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5413A -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5413A
KR20060125413A KR1020050047444A KR20050047444A KR20060125413A KR 20060125413 A KR20060125413 A KR 20060125413A KR 1020050047444 A KR1020050047444 A KR 1020050047444A KR 20050047444 A KR20050047444 A KR 20050047444A KR 20060125413 A KR20060125413 A KR 20060125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transfer
unit
feed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응민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5004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5413A/ko
Publication of KR20060125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5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8Diverting into different paths or contain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 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중심축의 연장방향이 대략 직교하는 제1 및 제2 이송풀리(21,22)에 벨트(24)가 걸어감아지는 제1트위스트유니트(20)와, 상기 제2이송풀리(21)와 회전중심축이 평행한 제1이송풀리(31)와 제1이송풀리(31)와 회전중심축의 연장방향이 대략 직교하는 제2이송풀리(32)에 벨트(34)가 걸어감아지는 제2트위스트유니트(30)와, 상기 벨트(24,34)의 표면에 매체(m)가 밀착되게 하는 가압롤러(26,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에서는 매체의 이송과정에서 매체의 반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매체반전과정에서 잼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매체를 항상 일정하게 안내하면서 반전시키므로 매체의 상태에 상관없이 정확하게 반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매체, 이송, 반전

Description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Media reverse turning mechanism and media transfer apparatus using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반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제1트위스트유니트 21: 제1이송풀리
22: 제2이송풀리 24: 벨트
26: 가압롤러 30: 제2트위스트유니트
31: 제1이송풀리 32: 제2이송풀리
34: 벨트 36: 가압롤러
40,40': 인입롤러쌍 42: 분기가이드
45: 직진이송경로 47,47': 이송롤러쌍
50: 반전이송경로 52,52': 이송롤러쌍
55: 매체반전기구 57,57': 방출롤러쌍
본 발명은 매체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의 이송경로내에서 매체를 반전시켜 이송할 수 있는 매체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인자동화기기에서는 고객으로부터 인도된 매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스캐닝 및 인쇄작업을 하기 위해 매체를 반전시켜 이송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이는 고객으로부터 인도된 매체는 표면과 이면이 일정하게 정렬되어 있지 않기 때문으로, 매체의 표면과 이면을 스캐닝해야 하거나 인쇄하여야 하는 경우 스캐닝장치나 인쇄장치 이전 단계에서 매체의 표면과 이면을 반전시키도록 하고 있다.
도 1에는 매체의 이송중에 반전이 가능한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이송장치의 요부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1986-905호인데, 이에 따르면, 다수개의 롤러(1)와 벨트(3)에 의해 매체(m)가 이송될 수 있다. 매체(m)는 화살표A로 표시된 경로를 통해 벨트(3)사이로 전달되고, 상기 롤러(1)와 벨트(3)에 의해 형성되는 매체이송로 일측에는 분기가이드(5)가 구비된다. 상기 분기가이드(5)는 반전이 필요한 매체(m)와 그렇지 않은 매체(m)를 분기시켜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전이 필요없는 매체(m)는 화살표B로 표시된 경로를 통해 이송된다.
집적차(7)는 대략 원통상의 것으로, 그 외주면을 둘러 다수개의 집적조(8)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집적조(8)는 대략 집적차(7)의 외면에서 접선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집적조(8)의 사이에는 반전이 필요한 매체(m)가 끼워져 회전된다. 상기 집적차(7)로 이송되는 매체(m)를 안내하기 위해 아이들롤러(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집적차(7)의 집적조(8)사이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매체(m)를 분리해내어 이송하기 위해 픽업롤러(12)가 구비된다. 상기 픽업롤러(12)와 밀착되게 아이들롤러(13)가 구비되는데, 상기 픽업롤러(12)와 아이들롤러(13)사이를 통해 픽업롤러(12)에 의해 픽업된 매체(m)가 화살표C로 표시된 경로를 통해 이송된다.
한편, 상기 화살표B로 표시된 경로와 화살표C로 표시된 경로를 따라 이송된 매체는 화살표D로 표시된 경로로 이송된다. 도면부호 14는 매체(m)를 화살표D로 표시된 경로로 안내하는 이송가이드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매체(m)의 반전이 필요한 경우 집적차(7)로 매체가 이동될 때, 매체(m)가 공간상으로 제한없이 뿌려지는 형태가 되어 정밀한 콘트롤이 어려워 잼(Jam)등의 장애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픽업롤러(12)가 동작해서 상기 집적차(7)의 집적조(8)에 끼워져 있는 매체(m)를 픽업롤러(12)와 아이들롤러(13)의 사이에 끼우는 동작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는 매체(m)를 낚아 채야 하므로 동작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오래 사용된 매체일수록 매체(m)의 빳빳함이 떨어져 픽업롤러(12)가 매체(m)를 낚아채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의 반전을 매체의 이송과정에서 수행할 수 있는 반전기구 및 이 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를 항상 일정하게 안내하면서 반전시키는 반전기구 및 매체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회전중심축의 연장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 및 제2이송풀리와 상기 이송풀리에 의해 구동되어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구로 구성되어, 매체를 이송시키면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제1트위스트유니트와; 회전중심축의 연장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 및 제2이송풀리와 상기 이송풀리에 의해 구동되어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구로 구성되어, 상기 제1트위스트유니트에 의해 이송되어온 매체를 이송하면서 나머지 각도만큼 회전시켜 반전되게 하는 제2트위스트유니트와; 상기 제1트위스트유니트와 제2트위스트유니트의 이송구에 각각 매체가 밀착되게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송구는 벨트이다.
상기 제1 및 제2 트위스트유니트가 서로 인접하는 부분의 이송풀리는 서로 회전중심축이 평행하다.
상기 트위스트유니트의 제1 및 제2 이송풀리는 각각 그 회전중심축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이송구에 매체를 밀착시키는 다수개의 가압롤러이다.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이송구에 매체를 밀착시키는 벨트유니트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매체의 이송경로를 분기하는 분기가이드와, 상기 분기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매체를 그대로 이송시키는 직진이송경로와, 상기 분기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매체를 반전시켜 이송시키도록 상기 매체반전기구가 구비되는 반전이송경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분기가이드로 매체를 안내하는 인입롤러쌍과, 상기 직진이송경로와 반전이송경로를 통과한 매체를 외부로 전달하는 방출롤러쌍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직진이송경로와 반전이송경로에서는 다수개의 이송롤러쌍을 사용하여 매체를 이송한다.
상기 직진이송경로와 반전이송경로에서는 벨트유니트 또는 벨트유니트와 롤러의 조합에 의해 매체가 이송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에서는 매체의 이송과정에서 매체의 반전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므로 매체반전과정에서 잼 등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매체를 항상 일정하게 안내하면서 반전시키므로 매체의 상태에 상관없이 정확하게 반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반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를 참고하여 매체반전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트위스트유니트(20)는 제1이송풀리(21)와 제2이송풀리(22)에 이송구인 벨트(24)가 걸어감아져 구성된다. 상기 제1이송풀리(21)와 제2이송풀리(22)의 회전중심축은 그 연장방향이 직교한다. 물론, 반드시 이송풀리(21,22)의 회전중심축이 서로 반드시 직교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90°전후의 각도를 이루도록 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풀리(21)나 제2이송풀리(22)중 어느 하나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벨트(24)가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이송풀리(21,22)에 양단이 걸어감아지는 벨트(24)는 그 중간부분에서 트위스트되어, 도 2를 기준으로 제1이송풀리(21)에서는 벨트(24)의 표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되나, 제2이송풀리(22)에서는 벨트(24)의 표면이 정면을 향하도록 된다.
상기 벨트(24)에 매체(m)가 밀착되어어 벨트(24)에 의해 이송되도록 하기 위해 다수개의 가압롤러(26)가 사용된다. 상기 가압롤러(26)는 상기 벨트(24)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갯수가 사용된다. 상기 가압롤러(26)의 표면은 상기 벨트(24)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벨트(24)가 트위스트되어 벨트(24)의 표면이 향하는 방향이 달라지면 그에 맞게 가압롤러(26)를 설치하여야 한다.
참고로 상기 벨트(24)에 매체(m)를 밀착시키기 위해 반드시 가압롤러(26)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며, 또 다른 벨트유니트와 같은 가압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2트위스트유니트(30)는 제1 및 제2 이송풀리(31,32)에 벨트(34)가 걸어감 아져 구성된다. 상기 제2트위스트유니트(30)는 제1트위스트유니트(20)와 구성요소가 동일하나, 상기 제1트위스트유니트(20)의 제2이송풀리(22)와 제2트위스트유니트(30)의 제1이송풀리(31)는 그 회전중심축이 서로 평행하게 된다.
상기 제1이송풀리(31)와 제2이송풀리(32)의 회전중심축은 그 연장방향이 직교한다. 물론, 반드시 이송풀리(31,32)의 회전중심축이 서로 반드시 직교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90°전후의 각도를 이루도록 되면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풀리(31)나 제2이송풀리(32)중 어느 하나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벨트(34)가 이동되게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제1트위스트유니트(20)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이송풀리(31,32)에 양단이 걸어감아지는 벨트(34)는 그 중간부분에서 트위스트되어, 도 2를 기준으로 제1이송풀리(31)에서는 벨트(34)의 표면이 정면을 향하도록 되나, 제2이송풀리(32)에서는 벨트(34)의 표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된다.
상기 제2트위스트유니트(30)의 벨트(34)에 매체(m)가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가압수단으로 다수개의 가압롤러(36)가 사용된다. 상기 가압롤러(36)는 그 표면이 상기 벨트(34)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되어 매체(m)를 벨트(34)의 표면에 밀착시킨다. 참고로 상기 가압롤러(36)대신 제2트위스트유니트(30)에서도 벨트유니트를 사용하여 매체(m)를 벨트(34)의 표면에 밀착되게 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고하여 도 2의 매체반전기구가 채용된 매체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인입롤러쌍(40,40')은 반전여부가 결정된 매체(m)를 전달받는다. 상기 입입롤러쌍(40,40')의 사이를 매체(m)가 통과한다. 상기 인입롤러쌍(40,40')중 적어도 하나의 롤러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인입롤러쌍(40,40')을 통과한 위치에는 분기가이드(42)가 구비된다. 상기 분기가이드(42)는 매체(m)의 반전 필요여부에 따라 매체(m)가 전달되는 경로를 달리하는 것이다.
상기 분기가이드(42)에 의해 안내된 매체(m)의 이송을 위해 직진이송경로(45)가 구비된다. 상기 직진이송경로(45)는 다수개의 이송롤러쌍(47,47')을 사용하여 매체(m)를 이송시킨다. 상기 직진이송경로(45)로는 반전이 필요치 않은 매체(m)가 전달된다. 참고로 직진이송경로(45)에서는 이송롤러쌍(47,47') 대신에 벨트유니트 또는 벨트유니트와 롤러의 조합으로 매체(m)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분기가이드(42)에 의해 안내된 매체(m)의 이송을 위해 반전이송경로(50)가 구비된다. 상기 반전이송경로(50) 역시 다수개의 이송롤러쌍(52,52')을 사용하여 매체(m)를 이송시킨다. 상기 반전이송경로(45)로는 반전이 필요한 매체(m)가 전달된다. 참고로 반전이송경로(45)에서도 이송롤러쌍(52,52')대신에 벨트유니트 또는 벨트유니트와 롤러의 조합으로 매체(m)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반전이송경로(5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체반전기구(5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반전이송경로(50)를 매체(m)가 통과하면서 매체(m)가 반전된다.
상기 직진이송경로(45)와 반전이송경로(50)가 다시 만나는 부분에는 방출롤러쌍(57,57')이 구비된다. 상기 방출롤러쌍(57,57')은 상기 직진이송경로(45)와 반전이송경로(50)를 통과하여 온 매체(m)를 배출하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입롤러쌍(40,40')으로는 미리 반전여부가 결정된 매체(m)가 전달된다. 만약 반전이 필요없는 매체(m)가 들어오면, 상기 분기가이드(42)에 의해 매체(m)는 직진이송경로(45)로 전달된다. 상기 직진이송경로(45)에서는 이송롤러쌍(47,47')에 의해 매체(m)가 이송되어 상기 방출롤러쌍(57,57')으로 전달되어 매체이송장치에서 빠져나간다.
그리고, 반전이 필요한 매체(m)가 들어오면 상기 분기가이드(42)는 매체(m)를 반전이송경로(50)로 전달한다. 반전이송경로(50)로 전달된 매체(m)는 이송롤러쌍(52,52')에 의해 이송되어 매체반전기구(55)로 들어간다.
매체반전기구(55)로 들어간 매체(m)는 상기 제1트위스트유니트(20)의 벨트(24)와 제1이송풀리(21)에 대응되는 가압롤러(26) 사이로 이송된다. 상기 가압롤러(26)에 의해 상기 매체(m)는 상기 벨트(24)에 밀착되어 벨트(24)의 이동에 의해 이송된다.
상기 벨트(24)는 제1이송풀리(21)에서 제2이송풀리(22)로 가면서 대략 90°회전된다. 이는 상기 벨트(24)가 그 중간부분에서 트위스트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트위스트유니트(20)와 다수개의 가압롤러(26)에 의해 이송되는 매체(m)는 대략 90°만큼 회전된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트위스트유니트(20)와 가압롤러(26)들에 의해 이송된 매체(m)는 제2트위스트유니트(30)의 제1이송풀리(31)에 대응되는 가압롤러(36)와 벨 트(34)의 사이로 전달된다. 상기 매체(m)는 상기 제2트위스트유니트(30)와 가압롤러(36)에 의해 이송되는데, 상기 제2트위스트유니트(30)의 벨트(34)가 그 중간부분에서 트위스트되어 있어 상기 제2트위스트유니트(30)와 다수개의 가압롤러(36)에 의해 이송되는 매체(m)는 대략 90°만큼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매체반전기구(55)의 내부로 들어오기 전의 상태와 비교해서 매체(m)는 180°만큼 반전된 상태가 된다. 상기 매체반전기구(55)에서 나온 매체(m)는 이송롤러쌍(52,52')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방출롤러쌍(57,57')으로 전달되어 매체이송장치에서 빠져나간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이송구로서 벨트(34) 대신에 다른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매체(m)를 이송시킬 수 있는 로우프나, 체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매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매체의 반전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므로 매체의 반전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지고 매체의 잼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매체를 반전시킴에 있어, 매체를 벨트에 가압수단으로 항상 일정하 게 눌러주면서 반전시키므로 매체의 상태에 관계없이 매체의 반전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0)

  1. 회전중심축의 연장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 및 제2이송풀리와 상기 이송풀리에 의해 구동되어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구로 구성되어, 매체를 이송시키면서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제1트위스트유니트와;
    회전중심축의 연장방향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는 제1 및 제2이송풀리와 상기 이송풀리에 의해 구동되어 매체를 이송시키는 이송구로 구성되어, 상기 제1트위스트유니트에 의해 이송되어온 매체를 이송하면서 나머지 각도만큼 회전시켜 반전되게 하는 제2트위스트유니트와;
    상기 제1트위스트유니트와 제2트위스트유니트의 이송구에 각각 매체가 밀착되게 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반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구는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반전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트위스트유니트가 서로 인접하는 부분의 이송풀리는 서로 회전중심축이 평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반전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위스트유니트의 제1 및 제2 이송풀리는 각각 그 회전중심축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반전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이송구에 매체를 밀착시키는 다수개의 가압롤러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반전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이송구에 매체를 밀착시키는 벨트유니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반전기구.
  7. 매체의 이송경로를 분기하는 분기가이드와,
    상기 분기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매체를 그대로 이송시키는 직진이송경로와,
    상기 분기가이드에 의해 안내된 매체를 반전시켜 이송시키도록 청구항 1에서 청구항 5중 어느 한 항의 매체반전기구가 구비되는 반전이송경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송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가이드로 매체를 안내하는 인입롤러쌍과, 상기 직진이송경로와 반전이송경로를 통과한 매체를 외부로 전달하는 방출롤러쌍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송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이송경로와 반전이송경로에서는 다수개의 이송롤러쌍을 사용하여 매체를 이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송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이송경로와 반전이송경로에서는 벨트유니트 또 는 벨트유니트와 롤러의 조합에 의해 매체가 이송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이송장치.
KR1020050047444A 2005-06-02 2005-06-02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 KR20060125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444A KR20060125413A (ko) 2005-06-02 2005-06-02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444A KR20060125413A (ko) 2005-06-02 2005-06-02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5413A true KR20060125413A (ko) 2006-12-06

Family

ID=3772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444A KR20060125413A (ko) 2005-06-02 2005-06-02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541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898A2 (ko) * 2009-07-24 2011-01-27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10898A2 (ko) * 2009-07-24 2011-01-27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WO2011010898A3 (ko) * 2009-07-24 2011-04-21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2022B2 (en) Apparatus for reversing a sheet
JP2009292601A (ja) 仕分装置
US20070090592A1 (en) Paper sheet break detection apparatus
CN109195891B (zh) 正反面反转装置、纸张处理机及正反面反转方法
US8292292B2 (en) Paper sheet obverse and reverse side arranging device
KR20060125413A (ko) 매체반전기구 및 이를 사용한 매체이송장치
JP6814072B2 (ja) 表裏反転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機
JP3583139B2 (ja) 平らな発送物の搬送装置
JP2009184753A (ja) 媒体処理装置
JPH02198960A (ja) 用紙の搬送装置
JP5016987B2 (ja) 容器の整列装置
JP4458578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2338093A (ja) 表裏反転装置
JPH11147508A (ja) 卵の方向整列装置
JP5105047B2 (ja) 金属製容器の搬送装置
JPH07187469A (ja) 紙葉類搬送装置
JP2968463B2 (ja) カード搬送装置
JP2010111500A (ja) 扁平ワークの反転装置、外観検査装置および反転方法
JPH0543079A (ja) カード搬送装置
KR20110009474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기장치
JP2019210125A (ja) 紙葉類処理装置
JPS62167149A (ja) シ−ト搬送装置
JPH01127555A (ja) 紙葉類反転装置
JPS61263547A (ja) シ−ト搬送装置
JP2003212398A (ja) 媒体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1229

Effective date: 2007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