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662B1 - 차량 공조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 공조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662B1
KR100804662B1 KR1020020027322A KR20020027322A KR100804662B1 KR 100804662 B1 KR100804662 B1 KR 100804662B1 KR 1020020027322 A KR1020020027322 A KR 1020020027322A KR 20020027322 A KR20020027322 A KR 20020027322A KR 100804662 B1 KR100804662 B1 KR 100804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witch
air conditioning
boss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7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9213A (ko
Inventor
윤승현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7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662B1/ko
Publication of KR20030089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9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57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means connecting the initiating means, e.g. control lever, to the damper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공조 스위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노브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공조온도를 조절/제어하는 차량 공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보스(15)가 형성된 스위치본체(12)와; 일단부가 상기 보스(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간부에는 주동기어(14)가 형성되는 축(13)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노브체(11)와; 상기 노브체(11)의 회전에 의해 조작케이블(16)이 직선운동 하도록 전달하는 전달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공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60)은 일측에 상기 주동기어(14)와 치합되도록 종동기어(21)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스위치본체(12)의 보스(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레버(40)와; 일측은 조작케이블(16)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스위치본체(12)의 보스(15)에 회동됨과 아울러 전달레버(40)에 겹쳐지게 설치되는 작동레버(50)와; 상기 전달레버(40)와 작동레버(50) 사이의 각을 변경함과 아울러 상기 각 레버(40)(50)를 상호 고정되게 하는 각도변경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케이블의 경로가 변경 될 경우에도 상기 전달레버와 작동레버 사이의 각을 간단히 조절하여 고정 가능한 것이다.
Figure 112002015104995-pat00001
스위치, 전달레버, 작동레버, 노브체, 차량

Description

차량 공조 스위치{Vehicles air conditioning switch}
도 1은 일반적인 차량 컨트롤 패널을 보인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공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 스위치에서 전달레버와 작동레버를 도시한 확대평면도,
도 5는 도 4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송풍온도조절 스위치 11: 노브체
12: 스위치 본체 13: 축
14: 주동기어 15: 보스
16: 조작케이블 20,40: 전달레버
21: 종동기어 30,50: 작동레버
41: 지지부 42,52: 관통공
51: 고정홈 60: 전달수단
70: 각도변경수단 71,71a: 핀구멍
72: 핀
본 발명은 차량 공조 스위치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위치 본체에 대하여 회동가능한 노브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공조온도를 조절/제어하는 차량 공조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장치의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스위치장치는 선택하는 운전모드에 대응하여 버튼을 누르는 버튼식과, 선택하는 운전모드에 대응하는 위치에 레버를 결합한 레버식, 그리고 회전가능한 노브체의 각도위치에 대응하여 운전모드를 선택하는 로타리식이 있다.
상기 버튼식의 선택 스위치는 스위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단속하여 모드를 제어하게 되며, 로타리식의 선택 스위치의 경우 스위치 본체에 대해 회전가능한 노브체를 조립하여 제작하며 이때 노브체의 각도 위치와 스위치 본체의 운전모드가 일치함으로써 모드 조절이 가능하다.
일예로 차량에는 주위의 각종 변화에 따른 자동차 실내 공기의 온도 및 습도와 공기의 환경을 자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승차한 사람에게 쾌적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공조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공조장치는 주행중 운전자가 조절하기 쉬운 인스트러먼트 패널상에 설치된 컨트롤패널에 공조장치와 관련된 각종 공조스위치를 설치하여 제어하게 된다.
차량에서 사용되는 공조 스위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능이 상이한 여러개의 스위치가 하나의 컨트롤패널(1)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송풍속도조절 스위치(2), 공기방향선택 스위치(3), 송풍온도조절 스위치(4) 그리고 에어컨 스위치(5) 등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한 스위치는 각각의 제어모드와 대응하고 있다.
이러한 스위치들을 통해 차량 실내를 공조할 경우 에어컨이 가동된 상태에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조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송풍온도조절 스위치(4)를 별도로 조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스위치 조작 방법은 주행중 부주의를 유발할 수 있으며, 송풍온도조절 스위치(4)와 에어컨 스위치(5)를 별도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스위치 제작비용을 가중시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 1997-0033546호(명칭: 차량 공조스위치)로 이미 선출원하였던 바,
그 구성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송풍온도조절 스위치(10)는 일단부가 스위치본체(12)의 보스(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간부에는 주동기어(14)가 형성되는 축(13)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노브체(11)와, 상기 스위치본체(12)의 보스(15)에는 노브체(11)의 회전을 케이블(16)에 전달하는 전달레버(20)와 작동레버(30)가 일체로 형성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전달레버(20)는 일측에 상기 주동기어(14)와 치합되는 종동기어(2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레버(30)의 일측에는 상기 조작케이블(16)이 연결설치된다. 에어컨스위치(미도시)는 작동레버(30)의 초기 세팅위치에서 압압되어 에어컨 전원을 단속하는 스위치노브(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송풍온도조절 스위치와 에어컨 스위치를 연동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에어컨 조작에 필요한 구동체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더욱이 작동레버(30)의 회전 경로상에 에어컨의 스위치노브를 위치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스위치 구조를 간략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의 스위치(10)가 개발완료된 후 조작케이블(16)의 경로가 변경 될 경우에 상기 조작케이블(16)의 경로가 완만하게 성립되게 하기 위해서 전달레버(20)와 작동레버(30)의 구조가 변경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전달레버(20)와 작동레버(30) 사이의 각을 변경하여 다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 1997-0033546호(명칭: 차량 공조스위치)의 개량 발명으로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조작케이블의 경로가 변경 될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도록 상기 전달레버와 작동레버 사이의 각을 자유롭게 변경가능한 차량 공조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스가 형성된 스위치본체와; 일단부가 상기 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간부에는 주동기어가 형성되는 축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노브체와; 상기 노브체의 회전에 의해 조작케이블이 직선운동 하도록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공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일측에 상기 주동기어와 치합되도록 종동기어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스위치본체의 보스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레버와; 일측은 조작케이블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스위치본체의 보스에 회동됨과 아울러 전달레버에 겹쳐지게 설치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전달레버와 작동레버 사이의 각을 변경함과 아울러 상기 각 레버를 상호 고정되게 하는 각도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공조 스위치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공조 스위치에서 전달레버와 작동레버를 도시한 확대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스위치본체(12)와 노브체(11) 그리고 전달레버(40) 및 작동레버(50)로 대별된다.
먼저 종래와 동일하게 적용되는 스위치본체(12)와 노브체(11)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스위치본체(12)의 일측에는 상기 노브체(1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보스(15)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자는 상기 노브체(11)를 회전시켜 소정의 각도위치에 일치시킴으로써 공조온도를 선택하게 된다.
상기 노브체(11)는 축(13)의 일단부와 고정되며, 이 축(13)의 중간부에는 주동기어(14)를 축(13)과 동심으로 형성하고, 타단부는 스위치본체(12)에 설치된 보 스(15)에 끼워져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레버(40)는 일측에 상기 주동기어(14)와 치합되도록 종동기어(21)를 형성하고, 타측에 상기 스위치본체(12)의 보스(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지지부(41)를 분리되게 연장 형성하며, 상기 지지부(41)는 상기 보스(15)의 외주면과 회동가능하게 관통공(42)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레버(50)는 일측에 고정홈(51)을 형성하여 조작케이블(16)을 연결 설치하고, 타측은 상기 전달레버(40)의 각각의 지지부(41) 사이에서 자유회동되게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본체(12)의 보스(15)의 외주면과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관통공(52)을 형성하며, 상기 전달레버(40)의 회전을 조작케이블(16)에 전달하여 조작케이블(16)이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전달레버(40)의 각각의 지지부(41) 사이에 상기 작동레버(50)의 일측을 삽입하여 상기 각 레버(40)(50)의 관통공(42)(52)을 일치시켜 상기 스위치본체(12)의 보스(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상기 전달레버(40)와 작동레버(50) 사이의 각을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각 레버(40)(50)를 상호 고정하기 위하여 각도변경수단(70)을 구비한다.
상기 각도변경수단(70)은 상기 전달레버(40)의 각 지지부(41)에 형성된 관통공(42) 둘레에 양단이 관통되게 핀구멍(71)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레버(50)에도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52) 둘레에 양단이 관통되게 핀구멍(71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각 레버(40)(50) 사이의 각을 원하는 각도로 조절함과 동시에 각 레버(40)(50)에 형성된 핀구멍(71)(71a)을 상호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핀 구멍(71)(71a)에 핀(72)을 삽입하여 각 레버(40)(5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실내의 공조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레버(40)가 초기상태에 위치하게 되며, 송풍온도조절 스위치(10)도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실내 공조가 필요한 경우 노브체(11)를 회전시키면 축(13)에 형성된 주동기어(14)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주동기어(14)와 맞물려 있는 종동기어(21)가 회전함에 따라 전달레버(40)를 회전시킨다.
상기 전달레버(40)가 회전하면 핀(72)으로 상호 고정되어 있는 작동레버(50)가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작동레버(50)의 일측과 고정되는 조작케이블(16)을 직선운동 하게 하여 공조를 행하게 된다.
그리고, 실내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노브체(1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레버(50)에 연결된 조작케이블(16)이 이동하면서 조작자가 원하는 공조온도로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공조장치 등의 구조나 위치 등이 변경되어 상기 조작케이블(16)의 경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도록 상기 전달레버(40)와 작동레버(50)를 고정하고 있는 핀(72)을 인출한 후 상기 전달레버(40)와 작동레버(50) 사이의 각을 적절하게 변경하여 다시 상기 핀(72)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조작케이블(16)이 완만한 경로를 유지할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종래에 전달레버(40)와 작동레버(5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각 레버(40)(50) 사이의 각도 변경이 불가하여 조작케이블(16)의 경로 변경에 따라 새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개선됨으로써 원가절감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달레버와 작동레버를 각각 분리 제작하여 상기 각 레버 사이의 각을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기 조작케이블의 경로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상기 전달레버와 작동레버를 다시 제작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보스(15)가 형성된 스위치본체(12)와; 일단부가 상기 보스(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중간부에는 주동기어(14)가 형성되는 축(13)의 타단부에 고정되는 노브체(11)와; 상기 노브체(11)의 회전에 의해 조작케이블(16)이 직선운동 하도록 전달하는 전달수단(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 공조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60)은 일측에 상기 주동기어(14)와 치합되도록 종동기어(21)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이 상기 스위치본체(12)의 보스(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달레버(40)와; 일측은 조작케이블(16)이 연결 설치되고, 타측은 상기 스위치본체(12)의 보스(15)에 회동됨과 아울러 전달레버(40)에 겹쳐지게 설치되는 작동레버(50)와; 상기 전달레버(40)와 작동레버(50) 사이의 각을 변경함과 아울러 상기 각 레버(40)(50)를 상호 고정되게 하는 각도변경수단(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변경수단(70)은 상기 전달레버(40)와 작동레버(50) 각각의 보스부 주위에 양단이 관통되게 핀구멍(71)(71a)을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전달레버(40)와 작동레버(50)의 핀구멍(71)(71a)을 상호 일치되게 하여 상기 핀구멍(71)(71a)에 핀(72)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공조 스위치.
KR1020020027322A 2002-05-17 2002-05-17 차량 공조 스위치 KR100804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322A KR100804662B1 (ko) 2002-05-17 2002-05-17 차량 공조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7322A KR100804662B1 (ko) 2002-05-17 2002-05-17 차량 공조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213A KR20030089213A (ko) 2003-11-21
KR100804662B1 true KR100804662B1 (ko) 2008-02-20

Family

ID=3238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7322A KR100804662B1 (ko) 2002-05-17 2002-05-17 차량 공조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6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662B1 (ko) * 2002-05-17 2008-02-20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 스위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213A (ko) * 2002-05-17 2003-11-2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 스위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9213A (ko) * 2002-05-17 2003-11-21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9213A (ko) 200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1527A (en) Rotary-type door apparatus having two engagement portions for manual or automatic driving
US5052282A (en) Ventilation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20090068417A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KR100571755B1 (ko) 온도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한 에어컨디셔닝 도어용 듀얼액츄에이터 장치 및 그 액츄에이터
CN101539325B (zh) 用于车用空调器的旋转开关组件
KR100804662B1 (ko) 차량 공조 스위치
US8173923B2 (en) Rotary switch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20060135675A (ko) 스위치 기구
US7070117B2 (en) Feedback apparatus for air-conditioning actuator for vehicle
KR101151514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제어스위치 설치구조
KR200289566Y1 (ko) 차량 공조스위치
KR10056435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모드도어 링크장치
KR10119874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JPS6280119A (ja) 空調制御装置
KR100693554B1 (ko) 차량용 에어벤트 댐퍼
KR100457089B1 (ko) 에어벤트의 작동구조
JP2561764Y2 (ja) モータアクチュエータ
EP1228908B1 (en) Controller unit of automotive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200397379Y1 (ko) 차량 공조용 액츄에이터
KR200280256Y1 (ko) 차량용 송풍 조절장치
KR100578417B1 (ko)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KR101497336B1 (ko) 차량용 공조 장치의 컨트롤 스위치 조립체
JP4820041B2 (ja) 自動配気装置
KR100494513B1 (ko) 자동회전 방식의 에어벤트 구조
KR20000034121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전환용 도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