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5088A -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5088A
KR20060115088A KR1020050037411A KR20050037411A KR20060115088A KR 20060115088 A KR20060115088 A KR 20060115088A KR 1020050037411 A KR1020050037411 A KR 1020050037411A KR 20050037411 A KR20050037411 A KR 20050037411A KR 20060115088 A KR20060115088 A KR 20060115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nt
lever
shaft
air conditioner
contro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1514B1 (ko
Inventor
이정엽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7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1514B1/ko
Publication of KR2006011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5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1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를 조립할 때 각 부품의 초기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된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종동기어(21)가 형성된 레버(20)와, 상기 하우징(10) 앞쪽의 프런트 하우징(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21)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1)를 구비한 샤프트(30)와, 상기 프런트 하우징(11)에 삽입 설치되고 공조장치의 제어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디텐트 홈(41)이 형성된 디텐트 캡(40)과, 상기 샤프트(30)에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에 상기 디텐트 홈(41)에 삽입되는 디텐트 볼(33)이 구비된 디텐트 블록(32)과, 상기 샤프트(3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샤프트 위치 설정부와, 상기 레버(2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레버 위치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20) 및 샤프트(30)의 초기 위치 설정이 용이해져 설치 작업이 용이해지고, 스토퍼 구조(42)로 인해 샤프트(30)의 과다한 회전이 제한되어 구동기어(31)와 종동기어(21)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공조장치, 레버, 돌기, 디텐트, 위치결정, 조립, 스토퍼, 리브

Description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Assembling Structure of the Control Switch for Air Conditioner of Vehicle}
도1은, 일반적인 차량의 공조장치 컨트롤 패널이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디텐트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레버 위치 설정부가 도시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Housing) 11: 프런트 하우징(Front Housing)
12: 레버 지지부 13: 제1위치결정리브(Rib)
20: 레버(Lever) 21: 종동기어
22: 케이블(Cable) 23: 제2위치결정리브(Rib)
30: 샤프트(Shaft) 31: 구동기어
32: 디텐트 블록(Detent Block) 33: 디텐트 볼(Detent Ball)
40: 디텐트 캡(Detent Cap) 41: 디텐트 홈
42: 스토퍼(Stopper) 구조 43: 디텐트 가이드 홈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장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어스위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어스위치를 조립할 때 각 부품의 초기 위치 정렬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대부분 여러 형태의 스위치 장치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스위치 장치의 양태로는 선택하는 운전모드에 대응하여 버튼을 누르는 버튼식과, 선택하는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레버를 결합한 레버식과, 회전가능한 노브체의 각도 위치에 대응하여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로터리식이 있다.
차량용 공조장치의 제어스위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이 상이하고 구조가 다른 여러 개의 스위치가 하나의 패널(1)에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송풍 속도의 조절을 위한 풍량 스위치(2)와, 공기의 토출 방향을 결정하는 모드 스위치(3), 송풍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조절 스위치(4) 및 공조장치를 온/오프시키는 에어컨 스위치(5)가 하나의 패널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모드 스위치(3)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조모드를 결정하게 되는데, 공조모드에는 풋 모드(Foot Mode)와 페이스 모드(Face Mode) 및 디프로스트 모드(Defrost Duct) 등이 있다. 페이스 모드는 사용자의 얼굴 부분으로 공기가 분출되 도록 하고, 풋 모드는 사용자의 발 부분으로 공기가 분출되도록 하며, 비프로스트 모드에서는 윈드쉴드(Windshield)에 형성되는 포그(Fog) 및 성에를 제거할 수 있도록 윈드쉴드 방향으로 공기를 분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컨 스위치(5)는 버튼식으로 구성되고, 상기 온도조절 스위치(4)는 로터리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풍량 스위치(2)와 모드 스위치(3)는 레버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풍량 스위치(2)와 모드 스위치(3)를 레버식으로 하는 이유는 일정한 조작 위치마다 서로 다른 공조 양식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샤프트와 레버가 베벨 기어 형태로 결합되어 구동력이 전달되므로, 초기 조립시 위치결정 및 기어간 이탈을 방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의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으로부터 돌출되는 축부에 대략 중앙부분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단 부분에 종동기어(121)가 형성되는 레버(120)와, 상기 레버(120)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공조장치를 작동시키는 케이블(122)과, 상기 하우징(110)에 수직하게 위치된 프런트 하우징(1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121)에 치합되는 구동기어(131)를 구비한 샤프트(130)와, 상기 샤프트(130)의 외단에 설치되는 조작노브(135)와, 상기 레버(120)의 회동 궤적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레버(120)의 끝단에 접촉되어 상기 레버(120)의 회동범위를 제한하는 돌기 형태의 스토퍼(115)와, 상기 레버(120)가 상기 스토퍼(115)에 접촉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지그(도시 생략)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구멍(119)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종래의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는 하우징에 레버를 설치할 때 스토퍼 및 지그를 이용하여 레버의 초기 위치를 결정하고 샤프트가 레버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한다.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차체에 설치된다. 먼저, 차체에 하우징(110)을 설치하고, 상기 하우징(110)에 레버(120)를 결합시키고, 상기 하우징(110)과 일체로 형성된 프런트 하우징(111)에 샤프트(130)를 설치한다.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축에 상기 레버(120)를 삽입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한 후, 상기 레버(120)를 회동시켜 레버(120)의 측면이 일측의 스토퍼(115)에 접하도록 한다. 이어, 상기 레버(120)가 움직일 수 없도록 상기 하우징(110)에 형성된 구멍(119)에 지그를 삽입한 후, 레버(120)의 후단측에 케이블(122)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레버(120)는 스토퍼(115)와 지그에 의해 양측면이 접하게 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어, 프런트 하우징(111)에 샤프트(130)를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샤프트(130)는 구동기어(131)가 상기 레버(120)의 종동기어(121)에 치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샤프트(13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샤프트(130)의 외단에 조작노브(135)를 결합시키고, 상기 하우징(110)의 구멍(119)에 삽입된 지그를 제거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130)의 회전에 따라 레버(120)가 회동되면서 케이블(122)을 전후 이동시켜 공조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의 차량의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는 하우징(110)에 레버(120)를 설치할 때 레버(120)의 초기 위치 설정이 용이하고, 레버(120)와 샤프트 (130)를 결합시킬 때 구동기어(131)와 종동기어(121)의 기어 맞물림이 어긋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어긋남이 발생되더라도 용이하게 확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차량의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는, 돌기형의 스토퍼 및 지그(Jig)를 사용하여 레버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는데, 지그를 하우징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고 조립하므로 조립공수가 증가할 뿐 아니라 스토퍼의 위치에 따라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맞물림이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되거나 레버와 스토퍼 사이의 마찰로 인한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레버의 측면과 스토퍼 사이에 소정의 갭(Gap)이 존재하게 되면 조립시 구동기어(131)와 종동기어(121)의 기어 맞물림이 어긋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고, 갭이 전혀 없으면 제어스위치 조작시 레버(120)와 돌기형 스토퍼(115)의 마찰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 과다한 힘이 가해질 경우 돌기형 스토퍼(115)가 파손될 우려가 있고, 돌기형 스토퍼(115)가 파손되는 경우 레버(120)의 초기 위치 설정이 어렵게 되고, 레버(120)의 회동이 제한되지 않아 스위치 끝단에서 구동기어(131)와 종동기어(121)가 이탈됨으로써 공조제어가 불가능해지는 경우도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레버의 초기 위치를 결정함은 물론 디텐트 구조를 이용하여 샤프트의 초기 위치도 설정함으로써,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기어 맞물림이 어긋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제어스위치의 설치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종동기어가 형성된 레버와, 상기 하우징 앞쪽의 프런트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에 치합되는 구동기어를 구비한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단에 설치되는 조작노브와, 상기 프런트 하우징에 삽입 설치되고 공조장치의 제어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디텐트 홈이 형성된 디텐트 캡과, 상기 샤프트에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에 상기 디텐트 홈에 삽입되는 디텐트 볼이 구비된 디텐트 블록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샤프트 위치 설정부와, 상기 레버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레버 위치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샤프트 위치 설정부는, 상기 디텐트 캡은 상기 레버의 종동기어로부터 샤프트의 구동기어가 이탈되지 않도록 최외곽의 디텐트 홈에 상기 디텐트 블록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구조 또는 초기 조립시 상기 디텐트 블록이 삽입되는 디텐트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 위치 설정부는, 상기 샤프트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레버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1위치결정리브가 형성된 레버 지지부와, 상기 레버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제2위치결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은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디텐트 구조가 도시된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레버 위치 설정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는,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된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종동기어(21)가 형성된 레버(20)와, 상기 레버(20)의 후단측에 연결되어 공조장치를 작동시키는 케이블(22)과, 상기 하우징(10)에 수직하게 위치된 프런트 하우징(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21)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1)를 구비한 샤프트(20)와, 상기 샤프트(20)의 외단에 설치되는 조작노브(35)와, 상기 프런트 하우징(11)에 삽입 설치되고 공조장치의 제어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디텐트 홈(41)이 형성된 디텐트 캡(40)과, 상기 샤프트(30)에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에 상기 디텐트 홈(41)에 삽입되는 디텐트 볼(33)이 구비된 디텐트 블록(32)과, 샤프트(3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샤프트 위치 설정부와, 상기 레버(2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레버 위치 설정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 위치 설정부는 상기 디텐트 캡(40)의 형상 변경을 통해 구성한다. 즉, 상기 레버(20)의 종동기어(21)로부터 샤프트(30)의 구동기어(31)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디텐트 캡(40)의 최외곽 디텐트 홈(41)에 상기 디텐트 블록(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구조(42)를 형성하고, 상기 샤프트(30)를 디텐트 캡(40)에 처음 조립할 때 상기 디텐트 블록(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디텐트 캡(40)에 디텐트 가이드 홈(43)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 구조(42)는 디텐트 캡(40)에 상기 디텐트 홈(41)을 형성할 때 바깥쪽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한 수직면 구조로서 수직면에 의해 디텐트 블록(32)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한다. 또한, 작업자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디텐트 가이드 홈(43)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 상기 조작노브(35)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디텐트 가이드 홈(43)의 돌출 부분은 상기 디텐트 블록(3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조작노브(35)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약간 낮게 기울어진 구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 위치 설정부는, 상기 샤프트(30)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레버(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샤프트(30)의 중심과 겹치는 부분이 조작노브(35)측으로 돌출되어 제1위치결정리브(13)가 형성된 레버 지지부(12)와, 상기 레버(2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제2위치결정리브(2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위치결정리브(23)는 상기 레버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위치결정홈(도시 생략)으로 대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는 레버 위치 설정부를 통해 레버를 설치하고 디텐트 구조를 이용하여 샤프트를 설치하여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어긋남을 방지함은 물론 샤프트의 과다한 회전을 차단하여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하우징(10)에 레버(20)를 먼저 설치하게 되는데, 하우징(10)의 레버 지지부(12)에 있는 제1위치결정리브(13)와 레버(20)의 제2위치결정리브(23)가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로 레버(20)를 설치한다. 이어, 프런트 하우징(11)에 설치된 디텐트 캡(40)을 통해 샤프트(30)를 설치하되, 샤프트(30)의 디텐트 블록(32)이 상기 디텐트 캡(40)의 디텐트 가이드 홈(43)에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샤프트(30)의 구동기어(31)가 상기 레버(20)의 종동기어(21)와 맞물리도록 한다.
이때, 상기 디텐트 가이드 홈(43)이 소정의 구배를 갖고 있으므로, 상기 디텐트 블록(32)이 디텐트 캡(40)에 걸리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레버(20)의 후단측에 케이블(22)을 연결하고, 상기 샤프트(30)의 외단측에는 조작노브(35)를 결합시켜, 제어스위치의 설치를 완료한다.
상기한 과정을 거쳐 설치된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는 조작노브(35)를 회전시킴에 따라 레버(20)가 회전되면서 공조 제어를 하게 된다. 상기 조작노브(35)를 회전시키면 디텐트 블록(32)의 디텐트 볼(33)이 디텐트 캡(40)의 디텐트 홈(41)에 삽입 또는 이탈되면서 샤프트(30)가 회전된다. 따라서, 조작노브(35)를 회전시킬 때 소정의 걸림감을 느낄 수 있으며, 공조장치는 상기 디텐트 볼(33)이 디텐트 홈(41)에 삽입될 때마다 각기 다른 공조 양식을 보이게 된다.
그런데, 상기 디텐트 홈(41)중에서 최외곽에 위치된 디텐트 홈(41)은 바깥쪽 부분이 수직하게 형성되어 스토퍼 구조(42)로 작용하므로, 상기 디텐트 블록(32)은 스토퍼 구조(42)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조작노브(35)를 더 회전시키려 하더라도 디텐트 블록(32)이 스토퍼 구조(42)에 걸려 샤프트(30)가 회전될 수 없게 된다.
결국, 상기 조작노브(35)의 회전 가능 각도가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되며, 상기 레버(20)의 폭을 상기 조작노브(35)에 의해 회전되는 각도 이상으로 하게 되면 구동기어(31)와 종동기어(21)의 이탈은 절대 발생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레버(20)가 회전될 때 레버 지지부(12)에 의하여 레버(20)가 상측으로 움직이는 것이 제한되므로 종동기어(21)가 구동기어(31)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상기 레버 지지부(12)의 제1위치결정리브(13) 및 레버(20)의 제2위치결정리브(23)로 인하여, 레버(20)의 초기 위치 설정이 매우 용이해진다. 이는 레버(2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함에 있어 대략적인 레버(20)의 위치 설정이 가능하다면, 레버(20)와 샤프트(30)가 종동기어(21)와 구동기어(31)의 맞물림으로 인해 상호 결합되는 것을 감안할 때, 큰 오차가 발생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레버(20)의 제2위치결정리브(23)와 레버 지지부(12)의 제1위치결정리브(13)가 일직선상에 위치되는지의 여부는 육안 확인만으로도 충분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에 따르면, 레버(20) 및 샤프트(30)의 초기 위치 설정이 용이해져 설치 작업이 용이해지고, 스토퍼 구조(42)로 인해 샤프트(30)의 과다한 회전이 제한되어 구동기어(31)와 종동기어(21)의 이탈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하우징(10)으로부터 돌출된 축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단에 종동기어(21)가 형성된 레버(20)와, 상기 하우징(10) 앞쪽의 프런트 하우징(11)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기어(21)에 치합되는 구동기어(31)를 구비한 샤프트(30)와, 상기 샤프트(30)의 외단에 설치되는 조작노브(35)와, 상기 프런트 하우징(11)에 삽입 설치되고 공조장치의 제어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디텐트 홈(41)이 형성된 디텐트 캡(40)과, 상기 샤프트(30)에 돌출 형성되고 선단부에 상기 디텐트 홈(41)에 삽입되는 디텐트 볼(33)이 구비된 디텐트 블록(32)을 포함하는 차량의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샤프트 위치 설정부와, 상기 레버(2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레버 위치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위치 설정부는, 상기 레버(20) 종동기어(21)로부터 샤프트(30)의 구동기어(31)가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디텐트 캡(40)의 최외곽 디텐트 홈(41)에 형성되어 상기 디텐트 블록(32)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구조(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구조(42)는, 상기 디텐트 캡(40)에 디텐트 홈(41)을 형성할 때 바깥쪽 부분을 반경방향으로 수직하게 형성한 수직면 구조로서 수직면에 의해 디텐트 블록(32)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위치 설정부는, 상기 디텐트 캡(40)에 형성되어 초기 조립시 상기 디텐트 블록(32)이 삽입되도록 하는 디텐트 가이드 홈(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캡(40)은, 상기 디텐트 가이드 홈(43) 부분이 앞쪽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텐트 캡(40)은, 상기 디텐트 블록(3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디텐트 가이드 홈(43)의 돌출 부분이 상기 조작노브(35)가 체결되는 방향으로 약간 낮게 기울어진 구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위치 설정부는, 상기 샤프트(30)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하우징(1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레버(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제1위치결정리브(13)가 형성된 레버 지지부(12)와, 상기 레버(2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된 제2위치결정리브(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KR1020050037411A 2005-05-04 2005-05-04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KR101151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411A KR101151514B1 (ko) 2005-05-04 2005-05-04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7411A KR101151514B1 (ko) 2005-05-04 2005-05-04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5088A true KR20060115088A (ko) 2006-11-08
KR101151514B1 KR101151514B1 (ko) 2012-05-30

Family

ID=37652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411A KR101151514B1 (ko) 2005-05-04 2005-05-04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151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923B2 (en) 2008-03-17 2012-05-08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Rotary switch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1159138B1 (ko) * 2008-03-17 2012-06-2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로터리 스위치 조립체
CN103192677A (zh) * 2012-01-06 2013-07-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空调控制设备
KR101467263B1 (ko) * 2008-08-20 2014-12-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CN106515371A (zh) * 2016-12-22 2017-03-22 江苏阿尔特空调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顶置式客车空调壳体的分段防护及安装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5611Y2 (ko) * 1987-07-03 1993-04-23
JPH0876871A (ja) * 1994-08-31 1996-03-22 Zexel Corp コントロールレバーの組付構造
JP3422652B2 (ja) * 1997-04-25 2003-06-30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ダイヤル式操作装置
JP2000200112A (ja) 1999-01-07 2000-07-18 Ansei:Kk 車両用ヒ―タコントロ―ルにおけるダイヤル式操作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923B2 (en) 2008-03-17 2012-05-08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Rotary switch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1159138B1 (ko) * 2008-03-17 2012-06-25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로터리 스위치 조립체
KR101467263B1 (ko) * 2008-08-20 2014-12-0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의 케이블 연결장치
CN103192677A (zh) * 2012-01-06 2013-07-10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空调控制设备
CN106515371A (zh) * 2016-12-22 2017-03-22 江苏阿尔特空调实业有限责任公司 一种顶置式客车空调壳体的分段防护及安装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1514B1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0059B1 (ko)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KR101151514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JP4691245B2 (ja) デュアルモード変速レバーユニットのケーブルブロックロッキング装置
US20020063046A1 (en) Operation switch unit for vehicle
KR20190076434A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8173923B2 (en) Rotary switch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EP1228908B1 (en) Controller unit of automotive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0756636B1 (ko) 수동변속기용 변속레버 어셈블리
KR100693554B1 (ko)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JPH0876871A (ja) コントロールレバーの組付構造
US7411141B2 (en) Combination switch
JPH1067244A (ja) 変速機操作レバー
JP3378770B2 (ja) ヒータコントロール装置用スイッチ装置の運転動作検出器
KR20080010129A (ko) 차량의 공조시스템 제어용 스위치 장치
JP4064153B2 (ja) 車輌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KR101220977B1 (ko) 공조장치의 모드 스위치 조립체
KR101105078B1 (ko) 차량용 컨트롤러의 버튼구조
KR100997127B1 (ko) 로터리 푸쉬 버튼 스위치
KR100804662B1 (ko) 차량 공조 스위치
JP4096222B2 (ja) 車輌空調用コントロール操作装置
KR100633927B1 (ko) 모드 스위치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내외기 레버가 구비된히터 콘트롤
KR101949132B1 (ko) 모듈화가 가능한 디텐트 장치
KR200289566Y1 (ko) 차량 공조스위치
KR101495714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0174822Y1 (ko) 자동차의 가변식 와이퍼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