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330A -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330A
KR20060118330A KR1020060041324A KR20060041324A KR20060118330A KR 20060118330 A KR20060118330 A KR 20060118330A KR 1020060041324 A KR1020060041324 A KR 1020060041324A KR 20060041324 A KR20060041324 A KR 20060041324A KR 20060118330 A KR20060118330 A KR 20060118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eed
plant
shape
seed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0081B1 (ko
Inventor
류봉균
Original Assignee
류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봉균 filed Critical 류봉균
Publication of KR2006011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lant material
    • A01G24/27Pulp, e.g. bagas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01G24/2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containing peat, moss or sphagnu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4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in block, mat or sheet for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최소의 필요공간이 요구되면서 사용자가 물만을 공급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된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은 종자매트와, 이 종자매트가 수납되는 형태의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종자매트는 일정 형상의 상토매트로 된 제1 형태매트와 제2 형태매트 사이에 식물종자가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단에 식물종자가 발아되어 외부로 싹을 틔우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유입시켜 종자매트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흡수구가 형성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종자매트로 유입된 물에 의해 식물종자가 발아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트, 식물, 종자

Description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Block type culture soil contain seed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의 외관형상을 예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도2에서 종자매트(10)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2에서 케이스(2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
도5a 내지 도5d는 도3에 도시된 종자매트(10)와 도4에 도시된 케이스(20)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의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의 구성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종자매트, 11a, 11b : 형태매트,
20 : 케이스, 21 : 개방구,
22 : 흡수구, 23 : 전면부,
24 : 측면부, 25 : 날개부,
26 : 덮개부, 27 : 체결부,
29 : 수납부, 31 : 식물 종자,
32 : 영양제.
본 발명은 작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고 사용자가 물만을 공급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된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화단을 만들거나 또는 화분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게 된다. 이때, 화단이나 화분의 경우 그 배치 및 설치를 위해 일정한 공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종래의 화단이나 화분의 경우에는 넓은 주거공간을 갖고 있는 사용자 이외에는 식물을 재배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화분이나 화단을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경우에는 해당 장소에 흙을 공급하고 주기적으로 물과 영양분을 제공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화분이나 화단의 경우에는 식물재배가 매우 번거롭고, 또한 화분이나 화단으로부터 누출되는 흙이나 물에 의해 주변공간이 더러워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사정을 고려하여 흙을 대용할 수 있는 상토매트가 개발된 바 있다. 이 상토매트는 피트모스, 코코피트, 펄프 등의 재질에 영양분 등을 포함시킨 것으로서, 이러한 상토매트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단지 매트상에 종자를 파종하고 물만 공급하여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토매트의 경우에도 식물 재배를 위해서는 일정 크기 이상의 공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공간적인 제약이 여전히 남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상토매트의 경우에는 통상 볍씨 등과 같은 종자의 모종을 기르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고, 또한 물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된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은 종자매트와, 이 종자매트가 수납되는 형태의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종자매트는 일정 형상의 상토매트로 된 제1 형태매트와 제2 형태매트 사이에 식물종자가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단에 식물종자가 발아되어 외부로 싹을 틔우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유입시켜 종자매트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흡수구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른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제조방법은 상토매트를 일정 형태로 잘라 제1 및 제2 형태매트를 제조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제1 형태매트의 상측에 식물종자를 부 착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형성된 제1 형태매트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제2 형태매트 사이에 식물종자가 배치되도록 제1 형태매트와 제2 형태매트를 고정시켜 종자매트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생성된 종자매트를 상단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흡수구가 형성된 케이스 내측에 결합시켜 종자매트블럭을 생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으로 물만 공급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곳에서나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의 외관형상을 예시한 것으로, 이는 특히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에서 식물이 자라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은 직육각형 블럭을 수직으로 세운 형태를 갖는다. 본 종자매트블럭은 종자매트(10)와 이 종자매트(10)를 에워싸는 케이스(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는 그 상단에 식물이 외부로 싹을 틔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0)의 하단에는 수분을 케이스(20)의 내측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흡수구(22)가 형성된다. 도1에서 상기 개방부(21)는 개폐가 가능한 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어, 도2와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일정한 넓이를 갖는 상토매트를 제작한 후, 예컨대 목형칼과 톰슨기계로 상토매트를 절단하여 사각형상의 형태매트(11), 예컨대 제1 형태매트(11a)와 제2 형태매트(11b)를 제작한다(ST1). 여기서, 상기 상토매트는 폐지 등의 종이를 해리하여 생성된 펄프에 물을 혼합함과 더불어 피트모스, 코코피트, 숯, 보습제, 항공팡이제, 지오라이트, 무기물 등의 양분을 포함하는 재료와 접착제를 일정 비율로 섞어 액체 상태의 배양토를 생성한 후, 이 액체 상태의 배양토를 틀에 넣고 수분을 제거하면 일정 면적과 일정 두께를 갖는 형태로 생성된다. 상기 상토매트로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진공흡입방식의 벼재배용 상토매트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식물 종자의 발아율을 높이기 위해 영양분이 함유되지 않은 중성매트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형태매트는 이후에 설명할 식물종자와 영양제를 끼울 수 있는 소정 홈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형태매트는 상토매트 금형에 금형돌기를 제작하여 홈이 형성된 상토매트를 잘라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매트는 상토매트를 일정 모양으로 자르는 목형칼에 목형돌기를 제작하여 형태매트 제조시 홈이 형성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이어, 상기 ST1단계에서 생성된 제1 형태매트(11a)의 일정 위치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식물 종자(31)를 부착시킨다(ST2). 이때, 상기 식물 종자(31)로서는 식물의 씨앗 또는 식물의 줄기 또는 식물의 눈 또는 여러해살이 식물의 뿌리나 구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는 식물의 성장에 방해가 안 되고, 수분에 쉽게 녹을 수 있는 수용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형태매 트(11a)의 일정 위치,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 종자(31)의 하측에는 식물성장에 필요한 영양제(32)를 추가로 부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영양제(32)는 식물의 발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식물이 성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폴리머 코팅 처리된 입자형의 비료이거나 휘발성을 제거하고 수용성으로 특수 처리한 아스팔트액에 상토매트를 침전, 건조하여 생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ST2단계에서 식물 종자(31)와 영양제(32)가 부착된 제1 형태매트(11a)의 상측에 제2 형태매트(11b)를 고정시켜 종자매트(10)를 생성한다(ST3). 즉,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자매트(10)는 제1 형태매트(11a)와 제2 형태매트(11b) 사이에 식물종자(31)와 영양제(32)가 배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종자매트(10)는 반드시 제1 형태매트(11a)와 제2 형태매트(11b)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형태매트와 형태매트 사이에 식물종자(31)와 영양제(32)가 부착된 형태로 제1 내지 제N 형태매트가 다층구조로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 형태매트(11a)와 제2 형태매트(11b)는 접착제나 접착테이프로 붙이거나, 별도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수단에 의한 제1 및 제2 형태매트(11a,11b) 고정방법으로는 고정핀이나 스테플러로 고정시키거나 끈으로 묶거나 꿰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자매트(10)의 하단에는 종자매트로 수분이 용이하게 흡수되도록 스폰지나 부직포 등과 같은 수분흡수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어, 상기 ST3단계에서 생성된 종자매트(10)를 케이스(20)와 결합시켜 종자매트블럭을 생성한다(ST4). 상기 케이스(20)는 기본적으로 수분에 의해 종자매 트(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0)는 종자매트(10)에서 수분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를 종자매트(10) 안에 가두어 식물 종자에 발아에 사용되도록 함은 물론, 종자매트의 습기가 공기 중으로 급격히 배출되는 것을 차단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도4는 상술한 케이스(2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개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0)는 종자매트(10)의 전면에 대응되는 전면부(23)와, 이 전면부(23)의 각 면에 연장 형성되는 측면부(24), 측면부(24)의 좌/우에 연장형성되면서 상호 체결되어 종자매트(10)를 고정 유지시키는 날개부(25) 및, 측면부(24)의 상/하에 연장형성되면서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덮개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날개부(25)는 종자매트(10)의 상부과 중간부 및, 하부를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 날개(25a,25b,25c)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날개(25b)는 그 길이가 제1 및 제3 날개(25a,25c)보다 길게 형성되어 종자매트블럭이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지지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1 내지 제3 날개(25a,25b,25c) 및 덮개부(26)는 소정 체결부(27)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27)는 체결홈과 이에 대응되는 "U"자 형태의 절개부로 구성되거나, 교차 끼움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방향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절개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5a 내지 도5d는 상기 케이스(20)와 종자매트(10)의 조립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케이스(2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상태에서 종자매트(10)가 케이스(20)의 전면부(23) 내측에 배치된다(도5a). 이어, 제1 날 개(25a) 및 제3 날개(25c)가 체결되어 종자매트(10)의 상부와 하부를 고정시킨다(도5b). 그리고, 케이스(20)의 덮개부(26)가 체결된다(도5c). 마지막으로, 케이스(20)의 제2 날개(25b)가 체결된다. 이로써, 종자매트블럭이 완성된다(도5d).
여기서, 상기 케이스(2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전면에 소정 수납부(29)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수납부(29)는 비닐과 같은 투명재질로 구성되면서 사진이나 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그 상측이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29)는 소정 접착제 예컨대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케이스(20) 전면부(23)의 외측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종자매트블럭은 도7과 같이 종자매트(10)를 액자형상의 케이스(40)와 결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40)는 탁상형 액자형상으로 전면에는 사진 수납을 위한 제1 수납부(41)가 구비되고, 제1 수납부(41)의 후면에는 종자매트(10)를 수납하기 위한 제2 수납부(42)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2 수납부(42)의 후면에는 케이스(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43)가 결합되며, 제2 수납부(42)의 하측에는 물을 보관하기 위한 물보관부(4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 수납부(42)의 하단은 그 일측에 흡수구(45)가 형성되어 있고, 흡수구(45)가 형성된 제2 수납부(42)의 하단은 물보관부(44)의 내측 일정 부분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는 제2 수납부(42)에 종자매트(10)가 수납된 상태에서 물보관부(44)에 물이 보충되는 경우, 제2 수납부(42)에 형성된 개방홈(45)을 통해 물보관부(44)의 물이 용이하게 종자매트(1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종자매트블럭은 종자매트(10)를 일정 형태의 수축필름 봉투에 넣고 봉투 입구를 필름접착기로 밀봉한 다음, 고열로 필름을 수축시키는 히트건으로 가열함으로써, 수축필름을 수축시켜 종자매트 외부표면을 감싸도록 하고, 도8과 같이 케이스(51)를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케이스(51)는 종자매트가 일정 위치에 안전하게 세워질 수 있도록 그 후면에 소정 지지대(52)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종자매트블럭은 종자매트(10)를 폴리프로필렌(PP)이나 염화비닐(PVC) 등의 합성수지나, 종이, 목재, 철재 등을 이용하여 종자매트의 수납이 가능한 형태로 된 케이스와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어, 상기한 구성으로 된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을 이용한 식물재배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시 등과 같이 내부가 일정 면적, 보다 상세히는 종자매트블럭을 안치시킬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용기(B)에 일정량의 물(W)을 부은 후, 종자매트블럭을 용기(B) 내에 세워 놓는다. 이때, 종자매트(10)의 모세관 현상으로 인해 용기(B)에 있는 물(W)이 종자매트블럭 케이스(20)의 흡수구(22)를 통해 종자매트(10) 전체로 공급된다.
그리고, 종자매트(10)로 공급된 물(W)은 의해 예컨대 수용성 접착제를 녹이고 식물 종자(23)에 흡수되어 종자의 발아를 유도하게 된다. 또한, 종자매트(10)에 공급된 물(W)은 폴리머 코팅 처리된 입자형 영양제(32)의 코팅표면의 미세기공을 통해 양분을 서서히 용해시켜 지속적인 양분 공급을 제공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종자매트(10)에 공급된 물(W)은 종자매트(10)에 함유되어 있던 공기를 토출시키게 되고, 이때 케이스(20)는 배출된 공기를 그 케이스(20) 내에 가두어 식물종자 의 발아에 사용되도록 함은 물론, 종자매트(10)의 습기가 공기 중으로 급속히 배출되는 것을 차단해 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즉, 일정량의 물(W)이 일정 기간 동안 종자매트(10)로 유입되게 되면, 이로 인해 식물 종자가 발아되고 발아된 식물의 새싹은 케이스(20)의 외부로 나오게 된다. 이때, 식물의 증산작용과 중력에 의해 종자매트 내에서 물의 순환이 발생하여 종자매트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형태매트 사이에 식물종자를 배치시켜 구성되는 종자매트를 상단과 하단의 일정 부분이 개방된 케이스와 결합시킨 종자매트블럭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곳에서나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으로 물만 공급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으로 물만 공급하여 주는 간단한 방법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곳에서나 식물을 재배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8)

  1. 종자매트와, 이 종자매트가 수납되는 형태의 케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종자매트는 일정 형상의 상토매트로 된 제1 형태매트와 제2 형태매트 사이에 식물종자가 배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상단에 식물종자가 발아되어 외부로 싹을 틔우도록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하단에는 외부로부터 물을 유입시켜 종자매트로 물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흡수구가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토매트는 폐지 등의 종이를 해리하여 생성된 펄프에 물을 혼합함과 더불어 피트모스와 양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일정 비율로 섞어 액체 상태의 배양토를 생성한 후, 이 액체 상태의 배양토를 틀에 넣고 수분을 제거하여 일정 면적과 일정 두께를 갖는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자매트는 제1 형태매트와 제2 형태매트 사이에 배치된 식물종자의 하측에는 입자형의 양양제가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제는 폴리머 코팅 처리된 입자형의 비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양제는 휘발성을 제거하고 수용성으로 특수 처리한 아스팔트액에 상토매트를 침전, 건조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전면부와, 이 전면부의 각 면에 연장 형성되는 측면부, 측면부의 좌/우에 연장형성되면서 상호 체결되어 종자매트를 고정 유지시키는 날개부 및, 측면부의 상/하에 연장형성되면서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종자매트의 상부과 중간부 및, 하부를 고정 유지시키기 위한 제1 내지 제3 날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날개 중 적어도 하나는 그 길이가 다른 날개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의 외측에는 사진을 수납하기 위한 사진수납부가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종자는 식물의 씨앗 또는 식물의 줄기 또는 식물의 눈 또는 여러해살이 식물의 뿌리 또는 구근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사진을 수납하기 위한 사진수납부와, 상기 사진 수납부의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종자매트를 수납하기 위한 종자매트수납부, 상기 종자매트수납부의 후면에 결합되는 지지대 및, 물을 수납하기 위한 물수납부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수납부는 상기 사진 수납부의 후면에 종자매트수납부의 하단이 내측일정 부분까지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종자매트수납부의 하단에는 물수납부에 보충된 물을 종자매트수납부의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하기 위한 소정 흡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11. 상토매트를 일정 형태로 잘라 제1 및 제2 형태매트를 제조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제1 형태매트의 상측에 식물종자를 부착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형성된 제1 형태매트와 상기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제2 형태매트 사이에 식물종자가 배치되도록 제1 형태매트와 제2 형태매트를 고정시켜 종자매트를 생성하는 제3 단계,
    상기 제3 단계에서 생성된 종자매트를 상단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흡수구가 형성된 케이스 내측에 결합시켜 종자매트블럭을 생성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토매트는 폐지 등의 종이를 해리하여 생성된 펄프에 물을 혼합함과 더불어 피트모스와 양분을 포함하는 재료를 일정 비율로 섞어 액체 상태의 배양토를 생성한 후, 이 액체 상태의 배양토를 틀에 넣고 수분을 제거하여 일정 면적과 일정 두께를 갖는 형태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제1 형태매트에 부착된 식물종자의 하측에 입자형의 영양제가 추가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형태매트는 그 일면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도록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토매트는 금형돌기가 제작된 상토매트 금형에 다수의 홈이 형성되도록 제작되고, 상기 형태매트는 상기 상토매트를 일정 형상으로 잘라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에서 상기 형태매트는 상토매트를 일정 모양으로 자르기 위한 목형칼에 목형돌기를 제작하여 형태매트 제조시 홈이 형성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가 전면부와, 이 전면부의 각 면에 연장 형성되는 측면부, 측면부의 좌/우에 연장형성되면서 상호 체결되어 종자매트를 고정 유지시키는 날개부 및, 측면부의 상/하에 연장형성되면서 상호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날개부는 제1 내지 제3 날개로 구성하되, 제2 날개는 제1 및 제 3 날개보다 그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종자매트를 케이스의 전면부 내측에 배치시키는 제41단계와, 제1 및 제3 날개를 체결하는 제42단계, 덮개부를 체결하는 제43단계 및, 제2 날개를 체결하는 제4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제조방법.
  18. 제11항 내지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제1 형태매트와 제2 형태매트 사이에 식물종자가 부착된 형태로 제1 내지 제N 형태매트가 다층구조로 적층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럭 제조방법.
KR1020060041324A 2005-05-16 2006-05-09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8200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433A KR20050062474A (ko) 2005-05-16 2005-05-16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의 제조방법
KR1020050040433 2005-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330A true KR20060118330A (ko) 2006-11-23
KR100820081B1 KR100820081B1 (ko) 2008-04-08

Family

ID=3725458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433A KR20050062474A (ko) 2005-05-16 2005-05-16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의 제조방법
KR1020060041324A KR100820081B1 (ko) 2005-05-16 2006-05-09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433A KR20050062474A (ko) 2005-05-16 2005-05-16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80202026A1 (ko)
JP (1) JP2008545386A (ko)
KR (2) KR20050062474A (ko)
CN (1) CN101175398A (ko)
WO (1) WO20061238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6784A (zh) * 2018-11-29 2019-03-22 北京华农农业工程技术有限公司 育苗容器成型装置及其成型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4427B2 (en) 2004-02-13 2020-01-07 Klondike Agricultural Products, LLC Agricultural systems and methods
DK2326162T3 (da) * 2008-09-03 2014-04-28 Grow Tech Llc Biopolymerbaserede vækstmedier og metoder til fremstilling og brug af samme
NL2003810C2 (nl) * 2009-11-16 2011-05-17 Idea Packaging B V Werkwijze en substraat voor het telen van een plant.
US8966814B2 (en) * 2010-04-01 2015-03-03 Ball Horticultural Company Cast pellets for planting seeds
WO2011123602A1 (en) 2010-04-01 2011-10-06 Ball Horticultural Company Cast pellets for planting seeds
CN101828492A (zh) * 2010-06-13 2010-09-15 湖北工业大学 锥形含种压缩营养钵及其播种方法
AU2013221245B2 (en) * 2012-02-17 2017-12-14 Oms Investments, Inc. Plant growing system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WO2015148787A1 (en) * 2014-03-28 2015-10-01 Klondike Agricultural Products, LLC Agricultural systems and methods
JP6788314B2 (ja) 2016-01-06 2020-11-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の製造方法、表示装置及び照明装置
KR102343785B1 (ko) * 2021-04-27 2021-12-24 우태진 호안유공블록용 만능씨앗키트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3355A (en) * 1974-01-18 1976-08-10 Agritec Co. Self-contained hydrophilic plant growth matrix and method
JPS6030621A (ja) 1983-08-01 1985-02-16 旭化成株式会社 農作物包装体及びその製造法
JPS6339520A (ja) * 1986-08-02 1988-02-20 原科 利行 育苗方法及び育苗マツト
JPH0391744A (ja) * 1989-09-04 1991-04-17 Seiko Aikonikusu Kk 現像装置
JPH07322765A (ja) * 1994-06-01 1995-12-12 Takara Co Ltd 観賞物
JPH1098913A (ja) * 1996-09-26 1998-04-21 Toshihiro Matsumoto 園芸用マット
KR20000024480A (ko) * 2000-02-16 2000-05-06 이은명 종자가 내장된 육묘용 유기질상토 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381666B1 (ko) * 2001-02-21 2003-04-26 송범헌 육묘용 매트와 그것을 이용한 벼 다단식 선반 육묘 방법
KR20030070749A (ko) * 2002-02-26 2003-09-02 정광진 볍씨종자가 파종되어 있는 육묘상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9856Y1 (ko) * 2003-01-16 2003-04-08 이광우 실내외 원예조경용 식물재배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96784A (zh) * 2018-11-29 2019-03-22 北京华农农业工程技术有限公司 育苗容器成型装置及其成型方法
CN109496784B (zh) * 2018-11-29 2020-11-06 北京华农农业工程技术有限公司 育苗容器成型装置及其成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45386A (ja) 2008-12-18
CN101175398A (zh) 2008-05-07
WO2006123873A1 (en) 2006-11-23
KR20050062474A (ko) 2005-06-23
US20080202026A1 (en) 2008-08-28
KR100820081B1 (ko) 2008-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081B1 (ko) 식물재배용 종자매트블록 및 그 제조방법
JP3173159U (ja) 簡易栽培用具
KR102626053B1 (ko) 식물재배용 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32335A (ko) 삽목용 화분
WO2017104703A1 (ja) 露地水耕栽培キット、露地水耕栽培システム、及び植物体の製造方法
JP2006174829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JP2799663B2 (ja) 水耕栽培用装置
KR20130022838A (ko) 채소 재배용 포트 및 이를 이용한 채소 재배 장치
JP6535663B2 (ja) 植物栽培装置および植物栽培方法
JPH06327357A (ja) 育苗装置
JPH05292841A (ja) 植物栽培器
KR101360092B1 (ko) 코코피트 혼합물이 충진된 부직포 포트 및 그로우 백
KR100292360B1 (ko) 원예용 배지셀
JPH0937664A (ja) 水耕栽培用の栽培物保持器
JP3480565B2 (ja) 法面用植栽ポット
JP2005328740A (ja) 植物矮化栽培装置及び植物矮化栽培方法
KR100281610B1 (ko) 식물육성묘판 및 이를 사용하여 식물을 육성하는 방법
KR200273611Y1 (ko) 배지셀을 이용한 셀성목 재배관리기
KR20150004183U (ko) 자동 물공급 새싹 재배기
JP2007222127A (ja) 水耕栽培方法及び装置
KR200290526Y1 (ko) 팬스형 장식용 초화 양액재배 관리기
JP2004211373A (ja) 緑化観賞法及びこれに用いる植栽基盤
JPH1098913A (ja) 園芸用マット
KR101424757B1 (ko) 새싹, 어린잎 채소 재배장치
JPH10243861A (ja) 花咲くステッ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