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647A - 상황버섯 발포정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 Google Patents

상황버섯 발포정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647A
KR20060119647A KR1020050042880A KR20050042880A KR20060119647A KR 20060119647 A KR20060119647 A KR 20060119647A KR 1020050042880 A KR1020050042880 A KR 1020050042880A KR 20050042880 A KR20050042880 A KR 20050042880A KR 20060119647 A KR20060119647 A KR 20060119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composition
water
cit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우
Original Assignee
케어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어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어빌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9647A/ko
Publication of KR20060119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6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32Citric ac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버섯수용성성분을 주성분으로 한 혼합물을 섭취하기에 편리한 발포정 제형으로 만들어 다류, 음료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성성분만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황버섯에서 유용한 수용성 성분만을 추출하는 제조방법과 그 수용성 상황엑기스분말을 섭취하기 편리하게 100중량부에 대해, 중조 100-300 중량부, 구연산 80-160 중량부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100-300 중량부로 이루어진 발포가 잘되도록 하는 조성물 제형이며, 아울러 수용성 상황엑기스분말에 의한 일반결합제로는 타정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를 쉽게 타정할 수 있는 제조방법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용성 성분만을 추출한 상황버섯을 발포정 조성물로 간편하게 섭취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다류, 음료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황버섯 발포정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and composition of effervescent tablet of Phellinus linteus }
도 1은 본 발명의 상황버섯의 수용성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수용성 상황추출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수용성 상황추출물의 성분을 HPLC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수용성 상황추출물의 성분을 IR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수용성 상황추출물의 성분을 NMR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상황버섯 발포정 제형으로 다류, 음료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하는 제조방법 및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상황버섯에서 수용성 성분만을 추출하여 수용성 상황엑기스분말을 100중량부에 대해, 중조 100-300 중량부, 구 연산 80-160 중량부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100-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목질진흙버섯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 분포한다. 한의서[신농본초경]에 기록된 상황(桑黃) 또는 상이(桑耳)라는 버섯은 뽕나무에서 나오는 황색버섯이라는 뜻이 있으며, 산뽕나무의 고목에서 자생하며 번식이 되지 않는 매우 희귀한 담자균류의 다년생 버섯이다.
현재, 상황은 식양청고시 제2003-8(2003.10)호로 고시되어 식품의 원료로 사용이 가능하며, 칼륨, 칼슘, 마그네슘, 비타민 B2, B3, C, 다당류(polysaccharide)를 함유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상황버섯을 종래의 기술로 다려먹는 방법 등의 불편이 있었다. 일반가정에서는 상황버섯을 세절 한 후 약탕기에 넣고 장시간 끓여서 여과포에 걸러 복용하거나 티백에 넣어 온수에 우려 마시고 그 티백은 폐기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전통의 방법으로 다려 먹거나 분말로 만들어 먹거나 티백으로 우려먹는 불편을 해소하는 편리한 방법에 대한 개선안을 탐색하던 중, 수용성 성분만을 추출한 상황버섯엑기스 분말에 중조, 구연산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를 혼합하는 발포정 제형을 고안했다. 아울러, 수용성 상황엑기스분말에 일반결합제 사용으로는 타정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를 쉽게 타정할 수 있도록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황버섯혼합물발포정을 단지 온수에 넣으면 10∼30초 이내로 쉽게 발포되므로 녹은 혼합액을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조성물 을 제공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수용성 성분만을 추출하는 제조방법으로 추출한 수용성 상황버섯 엑기스 분말, 중조, 구연산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의 혼합분말 조성으로 수용성 상황엑기스분말에 대한 일반결합제 사용으로는 타정이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여 이를 쉽게 타정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상황버섯 주성분 혼합제품을 온수에 넣어 쉽게 발포 용해시켜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상황버섯을 종래의 기술로 다려먹는 방법은 상황버섯을 세절 한 후 약탕기에 넣고 장시간 끓여서 여과포에 걸러 복용하거나, 티백에 넣어 온수에 우려마시고 그 티백은 폐기해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전통의 방법으로 다려먹거나 분말로 만들어 먹거나 티백으로 우려먹는 불편을 해소하고자 간편하게 온수에 발포정을 넣으면 자동으로 발포하여 쉽게 음용할수 있는 제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용성 성분만을 추출한 상황버섯엑기스 분말, 중조, 구연산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혼합물 조성으로 상황버섯을 온수에 넣어 쉽게 발포, 용해되므로 간편하게 음용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면역 증강에 유용한 상황버섯을 간편하게 발포정으로 음용할 수 있는 다류, 음료 및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용성 상황엑기스분말을 100중량부에 대해, 중조 100-300 중량부, 구연산 80-160 중량부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100-300 중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각각의 구성성분이 어떠한 작용을 나타내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의 주성분은 베타글루칸이라 불리는 다당체로서, 효모 등에서 추출하며, 식물에서도 발견된다. 상황(桑黃)버섯은 흔히 뽕나무에서만 나오는 버섯인 줄로 알고 있지만 고산지대에 서식하고 있는 산뽕나무, 참나무, 밤나무, 상수리나무, 백양나무와 상수리나무, 백양나무와 버드나무와 같은 활엽수 나무 몸통 등의 고목에서 자생하고 있다. 상황버섯은 수십년 자란 고사목에서 주로 기생하며 [본초강목]이나 [동의보감] 같은 한의학 고서에 상이(桑耳), 상목이(桑木耳), 상신(桑臣), 침열제(針裂蹄)등의 이름으로 기록에 남아 있으나 실제 구하기가 너무 어려워 한약상들 사이에서 전설의 약제로 전해 내려오고 있다. 또한 재배에 있어서도 번식이 잘되지 않아 아직도 대량생산에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상황버섯 자실체는 처음에는 진흙 덩어리 형태로 자라다가 겨울이 되면 성장을 멈추고 노란부분이 진흙색으로 변하며 다시 봄이 되면 노랗게 덧 자라는 다년생 버섯이다. 버섯을 달였을 때는 노랗거나 담황색으로 맑게 나타나며, 맛과 향이 없는게 특징이고, 맛이 순하고 담백하여 먹기에도 좋다.
상황버섯의 효능은 첫째, 소화기 계통의 암인 위암, 식도암, 십이지장암, 결 장암, 직장암을 비롯한 간암의 절제 수술 후 화학요법을 병행할 때 면역기능을 항진시킨다. 둘째, 자궁출혈 및 대하, 월경불순, 장출혈, 오장 및 위장 기능을 활성화 시키고 해독작용을 한다. 항암 치료제로서의 상황버섯은 예로부터 담자균류는 식용과 민간약으로 쓰여 왔으나 그 항암효과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활발하게 연구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대량생산의 목적으로 많은 연구재배가 진행되고 있다. 담자균의 항종양 성분은 대부분 단백결합 다당체 또는 다당체이여, 그밖에 염기성 단백 등이 보고되고 있다. 단백 다당류는 항암성 요법제와는 달리 정상세포에 독작용을 나타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면역기능을 강화함으로써 항암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기존의 항암제와 병행할 때 이상적인 치료효과를 나타낸다. 담자균 중 월등히 항암력을 지닌 것이 상황버섯인데 종양 저지율이 96.7%로서 가장 강력한 항암력을 지니고 있다.
중조(Sodium bicarbonate)는 탄산수소나트륨으로 탄산의 일수소나트륨염. 중조·산성탄산나트륨·중탄산나트륨·중탄산소다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NaHCO3이다. 무색의 결정성(結晶性)분말로, 비중 2.20이다. 가열하면 이산화탄소 CO2와 물 H2O를 발생하고, 탄산나트륨무수물(無水物) Na2CO3로 변한다.
2NaHCO3 → Na2CO3+H2O+CO2
수용액은 가수분해에 의해서 약한 알카리성을 보이는데, 이것은 메틸오렌지에 대해서는 변색하지만, 페놀프탈레인에 대해서는 중성(中性)을 보일 정도이다. 또, 수용액을 가열하면 65℃ 이상에서 탄산가스를 방출하며 탄산나트륨 용액으로 변한다. 염산, 황산 등의 산과 작용시켜도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순수한 것은 탄산나트륨 용액에 이산화탄소를 통하면 생기는 침전을 여과하여, 이산화탄소의 기류 속에서 건조 시킨다. 공업적으로는 탄산나트륨을 제조 할 때 사용되는 암모니아-소다법의 중간물질로서 생성되며, 탄산나트륨 수화물에 이산화탄소를 통해도 생긴다. 불순물로 염화암모늄, 염화나트륨 등이 함유 되어 나오므로, 필요에 따라 65℃ 이하의 수용액으로부터 재결정시킨다. 제산제, 알카리제, 술파제 복용시의 부작용 억제제 등 의약품으로 사용되고 나트륨염의 제조원료, 베이킹파우더, 가루비누의 배합제, 양털 등의 세척제, 거품소화제(消火劑), 청량음료의 탄산가스 발생제 등 용도가 매우 다양하다.
구연산은 시트르산(citric acid)이라고도 하고 화학식은 C6H8O7이다. 많은 식물의 씨나 과즙 속에 유리상태의 산으로 함유되어 있다. 구연이란 시트론(citron)의 한자명이며, 시트론을 비롯하여 레몬이나 덜 익은 광귤 등 감귤류의 과일에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는 데에서 연유한다. 영어명인 citric acid의 citric도 감귤류를 뜻하는 그리스어인 citrus에서 유래한 것이다. 물에서 결정시키면 1분자의 결정수를 지닌 큰 주상 결정이 생긴다. 가열하면 무수물이 되는데, 이것은 녹는점이 153℃이다. 온도를 더 올리면 175℃에서 아코니트산이 되고, 고온에서는 이타콘산무수물이나 전위 생성물인 시트라콘산 무수물 및 아세톤디카르복실산을 생성한다. 물, 에탄올에 잘 녹으며, 당류를 기질로 하여 미생물을 배양했을 때, 배양액 속에 시트르산이 축적되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시트르산발효라 한다. 여러 배양 방법이 연구되어 지금은 세계에서 생산되는 시트르산 총량의 90%가 이 발효법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시트르산발효를 일으키는 미생물로는 보통 검정곰팡이가 사용되는데, 산성(pH 2∼3)에서 약 30℃, 7∼10일간 발효시키면 시트르산을 얻을 수 있다. 또, TCA회로를 구성하는 한 요소로 시트르산은 고등동물의 물질대사에서 중요한 구실을 한다. 또한, 체내의 칼슘흡수를 촉진시키는 작용도 알려져 있다. 용도로는 과즙, 청량음료에 첨가하거나, 의약품, 이뇨성 음료에 신맛을 내는 외에 분석시약으로도 사용된다. 또, 혈액응고에는 칼슘이온이 필요한데, 시트르산은 칼슘이온을 포착(捕捉)하므로 혈액응고저지제로 사용된다.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는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계열 중 한 종류로 일반적으로 정제의 타정성을 좋게 하는 결합제, 점증제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들의 각각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용성 상황엑기스분말은 상황버섯이 잠길 정도로 400L정도 정제수를 계량하여 투입한다. 상황분말 50Kg을 평량하여 추출기에 투입한다. 가성소다 1,000g을 투입 60℃에서 써클레이션 12시간 이상 반응한다. 정제수를 최종 1,000리터로 계량하여 가성소다 1,000g을 추가 투입 한 후 1치 95℃에서 6시간 추출한다. 1차 추출액의 상등액을 취하여 교반탱크에 여과포로 여과 이송한다. 1차 추출액의 상등액을 원심분리기로 찌꺼기 분리 후 농축기로 이송한다. 2차 추출 후 여과한 액을 원심분리한 다음 농축기로 이송한다. 농축액을 구연산으로 중화한다(pH 6). 최종 농축액이 80∼120Kg정도의 농축액이 될 때 까지 농축한다. 95℃이상에서 12시간 이상 건 조하여 엑기스 분말화 한다. 단, 1차 원심 분리시 찌꺼기는 2차 추출시 투입하여 함께 추출하며, 수율은 24.56%(12,280g)이다.
중조(탄산수소나트륨)는 탄산나트륨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암모니아-소다법의 중간물질로서 생성되며, 탄산나트륨 수화물에 이산화탄소를 통해서 생긴다. 불순물로 염화암모늄, 염화나트륨 등이 함유되어 나오므로, 필요에 따라 65℃ 이하의 수용액으로부터 재결정시킨다.
구연산(시트르산)은 당류를 기질로 하여 미생물을 배양했을 때, 배양액 속에 시트르산이 축적되는 현상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시트르산발효라 한다. 여러 배양방법이 연구되어 지금은 세계에서 생산되는 시트르산 총량의 90%가 이 발효법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시트르산발효를 일으키는 미생물로는 보통 검정곰팡이가 사용되는데, 산성(pH 2∼3)에서 약 30℃, 7∼10일간 발효시키면 시트르산을 얻을 수 있다.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는 지방산을 에스테르화시켜 만든 첨가물이며 정제의 증점제로 타정성을 좋게 한다.
상기에서 제조한 상황버섯엑기스 분말, 중조, 구연산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을 혼합하여 추출 혼합물을 제조하여야 하나 상황버섯엑기스 분말에 의한 타정이 용이 하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발포정을 제조하여 타정이 쉽게 될 수 있도록 한다. 우선,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를 제외한 모든 원료분말을 비닐백에서 충분히 혼합한다. 핫풀레이트 및 전열기(전기히다)에서 후라이펜 및 스텐용기로 가열하여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를 투명하게 용해한다. 글리세릴 모 노 스테아레이트 용해물에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를 제외한 원료 혼합분말을 넣고 고무헤라 및 고무장갑을 끼고 손으로 반죽을 한다. 반죽시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가 냉각되면서 덩어리가 지므로 열을 가하면서 여러 차례 반죽을 하여 혼합분말 전체가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용해물에 반죽이 되도록 반복하여 반죽한다. 20매쉬 정도 스크린에 통과하여 상온에서 냉각한 다음 다시 20매쉬 스크린에 정립하여 타정한다. 붕해도는 냉수에는 30분 이내, 60℃정도 온수에는 5초이내 기포가 발생하면서 용해된다.
본 발명의 일반 시중에서 판매되는 100℃이상에서 물로 끓여 여과포로 여액을 건조한 단순 열수추출방법에 의한 일반 상황버섯 추출 건조물과 상기에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의한 수용성 상황버섯 추출 건조물의 총 베타글루칸 함량과 알파 및 베타글루칸 함량을 측정한 결과는 각각 표 1과 같았다.
표 1. 일반 상황버섯 추출 건조물과 수용성 상황버섯 추출 건조물에 함유된 총 베타글루칸 함량과 알파 및 베타글루칸 함량 측정 결과 비교
Figure 112005506343943-PAT00001
따라서 수용성 상황버섯 추출 건조물의 총 베타글루칸 함량이 일반 상황버섯 추출 건조물보다 더 높게 나타나 수용성 상황버섯 추출물 제조방법은 총 베타글루칸, 특히 베타글루칸 함량을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는 제조 방법임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반 상황버섯 추출방법 및 수용성 상황버섯 추출방법 실시 후 여과포에 남아 폐기되는 불용성 찌꺼기에 함유된 총 베타글루칸, 알파글루칸, 베타글루칸의 함량은 표2 와 같다.
표 2 일반 상황버섯 추출 건조물 및 수용성 상황버섯 추출 건조물의 추출방법 실시 후 여과포에 남아 있는 불용성 찌꺼기에 함유된 총 베타글루칸, 알파글루칸, 베타글루칸 함량 측정 결과 비교
Figure 112005506343943-PAT00002
그 결과, 수용성 상황버섯 추출방법에 의해 남는 불용성 상황버섯 찌꺼기에는 총 글루칸 함량이 적으므로 일반 상황버섯 추출 후 폐기되는 불용성 찌꺼기에 포함된 총 베타글루칸 함량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추출 제조방법은 수용성 상황버섯 추출방법에 의해 추출한 건조물은 일반 단순 열수 추출에 의한 일반 상황버섯 추출물 보다 총 베타글루칸 함유량이 높으며, 아울러, 상황버섯에서 차나 음료의 형태로 온수에 타서 마실 때 불용성 찌꺼기가 많이 생기지 않아 유효성분인 총 베타글루칸 함량 손실이 적게 되므로 좋은 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용성 상황버섯추출 방법은 추출 후 폐기되는 불용성 상황버섯 찌꺼기에는 총 글루칸 함량이 일반 상황버섯 추출 후 불용성 찌꺼기에 포함된 총 베타글루칸 함량보다 적으므로 면역활성이 있 는 총 베타글루칸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총 글루칸 함량 획득 수율을 유용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추출 혼합물에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추출 혼합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및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및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및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및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와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및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며, 일일 투여량은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이 200mg 내지 3.5 mg/kg이고, 바람직하기로는 140mg 내지 2.33 mg/kg이며, 하루 1∼6 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을 랫트에 경구 투여하여 독성 실험을 수행한 결과, 경구 투여 독성시험에 의한 50% 치사량(LD50)은 적어도 1g/kg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면역력 저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또는 수술, 방사선 치료,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면역력 개선을 목적으로 건강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 혼합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는 본 발명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이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된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 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의 제조
1. 상황 추출 혼합물의 제조
상황버섯을 정제수를 투입한 후 추출기에 투입하여 가성소다로 12시간 이상 반응 시킨 후 3회 추출하여 원심분리기로 찌꺼기 분리 후 농축했다. 농축액을 구연산으로 중화하여 95℃에서 12시간동안 열수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농축액을 진공 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상황버섯 엑기스 추출물을 얻었다.
그 제조방법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용성 상황 추출물 50 중량%에 중조 20 중량%과 구연산 12 중량%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20 중량%를 넣고 혼합하였다.
2. 중조의 제조
암모니아-소다법의 중간물질로부터 얻으며, 탄산나트륨 수화물에 이산화탄소를 통해서도 얻는다. 불순물로 염화암모늄, 염화나트륨 등이 함유되어 나오므로, 필요에 따라 65℃ 이하의 수용액으로부터 재결정시킨다.
3. 구연산의 제조
당류를 기질로 하여 미생물로 배양해서 시트르산 발효를 시킨다. 산성(pH 2∼3)에서 약 30℃, 7∼10일간 발효시켜 시트르산을 얻을 수 있다.
4.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의 제조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에서 분리 정제하여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가 40%이상 함유된 지방산을 얻을 수 있다.
5. 추출 혼합물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수용성 상황추출물 48 중량%, 중조 20 중량%, 구연산 12 중량%,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20 중량%을 혼합하여 추출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6. 발포정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수용성 추출혼합물을 분말, 중조, 구연산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을 혼합하여 추출 혼합물을 제조하여야 하나 상황버섯엑기스 분말로 인해 타정이 용이 하지 않으므로 우선,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를 제외한 모든 원료분말을 비닐백에서 충분히 혼합 후, 핫풀레이트 및 전열기(전기히타)에서 후라이펜 및 스텐용기로 가열하여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를 투명하게 용해하면서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를 제외한 원료 혼합분말을 넣고 고무헤라 및 고무장갑을 끼고 손으로 반죽을 한다. 반죽시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가 냉각되면서 덩어리가 지므로 열을 가하면서 여러 차례 반죽을 하여 혼합분말이 전체가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용해물에 반죽이 되도록 반복하여 반죽한 후, 20매쉬 정도 스크린에 통과하여 상온에서 냉각한 다음 다시 20매쉬 스크린에 정립하여 타정한다.
그 제조방법은 도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추출물의 성분분석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추출물의 성분을 HPLC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수용성 상황추출물에는 갈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오스, 자일로스 등이 들어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용성 상황추출물에는 갈락토스, 글루코스, 만노오스, 자일로스 등이 들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 본 발명의 상황추출물의 IR 구조분석
본 발명의 상황추출물을 IR을 통해서 구조를 분석해 보았다.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황추출 혼합물은 복합 다당체 구조를 갖는 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황추출 혼합물은 버섯 복합 다당체의 면역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본 발명의 상황버섯추출물의 NMR 구조 분석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의 정확한 다당류의 구조 분석을 NMR을 통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황버섯추출물은 베타 1-3 글루칸을 주로 하는 다당체 구조를 갖는다.
실험예 4 : 본 발명의 상황버섯추출물의 붕해시험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의 적절한 붕해도를 얻기 위해 온수와 냉수에서의 붕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표 3 수용성 상황추출 혼합물의 각 조성에서의 온수와 냉수에서의 측정 결과 비교
Figure 112005506343943-PAT00003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중조 20 중량%, 구연산 12 중량%가 붕해속도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 약학적 제제의 제조
1. 산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의 추출 혼합물 2g
유당 1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2.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의 추출 혼합물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 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3. 캡슐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의 추출 혼합물 100mg
옥수수전분 100mg
유 당 100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1. 조리용 양념의 제조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 추출물 20 ∼ 95 중량%로 건강 증진용 조리용 양념을 제조하였다.
2. 토마토 케찹 및 소스의 제조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 추출물 0.2 ∼ 1.0 중량%를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토마토 케찹 또는 소스를 제조하였다.
3.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 추출물 0.5 ∼ 5.0 중량%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4.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 추출물 0.1 ∼ 5.0 중량%를 스프 및 육즙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 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하였다.
5. 그라운드 비프(ground beef)의 제조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추출물 10 중량%를 그라운드 비프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그라운드 비프를 제조하였다.
6.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추출물 5 ∼ 10 중량%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7.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 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추출물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 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추출 혼합물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중량%, 율무 15중량%, 보리 20중량%),
종실류(들깨 7중량%, 검정콩 8중량%, 검정깨 7중량%),
수용성 상황추출물 건조분말(3 중량%),
영지(0.5중량%),
지황(0.5중량%)
제제예 3 : 음료의 제조
1.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10%, 구연산 0.05∼0.3%, 카라멜 0.005∼0.02%, 비타민 C 0.1∼1%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94%의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98℃에서 20∼18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0.82%를 주입하여 본 발명의 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하였다.
2. 건강음료의 제조
액상과당(0.5%), 올리고당(2%), 설탕(2%), 식염(0.5%), 물(75%)과 같은 부재료와 수용성 상황 추출물을 균질하게 배합하여 순간 살균을 한 후 이를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건강음료를 제조하였다.
3. 야채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추출물 5g을 토마토 또는 당근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야채쥬스를 제조하였다.
4. 과일쥬스의 제조
본 발명의 수용성 상황추출물 1g을 사과 또는 포도 쥬스 1,000㎖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쥬스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간편하게 차에 넣어 마실 수 있는 발포정 차, 음료 및 건강기능식품 제형으로 주성분인 수용성 상황버섯 추출물은 면역활성을 증가 시키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상황버섯엑기스 분말, 중조, 구연산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을 포함하는 발포정으로 간편하게 복용 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용성 상황엑기스분말을 100중량부에 대해, 중조 100-300 중량부, 구연산 80-160 중량부 및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100-300 중량부를 포함하는 발포정으로 간편하게 복용 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용성 상황추출물 48 중량%, 중조 20 중량%, 구연산 12 중량%, 글리세릴 모노 스테아레이트 20 중량%를 포함하는 발포정으로 간편하게 복용 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050042880A 2005-05-20 2005-05-20 상황버섯 발포정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200601196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880A KR20060119647A (ko) 2005-05-20 2005-05-20 상황버섯 발포정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880A KR20060119647A (ko) 2005-05-20 2005-05-20 상황버섯 발포정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647A true KR20060119647A (ko) 2006-11-24

Family

ID=37706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880A KR20060119647A (ko) 2005-05-20 2005-05-20 상황버섯 발포정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9647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258B1 (ko) * 2007-05-28 2007-12-06 강용수 버섯식초를 이용한 시럽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1447009B1 (ko) * 2012-10-11 2014-10-07 지 환 황 발포성 소화효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8906A (ko) 2015-02-11 2016-08-19 담양군 블루베리 열매 추출물을 함유한 발포정의 제조방법
CN107712540A (zh) * 2017-11-01 2018-02-23 韶关学院 一种杨梅泡腾片速溶固体饮料的制备方法
KR20190100066A (ko) 2018-02-19 2019-08-2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삼 및 비타민 c 발포제형
KR20200126239A (ko)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진안당연구소 커큐민 홍삼 발포정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3258B1 (ko) * 2007-05-28 2007-12-06 강용수 버섯식초를 이용한 시럽 및 이를 이용한 음료
KR101447009B1 (ko) * 2012-10-11 2014-10-07 지 환 황 발포성 소화효소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8906A (ko) 2015-02-11 2016-08-19 담양군 블루베리 열매 추출물을 함유한 발포정의 제조방법
CN107712540A (zh) * 2017-11-01 2018-02-23 韶关学院 一种杨梅泡腾片速溶固体饮料的制备方法
KR20190100066A (ko) 2018-02-19 2019-08-28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홍삼 및 비타민 c 발포제형
KR20200126239A (ko) 2019-04-29 2020-11-06 주식회사 진안당연구소 커큐민 홍삼 발포정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71792B (zh) 一种酶改质甜菊健康糖及其制备方法
KR20060119647A (ko) 상황버섯 발포정의 제조방법 및 조성물
KR20060108225A (ko) 진세노시드 Rg5의 함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가공인삼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490786B1 (ko) 아까시재목버섯의 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320738B1 (ko) 미세조류 유래 색소를 추출하는 방법 및 추출된 푸코크산틴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97235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CN101548769B (zh) 一种姜可乐保健饮料及其制备工艺
KR20140133016A (ko) 나한과(Siraitia grosvenorii)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JPH11130692A (ja) カバノアナタケ抽出物を含有する注射液及びその他の薬 剤並びに健康飲食製品
KR101731075B1 (ko) 베툴린 또는 베툴린산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555904B1 (ko) 큰느타리버섯과 오가피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559495B1 (ko) 다이네오리그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전이효소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20180099052A (ko) 이노토디올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차가버섯 추출물의 제조방법
JP6044944B2 (ja) 新規梅加工品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機能性組成物、食品組成物、医薬組成物
CN102423093B (zh) 一种竹叶菜功能饮料及其制备方法
KR101044717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723529B2 (ja) ホップ葉含有飲食用組成物
CN105494819B (zh) 黑苦荞复合茶饮料及其制备方法
KR100542871B1 (ko) 다이네오리그난계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전이효소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20140089173A (ko) 울산 도깨비 바늘 추출물 및 trail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38278B1 (ko) Afg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순환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99492B1 (ko) 숙지황과 골쇄보의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57909B1 (ko) 상황버섯 균사체와 산삼 배양근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074027A (ko) 양파 유래 퀘세틴 비배당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