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981A - 주름 개선제 - Google Patents

주름 개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981A
KR20060127981A KR1020067016681A KR20067016681A KR20060127981A KR 20060127981 A KR20060127981 A KR 20060127981A KR 1020067016681 A KR1020067016681 A KR 1020067016681A KR 20067016681 A KR20067016681 A KR 20067016681A KR 20060127981 A KR20060127981 A KR 20060127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skin
eugenyl
wrinkles
comparative ex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7664B1 (ko
Inventor
다께시 이께모또
아야 고미야
아끼노리 하라다께
Original Assignee
카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노화에 의해 출현하는 주름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주름 개선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이게닐 글리코시드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광노화, 주름 개선제, 오이게닐 글리코시드, 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

Description

주름 개선제 {Wrinkle-Diminishing Agent}
본 발명은 노화에 따라, 특히 노광 부위에 발생하는 주름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를 피부 과학적 및 미용적으로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 오이게닐 글리코시드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의 장기는 탄생하여 성장한 후, 나이를 먹음과 함께 서서히 쇠퇴하여 이윽고 기능이 정지하고, 기능 정지한 부분이 어느 일정 이상이 되면 죽음에 이른다. 그 기능이 서서히 쇠퇴해 가는 상태를 노화라고 한다. 피부는 주위 환경으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고 있으며, 생체 내부의 환경을 유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부 기능 정지에 이르는 경우는 그다지 없지만, 주름, 얼룩, 거무칙칙함, 늘어짐 등 노화 징후가 표면화되기 쉬운 장기이며, 일광에 노출되는 노광 부위에서는 특히 현저하다.
피부의 노화가 진행되면, 산화 스트레스 등의 자극에 대한 방어가 약해지고, 피부 내부 환경을 어지럽히는 원인이 되어 더 노화를 진행시킨다. 특히, 노광 부위에서는 자외선 등 강한 산화 스트레스에 항상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노화의 진행이 현저하다. 이러한 피부의 변화를 광노화라고 하며, 그러한 피부에서는 표피가 비후하고, 진피에서는 대다수를 차지하는 구성 성분인 콜라겐이 감소함으로써 피부 표면에서 주름이 깊고 커지는 등 미용상으로도 바람직하지 못한 상태가 된다.
광노화가 진행된 결과 생기는 주름에 대하여 개선 효과를 갖는 물질로서, 미국에서는 레티노산이 처방 약전으로서 사용되고 있지만, 부작용이 강하고, 안전성에도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승인되지 못하였다. 또한, 체내에 흡수된 후 레티노산으로 전환되어 효과를 발휘한다고 여겨지고 있는 레티놀(비타민 A)이나 항산화 및 콜라겐 합성 촉진 효과를 갖는 아스코르브산(비타민 C), 항산화 효과가 강한 토코페롤(비타민 E) 등이 주름 개선 물질로서 제안되어 있지만(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7-16556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소)62-164609호 공보 참조), 이들은 충분히 만족하는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결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제까지 주름을 개선하는 물질로서 충분히 만족하는 효과를 갖고, 안전성도 갖는 것은 없었다.
오이게놀은 향신료의 정향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으로서, 치통 등의 억제제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면국소 적용 부위로의 도포에 의한 혈류 촉진 효과,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진피 콜라겐 섬유속 재구축제 등의 응용이 알려져 있는데(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9-24954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6-22795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0492l호 공보 참조), 특이한 냄새를 갖고 있는 것이나 고농도로 사용한 경우에는 감작성을 유발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예를 들면, 문헌[Contact Dermatitis, 1992년, 제27호, p.98-104 참조).
본 발명자들은 오이게놀을 배당체화함으로써, 이들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양모료나 인체 표면용 서방성 방향 조성물 등을 제안하고 있지만( 일본 특허 공개 (평)9-4053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7-179328호 공보 참조), 오이게놀 배당체의 주름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검토가 이루어져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이게닐 글리코시드를 배합함에 따라 미용적으로도 건강한 피부로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노광 부위에서 현저하게 표면화되는 주름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작용을 갖는 주름 개선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것을 감안하여 오이게놀 유도체를 중심으로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오이게닐 글리코시드를 배합한 주름 개선제가 미용적으로도 건강한 피부로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노광 부위에서 현저하게 표면화되는 주름의 개선 효과가 우수한 작용을 가지며, 노화에 의해 특히 노광 부위에서 현저하게 표면화되는 주름을 개선하는 작용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오이게닐 글리코시드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오이게닐 글리코시드가 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주름 개선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나이를 먹음에 따라 특히 노광 부위에 발생하는 주름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를 피부 과학적 및 미용적으로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는 주름 개선제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술한다.
오이게놀은 향신료의 정향에 포함되는 향기 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오이게놀은 진통 효과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치통 등의 억제제로서도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오이게닐 글리코시드는 오이게놀을 정법에 의해 O-글리코시드 결합에 의해 배당체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오이게닐 글리코시드의 당 잔기는 단당류 또는 소당류이며, 구체적으로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크실로오스, 람노오스, 만노오스, 글루코사민, 갈락토사민 등의 단당류, 락토오스,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셀로비오스, 겐티오비오스 등의 이당류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 갈락토오스, 크실로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를 들 수 있다. 또한, 배당체에는 α 결합 및 β 결합을 갖는 이성체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는 어느 것이나, 또는 그들의 혼합물로서도 사용할 수 있지만, β 결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오이게놀의 D-글루코오스 배당체이고, β 결합을 갖는 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가 효과면에서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오이게닐 글리코시드의 배합량은, 주름 개선제의 총량을 기준으로서 0.2 내지 5.0 질량%(이하에서 별다른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는 질량%를 나타냄)가 바람직하다. 배합량이 상기 범위라면,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효과가 효율적으로 충분히 얻어진다. 배합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5 %,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이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제는 피부 화장료나 외용제로서 의약품이나 입욕제 등에 적용할 수 있고, 제형적으로는 예를 들면 로션류, 유액류, 크림류, 팩류 등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주름 개선제에는 상기의 것 외에 색소, 향료, 방부제, 계면활성제, 안료, 항산화제 등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구체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
본 발명의 주름 개선제를 광노화시킨 피부에 적용했을 때의 주름 개선 효과를 하기의 시험 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1. 시료와 실험 동물
1-1. 시료
실시예 1 내지 3: 50 %(v/v) 에탄올 수용액(기제)에 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를 하기 표 1의 농도로 배합하였다.
비교예: 기제만인 것을 비교예 1, 오이게놀을 표 1의 농도로 배합한 것을 비교예 2로 하였다.
1-2: 실험 동물
시험 개시시 10 주령의 머리털을 깎은 마우스 1 군 10 마리를 사용하였다.
2. 주름 개선 효과의 평가
2-1. 광노화 조건 및 평가 방법
광노화는 UVA와 UVB를 1일 1회, 주 5회, 8 주간 연속 조사함으로써 유발시켰 다. UVA가 20 J/cm2, 25 J/cm2, 30 J/cm2, UVB가 20 mJ/cm2, 30 mJ/cm2, 40 mJ/cm2로 1 주마다 조사량을 증량하고, 3 주째 이후에는 최대량을 조사하였다. 주름 개선 효과는 주름 스코어, 진피 콜라겐량, 표피 두께에 의해 평가하였다.
주름 스코어: 비세트 등의 방법(Photochem Photobiol 46: 367-378, 1987)에 따라 채점하였다. 즉, 주름의 크기 및 깊이를 육안으로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크고 깊은 주름을 확인할 수 있음」을 3, 「주름을 확인할 수 있음」을 2, 「주름을 확인할 수 없음」을 1, 「정상 피부결이 관찰됨」을 0으로 4 단계로 채점하였다. 진피 콜라겐량: 전층 피부를 채취하여 폴리트론 호모지나이저(키네마티카(KINEMATICA)사 제조)로 파쇄한 후, 콜라겐 분획을 추출하여 산가수분해한 후, 히드록시프롤린 함유량을 아미노산 분석 장치(닛본 분꼬우 제조)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1 cm2당 히드록시프롤린량을 진피 콜라겐량의 상대적 지표로 하였다.
표피 두께: 전층 피부를 채취하여 정법에 따라 피부 절편 표본을 제조한 후 헤마토크실린ㆍ에오신 염색을 실시하고, 표피의 두께를 화상 해석 소프트(마이크로 애널라이저, 닛본 폴라디지탈사 제조)로 측정하였다.
2-2. 조작
평가 시료 0.1 mL를 머리털을 깎은 마우스의 등 피부(직경 약 2.5 cm)에 1일 1회, 1 주일에 5회의 빈도로 UV 조사 개시 후 5 주째부터 조사 종료 후 4 주째까지 도포하였다. 또한, 최종 도포 종료 후에 주름 스코어를 채점하였다. 도살 후, 피부를 채취하고, 콜라겐 함유량(1cm2당 히드록시프롤린량)과 표피 두께를 측정하였 다. 주름 개선 효과는 주름 스코어, 콜라겐 함유량, 표피 두께를 기제만을 도포한 비교예 1과 비교함으로써 평가하였다.
주름 스코어*)
실시예 1(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 0.2 질량% 배합) 도포 실시예 2(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 2.0 질량% 배합) 도포 실시예 3(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 4.0 질량% 배합) 도포 비교예 1(기제만) 도포 비교예 2(오이게놀 2.0 질량% 배합) 도포 2.4±0.1 2.2±0.2 2.1±0.1 2.6±0.1 2.7±0.1
*) 수치는 평균치±표준 오차
주름 스코어의 채점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3의 주름 개선제 도포군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주름 스코어값을 나타내고, 광노화에 의해 유발된 주름에 대하여 오이게닐 글리코시드를 배합한 주름 개선제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2의 오이게놀 배합의 주름 개선제에는 주름 스코어에서의 개선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콜라겐 함유량*) (μmol/cm2) 표피 두께*) (㎛)
실시예 1 도포 실시예 2 도포 실시예 3 도포 비교예 1 도포 비교예 2 도포 8.8±0.4 9.2±0.4 9.3±0.6 8.1±0.2 7.8±0.5 42.5±2.3 41.2±4.4 38.6±1.6 57.5±6.8 61.1±2.6
*) 수치는 평균치±표준 오차
상기 표 2에 콜라겐 함유량(히드록시프롤린량), 표피 두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3의 주름 개선제 도포군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은 콜라겐 함유량을 나타내고,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는 진피 콜라겐량에 대하여 오이게닐 글리코시드가 유효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교예 2의 오이게놀 배합의 주름 개선제에는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는 진피 콜라겐량에 대하여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표피 두께에 있어서는, 실시예 1 내지 3의 주름 개선제 도포군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유의하게 얇은 표피 두께를 나타내고, 광노화에 의해 비후한 표피에 대하여 오이게닐 글리코시드가 비후함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한편, 비교예 2의 오이게놀 배합의 주름 개선제에는 광노화에 의해 비후한 표피 두께를 경감하는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주름 개선 효과가 확인되고 있는 레티노산을 본 평가계에 적용했을 경우, 주름 스코어 및 콜라겐 함유량에는 유효하지만, 표피 두께에 대해서는 비후를 증진시키는 방향으로 기능하는 것이 시사되었다. 상기 표피를 비후시키는 작용이 안전성을 문제시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고 있었다. 오이게닐 글리코시드에는 그러한 작용도 없으며, 통상의 안전성 시험에 있어서도 전혀 문제가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내지 3의 오이게닐 글리코시드 도포군이 비교예 1에 비하여 명확하게 광노화에 의한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광노화에 의한 주름을 개선하는 효과는 오이게놀 자체에는 없고, 배당체화함으로써 비로서 효과를 갖게 된다는 것을 알았다.
<실시예 4, 비교예 3(스킨 로션)>
하기 조성의 스킨 로션을 하기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그것을 시료로서 하기 조작에 의해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눈가에 주름이 있는 5명의 보통사람(여성, 44 내지 55세)을 피검자로서 좌우 어느 한쪽을 정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3의 스킨 로션 각각을 아침 세안 후 및 저녁 입욕 후의 1일 2회, 2개월간(60일) 연속하여 눈가의 주름 부분(각 시료마다 눈가를 중심으로 약 4 cm2, 2×2 cm)에 약 0.2 mL씩 도포하였다. 또한, 최종 도포 후에 좌우 눈가 부분의 피부(주름) 상태에 대하여 앙케이트 조사를 행하였다.
1. 스킨 로션의 조성:
원료 성분 배합량(%)
A 성분
(1) 올리브유 10.0
(2)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1.0
(3) 모노라우르산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0.5
(4) 프로필렌글리콜 1.0
(5) 글리세린 2.0
B 성분
(6) 메틸파라벤 0.1
(7) 에탄올 7.0
(8) 정제수 잔량
C 성분
(9) 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 2.0(실시예 4)
또는 0(비교예 3)
2. 제조 방법
C 성분의 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를 B 성분에 첨가하여 균일하게 용해한 후, A 성분을 첨가하여 혼합 교반 분산하고, 이어서 용기에 충전하였다. 사용시에는 내용물을 균일하게 진탕 분산시켜 사용하였다.
3. 평가
앙케이트 결과를 바탕으로 피부(주름) 상태에 관한 각 항목에 있어서, 비교예 3보다 실시예 4의 스킨 로션이 유효하다고 응답한 인원수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항목 인원수(명)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됨 5
피부가 부드러워짐 4
피부에 탱탱함이 생김 5
피부에 윤기가 생김 3
피부가 밝아짐 4
본 시험 결과로부터 실시예 4의 스킨 로션은 비교예 3에 비하여 명확하게 주름을 개선하며, 나아가 광노화에 의해 악화되는 유연성이나 색조까지도 개선시킨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로션에 의한 자극이나 가려움 등의 피부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실시예 5(스킨 크림)>
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를 배합한 스킨 크림을 하기 조성과 제조 방법으로 제조하고, 사전 앙케이트로 눈가의 주름을 피부 고민으로 든 20명의 보통 사람(여성, 50 내지 55세)에게 1 주일 이상 사용하게 해 앙케이트 조사를 행하였다.
1. 스킨 크림의 조성
원료 성분 배합량(%)
A 성분
(1) 밀랍 2.0
(2) 스테아르산 5.0
(3) 스테아릴 알코올 5.0
(4) 환원 라놀린 2.0
(5) 스쿠알렌 20.0
(6) 모노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3.0
(7)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3.0
(8) 프로필렌글리콜 5.0
B 성분
(9) 메틸파라벤 0.2
(10) 정제수 잔량
C 성분
(11) 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 2.0
2. 제조 방법
C 성분의 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를 B 성분에 배합한 후, A, B 성분을 각각 80 ℃로 가열 용해하고, 혼합해서 교반하면서 30 ℃까지 냉각하여 스킨 크림을 제조하였다.
3. 평가
실시예 5의 스킨 크림을 피험자에게 1 주일 이상 사용하게 한 후, 주름 상태에 관해서 하기 항목의 앙케이트 조사를 행하였다. 각 항목마다 사용 전과 비교하여 사용 후에 그렇게 생각한다고 회답한 인원수를 이하에 나타내었다.
항목 인원수(명)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됨 19
주름의 크기가 감소함 17
주름의 수가 감소함 5
주름이 증가함 0
본 평가 결과로부터 실시예 5의 스킨 크림은 사용 전에 비하여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고 실감하는 사람이 거의 전원이며, 그 요인으로서 주름의 수보다 주름의 크기를 경감시킴으로써 광노화에 의한 주름을 개선했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킨 크림에 의한 자극이나 가려움 등의 피부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주름 개선제는 피부 화장료나 외용제로서 의약품이나 입욕제 등에 적용할 수 있고, 제형적으로는 예를 들면 로션류, 유액류, 크림류, 팩류 등으로 할 수 있으며, 피부의 미용면에서 매우 유용하다.

Claims (3)

  1. 오이게닐 글리코시드를 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개선제.
  2. 제1항에 있어서, 오이게닐 글리코시드가 오이게닐-β-D-글루코시드인 주름 개선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오이게닐 글리코시드의 배합량이 주름 개선제의 총량을 기준으로서 0.2 내지 5.0 질량%인 주름 개선제.
KR1020067016681A 2004-01-21 2005-01-21 주름 개선제 KR1007976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2764A JP5244284B2 (ja) 2004-01-21 2004-01-21 シワ改善剤
JPJP-P-2004-00012764 2004-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981A true KR20060127981A (ko) 2006-12-13
KR100797664B1 KR100797664B1 (ko) 2008-01-23

Family

ID=34805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681A KR100797664B1 (ko) 2004-01-21 2005-01-21 주름 개선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080242849A1 (ko)
EP (1) EP1712217A4 (ko)
JP (1) JP5244284B2 (ko)
KR (1) KR100797664B1 (ko)
CN (1) CN1909880B (ko)
TW (1) TWI328461B (ko)
WO (1) WO2005070387A1 (ko)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8223B2 (ja) 1986-01-14 1994-10-05 鐘紡株式会社 皮膚化粧料
JPH06227959A (ja) * 1993-02-01 1994-08-16 Yakult Honsha Co Ltd メラニン生成抑制剤および皮膚化粧料
FR2710841B1 (fr) 1993-10-05 1995-11-17 Oreal Composition cosmétique ou pharmaceutique pour la peau, anhydre et stable, à base de rétinol et son utilisation en vue du traitement des maladies de la peau.
JP3304219B2 (ja) 1993-11-11 2002-07-22 カネボウ株式会社 人体表面用徐放性芳香組成物
JP3162962B2 (ja) * 1995-07-27 2001-05-08 カネボウ株式会社 養毛料
JPH09249549A (ja) * 1996-03-18 1997-09-22 Lion Corp 化粧料組成物
JP2000169358A (ja) * 1998-12-07 2000-06-20 Mikimoto Pharmaceut Co Ltd 化粧料、医薬部外品、医薬品、食品
JP4025487B2 (ja) * 2000-05-19 2007-12-19 花王株式会社 抗炎症剤
JP2002104921A (ja) * 2000-09-29 2002-04-10 Pola Chem Ind Inc 真皮コラーゲン線維束再構築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4789334B2 (ja) * 2001-03-01 2011-10-12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シワ改善及び予防対応用皮膚外用剤
US20030165547A1 (en) * 2001-05-18 2003-09-04 Elisabeth Picard-Lesboueyries Cosmetic uses of 3beta-acetoxy-7-oxo-DHEA
FR2824737A1 (fr) * 2001-05-18 2002-11-22 Oreal Utilisations cosmetiques de la 3beta-acetoxy-7-oxo dhea
FR2826011B1 (fr) * 2001-06-14 2004-12-10 Oreal Nouveaux derives de la 7-oxo-dhea et utilisation cosmetique
JP4162898B2 (ja) * 2002-01-31 2008-10-0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ラミニン5産生促進剤およびインテグリンα6β4産生促進剤を含む組成物
JP2004107250A (ja) * 2002-09-18 2004-04-08 Kanebo Ltd 敏感肌改善剤、神経成長因子生成抑制剤及び敏感肌改善用皮膚外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524634A (en) 2005-08-01
TWI328461B (en) 2010-08-11
US20080242849A1 (en) 2008-10-02
EP1712217A4 (en) 2008-07-09
US8273719B2 (en) 2012-09-25
CN1909880A (zh) 2007-02-07
CN1909880B (zh) 2011-07-06
EP1712217A1 (en) 2006-10-18
WO2005070387A1 (ja) 2005-08-04
JP2005206480A (ja) 2005-08-04
JP5244284B2 (ja) 2013-07-24
US20090227525A1 (en) 2009-09-10
KR100797664B1 (ko)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366B1 (ko) 피부 화장료 및 주름 개선제
JP6997222B2 (ja) 皮膚の外観を改善するための組成物及び方法
JP6554540B2 (ja) 皮膚状態を処置するための組成物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JP2006514957A (ja) 顔面のしわを治療するスベリヒユの使用
KR100942861B1 (ko) 피부 화장료 및 주름 개선제
CN1357321A (zh) 减少炎症和红斑的方法
RU2671511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и кожей головы (варианты)
US20220233440A1 (en) Nano- or micro-emulsion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0797664B1 (ko) 주름 개선제
KR20150119244A (ko) 피부의 표피 및 진피층을 자극하기 위한 국소적 조성물
CH718031B1 (de) Dermokosmetische Zusammensetzung zum Stoppen der Ausbreitung weisser Haare und zur Förderung der natürlichen Repigmentierung der Haare.
JP7201659B2 (ja) 局所用ハーブ組成物
CN115813826B (zh) 一种紧致抗皱组合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JP4456918B2 (ja) シワ改善剤
JPH041115A (ja) 皮膚外用剤
EP2783690B1 (en) New use of neohesperidin
Zhou Clinical Application of Two Allergy-Relieving Formulas Replacing Topical Glucocorticosteroids in the Treatment of Cosmetic Dermatitis
WO2010013423A1 (ja) 皮膚外用剤及びシワ改善剤
KR20230107926A (ko) 펩타이드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05074878A1 (ja) シワ改善剤
JP2022037267A (ja) 皮膚黄色化防止及び/又は改善用外用剤
TWI421098B (zh) New use of new hesperidin
CN114306116A (zh) 一种敏感肌可用的亮肤乳霜及其制备方法
BR102012019950A2 (pt) Formulações cosméticas e farmacêuticas a base de óleo de café e própol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