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9841A - 링크의 각 섹션에서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비 및 노드 - Google Patents

링크의 각 섹션에서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비 및 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9841A
KR20120139841A KR1020127028845A KR20127028845A KR20120139841A KR 20120139841 A KR20120139841 A KR 20120139841A KR 1020127028845 A KR1020127028845 A KR 1020127028845A KR 20127028845 A KR20127028845 A KR 20127028845A KR 20120139841 A KR20120139841 A KR 20120139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os
link
target values
parameters
respective seg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8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 정
지민 리우
시아오빙 렝
카이빈 장
강 쉔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20139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8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24Negotiating SLA [Service Level Agreement]; Negotiating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42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 H04W84/047Public Land Mobile systems, e.g. cellular systems using dedicated repeater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링크의 각 섹션에서 서비스의 품질(Quality of Service;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비를 제공한다. 방법은: 링크의 각 섹션의 QoS과 전체적인 QoS 사이의 관계에 따라, 각 섹션의 QoS의 타겟 값이 적어도 링크의 QoS의 전체적인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은 큰 확장가능성과 좋은 역호환성을 갖는 멀티홉 중계 시스템에 대한 보장된 QoS 해법을 제공하고, 이는 코어 네트워크와 이용자 장비의 모두에 투명하다.

Description

링크의 각 섹션에서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비 및 노드{METHOD, EQUIPMENT AND NODE FOR DETERMINING QUALITY OF SERVICE IN EACH SECTION OF LINK}
본 발명은 중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고, 특히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서비스의 품질(Quality of Service;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네트워크 노드에 관한 것이다.
현존하는 통신 시스템들에서, 운영자들은 다각화된 서비스들,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전화기, 모바일 TV, 온라인 게임, 등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그들 자신의 특징들을 갖고, 상이한 종류들의 서비스들은 비트 레이트, 패킷 지연, 등과 같은 성능들에 대한 상이한 요구사항들을 갖는다. 예를 들면, 음성 세션과 비디오 세션에 대하여는, 적은 시간 지연을 요구하고 일정한 비트 에러 레이트를 허용할 수 있지만; 파일 전송과 같은 서비스들에 대하여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트 에러 레이트를 요구하지만 일정한 시간 지연을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오버 프로비저닝(over-provisioning)을 통하여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셀룰러 액세스 네트워크에서, 송신 용량, 특히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스펙트럼(radio spectrum) 및 백홀(backhaul)을 위한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고; 따라서, 이러한 오버-프로비저닝 기술 방식은 일반적으로 비경제적이다. 따라서, 액세스 운영자가 서비스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고 일정한 서비스에 대해 패킷 트래픽에 의해 경험된 성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간단하고 효율적인 표준화된 QoS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정책 및 과금 제어부(Policy and Charging Control;PCC)는 일관되고 제어되는 방식으로 서비스 관련 접속들을 제어하는 방식을 제공한다. 이는 어떻게 서비스 흐름들이 베어러(bearer)들로 분할되는지, 이러한 베어러들이 가질 QoS 특징들은 무엇인지, 그리고 마지막으로, 어떤 종류의 계산 및 과금 정책이 적용될 것인지를 포함하여, 어떻게 베어러 리소스들이 주어진 서비스에 할당되는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GPP) 규정에서, 각각의 서비스 데이터 흐름(Service Data Flow;SDF)이 오직 하나의 QoS 클래스 식별자(QoS Class Identifier;QCI)와 연관되고, 각 QCI는 대응하는 QoS, 예를 들면, 우선순위, 패킷 지연 버짓(packet delay budget;PDB), 패킷 에러 손실 레이트(packet error loss rate;PELR)에 대응한다.
현재의 3GPP 규정에서, 기지국에서 이용자 장비로 직접적인 단일 홉(single-hop) 기술이 적용된다. 따라서, 3GPP 규정에서, QoS 보장은 단지 단일 홉을 위해서만 설계되고, 예를 들면, 상이한 QCI들에 대하여는 패킷 지연 버짓(PDB), 패킷 에러 손실 레이트(PELR), 등을 지정한다.
멀티 홉(multi-hop) 중계 기술은 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의 차세대 롱텀 에볼루션(LTE)-어드밴스드(3GPP LTE-A)에서 도입된다. 멀티 홉 중계 기술은 LTE-A Rel-10에 의해 채택되었던, 상대적으로 낮은 자본적 지출(CapEX)과 운용적 지출(OpEX)의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좋은 해결책이다. 멀티 홉 중계 기술에 따라, 이용자 장비와 기지국 사이의 데이터 송신이 하나 이상의 중계국들을 통해 전달되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 멀티 홉 중계 시나리오에 대한 QoS 보장이 없다. 예를 들면, QCI#2가 단순한 2-홉 중계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시나리오를 고려한다. 3GPP 규정의 QCI#2에 대한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PELR은 10-3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진화된 노드 B(eNB)와 중계 노드(RN) 사이의 링크와 RN과 이용자 장비(UE) 사이의 링크가 모두 요구된 PELR, 즉, 10-3의 PELR을 만족시킨다고 하더라도, 전체 링크(eNB-RN-UE)는 10-3의 총 요구된 PELR을 성취할 수 없다.
따라서, 멀티 홉 중계 시스템의 QoS 보장을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서, 3GPP LTE-A와 같은 멀티 중계 시스템에 대해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는 기술적 해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라,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과 전체적인 QoS 사이의 관계에 따라 적어도 링크의 QoS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방법은 또한: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을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또한 수집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얻기 위해, 관계들, 전체적인 요구사항, 및 수집된 파라미터의 제한들 하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의 성취도(achievability)와 무선 리소스들의 이용률의 최대화를 목적으로 최적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방법은 또한: 세그먼트의 QoS 타겟 값이 성취될 수 없다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의 재-결정을 트리거링(triggering)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링크와 관련된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법은 또한: 결정된 QoS 타겟 값들을 링크와 관련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보내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QoS 타겟 값들에 기초하여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 동작들을 수행하게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링크와 관련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동일한 규칙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라, 방법은 또한: QoS과 연관되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을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얻는 단계; 및 QoS에 영향을 미치는 얻어진 파라미터들을, 파라미터들을 공유하도록 링크와 관련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는 어떤 시간 기간의 통계적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고,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배치 특징 파라미터, 이용자의 트래픽 특징 파라미터; 시스템 파라미터 구성 특징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노드의 애플리케이션 특징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QoS은: 에러 비트 레이트, 코드 에러 레이트, 심볼 에러 레이트, 패킷 에러 레이트, 패킷 에러 손실 레이트, 신호-대-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율, 및 패킷 지연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가 추가로 제공된다. 장치는: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과 전체적인 QoS 사이의 관계에 따라 적어도 링크의 QoS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타겟 값 결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라,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가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라, 컴퓨터에서 로딩될 때,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그 안에 내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추가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된 것과 같은 기술적 해법들로, 멀티 홉 중계 시스템에 대해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타겟 QoS을 결정하는 해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써 멀티 홉 중계 시스템의 전체적인 QoS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대부분의 적절한 QoS 타겟 값들이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해법은 큰 확장성(scalability)을 가지며 임의의 수의 홉들을 갖는 중계 시스템으로 쉽게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된 것과 같은 해법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범위에서 QoS 제어를 최적화하도록 의도되고 따라서 코어 네트워크(CN)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고 투명하다(transpar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법은 현재의 3GPP LTE-A 규정에 매우 적은 변경들을 수행하므로 좋은 역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을 갖는다. 또한, 이것 역시 LTE Rel-8/9/10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고 투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홉 중계 시스템의 세그먼트 구성의 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홉 중계 시스템을 위한 QoS 보장의 동작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
본 발명의 및 다른 특성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첨부 도면들에 걸쳐서 유사 참조 숫자들은 동일한 또는 유사한 구성성분들을 표현한다.
이후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무선 중계 시스템에서, 링크의 각 세그먼트가 3GPP 규정의 QoS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고 하더라도, 전체 링크가 QoS 요구사항을 만족시킨다고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전체 링크(eNB-RN-UE)의 QoS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전체적인 링크의 QoS 요구사항을 보장하도록 새로운 메커니즘이 설계되어야 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계 시스템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기초하는 기본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참조된다. 도 1은 백홀 링크(eNB-RN)와 액세스 링크(RN-UE)를 포함하는 2-홉 중계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먼저,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Qbackhaul 및 Qaccess)과 전체적인 QoS(QeNB - RN -UE) 사이의 관계가 확립되고, 즉, 다음 관계 방정식을 찾게 된다:
QeNB - RN - UE = F(Qbackhaul, Qaccess) 방정식 1
QCI의 패킷 에러 손실률(PELR)이 예로 들어질 것이고, 여기서 Pbackhaul 및 Paccess는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에 대해 요구된 PELR을 각각 나타내고; PeNB - RN - UE은 전체적인 링크(eNB-RN-UE)에 대해 요구된 PELR을 나타낸다. 중계의 특성들에 기초하여,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는 직렬로 접속된 2개의 링크들이라고 여겨질 수 있다. 따라서, QoS 인덱스의 성격에 기초하여, 전체적인 링크의 바른 레이트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1-PeNB - RN - UE = (1-Pbackhaul)?(1-Paccess) 방정식 2
따라서, 다음 방정식이 단순화를 통해 얻어질 수 있다:
PeNB - RN - UE = Pbackhaul+ Paccess - Pbackhaul?Paccess 방정식 3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Pbackhaul 과 Paccess 와 전체적인 요구사항(PeNB - RN - UE) 사이의 관계 방정식이 성취될 수 있다.
또한, 방정식 3에서, Pbackhaul?Paccess는 고차항이고 전체적인 링크의 PELR보다 상대적으로 조금 기여하므로; 따라서, 이는 무시될 수 있고, 이후 다음 방정식이 성취될 수 있다.
PeNB - RN - UE
Figure pct00001
Pbackhaul+ Paccess 방정식 4
계산의 단순화를 위해, 방정식 4가 실질적인 응용에서 관계 방정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
관계 방정식을 결정한 후에,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타겟 PELR 값들(즉, Pbackhaul 및 Paccess)이 관계 방정식과 링크의 전체적인 요구사항(PeNB - RN - UE)에 기초하여 얻어질 수 있다. 차례로, 좌표 연산이 각 링크 상에서 타겟 PELR을 구현하도록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타겟 PELR 값들에 기초하여 eNB와 RN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엔드-투-엔드(end-to-end) QoS 요구사항을 보장하게 된다.
2-홉들 이상의 시나리오는 2-홉들의 시나리오와 유사하고; 따라서, 방법은 상기 설명에 기초하여 2-홉들 이상의 시나리오로 쉽게 확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홉들 이상의 중계 시나리오에 대하여, 그의 관계의 함수가 이하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Qoverall = F(QS1, QS2,...Qsn) 방정식 5
여기서, Qoverall은 링크의 QoS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사항을 나타내고; Qs1, Qs2 및 Qsn은 제 1 세그먼트, 제 2 세그먼트, 및 제 n 세그먼트의 QoS을 각각 나타내고; n은 전체적인 링크의 세그먼트들의 수 또는 중계 시스템의 홉들의 수를 나타낸다.
또한, 다른 QoS 인덱스들에 대하여, 파라미터들의 상이한 성격들로 인하여, 적용가능한 방정식들이 방정식들 3 및 4 와는 상이할 수 있지만; 그러나, 유사한 원리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다른 QoS 인덱스들에 대한 관계 방정식을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된 기본 원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는 해법을 제공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 2가 참조될 것이다.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의 개략적인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단계(S201)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이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과 전체적인 QoS 사이의 관계에 따라 적어도 링크의 QoS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상이한 QoS 인덱스들에 대하여, 방정식 5에서 표현된 관계 방정식이 얻어질 수 있다, 즉, 전체적인 QoS과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사이의 관계 모델 또는 관계 방정식이 확립될 수 있다. 이러한 표현에 기초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타겟 QoS이 서비스에 의해 요구된 링크의 총 QoS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형적인 시나리오를 예로 들면, 그들의 총 합이 요구된 전체적인 PELR를 만족시키는 한, 액세스 링크와 백홀 링크에 대한 PELR들이 동일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설정 방식은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실제 조건을 고려하지 않는다. 일 대안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QoS 타겟 값들은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조건을 또한 고려하는 것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특히,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기 전에, 점선 블록(202)으로 도시된 단계(S202)에서,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이 수집된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각각의 세그먼트들과 관련되고, 그들의 QoS을 제약하는 파라미터들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그들은 네트워크 배치 특징 파라미터, 이용자의 트래픽 특징 파라미터, 시스템 파라미터 구성 특징 파라미터, 네트워크 노드의 애플리케이션 특징 파라미터, 등일 수 있다. 상이한 QoS 인덱스들에 대하여, 그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은 또한 다소 상이하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이후로, QoS에 영향을 미치는 다음 파라미터들이 예로써 PELR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PELR에 대하여, 네트워크 배치 특징 파라미터는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간섭 조건이 될 수 있다. 세그먼트의 간섭이 더 커질수록, 에러의 발생 확률이 커지고, 따라서 아마도 수행된 PELR이 커질 것이지만; 반대로, 세그먼트의 간섭이 작아질수록, 에러의 발생 확률이 작아지고, 따라서 아마도 수행된 PELR이 작아질 것이다. PELR에 대하여, 이용자의 트래픽 특징 파라미터는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평균 처리량 및 무선 리소스 이용률 등일 것이다. 링크의 세그먼트들의 처리량이 높아질수록, 또는 무선 리소스 이용률이 높아질수록, 이는 링크가 더 큰 PELR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고; 반대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처리량이 낮아질수록 또는 무선 리소스 이용률이 작아질수록, 이는 링크가 더 적은 PELR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부가적으로, PELR에 대하여, 시스템 파라미터 구성 특징 파라미터는 송신을 위해 각 세그먼트들로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의 수가 될 수 있다. 시간 분할 멀티플렉싱 기술이 상이한 세그먼트들을 분리시키는데 채용될 때(예를 들면, 백홀 링크 및 액세스 링크에 대하여),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송신을 위해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의 수는 PELR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파라미터이다. 백홀 링크에 대해 할당된 서브프레임들의 수가 상대적으로 작다면, 특정 패킷의 지연 버짓을 보장하기 위해, HARQ/ARQ 재전송 횟수들이 따라서 감소될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더 큰 PELR에 대응한다. 부가적으로, PELR에 대하여, 네트워크 노드의 애플리케이션 특징 파라미터는 RN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UE의 애플리케이션 시나리오,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RN이 움직이는 자동차에 배치되어 자동차 상의 모바일 이용자 장비로 동작할 때, 안정한 액세스 링크가 생성될 수 있고, 따라서 액세스 링크는 상대적으로 작은 PELR을 구현할 수 있으나; 반대로, RN이 고정된 상태에 위치되는 동안 UE가 움직이는 상태에 있을 때, 이후 액세스 링크는 더 큰 PELR에 대응한다.
따라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단계(S201))는 또한 QoS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들 얻어진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이 QoS에 대응하는 관계 방정식에 따라 이들 얻어진 파라미터들과 요구된 전체적인 QoS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데,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성취가능한 QoS 타겟 값들을 설정하도록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실제 조건들이 고려될 수 있고, 따라서 더 높은 효율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대안의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의 성취도와 무선 리소스 이용률의 최대화를 목적으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얻기 위해, 앞서 언급된 관계, 전체적인 요구사항, 및 수집된 파라미터들의 제약들 하에서 최적화 동작이 수행된다. 구체적인 최적화 동작은 시스템의 조건에 따라 설계될 수 있으며; 당업자들은 본 문서의 교시와 그에 의해 얻게된 기술적 지식에 기초하여 이러한 최적화 동작을 완전히 수행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애매하지 않게 하기 위해, 최적화 동작은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QoS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기 파라미터들은 바람직하게는 시간의 오히려 긴 주기동안의 통계적인 값들에 기초한다. 이는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준-정적(semi-static) 구성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구성이 상기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대해 동적으로 수행되지 않으며, 이러한 구성은 구성이 상기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완료된 후 유지되지 않는다(이하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의 실시예들에 따라, 링크와 관련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에서 상기 결정된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집중화된 방식으로 eNB 또는 임의의 중계 노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이 결정된 후, 단계(S203)에서, QoS 타겟 값들이 링크와 관련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될 수 있고, 따라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QoS 타겟 값들에 기초하여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 동작들을 수행한다.
각 네트워크 노드가 그 자신의 QoS 타겟 값을 얻은 후, 시간 영역, 공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적절한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통하여 타겟 QoS을 성취하기 위해, 적절한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 동작이 QoS 타겟 값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QoS 타겟 값이, QoS 타겟 값에 기초한 적절한 변조와 코딩, 전원 할당/제어, HARQ 메커니즘, ARQ 메커니즘,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공간적 수렴 기술, 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QoS 타겟 값을 구현하기 위해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는 것은 업계에 공지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더욱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동작의 수행은 또한 세그먼트 QoS의 구성 프로세스로 불릴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발명자들은 실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링크 조건들, 시스템 파라미터 구성들, 및 네트워크 배치와 같은 조건들이 모두 동적으로 변화되는 것을 고려한다. 따라서, 처음으로 결정된 QoS 타겟 값들은 시간 기간 후에 새로운 시나리오로 적응될 수 없고 일부 네트워크 노드들은 어떻게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는지와 상관없이 그에게 지정된 QoS 타겟 값들을 성취할 수 없다.
상기 상황들에 기초하여, 이러한 발명자들은 재구성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점선 블록(대안의 단계를 나타냄)에 도시된 단계(S204)에서, 만족되는 것이 불가능한 세그먼트에 대한 QoS 타겟 값에 또한 응답하여,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QoS 타겟 값들의 재-결정이 트리거링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네트워크 노드에서, 그의 실제적 QoS이 측정되고; 타겟 QoS이 시간 기간 내에서 만족될 수 없다는 것이 발견되면, 재구성을 요청하기 위해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메시지가 네트워크 노드로 전송될 수 있다. 재구성 요청을 수신한 후에,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노드가 요구된 파라미터들을 재수집할 수 있고,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하여 적절한 QoS 타겟 값들을 재-결정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은 또한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네트워크 노드로 주기적으로 QoS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를 전송할 수 있고, 따라서 네트워크 노드는 구성을 재수행하도록 요구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네트워크 노드에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전송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재구성하도록 요구된다는 것이 결정될 때, 이후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이 이렇게 수신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재-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공된 것과 같은 기술적 해법은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준-정적 구성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이다. 이러한 파라미터들의 변화에 대하여 동적으로 구성을 수행하는 동적 구성 방식 및 구성이 완성된 후 구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정적 구성 방식과 달리, 본 프로세스는 시간 기간동안의 관찰에 기초하여 재구성을 수행하는 기술적 해법이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 방식은 동적 구성에 의해 요구된 다양한 오버헤드들을 감소시킬 수 있는 한편, 정적 구성이 상황들의 변화에 적응할 수 없는 결점을 극복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서, 집중화된 방식으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즉, 링크와 연관된 하나의 네트워크 노드에서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해법이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분산된 방식으로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법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동작이 링크와 관련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수행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실시예와 유사하게, 단계(S301)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이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과 전체적인 QoS 사이의 관계에 따라 적어도 링크의 QoS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바람직하게, 결정 단계(S301) 전에,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이 점선 블록(대안의 단계를 나타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계(S302)에서 수집될 수 있고,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이 또한 수집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QoS의 전체적인 요구조건을 목적으로, 수집된 파라미터들의 제약들 하에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하여 가장 적절한 QoS 타겟 값들을 얻도록 최적화 동작이 수행된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점선 블록(대안의 단계를 나타냄)에서 도시된 단계(S304)에서, 만족되는 것이 불가능한 세그먼트의 QoS 타겟 값에 응답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재-결정하는 프로세스가 트리거링된다.
상기 단계들(S301, S302, 및 S30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의 S201, S202, 및 S204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단계들(S301, S302, 및 S304)의 상세한 동작들과 관련 실시예들에 대하여는 도 2를 참조한 설명을 참조하길 바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에서, 각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결정된 QoS 타겟 값들 사이의 일관성(consistency)을 보장하기 위해, 각 네트워크 노드는 동일한 규칙에 기초하여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에서 파라미터 공유를 구현하는 것이 또한 요구된다.
따라서, 단계(S305)에서, 각 네트워크 노드에서, QoS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관련 파라미터들이 얻어질 수 있다. 파라미터들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술된 것과 같은 그러한 파라미터들이고,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측정 및/또는 계산을 통해 얻어질 수 있다. 그 후에, 단계(S306)에서, QoS에 영향을 미치는 이들 얻어진 파라미터들이 이러한 파라미터들을 공유하도록 링크와 연관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각 네트워크 노드가 동일한 규칙과 동일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해 동일한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각 네트워크 노드는 오직 그 자신의 QoS 타겟 값에 대하여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할 것을 요구받을 뿐이고,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대해 결정된 바와 같은 다른 QoS 타겟 값들을 전송할 필요는 없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3의 실시예가 분산된 방식으로 구현되는데 반해 도 2의 실시예가 집중화된 방식으로 구현되고; 도 3의 실시예가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파라미터들을 공유하고 동일한 규칙에 기초하여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것을 수행하고, 따라서 동일한 결정 결과를 얻는 것에 반해 도 2의 실시예는 집중화된 방식으로 파라미터들을 수집하고 집중화된 방식으로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타겟 값들이 공유를 위해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된다는 점에서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도 2의 실시예의 시나리오에서, 집중화된 방식으로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데 책임이 있는 네트워크 노드는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부터 파라미터들을 수집하고 결정 결과를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지만; 도 3의 실시예의 시나리오에서는, 각 노드가 QoS에 영향을 미치는 그들 자신의 얻어진 파라미터들을 다른 노드들로 상호적으로(mutually) 전송하여 각 네트워크 노드가 결정을 수행하기 위해 요구된 모든 파라미터들을 얻을 수 있다.
상이한 서비스들에 대하여, 그들의 대응하는 QoS 레벨들은 또한 상이하고, 따라서 링크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사항들이 또한 상이하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이한 서비스들에 대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또한,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 대하여, 업링크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과 다운링크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한 QoS 요구사항에 대해서라도,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은 상이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따라서, 업링크 및 다운링크 각각에 대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라 QoS을 보장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홉 중계 시스템을 위한 QoS 보장의 동작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QoS 요구사항을 보장하기 위해 각 세그먼트의 QoS 인덱스(예를 들면, PELR)를 조절하도록 외부 루프 제어와 내부 루프 제어가 채용된다. 외부 루프 제어는 도 4에 단일 점선으로 도시되고, 주로 서비스 초기화를 수행하는데 책임이 있고, 본 발명의 언급된 바와 같은 방법에 기초하여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타겟 QoS을 결정하고(OLC1), 관련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기지국(eNB) 또는 중계 노드(RN))로부터의 상대적으로 장기적인 측정과 리포트에 응답하여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타겟 QoS을 조절한다, 즉, 타겟 값들을 재-결정하는 동작을 수행한다(OLC2). 내부 루프 제어는 도 4에 실선으로 도시되고, 타겟 PELR을 성취하기 위해 일부 링크 적응 측정과 적절한 스케줄링, 예를 들면, 적응 변조 및 코딩, 전원 할당/제어, HARQ, ARQ, 주파수 선택 스케줄링, 공간적 수렴 기술들, 등을 수행하는 것에 책임이 있다. 또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 또는 그 후에, 재구성을 위해 파라미터들을 재구성하고 수집해야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도록 실제적인 QoS 계산 및 파라미터 획득 동작이 또한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외부 루프 제어(OLC1)에서, 서비스 초기화가 수행되고; eNB-RN-UE의 QoS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UL/DL QoS 타겟들(액세스 링크 및 백홀 링크)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방법들에 따라 결정된다.
다음, 내부 루프 제어들(ILC1 및 ILC2)에서, eNB와 RN은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타겟 QoS과의 적절한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 동작을 하나의 목적으로 수행하고 DL/UL 데이터 송신을 수행한다. 대응하는 데이터 송신을 수행하는 동안 또는 그 후에, eNB와 RN은 구현된 QoS을 계산하고 QoS에 영향을 미치는 일부 파라미터들을 각각 측정하고; 이러한 파라미터들은 미래에 아마도 수행될 QoS 재구성을 위해 이용된다. 미래에 각각의 세그먼트들에 대한 가능한 QoS 재구성에서 이용하기 위해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 사이의 각각의 파라미터 정보를 교환하도록 이벤트-트리거링되는(event-triggered) 또는 주기적인 리포트 방식이 채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세그먼트들의 타겟 QoS을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결정될 때,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의 재-결정이 예를 들면, 외부 루프 제어(OLC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즉, 재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제공된 해법들로, 멀티 홉 중계 시스템에 대해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타겟 QoS을 결정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해법은 멀티 홉 중계 시스템의 전체적인 QoS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가장 적절한 QoS 타겟 값들이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로 제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은 큰 확장가능성(extensibility)을 가지며 임의의 수의 홉들을 갖는 중계 시스템으로 쉽게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된 바와 같은 기술적 해법들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의 범위에서 QoS 제어를 최적화하도록 의도되고; 최적화는 코어 네트워크(CN)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고 투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해법들은 현재의 3GPP LTE-A 규격에 매우 적은 변경들을 수행하므로 따라서 좋은 역호환성을 가지며; 또한, 그들도 LTE Rel-8/9/10에 어떠한 영향도 끼치지 않고 투명하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또한 제공한다. 이하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500)를 도시한다. 장치(500)는: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과 전체적인 QoS 사이의 관계에 따라 적어도 링크의 QoS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타겟 값 결정 모듈(5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500)는: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을 수집하도록 구성된 파라미터 수집 모듈(502)(점선 블록에 도시되고, 대안의 모듈을 나타냄)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타겟 값 결정 모듈(501)은 또한 수집된 파라미터들에 기초하여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타겟 값 결정 모듈(501)은 수집된 파라미터들의 조건들 하에서 QoS의 전체적인 요구사항을 목적으로 최적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얻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타겟 값 결정 모듈(501)은 업링크 및 다운링크 각각에 대하여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겟 값 결정 모듈(501)은 링크와 연관된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에서,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500)는 결정된 QoS 타겟 값들을 링크와 연관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타겟 값 전송 모듈(503)을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QoS 타겟 값들에 기초하여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 동작들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장치(500)는 또한: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재-결정하도록, 세그먼트의 QoS 타겟 값이 성취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재-결정하기 위해 타겟 값 결정 모듈(501)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된 재-결정 트리거링 모듈(504)(점선 블록에 도시되고, 대안의 모듈을 나타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수집된 파라미터는 시간 기간에 대한 통계적 파라미터들에 기초한다.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배치 특징 파라미터, 이용자의 트래픽 특징 파라미터; 시스템 파라미터 구성 특징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노드의 애플리케이션 특징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600)는, 타겟 값 결정 모듈(501), 파라미터 수집 모듈(502), 재-결정 트리거링 모듈(504)에 각각 대응하는 타겟 값 결정 모듈(601), 선택적 파라미터 수집 모듈(602), 및 선택적 재-결정 트리거링 모듈(6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것과 유사한 도 6의 모듈들과 관련 실시예들에 대해서, 도 5의 설명을 참조하길 바라며, 명확성을 위해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타겟 값 결정 모듈(601)이 링크와 연관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의 동일한 규칙에 기초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이 도 5와는 다르다. 본 실시예에서, 장치는 또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QoS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관련 파라미터들을 얻도록 구성된 파라미터 획득 모듈(605); 및 파라미터들을 공유하기 위해 QoS에 영향을 미치는 이들 얻어진 파라미터들을 링크와 연관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파라미터 전송 모듈(6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와 도 6의 임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네트워크 노드는 중계 노드 또는 기지국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에 로딩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는, 그 안에 내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각각의 모듈들의 상세한 동작들을 위해,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참조하길 바란다.
여태까지, 2-홉 중계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로 제한되지 않으며, 2-홉들 이상을 갖는 중계 시스템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2-홉 중계에 대한 상기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들은 이것을 다중 홉들의 시나리오로 쉽게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여태까지, 본 발명이 QoS 인덱스로서 QC1의 PELR을 이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공된 교시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예를 들면, QCI의 패킷 지연 버짓으로 이를 적용할 수 있거나, 에러 비트 레이트, 에러 코드 레이트, 에러 심볼 레이트, 패킷 에러 레이트, 패킷 에러 손실 레이트, 및 신호-대-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율, 등과 같은 다른 QoS 인덱스로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QoS 인덱스들에 대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과 전체적인 QoS 사이의 관계 표현이 약간 상이해질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주의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예로 든 PELR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는 다른 QoS 인덱스로 확실히 확장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3GPP 시스템을 참조하여 상기에서 주로 설명되었으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또한 유사한 시나리오의 다른 통신 네트워크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주의되어야 한다. 하드웨어 부분은 특별한 로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 부분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특별히 설계된(design-specific) 하드웨어와 같은 적절한 명령 실행 시스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현재 고려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반대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항들의 사상과 범주에 포함된 다양한 변경들과 동등한 배열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주는 가장 넓은 설명들과 일치하고 모든 이러한 변경들과 동등 구조들 및 기능들을 포함한다.
501: 타겟 값 결정 모듈 502: 파라미터 수집 모듈
504: 재-결정 트리거링 모듈 601: 타겟 값 결정 모듈
602: 선택적 파라미터 수집 모듈
604: 선택적 재-결정 트리거링 모듈

Claims (20)

  1.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과 전체적인 QoS 사이의 관계에 따라 적어도 상기 링크의 QoS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oS 결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수집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적어도 상기 링크의 QoS에 대한 상기 전체적인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또한 상기 수집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QoS 결정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얻기 위해, 상기 관계, 상기 전체적인 요구사항, 및 수집된 파라미터의 제한들 하에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의 성취도(achievability) 및 무선 리소스들의 이용률의 최대화를 목적으로 최적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QoS 결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세그먼트의 QoS 타겟 값이 성취될 수 없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의 재-결정을 트리거링하는(triggering)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QoS 결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링크와 연관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에서 수행되고,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상기 QoS 타겟 값들에 기초하여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QoS 타겟 값들을 상기 링크와 연관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QoS 결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는 상기 단계는 동일한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와 연관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수행되는, QoS 결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QoS과 연관되고 상기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을 상기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파라미터들을 공유하기 위해, 상기 QoS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획득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링크와 연관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QoS 결정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시간 기간에 걸친 통계적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배치 특징 파라미터;
    이용자의 서비스 특징 파라미터;
    시스템 파라미터 구성 특징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노드의 애플리케이션 특징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QoS 결정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oS은 에러 비트 레이트, 코드 에러 레이트, 심볼 에러 레이트, 패킷 에러 레이트, 패킷 에러 손실 레이트, 신호-대-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율, 및 패킷 지연 중 하나를 포함하는, QoS 결정 방법.
  10.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의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과 전체적인 QoS 사이의 관계에 따라 적어도 상기 링크의 QoS에 대한 전체적인 요구사항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타겟 값 결정 모듈을 포함하는, QoS 결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파라미터 수집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타겟 값 결정 모듈은 상기 수집된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또한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QoS 결정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값 결정 모듈은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얻기 위해, 상기 파라미터의 조건 하에서, 상기 QoS의 전체적인 요구사항을 목적으로 최적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QoS 결정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세그먼트의 QoS 타겟 값이 성취될 수 없다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재-결정하기 위해 상기 타겟 값 결정 모듈을 트리거링하도록 구성된 재-결정 트리거링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QoS 결정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값 결정 모듈은 상기 링크와 연관된 상기 네트워크 노드들 중 하나에서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이 상기 QoS 타겟 값들에 기초하여 링크 적응 및 스케줄링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상기 QoS 타겟 값들을 상기 링크와 연관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타겟 값 전송 모듈을 포함하는, QoS 결정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값 결정 모듈은 상기 링크와 연관된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동일한 규칙에 기초하여 상기 각각의 세그먼트들의 QoS 타겟 값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QoS 결정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QoS과 연관되고 상기 QoS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을 상기 각각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획득하도록 구성된 파라미터 획득 모듈; 및
    상기 파라미터들을 공유하기 위해, 상기 QoS에 영향을 미치는 상기 획득된 파라미터들을 상기 링크와 연관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파라미터 전송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QoS 결정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시간 기간에 걸친 통계적인 파라미터들에 기초하고,
    상기 파라미터는:
    네트워크 배치 특징 파라미터;
    이용자의 서비스 특징 파라미터;
    시스템 파라미터 구성 특징 파라미터; 및
    네트워크 노드의 애플리케이션 특징 파라미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QoS 결정 장치.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QoS은 에러 비트 레이트, 코드 에러 레이트, 심볼 에러 레이트, 패킷 에러 레이트, 패킷 에러 손실 레이트, 신호-대-간섭 플러스 노이즈 비율, 및 패킷 지연 중 하나를 포함하는, QoS 결정 장치.
  19. 제 10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노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중계 노드 또는 기지국인, 네트워크 노드.
KR1020127028845A 2010-04-06 2010-04-06 링크의 각 섹션에서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비 및 노드 KR201201398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0/071561 WO2011124011A1 (zh) 2010-04-06 2010-04-06 用于确定链路的各个分段的服务质量的方法、设备和节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841A true KR20120139841A (ko) 2012-12-27

Family

ID=44762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8845A KR20120139841A (ko) 2010-04-06 2010-04-06 링크의 각 섹션에서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비 및 노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021941A1 (ko)
EP (1) EP2557840A4 (ko)
JP (1) JP5667284B2 (ko)
KR (1) KR20120139841A (ko)
CN (1) CN102783209B (ko)
BR (1) BR112012025397A2 (ko)
TW (1) TWI514899B (ko)
WO (1) WO20111240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34300B2 (en) * 2014-12-04 2019-06-25 Cynny Spa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content
CN106332129B (zh) * 2015-06-30 2020-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网络功能的配置方法、无线网络节点及核心网设备
WO2017088089A1 (en) * 2015-11-23 2017-06-01 Intel IP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tenna elements of an antenna array
CN110140379A (zh) 2016-11-07 2019-08-16 A9.Com公司 用于增强网状联网的系统和方法
EP3652984B1 (en) * 2017-07-14 2023-03-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link adaptation in a mixed traffic environment
CN116366567A (zh) * 2018-02-14 2023-06-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服务质量QoS参数的方法、网元、系统及存储介质
CN110149657B (zh) 2018-02-14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确定QoS描述信息的方法和装置
CN110167068A (zh) * 2018-02-14 2019-08-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处理服务质量QoS参数的方法、网元、系统及存储介质
WO2019161919A1 (en) * 2018-02-23 2019-08-2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wireless link
CN110661837B (zh) * 2018-06-30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服务质量的控制方法和装置
US20220045917A1 (en) * 2020-08-04 2022-02-10 Tambora Systems Singapore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higher quality of experience and desired network slice by utilizing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04700A (en) * 1997-08-29 2000-08-15 Extreme Networks Policy based quality of service
JP2003158543A (ja) * 2001-11-22 2003-05-30 Anritsu Corp 中継装置及び中継方法
US6954435B2 (en) * 2002-04-29 2005-10-11 Harris Corporation Determining quality of service (QoS) routing for mobile ad hoc networks
US7864659B2 (en) * 2004-08-02 2011-01-04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Quality control scheme for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systems
CN100355218C (zh) * 2005-03-18 2007-12-12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多业务情况下的外环功率控制方法
EP2144466A3 (en) * 2005-06-17 2011-03-09 Fujitsu Limited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control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EP1734666A1 (en) * 2005-06-17 2006-12-20 Fujitsu Limited Resource management in multi-hop communication system
DE602005025261D1 (de) * 2005-06-17 2011-01-20 Fujitsu Ltd Systeme und Verfahren zur Leistungsregelung im Mehrstreckenkommunikationssystem
JP2007074194A (ja) * 2005-09-06 2007-03-22 Hitachi Communication Technologies Ltd 無線通信網におけるサービス品質の設定方法および無線通信装置
JP2008167141A (ja) * 2006-12-28 2008-07-17 Nec Corp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装置、それを用いた通信システム
US8149726B2 (en) * 2007-01-04 2012-04-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GB2447883A (en) * 2007-03-02 2008-10-01 Fujitsu Ltd Bandwidth allocation in multi-hop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GB2447635A (en) * 2007-03-19 2008-09-24 Fujitsu Ltd Scheduling qos communications between nodes within a predetermined time unit in wimax systems
JP5042104B2 (ja) * 2007-12-27 2012-10-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基地局、通信品質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1335703B (zh) * 2008-05-30 2011-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端到端的服务质量保证方法
US20100315989A1 (en) * 2008-07-07 2010-12-16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perative relay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01677289B (zh) * 2008-09-17 2012-04-2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优化路由的方法和装置
CN101442495B (zh) * 2008-12-26 2012-08-15 南京邮电大学 基于服务等级协议的时间片散列调度方法
US8619563B2 (en) * 2009-02-03 2013-12-3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mana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783209B (zh) 2016-01-20
BR112012025397A2 (pt) 2016-06-28
CN102783209A (zh) 2012-11-14
JP5667284B2 (ja) 2015-02-12
JP2013527653A (ja) 2013-06-27
TW201218802A (en) 2012-05-01
EP2557840A4 (en) 2015-03-18
WO2011124011A1 (zh) 2011-10-13
TWI514899B (zh) 2015-12-21
EP2557840A1 (en) 2013-02-13
US20130021941A1 (en)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olese et al. End-to-end simulation of 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at mmWaves
KR101457347B1 (ko) 링크 서브섹션들의 목표 패킷 지연을 결정하고 조정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노드
KR20120139841A (ko) 링크의 각 섹션에서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비 및 노드
EP3457751B1 (en) Enhanced local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s
KR101302631B1 (ko) 액세스 단말들을 통한 라우팅을 위한 방법
EP2684395B1 (en) Moving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operative in an emergency mode
US908833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interference coordination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9107228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radio resource allocation
US9369879B2 (en)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s in frequency division duplex operating areas
US20120218886A1 (en) Method and Apparatus
US20140307552A1 (en) Radio resource control for dual-access-technology cells
KR20230035038A (ko) 근접 기반 서비스 원격 및 중계 엔티티 서비스 품질 관리
US2015004966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Multi-Hop Transmission
EP3136785B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base station
EP3473045B1 (en) Allocating radio resources in backhaul and access link
US20220400411A1 (en) Threshold-based reporting for efficient admission control support for wireless networks
US8855640B2 (en) Partitioning resources on a target side of a handover of a user equipment based on data traffic indication
US20170055270A1 (en) Resource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adapted to implement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US11343749B2 (en) Methods,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and infrastructure equipment
Addali et al. Matching game-based user association approach for LTE-A mobile relay systems
CN116636284A (zh) Iab分层du资源配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