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266A -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 Google Patents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266A
KR20060126266A KR1020050048024A KR20050048024A KR20060126266A KR 20060126266 A KR20060126266 A KR 20060126266A KR 1020050048024 A KR1020050048024 A KR 1020050048024A KR 20050048024 A KR20050048024 A KR 20050048024A KR 20060126266 A KR20060126266 A KR 20060126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lab
plate
impact sound
heav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8381B1 (ko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김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우 filed Critical 김선우
Priority to KR1020050048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838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6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83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83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식구조(wall-slab) 건축물의 벽체(10) 표면(11)에 보강판(100)이 적어도 한개 이상 접착 또는 부착되도록 하는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종래 슬래브에 설치하던 중량바닥충격음 저감수단들과는 달리 벽체의 표면에 보강판을 설치하여 벽체에 단면강도와 인장력을 부여하고, 이로인해 벽체의 진동을 줄여 결국 중량바닥충격음을 최소화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판을 벽면에 접착하거나, 부착하는 단순한 구조여서 설치가 용이하고, 실내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벽식구조, 슬래브, 바닥판, 중량바닥충격음, 진동, 저감

Description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Heavy-weight impact noise reducing structure for a wall slab type building}
도 1 - 본 발명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를 보이기 위한 일부 단면 투시도.
도 2 - 도 1의 평면도.
도 3 - 도 1의 정면도
도 4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일부 단면 투시도.
도 5 - 도 4의 평면도.
도 6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일부 단면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벽식구조(wall-slab) 건축물 10: 벽체
11: 표면
20: 상부 슬래브(slab) 30: 하부 슬래브
100: 보강판
본 발명은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식구조(wall-slab) 건축물에 있어서 슬래브(바닥판)에서 발생하는 중량바닥충격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이나 아파트, 주택과 같은 건축물을 시공할때는 주로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일정 두께의 슬래브(바닥판)와 벽체를 형성함으로써 각 층마다 내부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처럼 시공된 건축물은 건물 윗층, 즉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충격이 필연적으로 아래층에 벽체를 타고 진동으로 전달되어지게 되고, 상기 진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중량바닥충격음)이 아래층 거주자들을 크게 불편하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슬래브의 상부 표면에 방음용 패널 및 흡음판을 깔거나, 슬래브의 저면에 에프알피(FRP)를 덧대 슬래브의 진동이 벽체를 타고 아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중량바닥충격음을 방지하기 위한 거의 모든 연구는 슬래브에만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다년간 중량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슬래브의 두께를 높여보거나 슬래브의 저면에 강철빔, 강철판, 탄소판 등을 밀착시켜 보는 등 슬래브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실험을 해본 결과, 기둥에 의해 슬래브가 지지되는 라멘조건축물의 경우는 상기 방법들을 강구하였을 때 기둥이 진동을 흡수하면서 상당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효과가 있었으나, 벽식구조 건축물, 즉 월슬래브(wall slab) 타입의 건축물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들로는 별다른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는 벽식구조 건축물의 경우 슬래브와 벽체구조가 일체로 연결되는 구조적 특징때문에 슬래브의 진동이 벽체에 그대로 전달되어지기 때문으로 판단되어졌다.
결국 벽식구조 건축물의 경우는 슬래브에 아무리 다양한 방법으로 진동방지수단 및 방법을 강구한다고 하더라도 벽체의 중량바닥충격음에 대한 진동을 차단할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며, 또한 벽체의 진동을 약화시키지 못해서는 중량바닥충격음 저감효과 역시 얻을 수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또한 종래 슬래브의 저면에 보강판을 덧대는 것은 보강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브라켓부재를 보강판의 양쪽에 형성해 주어야 하는 등 설치 및 비용의 증가, 브라켓 및 보강판의 돌출로 인한 공간의 협소 등 여러가지 문제점을 갖는 것이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필요성이 어느때 보다 필요한 시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벽식구조 건축물의 경우는 슬래브 자체에 진동방지수단 및 방법을 강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오히려 벽체 표면에 인장력을 보강할 수 있는 보강판을 적어도 한개이상 접착 또는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벽 체의 단면적을 늘리고, 동시에 벽면의 강성(stiffness)을 강화함으로써 슬래브로 부터 벽체로 전달되는 진동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중량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판의 상단은 상부 슬래브에, 하단은 하부 슬래브에 접하도록 함으로써 벽체의 흔들거림을 최소화하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식구조 건축물의 중량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는 구조에 있어서,상기 벽식구조 건축물의 벽체(10) 표면(11)에 벽체의 인장력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보강판(100)이 적어도 한개 이상 접착 또는 부착되도록 구성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식구조 건축물의 벽체(10)에 보강판(100)의 전체 또는 일부가 매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강판(100)의 상단은 상부 슬래브(20)에, 하단은 하부슬래브(30)에 접하도록 한다.
상기 보강판(100)의 재료는 콘크리트 재질보다 더 강한 인장력을 가지는 재질이어야 하며, 이는 벽면에 강한 인장력을 부여하고, 단면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상기 보강판(100)의 재질로는 여러가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실험결과 탄소섬유시트와 여러장의 탄소섬유시트가 겹쳐진 상태의 탄소판, 강판(鋼板), 에프알피(FRP)판 등이 가격 대비 성능이 우수하여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강판(100)은 벽체(10)의 표면(11) 전체면적을 커버하도록 접착 또는 부착될 수도 있으며, 일부 면적만 커버하도록 접착 또는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벽체 면적의 일부만 커버할 수 있는 보강판(100)의 경우는 하나만 접착 또는 부착될 경우 벽면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두개의 경우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벽체로 부터 약간 이격되도록 벽면의 양쪽에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벽체 면적의 일부만 커버할 수 있는 보강판(100)은 갯수가 많을 수록 더 좋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나, 경제성을 감안하여 가장 적당한 갯수를 조절하여시공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판(100)은 벽체의 양쪽면에 형성되어지면 한쪽면의 벽체에만 형성된 것보다는 훨씬 더 우수한 진동저감 효과를 갖게 된다.
또 상기 보강판(100)들이 상단은 상부 슬래브(20)에, 하단은 하부슬래브(30)에 접하도록 하는 이유는 보강판(100)이 상부 슬래브(20)와 하부슬래브(30) 사이에 꼭 끼도록 함으로써 벽체(10)의 진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있어 보강판(100)의 역활은 벽체(10)의 표면에 밀착됨으로써 단면적을 늘리고, 이로인해 벽체에 단면강도와 인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결국 벽체가 흔들거리는 것을 붙들어 주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강판(100)의 재료에 의해 접착 또는 부착하는 방법이 달라지게 되며, 또한 접착 또는 부착되는 면적도 달라지게 된다.
즉 탄소섬유시트는 두께가 0.165mm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벽체 표면에 직접 접착시켜야 하며, 또한 벽체 표면의 전체면적에 접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탄소판, 강판(鋼板), 에프알피(FRP)판 등은 10~20mm정도의 상당한 두께를 갖는 것이고, 강성 또한 매우 우수한 재질이어서 벽체 표면의 일부면적에 접착되도록 함이 경제적이다.
이때 상기 탄소판, 강판, 에프알피판 등은 고무 등이나 합성수지 등을 매개로 하여 벽면에 접착 또는 부착될 수도 있고, 벽체 내부에 전체 또는 일부가 매몰(埋沒)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보강판(100)을 벽체 표면에 접착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축용 접착제를 사용하며, 부착을 위해서는 콘크리트용 볼트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매몰되는 경우에도 상기 접착수단이나 부착수단에 의해 벽체에 고정되어진다.
또한 경제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 보강판(100)은 콘크리트 내력벽에 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종래 기 건축된 건축물에 설치시에는 벽면에 돌출타입으로 설치하게 될 것이나, 신축건축물에는 미리 벽체의 표면에 보강판 삽입홈을 형성하여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 슬래브에 설치하던 중량바닥충격음 저감수단들과는 달리 벽체의 표면에 보강판을 설치하여 벽체에 단면강도와 인장력을 부여하고, 이로인해 벽체의 진동을 줄여 결국 중량바닥충격음을 최소화함으로써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보강판을 벽면에 접착하거나, 부착하는 단순한 구조여서 설치가 용이하고, 실내공간을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으며,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벽식구조 건축물의 중량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식구조 건축물의 벽체(10) 표면(11)에 보강판(100)이 적어도 한개 이상 접착 또는 부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2. 벽식구조 건축물의 중량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벽식구조 건축물의 벽체(10) 내부에 보강판(100)의 전체 또는 일부가 매몰되도록 설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00)의 상단은 상부 슬래브(20)에, 하단은 하부슬래브(30)에 접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00)은 탄소섬유시트, 탄소판, 강판, 에프알피판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00)은 벽체(10)의 표면(11) 전체면적을 커버하거나 또는 일부 면적만 커버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6.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100)은 벽체의 양쪽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20050048024A 2005-06-03 2005-06-03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06583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024A KR100658381B1 (ko) 2005-06-03 2005-06-03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024A KR100658381B1 (ko) 2005-06-03 2005-06-03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266A true KR20060126266A (ko) 2006-12-07
KR100658381B1 KR100658381B1 (ko) 2006-12-19

Family

ID=37730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024A KR100658381B1 (ko) 2005-06-03 2005-06-03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83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76B1 (ko) * 2009-11-30 2014-06-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격벽 차음성능 향상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76B1 (ko) * 2009-11-30 2014-06-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격벽 차음성능 향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8381B1 (ko) 200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JP2006118338A (ja) リブフレーム構造体の建設方法及びそのリブフレーム構造体
KR100803349B1 (ko) 건축물의 방진 방음 패널
KR100658381B1 (ko) 벽식구조 건축물에 있어서 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KR100658389B1 (ko) 판진동형 흡음재를 이용한 벽식구조 건축물의중량바닥충격음 저감구조
JP2002138597A (ja) 間仕切り壁構造
JP2020100947A (ja) 床構造
KR20190009517A (ko) 기초 바닥용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JP2894197B2 (ja) 床パネルの取付構造
JP3595929B2 (ja) 床下地用パネルおよびそれによる床構造
JP5171115B2 (ja) 建物の床振動対策方法
JP2008095389A (ja) 遮音構造躯体
JP5670675B2 (ja) 遮音乾式二重床及びその施工方法
JP4033465B2 (ja) 建物の床構造
JP7435271B2 (ja) 遮音構造
JP4520566B2 (ja) 建物の制振天井構造
JP3680293B2 (ja) 高架橋下を利用する吊り免震構造物及びその建築工法
JP5594537B2 (ja) 床スラブ上の床下構造体
JP3542854B2 (ja) ユニット建物の制振構造
JP3866218B2 (ja) 建物の防振構造
JP2002339320A (ja) 防音壁
JP4152993B2 (ja) 遮音床
JP6117748B2 (ja) 床構造および床パネル
JP2006125105A (ja) 床の防音構造
JP2007205152A (ja) 遮音二重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