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1731A - 폴리올레핀에서 반발성의 억제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에서 반발성의 억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1731A
KR20060131731A KR1020067004920A KR20067004920A KR20060131731A KR 20060131731 A KR20060131731 A KR 20060131731A KR 1020067004920 A KR1020067004920 A KR 1020067004920A KR 20067004920 A KR20067004920 A KR 20067004920A KR 20060131731 A KR20060131731 A KR 20060131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article
fluorocarbon
cooling
poly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에이치. 골드바움
에드워드 제임스 그린우드
케이. 스펜서 프로우세
Original Assignee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6013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173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1Treatment with 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X-r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6Haloge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s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물품을 40℃ 초과의 온도로 가열하고, 10초 이상 동안 유지하고, 냉각시킴으로써, 폴리올레핀과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압출물 또는 성형물의 반발성(repellency)을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반발성, 압출물, 성형물, 폴리올레핀,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

Description

폴리올레핀에서 반발성의 억제 {SUPPRESSION OF REPELLENCY IN POLYOLEFINS}
본 발명은 섬유,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과 같은 폴리올레핀 압출물 또는 성형물에 대한 시간 지연 반발성(repellency)을 부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 개질을 위해 물품의 반발성을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허용한다.
섬유, 시트, 필름 또는 성형품과 같은 열가소성 중합체 표면은 종종 이들의 표면 특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 예를 들어 발수성을 개선시키거나 얼룩 또는 건조 토양 저항성 또는 반발성을 부여하기 위해 불소계 화합물로 처리된다. 가장 흔하게, 불소계 수성 분산액이 분무, 패딩(padding), 또는 포밍(foaming)에 의해 표면에 국소 도포되고, 이후 건조 단계에 의해 물이 제거된다.
그러나, 그림, 텍스트, 로고 또는 다른 장식으로 표면을 장식하거나 인쇄하는 경우에, 부여된 반발성은 도포를 곤란하게 할 수 있다. 표면에 접착제 도포, 열결합, 적층, 염색 등과 같은 도포법에 의해 임의의 다른 유체, 페이스트 또는 고형 물질을 도포하는데 유사한 곤란함이 발생할 수 있다. 반발성에 의한 임의의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제조 공정 중간에 불소계 화합물 국소 도포 이전에 표면 상에 도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물품의 압출 이전에 불소계 첨가제를 중합체 중에 혼입시킴으로써 국소 도포 를 대체한다면, 열가소성 중합체의 제조 방법은 단순화되고 상당한 비용 투자가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가장 곤란한 것은 상당히 효과적인 불소계 첨가제를 발견하는 것이었다. 폴리올레핀 용융물에 첨가제를 혼입시키기 위한 요건으로는 첨가제의 낮은 농도에서 낮은 표면 장력 유체에 대한 반발성 이외에, 공정 처리 조건을 견디기 위한 충분한 열 안정성 및 낮은 휘발성이 포함된다. 적합한 반발성에 필요한 첨가제의 양을 최소화하도록 상기 화합물이 물품의 표면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동은 종종 물품의 압출 후 가열에 의해 강화될 수 있지만, 가열 단계 없이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개질된 압출 중합체는 통상적으로 목적하는 유체뿐만 아니라, 중합체 물품의 표면을 장식하거나 또는 이를 개질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된 인쇄 잉크 또는 다른 물질에 대해서도 반발성이다. 불소계 첨가제가 이미-혼입된 경우에, 국소 도포된 불소계 화합물에 대해 상기 기재된 사전-불소계 화합물 방식으로 생성물 표면 개질 단계를 수행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것은 불소계 화합물 용융 첨가제를 함유하는 중합체의 경우 생성물 개질을 곤란하게 만든다.
선행기술은 압출 섬유의 표면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용융 단계에서 혼입된 불소계 첨가제(다수의 경우에,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를 사용함)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예를 개시한다. 예를 들어, US 5,898,046을 참조하라. 그러나, 다른 후속 직물-개질 단계를 위해 발생된 반발성에 의해 초래되는 잠재적인 곤란함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방법은 제시되지 않았다.
중합체 용융물 중에 불소계 첨가제의 혼입이 압출물 또는 성형물에 반발성을 일으키는 경우에, 다른 표면-개질 단계를 위해 임의의 잠재적인 곤란함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도록 반발성을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을 제공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물품을 40℃ 초과의 온도로 가열하고, 10초 이상 동안 유지하고, 대략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중합체와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압출물 또는 성형물의 반발성을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물품을 40℃ 초과의 온도로 10초 이상 동안 가열하고, 물품을 대략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고, 냉각후 약 48시간 이내에 표면 개질제를 물품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중합체와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압출물 또는 성형물의 표면을 개질시키는 방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40℃ 초과의 온도로 10초 이상 동안 가열하고; 대략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고; 냉각후 약 48시간 이내에 표면 개질제를 도포함으로써 개질된 표면을 갖는, 폴리올레핀 중합체와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압출 또는 성형된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압출 또는 성형 이전에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를 폴리올레핀 용융물에 첨가하고, 물품의 표면 개질 이전에 가열 및 냉각 단계를 도입하는 것을 개선점으로 하는, 개질된 표면을 갖는 압출물 또는 성형물의 개선된 제조 방 법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물품을 약 40℃의 온도로 10초 이상 동안 가열하고 이후 주변 온도로 냉각시킴으로써, 폴리올레핀 중합체와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압출물 또는 성형물의 반발성을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가열 및 냉각 단계는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에 의해 부여되는 물품의 표면 반발성을 일시적으로 억제한다. 이러한 일시적인 억제는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반발성에 의해 반발되거나 장애될 수 있는 잉크, 접착제, 열결합 또는 적층 물질 등과 같은 표면 개질제를 물품 표면에 인쇄하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이들 표면 개질제의 첨가에 의해 물품의 표면이 개질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전체에 분산된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물품에 관한 것이며, 표면 개질제의 첨가, 또는 상기 폴리올레핀 물품의 표면 개질의 수행을 허용하도록 상기 폴리올레핀의 반발성을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물품"으로는 섬유, 필라멘트, 직물, 필름, 시트, 부직물, 형상품, 성형품, 또는 고체 물품을 들 수 있다. "표면 개질제"는 폴리올레핀 물품의 외관 또는 표면 특성을 변화시키는 임의의 물질을 의미한다. 표면 개질제의 예로는 잉크, 염료, 페인트, 접착제, 또는 열결합 또는 적층 물질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은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의 혼합물, 올레핀 공중합체, 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 및 1종 이상의 폴리올레핀과 1종 이상의 올레핀 공중합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특히, 폴리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중합체 단위를 갖는 임의의 폴리올레핀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물품은 압출, 성형, 또는 형상화 폴리올레핀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물품은 직물, 더 바람직하게는 스펀본디드 폴리올레핀 부직포이다.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는 화학식 Rf-O-C(O)-R1 또는 Rf-C(O)-O-R1의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의미하며, 식 중 Rf는 F(CF2)x-(CH2)m (여기서, x는 약 4 내지 약 20이고, m은 약 0 내지 약 6임)으로 이루어진 기로부터 선택되며, R1은 탄소수 약 12 내지 약 76의 지방족 선형 탄화수소이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는 퍼플루오로알킬 스테아레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Rf가 다음과 같은 쇄 길이 분포를 가지며:
Figure 112006016952520-PCT00001
R1은 탄소수 약 12 내지 약 76,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50, 더 바람직하게는 약 12 내지 약 22,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평균 약 17의 탄소 쇄 길이를 갖는 지방족 탄화수소인 혼합물인 조성물이다.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는 공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스테르는 적절한 알콜을 플루오로카본산과 반응시키거나, 지방산을 적절한 플루오로카본 알콜과 반응시키거나, 또는 트랜스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다. 퍼플루오로알킬 스테아레이트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로알킬 알콜과 메틸 스테아레이트 간의 에스테르 교환 반응 또는 퍼플루오로알킬 알콜과 스테아르산의 직접 조합에 의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는 퍼플루오로알킬 알콜과 스테아르산의 직접 조합에 의해 제조된다. 적합한 퍼플루오로알킬 스테아레이트는 미국 데라웨아주 윌밍톤 소재의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Wilmington, DE)로부터 조닐(ZONYL) FTS 또는 TLF-9483으로 입수 가능하다.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제조에서 유용한 R1-OH에 상응하는 장쇄 알콜은 미국 74112 오클라호마주 툴사 포틴쓰 스트리트 6910 이. 소재의 페트로라이트 코포레이션 폴리머 부문 본부(Petrolite Corporation, Polymer Division Headquarters, 6910 E. 14th Street, Tulsa, Oklahoma, USA 74112)로부터 상표명 "유니린(UNILIN)"으로 입수 가능하다. "유니린" 알콜은 완전 포화된 장쇄 선형 알콜이다. "유니린" 350, 425, 550 및 700의 대략적인 R1 범위는 각각 12 내지 50, 14 내지 58, 16 내지 56 및 14 내지 66이다. "유니린" 350, 425, 550 및 700의 평균 쇄 길이는 각각 약 24, 32, 40 및 48이다.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제조에서 유용한 R1-COOH에 상응하는 산은 미국 74112 오클라호마주 툴사 포틴쓰 스트리트 6910 이. 소재의 페트로라이트 코포레이션 폴리머 부문 본부로부터 상표명 "유니시드(UNICID)"로 입수 가능하다. "유니시드" 350, 425, 550 및 700의 평균 쇄 길이의 범위는 각각 24-29, 29-37, 37-45 및 40-48이다.
압출 또는 성형 온도에서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는 최소 휘발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종 제품에서 양의 조절을 더욱 양호하게 하고, 임의의 오염 문제를 최소화하며, 성분 비용의 감소를 위해 바람직하다. 최소 휘발성은 상기-인용된 TLF9483에서 행한 바와 같이, 임의의 휘발성 퍼플루오로알킬 구성성분 또는 불순물을 최소화하고(하거나) 업계에 공지된 안정화제를 첨가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는 폴리올레핀의 중량에 대해 약 0.3 중량% 내지 약 2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0.3% 미만의 양은 처리후 목적하는 반발성을 제공하기에 효과적이지 않다. 2% 초과의 양은 불필요하고 후속 도포를 위한 반발성의 적절한 억제를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에스테르는 폴리올레핀 용융물에 첨가되어 이후 압출, 성형 또는 형상화되는 혼합물을 형성한다. 별법으로, 에스테르를 중합체의 펠렛, 과립, 분말, 또는 다른 적절한 형태에 첨가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과 에스테르가 혼합되고, 이 혼합물을 압연, 교반, 또는 컴파운딩하여 이후 용융 압출, 성형 또는 그렇지 않으면 형상화되는 균일한 혼합물이 달성된다.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는 폴리올레핀과의 마스터배치(masterbatch)로서 폴리올레핀과, 또는 자체로, 또는 다른 물질과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는 휘발성을 감소시키는 물질, 착색제, 취기제, 반사제(reflectant), 질감제(texturant), 연화제, 난연제, 또는 폴리올레핀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임의의 다른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 물품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압출 또는 성형된다. 압출 또는 성형 후에, 안전성 또는 제품 왜곡 문제 없이 쉽게 취급가능한 온도에 이를 때까지 폴리올레핀 물품은 냉각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품은 대략 주변 온도로 냉각된다. 상기 물품이 주변 온도에서 유지되면, 본 발명의 처리를 적용하기 이전에, 이들 물품을 무한정 유지하거나, 저장하거나, 또는 수송할 수 있다. 대략 주변 온도는 거주하는 방 또는 빌딩에서 전형적인 임의의 온도를 의미한다.
표면 개질제를 첨가하는 시점에서, 물품을 40℃ 초과의 온도로 10초 이상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대략 주변 온도로 재냉각시킨다. 이는 하루 또는 이틀 이하의 기간 동안에 반발성을 억제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예기치 못한 것이다. 선행기술은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 용융물 첨가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을 가열하거나 어닐링(annealing)하는 것은 이들의 반발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US 특허 5,898,046의 컬럼 6, 51-57행을 참조하라.
40℃ 이하의 가열 온도 및 10초 미만의 유지 시간은 일반적으로 표면 개질제의 첨가를 위해 필요한 반발성 억제를 제공하기에 부적합하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온도는 약 60℃ 초과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가열 온도는 약 70℃ 초과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열 온도는 약 150℃ 미만이다. 제품이 너무 연화되어 쉽게 왜곡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기능이 저하되거나, 또는 더 높은 온도가 안전성 문제를 초래하는 온도 이하까지는 150℃ 초과의 온도도 또한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시간은 약 1분 초과이다. 더 긴 시간 예를 들어, 약 5분 초과도 적합하다. 최대 시간은 오직 편리성 또는 고온에서 연장된 시간 후에 가능한 제품 기능 저하에 의해 제한된다. 약 1분 내지 약 15분의 유지 시간이 본원, 특히 얇은 필름 및 직물의 경우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더 두꺼운 캐스트 또는 압출 물품의 경우에 다소 더 긴 시간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정 용도에 대한 최적 시간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결정된다.
폴리올레핀은 이후 대략 주변 온도로 재냉각된다. 억제된 반발성은 수 시간 내지 약 48시간 동안 유효할 것이고, 이후 통상의 목적하는 반발성으로 복귀할 것이다. 상기 억제 기간은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양, 폴리올레핀 물품의 특성, 예컨대 이들의 중합체 구성성분, 물품의 형태 또는 두께, 실질적인 실온, 및(또는) 다른 조건에 따라 다소 다양할 수 있다. 반발성의 최대 억제를 위해, 제품 개질 단계는 최소의 억제 기간, 바람직하게는 약 24시간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어야 한다.
폴리올레핀 물품은 이후에 표면 개질제, 예컨대 잉크, 염료, 페인트, 접착제, 또는 열결합 또는 적층 물질을 첨가하거나 도포함으로써 개질된다. 임의의 원인으로 인해 표면 개질제의 첨가가 지연되어, 폴리올레핀 물품의 반발성이 복귀되는 경우에, 상기 가열 처리를 반복하여 다시 특정 기간 동안에 반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반발성의 방해 없이 인쇄, 염색, 페인트칠, 접착제 도포, 열결합 및 적층과 같은 작업이 물품의 표면 상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은 40℃ 초과의 온도로 10초 이상 동안 가열하고, 대략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고, 냉각후 48시간 이내에 표면 개질제를 도포하는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개질된 표면을 갖는 압출물 또는 성형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더 포함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과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이러한 가열/냉각 처리 후에, 반발성은 약 24 내지 약 48시간 이내의 가열에 의해 복귀된다. 따라서,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에 의해 제공된 반발성 특성은 최종 표면-개질된 물품에서 유지된다. 이 조성물은 중합체와 에스테르 혼합물을 압출, 성형, 또는 형상화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물리적 형상 또는 형태일 수 있다. 이 조성물은 임의로 다른 성분, 예컨대 휘발성을 감소시키기 위한 첨가제, 착색제, 취기제, 반사제, 질감제, 연화제, 난연제, 또는 목적하는 표면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물질을 함유한다.
본 발명은 제조업자가 특별한 마감처리 설비 없이 반발성 폴리올레핀 상품을 제조하도록 하는데 유용하다. 하류(downstream) 전환기는 짧은 열 처리에 의해 반발성을 실-활성화시켜, 전환 처리 (즉, 염색, 인쇄, 페인트칠, 접착제 도포, 열결합, 적층)는 폴리올레핀에서 잠재적인 반발성을 극복하기 위한 특별한 취급 또는 첨가제 없이 수행될 수 있다. 반발성은 이후 24 내지 48시간 이내의 열 처리에 의해 복귀된다.
본 발명은 압출 또는 성형 이전에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를 폴리올레핀에 첨가하며, 물품의 표면 개질 이전에 가열 및 냉각 단계를 도입하는 것을 개선점으로 하는 개질된 표면을 갖는 압출물 또는 성형물의 개선된 제조 방법을 더 포함한다. 가열 및 냉각 단계 및 표면 개질은 이미 본원에 상세하게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압출물 또는 성형물의 개선된 제조 방법은 장식 또는 개질된 표면을 갖는 반발성 폴리올레핀 물품의 제조업자가 가열/냉각 단계의 단순한 부가에 의해 제조 공정 중에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반발성 실활화를 도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가열/냉각 단계는 표면 개질 단계 이전에 도입된다. 물품의 반발성의 억제는 더욱 용이하고 효과적인 표면 개질을 허용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이들 실시예에서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를 함유하는 멜트 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이용한다. 이들은 앞서 인용된 US 특허 5,898,046의 실시예 16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하기 실시예에서 멜트 블로운 웹의 반발성 특성은 이소프로필 알콜/물 시험을 사용하여 측정되었고 % 이소프로필 알콜의 등급으로서 나타내었다. 5분 후에 100% 이소프로필 알콜/0% 물 용액 (최저 표면 장력 유체)에 대한 내침투성을 갖는 웹을 최고 등급 100으로 하였다. 5분 후에 오직 100% 물/0% 이소프로필 알콜 용액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 웹을 최저 등급 0으로 하였다. 표 1은 이 시험에 사용한 다른 이소프로필 알콜/물 혼합물에 상응하는 등급을 나타내었다. 주어진 직물의 등급은 5분 후에 직물이 습윤되지 않는 최저 표면 장력 유체 (최대 % 이소프로필 알콜 함량)에 상응하였다.
Figure 112006016952520-PCT00002
실시예 1
상기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미국 데라웨아주 윌밍톤 소재의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로부터 입수 가능한 1.0% TLF-9483을 함유하는 멜트 블로운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반발성을 측정하였다. 90의 반발성 (90% 이소프로필 알콜에 저항할 수 있음)을 갖는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부직포를 100℃에서 5분 동안 가열하고 주변 온도로 냉각시킨 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반발성을 다시 측정하여 반발성이 30 (오직 30% 이소프로필 알콜에 저항할 수 있음)이라는 것을 밝혀내었다. 가열 10분 후에, 반발성은 60으로 복귀되었다. 72시간 후에, 반발성은 70+이었다.
염료를 모의 실험하기 위해서 적색 잉크를 사용하였다. 반발성이 90인 초기 부직포를 한 방울의 잉크로 처리하였다. 유의하지 않은 위킹(wicking) 또는 퍼짐(spreading out)에 의해 입증되는 것과 같이 부직포를 습윤하는 경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30의 반발성을 얻기 위해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부직포를 가열 및 냉각시킨 후에, 적색 잉크는 적용 지점으로부터 퍼지거나 위킹되었다. 72시간 후에, 잉크를 적용하였는데 반발성이 복귀되었음을 나타내는, 위킹 또는 퍼짐이 또한 거의 없었다. 또한, 가열후 즉시 적용된 잉크는 계속해서 부직포의 표면에 대한 양호한 접착력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미국 데라웨아주 윌밍톤 소재의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로부터 입수 가능한 0.75% 조닐 FTS를 함유하는 스펀본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에 대한 반발성을 측정하였다. 초기 반발성 등급이 70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이어서 부직포를 100℃로 3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가열 기간 후에 다양한 시간에 걸쳐 반발성을 측정하였다. 다음 표 2의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06016952520-PCT00003
상기 데이타는 반발성을 억제시키는 가열 효과 및 반발성 복귀가 폴리프로필렌에 존재하는 상이한 불소계 화합물에 의해 달성됨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같이 TLF-9483의 상이한 농도를 갖는 두 멜트 블로운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 부직포를 66℃로 5분 동안 가열하고 이어서 가열 기간 후에 다양한 시간에 걸쳐 반발성을 측정하였다. 다음 표 3의 결과를 얻었다.
Figure 112006016952520-PCT00004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와 같이 0.8% TLF-9483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기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샘플을 다양한 온도에서 다양한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가열후 5분 내지 24시간의 범위에 걸쳐 알콜 반발성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아래 표 4A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16952520-PCT00005
주목: 가열전 초기 반발성 등급 = 80
상기 결과는 40℃ 초과의 가열 온도에서 관찰가능한 효과를 나타내며, 최적의 결과는 100℃라는 것을 나타내었다. 1분 대 5분의 반발성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 반발성은 24 시간 후에 단지 부분적으로 복귀되었다.
가열 시간 하한을 결정하기 위해, 더 짧은 가열 시간 및 5분의 복귀 시간으로 상기 시험을 반복하였다. 결과를 표 4B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16952520-PCT00006
상기 시험은 100℃에서 단지 10초의 가열 시간이 반발성을 억제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핫 플레이트 상의 접시에서 중합체 혼합물을 용융시킴으로써 유리 증발 접시에서 미국 데라웨아주 윌밍톤 소재의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로부터 입수 가능한 1% TLF-9483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의 3.8 인치 (8.8 cm) 직경 및 0.25 인치 (0.6 cm) 두께의 디스크를 캐스팅하였다. 175℃에서 캐스팅을 행하고 이어서 디스크를 냉각시켰다. 다음 168시간에 걸쳐 반발성 등급을 측정하였다. 결과 데이타를 아래 표 5의 처음 두 개의 칼럼에 열거하였다. 이어서 디스크를 110℃에서 오븐에 1시간 동안 두었다. 오븐으로부터 디스크를 제거하고 이를 냉각시켰다. 30분 후에 반발성을 측정하여 등급이 80이라는 것이 밝혀졌고, 이는 110℃에서 1시간 동안의 가열은 너무 두꺼운 샘플의 경우 반발성을 억제하기에 부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이어서 디스크를 110℃에서 오븐에 추가 1시간 동안 두어 총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다음 216시간에 걸쳐 반발성 등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다음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16952520-PCT00007
실시예 6
0.8% TLF-9483을 함유하는 폴리프로필렌-기재 멜트 블로운 부직포의 한 샘플을 100℃에서 오븐에 20초 동안 가열하였다. 동일한 부직포의 다른 샘플은 가열하지 않았다 (대조군). 초기 알콜 반발성은 80이었다. 가열한 샘플의 알콜 반발성은 20으로 감소하였다. 오븐으로부터 제거한 직후의 가열한 샘플 및 가열하지 않은 샘플에 접착제를 도포하였다. 가열한 샘플의 반발성은 시간이 지나면서 60으로 증가하였다. 이어서 각 샘플로부터 건조된 접착제를 제거하였다. 건조된 접착제는 가열하지 않은 샘플에 비해서 가열 및 노화된 샘플로부터 제거하기가 더욱 곤란하였다. 대조군에 비해서 접착제의 도포후 시간에 따라 증가된 반발성이 접착성을 손상시키지 않는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15)

  1. 물품을 40℃ 초과의 온도로 가열하고, 10초 이상 동안 유지하고, 대략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중합체와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압출물 또는 성형물의 반발성(repellency)을 일시적으로 억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가열 온도가 약 60℃ 초과이며, 유지 시간이 약 1분 초과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가열 온도가 약 70℃ 초과이며, 유지 시간이 약 5분 초과인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가열 온도가 약 70℃ 내지 약 150℃이며, 유지 시간이 약 1 내지 약 15분인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물품이 섬유, 필라멘트, 직물, 필름, 시트, 부직물, 성형 품, 형상품, 및 고형 물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물품이 부직포인 것인 방법.
  7. 물품을 40℃ 초과의 온도로 10초 이상 동안 가열하고, 물품을 대략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고, 냉각후 약 48시간 이내에 표면 개질제를 물품에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중합체와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압출물 또는 성형물의 표면을 개질시키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표면 개질제의 도포 방법은 인쇄, 염색, 페인트칠, 접착제 도포, 열결합, 및 적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가열 온도가 약 70℃ 내지 약 150℃이며, 유지 시간이 약 1 내지 약 15분인 방법.
  10. 40℃ 초과의 온도로 10초 이상 동안 가열하고; 대략 주변 온도로 냉각시키고; 냉각후 약 48시간 이내에 표면 개질제를 도포함으로써 개질된 표면을 갖는, 폴리올레핀 중합체와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의 압출 또는 성형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표면이 인쇄, 염색, 페인트칠, 접착제 도포, 열결합 또는 적층 중 하나 이상에 의해 개질된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가열 온도가 약 70℃ 내지 약 150℃이며, 유지 시간이 약 1 내지 약 15분인 것인 조성물.
  13. 압출 또는 성형 이전에 플루오로카본/탄화수소 에스테르를 폴리올레핀에 첨가하고, 물품의 표면 개질 이전에 가열 및 냉각 단계를 도입하는 것을 개선점으로 하는, 개질된 표면을 갖는 압출물 또는 성형물의 개선된 제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40℃ 초과의 온도에서 10초 동안 가열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약 70℃ 내지 약 150℃의 온도에서 약 1분 내지 약 15분 동안 가열하는 방법.
KR1020067004920A 2003-09-12 2004-08-27 폴리올레핀에서 반발성의 억제 KR200601317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61,923 2003-09-12
US10/661,923 US20050058779A1 (en) 2003-09-12 2003-09-12 Suppression of repellency in polyolefi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1731A true KR20060131731A (ko) 2006-12-20

Family

ID=3427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920A KR20060131731A (ko) 2003-09-12 2004-08-27 폴리올레핀에서 반발성의 억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50058779A1 (ko)
EP (1) EP1670853A1 (ko)
JP (1) JP2007505188A (ko)
KR (1) KR20060131731A (ko)
CN (1) CN1849370A (ko)
AU (1) AU2004278287A1 (ko)
BR (1) BRPI0413955A (ko)
CA (1) CA2538573A1 (ko)
IL (1) IL173390A0 (ko)
TW (1) TW200523304A (ko)
WO (1) WO2005033191A1 (ko)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8143A (en) * 1951-10-01 1956-08-07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Olefin polymerization process
US2841573A (en) * 1955-12-29 1958-07-01 Minnesota Mining & Mfg Fluorocarbon vinyl-type esters and polymers
US2803615A (en) * 1956-01-23 1957-08-20 Minnesota Mining & Mfg Fluorocarbon acrylate and methacrylate esters and polymers
US3037871A (en) * 1959-01-13 1962-06-05 Gen Mills Inc Polyamide resin binder for printing inks
US3505429A (en) * 1961-04-04 1970-04-07 Jack J Press Preferentially modified stereoregular polyhydrocarbons
US3459722A (en) * 1965-10-26 1969-08-05 Murray Zanger Fluorine-containing polymer
US3697562A (en) * 1969-10-17 1972-10-10 Allied Chem Novel fluorocarbon diamides
US3955027A (en) * 1972-04-10 1976-05-04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and composition for water- and oil-proofing textiles
US5145727A (en) * 1990-11-26 1992-09-08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composite structure
US5149576A (en) * 1990-11-26 1992-09-22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laminiferous structure
US5459188A (en) * 1991-04-11 1995-10-17 Peach State Labs, Inc. Soil resistant fibers
US5681963A (en) * 1995-12-21 1997-10-2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inated melt additives for thermoplastic polymers
TW376397B (en) * 1995-12-21 1999-12-11 Du Pont Fluorinated ester melt additives for thermoplastic fibers
US5798402A (en) * 1995-12-21 1998-08-2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inated sulfone melt additives for thermoplastic polymers
US6127485A (en) * 1997-07-28 2000-10-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igh temperature-stable fluorochemicals as hydrophobic and oleophobic additives to synthetic organic polymers
AU3362599A (en) * 1998-03-24 1999-10-18 Avantgarb, Llc Modified textile and other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6207088B1 (en) * 1999-01-11 2001-03-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cess of drawing fibers through the use of a spin finish composition having a hydrocarbon sufactant, a repellent fluorochemical, and a fluorochemical compatibilizer
US6288157B1 (en) * 1999-05-11 2001-09-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lkylated fluorochemical oligomers and use thereof
CA2415762A1 (en) * 2000-07-07 2002-01-17 Milliken & Company Textile substrates having durable water repellency and soil relea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6753380B2 (en) * 2001-03-09 2004-06-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and oil-repellency imparting ester oligomers comprising perfluoroalkyl moieties
US6803109B2 (en) * 2001-03-09 2004-10-1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and oil-repellency imparting urethane oligomers comprising perfluoroalkyl moieties
US6479605B1 (en) * 2001-05-15 2002-11-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durability, low-yellowing repellent for textiles
US6969166B2 (en) * 2003-05-29 2005-11-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for modifying the surface of a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505188A (ja) 2007-03-08
TW200523304A (en) 2005-07-16
US20050058779A1 (en) 2005-03-17
WO2005033191A1 (en) 2005-04-14
AU2004278287A1 (en) 2005-04-14
BRPI0413955A (pt) 2006-10-31
IL173390A0 (en) 2006-06-11
CN1849370A (zh) 2006-10-18
CA2538573A1 (en) 2005-04-14
EP1670853A1 (en)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60297B (zh) 安定劑組合物及使用該組合物以保護有機材料抵抗uv光及熱降解之方法
KR20180054720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CA2240545A1 (en) Fluorinated diester
KR20180054723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JPS60199035A (ja) 紫外線安定化重合体組成物
DE60105484T2 (de) Polyolefinfilmzusammensetzungen mit Antibeschlageigenschaften
JP3646190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中でのジアセタールの再結晶化方法
US5596033A (en) Gas fade resistant stabilizer system for polypropylene fiber
JP2830358B2 (ja) 高酸化防止性樹脂組成物
KR20060131731A (ko) 폴리올레핀에서 반발성의 억제
JP3439621B2 (ja) 脂肪族ポリエステル塗工フィルム
CN111471235A (zh) 一种高性能发泡聚丙烯材料及其制备方法
TWI410459B (zh) Heat - resistant lightweight environmental protection package and its composition
JPH0797487A (ja) 樹脂組成物
JPH05507510A (ja) 静電防止ポリオレフィン発泡体およびフィルムならびに発泡体および静電防止組成物の製造法
JP4171676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組成物
KR101499358B1 (ko) 물딸림 현상이 저감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물
JPH02263854A (ja) 農業用塩化ビニル系樹脂被覆材
JPS62169641A (ja) 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品
PL173867B1 (pl) Kompozycja kopolimerowa
JP4926839B2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US5981805A (en) Peroxides
JPS63130648A (ja) 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JPS59210962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JPH02135238A (ja) 変色性の改良された界面活性剤含有耐候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