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4720A -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4720A
KR20180054720A KR1020187010585A KR20187010585A KR20180054720A KR 20180054720 A KR20180054720 A KR 20180054720A KR 1020187010585 A KR1020187010585 A KR 1020187010585A KR 20187010585 A KR20187010585 A KR 20187010585A KR 20180054720 A KR20180054720 A KR 20180054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degradable polyester
polyester composition
ppm
cyclopentanone
biodegra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0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492B1 (ko
Inventor
창리 루
지민 위안
통민 카이
시안보 황
시앙빈 젱
지안 지아오
렌슈 위안
위커 종
카이 시옹
후이 양
카이진 마이
수에텅 동
Original Assignee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592575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5472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킹파 사이언스 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54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4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4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33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59/1438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59/1455Mono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molecular-weight esters thereof
    • C08G59/1461Unsaturated monoacids
    • C08G59/1466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3/00Use of mixtures of ingredients not covered by one singl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08K13/02Organic and inorganic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2Esters; Ether-esters of 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 C08K5/15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in the ring having two oxy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4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00Compositions of starch, amylose or amylopectin or of their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 C08L3/02Starch;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e.g. 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75Antista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6Biodegrad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를 개시하고, 그중,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화학식(I)의 구조를 가지는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중량함유량은 100ppm-950ppm이고,
Figure pct00005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시클로펜탄온의 중량함유량은 0.5ppm-85ppm이다.
본 발명은 조성물 중에 환상 에스테르화물과 시클로 펜탄온을 첨가하고, 조성물 중의 환상 에스테르화물과 시클로펜탄온의 함유량을 일정한 범위내에 컨트롤함으로 인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항열가속산소노화 성능을 대폭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취입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제품을 95%알코올 중 40℃하에서 240h끓인 후, 표면에 석출물이 적고, 뛰어난 표면 외관 성능을 가지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취입성형 중 박막의 윤활성을 개선시키고, 취입성형 속도가 176 Kg/h일 경우, 막의 두께극차 <0.2μm, 막 두께의 상대편차 <1%로서, 뛰어난 취입막의 안정성과 취입성형의 연속성을 보증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본 발명은 고분자재료 변성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뛰어난 항열가속산소노화 성능과 표면 외관 성능 및 취입막 안정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는 생물자원을 원료로 하는 고분자재료로서, 석유화공 자원을 원료로 하는 석유기 고분자에 비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는 생물 또는 생화학 작용 중 또는 생물 환경 중에서 분해되기에, 현재 생분해성 플라스틱 연구 중 매우 활약적이고, 시장 중 활용가치가 가장 높은 생분해재료의 일종으로 인정받고 있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박막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중요한 응용분야에 속하며, 주로 식품주머니, 쓰레기 주머니, 쑈핑주머니 및 제초비닐막 등이 포함된다.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는 플라스틱 취입성형에 의한 박막제작 중, 박막의 윤활성이 안좋아 롤러에 달라 붙고 또는 윤활성이 너무 좋아 감기지 않는 현상이 흔히 발생하여, 취입성형 중 취입막 안정성이 안좋아 막자재 두께의 극차가 큰 현상이 발생하여, 박막 취입성형의 연속성에 아주 영향을 준다. 특허 CN 101622311A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혼합물 중에 0.05-5중량%의 바이오디젤을 넣어,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의 점성을 낮춤으로써, 일정한 정도로 박막이 롤러에 달라붙는 현상을 경감시켜, 취입성형의 연속성을 보증한다. 그러나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의 점성이 낮아짐은 바이오디젤의 첨가가 일정한 정도로 폴리에스테르의 성능에 손해를 끼쳐 폴리에스테르 혼합물의 용융지수가 높아지고 점성이 낮아짐을 설명한다.
그리고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로 제작된 몰드제품은 저장 및 사용과정 중, 미생물, 광선, 방사, 공기 및 접촉되는 물질환경의 작용에 의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로 제작된 몰드제품은 저장과 사용과정 중, 노화 및 분해되기 쉬워 제품의 사용성능에 아주 큰 영향을 준다. 전통적인 고분자재료 노화 분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재료 중에 항산화제, UV흡수제 및 HALS안정제 등을 첨가하는 것이다. 예를들면 특허 WO 2009/071475에는 폴리에틸렌과 히드록시 페닐 트리아진을 안정제로 하는 제초박막이 개시되어 있다. CN 103687902중에는 UV흡수제 및 HALS안정제, 또는 양자를 결합시키는 광안정제, 그리고 이들은 제초박막에 UV안정성을 제공한다고 소개되어 있다. 상기 안정제는 일정한 안정작용을 제공할 수 있지만, 투명한 제초박막, 특히는 비교적 엷고 투명한 제초박막의 경우에는 절대로 완벽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그리고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제작된 몰드제품을 95% 알코올 중에서 끓일 때, 박막 또는 제품 표면에 석출물이 석출되어, 박막 또는 제품의 표면 외관 성능에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연구를 통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중에 미량의 환상에스테르화물과 시클로펜탄온을 첨가함으로 인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항산화 성능을 대폭 증가시킴과 동시에,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취입성형 특성을 현저히 개선시켜, 고속 취입성형 중 취입막의 안정성이 좋고, 박막두께 극차가 작아, 취입성형 생산의 연속성을 보증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 조성물 중에 미량의 환상 에스테르화물과 시클로펜탄온을 첨가하여, 제작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뛰어난 항열가속산소노화 성능과 표면 외관 성능을 가지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중량부로 계산하여, 아래 성분:
i)60~100부의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ii)0~40부의 폴리락트산,
iii)0~35부의 유기 충전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
iv)0~1부의 에폭시기를 함유하고,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및/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그중,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학식(I)의 구조를 가지는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중량함유량을 100ppm-950ppm로 한다.
Figure pct00001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시클로펜탄온의 중량함유량을 0.5ppm-85ppm로 한다.
선호적으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중량함유량을 160ppm-750ppm, 선호적으로 210ppm-540ppm로 하고, 시클로펜탄온의 중량함유량을 5ppm-50ppm, 선호적으로 10 ppm -35ppm로 한다.
선호적으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 있어서, 중량부로 계산하여, 아래 성분:
i)65~95부의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ii)5~35부의 폴리락트산,
iii)5~25부의 유기 충전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
iv)0.02~0.5부의 에폭시기를 함유하고,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및/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ST 또는 폴리부틸렌세바케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SeT중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로 구성된다.
환상 에스테르화물을 첨가함으로 인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사용수명을 연장시켜주고, 시클로펜탄온을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에 첨가함으로써, 윤활제와 같은 역할을 하며, 본 발명의 연구에 따르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중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함유량을 100 ppm -950ppm로 컨트롤하고, 시클로펜탄온을 0.5ppm-85ppm로 컨트롤함으로써, 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양호한 항열가속산소노화 성능을 보증할 뿐만 아니라, 제작된 박막 또는 제품이 뛰어난 표면 외관 성능을 가지게 함을 보증할 수 있고,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의 취입성형 중 윤활성을 개선 시킬 수 있으며, 취입성형속도가 176 Kg/h일 경우, 박막두께 극차가 <0.2μm, 막 두께의 상대편차가 <1%로서, 취입막의 안정성과 취입성형의 연속성을 보증할 수 있다.
그러나 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중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함유량이 너무 높으면, 95%알코올 중에서 끓일때, 박막 또는 제품으로부터 환상 에스테르화물이 석출되어, 박막 또는 제품의 표면 외관 성능에 영향을 끼치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중의 시클로펜탄온의 함유량이 너무 높으면, 고속 취입성형 중 박막의 윤활성이 너무 좋아, 롤러에 감기가 힘들어짐과 동시에 취입막이 불안정하게 되기에,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환상 테스테르화물의 중량함유량을 선호적으로 160ppm-750ppm, 더욱 선호적으로 210ppm-540ppm로 하고, 시클로펜탄온의 중량함유량을 선호적으로 5ppm-50ppm, 더욱 선호적으로 10ppm-35ppm로 한다.
상기 유기 충전재는 천연점분, 가소화 점분, 변성점분, 천연섬유 또는 나무가루 중의 하나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무기 충전재는 활석분, 벤토나이트, 고령토, 백악가루, 탄산칼슘, 흑연, 석고, 전기전도성 카본블랙, 염화칼슘, 산화철, 백운석, 이산화규소, 규회석, 이산화티탄, 규산염, 운모, 유리섬유 또는 광물성 섬유 중의 하나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환상 에스테르화물과 시클로펜탄온을 취득하는 경로로는 생분해폴리에스테르 조성물과 블렌딩압출가공 중 직접 환상 에스테르화물과 시클로펜탄온을 첨가할 수 있다.
상이한 용도의 수요에 따라, 본 발명의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는 추가로, 가소제, 탈형제, 표면활성제, 왁스, 항정전기제, 염료, UV흡수제, UV안정제 또는 기타 플라스틱 첨가제 중의 적어도 하나를 0~4부를 넣을 수도 있다.
상기 가소제는 구연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에폭시대두유 등 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탈형제는 실리콘오일, 파라핀, 백색 미네랄오일, 바셀린 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표면활성제는 폴리소르베이트, 팔미테이트 또는 라우레이트 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왁스는 에루카아미드, 스테아로아미드, 베헨산 아미드, 밀랍 또는 팔미트산 미리실에스터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항정전기제는 영구적인 항정전기제로서, 구체적으로는 PELESTAT-230, PELESTAT-6500, SUNNICO ASA-2500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염료는 카본블랙, 흑종, 이산화 티타늄, 황화아연, 프탈로시아닌 청, 형광오렌지 중의 하나 또는 두가지 및 그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상기 UV흡수제는 UV-944, UV-234, UV531, UV326중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UV안정제는 UV-123, UV-3896, UV-328중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로 구성된다.
상기 기타 플라틱 첨가제는 조핵제, 무적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은 쑈핑주머니, 퇴비주머니, 제초비닐막, 보호성커버막, 사이로막, 박막테이프, 직물, 비직물, 방직품, 고기그물, 하중주머니, 쓰레기주머니 등에 사용된다.
본 발명은 조합물 중에 환상 에스테르화물과 시클로펜탄온을 첨가하고, 조성물 중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함유량을 100ppm-950ppm범위내에 컨트롤하고, 시클로펜탄온을 0.5ppm-85ppm범위내에 컨트롤함으로 인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항열가속산소노화 성능을 대폭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취입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제품을 95%알코올 중 40℃하에서 240h끓인 후, 표면에 석출물이 적고, 뛰어난 표면 외관 성능을 가지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취입성형중 박막의 윤활성을 개선시키고, 취입성형 속도가 176 Kg/h일 경우, 막의 두께극차 <0.2μm, 막 두께의 상대편차 <1%로서, 뛰어난 취입막의 안정성과 취입성형의 연속성을 보증한다.
아래에는 최선의 방식을 통해 본 발명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방식일 뿐, 본 발명의 실시방식은 아래 실시예의 제한을 받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i)은 PBAT를 사용, 성분 iv)는 ADR4370을 사용하고, 유기 충전재는 활석분, 탄산칼슘을 사용하며, 가소재는 구연산에스테르를 사용하고, 표면활성제는 팔미테이트를 사용하며, 왁스는 에루카아미드를 사용하며, 상기 보조제, PBAT, ADR4370 및 PLA, 환상 에스테르화물 및 시클로펜탄온은 모두 시장으로부터 구입한다.
실시예1 -16 및 대조예1 -4:
표1에 제시된 레시피에 따라, PBAT, PLA, ADR4370, 유기충전재, 무기충전재, 가소제, 표면활성제, 왁스 등 보조제 및 환상 에스테르화물과 시클로펜탄온을 균일하게 혼합시켜, 싱글 스크루 압출기안에 넣어, 140℃-240℃에서 압출, 조립함으로써, 조성물이 얻어진다. 성능실험성적은 표1을 참조.
성능 평가 방법:
(1)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항열가속산소노화 성능의 평가방법: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진공을 뽑지 아니한 알루미늄호일 봉지안에 넣어 밀봉하고, 알루미늄호일 봉지를 70℃의 송풍기가 달린 건조상자에 넣어, 열가속산소노화 실험을 진행하고, 3일에 한번씩 샘플링 하여, 샘플의 용융지수(190℃/2.16kg,ISO 1133에 근거)를 측정한다. 샘플의 용융지수가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정상 용융지수범위를 초과할 경우에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이미 현저하게 열가속산소노화가 발생했음을 설명하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현저한 열가속산소노화가 발생하는 실험시간을 기록하여, 실험시간이 짧으면 짧을수록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항열가속산소노화 성능이 떨어짐을 설명한다.
(2) 몰드제품 표면외관 성능의 평가방법:
2mm색판을 사출 성형하여, 40℃의 95%알코올중에 넣어, 240h끓인 후, 환경온도(23±2)℃, 상대습도45%-55%인 표준실험실에 놓아 두어, 48h후 색도계로 색판의 처리후와 처리전의 L값 변화 ΔL를 측정한다. ΔL가 크면 클수록 표면외관 성능이 떨어짐을 설명한다.
(3)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취입막 안정성 평가방법: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취입형성중 취입막의 안정성은 박막재료의 두께극차와 박막재료의 상대편차를 통해 평가한다.
박막두께는 마이크로미터로 측정한다. 1m*1m의 박막 위에서 균일하게 10개의 포인트를 선택하여 측정한다.
박막두께극차는 10개 측정 포인트 중의 최대두께와 최소두께의 채액으로 한다.
박막상대편차는 아래 계산식에 의해 산출된다.
박막상대편차%=박막두께극차/평균박막두께*100%
그중 평균박막두께가 1m*1m인 박막위에서 균일하게 10개의 측정포인트를 취하여, 각기 두께를 측정하여 평균치를 취한다.
(4)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측정방법: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2000g을 정확하게 무게를 달아 25ml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을 넣어 용해시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완전히 용해된 후 정용시키고, GC-MS로 제작된 용액중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피이크 면적 측정을 통해, 제작된 용액중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피이크 면적과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표준그래프에 근거하여, 생분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함유량을 산출하며, 표준 그래프는 환상 에스테르화물/클로로포름 용액으로 규정한다.
GC-MS타입 및 파라미터:
Agilent Technologies 7693 AutoSampler;
Agilent Technologies 5975C inert MSD with Triple-Axis Detector;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J&W 122-5532 UI:350℃:30m x 250μm x 0.25μm
샘플진입: 프론트 SS 샘플입구He
샘플배출: 진공.
(5) 시클로펜탄온의 측정 방법:
1) 시클로펜탄온의 표준그래프 작성:
농도가 각기 0.0001g/L、0.001g/L、0.01 g/L、0.1g/L、5.0g/L、10.0g/L、20.0g/L인 시클로펜탄온 메탄올용액을 제작하여, 정지상 헤드스페이스법으로 상기 부동한 농도 시클로펜탄온 메탄올용액 중의 시클로펜탄온의 피이크 면적을 각기 측정하여, 시클로펜탄온의 피이크 면적을 세로좌표로, 시클로펜탄온의 농도를 가로좌표로 시클로펜탄온의 표준그래프를 작성한다.
2)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중 시클로펜탄온 함유량의 측정: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2000g을 정확하게 무게를 달아 정지상 헤드스페이스 실험용 플라스크에 넣고, 정지상 헤드스페이스법으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의 시클로펜탄온의 피이크 면적 측정을 통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시클로펜탄온의 피이크 면적과 시클로펜탄온의 표준그래프에 근거하여, 생분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중의 시클로펜탄온의 함유량을 산출한다.
정지상 헤드스페이스법에 사용되는 계측기 타입 및 파라미터:
Agilent Technologies 7697 Headspace Sampler;
Agilent Technologies 7890A GC System;
크로마토그래피 컬럼: J&W 122-7032:250℃:30m x 250μm x 0.25μm
샘플진입: 프론트 SS 샘플입구N2
샘플배출: 프론트 분석기FID.
정지상 헤드스페이스 측정 조건:
온도:
가열체임버: 105℃
샘플루프: 135℃
전송선: 165℃
시간:
샘플병평형: 120분
샘플진입지속시간: 0.09분
GC순환: 30분.
표1 대조예1~4 및 실시예1-16의 측정결과 (중량부)
Figure pct00002
표1 계속
Figure pct00003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중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함유량이 100-950ppm, 시클로펜탄온의 함유량이 0.5-85ppm일 경우, 보다 뛰어난 항열가속화산소노화 성능을 가짐과 동시에, 95%알코올, 40℃하에서, 240h끓인 후, ΔL는 0.80미만으로서, 이는 조성물이 뛰어난 표면외관성능을 가짐을 설명하며, 박막취입속도가 176 Kg/h일 경우, 박막두께극차 <0.2μm, 박막두께 상대편차 <1%로서, 이는 조성물이 보다 뛰어난 취입막 안정성을 가짐을 설명한다. 이에 비해, 대조예1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함유량이 100ppm 미만, 시클로펜탄온의 함유량이 0일 경우에는 조성물의 ΔL값이 비교적 작았지만 조성물의 열가속화산소노화 시간이 비교적 짧고, 박막두께 극차 >0.2μm, 박막두께 상대편차 >1%였다. 대조예2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함유량이 950ppm, 시클로펜탄온의 함유량이 85ppm를 초과할 경우, ΔL값은 1.0이상, 박막두께극차 >0.2μm, 박막두께 상대편차 >1%로서에 달하므로, 표면에 석출물이 많이 생기고, 조성물의 표면외관 성능과 취입막의 안정성이 떨어짐을 설명한다. 대조예3의 박막취입속도는 176Kg/h미만, 대조예4의 박막취입속도는 176Kg/h이상일 경우, 박막두께극차 >0.2μm, 박막두께 상대편차 >1%로서, 역시 조성물의 취입막이 불안정함을 설명한다.

Claims (10)

  1. 중량부로 계산하여, 아래 성분:
    i)60~100부의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ii)0~40부의 폴리락트산,
    iii)0~35부의 유기 충전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
    iv)0~1부의 에폭시기를 함유하고,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및/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그중,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화학식(I)의 구조를 가지는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중량함유량을 100ppm-950ppm로 하며,
    Figure pct00004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시클로펜탄온의 중량함유량을 0.5ppm-85ppm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2. 청구항1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중량함유량을 160ppm-750ppm, 선호적으로 210ppm-540ppm로 하고, 시클로펜탄온의 중량함유량을 5ppm-50ppm, 선호적으로 10 ppm -35ppm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중량부로 계산하여, 아래 성분:
    i)65~95부의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
    ii)5~35부의 폴리락트산,
    iii)5~25부의 유기 충전재 및/또는 무기 충전재,
    iv)0.02~0.5부의 에폭시기를 함유하고, 스티렌, 아크릴레이트 및/메타크릴산 에스테르로 구성되는 공중합체,
    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중량함유량은 아래 방법으로 측정: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2000g을 정확하게 무게를 달아 25ml 메스플라스크에 넣고, 클로로포름을 넣어 용해시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이 완전히 용해된 후 정용시키고, GC-MS로 제작된 용액 중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피이크 면적을 측정하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피이크 면적과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표준그래프에 근거하여, 생분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환상 에스테르화물의 함유량을 산출하며, 표준 그래프는 환상 에스테르화물/클로로포름 용액으로 규정하고,
    상기 시클로펜탄온의 중량함유량은 아래 방법으로 측정: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2000g을 정확하게 무게를 달아 정지상 헤드스페이스 실험용 플라스크에 넣고, 정지상 헤드스페이스법으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중의 시클로펜탄온의 피이크 면적 측정을 통해,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시클로펜탄온의 피이크 면적과 시클로펜탄온의 표준그래프에 근거하여, 생분해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중의 시클로펜탄온의 함유량을 산출하며, 표준 그래프는 시클로펜탄온/메탄올 용액으로 규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지방족-방향족 폴리에스테르는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ST 또는 폴리부틸렌세바케이트-코-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SeT중의 하나 또는 여러가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충전재는 천연점분, 가소화 점분, 변성점분, 천연섬유 또는 나무가루 중의 하나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무기 충전재는 활석분, 벤토나이트, 고령토, 백악가루, 탄산칼슘, 흑연, 석고, 전기전도성 카본블랙, 염화칼슘, 산화철, 백운석, 이산화규소, 규회석, 이산화티탄, 규산염, 운모, 유리섬유 또는 광물성 섬유 중의 하나 또는 그 혼합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에는 추가로 , 가소제, 탈형제, 표면활성제, 왁스, 항정전기제, 염료, UV흡수제, UV안정제 또는 기타 플라스틱 첨가제중의 적어도 하나를 0~4부를 넣을 수도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진공을 뽑지 아니한 알루미늄호일 봉지안에 넣어 밀봉하고, 알루미늄호일 봉지를 70℃의 송풍기가 달린 건조상자에 넣어, 열가속산소노화 실험을 진행하고, 그 실험시간을 ≥ 10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을 95%알코올 중, 40℃하에서 240h끓인 후의 ΔL가 <0.80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취입성형 속도가 176 Kg/h일 경우, 막의 두께극차 <0.2μm, 막 두께의 상대편차 <1%임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20187010585A 2016-03-07 2017-02-24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2024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126866.6 2016-03-07
CN201610126866.6A CN105585827A (zh) 2016-03-07 2016-03-07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PCT/CN2017/074676 WO2017152774A1 (zh) 2016-03-07 2017-02-24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4720A true KR20180054720A (ko) 2018-05-24
KR102024492B1 KR102024492B1 (ko) 2019-09-23

Family

ID=55925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0585A KR102024492B1 (ko) 2016-03-07 2017-02-24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494521B2 (ko)
EP (1) EP3260498B1 (ko)
JP (1) JP6469931B2 (ko)
KR (1) KR102024492B1 (ko)
CN (1) CN105585827A (ko)
AU (1) AU2017230352B2 (ko)
DE (3) DE202017007332U1 (ko)
ES (1) ES2761049T3 (ko)
WO (1) WO20171527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4018B2 (en) 2015-06-30 2023-06-13 BiologiQ, Inc. Polymer and carbohydrate-based polymeric material blends with particular particle size characteristics
US11674014B2 (en) 2015-06-30 2023-06-13 BiologiQ, Inc. Blending of small particle starch powder with synthetic polymers for increased strength and other properties
US11926929B2 (en) 2015-06-30 2024-03-12 Biologiq, Inc Melt blown nonwoven materials and fibers including starch-based polymeric materials
US11926940B2 (en) 2015-06-30 2024-03-12 BiologiQ, Inc. Spunbond nonwoven materials and fibers including starch-based polymeric materials
US11879058B2 (en) 2015-06-30 2024-01-23 Biologiq, Inc Yarn materials and fibers including starch-based polymeric materials
US11111363B2 (en) 2015-06-30 2021-09-07 BiologiQ, Inc. Articles formed with renewable and/or sustainable green plastic material and carbohydrate-based polymeric materials lending increased strength and/or biodegradability
CN105713356B (zh) * 2016-03-07 2017-05-31 杨红梅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5602209B (zh) * 2016-03-07 2017-02-08 天津金发新材料有限公司 一种pbat树脂组合物
CN105585824A (zh) 2016-03-07 2016-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5585826A (zh) 2016-03-07 2016-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5585827A (zh) 2016-03-07 2016-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5585825A (zh) 2016-03-07 2016-05-18 杨红梅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6084681B (zh) * 2016-07-22 2018-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6084682B (zh) 2016-07-22 2018-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8003571A (zh) * 2017-11-28 2018-05-0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13308936B (zh) * 2021-05-26 2022-07-08 六盘水师范学院 一种天然矿物纤维/植物纤维可降解农用地膜的制备方法
WO2023102683A1 (zh) * 2021-12-06 2023-06-15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pbat树脂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572374A (zh) * 2022-09-30 2023-01-06 珠海金发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聚对苯二甲酸酯-共-癸二酸酯树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3850A (ja) * 1992-11-30 1996-04-30 バクセンデン ケミカルズ リミテッド 酵素的合成
KR20050075757A (ko) * 2002-10-22 2005-07-21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에스터 수지 수성 분산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3510211A (ja) * 2009-11-05 2013-03-21 ノバモント・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天然源のポリマー類及び脂肪族−芳香族コポリエステル類を含む生分解性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7550A (ja) * 1983-09-21 1985-04-17 Chisso Corp 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DE19528539A1 (de) 1995-08-03 1997-02-06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ung von Polyesterolen mit einem verminderten Gehalt an flüchtigen Verbindungen
DE19630232A1 (de) * 1996-07-26 1998-01-29 Wolff Walsrode Ag Monoaxial gereckte, biologisch abbbaubare und kompostierbare Folie mit verbesserten Eigenschaften
US6972315B2 (en) 2002-07-19 2005-12-06 Gross Richard A Enzyme-catalyzed polycondensations
US7368503B2 (en) * 2003-12-22 2008-05-06 Eastman Chemical Company Compatibilized blends of biodegradable polymers with improved rheology
CN1284761C (zh) 2004-06-21 2006-11-15 沈阳工业大学 一种环戊酮的生产方法
WO2006074815A1 (de) * 2005-01-12 2006-07-20 Basf Aktiengesellschaft Biologisch abbaubare polyestermischung
US7619025B2 (en) * 2005-08-12 2009-11-17 Board Of Trustee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 Biodegradable polymeric nanocomposite compositions particularly for packaging
JP2007204650A (ja) * 2006-02-03 2007-08-16 Mitsubishi Chemicals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品
US20100041835A1 (en) 2007-03-01 2010-02-18 BASF SE Patents, Trademarks and Lincense Polyester mixture comprising biodiesel
BRPI0819786A2 (pt) 2007-12-03 2015-05-05 Basf Se Forma crsitalina, processos para a preparação da forma cristalina e para estabilizar um material orgânico contra degradação induzida pela luz, mistura estabilizadora, composição, e, artigo feito de uma composição
CN101864068B (zh) 2009-04-15 2012-03-07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聚对苯二甲酸丁二醇/己二酸丁二醇共聚酯的制备方法
CN102485765A (zh) * 2010-12-02 2012-06-06 上海杰事杰新材料(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脂肪族/芳香族共聚酯及其制备方法
CN102731976A (zh) * 2011-04-12 2012-10-17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聚酯组合物及其制成的薄膜
US8686080B2 (en) * 2011-05-10 2014-04-01 Basf Se Biodegradable polyester film
EP2522695A1 (de) 2011-05-10 2012-11-14 Basf Se Biologisch abbaubare Polyesterfolie
EP2920245B1 (de) 2012-11-15 2017-01-11 Basf Se Biologisch abbaubare polyestermischung
CN103044226B (zh) 2012-12-26 2014-09-03 淮安万邦香料工业有限公司 用己二酸制备环戊酮的方法
JP2014156539A (ja) * 2013-02-15 2014-08-28 Mitsubishi Chemicals Corp 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該樹脂組成物を成形してなる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を成形してなる袋
CN104072952B (zh) * 2014-06-17 2016-08-24 杭州鑫富科技有限公司 一种横纵向撕裂性能优异的全生物降解地膜
CN104479304B (zh) * 2014-12-10 2017-01-04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生物降解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744898A (zh) * 2015-03-26 2015-07-01 南通龙达生物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全生物降解薄膜及其制备方法
CN105195063B (zh) 2015-09-29 2017-10-27 山东国润生物医药有限公司 一种用于己二酸制备环戊酮的脱羧装置
EP3214108A1 (en) 2016-03-01 2017-09-06 Novamont S.p.A. Process for removal of tetrahydrofuran
CN105585827A (zh) * 2016-03-07 2016-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5585824A (zh) 2016-03-07 2016-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CN105585826A (zh) 2016-03-07 2016-05-18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生物降解聚酯组合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3850A (ja) * 1992-11-30 1996-04-30 バクセンデン ケミカルズ リミテッド 酵素的合成
KR20050075757A (ko) * 2002-10-22 2005-07-21 유니티카 가부시끼가이샤 폴리에스터 수지 수성 분산체 및 그 제조방법
JP2013510211A (ja) * 2009-11-05 2013-03-21 ノバモント・ソシエタ・ペル・アチオニ 天然源のポリマー類及び脂肪族−芳香族コポリエステル類を含む生分解性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02017007335U1 (de) 2020-10-28
JP2018515684A (ja) 2018-06-14
EP3260498B1 (en) 2019-09-18
AU2017230352A1 (en) 2018-01-18
US10494521B2 (en) 2019-12-03
KR102024492B1 (ko) 2019-09-23
DE202017007336U1 (de) 2020-10-28
ES2761049T3 (es) 2020-05-18
AU2017230352B2 (en) 2018-09-06
EP3260498A4 (en) 2019-01-02
DE202017007332U1 (de) 2020-10-28
CN105585827A (zh) 2016-05-18
JP6469931B2 (ja) 2019-02-13
WO2017152774A1 (zh) 2017-09-14
US20180163044A1 (en) 2018-06-14
EP3260498A1 (en)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54720A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1973891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1998502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2036466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KR102037616B1 (ko) 생분해성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US10472515B2 (en) Biodegradable polyester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