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003A -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003A
KR20060132003A KR1020067021636A KR20067021636A KR20060132003A KR 20060132003 A KR20060132003 A KR 20060132003A KR 1020067021636 A KR1020067021636 A KR 1020067021636A KR 20067021636 A KR20067021636 A KR 20067021636A KR 20060132003 A KR20060132003 A KR 200601320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avity
pine bark
composition
bark extract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긴야 다카가키
사다오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신야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신야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신야쿠
Publication of KR20060132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00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내 혈류 개선효과, 구취 감소효과 등의 복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구강내 혈류 개선효과, 구취 감소효과

Description

구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oral cavity}
본 발명은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특히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시키는 효과 등을 갖는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항산화 작용 등을 갖는다는 이유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식물 추출물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식물 추출물 중에서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항산화 작용 이외에 티로시나제 억제작용, 콜라게나제 억제작용, DNA 보호작용 및 냉증 개선작용이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특히 주목받고 있다(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38425호, 제2003-238426호, 제2003-238427호 및 제2003-238428호 참조).
그런데, 캔디, 정제, 트로치 및 구강 세척제라는 인간의 구강내에서 사용되는 물질(구강용 조성물)에 관해 최근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으로서는, 예를 들면, 치주병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 구취를 감소시키는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치주병을 예방하기 위한 기능(예를 들면,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시키는 효과) 및 구취를 감소시키는 효과라는 복수의 효과를 구강용 조성물로 수득하고자 하는 경우, 이들 효과를 갖는 성분을 개개로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시키는 효과와 구취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구강 세척제로 수득하고 싶은 경우, 구강내 혈류 개선효과를 갖는 성분과 구취 감소효과를 갖는 성분을 각각 용제에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이의 목적은 구강용 조성물에 한가지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구강내 혈류 개선효과, 구취 감소효과 등의 복수의 효과를 수득할 수 있는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각종 성분에 관해 예의 검토했다. 그 결과,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시키는 효과, 구취를 감소시키는 효과라는 구강용 조성물에 요구되는 복수의 효과를 갖고 있는 것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내로 1회 투여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2mg 이상으로 되도록 조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인간의 구강내로 1회 투여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2mg 이상으로 되도록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간의 구강내로 1회 투여하는 데 적합한 양 중에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2mg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구강용 조성물을 고체로 하는 경우, 인간의 구강내에서 용해되는 고체로 하며, 인간의 구강내로 투여하는 데 적합한 양의 고체 중에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2mg 이상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구강내로 1회 투여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2mg 이상으로 되도록 조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상기 구성에 추가하여, 용매를 함유하고 있으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는 0.2(g/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구강용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라는 한가지 성분을 첨가함으로써 구강내 혈류 개선효과, 구취 감소효과라는 구강용 조성물에 요구되는 복수의 효과를 수득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건조 질량에 대해 올리고머성 프로안토시아니딘을 2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경우에는 효과가 더욱 크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의 설명에 따라 한정하여 해석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다. 우선, 이러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란 소나무 껍질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 추출물이다. 그리고,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38425호, 제2003-238426호, 제2003-238427호 및 제2003-238428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수득하면 양호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풍부하게 포함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소나무 껍질의 「소나무」로서는, 예를 들면, 프랑스 해안 소나무(Pinus Martima), 낙엽송, 흑송, 적송, 섬잣나무, 오엽송, 한국 소나무, 천리송, 오키나와 소나무, 미송, 대왕송, 백송, 카나다의 퀘벡 지방의 아네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복수의 소나무 중에서 본 발명에서는 프랑스 해안 소나무(Pinus Martim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컨대, 프랑스 해안 소나무의 나무 껍질로부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하기 위한 나무 껍질로서 프랑스 해안 소나무의 나무 껍질을 선택하면, 프로안토시아니딘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안정적으로 또한 확실하게 수득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프랑스 해안 소나무의 나무 껍질을 선택하면, 올리고머성 프로안토시아니딘(oligomeric proantocyanidin: 이하, 적절하게 「OPC」라고 기재함)이 고농도(예를 들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건조 질량에 대하여 20질량% 이상)로 함유되어 있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안정적이면서 또한 확실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프랑스 해안 소나무의 나무 껍질로부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3-238425호, 제2003-238426호, 제2003-238427호 및 제2003-238428호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다.
프랑스 해안 소나무(Pinus Martima)란 남프랑스의 대서양 연안의 일부에 생육하고 있는 해양성 소나무이다. 이러한 프랑스 해안 소나무의 나무 껍질은 프로안토시아니딘(특히 OPC), 유기산 및 기타 생리활성 성분 등을 함유하고 있다. 그리고, 이의 주요 성분인 프로안토시아니딘에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강한 항산화 작용이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프로안토시아니딘 중에서 플라반-3-올 및/또는 플라반-3,4-디올을 구성 단위로 하는 중합도가 2 내지 4의 축중합체를 OPC(올리고머성 프로안토시아니딘)라고 한다. OPC는 폴리페놀류의 일종이며, 식물이 만들어내는 강력한 항산화 물질이며, 식물의 잎, 나무 껍질, 과일의 껍질 또는 씨 부분에 집중적으로 함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소나무 껍질, 포도, 블루베리, 딸기, 아보카도, 구주콩, 월귤의 과실 또는 종자; 보리; 밀; 대두; 흑 대두; 카카오; 피넛의 얇은 껍질; 은행나무잎 등에 함유되어 있다. 또한, 서아프리카의 콜라넛, 페루의 라타니아의 뿌리, 일본의 녹차에도 OPC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OPC는 인간의 체내에서는 생성될 수 없는 물질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이란 화학처리(예를 들면, 산처리)가 이루어진 경우에 안토시아니딘을 발생시키는 화합물 그룹이며, 구체적으로는 플라반-3-올 및/또는 플라반-3,4-디올을 구성 단위로 하는 중합도가 2 이상인 축중합체로 이루어진 화합물 그룹이다.
또한, 본원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이 함유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건조 질량에 대해 올리고머성 프로안토시아니딘(OPC)을 20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OPC를 많이 함유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복수의 효과를 갖는다. 요컨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건조 질량에 대해 2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0질량% 이상의 OPC를 함유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하,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추출물(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조제할 수 있다. 그러나, 하기 방법은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본 발명은 하기 방법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소나무 껍질로부터, 물 또는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된다.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수, 온수 또는 열수가 사용된다. 또한, 이들 물에 추출 효율을 향상시키는 점으로부터, 염화나트륨 등의 염을 첨가할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서는 식품 또는 약제의 제조에 허용되는 유기 용매가 사용되며,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부탄, 아세톤, 헥산, 사이클로헥산, 프로필렌 글리콜, 함수 에탄올, 함수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메틸 케톤, 글리세린,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디에틸 에테르, 디클로로메탄, 식용 유지,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및 1,1,2-트리클로로에텐을 들 수 있다. 이들 물 및 유기 용매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물 또는 극성 용매가 양호하며 이중에서 열수, 함수 에탄올 및 함수 프로필렌 글리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가온추출법, 초임계 유체 추출법 등이 사용된다.
초임계 유체 추출법은 물질의 기액의 임계점(임계 온도, 임계압력)을 초과한 상태의 유체인 초임계 유체를 사용하여 추출을 하는 방법이다. 초임계 유체로서는 이산화탄소, 에틸렌, 프로판, 아산화질소[소기 가스(laughter gas)] 등이 사용되며, 이산화탄소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초임계 유체 추출법은 목적 성분을 초임계 유체에 의해 추출하는 추출공정 및 목적 성분과 초임계 유체를 분리하는 분리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분리공정에서는 압력변화에 의한 추출분리, 온도변화에 의한 추출분리 또는 흡착제·흡수제를 사용하는 추출분리의 어떤 것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엔트레이너 첨가법에 의한 초임계 유체 추출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방법은 초임계 유체에, 예를 들면, 에탄올, 프로판올, n-헥산, 아세톤, 톨루엔, 기타 지방족 저급 알콜류, 지방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또는 케톤류를 2 내지 20W/V% 정도 첨가하여, 수득된 추출 유체로 초임계 유체 추출을 실시함으로써 OPC, 카테킨류(하기) 등의 목적하는 피추출물의 추출 유체에 대한 용해도를 비약적으로 상승시키거나 분리의 선택성을 증강시키는 방법이며, 효율적으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이다.
초임계 유체 추출법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조작할 수 있으므로 고온에서 변질·분해되는 물질에도 적용할 수 있다는 이점; 추출 유체가 잔류되지 않는다는 이점; 및 용매의 순환 이용이 가능하며 탈용매 공정 등을 생략할 수 있으며 공정이 단순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상기 방법 이외에 액체 이산화탄소 회분법, 액체 이산화탄소 환류법, 초임계이산화탄소 환류법 등의 방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복수의 추출방법을 조합하여 수득할 수 있다. 복수의 추출방법을 조합함으로써 각종 조성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게 된다.
(구강용 조성물)
다음에 구강용 조성물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구강용 조성물이란 구강내에서 이용되며, 구강내에서 어떤 효과를 발휘하는 물질을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구강내에서 발휘되는 어떤 효과로서는, 예를 들면, 구취를 감소시키는 효과, 치주병을 예방하는 효과,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시키는(상승시키는) 효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당해 조성물[특히 이의 유효성분(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구강내의 세포에 도포된 경우, 구강내에서 발휘되는 어떤 효과에 관해서 복수의 효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구취를 감소시키는 효과와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시키는(상승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면 구취 감소효과와 구강내 혈류 개선효과의 2가지 효과를 갖는 약제로서, 본 발명의 구강내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내에서 이용된다고 기재했지만, 이의 이용예에 관해 기재하면, 일정 시간 구강용 조성물을 구강내에 존재시키는 것을 들 수 있다. 구강용 조성물을 구강내에 존재시키는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구강용 조성물이 액체이면, 구강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입을 헹구며 구강용 조성물을 일정 시간 입에 머금고 뱉어내는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구강용 조성물이 고체(예를 들면, 정제, 분체, 과립) 등의 경우, 구강용 조성물을 구강내에 존재시키는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구강용 조성물을 구강내에서 용해시키는 등의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구강용 조성물이 고체의 경우, 효과의 강도 또는 효과의 시간을 조절하려고, 담체나 가교제를 사용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흡수시킴으로써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구강용 조성물의 구체적인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치약(액상 치약, 페이스트 치약, 분말 치약 등), 구강 세척제, 양치질 약(gargles), 구강 청량제, 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물론, 구강용 조성물은 트로치, 캔디, 검, 수유(gummies) 등의 식품이라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용 조성물(특히, 유효성분인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구강내의 세포에 도포된 경우에 복수의 효과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강용 조성물(특히, 이의 유효성분)을 일정 시간 구강내의 세포에 도포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일정 시간」의 하한치는 1초 이상, 바람직하게는 30초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분 이상이다. 그리고, 「일정 시간」의 상한치는 30분 이하, 바람직하게는 15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분 이하이다. 따라서 구강용 조성물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구강내에서 씹거나 핥거나 할 수 있는 형태(구체적으로는 정제, 트로치, 검 등) 또는 구강내에 용이하게 포함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구체적으로는 구강 세척제, 치약 등)가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구강내의 세포에 대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도포할 수 있는 형태이며, 또한 마늘 등의 냄새가 강한 식품을 섭취한 경우에 구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형태로서는 구강내에서 조금씩 구강용 조성물을 용해시키거나, 구강내에서 구강용 조성물을 씹거나 하는 형태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정제 또는 트로치라는 형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시키는(상승시키는) 효과」란 구강내의 세포(예를 들면, 잇몸 등)의 혈류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을 구강내에 존재시킨 경우, 이것을 존재시키기 전과 비교하여, 구강내의 세포의 혈류가 상승한다는 효과이다. 그리고, 「구취를 감소시키는 효과」란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을 구강내에 존재시킨 경우, 이것을 존재시키기 전과 비교하여, 입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효과이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입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감소」로서는, 예를 들면, 마늘 냄새 등의 인간에게 있어서 불쾌한 냄새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와 같이, 필요에 따라 각종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각종 성분의 함유량은 임의적이다. 각종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통상적인 구강용 조성물로서 첨가할 수 있는 성분[연마제, 점조(粘稠)제, 점결제, 발포제 및 발포 조제, 방부제 및 살균제, 감미제, 용제, 착색료(색소), 향료, 각종 유효성분 등] 또는 통상적으로 의약 부외품, 화장품 및 화장실용품으로서 첨가할 수 있는 성분(기재, 동식물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분은 단독으로 함유시킬 수 있으며 조합하여 함유시킬 수 있다.
상기한 각종 성분의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유용성 감초 추출물, 뽕나무 흰색 껍질 추출물 등의 식물성 항균 추출물,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이들 비타민의 유도체 등의 비타민류, 에리스리톨, 환원 맥아당, 자일리톨 등의 탄소수 4 또는 5의 당알콜, 차 추출물 등의 카테킨류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도 비타민 E,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차 추출물이 바람직하다. 당알콜은 구강내에서 청량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갖는 수렴미를 감소하며, 기호성의 면에서도 적합한 구강 조성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마제로서는 침강성 실리카, 실리카 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지르코노실리케이트 등의 실리카계 연마제; 수산화알루미늄, 인산수소칼슘·2수화물 및 무수물, 피로인산칼슘, 메타인산나트륨,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중질 및 경질 탄산칼슘, 규산지르코늄, 알루미나, 탄산마그네슘, 합성수지계 연마제 등이 있고, 점조제 및 점결제로서는 글리세린, 소르비트,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말티톨,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나트륨, 카라기난, 알긴산나트륨,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보폴,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 메틸 셀룰로스, 몬모릴로나이트, 구아 검, 비 검, 카라야검, 아라비아 검, 로커스트빈 검, 젤라틴,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메톡시에틸렌과 무수 말레산의 공중합체, 라포나이트, 증점성 실리카 등을 들 수 있다.
발포제 및 발포 조제로서는 지방산계, 직쇄 알킬벤젠계, 알파 올레핀계, 노말 파라핀계, 고급 알콜계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이미다졸린계, 베타인계 등의 양쪽성 이온 계면활성제, 및 아민계, 4급 암모늄염계 등의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방부제 및 살균제에서는 파라옥시벤조산에스테르, 벤조산 및 이의 염, 살리실산 및 이의 염, p-메톡시신남알데히드, 염산클로로헥시딘, 글루콘산클로로헥시딘, 저급 지방산 모노글리세라이드, 염화 세틸피리디늄, 염화 벤제토늄, 염화 벤즈알코늄, 이소프로필 메틸페놀, 트리클로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카린 나트륨, 스테비아 추출물, 스테비오사이드, 네오헤스페리딘 디하이드로칼콘, 페릴라틴, 아스파르틸 페닐알라닌 메틸에스테르, 타우마틴, 파라티노스, 감초 분말 등의 감미료; 물,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세탄올 등의 용제, 및 착색료를 들 수 있다.
향료로서는 페퍼민트유, 스피어민트유, 아니스유, 유칼리유, 윈터 그린유, 카시아유, 클로브유, 타임유, 세이지유, 레몬유, 오렌지유, 박하유, 카르다몬유, 코리안더유, 만다린유, 라임유, 라벤더유, 로즈마리유, 월계수유, 카모밀유, 카라웨이유, 마죠람유, 베이유, 레몬그래스유, 올리가남유, 파인니들유 등의 천연향료; 멘톨, 카본, 아네톨, 시네올, 살리실산메틸, 신남알데히드, 오이게놀, 티몰, 리날롤, 리날릴 아세테이트, 리모넨, 멘톤, 멘틸 아세테이트, 피넨, 옥틸 알데히드, 시트랄, 풀레곤, 카빌 아세테이트, 아니스알데히드 등의 향료; 에틸 아세테이트, 에틸 부티레이트, 알릴 사이클로헥산프로피오네이트, 메틸안트라닐레이트, 에틸메틸페닐글리시데이트, 바닐린, 운데카락톤, 헥사날, 에틸 알콜, 프로필 알콜, 부탄올, 이소아밀 알콜 등의 향료 및/또는 천연향료, 및 상기한 향료를 포함하는 스토베리 플레이버, 사과 플레이버, 바나나 플레이버, 파인애플 플레이버, 포도 플레이버, 망고 플레이버, 트로피컬 프루츠 플레이버, 버터 플레이버, 밀크 플레이버, 프루츠 믹스 플레이버 등의 플레이버를 들 수 있으며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된 향료를 사용할 수 있다.
기타, 유효성분으로서, 플루오르화나트륨, 플루오르화제1주석, 플루오르화칼륨, 플루오르화암모늄,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등의 플루오르화물, 및 트라넥삼산, ε-아미노카프론산 등의 항플라스민제를 들 수 있다.
또한 구강내에서 씹거나 핥거나 할 수 있는 형태(구체적으로는 정제, 트로치, 검 등)에 사용하는 성분으로서, 상기 이외에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동 파라핀, 미세결정성 왁스, 파라핀 왁스, 전분, 옥수수 전분, 락토스, 분말 당, 검 베이스, 물엿 등도 함유시킬 수 있다.
다음에 구강용 조성물에서 함유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양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내(바람직하게는 인간의 구강내)로 1회 투여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2mg 이상으로 되도록 조제되어 있다. 물론,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3m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mg 이상으로 되도록 구강용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구강내로 1회 투여하는 데 적합한 양의 구강용 조성물 중에서 함유되어 있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양의 하한치가 2mg 이상, 바람직하게는 3m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mg 이상으로 되도록 구강용 조성물을 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인간의 구강내로 1회 투여하는 구강용 조성물 중에서 함유되어 있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양의 상한치는, 예를 들면, 구강용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는 양, 인간에게 있어서 해로 되지 않는 양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양호하다. 구체적으로는 함유되어 있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양의 상한치가, 예를 들면, 500mg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m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m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mg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20mg 이하로 되도록 구강용 조성물을 조제하면 양호하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구강내의 혈류 개선 및 구취의 감소에 관해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인간의 구강내로 1회 투여하는 데 적합한 양 중에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2mg 이상 함유하도록 조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인간의 구강내로 1회 투여하는 데 적합한 양」이란 환언하면, 인간이 구강내에 포함하는 데 적합한 구강내 조성물의 양이라고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간이 불쾌하지 않고 구강내에 포함할 수 있는 구강내 조성물의 양으로 하는 것이 좋다. 구강용 조성물이 액체의 경우, 「인간의 구강내로 1회 투여하는 데 적합한 양」이란, 예를 들면, 구강내를 헹구는(세척함) 데 적합한 구강용 조성물의 양이다. 구강용 조성물이 고체의 경우, 「인간의 구강내로 1회 투여하는 데 적합한 양」이란, 예를 들면, 불쾌하지 않고 섭취(저작하거나 핥거나)할 수 있는 양이다. 때문에 「인간의 구강내로 투여하는 데 적합한 양」이란, 예를 들면, 통상적인 크기의 정제나 트로치로 하면, 1개 내지 수개를 의미한다.
다음에 구강용 조성물이 고체인 경우에 바람직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구강용 조성물이 고체인 경우, 인간의 구강내에서 용해되는 고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간의 구강내로 1회 투여하는 데 적합한 양의 고체(구강용 조성물) 중에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2mg 이상, 바람직하게는 3mg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mg 이상 함유하도록 구강용 조성물을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면, 구강용 조성물이 고체(예를 들면, 정제)의 경우, 이러한 고체를 물 등으로 음용함으로써 구강내에서 구강용 조성물의 체류시간이 없거나 거의 없을 때에는 구강내에서의 효과를 얻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의 경우, 이러한 형태는 바람직하지 않다. 요컨대, 구강용 조성물(특히, 이의 유효성분)을 일정 시간 구강내의 세포에 도포(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구강용 조성물이 액체인 경우에 바람직한 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구강용 조성물이 액체인 경우, 용매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에탄올, 함수 에탄올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구강용 조성물이 액체인 경우, 이러한 액체에 함유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는 0.2(g/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액체에 함유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를 0.3(g/L)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또한 O.4(g/L) 이상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로 함으로써 실시예에 기재된 바와 같이, 구강내의 혈류 개선 및 구취의 감소에 관해 보다 우수한 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액체에 함유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는 다음 수학식 I로 나타낼 수 있다.
농도(g/L)= 구강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질량(g)/ 구강용 조성물의 체적(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어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실시예 1: 에탄올 수용액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사용하는 혈류 개선)
우선, 소나무 껍질 추출물(소나무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 OPC를 20질량% 이상 함유.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신야쿠제) 20mg을 일정량의 용매(15% 에탄올 수용액)에 용해시킨다. 다음에 이러한 용해액에 용매를 첨가하여, 최종적인 체적을 100mL로 함으로써 용액을 조제한다. 요컨대, 15% 에탄올 수용액이라는 용매를 사용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 0.2(g/L)의 용액을 조제한다. 이것을 실시예 1A 용액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사용하는 소나무 껍질 추추물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건조 질량에 대해 프로안토시아니딘을 50질량%, OPC를 30질량%, 카테킨을 5질량% 함유하는 추출물이다. 또한, 여기서 사용하는 용매(15%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 표시는 체적/체적에 의한 것이다.
또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양을 40mg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0.4(g/L)의 용액을 조제한다. 이것을 실시예 1B 용액으로 한다. 또한, 비교예로서, 15% 에탄올 수용액만[요컨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는 0(g/L)]의 액에 관해서 조제한다. 이것을 비교예 1 용액으로 한다.
다음에 실시예 1A 용액, 실시예 1B 용액 및 비교예 1 용액(10mL)을 사용하여, 구강내의 세포(잇몸)의 혈류를 개선시키는 효과에 관해 민간 봉사자 4명의 협력을 얻어 실험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상기 용액 10mL를 입에 머금고 구강내 전체에 용액이 퍼지도록 적절하게 입을 움직인 다음, 그 용액을 뱉었다. 또한, 용액을 입에 머금고 있는 시간은 1분 동안으로 한다. 다음에 용액을 뱉은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5분 및 15분) 경과 후, 혈류계를 사용하여, 아래 잇몸의 혈류를 측정한다. 또한, 혈류계는 레이저 혈류 화상화 장치(PIMII; 스웨덴 Permied AB사제)를 사용한다.
혈류 측정의 결과를 표 1에 기재한다. 또한, 혈류 측정의 결과는 용액을 입에 머금기 전에 미리 혈류 측정을 실시하여, 이의 측정 결과를 100으로 한 상대치로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표 1에 기재된 수치가 클수록 혈류가 양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75244787-PCT00001
식중의 값은 평균치±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액을 뱉는 시점으로부터 5분 경과 후에 있어서, 비교예 1 용액을 입에 머금은 결과(평균치: 97.72)와 비교하여, 실시예 1A 용액을 입에 머금은 결과(평균치: 132.62) 및 실시예 1B 용액을 입에 머금은 결과(평균치: 156.16)는 커지고 있는 것을 알았다. 요컨대, 실시예 1A 용액 및 실시예 1B 용액에는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확인된다.
실시예 1A 용액에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는 0.2(g/L)이다. 또한, 실시예 1B 용액에서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는 0.4(g/L)이다. 따라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0.2(g/L) 이상의 경우,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시키는 데 일정한 효과가 있다고 확인된다.
또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에 착안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0.2(g/L) 이상에서 효과가 있다고 확인된다. 그러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양에 착안하면, 아래와 같이 된다. 요컨대, 실시예 1A 용액(10mL)을 입에 머금으므로 당해 용액에는 2mg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입에 머금는 것도 인간에의 투여로 파악되는 경우, 2mg 이상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투여하면, 일정한 효과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실시예 2: 증류수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사용하는 혈류 개선)
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 및 실시예 1에서 사용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 30mg을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A 용액의 조제와 동일한 방법에 따라 용액을 조제한다. 요컨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 O.3(g/L)의 수용액을 조제한다. 이것을 실시예 2A 용액으로 한다.
또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 40mg을 사용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2A 용액의 조제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따라 용액을 조정한다. 요컨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 0.4(g/L)의 수용액을 조제한다. 이것을 실시예 2B 용액으로 한다. 또한, 비교예로서, 증류수만 준비한다. 이것을 비교예 2 액으로 한다.
다음에 실시예 2A 용액, 실시예 2B 용액 및 비교예 2 액(10mL)을 사용하여, 구강내의 세포(잇몸)의 혈류를 개선시키는 효과에 관해 실험을 실시한다. 또한, 이러한 실험은 민간 봉사자의 인원수를 5명으로 하는 이외에는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한다.
혈류 측정의 결과를 표 2에 기재한다. 또한, 혈류 측정의 결과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용액을 입에 머금기 전에 미리 혈류 측정을 실시하여, 이의 측정결과를 100으로 한 상대치로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표 2에 기재된 수치가 클수록 혈류가 양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75244787-PCT00002
식중의 값은 평균치±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p< 0.05)
**(p< O.O 1)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용액을 뱉은 시점으로부터 5분 경과 후에 있어서, 비교예 2 액을 입에 머금은 결과(평균치: 89.11)와 비교하여, 실시예 2A 용액을 입에 머금은 결과(평균치: 123.15) 및 실시예 2B 용액을 입에 머금은 결과(평균치: 138.77)는 커지고 있는 것을 알았다. 요컨대, 실시예 2A 용액 및 실시예 2B 용액에는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확인된다. 또한, 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액을 뱉은 시점으로부터 15분 경과 후에도 비교예 2 액을 입에 머금은 결과(평균치: 75.14)와 비교하여, 실시예 2A 용액을 입에 머금은 결과(평균치: 126.10) 및 실시예 2B 용액을 입에 머금은 결과(평균치: 123.15)는 커지고 있는 것을 알았다. 요컨대, 실시예 2A 용액 및 실시예 2B 용액에는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상승)시키는 효과와 함께 그 효과를 지속시키는 효과도 확인된다.
실시예 2A 용액에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는 0.3(g/L)이다. 또한, 실시예 2B 용액에서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는 0.4(g/L)이다. 따라서 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하는 경우에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0.3(g/L) 이상일 때,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시키는 데 일정한 효과이 있다고 확인된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입에 머금는 것도 인간에의 투여로 파악한 경우, 용매로서 증류수를 사용할 때에는 3mg 이상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투여하면, 일정한 효과가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결과에 관해 농도와 시간의 2원 배치법(반복함)에 의한 분산 분석을 실시한다. 그 결과, 농도의 인자에서 유의차(p< 0.01)가 확인된다. 그리고, 실시예 2B 용액(농도: 0.4g/L)과 비교예 2 액(농도: 0g/L) 사이에 유의차(p< 0.01), 실시예 2A 용액(농도: 0.4g/L)과 비교예 2 액(농도: 0g/L) 사이에 유의차(p< 0.05)가 확인된다.
또한, 대응하는 t 검정을 실시한 바, 용액을 뱉은 시점에서 5분 경과 후에 실시예 2B 용액과 비교예 2 액 사이에 유의차(p< 0.05)가 확인된다. 또한, 용액을 뱉은 시점에서 15분 경과 후에 실시예 2B 용액과 비교예 2 액 사이에 유의차(p< 0.01)가 확인된다.
그런데, 용액을 뱉은 시점에서 5분 경과 후에 실시예 1B 용액(15% 알콜 용액으로 농도 0.4g/L)의 결과와, 비교예 2 액(수용액으로 농도 Og/L)의 결과를 비교하면 유의차(p< 0.05)가 확인된다(Turkey-Krammer 검정).
(실시예 3: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정제에 의한 혈류 개선)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로서 타정품(정제)를 제조한다. 이하, 제조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하기에 기재된 성분을 처방하여, 균일해지도록 잘 혼합하여, 분말을 수득한다. 또한, 분말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의 3종류를 준비한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의 처방>
과립상 당[프로스트(등록상표) 슈가: 닛신세이도사(Nissin Sugar Manufacturing Co., Ltd.)제]: 57g
락토스: 20g
환원 맥아당: 20g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2g
이산화규소: 1g
소나무 껍질 추출물(실시예 1과 동일한 추출물): 0.4g
<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의 처방>
과립상 당: 57g
락토스: 20g
환원 맥아당: 20g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2g
이산화규소: 1g
차 추출물[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90% 이상 함유, 상품명 「TEAVIGO」(등록상표), 로슈비타민저팬사(Roche Vitamin Japna)제]: 0.4 g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것의 처방>
과립상 당: 57g
락토스: 20g
환원 맥아당: 20g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2g
이산화규소: 1g
다음에 상기 처방에 의해 수득된 분말을 타정함으로써 1정이 250mg의 정제를 제조한다. 요컨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분말로부터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를 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분말로부터 차 추출물 함유 정제,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분말로부터 추출물 무첨가 정제를 각각 제조한다. 또한, 추출물이 함유되어 있는 정제 1정에는 추출물이 0.996mg(약 1mg) 함유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정제를 사용하여, 구강내의 세포(잇몸)의 혈류를 개선시키는 효과에 관해 실시예 1의 민간 봉사자 5명중 4명의 협력을 얻어 실험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2정의 정제를 입에 머금고 입 속에서 서서히 정제를 용해시키면서, 정제를 체내에 섭취한다. 다음에 정제 섭취 완료의 시점에서 일정 시간(5분 및 15분) 경과 후, 혈류계를 사용하여, 아래 잇몸의 혈류를 측정한다. 또한, 사용하는 혈류계 등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혈류를 개선시키는 성분의 예로서, 비타민 E(100mg)만을 입 안에서 서서히 용해시켜 섭취한 것에 대해서도 혈류를 측정한다. 또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2정)을 입 안에서 서서히 정제를 용해시키는 것은 아니고, 증류수 10mL로 단숨에 마셔 섭취한 것에 관해서도 혈류를 측정한다.
혈류 측정의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또한, 혈류 측정의 결과는 정제를 입에 머금기 전에 미리 혈류 측정을 실시하여, 이의 측정결과를 100으로 한 상대치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3에서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를 입 안에서 서서히 용해시킨 것의 결과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라는 항목, 차 추출물 함유 정제의 결과를 「차 추출물」이라는 항목, 추출물 무첨가 정제의 결과를 「추출물 없음]이라는 항목, 비타민 E(100mg)만을 섭취한 것의 결과를 「비타민 E」라는 항목,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2정)을 증류수로 마신 결과에 관해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음용)」이라는 항목에 각각 기재하고 있다.
혈류 측정의 결과를 표 3에 기재한다. 또한, 혈류 측정의 결과는 정제를 입에 머금기 전에 미리 혈류 측정을 하여, 이의 측정결과를 100으로 한 상대치로 나타낸다. 요컨대, 표 3에 기재된 수치가 클수록 혈류가 양호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3에서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의 결과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라는 항목, 차 추출물 함유 정제의 결과를 「차 추출물」이라는 항목, 추출물 무첨가 정제의 결과를 「추출물 없음」이라는 항목, 비타민 E(100mg)만을 섭취한 것의 결과를 「비타민 E」라는 항목에 각각 기재하고 있다.
Figure 112006075244787-PCT00003
식중의 값은 평균치±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섭취 시점으로부터 5분 경과 후에 있어서, 추출물 없음의 결과(평균치: 96.84) 및 차 추출물의 결과(평균치: 81.24)와 비교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결과(평균치: 115.35)는 커지고 있는 것을 알았다. 요컨대,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에는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상승)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확인된다. 또한, 비타민 E의 결과(평균치: 116.99)를 보면,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비타민 E(100mg)과 거의 동등한 결과로 된다.
또한, 섭취 시점으로부터 15분 경과 후에 있어서, 추 없음의 결과(평균치: 96.88) 및 비타민 E의 결과(평균치: 105.63)와 비교하여,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결과(평균치: 111.55)는 약간 커지고 있는 것을 알았다. 요컨대,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에는 혈류 개선효과를 지속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타정품의 시험에서는 정제 2정을 섭취한다. 따라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2mg 섭취한 것으로 된다. 요컨대, 2mg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섭취함으로써 일정한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2정)을 증류수로 마신 경우에는 「추출물 없음」의 결과와 가까운 값이며, 거의 효과가 없다. 또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2정)을 증류수로 마신 예에서는 이를 마시는 것에 의한 섭취후 1시간이 경과해도 효과가 확인되지 않는다. 이것은 구강용 조성물(소나무 껍질 함량 2mg의 고체)를 얼음등으로 마시는 경우, 구강내에서의 효과를 수득하는 것이 어려운 것을 나타내고 있다. 요컨대, 소나무 껍질 함량 2mg이라는 미량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에서는 이것을 일정 시간 구강내의 세포에 도포(체류)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민간 봉사자의 개체와 섭취한 정제 등에서 난괴(亂塊)(randomized blocks method)법에 의한 평균치의 차이의 검정을 실시한 바, 섭취한 정제 등의 사이에서 유의차가 확인된다(p< 0.01).
또한, 정제를 구강내에서 용해시킨 경우의 기호성에 관해서는 어느 피시험자로부터도 실시예 2의 용액의 경우와 비교하여, 수렴미가 감소되고 있으며 섭취하기 쉽다는 회답이 있으므로 당알콜을 동시에 섭취시키는 것으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수렴미(astringent taste)가 감소되며, 구강내의 투여에 적합한 조성물로 되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4: 구취 감소(개선) 효과)
민간 봉사자 6 내지 7명의 협력을 얻어 구취(마늘 냄새) 감소효과에 관한 시험을 실시한다. 이의 시험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마늘 1개와 가온한 증류수 50mL를 믹서에 분쇄하여, 마늘 페이스트를 제조한다. 다음에 제조한 마늘 페이스트(10g)와 가온한 증류수(5g)를 혼합하여 마늘 혼합액을 제조한다.
다음에 제조한 마늘 혼합액을 입에 머금고, 구강내 전체에 혼합액이 퍼지도록 적절하게 입을 움직인 다음, 당해 혼합액을 뱉는다. 또한, 혼합액을 입에 머금고 있는 시간은 30초 동안으로 한다.
혼합액을 뱉은 다음, 곧 정제를 입에 머금고, 이것을 씹으면서 섭취한다. 그리고, 혼합액을 뱉은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경과 후, 메틸 머캅탄 탐지관에 일정량의 숨을 불어들임으로써 인간의 숨에 포함되는 메틸 머캅탄량(ppm)을 측정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일정 시간 경과 후」는 1분 후, 5분 후, 10분 후이다.
또한, 본 시험에서 사용하는 정제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2정), 차 추출물 함유 정제(2정), 추출물 무첨가 정제(2정)이며, 이들 타정품의 제조방법은 실시예 3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구취 예방제(고바야시세이야쿠사(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제 「chewing breath care(등록상표)」: 1정)에 관해서도 시험을 실시한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에 관한 결과를 표 4, 시판의 구취 예방제에 관한 결과를 표 5, 차 추출물 함유 정제에 관한 결과를 표 6에 각각 기재한다. 이들 표 4 내지 6에 기재된 수치는 인간이 탐지관에 불어 들인 숨에 함유되어 있는 메틸 머캅탄량이다. 따라서 표중의 값이 작을수록(감소 경향이 있다), 구취 감소효과가 있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된다.
또한, 각각의 표에 「대조」로 기재되어 있는 것은 추출물 무첨가 정제의 결과이다. 이와 같이 각각의 표에 있어서 「대조」의 결과를 기재하고 있는 것은 시험에 제공된 개개의 마늘에 의해 시험결과에 격차가 생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요컨대, 1개의 표중에 기재되어 있는 결과에 관해서는 동일한 마늘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산출된 것이다.
또한, 민간 봉사자 각인에게 구취효과가 있다라고 생각되는 것(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 차 추출물 함유 정제 및 시판품)에 관한 메틸 머캅탄량의 측정치를 대조의 측정결과로 나눈 값에 관해 평균치 및 표준편차를 표 7에 기재한다. 요컨대, 표 7에 기재된 수치가 1보다 작은 경우에는 구취 감소효과가 있는 것을 나타내며, 표 7 중의 값이 작을수록 구취 감소효과가 큰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06075244787-PCT00004
식중의 값은 평균치±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75244787-PCT00005
식중의 값은 평균치±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75244787-PCT00006
식중의 값은 평균치±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차 추출물(1분후)의 값은 모든 검출결과가 탐지관으로 측정할 수 있는 범위(10ppm) 이상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112006075244787-PCT00007
식중의 값은 평균치±표준편차를 나타내고 있다.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대조의 값과 비교하여, 나무 껍질 추출물의 값은 항상, 대조의 값보다 작다. 요컨대, 추출물 무첨가 정제를 섭취한 경우와 비교하여, 나무 껍질 추출물을 섭취하면, 인간의 숨으로부터 검출되는 메틸 머캅탄량은 작아지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 2정, 즉 2mg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섭취함으로써 구취를 감소시키는 것에 관해 일정한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편, 표 5 및 표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차 추출물 및 시판품의 값은 대조의 값보다 작아지지 않는 것을 알았다. 요컨대, 차 추출물 및 시판품은 이러한 시험계에서, 인간의 숨으로부터 검출되는 메틸 머캅탄량을 감소시킬 수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표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소나무 껍질 추출물 함유 정제를 섭취한 경우에 메틸 머캅탄량의 측정치를 대조의 측정치로 나누는 경우, 이의 평균치는 1을 크게 하회하고 있다. 요컨대, 구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확인된다. 이에 대해 차 추출물 및 시판품의 경우, 평균치는 1보다 큰 값 또는 1과 동등한 값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차 추출물 및 시판품은 본 시험에서 구취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확인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건조 질량에 대해 올리고머성 프로안토시아닌을 20질량% 이상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구강용 조성물은 구강내의 혈류를 개선시켜, 치주병 예방에 유용하다. 또한, 이러한 구강용 조성물은 구취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으며 사람에 대하여 구취에 의해 불쾌한 인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는 데 유용하다.

Claims (3)

  1.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구강내로 1회 투여되는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2mg 이상으로 되도록 조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용매를 함유하고 있으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농도가 O.2(g/L)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0067021636A 2004-03-19 2005-03-02 구강용 조성물 KR200601320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81710 2004-03-19
JP2004081710 2004-03-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003A true KR20060132003A (ko) 2006-12-20

Family

ID=34993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636A KR20060132003A (ko) 2004-03-19 2005-03-02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66246A1 (ko)
JP (1) JPWO2005089784A1 (ko)
KR (1) KR20060132003A (ko)
CA (1) CA2559416A1 (ko)
WO (1) WO200508978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42A (ko) * 2019-10-31 2021-05-11 한선정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24506B2 (ja) * 2005-03-25 2012-09-1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周組織破壊の抑制・改善剤及び口腔用組成物
US9101160B2 (en) 2005-11-23 2015-08-11 The Coca-Cola Company Condiments with high-potency sweetener
US8017168B2 (en) 2006-11-02 2011-09-13 The Coca-Cola Company High-potency sweetener composition with rubisco protein, rubiscolin, rubiscolin derivatives, ace inhibitory peptides, and combinations thereof, and compositions sweetened therewith
AU2008307137A1 (en) * 2007-10-05 2009-04-09 Horizon Science Pty Ltd Natural preservatives and antimicrobial agents
US20090226549A1 (en) * 2008-03-06 2009-09-10 Kenneth John Hughes Herbal extracts and flavor systems for oral product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715625B1 (en) 2010-05-10 2014-05-06 The Clorox Company Natural oral care compositions
EP2672832B1 (en) 2011-02-08 2020-03-25 The Product Makers (Australia) Pty Ltd Sugar extracts
JP5893324B2 (ja) * 2011-09-30 2016-03-23 サンスター株式会社 メチルメルカプタン抑制剤
WO2014032100A1 (en) 2012-08-28 2014-03-06 Phytolin Pty Ltd Extraction method
US10350259B2 (en) 2013-08-16 2019-07-16 The Product Makers (Australia) Pty Ltd Sugar cane derived extracts and methods of treatment
JP6886174B2 (ja) * 2017-01-31 2021-06-16 株式会社東洋新薬 オーラルケア用経口組成物
KR102466436B1 (ko) * 2022-02-18 2022-11-11 이재연 음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8378B1 (en) * 1998-12-16 2001-06-19 Universidad De Sevilla Enhanced food products
EP1021177A4 (en) * 1997-02-04 2002-05-15 John V Kosbab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SCULAR DEGENERATIVE DISEASES
US5906811A (en) * 1997-06-27 1999-05-25 Thione International, Inc. Intra-oral antioxidant preparations
US5972985A (en) * 1997-11-03 1999-10-26 Cytos Pharmaceuticals, Llc Histidine containing nutriceutical compositions
JP3763075B2 (ja) * 1998-04-24 2006-04-05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周病の予防又は治療用の食品組成物、口腔用組成物及び医薬組成物
US20030086986A1 (en) * 1998-08-06 2003-05-08 Bruijn Chris De Ophthalmic, pharmaceutical and other healthcare preparations with naturally occurring plant compounds, extracts and derivatives
JP2001120214A (ja) * 1999-10-29 2001-05-08 Kikkoman Corp ニンニク含有食品の製造法
JP2002119221A (ja) * 2000-10-12 2002-04-23 Kikkoman Corp 馬用体質改善剤及び馬の体質改善方法
JP2005047832A (ja) * 2003-07-30 2005-02-24 Nippon Zettoc Co Ltd 口腔用組成物
JP2005179206A (ja) * 2003-12-17 2005-07-07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2742A (ko) * 2019-10-31 2021-05-11 한선정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66246A1 (en) 2007-07-19
JPWO2005089784A1 (ja) 2008-01-31
WO2005089784A1 (ja) 2005-09-29
CA2559416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2003A (ko) 구강용 조성물
ES2262658T3 (es) Composicion primaria que contiene un compuesto bioactivo lipofilo.
US7544377B2 (en) Chewable compositions with fast release magnolia bark extract
CA2906184A1 (en) Polyphenol/flavonoi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formulating oral hygienic products
JP6316825B2 (ja) チューインガム
JP5893324B2 (ja) メチルメルカプタン抑制剤
JP2009190990A (ja) 弱酸性下の消臭組成物
JP2003325135A (ja) 健康食品
JP2006016390A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含有組成物
US2011027472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Hyposalivation and for Providing Oral Comfort
JP2002029953A (ja) 歯周病の予防または治療用の食品組成物、口腔用組成物
JP2007051096A (ja) 口腔用組成物
JP2006298887A (ja) 活性酸素除去剤、肌の弾力保持剤、抗酸化作用補助剤
JP2004159563A (ja) プロポリス組成物
JP2021080197A (ja) 抗アレルギー剤
US20110135787A1 (en) Deodorizing composition using peroxidase under neutrality
JPH01265964A (ja) 消臭剤
JP4648309B2 (ja) プロアントシアニジン水可溶性結合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2004149729A (ja) 抗酸化剤
JP2003238426A (ja) コラゲナーゼ阻害剤、皮膚外用剤および健康食品
JP2006282561A (ja) アムラの抽出成分を配合したマトリックスメタロプロテアーゼ阻害剤
EP3236951B1 (en) Oral dissolvable pharmaceutical dosage form for the treatment of oral diseases
JP2010018525A (ja) 口臭、体臭及び糞尿臭改善剤
AU2009313865B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lleviating hyposalivation and for providing oral comfort
JP6553849B2 (ja) 口臭抑制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