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8235A -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 Google Patents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8235A
KR20060128235A KR1020050049496A KR20050049496A KR20060128235A KR 20060128235 A KR20060128235 A KR 20060128235A KR 1020050049496 A KR1020050049496 A KR 1020050049496A KR 20050049496 A KR20050049496 A KR 20050049496A KR 20060128235 A KR20060128235 A KR 20060128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ie
liquor
traditional
grass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9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녀
Original Assignee
김정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녀 filed Critical 김정녀
Priority to KR1020050049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8235A/ko
Publication of KR20060128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82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4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 C12G3/0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 C12G3/055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mixing, e.g. for preparation of liqueurs with health-improving ingredients, e.g. flavonoids, flavones, polyphenols or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22Ageing or ripening by storing, e.g. lagering of be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전통 소곡주의 양조 방법에 있어서, 수확된 모시풀의 뿌리, 줄기 및 잎을 응달에서 한 달간 건조하는 건조 모시풀 생성단계; 멥쌀 찐 후 누룩을 혼합하여 수일간 발효를 시켜 밑술을 만드는 밑술 생성단계; 상기 건조 모시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건조 모시풀과 찹쌀을 3:7로 혼합하여 모시 고두밥을 찌는 모시 고두밥 생성단계; 및 상기 밑술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밑술과 상기 모시 고두밥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모시 고두밥을 혼합하고, 이를 100일 ~ 200일간 발효 숙성하여 덧술을 만드는 덧술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모시 증류주, 모시 소곡주 내지 모시 탁주 생성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인 모시풀을 이용한 증류주, 소곡주 및 탁주는 그늘에서 한 달간 건조한 건조 모시풀(Ramie)을 이용하여 술을 빚은 것으로 모시풀이 갖는 효능인 고혈압 예방과 당뇨, 하혈, 이뇨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전통 소곡주의 보존 및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시풀(Ramie), 모시 소곡주, 모시 증류주, 모시 탁주, 고혈압, 당뇨, 이뇨

Description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METHOD OF BREWING ABOUT TRADITIONAL ALCHOHOL BY USED RAMIE}
도 1은 본 발명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의 순서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은 전통 양조 방법에 하나인 소곡주 양조 방법을 이용한 새로운 양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약리적 효능이 있는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술의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급증하고 있고, 특히 양주의 소비는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이에 반해 전통주는 그 명맥만 유지할 뿐 거의 사라져 가고 있다.
현재 밀가루를 이용한 탁주(막걸리)와 화학주인 소주가 많이 애용되고 있으나 현재 우리가 마시는 탁주는 전통 탁주가 아니며 소주 또한 화학주이지 전통 소주가 아니다.
이와 같이 전통주가 사라져가고 있는 가장 큰 이유는 전통주의 다양한 상품 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몇몇 술을 빚는 방법을 아는 가내에서만 즐기고 있기 때문이다.
이중 우리나라에서 문헌상 가장 오래된 소곡주는 충남 서천군 한산면에서 즐겨 마신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 전통 소곡주의 양조 방법은 밑술을 만드는 방법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으나 통상 멥쌀을 빻아서 시루에 찌거나 죽을 쑨 후 여기에 누룩을 혼합하고 이를 발효시켜 밑술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밑술과 찐 찹쌀밥을 상기 밑술과 혼합하고 이를 발효시켜 덧술을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덧술에 용수를 박아 추출한 것이 소곡주를 생성하고, 용수를 박아 소곡주를 추출하고 남은 덧술에 물을 첨가한 후 채로 걸러 탁주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덧술을 고리와 같은 증류장치를 통해 증류하여 소주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소곡주는 충남 서천군 한산면 일대에서 명주로 일컫고 있으나 대중적으로 즐기지는 못하고 있다.
또한 상기 충남 서천군 한산면은 모시풀의 최대 재배지로 상기 모시풀의 줄기 껍질을 이용한 옷감으로도 유명하다. 그러나 상기 모시풀 역시 잎과 뿌리는 모두 버려지고 있고 다른 용도로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은 상기 전통 소곡주의 양조 방법과 지역적 특산물인 모시풀을 이용하여 모시풀의 활용방안을 새롭게 제시하고, 상기 모시풀의 약리적 효능을 부가하여 음주를 즐기면서도 건강에 도움이 되는 전통주의 개발 및 보급의 확산에 이바지할 수 있는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 주 양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은 전통 소곡주의 양조 방법에 있어서, 수확된 모시풀의 뿌리, 줄기 및 잎을 응달에서 한 달간 건조하는 건조 모시풀 생성단계; 멥쌀을 찐 후 누룩을 혼합하고 수일간 발효를 시켜 밑술을 만드는 밑술 생성단계; 상기 건조 모시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건조 모시풀과 찹쌀을 혼합하여 모시 고두밥을 찌는 모시 고두밥 생성단계; 및 상기 밑술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밑술과 상기 모시 고두밥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모시 고두밥을 혼합하고, 이를 100일 ~ 200일간 발효 숙성하여 덧술을 만드는 덧술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건조 모시풀과 찹쌀은 3:7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덧술 생성단계 이후에, 상기 덧술을 가열하여 증류 방식으로 전통주를 제조하는 모시 증류주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덧술 생성단계 이후에, 상기 덧술에 용수를 박아 추출하는 방식으로 전통주를 제조하는 모시 소곡주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시 소곡주 생성단계 이후에, 용수를 통해 모시 소곡주가 추출되고 남은 덧술에 물을 혼합하고, 상기 물이 혼합된 덧술을 채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전통주를 제조하는 모시 탁주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의 순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은 건조 모시풀 생성단계(S10); 밑술 생성단계(S20); 모시 고두밥 생성단계(S30); 및 덧술 생성단계(S40);를 포함하고, 이후 모시 증류주 생성단계(S50) 내지 모시 소곡주 생성단계(S60)를 포함하고, 상기 모시 소곡주 생성단계(S60) 이후에 모시 탁주 생성단계(S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건조 모시풀 생성단계(S10)는 모시풀을 술을 빚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뿌리, 줄기 및 잎으로 된 모시풀을 20일에서 30일가량 통풍이 잘되는 응달에서 자연 건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모시풀의 잎, 줄기 및 뿌리 모두를 자연 건조하며, 줄기의 경우 모시로 된 천을 만들기 위해 껍질이 벗겨지고 남은 줄기로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인 모시풀을 이용한 술을 빚는 방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재료가 만들어진다.
상기 밑술 생성단계(S20)는 본 발명에 따른 전통주를 빚는 기초 재료를 만드는 단계로 멥쌀을 이용하여 백설기를 만들거나 죽을 쑤고, 여기에 누룩을 혼합하고, 상기 멥쌀과 누룩이 혼합된 것을 몇 일간 발효를 시켜 밑술을 생성한다.
상기 모시 고두밥 생성단계(S30)는 모시풀을 이용한 술을 빚는 방법에 있어서, 모시풀이 부가되는 단계로 상기 건조 모시풀 생성단계(S10)에서 생성된 건조 모시풀을 잘게 부수거나 소정의 크기로 절단한다. 이렇게 부수어지거나 절단된 건 조 모시풀과 찹쌀을 혼합하고. 이를 시루와 같은 찜 수단을 이용하여 이를 쪄서 모시풀이 들어간 모시 고두밥을 생성한다.
이때 건조 모시풀과 찹쌀의 혼합비율은 선택적으로 할 수가 있다. 즉 모시 향 및 모시풀이 갖는 효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건조 모시풀의 비율을 높이고, 전통 소곡주의 맛을 높이기 위해서는 찹쌀의 비율을 높이면 된다.
그러나 가장 바람직한 것은 상기 부수어지거나 절단된 건조 모시풀과 찹쌀의 비율은 3:7로 전통 소곡주의 기본 맛을 유지하면서 모시 향이 적당히 음미되면서 실제 모시풀이 갖는 약리적 효능을 얻기 위함이다.
상기 덧술 생성단계(S40)는 상기 밑술 생성단계(S20)에서 생성된 밑술과 상기 모시 고두밥 생성단계(S30)에서 생성된 모시 고두밥을 혼합하고, 상기 밑술과 모시 고두밥이 혼합된 것을 약 100일에서 200일 사이로 발효 숙성을 한다.
즉 모시풀을 이용한 덧술은 밑술과 모시 고두밥을 혼합하고, 이를 100일에서 200일 사이로 발효 숙성하여 빚어진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단계를 통해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방법이 이루어지고, 상기 덧술 생성단계(S40)에서 생성된 모시풀을 이용한 덧술은 이후 소정의 처리단계를 거쳐 모시 증류주, 모시 소곡주 및 모시 탁주로 된다.
상기 모시 증류주 생성단계(S50)는 상기 덧술 생성단계(S40)에서 생성된 덧술을 가열하여 증류하는 방식으로 전통주를 제조하는 단계로 증류주를 만드는데 이용하는 고리 등을 이용하여 모시 증류주를 만든다. 이렇게 증류된 술이 본 발명에 따른 모시 증류주가 된다.
상기 모시 소곡주 생성단계(S60)는 상기 덧술 생성단계(S40)에서 생성된 덧술에서 맑은 술을 추출하는 방식으로 전통주를 제조하는 단계로 덧술이 담겨진 독 등에 용수를 박아 맑은 술을 추출한다. 이렇게 용수를 통해 추출된 맑은 술이 본 발명에 따른 모시 소곡주가 된다.
상기 모시 탁주 생성단계(S70)는 상기 모시 소곡주 생성단계(S60)에서 모시 소곡주가 추출되고 남은 덧술에 물을 부가하고, 이를 채에 걸러서 탁한 술을 만드는 단계로 모시 소곡주가 추출되고 남은 덧술에 일정량의 물을 부가하고, 상기 남은 덧술과 물을 잘 섞은 후, 이를 채에 바쳐 덧술의 건더기를 으깨고 찌꺼기를 걸러낸다. 이렇게 남은 덧술과 물을 혼합하고 이를 채에 바쳐 찌꺼기가 걸러진 술이 본 발명에 따른 모시 탁주가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 양조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통주가 모시풀이 갖는 효능인 고혈압 예방과 당뇨, 하혈, 이뇨 등의 탁월한 효과를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시 천을 만드는데만 이용되고 버려지는 모시풀의 줄기, 잎 및 뿌리를 술을 빚는데 이용함으로써 경작물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효과 및 지역특산물 간의 연계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 전통 소곡주의 보존 및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전통 소곡주의 양조 방법에 있어서,
    수확된 모시풀의 뿌리, 줄기 및 잎을 응달에서 한 달간 건조하는 건조 모시풀 생성단계;
    멥쌀을 찐 후 누룩을 혼합하고 수일간 발효를 시켜 밑술을 만드는 밑술 생성단계;
    상기 건조 모시풀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건조 모시풀과 찹쌀을 혼합하여 모시 고두밥을 찌는 모시 고두밥 생성단계; 및
    상기 밑술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밑술과 상기 모시 고두밥 생성단계에서 생성된 모시 고두밥을 혼합하고, 이를 100일 ~ 200일간 발효 숙성하여 덧술을 만드는 덧술 생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모시풀과 찹쌀은
    건조 모시풀 대 찹쌀을 3 대 7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덧술 생성단계 이후에,
    상기 덧술을 가열하여 증류 방식으로 전통주를 제조하는 모시 증류주 생성단 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덧술 생성단계 이후에,
    상기 덧술에 용수를 박아 추출하는 방식으로 전통주를 제조하는 모시 소곡주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모시 소곡주 생성단계 이후에,
    용수를 통해 모시 소곡주가 추출되고 남은 덧술에 물을 혼합하고, 상기 물이 혼합된 덧술을 채를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전통주를 제조하는 모시 탁주 생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KR1020050049496A 2005-06-09 2005-06-09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KR200601282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496A KR20060128235A (ko) 2005-06-09 2005-06-09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9496A KR20060128235A (ko) 2005-06-09 2005-06-09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8235A true KR20060128235A (ko) 2006-12-14

Family

ID=37730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9496A KR20060128235A (ko) 2005-06-09 2005-06-09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82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179B1 (ko) * 2008-09-24 2009-11-05 박순열 모시가 함유된 누룩 제조방법
KR100925182B1 (ko) * 2008-09-24 2009-11-06 박순열 모시가 함유된 소곡주 제조방법
KR101137946B1 (ko) * 2010-01-20 2012-05-09 양성규 모시풀을 함유한 주류의 제조방법
KR20180064667A (ko) * 2016-12-06 2018-06-15 성삼섭 막걸리 및 막걸리 식초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179B1 (ko) * 2008-09-24 2009-11-05 박순열 모시가 함유된 누룩 제조방법
KR100925182B1 (ko) * 2008-09-24 2009-11-06 박순열 모시가 함유된 소곡주 제조방법
KR101137946B1 (ko) * 2010-01-20 2012-05-09 양성규 모시풀을 함유한 주류의 제조방법
KR20180064667A (ko) * 2016-12-06 2018-06-15 성삼섭 막걸리 및 막걸리 식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87875B (zh) 蜜香型白酒及其酿造方法
KR101278657B1 (ko) 하수오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62147A (ko) 효모를 주된 균주로 첨가하여 제조된 술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39032B1 (ko) 꾸지뽕 식초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식초
KR100549286B1 (ko) 유자주의 제조방법
KR101687790B1 (ko) 산야초 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8641A (ko) 황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막걸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128235A (ko) 모시풀을 이용한 전통주의 양조 방법
KR20110114001A (ko) 발효인삼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KR101190329B1 (ko) 꾸지뽕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CN105838549A (zh) 一种茶酒的酿造方法
KR100978942B1 (ko) 산양삼 된장 제조방법
KR20070044598A (ko) 발효된 인삼을 이용한 고추장 및 제조 방법
KR101088159B1 (ko) 생약초 다슬기 꼬막 된장의 제조방법
KR100975754B1 (ko) 꾸지뽕된장 제조방법
KR20010010819A (ko) 인동초 발효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97256B1 (ko) 오미자 및 울금을 이용한 기능성 전통수제한과의 제조방법
KR100917478B1 (ko) 괴산청결고추를 이용한 고추술 생산
CN103320271B (zh) 一种人参高粱固态发酵酒及其制备方法
KR101039493B1 (ko) 보리술 제조방법
KR100502468B1 (ko) 죽엽 두부의 제조방법
KR101753475B1 (ko) 꽃송이 버섯 막걸리의 제조방법 이에 제조된 꽃송이 버섯 막걸리
CN104928100A (zh) 一种野槟榔酒及其制备方法
KR20110017331A (ko) 장뇌삼 된장 그 제조방법
KR970007182B1 (ko) 솔잎차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