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4518A -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4518A
KR20160124518A KR1020150055242A KR20150055242A KR20160124518A KR 20160124518 A KR20160124518 A KR 20160124518A KR 1020150055242 A KR1020150055242 A KR 1020150055242A KR 20150055242 A KR20150055242 A KR 20150055242A KR 20160124518 A KR20160124518 A KR 20160124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communication
data
quality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하
류은석
정의창
박수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5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4518A/ko
Priority to US15/133,874 priority patent/US20160309485A1/en
Publication of KR2016012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4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76/0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s)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데이터가 전달될 때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하는 과정, 전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과정, 측정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과정,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F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이종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s)를 통해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데이터가 전달될 때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무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유선 네트워크가 무선 네트워크로 대체되고 있다. 즉, 유선 네트워크가 가지고 있는 이동성 제약을 무선 기술로 해결할 수 있게 되므로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많은 기술들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방식의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한 기술들 중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mobile communication network)를 이용하는 기술,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을 이용하는 기술,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이종의 네트워크들(heterogeneous networks)을 연동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무선 랜의 경우 비교적 높은 서비스 속도와 저렴한 서비스 비용으로 급속히 확산되고 있지만, 좁은 서비스 영역과 낮은 이동성을 제공한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경우 서비스 속도가 느리고 비용이 고가이지만 넓은 서비스 영역과 높은 이동성을 지원하고 서비스 품질(예: QoS, quality of service)을 보장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 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및 LTE(long-term evolution) 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은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방식의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결합하여 상호 연동하게 하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리고 적어도 2개의 통신 방식의 이종의 네트워크들에 모두 접속 가능한 멀티 무선접속기술(RAT, radio access technology)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예: 멀티모드 이동단말(multi-mode mobile terminal))가 개발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 무선 랜 및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동시에 데이터(파일)를 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다양한 통신 패스들을 통해 전송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예: 비디오 스트리밍, 영상 통화, 화상 회의 등)에서는 서비스 품질의 보장이 확보되어야 사용자가 데이터 통신을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데이터를 분리하여 별도의 통신 패스들을 통해서 제공할 때, 각각의 통신 패스들의 서비스 품질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에, 무선 랜에서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나, 이는 전자 장치와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사이에서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통해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 사이(예: End-to-End)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 사업자는 주파수 자원(frequency resource)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수록 보다 좋은 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보다 많은 사용자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에서 데이터를 분리하여, 분리된 제1 데이터(예: 영상 데이터)를 무선 랜을 통해 송수신하고, 분리된 제2 데이터(예: 음성 데이터)를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랜에서는 서비스 품질이 실질적으로 보장되지 않을 수 있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서비스 품질이 보장되는 반면 무선 자원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의 통신 품질에 비해 음성 데이터의 통신 품질이 과도하게 보장되는 경우, 영상 데이터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없는 현재 상황에서 이동통신 네트워크의 무선 자원의 비효율적 사용을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이종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되는 분할 데이터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신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hybrid) 서비스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데이터가 분리되어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달되는 통신 환경에서, 상기 데이터를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통신 시스템의 자원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이종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에서 이종 네트워크들의 서비스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여, 이종 네트워크들의 서비스 품질 동기화에 의한 데이터 수신을 지원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전자 장치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과, 제2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과,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에 반응하여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고,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그에 대응하게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수신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하는 과정, 전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과정, 측정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과정,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록 매체는,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하는 동작, 전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동작, 측정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동작,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이종의 네트워크들(heterogeneous networks)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전자 장치에서 이종 네트워크들의 서비스 품질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이종의 네트워크들의 서비스 품질 동기화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품질과 관련된 정보에 기반하여,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전달하는 데이터에 대한 자원 할당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통신 시스템의 자원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기 위한 최적의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전자 장치의 사용성, 편의성, 접근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통신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수신을 위한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수신 동작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송신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세탁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네트워크 환경 100 내의 전자 장치 101이 기재된다. 전자 장치 101은 버스(bus) 110, 프로세서(processor) 120, 메모리(memory) 130, 입출력 인터페이스(input/output interface) 150, 디스플레이(display) 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communication interface) 170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 101은,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 110은,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중앙처리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communication processor)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12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 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 130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 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command) 또는 데이터(data)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 130은 소프트웨어(software) 및/또는 프로그램(program) 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 140은, 예를 들면, 커널(kernel) 141, 미들웨어(middleware) 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145,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141, 미들웨어 143, 또는 API 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operating system(OS))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 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 143, API 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또는 메모리 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 141은 미들웨어 143, API 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7에서 전자 장치 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 143은, 예를 들면, API 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7이 커널 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미들웨어 143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 143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 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 110, 프로세서 120, 또는 메모리 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예컨대, 미들웨어 143은 상기 적어도 하나에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함으로써,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에 대한 스케쥴링(scheduling) 또는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등을 수행할 수 있다.
API 14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147이 커널 141 또는 미들웨어 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file control), 창 제어(window control), 영상 처리(image processing), 또는 문자 제어(character control)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function)(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150은,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 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 150은 전자 장치 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은,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text), 이미지(image), 비디오(video), 아이콘(icon), 또는 심볼(symbol)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160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touch), 제스처(gesture), 근접(proximity), 또는 호버링(hovering)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170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 101과 외부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 102, 제2 외부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 17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 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 164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164는,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네트워크(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 101과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 106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들의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 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101이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 101은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 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 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 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 101은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client-server computing)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자 장치 201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 101의 전체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201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AP, CP) 210, 통신 모듈 220, 가입자 식별 모듈 224, 메모리 230, 센서 모듈 240, 입력 장치 250, 디스플레이 260, 인터페이스 270, 오디오 모듈 280, 카메라 모듈 291, 전력 관리 모듈 295, 배터리 296, 인디케이터 297, 및 모터 29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210은, 예를 들면,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 21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 210은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 210은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210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예: 셀룰러 모듈 221)를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 210은 다른 구성요소들(예: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store)할 수 있다.
통신 모듈 220은,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 17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통신 모듈 220은, 예를 들면, 셀룰러 모듈 221, WiFi 모듈 223, 블루투스 모듈 225, GPS 모듈 227, NFC 모듈 228 및 RF(radio frequency) 모듈 229를 포함할 수 있다.
셀룰러 모듈 221은,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221은 가입자 식별 모듈(예: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224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 201의 구별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221은 프로세서 210이 제공할 수 있는 기능 중 적어도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221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를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듈 223, 블루투스 모듈 225, GPS 모듈 227 또는 NFC 모듈 228 각각은, 예를 들면, 해당하는 모듈을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221, WiFi 모듈 223, 블루투스 모듈 225, GPS 모듈 227 또는 NFC 모듈 228 중 적어도 일부(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C(integrated chip)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RF 모듈 229는, 예를 들면, 통신 신호(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RF 모듈 229는, 예를 들면, 트랜시버(transceiver), PAM(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frequency filter), LNA(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antenn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221, WiFi 모듈 223, 블루투스 모듈225, GPS 모듈 227 또는 NFC 모듈 228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입자 식별 모듈 224는, 예를 들면, 가입자 식별 모듈을 포함하는 카드 및/또는 내장 SIM(embedded SI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고유한 식별 정보(예: ICCID(integrated circuit card identifier)) 또는 가입자 정보(예: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230(예: 메모리 130)은,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232 또는 외장 메모리 234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 232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예: DRAM(dynamic RAM(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 234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 234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 201과 기능적으로 및/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센서 모듈 24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 201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 모듈 240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gesture sensor) 240A, 자이로 센서(gyro sensor) 240B, 기압 센서(barometer) 240C,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 240D,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240E, 그립 센서(grip sensor) 240F,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240G, 컬러 센서(color sensor) 240H(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medical sensor) 240I, 온/습도 센서(temperature-humidity sensor) 240J,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240K, 또는 UV(ultra violet) 센서 240M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 모듈 240은,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iris scan sensor) 및/또는 지문 센서(finger scan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장치 250은, 예를 들면, 터치 패널(touch panel) 252, (디지털) 펜 센서(pen sensor) 254, 키(key) 256, 또는 초음파(ultrasonic) 입력 장치 258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 252는, 예를 들면, 정전식, 감압식, 적외선 방식, 또는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 252는 택타일 레이어(tactile layer)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촉각 반응을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펜 센서 254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의 일부이거나, 별도의 인식용 쉬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키 256은, 예를 들면, 물리적인 버튼, 광학식 키, 또는 키패드(keypad)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입력 장치 258은 마이크(예: 마이크 288)를 통해, 입력 도구에서 발생된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초음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260(예: 디스플레이 160)는 패널 262, 홀로그램 장치 264, 또는 프로젝터 266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26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16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패널 262는, 예를 들면,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패널 262는 터치 패널 252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 장치 264는 빛의 간섭을 이용하여 입체 영상을 허공에 보여줄 수 있다. 프로젝터 266은 스크린(screen)에 빛을 투사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크린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 20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270은, 예를 들면,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272, USB(universal serial bus) 274, 광 인터페이스(optical interface) 276, 또는 D-sub(D-subminiature) 278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270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통신 인터페이스 170에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and alternatively), 인터페이스 270은, 예를 들면,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인터페이스, SD(secure digital) 카드/MMC(multi-media card) 인터페이스,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280은, 예를 들면, 소리(sound)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오디오 모듈 280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는, 예를 들면, 도 1 에 도시된 입출력 인터페이스 150에 포함될 수 있다. 오디오 모듈 280은, 예를 들면, 스피커 282, 리시버 284, 이어폰 286, 또는 마이크 288 등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소리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291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이미지 센서(예: 전면 센서 또는 후면 센서), 렌즈,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플래시(flash)(예: LED 또는 xenon lamp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 295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 201의 전력을 관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력 관리 모듈 295는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 또는 배터리 296 또는 연료 게이지(battery or fuel gauge)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하며,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 예를 들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게이지는, 예를 들면, 배터리 296의 잔량, 충전 중 전압, 전류, 또는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 296은, 예를 들면, 충전식 전지(rechargeable battery) 및/또는 태양 전지(solar battery)를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297은 전자 장치 201 또는 그 일부(예: 프로세서 210)의 특정 상태, 예를 들면, 부팅 상태, 메시지 상태 또는 충전 상태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모터 298은 전기적 신호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진동(vibration), 또는 햅틱(haptic) 효과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전자 장치 201은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예: GPU)를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TV 지원을 위한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또는 미디어플로(MediaFloTM) 등의 규격에 따른 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들 각각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부품(componen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의 명칭은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본 문서에서 기술된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모듈의 블록도이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 310(예: 프로그램 14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에 관련된 자원을 제어하는 운영 체제 및/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구동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7)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는,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즈(windows), 심비안(symbian), 타이젠(tizen), 또는 바다(bada) 등이 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 310은 커널 320, 미들웨어 330, API 36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37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 310의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 상에 프리로드(preload) 되거나,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서버 106 등)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 가능하다.
커널 320(예: 커널 141)은, 예를 들면,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 321 및/또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323을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리소스 매니저 321은 시스템 리소스의 제어, 할당, 또는 회수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디바이스 드라이버 323은,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카메라 드라이버, 블루투스 드라이버, 공유 메모리 드라이버, USB 드라이버, 키패드 드라이버, WiFi 드라이버, 오디오 드라이버, 또는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 330은,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370이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어플리케이션 370이 전자 장치 내부의 제한된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API 360을 통해 다양한 기능들을 어플리케이션 37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미들웨어 330(예: 미들웨어 143)은 런타임 라이브러리 335, 어플리케이션 매니저(application manager) 341, 윈도우 매니저(window manager) 342, 멀티미디어 매니저(multimedia manager) 343, 리소스 매니저(resource manager) 344, 파워 매니저(power manager) 345, 데이터베이스 매니저(database manager) 346, 패키지 매니저(package manager) 347, 연결 매니저(connectivity manager) 348, 통지 매니저(notification manager) 349, 위치 매니저(location manager) 350, 그래픽 매니저(graphic manager) 351, 또는 보안 매니저(security manager) 35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 335는,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370이 실행되는 동안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 컴파일러가 사용하는 라이브러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런타임 라이브러리 335는 입출력 관리, 메모리 관리, 또는 산술 함수에 대한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매니저 341은,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3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생명 주기(life cycle)를 관리할 수 있다. 윈도우 매니저 342는 화면에서 사용하는 GUI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매니저 343은 다양한 미디어 파일들의 재생에 필요한 포맷(format)을 파악하고, 해당 포맷에 맞는 코덱(codec)을 이용하여 미디어 파일의 인코딩(encoding) 또는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리소스 매니저 344는 어플리케이션 3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의 소스 코드, 메모리 또는 저장 공간 등의 자원을 관리할 수 있다.
파워 매니저 345는, 예를 들면, 바이오스(BIOS: basic input/output system) 등과 함께 동작하여 배터리(battery) 또는 전원을 관리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매니저 346은 어플리케이션 370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생성, 검색, 또는 변경할 수 있다. 패키지 매니저 347은 패키지 파일의 형태로 배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
연결 매니저 348은, 예를 들면, WiFi 또는 블루투스 등의 무선 연결을 관리할 수 있다. 통지 매니저 349는 도착 메시지, 약속, 근접성 알림 등의 사건(event)을 사용자에게 방해되지 않는 방식으로 표시 또는 통지할 수 있다. 위치 매니저 350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그래픽 매니저 351은 사용자에게 제공될 그래픽 효과 또는 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할 수 있다. 보안 매니저 352는 시스템 보안 또는 사용자 인증 등에 필요한 제반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가 전화 기능을 포함한 경우, 미들웨어 330은 전자 장치의 음성 또는 영상 통화 기능을 관리하기 위한 통화 매니저(telephony manage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들웨어 330은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운영 체제의 종류 별로 특화된 모듈을 더 제공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구성요소를 일부 삭제하거나 새로운 구성요소들을 추가할 수 있다.
API 360(예: API 145)는, 예를 들면, API 프로그래밍 함수들의 집합으로, 운영 체제에 따라 다른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드로이드 또는 iOS의 경우 플랫폼(platform) 별로 하나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으며, 타이젠(tizen)의 경우 플랫폼 별로 두 개 이상의 API 셋을 제공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37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147)은, 예를 들면, 홈 371, 다이얼러 372, SMS/MMS 373, IM(instant message) 374, 브라우저 375, 카메라 376, 알람 377, 컨택트 378, 음성 다이얼 379, 이메일 380, 달력 381, 미디어 플레이어 382, 앨범 383, 시계 384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어플리케이션 370은, 예를 들면, 건강 관리(health care)(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 또는 환경 정보 제공(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370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사이의 정보 교환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예: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교환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에 특정 정보(예: 알림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로부터 특정 정보(예: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프로그램 모듈 310의 적어도 일부는 소프트웨어, 펌웨어(firmware),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모듈 310의 적어도 일부는, 예를 들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 210)에 의해 구현(implement)(예: 실행)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고,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 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 130이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문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문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통신 기능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이종의 네트워크들(heterogeneous networks)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예: 대용량의 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기반의 미디어 데이터, 화상 회의 또는 화상 통화에 따른 데이터 등)를 수신할 수 있는 전자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측의 전자 장치(예: 제1 전자 장치)는 하이브리드(hybrid) 서비스에 기반한 데이터 통신 시 이종의 네트워크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여 그에 대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의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1 전자 장치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때,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결과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상기 제1 전자 장치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전달할 때, 상기 데이터를 이종의 네트워크들에 대응하는 각 통신 패스(communication path)들에 대응하게 분할할 수 있고, 분할된 분할 데이터들(예: 제1 분할 데이터, 제2 분할 데이터)을 상기 각 통신 패스들을 통해 이종의 네트워크들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이종의 네트워크들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서는 상기 제2 전자 장치가 전달하는 어느 하나의 분할 데이터를 상기 제1 전자 장치에게 전송할 때, 상기 제1 전자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결과에 대응하게 설정된 서비스 품질(예: 통신 속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전자 장치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상기와 같이 데이터가 분리되어 이종의 네트워크들에 대응하는 서로 다른 통신 패스로 전달할 때, 이종의 네트워크들의 서비스 품질을 고려(예: 동기화)하여 전달할 수 있으며, 데이터 송수신을 보다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의 네트워크들의 통신 환경이 좋은 상황(예: 일정 이상의 통신 속도가 나오는 환경)에서는 보다 빠른 데이터 수신을 지원할 수 있고, 이종의 네트워크들의 통신 환경이 열악한 상황(예: 일정 미만의 통신 속도가 나오는 환경)에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데이터 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될 때 적어도 2개의 통신 패스들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하나의 통신 패스가 이용되는 것에 비하여 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이종의 네트워크들에 대해 서비스 품질 동기화를 통해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게 자원(resource)을 할당하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자원 절약 및 절약된 자원으로 다른 전자 장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때 보다 효율적으로 통신 자원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전체적인 통신 시스템의 자원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하이브리드 서비스는 전자 장치가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이종의 네트워크들에 동시에 연결하여, 특정 데이터에 대해 이종의 네트워크들에 대응하는 각 통신 패스(communication path)를 통해 수신하도록 지원하는 모드, 기능, 또는 서비스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이종의 네트워크들은 전자 장치의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1 네트워크와 제2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는 전자 장치의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위한 무선 랜(WLAN, local area network)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네트워크(mobile communication network)(또는 셀룰러 네트워크(cellular network)를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또는 셀룰러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LTE, LTE-A, GSM, UMTS,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s - 2000), CDMA 및 WCDMA 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무선 랜은, WiFi, WiBro,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이종의 네트워크들(예: 상기 이동통신 네트워크 및 상기 무선 랜)과 통신(연결) 가능한 복수의 통신 모듈들(예: 이동통신 모듈, 무선 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기능(예: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기반하는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와 같이 AP(application processor)), CP(communication processor),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다양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 210))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하는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400은 무선 통신부 410, 사용자 입력부 420, 터치스크린 430, 오디오 처리부 440, 메모리 450, 인터페이스부 460, 카메라 모듈 470, 제어부 480, 그리고 전원 공급부 4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 400은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도 4에 도시된 구성들보다 많은 구성들을 가지거나, 또는 그보다 적은 구성들을 가지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 410은 상기 도 2의 통신 모듈 22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 410은 전자 장치 4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전자 장치 400와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 106)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 410은 이동통신 모듈 411, 무선 랜 모듈 413, 근거리 통신 모듈 415, 위치 산출 모듈 417, 그리고 방송 수신 모듈 419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 410은 설정된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이종의 네트워크들(예: 이동통신 네트워크, 무선 랜)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 411은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 서버들(예: 통합 서버(integration server), 프로바이더 서버(provider server), 콘텐츠 서버(content server), 인터넷 서버(internet server), 또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등)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통화 신호, 화상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 411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들(예: 콘텐츠(contents), 메시지(message), 메일(mail), 이미지(image), 동영상(video), 날씨 정보(weather information), 위치 정보(location information) 또는 시간 정보(time information)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통신 모듈 411은 전자 장치 400와 네트워크(예: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4 또는 서버 106)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어 다양한 데이터들을 획득(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 411은 전자 장치 4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들을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외부(예: 서버 106, 또는 다른 전자 장치 104 등)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 411은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듈 411은 제어부 480의 제어 하에 RF(radio frequency)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 480에게 제공하거나, 제어부 480으로부터의 기저대역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 480은 다양한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기저대역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 방식은,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LTE, LTE-A, GSM, UMTS, IMT-2000, CDMA 또는 WCDMA 등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 413은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 102 또는 서버 106)와 무선 랜 링크(link)를 형성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 413은 전자 장치 4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iFi, WiBro,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mmWave(millimeter wav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 413은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들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랜 모듈 413은 전자 장치 400과 네트워크(예: 무선 랜)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전자 장치 또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하여, 전자 장치 400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외부로 전송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랜 모듈 413은 상시 온(on)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자 장치 400의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턴-온(turn-on)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415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을 나타낼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415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415은 전자 장치 400와 네트워크(예: 개인 네트워크,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른 전자 장치와 연동하여, 전자 장치 400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다른 전자 장치로 전송하거나 수신 받을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 415은 상시 온 상태를 유지하거나, 전자 장치 400의 설정 또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턴-온(turn-on)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산출 모듈 417은 전자 장치 400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산출 모듈 415은 삼각측량의 원리로 전자 장치 4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치 산출 모듈 417은 3개 이상의 기지국들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latitude), 경도(longitude), 및 고도(altitude)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 산출 모듈 417은 3개 이상의 위성들로부터 전자 장치 4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계속 수신함으로써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전자 장치 400의 위치 정보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획득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 419은 방송 채널(예: 위성 방송 채널, 지상파 방송 채널 등)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예: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 등) 및/또는 방송과 관련된 정보(예: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 등)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420은 전자 장치 4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420은 사용자의 다양한 입력을 검출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 420은 키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물리 버튼, 터치패드(정압/정전), 조그셔틀(jog & shuttle), 그리고 센서(예: 센서 모듈 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420은 일부가 전자 장치 400의 외부에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부 또는 전체가 터치 패널(touch panel)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 4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400의 동작을 개시(initiation)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 420은 네트워크 연결,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의한 데이터 전송 또는 수신, 어플리케이션 실행, 데이터 입력(작성, 삽입), 전자 장치 400의 자세 변화, 콘텐츠 표시 등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430은 입력 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입출력 수단을 나타내며, 디스플레이 431(예: 디스플레이(160, 260))와 터치감지부 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430은 전자 장치 400과 사용자 사이에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자 장치 400에게 전달할 수 있고, 또한 전자 장치 400으로부터의 출력을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매개체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43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visual output)을 보여줄 수 있다. 상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text), 그래픽(graphic), 비디오(video)와 이들의 조합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스크린 430은 디스플레이 431를 통해 전자 장치 400의 동작에 따른 다양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화면은 예를 들어, 메신저 화면, 통화 화면, 게임 화면, 동영상 재생 화면, 갤러리(gallery) 화면, 웹 페이지 화면, 홈 화면, 네트워크 연결 화면, 또는 데이터 수신 화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430은 상기 디스플레이 431를 통해 특정 화면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터치감지부 433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터치(touch), 호버링(hovering) 또는 에어 제스처(air gesture)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는 이벤트(예: 터치 이벤트, 호버링 이벤트, 에어 제스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이벤트에 따른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 4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480은 전달되는 이벤트를 구분하고, 구분된 이벤트에 따른 동작 수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431은 전자 장치 400에서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431은 전자 장치 400이 통화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통화와 관련된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또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431은 전자 장치 400이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과 해당 모드 운영과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431은 전자 장치 400이 하이브리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과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431은 전자 장치 400의 사용과 관련된 데이터, 콘텐츠,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른 전자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431은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431은 전자 장치 400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세로모드에 의한 화면 표시, 또는 가로모드와 세로모드 간의 변화에 따른 화면 표시를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431은 다양한 디스플레이(예: 디스플레이 160)가 사용될 수 있다. 일부 디스플레이는 투명형 또는 광투명형으로 구성되는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433은 상기 디스플레이 431에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터치스크린 430 표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은 싱글터치(single-touch), 멀티터치(multi-touch), 호버링(hovering), 또는 에어 제스처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입력되는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은 탭(tap), 드래그(drag), 스윕(sweep), 플릭(flick), 드래그앤드롭(drag&drop), 또는 드로잉 제스처(drawing gesture)(예: 필기) 등)의 방식으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433는 상기 터치스크린 430 표면에서 사용자 입력(예: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을 감지하고,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 4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480은 상기 터치감지부 433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사용자 입력(예: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이 발생된 영역에 해당하는 기능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43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 400의 사용과 관련된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사용자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433은 디스플레이 43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 43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433은 입력 수단(예: 사용자 손가락, 전자 펜 등)이 디스플레이 431의 표면 상에 터치 또는 근접되는 위치 및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감지부 433는 적용한 터치 방식에 따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 433에 대한 터치 또는 근접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스크린 제어기(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 제어기(미도시)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해당 데이터를 제어부 4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 480은 터치스크린 430의 어느 영역이 터치 또는 근접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고, 그에 대응하는 기능 실행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440은 도 2의 오디오 모듈 28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440은 상기 제어부 480로부터 입력 받은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SPK, speaker) 441로 전송하고, 마이크(MIC, microphone) 443로부터 입력 받은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 48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440은 음성/음향 데이터를 제어부 480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 441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 443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등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 480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 440은 데이터에 삽입된 오디오 처리 정보(예: 효과음, 음악파일 등)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반응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441은 무선 통신부 41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메모리 4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441은 전자 장치 4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스피커 441은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stream)의 출력을 담당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441은 탈부착 가능한(attachable and detachable) 이어폰(ear phone), 헤드폰(head phone) 또는 헤드셋(head set)을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은 외부 포트를 통해 전자 장치 40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443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443을 통해 처리되는 음성 데이터는 전자 장치 400이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 411을 통하여 외부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443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noise reduction algorithm)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443은 음성 명령(예: 하이브드리 서비스에 기반한 데이터 수신 동작을 개시하기 위한 음성 명령), 음성 인식,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과 같은 오디오 스트림의 입력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 443은 음성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 443은 전자 장치 400에 실장되는 내장 마이크와 전자 장치 400에 연결되는 외장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450(예: 메모리(130, 230))은 제어부 480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one or more programs)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은 예를 들어, 다양한 식별 정보(예: TMSI(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P-TMSI(packet-TMSI), IMSI(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예: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등의 정보), IMEI(international mobile station equipment identity), 채널 정보(예: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정보), 콘텐츠, 메신저 데이터(예: 대화 데이터), 컨택트(contact) 정보(예: 유선 또는 무선 전화번호 등), 메시지, 미디어 데이터(예: 오디오, 동영상, 이미지 등의 파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450은 전자 장치 400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어 기능과 관련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과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 450은 이종의 네트워크들과 연결하고, 연결되는 이종의 네트워크들의 서비스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하는 결과에 기반하여 이종의 네트워크들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고, 결정하는 결과에 기반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하는 서비스 정보를 외부(예: 이동통신 네트워크,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고, 이종의 네트워크들로부터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각각의 통신 패스들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예: 분할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는 동작 등을 처리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 및 그에 따라 처리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450은 전자 장치 400의 동작에 따른 사용 빈도(예: 네트워크 연결 빈도, 어플리케이션 사용 빈도, 콘텐츠 사용 빈도 등), 중요도 및 우선순위도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450에는 터치스크린 430 상의 터치 입력 또는 근접 입력에 응답하여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pattern)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 450은 전자 장치 400의 운영 체제, 터치스크린 430을 이용한 입력 및 표시 제어와 관련된 프로그램, 전자 장치 400의 다양한 동작(기능)들의 제어와 관련된 프로그램, 그리고 각 프로그램들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450은 확장 메모리(예: 외장 메모리 234) 또는 내부 메모리(예: 내장 메모리 23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 400은 인터넷 상에서 상기 메모리 4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 450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모듈,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모듈,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모듈은 일반적인 시스템 동작(system operation)을 제어하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시스템 작동의 제어는, 예를 들면, 메모리 관리 및 제어, 저장 하드웨어(장치) 제어 및 관리, 전력 제어 및 관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모듈은 여러 가지의 하드웨어(장치)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모듈) 사이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선 통신부 410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 네트워크, 컴퓨터, 서비스 서버 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른 전자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소프트웨어 모듈은 해당 통신방식에 해당하는 프로토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그래픽 소프트웨어 모듈은 터치스크린 430 상에 그래픽(graphics)을 제공하고 표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래픽이란 용어는 텍스트(text), 웹 페이지(web page), 아이콘(icon), 디지털 이미지(digital image), 비디오(video),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 관련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태가 어떻게 변경되는지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태의 변경이 어떤 조건에서 이루어지는지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PEG 모듈은 디지털 콘텐츠(예: 비디오, 오디오)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예: 콘텐츠의 생성, 재생, 배포 및 전송 등)을 가능하게 하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소프트웨어 모듈은 카메라 관련 프로세스 및 기능들을 가능하게 하는 카메라 관련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렌더링 엔진(rendering engine)을 포함하는 웹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즉석 메시지(instant message), 워드 프로세싱(word processing), 키보드 에뮬레이션(keyboard emulation), 어드레스 북(address book), 접촉 리스트(touch list), 위젯(widget),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 음성 인식(voice recognition), 위치 결정 기능(position determining function),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모듈은 이종의 네트워크들을 동시에 사용하여 데이터(예: 미디어 데이터, 스트리밍 기반의 미디어 데이터, 화상 회의 또는 화상 통화에 따른 데이터 등)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에서, 이종의 네트워크들에 대한 서비스 품질 동기화에 의해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 460은 도 2의 인터페이스 270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 460은 전자 장치 4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 460은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 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전자 장치 400 내부의 각 구성들에 전달하거나, 전자 장치 4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입/출력(Input/Output) 포트, 비디오 입/출력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 460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470(예: 카메라 모듈 291)은 전자 장치 400의 촬영 기능을 지원하는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카메라 모듈 470은 피사체의 영상(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촬영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470은 제어부 480의 제어에 따라 임의의 피사체를 촬영하고, 촬영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431 및 제어부 48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 470은 입력된 광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또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상기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미도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480은 전자 장치 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480은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 화상 통신 등에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480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 프로세서 210)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어부 480을 프로세서로 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480은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P),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인터페이스(예: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또는 내부 메모리 등을 별개의 구성요소로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집적화된 회로에 집적화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여러 가지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전자 장치 400을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 480은 전자 장치 400의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480은 전자 장치 400의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에 반응하여 네트워크(예: 제1 네트워크, 제2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것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480은 상기 측정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상기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를 제공하는 외부 장치(예: 서비스 서버, 다른 전자 장치 등)에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전자 장치 400이 연결된 특정 네트워크(예: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480은 전자 장치 400이 제공되는 상기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통신 품질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그의 출력(예: 스트리밍 서비스, 저장 등)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180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 동작은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 480은 메모리 4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들과 연동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 400의 데이터 통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 480은 상기한 다양한 기능들을 처리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 480은 메모리 450에 저장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 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one or more processors)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 48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데이터 송수신과 관련된 동작을 처리하는 데이터 관리 모듈, 전자 장치 400과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네트워크들에 대한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품질 측정 모듈, 그리고 측정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품질을 조절하기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품질 결정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통신 품질 측정은 전자 장치 400이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네트워크(예: 무선 랜)에 대해서만 측정할 수도 있고, 전자 장치 400이 연결되는 네트워크들(예: 무선 랜, 이동통신 네트워크) 모두에 대해 측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제어부 480은 상기의 기능 외에 전자 장치 400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영 및 화면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480은 터치 기반 또는 근접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예: 터치스크린 430)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터치 이벤트 또는 근접 이벤트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480은 유선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 490은 제어부 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전원 공급부 490은 제어부 480의 제어에 의해 제어부 480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 디스플레이 431, 무선 통신부 410 등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on/off)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상기 기록 매체는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하는 동작, 전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동작, 측정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동작,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 4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400가 수행하는 기능 중의 적어도 일부는 그 외부 장치(예: 서버 106)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 106은 제어부 480에 대응하는 처리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 모듈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400에서 전송되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400의 하이브리드 서비스 기반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것과 관련된 기능의 적어도 일부를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 4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동작 501에서, 제1 전자 장치 400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initiatio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전자 장치 4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 화상 회의 어플리케이션, 스트리밍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원격의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전자 장치 7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영상 통화 어플리케이션은 제2 전자 장치 700의 통화 상대방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화상 회의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제2 전자 장치 700의 회의 참여자들끼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스트리밍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은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2 전자 장치 700인 서비스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400은 사용자의 상기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응답하여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하이브리드 통신 어플리케이션이 별도로 제공될 수 있고, 이의 선택 실행에 의해 하이브리드 서비스가 개시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장치 400에서 사용자에 의해 특정 용량(예: 30M) 또는 특정 대역폭(예: 10Mbps) 이상의 데이터 수신 요청이 감지될 때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자동 개시할 수도 있다.
동작 503 및 동작 505에서, 제1 전자 장치 400은 상기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에 반응하여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에 대한 통신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500은 무선 랜인 것을 가정할 수 있고, 상기 제2 네트워크 600은 이동통신 네트워크인 것을 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전자 장치 400은 제1 네트워크 500의 사용을 위한 제1 통신 모듈(예: 무선 랜 모듈 413)과 제2 네트워크 600의 사용을 위한 제2 통신 모듈(예: 이동통신 모듈 4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400은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에 반응하여 제1 통신 모듈과 제2 통신 모듈을 모두 활성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2 통신 모듈에 의해 제2 네트워크 6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에 반응하여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위한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제1 네트워크 500과 연결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400은 상기 제1 통신 모듈의 온/오프(on/off) 상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턴-온(turn-on) 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 품질 측정은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을 모두에 대해 측정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500에 대해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네트워크들의 가정에 따를 때, 제1 네트워크 500(예: 무선 랜)의 경우 제2 네트워크 600(예: 이동통신 네트워크)에 비해 통신 품질이 낮은 편(통신 품질 보장 어려움)이며, 통신 품질의 조절이 불가능한 반면, 제2 네트워크 600의 경우 제1 네트워크 500에 비해 통신 품질이 높은 편(통신 품질 보장)이며, 통신 품질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통신 품질 측정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 500에 대한 통신 품질을 측정하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500 및 제2 네트워크 600 모두에 통신 품질을 측정하여 이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품질 측정은 제1 전자 장치 400과 해당 네트워크들 간의 처리량(throughput)과 딜레이(delay)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제 체감하는 통신 품질은 End-to-End(예: 제1 전자 장치 400 ? 제2 전자 장치 700) 품질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테스트 패킷(packet)을 상대방과 교환하는 방식으로 상기 처리량(throughput)과 딜레이(delay)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테스트 패킷의 송수신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장치 400에서 제1 네트워크 500에 네트워크 품질 측정을 요구하고, 제1 네트워크 500으로부터 그 결과를 전달받거나, 또는 제1 네트워크 500의 버퍼(buffer) 상태를 확인하여 추정(estimate)할 수 있다.
동작 507에서, 제1 전자 장치 400은 네트워크들에 대해 측정하는 통신 품질의 결과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 400은 연결된 제1 네트워크 500의 측정된 통신 품질을 고려하여 제2 네트워크 600과 데이터 통신에 이용할 서비스 품질(예: QoS)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1 전자 장치 400은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따라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자 장치 400은 상기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때 제2 네트워크 600의 측정된 통신 품질을 추가 고려하여 상기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따라 결정된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 보다 제2 네트워크 600의 현재의 통신 품질이 낮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네트워크 500 및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 400은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과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 사이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환 테이블(table)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400은 상기 변환 테이블을 통해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대응하는 통신 품질을 갖도록 제2 네트워크 600과의 통신이 연결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1 전자 장치 400은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에 부가적으로 필요한 만큼의 통신이 제2 네트워크 600을 통해 지원되도록 제2 네트워크 600과의 통신이 연결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동작은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이 일정 이하로 떨어졌을 때 수행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동작 509 및 동작 511에서, 제1 전자 장치 400은 상기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제2 네트워크 600과 제2 전자 장치 700에 보고(report)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제1 전자 장치 400이 네트워크들의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결정한 서비스 품질의 결과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정보는 제1 전자 장치 400이 연결된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가 아래 <표 1>과 같이 테이블화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는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의 정보가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 400과 연결된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에서 측정된 처리량(throughput)과 딜레이(delay) 정보가 삽입되어 전송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네트워크(예: LTE)에서는 Default Bearer와 Dedicated Bearer로 나뉘어 서비스 품질(예: QoS)이 지원되고 있다. 상기 Dedicated Bearer는 다시 Non-GBR(Non-Guaranteed Bit Rate)과 GBR(Guaranteed Bit Rate)으로 나뉠 수 있고, 상기 Dedicated Bearer는 Non-GBR에 속할 수 있다. 상기 <표 1>의 예시와 같이 전송되는 데이터 혹은 시그널(signal) 별로 다른 QCI(QoS class of identifier)가 할당될 수 있고, QCI 별로 다른 요구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VoIP Call 데이터는 100ms의 패킷 딜레이(delay) 조건 및 패킷 로스(loss) 요건이 만족되도록 통신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특정 메시지(예: 세션 해제 메시지(예: SIP BYE 메시지))의 헤더 혹은 메시지 바디에 삽입되어 제2 네트워크 600에 전송될 수 있다. 아래 <표 2>는 상기 SIP BYE 메시지의 헤더 부분에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표 2>의 예시와 같이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해제 메시지 또는 신호를 수신한 제2 네트워크 600은 상기 세션 해제 메시지에 삽입된 제1 전자 장치 400이 연결된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활용하여 제1 전자 장치 400과 연결되는 세션의 품질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서비스 정보는 특정 메시지(예: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 요청, 또는 데이터 전송 요청 메시지)에 포함되어 제2 전자 장치 700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 요청 메시지(또는 데이터 전송 요청 메시지)는 제1 네트워크 500 또는 제2 네트워크 600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전자 장치 700에 전달될 수 있다.
동작 513에서, 제2 전자 장치 700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 700은 상기 제1 전자 장치 400으로부터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를 인지할 수 있다.
동작 515에서, 제2 전자 장치 700은 이종의 네트워크들에 대응하게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 700은 데이터를 제1 분할 데이터와 제2 분할 데이터와 같이 이종의 네트워크들의 2개의 통신 패스들에 대응하여 데이터 세션(data session)을 구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자 장치 400과 제2 전자 장치 700은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기반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상호 간에 연결이 수립될 수 있고, 상호 간에 서로 다른 통신 패스들을 통해 분할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통화의 경우 영상(video) 데이터를 위한 세션(session)과 음성(voice) 데이터를 위한 세션이 따로 설립될 수 있고, 영상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는 각각의 세션을 활용하여 전자 장치들 간에 교환될 수 있다. 화상 회의의 경우도 영상 데이터를 위한 세션과 음성 데이터를 위한 세션이 따로 설립될 수 있다. 비디오 스트리밍 서비스의 경우 영상 데이터를 별도의 세션으로 나누어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부호화(예: SVC(scalable video coding) 부호화 등)를 활용하여 인코딩(encoding)된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은 기본 계층(basement layer)의 영상을 전송하는 세션과 향상 계층(enhancement layer)의 영상을 전송하는 세션이 별도로 설립되고, 각각의 세션을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비디오 스트림에 대해서도 왼쪽 영상을 위한 세션, 왼쪽 영상과 오른쪽 영상의 차분을 전송하기 위한 세션이 별도로 설립되고, 각각의 세션을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동작 517에서, 제2 전자 장치 700은 분할 데이터를 전송할 각 통신 패스를 설정할 수 있고, 동작 519 및 동작 521에서 분할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500 및 제2 네트워크 6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전자 장치 700은 제1 분할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500에 대응하는 제1 통신 패스에 설정하고, 제2 분할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 600에 대응하는 제2 통신 패스에 설정할 수 있다. 즉, 제2 전자 장치 700은 데이터의 세션 별로 다른 통신 모듈(예: 제1 통신 모듈, 제2 통신 모듈)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영상 통화, 화상 회의의 영상 데이터 세션은 제2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제2 네트워크 600에, 음성 데이터 세션은 제1 통신 모듈에 기반하여 제1 네트워크 5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기본 계층(basement layer)의 영상을 전송하는 세션은 제2 통신 모듈로, 향상 계층(enhancement layer)의 영상을 전송하는 세션은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비디오 스트림의 왼쪽 영상을 위한 세션은 제2 통신 모듈로, 왼쪽 영상과 오른쪽 영상의 차분을 전송하는 세션은 제1 통신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523 및 동작 525에서,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은 제2 전자 장치 700으로부터 전달되는 분할 데이터(예: 제1 분할 데이터, 제2 분할 데이터)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분할 데이터를 제1 전자 장치 400에 각각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네트워크 600은 상기 분할 데이터(예: 제1 분할 데이터)를 제1 전자 장치 400에 전달할 때, 이전에 수립된 기본 연결 세션이 아닌 제1 전자 장치 400이 측정한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게 새로 수립된 연결 세션에 기반하여 해당 분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동작 527에서, 제1 전자 장치 400은 제1 네트워크 500 및 제2 네트워크 600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분할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 400은 제1 분할 데이터와 제2 분할 데이터의 수신에 반응하여 각 분할 데이터들에 대해 버퍼링(buffering), 디코딩(decoding), 복원(recovery)(예: 분할 데이터 동기화 및 결합)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생성되는 완전한 데이터의 출력(예: 스트리밍 서비스, 저장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지원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 6 및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6 및 상기 도 7은 제2 전자 장치 700에 의해 데이터가 분리되어 서로 다른 통신 패스(예: 제1 네트워크 500, 제2 네트워크 600)로 제1 전자 장치 500에 전달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도 6은 데이터가 분리되어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일반적으로 전달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패스와 제2 통신 패스에 따른 각 버퍼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6은 특정 데이터(예: 비디오 코덱(video codec)으로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복수 개의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버퍼(buffer)와 함께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에서 Device #1 410은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 600과 제1 네트워크 500을 통해 수신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고, Device #2 420과 Device #3 430은 제2 네트워크 600을 통해 수신하고 있는 상태의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Device #1 410의 경우, 제1 네트워크 500에 비해 제2 네트워크 600에 보다 많은 패킷(packet)이 전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속도가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속도 보다 빠르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다.
반면, Device #2 420과 Device #3 430의 버퍼는 충분히 차 있지 않고 비어 있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로 인해, Device #2 420과 Device #3 430은 충분한 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evice #2 420과 Device #3 430의 사용자는 비디오 스트리밍의 끊김 현상을 경험할 수 있다. 즉,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을 통해 데이터(예: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할 때, 제1 네트워크 500에 비해 제2 네트워크 600이 필요 이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결국 Device #1 410에게만 필요 이상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을 통해 데이터를 제공할 때,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을 조절하여 전자 장치에 필요한 만큼의 서비스만 제공하고, 절약된 자원으로 다른 전자 장치에게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상기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도 7은 데이터가 분리되어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달되는 경우, 전자 장치의 제1 통신 패스와 제2 통신 패스에 따른 각 버퍼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7은 특정 데이터(예: 비디오 코덱으로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보수 개의 통신 수단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버퍼와 함께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에서 Device #1 410은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 600과 제1 네트워크 500을 통해 수신하고 있는 상태일 수 있고, Device #2 420과 Device #3 430은 제2 네트워크 600을 통해 수신하고 있는 상태의 예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도 7에서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Device #1 410의 경우, 상기 도 6과 비교하여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이 거의 동일한 양의 패킷(packet)을 전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라 Device #1 410에서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을 고려하여 상호 간에 동기화를 위해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이 조절된 결과에 따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6에 비해 Device #2 420과 Device #3 430의 버퍼는, Device #1 410에 대한 서비스 품질 조절에 따라 확보된 자원만큼 패킷을 추가적으로 더 수신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 400과 연결된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을 고려하여 제2 네트워크 600과 통신에 필요한 서비스 품질(예: QoS)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 400은 제1 네트워크 500에 따라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해 제2 네트워크 600에 보고할 수 있고, 전자 장치 400과 제2 네트워크 600은 상기 서비스 품질에 기초하여 연결 세션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은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통신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동작 801에서, 제어부 480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사용자의 데이터 수신을 위한 조작(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제어부 480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할 때, 제1 통신 모듈(예: 무선 랜 모듈 413)의 온/오프 상태(또는 제1 네트워크 500과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고, 오프 상태(또는 연결되지 않은 상태)인 경우 제1 통신 모듈을 턴-온 하는 동작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동작 803에서,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 모두, 또는 제1 네트워크 500에 대해 통신 품질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품질 측정은 제1 전자 장치 400과 해당 네트워크들 간에 테스트 패킷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그에 따른 처리량(throughput)과 딜레이(delay) 등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동작 805에서, 제어부 480은 네트워크들에 대해 측정하는 통신 품질의 결과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연결된 제1 네트워크 500의 측정된 통신 품질을 고려하여 제2 네트워크 600과 데이터 통신에 이용할 서비스 품질(예: QoS)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따라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480은 상기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때 제2 네트워크 600의 측정된 통신 품질을 추가 고려하여 상기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따라 결정된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 보다 제2 네트워크의 현재의 통신 품질이 낮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제1 네트워크 500 및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480은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때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대응하는 통신 품질을 갖도록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을 동기화 하여 동일한 통신 품질을 갖도록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에 부가적으로 필요한 만큼의 통신이 제2 네트워크 600을 통해 지원되도록 제2 네트워크 600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807에서, 제어부 480은 상기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기반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서비스 정보는 제어부 480이 네트워크들의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결정한 서비스 품질의 결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비스 정보는 전자 장치 400이 연결된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예: 처리량(throughput), 딜레이(delay)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동작 809에서, 제어부 480은 상기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2 네트워크 600과 제2 전자 장치 700(예: 서비스 서버, 다른 전자 장치 등)에 보고(repor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 메시지(또는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전자 장치 700에 전송할 수 있고,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재설정 메시지(예: 세션 해제 메시지(예: SIP BYE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6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811에서, 제어부 480은 분할 데이터들을 각 통신 패스들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1 통신 모듈(예: 무선 랜 모듈 413)을 통해 연결된 제1 네트워크 500으로부터 제1 분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예: 이동통신 모듈 411)을 통해 연결된 제2 네트워크 600으로부터 제2 분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분할 데이터는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 동기화에 기반하여 동일한 통신 품질에 따라 전자 장치 400에 전달될 수 있다.
동작 813에서,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 및 제2 네트워크 600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분할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데이터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제1 분할 데이터와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제2 분할 데이터에 대해 버퍼링, 디코딩, 복원(예: 분할 데이터 동기화 및 결합)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생성된 완전한 데이터의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수신을 위한 처리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동작 901에서, 제어부 480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위한 의도된 사용자 입력, 하이브리드 서비스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 실행, 또는 데이터 수신이 요청된 데이터의 용량이 일정 이상의 용량인 경우 등에서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동작 903에서, 제어부 480은 상기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할 때 제1 네트워크 500의 연결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1 통신 모듈(예: 무선 랜 모듈 413)의 온/오프 상태(또는 제1 네트워크 500과 연결된 상태인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상기 동작 903에서,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과 연결 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903의 NO), 동작 905에서, 제1 네트워크 500과의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2 네트워크 600을 위한 제2 통신 모듈(예: 이동통신 모듈 411)에 의해 제2 네트워크 6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제1 통신 모듈(예: 무선 랜 모듈 413)을 활성화 하여 제1 네트워크 500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동작 903에서,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과 연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903의 YES), 동작 907에서, 통신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네트워크들 간에 테스트 패킷을 교환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처리량과 딜레이 등을 특정하여 상기 통신 품질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909에서, 제어부 480은 판단된 통신 품질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측정된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과 그에 대응하는 제1 설정 기준을 비교하여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이 만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 480은 측정된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과 그에 대응하는 제2 설정 기준을 비교하여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이 만족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대해 판단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을 모두 고려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909에서, 제어부 480은 통신 품질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909의 YES), 동작 911에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을 고려하여 제2 네트워크 600과 데이터 통신에 이용할 서비스 품질(예: QoS)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따라 제2 네트워크 600과 서비스에 필요한 자원 할당을 위한 제2 네트워크 600에 대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 480은 제2 네트워크 600이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대응하는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통신을 지원하도록 상기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동작 913에서, 제어부 480은 상기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기반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제어부 480이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2 네트워크 600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결과 정보(예: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예: 처리량(throughput), 딜레이(delay)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동작 915에서, 제어부 480은 상기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는 서비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2 네트워크 600과 제2 전자 장치 700(예: 서비스 서버, 다른 전자 장치 등)에 상기 서비스 정보를 보고(report)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 메시지(또는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전자 장치 700에 전송할 수 있고,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재설정 메시지(예: 세션 해제 메시지(예: SIP BYE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6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17에서, 제어부 480은 제2 네트워크 600과 연결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재설정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600에 전송하는 것에 반응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600과 연결 세션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 400과 제2 네트워크 600과의 연결 세션을 새로 설정하는 과정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와 같은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SIP은 크게 SIP 메시지 시작 줄, SIP 헤더, SIP 메시지 바디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 480은 상기 SIP(예: SIP INVITE 메시지)을 활용하여 연결 세션을 새로 설정할 수 있고, 제2 네트워크 600과 중복된 기존 연결 세션은 해제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세션을 해제하는 연결 세션 해제 메시지(예: SIP BYE 메시지) 혹은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연결 세션 해제 메시지 혹은 신호에 제1 통신 모듈로 연결된 상기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서비스 정보가 삽입되어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600에서는 앞서 살펴본 <표 1>의 예시와 같은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가 테이블화되어 관리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600는 전자 장치 400로부터 수신된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그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400과 연결 세션을 재설정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연결 세션 해제 메시지 혹은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네트워크 600에서는, 상기 연결 세션 해제 메시지에 삽입된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를 활용하여, 전자 장치 400과의 연결에 필요한 연결 세션의 통신 품질을 조절할 수 있다.
동작 919에서, 제어부 480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분할 데이터들을 각 통신 패스들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 480은 제1 통신 모듈(예: 무선 랜 모듈 413)을 통해 연결된 제1 네트워크 500으로부터 제1 분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통신 모듈(예: 이동통신 모듈 411)을 통해 연결된 제2 네트워크 600으로부터 제2 분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분할 데이터는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신 품질 동기화에 기반하여 동일한 통신 품질에 따라 전자 장치 400에 전달될 수 있다.
동작 921 및 동작 923에서, 제어부 480은 분할 데이터를 처리하여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 및 제2 네트워크 600으로부터 수신되는 각 분할 데이터들을 처리하여 데이터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 480은 제1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제1 분할 데이터와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제2 분할 데이터에 대해 버퍼링, 디코딩, 복원(예: 분할 데이터 동기화 및 결합) 등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 생성된 완전한 데이터의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동작 909에서, 제어부 480은 통신 품질이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인 것으로 판단하면(동작 909의 NO), 동작 931에서, 데이터 수신을 위한 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비활성화 상태로 전환하고 제2 네트워크 600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480은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활성화 상태로 유지하고 제2 네트워크 600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 변화에 따라 하이브리드 서비스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동작(예: 제2 통신 방식)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방식 결정은 전자 장치 400에 미리 설정되는 설정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동작 933에서, 제어부 480은 상기 결정된 통신 방식에 기반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는 제어부 480이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결정한 제2 네트워크 600에 대한 서비스 품질의 결과 정보(예: 제1 네트워크 500의 통신 품질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서비스 정보는 제1 네트워크 500에 의한 데이터 통신 없이 제2 네트워크 600에 의한 데이터 통신 수행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 935에서, 제어부 480은 상기 서비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2 전자 장치 700(예: 서비스 서버, 다른 전자 장치 등)에 상기 서비스 정보를 보고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 480은 서비스 정보(예: 제2 네트워크 600에 의한 데이터 전송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 메시지를 상기 제2 전자 장치 700에 전송할 수 있다.
동작 937에서, 제어부 480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2 통신 모듈(예: 이동통신 모듈 411)을 통해 연결된 제2 네트워크 600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939 및 동작 923에서, 제어부 480은 수신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그에 대응하는 데이터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하는 데이터에 대해 버퍼링, 디코딩 등의 데이터를 처리를 수행하여 데이터의 출력을 처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의 데이터 수신 동작에서 네트워크 연결을 재설정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동작 1001에서, 제어부 480은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400과 제2 네트워크 600 간에 세션을 새로 설정하는 과정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SIP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존의 세션은 해제하면서 자원 절약을 위한 새로운 세션을 다시 설정할 수 있다.
동작 1003에서, 제어부 480은 세션 설정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상기 서비스를 정보를 포함하는 세션 설정 메시지를 제2 네트워크 6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600은 상기 세션 설정 메시지 수신에 반응하여 전자 장치 400과의 기존 연결 세션 해제를 전자 장치 400에 통지할 수 있고, 상기 세션 설정 메시지의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 400과의 세션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네트워크 600은 앞서 살펴본 <표 1>과 같은 통신 품질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에 대응하는 서비스 품질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400에 할당할 자원을 결정하고, 결정된 자원에 대응하여 세션 재설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네트워크 600은 상기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 400과의 통신 품질을 조절할 수 있다.
동작 1005에서, 제어부 480은 제2 네트워크 600의 통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 600과의 기존 연결 세션을 해제할 수 있다.
동작 1007에서, 제어부 480은 제2 네트워크 600과 상기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는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게 세션을 재설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데이터 송신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동작 1101에서, 제어부 480은 서비스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데이터 전송을 요청하는 전자 장치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1103에서, 제어부 480은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 메시지 수신에 응답하여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서비스 정보의 포함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 480은 상기 데이터 전송 요청 메시지에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를 결정할 수 있고, 상기 데이터 전소 요청 메시지에 서비스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개시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105에서, 제어부 480은 상기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1 네트워크 500과 제2 네트워크 600에 의한 데이터 전송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결정에 대응하여 데이터를 제1 분할 데이터와 제2 분할 데이터로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데이터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분할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 480은 다중 디스크립션 코딩(MDC, multiple description coding)의 한 기법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데이터의 비디오 프레임(video frame)을 짝수 프레임(even frame)과 홀수 프레임(odd frame)으로 나누어 코딩(coding)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 480은 이러한 방법으로 코딩된 데이터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코딩된 데이터는 복수 개의 통신 수단을 통해 전자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Description #1은 제1 네트워크(예: 무선 랜)를 통해 전송될 수 있고, Description #2는 제2 네트워크(예: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 480은 H.265의 타일(Tile) 구조에 기반하여 데이터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의 한 개의 비디오 프레임은 여러 개의 타일(Tile)로 구분될 수 있고, 각 타일은 독립적으로 파싱(parsing) 가능한 복 수 개의 블록(block)으로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는 각 블록(block) 별 또는 타일 별로 코딩이 될 수 있고, 이렇게 코딩된 데이터는 복수 개의 통신 수단을 통해 전자 장치에 전송될 수 있다.
동작 1107에서, 제어부 480은 분할 데이터들의 통신 패스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1 분할 데이터를 제1 네트워크 500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통신 패스를 설정할 수 있고, 제2 분할 데이터를 제2 네트워크 600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통신 패스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분할 데이터와 제2 분할 데이터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데이터 세션 별로 구분되는 서로 다른 데이터이거나, 또는 전송 대상의 데이터와 동일한 데이터일 수 있다.
동작 1109에서, 제어부 480은 분할 데이터들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480은 제1 분할 데이터와 제2 분할 데이터를 설정된 통신 패스를 통해 제1 네트워크 500와 제2 네트워크 6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1 네트워크 500과 상기 제2 네트워크 600을 통해 상기 분할 데이터들을 수신하는 전자 장치에서는, 각 네트워크들을 통해 수신하는 분할 데이터들을 디코딩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400: 전자 장치
410: 무선 통신부 411: 이동통신 모듈
413: 무선 랜 모듈 415: 근거리 통신 모듈
420: 사용자 입력부 430: 터치스크린
431: 디스플레이 433: 터치감지부
440: 오디오 처리부 441: 스피커
443: 마이크 450: 메모리
460: 인터페이스부 470: 카메라 모듈
480: 제어부 490: 전원 공급부

Claims (2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 모듈과,
    제2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 모듈과,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에 반응하여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고, 측정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고,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그에 대응하게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수신을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네트워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네트워크의 연결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고려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에 이용할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모두 측정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에 이용할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이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에 대응하는 통신 품질을 갖도록 상기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기반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다른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 연결 세션을 재설정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연결된 상기 제1 통신 모듈과 상기 제2 네트워크와 연결된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데이터가 분리된 제1 분할 데이터와 제2 분할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데이터와 상기 제2 분할 데이터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 동기화에 기반하여 동일한 통신 품질에 따라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하는 과정,
    전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과정,
    측정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과정,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네트워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하이브리드 서비스 개시에 응답하여 제1 네트워크의 연결을 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고려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에 이용할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과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모두 측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에 이용할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이 상기 제1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에 대응하는 통신 품질을 갖도록 상기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과정은
    상기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기반하여 서비스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데이터를 제공하는 다른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제2 네트워크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서비스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네트워크와 연결 세션을 재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과정은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가 분리된 제1 분할 데이터와 제2 분할 데이터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할 데이터와 상기 제2 분할 데이터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상기 제2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 동기화에 기반하여 동일한 통신 품질에 따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 방법.
  21.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개시하는 동작, 전자 장치가 연결된 네트워크의 통신 품질을 측정하는 동작, 측정된 통신 품질에 기반하여 데이터 통신을 위한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동작, 결정된 서비스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 서비스 품질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통신 패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55242A 2015-04-20 2015-04-20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장치 KR20160124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242A KR20160124518A (ko) 2015-04-20 2015-04-20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15/133,874 US20160309485A1 (en) 2015-04-20 2016-04-20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of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242A KR20160124518A (ko) 2015-04-20 2015-04-20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4518A true KR20160124518A (ko) 2016-10-28

Family

ID=57130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242A KR20160124518A (ko) 2015-04-20 2015-04-20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309485A1 (ko)
KR (1) KR2016012451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065A1 (ko) * 2015-09-23 2017-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디오처리장치, 비디오처리장치의 구동방법, 비디오중계장치, 비디오중계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36515B2 (en) * 2016-12-23 2020-01-14 Kausik Majumdar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robot communications
CN109765825B (zh) * 2019-01-30 2023-09-29 山西天科信息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多链路安全控制终端和安全控制方法
EP4324178A1 (en) * 2021-05-15 2024-02-21 Apple Inc. Coordinating output of content during a multiuser communication sessio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849B1 (ko) * 2003-05-14 2006-03-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Wcdma 시스템의 서비스 품질을 이용한 핸드 오버설정 방법 및 시스템
EP1723747B1 (en) * 2004-03-10 2011-08-24 AB Seesta OY Heterogeneous network system, network node and mobile host
KR100643763B1 (ko) * 2005-02-17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질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주변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이동노드, 및, 그 방법
JP4594771B2 (ja) * 2005-03-18 2010-12-08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QoS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EP1734666A1 (en) * 2005-06-17 2006-12-20 Fujitsu Limited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748666A1 (en) * 2005-07-27 2007-01-31 Alcatel Method of identifying a radio link
CN101627601B (zh) * 2007-01-18 2013-03-13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用于对家庭网络远程访问的方法和装置
US8385345B2 (en) * 2007-09-19 2013-02-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i, L.P. Data forwarding in hybrid mesh networks
KR101472571B1 (ko) * 2007-11-07 2014-12-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JP5042104B2 (ja) * 2007-12-27 2012-10-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基地局、通信品質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559359B2 (en) * 2008-04-29 2013-10-15 Qualcomm Incorporated Information exchange mechanisms to achieve network QoS in wireless cellular systems
CN101577935B (zh) * 2008-07-17 2011-09-2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事件触发器的下发和安装方法
US9351193B2 (en) * 2009-01-28 2016-05-24 Headwater Partners I Llc Intermediate networking devices
US8600382B2 (en) * 2009-04-24 2013-12-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ement-based medium selection in a network
US8606173B2 (en) * 2009-06-11 2013-12-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relay method and apparatus based on object sensing function
US8942192B2 (en) * 2009-09-15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ubframe interlacing in heterogeneous networks
US20110201336A1 (en) * 2010-02-12 2011-08-18 David Garrett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USER-LEVEL QoS DURING A LOCATION-BASED HANDOFF OVER HETEROGENEOUS MOBILE ENVIRONMENTS
US8520538B2 (en) * 2010-02-25 2013-08-27 Clearwire Ip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ffic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332517B2 (en) * 2010-03-31 2012-12-11 Incnetworks, Inc. Method, computer program, and algorithm for computing network service value pricing based on communication service experiences delivered to consumers and merchants over a smart multi-services (SMS) communication network
US8446872B2 (en) * 2010-06-18 2013-05-21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frequency allocation
US8725145B2 (en) * 2011-01-25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obile device requests of non-communication time period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601058B2 (en) * 2011-03-24 2013-12-03 Cisco Technology, Inc. Mobile videoconferencing
TWI484853B (zh) * 2012-03-14 2015-05-11 Inst Information Industry 通訊系統及其通訊方法
US9736703B2 (en) * 2012-04-06 2017-08-15 Plume Design, Inc. Interference management and network performance optimization in dense WiFi networks
GB2501917A (en) * 2012-05-10 2013-11-13 Nec Corp Communication system
US8923861B2 (en) * 2012-09-26 2014-12-30 Apple Inc. Facilitating reselection by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first network from a second network after termination of a circuit switched fallback voice call
EP2871795A1 (en) * 2013-11-06 2015-05-13 MyOmega System Technologies GmbH Method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at least one load
US9584649B2 (en) * 2013-12-17 2017-02-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base station by service
GB2529736B (en) * 2014-12-24 2017-11-22 Airties Kablosuz Iletism Sanayi Ve Disticaret As Mesh island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2065A1 (ko) * 2015-09-23 2017-03-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비디오처리장치, 비디오처리장치의 구동방법, 비디오중계장치, 비디오중계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09485A1 (en) 2016-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2815B2 (en) Method of operating function and resource of electronic device
US108027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communication in electronic device
US102992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electronic device
WO2021243618A1 (zh) 一种资源调度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00413120A1 (en) Method of controlling the sharing of videos and electronic device adapted thereto
EP3264853A1 (en) Rrc connection establish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EP38331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using multiple frequency bands
US202001783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dicating radio bearer
US101721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electronic devices
KR10260764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테더링 연결 방법
CN105578385B (zh) 电子设备收发数据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电子设备
EP3672319A1 (en) Data sending method, apparatus, and device
EP3409073B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tethering service
KR102294040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1245854B (zh) 一种媒体传输方法、媒体控制方法及装置
KR20160124518A (ko)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및 장치
US20150382261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operating communication service
CN110896567A (zh) 基于wifi的数据传输方法及设备
KR102113550B1 (ko) 전자 장치의 기능 및 리소스 운용 방법
US20160359944A1 (en) Method for providing multimedia servic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WO2023197268A1 (zh) 资源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CN115510447A (zh) 组件访问方法和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以及芯片
KR2015009997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제어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