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683A - 필름 모양의 배선 기판을 위한 제조 공정 테잎 - Google Patents

필름 모양의 배선 기판을 위한 제조 공정 테잎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683A
KR20060126683A KR1020067013497A KR20067013497A KR20060126683A KR 20060126683 A KR20060126683 A KR 20060126683A KR 1020067013497 A KR1020067013497 A KR 1020067013497A KR 20067013497 A KR20067013497 A KR 20067013497A KR 20060126683 A KR20060126683 A KR 20060126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esin
film
sheet
wiring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3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967B1 (ko
Inventor
아리히로 가나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6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6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9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13Organic insulating material
    • H05K1/035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 H05K1/0373Organic insulating material consisting of two or more materials, e.g. two or more polymers, polymer + filler, + reinforcement containing additives, e.g. fill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3Use of materials for the substrate
    • H05K1/0393Flexible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1Dielectrics
    • H05K2201/0104Properties and characteristics in general
    • H05K2201/0129Thermoplastic polymer, e.g. auto-adhesive layer; Shaping of thermoplastic polym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42Shape of an individual particle
    • H05K2201/0245Flakes, flat particles or lamellar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6Thermal details
    • H05K2201/068Thermal details wherein the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is importa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높은 내열성, 기계적 특성, 성형성 및 치수 안정성을 나타내며 생산성 및 작업용이성에 있어서 탁월하며, 낮은 비용을 달성하는, 필름-모양의 배선 기판을 위한 제조 공정 테잎.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이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술폰 수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및 폴리에테르 방향족 케톤 수지로부터 선택됨) 및 플레이트 충전재를 포함하는 시트 (이 시트는 10 배 이상의 굽음방지 강도 (antiflexing strength; JIS P8155: 장력 250 g, 굽음 비율 175 배/분, 및 굽음 표면 0.38R) 및 50 ppm/℃ 이하의 선팽창 계수를 나타냄) 로 이루어진, 필름-모양의 배선 기판을 위한 제조 공정 테잎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필름 모양의 배선 기판을 위한 제조 공정 테잎 {PRODUCTION PROCESS TAPE FOR FILM-SHAPED WIRING BOARD}
본 발명은 양호한 열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를 필요로 하는, 필름 회로 기판 제조 공정에서의 사용을 위한 테잎에 관한 것이다.
방향족 폴리에테르 수지는 당업계에서 특히 열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에서 우수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널리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수지의 적용 분야를 더 확장하기 위해, 충전재를 첨가함에 의해, 방향족 폴리에테르 케톤 수지 및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와 같은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여러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여러 무기 섬유질 충전재를 첨가하여 그 기계적 강도 및 열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시도 또한 제안되었다 (일본 특개소 제 S63-22854 호 공고).
전자 장치에 필요한 필름 인쇄 회로 기판 (이하, "회로 기판" 으로 생략) 중, 소위 연성 인쇄 회로 (FPC) 기판, 테잎 자동화 결합 (tape automated bonding, TAB) 회로 기판, 칩-온-필름 (chip-on-film, COF) 회로 기판 등이 있다. 이러한 필름 회로 기판의 제조 또는 발송의 과정 중, 납 테잎 및 스페이스 테잎 (space tape) 과 같은, 제조 공정을 위한 테잎이 사용된다. 이러한 제조 공정 테잎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로서, 그 재료가 노출되고, 그가 안정적일, 상한 온도, 및 기계적 특성 및 그의 비용과 같은 요소를 고려하여 다양한 금속 및 수지가 이용된다.
필름 회로 기판 제조 공정 중의 예로서, TAB 회로 기판 제조의 경우, TAB 제품 또는 반-완성된 (half-finished) TAB 제품 그 자체가 가끔 릴-투-릴 (reel-to-reel) 공정 및 제조시 임의의 단계에서 납 테잎으로 사용된다. 그러한 경우, 고가인 TAB 제품의 일부는 불완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된다.
다른 경우에서는, 마찬가지로 고가인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시트 또한 TAB 제조 공정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기계적 강도 요건이 충족될 수 있도록 비교적 두꺼운 것이 필요한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시트의 사용은 제조 비용 관점에서 불리하다.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시트는 용매를 사용하여 주형 성형에 의해 제조되며, 따라서 비교적 두꺼운 시트를 제조하는데 있어서의 생산성이 낮으며 제조 비용은 높다.
필름 회로 기판 제조 공정에서의 용도를 위한 테잎의 또 다른 종류로서, 어느 제품의 다른 제품과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스페이스 테잎이 있다. 열안정적임이 요구되는 스페이스 테잎으로서, 금속, 예컨대 SUS 스테인레스 스틸 및 비교적 두꺼운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시트를 언급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트는 모두 고가이며, 회로 기판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금속으로 만들어진 스페이스 테잎은 무겁고 생산성을 감소시킨다. 열 안정성 요건이 별로 엄격하지 않은 경우에,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시트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름 회로 기판 제조 공정에서의 용도를 위한 테잎은 열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를 필요로하며, 문제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제품 자체의 납 테잎으로서의 사용은 감소된 수율을 초래하고, 비교적 고가이며 두꺼운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시트의 사용은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소 제 S63-22854 호 공고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이 해결해야할 문제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문제를 해결하며, 열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시트 생산성 및 가공성이 높으며, 또한 비싸지 않은, 필름 또는 시트 제조를 위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필름 또는 시트를 사용하여 제조된 필름 회로 기판 제조 공정에서의 사용을 위한 테잎을 제공한다. 이하,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시트" 는 필름을 포함한다.
문제 해결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술폰 수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및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및 10배 이상의 내절 강도 (folding endurance) 수준 (JIS P 8155; 장력 250 g, 접힘 비율 (folding rate) 175배/분, 및 접힘 표면 0.38 R) 및 50 ppm/℃ 이하의 선팽창 계수를 갖는 라멜라 충전재를 함유하는 시트로부터 제조되는 필름 회로 기판 제조 공정에서의 사용을 위한 테잎을 제공한다.
라멜라 충전재는 바람직하게 0.1-20 ㎛ 의 평균 입자 지름 및 바람직하게 5 이상의 종횡비를 갖는다. 라멜라 충전재의 첨가 수준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당 바람직하게 5-60 중량부이다. 라멜라 충전재는 바람직하게 규소,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의 산화물 중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재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공정 테잎은 제조 효율이 높은, 용융 압출 기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당업계에서 목표 되어 왔던 필름 회로 기판 제품의 수율의 개선이 달성될 수 있으며, 고가의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시트의 사용으로부터 초래되는 비용의 증가를 막을 수 있고, 그 테잎은 공업용 파일 회로 기판 제조 공정에서의 용도를 위해 적합하다.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적의 모드
본 발명의 실행에 사용될 폴리술폰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한 것은 하기에 나타난 화학식 (1) 내지 (8) 중 임의의 것으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폴리술폰 수지이다.
Figure 112006048218126-PCT00001
Figure 112006048218126-PCT00002
본 발명의 실행에 사용될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제공된 화학식 (9) 내지 (11) 의 어느 것으로나 표현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다. 그러한 구조를 갖는 시판되는 제품 중, General Electric (USA) 로부터 입수가능한 Ultem (상표) 제품군이 있다. 추가적으로, 실리콘으로의 개질에 의한 내절 강도 개선 및 유연성이 제공되는 Siltem (상표) 제품군 또한 General Electric 으로부터 입수가능하다.
Figure 112006048218126-PCT00003
본 발명의 실행에서 사용될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것은 화학식 (12) 및 (13) 중 어느 하나로 표현되는 반복 단위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시판 제품 중, Victrex 로부터 입수가능한 PEEK (등록 상표) 가 있다.
Figure 112006048218126-PCT00004
본 발명의 실행에서 라멜라 충전재의 첨가 수준은 열가소성 수지의 100 중량부 당 5-6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40 중량부이다. 보다 낮은 첨가 수준에서는, 수득된 수지 조성물은 열 안정성 및 치수 안정성에 있어서 불충분할 것이다. 보다 높은 첨가 수준에서는, 수지 조성물의 성형성/가공성이 감소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행에서 사용될 라멜라 충전재는 바람직하게 0.1-2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5-10 ㎛, 가장 바람직하게는 2-8 ㎛ 의 평균 입자 지름을 갖는다.
라멜라 충전재가 상기에 언급된 범위보다 적은 평균 입자 지름을 갖는 경우, 공정 테잎은 열 안정성 및 치수 안정성과 같은 성능 특성에 있어서 불충분하게 될 것이며, 나아가 수지 공정의 단계에서 유동성이 나빠지고, 그에 따라 공정이 불리하게 어려워진다. 라멜라 충전재가 상기 언급된 범위보다 큰 평균 입자 지름을 갖는 경우, 성형물은 외관에 있어서 불리하게 될 것이며, 표면 평활성을 거의 갖지 못하고, 나아가 수지 공정의 단계에서 유동성이 나빠지고, 그에 따라 공정이 불리하게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공정 테잎은 수지 조성물에 함유된 라멜라 충전재에 기인한 현저하게 개선된 기계적 강도 및 치수 안정성을 나타낸다. 특히 고온 부분에서 공정 테잎이 사용되는 경우, 상기 라멜라 충전재는 수지의 연화에 기인한 치수 변화를 감소시키고 수지 내의 고유의 선팽창을 막음으로써 치수 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를 개선한다.
본 발명의 실행에 사용되는 라멜라 충전재는 베이스 수지에서의 분산성이 우수하며, 수지 내에서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체적으로 양호한 치수 안정성을 가진 수지 조성물을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다. 수지 및 라멜라 충전재가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 중 균일하게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행에서 사용될 라멜라 충전재는 바람직하게 5 이상의 종횡비를 갖는다. 라멜라 충전재의 "종횡비" 는 라멜라 충전재의 "평균 입자 지름/평균 두께" 비율로 표현된다. 5 미만의 종횡비를 가지며, 그에 따라 모양이 구에 가까운 입자는 충분한 정도로 선팽창을 감소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100 이상의 종횡비를 가지며 모양이 섬유에 가까운 입자는 수지의 용융 유동성을 감소시키고, 배향이 수지의 흐름의 방향으로 일어남에 따라 수지 조성물의 비등방성이 증가하여, 일정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시트를 수득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될 라멜라 충전재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규소, 알루미늄 및 마그네슘과 같은 금속의 산화물에 기재한 라멜라 충전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것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의 효과가 감소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공정 테잎을 제조하기 위한 레진 시트는 추가적으로,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의 섬유질 강화 재료 (유리 섬유, 탄소 섬유, 포타슘 티타네이트 섬유, 세라믹 섬유, 아라미드 섬유, 붕소 섬유 등), 과립형 또는 비정질 강화 충전재 (칼슘 카르보네이트, 점토, 탈크, 마이카, 흑연성 탄소 등, 몰리브데늄 디설피드 등), 전도도 개선제 (탄소, 산화 아연, 산화 티타늄 등), 열 전도도 개선제 (분말형 금속 산화물 등), 항산화제, 열 안정제, 정전기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윤활제, 이형제, 염료, 안료, 기타 열가소성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PET, PBT, 폴리페닐렌 술피드, 폴리아크릴레이트, 플루오로-, 폴리에테르니트릴 및 액정 수지 등) 및 열경화성 수지 (페놀성, 에폭시, 실리콘 및 폴리아미드이미드 수지 등) 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충전재는 표면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생산 공정에서의 용도를 위한 테잎의 제조)
본 발명의 실행에서, 수지 성분 및 라멜라 충전재의 첨가, 블렌딩 및 반죽의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여러 혼합/반죽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충전재를 열가소성 수지에 첨가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각각이 용융 압출기 내에서의 블렌딩을 위해 그에 개별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분말형 물질만이헨셀 믹서 (Henschel mixer), 볼 믹서, 블렌더, 텀블러 또는 유사한 믹서를 사용하여 사전 건조-블렌딩/반죽될 수 있으며, 이후 용융 반죽기를 사용한 수득된 프리믹스의 용융 반죽이 뒤따른다.
시트 성형 방법은 기초 재료로 소용되는 수지에 적합한 임의의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성형 방법, 예컨대 사출 성형, 용융 압출 성형, 주형 성형, 압출 성형, 소결 성형 및 분말 코팅이 사용될 수 있다. 수득된 시트로부터 공정 테잎을 제조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폭으로 찢음 (slitting), 콘케이브-콘벡스 (concave-convex) 성형 마감, 표면 전도층 코팅 및/또는 정전기방지층 코팅과 같은 2차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행에서의 공정 테잎 제조는 바람직하게 용융 압출에 의해 원료 수지를 시트로 성형시켜 수행된다. 압출 방법 및 테이크-업 (take-up)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시트는 특별한 제한 없이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열가소성 수지 층 및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층으로부터 다중층 구조를 갖는 시트를 제조하기 위해, 열가소성 수지층은 용융 압출 후, 적층용 용매를 사용하여 코팅하는 식으로 그 위에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층을 깔아 제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열가소성 수지의 용융 압출시,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수지 시트는 적층 방식으로 열가소성 수지 시트와 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적층물의 수 및 적층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융합 결합 적층 방법 및 접착제를 사용한 적층 기법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다중층 구성이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 층을 조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 공정 테잎은 열 안정적임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건조 및 베이킹 (baking) 과 같은 가열 단계에서 그가 스페이서 (spacer) 로서 사용되는 경우, 가열시 필름 기판 및 스페이서 테잎 사이의 치수 변화의 차가 가능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선팽창 계수 값이 크게 다르면, 필름 회로 기판 제조에서의 사용을 위한 스페이서 테잎이 가열 단계 동안 필름 기판과 접촉되어 스페이서로 더 이상 작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필름 기판은 열경화성 폴리이미드 또는 동박판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재료는 20-30 ppm/℃ 의 선팽창 계수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공정 테잎이 5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45 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ppm/℃ 이하,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35 ppm/℃ 이하의 선팽창 계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물리적 특성의 적절한 범위는 제조 공정 테잎 및 사용된 필름 기판 사이의 상대 값에 의존하며, 따라서, 테잎의 값이 50 ppm/℃ 이하일 때,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경우 실질적으로 문제가 없다. 반대로, 본 발명의 시트가 50 ppm/℃ 초과의 선팽창 계수를 갖는다면, 가열 단계에서 필름 기판으로부터의 치수 변화의 차가 과대하게 되어 그러한 단계 중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공정 테잎의 내절 강도는 바람직하게 10배 이상이다. 필름 기판이 릴 상에서 처리되는 경우, 그를 위한 공정 납 테잎 또는 스페이스 테잎 또한 릴 상에서 사용됨을 필요로 한다. 내절 강도가 10배 미만이면, 그 테잎은 온-릴 (on-reel) 공정을 위한 릴-투-릴 라인 운반 동안 쉽게 부서질 수 있다. 내절 강도 (배) 의 값은 바람직하게 가능한 높으며, 적절하게는 10 (배) 이상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배)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배) 이상이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예시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결코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하기 재료를 사용하였다.
*1: 폴리술폰 수지
Udel P-1700NT (상표), Solvay Advanced Polymers 의 제품
*2: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Ultem CRS 5001-1000, General Electric 의 제품
*3: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
PEEK 450G (상표), Victrex 의 제품
*4: 유리 섬유 (섬유질)
RES-TP29, Asahi Glass 제품, 종횡비: >100
*5: 알루미나 입자 (구형)
AO-502, Admatechs 제품, 종횡비: 1
*6: 라멜라 탈크 (라멜라)
MS-1, Nippon Talc 의 제품, 종횡비: 17, 평균 입자 지름: 13 ㎛
*7: 라멜라 탈크 (라멜라)
L-1, Nippon Talc 의 제품, 종횡비: 25, 평균 입자 지름: 5 ㎛
표 1 및 표 2 에 나타난 제형에 따라, 각 재료를 이축 반죽기/압출기에 공급하고, 펠렛을 용융 반죽으로 제조하였다. 표에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수치는 중량부이다. 제조된 펠렛을 사용하여, 시트꼴 시료를, 예를 들어. 일축 압출기 및 T 다이를 사용하여 용융 압출 공정에 의해 수득하였다. 비교예 5 에서, 시트꼴 시료를 가열 프레스 공정에 의해 수득하였다.
하기 평가는 하기에 제공된 각각의 방법에 의해 이루어졌다.
(1) 내절 강도: 내절 강도 측정은 0.2 mm 두께의 시트꼴 시료를 사용하여 JIS P 8155 에 따라 수행하였다.
(2) 선팽창 계수: 각 시료의 선팽창 계수는 열기계적 분석을 위한 장치를 사용하여 JIS K 7196 에 따라 측정하였다.
(3) 열 안정성: 연화-기인 치수 변화 작용에 대한 평가: 각 시료를 200℃ 로 가열하고, 가열 전 및 후의 치수의 변화는, 치수 변화가 발견되지 않았을 때 0, 치수 변화가 작을때 △, 또는 치수 변화가 매우 클 때 X 로 평가하였다.
(4) 성형성: 스트랜드 (strand) 공정 및 시트 성형 공정을 이축 반죽기 및 일축 반죽기를 사용하여 수행하고, 수득된 시료를 하기 기준에 따라 육안상의 관찰에 의해 평가하였다: 0 - 외관이 양호함; X - 성형물이 안정적으로 수득되지 못함.
(5) 시트 (테잎) 이 TAB 회로 기판 제조 공정 조건 하에서 아무런 문제를 초래하지 않고 만족스럽게 사용될 수 있었던 경우, 이를 0 으로 평가하였다; 시트의 치수 변화, 서징 (surging) 또는 편향에 기인하여 문제가 발생된 경우, 이를 X 로 평가하였다. 시트가 약하고 작업 중 부서져 평가되지 못한 경우, 그 상태를 XX 로 표현하였다.
Figure 112006048218126-PCT00005
Figure 112006048218126-PCT00006
본 발명에 따라, 열 안정성, 기계적 특성, 성형성, 치수 안정성 및 작업용이 성 (workability) 에 있어서 우수하며 비싸지 않은, 필름 회로 기판 제조 공정에서의 사용을 위한 테잎이 수득될 수 있다.

Claims (4)

  1. 테잎의 내절 강도 (folding endurance; JIS P 8155; 장력 250 g, 접힘 (folding) 비율: 175 배/분, 접힘 표면 0.38 R) 가 10 배 이상이며, 상기 테잎의 선팽창 계수가 50 ppm/℃ 이하인, 폴리술폰 수지,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 및 방향족 폴리에테르케톤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및 라멜라 충전재를 함유하는 시트로부터 제조된 필름 회로 기판 제조 공정에서의 사용을 위한 테잎.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멜라 충전재가 0.1-20 ㎛ 의 평균 입자 지름을 갖는 테잎.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멜라 충전재가 5 이상의 종횡비를 갖는 테잎.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멜라 충전재의 첨가 수준이 열가소성 수지의 100 중량부 당 5 내지 60 중량부인 테잎.
KR1020067013497A 2003-12-05 2004-11-17 필름 모양의 배선 기판을 위한 제조 공정 테잎 KR101146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07330 2003-12-05
JP2003407330 2003-12-05
PCT/JP2004/017046 WO2005054345A1 (ja) 2003-12-05 2004-11-17 フィルム状配線基板の生産工程用テー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683A true KR20060126683A (ko) 2006-12-08
KR101146967B1 KR101146967B1 (ko) 2012-05-22

Family

ID=34650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3497A KR101146967B1 (ko) 2003-12-05 2004-11-17 필름 모양의 배선 기판을 위한 제조 공정 테잎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05054345A1 (ko)
KR (1) KR101146967B1 (ko)
CN (2) CN1886448A (ko)
TW (1) TW200518932A (ko)
WO (1) WO20050543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4058A (ja) * 2007-12-14 2009-07-02 Toyobo Co Ltd 自動車外板部材。
KR101501957B1 (ko) * 2008-09-08 2015-03-12 신닛테츠 수미킨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고열전도성 폴리이미드 필름, 고열전도성 금속장 적층체 및 그 제조방법
JP6413613B2 (ja) * 2014-10-21 2018-10-3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4446B2 (ja) * 1986-08-19 1995-04-12 住友ベ−クライト株式会社 フイルムキヤリアテ−プ
JPS6454792A (en) * 1987-08-26 1989-03-02 Sumitomo Bakelite Co Film carrier tape
JP2839704B2 (ja) * 1990-11-27 1998-12-1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Tab用スペーステープ
EP1314760A4 (en) * 2000-08-29 2004-11-10 Otsuka Chemical Co Ltd RESIN COMPOSITION, MOLDED OBJECT MANUFACTURED FROM SUCH A COMPOSITION AND USE THEREOF
JP3955188B2 (ja) * 2001-05-21 2007-08-08 三菱樹脂株式会社 基板用耐熱フィル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プリント配線基板
JP2003128931A (ja) * 2001-10-23 2003-05-08 Otsuka Chem Co Ltd 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4220794B2 (ja) * 2002-02-01 2009-02-0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絶縁基板用材料、プリント基板、積層板、樹脂付き銅箔、銅張積層板、ポリイミドフィルム、tab用フィルム及びプリプレグ
US7754803B2 (en) * 2002-02-06 2010-07-13 Sekisui Chemical Co., Ltd. Resin composition
JP2003282648A (ja) * 2002-03-26 2003-10-03 Sumitomo Bakelite Co Ltd 構成体シート及びtab用スペーステープ
JP4599793B2 (ja) * 2002-11-22 2010-12-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Tab生産工程用スペーステープ
JP4849762B2 (ja) * 2002-12-02 2012-01-1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芳香族系樹脂組成物、耐熱性シート及び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補強用シート
JP4271962B2 (ja) * 2003-02-21 2009-06-03 三菱樹脂株式会社 チップ搬送体のスペーサのベース用フィルム
JP2004349366A (ja) * 2003-05-21 2004-12-09 Mitsubishi Plastics Ind Ltd 多層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5054345A1 (ja) 2007-06-28
CN1886448A (zh) 2006-12-27
WO2005054345A1 (ja) 2005-06-16
TW200518932A (en) 2005-06-16
CN101358035A (zh) 2009-02-04
KR101146967B1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27492A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heat-resistant tray for IC
US5115077A (en) Polyetheric copolymers,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their molded products, and their use
US4943606A (en) Resin composition for printed circuit board
KR102590625B1 (ko) 수지 조성물
US20030181560A1 (en) Resin composition, molded object thereof, and use thereof
US8940186B2 (en) Insulating layer composition for substrate, and prepreg and substrate using the same
KR102262624B1 (ko) 수지 조성물, 프리프레그, 금속박 피복 적층판, 및 프린트 배선판
JP2006274073A (ja) 樹脂組成物、その樹脂成形体、及び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1799769A1 (en) Sulfone polymer composition
WO2021095662A1 (ja) 非水系分散液、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成形物
EP2522698B1 (en) Resin composition, prepreg, and metal-clad laminate
CN112300658A (zh) 环氧树脂组合物、环氧树脂组合物的固化物、树脂片材、印刷布线板及半导体装置
JP6739908B2 (ja) 芳香族ポリエステ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46967B1 (ko) 필름 모양의 배선 기판을 위한 제조 공정 테잎
WO2021145149A1 (ja)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成形品、積層体および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フィルムならびにその製造方法
JP2009269372A (ja) 金属貼りポリイミド積層板およびプリント配線板
JP2007119507A (ja) 熱硬化性ポリイミド樹脂組成物、これを用いた成形体及び電子部品
WO2022065270A1 (ja) 回路基板用絶縁材料、及び金属箔張積層板
JPH08281817A (ja) 全芳香族液晶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065285A1 (ja) 回路基板用絶縁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金属箔張積層板
WO2022113964A1 (ja) フィルム及び積層体
CN116981552A (zh) 用于激光直接成型工艺的聚苯硫醚组合物及其成型制品
JP2009238919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補強用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JP4849762B2 (ja) 芳香族系樹脂組成物、耐熱性シート及び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補強用シート
JP2005243757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補強用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