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2742A -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2742A
KR20210052742A KR1020190137131A KR20190137131A KR20210052742A KR 20210052742 A KR20210052742 A KR 20210052742A KR 1020190137131 A KR1020190137131 A KR 1020190137131A KR 20190137131 A KR20190137131 A KR 20190137131A KR 20210052742 A KR20210052742 A KR 2021005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bark
toothpaste
present
pine
bark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1293B1 (ko
Inventor
한선정
한완택
Original Assignee
한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선정 filed Critical 한선정
Priority to KR102019013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29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광물성 연마제로 인한 과다한 치아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치태 생성의 감소, 구강 내 유해 미생물 성장의 억제, 구강 내 염증의 억제 및 구취의 감소와 같은 치아 및 구강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치약 조성물의 핵심 성분으로 사용되는 소나무 껍질 분말은 소나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대부분 폐기되어 그 활용이 지극히 미미한 천연소재를 활용하는 것이므로, 임산자원의 고부가가치화, 폐기물 처리비용의 절감 및 환경보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pine bark powder}
본 발명은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약은 일반적으로 광물성 연마제, 충치예방제, 치주질환예방제, 시린이완화제, 기포제(발포제), 습윤제, 결합제, 착향제, 감미제, 보존제 등으로 구성된다. 이중 광물성 연마제는 치아에 부착된 치태나 치석 등을 제거하여 치아의 광택을 유지하는 작용을 하는데 필수적인 성분으로 연마력은 연마제의 종류, 배합량, 연마제의 입자크기에 따라 다르다.
치약에 사용되는 연마제는 주로 광물질이며 침강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 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 인산일수소칼슘,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칼슘 피로인산염, 불용성 메타인산염,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수산화알루미늄 등이 알려져 있고 대체로 연마제 1종 이상을 5 ~ 60중량%로 사용한다. 치약에 광물성 연마제를 고농도로 포함시켜 연마력을 높이고자 할 경우, 치태, 치석 제거나 세정효과는 증가될 수 있지만 치아가 심하게 마모됨에 따라 시린이나 과민성 치아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그리고 광물성 연마제의 사용량을 적절하게 조정하더라도 치약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칫솔질 습관, 칫솔질 시간, 칫솔 회수, 치약 사용량 등에 의하여 치아의 마모도에 대한 개인적인 차이가 존재하므로 일부 소비자에게는 심각한 치아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기존 치약의 문제점과 한계성을 해결할 수 있는 식물소재를 개발하고자 다년간에 걸쳐 노력하였다. 그 결과 치약 조성물에 소나무 껍질 분말을 포함시킬 경우 광물성 연마제로 인한 과다한 치아 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치태 생성의 감소, 구강 내 유해 미생물 성장의 억제, 구강 내 염증의 억제 및 구취의 감소와 같은 치아와 구강의 건강과 관련된 추가적인 우수한 효과 또한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한편, 치아나 구강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국내외에서 식물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소나무 껍질 분말의 효과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056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82648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식물자원을 활용하여 연마제로 인한 과도한 치아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치태 생성의 감소, 구강 내 유해 미생물 성장의 억제, 구강 내 염증의 억제, 구취의 감소와 같은 치아 및 구강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껍질 분말은 소나무 껍질을 건조하고 20 내지 500메시(mesh)로 분쇄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상기 소나무 껍질 분말을 1 내지 6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광물성 연마제로 인한 과다한 치아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치태 생성의 감소, 구강 내 유해 미생물 성장의 억제, 구강 내 염증의 억제 및 구취의 감소와 같은 치아 및 구강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치약 조성물의 핵심 성분으로 사용되는 소나무 껍질 분말은 소나무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로 대부분 폐기되어 그 활용이 지극히 미미한 천연소재를 활용하는 것이므로, 임산자원의 고부가가치화, 폐기물 처리비용의 절감 및 환경보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시중에서 판매되는 대조군 치약(좌, A사 제품)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우, 대조군 치약에 소나무 껍질 분말을 2.0중량%로 첨가한 치약)을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치약 조성물에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시킬 경우, 통상적으로 치약에서 사용되는 광물성 연마제로 인한 과다한 치아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치태 생성의 감소, 구강 내 유해 미생물 성장의 억제, 구강 내 염증의 억제 및 구취의 감소와 같은 치아 및 구강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안출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나무 껍질 분말은 소나무에서 껍질을 채취하고 이를 통상의 분말화 공정을 통해 분말화하는 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나무에서 껍질을 채취한 다음 세척 공정을 통해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건조 공정을 거친 다음 밀링 장치를 사용한 분말화 공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이때 멸균하는 공정을 거쳐 소나무 껍질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사멸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나무 껍질로는 적송 또는 육송이라고 불리는 우리나라 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 Zucc.), 라디아타소나무(Pinus radiata D. Don), 백송(Pinus bungeana Zucc. ex Endl.), 피네아소나무(Pinus pinea L), 곰솔(Pinus thumbergii Parl.), 금강소나무(Pinus densiflora Sieb. & Zucc. for. erecta Uyeki), 구주소나무(Pinus sylvestris L.), 마미송(Pinus massoniana), 타에다소나무(Pinus taeda), 폰데로사소나무(Pinus ponderosa), 제프리소나무(Pinus jefferyi), 몬티콜라소나무(Pinus monticola) 및 슈거파인(Pinus lambertiana)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소나무 껍질, 이 밖에 다른 소나무의 껍질 또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본 발명의 효과를 위해 우리나라 소나무인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의 껍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위해 30년생 이상의 소나무의 껍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나무 껍질은 소나무 줄기의 코르크 형성층보다 바깥 조직 즉 검붉은 색의 겉껍질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부와 코르크 형성층으로 구성되는 송기(소나무 속껍질)와 구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나무 껍질 분말은 본 발명의 효과를 위해 20 ~ 500메시(mesh)로 분쇄하여 수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보다 큰 입자크기의 분말을 사용할 경우 이물감의 문제와 표면적(단위 중량 당 분말의 표면적)이 작아짐에 따른 효과의 감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보다 작은 입자크기의 분말을 사용할 경우 통상의 광물성 연마제 크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나무 껍질 분말의 입자크기가 너무 작아짐에 따른 효과의 감소 문제와 제조 용이성 측면에서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 400메시로 분쇄하여 수득되는 소나무 껍질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300메시,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200메시로 분쇄하여 수득되는 소나무 껍질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나무 껍질 분말은 치태 제거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물성 연마제의 전부 또는 일부를 소나무 껍질 분말로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치약 조성물 중 소나무 껍질 분말의 함량은 통상의 치약 조성물에 적용되는 광물성 연마제의 함량과 같이 치약 조성물 중 많게는 60중량%까지도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물성 연마제를 함께 사용할 경우 1중량%의 함량 만으로도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므로, 적게는 치약 조성물 중 1중량%까지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치약 조성물을 사용하는 대상의 연령 층, 기호도 등을 고려하여 경우에 따라 상기 함량은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상기 소나무 껍질 분말에 추가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이때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용매를 사용하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식물추출방법으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는 통상적으로 식물추출에 사용되는 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 4의 알코올, 아세톤,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산화탄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된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이들의 혼합액 또는 주정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함량이 10 ~ 50%(v/v)인 주정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용매의 양은 추출재료인 소나무 껍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3 ~ 30배의 중량비(w/w)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 15배의 중량비(w/w)로 하는 것이 좋다. 추출온도는 0 ~ 120℃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 100℃로 하는 것이 좋고, 추출시간은 1시간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 10시간이 좋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적합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추출재료로는 상기 소나무 껍질 분말에서와 같은 소나무 껍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효과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우리나라 소나무인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의 껍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30년생 이상의 소나무의 껍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함량은 기호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효과 및 적절한 기호도를 고려하여 0.05 ~ 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광물성 연마제, 충치예방제, 치주질환예방제, 시린이완화제, 기포제(발표제), 습윤제, 결합제, 착향제, 감미제, 보전제 등 기존 통상의 치약 조성물에 사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은 이 밖에 다른 기능성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소나무 껍질 분말의 제조
강원도 강릉 인근에서 벌채된 30년생 이상의 국산 소나무인 적송(Pinus densiflora)으로부터 소나무 껍질 20㎏을 채취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정제수로 세척하였다. 세척한 껍질을 121℃ 스팀으로 15분간 멸균한 후 90℃ 열풍건조기에서 3시간 건조하였다. 건조한 소나무 껍질을 햄머밀로 1차 조분쇄하고, 핀밀로 2차 분쇄하였다. 분쇄물을 100메시(mesh) 체를 통과시켜 소나무 껍질 분말을 수득하였다.
2.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제조
상기 항목 1과 같이 채취한 소나무 껍질 20㎏을 분쇄기로 분쇄하고, 분쇄물에 12배 중량의 에탄올 함량 30%(v/v)의 주정용액을 첨가하여 90℃에서 6시간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추출액을 농축하고 농축한 추출액으로부터 침전물을 분리하여 제거한 후 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3.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한 치약의 치태 발생 감소 효과
소나무 껍질 분말의 치태 발생 감소에 대한 예비적인 평가를 위하여 시중에서 판매되는 A사의 치약을 구매하여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이 치약에 상기 항목 1에서 제조한 소나무 껍질 분말을 2.0중량%로 혼합하여 실험군을 준비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 사용된 기존 치약에는 광물성 연마제인 침강실리카가 20중량%로 함유되어 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20 ~ 60대 건강한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대조군 치약과 실험군 치약을 각각 100g씩 제공하고, 대조군 치약을 먼저 7일간 사용하게 하고, 실험군 치약을 다시 7일간 사용하게 한 후 대조군 치약과 비교하여 실험군 치약의 치태 발생 감소 등에 대한 설문지 평가를 실시하였다. 설문지에 의한 평가 방식은 5점 척도("매우 만족한다" 5점, "만족한다" 4점, "보통이다" 3점, "만족하지 않는다" 2점, "매우 만족하지 않는다" 1점)를 사용하였고, 기타 의견으로 개운함과 세정력에 대한 선호도도 함께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구분 대조군 실험군 유의성(p)
평가결과(점) 3.2±0.64 4.2±0.46 <0.05
표 1에서와 같이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한 실험군 치약은 대조군에 비하여 치태 발생 감소 만족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실험군 치약이 대조군 치약에 비하여 입안의 개운함, 세정력 등이 우수하다는 다수의 의견이 제기됨에 따라 소나무 껍질 분말이 함유된 실험군 치약이 치태 발생 감소 만족도 뿐만 아니라 사용감에서도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 소나무 껍질 분말의 항균 효과
실험에 사용된 세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로 동결건조상태로 보관중인 세균을 10% 락토오스(lactose)를 첨가한 M17 액체배지(M17, Difco, USA)에 접종한 후 37℃의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최소저해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측정법으로 상기 항목 1에서 제조한 소나무 껍질 분말의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최소저해농도 측정법은 액상배지 희석법(broth dilution method)을 사용하였고, 소나무 껍질 분말을 살균한 정제수에 10배 희석한 다음 희석한 소나무 껍질 분말 현탁액을 4.0㎖(40g/ℓ), 2.0㎖(20g/ℓ), 1.0㎖(10g/ℓ), 0.5㎖(5g/ℓ), 0.25㎖(2.5g/ℓ), 0.125㎖(1.25g/ℓ), 0.0625㎖(0.625g/ℓ)로 계량하여 액체배지와 혼합하고 10㎖이 되도록 희석한 후 세균을 접종하였다. 접종한 배지를 37℃, 5% 이산화탄소 환경 하에서 3시간 배양하였고, 세균의 증식이 관찰되지 않은 시료를 MIC로 판정하였다.
이의 결과 소나무 껍질 분말의 MIC는 10.0g/ℓ로 항균 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항균 효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에 대한 MIC 측정법은 상기 항목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단, 소나무 껍질 추출물은 살균한 정제수에 100배로 희석하였고, 이렇게 희석한 희석액을 4.0㎖(4g/ℓ), 2.0㎖(2g/ℓ), 1.0㎖(1g/ℓ), 0.5㎖(0.5g/ℓ), 0.25㎖(0.25g/ℓ), 0.125㎖(0.125g/ℓ), 0.0625㎖(0.0625g/ℓ)로 계량하여 액체배지와 혼합하고 10㎖이 되도록 희석한 후 세균을 접종하였다.
이의 결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의 MIC는 0.25g/ℓ로 매우 낮은 농도에서도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6. 치약 제조
아래 표 2의 조성에 따라 소나무 껍질 분말, 또는 소나무 껍질 분말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실험군)과 비교를 위한 치약(비교군)을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하여 치약의 효능(치아마모도, 치은염지수, 구취 발생)에 대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성분명 비교군 실험군
1 2 1 2 3 4 5 6 7 8
침강실리카 20.0 10.0 0 20.0 15.0 10.0 20.0 15.0 15.0 10.0
소나무 껍질 분말 0 0 2.0 1.0 2.0 3.0 0 0 2.0 2.0
소나무 껍질 추출물 0 0 0 0 0 0 0.1 0.3 0.1 0.3
소르비톨(7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글리세롤(98%) 5.0 5.0 5.0 5.0 5.0 5.0 5.0 5.0 5.0 5.0
코카미도프로릴베타인 2.0 2.0 2.0 2.0 2.0 2.0 2.0 2.0 2.0 2.0
자일리톨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불화인산나트륨 0.5 0.5 0.5 0.5 0.5 0.5 0.5 0.5 0.5 0.5
이산화티탄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멘톨 1.0 1.0 1.0 1.0 1.0 1.0 1.0 1.0 1.0 1.0
잔탄검 0.3 0.3 0.3 0.3 0.3 0.3 0.3 0.3 0.3 0.3
정제수 29.4 39.4 47.4 28.4 32.4 36.4 29.3 34.1 32.3 37.1
6-1. 치아마모도 평가
치아마모도는 치아가 마모된 깊이를 정량적으로 분석이 가능한 surface profile method(Specification for Toothpastes, BS 5136)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상아질 시편 중앙부 2㎜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를 테이프로 덮어 실험부위만 노출시킨 후, 상기 표 2의 각 치약과 인공타액을 2:1의 비율로 희석한 슬러리 용액에 250g의 힘으로 brushing machine을 이용하여 분당 왕복 90회의 속도로 총 1,000회 칫솔질하였다. 칫솔질 시 타액의 혼입으로 치약이 희석되는 것을 고려하여 200회 칫솔질마다 인공타액을 20㎖씩 첨가하였다. 칫솔질을 마친 시편을 상온에서 건조시키고 surface profile meter로 표면 굴곡도를 측정하여 칫솔질로 마모된 상아질 시편의 횡단면적을 산출하였다.
이후 아래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비교군 1을 기준으로 비교한 각 군의 치아마모도 비율을 산출하고, 이들을 비교 평가하였다(표 3 참조).
[계산식]
치아마모도 비율 = (실험 치약의 마모 면적/비교군 1의 마모 면적) X 100
구분 실험수(회) 마모도(Surface profile method)
비교군1 8 100
비교군2 8 55.9±4.75
실험군1 8 6.82±1.17
실험군2 8 75.4±6.05
실험군3 8 56.9±4.84
실험군4 8 49.2±5.98
실험군5 8 85.3±6.27
실험군6 8 75.3±4.73
실험군7 8 45.5±4.35
실험군8 8 47.4±3.75
상기 표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소나무 껍질 분말, 또는 소나무 껍질 분말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실험군 치약의 경우 비교군 치약에 비하여 치아마모도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가지고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마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소나무 껍질 분말을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가장 낮은 치아마모도를 나타내었고, 특히 비교군 1과 동일하게 광물성 연마제인 침강실리카를 20중량%로 함유한 실험군 2와 실험군 5의 경우 치아마모도는 비교군 1에 비하여 각각 24.6%, 14.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교군 2와 동일하게 광물성 연마제인 침강실리카를 10중량%로 함유한 실험군 4와 실험군 8의 경우에도 치아마모도는 비교군 2에 비하여 각각 6.7%, 8.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즉 소나무 껍질 분말, 또는 소나무 껍질 분말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이 함유된 치약 조성물이 치약 사용에 따른 치아의 과다한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6-2. 치은염 지수 평가
각 치약을 사용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동일한 칫솔과 양치질을 하면서 치은염증 지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치은염증 지수의 평가는 건강한 남녀 360명의 동의를 얻어 양치방법에 대한 교육을 진행한 후 각각 36명씩 소집단으로 나누어 표 2에서 제조한 각 군의 치약을 4주간 사용하게 한 후 치은염증 지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치은염 지수(Gingivitis Index, GI)는 로(Loe)와 실리스(Silness)가 1963년에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점수로 환산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치은염 지수]
0: 정상 치은
1: 경한 염증 (경미한 색조변화, 가벼운 부종, 치주 탐침에 의한 출혈 성향이 없는 경우)
2: 중증 염증 (발적, 부종, 치은의 색조변화, 치주 탐침에 의한 출혈이 있는 경우)
3: 심한 염증 (상당한 발적과 부종, 궤양이 있고 계속적인 출혈이 있는 경우)
구분 치은염지수
(초기, A)
치은염지수
(4주 후, B)
치은염지수 차이(A-B) 유의성(p)
비교군1 1.85±0.24 1.88±0.27 0.03 N.S.
비교군2 1.78±0.19 2.21±0.23 0.43 <0.05
실험군1 1.91±0.22 1.39±0.19 -0.52 <0.05
실험군2 1.76±0.20 1.41±0.15 -0.35 <0.05
실험군3 1.81±0.15 0.73±0.23 -1.08 <0.05
실험군4 1.73±0.21 0.71±0.13 -1.02 <0.05
실험군5 1.82±0.26 1.52±0.15 -0.30 <0.05
실험군6 1.77±0.22 1.21±0.16 -0.56 <0.05
실험군7 1.73±0.18 0.31±0.22 -1.42 <0.05
실험군8 1.83±0.16 0.33±0.24 -1.50 <0.05
상기 표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소나무 껍질 분말, 또는 소나무 껍질 분말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실험군 치약을 사용한 경우 비교군 치약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치은염 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가지고 크게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군 1 및 비교군 2의 경우 치은염 지수는 오히려 증가된 결과를 보인 반면, 실험군 모두 치은염 지수가 개선되었고, 실험군 중 광물성 연마제 대신 소나무 껍질 분말을 사용한 실험군 1의 경우에도 치은염 지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군 1과 동일하게 광물성 연마제인 침강실리카를 20중량%로 함유한 실험군 2 및 실험군 5의 경우, 치은염 지수는 비교군 1에 비하여 각각 0.38, 0.33 감소하였고, 비교군 2와 동일하게 침강실리카를 10중량%로 함유한 실험군 4 및 실험군 8의 경우에도 치은염 지수는 비교군 2에 비하여 각각 1.51, 1.93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이 치은염의 예방, 개선 및 치료에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6-3. 구취 평가
구취 평가의 경우 0-5점 척도를 기준으로 구취가 아주 심한 경우 5점, 구취가 약간 심한 경우 4점, 구취가 보통인 경우 3점, 구취가 약한 경우 2점, 구취가 거의 없는 경우 1점, 구취가 전혀 없을 경우를 0점으로 하여 관능적으로 측정하였고 각 군의 평균을 계산한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 분 구취 정도
(초기, A)
구취 정도
(4주 후, B)
구취 차이
(A-B)
비교군1 3.25 3.33 0.08
비교군2 3.08 3.55 0.47
실험군1 3.32 2.47 -0.85
실험군2 3.12 2.47 -0.67
실험군3 3.35 2.10 -1.25
실험군4 3.24 2.22 -1.02
실험군5 3.19 2.61 -0.48
실험군6 3.04 2.36 -0.68
실험군7 3.12 1.60 -1.52
실험군8 3.09 1.58 -1.51
상기 표 5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소나무 껍질 분말, 또는 소나무 껍질 분말과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함유한 실험군 치약을 사용한 경우 비교군 치약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구취의 발생이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가지고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군 1 및 비교군 2의 경우 구취 발생이 오히려 증가된 결과를 보인 반면, 실험군 모두 구취 발생이 감소하였고, 광물성 연마제 대신 소나무 껍질 분말을 사용한 실험군 1에서도 구취 발생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비교군 1과 동일하게 광물성 연마제인 침강실리카를 20중량%로 함유한 실험군 2 및 실험군 5의 경우, 구취 발생은 비교군 1에 비하여 각각 0.75, 0.56 감소하였고, 또한 비교군 2와 동일하게 침강실리카를 10중량%로 함유한 실험군 4 및 실험군 8의 경우에도 구취 평가 점수는 비교군 2에 비하여 각각 1.72, 1.9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이 구취의 발생을 크게 억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4)

  1.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껍질 분말은
    소나무 껍질을 건조하고 20 내지 500메시(mesh)로 분쇄하여 수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상기 소나무 껍질 분말을 1 내지 60중량%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소나무 껍질 추출물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조성물.
KR1020190137131A 2019-10-31 2019-10-31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2351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131A KR102351293B1 (ko) 2019-10-31 2019-10-31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7131A KR102351293B1 (ko) 2019-10-31 2019-10-31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2742A true KR20210052742A (ko) 2021-05-11
KR102351293B1 KR102351293B1 (ko) 2022-01-17

Family

ID=75915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7131A KR102351293B1 (ko) 2019-10-31 2019-10-31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293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963A (ko) * 2002-02-19 2003-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KR100482648B1 (ko) 2002-12-17 2005-04-14 한국콜마 주식회사 구강 위생증진용 치약조성물
KR20060132003A (ko) * 2004-03-19 2006-12-2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신야쿠 구강용 조성물
KR100859967B1 (ko) * 2006-08-18 2008-09-25 김일두 금강송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과 치약 제조 방법
KR101250567B1 (ko) 2010-06-11 2013-04-03 (주)네오메디컬 치약조성물
KR20150057734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목분 연마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20170018591A (ko) * 2015-08-10 2017-02-20 노영수 소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치아 시림치료 및 예방을 위한 치아가드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치아가드
KR20170121496A (ko) * 2016-04-25 2017-11-02 치앙 쉬 한방 치약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8963A (ko) * 2002-02-19 2003-08-2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식물잎 절편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KR100482648B1 (ko) 2002-12-17 2005-04-14 한국콜마 주식회사 구강 위생증진용 치약조성물
KR20060132003A (ko) * 2004-03-19 2006-12-20 가부시키가이샤 도요 신야쿠 구강용 조성물
KR100859967B1 (ko) * 2006-08-18 2008-09-25 김일두 금강송 추출물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과 치약 제조 방법
KR101250567B1 (ko) 2010-06-11 2013-04-03 (주)네오메디컬 치약조성물
KR20150057734A (ko) * 2013-11-20 2015-05-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목분 연마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20170018591A (ko) * 2015-08-10 2017-02-20 노영수 소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치아 시림치료 및 예방을 위한 치아가드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치아가드
KR20170121496A (ko) * 2016-04-25 2017-11-02 치앙 쉬 한방 치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293B1 (ko) 2022-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2684A (en) Oral compositions for plaque and gingivitis
CN100361646C (zh) 橄榄油在制备用于消除或减少口腔中菌斑和/或细菌的口腔卫生产品中的应用
JPS5929620A (ja) 虫歯防止剤
KR101635861B1 (ko) 오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EP2399576B1 (en) Use of antibacterial compounds for the oral cavity hygiene
EP2612667A2 (en) Anticaries dentifrice composition that includes anticaries propolis as an active principle
KR10148069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KR101336726B1 (ko) 식물의 꽃 절편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1660467B1 (ko) 구기자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351293B1 (ko) 소나무 껍질 분말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0951396B1 (ko) 구취제거, 플라그제거 및 항균효과가 우수한 치약 조성물
US5316760A (en) Mouth-care products
KR101756306B1 (ko) 무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JPS6136215A (ja) 口腔内組成物
KR102196459B1 (ko) 항균 성능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치약
KR20140044639A (ko) 화산석 송이 분말을 이용한 치아 미백용 치약 조성물
KR20170037230A (ko) 카사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649635B1 (ko) 폴리크레줄렌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583758B1 (ko) 귀양석을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1963215B1 (ko) 미강, 볏짚 및 기장을 포함하는 구강세정용조성물
KR101344803B1 (ko) 후박 추출물과 금속이온 봉쇄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용 조성물
JPS60132913A (ja) 口腔用組成物
KR20090091898A (ko) 수세미오이를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1583760B1 (ko) 콘드로다이트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