기에서 원격으로) 도출되는 경우에, 처리량은 성공적으로 도착하는 초당 또는 예정된 시간 당 비트 수를 주목함으로써 직접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지연은 연속해서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패킷들 간의 시간을 모니터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지터는 수신되는 패킷들 간의 시간의 편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특정 수신기에 대한 QoS 지표들이 간접적으로 도출되는 경우에, 원격 장치에 QoS 지표가(들이) 결정될 링크(들)의 효율적인 처리량을 모니터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링크의 QoS 지표들은 많은 방법으로 도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링크에 걸쳐 송신된 비트 수뿐만 아니라 수신기에서의 SINR, 변조, 링크에 사용된 코딩 개요, 채널 상태, 송신기에서 사용된 코딩의 종류를 알게 되면, 비트 에러율을 계산할 수 있고 따라서 달성된 처리량을 결정하고 요청된 QoS 지표에 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QoS 지표가
Figure 112006042803669-PAT00005
(C)
와 같이 정의되는데, 여기서 처리량은
Figure 112006042803669-PAT00006
(D)
로 정의되고, b는 길이 t를 갖는 특정 송신 간격 내의 송신된 비트 수이고 Pe는 수신된 비트가 에러날 확률(또는 비트 에러율(BER))이고, Pe는 SINR과 변조 그리고 코딩 방식의 함수이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07
(E)
MCS는 변조와 코딩 방식이고 링크 레벨 시뮬레이션들은 전형적으로 Pe와 수학식(E)에 리스트된 변수들 같의 맵핑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수학식(E) 내의 변수들을 알면 Pe가 결정될 수 있고, 수학식(D)를 이용해 처리량을 계산하고 QoS 지표를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b) 송신기나 ARQ 또는 HARQ 절차가 관리되는 장치에서 패킷 승인들(ACKs)이 수신되는 비율을 모니터함으로써, 패킷들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는 비율을 알 수 있다. 각 패킷과 연관된 비트 수를 알면, 주어진 시간 간격 t 내에 성공적으로 승인된 비트 수를 단순히 축적함으로써 처리량을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하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08
(F)
승인을 수신하는 동안 지연과 지터를 모니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패킷이 송신 큐에 진입하는 것과 그 패킷에 대한 수신기로부터 승인을 받는 것 사이의 시간을 관찰함으로써 지연이 결정될 수 있다. 게다가, 큐로의 진입과 각 패킷에 대한 승인을 받는 사이의 지연의 편차를 모니터함으로써 지터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표 편차가 경로 손실의 변화에 기인하여 수신처에 의해 수신된 통신 신호의 품질이 목표로부터 벗어나는 경우, 상기 양태들 중 임의의 양태의 제1 실시예들은 유리하게도 선행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시스템의 균형을 복원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지표 편차가 수신처 장치에 의해 설정된 목표 품질의 변화에 기인하는 경우, 제1 실시예들은, 새로운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중개 장 치에서 송신 전력을 조정하는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양태들 중 임의의 양태의 대응하는 제2 실시예들은 멀티 홉 시스템에서 다른 송신기들에 대한 송신 전력의 대응하는 변화를 결정함으로써 균형을 복원하기 위해 필요하다.
상기 양태들 중 임의의 양태에서, 중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발신처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기, 및 수신된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된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기를 포함한다. 중개 장치에 의해 송신된 통신 신호로부터 중개 장치에 의해 수신된 통신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신호의 듀플렉싱은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DD) 또는 시분할 듀플렉스(TDD)가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들은 바람직하게는 소위 중계 노드(RN) 또는 중계국(RS)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 노드는 그 자신이 최종 의도 수신처가 아닌 신호를 수신한 후 신호를 다른 노드로 송신하여 신호가 의도 수신처로 진행하도록 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중계 노드는 재생성형일 수 있는데, 여기서 수신된 신호는 비트 레벨로 디코딩되어 경결정(hard decision)을 행한다. 수신 패킷이 에러가 있다고 발견되면, 재송신이 요청되고, 따라서 RN은 ARQ 또는 H-ARQ를 통합한다. ARQ 또는 H-ARQ는 재송신 요청 및 재송신된 신호의 후속 수신을 관리하기 위한 수신기 기술이다. 패킷이 성공적으로 수신되면, 패킷은 RN에 통합된 임의의 무선 자원 관리 전략에 기초하여 수신처로 향하는 재전송을 위해 스케쥴된다. 대안으로, 중계 노드는 비 재생성형일 수 있으며, 데이터는 중계 노드에서 증폭되고, 신호는 다음 국으로 전송된다. 중개 장치 또는 중계 노드의 기능은 이동 전화 또는 다른 사용자 장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의 제3, 제4 및 제5 양태의 실시예들이 단지 재생성 중계기가 중개 장치로서 사용되는 경우에 현실적으로 동작할 수 있지만, 이들은 명확한 계산 성능을 요청하지 않는 송신 전력의 비교적 간단한 결정으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송신 전력은 변화를 겪은 지표를 그의 값으로 복원하여 수신 SINR을 균형화하기 위해 지표 편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지표 변화의 정도에 대해 관련 송신기의 송신 전력을 조정함으로써 유리하게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제6 및 제7 양태들의 실시예들 또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편차의 정도를 고려함으로써 요청되는 대역폭 변화의 결정에 의존한다.
본 발명의 임의의 양태를 구현하는 기지국, 본 발명의 임의의 양태를 구현하는 중개 장치 또는 본 발명의 임의의 양태를 구현하는 수신처 장치에서 수행되는 통신 방법도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 임의의 다중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든 송신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행해지고 각각의 송신에 고유 채널화 코드가 할당되는 CDMA 시스템의 경우, Gp 요소는 처리 이득으로도 알려진 송신 신호를 확산하는데 사용되는 코드의 확산 요소 또는 길이를 나타낸다. 직교 확산 코드의 경우, 동시 송신을 위해 Gp 채널들까지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멀티-홉 통신 시스템 내에서 통신 장치의 수신기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 품질의 지표는 수신기에서 겪게 되는 서비스 품질(QoS)의 지표가 될 수 있다. QoS 지표는 주어진 통신 링크에서 겪게 되는 서비스의 특정 품질을 표시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계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QoS는 처리량(사용자 처리량이나 패킷 처리량)의 측정, 패킷 지연의 측정, 지터(패킷 지연의 편차)의 측정 또는 패킷 에러율(수신된 패킷이 에러가 될 확률)이 될 수 있는 단일 지표를 포함한다. 이 개별적인 계량들 각각은 송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통신 링크에 걸쳐 겪게 되는 QoS를 표시하고 본 발명의 멀티-홉 통신 시스템 내에서 QoS 지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대신, QoS 지표는 하나 이상의 이러한 계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비중이 적용된 입력 계량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함수가 될 수 있는 QoS의 복잡한 정의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청된 것보다 낮은(즉 대상보다 낮은) 처리량은 나쁜 QoS를 발생시키는데, 인터넷 상으로 파일을 송신하는데 걸리는 시간이나 웹페이지를 보는 속도 또는 비디오 스트리밍의 품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요청된 것보다 긴 지연은 대화형 서비스를 형편없게 만들어 음성이나 영상 호출에서 긴 지연 시간을 가져오고 온라인 게임에서 안좋은 경험을 하게 만들 수 있다. 지터 역시 대화형 서비스에 영향을 끼치고 버스트(burstiness)를 완하시키는데 많은 버퍼링이 요구되기 때문에 스트리밍 서비스(영상 다운로드나 브로드캐스트)에도 영향을 준다. 또한 QoS가 특정 통신 링크에 대해 요청된 것보다 크다면, 다른 사용자들을 위한 통신 자원을 자유롭게 하기 위해서 그 사용자와 연관된 대역폭의 양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6 및 제7 양태의 실시예들은 링크들 각각에 걸쳐 서비 스 품질(QoS) 지표들 간의 주요한 균형을 유지하거나 얻기 위하여 링크들 각각에 걸쳐 대역폭의 할당을 활용하려고 노력한다.
위에 설명한 것처럼 대역폭이 주어진 송신기에 할당된 방식은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접근 방법에 의존한다. 대역폭은 단순히 하나의 일정 또는 송신 간격 내에 더 많은 또는 더 적은 송신 자원(비트)을 할당하는 것에 의해 조절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시분할 다중 액세스(TDMA),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및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OFDMA)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 임의의 다중 액세스 기술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든 송신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행해지고 각각의 송신에 고유 채널화 코드가 할당되는 CDMA 시스템의 경우, Gp 요소는 처리 이득으로도 알려진 송신 신호를 확산하는데 사용되는 코드의 확산 요소 또는 길이를 나타낸다. 직교 확산 코드의 경우, 동시 송신을 위해 Gp 채널들까지 이용가능하다.
계산을 이용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수행되는 실제 계산은 많은 가능한 방법으로 도출될 수 있다. 멀티 홉 네트워크 내의 수신 요소 각각에서의 SINR의 고려에 기초하는 하나의 도출이 아래에 주어지며, 다양한 배치 시나리오를 위해 멀티 홉 네트워크에 포함되는 송신 요소들의 최적 송신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많은 가능한 해법을 유도한다. 당업자는 멀티 홉 네트워크의 수신기들에서 통신 신호의 품질의 다른 타입의 측정치 및 이들 측정치가 균형화되어야 하는 본 발명의 기본 원리를 고려하여 다른 해법들이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2개의 링크 사이의 개별 송신에 이용되는 듀플렉싱 방법, 및 본 통신 시스템 에 사용되는 중개 장치의 특성에 따라 계산 수단에 의해 상이한 계산이 수행될 수 있음이 후에 증명될 것이다. 또한, 해법들은 단일 셀 모델, 2 셀 모델 또는 다중 셀 모델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L 통신을 최적화하는데 사용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아래의 계산이 수행될 수 있다.
중개 장치가 재생성 중계 노드를 포함하고, 중계 노드에 의해 송신된 신호로부터 중계 노드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FDD 듀플렉싱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유리하게도 수학식 5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고,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은 유리하게도 수학식 6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중개 장치가 재생성 중계 노드를 포함하고, 중계 노드에 의해 송신된 신호로부터 중계 노드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TDD 듀플렉싱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유리하게도, 수학식 7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고,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은 유리하게도 수학식 8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중개 장치가 비 재생성 중계 노드를 포함하고, 중계 노드에 의해 송신된 신호로부터 중계 노드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FDD 듀플렉싱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유리하게도, 수학식 29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고,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은 유리하게도 수학식 31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중개 장치가 비 재생성 중계 노드를 포함하고, 중계 노드에 의해 송신된 신호로부터 중계 노드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TDD 듀플렉싱 방법이 이용되는 경우, 기지국의 송신 전력은 유리하게도, 수학식 44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 고,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은 유리하게도 수학식 47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사용자 장비"라는 용어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로 현재 알려진 기술에서 이용되는 용어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유리하게도,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와 수신처 사이의 통신 신호의 송신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을 의도한다.
전술한 임의의 양태에서, 다양한 특징은 하드웨어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또는 이 둘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여기서 설명되는 임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오퍼레이팅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및 여기서 설명되는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거나, 예를 들어 인터넷 웹 사이트로부터 제공되는 다운로드 가능한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의 형태일 수 있거나, 임의의 다른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해, 그리고 본 발명이 어떻게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기 위하여, 이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의 방식으로 설명한다.
이하에 열거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을 갖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부분들을 의미한다.
1. 지표 도출 수단
2. 지표 편차 검출 수단
3. 결정 수단
4. 제1 계산 수단
5. 제2 계산 수단
6. 요청 수신 수단
7. 제어/명령 수단
8a. 요청 중계기
8b. 요청 수정 수단
9. 지표 수신 수단
10. 불균형 검출 수단
11. 기지국
12. 중개 장치
13. 발신처 장치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의 제1 예가 이후 발신처 장치가 노드 B(NB)를 포함하고, 중개 장치가 재생성형 또는 비 재생성형일 수 있는 중계 노드(RN)를 포함하며, 수신처 장치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 장비는 RSS를 계속 모니터하여 수신 신호 세기 및 목표 수신 신호 세기로부터의 편차의 지표를 도출한다. 수신처 장치에는 이들 지표 중 하나 또는 양자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이 제공된다. 노드 B에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제1 계산 수단을 갖는 제어 수단이 제공된다.
알고리즘의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09
새로운 RN 송신 전력의 계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NB 내의 제어 수단은 현재 RN 송신 전력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정보를 얻기 위한 두 가지 기술이 이용 가능한데, 1) NB는 RN의 초기 송신 전력은 물론 최대치에 대한 지식을 가지며, 이러한 지식은 내재적이거나 RN이 NB에 접속될 때 송신된다. 이어서, NB는 RN 송신 전력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이 발행될 때 RN 송신 전력을 추적하거나, RN은 현재 송신 전력을 NB로 보고하여 NB에서의 추적에 대한 필요를 방지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보다 낮은 통지 복잡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으므로 제1 기술이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의 시퀀스는, NB 내에 제공된 제1 계산 수단이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 또는 불균형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는 중개 장치 및 기지국에 대한 새 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지표의 원하는 값(이 경우에는 목표 RSS)으로부터의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수행된다.
1. 수신처 장치는 RN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RN으로 송신한다;
2. RN은 이 요청을 제1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NB로 전달한다;
3. 현재 RN 송신 전력에 대한 지식에 기초하여, 제1 계산 수단은 UE에 의해 요청된 변화를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새로운 RN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NB는 RN 송신 전력의 유한을 고려하여 새로운 송신 전력을 적절히 조정한다;
4. 이어서,
ⅰ) RN-UE 전파 손실(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에 의해 도출되는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정됨)에서 어떠한 변화도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검출되는 경우, 요청은 RN-UE 전파 손실의 변화가 아니라 UE에서의 목표의 변화로 인해 발생되었다. 이 경우, 제1 계산 수단은 또한 NB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이어서, NB는 NB 송신 전력 변화가 만족될 수 있는지(즉, 최대 송신 전력이 초과되지 않는 증가의 경우)를 검사한다. 최대가 초과되는 경우, 이러한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력 변화가 조정된다. 이어서, 균형이 달성되도록 RN 송신 전력이 다시 계산된다. 이어서, NB는 제1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에 따라 RN이 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명령을 RN으로 송신하며, RN 송신 전력 변화에 일치하도록 그 자신의 송신 전력을 변경한다; 또는
ⅱ) RN-UE 전파 손실에서 변화가 발생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NB는 제1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에 따라 RN이 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 도록 명령을 RN에 통지한다.
전술한 알고리즘은 전파 손실이 RN과 UE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UE가 그의 목표 RSS 또는 SINR을 수정하는 경우를 관리한다. 전파 손실이 NB와 UE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UE의 목표 및 RN과 UE 사이의 전파 손실 양자가 변하는 경우를 처리하여, RN 송신 전력에 대한 어떠한 요청도 생성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이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동작한다.
이 알고리즘은 도 4를 참조하여 위에 설명된 알고리즘에 더하여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대안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알고리즘 또는 다음 알고리즘이 무선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10
알고리즘은 UE 및 RN에서 수신된 신호 세기의 지표들이 제2 계산 수단에 의해 2개 링크의 전파 손실의 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NB로 보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NB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에 따라 제2 계산 수단을 구비한다.
1. NB는 UE 및 RN 양자로부터 수신된 신호 세기의 지표를 모니터한다. RN 및 NB 송신 전력에 대한 지식과 함께 이를 이용하여 NB는 NB-RN 및 RN-UE 링크에 대한 전파 손실을 갱신한다;
2. NB-RN 또는 RN-UE 전파 손실의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 갱신된 전파 손실은 최적 NB 송신 전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RN 송신 신호에 대한 지식과 함께 제2 계산 수단에 의해 이용된다. 전파 손실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알고리즘의 현재의 반복은 종료된다;
3. 전파 손실의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
ⅰ) 계산된 NB 송신 전력이 만족될 수 있는 경우(즉, NB의 최대 송신 전력이 초과되지 않는 경우), NB는 제2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에 따라 RN이 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명령을 RN으로 송신한다. 또는
ⅱ) 계산된 NB 송신 전력이 만족될 수 없는 경우, NB 송신 전력은 만족될 수 있는 것으로 수정된다. 이어서, 제2 계산 수단은 최적 균형을 보장하는 새로운 RN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이어서, NB는 제2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에 따라 RN이 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명령을 RN으로 송신하며, RN 송신 전력 변화에 일치하도록 그 자신의 송신 전력을 변경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통지 방식이 구현될 수 있는 많은 방법이 있으며, 이들은 동일 참조 부호가 동일 기능을 제공하는 부분을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를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5a 및 5b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는, 지표 도출 수단(도시되지 않음) 외에 수신처 장치가 지표 편차 검 출 수단(2)을 구비하고,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의 결정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기지국(NB)은 요청 수신 수단(6) 및 제1 계산 수단(4)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7)을 포함한다. 수신처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요청은 중개 장치에 제공된 요청 중계 수단(8)을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5b는 기지국(NB)이 지표 수신 수단(9), 지표 편차 검출 수단(2), 및 제1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제어 수단(7)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의 일례가 이제, 발신처 장치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고, 중개 장치가 재생성형인 중계 노드(RN)를 포함하고, 수신처 장치가 기지국(NB)을 포함하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기지국은 RSS를 계속 모니터하여 RSS 및 목표 RSS로부터의 편차의 지표를 도출한다. 기지국은 이들 지표 중 하나 또는 양자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기지국은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 계산 수단을 갖춘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NB에 의해 도출된 지표의 변화에 따라 새로운 RN 송신 전력의 명확한 계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NB 내의 제어 수단은 현재 RN 송신 전력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정보를 얻기 위한 두 가지 기술이 이용 가능한데, 1) NB는 RN의 초기 송신 전력은 물론 최대치에 대한 지식을 가지며, 이러한 지식은 내재적이거나 RN이 NB에 접속될 때 송신된다. 이어서, NB는 RN 송신 전력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이 발행될 때 RN 송신 전력을 추적하거나, RN은 현재 송신 전력을 NB로 보고하 여 NB에서의 추적에 대한 필요를 방지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보다 낮은 통지 복잡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으므로 제1 기술이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알고리즘의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11
다음의 시퀀스는 ⅰ)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기지국(NB)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거나, ⅱ) 이러한 불균형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수행된다.
1. NB의 제어 수단은 RN의 송신 전력 한계를 고려하여 RN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2a. 기지국의 지표 편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변화가 중개 장치와 기지국 사이의 경로 손실 변화의 결과인 경우(SINR의 지표가 변경되도록), 기지국의 제어 수단은 RN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RN으로 송신한다. 또는
2b. 기지국의 지표 편차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변화가 기지국에 대해 설정된 목표 품질 지표의 변화의 결과인 경우(목표 RSS로부터의 편차의 지표가 변경되도록),
ⅰ) 제1 계산 수단은 또한, RN에 대해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에 대응하는 발신처 장치(UE)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CDMA 시스템의 경우, 제1 계산 수단은 소위 "근원(near-far)" 효과를 최소화하도록 발신처 장치의 새로운 송신 전력의 계산된 값을 수정한다. 따라서, UE의 송신 전력은 최적 값으로부터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멀티 홉핑으로부터의 성능 이득의 부적절한 전력 균형 감소의 효과가 수신된 모든 신호 레벨이 동일하지 않음으로 인해 다수 사용자 시나리오에서 수신기에서의 성능의 감소로 대해 가중화되어야 하므로 수정은 시스템의 오퍼레이터의 요청에 의존한다.
ⅱ) NB는 UE의 최대 송신 전력을 고려하여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UE의 송신 전력의 조정이 만족될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 UE의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이 만족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제1 계산 수단은 RN 및 UE 양자에 대한 수정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CDMA 시스템의 경우, 제1 계산 수단은 소위 근원 효과를 최소화하도록 발신처 장치의 새로운 송신 전력의 계산된 값을 수정한다.
ⅲ) 제어 수단은 제1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에 따라 RN 및 UE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RN 및 UE로 발행한다.
전술한 알고리즘은 전파 손실이 RN과 NB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NB가 그의 목표 RSS를 수정하는 경우를 관리한다. UE와 RN 사이에 전파 손실이 변하는 경우, 및 NB의 목표 및 RN과 NB 사이의 전파 손실 양자가 변하는 경우를 처리하여 전술한 알고리즘이 UE에 대한 새로운 송신 전력을 결정하기 위하여 동작하지 않게 하기 위 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도 7) 주기적으로 동작한다.
이 알고리즘의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12
이 알고리즘은 유리하게도,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알고리즘에 추가하여 실행될 수 있다. 대안으로, 무선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아래의 알고리즘이 개별적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알고리즘은 RN에 의해 도출되는 통신 신호(RSS)의 품질의 지표가 NB로 보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NB는 제2 계산 수단에 의해 2개 링크의 전파 손실의 계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RN에 의해 그리고 NB의 지표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를 모니터한다. NB는 RN 송신 전력 및 UE 송신 전력에 대한 지식을 필요로 하며, 이 지식은 두 기술 중 하나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데, 1) NB는 RN/UE의 초기 송신 전력은 물론 최대치에 대한 지식을 가지며, 이러한 지식은 내재적이거나 RN/UE가 NB에 접속될 때 송신된다. 이어서, NB는 RN/UE 송신 전력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이 발행될 때 RN/UE 송신 전력을 추적하거나, RN/UE는 현재 송신 전력을 NB 로 보고하여 NB에서의 추적에 대한 필요를 방지한다. 이러한 알고리즘은 보다 낮은 통지 복잡성으로부터 이익을 얻으므로 제1 기술이 이용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NB는 NB 및 RN 양자에 의해 도출된 수신 신호 세기의 지표를 모니터한다. NB는 RN 및 UE 송신 전력에 대한 지식과 함께 이를 이용하여, UE-RN 및 RN-NB 링크에 대한 전파 손실을 갱신한다.
2. UE-RN 또는 RN-NB 전파 손실의 변화가 검출되는 경우, 갱신된 전파 손실은 최적 UE 송신 전력을 계산하기 위하여 RN 송신 전력에 대한 지식과 함께 제2 계산 수단에 의해 사용된다. CDMA 시스템의 경우, 제1 계산 수단은 소위 근원 효과를 최소화하도록 발신처 장치의 새로운 송신 전력의 계산된 값을 수정한다. 전파 손실의 변화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알고리즘의 현재 반복은 종료된다.
3. NB는 계산된 최적 송신 전력이 현재의 UE 송신 전력과 다른지를 검사한다.
3a. 다르지 않은 경우, 알고리즘의 현재 반복은 종료되거나,
3b. 다른 경우,
ⅰ) 계산된 새로운 UE 송신 전력이 만족될 수 있는 경우(즉, UE의 최대 송신 전력이 초과되지 않는 경우), NB는 제2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에 따라 UE가 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명령을 UE로 송신하거나,
ⅱ) 계산된 UE 송신 전력이 만족될 수 없는 경우, UE 송신 전력은 만족될 수 있는 것으로 수정된다. 이어서, 제2 계산 수단은 최적 균형을 보장하는 새로운 RN 송신 전력을 계산한다. 이어서, NB는 제2 계산 수단에 의해 계산된 새로운 송신 전력에 따라 송신 전력의 조정을 명령하는 명령을 UE 및 RN으로 송신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의 일례가 이제, 발신처 장치가 노드 B(NB)를 포함하고, 중개 장치가 재생성 중계 노드를 포함하고, 수신처 장치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수신처 사용자 장비는 SINR을 계속 모니터하여 SINR 및 목표 SINR로부터의 편차의 지표를 도출한다.
알고리즘의 상세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13
다음의 시퀀스는, 이 경우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신처 장치의 목표 SINR인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수신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변화의 편차에 이어서 수행된다.
1. 수신처 장치는 수신처 장치에서의 SINR이 그의 목표를 만족하지 않도록 SINR의 지표 또는 목표 SINR로부터의 편차의 지표의 변화를 검출한다.
2. 수신처 장치는 RN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RN으로 송신한다.
3. RN은 이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3a. 요청 만족될 수 있는 경우, 이 요청은 NB로 송신되거나;
3b. 요청이 만족될 수 없는 경우, RN은 수정된 요청을 결정하고 이를 NB로 송신한다.
4. NB 내에 제공된 제어 수단이 RN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수신한다.
5. NB는 UE에서의 SINR 및 RN에서의 SINR의 표시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UE에서의 SINR과 RN에서의 SINR 사이에 불균형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
5a. 불균형이 존재하고, 중개 장치의 요청된 송신 전력의 변경이 UE에서의 SINR과 RN에서의 SINR 사이의 불균형을 조성하는 경우, 제어 수단은 요청을 무시하거나;
5b. 불균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불균형이 존재하지만, 중개 장치의 요청된 송신 전력의 변경이 UE에서의 SINR과 RN에서의 SINR 사이의 불균형을 조성하지 않는 경우, 제어 수단은 RN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RN으로 발행한다.
6. RN은 NB의 제어 수단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한다.
전술한 알고리즘은 전파 손실이 RN과 UE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UE가 그의 목표 RSS 또는 SINR을 수정하는 경우를 관리한다. 전파 손실이 NB와 RN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UE의 목표 및 RN과 UE 사이의 전파 손실 양자가 변하는 경우를 처리하여, RN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이 생성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양태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이 아래 설명된다(도 9).
알고리즘의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14
이 알고리즘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알고리즘에 더하여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대안으로, 무선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도 9에 도시된 알고리즘은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은 UE 및 RN에서의 SINR의 지표들이 NB로 보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NB는 UE 및 RN 양자로부터의 SINR의 지표들을 모니터한다. 이들이 불균형화되도록 변하는 것으로 발견되는 경우, NB의 제어 수단은 SINR의 균형을 복원하기 위해서 요청되는 송신 전력의 변경을 결정한다.
2. NB는 균형을 복원하는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2a. NB가 요청된 변경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NB는 송신 전력의 수정된 변경을 결정한다. 제어 수단은 ⅰ) NB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NB로, 그리고 ⅱ) RN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RN으로 발행하거나;
2b. NB가 요청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NB 제어 수단은 NB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NB로 발행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통지 방식이 구현될 수 있는 많은 방법이 존재하며, 이들은 동일 참조 번호가 동일 기능을 제공하는 부분을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의 부분들을 나타내는 도 10a, 도 10b 및 도 10c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a는, 지표 도출 수단(도시되지 않음) 외에 수신처 장치가 지표 편차 검출 수단(2)을 구비하고,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의 결정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기지국(NB)은 요청 수신 수단(6), 및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을 향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3)을 포함한다. 따라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은 기지국의 결정 수단에서 기지국의 제어 수단(7)으로 국지적으로 송신된다.
도 10b는, 지표 도출 수단(도시되지 않음) 외에 수신처 장치가 지표 편차 검출 수단(2) 및 결정 수단(3)을 구비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따라서, 요청은 수신처 장치의 결정 수단에서 기지국의 제어 수단(7)으로 송신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이 만족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고, 필요에 따라 요청을 만족될 수 있는 것으로 수정할 수 있는 요청 수정 수단(8b)을 포함할 수 있는 중개 장치(RN)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도 10c는 기지국(NB)이 지표 수신 수단(6), 지표 편차 검출 수단(2), 결정 수단(3), 및 제어 수단(7)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따라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은 기지국의 결정 수단에서 기지국의 제어 수단(7)으로 국지적으로 송신된다.
도 10a, 도 10b 및 도 10c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기지국은 ⅰ) 제어 수단, ⅱ) 결정 수단 및 제어 수단, 또는 ⅲ) 지표 편차 검출 수단, 결정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수신처 장치는 지표 도출 수단, 지표 도출 수단 및 지표 편차 검출 수단, 또는 지표 도출 수단, 지표 편차 검출 수단 및 결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지표 수신 수단(9), 및 불균형 검출 수단(10) 및 변화 결정 수단(3) 및 명령 수단(7)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3 양태를 구현하는, 일반적으로 11로 표시된 기지국의 일부를 나타낸다.
이제, 본 발명의 제4 양태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일례가, 발신처 장치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고, 중개 장치가 유형을 가진 중계 노드(RN)를 포함하고, 수신처 장치가 기지국(NB)을 포함하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기지국은 SINR을 계속 모니터하여 SINR 및 목표 SINR로부터의 편차의 지표를 도출한다.
다음의 시퀀스는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기 위하여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수행된다.
알고리즘의 상세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15
1. 기지국은 수신처 장치에서의 SINR이 그의 목표를 만족시키지 못하도록 SINR의 지표 또는 목표 SINR로부터의 편차의 지표의 변화를 검출한다.
2. 수신처의 결정 수단은 중개 장치(RN)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화를 결정한다.
3. RN 송신 전력의 변화에 대한 요청이 수신처 장치의 제어 수단으로 국지적으로 송신된다.
4. 요청이 RN 송신 전력의 감소를 위한 것인 경우, 제어 수단은 RN의 송신 전력의 감소를 위한 명령을 중개 장치로 발행한다.
5. 요청이 RN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 제어 수단은 RN 송신 전력의 증가를 금지하는 금지 또는 차단이 현재 적절한지를 검사한다. 이어서,
5a. 금지가 적절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수단은 요청을 무시하거나;
5b. 금지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수단은 RN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명령하는 명령을 중개 장치로 발행한다.
6. RN은 NB의 제어 수단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명령에 따라 그의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어서,
6a. RN이 명령에 따라 그의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RN은 수정된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고, 수정된 송신 전력에 따라 그의 송신 전력을 조정하거나;
6b. RN이 명령에 따라 그의 송신 전력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는 경우, RN은 그에 따라 그의 송신 전력을 변경한다.
전술한 알고리즘은 전파 손실이 RN과 NB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NB가 그의 목표 RSS 또는 SINR을 수정하는 경우를 관리한다. 전파 손실이 UE와 RN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NB의 목표 및 RN과 NB 사이의 경로 손실 양자가 변하는 경우를 처리하여 RN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이 생성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이 아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동작한다(도 13).
알고리즘의 상세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16
이 알고리즘은 도 12를 참조하여 전술한 알고리즘에 더하여 주기적으로 실행된다. 대안으로, 이 알고리즘은 무선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은 NB 및 RN에서의 SINR의 지표들이 NB로 보고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1. NB는 NB 및 RN 양자로부터의 지표들을 모니터한다. 이어서,
1a. 이들이 불균형화되도록 변하는 것이 발견되는 경우, NB의 제어 수단은 SINR의 균형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UE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거나;
1b. 이들이 균형화되는 것으로 발견되는 경우, NB의 제어 수단은 RN의 송신 전력의 증가에 대한 임의의 기존 금지를 해제한다.
2.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를 통해, UE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UE로 발행한다.
3. UE는 NB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요청된 송신 전력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어서,
3a. UE가 요청된 변경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UE는 수정된 송신 전력의 변경을 결정하고, 이 수정된 변경에 따라 그의 송신 전력을 변경하거나;
3b. UE가 요청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UE는 요청된 변경에 따라 그의 송신 전력을 변경한다.
4. 제어 수단에 의해 발행된 명령이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감소를 위한 것인 경우, 제어 수단은 RN의 송신 전력의 증가에 대한 임의의 기존 금지를 해제한다.
5. 제어 수단에 의해 발행된 명령이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 제 어 수단은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명령된 변경이 수행되었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중개 장치에서 도출된 SINR 지표를 모니터한다. 이어서:
5a. UE에 의해 변경이 수행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수단은 RN의 송신 전력의 추가 증가에 대한 금지를 설정하거나;
5b. UE에 의해 변경이 수행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수단은 RN의 송신 전력의 증가에 대한 임의의 기존 금지를 해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양태를 구현하는, 일반적으로 11로 표시되는 기지국의 일부를 나타내는데, 이 기지국은: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1);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들 또는 지표들 중 하나의 지표의 변화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2);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수신 수단(9);
지표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와 지표 수신 수단에 의해 수신되는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10);
지표 편차 검출 수단(2)에 의한 지표 변경의 검출에 이어서, 및/또는 불균형 검출 수단(10)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 및/또는 경우에 따라서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3); 및
결정 수단으로부터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제어 수단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검사에 따라, 중개 장치 및/또는 발신처 장치 각각의 송신 전력의 변경을 명령 하는 명령을 중개 장치 및/또는 경우에 따라서 발신처 장치로 발행할 수 있는 제어 수단(7)을 포함한다.
불균형의 검출 및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명령의 발신처 장치로의 발행에 이어서, 제어 수단(8)은, 발신처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명령이 만족되지 않은 것으로 제어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경우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금지할 수 있다(출력). 이어서, 기지국에 의하여 도출된 지표의 변경의 검출에 이어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명령을 중개 장치로 발행하기 전에,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증가에 대한 임의의 금지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입력).
이제,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의 일례가, 발신처 장치가 노드 B(NB)를 포함하고, 중개 장치가 재생성 중계 노드(RN)를 포함하고, 수신처 장치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다운 링크 송신의 경우에 도 15a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사용자 장비는 SINR을 계속 모니터하여, SINR 및 목표 SINR로부터의 편차의 지표를 도출한다. 수신처 장치는 이들 지표 중 하나 또는 양자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중개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알고리즘의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17
다음의 시퀀스는, 이 경우에 목표 SINR인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수신처 장치(UE)에 의해 도출된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수행된다. 수신처 장치(UE)는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된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한다. 이어서:
1. 수신처 장치(UE)는 RN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을 RN으로 송신한다;
2. RN은 요청된 만족될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 수신된 요청이 RN에 의해 만족될 수 없는 경우, 요청은 만족될 수 있는 것으로 수정된다.
3. RN의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경이 증가인 경우, 추가 증가에 대한 차단 또는 금지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차단은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구현하는 도 15b에 설명된 알고리즘에 의해 설정된다. 차단이 적절한 경우 요청은 무시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RN 송신 전력은 적절히 변경된다.
전술한 알고리즘은 전파 손실이 RN과 UE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UE가 목표 RSS 또는 SINR을 수정하는 경우를 관리한다. 전파 손실이 NB와 RN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UE의 목표 및 RN과 UE 사이의 전파 손실 양자가 변하는 경우를 처리하여, RN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이 생성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도 15b에 도시된 알고리즘이 아래에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아래의 알고리즘은 도 15a를 참조하여 설명된 알고리즘에 더하여 실행된다. 따라서, 중개 장치는 RN의 지표를 도출하기 위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한다. 중개 장치는 또한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에 따라 불균형 검출 수단 및 제2 결정 수단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도 15a를 참조하여 설명된 알고리즘 또는 도 15b에 도시된 다음 알고리즘이 무선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의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18
1. RN은 보고된 UE의 SINR 및 RN의 SINR을 모니터한다. 불균형이 존재하는 경우, RN의 제2 결정 수단은 SINR의 균형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NB 송신 전력의 변화를 계산한다.
2. 이어서, RN은 단계 1에서 결정된 변화에 따라 NB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위한 명령을 NB로 송신한다.
3. NB는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이 만족될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 요청이 만 족될 수 없는 경우, 요청은 수정된다. 이어서, NB는 그의 송신 전력을 적절히 변경한다.
4. RN으로부터의 요청이 NB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 RN은 수신된 SINR을 모니터하여 요청된 변경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한다. 요청된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검출된 경우, RN 송신 전력의 추가 증가에 대한 차단 또는 금지가 설정된다. 차단이 설정되지 않아서 NB가 그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수 없는 경우, RN 송신 전력의 증가는 NB 송신 전력의 추가 증가를 요청하여 임의의 불균형을 조성하므로, 수정될 수 없는 불균형을 유발하게 된다.
SINR들이 균형화된 것이 검출되거나, NB 송신 전력의 감소가 요청되거나, NB 송신 전력의 요청된 변경이 이루어진 것으로 검출된 경우, 추가 RN 전력의 증가에 대한 차단이 제거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제,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다른 실시예가, 발신처 장치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고, 중개 장치가 재생성 중계 노드(RN)를 포함하고, 수신처 장치가 노드 B(NB)를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의 경우에 도 16a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NB는 SINR을 계속 모니터하여 SINR 및 목표 SINR로부터의 편차의 지표를 도출한다. NB는 이들 지표 중 하나 또는 양자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을 구비한다. 중개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알고리즘의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19
다음의 시퀀스는 수신처 장치(NB)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변경의 검출에 이어서 수행된다. 수신처 장치(NB)는 변경의 검출에 이어서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된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한다. 이어서:
1. 수신처 장치(NB)는 RN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을 RN으로 송신한다;
2. RN은 요청이 만족될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 수신된 요청이 RN에 의해 만족될 수 없는 경우, 요청은 만족될 수 없는 것으로 수정된다.
3. 요청된 RN 송신 전력의 변경이 증가인 경우, 추가 증가에 대한 차단 또는 금지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검사가 이루어진다. 이 실시예에서, 차단은 본 발명의 제2 양태를 구현하는 도 15b에 설명된 알고리즘에 의해 설정된다. 차단이 적절한 경우, 요청은 무시되며, 그렇지 않은 경우 RN 송신 전력은 적절히 변경된다.
전술한 알고리즘은 전파 손실이 RN과 NB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NB가 그의 목표 RSS 또는 SINR을 수정하는 경우를 관리한다. 전파 손실이 UE와 RN 사이에 변하는 경우, 및 NB의 목표 및 RN과 NB 사이의 전파 손실 양자가 변하는 경우를 처리 하여, RN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이 생성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하는 도 16b에 도시된 알고리즘이 아래에 설명된다.
이 실시예에서, 다음의 알고리즘은 도 16a를 참조하여 전술한 알고리즘에 더하여 실행된다. 따라서, 중개 장치는 RN의 지표를 도출하기 위한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한다. 중개 장치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의 실시예에 따라 불균형 검출 수단 및 제2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한다. 대안으로, 도 16a를 참조하여 설명된 알고리즘 또는 도 16b에 도시된 다음의 알고리즘이 무선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의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20
1. RN은 보고된 NB로부터의 SINR 및 RN에서의 SINR을 모니터한다. 불균형이 존재하는 경우, RN의 제2 결정 수단은 SINR의 균형을 복원하는데 필요한 UE 송신 전력의 변화를 계산한다.
2. 이어서, RN은 단계 1에서 결정된 변화에 따라 UE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위한 명령을 UE로 송신한다.
3. UE는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이 만족될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 요청이 만 족될 수 없는 경우, 요청은 수정된다. 이어서, UE는 그의 송신 전력을 적절히 변경한다.
4. RN으로부터의 요청이 UE 송신 전력의 증가를 위한 것인 경우, RN은 수신된 SINR을 모니터하여 요청된 변경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한다. 요청된 변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검출된 경우, RN 송신 전력의 추가 증가에 대한 차단 또는 금지가 설정된다.
SINR들이 균형화된 것으로 검출되거나, UE 송신 전력의 감소가 요청되거나, UE 송신 전력의 명령된 변경이 이루어진 것으로 검출된 경우, 추가 RN 전력의 증가에 대한 차단이 제거된다는 점에 유의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실시예들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통지 방식이 구현될 수 있는 많은 방법이 존재하며, 이들은 동일 참조 번호가 동일 기능을 제공하는 부분을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5 양태를 구현하는 통신 시스템의 부분들을 나타내는 도 17a, 도 17b 및 도 17c에 설명되어 있다.
도 17a는, 수신처 장치(D)가 지표 도출 수단(1), 지표 편차 검출 수단(2)을 구비하고,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의 결정에 대한 요청을 중개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중개 장치(I)는 요청 수신 수단(6) 및 수신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을 향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3)을 포함한다. 따라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은 발신처 장치의 결정 수단에서 중개 장치의 제어 수 단(7)으로 국지적으로 송신된다.
도 17b는, 지표 도출 수단(1)에 더하여 수신처 장치가 지표 편차 검출 수단(2) 및 결정 수단(3)을 구비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따라서, 요청은 수신처 장치의 결정 수단에서 중개 장치의 제어 수단(7)으로 송신된다.
도 17c는 중개 장치(I)가 지표 수신 수단(9), 지표 편차 검출 수단(2), 결정 수단(5) 및 제어 수단(7)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을 나타낸다. 따라서, 중개 장치의 송신 전력의 변경에 대한 요청은 발신처 장치의 결정 수단에서 발신처 장치의 제어 수단(7)으로 국지적으로 송신된다.
도 17a, 도 17b 및 도 17c로부터, 본 발명의 제5 양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중개 장치는 ⅰ) 제어 수단; ⅱ) 결정 수단 및 제어 수단; 또는 ⅲ) 지표 편차 검출 수단, 결정 수단 및 제어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사하게, 본 발명의 제1 양태의 실시예에 따라 제공되는 수신처 장치는 지표 도출 수단; 지표 도출 수단 및 지표 편차 검출 수단; 또는 지표 도출 수단, 지표 편차 검출 수단 및 결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발신처 장치가 노드 B(NB)를 포함하고, 중개 장치가 중계 노드(RN)를 포함하며, 수신처 장치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는 도 18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송신기에 할당하는 대역폭을 조정함으로써 멀티 홉 통신 시스템의 각각의 통신 링크 상에서 겪는 QoS 간의 균형을 달성 또는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요청되는 대역폭 할당 또는 요청되는 대역폭 할당의 변경에 대한 결 정은 NB와 연관된 부분에서 행해진다.
본 실시예는 RN-UE 통신 링크에 할당하는 대역폭을 조정함으로써 DL 통신 링크(NB-RN, RN-UE) 상에서 겪는 QoS 간의 균형을 달성 또는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알고리즘의 상세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21
다음의 시퀀스는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도록 중개 장치의 송신기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변경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 경우에는 수신처 장치의 목표 QoS인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QoS 지표의 변경의 검출에 이어서 수행된다.
1. 수신처 장치는 수신처 장치에서의 QoS가 그의 목표를 만족하지 않도록 하는 QoS의 지표 또는 목표 QoS로부터의 편차(variation)의 지표의 변경을 검출한다.
2. 수신처 장치는 RN 대역폭 할당의 변경에 대한 요청을 RN으로 송신한다.
3. RN은 이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3a. 이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이 요청을 NB로 송신하거나,
3b. 이 요청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요청 수정을 결정하고 이 를 NB로 송신한다.
4. NB 내에 구비된 제어 수단은 RN-UE 통신 링크에 대해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변경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다.
5. NB는 UE에서의 QoS 및 RN에서의 QoS의 표시를 포함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UE에서의 QoS와 RN에서의 QoS 간에 불균형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
5a. 불균형이 존재하고, 상기 요청된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변경이 UE에서의 QoS와 RN에서의 QoS 간의 불균형을 더욱 크게 하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이 그 요청을 무시하거나,
5b. 불균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또는 불균형이 존재하지만, 상기 요청된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변경이 UE에서의 QoS와 RN에서의 QoS 간의 불균형을 더욱 크게 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 수단이 RN에서의 대역폭 할당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RN에 발행한다.
6. RN은 NB의 제어 수단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그 명령에 따라 그의 대역폭을 조정한다.
도 18a에 도시한 알고리즘에 따라, 수신처 사용자 장비는 계속해서 QoS를 모니터하여 QoS의 지표 및 목표 QoS로부터의 편차의 지표를 도출한다.
도 18b는 도 18a를 참조하여 전술한 알고리즘과 유사한 알고리즘으로, 도 18a에 도시한 알고리즘 대신에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구현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보여준다. 이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22
도 18a에 도시한 알고리즘과 도 18b에 도시한 알고리즘의 차이는 수신 엔티티 UE가 직접 측정하여 도출한 QoS 지표(도 18a) 대신에 RN-UE 링크에서의 QoS 지표를 RN에서 원격적으로 도출한다는 점이다.
도 18c에 도시한 또 다른 대안으로, RN-UE 링크에서의 QoS 지표를 NB에서 원격적으로 도출할 수도 있다. 도 18c에 도시한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23
도 18a, 도 18b, 또는 도 18c를 참조하여 설명한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는 전파 손실이 RN과 UE 간에 변하는 경우와 UE가 그의 목표 QoS를 수정하는 경우를 관리한다. RN 대역폭 할당의 변경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파 손실이 RN과 UE 간에 변하는 경우와, UE에서의 목표 및 RN과 UE 간의 전파 손실이 모두 변 하는 경우를 처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제2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을 도 19a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 제2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24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이 알고리즘은 도 18a, 도 18b, 및 도 18c를 참조하여 전술한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에 더하여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주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이 알고리즘은 무선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a에 도시한 알고리즘은 UE 및 RN에서의 QoS의 지표들이 NB에 보고되는 것으로 한다.
1. NB는 UE 및 RN 양자에서 도출된 QoS의 지표들을 모니터한다. 이들이 불균형하게 되도록 변하는 것으로 발견한 경우에, NB의 제어 수단은 QoS의 균형을 복원하는 데에 요청되는 NB 대역폭 할당의 변경을 결정한다.
2. NB는 균형을 복원하도록 상기 요청된 대역폭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지를 결정한다.
2a. NB가 그 요청된 변경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NB는 NB 대역폭 할당의 변경의 수정을 결정한다. 제어 수단은 ⅰ) NB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NB에 발행하고, ⅱ)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RN에 발행하거나,
2b. NB가 그 요청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NB의 제어 수단은 NB 대역폭 할당의 변경을 명령하는 (로컬) 명령을 NB에 발행한다.
도 19a에 도시한 알고리즘에 따라, 수신처 UE 및 RN은 계속해서 QoS를 모니터하여 QoS의 지표를 도출한다. 대안으로,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NB에서 원격적으로 NB-RN 링크에서의 QoS 지표를 도출하고 UE에서 직접적으로 RN-UE 통신 링크에서의 QoS 지표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RN은 UE에서 도출한 RN-UE 통신 링크에서의 QoS 지표를 전달하기만 할 뿐, 어떠한 QoS 지표도 도출하지 않는다. 도 19b에 도시된 알고리즘의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25
다른 대안으로, UE의 QoS 지표를 RN에서 원격적으로 도출할 수도 있다.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RN은 RN 및 UE에서 끝나는 양자의 통신 링크에서의 QoS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9c에 도시한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26
또 다른 대안으로, UE 및 RN의 QoS 지표를 NB에서 원격적으로 도출할 수도 있다. 도 1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NB는 RN 및 UE에서 끝나는 양자의 통신 링크에서의 QoS를 도출할 수 있다. 도 19d에 도시한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27
도 18a, 도 18b 및 도 18c에서 설명한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는 도 19a, 도 19b, 도 19c 및 도 19d에서 설명한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와 함께 구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제3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의 일례를, 발신처 장치가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고, 중개 장치가 중계 노드(RN)를 포함하며, 수신처 장치가 기지국(NB)을 포함하는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RN-UE 통신 링크에 할당하는 대역폭을 조정함으로써 UL 통신 링크(UE-RN, RN-NB) 상에서 겪는 QoS 간의 균형을 달성 또는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알고리즘의 상세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28
다음의 시퀀스는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지표가 원하는 값이 되도록 중개 장치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변경을 결정하기 위하여,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기지국에 의해 도출되는 QoS 지표의 변경의 검출에 이어서 수행된다.
1. NB는 수신처 장치에서의 QoS가 그의 목표를 만족하지 않도록 하는 QoS의 지표 또는 목표 QoS로부터의 편차(variation)의 지표의 변경을 검출한다.
2. NB는 중계 장치(RN)에 할당하는 대역폭에 요청되는 변경을 계산한다.
3. 이 요청이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감소인 경우에, NB는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감소를 위한 명령을 RN에 발행한다.
4. 이 요청이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증가인 경우에, NB는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증가를 금지하는 금지 또는 차단이 현재 적절한지를 검사한다. 이어서,
4a. 금지가 적절한 것으로 결정되면, NB는 그 요청을 무시하거나,
4b. 금지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NB는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증가를 명령하는 명령을 RN에 발행한다.
5. RN은 NB의 제어 수단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그 명령에 따라 그의 대역 폭을 변경할 수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어서,
6a. RN이 그 명령에 따라 그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RN은 대역폭 변경의 수정을 결정하고, 그 수정된 변경에 따라 그의 대역폭을 조정하거나,
6b. RN이 그 명령에 따라 그의 대역폭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 RN은 그에 따라 그의 대역폭을 변경한다.
전술한 알고리즘은 전파 손실이 RN과 UE 간에 변하는 경우와 NB가 그의 목표 QoS를 수정하는 경우를 관리한다. RN 대역폭 할당의 변경에 대한 요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파 손실이 UE와 RN 간에 변하는 경우와, NB에서의 목표 및 RN과 NB 간의 전파 손실이 모두 변하는 경우를 처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6 양태의 제4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을 도 21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그 제4 실시예에 따른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29
이 알고리즘은 도 20을 참조하여 전술한 알고리즘에 더하여 주기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대안으로, 이 알고리즘은 무선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알고리즘은 NB 및 RN에서의 QoS의 지표들이 NB에 보고되는 것으로 한다.
1. NB는 NB에서의 QoS 지표를 도출 및 모니터하고 또한 RN에서 도출된 QoS 지표를 모니터한다. 이어서:
1a. 이들이 불균형하게 되도록 변하는 것으로 발견한 경우에, NB의 제어 수단은 각 통신 링크에서 도출된 QoS 지표들의 균형을 복원하는 데에 요청되는, UE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변경을 결정하거나,
1b. 이들이 균형적인 것으로 발견한 경우에, NB의 제어 수단은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증가에 대한 기존의 금지를 해제한다.
2.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를 통해, UE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변경을 명령하는 명령을 UE에 발행한다.
3. UE는 NB로부터 명령을 수신하고, 요청된 대역폭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자원을 가지고 있는지를 결정한다. 이어서:
3a. UE가 요청된 변경을 수행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UE는 대역폭 할당 변경의 수정을 결정하고, 이 수정된 변경에 따라 그의 대역폭을 변경하거나,
3b. UE가 요청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 UE는 요청된 변경에 따라 그의 대역폭을 변경한다.
4. 제어 수단에 의해 발행된 명령이 UE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감소인 경우, 제어 수단은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증가에 대한 기존의 금지를 해제한다.
5. 제어 수단에 의해 발행된 명령이 UE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증가인 경우, 제어 수단은 중개 장치에서 도출된 QoS 지표를 모니터하여 UE에 할당하는 대역폭 변경 명령이 수행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이어서:
5a. UE가 상기 변경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수단은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추가 증가에 대한 금지를 설정하거나,
5b. UE가 상기 변경을 수행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 수단은 RN에 할당하는 대역폭의 증가에 대한 기존의 금지를 해제한다.
대안으로, RN의 QoS 지표는 NB에서 원격적으로 도출할 수도 있다. 도 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NB는 RN에서 끝나는 통신 링크 및 NB에서 끝나는 통신 링크 모두에서의 QoS 지표를 도출할 수 있다. 도 21b에 도시한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30
이제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예를 도 22a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도면에서는 발신처 장치가 노드-B(NB)를 포함하고, 중간 장치는 중계 노드(RN)을 포함하며, 수신처 장치는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송신기들에 할당된 대역폭을 조정함으로써 멀티-홉 통신 시스템의 통신 링크들 각각에 대해 겪는 QoS 사이의 균형을 달성하거나 또는 유지하고자 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필요한 대역폭 할당의 결정 또는 필요한 대역폭 할당에서의 변경을 RN과 관련된 부분들에서 수행한다. 본 실시예는 RN-UE 통신 링크에 할당된 대역폭을 조정함으로써 DL 통신 링크들(NB-RN 및 RN-UE)에 대해 겪는 QoS 사이의 균형을 달성하거나 또는 유지하고자 한다.
알고리즘의 상세한 사항은 이하와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31
이하의 순서는, 이 경우에는 타겟 QoS인 원하는 값으로부터 수신처 장치(UE)에 의해 도출된 QoS 지표의 변화를 검출한 후에 발생한다. 수신처 장치(UE)는, 변화의 검출 후에, 수신처 장치에 의해 도출된 지표를 상기 원하는 값으로 되돌리는 경향이 있는 중간 장치의 대역폭 할당의 변화를 결정한다. 이어서:
1. 수신처 장치(UE)는 RN 대역폭 할당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RN에 송신한다.
2. RN은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수신된 요청을 RN이 만족시킬 수 없으면, 수신된 요청은 만족시킬 수 있도록 수정된다.
3. RN의 대역폭 할당에 있어서 요청된 변화가 증가이면, 체크를 행하여, 추가 증가에 대해 차단(block) 또는 금지가 걸어졌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은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제2 실시예를 구현하는 도 23a 또는 도 23b 에 의해 도시된 알고리즘에 의해 발생한다. 차단이 발생하면 요청은 무시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RN 대역폭 할당은 그에 따라 변경된다.
대안으로서, US QoS 지표는 RN에서 원격으로 도출될 수 있다.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은 UE에서 종료하는 통신 링크에 대해 QoS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도 22b에 도시된 알고리즘의 상세한 사항은 이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32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된 알고리즘은 RN과 UE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파 손실의 경우 및 그 타겟 QoS를 수정하는 UE의 경우를 관리할 것이다. RN 대역폭의 변화에 대한 요청이 생기지 않도록, NB와 RN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파 손실의 경우 및 UE에서의 목표 및 RN과 UE 사이의 전파 손실 모두가 변화하는 경우를 처리하기 위해서, 도 23a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알고리즘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동작한다.
도 23a는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제2 실시예를 구현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하의 알고리즘은 도 22a 또는 도 22b를 참조하여 위에서 기술한 알고리즘에 추가하여 실행된다.
알고리즘의 상세한 사항은 이하와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33
1. RN은 UE 및 RN 모두에 대해 도출된, 통지된 QoS 지표들을 모니터한다. 불균형이 존재하면, RN은 2개의 통신 링크들에 걸쳐 QoS의 균형을 복구하기 위해 필요한 RN 대역폭 할당의 변화를 계산한다.
2. 그 다음에 RN은 단계 1에서 결정된 변화에 따라 NB의 대역폭 할당에서의 변화를 위해 커맨드를 NB로 통지한다.
3. NB는 요청을 수신하고, 그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 요청을 만족시킬 수 없으면 요청은 수정된다. 그 다음에 NB는 그에 따라 대역폭을 변경한다.
4. RN으로부터의 요청이 NB 대역폭에서의 증가에 대한 것이면, RN은 수신된 SINR은 모니터하여 필요한 변경이 행해졌는지를 체크한다. 필요한 변경을 행하지 않았음이 검출되면, RN 대역폭 할당에 대한 추가 증가에 대해 차단 또는 금지를 건다. 이러한 차단을 걸지 않으면, NB는 그 대역폭을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에, RN 대역폭의 임의의 증가에 의해 교정되지 않을 수 있는 불균형을 초래하고, 이것이 NB 대역폭의 추가 증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임의의 불균형을 혼합한다.
QoS 지표들이 균형잡혀 있거나, NB 대역폭 할당의 감소가 요청되거나, 또는 NB 대역폭 할당에 있어서 요청된 변경이 행해졌던 것으로 검출되면, 추가의 RN 대역폭의 증가에 대한 차단이 제거된다는 점을 유의한다.
대안으로서, UE QoS 지표는 RN에서 원격으로 도출될 수 있다. 도 2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은 RN 및 UE 모두에 대한 QoS 지표들을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도 23b에 도시된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이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34
도 22a 및 도 22b에 의해 도시된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를 도 23a 및 도 23b에 의해 도시된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와 함께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다른 실시예를 도 24a를 참조하여, 발신처 장치는 사용자 장비(UE)를 포함하고, 중간 장치는 중계 노드(RN)를 포함하고, 수신처 장치는 Node-B(NB)를 포함하는 업링크 송신의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NB는 NB에서 종료하는 통신 링크의 QoS를 계속적으로 모니터하고, QoS 및 목표 QoS로부터의 변화의 지표들을 도출한다. NB에는 이 지표들 중 한쪽 또는 양쪽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지표 도출 검출 수단이 제공된다. 제7 양태에 따르면, 요청되는 대역폭 할당의 결정 또는 요청되는 대역폭 할당에서의 변경을 RN과 연관된 부분들에서 수행한다.
알고리즘의 상세한 사항은 이하와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35
이하의 순서는, 원하는 값으로부터 수신처 장치(NB)에 의해 도출된 지표의 변화를 검출한 후에 발생한다.
1. 수신처 장치(NB)는 RN 대역폭 할당의 변화에 대한 요청을 RN에 송신한다.
2. RN은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 수신된 요청을 RN이 만족시킬 수 없으면, 수신된 요청은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수정된다.
3. RN의 대역폭 할당에 있어서의 요청된 변화가 증가이면, 체크를 행하여, 추가 증가에 대해 차단(block) 또는 금지가 걸어졌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차단은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추후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도 25a 또는 도 25b에 의해 도시된 알고리즘에 의해 걸어진다. 차단이 걸어지면 요청은 무시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RN 대역폭 할당은 그에 따라 변경된다.
대안으로서, UE QoS 지표는 RN에서 원격으로 도출될 수 있다. 도 2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은 UE에서 종료하는 통신 링크에 대해 QoS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도 24b에 도시된 알고리즘의 상세한 사항은 이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36
도 24a 및 도 24b를 참조하여 기술된 알고리즘은 RN과 NB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파 손실의 경우 및 그 타겟 QoS를 수정하는 NB의 경우를 관리할 것이다. RN 대역폭 할당에 있어서 변화에 대한 요청이 생기지 않도록, UE와 RN 사이에서 변화하는 전파 손실의 경우, 및 NB에서의 목표 및 RN과 NB 사이의 전파 손실 모두가 변화하는 경우를 처리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7 양태의 추후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도 25a 또는 도 2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알고리즘은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동작한다. 대안적으로, 무선 멀티-홉 통신 시스템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되며 도 25a 또는 도 25b를 참조하여 기술되는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해 가능할 수도 있다.
알고리즘의 상세한 사항은 이하와 같이 요약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37
1. RN은 NB 및 RN 모두에 대해 도출된 QoS 지표들을 모니터한다. 불균형이 존재하면, RN은 2개의 통신 링크들에 걸쳐 QoS의 균형을 복구하기 위해 필요한 UE 대역폭 할당의 변화를 계산한다.
2. 그 다음에 RN은 단계 1에서 결정된 변화에 따라 UE에서의 대역폭 할당에서의 변화를 위해 커맨드를 UE로 통지한다.
3. UE는 요청을 수신하고, 그 요청을 만족시킬 수 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 그 요청을 만족시킬 수 없으면 요청을 수정한다. 그 다음에 UE는 그에 따라 대역폭을 변경한다.
4. RN으로부터의 요청이 UE 대역폭 할당의 증가에 대한 것이면, RN은 RN에서 종료하는 링크에 대한 QoS를 모니터하여 필요한 변경이 행해졌는지를 체크한다. 필요한 변경을 행하지 않았음이 검출되면, RN 대역폭 할당에 대한 추가 증가에 대해 차단 또는 금지를 발생시킨다.
QoS 지표들이 균형잡혀 있거나, UE 대역폭 할당의 감소가 요청되거나, 또는 UE 대역폭 할당에 있어서 요청된 변경이 행해졌던 것으로 검출되면, 추가의 RN 대 역폭의 증가에 대한 차단이 제거된다는 점을 유의한다.
대안으로서, NB QoS 지표는 RN에서 원격으로 도출될 수 있다.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RN은 RN 및 NB 모두에 대한 QoS 지표들을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할 수 있다. 도 25b에 도시된 알고리즘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이하와 같이 요약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38
도 24a 및 도 24b에 의해 도시된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를 도 25a 및 도 25b에 의해 도시된 알고리즘들 중 어느 하나와 함께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31은 기지국 BS 및 6개의 사용자 장비들 UE1 내지 UE6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도시한다. 본 도면은 기지국과 UE6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몇개의 가능한 통신 경로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기지국과 UE6 사이의 다운링크 통신 경로는 BS-UE3 링크, 이에 후속하는 UE3-UE5 링크, 이에 후속하는 UE5-UE6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사용자 장비들 중 임의의 것에, 시스템의 2개 이상의 수신기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할 시스템의 송신기들 중 임의의 것의 송신 리소스를 결정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1에 도시된 중간 장치 UE3을 고려해 본다. 이 장치는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며, UL 또는 DL 통신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동작가능하다. 기지국과 UE6 사이의 다운링크 통신들의 경우에, UE3는 기지국으로부터(DL의 경우에는 발신처 장치) 또는 통신 방향 내의 이전의 중간 장치로부터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의 도출된 신호를 UE6(DL의 경우에는 수신처 장치) 또는 통신 방향의 다음의 중간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중간 장치는, 실질적으로 이하의 수신기들 중 적어도 2개에서 수신된 통신 품질의 측정 사이의 균형을 달성하거나 또는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중간 장치의 상기 송신기; 및/또는 기지국의 송신기; 및/또는 이전의 중간 장치(UE2 또는 UE1)의 송신기; 및/또는 다음의 중간 장치(UE4 또는 UE5)의 송신기의 측정, 또는 이 측정의 변화, 이들에 할당된 리소스들을 결정하기 위해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포함한다.
- UE6의 수신기(수신처 장치);
- UE5 또는 UE4의 수신기(다음의 중간 장치);
- UE3의 수신기; 및
- UE2 또는 UE1의 수신기(이전의 중간 장치)
본 실시예에 따라, UE3에는 멀티 홉 네트워크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동작하는 수신기들 각각에 의해 겪은 서비스의 품질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UE3에는 통신 링크들의 각각에 걸쳐 유효 처리량을 모니터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따라서, 모니터는, 특정 링크의 수신기 및/또는 송신기에서 행해지고 그 다음에 상기 지표 (QoS) 도출 수단들에 통지된 측정치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이론적 분석
아래의 이론적 분석은 다양한 배치 시나리오를 위해 멀티 홉 네트워크에 포함된 송신 요소들의 최적 송신 전력을 계산하기 위한 가능한 해법들을 도출한다. 본 발명의 제3, 제4 및 제5 양태가 균형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송신 전력의 명확한 계산을 수행하지 않고도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에 의해 도출되는 품질 지표들을 균형화하지만, 다양한 배치 시나리오를 위해 멀티 홉 네트워크에 포함된 송신 요소들의 최적 송신 전력을 명확히 계산하기 위한 가능한 해법들을 도출하는 아래의 이론적 분석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멀티 홉 네트워크에서 다운 링크를 형성하는 접속들의 경우에 대해서만 방정식들이 전개되는 반면, 업링크의 경우에 대해 도출된 방정식들을 적응시키는 것이 간편하다. 이러한 적응화는 수신 노드에서 수신된 SINR에 대한 식을 전개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이제 송신 노드는 UE 및 RN이고, 수신 노드는 이제 NB 및 RN이다. RN 및 NB에서 수신된 SINR에 대한 식에 도달하면, UE 및 RN의 최적 송신 전력 설정 치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전개 시나리오에 대해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전개 시나리오에 대해, 이론적 해법들은 단일 셀 모델 및 2 셀 모델을 취하여 얻어진다. 2 셀 모델의 경우, 양 셀에서의 배치가 동일하고 기지국(BS) 및 중개 장치(I)의 송신 전력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적절한 Ptx_tot,RN=GpPtx,RN 및 Ptx_tot,NB=GpPtx,NB이고, TDD의 경우에 대해 양 RN이 동시에 송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것은 사실상 2 셀에 대해 보다 나쁜 경우의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이론적 해법들은 멀티 홉 시스템 내의 수신 노드들(즉, 중개 장치(I)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 및 수신처 장치(D))이 겪는 신호 대 간섭 플러스 잡음비(SINR)를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특정 노드에서의 SINR은 그 노드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이며, 원하지 않은 신호들(잡음 및 간섭)의 수신 신호 세기에 대한 원하는 신호의 수신 세기의 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잡음 및 간섭에 대해 필요한 고려는 중개 장치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중개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를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듀플렉싱 방법, 중개 장치의 특성 및 고려되는 셀간 간섭(즉, 이웃 셀로부터의 간섭)의 레벨에 의존한다.
다음의 방정식은 모든 시나리오에 대해 중개 장치에서 수신처 장치로 송신된 통신 신호의 SINR을 나타내는데, 중개 장치의 유형(예를 들어, 비 재생성형 또는 재생성형) 및 듀플렉싱 방법에 따라 상이한 항들이 무시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39
TDD 대신 FDD의 경우에 대해, 대괄호 안의 세번째 항이 제거되고, 비 재생성형 대신 재생성형의 경우에 대해서는, 대괄호 내의 두번째 항이 제거된다.
도 1b에 도시된 2 셀 모델의 경우, 이것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40
(2)에서의 대괄호 내의 처음 3개의 항은 (1)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부가의 마지막 2개의 항은 각각 이웃하는 동일 채널 NB 및 RN으로부터 겪게 되는 간섭에 기인한 것이다. 명백하게도, 이웃하는 셀이 중계 송신을 위해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거나 서로 다른 시간 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이 간섭을 모델링하는데 필요한 항이 변하게 된다. 이들 수학식이 더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위해 3-셀 모델 또는 그 이상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여러가지 가능한 배치 시나리오를 차례대로 살펴보면 기지국 또는 노드-B(NB)에서 중간 중계 노드(RN)를 통해 수신처 사용자 장비(UE)로 송신되는 DL 송신의 경우에,
1A. FDD에서의 재생성 중계 - 도 1a에 나타낸 단일-셀 모델.
이 경우에, 중간 RN에 연결되어 있는 수신처 UE에서의 SINR은 수학식 1로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41
여기서,
Figure 112006042803669-PAT00042
는 처리 이득이고,
Figure 112006042803669-PAT00043
은 RN에서의 관심의 채널에 대한 송신 전력이고,
Figure 112006042803669-PAT00044
은 NB에서 RN으로의 링크 상에서의 전파 손실이고,
Figure 112006042803669-PAT00045
은 잡음이다. 이는 셀내 간섭(intra-cell interference)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는 것에 유의한다.
NB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중간 RN에서의 SINR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46
여기서,
Figure 112006042803669-PAT00047
은 NB에서의 관심의 채널에 대한 송신 전력이고,
Figure 112006042803669-PAT00048
는 RN에서 UE로의 링크 상에서의 전파 손실이다. 부연하지만, 셀내 간섭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한다.
데이터가 그 개체로 송신될 수 있는 속도를 제한하기 때문에, 멀티-홉 링크에 걸친 전체 처리량은 2개의 SINR 값 중 낮은 것에 의해 제한된다.
SINR 불균형을 야기하는 송신 전력의 어떠한 증가도 멀티-홉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지 않는다. 이는 단지 에너지 낭비 및 임의의 동일 채널 사용자에 대한 간섭의 증가를 초래한다.
따라서, 중간 RN에 있는 수신기 및 수신처 UE에 있는 수신기가 동일한 것을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NB 및 RN에서의 송신 전력은 RN 및 UE에서의 SINR이 동일하도록 설정되어야만 한다. 송신 전력의 비를 설정하기 위해 이 기준을 사용할 경우, 그 비율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49
여기서,
Figure 112006042803669-PAT00050
Figure 112006042803669-PAT00051
는 길이가
Figure 112006042803669-PAT00052
인 NB에서 RN으로의 링크에 대한 경로 손실 파라미터이고,
Figure 112006042803669-PAT00053
Figure 112006042803669-PAT00054
는 RN에서 UE로의 링크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수학식 3을 사용하여, 다른 하나가 주어진 경우 어느 하나의 송신 전력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1B. FDD에서의 재생성 중계 -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2 셀 모델
이 경우, 송신 전력 수학식들은 나머지 다른 셀에서 발생하는 송신들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을 고려하여 도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중간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처 UE에서의 SINR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55
최적의 NB 송신 전력은 수학식 4와 수학식 2를 같게 설정함으로써 구해질 수 있다.
따라서,
Figure 112006042803669-PAT00056
이 성립한다. 수학식 5는 발신처 NB 송신 전력이 주어진 경우 중간 RN 송신 전력을 구하기 위해 재정리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57
2A. TDD에서의 재생성 중계: 단일 셀 모델 - 도 1a
2개의 링크가 RN의 수신 및 송신 동작을 분리시키기 위해 TDD를 사용하여 동일 주파수 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즉, 더 이상 풀 듀플렉스(full duplex)가 아님). RN이 송신하는 시간 슬롯이 NB에 의해 사용되지 않는 것으로 가정하면, FDD 듀플렉싱 방식을 사용한 재생성 중계의 경우에 대해 전술한 수학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발신처 NB가 NB 이외의 장치 또는 노드와 통신하기 위해 중간 RN과 동일한 시간 슬롯을 사용하는 경우, RN에 의해 행해진 송신에 간섭이 일어나게 된다. 이 경우에, 중간 RN으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처 UE에서의 SINR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58
여기서,
Figure 112006042803669-PAT00059
는 NB로부터의 총 송신 전력이고,
Figure 112006042803669-PAT00060
는 NB에서 UE로의 링크 상에서의 전파 손실이다. 이 경우, 동등한 SINR을 보장하는 RN에서의 송신 전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61
수학식 3과 수학식 8을 비교하면, 단순 비율은 더 이상 이상적인 균형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62
인 것으로 가정하면, 수학식 8은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63
수학식 9로부터, NB 송신 전력이 주어지면 이상적인 RN 송신 전력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스템의 설정이 두번째 대괄호에서의 두번째 항이 무시할 만하도록(즉,
Figure 112006042803669-PAT00064
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경우, FDD 듀플렉스 방식을 사용 한 재생성 중계의 경우에 대한 상기한 기준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할 만하다.
어떤 RN 송신 전력이 주어진 경우의 이상적인 NB 송신 전력이 수학식 9의 근(root)들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수학식 9를 이하의 간단화된 형태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65
(여기서,
Figure 112006042803669-PAT00066
,
Figure 112006042803669-PAT00067
,
Figure 112006042803669-PAT00068
Figure 112006042803669-PAT00069
임), 수학식 10의 근들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70
송신 전력이 양수이기 때문에, 단지 하나의 근만이 정의되고, 따라서 RN 및 UE에서 똑같은 SINR을 보장하는 NB에서의 최적의 송신 전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71
마지막으로, 상기한 정의를 사용하여 수학식 9를 다시 쓸 수 있으며, 이는 최적의 RN 송신 전력을 유사한 간단화된 형태로 제공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72
2A. TDD에서의 재생성 중계: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은 2-셀 모델
양쪽에서의 배치가 동일하고 NB 및 RN에 대한 송신 전력이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는 것 이외에, 적절한 경우
Figure 112006042803669-PAT00073
Figure 112006042803669-PAT00074
이고 또 TDD의 경우에 양쪽 RN이 동시에 송신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것은 실제로 2개의 셀에 대한 나쁜 시나리오를 생성한다.
이 경우에, 중간 RN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처 UE에서의 SINR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75
최적의 NB 송신 전력은 수학식 14와 수학식 2를 같게 놓음으로써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76
최적의 NB 송신 전력은 다음 식의 양의 근으로부터 구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77
그 근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78
여기서, 이 경우에
Figure 112006042803669-PAT00079
,
Figure 112006042803669-PAT00080
Figure 112006042803669-PAT00081
이고, b와 c 모두는 RN 송신 전력의 함수이다.
NB 송신 전력이 주어지면, RN 송신 전력을 구하기 위해 수학식 15를 재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최적의 RN 송신 전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82
3A. FDD에서의 비-재생성 중계 노드(RN) -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일 셀 모델
이 경우와 FDD 듀플렉싱 방식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재생성 중계 노드의 경우 간의 차이점은 UE에서의 SINR이 RN에서의 SINR의 함수라는 것이며, 여기서 RN에 연 결되어 있는 수신처 UE에서의 SINR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83
그 결과, 이상적인 균형은 UE에서의 SINR을 RN에서의 SINR과 같게 설정하는 것으로부터 더 이상 도출되지 않는다. 수학식 19에 따르면, RN에서의 SINR은 UE에서의 이 타겟 SINR이 구해질 수 있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NB 전력은 실제로 요청된 것을 넘어 상승하는 RN에서의 SINR을 제한하도록 제어되어야만 하며, 그렇지 않으면 과도한 간섭 및 송신 전력의 낭비가 일어난다.
도 26a 및 도 26b는 2개의 서로 다른 배치 시나리오에 있어서 NB 및 RN 송신 전력의 설정이 RN에 연결된 UE에서의 SINR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최적의 해결책은 시스템이 도 26a 및 도 26b에 도시된 표면에서의 사면(diagonal fold) 상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하도록 NB 및 RN의 송신 전력을 선택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수학식 19의 1차 도함수를 취하고 NB 또는 RN 송신 전력의 증가가 UE에서의 SINR에 대한 최소 증가를 가져오는 점을 찾아냄으로써 이러한 해결책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수학식 19의 1차 도함수를 구하기 위해, 이는 다음과 같이 고쳐 쓰여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84
Figure 112006042803669-PAT00085
,
Figure 112006042803669-PAT00086
Figure 112006042803669-PAT00087
을 정의하면, 수학식 20을 다음과 같이 간단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88
Figure 112006042803669-PAT00089
에서의 SINR의 변화율을 구하기 위해, 미분의 몫의 법칙(quotient rule)이 사용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90
요청된 기울기 및
Figure 112006042803669-PAT00091
가 주어진 경우 수학식 22로부터
Figure 112006042803669-PAT00092
를 구하면, 최적의 NB 송신 전력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93
NB의 송신 전력이 주어진 경우 최적의 RN 송신 전력을 구하기 위해,
Figure 112006042803669-PAT00094
에 대해 수학식 21의 미분이 수행된다. 이 경우, 1차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95
그리고, NB의 송신 전력이 주어지면 최적의 RN 송신 전력은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96
3B. FDD에서의 비-재생성 중계 노드(RN) -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2 셀 모델
2 셀 모델에서, 셀 경계에 있는 수신처 UE의 최악의 경우에 대한 SINR은 수학식 26에 의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97
2개의 RN의 송신 전력이 같고 2개의 셀에 걸쳐 배치가 동일하며 또
Figure 112006042803669-PAT00098
인 것으로 가정하면, 수학식 26의 간략화된 형태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099
이제 1차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00
따라서, 최적의 NB 송신 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01
최적의 RN 송신 전력은
Figure 112006042803669-PAT00102
에 대해 수학식 27의 도함수를 취함으로써 구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03
따라서, 최적의 RN 송신 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04
4A. TDD에서의 비-재생성 중계 -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단일 셀 모델
이 경우는 NB가 RN과 동일 주파수 상으로 그와 동시에 송신한다는 사실로 인해 NB로부터의 간섭이 고려되어야만 한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 비-재생성에 대해 상기한 바와 유사하다. 이 경우에, RN에 의해 송신된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UE에서의 SINR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05
Figure 112006042803669-PAT00106
이 너무 큰 경우, UE에서의 SINR은 불충분한 RN 송신 전력으로 인해 제한되고 RN으로의 연결의 링크 성능이 NB로의 연결에 대한 것보다 우수한 영역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다. 역으로, 너무 작은 경우, UE에서의 SINR은 RN에서의 낮은 SINR에 의해 제한된다.
이 경우에, 균형은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FDD 듀플렉싱 방식과 관련하여 이용된 비-재생성 중계 노드의 경우에 기술한 것보다 훨씬 더 양호하다. 최적의 동작점은 수학식 32의 1차 도함수가 0인 점을 찾아냄으로써 주어진다. 이 최적의 점을 찾아내기 위해, 수학식 32은 먼저 이하의 형태로 재정렬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07
Figure 112006042803669-PAT00108
,
Figure 112006042803669-PAT00109
Figure 112006042803669-PAT00110
를 정의한다.
상기 설명 3A로부터의 정의 및
Figure 112006042803669-PAT00111
를 사용하면, 수학식 33을 다음과 같이 간단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12
그 다음 단계는 다음 식의 해를 구함으로써 수학식 34에서의 포물선 함수의 단일 극대점을 찾는 것이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13
수학식 34의 1차 도함수를 구하기 위해 몫의 규칙을 사용하면,
Figure 112006042803669-PAT00114
y의 극대값은 수학식 36을 0으로 놓고
Figure 112006042803669-PAT00115
에 대해 풀어서 구해진다. UE에서의 최대 SINR은 다음과 같이 설정함으로써 구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16
따라서, RN의 송신 전력이 주어지면, 수학식 37을 사용하여 RN에 연결되어 있는 UE에서의 최대 SINR을 보장해주는 대응하는 NB 송신 전력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NB 송신 전력이 주어진 경우 최적의 RN 송신 전력을 구하는 경우에, FDD 듀플렉싱 방식과 관련하여 이용된 비-재생성 중계 노드의 경우에 상기한 것과 유사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UE에서의 SINR이 RN 송신 전력의 포물선 함수가 아니기 때문이다. 최적의 RN 송신 전력을 구하기 위해, 수학식 34는 다음과 같 이 재정렬될 수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17
이제 1차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18
Figure 112006042803669-PAT00119
에 대해 수학식 39를 풀면 NB 송신 전력이 주어진 경우의 최적의 RN 송신 전력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20
도 5의 표면을 관찰함으로써 또 수학식 34의 형태 및 수학식 40의 결과로부터, NB 송신 전력이 작은 경우 RN 송신 전력에 따른 SINR의 변화율이 RN 송신 전력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게 됨은 명백하다. 그러나, NB 송신 전력이 큰 경우, UE에서의 SINR은 RN 송신 전력의 선형 함수로 근사화된다. 그 결과 이 경우에 수학식 40에 요약된 바와 같이 문제의 해는 무한이 된다.
4B. TDD에서의 비-재생성 중계 -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은 2 셀 모델
셀 경계에 있는 UB의 관점에서 볼 때 최악의 경우는 이웃하는 셀이 RN 송신에 동일한 시간 슬롯이 사용되는 TDD 방식을 이용하는 때이다. 셀이 동일한 배치 및 송신 전력 설정에서 크기가 같고 또
Figure 112006042803669-PAT00121
인 것으로 가정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22
이 경우에, 수학식 4의 간단화된 형태는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23
1차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24
마지막으로, 수학식 43을 0으로 놓고
Figure 112006042803669-PAT00125
에 대해 풀면 극대값이 구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26
NB 송신 전력이 주어진 경우 최적의 RN 송신 전력을 구하기 위해, 수학식 42는 다음과 같이 재정렬된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27
이제 1차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28
수학식 46을
Figure 112006042803669-PAT00129
에 대해 풀면 NB 송신 전력이 주어진 경우의 최적의 RN 송신 전력이 주어진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30
다시 말하면, NB 송신 전력이 큰 경우, UE에서의 SINR은 RN 송신 전력의 선형 함수로 근사화된다. 그 결과 수학식 47에 대한 해는 무한이 된다.
최적의 송신 전력 균형은 이제 서로 다른 중계 및 듀플렉싱 방식에 대한 또 2개의 개별적인 배치 시나리오에 대한 상기한 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들 배치 시나리오는 표 3에 요약되어 있으며 수학식 48에서의 경로 손실 수학식의 전파 파라미터는 표 4에 있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31
여기서,
Figure 112006042803669-PAT00132
은 dB 단위의 경로 손실이고,
Figure 112006042803669-PAT00133
는 dB 단위이고 n과 함께 표 4에 주어져 있으며, d는 미터 단위의 송신기-수신기 간격이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34
송신기 수신기 간격은 셀 반경과 동일하다(즉, UE는 셀 반경에 위치함). 인용된 RN 위치는 NB가 위치하고 있는 곳인 셀의 중심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RN 위치는 NB로부터 RN까지의 거리이다. 그러면, RN-UE는 셀 반경과 NB-RN 간격의 차이이다.
Figure 112006042803669-PAT00135
<재생성 중계>
표 3 및 표 4에 주어진 값을 FDD에 대한 수학식 3 및 수학식 5, 및 TDD에 대한 수학식 12 및 수학식 17에 대입하면, RN 송신 전력이 주어진 경우의 최적의 NB 송신 전력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a는 2가지 배치 시나리오에 있어서 FDD 및 TDD 모두에 대해 최적의 NB 송신 전력을 RN 송신 전력의 함수로서 나타낸 것이다.
<FDD에서의 비-재생성 중계>
이들 파라미터를 수학식 23 및 수학식 24에 대입하면,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배치 시나리오에 대한 최적의 NB 송신 전력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TDD에서의 비-재생성 중계>
이들 파라미터를 수학식 37 및 수학식 44에 대입하면,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2개의 배치 시나리오에 대한 최적의 NB 송신 전력을 구하는 것이 가능하다.
시스템 레벨 시뮬레이션 결과
도 28c의 결과에 기초하여 예측된 최적의 송신 전력 설정을 검증하기 위해, 중계가 세번째마다의 송신 시간 구간에서 송신하는 TDD 듀플렉싱에서 비-재생성 중계를 이용하는 멀티-홉 HSDPA 네트워크의 시스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으며, 평균 패킷 호출 처리량 이득(average packet call throughput gain)은 RN 및 NB의 송신 전력이 최적점 근방에서 변할 때 결정된다.
표 3에 상술한 2개의 배치 시나리오에 대한 시스템 레벨 시뮬레이션의 결과가 이제부터 제시된다. 시뮬레이션 파라미터는 이하에서 표 5 및 표 6에 열거되어 있다.
파라미터
기지국 셀간 간격 섹터/셀 안테나 높이 안테나 이득 2.8 km 3 15 m 17 dBi
중계 스테이션 RN 안테나 위치 개수/셀 안테나 높이 안테나 이득 120° ½ 및 ¾ 셀 반경 9 5 m 17 dBi
사용자 장비 섹터당 갯수 초기 분포 속력 방향 갱신 50 랜덤(random) 3 km/h 반-지향(semi-directed) 20 m
트래픽 모델 WWW
배치 파라미터
파라미터
기지국/중계 노드 HS-DSCH 전력 CPICH 전력 HARQ 방식 HS-DSCH/프레임 중계 버퍼 크기 Ack/NAck 검출 NB 스케쥴러 중계 유형 가변적 전체의 20% 체이스(chase) 15 1.78 메가비트 에러 없음 라운드 로빈 증폭 및 포워드
사용자 장비 열적 잡음 밀도 잡음 지수 검출기 10 -174 dBm/Hz 5 dBm MMSE
시뮬레이션 파라미터
둘 모두의 배치 시나리오에 대해, 30dBm의 NB 송신 전력을 가진 단일 홉 시스템의 경우에 대해 관측된 것에 대한 사용자가 겪은 평균 패킷 콜 처리량의 이득이 4개의 상이한 RN 송신 전력에 대한 NB 송신 전력의 함수로서 구상된다. 도 29a는 배치 시나리오 1에 대한 이득을 나타내고, 도 29b는 시나리오 2에 대한 이득을 나타낸다.
NB-UE 링크에 대한 채널 이득은 NB-RN 및 RN-UE 링크에 대한 것보다 3dB 높았다는 점에 유의한다. 이것은 다른 NB로부터 RN에 접속된 UE가 겪는 간섭이 도 28a, 도 28b 및 도 28c를 참조하여 전술한 링크 분석에 사용된 것의 2배라는 것을 의미한다.
채널 이득은 송신 신호의 다수의 사본이 수신된다는 사실에 기인하며, 모든 이들 상의 전력이 추가될 때, NB-UE 채널의 경우에 대해 총 전력은 NB-RN 또는 RN-UE 채널 상의 전력의 두배가 된다. 이것은 3dB가 2배에 해당하므로 3dB의 이득을 설명한다. NB-UE 채널에 대한 채널 이득이 더 높은 결과로서, 이것은 수신된 신호 전력이, 다중 경로를 통한 채널 이득이 고려되지 않은 지점까지 분석에 사용된 것보다 3dB(또는 2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링크 기반 예측 및 시스템 시뮬레이션의 비교
도 30은 각각의 배치 시나리오에 대해 최적의 NB 송신 전력을 TDD에서의 비-재생성 중계에 대한 RN 송신 전력의 함수로서 나타낸 것이며, 여기서 NB-UE 링크가 다른 링크에 비해 3dB 이득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에, 시뮬레이션에서 사용된 RN 송신 전력에 대한 NB에서의 예측된 송신 전력이 이들 설정이 사용된 경우에 겪게 될 처리량 이득 및 달성가능한 최대값과 함께 표 7에 열거되어 있다.
RN 송신 전력(dBm) NB 송신 전력(dBm) 및 사용자 패킷 처리량 이득
시나리오 1 시나리오 2
예측된 송신 전력 처리용량 이득 최대 이득 예측된 송신전력 처리용량 이득 최대 이득
16 19 22 25 -0.5 1 2.5 4 33% 38% 41% 49% 40% 43% 46% 51% 8.8 10.3 11.8 13.3 60% 65% 68% 72% 67% 74% 74% 75%
관찰된 최대 이득과 비교하여 이 설정으로부터 달성될 예측된 최적의 NB 송신 전력 및 그 결과 얻어진 시뮬레이션된 처리량 이득
표 7, 도 28a 및 도 29b는 상기한 수학식들에 기초한 기술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력 균형이 수행되는 경우, 선택된 전력 균형이 일반적으로 최적점의 영역에 있게 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상세하게는, 사용된 송신 전력에 대해, 이득이 항상 달성가능한 최대값의 10% 이내에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그 차이는 멀티-셀 시스템을 모델링하기 위해 2-셀 모델을 사용한 단점으로 인한 것이다.
도 29a 및 도 29b 양쪽에 제시된 결과에서 송신 전력 균형의 필요성은 명백하며, 여기서 NB 송신 전력이 최적점을 넘어 증가되면 더 많은 신호 에너지의 방출에도 불구하고 이득의 상당한 열화가 일어남을 보여준다. 또한, NB 송신 전력이 주의깊게 선택되면 RN 송신 전력에 대한 이득의 감도가 감소함도 보여준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멀티-홉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처리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5)

  1. 발신처 장치(source apparatus), 수신처 장치(destination apparatus) 및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intermediate apparatus)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발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는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처 장치를 향하는 통신 방향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수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는 상기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통신 시스템은,
    ⅰ) 상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ⅱ)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균형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의 중 개 장치에서 수신된 상기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들을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ⅰ) 상기 수신처 장치에 대해 도출되는 지표 및/또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의 중개 장치에서 도출되는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그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수신처 장치 및/또는 중개 장치에 대해 도출되는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수신처 장치에 대해 도출되는 상기 하나의 지표의 변화의 검출에 이어서, ⅰ) 상기 수신처 장치가 상기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상기 중개 장치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거나, ⅱ)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 및 상기 발신처 장치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대해 새로운 자원 할당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ⅰ) 상기 수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 중 적어도 2개의 장치 각각에 대해 도출되는 하나의 상기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상기 발신처 장치의 송신기 및/또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상기 발신처 장치들에 대한 새로운 자원 할당 및/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새로운 자원 할당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 장치에서 또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각각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들을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ⅰ) 상기 수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 중 적어도 2개의 장치 각각에 대해 도출되는 하나의 상기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발신처 장치의 송신기 및/또는 상기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발신처 장치 및/또는 상기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새로운 자원 할당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도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세기의 측정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도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신호-대-간섭 플러스 잡음비(SINR)의 측정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도출 수단은 상기 하나 이상의 수신기들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목표 수신 신호 품질로부터의 편차의 측정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도출 수단은 상기 수신기들 중 하나 이상이 겪는 서비스 품질(QoS)의 측정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 또는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되는 송신 전력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 한 통신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 또는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된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들 중 하나 이상이 겪는 서비스 품질(QoS)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수신처 장치에서 겪는 QoS의 측정치와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겪는 QoS의 측정치 간의 균형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되는 대역폭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도출 수단은 상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지표 도출 수단 및/또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신된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지표 도출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표 도출 수단은 상기 수신처 장치, 상기 중개 장치(들) 또는 상기 발신처 장치 중 하나에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표 도출 수단은 상기 수신처 장치, 상기 중개 장치(들) 또는 상기 발신처 장치 중 하나에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처 장치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상기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 장치는 기지국의 일부이고, 상기 발신처 장치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되는 상기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의 결정에 이어서, 상기 발신처 장치 및/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에, 경우에 따라서, 상기 송신기에 할당된 자원의 변화를 명령하는 명령을 발행하도록 동작가능한 통신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기지국에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통신 시스템.
  24. 하나 이상의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에서 수신처 장치로 통신 신호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발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는 통신 신호를 상기 수신처 장치를 향하는 통신 방향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기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수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는 상기 통신 신호 또는 그로부터 도출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수신기를 각각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ⅰ) 상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ⅱ)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균형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ⅰ) 상기 수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들을 도출하는 단계;
    ⅱ) 상기 지표들 또는 상기 지표들 중 하나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는 단계;
    ⅲ) 상기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발신처 장치 및/또는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ⅰ) 상기 수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들을 도출하는 단계;
    ⅱ) 상기 수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 중 적어도 2개의 장치 각각에 대해 도출되는 하나의 상기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발신처 장치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고, 및/또는 상기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수신처 장치가 겪는 서비스 품질(QoS)의 지표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 장치가 겪는 서비스 품질(QoS)의 지표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와 연관된 부분들 또는 상기 기지국과 연관된 부분들에서 수행되는 방법.
  29.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가 겪는 서비스 품질(QoS)의 지표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가 겪는 서비스 품질의 지표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과 연관된 부분들 또는 상기 중개 장치와 연관된 부분들에서 수행되는 방법.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되는 대역폭 또는 상기 송신기들 중 하나 이상에 할당되는 대역폭의 변화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통해 통신 신호를 수신처 장치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기를 포함하는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에 또는
    ⅰ) 상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상기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ⅱ)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신되는 상기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간의 균형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 장치 및/또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신되는 상기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수신 수단, 및
    하나의 상기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하나의 상기 지표의 상기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기지국 또는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에 대해 새로운 자원 할당 요청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요청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 장치에서 및/또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 어도 하나에서 수신되는 상기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된 하나의 상기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하나의 상기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기지국에 또는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
  37.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처 장치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 중 적어도 2개의 장치 각각에 대해 도출된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불균형 검출에 이어서, 상기 기지국 및/또는 상기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들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
  38. 제33항 또는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하나의 상기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기지국에 또는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될 자원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기지국 및/또는 상기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들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들의 변화를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40. 적어도 하나의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통신 신호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으로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발신처 장치에 또는
    ⅰ)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와;
    ⅱ)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균형을 실직적으로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신된 상기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들을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수신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및/또는 상기 중개 장치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에서 수신되는 상기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지표 도출 수단에 의해 도출된 하나의 상기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하나의 상기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발신처 장치에 또는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중개 장치 또는 각각의 중개 장치의 적어도 2개의 장치 각각에 대해 도출되는 지표 사이의 불균형을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불균형 검출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발신처 장치 및/또는 상기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들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기지국.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하나의 상기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발신처 장치에 또는 상기 지표가 상기 원하는 값이 되게 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또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하나에 할당될 자원을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1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46.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불균형 검출 수단에 의한 불균형의 검출에 이어서, 상기 발신처 장치 및/또는 상기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줄이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기들에 할당된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 를 계산하도록 동작가능한 제2 계산 수단을 포함하는 기지국.
  47. 멀티 홉(multi-hop) 통신 시스템에서 중개 장치를 통해 발신처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처 장치로서,
    상기 수신처 장치는,
    ⅰ) 상기 수신처 장치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하나 이상의 지표들을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 및
    ⅱ) 하나의 상기 지표의 원하는 값으로부터의 편차를 검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편차 검출 수단
    을 포함하는 수신처 장치.
  48. 멀티 홉 통신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중개 장치로서,
    상기 중개 장치는, 통신 신호를 발신처 장치로부터 또는 이전의 중개 장치로부터 통신 방향으로 수신하고, 상기 통신 신호 또는 중개 장치로부터 도출된 신호를 수신처 장치 또는 이후의 중개 장치로 통신 방향으로 송신하도록 동작가능한 송신기 및 수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개 장치는,
    상기 수신처 장치의 수신기;
    상기 중개 장치의 수신기;
    이전의 중개 장치의 수신기; 및
    이후의 중개 장치의 수신기
    중 적어도 2개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측정치 사이의 균형을 실질적으로 달성하거나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 상기 중개 장치의 송신기; 및/또는 상기 발신처 장치의 송신기; 및/또는 상기 이전의 중개 장치의 송신기, 및/또는 이후의 중개 장치의 송신기에 할당되는 자원의 측정치 또는 측정치의 변화를 결정하도록 동작가능한 결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중개 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들 중 임의의 수신기에서 수신되는 통신 신호의 품질의 지표를 도출하도록 동작가능한 지표 도출 수단을 더 포함하는 중개 장치.
  50. 컴퓨터에 로딩될 경우, 상기 컴퓨터가 제1항, 제7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또는 제32항 또는 제40항의 기지국이 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1. 컴퓨터에 로딩될 경우, 상기 컴퓨터가 제1항, 제7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통신 시스템의 중개 장치 또는 제48항 또는 제49항의 중개 장치가 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2. 컴퓨터에 로딩될 경우, 상기 컴퓨터가 제1항, 제7항 또는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통신 시스템의 수신처 장치 또는 제47항의 수신처 장치가 되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53. 반송 매체에 의해 반송되는 제50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의 컴퓨터 프로그램.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매체는 기록 매체인 컴퓨터 프로그램.
  55.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 매체는 송신 매체인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60054994A 2005-06-17 2006-06-19 통신 시스템 KR1008599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253783.4 2005-06-17
EP05253783A EP1734666A1 (en) 2005-06-17 2005-06-17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090A Division KR100858775B1 (ko) 2005-06-17 2007-11-23 발신처 장치,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515A true KR20060132515A (ko) 2006-12-21
KR100859930B1 KR100859930B1 (ko) 2008-09-23

Family

ID=3505839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994A KR100859930B1 (ko) 2005-06-17 2006-06-19 통신 시스템
KR1020070120090A KR100858775B1 (ko) 2005-06-17 2007-11-23 발신처 장치,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
KR1020080037048A KR20080036982A (ko) 2005-06-17 2008-04-22 중개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090A KR100858775B1 (ko) 2005-06-17 2007-11-23 발신처 장치, 수신처 장치 및 중개 장치
KR1020080037048A KR20080036982A (ko) 2005-06-17 2008-04-22 중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080009243A1 (ko)
EP (1) EP1734666A1 (ko)
KR (3) KR100859930B1 (ko)
CN (2) CN1881825B (ko)
TW (4) TWI3399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8B1 (ko) * 2007-07-19 2014-12-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번들링에 의한 링크 적응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34665B1 (en) * 2005-06-17 2011-08-10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DE602005025261D1 (de) * 2005-06-17 2011-01-20 Fujitsu Ltd Systeme und Verfahren zur Leistungsregelung im Mehrstreckenkommunikationssystem
EP1734667B1 (en) * 2005-06-17 2011-08-10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734663B1 (en) * 2005-06-17 2011-06-15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734666A1 (en) * 2005-06-17 2006-12-20 Fujitsu Limited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801995A1 (en) 2005-12-21 2007-06-27 Fujitsu Limited Signalling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s
EP1990935A1 (en) * 2006-03-29 2008-1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adio transmission system, and radio station and method used for same
US20080043747A1 (en) * 2006-08-04 2008-02-21 Haihong Zheng Apparatus,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duct for a scheduling synchronization mechanism in a multi-hop environment
US7917149B2 (en) 2006-08-18 2011-03-29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reusing wireless resources in a wireless network
GB2440984A (en) * 2006-08-18 2008-02-20 Fujitsu Ltd Wireless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GB0616475D0 (en) * 2006-08-18 2006-09-27 Fujitsu Ltd Communication systems
US7623863B2 (en) * 2006-08-18 2009-11-24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connection parameters in a wireless network
US7756198B2 (en) * 2006-08-18 2010-07-13 Fujitsu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channels in a wireless network
GB2444097A (en) 2006-09-08 2008-05-28 Fujitsu Ltd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0619454D0 (en) * 2006-10-02 2006-11-08 Fujitsu Ltd Communication systems
JP2010508695A (ja) * 2006-11-01 2010-03-18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Mimoベースのワイヤレス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sinrフィードバックのための方法および構成
GB2443464A (en) * 2006-11-06 2008-05-07 Fujitsu Ltd Signalling in a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s
GB2447883A (en) * 2007-03-02 2008-10-01 Fujitsu Ltd Bandwidth allocation in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416729B2 (en) * 2007-03-10 2013-04-09 Lingna Holdings Pte., Llc Optimizing downlink throughput with user cooperation and scheduling in adaptive cellular networks
GB2447635A (en) * 2007-03-19 2008-09-24 Fujitsu Ltd Scheduling qos communications between nod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unit in wimax systems
CN101296167B (zh) * 2007-04-23 2011-04-2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为上行混合自动重发请求突发分配传输带宽的方法
US9258784B2 (en) * 2007-06-28 2016-02-09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device for optimizing mobile radio transmitter/receiver having antenna
US8909279B2 (en) * 2007-08-10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transmit power for neighboring nodes
BRPI0815738B1 (pt) 2007-08-24 2020-03-03 Blackberry Limited Método para uso em uma rede sem fio, estação base e artigo
US8055291B2 (en) * 2007-09-12 2011-11-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aware link adaptation in a wideband CDMA system
US8103302B2 (en) * 2007-09-11 2012-01-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ower-aware link adaptation with variable bandwidth allocation
US8718541B2 (en) * 2007-12-31 2014-05-06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optimal location and configuration of infrastructure relay nodes in wireless networks
KR100973587B1 (ko) * 2008-01-02 2010-08-02 한국과학기술원 다중 홉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 기반무선접속통신시스템에서 cdma코드를 이용한 자원 요청및 할당방법
US8155015B2 (en) * 2008-03-28 2012-04-10 Intel Corporation Geographical scheduling and association procedure for WiMAX systems
WO2010018908A1 (en) * 2008-08-11 2010-02-18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operating rela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L194097A (en) * 2008-09-15 2012-05-31 Mariana Goldhamer Activation of a wireless subscription terminal in a number of cells based on OFDMA
US9084119B2 (en) * 2009-01-07 2015-07-14 Qualcomm Incorporated Carrier reuse in a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 environment
US8717914B2 (en) * 2009-04-29 2014-05-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interference
US8463176B2 (en) 2009-05-11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Stability indicator for a wireless repeater
JP2011045504A (ja) * 2009-08-26 2011-03-10 Namco Bandai Games Inc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ゲーム装置
US20110085504A1 (en) * 2009-10-14 2011-04-14 Chia-Chin Chong Adaptive beam-forming and space-frequency block coding transmission scheme for mimo-ofdma systems
JP4914484B2 (ja) * 2009-12-16 2012-04-11 アンリツ株式会社 移動体通信端末試験装置及び試験結果表示方法
US8488562B2 (en) * 2009-12-18 2013-07-16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power control in multi-hop networks
US8432856B2 (en) * 2010-01-06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Heuristic algorithm for calculating target SINR for MMSE beamforming
CA2785819C (en) * 2010-02-12 2020-08-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tra-cell frequency reuse in a relay network
US8437268B2 (en) * 2010-02-12 2013-05-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intra-cell frequency reuse in a relay network
CN102948104B (zh) * 2010-04-02 2016-08-03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协作传输的自适应调度和harq管理
KR20120139841A (ko) * 2010-04-06 2012-12-27 알까뗄 루슨트 링크의 각 섹션에서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비 및 노드
US9385862B2 (en) 2010-06-16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inding subscriber authentication and device authentic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8839373B2 (en) * 2010-06-18 2014-09-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node management and authorization
US9094920B2 (en) * 2010-08-16 2015-07-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es for power control using variable step size
JP5751150B2 (ja) * 2011-11-30 2015-07-2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WO2013109171A1 (en) * 2012-01-16 2013-07-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laying
TWI474728B (zh) * 2012-09-21 2015-02-21 建構於適應性網路模糊推論系統之三層串接式認知引擎之方法及裝置
US9088332B2 (en) * 2012-10-05 2015-07-21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itigation of interference from a mobile relay node to heterogeneous networks
US8948038B1 (en) * 2012-12-10 2015-02-03 Google Inc. Augmenting spectrum sharing using network measurements
US9072021B2 (en) 2012-12-19 2015-06-3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ope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US9832717B2 (en) 2012-12-19 2017-11-2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layer 3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US9271324B2 (en) 2012-12-19 2016-02-23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ed serving cell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US9036578B2 (en) 2012-12-19 2015-05-19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KR101737777B1 (ko) 2013-05-06 2017-05-29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컴퓨팅 장치 성능 모니터
GB2523328A (en) 2014-02-19 2015-08-26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24518A (ko) * 2015-04-20 2016-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10098100B2 (en) * 2016-03-02 2018-10-0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viding LTE network devices with downlink channels in an unlicensed spectrum
US11451926B2 (en) 2018-10-31 2022-09-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on-demand transmission of a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in a wireless network
WO2020121294A1 (en) * 2018-12-10 2020-06-18 Drivenets Ltd. A system and a method for monitoring traffic flows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11134361B2 (en) 2019-02-14 2021-09-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architectures for support of high-performance location in a 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
US11121822B2 (en) 2019-10-30 2021-09-14 Qualcomm Incorporat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basic service set (BSS) and station identification
US11265135B2 (en) * 2020-06-03 2022-03-01 Dish Wireless Llc Method and system for slicing assigning for load shedding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where gNB is controlled for slice assignments for enterprise users

Family Cites Families (10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61054A (en) * 1977-12-15 1981-04-07 Harris Corporation Real-time adaptive power control in satellite communications systems
PE6291A1 (es) 1989-09-14 1991-03-13 Pcn One Ltd Sistema movil de comunicacion por radio
US5029164A (en) * 1990-04-13 1991-07-02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Congestion avoidance in high-speed network carrying bursty traffic
US5204970A (en) 1991-01-31 1993-04-20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adjusting transmit power of a subscriber unit
US5293639A (en) * 1991-08-09 1994-03-08 Motorola, Inc. Reduction of power consumption in a portable communication unit
JPH05227096A (ja) * 1991-11-18 1993-09-03 Nec Eng Ltd 光中継器遠隔測定方式
US5592154A (en) * 1995-06-05 1997-01-0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ioritizing communications in a two-way communication system
US6192038B1 (en) 1995-10-18 2001-02-20 Mdivers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 employing aggregation for digital signals
JP2968717B2 (ja) * 1996-04-25 1999-11-02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時分割多重伝送装置
WO1997046038A2 (en) 1996-05-28 1997-12-04 Northern Telecom Limited Cellular radio systems and methods for their operation
US5724659A (en) * 1996-07-01 1998-03-03 Motorola, Inc. Multi-mode variable bandwidth repeater switch and method therefor
AP1142A (en) * 1997-08-01 2003-01-31 Salbu Res And Development Proprietary Limited Power adaption in a multi-station network.
US6104700A (en) * 1997-08-29 2000-08-15 Extreme Networks Policy based quality of service
US8072915B1 (en) 1998-06-12 2011-12-06 Ericsson Ab Common power control channel in a CDMA system and a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uch a channel
US7406098B2 (en) * 1999-01-13 2008-07-29 Qualcomm Incorporated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pplication flows having quality of service requirements
US6317435B1 (en) * 1999-03-08 2001-11-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ximizing the use of available capac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687509B2 (en) * 1999-12-29 2004-02-03 Airnet Communications Corporation Backhaul power control system in a wireless repeater
US7079508B2 (en) 2000-02-23 2006-07-18 Microsoft Corporation Quality of service over paths having a wireless-link
DE10017930A1 (de) * 2000-04-11 2001-11-15 Siemens Ag Verfahren zur Sendeleistungsregelung in einem Funk-SIGMAommunikationssystem
SG99310A1 (en) * 2000-06-16 2003-10-27 Oki Techno Ct Singapore Pte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signal degradation
US7149795B2 (en) * 2000-09-18 2006-12-12 Converged Access, Inc. Distributed quality-of-service system
JP3582484B2 (ja) 2000-12-08 2004-10-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無線中継器
JP3543959B2 (ja) * 2001-02-16 2004-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基地局
JP3543770B2 (ja) * 2001-02-20 2004-07-2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送信ダイバーシチ適用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7113745B2 (en) * 2001-02-21 2006-09-26 Ericsson Inc. Method to achieve diversity in a communication network
JP3657530B2 (ja) * 2001-05-15 2005-06-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574230B1 (en) * 2001-05-31 2009-08-11 Sprint Spectrum L.P. Remote base station with transmit power control
JP4113840B2 (ja) * 2001-07-24 2008-07-0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送信電力制御装置及び方法並びに移動局及び通信装置
JP4171261B2 (ja) * 2001-08-27 2008-10-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3704493B2 (ja) 2001-10-17 2005-10-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ツリー型マルチホップ無線ネットワークの送信電力設定方法及び送信電力設定プログラム
MXPA04004834A (es) * 2001-11-20 2004-08-02 Qualcomm Inc Repetidora controlada por la potencia del enlace de regreso.
JP2003158543A (ja) * 2001-11-22 2003-05-30 Anritsu Corp 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KR100412014B1 (ko) * 2001-12-13 2003-12-24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전력제어 기능을 갖는 중간 주파수 방식의 중계기와전력제어 방법
JP4319404B2 (ja) 2001-12-28 2009-08-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中継局、移動局及びパケット送信制御方法
DE60238306D1 (de) * 2001-12-28 2010-12-30 Ntt Docomo Inc Paketübertragungsregelungsverfahren
JP4014893B2 (ja) * 2002-03-01 2007-11-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マルチホップ接続用の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方法、これに用いる無線局
KR100651364B1 (ko) * 2002-03-11 2006-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가 비트 이더넷 수동 광 가입자망에서의 전송대역폭할당 방법
US6954435B2 (en) * 2002-04-29 2005-10-11 Harris Corporation Determining quality of service (QoS) routing for mobile ad hoc networks
JP3811491B2 (ja) 2002-05-27 2006-08-23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送信局、受信局、中継局および通信経路決定方法
DE50302345D1 (de) * 2002-06-21 2006-04-13 Siemens Ag Verfahren und kommunikationsstation zum bertragen von daten
JP3939603B2 (ja) 2002-06-26 2007-07-0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中継伝送システム
US7355993B2 (en) * 2002-06-27 2008-04-08 Adkins Keith L Method and apparatus for forward link gain control in a power controlled repeater
US7177275B2 (en) * 2002-07-26 2007-02-13 Kenneth Stanwood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systems that offer multiple classes of service
FR2843503B1 (fr) 2002-08-08 2004-10-15 Thomson Licensing Sa Procede de reglage pour recepteur de signaux transmis par salves et recepteurs correspondants
JP3785137B2 (ja) 2002-11-22 2006-06-14 株式会社竹中工務店 計測情報送信装置及び多点計測情報収集システム
CN1736042B (zh) * 2002-12-05 2011-03-09 高通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设置直放站的反向链路增益的系统和方法
US7254769B2 (en) * 2002-12-24 2007-08-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itute Encoding/decoding apparatus using low density parity check code
NZ579430A (en) * 2003-02-21 2011-03-31 Electro Cat Llc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cross-sectional areas and pressure gradients in luminal organs
US7218891B2 (en) * 2003-03-31 2007-05-15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hop intelligent relaying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based wireless access network
US7545765B2 (en) * 2003-04-11 2009-06-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user diversity forwarding
TWI360317B (en) * 2003-05-28 2012-03-11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chitecture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7184703B1 (en) * 2003-06-06 2007-02-27 Nortel Networks Limited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having relay equipments which select signals to forward
US7542775B2 (en) 2003-06-16 2009-06-02 Ntt Docomo, Inc. Control device and radio control method
JP4453288B2 (ja) 2003-07-09 2010-04-21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体通信網、移動体端末及びそれらに用いるアウタループ電力制御方法
CN1833370B (zh) 2003-07-30 2010-05-12 美商内数位科技公司 使用下链传输功率检测进行限制动态范围的下链功率控制
AU2003260446A1 (en) 2003-08-21 2005-03-10 Docomo Communications Laboratories Europe Gmbh Resource reservation in a wireless network with distributed medium access control
US7388838B2 (en) * 2003-08-29 2008-06-17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able QoS based admission control and scheduling WLANs
US7400856B2 (en) * 2003-09-03 2008-07-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y facilitated communications
JP4237605B2 (ja) 2003-11-04 2009-03-1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中継局及び無線基地局
JP4216694B2 (ja) 2003-11-07 2009-01-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送信電力設定方法
DE10354943B4 (de) 2003-11-25 2008-08-28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ommunikationsstrecke zwischen zumindest zwei Kommunikatonsendgeräten
JP4153866B2 (ja) 2003-11-27 2008-09-24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622658A (zh) 2003-11-28 2005-06-0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提高移动通信体系的中继性能的方法和装置
SE0303602D0 (sv) 2003-12-30 2003-12-30 Ericsson Telefon Ab L M Method and arrangement in self-organizing cooperative network
JP2005236752A (ja) 2004-02-20 2005-09-02 Japan Science & Technology Agency マルチホップ無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7376122B2 (en) * 2004-02-23 2008-05-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nk quality source routing
GB0405334D0 (en) 2004-03-10 2004-04-2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exchanging signals via nodes
US7483493B2 (en) * 2004-03-10 2009-01-27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Combined frequency-time domain power adaptation for CDMA communication systems
KR100946923B1 (ko) * 2004-03-12 2010-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품질 정보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에 따른 시스템
US20050207367A1 (en) * 2004-03-22 2005-09-22 Onggosanusi Eko N Method for channel quality indicator computation and feedback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
KR20050095307A (ko) * 2004-03-26 2005-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데이터 스케줄링 장치 및 방법
JP2005328525A (ja) * 2004-05-04 2005-1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上りリンクパケット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ソフトハンドオーバー端末機の最適のスケジューリングセル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008636B1 (ko) * 2004-05-04 2011-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터 핸드오버시에 적용되는 패킷 전송 성공 여부 전송방법
KR100957408B1 (ko) * 2004-06-17 2010-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대역 무선 분할 다중 접속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지원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94218B2 (en) 2004-07-16 2016-03-22 Qualcomm Incorporated Rate prediction in fractional reuse systems
US7606142B2 (en) * 2004-09-30 2009-10-20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shared backup allocation in networks based on partial information
US8000651B2 (en) * 2005-01-31 2011-08-16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and wireless transmission method
CN101167294B (zh) * 2005-02-17 2013-07-17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协同中继的方法和装置
US7738859B2 (en) * 2005-03-10 2010-06-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ulti-nod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requesting, reporting and collecting destination-node-based measurements and route-based measurements
US8644130B2 (en) * 2005-03-18 2014-02-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subcarrier allocation in a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
EP1852987A4 (en) 2005-03-18 2012-01-18 Panasonic Corp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O2006109131A2 (en) * 2005-04-11 2006-10-1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real-time packet schedu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7486928B2 (en) * 2005-04-14 2009-02-03 Kddi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N100488111C (zh) 2005-05-15 2009-05-13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终端感知业务的wimax动态qos实现方法
CN100372304C (zh) 2005-05-15 2008-02-27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软交换设备感知业务的wimax动态qos实现方法
CN100527736C (zh) 2005-06-03 2009-08-1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WIMAX网络的QoS实现方法
CA2611160A1 (en) 2005-06-06 2006-12-14 Mobidia,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device using a network policy
DE602005025261D1 (de) * 2005-06-17 2011-01-20 Fujitsu Ltd Systeme und Verfahren zur Leistungsregelung im Mehrstreckenkommunikationssystem
EP1734667B1 (en) * 2005-06-17 2011-08-10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734665B1 (en) * 2005-06-17 2011-08-10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734663B1 (en) * 2005-06-17 2011-06-15 Fujitsu Limited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734666A1 (en) * 2005-06-17 2006-12-20 Fujitsu Limited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DE602005009160D1 (de) * 2005-06-17 2008-10-02 Fujitsu Ltd Leistungsregelung im Mehrstreckenkommunikationssystem
CN100459797C (zh) 2005-07-05 2009-02-04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接入网络中提供区别服务的实现方法
US8554232B2 (en) 2005-08-17 2013-10-08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a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
CN101300805B (zh) 2005-09-08 2011-12-14 北方电讯网络有限公司 具有多个异构物理层模式的空中接口协议体系结构的负荷平衡
EP1773091B1 (en) 2005-10-06 2018-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figuring channel and allocating resources in a multi-hop relay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91254B2 (en) * 2005-10-06 2013-03-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nnel configuration and bandwidth allocation in multi-hop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EP1801995A1 (en) 2005-12-21 2007-06-27 Fujitsu Limited Signalling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s
US7975199B2 (en) * 2006-04-03 2011-07-05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Relay-assisted HARQ transmission system
GB2440984A (en) 2006-08-18 2008-02-20 Fujitsu Ltd Wireless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GB2443466A (en) 2006-11-06 2008-05-07 Fujitsu Ltd Relay station for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GB2440985A (en) 2006-08-18 2008-02-20 Fujitsu Ltd Wireless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GB2440982A (en) 2006-08-18 2008-02-20 Fujitsu Ltd Wireless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GB0619455D0 (en) * 2006-10-02 2006-11-08 Fujitsu Ltd Communication system
GB2443465A (en) 2006-11-06 2008-05-07 Fujitsu Ltd Communication systems
US7929478B2 (en) * 2007-03-13 2011-04-19 Nec Laboratories America, Inc. Optimal resource allocation in a multi-hop OFDMA wireless network with cooperative relay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8B1 (ko) * 2007-07-19 2014-12-04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 번들링에 의한 링크 적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06176B2 (en) 2013-12-10
TW200950380A (en) 2009-12-01
TWI339514B (en) 2011-03-21
KR20080002716A (ko) 2008-01-04
US20080009243A1 (en) 2008-01-10
CN101616478A (zh) 2009-12-30
EP1734666A1 (en) 2006-12-20
TWI365630B (en) 2012-06-01
TW200718059A (en) 2007-05-01
TWI366357B (en) 2012-06-11
US8611814B2 (en) 2013-12-17
KR100859930B1 (ko) 2008-09-23
KR20080036982A (ko) 2008-04-29
TWI339962B (en) 2011-04-01
TW200950381A (en) 2009-12-01
TW200950382A (en) 2009-12-01
US20100111027A1 (en) 2010-05-06
CN1881825B (zh) 2012-06-13
CN1881825A (zh) 2006-12-20
KR100858775B1 (ko) 2008-09-16
US20100110973A1 (en) 2010-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930B1 (ko) 통신 시스템
KR100780524B1 (ko) 통신 시스템
KR100823380B1 (ko) 통신 시스템
KR100759671B1 (ko) 통신 시스템
KR100759670B1 (ko) 통신 시스템
KR100789085B1 (ko) 통신 시스템
KR100853606B1 (ko) 다중-홉 통신 시스템에서의 시그널링
JP525204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ソース装置、リレー装置及び宛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